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강원도 지역산업 특성 분석을 통한 R&D 투자 방향에 관한 연구

        배중호 강릉원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최근 들어 정부의 지역경제 및 균형발전 뉴딜 정책의 주요 동력으로 지역과학기술 혁신역량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이는 중앙정부에 집중된 권한을 분산하고 지역 간 경제격차를 완화하는데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방분권․균형발전이 핵심적인 국정과제로서 제시되면서 지역과학기술역량 및 지방과학기술정책에 대한 과학기술의 현황을 진단, 다양한 정책이슈를 발굴하여 분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게 부각 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강원도는 지리적 환경의 제약에 따라 산업인구 감소 및 과학기술 변화에 대하여 능동적 활동 위축과 과학기술의 지역문제 해결 가능성에 대한 방안 도출이 타 광역지자체에 비해 부족하였다. 이러한 배경은 강원도 주력 산업의 저성장과 일자리 부족 현상을 가져오게 되어 강원지역 과학기술진흥계획의 저해의 주된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부터, 강원도 과학기술진흥의 잠재력을 극대화하여 과학기술기반의 성장을 추진하고, 현 지역 내 경제성장․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과학기술의 중요성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자체 R&D 투자 확대가 필요하고 강원도 주도의 과학기술 R&D 사업의 추진을 통해 지자체 성장활력 제고와 지역발전 첨단기술 확보가 필요하다고 조사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앙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지자체 주도형 지방분권․균형발전과 관련된 정책에 맞추어 강원도 과학기술역량과 과학기술정책 및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이슈,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현황에 대한 지난 5개년간의 조사·분석을 통해 지방분권 시대에 맞는 강원도가 나아가야할 과학기술정책과 과학기술 발전방향 및 강원도 연구개발사업 투자 방향을 제시 하고자 한다.

      • 푸드 네오포비아가 곤충 기반 반려동물 사료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반려동물 양육기간을 중심으로

        한지현 강릉원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에서는 구매자의 푸드 네오포비아가 곤충 기반 반려동물 사료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구매자인 반려인과 사용자인 반려동물 간의 관계 특성을 보여줄 수 있는 반려동물 양육기간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곤충 기반 반려동물 사료의 개발과 구매 촉진에 필요한 마케팅 요인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국 만 19세 이상 반려인을 대상으로 2023년 3월 7일부터 2023년 3월 9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총 354부를 수집하였으며, 그중에서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334부(94.4%)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구매자(반려인)의 푸드 네오포비아 성향이 높을수록, 곤충 기반 반려동물 사료 구매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매자(반려인)의 푸드 네오포비아와 반려동물 양육기간 간의 상호작용 변수가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구매자(반려인)의 푸드 네오포비아 성향이 강하더라도 반려동물 양육기간이 긴 구매자(반려인)보다 반려동물 양육기간이 짧은 구매자(반려인)가 곤충 기반 반려동물 사료 구매의도가 높아진다. 본 연구는 미래의 대체 식품으로 주목받는 곤충이라는 원료를 활용하여 반려동물 사료를 개발하고, 구매자(반려인)와 사용자(반려동물)가 불일치하는 반려동물 사료 산업에서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buyer's food neophobia on the intention to purchase pet food containing insects. Additionally, we examined whether the length of pet ownership, which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yer and their pet, moderates this effect. A total of 354 responses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conducted nationwide from March 7 to 9, 2023. After excluding incomplete or unreliable responses, a final sample of 334 participants (94.4%)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that higher levels of buyer's (pet owner's) food neophobia were associated with a lower intention to purchase pet food containing insects. Moreover,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buyer's neophobia and the length of pet ownership. That is, pet owners with shorter periods of pet ownership were more likely to purchase insect-based pet food, even if they have food neophobia, compared to those with longer pet ownership period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pet food utilizing insects as alternative ingredients, and it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the pet food industry to devise tailored marketing strategies that align with the preferences of pet owners and their pets.

