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대학 행정기록물 관리현황과 개선방안 -K대학을 중심으로-
(Abstract) The Public Records Act was enacted in 2000, and each national university established a record center and hired a record manager, but until now, the management of university records has not reached the evaluation standard. In this regard,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NDL) included the task of encouraging self-inspection in its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guidelines. In this study, the actual state of record management of the colleges and departments' administrative offices of K University was investigated and the improvement plan was presented through records management and operation status of other university record centers established as independent systems.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interviews with staffs working at the colleges and departments' administrative offices of K University on the actual state and awareness of records management are as follows. First, staffs of the administrative office of colleges and departments didn’t systematically carry out records management due to the lack of knowledge and headquarters-centered records management. Futhermore, the guidelines for records management of departments and colleges were not clear. Second, staffs of the administrative office of colleges and departments felt the need for records management and education, but records management work was perceived as having a lower importance than other tasks and thus was recognized as incidental work.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bove results, the problems of K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were eventually seen as 'poor records management of colleges and departments', 'lack of awareness of records management of the staff 'and ' difficulties to the operation of the university record center'.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aforementioned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measures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recording work should be devised to improve the awareness of records management by the staff of colleges and departments. Second, guidelines for records management of colleges and departments should be prepared, and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hrough the opinions of the staff. Third, one record researcher is currently in charge of records management, and there is a limit to work all the role of public records management, university history records management, and permanent record center. Therefore, increasing of manpower and reorganizing of records center is needed. Fourth, the policy for records management,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essential education for records management education, accurate standard establishment for the role of university record center,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suitable for university characteristics, should be improved. Records of colleges and departments are primary evidence of administration and should be systematically managed given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and value. In addition, if records management is carried out systematically from the production stage, records will prove the history of the university in the future and instill pride in the university's members.
(Abstract) This study was started with a problem awareness that economic education should be further strengthened in the market economy system, and analysis of economic understanding is essential in economic education. For the study, a questionnaire was reorganized by the Korea Economic Education Association to evaluate the economic understand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nationwide and surveyed 331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Economic literacy’is defined as the degree to which students understand'basic economics-related concepts' and the ability to apply their knowledge to the situation of economic problems faced in everyday life. As a result of a survey of all 331 students, the average score was 40.03. The lowest score is 0, with 2 (6%), and the highest with 90, with 1 (3%). The mode is 35 points, and the mode is lower than the average. In other words, it is static (positive). This is because each question for measuring economic comprehension has a low level of students and a lot of low scores because the questionnaire question is difficult compared to the level. As a result of comparing 9,598 students nationwide with 940 students in Daegu in 2010 using the same questionnaire, the economic understand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fell to a low level in 2019. Questions with a high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re generally concepts related to economic problems that students must solve in their daily lives, or questions that can be guessed at the level of common sense to infer the correct answer. However, the questions with a low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re concepts that have few opportunities to encounter in everyday life, and are concepts that require learning knowledge through class. If the goal is to increase students' economic understanding, understanding their attitude toward economics is an important prerequisite. In this study, among students' attitudes toward economy, how they think about their level of knowledge about economic concepts. To this end, subjective understanding was defined and investigated as'the degree to which students judge and evaluate the degree of knowledge about economic concepts'. As for the results of the students' subjective understanding, 15.7% answered'I know clearly', 35.5% answered'Normal', and 48.9% answered'I don't know'. Nearly half of the negative responses are. These results are much lower than the level of objective comprehension. In other words, students do not understand their level of objective comprehension well, think that economic concepts are difficult, and think that their knowledge is insufficient. A high or low subjective understanding of economics does not mean a high or low objective understanding. However, in general, it shows that subjective understanding and objective comprehension are generally positively correlated. Students have misunderstandings about their economic concepts, so they have incorrect knowledge or have an uncertain attitude. If the correct answer was correct, but answered'I don't know', the concept was defined as'no confidence'. On the contrary, if the answer was not correct, but answered'I know for sure', it was defined as'misconception'. There is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and misunderstanding. However, there seems to be no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nd uncertainty and misunderstanding. In addition to the correct answer, the wrong answer option chosen by many students was defined as'charming wrong answ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attractive incorrect answers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s not entirely directly proportional, but in general, the higher the attractive percentage of incorrect answers, the lower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other words, attractive incorrect answers influence the choice of correct answer.
