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가중요농업유산 보전·관리활동에 대한 지역주민 참여의사 요인 분석 : 제10호 의성 전통수리 농업시스템을 중심으로

        이세엽 경북대학교 농업생명융합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1679

        In 2001, OECD first defined multifunctionality that agriculture has many functions in addition to producing food. e.g. environmental protection, landscape preservation, rural employment. In response to the global trends that undermine multifunctionality and traditional agricultural systems, in 2002, UN FAO launched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GIAHS). In case of KORE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 adopted Korea’s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KIAHS) to conserve and utilize multifunctionality since 2012. MAFRA provides 1.5 billion won over 3years for systematic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KIAHS, but there is a limit to the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KIAHS even after the proj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induce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KIAH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effect on the willingness of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KIAHS especially no.10 Uiseong traditional irrigation agricultural systems using binary logistic regression. In this study, 353 samples of local residents in KIAHS were surveyed and used for analyzing.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80.2 percent of local residents hav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KIAHS. On average, they responded that they could participate in 6 activities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KIAHS about 10 hours a year, and their minimum amount of the willingness to accept was KRW 11,724 to 13,625. The major reason why it is difficult for local residents who don't intend to participate i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KIAHS to join was the lack of labor due to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second was that they don’t have any interests. Second, the analysis on determinants of the willingness of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KIAHS revealed that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KIAHS, farming status using traditional irrigation facilities, experience in activities related to the preservation of agricultural ecological environment, gender, cultivation scale of rice paddy, academic background, and farming career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at. Among the seven determinants, except for agricultural experience, revealed that 6 determinants positively affect the willingness of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This study provide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for encouraging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KIAH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higher the level of knowledge of national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the higher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activities, so systematic education for local residents is needed first. Budget support is needed for local residents who intend to participate in national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activities. Also, For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KIAHS, additional subsidies should be needed for local residents willing to participate. MAFRA should review additional budget support for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KIAHS, just like GIAHS after the 3years of the project. Local governments should make efforts to help local residents who have intend to participate i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KIAHS to apply for agricul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programs.

      • 서부농협 경제사업의 실태와 활성화 방향

        배수동 경북대학교 농업생명융합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1679

        Since 2008 , due to the global financial crisis , the whole world entered ultra-low interest rate era . Such changes had a strong effect on the credit business of the credit business or economic business, which is two large business reg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 Therefore , reg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s experience difficulties of earning method only from economic business . This study examine way to vitalize economic business of west argricultural cooperatives located in the Seongju-gun Kyungpook. Review the current situation of west agricultural cooperatives , and tried to seek a different economy business future vision and activation scheme . In local communities, Agricultural cooperatives should be the role reducing the economic problems and difficulties of farming with aging via activation of economic operation.

      • 청년 창업농의 만족도 및 주소득 작목 선정의 요인분석과 대응방안

        한미희 경북대학교 농업생명융합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는 청년 창업농을 대상으로 만족도 분석 및 주소득 작목 선정의 요인 분석을 통해 성공적 정착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 8개 광역 시·도에서 선발된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19개 요인은 6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요인 1은 가족 기반 활용이며 요인의 설명량은 22.28%이다. 여섯 가지 요인 값에 대해 11개 특성변수를 2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요인 평균 값에 대한 차이를 검정하였다. 검정 결과 요인 1인 가족 기반 활용에서는 성별, 영농경력, 출신지역, 귀농여부, 컨설팅 수혜 여부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청년 창업농의 성공적 정착 방안은 세 가지 측면에서 제시되었다. 먼저 설문조사를 통해서는 의무 교육시간의 축소 및 생계를 위한 최소한의 아르바이트 허용이 필요하다. 영농정착자금 지원 금액의 확대 및 차등 지급제 도입이다. 귀농 영농 정착자금 수준에 부합되는 상환 조건의 개선이 필요하다. 만족도 차별성 검정에 의한 성공적 정착 방안은 청년 창업농의 조기 선발제를 도입하는 것이다. 조기선발제를 제외한 창업농은 6개월 이상 혹은 2년 이하로 농과대학 혹은 농업 전문 직업학교 과정 이수 방안을 마련하고 시행하는 것이다. 요인 분석의 차별성 검정에 따른 성공적 정착 방안은 부모님으로부터 기반을 승계 받지 모한 청년 창업농을 위한 기술교육, 전문 컨설팅 제도 및 차별적 지원금 제도의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a successful settlement plan through analysis of satisfaction level and factors in selecting key-earning crops for young start-up farmers. To achieve this research,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50 people selected from eight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The factor analysis showed that 19 factors were groupded as six factors. Factor 1 is family-based use and the factor has a 22.28% descriptive capacity. For the six factor values, 11 characteristic variabl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o test the difference for the factor mean value.Test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use of the family base of factor, whether it was gender, farming experience, where it came from, whether it was return to farming or not, or whether it was a consulting benefit. The successful settlement plan for young start-up farmers was proposed in three aspects. First, through the survey, it needs to allow a part time job for a living and reduce compulsory education hours. Second, It is to increase the supporting amount for farming settlement and introduce a differential payment system in whether it was succession farmer or not. La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ifficult repayment conditions of the settlement funds for returning-farmers. A successful settlement plan by t-test of satisfaction values is to introduce an early selection system of young start-up farmers. Young farmers who aren't in early selection system should prepare and enforcement to complete courses in college of agriculture or vocational schools specialized in agriculture for at least six month or two years. A successful settlement measure resulting from t-test for the differentiation of factor analysis needs to be prepared with cultivation technical education, professional consulting system and discriminatory support system for young start-up farmers who haven't been inherited by their parents.