      • 인체의 움직임과 현대인의 감성소통을 파이프 형태로 표현한 도자조형연구

        최관순 강릉원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 문 초 록 인체의 움직임과 현대인의 감성소통을 파이프 형태로 표현한 도자조형연구 최 관 순 강릉원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산업미술학과 요업디자인전공 우리의 인체는 사회적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우리의 감정, 기억, 정서를 담고 있는 그릇과도 같다. 이러한 이면의 감정들은 의식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우리의 몸을 통한 움직임으로 드러나곤 한다. 인체는 움직임의 연속으로 그 생명력을 부여받고 삶의 본질을 알아간다. 움직임은 자신과 타자의 희노애락(喜怒哀樂)의 표현을 서로 소통하는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인 것이다. 사람마다 고유한 특유의 몸짓이 있고, 상호간 이러한 움직임을 관찰하고 알아차릴 때 비로소 그 사람을 이해하며, 깊은 내면의 진실성을 바라볼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몸의 움직임’ 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그 이면의 감성을 표현하고 있으며, 인체가 가지는 동세(動勢)의 느낌을 파이프 형태를 이용해 분석 및 재해석함으로써 조형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현대사회의 건물과 건물 또 지하로는 수많은 파이프라인이 연결되어있다. 즉 통신, 하수배관 등 다시 말해 인간과 인간의 연결망으로 구축되었다고도 볼 수 있는 파이프라인에서 착안한 이미지를 통해 인간의 몸짓이 가지고 있는 언어이상의 관계 연결성을 관찰하고 이미지와 형태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또 다른 시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인체는 예술가에게 무한한 영감을 주고 운동감은 무한한 주제와 소재의 대상이며, 다양한 재료와 방식으로 표현되어 왔다. 내적 요소인 감성을 내재한 인체의 형상화는 예술가에게 있어서 필연적인 요소지만 인체를 예술로 조형화 하였다는 것 은 내적 요소인 감성과 외적 요소인 형태가 조화된 결과라고 보여 진다. 이것은 인체의 몸짓이 언어 이상의 인간과 인간 상호간의 감성교류 역할로 작용한다는 예술적 증거인 것이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인체의 아름다움과 생명력을 자연스럽게 예술적 소재로써 택하였으며 대중에게 공감을 불러올 수 있도록 자신만의 인체에 대한 형상화 이미지를 만들고 이를 도자로 표현 하고자 하였다. 예술가가 작품을 통하여 관람자 혹은 외부세계와 소통하듯이 이 연구가 현대인의 감성을 기반으로 한 소통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메타버스 기술 발전에 따른 사이버 위협에 대한 연구

        정영석 강릉원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완전한 디지털 온라인시대가 도래하였다. 오프라인(Off-line) 시대에서 온라인(On-line)시대로 대면에서 비대면으로 전환되는 온택트(Ontact) 비대면 접촉을 의미하는 언택트(Untact)와 온라인(Online)의 합성어 시대가 일상화되었으며, 사람과 사람의 만남이 이제는 불필요한 시대가 되었다. 온라인 원격수업, 원격화상회의, 온라인 협업 도구를 이용한 재택근무 등 비대면으로 디지털을 이용한 온라인 공간으로 전환하여 일상생활을 유지하고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새로운 디지털 환경이 발전하고 있으며,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기술이 발전하고, 모든 사물이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oT) 시대가 되면서 클라우드(Cloud) 컴퓨팅을 통한 가상화가 가능해지면서 많은 데이터가 빅 데이터(Big Data)화 되고 있다. 모바일(Mobile) 네트워크를 통하여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성이 가능해지면서 인공지능(AI) 기술도 성장하게 되었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현실 세계와 가상세계가 상호작용하는 메타버스가 주목받고 있다. 메타버스는 게임산업 및 엔터테인먼트, 관광, 교육, 유통, 금융, 의료 등 다양한 전 산업에서 현실 세계와 직접 상호작용을 구현하는 확장 현실 기술(XR)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메타버스 플랫폼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사회 전반에 걸쳐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가 더욱더 확대되고 있다. 최근 다양한 메타버스의 출현으로 다양한 메타버스 서비스 및 메타버스 생태계를 떠받치고 있는 개별적인 기술의 발전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면서 새롭게 결합하고 변화되는 디지털 격변기 시대에 살고 있다. 이에 따라 메타버스와 관련된 기술 및 생태계를 구성하는 기반 기술, 인프라, 데이터에 대한 해킹 공격, 보안, 개인정보, 주요 정책, 법적 문제 등 다양한 문제가 서서히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메타버스에 대한 발전과 미래에 대한 다양한 학술논문과 발행물들이 있지만, 새롭게 날마다 바뀌고 있는 메타버스 생태계를 따라가기에는 규제나 그에 맞는 연구 등은 아직도 많이 부족하다고 느껴진다. 메타버스는 모든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플랫폼 기술이지만, 기존의 MMORPG 게임과 같은 단순한 게임의 변형이나 업그레이드 또는 아바타를 이용한 단순 소셜네트워크(SNS)의 업그레이드 등과 같이 인식되거나, 아직은 실체가 존재하지 않는 개념 형태로 인식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 들로 메타버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앞으로의 메타버스 발전에 있어서 걸림돌이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메타버스의 정의와 요소, 특징, 타임라인 등을 기술하였다. 또한 메타버스의 시장을 확인하면서, 성장 곡선, 시장규모에 대한 전망, 이용 유형 전망, 발전 방향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현재 메타버스의 비즈니스 현황에 대하여 구성, 생태계 현황, 플랫폼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앞으로 일어날 수 있는 메타버스에 대한 사이버 위협 및 보안 인식과 관련하여 메타버스 내의 사이버 위협 사례,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하여 보안의 중요성, 보안 패러다임의 변화, 위협 요소가 발생할 수 있는 환경 분석, 앞으로 다가올 위협, 그 외 보안 인식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대응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기존의 인터넷 환경에서, 많은 사이버 위협과 공격으로 자연재해나 전쟁으로 발생하는 피해와 비슷한 수치의 많은 시간 및 자원, 금전적인 피해들이 발생하였다. 이는 앞으로 더욱더 발전할 메타버스 또한 이러한 사이버 위협과 보안에 안전하지 못할 것으로, 공격자에 좋은 먹잇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메타버스와 관련된 다양한 IT 기술이 사용되고,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될수록 공격자의 공격 대상이 확대될 수밖에 없으므로, 철저하게 대비해야 기존의 인터넷 환경처럼 대규모 사이버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이제는 메타버스가 먼 미래의 이야기나 추상적인 개념이 아니며, 현재 발전하고 변화하고 있는 또 하나의 삶으로 자리를 잡았으며, 일상의 일부분이 되어가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고 발전하는 디지털 세상에서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는 사이버 위협과 보안 인식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반드시 올바른 규제와 보안 인식 제고가 필요한 시점으로 이에 적절한 연구가 필요하다.

