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nti-aging Effects of Fermented Solanum melongena L. Peels Extracts in Human Dermal Fibroblasts and its Cosmetics Development

        이주화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일반대학원(GLOCAL) 2023 국내석사

        RANK : 252687

        The skin, being the outermost organ of the human body, provides a crucial barrier against various external stimuli. Skin exposure to ultraviolet radiation is known to induce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contributing to skin aging. ROS promotes the secre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leading to collagen degradation. Numerous studies have focused on inhibiting ROS, revealing natural substances with antioxidant properties. The peel of Solanum melongena (eggplant) is rich in phenolic and flavonoid compounds, demonstrating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characteristics. Lactobacillus plantarum, a type of probiotic, is known for it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nti-aging efficacy of bio-converted eggplant peels (BEPs) in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 Hydrogen peroxide (H2O2) treatment was employed to induce oxidative stress in HDFs. BEPs showed no toxicity up to 100 ppm concentration in HDFs. BEPs also demonstrated wound healing efficacy in H2O2-damaged HDFs. BEPs decreased ROS levels and increased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in H2O2-damaged HDFs. BEPs inhibited phosphorylation levels of ERK, p38, JNK, and NF-κB, and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p16, p21, and p53 in H2O2-damaged HDFs. BEPs upregulated the mRNA expression of type I collagen and SOD1 in H2O2-damaged HDFs. Furthermore, BEPs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 (IL)-6 and IL-1β. Cream-type cosmetics containing BEPs were performed stability testing under various temperature conditions. Taken together, BEPs possess anti-aging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more than non-fermented EPs, making them an effective ingredient in anti-aging cosmetics. 피부는 우리의 몸에서 가장 바깥 쪽에 위치한 기관으로 다양한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한다. 피부는 외부 자극 중 하나인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될 때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발생하며 피부노화를 초래한다. ROS는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기질금속단백질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콜라겐 분해를 야기한다. 이러한 ROS를 억제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항산화 효능을 갖는 천연물이 발견되었다. 가지(Solanum melongena)의 껍질에는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항산화 및 항염증 특성이 존재한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은 유산균의 한 종류로서 항산화 및 항염증 특성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에서 발효된 가지껍질추출물 (Bio-converted Eggplant Peels, BEPs)의 항노화 효능을 평가하였다. HDFs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기 위해 H2O2 처리했다. BEPs는 HDFs에서 100 ppm까지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H2O2로 손상된 HDFs에서 상처 치유 효능을 입증했다. BEPs는 H2O2로 손상된 HDFs의 ROS level을 낮췄으며, 미토콘드리아 막전위를 증가시켰다. BEPs는 H2O2로 손상된 HDFs에서 ERK, p38, JNK, NF-κB의 인산화를 억제했으며 마찬가지로 p16, p21 그리고 p53의 발현도 하향 조절했다. BEPs는 H2O2로 손상된 HDFs의 type I collagen과 SOD1의 mRNA 발현량을 상향 조절했다. 또한 BEPs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IL)-6 및 IL-1β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했다. 또한 BEPs를 포함한 크림 타입 화장품은 여러 온도 조건에서 안정성 테스트가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BEPs가 항노화 및 항염증 효능이 있으며 더 나아가 항노화 화장품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 웹툰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수 학습 방안 연구 : 베트남 중급 학습자 중심으로

