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래전과 특수작전 전술항공단의 편성 및 운용에 관한 연구

        김현직 경기대학교정치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북한의 4·5차 핵실험 후 핵 및 WMD 사용전 선제타격을 위한 표적 획득과 이동식 TEL의 추적, 제한된 범위내 직접타격, 대량응징보복작전 등을 수행하게 될 육군 특수작전부대인 특전사의 임무수행 보장을 위해 한국군의 독자적인 공중침투 능력 보유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대한 문제 제기로서 우리 군에서 대부분의 특수작전을 수행하는 특전사를 북한지역에 美 특수작전 항공기 지원 없이 한국군 단독으로 전력투사 할 수 없다는 점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그 대안으로 특전사 예하에 “특수작전 전술항공단”을 편성하고 특수작전 항공기를 도입하여 그들의 임무수행 완전성을 보장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선행연구 결과, 선행 연구자들은 공통적으로 한국군 특수작전부대의 독자적인 공중침투 능력 미보유를 문제점으로 지적하며 그 대안으로 합동 특수작전사령부를 창설하고 그 예하부대에 특수작전 항공부대 편성을 제안했다. 하지만 이미 1990년대부터 시작되었던 합동 특수작전사령부에 대한 논의는 아직도 결실을 맺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방부, 합참, 각 군의 이해와 입장의 차이로 단기간 내 합동 특수작전사령부 창설이 요원하다는 점과 최근 안보상황에서 특수작전 항공기 확보가 중대하고 시급하다는 점을 고려 합동 특수작전사령부 창설 없이 특전사 “특수작전 전술항공단”편성을 제시하게 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전 양상과 최근 전쟁 사례를 통해 특수작전부대 특히, 특전사의 중요성과 임무수행 능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래전은 전쟁 형태 측면에서는 전면전, 국지전과 테러전, 전쟁 시·공간 측면에서 초속도전, 우주전과 사이버전, 전쟁 수단 측면에서는 정밀유도무기와 스텔스항공기, 무인 로봇전, 전쟁 수행방식 측면에서는 마비전 및 비대칭전의 형태가 주요 특징으로 전개될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특수작전부대로서 특전사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으며 최근의 전쟁에서 특수작전부대의 활약은 이를 증명하였다. 따라서 우리 군의 특수작전부대인 특전사는 물리적 파괴를 최소화 하고 적 중심 타격 등 효과중심 전쟁수행에 적합한 전략적 유연성을 갖추고 신속한 의사결정과 효율적인 지휘통제를 통해 다양한 위협에서도 신속한 대응으로 군사전략 목표달성이 가능한 지휘 및 부대구조를 갖추어야 한다. 한편, 미국은 통합 특수전사령부(Special Operation Command/SOCOM)라는 통합 조직을 운용하고 있으며 주목할 점은 특수작전부대의 공군전력은 공군 특수전사령부에서, 헬기는 제 160 특수전항공연대에서 지원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들의 항공전력은 특수작전을 위해 최적화된 특수작전용 항공기로 야간 비행능력, 저공항법장치, 전천후항법장치, 원거리 통신 내지는 위성통신, 장거리 비행을 위해 보조연료탱크 또는 공중급유장치를 구비, 방탄장비나 플레어, 체프 같은 항공기 방어를 위한 기만장비 등을 장착하고 있고 이러한 특수작전 항공기의 지원으로 최근 전쟁에서 특수작전부대가 뛰어난 활약을 할 수 있었다. 둘째, 우리 군이 특수작전을 주로 담당하는 특전사는 독자적 공중침투 능력 제한과 대량응징보복작전을 위한 공중 지원능력 부족, 이원화된 지휘관계로 특수전사령관 주도의 특수작전 항공기 운용 및 임무수행에 많은 제한을 받고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우리의 모든 특수작전 지원 항공기에는 다중 정밀항법 장비나 전자전 능력이 결여되어 야간이나 악천후시 정확하고도 안전한 비행이 제한되며 적의 대공 레이다 망이나 대공화기 회피 능력 등이 제한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전시 특전사는 작전팀을 美 특수작전부대의 특수작전 항공기 지원없이 적 후방지역에 침투 시킬 수 없다는 것이 현실이다. 셋째, 우리 군의 특수작전을 주로 하는 특전사의 임무수행을 위해 특전사 예속부대로 “특수작전 전술항공단”을 편성하되 단순히 침투수단의 특수작전용 항공기만을 구비하는 게 아니라 미래전 양상을 고려 특전사가 독자적인 특수작전 수행능력을 갖추는데 중점을 두어야 하며 이를 위해 무인기와 전자전기는 물론 항공 폭격과 타격작전시 항공에서 근접지원이 가능한 AC-130, 공격헬기 등도 편성해야 한다. “특수작전 전술항공단”은 특수전사령관이 직접 지휘하여 전·평시 특수작전 임무수행의 완전성을 보장하고 한국군 단독 특수작전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공군과 육군 항공의 동의와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하며 국방개혁 기본계획에 반영하여 신속히 추진해야 한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미래전 양상, 특수작전 사례, 특수작전부대의 특성 및 운용, 美 특수작전부대의 항공부대 운용, 특전사 임무수행 능력 분석 등 극소수의 사례분석과 합동 특수작전사령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흡하다는 한계가 있지만, 독자적 특수작전 항공기 확보 필요성과 “특수작전 전술항공단”편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본다. 최근 북한 4차 및 5차 핵실험 후 그에 대한 억제방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그 중 한 가지 억제방법은 북한이 핵무기를 사용하는 목적을 상쇄시킬 수 있는 치명적인 약점을 타격하는 것이다. 즉 ‘김정은 개인을 직접 타깃으로 하는 전략, 김정은 제거(regime change)전략’이 북한의 핵 공격을 억제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특전사가 “특수작전 전술항공단”의 특수작전 항공기를 이용, 공중 침투하여 부여된 특수작전 및 대량응징보복작전의 성공적인 임무수행이 가능한 능력을 갖추고 그 능력으로 북한의 핵공격을 억제하는 효과를 달성할 날이 하루빨리 오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orth Korea 's nuclear test and WMD after the 4th and 5th nuclear tests, to acquire the target for the preemptive strike, to track the Transporter Erector Launcher (TEL), to direct strike within a limited rang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ROK military special forces' need of an independent air infiltration capability to play a role in Korea Mass Punishment and Retaliation (KMPR) plans. As a matter of concern, the ROK army seriously recognizes that the special forces who carry out most special operations in the ROK will not be able to project their forces into the ROK alone without North Korean special operations aircraft in the DPRK. As an alternative, Special Operation Tactical Aircraft Organization has been introduced to ensure mission completeness. As a result of previous researches; a commonly pointed out problem of the ROK military special forces was the lack of independent airborne penetration ability. As a solution, the Joint Special Operations Command was established and the suggestion for the formation of a special operation air force unit for subordinate forces was raised. However, discussions on the Joint Special Operations Command, which had already begun in the 1990s, are still fai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understanding and position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Joint Chiefs of Staff, and each army, and to establish a Special Operations Command in a short period of time. In the light of recent national security, it is clear that Special Operation Tactical Aircrafts are necessary, and without the Joint Special Operations Command creation, the special forces' Special