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머니의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유림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differentiation and parenting attitudes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ree variables on the mothers of children ages 3 to 5 yea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try to find a way to raise the child happy and happy for the mother and positive for the chil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what is the general level of self differentiation,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attitude? Second, what are the differences in self differentiation,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Third,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self dfferentiation,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attitude? Fourth, what are the effects of self 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on parenting attitude? Fifth,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differentiation and parenting attitud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0 online respondents and 10 day care centers located in 'J' city in Gyeongnam. In order to measure mothers' self differentiation, we modified and secured the 'Korean type self- ifferentiation scale' developed by Jung Hye-jung and Jo Eun-kyung (2007). The marital satisfaction of Jung Hyun Sook (2001) Was used to correct or supplement the results. To measure parenting attitudes The scale of Bae Moon-ju (2005), which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measurement tool proposed by Lee Won-young (1983), was used to modify the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MBRI) of Schaefer (1965).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for data analysis, and mistake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verify differences in self differentiation,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attitude.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differentiation,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attitud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tep selection metho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variables affecting parenting attitude. In order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differentiation and parenting attitud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Baron and Kenny 's three-tep procedure. Sobel test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level of mother 's self differentiation,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attitude were analyzed as follows. The total score of self differentiation was moderate, with the highest score of emotional distance and the lowest score of emotional impact. The scores of overall marital satisfaction were high and the subscore scores were similar. In the parenting attitude, the score of affectionate attitude was high but the score of rejection attitude was low.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self differentiation,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attitud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s, self differentiation showed high emotional distance score when mother 's age was under 34 years old, Responding and emotional distance scores.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er in marriage communication, conflict resolution, intimacy, and marital role expectancy when mother 's age was under 34 years old. In addition, when the mother 's occupation was professional management, the score of the whole area was high. The attitudes of parentin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ffectionate attitude when the mother 's education level was higher than that of graduate school, and the regulated parenting attitud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hen the mother' s occupation was full time housewife. Affective and controlled attitud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hood age. Third, the correlations between self differentiation, marital satisfaction, and child rearing attitud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ffective attitude and autonomous attitud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rejective attitude was significant as self differentiation and amulet. Second, affectional, autonomous, and controlled attitud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and rejective attitudes were meaningful as marital satisfaction and amulet. Finally, self 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self 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on parenting attitude, self 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have the most influence on rejection parenting attitude, followed by affectionate, autonomous, and controlled attitude. The higher the level of self differentiation, the higher the marital satisfaction, the younger the child age, the higher the affectionate attitude. The lower the level of self differentiation, the lower the marita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rejection attitude. The higher the level of self differentiation, the higher the marita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autonomous attitude. The higher the marita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control attitude. Fif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differentiation and each parenting attitude, direct effects of self differentiation on affectional, rejective, and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marital satisfaction was included as mediating variable The direct effect was reduced. Therefore, marital satisfaction can b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differentiation and parenting attitude. However, the influence of self differentiation directly on rejection and autonomous attitude was found to be much greater than the indirect influence through marital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attitude of rearing depends on self 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fact that self 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re related to parenting attitudes can also be of significance in that it can help parents to determine what problems their mother has to solve for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이 연구는 만3세~만5세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기분화와 양육태도의 관계에서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세 변인간의 영향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의 성장에 바람직하고 어머니 자신에게는 행복한 양육을, 자녀에게는 긍정적인 양육을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기분화, 결혼만족도, 양육태도의 일반적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라 자기분화, 결혼만족도, 양육태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자기분화, 결혼만족도, 양육태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다섯째, 자기분화와 양육태도의 관계에서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만3세~만5세 자녀를 둔 어머니로 온라인 응답자 150명, 경남‘J'시에 소재한 10개곳 어린이집을 통해 모집하였다. 어머니의 자기분화를 측정하기 위해 정혜정과 조은경(2007)이 개발한 ‘한국형 자기분화 척도’를 수정·보안하여 사용하였으며 결혼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한국 실정을 고려하여 개발한 정현숙 (2001)의 결혼만족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Schaefer(1965)의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를 이원영(1983)이 번안한 측정도구를 수정·보완한 배문주(2005)의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3.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자기분화, 결혼만족도, 양육태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S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가 양육태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구하였으며 양육태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단계선택법을 이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기분화와 양육태도의 관계에서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 Kenny의 3단계 절차를 이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자기분화, 결혼만족도, 양육태도의 일반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자기분화 점수는 보통정도이며 그중 정서적 거리두기 점수가 가장 높고 정서적 영향받기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전체 결혼만족도의 점수는 높았으며 하위영역 점수는 비슷했다. 양육태도에서는 애정적 태도의 점수가 높은데 비해 거부적 태도의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조사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자기분화, 결혼만족도, 양육태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기분화는 어머니의 연령이 34세 이하 인 경우 정서적 거리두기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어머니의 학력이 대학원 이상일 때 감정적 반응하기와 정서적 거리두기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결혼만족도는 어머니의 연령이 34세 이하 인 경우 부부간 의사소통 및 갈등해결, 친밀감, 부부간 역할 기대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학력이 대학원이상 일 때 전체 영역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직업이 전문관리직 일 때 전체 영역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양육태도는 어머니의 학력이 대학원 이상 일 때 애정적 태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어머니의 직업이 전업주부 일 때 통제적 양육태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자녀연령에서는 애정적, 통제적 태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자기분화, 결혼만족도, 양육태도 하위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애정적 태도와 자율적 태도는 정적으로 유의미하였고 반면 거부적 태도는 자기분화와 부적으로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애정적, 자율적, 통제적 태도는 결혼만족도와 정적으로 유의미하였고 거부적 태도는 결혼만족도와 부적으로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는 거부적 양육태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며 그 다음으로 애정적 태도, 자율적 태도, 통제적 태도 순으로 나타났다. 자기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자녀연령이 어릴수록 애정적 태도가 높아진다고 나타났으며 자기분화 수준이 낮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낮을수록 거부적 태도가 높아진다고 나타났다. 자기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율적 태도가 높아진다고 나타났으며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통제적 태도가 높아진다고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분화와 각 양육태도의 관계에서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분화가 애정적, 거부적, 자율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결혼만족도를 매개변인으로 포함하였을 때의 직접효과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결혼만족도는 자기분화와 양육태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자기분화가 직접적으로 거부적, 자율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결혼만족도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력보다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에 따라 양육태도가 달라진다는 점이다.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가 양육태도에 관련이 있다는 단순한 사실에서 나아가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위해 어머니가 자신에게서 해결해야 할 문제가 무엇인지 가늠하도록 도와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비영리 미디어 콘퍼런스를 통한 지역 협력네트워크 변화 연구

