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흉·요추부 근력 강화 운동이 만성 뇌졸중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김보라 가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n balance and gait of chronic stroke patients after thoracolumbar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and, to suggest more effective methods of exercise. A total of 30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post. onset, 6 month)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1: Thoracolumbar extension exercise (n=15), Group 2: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n=15). Both groups received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sessions for 30minutes. Then each group were given and participated for a 10-minute—separated—group exercise during weekdays for 4 weeks. All participants were evaluated the static standing balance, dynamic standing balance and gait before and after the entire sessions. In group 1, the motion of Center of Pressure of static standing balance and dynamic standing balance were significant decreased (p<.05). The cadence, velocity, step length and stride length have shown significant increases in gait (p<.05). In group 2, the motion of Center of Pressure of static standing balance and dynamic standing balance were significant decreased (p<.05). The cadence, velocity, step length, and stride length have shown significant increases in gait(p<.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c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thoracolumbar extension and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s have made effect on the static and dynamic standing balance, and gait for stroke patient at chronic stage. Thus, implementing and applying the compounds of both exercises will be meaningful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to recover their physical ability and to return to the daily lives.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흉·요추부 근력 강화 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환자들의 균형능력과 보행능력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뇌졸중 환자들에게 더 효과적인 운동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발병한지 6개월 이상인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환자 30명을 흉·요추부 신전 운동군 15명, 요부 안정화 운동군 15명으로 나누어 운동을 실시하였다. 두 군 모두 중추신경계재활훈련을 30분 시행한 후 흉·요추부 신전 운동군은 흉·요추부 신전 운동을, 요부 안정화 운동군은 체간 굴곡 운동을 각각 하루에 10분씩 주 5일, 총 4주에 걸쳐서 시행하였다. 그리고 운동 전후에 정적 기립 균형능력, 동적 기립 균형능력, 보행능력을 측정하였다. 흉·요추부 신전 운동군은 실험 전과 비교하여 정적 기립 균형은 동요면적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p<.05), 동적 기립 균형도 동요면적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5). 보행능력에서 보장, 활보장, 보행속도, 분속수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요부 안정화 운동군은 실험 전과 비교하여 정적 기립 균형은 동요면적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p<.05), 동적 기립 균형도 동요면적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5). 보행능력에서 보장, 활보장, 보행속도, 분속수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그러나 두 군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흉·요추부 신전 운동과 요부 안정화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정적, 동적 기립 균형능력과 보행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미 효과가 많이 증명된 요부 안정화 운동과 함께 환자들에게 흉·요추부 신전 운동을 함께 적용한다면 환자들의 기능회복과 일상생활복귀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 아급성 편마비환자의 어깨관절 Scapular Taping적용이 근활성도와 통증, 관절가동범위 및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영향

