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지조직의 비정규직 사회복지사 고용에 관한 연구 : 부산 지역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윤정화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의 비정규직 사회복지사 고용에 관한 연구로, 부산 지역사회복지관에 고용된 비정규직 사회복지사의 고용 실태와 그에 따른 특성을 알아 본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은 사회복지조직의 비정규직 사회복지사의 고용 실태를 알아보고, 사회복지조직의 비정규직 사회복지사에 대한 합리적인 인사관리를 위해 이해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이다. 연구결과, 각 기관당 평균 0.72명 꼴로 비정규직 사회복지사가 고용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조직의 비정규직 사회복지사도 다른 여러 선행연구 결과와 마찬가지로 정규직보다 열악한 근무환경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일노동을 함에도 불구하고 동일임금을 적용 받지 못하고 있고, 비정규직 사회복지사 과반수가 사회보험, 시간외 근무수당, 근무수당, 기타 복지혜택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또한 비정규직 내 계약직으로 근무하느냐 시간제로 근무하느냐에 따라 사회보험, 근무수당, 복지혜택 등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즉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차이도 있지만, 비정규직 내에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지역사회복지관의 정규직 사회복지사의 근무조건 등이 다른 조직의 전문직보다 매우 열악함을 감안하면, 비정규직 사회복지사는 더욱 열악한 근무조건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지역사회복지관에서 비정규직 사회복지사를 고용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 본 결과, 외부자원 활용으로 인한 업무증가 때문이 가장 높은 응답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각 기관당 외부자원 활용의 정도를 알아보았는데, 각 기관당 2.05개의 외부자원을 지원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정규직 사회복지사에 대한 임금산정 방식에 대한 응답으로 외부자원 지원금 중 인건비로 활용한다는 응답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지역사회복지관에서 비정규직 사회복지사 고용에 외부자원 활용 증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진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인건비 절감, 고용유연성 등의 이유로 비정규직을 고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복지조직과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지역사회복지관의 비정규직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에게 직접서비스를 전달하는 전문가라는 것이다. 즉, 비정규직 사회복지사의 담당 업무가 정규직 사회복지사의 담당 업무와 비슷하며, 대부분 클라이언트에게 직접서비스를 전달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었다. 이러한 선행연구와의 차이들로 우리가 예측할 수 있는 것은 사회복지조직의 비정규 인력 관리는 일반조직의 비정규 인력 관리와 달라야 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사회복지조직은 클라이언트에게 직접서비스를 전달하는데, 서비스를 전달하는 과정에 참여하는 비정규직 사회복지사의 기술이나 가치 등이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에 포함될 수 있고, 곧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사회복지서비스의 특성으로 비정규 인력 활용이 일반조직보다 좀 더 신중하고 체계적이어야 하는 이유이다. 사회복지조직의 목적이 클라이언트에게 보다 질 높은 서비스를 전달하는 것이라면, 사회복지조직은 조직의 핵심적인 위치에 있는 인력에 대해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인력 관리를 해야만 할 것이다. With the adjustment of Korea's industrial structure and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the labour force, the patterns of employment are becoming diversified and number of atypical workers are increasing. The present situation came out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too. So this study inquires into employment of the contingent social worker who is employed at social welfare center in Busan. A purpose of this study is understanding for reasonable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the contingent social worker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ccording to result of this study, each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employes about 0.72 contingent social worker. And they have poor working condition than the typical social worker. For example, wage, social insurance, and allowance etc. Also according to the type of contingent work there are differences from there working condition. The reason of employment with the contingent social worker in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is relate to the fund that gain from outside except government. It is important to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the contingent worker. And this is different from other studies,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in social welfare service. Furthermore the contingent social worker charges the service that is related with clients in social welfare service. If the goal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serve a client with high quality of social welfare service, they should manage on the contingent social worker systematically and rationally.