        짠티응안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일반대학원(GLOCAL) 2023 국내석사

        RANK : 252687

        이 연구는 베트남 학습자를 중심으로 웹툰을 활용하여 바람직한 한국어 어휘 교수와 학습 방안을 모색하고, 교육용 웹툰 선정의 기준을 설정하여 베트남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어휘 수업에서 활용이 가능한 교실 활동과 지도안을 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들어 한국어에 관심을 가지는 베트남인이 많아졌다. 한국 국내에 유학생 수가 많아졌을 뿐만 아니라, 베트남 각 대학에서도 한국어를 비롯 하여 한국을 알고자 하는 한국학 전공 과정이 많이 개설되었다. 외국어를 교육하는 데 있어, 단순히 문법만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어휘교육도 신 중할 필요가 있다. 문법을 모르더라도 어휘를 알면 간단한 대화가 가능하 다. 어휘로부터 의사소통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한국어 어휘 교수 학습을 위해 여러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그중에 웹 툰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교육은 매우 재미있고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법 이다. 다른 매체가 아닌 웹툰을 활용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이유로 나 눌 수 있다. 첫째, 베트남 학습자를 대상으로 속담이나 드라마, 노래 등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학습 방안에 관한 연구는 이미 많이 이루어진 데 반 하여, 웹툰을 활용한 연구는 한 번도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 서 미디어 매체인 웹툰을 활용해 한국어 어휘 교수 학습의 방안을 모색하 였다. 둘째, 웹툰은 결코 유행에 뒤떨어지지 않는 훌륭한 한국어 학습 도 구이기 때문이다. 웹툰은 영화나 드라마와 마찬가지로 본질적으로 흥미롭 고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매체이다. 그러므로 문법만 집중하는 수업에 지루함과 부담감을 느끼는 학습자들에게 웹툰 활용 수업은 즐거운 반응을 일으킬 것이다. 게다가 웹툰의 대사에는 한국인의 사고방식과 생활 방식, 가치관 등이 잘 담겨 있어서, 웹툰으로 한국어를 학습하게 되면 학습자들 의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에 큰 도움이 된다. 제1장 서론에서는 한국어 어휘교육에서 웹툰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하는 연구사를 검토하여 본 논문의 목적과 동기, 연구의 방법과 범위를 제시하고, 학습 대상을 중급 베트남 학습자로 정한 의의를 밝혔다. 그리 고 베트남 학습자들이 한국어 어휘를 학습하는 데 자주 나타나는 오류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 어휘교육의 필요성과 한국어 어휘 지도 및 어휘 학 습 방법을 기술하였다. 동시에 웹툰의 개념과 특성, 웹툰의 유형을 살피 면서 웹툰의 언어 교육적 활용 가치 측면인 웹툰의 한국어 어휘 학습 교 수의 교육적 효용성을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교육용 웹툰 선정의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서 베트남 학습 자 대상으로, 웹툰과 웹툰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에 대한 설문 조사를 진행 하였다. 제4장에서는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웹툰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의 실제 를 보여준다. 여기서는 한국어 어휘 수업의 개요와 수업의 내용을 먼저 제시한 다음에, 그 내용을 바탕으로 웹툰 활용 한국어 어휘 수업에서 활 용할 활동들과 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웹툰은 멀티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매체이기 때문에, 한국어 어휘 교육 자료로써 매우 유용하다. 본 연구가 베트남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웹 툰을 활용한, 효율적인 한국어 어휘 교수 학습 방안을 찾는 데에 큰 보탬 이 되기를 바란다. 주제어: 한국어, 어휘 학습, 웹툰 활용, 베트남 학습자, 웹툰 활용 수업