        진호석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창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비영리단체가 지역생태계 내 기업, 대학, 비영리단체, 사회복지단체 등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조직 역량강화, 사업영역 확장, 네트워크 형성이라는 긍정적 효과를 가져왔는지 분석하는 질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회에 걸쳐 진행해 온 비영리미디어 콘퍼런스에 참가한 기업, 단체, 기관을 대상으로 사회네트워크 구조 변화를 분석했다. 사회네트워크 구조 변화 지수가 유의미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했다. 매개중심성을 제외한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은 유의미한 값이 도출되었다. 연결중심성과 근접중심성의 네트워크 변화지수가 높은 기관(경남과학기술대학교 창업대학원), 기업(아이딘), 단체(진주YMCA)를 대상으로 인터뷰 조사를 실시해 협력네트워크 사례를 살펴보았다. 지역의 비영리단체는 개인, 기관, 단체 등의 협력네트워크로 구축으로 조직 역량을 강화하고 제한된 자원을 보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 외국유학생의 대학고객만족도 측정에 관한 연구

        조종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 paper investigates the foreign students' impression to the university and analyzes the foreign students’ satisfaction to the university and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local school to induce foreign student to Korea local university.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of all students to university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financial factors and student welfare.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Chinese students and Vietnamese students in GNTECH, respectively. Chinese students’ satisfaction degree was related to safety factor and student welfare and Vietnamese students’ satisfaction was related the student welfare. Finally, reducing the tuition fees and improving the foreign student scholarship and other means can be effective methods for inducing distinguished foreign students.