        이재남 가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capular taping on muscle activities of the scapular rotators and anterior deltoid, ROM, shoulder pain, proprioception in subacute stroke pati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1 April 2013 to 16 May 2013, and progressed in K Hospital located in Incheon. Twenty-eight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of fourteen patients respective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scapular taping was performed for scapular realignment on the skin over acromion and scapular with non-elastic specific tape, and sham-taping with elestic under-tape for the control group. Muscle activity of upper and lower trapezius, serratus anterior, anterior deltoid was measured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Visual analog scale was used for shoulder pain. Electro-Goniometry was used for shoulder elevation ROM. Assessment board was used for shoulder elevation proprioception. The muscle activity of the lower trapezius muscle and serratus anterior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scapular tape application (p<0.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upper trapezius and anterior deltoid muscle(p>0.05). The VAS in the shoulder no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scapular tape application (p>0.05). The AROM and PROM in the shoulder elev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scapular tape application (p<0.05). The proprioception in the shoulder no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scapular tape application (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capular taping can be used an additional therapy for increasing muscle activity of lower trapezius and serratus anterior and ROM during shoulder elevation in subacute stroke patients. 본 연구는 아급성 편마비 환자의 견관절 거상 시 scapular taping 적용이 견갑골 상방 회전근과 전 삼각근의 근 활성도와 관절가동범위, 통증, 그리고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인천 K병원에 입원중인 편마비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표면 근전도 장비를 이용하여 테이핑 전과 후의 상승모근, 하승모근, 전거근 그리고 전 삼각근의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관절가동범위와 고유수용성 감각을 측정하기 위해 전자고니어미터를 사용하였고, 견관절 통증을 측정하기 위해 100mm 시각 상사 척도를 사용하였다. scapular taping 적용 전과 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t 검정을 실시하였다. 하승모근과 전거근의 근 활성도는 scapular taping 적용 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그러나 상승모근과 전 삼각근의 근 활성도는 테이핑 전과 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그리고 테이핑 전보다 후에 관절가동범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통증과 고유수용성 감각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본 연구 결과 견관절을 거상하는 동안 아급성편마비 환자들에게 적용한 scapular taping은 견갑골 상방회전근의 근 활성도를 증가시키고 관절가동범위를 증가시키는데 부가적인 치료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탄성체를 이용한 어깨와 팔꿉 관절 가동 범위 측정 방법의 동시 신뢰도 분석

        김회훈 가천대학교 보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의 목적은 탄성체와 3축 힘센서를 결합한 관절 가동 범위 측정 장비를 소개하고, 새롭게 제시된 측정 장비 모델의 동시 신뢰도를 확인하여 장비의 활용 가능성과 치료와 평가 장비로서의 안전성, 효율성을 확인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연구 대상자는 최근 상지 및 척추에 부상과 질병이 없는 성인 남녀 20명이 참여하였다. 3축 힘센서와 탄성체를 결합한 관절 가동 범위 측정 장비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Smartphone Application)에서 측정된 관절 가동 범위의 동시 신뢰도를 비교하기 위해 급내 상관 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일상생활 동작 중 당기기 동작에서 어깨 관절의 굽힘(폄), 벌림(모음)을 팔꿉 관절에서는 굽힘(폄)에 대한 관절 가동 범위를 측정하였고, 실험은 끝 자세에서 3~5초간 유지하여 3회 반복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어깨 관절 굽힘(폄)의 신뢰도는 ICC 0.954로 훌륭한 신뢰도로 측정되었고, 어깨 관절 벌림(모음)은 ICC 0.444로 보통의 신뢰도로 측정되었다. 또한, 팔꿉 관절 굽힘(폄)은 ICC 0.764로 훌륭한 신뢰도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새롭게 소개된 장비의 신뢰도와 보완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소개된 관절 가동 범위 측정 장비가 일상생활 동작 중 당기기 동작과 같은 어깨와 팔꿉 관절이 포함된 다관절 움직임의 관절 가동 범위 평가와 물리치료에서의 활용 방안, 그리고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joint operating range measuring equipment combining elastic band and three-axis force sensors, and to verify the availability of the equipment and its safety and efficiency as treatment and evaluation equipment by checking the simultaneous reliability of the newly proposed measurement equipment model. The study was recently conducted by 20 adult men and women without injuries and diseases in the upper extremities and spine. To compare the simultaneous reliability of joint operating ranges measured in smartphone applications with joint operating ranges that combine three-axis force sensors and elastic b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ange of motion for flexion(extension) and abduction(adduction) of shoulder and elbow joints was measured in the pull movements du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he experiment was repeated three times by maintaining the end position for 3-5 seconds. The study showed that the excellent reliability of shoulder joint flexion (extension) was ICC 0.954, and shoulder joint abduction (adduction) was measured at ICC 0.444 with moderate reliability. Furthermore, flexion of elbow joints at ICC 0.764 was measured with excellent reliability. These studies have shown that the reliability, complementary point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e newly introduced equipment have been identified. The joint Range of Motion measurement equipment introduc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way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evaluating range of motion of multi-joint movements, including shoulder and elbow joints, physical therapy.