      • 의미연결망분석을 적용한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간호연구의 지식구조

        정상희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일반대학원(GLOCAL) 2023 국내박사

        RANK : 252687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e keywords and topics of adolescent mental health research over the past 20 years to better understand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nursing. To establish a developmental strategy for adolescent mental health, the accumulated data gathered from nursing research were analyzed, understood, or visualized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A total of 1,714 articles published between from 2002 to June 2023 were selected in databases(Medline, Pubmed, Embase, Web of Science, CINAHL, Scopus, ERIC, Education Source, and Wiley Online Library). And domestic databases were retrieved from Korean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Center (NDSL),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6,968 words extracted, an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NetMiner ver. 4 program. The LDA algorithm was used to confirm topics and trend trends by period. Word network maps were created based on standardized measures of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The most important keywords were 'schoolwork', 'somatic symptom', and 'well-being'. Six topics were derived through topic modeling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into four periods for 5 years, adolescent mental health-related nursing research were divided into six topics. Topic 1 was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 consisting of information and programs to adjust the unstable psychological state of adolescents and the decline in self-esteem due to academic performance. Topic 2, emerging from the adaptation to school and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friends, leading to physical and emotional imbalance, was identified as 'Somatization Disorders due to School Adaptation'. Topic 3, reflecting conflicts within the family or experiences of being ostracized at school, was named 'Victimization of Adolescent Bullying'. Topic 4 was termed 'Risky Behaviors of At-risk Adolescents', with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in crisis situations emerging as key terms. Topic 5, 'Adolescent Suicide Prevention and Management', was composed of health management for adolescents with suicide attempt experiences. Topic 6, exploring factors affecting well-being, was named 'Influencing Factors on Adolescent Well-Being'. The trend analysis of topics over time showed increasing trend for all topics. In the centrality analysis of topic trends in adolescent mental health nursing research, common terms throughout the periods included 'schoolwork', 'somatic symptom', 'well-being', and 'inform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over the past 20 year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school and developmental issue related to adolescent mental health. In order to promote self-esteem and school adaptation, and prevent risk behaviors, various nursing intervention for adolescent mental health, should be developed in nursing fields. Based on these results it suggests that researchers expand the range of knowledge through collaborative author networks and advanced studies on citation network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 인간실존의 탐구를 통한 비정형인체 표현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문스데반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일반대학원(GLOCAL) 2023 국내석사

        RANK : 252687

        인간실존의 탐구를 통한 비정형인체 표현연구 본 논문은 농경 생활 이후 문명이 발달하고 동시대에 이르기까지 점차 심화 되어가는 인간관계에서의 심리적 부조화와 삶이 고통스러운 원인을 고찰하고 비정형 인체를 통해 방향성을 제시하며 표현방식을 탐구, 발전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자는 위와 같은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에피쿠로스와 쇼펜하우어 의 철학을 참고하여 세상을 바라보고자 한다. 먼저 에피쿠로스의 쾌락주의 철학에선 인간의 삶이 고통스러운 원인을 욕망에 두는데, 이를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충족되어야 하는 욕구와 그렇지 않은 욕구로 나누어 전자는 최소한으로 취하고 후자는 절제하여 소극적인 쾌락을 취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는 적극적 쾌락의 충족은 반드시 고통과 불안이 따르기 때문인데, 에피쿠로스가 주장하는 것은 일종의 정신적인 쾌락으로 마음의 평온과 최소한의 충족을 최고선으로 여기며 이것의 실천으로 우리는 고통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어 쇼펜하우어는 고통의 원인을 우리의 존재가 현상계 이면에 있는 의지의 표상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이것은 맹목적인 욕망인 의지에 의해 끊임없이 채찍질 받기 때문에 영원히 고통스러울 수밖에 없다고 말 하는 것으로, 그는 고통을 줄이는 해결 방안으로써 의지의 존재를 인식하고 우리가 이것에 영원히 지배받는다는 사실을 인정하여 그것에 저항할 것을 주장한다. 본 연구자는 두 철학자의 주장을 연구하여 고통의 원인과 본질을 분석 하고 이를 통해 얻은 것을 비정형 인체를 통해 표현하여 보는 이에게 삶을 사유하게 하고 인간실존의 본질과 심리적 부조화의 원인에 대한 질문을 던지려 한다. 이를 위한 일련의 방법으로 작업 내에서 주제를 세분화 하여 각 이야기에 알맞은 표현방식에 대한 연구를 주로하고, 각 요소의 의미확장, 매체의 확장 등을 끊임없이 도모한다. 연구자 작업 전체를 이끄는 비정형의 개념은 조르주 바타유에 의해 전개되었는데, 지속해서 형식을 파괴하고 해체하는 성격을 가진다. 연구자의 작업은 이와 같은 성격을 작업에 적용하였기 때문에 인체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개념과 형식을 계속해서 재조직하고 확장하는 것을 조형적인 기준으로 삼았다. 이러한 비정형 인체를 표현하는 것의 초석을 다지기 위해 히에로니무스 보쉬, 구스타브 도레, 프란시스 베이컨, 한스벨머의 작업을 참고하여 인체변형의 규칙을 세웠고 그들의 작업 관을 본받아 조형적 언어의 지속적인 발전을 기대하였다. 왜곡되고 변형된 연구자의 비정형 인체는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필수 적으로 겪는 심리적인 부조화를 시각적으로 직면하고 사유하게 하며, 나아가 스스로 상처를 치유케 하는 의미를 지닌다. 또한, 작가와 관람자 사이에 소통이 이루어지는 매개체가 되어 서로의 상상을 공유하는 장이 열리길 기대한다. 주제어 : 인체, 부조화, 비정형, 인간관계, 삶, 죽음

