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치인 박근혜의 리더십에 대한 언론 프레임 분석 : 조선일보, 서울신문, 한겨레를 중심으로

        陳璟鎬 韓國外國語大學校 政治行政言論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51711

        Analysis of Media Frames on the Leadership of Politician Park Geun-hye The insight of Tuchman by telling us that “News is a window on the world, and we see the world through the frame of the window” is unexceptionally applied to the aspect how a political leadership is revealed. As to the leadership of the politician Park Geun-hye, 18th president of Republic of Korea, whatever the true nature it is, the aspect of the leadership revealed by the press will be the practical leadership, which is perceived by the majority of people. This study analyzes, how the leadership of the politician Park Geun-hye is revealed to the public through the press media, how the aspect of the leadership is, with what frame the press views on the leadership of Park Geun-hye, and what differences do exist according to the ideological inclinations of the press in the leadership of Park Geun-hye that is presented to the public. This study takes a way of approach by inductively analyzing the 1, 761 number of news articles related to Park Geun-hye released by three newspapers with different ideological inclinations, <The Cho-sun Il bo> <The Seoul Shinmun> <The Hankyoreh >, which encompasses about a year and 9 month period from December 19, 2011, when the politician Park Geun-hye took a role of the head of Hannarah Party(the Grand National Party, the current Saenuri Party’s former self) Emergency Committee, to September 30, 2013, when she is taking a role of the president. This study uses the six elements of the president leadership by Greenstein, i.e., ‘public communication,’ ‘organizational capacity,’ ‘political skill,’ ‘policy vision,’ ‘cognitive style,’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the analyzing frame of the press frame. According to the study, with respect to the leadership of the politician Park Geun-hye, the elements of ‘organization capacity’ and ‘public communication’ negatively stand out whereas the elements of ‘political skill,’ ‘policy vision,’ and ‘cognitive style’ relatively less stand out. Also, the el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is considered as the leadership that receives a favorable review but stands out at the least. That is, the current existing leadership of the politician Park Geun-hye, which is projected to the public through the press, mostly has the negative features in the elements of ‘organization capacity’ and ‘public communication.’ This study has also found the apparent existing differences in showing the Park Geun-hye leadership on a frame by frame, according to the ideological inclinations of the newspapers analyzed. Namely, it is confirmed that the press media reveals the evident patrician on the tone of the articles. This says that regardless where and what kind of leadership the politician Park Geun-hye demonstrates each press media applies its own positive or negative frames according to its ideological inclination. In a word, the current existing leadership of the politician Park Geun-hye can be revealed either in a positive way or in a negative way, according to the patrician press and tendency of the press. This study is evaluated to have meanings in that it took an approach in studying the politician’s leadership in a perspective of interactiv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through the press releases, instead of the previous frames such as legal-institutional approach or personal-psychological approach, and that it could confirm the fact that each press media presents its patrician by utilizing different frames according to its own ideological inclination, even in a specific politician’s leadership as well as the pending issue of the social conflicts. 정치인 박근혜의 리더십에 대한 언론 프레임 분석 : 조선일보, 서울신문, 한겨레를 중심으로 ‘뉴스는 세상을 향한 창이며, 우리는 그 창틀을 통해 세상을 보게 된다’는 터크만(Tuchman)의 통찰은 정치 리더십의 발현에 있어서도 예외 없이 적용된다. 18대 대통령 박근혜의 정치 리더십 역시 또한 그 실체가 무엇이든 언론을 통해 발현되는 양태가 곧 국민 대중이 인식하는 실제적(實際的) 리더십이 된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정치인 박근혜의 리더십이 언론 매체를 통해 시민 공중에게 어떻게 발현되는지, 그 양태는 어떠하며, 언론은 어떤 프레임으로 박근혜 리더십을 조망하는지, 언론의 이념적 성향에 따라 국민 대중에게 제시되는 박근혜 리더십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했다. 연구는 정치인 박근혜가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은 2011년 12월 19일부터 대통령으로 재임 중인 2013년 9월 30일까지 약 1년 9개월 간 이념적 성향을 달리하는 <조선일보> <서울신문> <한겨레> 3개 신문이 보도한 박근혜 관련 기사 1,716건을 귀납적 방식으로 분석하는 접근방식을 취했다. 그린슈타인(Greenstein)의 대통령 리더십 6개 요소, 즉 ‘대중과의 의사소통’(public communication), ‘조직‧인사 능력’(organizational capacity), ‘정치력’(political skill), ‘통찰력’(policy vision), ‘인지력’(cognitive style), ‘감성지능’(emotional intelligence)을 언론 프레임의 분석 틀로 삼은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정치인 박근혜의 리더십은 ‘조직‧인사 능력’과 ‘대중과의 의사소통’이 부정적으로 부각된 반면 ‘정치력’ ‘통찰력’ ‘인지력’은 상대적으로 덜 부각되고 있으며, ‘감성지능’은 긍정적 평가를 받으면서도 가장 부각되지 않은 리더십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언론을 통해 국민 대중에게 투영된 정치인 박근혜의 현재적(顯在的) 리더십은 ‘조직‧인사 능력’과 ‘대중과의 의사소통’의 부정성(否定性)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각 분석 대상 신문의 이념적 성향에 따라 박근혜 리더십이 각 프레임 별로 명확한 차이를 드러낸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즉 언론 매체가 자신의 이념적 성향에 따라 기사의 논조에 있어서 뚜렷한 정파성을 드러내고 있음이 확인된 것이다. 이는 정치인 박근혜가 어떤 상황에서 어떤 리더십을 발휘하느냐에 관계없이 각 언론 매체들은 자신들의 이념적 성향에 따라 긍정 또는 부정의 프레임을 적용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한마디로 언론 매체의 정파성, 경향성에 따라 정치인 박근혜의 현재적(顯在的) 리더십은 긍정적으로도, 부정적으로도 발현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정치인 리더십 연구에 있어서 기존 법적‧제도적 접근(legal-institutional approach)이나 개인적‧심리적 접근(personal-psychological approach)의 틀에서 벗어나 언론 보도를 통한 국민과의 상호 작용이라는 맥락의 관점에서 접근했다는 점, 그리고 사회 갈등 현안에 있어서 뿐 아니라 특정 정치인의 리더십에 있어서도 각 언론 매체가 자신의 이념 성향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대입하며 정파성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고 평가된다.