      • B787 및 A350 Fixed Trailing Edge의 공정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황태부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에서는 기체 부문 중에서 가장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Wing FTE(Fixed Trailing Edge)의 핵심 부품(Rib외 7종)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로써 보잉사의 대형여객기 B787 사의 Wing FTE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성요소는 Support, Fitting Bonded panel, Bonded skin 등이며 본 논문에서는 Support, Fitting 등의 부품 생산기술 연구에 중점을 두었으며 본 연구로 인하여 가공시간이 5%-33% 절감되므로 인하여 원가절감과 신뢰성 제고에 크게 기여할 수 있고 가공 공정의 핵심 원천 기술 확보를 통하여 기술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항공기의 동체 부품의 생산공정 기술 개발을 통하여 독점적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A development of process technology for B787 & A350 FTE(Fixed Trailing Edge) was carried out. As the results of this development, we could obtain that productivity and reliability was higher through saving of processing time 5-33%.

      • 건축자재 구매결정요인이 고객만족 및 재구매, 타인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재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건축자재 구매자들을 대상으로 건축자재 구매결정요인이 건축자재 구매만족도 및 재구매의도, 타인추천의도를 분석해 보았으며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자재 구매 중요 요인 1순위는 가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순위는 A/S로 나타났다. 둘째, 건축자재 구매결정 영향요인 1순위는 공급사에 대한 이미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순위는 문제해결 의지 및 태도로 나타났다. 셋째, 구매결정요인중 건축자재구매 전반적인 만족도는 기술수준, 타공급업체 대비 품질 우수성, 제품안전 신뢰성, 안전관리 철저성, 고장처리 설명성, 고장대응 신속성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재구매의도는 기술수준, 제품안전 신뢰성, 안전관리 철저성, 부품교체 신속성, 고장대응 신속성, 전반적인 만족도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타인추천의도는 타공급업체 대비 품질 우수성, 브랜드 시장 평판성, 가격적절성, 가격 경쟁력, 제품안전 신뢰성, 안전관리 철저성, 고장처리 설명성, 부품교체 신속성, 고장대응 신속성, 전반적인 만족도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즉 건축자재 공급업자는 구매자들의 만족시키고 지속적인 거래를 위해서는 다음의 요건들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첫째, 건축자재 공급업자는 가격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며, 공급사들의 신뢰와 이미지 관리를 철저히 하고, 제품 공급후 A/S나 문제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의지 및 태도가 필요하다. 둘째, 건축자재 기술역량을 향상시켜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건축자재 뿐만 아니라 제조업 제품의 기술개발 속도는 매우 빠르게 진행되어 상품의 라이프 사이클도 점차 짧아지고 있다. 따라서 기술개발을 위한 부단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하며, 상품의 차별화를 통한 경쟁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 국민들의 소득수준이 향상되어 친환경건축자재에 대한 소비가 늘고 있다. 이에 친환경제품생산을 위한 기술개발로 자원의 효율적 활용 및 환경오염의 근원적 감소를 유도하기 위해 제품설계단계부터 환경성을 고려한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물론 친환경자재를 이용한 친환경건축자재는 가격측면에서 약간 비쌀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소비자들을 이해시키고 설득하면 고부가가치 건축자재를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셋째, 건축자재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건축자재 안전 신뢰성과 안전관리 철저성이 고객만족도 및 재구매의도, 타인추전의도에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축자재 공급업자는 제품의 안전성을 신뢰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제품에 대한 안전관리를 철저히 하여 문제가 없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건축자재 공급의 대응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 고장처리 설명성과 부품교체 신속성, 고장대응 신속성이 고객만족도 및 타인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축자재 공급업체는 이러한 중심으로 부단히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이러한 노력은 공급업체 대표만의 노력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종업원 모두가 이러한 인식을 갖고 대응할 수 있도록 교육과 훈련을 강화해야 한다.