      • 월드컵 중계방송의 그래픽과 샷이 시청자의 몰입감에 미치는 영향

        양밍저우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일반대학원(GLOCAL) 2023 국내석사

        RANK : 252687

        본 연구는 월드컵 중계방송 화면에서의 그래픽(자막)과 샷이 몰입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표를 둔다. 스포츠 중계방송은 기술의 발전과 실시간 중계방송이 전 세계로 확장함에 따라 더욱 인기가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스포츠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마케팅 전략, 전 세계적인 관심은 중계방송의 발전에도 영향을 미친다. 1930년 우루과이에서 첫 월드컵이 열린 이후 월드컵은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게 되었고 광고와 비즈니스 측면에서도 중요한 스포츠 상품이 되었다. 월드컵 중계 영상의 좋은 화질과 촬영 기술은 많은 팬을 만들고 부가 상품의 수입에도 기여를 한다. 그러므로 촬영, 그래픽, 경기 수준 등이 잘 겹합된 높은 수준의 스포츠 경기는 시청률에도 기여를 하며 문화적, 상업적 확산도 불러일으킨다. 본 논문은 시청자의 몰입감을 불러일으키는 여러 원인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선행 연구를 통해 몰입감의 기본 개념을 확인하고, 월드컵 경기 화면 속 몰입감을 미국 심리학자 미할리(Mihalyi Csikszentmihalyi)와 사회학자 웨버(Weber)의 몰입감 이론을 차용했다. 시청하는 영상의 흥미를 유발시키는 요소는 매체별로 다양한데, 본 논문에서는 영화, 게임, 실감미디어 등에서 참여자(시청자)의 몰입을 강화하는 측면을 살펴보면서 스포츠 경기 중계, 특히 축구 경기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을 경기 내용, 유명한 선수, 촬영 및 영상 전송 기술의 발전, 전자기기의 발전 등으로 확인했다. 본격적인 월드컵 중계방송의 경기 몰입감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 전에, 예비 면담을 실시했다. 소수의 초점 집단 면담(Focus Group Interview)에게 2014년, 2018년, 2022년의 세 차례의 월드컵 결승 경기 녹화 자료를 시청하게 한 후, 경기 내용에 설명하고 몰입감에 영향을 주는 부분을 확인했다. 참가자들은 월드컵 세 경기의 경기 초반, 경기 중반, 경기 후반의 세 단계를 시청하였으며 경기의 몰입감에 미치는 영향을 구술하였다. 연구자는 참여자의 반응과 결과에 따라 월드컵 중계방송의 몰입감에 미치는 영향을 자막 그래픽, 샷, 경기의 흥미진진함, 유명한 축구선수, 사운드 효과 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중에서 본 연구는 경기 화면의 자막 그래픽과 샷(카메라 연출)을 중심으로 논문 설계를 하였으며, 표본 집단의 설문 조사와 초점 집단 면담을 통해 구체화하였다. 여기에는 심리학자 첸 스샹(Chen Hsiang)이 제안한 몰입 경험 척도(Flow questionnaire)를 사용했다. 그의 척도 방식에 따라 월드컵 중계방송 화면의 몰입감 영향 요소를 인지 및 지각 측면으로 분류했다. 몰입감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몰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원거리 현장감, 시간 왜곡, 완전한 집중, 자의식 상실의 4차원으로 구분하고 각각 문항을 설계하여 설문지를 완성하고 적용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유효한 설문지를 정리하고 기술 통계(Descriptive Statistics), t-test, 분산 분석(ANOVA) 등 통계적 방법을 통해 월드컵 경기 화면의 몰입도에 대한 양적 연구를 실시했다. 이러한 분석 방법과 초점 집단 면담을 통해 팀원 간의 상호 작용 관계를 파악하고 시청자들이 월드컵 중계방송 화면의 몰입감을 어떻게 인식하고 기대하는지에 대해 더 깊고 넓은 이해를 얻어, 월드컵 중계방송 화면의 몰입감을 구성하는 요소를 명확히 하였다. 본 연구는 월드컵 중계방송 화면 분석과 양적, 질적 연구를 종합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월드컵 중계의 품질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향후 월드컵 중계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일상 속 무의식과 심리를 투영한 이미지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반혜진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일반대학원(GLOCAL) 2023 국내석사

