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매노인의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형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연구

        김솔잎 가톨릭관동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국문초록 치매노인의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치매노인의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에 미치는 요인을 앤더슨의행동모형에 근거하여 소인요인(개인특성, 가족관계 특성), 가능성요인(경제적 특성, 사회 및 제도특성), 욕구요인(건강특성, 치매실태)을 구분하여 서비스참여를 촉진하는 요인과 방해하는 요인 등을 구체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치매환자 및 주보호자의 욕구에 부합되는 실효성 높은 서비스 제공과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강원지역에 위치한 치매관련 공공기관 및 치매관련 서비스제공 기관의 치매진단을 받은 치매노인 200명을 선정하여 대면조사 하였으며, 최종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치매노인의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의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1) 치매노인의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소인요인(개인특성, 가족관계 특성)은 무엇인가? (2) 치매노인의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가능성요인(경제적 특성, 사회 및 제도특성)은 무엇인가? (3) 치매노인의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욕구요인(일반적 건강특성, 치매실태)은 무엇인가? (4) 치매노인의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소인요인, 가능성요인, 욕구용인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기초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가능성요인이 가장 설명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가능성 요인이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2)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의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가능성 요인으로는 가족의 지지도, 인지재활서비스 필요인식 정도가 영향을 미치며, 욕구요인으로는 건강특성의 정도가 높을수록, 치매의 정도가 높을수록, 기초법수급에 해당 될수록 유의미 한 변수로 작용 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소인요인은 유의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지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가지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1) 치매질환 및 건강관리를 위한 질병관리교육과 인지재활병행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2) 치매환자와 가족관계에 대한 지지도를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가족복지 사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3) 사회보호서비스의 구축강화와 표준화시스템이 필요하다. Abstract A study on the causes which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Kim, sol-ip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Social Welfare,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Academic advised by professor Ph.D, Lee, Dong-Yo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eeking a plan, which can vitalize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service provision that meets with the desire of dementia patients and their major guardians by verifying the causes, which promote or interfere with the service participation by classifying the causes that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to; predisposition causes (individual characteristic, family relation characteristic), possibility causes (economic characteristic, social and system characteristic) and desire causes (health characteristic, dementia characteristic). 200 senior persons who were diagnosed as having dementia at the public agencies and service provision agencies related to dementia located in Gangwon-do area were chosen as the study subjects and data were drawn from them by face-to-face interview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on the data to learn the causes that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task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our. (1) What are the predisposition causes (individual characteristic, family relation characteristic), which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2) What are the possibility causes (economic characteristic, social and system characteristic), which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3) What are the desire causes (health characteristic, dementia characteristic), which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4) Among the predisposition causes, possibility causes and desire causes, which one has the biggest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major conclusion of this study based on the study tasks is as following. (1) Possibility causes had the biggest explanation power;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possibility causes are the most important causes in explaining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2) The variables that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are as following. Regarding possibility causes, the support of family and awareness extent on the necessity of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Regarding desire causes, when the extent of health characteristic is higher, when the intensity of dementia is worse or when the person is a recipient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Act allowance, these variables were more significant. Meanwhile, predisposition causes were not significant;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ose do not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result are as following. (1) Education on the necessity of parallel management of recognition rehabilitation and disease management on dementia and health care should be enforced. (2) Active family welfare projects should be enforced to reinforce the relation between a dementia patient and the support of the patient’s family. (3) Reinforcement of social protection service and standardized system are necessary.

      • 신체적 장애아동의 내현화 및 외현화 행동에 부모의 양육태도가 미치는 영향의 구조분석 : : -장애특성을 고려한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김태임 가톨릭관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0655