      • 대학병원과 종합병원 의료기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만족도의 영향 요인 비교 :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이은모 가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15

        국문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임상병리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이직의도, 직무수행감정에 대해서 서로 비교하고 구체적인 문제점을 도출하여 병원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시행하게 되었다. 대상 및 방법 : 조사대상자는 인천광역시에 거주하는 20-50대 연령의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임상병리사의 직종에 종사하는 종합병원 종사자 114명과 대학병원 종사자 2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WIN 23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분석은 인구특성 문항에 대해서는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표본의 일반적 특성별로 의료기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이직의도, 직무수행감정 차이를 일변량 분산 분석 또는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의료기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연령, 결혼, 직종, 병원규모, 직급, 양육형태, 고용형태, 점심휴식 시간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는 40세 이상 연령층이, 결혼여부에 있어서는 기혼자 집단이, 직종별로는 임상병리사가 병원규모별로는 대학병원이 종합병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급별로는 주임이 가장 높았고, 양육형태별로는 친정 시부모 다른사람 도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구 특성별 직무만족은 연령, 직종, 양육형태, 고용형태, 점심휴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은 29세 이하가, 직종별로는 물리치료사가, 양육형태별로는 남편이 주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직의도는 연령, 직종, 현직장 근무기간, 근무형태, 직급, 양육형태, 고용형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의도는 30-39세가, 직종별로는 임상병리사, 근무형태별로는 2,3교대가 직급별로는 주임이, 양육형태별로는 친정 시부모 다른사람 도움이 고용형태별로는 정규직이 계약직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이 조사대상자들은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에 대한 영향은 낮았으며, 이직의도는 높게 나타났고 ,직무수행감정의 차이는 낮게 나타남으로 직무스트레스 극복을 위한 대처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한국 성인의 요 중 3-페녹시벤조익산(3-PBA)과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관련성 연구

        이나영 가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15

        이 연구는 환경유해물질 대상 인체모니터링 조사인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자료를 대상으로 한국 성인의 요 중 3-페녹시벤조익산의 농도 분포를 알아보고자 하며 인체건강지표인 간 기능과 신장 기능 자료 분석을 통하여 농도 분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2년부터 2014년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6478명을 대상으로 요 시료 채취 및 혈액 시료 채취를 하였고, 조사표를 활용하여 142문항에 대한 대면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분석(Arithmetic mean(AM), Geometric mean(GM)), 분위수(Quartile), 스피어만 상관분석(Spearmancorrelation), 교차분석(Chi-square 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간기능 검사 중 ALT의 전체 평균은 21.17 U/L, 남자 25.52 U/L, 여자 17.66 U/L 이였다. AST의 전체 평균은 23.63 U/L, 남자 25.50 U/L, 여자 21.95 U/L 이였고, γ-GTP의 전체 평균은 23.96 U/L, 남자33.47 U/L, 여자 17.31 U/L 이였다. 간 기능 관련 검사에서는 흡연자에서 평균값보다 높게 분석되었고, 체질량지수(BMI)의 비만군에서 평균값보다 높게 분석 되었다. 대상자의 신장기능 검사 중 β2-MG의 평균값은 1.48 mg/L 이고, 남자 1.52 mg/L, 여자 1.45 mg/L 이였고, 연령대가 증가 할 수록 분석 값도 함께 증가하였고, 지역별로는 농촌 거주자가 높게 관측되었는데 이것은 농촌 참여자 중에서 고령인구가 많았던 것과 관련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과거 흡연자 및 현재 흡연자의 경우에 평균값보다 높게 분석되었다. 요 중 크레아티닌의 전체 평균값은 0.72 g/L 이고, 남자 0.89 g/L, 여자 0.59 g/L 이였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요 중 3-PBA는 평균 1.94 ㎍/g cr., 남자 1.59 ㎍/g cr., 여자 2.41 ㎍/g cr. 으로 나타났고, 연령대가 증가 할수록 요 중 3-PBA 분석 값도 증가하였다. 환경유해물질과 임상검사 상관분석에는 요 중 3-PBA와 AST, β2-MG가 유의한 양의 상관을 보였고, 요 중 3-PBA와 요 중 크레아티닌은 음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요 중 3-PBA와 임상검사 카이제곱분석에서는 요 중 3-PBA와 ALT, AST, γ-GTP_female, β2-MG 농도 그룹간 통계적 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요 중 3-PBA와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로지스틱 회귀분석에는 성, 연령, 흡연, 음주, 직업에 대한 보정 모델에서 요 중 3-PBA 90th 높음에 속할 경우에 AST 높음 그룹에 포함될 오즈는 1.361배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피레스로이드계 농약류의 대사물인 요 중 3-PBA는 환경유해물질 인체모니터링을 목적으로 일반적으로 분석이 되고 있다. 요 중 3-PBA는 내분비계교란, 생식기 이상, 호흡기계통 장해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연구되었고, 향후 인체건강영향에 대한 꾸준한 모니터링이 요구되며 이를 바탕으로 요 중 3-PBA 농도의 인체영향에 대한 권고수준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베이비붐 세대의 노인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 경제개발세대 및 X세대와의 비교분석