        RANK : 252687

        일상 속 무의식과 심리를 투영한 이미지 표현 연구 연구자는 살아가면서 유년기를 거쳐 자아가 함께 만들어지며, 살아가는 환경에 따라 성향이 만들어진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성향은 살아가면서 자 신의 특색과 가치관을 가지기도 하지만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가는 우리에게 자유로운 가치관보다는 사회에 어울리는 가치관을 선호하게 된다. 우리는 그것을 성장이라 말하고 사회성을 가졌다고 말한다. 이런 맞춰진 가치관은 우리에게 자율성과 고독함을 준다. 그래서 잠이라는 휴식을 통해 꾸는 ‘꿈 (dream)’은 새로운 상상의 세계를 창조한다. 온전히 자신만의 세계이자 자신의 무의식 속 어두운 내면까지 포근한 ‘구름(cloud)’을 그리면서 마음의 안식을 안겨주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두 가지 의미가 있는 꿈은 사람이 살아가면 이루려고 하는 미래가 담겨 있 는 꿈과 잠이 들면서 현실이 아닌 공상의 세계로 들어가는 인간의 원초적인 본능의 세계이자 욕망을 들어낼 수 있는 유일한 공간으로 본인 스스로도 인 지하지 못한 불안과 욕망, 결핍을 파고들어 독특하고 몽환적인 분의기의 배 경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이러한 꿈의 특성을 자신의 어린 시절의 추억과 과거의 꿈 이야기를 적용 하여 연구해 초현실주의인 미로, 달리의 어린 시절의 추억이 작업에 영향을 주었듯 본 연구자에게도 연관성을 찾아 적용하였다. 그리고 일상의 구름을 작업에 담아내는 과정에서 식물이 작품에 등장하여 자연스러운 풍경화적인 조화를 이루어 대지의 에너지의 시각적 이미지를 주고자 한다. 그리고 다양 한 색채를 사용하여 인간이 색으로 느끼는 감정과 의미 구름에 담겨 있는 상상의 세계가 풍경을 더욱 극대화한다. 작품은 본인의 그림체로 재해석하 여 담아낸 새로운 가상의 세계이다. 주제어 : 성향, 무의식, 꿈, 초현실주의, 구름, 식물