      • 로컬푸드와 지역 우수 기업間 공동 브랜드를 통한 급식 확대 방안 :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이성규 경북대학교 농업생명융합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를 목적은 로컬푸드와 지역 우수 기업들의 좋은 제품을 학교 급식에 공급함으로써 로컬푸드의 안정적인 공급처 확대 및 지역 기업의 동반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로컬푸드를 급식에 확대하기 위한 방안들이 많이 제시되고 있지만 실제 급식 현장에서 로컬푸드의 활용도가 낮다. 이는 학교 급식에서 실 사용자인 영양사들이 로컬푸드에 대한 구매의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학교 급식의 경우 매월 진행되는 입찰을 통해 제품을 선정하게 된다. 매월 200품목이상을 구매해야 하는 영양사로서는 구매의 일원화가 필요하다. 많은 농산물 그중에서 로컬푸드만 별도로 입찰을 진행한다는 건 현실적으로 어려운 얘기다. 즉 로컬푸드가 좋은 식자재임에도 불구하고 구매가 어렵다는 얘기다. 또한 지역 우수 기업들이 생산한 좋은 제품들이 안정적인 판매처가 확보되지 않아 대기업의 OEM에 그치고 있다. 그래서 지역 로컬푸드와 지역 우수 기업들이 생산한 좋은 제품을 공동의 브랜드를 통해 급식 현장에 공급하게 된다면 현장에서는 질 좋고 우수한 식자재를 안정적으로 공급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공동브랜드를 통해 제품의 규격과 품질 그리고 구매의 편리성을 갖추게 된다면 급식 현장에서의 사용 확대는 충분히 가능하다. 그리고 공동브랜드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통합 물류센터 구축이 필요하고 무엇보다 교육청과 지자체에서 각 급 학교 영양사들에서 공동브랜드에 대한 적극적인 사용 권장이 필요할 것이다. 좋은 식자재를 급식 현장에 널리 확대하기 위해서는 실사용자의 구매 편리성 및 안전성의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이다. 공동브랜드 개발을 통해 급식 시장에서 안정적인 공급이 된다면, 지역 농민과 중소기업의 발전은 물론 지역 경제 발전에서 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ome up with a plan to expand stable suppliers of local food and jointly develop local enterprises by supplying local food and excellent local enterprises’ good products. Although many plans for the expansion of local food for school meals have been proposed, the use of local food in the actual sites of school food services is low. Thus, school nutritionists, the actual users in the provision of school meals express their difficulties in purchasing local food. Products are selected through monthly bidding for school meals. Nutritionists who have to purchase more than 200 items a month need to unify their purchases. In fact, it is difficult for them to proceed with bidding separately for local food among many agricultural products. In other words, despite local food is excellent food materials, it is difficult to purchase it. In addition, good products produced by excellent local enterprises do not stably secure distributors, so they end in large enterprises’ OEMs at best. Therefore, if local food and good products produced by excellent local enterprises are supplied to the sites of the provision of school meals through a joint brand, thesites will be able to be provided with quality and excellent food materials, stably. If the standards, quality and convenience of purchases of products are secured through the joint brand, it will be quite possible to expand the use of the products in the sites of the provision of school meals. Also, for the stable settlement of the joint brand, it will be necessary to build an integrated distribution center, and above all, education offices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actively recommend that nutritionists in schools of various levels should use the joint brand. To expand excellent food materials widely in the sites of the provision of school meals, securing the convenience in purchasing and safety for the actual users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Stable supplies in the market of school meals through developing a joint brand will greatly help develop the local economy as well as the local farmers an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 고추 탄저병 방제에 있어 목초액과 살균제 혼용시용에 따른 살균제 감량효과