      • 정치 이슈 보도에 나타난 정서 표현 :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취재원 발언 인용구 분석

        홍서래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행정언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711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media in the deepening affective polarization in South Korea. The media plays an important role in gathering information about public policies and issues, and news coverage through the media influences public perceptions and judgements about these policies and issues. In particular, the global risk of 'Release of Fukushima Contaminated Water' is a significant policy that has emerged as a political agenda in Korea, despite being a decis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In Korea, there has been a change in conservative(ideological) government during the decision to discharge by the Japanese government to its release. Differences in stance with the previous government on the policy and issue have led to increased conflict between the government, government party, and opposition. Additionally, diplomatic issues such as the South Korea-Japan summit, the visit of the IAEA director-general, and political issues such as the hunger strike by the leader and politicians of the opposition party and rallies opposing the contaminated water have turned into significant diplomatic and political problems. Therefore, based on the importance of media coverage, this study analysed 'Quotations', the most used form of reporting for objectivity, in terms of purpose, topic, affect and emotion. The study found that government change and differences in stance from the previous government differed in terms of the topic of articles, the type of source of the quote, and the target of the attack. This is due to the differences in ideology and values of party by media representing partisan leanings. For the purpose of quotations, there were more assertions, and the proportion of attacks increased until just before the release of the contaminated water. In terms of topics, the issue of the safety of Fukushima's contaminated water was mentioned most often, and the fact that it was covered most often in political articles shows that the media approached it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and social debate and social conflict. This indicates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public to obtain scientific and professional information on safety. In affect and emotion, the quotes confirm that negative affect is increasing and positive is decreasing. In particular, anger and disgust are the dominant emotions, which are not conducive to agreement and co-operation and indicate a lack of political compromise. The lack of political compromise is also one of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public's perception of polarization by the media, and the exposure of affect and emotional expressions affects the affective perception of policies and issues, as does affective framing. This has the potential to contribute to affective polarization at the public level. Finally, the manifestation of affect and emotion in policies and human characteristics other than the topic at hand implies an extension to the non-political area. This study offers the possibility of identifying the role of the media in affective polarization at the mass level through affect and emotion in response to media quotations. This is a significant study to analyse the impersonal influence of the media and the process of affective polariz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role of the media in affective polarization in Korea by conducting a longitudinal study on media coverage and further research on public perception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한국에서 심화하는 정서적 양극화 상황에서 미디어의 중요성을 밝히기 위한 목적이다. 미디어는 대중의 정책 및 이슈에 관한 정보 수집을 위한 역할을 하며, 미디어를 통한 뉴스 보도는 이들의 정책 및 이슈에 대한 인식과 판단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글로벌 위험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는 일본의 정책이지만 한국의 정치적 의제로 부상한 중요한 정책 및 이슈이다. 한국에서는 일본 정부의 방류 결정부터 실행까지 보수 정권의 교체가 이루어졌고, 해당 정책 및 이슈에 관한 이전 정부와의 다른 입장 차이로 인해 정부, 여당, 야당 간의 갈등이 심화하였다. 또한 한·일정상회담, IAEA 사무총장의 방한 등 외교적 문제와 야당 국회의원과 대표의 단식, 야당의 오염수 반대 집회로 정치적 문제로 이어지며 중요한 외교, 정치 문제로 대두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언론 보도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기사의 객관성을 위해 가장 많이 활용하는 보도 형식인 ‘인용구’를 발언의 목적, 주제, 정서와 감정으로 분석한다. 연구 결과에서 정권 변화와 이전 정부와의 입장 차이는 기사 주제, 인용구 취재원 유형, 공격 대상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이는 당파적 성향을 대표하는 언론사의 추구하는 정당 이념과 가치 차이 때문이다. 인용구 목적에서는 주장이 많았으며, 공격의 비중 또한 오염수 방류 직전까지 높아졌다. 주제에서는 후쿠시마 오염수의 안전성 문제가 가장 많이 언급되었으며, 이를 정치 주제의 기사에서 가장 많이 다루었다는 점은 언론이 정치·사회적 논쟁과 사회적 갈등에서 접근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는 대중들이 안전성에 관련된 과학적, 전문적인 정보를 취득하기에 어렵다는 것을 나타낸다. 정서와 감정에서는 인용구를 통해 부정적 정서가 증가하고 긍정적 정서가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분노, 혐오의 감정이 주요 감정으로, 이는 합의와 협치를 위한 감정이 아니며 정치 타협의 부재를 의미한다. 또한 정치 타협의 부재는 미디어를 통해 대중들이 양극화를 인식하게 하는 요소 중의 하나이며, 정서 및 감정 표현의 노출은 정서적 프레이밍처럼 해당 정책 및 이슈에 대한 정서적 인지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대중 차원의 정서적 양극화에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해당 주제 외에 다른 정책과 인간적 특성에서 정서와 감정이 드러나는 것은 비정치적 영역까지 확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언론사의 인용구에 대한 정서와 감정을 통해 대중적 차원의 정서적 양극화에서 미디어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미디어의 비개인적 영향력과 정서적 양극화 과정을 분석하기 위한 중요한 연구이다. 그러므로 향후 한국 언론 보도에 대한 종단 연구와 수용자 인식에 관한 추가적 연구를 진행한다면 한국 정서적 양극화에 있어 미디어의 역할을 밝혀내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이다.