      • 친환경 옥상 도시농업에서 방향식물과 공영식재에 따른 작물의 생육 및 해충방제 효과

        김한길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일반대학원(GLOCAL) 2023 국내석사

        RANK : 252687

        Plant growth and Pest control Effects of Companion Planting with Aromatic Plants in Eco-Friendly Urban Agriculture on the Rooftop Kim, Han gil Department of Green Technology Convergence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plants growth, productivity and pest control effects of companion planting with aromatic plants on rooftop. Red pepper(Capsicum annuum) and Lettuce(Lactuca sativa) as experimental plants were planted with Rosemary(Salvia rosmarinus), Marigold(Tagetes patula), Korea perilla(Perilla frutescens), and Garlic chives(Allium senescens) in the ratio of 2 to 1. Soil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were measured. Also,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number of leaf, fresh and dry weight of plants, as well as fruit length, fruit weight, number of fruit, fresh and dry weight of fruit were calculated as well. As a resul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il planted with Red pepper and aromatic plants, it was found that companion planting with Garlic chives created a favorable soil environment for Red pepper.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s showed the best growth when red peppers and garlic chives were planted together. The fruit productivity of Red pepper, as influenced by aromatic plants, also demonstrated high quality planted with Garlic chives. When lettuce and aromatic plants were planted together, soil measurements confirmed that the soil environment had a insignificant effect on the growth of lettuce when lettuce and garlic chives were companion planting. The growth and productivity of lettuce were also high overall planted with Garlic chives. As a result of growth measurement, the height and relative chlorophyll content of lettuce was the highest in companion planting with Garlic chives as well. fresh weight of lettuce leaves was analyzed to be the heaviest in companion planting with Korea perilla. Pest traces were gradually observed from 84 days after planting, and show low tendency with planted garlic chive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judged that planting Garlic chives and plants is suitable for effective crop cultivation in rooftop urban agriculture. However, a proper crop management plan depending on rooftop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hould be presented,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such as analyzing the ingredients by dividing the planting rate in detail in the future. 친환경 옥상 도시농업에서 방향식물과 공영식재에 따른 작물의 생육 및 해충방제 효과 본 연구는 옥상 도시농업에서 작물과 방향식물의 공영식재에 따른 작물의 생육 및 생산성, 해충 방제효과를 보고자 실시되었다. 작물은 고추(Capsicum annuum)와 상추(Lactuca sativa)를 사용하였고, 방향식물로는 로즈마리(Salvia rosmarinus), 메리골드(Tagetes patula), 잎들깨(Perilla frutescens, 부추(Allium tuberosum)로 작물과 방향식물을 각각 2대 1 비율로 식재하였다. 측정 항목은 토양의 온도 및 수분함량, 작물의 초장, 엽장, 엽폭, 엽수, 생체중, 건물중, 과실장, 과실경, 과실수, 과실의 생체중, 건물중, 해충 섭식흔적을 측정하여 함께 심은 방향식물 별 생육과 생리, 생산성과 해충 방제효과를 확인하고 분석하였다. 고추와 방향식물의 공영식재에 따른 토양 특성 결과 고추와 부추가 공영식재한 부추 처리구에서 식물이 생육하는데 유리한 토양 환경을 조성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고추의 생육 및 생리 특성 결과 고추와 부추를 함께 식재 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자람세를 보여주었다. 이는 고추와 부추를 공영식재하였을 때 생육 및 생리와 관련하여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방향식물에 따른 고추의 과실 생산성 또한 고추와 부추를 공영식재 시 고추의 품질이 높게 나타났다. 상추와 방향식물의 공영식재에 따른 토양 측정 결과 상추의 생육에 주는 영향은 미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육 측정 결과 초장은 상추 부추 공영식재에서 크게 나타났다. 상추의 생리 분석 결과 상대엽록소함량은 부추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잎들깨 처리구에서 가장 낮아 상추와 부추를 공영식재하였을 때 높은 상대엽록소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추의 생산성 분석 결과 엽장과 엽폭, 엽수는 부추 처리구에서 큰 값을 나타냈으며 상춧잎의 생체중은 잎들깨 처리구에서 가장 무거운 것으로 분석되었다. 해충 섭식흔적은 식재 후 84일부터 점점 관찰되었고, 부추와 공영식재한 실험구에서 해충의 섭식흔적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보았을 때, 옥상 도시농업에서 방향식물과와 공영식재 할 경우 부추와 작물을 식재하는 것이 효과적인 작물 재배를 진행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옥상의 환경 특성상 이에 맞는 작물 관리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며, 추후 식재 비율의 구성을 다르게 하여 성분분석을 하는 등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적용된 ALD 전자수송층 결함 제어 연구