        신체적 장애아동의 내현화 및 외현화 행동에 부모의 양육태도가 미치는 영향의 구조분석: -장애특성을 고려한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김 태 임 지도교수 이 동 영 아동의 성장과 발달은 단순한 생물학적 진화가 아닌 사회적 권리이자 의무 이다. 이는 아동의 올곧은 발달이 아동기뿐 아니라 이후 생애주기 전반에 지 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한 인간의 삶의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고 따라서 하 나의 기본권으로서 발달권(right to development)에 해당함에 부양책임자는 이를 지원할 의무를 갖는 것이다. 아동의 고르고 순조롭게 진행된 발달에 가 장 밀접하고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바로 가족환경으로 이중 부모는 아동 발달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게 되고 내밀한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체계이자 변수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화이념에 기초하여 장애아동의 발달권을 실 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중요이슈의 고찰과 이를 통한 실효적 전략 마련의 함의를 도출한다는 대전제 하에, 장애아동의 내현화 및 외현화 행동에 부모 의 양육태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러한 영향 가운데 장애아 동의 심리내적 메커니즘은 어떻게 작동하며, 장애인 가족으로서 상황적 자 기 이해에 해당하는 가족변수는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등을 실증 분석하고 자 한다. 이를 통해 장애아동 발달의 저해 요인인 문제행동을 올바른 인식 하에 최소화하고 부모를 포함한 가족체계를 중심으로 긍정적 발달지원의 다 양한 전략들에 대해 확장된 논의를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문제행동과 이의 관계 요소에 대해 외재적 측면 (부모환경)뿐 아니라 내재적 측면(비의도적 통제), 일상적 메커니즘(심리사 회적 메커니즘)뿐 아니라 상황적 역동성(가족 건강성의 조절 효과) 등을 다 차원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인천, 충청지역 소 재 특수학교, 장애인복지관, 장애관련 센터를 이용하는 장애인가족을 대상으 로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 방법은 앞서 설정한 매개모형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그리고 이러한 인 과모형에서 장애 수용성이 포함된 조절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다집단분석 (multiple group analysis)을 각각 시행하였다. 분석프로그램은 기술통계 등 기초분석을 위해 SPSS 20.0을, 구조방정식과 다집단분석을 위해 AMOS 20.0을 각각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의 내현화 및 외현화 행동에 대한 부모변수의 영향은 유의 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아동의 문제행동은 독립 적이고 단절적으로 발현하는 기질적 문제라기보다는 보다 관계적이고 상황 적 맥락에서 발현하거나 변화된다는 사실을 대전제로 인지할 필요성을 제시 한다고 하겠다. 둘째, 아동의 비의도적 통제가 갖는 유의미성이다. 즉 부모의 양육태도는 아동의 내현화 및 외현화 행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아동의 심 리내적 특성이자 문제행동의 선행요인인 비의도적 통제에도 영향을 미침으 로써 문제행동의 증가에 간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는 아동의 비의 도적 통제가 아동의 문제행동을 설명하는 설명변수로서도 의미가 있고, 동 시에 부모 양육태도의 영향을 중개하는 역할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는 것이다. 셋째, 부모 양육태도의 아동 문제행동에 대한 부정적 영향에 상황적 변수 로서의 인지된 가족 건강성이 그 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기능(의사소통이나 문제에 대한 대처 등)이라는 상황적 맥락이 구조 관 계상 영향의 여부와 정도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하 는 것이다. 넷째, 부모 양육태도의 아동 상황 결정 및 행동 특성에 대한 영향 중 거 부적 태도의 중요성이 통제적 태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즉 아동의 주도 성과 자율성이 지나치게 억제된 통제된 태도도 아동 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무관심과 무애정의 방관자적 태도 역시 아동 행동에 부정적 영향 을 미친다는 것이다. 다섯째, 아동의 문제행동 유형인 내현화 및 외현화 행동 발현이 선행요인 들과의 인과 구조 속에서 상이한 관계성과 결정성을 보이기보다 유사한 메 커니즘으로 진행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에 의하여 장애아동의 내현화 및 외현화 행동에 부모의 양육 태도가 미치는 영향의 구조분석에 따른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를 위한 제언 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 지원을 위한 다양한 과정 중 기존의 어머니에 한정한 접 근보다는 아버지까지 포함된 ‘부모 중심’의 접근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아 버지는 가족 체계에서도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아버지의 장애 자녀를 수용하는 정도에 따라 가족 구성원의 태도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적극적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active parenting training: APT)의 내용을 반영하여 부모-자녀관계속에서의 양육체계에 대한 상호적 역할논의와 실천 이 강조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둘째, 양육태도의 직접 효과보다 비의도적 통제를 통한 간접효과의 비중 이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된 만큼 아동 주도적 상호작용에서 다양한 놀이 경험 과정 중 주의집중과 억제통제, 주의 전환 및 직면의 기술을 접목하여 진행하면 의도적 통제 성향을 보다 긍정적으로 높이는데 일정부분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양육태도의 비의도적 통제를 통한 부정적 효과의 일 정한 감소 효과도 기대할 수 있지만, 양육태도 외 다양한 심리 자극에 따른 의도적 통제에 의한 행동 영향도 일정 수준 감소시킬 수 있어 결과적 문제 행동 감소에 긍정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가족 건강성이 낮은 집단에 대한 실천적 노력의 필요성과 부모 대 상의 직접적 양육 및 교육 등에 비협조적인 부모들이 상당수 있어 현실적 실무한계에 가족 건강성이 차선적 해결전략으로 가족 건강성이 낮은 장애 자녀를 둔 가족에 대해 장애 이해를 바탕으로 한 긍정심리기반 가족기능강 화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해 가족 내 연대 의식과 목표 의식의 공유 증대, 의사소통의 체계화와 문제해결 능력의 강화를 도모하며, 현실적 한계로 부 모 대상의 직접적 프로그램 적용이 어려울 경우(가령, 부모의 확고한 양육 방식에 대한 신념과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비협조 등) 이의 대체적 적용으 로 앞서 제시한 긍정심리기반 가족기능강화 프로그램을 적용하되 부모가 아 닌 가족에 초점을 맞춰 접목·적용하는 것이 효과적 접근이 될 수 있다. 넷째,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Parent-Child Interaction Therapy; PCIT)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상황별 양육환경과 개별적 장애 특성 및 문제 특성에 맞는 적용이 상당한 효과를 거둘 것으로 판단한다. 부모-아동 상호 작용치료(Parent-Child Interaction Therapy; PCIT)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 하여 상황별 양육환경과 개별적 장애 특성 및 문제 특성에 맞는 적용이 상 당한 효과를 거둘 것이다. 다섯째, 부모 역할훈련 등을 통한 긍정적 양육태도의 정립, 아동의 의도 적 통제 향상을 위한 심상기반프로그램, 가족 건강성 증대를 위한 긍정심리 기반 가족기능향상 프로그램 등의 적용 시 내외 특성 구분 없는 Tompson & Rudolph(1992)의 통합적 모델의 적용이 가능하고 또한 적절할 수 있다 하겠다. 아동 행동의 다양한 측면을 다양한 이론으로 통합하여 이해하고 다 양한 방법으로 통합적 실천하는 것으로 심리내적 인지치료나 심리외적 행동 치료(행동주의 모델 기반), 체계 내적 개인치료나 체계 외적 관계 치료 등을 구분 적용하기보다 문제행동의 통합적 이해 가운데 실천모델을 통합하여 적 용하는 것이 행동 개선에 보다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장애아동이 속한 가족의 가족응집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고, 가족 내 역할의 안정성과 융통성을 위하여 가족구성원안 에서 부모로서의 역할 재조직과 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구체적이고 세부적 인 지도 방법을 전달하고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 장애아동, 양육태도, 내현화 및 외현화 행동, 가족건강성