      • 1980년대 한국 비영리 저널리즘 사례연구 : 재단법인 CBS를 중심으로

        홍인기 韓國外國語大學校 政治行政言論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51695

        This study is a case study that analyzes existing non-profit journalism press to find out the concept, type, and characteristics of non-profit journalism, and analyzes and proves whether CBS, a foundation in the 1980s, conforms to the characteristics of non-profit journalism.The purpos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we analyze representative non-profit journalism press to find out the concept,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non-profit journalism. Second, we examine whether the CBS foundation in the 1980s fits the characteristics of non-profit journalism.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ill examine the possibilities of non-profit journalism toda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non-profit journalism is a new journalism that does not pursue profits other than its original purpose. The types of non-profit journalism are classified into investigative, alternative, and community journalism. Non-profit journalism has its own characteristics in three dimensions: legal status, income structure, and journalism values ​​and practices. The legal status is suitable for non-profit organizations to operate. The income structure aims to secure independence and autonomy from economic and political power by lowering dependence on advertising. Journalism values ​​and practices pursue the public responsibility of the press. Second, in the 1980s, CBS stopped news and advertisements due to press oppression by the military government. However, as a non-profit foundation, CBS fulfilled its public responsibilities in the press, using contributions and donations instead of advertising as its main source of income, and developed civic radio discussion program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ess and democracy. In conclusion, CBS, a foundation in the 1980s, fits the characteristics of non-profit journalism. Third,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ossibility that non-profit journalism as a form of journalism that is more independent and free from political and economic powers can exist as a practical alternative to press management even today. 이 연구는 현존하는 비영리 저널리즘 매체들을 분석하여 비영리 저널리즘의 개념, 유형, 특성을 알아보고, 1980년대 재단법인 CBS가 비영리 저널리즘의 특성에 부합하는지 분석하고 입증하는 사례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표적인 비영리 저널리즘 매체들을 분석하여 비영리 저널리즘의 개념, 유형, 특성을 알아본다. 둘째, 1980년대 재단법인 CBS가 비영리 저널리즘의 특성에 부합하는지 알아본다. 셋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오늘날 비영리 저널리즘의 가능성을 확인해 본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영리 저널리즘의 개념은 저널리즘 본연의 목적 외에 다른 영리를 추구하지 않는 새로운 저널리즘이다. 비영리 저널리즘 유형은 탐사, 대안, 공동체 저널리즘으로 분류된다. 비영리 저널리즘은 법적 지위, 수입구조, 저널리즘 가치와 실천 등 세 가지 차원에서 고유한 특성을 보인다. 법적 지위는 비영리 기관이 운영에 적합하다. 수입구조는 광고의 의존도를 낮춰 경제 권력과 정치 권력으로부터 독립성과 자율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저널리즘 가치와 실천은 언론의 공적 책무를 추구한다. 둘째, 1980년대 재단법인 CBS는 군사 정부에 의한 언론탄압으로 뉴스와 광고가 중지됐다. 그러나 CBS는 비영리 재단법인으로서 광고 대신 헌금, 후원금을 주요 수입원으로 삼아 언론의 공적 책무를 다하고, 시민참여 라디오 토론 프로그램을 개발해 언론과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했다. 결론적으로 1980년대 재단법인 CBS는 비영리 저널리즘의 특성에 부합한다. 셋째,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정치 권력과 경제 권력으로부터 보다 독립적이고 자유로운 저널리즘 형태로서의 비영리 저널리즘은 오늘날에도 언론사 경영의 현실적 대안으로 존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 동맹의 진화요인 분석 : 한미동맹의 발전과정을 중심으로