1. 연구배경 혈전성 미세혈관병증 (thrombotic microangiopathy, TMA)은 전신성 혹은 신장내 혈소판의 응집에 따른 혈소판 감소증, 적혈구의 물리적 손상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혈관 폐쇄 질환이다. 혈전성 미세혈관병증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외상에 의해 유발된 것에 대한 분류는 아직까지 없다. 저자는 외상 후에 혈전성 미세혈관병증과 유사한 질환이 발생한 환자들을 경험함으로써 이러한 환자들을 외상성 유사 혈전성 미세혈관병증 증후군 (trauma-induced thrombotic microangiopathy syndrome, t-TMAS)으로 정의하였다. 외상성 유사 혈전성 미세혈관병증 증후군의 발생 빈도는 매우 드물지만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처치가 환자의 생존에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중증외상 환자에서 외상성 유사 혈전성 미세혈관병증 증후군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위험인자를 미리 알고 그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고 있다면 환자의 예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겠다. 2. 연구방법 및 대상 2018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권역외상센터의 외상중환자실에 입원한 1392명의 중증 외상 환자 중 17세이하 환자, 급성 외상이 아닌 환자, 입원 후 3일 이내에 퇴원 및 사망한 환자를 제외한 116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외상성 유사 혈전성 미세혈관병증 증후군의 발생 위험인자를 알기 위해 나이, 성별, 외상 기전, Abbreviated Injury Scale (AIS) score, Injury Severity Score (ISS), 혈액학적 검사, 24시간이내 수혈한 적혈구의 양을 분석하였다. 3. 결과 1164명의 환자 중 20명 (1.7%)이 외상성 유사 혈전성 미세혈관병증 증후군으로 진단되었다. 외상성 유사 혈전성 미세혈관병증 증후군 군과 비외상성 유사 혈전성 미세혈관병증 증후군 군을 단변량분석으로 비교하였을 때, 외상성 유사 혈전성 미세혈관병증 증후군 군에서 연령과 ISS가 높았고 입원 시 시행한 미오글로빈 (myoglobin), 젓산염 (lactate), 크레아틴키나아제-심근 띠 (creatine kinase-myocardial band), 입원 2일째 시행한 크레아틴인산활성효소 (creatine phosphokinase), 젓산염 (lactate), 젓산탈수소효소 (lactate dehydrogenase)가 유의하게 높았다. 두 군 간의 외상 중증도를 비교하였을 때, 외상성 유사 혈전성 미세혈관병증 증후군 군에서 흉부, 복부, 골반의 AIS 점수가 3이상인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 그러나 두부손상 만 심한 경우 (즉, 두부 AIS ≥3, 이외 부위 AIS <2)는 외상성 유사 혈전성 미세혈관병증 증후군의 발생이 거의 없었다. AIS 합을 비교하였을 때도 TMAS군에서 흉부, 복부, 골반의 AIS 합이 높을수록 외상성 유사 혈전성 미세혈관병증 증후군의 발생이 많았다. 다변량분석을 통해 외상성 유사 혈전성 미세혈관병증 증후군 발생의 위험인자를 보았을 때 연령, ISS, 입원 2일째 젓산탈수소효소 (lactate dehydrogenase)가 독립변수로 나왔다. 4. 결론 중증 외상 환자가 지혈이 완전히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원인을 알 수 없는 지속적인 혈소판 감소증을 보인다면, 특히 환자가 고령이고 과다출혈을 동반한 몸통 (torso)의 다발성 손상이 있으며 입원 2일째 젓산탈수소효소 (lactate dehydrogenase)가 높다면 외상외과의사는 외상성 유사 혈전성 미세혈관병증 증후군의 가능성도 있음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겠다. 그렇게 함으로써 외상성 유사 혈전성 미세혈관병증 증후군의 빠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조기에 행하여짐으로써 환자의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중 대학생의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 양가성과 심리적 유연성의 이중매개효과
Wang, Shang 경북대학교대학원 2021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sychological flex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maltreatment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by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504 University Students (235 University Students in Korean and 269 University Students in China) were invoked as subjects. The results of survey were analyzed with SPSS 23.0, it verified statistical significance at a significance level of .05. And reli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childhood emotional maltreatment,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sychological flexibility. Seco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mediated partly the effect that childhood emotional maltreatment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China effect o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Third, psychological flexibility mediated partly the effect that childhood emotional maltreatment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China effect o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Fourt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sychological flexibility dual mediating the effects that childhood emotional maltreatment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China effect o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It presents counseling and parental education programs for problems such as psychological problems and negative emotions.