      • 중국의 일대일로정책과 위안화 국제화에 관한 연구

        김왕섭 가톨릭관동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39

        One Belt and One Road is a strategy that involves the multiple intentions of Xi Jinping. The primary purpose is to create overseas construction demand and solve chronic oversupply problems in China such as coal and cement. It is said that the intention is to expand the influence on participating countries on a One Belt and One Road basis and to reorganize the existing international political and economic terrain led by the United States into China. It will also be used as a factor to justify the strengthening of the one-person system of the city. If one-on-one strategies expand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trade volume and increase productivity in these regions, China will be able to increase its influence and diplomatic status on the global economy without having to suffer adverse effects such as redundant investment or oversupply in its own countries. If China’s strategy goes smoothly One Belt and One Road, it is expected to provide the following opportunities for the global economy: First, it is possible to create new demand through investment and trade volume expansion. One Belt and One Road will buffer the impact of strengthening US protectionism and will further enhance the importance of trade between emerging countries in the global trade structure. Investment funds for One Belt and One Road investment between 2016 and 2020 are estimated at at least $ 10.6 trillion, of which $ 1.4 trillion is needed outside of China. Experts in China believe that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yuan, which has been somewhat shrinking in the course of such a massive financing process, will accelerate again. If One Belt and One Road can not give the belief that China's strategic purpose and influence will be focused on other countries with investment potential, the sustainability of the project, which is aimed at completion in 2049, will be hard to guarantee. Korea should establish a government-financial institution-business cooperation system so that it will not be alienated from large-scale projects such as One Belt and One Road projects, collect relevant information through active exchanges with China, and seek a business model that can generate profits.