      • 경영기술수준 평가지표를 적용한 스마트팜 사례연구

        최미옥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창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55

        스마트시대의 4차산업분야와 6차산업경영체의 다양한 접목이 시도되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팜은 농업의 4차산업분야 중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분야이다. 이론적으로 6차산업화 경영체의 평가지표가 개발되어 있지만 실제 스마트팜 도입을 위해 적용한 사례가 없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농업의 생산중심형 사물인터넷인 스마트팜을 도입하기 위해 자동화시스템과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농가를 대상으로 하였다. 6차산업화 경영체의 평가지표는 기술수준, 경영수준, 리더역량을 기준으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현실적으로 단동형 시설하우스와 연동형 시설하우스의 조건에 맞는 시스템 적용이 절실하며 스마트팜 도입을 위한 내적, 외적 인프라 조성이 종합적으로 되어야만 안정적인 스마트팜을 구축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6차산업경영체가 고객 니즈의 빠른 변화와 수명주기가 짧은 스마트시대에 농업의 미래를 주도하는 스마트팜 도입을 위해 제도적, 시대적 흐름에 부응할 필요가 있다. 스마트팜 도입을 위한 전략은 6차산업경영체의 평가지표 상 기술수준, 경영수준, 리더역량이 종합적으로 결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While various attempts the fourth industrial sector in the smart era and sixth industry a management organization are being tried, Smart Farm is the most widely applied sector among the fourth industrial sectors of agriculture. In theory, assessment indexes of sixth-industrialized management have been developed, but there have been no actual cases of applying them to introduce smart farms. In this regard,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farmers who operate an automation system and smart farm to introduce smart farm, which is a production-oriented Internet of things. The assessment index of the sixth industrialization management analyzed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based on technology level, level of management, and leadership capacity. Realistically, the application of the system to the conditions of a single-type facility house and continuous facility house is urgently needed and it is believed that stable smart farms can be established only when internal and external infrastructures are formed for introduction of smart farms. In a smart era where consumers' needs change rapidly and life cycle is short, the sixth industrial management needs to respond to the institutional and historical trends in order to introduce smart farms that lead the future of agriculture. The strategy for introducing smart farms think should be a comprehensive combined with technology levels, management levels and leadership capabilities based on assessment indexes of the sixth industrial management.