        문지원 가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의 노인부양의식 실태를 알아보고, 이 같은 부양의식이 어떤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아울러 베이비붐 세대보다 먼저 태어난 ‘해방둥이 및 경제개발세대(1945~1954년생)’, 그리고 뒤를 이어 태어난 ‘X세대(1964~1976년생)’와 노인부양의식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345명(베이비붐 세대 135명, 해방둥이 세대 및 경제개발세대 87명, X세대 123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붐 세대는 부모를 모시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면서도 경제적인 문제와 신체적인 문제(수발)에서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베이비부머 대다수는 기본적으로 부모 부양책임이 자신에게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자신의 노후를 자녀와 함께 보내는 것에 대해선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베이비붐 세대의 노인부양의식은 주택소유여부, 직업유무, 부모의 건강수준에 의해 유의미한 영향을 받고 있었다. 반면, 경제개발세대는 성별, 교육수준, 직업유무가, X세대는 성별, 교육수준, 조부모와의 동거 경험이 각각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같은 결과를 종합해볼 때, 베이비붐 세대의 부모 봉양에는 경제적 상황과 신체적 부담(수발) 정도가 중요한 기제(機制)로 작용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비붐 세대가 경제적․신체적인 안정을 느낄 수는 사회적 분위기가 하루 빨리 조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다각적인 경제적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최근 사회적 이슈로 부상한 주택 및 연금 문제가 조속히 안정화 될 필요가 있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중․고령자를 위한 일자리 창출도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경추와 흉추부의 근력강화 운동프로그램이 머리전방자세와 목통증에 미치는 영향

        김아란 가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머리전방자세를 가지고 있는 정상인에게 경추의 심부 굴곡근과 흉추의 신전근 근력강화 운동프로그램 적용이 대상자들의 두개척추각(Craniovertebral Angle ; CVA)의 변화와 압통 역치(Pressure Pain Threshold : PPT)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인천의 G대학에 재학 중인 만 19세 이상의 남, 여 대학생 중 두개척추각을 53도 미만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로 28명이 선정되었으며, 운동 전, 운동 3주 후, 운동 5주 후에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두개척추각을 측정하였고, 디지털 압통기를 이용하여 상승모근 근복에서 압통점을 찾아 압통 역치점을 측정하였다. 운동은 경추의 심부 굴곡근과 흉추의 신전근의 근력강화를 실시하였으며, 대상자를 무작위로 14명씩 나누어 한 집단은 운동프로그램을 30분 실시하였고 다른 집단은 60분 실시하였다.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후에 차이가 30분 운동을 실시하였을 때와 60분 운동을 실시하였을 때 두 그룹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두개척추각 비교와 압통 역치 값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또한, 운동 전, 3주 후, 5주 후 비교를 위해 반복 측정된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개척추각 비교에서 운동 전과 3주 후 측정사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압통 역치 값에서는 3주 후와 5주 후 측정사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30분 운동군과 60분 운동군 사이의 두개척추각 비교와 압통 역치 값의 비교에서는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경추의 심부 굴곡근과 흉추의 신전근 운동프로그램이 머리전방자세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의 척추두개각의 증가를 가져왔으며압통 역치값의 감소를 가져온 것으로 사료된다.