      • 강릉시 구7번국도의 포장파손 및 잔존수명의 평가 연구

        咸泰植 江陵大學校 産業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현재 강릉시 7번 국도의 청량동 철길 사거리 ~ 섬석교 구간은 아스팔트덧씌우기로 보수가 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구간은 대형 차량에 대한 적응력과 고온에서의 변형으로 인해 파손이 포장수명 한계에 이르렀다. 그 원인은 노후화 된 포장과 아스팔트 혼합물의 물성치 차이에 의해 열 변형과교통하중에 의한 반사균열에 취약한 점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현재 강릉시 관리 하에 있는 7번 국도 중 청량동 철길 사거리 ~ 섬석교 구간을 대상도로로 선정하고, 그 도로의 시공연도, 보수기록, 포장단면 및 현황자료 등의 수집과 현장 조사를 통하여 포장의 파손 및 잔존수명을 평가하고, 현장 조사 방법으로는 미끄럼 저항과 MTD, 코어채취를 통한 두께 확인 및 강도 측정 , 현장 조사를 통하여 포장의 상태(PCI)를 산정 하였다.실제로 현장 조사 출장 시 fatigue cracking, longitudinal cracking, rutting등의 파손이 심각하였으며, 교통량 또한 많아 보수보강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객관적인 포장 평가를 위해서 미 공병단에 의해 개발된 포장상태지수(PCI)를 기준으로 구 7번 국도를 평가 하였다. racking과 같은 구조적 파손 문제와 표면조직의 손상에 따른 평탄성과 미끄럼 저항성의 기능적 파손 문제 모두 심각하게 나타났다. 상기 파손조사 구간의 현 포장상태 조사 및 파손원인을 분석하여 강릉구 7번국도의 잔존수명을 평가하고, 포장두께에 따른 잔손수명을 KENLAYER프로그램을 통해 구하는 것을 본 논문의 주된 목표로 선정하였다. The road was paved with asphalt from Cheongnyang-dong Crossroads to Seomseokgyo on Route 7 urban Highway in Gangneung. This pavement has reached the limits because of movement of a lot of vehicles specially large-sized vehicles (dump trucks, buses etc.) and a climate of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Also the old construction, mixtures of asphalt and traffic congestion caused a crack in the pavement. We decided a portion of Route 7 urban Highway managed by Gangneung City. The pavement section is from Cheongnyang-dong Crossroads to Seomseokgyo. We investigated the breakages and remaining life of the pavement on the basis of the data such as completion year, repair records, etc. Using a sliding resistance, MTD, measurements of thickness and intensity as field studies, we estimated the road's paving condition During the investigation, we found fatigue cracking, longitudinal cracking, rutting in the pavement. It is very necessary that the pavement should be repaired as soon as possible. This road section's paving condition was determined by PCI as a objective standard. As a result, the pavement has serious problems with constructional and superficial damages. We estimate remaining life of Route 7 urban Highway in accordance with the road condition and damage causes. Also we understand remaining lifes of this urban Highway though the KENLAYER program.