        조상근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일반대학원(GLOCAL) 2023 국내석사

        RANK : 252687

        Application of the atomic layer deposition (ALD) in the fabrication of the SnO2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for hybrid perovskite solar cell (PSC)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the precise control of the SnO2 thin films at the angstrom level. The ALD-SnO2 layers include various defects such as the oxygen vacancy depending on the growth conditions and these defects can seriously degrade the performance of PSC. Recently, a plenty of studies concerning the oxygen vacancies inducing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PSC has been conducted and several reports have shown that the post-annealing process in the ambient condition are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oxygen vacancies. However, during the post-annealing in the ambient condition, not only the O2 gas but also other undesired gases are involved in the annealing process, making it difficult to produce high-quality SnO2 thin films. In this study, I introduce a new technique minimizing the influence of the undesired gases on the post-annealing process. In the newly introduced post-annealing technique, the grown ALD-SnO2 layer is annealed in the ALD vacuum chamber by introducing only O2 gas without exposing to the ambient condition. Using this new technique, I confirmed the reduction of the oxygen vacancies in the ALD-SnO2 layer, and achieved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PCE) of 17.43% and long-term stability of 500 hours with a single cation MAPbI3 PSC. These results show that the newly introduced post-annealing technique is highly efficient in reducing oxygen vacancies and improving thin film quality of the ALD-SnO2 ETL layer. Keyword : hybrid perovskite solar cell, electron transporting layer, atomic layer deposition

      • 한 · 중 한국어 교재 차이 분석 : -초급 교재 삽화를 중심으로-

        니커신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일반대학원(GLOCAL) 2023 국내석사

        RANK : 252687

        한 · 중 한국어 교재 차이 분석 - 초급 교재 삽화를 중심으로 - 중국과 한국은 이웃 나라로 그동안 두 나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왔 다. 특히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중국과 한국의 경제·문화·정치 등 여러 면에서 빠른 발전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그래서 중국과 한국의 언 어문화교육도 덩달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중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든 한국에 와서 배우든 한국어 배우는 사람들은 주로 유학생, 한국에서 취직 하는 외국인, 국제결혼한 외국인, 한국 문화에 관심이 있고 한국어 공부를 취미로 하는 사람들 등이었다. 그러나 이들 외국인이 어떤 이유로 한국어 를 배우든 한국어 교육은 양국의 문화와 경제의 발전에 따라 끊임없이 발 전하고 있다. 한국어 교재 개발하는 연구자도 늘고 있으며 한국어 교육 사업을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에서 출판된 초급 한국어 교재의 시각 디자인에 서 삽화 부분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을 연구한다. 교재는 학습자가 한국어 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도구로, 한국어 교재를 사용하여 학습 할 때 교재가 적절하게 설계되어 있으면 학생들의 학습 효율을 높이고 학 습에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본문에서는 양국의 한국어 교재에 삽화가 사용된 상황을 분석하도록 한다. 삽화는 교재의 시각 디자인 요소 중 일 부에 속하며 시각 디자인은 학습해야 할 내용을 직관적으로 알려줄 수 있 다. 현재에서 대부분의 한국어 교재는 삽화를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적극적인 역할이 없다. 특히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초급 교재는 전체적 인 삽화 수가 적어 삽화와 교재 내용의 연관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한국에서 출판된 교재는 삽화의 수가 많지만 개선을 필요한 여지 도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중국과 한국 교재의 삽화 특성을 분석한 후 서로 다른 수정을 권고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삽화 수를 늘리거나 줄이며 삽화 인물의 세계관을 확립하며 삽화 세부 내용과 교재 내용의 연관성을 높이는 개선 방법이다. 논문은 삽화의 정의, 삽화의 기능적 교육적 가치를 먼저 밝힌다. 선택한 초급 교재의 삽화 수, 삽화 유 형, 삽화 적합성을 정리하여 분석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중국과 한국 교 재의 삽화 특성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해 교사들이 수업 중 삽화로 수업할 때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한국어 교재의 삽화 디자인의 질을 높여 학생들이 더 잘 배울 수 있는 교재를 개발할 수 있기 를 기대하고 있다. 이는 중국과 한국의 한국어 교육 발전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칠 것이다. 주제어: 한국어 교재, 교재 삽화, 교재 시각 요소, 한중 교재 비교, 한중 삽화 비교