      •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의 고객지향성에 관한 연구

        김기정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03

        웹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 발전은 민간 기업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복지관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넷을 매개로 한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를 통해 클라이언트나 지역주민의 접근성이 높아졌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없어져 편의성이 높아졌으며, 보다 신속․정확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를 통해 지역사회 복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사이버 상담 같은 온라인 서비스도 받을 수 있다. 또한 정보공개 및 지역사회복지관과 클라이언트나 지역주민사이에 의사소통(E-mail, 게시판, 대화방 등을 통한)이 증대될 수 있다. 즉,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의 의의는 온라인 상 또 하나의 지역사회복지관으로 클라이언트나 지역주민을 위한 고객 지향적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실제로 현재 운영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를 방문해보면 상당수의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가 클라이언트나 지역주민을 위한 고객 지향적 서비스를 제공하기보다는 지역사회복지관 홍보 등 지역사회복지관 중심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 고객지향성의 개념을 파악하고, 선정된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 고객지향성 평가지표와 평가항목을 실제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에 적용하여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의 고객지향성 실태와 수준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평가연구를 위한 평가지표 선정은 선행연구에서 적용된 평가지표를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의 고객지향성 측면으로 재분류하고 재구성하여 평가지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평가지표와 평가항목에는 편의성, 대응성, 신속정확성, 다양성, 의사소통의 개방성으로 총 5개 평가지표와 32개 평가항목이 있다. 평가지표와 평가항목 선정을 위해 각종 연구 자료와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였다. 평가대상은 부산광역시 16개 지역 49개 지역사회복지관을 선정하였으며, 사용자 그룹으로 구성된 3명의 평가자가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를 직접 방문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의 고객지향성에 관한 선행연구가 없기에 더욱 의미가 있다. 선정된 평가지표와 평가항목은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의 고객지향성 실태와 수준을 분석할 때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를 제작, 운영․관리할 때도 활용할 수 있다. The advance of the Internet based on web technology has huge impacts on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as well as private corporations. In fact, the homepage in the Internet makes clients and local people's approach convenient, free from restriction of time and place, rapid and accurate. The information on community welfare can be easily collected and on-line service like cyber counseling is available through the homepage of a local social welfare center. Futhermore, disclosur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center and clients or local people can be increased by making use of e-mail, bulletin boards, chat rooms. In brief, the significance of the homepage of a local social welfare center lies in the customer-oriented service for clients and local people as an on-line social welfare center. However, when visiting homepages currently being run by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a good many of them are the social welfare center-oriented, not customer-oriented; in other words, they are used for public relations rather than service for clients and local people.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customer orientation of a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homepage will be understood;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level of a homepage will be analyz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evaluation index and evaluation items selected to existing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homepages. The evaluation index for this study was reclassified and reorganized from that of previous study in terms of customer orientation of a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homepage. The evaluation index selected includes convenience, correspondence, swiftness & accuracy, diversity, and openness of communication; and there are 32 evaluation items chosen. 