      • 의료기기 중소 제조업의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시스템 도입 사례 연구

        김성록 강릉원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Abstract In the current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econom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increasingly sophisticated manufacturing industry, the strategy of SMEs is becoming survival. Large companies are making some progress in manufacturing innovation based on factory automation. On the other hand, the progres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s still insufficient, and ICT and software, which are the core foundations of the ‘Smart Factory’, which is the core of the 4th industry, are not organically combined with the production site. SMEs in the current situation are gradually introducing the 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manufacturing computer system to improve production efficiency and reduce manufacturing lead-time, aiming for inventory optimization and data-based management decision-making. It has difficulties such as excessive expenditure of introduction cost and deterioration of efficiency after introduction. In this study, the background, introduction process, and results of MES introduc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medical device manufacturers were studied by studying the case of company A, and the background, introduction process, and results of introduction were analyzed. Research background: First, change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second, the necessity and background of introducing MES in the medical device fiel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device industry; Third, the need to introduce MES was analyzed in terms of institutional change factors. Based on the above background, MES introduction cases of small and medium-sized medical device manufacturers were studied, and it was necessary to introduce a system that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the process of introduction and construction, and discussed the application of a form that considered the situ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addition, we looked at the reasons for the failure of MES introduction, such as lack of sufficient analysis, data quality problems, lack of user training, and technical problems, and studied the situation reflected in the time and cost aspects of this company A case. After the introduction of company A, the process of introducing MES and introduction items by business area were reviewed, and changes in the business process system for each category were discussed. Through this, the before-and-after changes and their effects were analyzed for each task. Changes and their effects were analyzed by comparative analysis of indicators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MES for three years in the material management field and inventory management change as major application case indicators of Company A. In this study, the necessity of MES establishment in small and medium-sized medical device manufacturing companies and the introduction results were examined through examples. In addition to the time and cost required, it requires an application level appropriate to the scale and a large amount of human and material investment as well as the will and effort of the company to introduce it, but it can be inferred that the appropriate introduction at the appropriate level will definitely lead to improvement in business performance. . Through this, it is hoped that many domestic SMEs, especially medical equipment SMEs, will be able to use it as an in-depth consideration of MES introduction and advice on the introduction results. 급변하는 사회와 경제 현황과 4차 산업혁명과 점차 고도화 되어가는 제조 산업에서 중소기업은 생존 그 자체가 전략이 되어가고 있다. 대기업은 공장 자동화를 바탕으로 제조 혁신에 어느 정도 성과를 내고 있다. 반면, 중소기업의 진척 상황은 아직도 미흡하며, 특히 규모가 작은 업체 일수록 4차 산업의 핵심인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의 핵심 기반인 ICT와 소프트웨어가 생산 현장과 유기적으로 결합되지 못하고 있다. 중소기업은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제조전산시스템을 도입하여 생산 효율성의 향상과 제조Lead-time 절감으로 재고 최적화와 데이터 기반의 경영의사결정을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의 특성 상 도입 비용의 과도한 지출 비중, 도입 후 효율성 악화 등의 여러 한계점에 부딪쳐 난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사의 사례를 통하여 의료기기 중소 제조업에서 MES의 도입 배경과 도입 과정 그리고 도입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배경은 첫째, 제조업의 변화 둘째, 의료기기 산업의 특성에 따른 의료기기 분야에서 MES 도입 필요성 셋째, 제도적 변화 요인에서 MES 도입 필요성 등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A사의 사례를 통하여 MES 도입과 구축과정에서 의료기기 중소기업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여 시스템을 도입하여야 한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또한, MES 도입의 실패 원인으로 충분한 분석 부족, 데이터 품질 문제, 사용자 교육 부족, 기술적인 문제 등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MES 구축과정에서 산출되는 데이터를 통하여 시간적, 비용적 측면에서 변화되는 상황을 연구하였다. A사의 도입 이후 MES 도입의 과정과 업무 영역별로 도입사항을 살펴보고, 각 업무 프로세스의 변화를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업무 별 MES 전후 변화와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A사의 주요 적용 사례 지표로 자재관리 분야와 재고관리 분야의 3개년간 MES 도입 전후 지표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이 의료기기 중소 제조 기업에서의 MES 구축의 필요성과 구축 효과를 살펴보았다. 시간과 비용의 투입 뿐 아니라 규모와 수준에 적합한 시스템을 고려하여야 한다. 많은 인적, 물적 투자는 물론 기업의 도입 의지와 노력을 필요로 하지만, 적정 수준에 적절한 도입은 분명 업무성과의 개선을 도출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가 의료기기 중소기업에서 MES를 도입 할 때의 조언으로 활용 될 수 있길 바란다.

