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유의 법으로서의 사랑과 의에 대한 연구

        양진수 개신대학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15

        자유의 법으로서의 사랑과 의에 대한 연구

      •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생태체계적 요인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게렐토야 개신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생태체계적 변인들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변인들을 개인요인(거주기간, 경제활동상태, 신체적 건강상태, 심리적 건강상태), 배우자요인(배우자와의 대화시간, 배우자와의 관계만족, 문화차이, 부부갈등), 기타가족요인(시부모와의 관계만족, 자녀와의 관계만족, 다문화 지향성, 사회경제적 수준) 및 사회요인(가족외 사회적지지, 사회적 참여, 차별)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 2018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 며, 모든 문항에 대한 결측을 제거하여 총 6759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결혼이주여성의 일반적 특성과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SPSS 21.0 통계프로그램 패키지를 사용해 확인하였으며, 결혼이주여성 의 한국어 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생태체계적 변인들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Hayes(2013)가 개발한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 였다. 구체적으로 심리적 건강상태와 배우자와의 대화시간은 PROCESS macro 모델 4 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외 생태체계적 변인들은 PROCESS macro 모델 1을 활용하여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에 대한 분석결과를 개인요인, 배우자요인, 기타가족요인 및 사회요인으로 구분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요인에서는 거주기간, 심리적 건강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 로 나타났으나, 경제활동상태와 신체적 건강상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 으로 나타났다. 거주기간의 경우 한국어 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심리적 건강상태는 한국어 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다. 둘째, 배우자요인에서는 대화시간, 배우자와의 관계만족, 문화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부갈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대화시간의 경우 한국어 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배우자와의 관계만족은 한국어 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유 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문화차이 역시간 한국어 능력과 삶의 만족간의 관계 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기타가족요인에서는 시부모와의 관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 녀와의 관계만족, 다문화지향성 및 사회경제적 수준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 타났다. 시부모와의 관계만족의 경우 한국어 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사회요인의 경우 사회적 참여와 차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 타났으나 가족 외 사회적 지지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참 여와 차별의 경우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거주기간에 따른 차별적 접근, 심리정서적 안정을 도 모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지원체계 구축, 배우자 간의 관계 증진을 위한 부부교육 강화, 멘토링 지원사업 확대, 다문화 이해 교육, 인식개선 교육 의무화 등의 방안 들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ecological variables upon the effect of the level of Korean language skills upon the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To do so, the ecological systemic variables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were analyzed as individual factors (period of residence, status of economic activity, status of physical health, status of psychological health), factors regarding their spouse (conversation time with spouse, level of satisfaction in relationship with spouse, cultural differences, marital conflict), other family factors (level of satisfaction in relationship with parents-in-law, level of satisfaction in relationship with children, multicultural orientation, socioeconomic level), and social factors (social support outside the family, social participation, discrimination).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e 2018 National Multicultural Families Survey data was used after removing all missing items and a total of 6759 people were analyzed from this data.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each variable was confirmed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package. To verify the regulatory and mediating effects, the SPSS PROCESS macro developed by Hayes (2013) was used. In detail, PROCESS macro model 4 was utilized to conduct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regarding the status of psychological health and conversation time with the spouse. Other ecological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model 1 to conduct analysis of regulatory effects.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are divided into individual factors, spouse factors, other family factors, and social factors, which are as follows. First, period of residence and status of psychological health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the individual factors while economic activity and physical health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residence period, it was confirmed that Korean language skills had a moderating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e status of psychological health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anguage skills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conversation tim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and cultural differenc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spouse factor while marital conflic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versation time, howeve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anguage skills and life satisfaction.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spouse demonstrat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language skills and life satisfaction. Cultural differences also showed a moderating effect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anguage skills and life satisfaction. Third,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in-law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erms of other family factors while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multicultural orientation, and socioeconomic level were not significant. In the case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parents-in-law, it was found that it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Korean language skills and life satisfaction. Fourth, social participation and discrimination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social factors, however social support outside the family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social participation and discrimination reflected a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varied approaches following the period of residence, establishment of programs and support systems for promot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reinforcement of marital education to build a positive husband wife relationship, expansion of mentoring support programs, education regarding multicultural understanding, introduction of mandatory education for awareness improvement, were presented as a solution.