49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of 16 regions in Busan were surveyed and their homepages are visited and evaluated by 3 appraisers composed of owners. This study would be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is the first attempt to deal with the subject, customer orientation of a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homepage. It could be used not only when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level of a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homepage should be analyzed but also when a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homepage is produced, operated or managed.

      • 지역사회복지관의 네트워크 초기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전국사회복지관 네트워크 모임 도래샘을 중심으로

        김문희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의 네트워크 초기 형성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전국 단위 사회복지관의 네트워크 모임 경험의 중심현상과 이를 다루고 조절하는 작용․상호작용 전략과 이 과정에 관계되는 조건 및 도달하게 되는 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실체이론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사회복지관의 네트워크 초기 형성과정은 어떠한가?’로, 스트라우스와 코빈(Strauss & Corbin, 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전국사회복지관 네트워크 도래샘’에서 2006년 2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활동한 도래샘 담당자로 총 14개 기관 14명의 참여대상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7개 기관 9명의 담당실무자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수집은 2010년 6월부터 2012년 3월까지 포커스 그룹 및 개별면담, 매신저, 전화, 추가방문으로 이루어졌으며, 면담 전에 참여자로부터 서면화 된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았고, 면담 내용은 녹음한 뒤 그 내용을 녹취하였다. 자료분석은 자료수집과 동시에 하면서 지속적인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방코딩에서는 근거이론의 패러다임에 따른 개념 및 범주화, 축코딩에서는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과 과정분석을 하였으며, 선택코딩에서는 핵심범주를 발견하고 이야기 윤곽으로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범주의 관련성을 도출하고 유형을 분류한 뒤 상황모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개방코딩에서는 154개의 개념과 35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5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근거자료에 의해 도출된 15개의 범주를 재조합하여 관련성을 보여주는 도래샘 네트워크 초기 형성과정의 패러다임 모형이 도출되었다. 인과적 조건에는 ‘제도적 변화’, ‘똘똘뭉쳐 해결해야 하는 상황’의 2가지 범주로, 중심 현상에는 ’제대로된 조직화사업의 욕구‘의 1가지 범주로, 작용/상호작용 전략에는 ’새로운 기술․지식습득하기‘, ’지지체계 형성‘, ’갈등해결 및 전략경험하기‘, ’인식에 대한 확장 및 전환‘, ’모임의 규정설정‘의 5가지가 나타났으며, 결과는 ’참여자의 인식강화‘와 ’파트너쉽의 형성‘이다. 맥락적 조건에는 ’사업에 대한 돌파구가 필요‘와 ’조직화사업에 대한 막연한 기대‘의 2가지가 범주로 나타났으며, 중재적 조건에는 ’공감대의 형성‘, ’자기 성장의 기회‘, ’개별적 기관의 내․외적 환경변화‘가 패러다임의 모형이다. 밝혀진 이론의 개요를 보면 전국사회복지관 네트워크 도래샘의 네트워크 초기 형성과정은 ‘모호함과 탐색의 단계’, ‘막막함과 기대감의 단계’, ‘경쟁과 동료의식의 단계’, ‘갈등해결 및 인식전환의 단계’, ‘인식의 의미 및 강화단계’의 5단계로 분석되었다. ‘모호함과 탐색의 단계’에서는 전국 단위 사회복지관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원인이었다. 지역사회복지관에서는 제도적인 변화와 더불어 지역사회복지관이 똘똘뭉쳐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 생겨났다. 이후 사회복지 현장에서는 지역사회 조직화사업에 관한 다양한 교육이 진행되었으며 각 기관에서는 조직화 사업을 위한 준비가 진행되었다. 한편으로는 지역사회복지관은 외부기관으로부터 정체성에 대한 공격을 받는 상황과 동시에 공격받는 지역사회복지관이 연대를 통해 한 목소리를 내면서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을 고민하고 해결하는 다양한 네트워크 모임의 필요를 느끼게 되었다. ‘막막함과 기대감의 단계’에서는 ‘모호함과 탐색의 단계 상황’에서의 참여자들에게 제대로된 조직화사업에 대한 욕구를 가져오게 하였다. 참여자들은 조직화 사업에 대한 교류가 절실히 필요했으며, 다양한 인맥을 통해 조직화 사업의 모임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는 제대로된 조직화 사업에 대한 욕구를 경험하게 하였다. 이렇게 전국 단위 네트워크 모임 도래샘은 초기 4개 기관의 모임으로 시작하였다. 이후 초기 4개 기관은 신규기관 영입에 합의하면서 네트워크의 구조는 12개 기관으로 확대되었으며, 모임의 신규 참여자들은 기관 내에서도 조직화사업에 대한 분위기가 형성된 상태에서 막막한 조직사업에 대해 소개를 통해 네트워크 활동을 기대하게 되었다. 전국 단위 네트워크를 통해 참여자들과 참여기관은 성장에 대한 기대감을 가지게 되었다. ‘경쟁과 동료의식의 단계’에서는 전국 단위 네트워크 활동을 하면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의 단계이다. 도래샘 담당 실무자들은 정기적인 모임을 참여하면서 사업에 대한 정보교류와 지속적인 피드백을 주고 받음으로써 조직화에 관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게 되었다. 활동기관의 구성원들 역시 공동연수라는 기회를 제공받으면서 사회복지사들에게 발표하고 소통하며 서로의 피드백을 받는 과정이 되면서 역량강화가 되어갔다. 직원들은 다른 기관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소통하면서 공유의 방법을 습득하였으며, 기관 내 직원들과 공유의 범위가 넓어지게 되었다. 참여자들은 친해지기와 정기모임을 통해 긍정적인 지지와 관계형성, 자신감의 부여로 지지체계를 형성하였다. ‘갈등해결 및 인식전환 단계’에서 참여자들은 전국 단위 네트워크 활동을 하면서 다양한 갈등을 경험하게 되었다. 