      • 꽃의 형상을 주제로 한 도자표현연구 : 산업도자기법 중심으로

        최정웅 강릉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flower is deemed as a symbol of natural beauty in the gray city of this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images of flower in the seasonal flow show restless change and recur unerringly as well. Artists embody and shape flowers with various materials and forms because they recognize flowers as entity that coexists with human, not as subjects or objects. Nature for men is not in the state of the background surrounding them or the object to be developed and exploited any longer. This is supported by social discussions on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which is getting more emphasized as material civilization is developed further. Our wish to be near the flowers is closely related to human nostalgia in which they realiz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or nature and wish to return to it. Since they notic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now but cannot go back to nature, men want to put a part of nature in their own space as material civilization is getting developed more and more. Thus, it is not an exaggeration that the comfort that flowers give us is the very thing that men want to attain from nature. This study begins from considering the functionality and decorativity of industrial ceramics first and examines the general meaning and symbolism of flowers and the formativity of modern ceramic arts made with flowers as a theme. Based on this, it also focuses on the aesthetic value and formative possibility when flowers that change not as going against the flow of time in this dramatically changing modern life but do not lose their original nature become a theme. The paper also considers the way to add functionality there. It tries to put greater meaning on formativity in actually designing the work as putting off the discussion of which is superior between formativity and functionality. If the behavior of decorating a part of our reduced family environment formatively in this era of industrialized nuclear family can help to change our living space into more pleasant one to some extent, this article intends to figure out the very way to do so. In the process of designing the work, the form of the flower itself was embodied, or the image of the flower was decorated onto sub-themes like the posy or tree. Thereby, the study attempted to express such things like the images and symbolism of flowers or our mind that can be expressed with flowers by various themes. It also tried to maximize decorativity and formativity in the works with functionality and add to formative works functionality that suits them. This article chose as a designing method the slip casting that allows repetitive production and made various kinds of flowers and sub-themes accordingly. In particular, it varies the size of the flowers in order to enhance the senses of repetition and rhythm. For designing the shapes of flowers through repetitive expression, it tried a technique that decorated the shapes of the slip cast flowers on the utensils made by spinning. The materials have excellent transmittency. Super white and Baekjato were used to make glaze more vivid, and the kinds of glaze used were traditional ones such as Cheongja, Baekja, Jinsa, and Cheonmok. And for glazing, both dipping and spraying were used. For calcination, the first one was performed in a 0.7 m³-kiln at the closing temperature of 800°C for eight hours, and the second one was reductive calcination at the closing temperature of 1270 °C.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realized that flowers bringing us repose and comport are ‘another portrait of us’, mirroring human mind. In the actual working process, the designer was able to find out her work could have its own color and widen its areas more variously when the general material of flowers was defined and expressed as a formative language of ‘memory’. The culture of industrial ceramics whose age is the same as the human history has been developed with various matters and materials, and its domain can include anything. However, even though certain work is carried out in similar circumstances using the same matters and materials, the writer thinks the artist should express his or her own original language in it and try to integrate the industrial art produced in that way with other fields. 급변하는 현대사회의 회색빛 도심 속에서 꽃은 자연스런 아름다움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계절의 흐름 속에서 꽃의 이미지는 끊임없는 변화를 보여주며 어김없이 반복되어 나타난다. 작가가 다양한 소재와 형태로 꽃을 구상화하고 조형하는 것은 그것을 하나의 피사체 혹은 대상으로 보기보다 인간과 공존하는 존재로서 인식하기 때문일 것이다. 인간에게 있어 자연이란 인간 자신들을 둘러싼 배경 혹은 개발하고 이용해야 하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물질문명이 발달할수록 새삼 강조되고 있는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담론들이 이를 뒷받침한다. 이미 현대생활에서 가장 손쉽게 전달할 수 있는 꽃을 곁에 두려는 마음은 자연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인간의 향수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환경의 중요성을 알고 있지만 완전히 자연으로 돌아갈 수 없는 인간은 물질문명이 발달하면 할수록 자신만의 공간에 자연의 일부를 옮겨놓고 싶어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꽃이 인간에게 주는 위안은 극히 일부분에 한정되어 있지만 인간이 자연에서 얻고 싶었던 필요충분조건을 구비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우선 산업도자의 기능성과 장식성에 대한 고찰로부터 시작, 꽃의 일반적인 의미와 상징성에 대해 살펴보며, 꽃을 소재로 한 현대도예작품의 조형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토대로 급변하는 현대인의 생활 속에서 시간의 흐름을 거스르지 않고 변화해가며 그 본연의 자세를 잃지 않는 꽃이 도자 공예의 소재가 되었을 때의 심미적 가치, 혹은 조형적 가능성을 주목해 보았다. 여기에 기능성을 가미하는 방법도 함께 고려하였다. 조형성과 기능성 양자 간에 어느 것이 우월한가의 논의는 일단 미루어 두더라도 실제 작품제작에는 조형성에 좀 더 큰 의미를 부여하려 했다. 산업화된 핵가족 시대의 좁은 가정환경 속에서 어느 한 부분을 조형적으로 장식하는 행위가 좀 더 쾌적한 생활공간으로의 탈바꿈에 도움을 줄 수 있다면 바로 그 길을 모색해 보려는 것이 다. 작품의 디자인 과정에서는 꽃 그 자체의 형태를 형상화하기도 하였으며, 꽃다발이나 나무와 같은 부 주제에 꽃의 이미지를 장식하기도 하여 꽃이 가지는 이미지와 상징성 그리고 꽃으로 표현할 수 있는 사람들의 마음 등을 다양한 주제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기능성을 가진 작품의 경우 장식과 조형성이 최대한 드러날 수 있도록 노력하였으며, 조형작품의 경우에도 그에 걸맞는 기능성을 더하였다. 산업도자제작방식 중의 하나이며, 반복제작이 가능한 이장주입성형을 제작방법으로 삼아 여러 종류의 꽃과 그에 따른 부 주제를 제작하였으며, 특히 꽃은 반복적인 느낌과 리듬감을 살리기 위하여 크기의 변화를 주었다. 반복표현을 통한 꽃의 형태 제작에는 물레작업을 통한 기물에 이장주입 한꽃의 형태를 장식하는 기법을 시도하였다. 소지는 투광성이 뛰어나고 유약의 발색이 잘되도록 하는 슈퍼화이트와 백자토를 사용하였으며, 유약은 전통유인 청자, 백자, 진사, 천목을 사용하였고, 담금법과 분무시유를 병행했다. 소성은 0.7m3 도염식 가마에서 마침온도 800‘C로 8시간 1차 소성하고 2 차 소성은 마침온도 1270’C로 환원 소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인간에게 휴식과 위안을 줄 수 있는 꽃은 인간의 마음을 비추어주는 또 다른 ‘우리의 모습’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실제 작업과정에서 본 작업자는 꽃이라는 일반적일 수 있는 소재를 ‘추억’이라는 조형언어로서 규정, 표현할 때 자신만의 작품의 색깔을 나타낼 수 있고 작업의 영역 또한 다양해짐을 알 수 있었다. 인류의 역사와 함께해 온 공예문화는 다양한 소재와 재료로 발전해 왔으며 그 영역 또한 무궁무진하다. 그러나 동일한 소재와 재료로써 비슷한 조건 하에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라도 그안에서 작가가 표현하고자하는 자신의 언어는 개성적인 것이어야 하며, 그렇게 생산한 공예품을 여타의 분야에 접목하려는 시도와 노력 또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RFID를 활용한 우편집중국의 물류네트워크 최적화 방안