다국적기업의 입지선택과 지역별 산업집적도 : 대구·경북지역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What is the most important issue when the multinational enterprises choose their location for plant? Recent studies on multinational enterprise’s location emphasize competence-based view. For a long time many economists who study the multinational enterprises had concentrated on firms’s proprietary asset such as technology, capabilities, skills and entrepreneurship. However, Hymer(1960), Bain(1956), Vernon(1966) could not explain how the multinational enterprises survive in different environments and why they choose a specific region. Since the publication of Paul Krugman’s ‘Geography and Trade’(1991), the studies on multinational enterprises have developed in a comprehensive view. Recent multinational enterprise’s theoretical reviews consider macrofoundations such as space, distance and regional specifications. The New Economics Geography(NEG) explained location concentration and dispersion by types of multinational enterprises. In other words, market- oriented firms choose their location in an urban area because of the market size and cost of transportation. On the other hand, efficiency-oriented firms choose their location in a sub urban area because they seek the efficiency of a global value chain. This study is an empirical assessment on NEG’s multinational enterprises theoretical review. The spatial scope of the empirical assessment is 31 Daegu and Kyungpook cities, counties and wards. This empirical assessment uses location quotient(LQ) for local industry agglomeration and develops the index called the local industry share for distribution of FDI. To sum up the empirical assessment: while the textile and apparel industry and automotive industry are located in urban, the other manufacturing industry are located in sub-urban in Daegu and Kyungpook.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of empirical study on economic geography for multinational enterprises. And when local government analyzes their local types of FDI and plans investment policy, policy-makers can utilize the local industry share index.
최근 아몰포스 실리콘을 이용하여 제작된 볼로미터 형의 비냉각형 적외선 이미지 센서는 열화 영상 시스템, 군사용 나이트비전, 의료용 등에 활용되고 있으며 적외선 카메라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활발히 적외선 이미지 센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아몰포스 실리콘 기반의 볼로미터 형의 비냉각형 적외선 이미지 센서는 저 비용, 저 소비전력, 고 집적도 측면에서 장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화소 크기와 고 잡음이라는 관점에서 단점이 존재한다. 아몰포스 실리콘 기반의 볼로미터 형의 비냉각형 적외선 이미지 센서를 제작함에 있어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화소에 집적되는 볼로미터 저항의 저항 편차가 발생하여 이미지 화질에 영향을 미치는 고정 패턴 잡음 성분이 크게 발생한다는 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볼로미터 형 비냉각형 적외선 이미지 센서에 발생하는 고정 턴 잡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평균 화소 전류 보상 기법을 제안하였다. 볼로미터 형 비냉각형 적외선 이미지 센서는 표준 CMOS 공정과 호환이 가능하므로 제안한 평균 화소 전류 보상 기법을 검증하기 위해서, 첫 번째로 표준 0.35 μm CMOS 공정을 이용하여 폴리실리콘 저항을 통해 볼로미터 저항을 모델링한 후 제안한 평균 화소 전류 기법을 적용하여 감소되는 고정 패턴 잡음의 양의 검증을 통해 제안한 기법의 효용성을 판단하였고 최종적으로 0.11 μm CMOS 이미지 센서 공정을 이용하여 상위 메탈을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한 후 아몰포스 실리콘을 이용하여 볼로미터 화소를 후공정을 통해 실제 제작한 후 제안한 평균 화소 전류 기법을 적용하여 감소되는 고정 패턴 잡음의 양을 확인하였다. 