        강신곤 韓國外國語大學校 政治行政言論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급변하고 있는 위험한 한반도 안보환경 하에 한미동맹을 토대로 한국의 안보를 확보해 가는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본 논문은 미국이 발표한 ‘신 국방전략지침’ 에 따라 한미동맹의 방향과 한국의 생존전략을 고찰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일방적이고 수직적인 한미동맹 추구가 아니고 한국이 한국의 안보를 증진하기 위해 한미동맹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함께 본 논문은 한국의 바람직한 안보정책 발전을 위해 북한과의 긴장완화가 포함된 주변국들과의 경제중심의 교류 확대, 독립된 나라로서의 군사주권 행사, 즉 군 지휘구조의 행사 능력과 무기 체계 자체 개발 등 안보리 재진출에 따른 외교 역량강화를 위한 글로벌 국방외교 확대가 필요하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 미국의 대북한 정책 : 클린턴, 부시, 오바마 행정부를 중심으로

        김연미 韓國外國語大學校 政治行政言論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논문은 클린턴 행정부부터 오바마 행정부까지의 대북정책을 관여정책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클린턴, 부시,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의 흐름을 살펴본 바 임기 초반에는 강경책으로 시작한 것에 비해 임기 후반으로 갈수록 관여정책을 추진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관여정책의 관점에서 대북정책을 고찰해 본다. 대북한 정책의 분석에 앞서 관여정책의 국제정치적 이론의 기반을 고찰해 본다. 관여의 의미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에 다양한 견해가 있는데 이러한 다양한 의견을 종합해 보면 주체국은 사회, 경제,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대상국과의 교류를 통해 대상국의 정치적 행위에 영향을 미치려는 정책이다. 이는 주체국 입장에서는 대상국의 국내 및 외교행위를 변화시키는 이득을 얻을 수 있고, 대상국 입장에서는 주체국과의 교류를 강화함으로써 외교적 이득을 얻을 수 있다. 관여정책은 지속적이고 장기적으로 이루어지며 접촉의 범위와 수준이 다양하다. 미국은 냉전승리 이후 미국주도의 질서를 강화하기 위해 현상변경을 원하는 국가들에 관여하고자 노력해왔다. 여기서 관계적 관여와 구조적 관여의 구별이 필요하다. 1980년대 후반, 미국의 패권 쇠퇴론이 대두되면서, 미국의 권력기반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그러나 Susan Strange는 미국의 권력은 쇠퇴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면서 이에 대한 논의로 관계적 권력과 구조적 권력을 구분했다. 비록 양자적·다자적 관계에서 미국의 일회적·단기적 권력은 줄어들었을지 모르지만 구조 자체를 움직이는 구조적 권력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이다. 클린턴 행정부가 수행한 관여정책은 타국과의 관계에서 자국의 권력기반을 강화하여 현상변경세력을 제압하는 정책인데 방법 면에서 점진적이고 협조적이다. 여기서 관계적 관여와 구조적 관여를 구분할 수 있는데 관계적 관여는 양자적·다자적 관계에서 일정한 이익을 주고받는 정책으로 단기적 이익을 제공하여 행동의 변화를 유도하는 것이다. 클린턴 행정부의 관여에서 이념적 기반을 제공하는 국제정치이론은 자유주의 국제정치학이론으로 구조적 관여와 직결된다. 구조적 관여는 대상국이 모르는 사이에 주체국의 구조를 대상국에 침투시켜 대상국의 행동과 이익의 기반을 확실하게 바꾸는 전략이라 할 수 있다. 클린턴 행정부는 탈냉전 이후 패권지위에 오를 수 있었던 국제적 환경 덕분에 북한과 충돌 없이 제네바 합의에 동의할 수 있었다. 즉 미국은 이 합의를 통해 북한과의 관계를 개선시킴으로서 북한의 변화를 유도하려 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후 곧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의 승리로 전세는 달라졌다. 클린턴은 상하양원을 장악하게 된 공화당으로부터 대북정책을 전면 재검토 할 것을 요구받았다. 이에 따라 클린턴 대통령은 윌리엄 페리를 고위급 정책조정관으로 임명했고, 공화당은 1994년 제1차 북핵 위기 때 대북 군사조치를 주장했던 페리의 임명에 동의했다. 곧 그는 미국과 한국, 중국, 일본의 조율을 거쳐 '페리 보고서'를 작성했다. 이 '페리 보고서'는 포괄적이고 통합적 접근을 시도한 클린턴 행정부 대북정책의 대명사라고 할 수 있으며 대북한 관여정책의 한 단면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클린턴 대통령의 개인적 성향에서도 그는 다자주의 노선을 지지하며 군사력과 경제력의 직접적 제제보다는 설득을 통해 영향력을 행사하는 방식을 선호한다는 점에서 관여정책의 일부분이라 할 수 있다. 클린턴에 이은 부시 행정부는 클린턴의 정책보다 더 강경한 정책으로 시작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공식석상에서 북한에 대해 언급하는 발언에서도 충분히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강경책은 이라크 전쟁의 실패와 우방국들의 반발로 한풀 꺾이게 된다. 이러한 이라크 전쟁의 여파는 국내적으로도 영향을 미쳐 중간선거에서 민주당이 상하원 모두를 장악을 하게 된다. 결국 비록 부시 대통령의 선악의 세계관이 대북정책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할지라도 임기 초반 때 보다 상대적으로 2기 집권 때 관여정책으로 전환되는 양상을 볼 수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후보시절부터 흑인 대통령후보로 미국민들 뿐 아니라 전 세계인들로부터 많은 주목을 받고 그만큼 오바마에 대한 사람들의 기대도 컸다. 그러나 오바마 행정부는 부시 행정부로부터 물려받은 많은 국내적 과제와 더불어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제2차 핵실험이라는 국제적 과제를 떠안아야 했다. 이러한 북한의 도발로 오바마 행정부는 다소 강경한 대북정책으로 나아갈 듯하였으나 '전략적 인내'로 관여정책을 일관했다. 더불어 2010년 11월에 있었던 중간선거는 오바마 행정부를 혹독하게 평가했다. 이는 임기 초반 때와 달리 급격히 떨어진 오바마의 지지율과 중간선거에서의 민주당의 실패로 나타난다. 아직 임기가 남은 상태에서 대북정책의 큰 변화가 포착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오바마의 대북정책을 판단하기에는 조심스럽다. 그러나 종합적으로 평가해 볼 때 오바마의 임기 초반에 비해 대북정책이 점차 진행될수록 관여정책으로 일관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비록 세 대통령의 세계관은 다르지만, 세 행정부 모두 관여정책을 수행한 공통점이 나타난다. 관여정책을 수행하게 된 계기도 공통적으로 미국 밖에서 일어나는 국제환경의 영향과 중간선거에서의 패배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미국이 대북정책으로서 물질적 지원을 통해 정치적 변화를 유도하는 관여정책을 수행한 것을 보여준다.