      • 청소년 비만 관련 간호연구의 지식구조 : 의미연결망 분석과 토픽모델링을 중심으로

        박희선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일반대학원(GLOCAL) 2023 국내박사

        RANK : 252687

        청소년 비만 관련 간호연구의 지식구조 : 의미연결망 분석 및 토픽모델링 기반으로 본 연구는 의미연결망 분석 및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청소년 비만 관련 간호연구의 핵심 주요어를 추출하고 주요 토픽별로 범주화하여 시간의 흐름 에 따른 토픽별 추이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민건강증진계획이 시행된 2002년 1월부터 2023년 9 월까지 연구된 청소년 비만 관련 국내·외 간호연구의 초록을 대상으로 하 였다. 국외논문은 Pubmed, EMBASE, CINAHL, SCOPUS, Web of Science에서 검색하여 총 845편과 국내논문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국가과학기술정 보센터(NDSL), 한국학술정보원(KISS)에서 검색하여 총 388편으로 최종 1,233 편의 논문을 수집하였다. 논문의 초록으로부터 단어추출 및 정제, 키워드 빈 도분석,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토픽 모델링 분석, 시간의 흐름에 따른 토픽 별 비교 및 추이를 확인하였다. 청소년 비만 관련 간호연구에서 출연 빈도가 높고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영향력이 있는 단어를 추출하기 위하여 NetMiner program version 4.5를 활 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수행하였다. 문서에 잠재되어 있는 토픽을 확인하기 위해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토픽을 결정하고 시기별 흐름에 따른 토픽별 추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233개의 논문의 초록으로부터 추출하여 정제된 총 9,987개의 단어로 분석한 결과로 청소년 비만 관련 간호연구에서 단순출현빈도(frequency) 및 등장논문수별 출현빈도(appearance frequency inresearch) 상위 50개에 공통 적으로 포함되는 단어는‘건강(health)’, ‘체중(weight)’,‘요인(factor)’, ‘활동(activity)’,‘위험(risk)’,‘프로그램(program)’,‘차이(difference)’, ‘질량(mass)’,‘변화(change)’,‘행동(behavior)’,‘가족(family)’ 등의 단 어들이 청소년 비만 관련 연구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핵심 주요어로 나 타났다. 2) 시기별 국내외 간호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7년 단위로 3기로 나 누어 분석한 결과, 토픽 1은 Cold 토픽으로 신체활동으로 인한 변화 등을 나 타내는 것으로 운동프로그램의 효과와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연 구들로 범주화되었고, 토픽 2는 Cool 토픽으로 고혈압과 당뇨병 등 비만으로 인한 질환 유병률 등을 확인하는 연구들로 범주화되었다. 토픽 3은 Hot 토 픽으로 비만을 완화 시키기 위해 식이조절 및 행동변화, 교육, 영양을 개선 하는 연구들로 범주화되었다. 토픽 4는 Hot 토픽으로 비만의 유병률의 남녀 의 차이점을 확인하고, 비만으로 인한 우울, 스트레스 등을 분석하는 연구들로 범주화되었다. 토픽 5는 Cool 토픽으로 부모(family)와 공동체(community)가 비 만 예방을 위한 지지와(support), 예방하고(prevention) 삶을 변화시키는 연구들 로 범주화되었다. 국외의 연구는 비만 치료 및 관리에 대한 방법을 중요시하 고, 국내의 연구는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운동요법, 약물치료, 식 이조절을 적용한 프로그램 개발 등을 중요시하는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하였 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 비만 관련 간호연구의 지식구조를 탐색함으로써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청소년의 비만 관리와 예방을 위한 간호의 전문 적 역할과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청소년 비만으로 발생하는 성인병 발병에 대한 대비를 위하여 지속적 인 청소년 비만 관련 간호연구를 수행함과 동시에 식습관과 신체활동을 증 가시키는 프로그램을 학교와 지역사회 단위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정 책연구를 제안한다. 주제어 : 청소년, 비만, 의미연결망 분석, 토픽모델링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