        유용석 경북대학교 농업생명융합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는 고추재배에 가장 문제가 되는 고추 탄저병 방제에 목초액을 이용하여 살균제의 사용량을 줄임으로써 생태계 파괴와 잔류농약에 의한 식품 안전성, 토양 및 수질오염 문제 등을 줄이고자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프로피네브 수화제, 디티아논 수화제, 베노밀 수화제 기준량 50%에 목초액 10배가 첨가된 배지의 균사생장 억제효과는 100%로 나타나 살균제 기준량이 첨가된 배지의 균사생장 억제효과 보다 48.6%~55.3% 높았다. 포자발아 억제효과 검정에서도 3종의 살균제 기준량 50%에 목초액 10배가 첨가된 처리구의 포자발아 억제효과가 100%를 나타내어 프로피네브 수화제 98.3%, 디티아논 수화제 100%, 베노밀 수화제 100%와 비등한 포자발아 억제효과를 보였다. 야외포장시험에서도 3종의 살균제 기준량 50%에 목초액 10배가 첨가된 처리구의 방제가가 82% 내외로 살균제 기준량이 들어간 처리구 79.1%~82.5%와 비등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고추 탄저병 방제시 화학농약 기준량 50%와 목초액 10배의 혼용시용은 화학농약 기준량이 첨가된 처리구와 비등한 효과를 나타내어 목초액이 고추 탄저병 방제의 농약감량제로서 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alleviating the destruction of ecological system, problem of food safety in regards to residual fungicides, soil and water contamination problems, and others with the reduction in quantity of fungicides using wood vinegar for the control of anthracnose in pepper which is most problematic in cultivation of peppers and the summary of result is as illustrated below. It was revealed that each culture media with addition of ten-fold wood vinegar to Propineb W.P. 50%, Dithianon W.P. 50%, and Benomyl W.P. 50% presented the mycelial growth inhibition rate of 100% which is 48.6% ~ 55.3% higher compared to mycelial growth inhibition rate of culture media with 100% fungicides. In regards to testing on spore germination inhibition, it was also revealed that treatment plot with addition of ten-fold wood vinegar to 3 types of fungicides 50% presented the spore germination inhibition rate of 100% displaying similar spore germination inhibition effect with Propineb W.P. 98.3%, Dithianon W.P. 100%, and Benomyl W.P. 100%. As a result of conducting outdoor exposure test, treatment plot with addition of ten-fold wood vinegar to 3 types of fungicides 50% presented the control value of around 82% which was similar with that of treatment plot with addition of fungicides 100% presenting 79.1~82.5%. Therefore,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mixed use of fungicides 50% and ten-fold wood vinegar will be applied as fungicides reducing agent for the control of anthracnose in pepper since it presents similar effect with the treatment plot with addition of fungicides 100%.