      • 견갑골의 해부학적 위치 안정성이 편마비환자의 팔뻗기 및 견관절동작 기능에 미치는 영향

        유영열 가천의과학대학교 보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편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치료시 상지기능의 팔뻗기 및 견관절 기능의 향상을 위해 견갑골의 해부학적 위치 안정성 유지가 상지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러스크기념 분당병원과 부천 세종병원에서 재활운동치료를 받는 총 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1주간의 예비실험을 거쳐, 주 3~5회 하루 30분 이상 씩 총 6주간의 치료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견갑골의 해부학적 위치 안정성 측정을 위해 PALM(Palpation), 팔뻗기 동작은 Modification of The Functional Reach Measure, 상지기능의 측정은 Modified Motor Assessment Scale 사용하여 치료 전·후 각각 측정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편마비 환자의 견갑골(Scapula)의 해부학적 위치 안정성의 변화 후 전체 대상자 상지기능의 평가점수가 11.3에서 12.93으로 증가하였으며, 측정 전ㆍ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2) 편마비 환자의 견갑골(Scapula)의 해부학적 위치 안정성의 변화 후 전체 대상자 팔뻗기 기능은 3.85에서 4.25로, 상지기능의 평가점수가 11.3에서 12.93으로 증가하였으며, 팔뻗기 기능과 상지기능의 평가점수는 상관관계는 측정 전ㆍ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3) 편마비 환자의 견갑골(Scapula)의 해부학적 위치 안정성의 변화 후 전체 대상자 팔뻗기 기능의 증진은 있었지만 서로 상관관계를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편마비 환자에게 상지기능의 회복에 관여하여서는 견갑골의 안정성이 제시되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편마비 환자의 팔뻗기 및 견관절 기능개선을 위해서는 치료시 견갑골의 안정성이 상지기능에 회복에 요구가 있을 것이라고 사료 된다. A decrease in the ability to maintain upper extrimity fuction after stroke could be related to the instability to select reliable scapula stability needed to maintain upper extrimity f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ffects of upper extrimity arm reaching and shoulder girdle function with scapula position stability conditions on the ability of subjects with stroke. Fourty hemiparetic subjects were assigned in a six-week rehabilitative therapeutic exercise program focusing on scapula position stability and mobility. Exercises were performed 3 to 5 times per week rehabilitative exercise. Pre- and post test assessments involved the measurement of the scapula position stability, arm reaching, shoulder girdle funcion. Results showed that maintain scapula position normal stability condition, more improvement than that of the falling or abnormal scapula stability position and maintain scapula position stability effect of arm reaching, shoulder girdle function improvement. Theresults suggest that maintain scapula position stability condition, the rehabilitative therapeutic exercise programs areeffective in improving the arm reaching and shoulder girdle functione of stroke subjec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upper extrimity improving function of hemiplegics.