      • 구약의 안식일과 신약의 주일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김정호 개신대학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논문은 주일성수의 의미가 혼동되고 퇴색되어져 가는 상황에 직면한 목회현장에 서 안식일과 주일의 개념이 혼동된 성도들에게 바르게 가르쳐야 할 필요성과 더불 어, 성경적 근거를 제대로 따지지도 않고 율법적으로 주일성수를 강조하는 현실의 돌파구로서 목회자의 관점에서 안식일의 개념을 찾아보았다. 또한 안식일의 정신을 잇는 주일의 의미를 찾아 성도들에게 바르게 가르침으로써 생동적인 신앙회복과 주 일에 담긴 영적 축복이 성도들의 삶에 계속 흐를 수 있기를 추구하였다. 안식일의 개념 안에는 단지 ‘휴식’이나 ‘쉼’의 의미만이 아니라 하나 님의 쉼을 통하여 천지만물의 존재 상태가 복과 안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뿐만 아 니라 천지 만물이 하나님의 다스림 안에서 하나님이 원하시는 모습으로 존재하는 것이 곧 하나님의 안식에 동참하는 것이 된다. 또한 안식일은 ‘창조 사역의 기 념’으로서 지켜야 하는 날이다. 창조를 기념하는 날을 안식일로 지키는 것은 새 하늘과 새 땅을 소망하는 영원한 안식을 예표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주일의 의미는 안식일의 복음적 의미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과 승리의 사 건이 함께 이뤄진 날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창조주 하나님과 구속주 예수 그리스도 를 기억하고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를 예배하는 날, 주님의 승리를 기념하고 기뻐 하는 축제의 날, 재림의 주님과 미래에 이어질 영원한 안식을 소망하는 날이라는 종말론적인 의미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구약의 안식일과 신약의 주일을 연결하는 중요한 고리는 안식의 개념이다. 그러므로 주일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께서 죽음을 이기고 부활하심으로써 안식일이 지향하던 영적 안식을 성취하신 날이다. 요컨대 안식일과 주일을 ‘안식’이라는 개념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은 구약의 안식일이 나타내는 것은 구원의 안식을 성취 하신 예수님 때문임을 알게 되었다. 또한 구약의 안식일과 신약의 주일에 관해 종교개혁자들의 입장은 불연속 성을 강조했다는 사실이다. 대표적인 종교개혁자인 칼빈은 안식일 제도의 각종 규 정들은 의식법이라고 보고 폐지가 되었으며, 안식일 규례들이 나오는 것은 그것이 가지고 있는 신학적인 정신은 계승하되 그 구체적인 규정사항은 의식법에 속한 것 이기에 지킬 필요가 없으며 예수 그리스도가 오심으로 성취가 되었다는 것이다. 그 러므로 종교개혁자들의 주장을 통해 의식법은 폐지 되어 불연속성을 가지지만 안식 일의 정신인 시민법과 도덕법은 주일에 계승했다는 종교개혁자들의 주장과 일치함 을 알게 되었다. 안식일과 주일의 연속성에 관해서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보면 확실 히 알 수 있다. 그 곳에서는 주일과 안식일이라는 단어를 사용할 때 용어를 따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동격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주님이 부활하신 그 날을 기념하여 지키는 주일이 구약시대 안식일과의 단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 라 그것의 성취라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과 같다. 안식은 창세기에서 출발해서 온전한 안식인 요한계시록에서 마치고 있다. 그 만큼 안식은 이 세상 살아가는 우리에게 힘과 소망을 주고 있으며 하나님의 마 음을 가장 잘 담고 있는 단어이다. 비록 구약의 안식일 제도가 그리스도를 통해 완성되었지만 그것이 담고 있 는 정신은 여전히 살아 있다. 그러므로 이제는 안식일의 제도와 율법에 얽매이지 말고 안식일에 담겨져 있는 정신을 실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시대적으로 안식 을 잃어가는 세상과 더불어 살아가야 하는 우리다. 하지만 하나님이 주시는 참된 안식이 무엇인지를 깨닫고 하늘의 소망을 바라보며, 현재의 삶속에서 그 안식을 적 극적으로 실천하며 살아가야 할 것이다. 그럴 때 안식을 주신 하나님의 은혜가 풍 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need to teach rightly of the confusion of the concept of Sabbath and Sunday in relation to its meaning and the fading concept to keep Sunday holy when faced with the situation of pastoral ministry, among Christians. It also explores the minister’s concept of the Sabbath in terms of Sunday being holy in accordance to the commandments as a breakthrough for the reality that emphasizes without properly studying the biblical basis. This study seeks the meaning of Sunday that connects the spirit of Sabbath and the vibrant faith and blessings restored, contained in Sunday that continues to be pursued in the life of Christians by proper teachings. Within the concept of the Sabbath through God’s rest, it is not only just the meaning of 'relaxing' or 'pause' but also the