네트워크의 구조가 확대되면서 담당자의 잦은 변경과 간사기관의 역할에 대한 갈등으로 지지부진한 논의 결정에 대한 모임의 어려움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참여하는 개별기관에서 모임 후 성과가 나타나지 않았을 때 관리자들은 모임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하였다. 참여자들은 성과에 대한 인식과 모임의 목적이 인식되지 않았을 때의 혼란을 느끼면서 하나의 목표를 만들어가는 과정 중에 모임의 방향성을 검토하는 등 갈등해결을 위한 다양한 전략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참여자들은 갈등해결과 전략 경험을 통해 인식에 대한 확장 및 전환의 상호작용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렇게 참여자들은 모임의 지속성을 살리기 위해 도래샘 활동은 실무자의 역량강화 모임임을 강조하면서 담당실무자의 변경이 없어야 함을 기관장 모임을 통해 제안하고, 실무자의 잦은 변경시의 패널티를 설정하였다. 또한 네트워크의 자생성 살리기로 일정기간 간의 신규기관 영입과 운영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비슷한 영역끼리 활동과 기관만의 스타일대로 네트워크를 운영하지 않도록 모임의 규정을 설정하였다. ‘인식의 의미 및 강화단계’는 전국 단위 사회복지기관들이 네트워크 초기를 형성하는 마지막의 단계이다. 참여기관들은 참여자의 활동목적을 인식하고 구성원간의 모임의 목적 재확립을 통해 참여자의 인식을 강화하였다. 또한 활동기관 간에 있는 그대로의 인정해주기와 결과물에 상관없이 함께 가는 것이 중요함을 인식하면서 파트너십을 형성하였다. 선택코딩에서 핵심범주는 ‘제대로된 조직화 사업에 대한 욕구로부터 참여자의 인식강화와 파트너십의 형성’으로 나타났으며,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범주들간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전국 단위 사회복지관의 네트워크 초기 형성과정 경험의 유형은 ‘합의 진행형’, ‘혼돈 진행형’, ‘합의 중단형’, ‘혼돈 중단형’으로 도출되었다. ‘합의 진행형’ 유형의 참여자들은 제도적인 변화에 적극적이며, 똘똘뭉쳐 해결해야하는 상황을 강하게 인식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의 인식강화가 높고 태도는 적극적이며, 파트너십의 형성이 강하게 되었다. 이러한 유형은 전국 단위 사회복지관의 네트워크 초기 형성과정에서 제대로된 조직화사업에 대한 욕구로부터 참여자의 인식강화와 파트너십의 형성에 대한 인식정도가 강하고 태도가 적극적인 유형이다. 참여자들은 전국 네트워크 활동을 하면서 전달체계를 강화하는 방법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촉진자의 역할, 사람과 자원을 연결하는 중개자, 기획하며, 어려움에 부딪히게 되면 함께 해결할 수 있는 방안마련과 지지적인 역할을 제공하였다. ‘합의 중단형’ 유형의 참여자들은 제도적인 변화에 적극적이며, 똘똘뭉쳐 해결해야하는 상황은 약하게 인식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의 인식강화가 낮고 태도는 소극적이며, 파트너십의 형성이 약하게 되었다. 이러한 유형은 전국 단위 사회복지관의 네트워크 초기 형성과정에서 제대로된 조직화사업에 대한 욕구로부터 참여자의 인식강화와 파트너십의 형성에 대한 인식정도는 강하지만, 태도는 소극적인 유형이다. 이러한 유형의 참여자들은 전국 단위 사회복지관 네트워크를 통해 자신의 성장욕구는 강하나 r관의 성장을 요구하거나 도모하지 않는 유형이다. 담당 실무자는 네트워크 활동을 하지만, 기관의 입장을 반영하거나 대변하기에는 그 역할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이에 적극적인 활동보다는 옹호자, 팀 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을 알 수 있다. ‘혼돈 진행형’ 유형의 참여자들은 제도적인 변화에 소극적이며, 똘똘뭉쳐 해결해야하는 상황은 강하게 인식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의 인식강화는 약하고, 태도는 소극적이지만, 파트너십의 형성이 강하게 되었다. 이 유형의 참여자들은 기관의 담당으로 와서 활동하는 경우로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활동을 하지 않는 유형이다. 단, 이 유형의 참여자들은 전국 단위 네트워크 활동을 하는데 있어 팀 성원으로서의 수용적인 자세를 취함을 알 수 있었다. ‘혼돈 중단형’ 유형의 참여자들은 제도적인 변화에 소극적이며, 똘똘뭉쳐 해결해야하는 상황은 약하게 인식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의 인식강화는 약하고 태도는 소극적이며, 파트너십의 형성이 약하게 되었다. 이 유형의 참여자들은 전국 단위 네트워크 활동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전국 단위 네트워크 활동은 참여기관 및 참여자들의 정보제공과 사업교류가 부재하거나 원활하지 못하며, 동료 슈퍼비전 및 개별적인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네트워크 활동에서 참여자 및 참여기관이 중도 탈퇴함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국 단위 사회복지관 도래샘 네트워크 초기형성과정에 나타나는 유형은 궁극적으로 지역사회복지관의 네트워크 초기 형성하는 과정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의 결과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해서 지역사회복지관의 초기 네트워크의 경험은 ‘제대로된 조직화 사업의 욕구로부터 참여자의 인식강화와 파트너십의 형성’하는 과정이 실체이론으로 생성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발견한 사항에 대해 이론 및 실천부분 함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덧붙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관이 네트워크 초기 형성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 회고적(retrospective)자료를 활용하였는데, 이렇게 지나간 여러 과정에 대해 연구 참여자의 주관적 현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 자체로 상당한 의의가 있다.

      • 복지의식과 사회자본이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Social action)에 미치는 영향