      • 철도차량 알루미늄 하부구조의 적정 용접조건에 관한 연구

        정상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에서는 자동 용접 시스템에 의해 알루미늄 합금의 철도차량 차체 하부구조의 주요 구성품인 Base Panel 소조립품의 용접 조립 생산을 수행 할 때, 적용되는 용접 공정의 주요 변수에 대하여 적정한 용접 조건의 선정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철도차량의 Base Panel에 사용되고 있는 6005A-T6 압출재를 실험용 모재로 하여 MIG용접 공법을 적용하였으며, 소모성 용접 재료로 아르곤 보호가스와 ER5356, ER4043의 용가재를 사용하였다. 또한 용접기의 SynchroPuls 기능의 Pulse 주파수를 2.5Hz, 4.5Hz의 두 가지로 적용하고 용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용접 이음부의 루트 페이스를 1.0mm, 1.5mm의 두 가지 조건으로 하여 용접 전류와 전압을 변화시키며 자동 용접 시스템에 의해 각 용접 조건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이 시편의 용접부 외관 형상에 대한 적합성 평가와 거시조직 단면시험, 인장시험, 굽힘시험, 경도시험 등의 기계적 특성 평가를 위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통하여 철도차량 하부구조의 용접 품질 기준을 만족하고 양산에 적용 가능한 적정한 용접 조건 범위를 선정하였으며, 최적화된 용접 조건을 제시하였다. 또한 선정된 용접 조건을 적용한 피로시험을 통해 양산품 제작을 위한 용접 내구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검증된 용접 주요 변수에 의한 최적화된 용접 조건은 철도차량의 하부구조와 유사한 용접 이음부로 설계된 옥상구조물의 Roof panel, 측면구조물의 Side panel이나 철도차량 주요 구성품의 용접 품질 향상을 위한 용접 조건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studied in order to select of optimal welding condition about main variables of welding process when auto welding system perform the production by welding for base panel sub-assembly as main component of the under frame of aluminium alloy for Railway vehicles. For this purpose, the MIG welding process was applied 6005A-T6 extruded material used in the base panel of the railway vehicle as an experimental base material, and argon shielding gas and ER5356, ER4043 filler metal were used as a consumable welding material. In addition, each welding coupon was prepared with various welding conditions by an auto welding system that various welding conditions applied two condition of 2.5Hz and 4.5Hz the pulse frequency of SynchroPuls function of welding machine and two condition of 1.0mm and 1.5mm of root face affect the weld penetration of welding joint. and the welding current, voltage was changed various value for this testing. And specimens made from welded coupons was performed mechanical property test, such as conformity evaluation of the appearance shape of the welded area and macroscopic cross section test, tensile test, bending test, and hardness test. Through these results, the welding quality criteria of the under frame of railway vehicle were satisfied, and a suitable welding condition range applicable to mass production was selected, and optimized welding conditions were proposed. In addition, the welding durability for production of mass-produced products was verified through a fatigue test using the selected welding conditions. The welding conditions verified through this study can be applied as a condition to the side frame, roof frame and main components that designed as a welded joint similar besides under frame of railway vehicle for quality improvement.

      •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아존중감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 : 임파워먼트 매개효과

        이상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업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39

        지역자활센터의 자활사업의 다양화, 자활기업의 창업 등의 외형적인 성장과 변화와 더불어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자활의지 고취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체계적인 지원과 더욱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아존중감이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자아존중감과 자활의지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지역의 자활사업 참여자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251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아존중감이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아존중감은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선행연구들과는 다른 결과를 보였지만, 여러 연구를 비교했을 때, 어떤 변인을 통제하느냐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자활의지간의 관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둘째, 자활사업 참여자의 임파워먼트가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자활사업 내에 임파워먼트 실천전략의 필요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자활사업 참여자에 대한 직업훈련이나 창업을 위한 교육도 중요하지만 본인 스스로가 자활사업에 참여함으로써 탈수급과 탈빈곤에 도달할 수 있다는 의식변화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자활사업 참여자의 임파워먼트가 자아존중감과 자활의지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임파워먼트의 세가지 하위영역인 개인내적 임파워먼트, 대인 관계적 임파워먼트, 사회․정치적 임파워먼트를 각각 검증한 결과 대인 관계적 평가, 사회․정치적 평가를 통해 간접적으로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인내적 임파워먼트를 제외한 임파워먼트와 하위변인인 대인 관계적 평가, 사회․정치적 평가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As the self-sufficiency programs of the community self-sufficiency center diversify, and the foundation of self-sufficient businesses grows and transforms externally, active efforts and systematic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re required to inspire the will of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to supply themselves. Thu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the self-esteem of participant on the will to supply oneself, and mediated effect of the empowerment in the 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the will to supply oneself. A survey of 300 participants of self-sufficiency programs of Gyeongnam district has been conducted, and 251 surveys have been utilized for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lf-esteem of the participant of self-sufficiency programs on the will for self-sufficiency has been conducted; the result illustrated that the self-esteem of the participant does not affect the will for self-sufficiency. Even though the results of precedent studies illustrated otherwis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will for self-sufficiency resulted in different outcomes depending on the controlled factors through comparison of various studies. Secondly, the empowerment of the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 is shown to influence the will for self-sufficiency. The result of the study illustrates the need for practical strategy of empowerment within the self-sufficiency program. The vocational training of the participants and the education of establishment is important, but the change of awareness that anti-supply and anti-poverty could be reached by participating in the self-sufficiency program is also important. Thirdly,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has been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of the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 and self-esteem and will for self-sufficiency. Through the verification on the subdomains of the empowerment (personal, interpersonal, socio-political), the indirect influence of interpersonal, and socio-political empowerments on the will for self-sufficiency has been illustrated. Thus, interpersonal evaluation, and socio-political evaluation, the factors of empowerment excluding personal empowerment, have been verified of its mediating effect.