existence of heaven and earth and that all things are connected to the blessing and rest. It also signifies that in all things on heaven and earth exists in the likeness of God and under the sovereignty of God which that is to participate in God’s rest. In addition, to observe the Sabbath is a day of "celebration of creative work.” Keeping the Sabbath as a day to celebrate the Crea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emphasizes the eternal rest and hope of the new heaven and earth.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Sunday is an evangelical denotation of the Sabbath and it was founded and based on Jesus Christ’s resurrection and victory. It is beheld as the day of worship of the resurrected Jesus Christ, remembering God as the creator and Jesus Christ the redeemer. It also recognizes as the day to celebrate the Lord’s victory and the day of the Lord’s second coming with hope for the eternal rest to continue in the future in relation to the eschatological meaning. The major notion that connects the Old Testament Sabbath and the New Testament Sunday is the concept of rest. Therefore Sunday is the fulfillment of the spiritual rest that was directed by the Sabbath through Jesus Christ’s resurrection, who has overcome death. In a simplified matter, it is perceived that the Sabbath and the Sunday is linked as the concept of ‘rest’ because of Jesus’ fulfillment of the rest in salvation which can be seen in the Old Testament Sabbath. The position of the Reformers views about the Old Testament Sabbath and the New Testament Sunday emphasizes the discontinuity of the Sabbath in the Bible. In representative of the Reformers, Calvin repealed various provisions of the Sabbath laws as it was understood as ritual law. Theological ideas of Sabbath laws are inherited, but the specific provisions are not required to keep continually because it belongs to the ritual law. It was accomplished when Jesus Christ came to the world. Therefore, through the claims of the reformers, the ritual law and the concept of discontinuity of the Sabbath was abolished. However the civil law and the moral of Sabbath spirit have been influenced on Sunday. It is certainly understood from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as for the continuity of the Sabbath and Sunday. When the terms Sabbath and Sunday are used, it is used as an equivalent meaning instead of using separate terms. Keeping Sunday as the day to commemorate the Lord’s Resurrection does not break the notion of the Old Testament Sabbath and but rather accomplished in Jesus Christ. The concept of rest begins in Genesis and finished in the perfect rest found in Revelation. The Sabbath is to give us the power and desire to live in this world and is the best term that conveys the mind of God. Although the Old Testament Sabbath system was completed through Christ, the essence is still active Therefore, now we need efforts to practice the Sabbath essence instead of being tied to the Sabbath system and the law. In this era, we live in a world where ‘rest’ is disappearing, but we realize what God gives is the true rest, overlooking the hope of heaven which we will actively practice the ‘rest’ in our current lives. Then God‘s grace with rest will increasingly be revealed.