Operations Tactical Aircraft Organization is propos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can see that the importance of special warfare units and their ability to carry out missions are important, especially in the past and recent war cases. In the aspect of war history, future warfare is divided into several categories and its types: in terms of warfare form: full range warfare, local warfare and terror warfare; in terms of time and place of war: short term warfare, space warfare and cyber warfare, precision and stealth aircraft warfare, unmanned robotics warfare; in terms of warfighting style: paralyzing warfare and asymmetrical warfare would be the primary categories of modern warfare. These features further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special forces units as special operations forces, which was proven by their roles in recent wars. Therefore, special forces of the ROK military's special operations forces minimize the physical destruction and have strategical flexibility suitable for effect-centered war such as enemy center strike, and can achieve military strategic goals by prompt decision-making and effective command control command and subordinate structure. Meanwhile, the United States is operating an integrated organization called Special Operation Command (SOCOM), and it is worth noting that the Special Operations Squadron's Air Force is supported by the Air Force Special Forces Command, and the helicopter is supported by the 160th Special Forces Aviation Regiment. Their aviation power is a special operational aircraft optimized for special operations. It is equipped with night flight capability, low-altitude navigation system, all-weather navigation system, long distance satellite communication, auxiliary fuel tank or air refueling system for long distance travel, flares, and chevs for aircraft defense, and with the support of these special operations aircraft, special operations forces have been able to perform well in recent wars. Secondly, special troops that our military is mainly engaged in special operations have restrictions on their own independent airborne infiltration capability, lack of air support for the Korea Mass Punishment and Retaliation operations, and a dualized command relationship; which limits the special operations aircraft operation capabilities. Particularly noteworthy fact is that all of our special operational support aircraft lack multi-precision navigation equipment or electronic warfare capability, which limits the accuracy and safety of flight at night or in bad weather, limits evasion of enemy radar networks and anti-aircraft equipment. Therefore, it is a reality that the special forces can not infiltrate the enemy's rear area without the support of the special operation aircraft of the US special operations force. Third, in order to carry out the mission of special troops who are mainly engaged in special operations of our military, it is necessary to organize Special Operations Tactical Aircraft Organization as a part of the special forces for special operations, but not only to acquire the special operation aircraft infiltration means, but the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the ability to perform special operations. For this purpose, as unmanned and electrical equipment, the AC-130 and attack helicopters capable of providing air support in terms of air bombing and striking operations should be organized. Special Operations Tactical Aircraft Organization shall be directly commanded by the Special Forces Commander so as to ensure the completeness of the execution of special operations and to enable the independence of the special operations of the ROK military alone. To do this, the ROKA and the ROKAF must agree and actively support the program, which should be promptly carried out in the Defense Reform Basic Pla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based on the analysis of a few cases such as the aspects of future warfare, special operations cases,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 of special operation units, and aviation unit operations within the US special operations units.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data provided is insufficient, but it is possible to find its significance because it suggests the necessity of securing independent special operation aircraft and the creation of the Special Operations Tactical Aircraft Organization. Recently, discussions on how to suppress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after the 4th and 5th nuclear tests still ongoing. One of the suppression methods is to strike a fatal weakness that can offset the purpose of North Korea's use of nuclear weapons. In other words, Kim Jong Eun is a direct target for the individual and the regime change strategy, which will be an effective way to curb North Korea's nuclear attack. One can only hope the day that the special forces has the ability to use the special operation aircraft of the Special Operations Tactical Aircraft Organization to successfully carry out missions in special operations and the Korea Mass Punishment and Retaliation (KMPR).