      • 유튜브 정치 동영상 채널의 기능, 그리고 유튜브 정치 동영상이 유권자의 정치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정치인의 인식 연구 : 국회의원과 보좌진 및 당직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장운석 韓國外國語大學校 政治行政言論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51695

        The paper analyzed the overall perception of lawmakers, aides and other operating staffs on YouTube's political channels directly operated by lawmaker, and how these channels can affect the political socialization of the electorate. For the study, an in-depth interviews'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lawmakers of the 20th National Assembly of Korea, their aides, and the official staffs of the ins and the outs who run a political party's channel on YouTube. The lawmakers that were contacted for the in-depth interviews are fully active as YouTube politicians as well as the top-five power Youtubers. Also, their staff and official members of the ruling and the opposition party are directly or indirectly participating in running the political YouTube channels. According to the study, most of the interviewees thought of YouTube as a platform of video search engine. For lamakers, they were using the YouTube political channels as a means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subscribers and promote their parliamentary activities without using traditional media. In terms of content, lawmakers of the ruling party thought that YouTube should promote their parliamentary activities and deal with specialized contents of the lawmakers themselves. For lawmakers of the opposition party, it was somewhat similar to the ruling party lawmakers, but must have criticism on the government and ruling party’s political mismanagement. The lawmakers argued that consistency, just like a industriousness to upload a video regularly, is key to running a successful channel regardless of the content quality, and also specialized content that differentiates them from other channels. Furthermore, there were expectations among the lawmakers that the YouTube political channel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voters for the upcoming 21st general election of National Assembly, and the extent of the expectations varied on the number of subscribers. To run the channels successfully, the lawmakers had an understanding of the ways of communication on Youtube. They were trying to create friendly, personal relationships with the subscribers , and even considered the details, such as a pseudo-relationship through the eye contact, facial expression, and an empathy, in creating the video. It also appeared that the lawmaker’s YouTube political channels affect the political socialization of the subscribers. The interviewees unanimously agreed that it provides political knowledge and generally agreed on the political efficacy but believed that there should be mutu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lawmakers and their subscribers. In terms of political trust, they have partially agreed in ambivalence because it can give trust but also political hatred at the same time. 본 논문의 목적은 유튜브 정치 동영상 채널의 기능, 그리고 유튜브 정치 동영상이 유권자의 정치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유튜브 정치채널을 실제 운영하고 있는 국회의원, 보좌진들의 인식을 알아보려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유튜브 정치채널을 운영하는 20대 국회의원과 그 보좌진, 여야 당직자들과 2019년 3월 20일부터 4월 9일까지 21일 간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를 위해서 섭외된 20대 국회의원들은 정치인 유튜버로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으며, 구독자 수 랭킹 top 5위 안에 들어있는 파워 유튜버들이다. 또한 보좌진과 여야 당직자들 역시 정치 유튜브 채널 운영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연구결과, 인터뷰 응답자들은 유튜브를 영상검색 포털 기능의 플랫폼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국회의원들은 유튜브 정치채널을 언론의 힘을 빌지 않고도 직접적으로 구독자와 소통하고 본인의 의정활동을 홍보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유튜브 정치채널이 다뤄야 할 콘텐츠로 여당의원의 경우, 의정활동 홍보와 의원 본인의 특화된 내용을 다뤄야한다고 생각했다. 야당의원의 경우에는, 여당의원들의 생각과 유사하지만 내용면에서 정부와 여당의 失政에 대해 날선 비판을 담아야한다고 생각하였다. 국회의원 유튜브 정치채널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콘텐츠의 질에 상관없이 꾸준히 동영상을 업데이트해야 하며, 다른 채널과 특화되는 콘텐츠를 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유튜브 정치채널이 차기 총선의 유권자 표심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기대를 하고 있었고, 그 기대의 수준은 구독자 수에 비례하였다. 채널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 국회의원들은 유튜브의 소통방식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하고 있었다. 구독자들과 친밀감을 가질 수 있는 사적 관계인 의사인간관계(pseudo-relationship)를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었으며, 이를 위해서시선, 얼굴표정, 감정 이입 등의 세심한 부분까지 동영상 제작 시 고려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국회의원 유튜브 정치채널이 유권자의 정치 사회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이들은 인식하고 있었는데, 정치지식을 제공하는 것에 대해서는 의견일치를 나타냈고, 정치효능감은 전반적인 동의를 하였지만 국회의원과 유권자 상호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과 소통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정치신뢰감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의견을 보였는데, 신뢰감을 주면서 동시에 정치혐오도 줄 수 있다는 兩價的 입장이었다.