      • 성경에 나타난 성령의 사역 연구

        이희원 개신대학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15

        성경에 나타난 성령의 사역 연구

      • 칼빈과 웨슬레의 구원론 비교

        박찬호 개신대학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15

        칼빈과 웨슬레의 구원론 비교

      • 아브라함 카이퍼의 영역주권사상을 통해서 본 한국교회의 사명

        문종수 개신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논문을 통하여 연구자는 19세기 말 네덜란드의 개혁자 아브라함 카이퍼의 영역주 권사상을 통해 21세기를 맞이하는 한국교회가 어떤 사명을 감당해야 할 것인지에 대 한 물음에 답해보았다. 그동안 한국교회는 신앙과 실천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어 왔다. 그것은 교회와 세 상을 구분 짓는 이원론적 세계관 때문이다. 하나님의 주권은 교회와 종교를 넘어서 이 세상의 삶의 모든 영역을 아우른다. 한국교회의 성(聖)과 속(俗)을 나누는 이원론 적인 사고는 그리스도인들이 종교적인 울타리 안에서는 경건을 이야기하나 세상에서 의 삶에서는 영향력 없는 삶을 살게 하였다. 이러한 원인을 찾는다면 이 나라를 오랫 동안 지배했던 동양문화와 유교, 불교, 도교의 정신세계의 영향력이 있을 것이며, 개 신교 초기 선교사들의 근본적인 신학 노선의 영향력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문제는 이러한 이원론적 사고가 한국교회의 미래를 위해 반드시 극복되어야 한 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아브라함 카이퍼의 영역주권사상을 통해서 한국교회의 이원 론적 사고의 극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교회가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고 공적인 영역 에 참여해야 하는 것인지는 네덜란드의 개혁주의 신학자이자 활동가였던 아브라함 카 이퍼의 고민이었다. 그는 영역주권사상을 통해서 인간 삶의 모든 영역인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종교, 교육 등의 모든 분야에 하나님의 주권이 회복되어야 함을 주 장하였다. 아브라함 카이퍼의 연구는 국내에서 꾸준하게 이루어졌으나, 그의 영역주권사상 에 대한 소개와 연구는 미진하다. 연구자는 그 이유에 대하여 남아공에서 흑인차별정 책(아파르트헤이트)가 이데올로기적으로 잘못 적용되었다는 주장을 펼치는 자들 때문 이며 그들에 의하여 영역주권사상은 폭넓게 연구, 전파되지 못하게 하는 걸림돌이 되 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오해를 극복하고 카이퍼의 영역주권사상이 던지는 강력한 메시지는 한국 교회의 이원론적인 틀을 파쇄 하는데 매우 효과적일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연구를 전개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는 한국교회가 공적인 영역인 정치, 사회, 문화, 예술의 영역에 어 떻게 참여하고 변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문헌적 고찰과 함께, 양적 연구의 결과물들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서 영역주권사상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네덜란드에서 처음 시도 되었던 영역주권사상이 한국교회의 상황에 맞춰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의 문제를 놓고 연구자는 고민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이러한 이해 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아브라함 카이퍼의 영역주권사상은 과거 한국교회의 역사 적인 부흥 사건을 경험한 이후, 이제는 성숙한 기독교 세계관적 변혁을 통한 그리스 도인들의 삶을 이끌어 내는 데 의미심장한 메시지를 던지게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지역선교 실천적 접근을 중심으로