      • 언어폭력이 카지노 딜러의 감정부조화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샛별 경기대학원 관광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07

        서비스 산업의 종사자들은 기업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더욱 더 변화하는 환경과 복잡하고 고차원화된 고객들의 욕구가 다양해지고, 고객들의 욕구를 신속하게 응대해야하기 때문에 기업으로부터 많은 감정표현을 요구 받고 있으며, 감정노동자들은 자아가 손상되어 갈등 및 혼란이 극대화되고 감정부조화 및 소진 현상이 발생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카지노 딜러는 감정노동자로서 게임테이블에서 직접적인 금전이 오가면서 고객들이 게임실패에 따른 결과에 다양한 언어폭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무례한 행동으로 인하여 감정적인 상처와 상당한 스트레스를 겪으며, 실제로 느끼는 감정과 조직이 요구하는 감정의 불일치 즉, 감정부조화와 소진을 경험하게 된다. 카지노 딜러는 다른 어떤 서비스 종사자들에 비해서 많은 양의 감정노동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객의 언어폭력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완화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카지노 딜러의 감정부조화와 직무소진을 완화하고, 업무의 능률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지노 딜러를 대상으로 한 언어폭력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며, 카지노 딜러의 감정부조화와 직무소진에 있어 자아탄력성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언어폭력이 카지노 딜러의 감정부조화와 직무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영향관계를 조절하는 자아탄력성을 규명함으로써 감정불일치로 나타나는 감정부조화를 낮추고, 직무소진을 감소시켜 카지노딜러의 감정부조화와 직무소진에 대한 관리의 중요성을 실증조사를 통하여 직무소진의 해결을 위한 상담 및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여 카지노기업 서비스에 대한 질적 확보와 고객만족을 유도하는 카지노 종사원의 능력을 극대화 시키고, 조직의 효율성과 실천적 전략을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9년 6월 20일부터 9월 20일까지 4개의 카지노기업(파라다이스, GKL, 강원랜드, 랜딩) 총 400부를 배포하여 이중 380부가 회수되었다. 그리고 일부 중요항목의 누락이나 불성실한 응답처리로 통계분석에 부적절한 17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363부를 가지고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V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폭력이 감정부조화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폭력을 통해 카지노딜러의 자아개념 손상을 초래하고 모욕감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하위요인들도 감정부조화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부조화는 직무소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부조화에 지속적인 감정사용은 카지노 종사원들로 하여금 직무소진을 느끼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감정부조화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은 감정부조화와 직무소진과 같은 부정적인 변수들을 긍정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언어폭력이 카지노 딜러의 감정부조화와 직무소진을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스스로 자아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개인적인 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내적역량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최근 아시아 지역 IR기업의 성장과 신규 복합리조트의 개장으로 인해 카지노 산업은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으며, 카지노 딜러는 변화하는 환경과 감정노동자로서 긍정적인 마인드와 유연한 사고를 갖추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카지노 딜러의 감정부조화와 직무소진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자아탄력성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앞으로 학문적 뿐만 아니라 실무적으로 카지노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기를 바란다. 핵심어 : 카지노딜러, 언어폭력, 감정부조화, 직무소진, 자아탄력성 As the competition of corporations intensifies, workers in service industry are requested from the companies to respond rapidly to changing environment and complex and high-dimensional desires of customers. Emotional workers continue to experience a vicious cycle of emotional dissonance and exhaust phenomenon as their ego is damaged conflict and confusion are maximized. As an emotional workers, casino dealers experience various verbal violence due to the game failure of customers as money comes and goes directly in the game table. Due to customer's rude behaviors, casino dealers get emotional hurt and significant stress, experiencing a mismatch between what they actually feel and what their organization requires, that is, emotional dissonance and exhaust. Casino dealer not only have a greater amount of emotional labor than any other service workers, but they also are exposed to verbal violence of customers, so the necessity to relieve this is raised. We will verify the regulation effect of ego resiliency as a way to relieve emotional dissonance and burnout of casino dealers and to improve their work efficiency. Nevertheless, research on verbal violence against casino dealers is lacking and research on whether ego resiliency has regulation effect in terms of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burnout of casino dealers is also not sufficien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erbal violence on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burnout of casino dealers and identify the ego resiliency that regulates these relationships to lower the emotional dissonance that appears as emotional mismatch and reduce Job burnout. It is also to grasp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on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burnout of casino dealers through practical survey and provide basic materials for consultation and training to solve the Job burnout. Through this, it can maximize the competency of casino dealers who secure qualitative aspects and induce customer satisfaction and establish the practical strategy for organization's efficienc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distributed a total of 400 copies of questionnaires to 4 casino corporations (Paradise, GKL, Gangwon Land, Landing) from June 20 to September 20, 2019 and 380 were collected. We used a total of 363 copies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17 copies of questionnaires which were inappropriate for statistical analysis due to the omission of some important item and insincere response. We used SPSS 23.0Ver. program to analyze the material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verbal violence has positive (+) influence on the emotional dissonance. Lower factors that cause damages to ego of casino dealers and give sense of outrage through verbal violence have positive (+) influence on the emotional dissonance. Second, the emotional dissonance has positive (+) influence on Job burnout. We can know that continuous use of emotion on emotional dissonance makes casino workers fell Job barnont. Third, ego resiliency in the relationship of effect of emotional dissonance on Job burnout has a regulation effect. We can know that ego resiliency is an individual's ability to improve negative variables such as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burnout posi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firmed that personal effort to increase ego resiliency is required and internal competency program that can enhance ego resiliency should be developed to prevent and reduce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burnout of casino dealers caused by verbal violence. Recently, casino industry is facing a new turning point with the growth of IR corporations in Asia areas and opening of new complex resort. Therefore, I hope this study can identify whether casino dealers have flexible thinking and positive mind in the changing environment as an emotional worker and present the necessity of ego resiliency that can relieve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burnout of casino dealers, and various significant researches tha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asino industry can be attempted. Key words : casino dealer, verbal violence, emotional dissonance, job burnout, ego-resiliency

      • 카지노 이용고객의 혼잡지각이 고객의 내적반응 및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윤현 경기대학원 관광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07