      • 지속가능한 수변관광 활용에 관한 연구 : 인제지역을 중심으로

        전혜원 가톨릭관동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39

        Abstract A Study on the Use Of Sustainable Waterside Tourism Of Inland Resources -The Case of Inje areas- Jeon, Hye Won Department of Tourism Management Graduate School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Jeong, Seok-Joong) Water was an absolute requirement in human life in relations to development of city. Technology to handle water contributed greatly to growth of human civilization. The fact that all civilization started near the waterfront attest to this. It means waterfront space must be perceived as public space for people of all classes and must be managed accordingly. Therefore,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1. Summarize the status of waterfront tourism in Inje region in Gangwondo. 2. Analyze the status of utilization of waterfront tourism resource in Inje region in Gangwondo. 3. Analyze the problem associated with utilizing waterfront tourism resource in Inje region in Gangwondo. 4. Explore diverse ways to utilize waterfront tourism resource in Inje area in Gangwondo. This paper collected and summarized waterfront and green tourism resource.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develop waterfront culture and tourism that has developed in the region throughout history and use natural environment of Inje region to develop tourism product and determine future direction. Previous researches were analyzed to define concept and definition of waterfront space, the status of waterfront tourism and enhancement of Inje region as tourism destination based on analysis of books, papers and other periodicals, thus establishing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local government's green tourism development plan. Also, the study used the current resource on tourism information system in Inje region in Gangwon do in order to identify the status of inner waterfront resource and use in Inje region.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problems identified in this research through SWAT analysis. First, aggressive use of leisure facilities is deficient. In particular, although various leisure facilities such as military theme parks are currently available, they are not really effective as a theme park although they are called one. Second, there is deficiency in diverse event managements. The most famous festival in Inje region is Bingeo (pond smelt fish) Festival, which was named promising culture tourism program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in 2005. It was also selected the best festival by local governments. However, due to lack of promotion and tourism information at the site, various problems are being discovered. Third, there is a lack of promotion by local governments. Promotion makes the biggest difference in terms of tourism. However, although Inje-gun country boasts the most diverse leisure facilities and waterfront tourism resource, it is not leaving up to expectation in terms of attracting more tourists. Fourth, there is a lack of suppor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lthough Inje-gun has Seorak-san Mountain, one of the best tourism resource throughout history, it lacks information and support to promote tourism. The following is the direction of this research. First, there should be big promotion. The government support for tourism is currently concentrated on the metropolitan area and tends to neglect promotion of local tourism resource. Aggressive promotion is necessary at national and local level. Second, development of hanok (traditional Korean house) village of culture village will provide great sightseeing spots as well as solve accommodation problems. In addition, developing local specialty foods will help growth of tourism. Third, inventing new tourism products and branding Inje region as tourism product will help attract more tourists. Also, developing leisure facilities in the waterfront area to build waterfront leports resort will help promote tourism. Fourth, the best strength of Inje-gun county is its abundant natural resources. Located near DMZ, it is possible to expand sustainable tourism that is environment friendly just by using natural environment without artificial development. Finally, this research pursued theoretical reasoning based on literature researches. Therefore, it lacks empirical contents. Also, due to theoretical limi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erform various case analysis and empirical study in the future. Based on continuous and regular research, it will be possible to come up with a plan to develop Inje-gun. 눈부신 경제 신화의 주역으로 아시아를 주도하게 될 아시아의 호랑이라고까지 불리며 세계적인 관심을 모았던 한국 경제상황은 한류 열풍으로서의 위세를 나타내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급성장하는 주변의 국가들과는 상반되게 계속적인 침체국면에 있으며, 선진국 대열 진입을 위한 인적자원과 기반은 준비가 되어왔다고는 볼 수 있으나 국가 역량을 총체적으로 결집하여 경제도약을 하지 못하거나 경제방향을 잡지 못하며 경제를 위축시킴으로 지속적인 투자부진으로 연결되고 기업의 활력이 크게 낮아지고 장기 불황에 따른 내수 침체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1.강원도 인제지역의 수변관광자원 현황을 정리하고자 한다. 2.강원도 인제지역의 수변관광자원 활용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3.강원도 인제지역의 수변관광자원 활용의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4.강원도 인제지역의 수변관광자원 활용의 다양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현재까지의 수변관광 및 녹색관광들을 취합 정리했으며, 앞으로 역사적으로 발전되어 왔던 수변지역의 문화, 관광을 계승 발전시키며 인제 지역의 다양한 자연환경을 통하여 관광 상품 설계와 방향을 고려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문헌적 분석을 위하여 수변 공간의 개념 및 정의, 녹색관광, 수변 관광 현황, 인제지역 관광성 제고 등을 관련 서적, 논문, 기타 각종 간행물 등을 활용한 문헌연구를 통해 지자체의 녹색관광개발 방안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구성하였고, 강원도 인제지역 내수면자원현황 및 이용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강원도 인제지역의 관광정보시스템의 현황자료를 활용하였다. SWAT분석을 통한 본 연구의 문제점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레저시설 적극적 활용 미비하다. 