        문성희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welfare awareness and social capital of social workers on their social actions, and to find meaningful suggestion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social action of social workers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result. The study questions set for such purpose are to, first, examine the welfare awareness of main variable social workers and the level of social capital and research the actual condition of social actions and, second, analyze the relevancy between the welfare awareness of social workers and social actions and the relevancy between social capital and social actions, and the effects of the welfare awareness of social workers and social capital on social actions. For this study, the data on the welfare awareness, social capital and social actions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research for 305 social workers in Busan, and they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 First, although the welfare awareness of social workers were welfare-friendly with above average, there weren't much differences compared to other groups and there were even lower areas. The acceptance of welfare obligation with strong action-orientation and expansibility of welfare finance were all revealed to be lower compared to other research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reason for hardly any differences in the welfare awareness compared to general people and, especially, for showing low level in the acceptance of welfare obligation and expansibility of welfare finance is due to very low level as social welfare professionals. Second, the size of social capital of social workers revealed to be above average and reciprocity revealed to be the highest followed by trust and network. It can be considered as the formation of the network which is connected mutually and operated is sufficient as compared that the level of the prescriptive reciprocity is so high. It reveals the actual conditions that socil workers doesn't actively formate the network in the local community even if they have the positive view about the network formation. Therefore It appears that network, local community activities and macroscopic practice activities will become revitalized if there are managers or supervisors who inermedidte local community actities and active supports form organizations. Third, the level of experience of social action participation was overall low even though the intent for social action participation of social workers was high. And agreeable strategy action experience (intent) of social action revealed to be higher than confrontational strategy action experience (intent). Fourth, it was revealed that social capital and network of social workers are the factors of positive effect on social action participation experience. It was revealed that welfare awareness, social capital, welfare attitude and network of social workers are the factors that have effects on social action participation intent. It was revealed that welfare awareness and welfare attitude are the factors that have primary effects than social capital and network. The social workers with high welfare awareness have much intent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on but are not able to participate in reality and the social workers with big social capital and network are participating in social actions in reality. It appears that social workers are increasing their action for macroscopic practice action of social action by exchanging information on local community welfare issues, welfare system and policy through network, discussing common practice projects and forming a stronger network based on the reciprocity and reliability formed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network. In conclusion, increasing social capital and revitalizing network along with the effort to increase the welfare awareness of social workers are important most of all in order to revitalize social actions of social workers.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가 거시적 실천 활동인 사회행동에 소극적인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여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 무엇이며 이것이 사회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부산지역 사회복지관련 기관(공공기관, 종합사회복지관, 단종복지관, 생활시설, 이용시설, 기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조사를 하였고 설문지 총 305부를 연구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방법은 사회복지사의 복지의식과 사회자본이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하여 SPSS for windows 12.0을 이용하였다. 