      • 세월호 침몰 사고 보도에 관한 비주얼 프레임 연구

        오종택 韓國外國語大學校 政治行政言論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51695

        세월호 침몰 사고 보도에 관한 비주얼 프레임 연구: 세월호 침몰 사고 보도사진 중심으로 국민은 언론이라는 창을 통해 세상을 바라본다. 언론이 사회감시기능과 공정한 여론 형성의 역할을 해야 할 중요한 이유다. 모든 언론은 진실 보도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며 공정성과 객관성을 내세우며 불편부당한 정론지 임을 밝힌다. 그럼에도 정부 정책이나 정치적 사건에 대한 신문들의 보도 태도에 있어서 정파성은 보수, 진보 양 진영으로 분명하게 나뉘어 있다. 그동안 정치적 색채가 강한 대선이나 총선과 같은 정치면 보도사진에서는 각 신문들의 보도 태도에 정치적 편향성이 유의미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선행연구 결과 나타났다. 이 연구는 선거나 정치 뉴스 보도사진과는 다른, 사건 뉴스 보도사진에도 어떠한 편향성이 존재하는지에 주목했다. 즉, 세월호 침몰 사고와 같은 국가적 재난 뉴스 보도 사진에는 어떠한 정치적 편향성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연구다. 분석의 도구로는 프레임 분석을 이용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중도 보수성향의 <중앙일보>와 진보성향의 <한겨레>에 게재된 세월호 관련 보도사진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신문들이 세월호 사고 발생 다음날인 2014년 4월 17일자부터 2014년 10월 17일자까지 6개월 동안 보도한 세월호 사고 관련 사진을 대상으로 조사 했다. 또한 이 연구는 현장에서 직접보고 느낀 경험과 정보들을 바탕으로 선행 연구들을 참고해 프레임 내용분석을 했으며 이들 분석 자료들에 어떠한 유의미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연구했다. 보도사진 자료에 대한 분석은 변량분석과 신문에 게재된 사진을 전수조사를 통해 프레임, 그리고 프레이밍 장치로 분석을 시도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일보>와 <한겨레>의 1면 게재 비율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한겨레>는 게재일 수가 두 배 이상 많았다. 장기간 지속적으로 1면에 세월호 사건을 게재해 ‘세월호 정국’프레임을 주도 했다. 둘째, <중앙일보>는 정치적 편향성으로 볼 때 <한겨레>보다 정치적으로 우호적인 이미지의 보도사진을 많이 게재했고, <한겨레>는 맥락적 편향성으로 볼 때 <중앙일보>보다 정부에 비판적인 이미지의 보도사진을 더 많이 게재했다. 셋째, <중앙일보>는 인간적흥미프레임>책임귀인프레임>갈등프레임>도덕성프레임>경제적중요성프레임> 순으로, <한겨레>는 인간적흥미프레임>책임귀인프레임>도덕성프레임>경제적중요성프레임 순서를 보였다. <중앙일보>는 갈등프레임을, <한겨레> 도덕성프레임을 더 우선시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세월호 사고라는 국가적 재난사고를 두고 보수와 진보 성향의 신문이 각각 어떠한 보도 태도를 갖고 사진이라는 텍스트를 통해 독자들에게 어떤 정보를 부각시키고 무엇을 설득했는지 프레임이라는 분석도구를 이용해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토대로 뉴미디어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이 기대되는 보도사진이라는 비주얼 프레임에 대한 경계와 지평이 더욱 확장되고, 이론적으로도 체계 있고 깊이 있는 후속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 유가철학 속의 언론사상 : <논어>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李寅雨 韓國外國語大學校. 政治行政言論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51695