      • 피드백 메시지에 대한 소비자반응 연구

        하동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0639

        소비자들은 의사결정과정에서 개인적 특성과 과업, 상황 등 다양한 요인들의 영향을 받는다. 나아가 소비자들은 자신이 의식하지 못하는 비의식적인 과정을 통해 사소한 자극의 영향도 자주 받는다. 하지만, 이런 비의식적 과정의 관점에서 소비자행동을 조명한 연구는 많지 않다. 2010년대 이후 모바일 스마트기기의 보급 확대와 소셜미디어의 발달로 소비자들은 자신의 의사결정 결과를 즉시에 피드백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메시지 피드백은 의식적 혹은 비의식적 과정을 통해 소비자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 신용카드사에서 제공하는 결제내역 알림문자서비스가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메시지 피드백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결제내역 알림문자메시지를 통해 메시지 피드백의 영향을 알아보는 탐색연구와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탐색연구인 연구 1에서는 신용카드 결제 시 제공하는 결제내역 알림문자메시지(피드백 메시지)를 소비자들이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이로부터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기 위해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용카드 사용자의 대부분(94%)은 이러한 결제내역 알림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었고, 필요성에 대해서도 매우 공감(평균 4.23점/5점 척도)하고 있었다. 응답자들은 알림문자메시지가 이후 자신의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친다(평균 3.46/5점 척도)고 평가했다. 알림문자서비스의 필요성 평가와 알림문자메시지의 구매영향력 평가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피드백 메시지(자극)에 대한 소비자반응(심적회계, 지불고통, 대안선택)을 살펴보기 위해 세 차례의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2에서는 피드백 메시지를 제공하는 집단과 제공하지 않은 집단으로 나눠 피드백 메시지의 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연구가설과 마찬가지로 피드백 메시지를 제공받은 집단의 소비자들이 제공받지 않은 집단의 소비자들에 비해 심적회계로 인해 지불고통을 더 크게 느꼈다. 이로 인해 피드백 메시지를 제공받은 집단의 소비자들이 제공받지 않은 집단의 소비자들에 비해 낮은 가격의 대안을 더 많이 선택하였다. 피드백 메시지 제공여부에 따라 대안선택의 내용에서도 차이가 났다. 피드백 메시지를 제공받지 않은 집단은 중간대안을 많이 선택하는 역U자 형태의 구매패턴을 보였고, 피드백 메시지를 제공받은 집단은 가격이 쌀수록 더 선호하는 우하향 형태의 구매패턴을 보였다. 연구 2에서는 피드백 메시지의 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한 달 가용예산에 근접하는 상황만을 가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연구 3에서는 한 달 가용예산정도(예산기간 초기 vs 예산기간 후기)에 따라 피드백 메시지의 영향력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가설과 마찬가지로 피드백 메시지를 예산기간 초기에 제공받는 집단의 소비자들 보다 예산기간 후기에 제공받는 집단의 소비자들이 심적회계로 인해 지불고통을 더 크게 느끼고, 이에 따라 낮은 가격의 대안을 더 많이 선택하였다. 연구 2에서와 마찬가지로 피드백 메시지를 제공받지 않은 집단은 중간대안을 더 많이 선택하는 역U자형태의 구매패턴을 보였고, 피드백 메시지를 제공받은 집단은 가격이 쌀수록 더 선호하는 우하향 형태의 구매패턴을 보였다. 결제시 느낄 자신의 감정을 예상한 결과에서는 예산기간 초기에는 피드백 메시지를 제공받은 집단과 제공받지 않은 집단 간의 차이는 없었다. 예산기간 후기에는 피드백 메시지를 제공받지 않은 집단의 소비자들 보다는 제공받은 집단의 소비자들이 결제시 부정적인 감정을 더 많이 느낄 것으로 예상하였다. 연구 2와 3에서는 구매빈도가 높은 저관여상품 구매상황을 가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피드백 메시지의 영향은 관여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연구 4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고관여상품 구매상황을 가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가설과는 달리 저관여상품 구매상황인 연구 3에서와 마찬가지로, 예산기간 초기보다는 후기에 피드백 메시지를 제공받는 경우에 소비자들은 심적회계로 인해 지불고통을 더 크게 느꼈고, 결제 시에도 더 부정적 감정을 경험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그러나 대안선택에서는 본 연구의 가설과 마찬가지로 저관여상품 구매상황과는 달리 피드백 메시지 제공여부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는 없었다. 즉, 계획구매의 결과로 대안선택에서는 두 집단의 소비자들은 모두 비슷한 구매패턴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이론적ㆍ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본 연구가 지닌 한계점을 밝히고 이를 보완하는 추가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 한국 토종닭의 암수 분리사육과 혼합사육에 따른 스트레스 반응과 생산능력 비교