        현대의 카지노기업은 단순 도박장, 사교시설이라는 부정적인 시각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테마의 건축물과 호텔, 공연, 쇼핑, 레스토랑 등의 시설을 갖추고 관광객에게 직․간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은 물론 여러 가지 레저 활동을 즐길 수 있는 종합시설 공간으로 인식의 변화를 꾀하고 있으며(Eadington, 1998; Morrison, Braunlich, Cai, & O’Leary,1996; Staub, 2006), 지역사회에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기업으로 인식되어 지고 있다 (Reece, 2007). 카지노 고객의 증가나 관광지에서 관광객의 증가는 혼잡을 야기하고, 혼잡지각은 사람들의 심리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Machleit et al., 2000), 그 부정적인 감정반응은 방문 의사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다(홍지연·조용현, 2014). 혼잡지각은 관광학 분야에서 다년간 다양한 주제의 변수로 연구되어져 왔으며, 혼잡이라는 단어가 많은 수의 밀도를 전제하고 있어 사람이 밀집하는 공간이 연구의 주 대상이 되었다(최정화, 2013). 축제, 테마파크, 유원지 등의 연구 대상지는 그 공간적 범위가 넓다는 문제가 있는데. 자연환경을 소재로 하는 자연공간의 경우 해당 공간을 한정하기는 거의 어렵다. 그런 의미에서 대상 공간이 제한적이고 이용 범위가 대체로 한정적인 카지노업장의 환경은 혼잡지각을 측정하기에 가장 적합한 조건이라 할 수 있으며, 이용고객의 수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축제, 테마파크, 유원지 등과 같은 자연환경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에 비해 카지노업장에서의 이용고객이 느끼는 혼잡지각에 대한 선행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혼잡은 과연 카지노이용고객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본 연구의 목적은 카지노이용고객이 느끼는 혼잡지각의 현황을 파악하여, 고객의 내적반응과 고객만족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카지노이용고객의 혼잡지각과 고객만족 사이에서 고객의 내적반응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후 기업의 이미지 및 서비스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카지노이용고객의 혼잡지각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카지노이용고객의 혼잡지각과 고객만족 사이에서 고객의 내적반응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기업이미지 및 서비스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에 소재한 카지노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연구목적을 충분히 설명한 후에 본 연구에 대한 설문지를 4개(인천파라다이스 1곳, GKL 카지노 2곳, 강원랜드 카지노 1곳)와 외국 카지노 이용고객에게 350부를 배포하여 314부를 회수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99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으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g)과정을 거쳐,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본 연구 자료의 요약과 측정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에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 검사를 위해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α)의 신뢰도 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셋째, 기술 통계학적 특성과 각 변수들의 상관관계가 어떠한 방향과 어느 정도 통계적 관련성을 가지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관 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넷째,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그리고 독립변수와 종속 변수간의 매개변수가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 및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혼잡지각에 관한 요인분석 결과 ‘인적 혼잡지각’과 ‘공간적 혼잡지각’의 2개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고객의 내적반응은 ‘긍정적 감정반응’, ‘부정적 감정반응’ 및 ‘신체적 반응’의 3개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또한, 고객만족은 1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둘째, 공간적 혼잡지각은 고객 만족에 부(-)의 유의한 영향(β=-.192,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인적 혼잡지각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부분 채택되었다. 이는 카지노 업장의 공간적 혼잡지각은 고객들의 이동이나 게임을 즐길 때 불편함을 느껴 고객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지만, 인적혼잡지각은 고객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게임을 할 때는 한산한 것보다 사람들로 북적대는 것이 고객 만족도를 높여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공간적 혼잡지각은 고객의 긍정적 감정반응에 부(-)의 유의한 영향(β=-.130, p=.026)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2는 채택되었으며, 인적 혼잡지각은 고객의 긍정적 감정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1은 기각되었다. 이는 카지노 업장에서의 인적 혼잡지각은 고객이 게임을 할 때 한산한 업장보다는 사람들이 북적대는 것에 긍정적인 감정을 이끌어 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공간적 혼잡지각은 고객의 부정적 감정반응에 정(+)의 유의한 영향(β=.219, p=.000)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4는 채택되었으며, 인적 혼잡지각은 고객의 부정적 감정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3은 기각되었다. 이는 카지노 업장에서의 인적 혼잡지각은 고객이 게임을 할 때 한산한 업장보다는 사람들이 북적대는 것에 긍정적인 감정을 이끌어 내며, 게임을 할 때 딜러들을 상대로 단합하여 고객들이 하나로 뭉치려는 관점에서 부정적 감정보다는 긍정적 감정이 생기는 것을 유추 할 수 있다. 다섯째, 공간적 혼잡지각은 고객의 신체적 반응에 부(-)의 유의한 영향(β=-.229, p=.000)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6은 채택되었으며, 인적 혼잡지각은 고객의 신체적 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5는 기각되었다. 이는 많은 사람들과 게임을 하면 서로 대화도 많이 하고, 돈을 따자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신체적으로도 흥분한 상태(즐거움)를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여섯째, 고객의 긍정적 감정반응은 고객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β=.418, p=.000)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감정반응은 고객만족에 부(-)의 유의한 영향(β=-.209, p=.000)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객의 신체적 반응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3은 부분 채택되었다. 이는 손해경·윤유식(2012)의 연구를 지지하는 것으로 고객이 느끼는 경제적 가치, 기능적 가치 및 심리적 가치는 고객행동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반면 신체적 반응이 고객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은 오래 게임을 하거나 돈을 잃게 되면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피로감이 몰려와 불만족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일곱째, 공간적 혼잡지각과 고객만족 간의 관계를 긍정적 감정반응 및 부정적 감정반응과 신체적 반응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4는 부분 채택되었다. 이는 고객의 내적반응이 고객이 느끼는 혼잡지각 중 공간적 혼잡지각이 고객만족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보아 카지노 기업은 인적 혼잡지각보다 공간적 혼잡지각에 더 신경을 써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인적 혼잡지각보다 공간적 혼잡지각에서 고객들의 불만족이 놀은 것으로 보아 게임플로어나 게임 테이블배치 시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나 테이블과 테이블 간의 거리와 고객들이 편안히 쉴 수 있는 공간 확보가 중요하고, 카지노 업장에서의 인적 혼잡지각은 고객이 게임을 할 때 한산한 업장보다는 사람들이 북적대는 것에 긍정적인 감정을 이끌어 내며, 게임을 할 때 딜러들을 상대로 단합하여 고객들이 하나로 뭉치려는 관점에서 부정적 감정보다는 긍정적 감정이 생기는 것으로 보아 고객을 위한 이벤트나 컴프(우대권)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루트를 개발하여야 한다. 그리고 오래 게임을 하거나 돈을 잃게 되면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피로감이 몰려와 불만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고객을 위한 무료 마사지나 편히 쉴 수 있는 휴게실의 확보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This study made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s of customer internal responses resulted from crowding perception of casino on customer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es. It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adult males and females who had used 4 casino located in Korea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 to October 31 in 2018. Totally 3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among returned 314, 299 were used for an empirical analysis excluding negligent 15. The collected data was applied by a frequency analysis by using SPSS(20.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he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hypotheses were verified with using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o on.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he following findings were elicited. Results of testing research hypothe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using Cronbach's α coefficient in order to analyze internal consistency and reliability of variables, the reliability of each variable were confirmed as human crowding, spatial crowding, positive emotional response, negative emotional response, physical response, and customer satisfaction to recommend were .866, .808, .765, .854, .731, and .717 respectively, which were relatively high. Second, it was analyzed upon the results from the influence relation of the customer satisfaction that the human crowding and spatial crowding influence partial adopted, so it was verified that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human crowding goes up. Third, it was analyzed upon the results from the influence relation of positive emotional response, negative emotional response, and physical response that human crowding and spatial crowding influences partial adopted, so it was verified that the positive emotional response and physical response of human crowding goes up. Forth, it was analyzed upon the results from the influence relation of the customer satisfaction that the positive emotional response, negative emotional response, and physical response influences partial adopted, so the customer satisfaction decreases as the physical response. Fifth, it studied whether the internal responses(positive emotional response, negative emotional response, and physical response) does the roll of mediation in the influence relation between the crowding perception(human crowding and spatial crowding) and customer satisfaction. It was analyzed upon the results that the spatial crowding and the relational positive emotional response, negative emotional response, and physical response do the roll of partial mediation. It can be said that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tudies in the point of trying to study that it stres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the internal responses(positive emotional response, negative emotional response, and physical response). It will be the basis for the future study on the crowding perception(human crowding and spatial crowding), and sought to expand the research not only on the outcome variables of customer satisfaction, but also the related service parts. Because the study has a limit to generalize due to using only the specimen of customer satisfaction for casino companies, it is judged that the range of specimen targets should be extended in the following-up study here after