특히나 밀리터리 테마파크나 다양한 레저시설이 개설되어 있지만 언어적 측면에서는 테마파크라고 칭하면서도 복합적인 테마파크 운영은 효율적으로 운영되지 않고 있다. 둘째, 다양한 행사관리 소홀하다. 인제지역에서 가장 유명한 축제는 빙어축제로 2005년 문화관광부 지정 문화관광 유망축제로 선정되고 행정자치부에서 최우수축제로 선정되고 있으나 대대적인 홍보부족과 행사지에서의 안내부족 등 다양한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셋째, 지방정부의 홍보부족하다. 관광지에 대해 가장 큰 효과가 있는 것은 홍보이다. 그러나 인제군은 어느 지역보다도 다양한 레저시설과 수변관광자원을 확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홍보부족으로 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는데 문제점을 갖고 있다. 넷째, 중앙정부의 적극적 지원 미비하다. 인제군은 예로부터 설악산을 훌륭한 관광자원으로 소유하고 있지만 그에 대한 안내 및 지원이 부족하다. 본 연구의 연구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대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특히나 수도권 집중의 관광자원에 대해 국가적 홍보가 집중되고 있어 지역의 관광자원 홍보가 소홀하기에 국가적 및 지자체의 적극적 홍보가 필요하다. 둘째, 한옥마을이나 문화마을로 개발한다면 볼거리와 더불어 숙박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숙박과 함께 지역 특화음식을 개발한다면 더불어 좋을 것이다. 셋째, 새로운 관광상품을 개발하여 인제지역을 관광상품화 한다면 관광객을 적극적으로 유치할 수 있다. 또한 자연을 훼손하지 않고도 수변 지역 레저시설을 개선한다면 이것을 확대하여 수변활동 레포츠 종합 리조트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인제군의 내적인 요소로는 아직까지도 자연자원이 풍부하여 개발가능성이 무한하다는 것이다. DMZ 인근 지역으로 인위적으로 개발하지 않아도 푸른 자연환경을 이용한 친환경의 지속가능한 관광의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문헌적 자료에서 이론의 틀을 추구하였기 때문에 실증적 틀이 미흡하므로 부족하고 사료되어진다. 그리고 이론적 한계로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다소 무리가 있다고 보여진다. 그러므로 향후 여러 사례분석과 실증분석이 필요하며,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조사를 통하여 발전하는 인제의 모습을 갖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재가 장기요양기관 방문요양보호사의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박만호 가톨릭관동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이후 재가 장기요양기관에서 근무하는 방문요양보호사들의 재택 근무형태의 근무로 인한 직무수행에 따른 직무몰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찾아 재가 장기요양기관의 운영목표 달성은 물론 재가 급여 대상자들에게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여 서비스 제공자인 방문요양보호사들의 직무만족에 이르게 하는 몰입 요인을 탐색하고자 시도되었다. 기존 연구된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를 그리고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강원도 영동 남부지역 즉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에 소재하고 있는 15개의 재가 장기요양기관 방문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는 2014년 10월 7 일부터 10월 27일까지 20일간 조사를 진행하였고, 구조화된 자기보고식 설문방식으로 직접 기관을 방문하여 협조를 구하여 270부를 배부하였으나 회수된 부수는 242 부였고, 불성실하게 답변한 설문지 69부를 제외한 분석에 사용한 부수는 173부였다. 분석방법은 통계프로그램 SPSS ver 19.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로 재택근무 형태로 근무하는 재가 장기요양기관 방문요양보호사들의 직무몰입에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방문요양보호사들의 직무몰입향상을 통해 보다 나은 행정과 급여 대상자들에 대한 질 높은 서비스를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얻게 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표본의 개인특성 요인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혼인유형, 종교, 월 근무시간, 월평균 급여는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지만, 학력, 경력, 기관출근율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있음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학력이 낮을수록 직무몰입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기관특성 요인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근무기관 형태, 직원 수, 교육 수, 복리후생, 그리고 우선복리후생요인에서는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례회의 수는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이한 것은 우선적으로 원하는 복리후생지원에서는 보너스 지급이 65.9%로 가장 많았다. 셋째, 직무특성 요인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주당방문회수, 이동소요시간, 이동수단, 서비스 제공시간, 서비스 제공내역 요인은 직무몰입 영향에 유의하지 않고 대상자 수에서만 직무몰입에 영향이 있음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몰입에 대해서 분석을 실시한 결과, 5점 만점에 평균이 4.11로서 직무몰입은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하위변수를 보면 직무몰입 적극성이 4.2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애착성, 수용성, 지속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몰입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직무몰입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인특성 요인인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보면, 학력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력과 출근여부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특성요인과 함께한 모형 2분석에서는 학력은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경력, 출근여부와 함께 사례회의 횟수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특성 요인이 추가로 투입된 모형 3분석에서는 서비스 대상자 수가 직무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력은 낮을수록, 경력, 출근, 사례회의 횟수, 서비스 대상자 수는 많을수록 직무몰입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몰입의 하위문항들에 대한 독립변수의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직무몰입의 수용성에 대한 영향요인으로는 경력과 사례회의 횟수가 많을수록 직무몰입(수용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몰입(적극성)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학력이 낮을수록, 사례회의 횟수가 많을수록 직무몰입(적극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몰입(애착성)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경력, 출근, 사례회의 횟수가 많을수록 직무몰입(애착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몰입(지속성) 영향요인으로는 주당 근무시간이 낮을수록, 경력, 출근, 사례회의 횟수가 많을수록 직무몰입(지속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따른 가설에 대한 검증은 개인특성요인 중에서는 학력은 낮을수록, 경력은 높을수록, 출근회수는 많을수록 직무몰입 또한 높아진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으며, 기관특성요인 중에서는 사례회의 횟수가 많아질수록 직무몰입이 높다는 분석결과와 직무특성요인에서는 대상자수가 많을수록 직무몰입이 높아질 수 있음을 분석을 통해 얻게 되어 본 연구의 가설은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근거로 해서 급여대상자에게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양질의 요양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재가 장기요양기관의 인력관리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실천적/정책적 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무실 출근율을 높일 수 있는