      • 함양군의 귀농현황과 지원제도 개선 방안

        조인호 경북대학교 농업생명융합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679

        Interest in a return to the farm which is a new paradigm for the agriculture and the farming area, increases day by day. It also contributes to the growth of the rural population and the improvement in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The reason people return to the farm is diverse : to live in good health in his old age, enjoying the nature or to be engaged in agriculture etc. According to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n 2009 to 2012.6, 27,356 family returned to the farm. It takes 70.5% in comparison with the former times, which means more moving in the future. People who retire early and want to live their second life healthy with the nature are gradually increasing. They can boost the regional economy by increasing consumption or paying taxes and they can also increase population, workforce for agriculture, vitality of Hamyang's community. So we need to attract them actively and help to settle stably for them by offering administrational services. The issues of Hamyang community such as population decrease, workforce for agriculture decrease which was caused by graying, low birthrate can be solved by those people. We can use measures such as offering financial aid, reinforcing advertisement of returning to farming,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and supporting employment to attract a lot of urban to rural returners. 우리나라는 근래에 귀농과 귀촌이 사회적으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농업과 농촌에 새로운 페러다임이 되고 있고, 농촌 인구 증가와 농업 생산력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자연을 즐기며 노후를 건강하게 보내고자 하는 이들과 영농을 목적으로 귀농·귀촌하고자 하는 등 이유와 목적은 다양하다. 농림수산식품부의 발표에 의하면 2009~2012.6월에 27,356가구가 귀농·귀촌하여 그 이전에 귀농·귀촌한 것에 비하면 70.5%를 차지하여 최근에 귀농·귀촌이 많이 되고 있고, 앞으로도 더욱더 많이 이주될 것으로 예상된다. 조기 퇴직과 노후생활을 건강하게 살려는 이들이 자연을 가까이 하면서 제2의 삶을 살고자 하는 이들이 꾸준히 늘고 있는 것이다. 고령화, 부녀화, 저출산 등 인구감소와 농업인구 감소, 후계농업인력 부족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함양군에 활력증진을 위하고, 인구 증가와 농업 생산력 증대, 소비 촉진, 납세 등 함양군에 이바지하는 바가 많은 도시민들의 귀농·귀촌인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이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을 적극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개선책으로 재정 및 융자 지원제도 개선, 귀농·귀촌을 위한 교육 및 홍보 강화, 인프라 및 조직 지원, 취업 지원등이 있다.

      • 농촌지역 6차 산업 실태와 개선방안

        박동희 경북대학교 농업생명융합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679

        농업생산 만으로는 농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소, 고령농의 소득기반 확충에 어려움이 있는 까닭에 농가 경제활동의 다각화를 통한 중소농의 새로운 소득기반 창출을 도모하기 위해 지역단위로 다양한 6차 산업이 시행중이다. 농업 성장을 제약하는 내적 요인으로 볼 수 있는 농촌 인구의 고령화율은 2010년 20.9%로 높아져 도시지역에 비해 20년 이상 이나 선행하고 있고, 농업 외적 요인이라 할 수 있는 농산물 시장 개방은 생산 위주의 한국 농촌과 농업에 위기감을 더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농가의 경영규모가 영세 하거나 밀집된 경지 구조를 가지지 못한 나라는 수입농산물 비중이 높아지고 그에 따른 생산 작물의 가격 불안정, 농가소득 역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런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과업의 추진이 필요한데 농촌이 당면한 근본 적인 문제점을 인식하고 사업시행 이후에도 지속적인 농외소득의 창출로 도농 간의 소득 격차 해소와 역할분담과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극대화해야 되는데 대부분의 사업이 단순 한 지역 농산물의 판매와 가공에만 집중하다 보니 지역마다 중복성의 문제와 시설관리의 미흡으로 많은 자원들이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농업은 이제, 생산만 하면 된다는 인식에서 벗어나 복잡한 시장 패턴의 변화에 대응해야 되고 소비자의 욕구를 파악한 다양한 가공 상품의 연구와 개발, 상품판로, 유통업계와의 상생 등이 요구된다. 이런 여러 가지 다양한 관계를 만들어가며 부가가치를 높이고 농촌 관광, 도시와의 교류 등을 연계하면 지역경제 회생의 활로를 찾을 수 있다. 지역 자원을 활용하되 생산자가 가공이나 판매부문으로의 통합하는 비즈니스, 지역단위에서 농업, 가공업, 소매업, 외식업 등이 연대하는 비즈니스 등 다양한 비즈니스를 개발하는 것이 지역경제 활성화의 중요한 전략이다. 즉, 농업 생산을 기본으로 하여 가공 부문이나 판매 부문을 도입하는 다각경영인 6차 산업화를 통하여 부가가치 창출과 위험관리를 해야 된다. 농촌 역시 농업, 농촌자원을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농촌 비즈니스의 거점이라는 새로운 발상을 할 때 6차 산업이 농촌 활성화의 키워드가 될 수 있다. 6차 산업화는 우리나라와 같은 영세한 농업구조를 가지는 일본과 중국에서 소득 문제를 해결하는 유효한 정책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6차 산업화는 개별 경영주체 보다는 지역단위의 조직경영체가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역자원을 활용하는 것이 경영성과가 높고 지속성이 있다는 점에서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하나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언급된 여러 가지 상황을 종합해 볼 때 농가의 의식 전환과 자발적 참여, 다양한 지역 내 향토자원의 활용 없이 정책에만 의존 하는 6차 산업을 시행한다고 해서 많은 중소 농과 고령농의 소득이 창출될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들고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과 농촌의 현실을 반영하여 실현 가능하고 지속가능한 6차 산업의 방법을 분석하고 문제점 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reality of farming is that farming households have difficulty expanding their income base through diversification of economic activities. Various sixth industries are being implemented as local units to create a new income base for small and medium-sized farmers. In order to solve various problems in rural area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efficient sixth industry, but first, it recognizes fundamental problems. The government should maximize synergy by narrowing the income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nd cooperating with the government by continuously generating income even after the launch of the project. The problem is, most businesses focus on the sale and processing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so each region has its own problems with redundancy and facility management. Many resources are being wasted due to lack of resources. It can be realized by reflecting these problems and rural realities. I want to analyze the method of sustainable sixth-order industry and present a way to improve the problem.