제작된 볼로미터 형 비냉각형 적외선 이미지 센서는 액티브 및 레퍼런스 화소 어레이, 리드아웃 회로, PCB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외부 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액티브 화소와 레퍼런스 화소에 사용된 볼로미터는 아몰포스 실리콘을 이용하여 제작되었고 리드아웃 회로는 CMOS 공정을 이용하여 집적되었다. 제안한 평균 화소 전류 보상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폴리실리콘 저항을 이용하여 모델링화 한 chip의 경우 약 34 % 의 고정 패턴 잡음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고 실제 아몰포스 실리콘을 이용하여 제작한 chip의 경우 약 13 %의 고정 패턴 잠음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레퍼런스 화소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레퍼런스 화소의 출력 전류 값을 보다 정밀하게 해주거나 보정 전류 값에 영향을 주는 기생 저항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안한 평균 화소 전류 보상 기법은 적외선 이미지 센서 뿐만 아니라 전류 구동 방식의 다른 이미지 센서에 적용하여 고정 패턴 잡음을 감소시킴으로써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카메라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ET(Bromodomain and extraterminal domain) 단백질은 후성유전학적 변형을 확인하고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BET 패밀리 유전자의 다형성과 폐암환자 예후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연구을 하였다. BET 패밀리(BRD2, BRD3, BRD4) 3가지 유전자에서 77개의 단일염기다형성을 선정하였고, 이를 773명 비소세포폐암환자 (발굴연구 : 349명, 검증연구 : 424명)와의 연관성 분석을 하였다. 77개의 다형성 중 11개의 다형성이 발굴연구에서 생존률과 연관성을 보였고, 이 중 rs2506711C>T 만이 검증연구에서도 생존률과 연관성을 보였다. 생물정보학적 분석 결과 rs2506711C>T는 이질염색질에 존재해 기능성 다형성이 아닐 가능성이 높았다. rs2506711와 연관비평형이 높은 단일염기다형성 중 rs2427964C>T (D′ and r2 = 0.98) 가 BRD3의 프로모터 부위에 존재하여 기능성 다형성으로 예측하고 기능연구를 진행하였다. rs2427964C>T는 생존률 분석에서 rs2506711와 동일한 연관성을 보였다 (under a recessive model, HR = 1.70, 95% CI = 1.11 – 2.61, P = 0.02; HR = 1.97, 95% CI = 1.18 – 3.28, P = 0.01; and HR = 1.92, 95% CI = 1.39 – 2.65, P = 8.0 × 10-5). 생물정보학적 분석에서 rs2427964 부위에 SIN3A와 ETS1 전사인자가 결합한다는 ENCODE 자료를 기반으로 ChIP-qPCR 분석으로 확인 결과, H1299, A549 두 세포주 모두에서 SIN3A와 ETS1이 rs2427964 부위에 결합함을 확인하였다. BRD3 rs2427964의 대립유전자 별 프로모터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한 Dual luciferase 분석에서 rs2427964 T유전자형의 활성이 높았다. Emsa 분석에서 rs2427964 T유전자형에 비해 rs2427964 C유전자형에 전사인자가 더 많이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 전사인자 중에는 전사 억제제로 알려진 SIN3A도 있음을 Supershift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siBRD3를 사용하여 폐암세포주에서 BRD3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였고 이 후 실험들에 사용되였다. BRD3 유전자의 폐암에서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암화과정과 관련된 TB, MTT, Transwell, Wound healing, Colony foramtion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 실험들에서 BRD3의 발현이 억제되면 폐암세포주들의 확산, 이동 및 생존능력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BRD3의 억제된 발현은 세포주기 G2/M기에 영향을 미치고 사멸하는 세포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 실험의 결과로 rs2427964C>T는 폐암에서 비정상적인 BRD3 발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이는 초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유용한 마커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Background: Bromodomain and extraterminal domain (BET) proteins are epigenetic readers