        최낙현 개신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9615

        People pursue happiness through social welfare. Happiness, however, cannot be found only with personal well-being and efforts, as exemplified by Eden, a paradise which God created. By creating Eden, God fostered an environment where people will not experience any inadequacy. And God created humans in his own form, giving them the authority to rule and conquer all beings in Eden. This is recognized as the very first case of social welfare practice. We discover the importance of social welfare from Eden, a beautiful, lush place created by GOD, because we encounter God’s vast, impressive and everlasting love towards the mankind. The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the first commandment of the promise that God gave us was to never eat fruits from the tree of knowledge in any case. God gave us the commandment to let us know that God is with us humans forever, and let us experience his full grace, thereby leading us to thanking, praising and honoring God, which is the final goal of Christian social welfare. Second, even in such an abundant and lush environment as Eden, happiness and joy cannot be achieved through personal efforts. God took a rib from Adam, after watching him live alone for some time, to create Eve as his companion, his flesh of flesh, so as to form a family community where people found their needs satisfied. God practiced social welfare in this way, and walks with the mankind with love and grate that grow larger ever more. We use the term “poverty in the midst of plenty.” The modern society gives us the illusion that there is nothing wanting here, that we can enjoy anything we want. Such twofold characteristic of human life puts more importance on welfare. People cannot enjoy even the equal rights to survive and pursue happiness under the current socialistic welfare system: in this sense, empowering the democratic Christian social welfare is given great importance. God loves the mankind, and finds joy in everyone’s happiness. The humans, however, broke the promise with God out of their futile desires. This led to destruction of their home of happiness, subjecting themselves to everlasting punishments, wandering through the burning pit of conflicts and wars, through the cycle of deaths and pain, ending in their punishment in hell. Despite such betrayal, God pitied us the humans, and sent us Christ, the “sacrificial love and welfare” reincarnated, so as to open a new road of blessing, an everlasting, warm and true rest, a way to life as human beings, for us, leading to achieving full intervention and implementation of well-being of spirit, soul and body. This study sheds a new light on christian social welfare, an area which had been lost from our attention,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ent welfare system and Christian missions, for the purpose of discovering what role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aged must play in terms of Christian mission, as well as realizing that God gave us Eden, we lost the opportunity for true “freedom, peace and happiness”, and that happiness through welfare is a precious gift that only God may provid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aged presents a new way for Christian mission today. The program has been receiving much attention from various nations around the world, which South Korea implemented for the third time in the world, after Germany’s care insurance and Japan’s care insurance. The South Korean program ensures stable treatment, protection and living by rating the patients suffering from various senile diseases, and relieving their families of financial burden and psychological/physical suffering. This program holds great importance as a service system. Under the program, however, not everyone suffering from, or diagnosed with senile diseases benefit equally from the program.