      • 학령기 ADHD 아동의 감각처리가 사회기술에 미치는 영향

        이선희 가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학령기 ADHD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처리 특성과 사회기술 특성을 파악하고 감각처리가 사회기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1~6학년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아동 64명을 대상으로 2015년 3월 2일부터 2015년 5월 16일까지 진행하였다. 감각처리 특성은 감각 프로파일(Sensory Profile)을 사용하였고, 사회기술 특성은 사회기술 평정척도(Social Skills Rating System)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DHD 아동의 감각처리 특성은 감각영역에서 지구력/근 긴장도 조절, 감정반응에 대한 감각입력 조절, 감정적/사회적 반응이 의심범주에 속하였고, 감각요소에서 감정적 반응, 낮은 지구력/근 긴장도, 부주의/혼란이 의심범주에 속하였다. 학년에 따른 감각처리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둘째, ADHD 아동의 사회기술 특성은 하위요인에서 협동, 자기통제, 자기주장, 책임감 순으로 어려움을 보였다. 학년에 따른 사회기술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셋째, ADHD 아동의 감각처리와 사회기술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감각처리의 청각처리, 감정적/사회적 반응, 감각처리 행동, 감정적 반응, 감각 민감성은 사회기술의 협동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고(p<.05), 감각처리의 청각처리, 지구력/근 긴장도 조절, 감정적/사회적 반응, 감각처리 행동, 반응 역치 항목, 감정적 반응, 낮은 지구력/근 긴장도, 빈약한 감각등록, 감각 민감성, 소근육 운동/지각은 사회기술의 자기주장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p<.05). 감각처리의 청각처리, 촉각처리, 신체자세/움직임 조절, 감정적/사회적 반응, 감각처리 행동, 감정적 반응, 빈약한 감각등록, 감각 민감성은 사회기술의 책임감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p<.05), 감각처리의 청각처리, 전정감각처리, 신체자세/움직임 조절, 감정적/사회적 반응, 감각처리 행동, 반응 역치 항목, 감정적 반응, 부주의/혼란, 빈약한 감각등록, 감각 민감성, 소근육 운동/지각은 사회기술의 자기통제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p<.05). 넷째, ADHD 아동의 감각처리가 사회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감각처리의 시각처리, 감정반응과 활동정도에 대한 시각입력 조절, 감각처리 행동이 사회기술의 자기주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그리고 감각처리의 시각처리가 사회기술의 책임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p<.05), 감각처리의 감정반응과 활동정도에 대한 시각입력 조절이 사회기술의 자기통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본 연구를 통해 학령기 ADHD 아동의 감각처리와 사회기술은 관련성이 있으며, 감각처리가 사회기술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시각되먹임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균형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황혁순 가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힘판을 이용한 시각되먹임 훈련이 균형 및 균형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시각되먹임 훈련군 10명과 불안정지지면 훈련군 10명을 각각 배정하고, 4주 동안 각각 30분씩 주 2회 보존적 운동치료와 30분씩 주 3회 각각의 시각되먹임 훈련과 불안정지지면 훈련을 실시하였다. 두 군은 훈련 전․후로 정적 균형(훈련 전․후 선 자세에서 압력중심의 자세동요에 의한 이동경로선의 면적, 훈련 전․후 선 자세에서 압력중심의 자세동요에 의한 이동경로선의 길이)과 동적 균형(훈련 전․후 선 자세에서 안정성 한계의 전, 후방 이동범위, 훈련 전․후 선 자세에서 안정성 한계의 좌, 우 이동범위)을 Balance Trainer BT-4로 측정하였고, 균형자신감은 한국어판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Korean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 K-ABC)을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측정은 4주간의 훈련 전․후로 측정하였고 통계적 분석은 t-test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시각되먹임 훈련군은 정적 균형과 동적 균형, 한국어판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 모두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p<0.05) 불안정지지면 훈련군은 동적 균형, 한국어판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05). 또한 시각되먹임 훈련군은 불안정지지면 훈련군에 비해서 정적 균형과 동적 균형, 한국어판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 모두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p<0.05). 본 연구에서 시각되먹임 훈련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에게 불안정지지면 훈련에 비해 균형능력과 균형자신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더 컸고, 따라서 시각되먹임 훈련은 뇌졸중 환자에게 낙상을 예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