      • 소비자 특성에 따른 주얼리 인터넷 쇼핑몰의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관한 연구

        한수정 경기대학교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소비자 특성에 따른 주얼리 인터넷 쇼핑몰의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관한 연구이다. 소비자 특성을 분류하기 위하여, 소비자 특성을 하위 5가지 요소로 세분화 하였다. 5가지 하위 요소는 다음과 같다. 과시소비성향, 물질주의성향, 준거집단영향, 자기표현, 자아존중감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또한 종속변수로 주얼리 인터넷 쇼핑몰의 속성에 대한 태도와 만족도 및 재방문의도를 설정하였다. 주얼리 인터넷 쇼핑몰의 속성으로는 사용자 편리성과 신뢰도라는 2가지 요소로 분류하였다. 이런 소비자 특성들이 주얼리 인터넷 쇼핑몰의 속성과 만족도 및 재방문의도와 어떤 관련성이 있으며 집단 간의 차이가 존재하는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한 조사 대상자는 수도권지역 거주하는 성인남녀 3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주얼리 제품을 온라인을 통해 구매한 경험이 있는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주얼리 제품 구매자들이 가진 개인적 특성 정도에 따라 쇼핑몰 만족도 및 신뢰도 형성에 차이가 있을 것이며 구매 의도나 재방문의도 역시 차이가 있을 것으로 가설을 구축하였다. 이런 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집단 간 평균 차이분석인 일원 변량 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주얼리 제품 소비자들의 특성의 정도에 따라 인터넷 쇼핑몰의 속성에 대한 인식과 태도 형성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출발하였다. 연구 결과는 기존의 연구들이 소비자 특성과 구매 의도나 재방문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면서 구매자 특성의 정도에 따라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구매자들의 5가지 특성으로 세분화하여 구매자들의 특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리하여 쇼핑몰에 대한 인식과 재방문의도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듯이 과시소비성향이나 물질주의성향이 강한 구매자들일수록 주얼리 쇼핑몰의 만족도나 신뢰도가 높고 구매 의도나 재방문의도 역시 높다는 사실을 얻을 수 있었다. 물질주의 성향 및 과시소비성향이 낮은 구매자들보다 높은 구매자들은 사람의 품위, 사회적 계층적 지위, 유명브랜드 선호, 고급 레스토랑 선호, 브랜드 이미지 위주로 구매하고 드러내 보이려는 경향이 강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주얼리 제품 개발자나 마케팅 담당자는 주얼리 제품 개발 및 제품, 가격, 유통, 광고 전략을 소비자의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효과적인 전략으로 판단된다. 준거집단의 많은 영향을 받는 구매자들 일수록 쇼핑몰에 대한 만족도나 신뢰도가 준거집단의 영향이 낮은 구매자들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터넷 쇼핑몰의 속성을 개발할 때 이런 입소문을 고려한 사이트 개발 및 제품 개발이 병행되어야 하겠다. 속성의 편익 범위가 고려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인터넷 쇼핑몰에 속성이 다양한 특성을 가진 구매자들에게 편익이나 가치가 실현될 수 있는 개발이 되어야 하겠다. 이런 과정이 선행되어야 주얼리 제품이나 쇼핑몰 만족도 및 재방문의도를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판단된다. 자기표현이나 자아존중감이 강한 구매자들일수록 쇼핑몰 만족도 및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고 구매 및 재방문의도가 높았다. 인터넷 쇼핑몰 속성에 대한 인식은 구매자들의 자기표현이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일수록 쇼핑몰 속성 인식에 호의적이라고 판단된다. 인터넷은 자기표현의 공간을 제공한다. 자기를 드러내 고 의견을 제시하기를 좋아하는 구매자들을 위한 쇼핑몰 속성 개발이나 구매의도 및 재방문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도 사이트 개발시 제품 개발에도 이런 점을 고려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주얼리 인터넷 쇼핑몰의 속성 요소인 만족도 및 신뢰도는 주얼리 제품 구매자들의 구매의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재방문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매체의 신뢰도는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향이나 쇼핑몰 재방문의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구매자들의 제품이나 쇼핑몰을 통한 만족도 형성은 결국 재구매 및 재방문의도를 결정하는 필수적인 선행요인이라고 판단된다. 주제어: 소비자 특성, 주얼리 제품, 인터넷 쇼핑몰, 만족도, 재방문의도

      • 위탁급식조리종사원의 직무요구가 조직냉소주의에 미치는영향 : 조직신뢰 매개중심으로

        전장철 경기대학교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직무요구의 하위차원으로 역할 모호, 역할갈등, 역할과부하를 선행변인으로 조직신뢰 및 조직 냉소주의 하위차원인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인 측면에서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직무요구의 하위차원들과 조직냉소주의의 관계에서 조직신뢰 매개효과를 파악하여 위탁급식 조리종사자의 직무요구에 따른 조직냉소주의 및 조직신뢰 간 관련성을 검증하여 향후 위탁급식업체의 조리종사자들의 인적자원관리에 효율적인 방법을 다양하게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과 수도권 소재 위탁급식 조리종사원들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5년 8월 10일부터 8월 30일 까지 총 300부를 배포하여 중 적합하지 못한 18부를 제외하고 26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 데이터 코딩 및 데이터 크리닝 과정을 거쳐, SPSS 18.0/AMO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공분산 구조분석, 소벨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직무요구의 하위요소인 역할과부하는 정(+)의 역할갈등은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역할모호는 조직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신뢰는 행동과 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에는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모호는 행동과 정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지에는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역할갈등은 행동과 정서 및 인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역할과부하는 행동과 정서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지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역할모호, 역할갈등, 역할과부하가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행동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역할모호, 역할갈등이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인지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역할과부하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역할모호, 역할갈등, 역할과부하가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서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위탁급식조리종사원들에 대한 유익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학봉 김성일의 지방관 활동과 목민관 : 나주 목사 재임기를 중심으로