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point out various issues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aged, and propose a way to provide social services to the poor, ill and alienated people through the teachings of Jesus described in the Bible, and propose a way to create disciples of Jesus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in mission social welfare (Christian social welfare) designed to complete the sacrificial mission of Jesus to save our souls, and discover missionary aspects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thereby presenting the fundamental idea of the social welfare while completing the Jesus’ commandment for us in this world. In conclusion, the Christianity and the Christians seek to discover and establish the effects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aged” on Christian mission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mission and welfare. Thus,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implementing Christian social welfare in the spirit of commitment, sacrifice and love of Jesus Christ, subsequently helping to realize true happiness through welfare approached from the spiritual, psychological, social, evangelistic and missionary perspectives. 사회복지에서 인간은 누구나 행복을 추구하고자 한다. 그러나 행복이란 혼 자만의 풍요로운 삶과 노력만으로 이루어 지지 아니함을 하나님께서 창조 하신 에덴동산에서 찾게 된다. 하나님께서는 에덴동산을 통하여 인간이 살 아가기에 조금도 부족함이 없는 환경을 조성하여 놓으시고, 하나님의 형상 을 따라 사람을 창조하신 후에 에덴의 모든 것을 다스리고, 정복하도록 하 셨다. 이는 최초의 사회복지를 실현한 것으로 인식한다. 하나님께서 아름답고, 풍요롭게 창조하신 에덴동산에서 사회복지 의 중요성을 발견함은 인간을 향하신 하나님의 크고도 놀라운, 영원하신 사랑을 발견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주신 약속의 첫 계명으로, 에덴동산 중앙의 선악과는 절대적으로 따먹지 말라는 것이었다. 이는 사회복지에서 의 약속으로서 그 이유는 하나님이 인간과 영원히 함께하시며, 창조하신 풍성한 은혜와 은총을 누리게 하기 위함이요, 기독교 사회복지의 최종 목 표인 하나님께 감사와 찬송과 영광을 돌리게 하기 위함이다. 둘째로, 사회의 환경이 에덴동산과 같이 풍요롭고, 풍성하다 할지 라도 혼자의 삶으로는 참된 기쁨과 행복을 누리지 못한다. 에덴에서의 홀 로 사는 아담의 모습을 보시고 갈빗대 하나를 취하여 뼈 중의 뼈요, 살 중의 살인 돕는 배필로써 여자인 하와를 만드셔서 인간의 욕구 해결과 가 정이라는 공동체를 이루게 하심으로 사회복지를 실천하셨고, 더 크신 사 랑과 은혜로 인류와 함께하신다. 우리는 현대를 가리켜 말하기를 “풍요속의 빈곤”이라고 한다. 인간 이 살아가기에 조금도 부족함이 없는 듯한, 착각 속에 빠지게 하여, 누구 나 모든 것을 누리며 살아갈 수 있는 것처럼 한다. 이러한 인간의 이중적인 삶의 환경이기에 “복지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 되고 있는 것이다. 현재의 사회주의적인 복지체계로써는 인간이 누 릴 최소한의 생존권과 행복추구권이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누릴 수 없으므 로 민주적인 기독교 사회복지의 역량 강화가 매우 중요하다. 하나님은 인간을 사랑하시며, 모두가 행복하기를 기뻐하신다. 그 러나 에덴동산에서 인간에서 주셨던 언약을 인간의 헛된 욕망으로 하나님 과의 약속은 파괴되었다. 따라서 인간에게 주어진 행복의 보금자리가 파 괴 되었고, 영원한 징벌을 받아 사망을 비롯한 온갖 고통의 둘레 속에서 방황과 싸움과 전쟁의 늪에서 헤매며 지옥 형벌을 받아야 할 처지가 되었 다. 그런데도 하나님께서는 인간을 불쌍히 여기셔서 새로운 산길, 축 복의 길, 영원토록 따스하고 포근하며, 참된 안식으로, 인간답게 살아갈 길을 열어주시기 위하여 “희생적 사랑의 복지인” 예수 그리스도를 보내주 시므로 영 혼 육의 온전한 복지의 개입과 실천을 이루셨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상실 되었던 성경적인 기독교 사회복지 의 재조명을 통하여, 선교적인 측면에서 현재의 복지와의 관계성을 연구 하면서 지금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선교적 의미에서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며, 하나님이 에덴에서 주셨던 것으로 인간이 누릴 진정한 “자유와 평화와 행복” 등의 상실한 것을 살펴보면서 복지에서의 행복은 오직, 하나 님께로부터 오는 고귀한 선물임을 발견하고자 한다. 오늘날 기독교의 선교의 새로운 방안이 되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는 세계의 많은 국가들의 주목을 받는 제도로서 독일의 수발보험, 일 본의 개호보험에 이어 세 번째로 이루어진 제도이다. 이 제도는 노인복지 법에서 말하는 질병의 종류에 따른 노인성 질병으로 인하여, 고통을 당하 는 환자분들이 등급을 통하여 안정적인 치료와 보호 및 생활을 보장받게 하며, 가족들에게는 물질적인 부담과 정신적, 신체적인 고층을 덜어주는 서비스 체계로서 매우 중요한 제도이다. 하지만 노인성 질병을 갖고 있거나, 진단을 받았다고 누구나 공정 한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하여 노인장기요양제 도의 문제점을 제기하며, 성경에서 나타난 예수의 사상으로 가난하고, 병 들고, 소외된 이들에게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며, 영혼구원을 위 한 그리스도의 희생적 선교를 완성하기 위한 선교적 사회복지(기독교사회 복지)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하여, 예수의 제자화 방안을 제시하고, 노인장 기요양보험제도에서의 선교적인 측면을 발견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 명령을 이루어 가며 사회복지가 추구하는 근본 사상을 전달하려고 한다. 따라서 기독교와 그리스도인들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선교 에 미치는 영향과 선교와 복지와의 관계를 새롭게 발견하고, 정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영적, 심리적, 사회적, 복음적, 선교적 차원에서의 복지 를 통한 참된 행복을 누리도록 그리스도의 헌신적인 희생과 사랑의 정신 으로 기독교적 사회복지를 실현하는데 기여 하고자 한다.