      • 친환경농가의 의식실태 조사 및 발전방안 연구

        최문섭 경북대학교 농업생명융합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1679

        In this paper, through a survey on eco-friendly agriculture, the management performance and the awareness of eco-friendly farm were understood and a more progressive eco-friendly farming schemes were proposed. First, for the advancement of eco-friendly agriculture, the development and transfer of its technology should be the top priority. Second, between the existing eco-friendly farms and the newly starting ones, some different political supports are needed. Third, by developing and transferring eco-friendly agricultural technology, the quality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should be improved. Fourth, the government’s sales incentives at the distribution stage are required, and along with the efforts to increase distributors, a diversified PR is also needed. Finally, considering showing different aspects according to the age and the entire farming career and eco-friendly farming career, information on them must be sufficiently utilized for the advancement of eco-friendly agriculture. In addition, the efforts to change consumers’ perception to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should be preceded, and an effective PR premising trust is required.

      • 도입 중국 고추 품종의 주요 과실 특성

        김영숙 경북대학교 농업생명융합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679

        중국에서 도입한 12개 고추 품종을 국내 청과용 품종인 녹광, 길상, 및 아삭이풋고추를 대비로 하여 과실과실 특성을 조사하였다. 과장으로 보면 Huangjindadi Yangjiaojiao(황금대제양각초)이 가장 컸고, 과중으로 보면 Huajiao17(화초17)이 가장 크게 나왔다. 매운 맛은 Tedaniujiaowang(특대우각왕)이 가장 강하였고, 그 외 대부분은 녹광과 비슷하거나 덜 매운 것으로 나타났다. Twelve varieties of pepper (Capsicum annuum L.) for fresh fruits were introduced and their fruit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in 2014. ‘Huangjindadi Yangjiaojiao’was the biggest in fruit length and ‘Huajiao17’ was the biggest in fruit weight. ‘Tedaniujiaowang’was the most pungent among the varieties included in the experiment. The rest were similar to Korean fresh fruit variety, ‘Nokgwang’ in pungency.