        김종성 경기대학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07

        This study analyzes the work and the governing principles of Hakbong Kim Sung-il when he was the Moksa of Naju. Through analysis this study will examine his efforts to realize the ideal Chu-tzu (Neo-Confucianism) world that he learned as the top pupil of Yi Hwang. Kim Sung-il served the government posts as a Cheongyo, Sunmoo-eousa, Tongsin-busa, and Choyusa. Studies on him are focused mainly on his activities as Tongsin-sa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his academic world. Studies on his office as the Moksa of Naju also remain only in part and not the whole period. Kim Sung-il served as the Moksa of Naju for quite a long time, about three and a half years at the age of 46, when his learnings were established. Kim Sung-il's activities as the Moksa of Naju will allow us to learn about his views and thoughts. Kim Sung-il served as the Moksa of Naju and left many materials. The main activities of Kim Sung-il as the Moksa of Naju are restoring the Sajikdan, installation of sinmungo, addressing lawsuits, establishment of Seowon, writing and publication, and social discourse, Kim Sung-il wanted to establish the authority and legitimacy of the Joseon royal family by restoring the Sajikdan, and installed a sinmungo to listen to the voice of the people in person. Kim Sung-il addressed the accumulated lawsuits of Najumok with no issues. The installation of a sinmungo did not result in excessive work, and lawsuits from the Jeolla-do province were channeled to Naju. Kim Sung-il established the Geumyang-Seowon in Naju and published books on Chu-tzu and Yi Hwang. He did his best to establish a base from which scholars could cultivate themselves, and from which the people could be edified. Kim Sung-il wanted for the people to be faithful to their duties in order to realize the ideal Chu-tzu word. To this end he established the authority and legitimacy of the Joseon royal family, carried out his duties according to principles and rules, and established the Seowon for the scholars to cultivate themselves and edify the people. The Seowon was also provided to the scholars for their activities. Kim Sung-il did not bestow the role of the scholars as edifiers in power or faction, but instead hoped for all the scholars to do their part. This is why in his books, "Geumseongrok" and "Yujeok-byeokgi," the social interaction figures are not inclined to any power or faction. Kim Sung-il installed a sinmugo for the people to be faithful to their work, and to raise their voices so he could address them clearly in person. Kim Sung-il wanted to edify the customs and cast out cunning individuals in order to realize the ideal Chu-tzu world. For this Kim Sung-il carried out his work as a Moksa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the Suryeong-chilsa. He excelled especially in carrying out the Sasong-gan, Ganhwal-sik, and Hakgyo-heung. These demonstrate that Kim Sung-il believed that in order to realize the ideal Chu-tzu world, people needed to be faithful to their work, and that this could be achieved by edifying the customs. However, Kim Sung-il’s work as the Moksa of Naju had its limits as a Neo-Confucianism scholar. He treated people with love, but lacked social discourse and breaking down the barrier of classes. He also became the target of political attacks due to his actions strictly in accordance with principles and rules. 이 연구는 학봉 김성일의 나주 목사 재임기 활동과 목민관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또한 김성일이 이황의 高弟로 그의 학문과 사상을 받아들인 뒤 주자학적 이상 세계를 실현하고자 했던 활약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에 대한 연구는 주로 임진왜란 이전의 통신사 활동, 학문 세계 등에 집중되어있다. 나주 목사 재임기에 관한 연구도 주로 나주 목사 재임 기간 전체가 아닌 일부에 머물고 있어서, 나주 목사 재임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김성일은 청요직과 순무어사, 통신부사, 초유사 등의 관직을 역임했다. 그는 46세에 약 3년 6개월이라는 긴 기간 동안 나주 목사로 재임하였다. 김성일의 나주 목사 재임기 활동을 통해 그의 목민관과 사상을 조명해 볼 수 있다. 김성일은 나주 목사로 재임하면서 많은 자료를 남겼다. 김성일의 주요한 나주 목사 활동은 사직단 중수와 신문고 설치, 송사의 처리, 서원의 건립과 저술·간행 활동, 교유활동으로 볼 수 있다. 김성일은 사직단을 중수하여 조선 왕실의 권위와 정통성을 세우고, 신문고를 설치하여 백성들의 억울함을 직접 듣고자 했다. 김성일은 나주목에 적체되어 있던 송사들을 신속하게 처리하였다. 신문고의 설치는 업무의 과중함을 부르지 않았으며, 그의 송사 처리 관행은 전라도의 송사가 나주로 몰리게 했다. 김성일은 공무적 활동과 함께 관민의 교화를 위한 시책도 시행하였다. 나주에 錦陽書院을 세우고 주자, 이황과 관련된 책들을 간행했다. 이것은 나주의 士들이 자신을 수양하고 백성들을 교화하기 위한 역할을 다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토대의 구축이었다. 김성일은 주자학적 이상세계를 실현하기 위해 모든 백성들이 자신들의 직분에 충실할 수 있게 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먼저 왕실의 권위와 정통성을 세우고, 자신은 원리원칙에 따라 직임을 수행했으며, 자신을 수양하고 백성들을 교화시킬 士들의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서원을 건립했던 것이다. 그가 설립한 서원은 士들의 활동 공간으로 제공되기도 했다. 김성일은 지방을 교화하는 士의 역할을 권세나 붕당 등에 두지 않고, 모든 士들이 자신들의 역할을 다하길 바랐다. 그가 저술한 『錦城錄』과 「遊赤壁記」에 등장하는 교유 인물은 권세나 당파 등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김성일은 民들이 자신들의 본업에 충실할 수 있도록 신문고를 설치해 문제를 직접 제기할 수 있게 하고 송사를 명쾌하게 처리했다. 김성일은 주자학적 이상세계를 실현하기 위해 간사한 자들이 없게 하고 풍속을 교화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김성일은 목사의 역할인 守令七事에 따라 원리원칙에 맞게 행동했다. 김성일은 守令七事 중 특히 詞訟簡, 奸猾息, 學校興의 직임을 잘 수행했다. 이것은 김성일이 주자학적 이상세계를 실현하기 위해선 모든 民들이 자신들의 직분을 다해야 하며, 이는 풍속의 교화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봤던 것이다. 다만 김성일의 나주 목사 활동은 성리학자로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것은 애민사상을 가지고 백성들을 대했지만 교유관계나 신분제 타파 등이 나타나지 않는 점, 원리원칙에 따른 행동으로 정치적 공격의 대상이 된 점이다. 이점은 왕조국가의 국시에 따라 활약한 성리학자의 모습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그럼에도 학봉의 나주목 활약은 조선전기 성리학자들의 도학 정치 구상 및 실현에 대한 대표적 사례라고 평가할 수 있다.