        한윤택 강릉원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31

        최근 사물의 자동무선식별을 위해 RFID 기술을 활용하려는 연구가 국내외 유통․물류 산업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대표적인 인식 수단이었던 바코드와 비교하면 RFID 기술은 전자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기능, 저비용, 초소형을 지향하는 등 월등한 장점이 있어 사물의 자동식별과 대용량 정보의 통합관리에 있어 대표적인 수단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터넷 대중화로 통상우편물의 물량은 감소하고 있지만 소포와 택배 물량은 증가하고 있다. 바코드기반 시스템의 우편프로세스로 이와 같은 우편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으나 머지않아 한계점에 도달할 것이 명백하다. 유통물류 분야에 있어서 세계적으로 도입이 추진되고 있는 RFID 기술은 우편물류에 있어서도 실시간 정보흐름으로 수많은 병목현상을 줄여줄 것으로 예상되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RFID기술에 대한 개요와 적용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우편물류의 중심에 있는 우편집중국에 도입할 수 있는 시스템 차원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향후 우편물류 발전 전략의 수립에 기여하고 나아가서는 모든 분야에 점진적으로 확대할 필요성 특히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정보기술(ICT)과의 연계를 통한 물류 인프라 고도화 추진의 당위성 제시로 국가 모든 산업의 효율성 제고와 직결되는 물류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In recent years, stud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o utilize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for automatic wireless identification of objects, mainly in domestic and overseas distribution and logistics industries. RFID technology is becoming very compact, low cost, and multifunctional due to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ology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a representative means of automatic object identification and mass information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because it is superior to barcode which is a typical recognition means and mass information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Due to the popularization of the Internet, the volume of letter-post items is decreasing, and parcels delivery volume are increasing. The barcode-based postal process can respond to changes in the postal environment, but it is likely to reach its limit within a few years. RFID technology, which is being introduced worldwide in the field of logistics, is expected to reduce various bottlenecks in postal and logistics, and it is expected that productiv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by real-time information flow. Therefore, in this paper, I introduce an overview and application examples of RFID technology and would like to propose System improvement ideas based on RFID that can be applied to Mail Center in Korea. In addi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postal and logistics development strategies in the future and we will need to gradually expand to all fields. In particular, we will enhance the logistics infrastructure by linking information technology (ICT) such as IoT(Internet of Things),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AI)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logistics industry,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he efficiency improvement of all industries in the country.

      • FCAW의 용접자세 및 보호가스에 따른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황세주 강릉원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FCAW의 용접자세 및 보호가스에 따른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황 세 주 강릉원주대학교 산업대학원 기계공학과 기계공학전공 본 연구에서는 용접 위치 및 차폐 가스에 따른 FCAW(Flux Cored Arc 용접) 용접부의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용접 방법인 FCAW는 자동차, 조선, 플랜트 산업, 전자 산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차폐 가스는 아크열에 의한 플럭스를 녹이면서 용접부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차폐 가스로는 보통 탄산가스(CO2 Gas)가 사용된다. 하지만, 여름철 드라이아이스의 수요가 높고 원료 생산업체의 정기적인 수리로 인해 이산화탄소의 공급이 불안정하다. 따라서, 이산화탄소에서 차폐 가스를 혼합 가스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여러 번 있었다. 용접부의 기계적 특성은 차폐 가스뿐만 아니라 용접 위치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FCAW의 차폐 가스와 용접 위치를 모두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용접 위치로 1G, 2G, 3G를 고려하였으며, 차폐 가스로 이산화탄소(CO2 100%)와 혼합 가스(Ar 80% + CO2 20%)를 고려하였다. 시편은 용접 구조용 압연강인 SM355A를 용접하여 제작하였다. 용접 위치와 차폐 가스에 따른 기계적 특성을 검증하기 위해 인장시험, 굽힘시험, 경도시험, 충격시험, 매크로시험 및 비파괴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용접성과 기계적 특성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FCAW에서 이산화탄소 가스의 보충이 안정적이지 않을 때 혼합 가스를 차폐 가스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國家海洋環境政策 및 海洋汚染防除管理에 관한 硏究