that regulate gene expression. It was investigated whether polymorphisms in BET genes are associated with the clinical outcomes of lung cancer. Methods: The associations between 77 polymorphisms in BET family genes and clinical outcomes were analyzed in 773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349 and 424 patients in the discovery and validation cohorts, respectively). Results: Of the 77 polymorphisms investigated, 11 were associated with overall or disease free survival with P value less than 0.05 in the discovery cohort. Among these 11 polymorphisms, only one variant (rs2506711C>T) was replicated with same direction as the discovery cohort, in the validation cohort. BRD3 rs2506711C>T is located in heterochromatin region, so rs2427964C>T located in BRD3 promoter region with a strong linkage disequilibrium (D′ and r2 = 0.98) was found. BRD3 rs2427964C>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verall survival in the discovery, validation and combined analysis (under a recessive model, Hazard Ratio (HR) = 1.70, 95% Confidence Intervals (CI) = 1.11 – 2.61, P = 0.02; HR = 1.97, 95% CI = 1.18 – 3.28, P = 0.01; and HR = 1.92, 95% CI = 1.39 – 2.65, P = 8.0 × 10-5, respectively). The BRD3 rs2427964 T allele had higher promoter activity than the rs2427964 C allele in a luciferase assay. The rs2427964 C allele binds more strongly to transcriptional repressor SIN3A than rs2427964 T allele in the super-shift assay. Knockdown of BRD3 with BRD3 specific siRNA decreased proliferation, migration and viability of lung cancer cells. BRD3 silencing also induced G2/M cell cycle arrest and increased apoptosis rate. These results suggest that BRD3 rs2427964C>T increases BRD3 expression through increased promoter activity, which has been associated with a poor prognosis for lung cancer. Conclusions: BRD3 rs2427964C>T was associated with a poor survival outcome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Bayesian Inference for Radiation Dose-Response Relationship : 방사선 선량-반응 모델에 대한 베이지안 추론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방사선 선량-반응 모형에 관한 베이지안 추론을 다루고 있다. 일반적으로 방사선 선량-반응 모형을 설명하기 위해 발생 위험이 선량에 비례하는 절편이 없는 선형 모형이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절편이 없는 선형 모형의 기울기는 고선량 관측치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저선량에서의 불확실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추정량을 제공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저선량에서의 불확실성을 충분히 반영하기 위하여 piecewise linear 모형을 사용하였다. 인접한 구간에 대해 유사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한 단계 이전 기울기에 영향을 받는 자기회귀 구조의 사전분포와 전체의 기울기가 서로 영향을 미치도록 선량 차이 구조를 가지는 가우시안 프로세스 사전분포를 고려한 반모수적 접근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절단점에서 위험의 변화가 크게 발생하고 있어 부드러운 방사선 선량-반응 모형을 얻기 위해 선량 범위를 세분화하는 단계를 추가하여 계층적 베이지안 모형의 접근도 시도하였다.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원자폭탄 생존자로부터 얻어진 LSS 코호트 자료 (1958-2009)에 제안된 모형을 적용하고 분석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다양한 통계적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방사선 노출에 따른 생애 기여위험도를 계산하는 LARisk R 패키지도 개발하였다.