      • 윤리적 리더십이 윤리풍토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직동일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인숙 경기대학원 관광전문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07

        This research was conducted studies on a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climat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nother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climate and ethical leadership for effectiveness of ethical leadership to examine closely. In addition, this study was testified to moderator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climat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he effectiveness of ethical leadership which is considered by result variable ab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ember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ethical leadership positively affects the ethical climat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oderator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positively affects only for affirmative involvement which is low rank variable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For this reason, it is totally inappropriate for function of moderator variable. This result represents a feature of casino industry that has a leader in a group who has ethical leadership and responsibility in the industry. So, the leader in the group requires high-level of ethical leadership and ethical climate. As a result the ethical leadership has intimated correlation between ethical climat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llow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for this research,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thical leadership, the ethical climate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from the research model design. Also,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by the moderator variable and exhibited implication and limitation for this research. This study informs not only the fact on the ethical leadership, but also explains about the moderator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Moreover, this research will offer practical implication in the hospitality or casino industry by study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climat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oderator effect of each variable. 기업윤리를 21세기 기업 경쟁력이라 하여 사회적 책임론과 이해관계자 이익론을 통합한 의무론과 효용론의 적용기준을 만드는 등 윤리적 책임과 행동기준을 중요시 여기고 있다. 나아가 각 나라에서는 기업의 윤리경영을 평가하고, 그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경제정의지수, 부패지수, 윤리지수, 신뢰경영지수, ISO 규격, 주가지수 등을 이용하여 기업과 국가에 적합한 지수를 개발·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기업윤리는 사회적 상황에 맞게 적용되는 것이다(신유근, 1996). 더불어 기업의 가치를 강화하는데 리더의 윤리적 행동이 중요하며, 리더의 행동에 의해 생성되는 가치가 조직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리더의 윤리적 리더십은 기업의 윤리경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Northouse, 2012). 다시 말해, 기업의 윤리경영을 위해서는 조직의 가치를 확립하고 강화하는데 리더의 역할이 중요시 되고, 리더에 의해 촉진되는 가치가 조직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리더십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이때 윤리적 리더십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수행을 통해 기업의 이해관계자들과의 협력관계를 돈독하게 구축할 수 있음은 물론, 사회적 책임수행은 긍정적인 기업이미지를 확립시키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김영복·최만기, 2011). 기업이 사회적 책임과 윤리경영이 필수적인 경영환경에서 리더의 윤리적인 역할과 책임의식이 요구되고 있고, 이와 관련하여 많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주제로서 윤리적 리더십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한편 기업의 비윤리적 행위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조직풍토의 한 차원으로서 윤리풍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조직풍토는 한 조직체가 주어진 내외환경에의 적응과정에서 형성된 조직의 독특한 풍토나 분위기라고 할 수 있다(서정기, 2014). 이러한 조직풍토는 조직구성원들이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한 적절한 수단과 방법을 받아들이는 조직 전체적 개념이며, 여러 조직구성원들이 공유된 지각을 가질 때에 나타난다는 전제조건을 가진다(심창현·신유형, 2013). 따라서 기업이 사회적 법규와 규범을 준수함으로써 윤리적 풍토를 갖게 되면 조직의 구성원들은 자신이 하는 일에 있어서 몰입도가 강화된다고 한다(박헌준, 2002). 조직유효성의 유용한 척도로서 조직몰입은 직무특성, 역량, 리더십, 조직공정성, 조직지원 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목표성취 노력, 내외재적 만족, 적극적 행동, 이타주의 및 직무성과를 높이고 결근율, 이직의도 및 이직행동을 포함하는 부정적 결과를 줄이는 효과를 갖는다(O'Reilly & Chatman, 1986; Meyer et al., 2002). 이처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학문적 관심이 많으나 조직몰입에 미치는 윤리적 영향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Cullen et al., 2003). 이와 같이 윤리적 경영환경 변화는 조직구성원의 내적환경 또한 변화시켜 이로 인해 개인의 태도와 행동으로 발현되어 조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조직동일시는 조직 구성원의 태도와 행동을 가늠할 수 있는 요소로서 조직에 대한 소속감과 의미부여, 자신과의 관련성 설정, 조직효율성 추구 등 조직 전반에 걸쳐 영향을 주고 있는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조직동일시는 조직을 개인에서 확장된 자아로 보고 조직의 성취감에 대해서도 개인 자신의 성취감으로 인지하고, 자신의 성공이 조직의 성공이라는 동일시를 지각함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조직에 기여하도록 해주는 개념이라고 하였다(Dutton et al., 1994). 즉, 조직 구성원이 조직에 대한 소속감 또는 일체감인 조직동일시를 지각하는 정도가 높을 때 윤리적 리더를 모델링하여 정착된 윤리풍토는 결과적으로 조직의 지속적인 성장의 원동력이 될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구성원의 조직몰입은 역시 더욱 강화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리더십의 효과성을 규명하기 위해 윤리적 리더십과 윤리풍토 간의 관계, 윤리풍토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더불어 윤리풍토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조직동일시의 조절효과를 실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리더십의 종속변수로 사용되는 구성원의 조직몰입을 결과변수로 고려하여 윤리적 리더십의 영향력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들 간의 관계에서 구성원의 성과를 예측하는 중요한 선행변수이자 리더십 효과성을 설명하는 중요변수인 조직동일시를 조절변수로 설정하였다(Riketta, 2005).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하여 문헌고찰과 실증 연구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표본은 국내 K카지노 기업에 소속된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며 분석기법으로는 기초통계 분석, 신뢰성 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많은 연구에서 통계분석으로 사용되고 있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실증연구에 사용된 설문 내용은 기존 연구자들이 채택, 사용한 문항의 타당성과 신뢰성이 검증된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가설 1의 윤리적 리더십이 윤리풍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채택되었다. 둘째, 가설 2의 윤리풍토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은 조직몰입의 정서적 몰입과 지속적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 또한 채택되었다. 셋째, 가설 3의 윤리풍토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조직동일시의 조절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조직몰입의 하위변수 중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속적 몰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정서적 몰입에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부분채택 되었다. 이상의 전체적인 결과를 종합해 보면 가설 1, 2는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고, 가설 3은 부분채택 되었다. 즉, 윤리적 리더십이 윤리풍토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기제로 작용하고 조직동일시의 조절효과는 조직몰입의 하위변수인 정서적 몰입에만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쳐 조절변수로서의 기능이 전체적으로는 적합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이는 조직 내의 리더의 윤리적 리더십을 갖는 도덕적 사고와 책임감에 대해 본 연구 표본의 대상인 카지노업종 자체가 갖는 특성으로 높은 수준의 윤리적 리더십과 윤리풍토가 요구됨을 시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윤리적 리더십은 윤리풍토와 함께 조직몰입에 간의 매우 밀접한 상관성을 가짐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연구모형에서 제시한 윤리적 리더십과 윤리풍토, 조직몰입의 영향관계에서 조직동일시를 조절변수로 실증적으로 연구하여 이 변수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 대한 규명뿐만 아니라 조직동일시의 조절효과에 대한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또한 윤리풍토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더욱 촉진시킬 수 있는 변수의 조절효과를 연구함으로써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이론적 확장을 도모하고 연구결과를 토대로 업무현장에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궁극적으로는 기업의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연구에 이바지 하여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필요성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고자 한다.