기술통계량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첫째, 조사 참여자 사회복지사의 일반적 특성과 복지의식, 사회자본, 사회행동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기술통계량 분석을 사용하였다. 둘째,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을 사용하였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복지의식은 친복지적으로 긍정적인 편이였다. 그러나 다른 집단과 비교했을 때 그리 높은 편은 아니었고 심지어 낮은 부분도 있어 전체적으로 사회복지전문가로서는 높은 복지의식을 가졌다고 보기 어렵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 크기는 평균이상으로 나왔으며 호혜성이 가장 높게 나왔고 신뢰성, 네트워크 순으로 높게 나왔다. 이는 수도권복지사(한상미, 2007)의 연구결과와 같았으나 본 연구 대상자가 호혜성이 조금 높고 네트워크는 거의 유사하나 조금 낮게 나왔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사회복지사는 직접적인 상호작용은 적은 편으로 네트워크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지만 직접적인 보답을 바라지 않고도 도움이나 호의를 제공하려는 경향은 더 높은 것으로 보인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참여의사는 높으나 사회행동참여경험은 전체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그리고 사회행동의 합의적전략행동경험(의사)이 대립적전략행동경험(의사)보다 높게 나왔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 네트워크가 사회행동참여경험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 네트워크는 합의적전략행동경험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고, 사회자본은 대립적전략행동경험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때 복지의식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사회복지사의 복지의식, 사회자본, 복지태도, 네트워크는 사회행동참여의사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왔다. 합의적전략행동의사에 복지의식, 복지태도, 네트워크가 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왔고, 대립적전략행동의사에는 복지의식, 복지태도가 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왔다. 복지의식이 높은 사회복지사가 사회행동참여를 많이 할 것으로 예측하였지만 실제로 사회행동에 참여한 사회복지사는 복지의식과는 상관없이 사회자본, 네트워크가 큰 사회복지사였다. 그러나 복지의식과 복지태도가 높고 사회자본과 네트워크가 큰 사회복지사가 사회행동참여의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때 사회자본, 네트워크는 합의적전략행동의사에 주요한 요인으로 밝혀졌지만 대립적전략행동의사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왔다. 대립적전략행동에 대한 의사를 밝힌 사회복지사는 복지의식과 복지태도가 높은 사회복지사로서 이들은 합의적전략행동만으로는 사회복지제도와 정책이 변화될 것으로 여기지 않으며 대립적전략행동을 매우 중요한 실천 활동으로 여기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사회복지사의 개인적인 복지의식이 높아도 사회적 네트워크로 조직적으로 맺어지고 엮어지지 않는 이상 사회복지사가 단독으로 사회행동을 수행하기는 어렵다. 네트워크를 통하여 지역사회복지문제, 복지제도와 정책에 관한 정보교환과 공동실천사업을 논의하고 이 과정에 형성된 호혜성과 신뢰를 바탕으로 더욱 강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거시적 실천 활동인 사회행동에 대한 실천력을 높이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은 사회복지사의 복지의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 함께 사회복지사의 공식, 비공식 네트워크를 활성화시키고 조직적인 실천 활동을 확대해나가는데 있다. 학교, 재교육 등을 통해서 사회복지사의 전반적인 복지의식 수준을 높이면서 지역사회에서 지역문제, 복지제도, 복지정책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하기 위한 조직적인 네트워크를 활성화시켜 사회복지사의 거시적인 실천 활동인 사회행동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한계점은 부산지역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여 일반화하기에 한계가 있으며 사회복지사의 근무기관의 조직적 특성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아 조직적 특성이 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찾기에 부족하였다. 이후 다른 지역과 다양한 조직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사회행동에 미치는 요인을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복지의식을 측정하는 척도는 단순한 문항으로 복잡한 복지의식을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사의 복지의식을 측정하기에 더 적합한 척도개발이 요구된다.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을 측정한 척도는 최근에 발표된 것으로 기존에 충분히 활용되지 않았던 척도라서 일반화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며 더 좋은 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도 계속되어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복지의식과 사회자본이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에 대한 연구로서 제한된 측면이 있다.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을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과 저해하는 요인에 대한 양적연구도 필요하다고 본다. 그리고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자본을 어떻게 형성하고 증대할 것인지 연구가 필요하다.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이고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의 유형별로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실천 활동 결과와 사회행동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