        The Idea of Journalism in Confucius Philosophy : Focusing on Text Analysis of <The Analects> This study is one of the study of the journalism thoughts, has a purpose to extract inspirations of modern media thoughts from analyzing 'the Analects', the core scripture of the Confucian ideology, for strengthening the journalism of modern Korea and contributing to the reconstruction of the journalism ethics. In other words, modern Korean journalism is faced with chaos in terms of both its purpose of conduct and ethics of conduct, and this crisis is also associated with the crisis and limitations of traditional Western journalism principles. For this purpose, the author reviewed the core ideas and ideas of Confucian ideology that appeared in the discussion, and reviewed how they were effective in the reconstruction of modern journalism. In addition, journalists as public intellectuals and journalism as a public knowledge and behavior system, which make ethical ideology a spiritual basis, have been proposed as media ideas for modern journalism.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ethics of speech, ethics of political thought, ideology of political thought and public opinion, and examined its ideological significance. In addition, I examined Confucius's viewpoint on human being as a subject of media ethics, and compared with the spirit of contemporary journalism in selecting specific words and phrases that can be inspired and inspired to form today's media thought in specific illustrations and discourses appearing in the subject. In conclusion, human ethics and community ethics of moralism suggested by Confucian ideology can embrace the principles of modern journalism, journalism will provide a basis for contributing to the harmony of the community at higher mental and cultural level, not just the instrumental reason centered on objectivity and fairness. If such a philosophy of journalism can be dubbed 'Confucian journalism', it can contribute greatly to enrich the contemporary journalism philosophy more deeply. On the other hand, this researcher proposed that the Korean media desperately needs a leadership value to newly regulate the media norms in order to get out of the western-centered media, and suggested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journalists,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the media, and open-ended research in the field of journalism. 유가철학 속의 언론사상 : <논어>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언론사상 연구의 하나로서, 유가(儒家)사상의 핵심 경전인 『논어(論語)』를 분석·고찰하여 현대 한국의 저널리즘을 강화하고 저널리즘 윤리를 새롭게 재구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언론사상적 요소를 추출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부연하면, 현대 한국 저널리즘이 그 수행 목적과 행위 윤리 양 측면에서 모두 혼란기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하고, 이러한 위기상은 전통적인 서구 저널리즘 원칙들이 봉착하고 있는 위기와 한계와도 맞물려 있다고 본다. 따라서 작금의 언론계 안팎에서 제기되는 한국 저널리즘의 위기는 현대 저널리즘을 구성하는 서구적 가치 기준 만으로는 그 해결 방안을 찾기 어렵다고 보고, 한국인의 문화와 규범, 행위 윤리의 정신적 기반을 형성하고 있는 핵심 전통 사상인 유가사상에서 현대 한국 저널리즘 재정립의 사상적 근거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런 목적하에 본 연구자는 전통적으로 한국인과 한국사회의 언행윤리의 원형을 담고 있는『논어』를 분석 텍스트로 하여, 논어 속에 나타나 있는 유가사상의 핵심 이념과 개념들, 예컨대 인(仁), 덕(德), 의(義), 예(禮) 등과 정명(正名), 직(直), 중용(中庸) 등이 현대 저널리즘의 재구성에 어떻게 유효한 지를 개괄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런 고찰을 통해 인을 정점으로 하는 유가사상을 정신적 바탕으로 삼는 ‘공공지식인’으로서의 저널리스트, ‘공공지식 및 행동시스템’으로서의 저널리즘을 현대 저널리즘이 새롭게 수혈받을 필요가 있는 언론사상으로 상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 아래 본 연구는 논어 속에 나타난 유가사상의 언행관, 기술관, 정치사상, 공론사상 등을 검토하고 그것이 언론사상 측면에서 가지는 의의를 검토하였다. 또 본 연구는 논어 속에 등장하는 구체적인 언명, 담론 속에서 오늘날 언론사상을 구성하는데 영감을 주고 귀감이 될 수 있는 핵심 구절을 뽑아 현대 저널리즘이 추구하는 정신과 비교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언어의 신뢰성(言而有信), 사실추구(每事問), 공중봉사(汎愛衆), 사회정의 수호(見危授命), 공의추구(義之與比), 권력비판(犯而勿欺) 등 논어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덕목은 곧바로 현대 저널리즘의 덕목으로 치환해도 전혀 무리가 없다. 결론적으로 유가사상이 제시하고 있는 도덕 중심의 인간윤리와 공공지향의 공동체 윤리는 도구적 수단주의에 매몰되고 있는 현대 저널리즘의 원칙들을 보다 높은 차원에서 포섭하여, 저널리즘이 단지 객관성과 공정성 중심의 도구적 이성에 머물지 않고 보다 높은 정신적, 문화적 차원에서 공동체의 조화에 기여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언론철학을 ‘유가 저널리즘’이라고 감히 명명할 수 있다면, 이 논문에서 제시한 언론사상으로서의 유가개념들은 현대 언론철학을 보다 풍성하게 심화시켜 줄 수 있을 것이다. 인(仁)은 사람을 사랑하는, 사람주의의 근본이념으로 언론철학의 최고선으로 삼아도 손색이 없다. 충(忠)과 서(恕)는 인을 실천하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며, 의(義)는 인의 사회적 실천의 모습이다. 예(禮)는 인을 추구하는 일체의 질서와 규범을, 덕(德)은 인과 예를 실천하는 내재적 힘으로서의 덕성을, 정명(正名)은 도덕적 가치와 정치사회적 가치의 일체화를 지향하여 궁극적으로 올바른 정치사회를 실현코자 하는 것이며, 직(直)과 지명(知命)은 인을 추구하는 개별 인간의 도덕적 자기 규율을 의미한다. 현대 언론인과 언론 조직은 이와 같은 유가사상을 통해 공동체의 규범과 구성원의 본분이 조화를 이루며, 정의를 직무의 근본으로 삼아 사회 각 부문의 공공성을 지원하고,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질서와 규범을 감시하고 비판하고 수호한다. 바람직한 언론인은 선비와 군자의 자세로 자기의 직분을 소명의식으로 가득 채운 자로 정의되어야 한다. 한편 본 연구는 시론적 성격으로서 한국 언론이 서구 중심주의 언론관에서 벗어나, 동아시아문명의 새로운 대두라는 시대의 추세에 조응하기 위해서는 언론과 언론인을 새롭게 규율하는 정신적 가치가 절실하다는 것과, 그를 위한 언론인교육의 필요성, 정신문화 측면의 언론 품질 제고, 언론학계의 개방적 연구 풍토 조성 등을 제안하였다.