      • 정보기술의 활용에 의한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수원시 사례를 중심으로

        유원 경기대학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07

        우리나라도 지방자치가 확립되었고 지방화와 더불어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고 있는 것이 정보화인데 행정의 능률성을 제고시키고 행정 서비스를 높일 수 있는 핵심적인 기능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자치에 따른 이론적 고찰을 해보고 정보화의 환경 변화 속에서 정보기술을 활용한 주민참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주민참여를 활성화 할 수 있는가를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민 참여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주민 참여 활성화 방향을 나타내고자한다. 지방자치단체의 근본적 목적은 주민이 직접 지역을 통치하는데 있다. 그러나 시간적 공간적 경제적 이유로 말미암아 주민의 직접참여도는 아주 적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정보기술의 발달은 이러한 시간적 공간적 경제적 문제를 극복하고 지방자치에 주민이 직접 참여 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였다. 주민이 직접 정책 결정과 집행에 참여하기 때문에 주민들은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지방 정부의 정책에 참여 할 수 있다. 그리고 주민의 정책 참여의 폭이 넓어진다. 연령, 직업, 지역에 관계없이 누구나 참여 할 수 있어 참여의 폭이 넓어지며 사이버공간에서의 공정화나 토론방을 통하여 공정화 등을 상설화 할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정보기술을 통하여 정책 형성의 논의 과정을 공개 할 수 있으며 모든 주민의 의견을 수립 할 수 있어서 편리하고 다양하게 주민이 참여 할 수 있다. 그러나 지방자치 단체에서 정보화 시대에 적극적인 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하여 웹사이트 환경을 개선하고 지방자치 단체의 정보를 적극적 공개해야 하며, 웹사이트안의 콘텐츠의 다양성과 업데이트, 행정의 대응성을 강화해야 하며 정보 소외 계층을 위한 서비스 등을 통하여 주민 참여 활성화 방향을 찾아 주어야 할 것이다. 정보기술의 다각화로 인한 주민 참여는 모든 주민의 의견을 수립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단지 이를 통해 주민 참여 방식에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없애고 좀 더 다양하고 편리하게 주민 참여 방식을 구현하는데 있다. 정보화 시대 지방자치단체에서 정보기술을 통한 주민 참여를 끌어낸다면 다양하면서도 독창적인 발전된 지방정부의 모습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 어머니의 우울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이보슬 경기대학원 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우울과 자녀의 자아존중감을 살펴보고, 어머니의 우울이 양육하고 있는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어머니의 우울감소 및 유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어머니의 우울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별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화성시 내 어린이집 재원아 및 남양동, 봉담·향남읍, 동탄동 거주의 만 3세~만 6세 유아를 대상으로 206부를 배부하였고, 응답에 오류가 있는 설문지를 제외시킨 설문지 총 157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도구로, 어머니의 우울척도는 (Beck Depression Inventory : BDI) 1961년 Beck이 제작하고 1978년에 개정한 BDI의 번역판(한흥무염태호신영우 등, 1986)을 사용하였다. 또한 자아존중감척도로는 송인섭(1993)이 표준화시킨 자아개념 검사지를 이경화  고진영(2006)이 보완하고 송인섭이 감수한 유아용 자아개념 검사지를 척도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1.5를 사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t-test, ANOVA,다중회귀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결론에 근거하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들이 비교적 자아존중감이 높게 지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신체능력을 제외한 나머지 하위요인에서 남아보다 여아의 자아존중감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선행연구에서 각 하위 영역 내에서 성차의 비교연구결과들이 서로 불일치하고 있으므로, 계속 논의 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유아의 연령에 따라서 자아존중감의 차이가 나타나는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연령에 따른 유아의 자아존중감에는 큰 차이가 없었고, 유의미 하지 않았다. 만3세 유아는 만4,5세 유아보다 자아존중감이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부모관계 및 언어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요인들이 어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해본 결과 부모관계에서는 만3세와 만6세 유아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능력, 부모관계, 일반자아의 자아존중감은 유아의 나이가 많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친구관계, 언어 및 수학능력은 유아의 나이가 많을수록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어머니 우울점수와 유아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어머니의 우울이 높아질수록,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낮아졌다. 또한 자아존중감의 하위 요인 중 신체능력, 부모관계, 일반자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우울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우울과 유아의 자아존중감과의 나타나는 결과는, 어머니의 우울이 개인의 고통에 그치지 않고 가족관계의 측면에서 고려해야할 필요성을 다시 확인해 주었다. 또한 아동에 대한 적절한 개입을 위해서는 어머니의 심리 상태에 대한 진단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며, 아동상담 및 치료 현장에서 아동의 치료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어머니의 우울의 감소를 위한 구체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