        정현철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39

        닭은 사육 기간동안 많은 외부적 환경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으며, 사육 밀도 및 사육 형태에 따른 스트레스 반응 정도가 매우 다르다. 최근 가축 복지 및 친환경 사육 방식이 요구되면서 사육 형태에 있어 암수 혼합사육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나 암수 분리사육과 혼합사육 간의 스트레스 반응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토종닭을 이용하여 암수 분리사육과 혼합사육에 따른 스트레스 반응과 생산능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스트레스 반응 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혼합사육 이전인 37주령 때와 혼합사육 후 2주가 경과한 39주령 때 케이지별 무작위로 암수 85수를 선정하고 동일 개체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H/L ratio, HSP 및 세포 내 DNA 손상율을 분석하였다. H/L ratio는 혼합사육하였을 경우 분리사육을 할 때보다 3배 정도 유의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동일한 환경에서 암수 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HSPs(Heat shock protein)중 HSP-70, HSP-90α 및 HSP-90β의 발현율을 확인한 결과 모든 HSPs의 유전자 발현율이 암수 혼합사육 이전에 비해 혼합사육 이후 2.5∼3.4배 정도 유의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특히 암컷이 수컷에 비해 혼합사육에 따른 HSPs 발현율 증가가 컸으며, 동일 환경에서 암수 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 내 DNA 손상율은 혼합사육하였을 경우 분리사육을 할 때보다 손상율이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으며(P<0.01), 동일한 환경에서 암수 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수 혼합사육과 분리사육간 산육능력의 비교에서 두 처리구 간 30주령 및 40주령 체중과 동기간의 증체량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6주령부터 43주령까지의 생존율에서도 두 처리구 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6주령부터 43주령까지의 산란능력 분석 결과, 암수 분리사육 한 개체들이 혼합사육한 개체들에 비해 일계 산란율과 산란 지수가 높았고 난중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한국 토종닭에 있어 암수 혼합사육이 암컷과 수컷 모두에게 매우 큰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암수 혼합사육과 분리사육간 산육능력 및 생존율의 차이는 없는 것을 보이나, 암수 혼합사육이 분리사육에 비해 산란능력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