(초록) 단백질 나노입자는 나노 크기의 입자 중에서도 합성 물질 대비 인체 친화성이 높고 독성이 적으며, 높은 친수성을 띤다는 점에서 소재 및 나노공학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또한 이러한 특성 덕분에 단백질 나노입자를 단백질 의약품으로써 활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단백질 소재는 인체 내에서 빠르게 분해되어버려 이를 실제로 약물로 활용하는데 한계를 마주하기도 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FcRn과 결합함으로써 lysosome에 의한 체내 단백질 분해 기작을 회피하여 인체 내 반감기를 연장할 수 있는 FcRn binding domain (FBD) 시리즈를 설계하였다. FBD를 ferritin 단백질 나노입자 외부에 발현됨으로써 ferritin이 FcRn과 결합할 수 있도록 디자인 하였고, 실제로 in vitro에서 FcRn과 FBD fusion ferritin의 결합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장균 발현 시스템을 이용하여 합성한 FBD fusion ferritin은 높은 수득률과 구조안정성을 보여 실제 약물 전달체 및 치료용 단백질로서의 활용성 또한 뛰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FBD를 이용한 반감기 연장 솔루션은 ferritin 이외에도 다른 단백질 나노입자 및 단백질 의약품과 유전공학적으로 합성하여 사용할 수 있기에, 이를 범용적인 활용 가능성을 가진 반감기 연장 플랫폼으로 제안한다. Protein based-nanocages have highly organized and homogeneous structures, high surface-area-to-volume ratios and other favorable properties, including inherent biodegradability, biocompatibility, and capacity for easy chemical and genetic modification. Therefore, they have attracted numerous research attention and have been manipulated for various applications, especially drug and vaccine delivery. Despite tremendous advances in scientific research on protein nanocages, the main hurdle for their clinical investigation is short serum half-life in the human body. In this study, a series of designed protein nanocages with expanded pharmacokinetic properties are developed by genetically conjugating neonatal Fc receptor (FcRn) binding domains (FBDs) to the surface of protein nanocages (i.e., ferritin nanocages). The FBD fused-protein nanocages (FFPNs) are successfully biosynthesized using Escherichia coli expression system. The FFPNs show FcRn binding ability in a pH-dependent manner compared to wild type of ferritin nanocages. Therefore, given the enhanced recycling properties of FFPNs, a further in vivo pharmacokinetic experiment of FFPNs could provide their potential wide use in biomedical fields. Furthermore, although ferritin nanocages are used here as a proof-of-concept, this strategy could be applied to other proteins for various applications.