      • 수용자와 매체간 정치성향 일치도가 매체 신뢰도 및 브랜드 자산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구 : 한겨레신문의 사례를 통한 검증

        정남구 韓國外國語大學校 政治行政言論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51695

        이 연구는 강한 정파성에 뿌리를 둔 왜곡·편향 보도가 한국 언론 불신의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로 지목받고 있는 가운데, 수용자가 지각한 매체의 정치성향은 수용자와 신뢰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수용자와 매체의 정치성향의 일치/차이 지각이 신뢰도(Credibility)와 브랜드 자산(Consumer-based Brand Equity)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언론 수용자 500명을 대상으로 한겨레신문의 정치성향에 대한 인식, 7개 측정항목의 신뢰도, 9개 측정항목의 브랜드 자산 평가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수용자는 매체와 정치성향이 일치한다고 지각할수록 매체 신뢰도와 브랜드 자산가치를 높게 평가했다. 수용자들은 한겨레신문의 논조를 매우 보수, 보수, 중도, 진보, 매우 진보 가운데 대체로 ‘진보’로 인식하였다. 보수 성향 수용자들은 한겨레의 정치성향을 어떻게 인식하든 신뢰도 평가에서 적대적 매체지각(대조 편향)을 강하게 드러냈다. 중도 수용자들은 우호적이지도 적대적이지도 않았다. 진보 수용자들은 우호적 매체지각(동화 편향)을 드러냈다. 다만, 진보 수용자들의 우호적 매체 지각은 보수 수용자들의 적대적 매체지각에 견줘 강도가 약했다. 한겨레신문이 자신보다 보수적이라고 인식하는 일부 중도, 진보 수용자들도 신뢰도를 매우 낮게 평가했다. 이 연구 결과는 신뢰도가 정확성 진실성 등 메시지에 대한 객관적 평가 요소에 의해서만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 과정에서 형성된 수용자와 매체 사이의 세계관 차이 지각에도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미디어 기업에 신뢰도가 갖는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수용자와 매체간 정치성향의 일치와 신뢰도, 브랜드 자산 평가 사이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했다. 신뢰도는 브랜드 자산 평가의 예측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ideological congruency on audiences’ perceptions of the credibility, the customer-based brand equity (CBBE) of news media outlets. Ideological congruency is the extent to which news audience members believe that a media outlet’s worldview mirrors their own personal worldviews. This study focused on the case of The Hankyoreh, daily newspaper in Korea which is recognized to be progressive. A survey was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es and the research questions. Data were gathered from a total of 500 participants through an online survey. Respondents answered the 23 questions. The results shows that conservative audiences have hostile media perception, and progressive audiences have friendly media perception about The hanhyoreh, progressive newspaper. The survey probed respondent's ideological congruency with The Hankyoreh and their perception of the media credibility and brand equity of the media outlets. The results show that ideological congruency predicts 16.7% of the variance in media channel credibility. and 20.7% of the variance in customer-based brand equity. And The results show a positive relation between media credibility and brand equ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