      • 구속언약의 성취와 능력있는 설교 : 오순절 베드로설교를 통하여

        허현 개신대학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15

        구속언약의 성취와 능력있는 설교 : 오순절 베드로설교를 통하여

      • 현상학 기반 존재중심코칭에 관한 연구

        이상돈 개신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코칭의 접근 방법론으로써 행동중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존재중심의 접근 방법론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는 오늘날 코칭 영역의 확장에도 불구하고 GROW 모델을 비롯한 행동중심 접근을 획일적으로 시도함에 따라 다양한 코칭 목표를 만족 시키지 못하고 일정 수준의 안정된 코칭 효과성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코칭의 접근 방법을 고찰하고 행동중심 접근의 한계와 존재중심 접근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다음에 존재중심 접근을 위한 개념적, 방법적 토대로써 현상학의 적용 가능성과 타당성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현상학을 기반으로 하는 존재 중심코칭의 구성과 내용을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사례 분석을 통해 현장 도구로써 활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 영역 확장에 따라 행동중심 접근은 한계를 가지며 이를 극복하려면 존재중심 접근이 필요하다. 행동중심은 관찰 가능한 외부적 목표에 유용한 접근 방식이다. 그러나 삶속의 복잡한 심리, 정서적 문제들은 내면의 관점과 이해에 관한 것이며 주관적 사고와 인식체계에 관한 것이다. 이는 존재의 영역이며 따라서 영역 확장에 따른 다양한 코칭 목표를 충족시키려면 존재를 중심으로 접근해야 한다. 둘째, 존재중심 접근을 위한 개념적 토대로써, 방법적 토대로써 현상학은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현상학은 개념적 토대로써 존재중심 접근의 당위성에 대해, 존재 성격에 대해, 존재 발견의 원리에 대해 각각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또한 방법적 토대로써 존재발견의 프로세스와 실행원리에 대해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 다. 셋째, 현상학을 기반으로 하는 존재중심코칭은 존재의 봄, 존재의 앎, 존재의 함 i 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현상학의 이념과 방법을 기반으로 과정과 절차가 구성된 다. 활용되는 주요 기법 또한 현상학에서 차용된다. 봄의 과정은 현상과 본질에 대해, 앎의 과정은 획득의도와 존재방식에 대해, 함의 과정은 존재행동에 대해 다룬다. 넷째, 존재중심코칭은 다양한 코칭 목표를 만족시키는 포괄적 접근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면의 문제뿐 아니라 외부적 행동 방안 마련에도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임을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것은 내부 문제와 외부 문제 모두 행동의 주체자는 고객 자신이며 봄의 과정과 앎의 과정을 통해 존재의 자각과 통찰이 일어나기 때문이 다. 존재에 대한 자각과 통찰이 일어남에 따라 문제를 새롭게 규정하고 문제 해소를 경험하고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실무적으로 코치들이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접근 도구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방법론에 의한 안정된 효과성 제공으로 고객 확보의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학문적 으로는 아직 시도된 바 없는 접근 방법론에 관한 연구로써 코칭 연구의 새로운 지평과 시각을 확장시킬 것이다. 또한 잠재력과 가능성을 끌어내는 존재적 방법론으로써 독자적이고 독립적인 코칭학 정립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This dissertation proposes a human being-focused approach as one of the coaching method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action-focused method. This is because various coaching goals and stable effects are not satisfied, despite the expansion of the coaching area, in a situation where an action-focused approach such as the GROW model is generally attempted. For this, we discussed the coaching approach and then, after identifying the limitations of the action-focused approach, we discussed the need for a human being-focused approach. Also, we discussed the applicability and validity of phenomenology as a conceptual and methodical base for a human being-focused approach. And finally, we presented the content of a human being-focused approach based on phenomenology, and researched its usefulness as a field tool through case analysis. The result shows: First, the expansion of the coaching area increased the limits of an action-focused approach and increased the need for a human being-focused approach. However, the complex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of life are related to inner perspective and 211 understanding, and subjective thinking and cognitive systems. These belong to the area of existence. Therefore, a human being-focused approach is required to meet the goals of various coaching related to area expansion. Second, phenomenology provides the basis for the theory as a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ground for a human being-focused approach. phenomenology, the foundation of the concept, provides a theoretical ground for a human being-focused approach, character of existence, principle of discovery of existence. In addition, phenomenology provides a theoretical ground for the process of discovery of existence and the principle of implementation, as a methodological basis. Third, a human being-focused coaching, based on phenomenology, consists of seeing, knowing, and doing of existence, where the procedure is constructed based on the ideology and method of phenomenology. Its main technique is also from phenomenology. The seeing processor deals with phenomena and essence, the knowing process deals with the acquisition intention and the way of existence, and the doing process deals with the behavior of existence. Fourth, a human being-focused coaching is a comprehensive approach that meets various coaching goals. This can be a useful tool for inner problems as well as outer behavior.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both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the actor is the customer himself, and the awareness and insight of existence arises through the seeing process and the knowing process. Awareness and insight into existence helps to re-define problems, solve problems. This dissertation suggests that we will provide useful access tools for coaches to use in the field, and the stable effect of the methodology 212 will help secure customers. This study will open up a new area and perspective of coaching research, as an approach that has not yet been attempted academically, will also establish an independent coaching theory as an existential methodology that draws out potential and poss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