      • 경북 상주시의 귀농귀촌인 이탈 사유 및 농촌 정착율 제고 방안

        이국진 경북대학교 농업생명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는 귀농ㆍ귀촌의 정착 실패를 알아보고, 이를 줄여 귀농ㆍ귀촌인이 안정적으로 지역에 정착하는 비율을 제고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귀농ㆍ귀촌이라는 개념이 들어서게 된 사회적 배경을 알아보고 귀농ㆍ귀촌을 추진하는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 추진 과정을 알아보았다. 또한 귀농ㆍ귀촌이라는 개념의 사전적 정의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선행 연구를 검토하며 귀농ㆍ귀촌이 다양하게 정의내릴 수 있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이후 귀농ㆍ귀촌의 정착 과정이 관심, 실행, 정착의 단계를 거쳐 대부분 5년 이내에 이루어지며 지역 사회로 편입된다고 하였으며, 2013년부터 발표된 통계청의 귀농ㆍ귀촌인 통계를 통해 전국 귀농귀촌인의 실태를 보았다. 귀농ㆍ귀촌 실태를 보다 직접적으로 드러내주는 귀농인 통계를 통해 경상북도의 귀농인 가장 활발한 것으로 간주하여 그중 9년간 유입 귀농인 가구가 가장 많은 경북 상주시의 사례가 귀농ㆍ귀촌의 실태를 가장 잘 나타내주는 연구 과제가 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귀농ㆍ귀촌의 지원 제도 및 정책을 국비, 도비, 시ㆍ군 자체재원 사업으로 분류하여 개괄하였고, 해외의 귀농ㆍ귀촌과 관련된 동향과 지원 정책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는 연령별 농업인구 누적분표를 통해 농업인의 양적 감소와 고령화가 심각하며 농촌 지역 사회의 전반적인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귀농ㆍ귀촌의 활성화가 필수 과제임을 주장하였다. 귀농ㆍ귀촌의 실패 및 이탈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며 지자체 전체를 대상군으로 하여 실패와 이탈에 대해 조사한 연구가 기존에 없다는 것을 알아냈다. 경북 상주시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경북 상주시의 일반 현황과 귀농ㆍ귀촌 현황, 지원 정책을 자세하게 알아보고, 통계청 공식 조사가 있기 전 행정 통계를 보며 수작업으로 집계하는 행정 통계에는 모든 귀농ㆍ귀촌인의 현황이 집계되지는 못하지만 개별 귀농ㆍ귀촌인의 정보가 있어 현재도 거주하는지에 대한 추적이 가능하여 그를 바탕으로 한 실태 조사가 표본군으로서 연구 가치가 크다는 점을 주목하여 그 실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귀농ㆍ귀촌인의 거주 현황과 이탈율, 이탈 원인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5년 이내 지속적으로 거주하는 귀농ㆍ귀촌인은 64% 밖에 되지 않으며 36% 에 해당하는 귀농ㆍ귀촌인이 5년 이내에 전출한다는 기존 예상과는 다른 결과를 알아내었다. 이탈한 이후에도 연락이 가능하여 이탈 사유를 알려준 393가구중 55.7%가 직장 및 취업, 소득의 문제로 관외로 이탈하였고, 귀농ㆍ귀촌인의 소득 문제가 귀농ㆍ귀촌 활성화에 있어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보았다. 이는 초기 귀농ㆍ귀촌을 함에 있어 중요 자원이 고갈되고 그 접근성이 떨어져 귀농ㆍ귀촌 여건이 악화된 것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보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귀농ㆍ귀촌인이 초기에 지역에 정착하기 위한 지원을 강화하는 것이 일차적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될 수 있음을 역설하였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find out the failure of the resettlement of returnees and returnees, and to increase the rate of stable settlement of returnees and returnees by reducing them, the social background in which the concept of returning hometowns and returning villages was first introduced, We investigated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In addition, we looked at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homecoming and returning home, reviewing the preceding studies and examining that homecoming and returning home can be defined in various ways. Afterwards, it is said that the resettlement process of returnees and returnees goes through the stages of interest, implementation, and settlement, and most of them are completed within 5 years and incorporated into the local community. saw A study in which the case of Sangju, Gyeongsangbuk-do, which had the largest number of households of returning-farmers in Gyeongsangbuk-do for 9 years among them, is 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 actual situation of returning-farm residents through statistics on returning farmers that more directly reveal the status of returning-farmers. In addition, the support systems and policies for returning to farming and rural areas were classified and outlined as state funds, provincial expenses, and municipal and county self-funded projects, and trends and support policies related to returning to farming and rural areas abroad were investigated. Next, through the cumulative distribution of the agricultural population by age, it was argued that the quantitative decline and aging of farmers are serious, and that revitalization of farming and rural communities is an essential task to solve the overall structural problems of rural communities. Looking at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failure and departure of returning to farming and rural area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previous studies that investigated failure and departure with the entire local government as a target group. Although the administrative statistics compiled manually by examining the general status, status, and support policies of Sangju, Gyeongsangbuk-do,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not collected, but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individual farmers and returnees still live. Based on this result, only 64% of returnees and returnees live within 5 years, and 36% of returnees and returnees moved out within 5 years. Of the 393 households that were able to contact them even after leaving, 55.7% left the jurisdiction due to work, employment, and income problems, and the income problems of returnees and returnees were considered to be the biggest obstacle to revitalizing return to farming and rural areas. This seems to be the biggest reason for the depletion of important resources and poor accessibility in early farming and rural areas, and to overcome this, strengthening support for returnees to settle in the region in the early stages could be a clue to the primary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