本文從古代文人對屈原高尚的人格和“忠君愛國”的思想如何評價出發,以不同時代背景和不同的文人對屈原和<離騷>的評價所呈現出的變化發展進行研究。通過整理從漢代到元明清各個朝代的文人對楚辭中最重要的文人屈原和他的作品<離騷>的評價與注釋,來對屈原和<離騷>進行更加本質性的理解與評價。 楚辭學興起於漢代,最初是以王室爲中心盛行,後來許多學者紛紛開始模仿創作,並且開始對<離騷>等作品進行注釋。漢代大部分文人站在儒家立場上,把屈原評價爲“愛國主義”詩人,但對他的處事態度持否定意見。迄今爲止,大眾普遍認爲的屈原爲“愛國主義”詩人形象正式源於漢代的評價。此外,他們還開始認識到<離騷>的華麗浪漫的藝術性,以及與《詩經》不同的具有幻想性的全新文學世界。雖然揚雄和班固從儒家角度上對屈原的人格與處事態度,以及作品內容的神話性持否定態度,卻從<離騷>作品的藝術價值方面,開拓了新類型的評價。之後,雖然班固受到了王逸的嚴厲批判,但是對<離騷>浪漫主義特色的肯定,對藝術層面的認識方面都具有重大的意義。 魏晉南北朝脫離了漢代儒家立場的評論,將重點放在了純文學價值上,著重於作者的思想感情和美學的唯美主義。雖然無法完全脫離儒家的視角,但還是有了新的突破。劉勰就將焦點放在作品本身的內容和形式特點上,對<離騷>的評價更加具有獨立性。而蕭統,對文體進行更加明確地區分,同時對屈原的文學價值和藝術性也給予了高度的評價。魏晉南北朝時期雖沒有像漢代那樣留下許多對屈原和<離騷>的評價,但也不乏有像顏之推這樣的文人,同意班固的觀點,認爲屈原有過分暴露君主過錯等這樣的批判性觀點。 唐代由於科舉制度的盛行,更加重視文學的價值性,楚辭被視爲文學作品的典範。但是由於社會環境的影響,對楚辭的研究不如之前的朝代活躍。最爲代表性的是柳宗元在永定革新失敗後,認爲自己與屈原的處境相似,於是來到汨羅江邊,寫下了<弔屈原文>,文中表達了對屈原不追逐利益,心懷忠誠,堅守義氣的崇敬之心。 宋代是楚辭學最興盛的時期。這個時期文化活動蓬勃發展,而且隨著印刷技術的發展,各種版本書籍的出現,促進了對楚辭評價的發展。文人站在不同立場,通過多樣化的視角和標准評價屈原的〈離騷〉。評價不僅數量多,而且種類豐富。宋代文人從屈原的生平事跡,作品的風格技巧和文體,到屈原的愛國精神,屈原之死等方面都進行了多種形式的評價。晁補之強調屈原之死爲“忠”,甚爲推崇。靖康之變以後,文人們在強烈的鬥爭背景下借古諷今,形成了頌揚忠君愛國之士,批判賣國賊的學術風氣,漢代的揚雄也因此受到了洪興祖,朱熹的強烈批判。與此相反,“忠君愛國”的代表性文人屈原受到了愛國主義文人的稱贊,洪興祖反復強調“同姓”,認爲屈原是爲了向君主盡忠而選擇死亡。朱熹更是把屈原幾乎所有的作品都解釋爲忠君,認爲屈原的“愛國忠誠”表現地最爲突出。可以看出朱熹雖然站在理學家的立場,對屈原性格的過分中庸等持否定的態度,但也從中折射出對其忠君愛國思想的肯定。對於浪漫主義的藝術手法,宋代以前的學者並沒有完全給予肯定,但是到了宋代,學者們充分肯定了楚辭的神話浪漫主義特色,並對其思想和內容給予了很高的評價,從而進一步提高了楚辭即屈原和<離騷>在文學史上的地位。 明代在繼承宋代的文學特點基礎上,更加傾向於濃厚的復古主義,所以對楚辭的研究並不活躍。清代是楚辭學的大盛時期,出現了大量的楚辭學專家和研究楚辭的專著。明朝滅亡以後,許多學者在對楚辭進行閱讀和評價的同時表達了對故國的看法,並試圖通過現實性的學術研究來探究明朝滅亡的教訓。明末清初的王夫之將自己效忠南明政權的經曆與屈原相比較,以此來寄托自己的身世之感。王夫之反復贊揚屈原的忠誠和高尚的人格,駁斥朱熹的意見,批判懷王的無能。 綜合從漢代到元明清對屈原和離騷的評價內容來看,雖然因爲文人各自的身份或時代背景不同,對屈原的人格,處世態度,浪漫主義藝術手法,忠君愛國的見解,對君王怨恨的感情等方面評價褒貶不一,但總體上給予了很高的評價。雖然會有一些否定性的意見,但對屈原的文學性價值都給予了很高的評價。對“忠君愛國”的見解越來越明確,雖然無法擺脫儒家的視角,沿襲了過去的解釋法,但是通過眾多文人的解讀,使得屈原作爲“忠臣”而家喻戶曉,從中也可以了解到屈原和<離騷>對以前文人中間的巨大影響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