      • 경쟁고용 장애인근로자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 개인 및 조직특성에 대한 다층분석의 적용

        권재용 가톨릭관동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39

        기존의 우리나라의 장애인 고용정책 및 실천에 있어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환경이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 졌으며 학문적으로는 기존연구의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의 고용에 있어 경쟁고용에 초점을 맞춰 연구하였으며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정부와 사업주의 입장에서 성공적 고용성과를 평가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대상은 경쟁고용을 통해 취업한 장애인근로자 126명 그리고 고용사업체 42곳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개인 및 조직수준의 다층자료특성을 최대한 고려하여 다층모형을 적용하였다. 다층분석 시행을 위해 통계패키지HML 6.0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근로자의 주관적 경력성공의 총 분산 중 조직효과에 의해 설명되는 분산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왔다(ICC 32.1%로일반적인 횡단적 다층분석 결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지 않은 수준으로 나타남.). 둘째, 장애인근로자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개인특성변수의 설명은 장애특성변수로서 장애정도, 인적자본특성변수로서 성장욕구, 그리고 프로티언 태도변수로서의 자기중심적 태도와 가치중심적 태도 등이 의미 있는 변수로 확인하였다. 이는 그 자체로서 의미뿐 아니라 이러한 개인특성변수의 경력성공에 대한 영향력이 조직특성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셋째, 앞서 확인된 조직간 차이가 어떻게, 그리고 어떤 변수에 의해 설명되는지에 대한 질문을 연구모형의 다층분석을 통해 확인해보았는데, 장애관련 편의제공의 수준이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변수로 확인되었다. 넷째. 성장욕구와 프로티언 경력태도변수는 장애인근로자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보다 직접적이고 실질적인 인사환경특성변수(경력관리 지원과 인사관련 지원 등)에 의해 보다 강화됨으로써 이 조직변수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