        김종성 강릉원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천혜의 해양국가로서의 그 위상에 적합한 해양환경관리전략의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 환경정책은 경제개발에 따른 급속한 산업화를 거치면서 경제개발정책을 집행해 나가는 과정에서 그 역할과 기능을 달리하면서 발전하여 왔다. 우리나라 해양환경관리가 시작되는 시기에는 국가 산업의 중심축인 중화학산업이 성장하는 시점이었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유독가스로 호흡기의 질환이나 피부병이 발생하기도 하였으며 중화학산업의 주요원자재인 원유를 운송하는 유조선에서 유출되는 기름으로 인해 심각한 해양오염상황이 발생하면서 해양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점차로 높아졌다. 우리나라 해역에서 발생한 해양오염사고는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국민의 해양환경 보전의식의 향상과 사고예방활동 강화 등으로 점차 감소 추세에 있으나, 2007년 태안에서의 대형 오염사고 경험 등과 같이 유류물동량, 해상교통량의 증가로 인해 대형 오염사고의 발생 가능성은 상존하고 있다. 해양환경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육상기인 오염원이 약 80%를 차지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즉, 육상환경은 해양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결국 해양환경정책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육상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최근에 연안개발의 가속화로 말미암아 하천을 통한 오염원 유입이나 비점오염원에 의한 유입이 증가하고 있어 육상환경을 책임지고 있는 관련부서와 육상의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부서간의 정책적 조정 및 협의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우리나라는 해양생물의 보호, 수산자원의 관리, 해양생태계의 보호를 위해 연안 해양보호구역을 다양한 법률 및 제도에 따라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 연안 해양보호구역은 해양보호구역,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특정도서, 국립공원, 환경보전해역, 야생동식물보호구역, 수산자원보호구역, 천연기념물 등이다. 2009년 연안해양보호구역의 수는 총 562개소, 지정면적은 9.982.24 ㎢로서 전체 국토면적(99,514 ㎢)의 10.0%, 해면부(447,000 ㎢)의 2.2%, 영해면적(71,000 ㎢)의 14.1%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해양쓰레기는 수산자원을 이용하는 어업, 연안과 해양을 대상으로 한 관광, 그리고 보호가치가 높은 해양생물과 조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경제적ㆍ생태적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우리나라 연안 해역의 침적쓰레기는 약 40만톤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41개 주요어장 및 폐기물 밀집도가 높은 해역에는 약 11만 5,000톤의 쓰레기가 방치되어 있다. 그러나 2005년의 경우 해양쓰레기 수거율은 약 70%에 머무는 등 매년 쓰레기 발생량에 비하여 수거량이 적기 때문에 미수거된 쓰레기가 누적되고 있으며 따라서 수거 처리능력을 제고시킬 필요가 있다. HNS는 국내에서 약 1,000여종이 해상으로 운송되고 있으며, 해상물동량은 산업활동에 비례하여 2000년 1억4,200만 톤에서 2007년에는 약 25%가 증가한 1억 7,800만 톤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이러한 물동량 증가는 해상에서의 사고위험성 및 오염가능성의 증가를 의미하며, 이에 우리나라도 2008년 4월 11일 동 의정서에 가입하여 해양오염사고에 대응하고자 하는 국제적 노력에 적극 동참하는 한편, HNS 오염사고발생시 범국가적 차원의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비․대응할 수 있는 사고대응체제 구축이 요구되었다. 우리나라의 화학물질 유출사고에 대한 현 체제와의 비교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ⅰ) HNS 해양오염사고 발생에 대비하여 화학물질 사고대응기관간의 인력, 장비, 기술 등 협력․지원체계를 조기 구축하여 사고대응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ⅱ) 방제책임기관에게 해양환경관리공단의 방제사업 및 민간방제사업자에 대한 관리․감독을 하게 함으로써 국가적 자원의 통일적 안배와 사고위험성을 고려한 배치로 중복을 피하고, 이를 통해 점차적인 방제책임기관의 장비 이관 및 자금지원을 통해 민간 방제사업을 활성화해야 한다. ⅲ)HNS 사고에 대한 신고접수․전달시스템의 연동과 부처별 산재되어 있는 사고대응 관련 법률을 상호 보완하여 통합사고관리체제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반도국가로 삼면이 바다와 접해 있어 선박 및 해안과 인접한 유류저장시설로부터의 해상 및 해안이 유류오염위험에 광범위하게 노출되어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해안의 이용도가 높고 이용범위가 넓은 나라에서 해양유류 유출사고 발생 시 방제종료 가이드라인이 없다면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초래될 것이다. ⅰ) 해안을 점유 혹은 사용하거나 이용하는 이해관계자들과 정부기관, 지자체 및 보상자간에 종료기준에 대한 의견대립이 발생되어 소모 논쟁을 피할 수 없다. ⅱ) 방제시행자 및 방제관리자가 방제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없다. ⅲ) 특정구획의 방제에 대해 방제목표를 이해하거나 효과적인 방제기술을 선택하기가 어렵다. ⅳ) 방제관리자에게 제시된 방제작업 수준까지 방제작업을 할 수 있도록 명확한 목적과 목표를 제시할 수 없다. ⅴ) 방제시행자 및 지역주민과 보상자간에 심한 갈등이 초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해 당사자간의 문제 해결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지자체는 방제종료기준을 설정하고 구체적인 의사결정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의사결정협의회를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우리나라 해안방제시스템 개발을 위해서는 첫째, 전국 해안을 지질과 경제적 이용형태 및 해양특성에 따라 분할하여 구획을 획정하는 작업이 우선 되어야 한다. 둘째, 이 시스템에는 해안에 대한 정보D/B가 필요하다. 셋째, 구역화된 해안에 대하여 유종별 방제방법을 미리 설정해두는 작업이다. 마지막으로 시스템을 작성하고 운영할 소프트웨어 개발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해양환경정책의 변천을 새롭게 검토하고, 육상으로 기인한 해양오염문제에 대한 대응과 해양에서 발생하는 유류오염사고와 더불어 위험ㆍ유해물질(HNS) 사고 예방과 관리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해양환경정책에 대한 제반 검토와 해양오염방제시스템에 대한 진일보한 전략수립을 해야 한다는데 결론을 얻었다. Our country is surrounded on three sides by the sea on its status as a maritime nation blessed the marine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formulation of management strategies are needed. Countr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policy of rapid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economic development policy to enforce it goes through the process of leaving the differing roles and functions that have been developed to. The Beginning of Korea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is to the central axis of the heavy chemical industry, industrial growth was at the time. The interest for the marine pollution happens gradually increased serious marine pollution that oil spill drains during transporting crude oil from the tanker, and various toxic gases arise respiratory diseases, skin diseases occur in heavy industry. The accident occurred in the waters of marine pollution in Korea since 2000, citing fold improvement in people's consciousness and preserva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and strengthening of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to gradually decline, and in 2011 raising awareness about pollution, rapid action, and oil transfer based on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accidents and the flow continues, but in 2007 the formation of the Taean oil spill, such as the experience of traffic, due to the increase in maritime traffic, the possibility of large-scale pollution incidents are still in existence. It significantly affect the marine environment due to the land is approximately 80% of the pollutants to be reported. In other words, the terrestrial environment affects the marine environment, eventually affecting the marine environment, so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terrestrial environment. Recently the acceleration of the development of coastal river flows through or nonpoint pollution source on the rise due to influx of the land, we consider necessary of coordination and consultation between departments responsible for the land environment and departments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of land policy. Our country operate the protection of marine life, marine resource management, for the protection of marine ecosystems in a variety of coastal marine protected areas in accordance with the laws and institutions. Coastal marine protected areas in country are the marine protected areas,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 wetland area, specific books, national parks, environmental protection waters, wildlife reserves, marine resource protection areas, natural monuments. Coastal marine protected areas in 2009 are surveyed a total of 562 points, designated as an area of ​​9.982.24 ㎢ 10.0% of total land area(99,514 ㎢), 2.2% of cavernous portion(447,000 ㎢), 14.1 % of territorial area(71,000 ㎢). Marine debris is caused to damage of fishery resources, coastal and marine tourism destination, and the protection of marine life and valuable birds economically and ecologically. The deposited waste of coastal waters is estimated to be about 400,000 tons, garbage of 115,000tons is left in 41 major fishing grounds and waste waters with high density approximately of garbage . However, in the case of 2005, about 70% of marine debris is staying, because a little garbage than such emissions each year, and accumulate uncollected garbage, and thus there is a need to enhance the collecting and processing power. HNS transport through the sea about 1,000 species in the country, port traffic in proportion to the industrial activities an increase of approximately 25% of the 178 million tons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This increase in port traffic represent increase of possibility for the risk and the contamination, our country join the Protocol to respond to marine pollution accidents in 11 April 2008. Response system is required to build preparedness response and cooperation in quickly and efficiently cross nationally. We proposed the following policy the comparison of the current system for the chemical spill in country. ⅰ) We should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cident response of the personnel, equipment, and technology cooperation to response HNS marine pollution incident. ⅱ) We revitalize civilian control through transfer equipment and funding, to avoid overlapping the business of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Corporation and private sector operators to control the director of national resources to the unified arrangement by considering the risk of accidents. ⅲ) An integrated incident management system should allow an accident report of HNS transfer system in conjunction with an incident response agencies scattered by complementary legislation to establish. Our country in a peninsula on three sides by the sea is widely exposed the risk of oil pollution of the sea from a ship and oil storage facility adjacent to the coast. If we have no termination guidelines on the controlling marine oil spill, we will result in the following problems as use of a wide range of high availability in marine controlling marine oil spill. ⅰ) we can not avoid consumptive controversy as disagreement occurs occupying coastal stakeholders, government agencies, municipalities, and exit criteria to compensate for tracking occurs. ⅱ) Efficiency of controlling operation can not be increased between prescription enforcer and Control administrator. ⅲ) It is difficult to select an effective control technique for the control of specific compartments in understanding the control objectives. ⅳ) Clear goals and objectives can not be presented to control the task-level proposed administrator to allow control operation. ⅴ) Severe conflict can be resulted in compensation tracking control enforcer and local residents. In order to facilitate troubleshooting and such understanding between parties the Council would be desirable to operate setting the control system for establishing a concrete decision. In order to develop marine control systems of our country, the compartments is divided as geological and economic use of coastal and marine forms in nation firstly. Second, D/B informations on a shore are needed in this system. Third, control methods with respect to coastal zoning oil should be placed. Finally, Software should be developed to create and operate system. Thus, transition of marine environmental policy transition in country should be investigated, and marine environmental policy should be investigated for the marine pollution caused by land and the oil spill at sea, so we obtain that a step forward strategies of marine pollution control should be estab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