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세군의 사회봉사신학과 실천에 대한 연구

        김근수 한남대학교 학제신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이 글은 교회의 사회봉사를 구세군의 사회봉사 신학과 실천적 관점에서 비교하여 본 연구이다. 이를 보다 면밀히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세군의 사회봉사가 어떤 계기를 통해 시작되고,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를 살펴보고 창립자 윌리엄 부스의 사회봉사에 대한 신학적 관점과 실천 프로그램들을 담고 있는 그의 저서 “최 암흑의 영국과 그 출로”에서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구세군의 사회봉사신학은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으로 구원함을 얻은 그리스도인들이 그 사랑을 바탕으로 가난한 자들과 소외된 자들에게 복음을 전파하고 그들이 얻은 구원을 온전히 유지할 수 있도록 세상 속에서 그들의 필요와 어려움을 해결해 주고자 하는 실천적 행동이다. 이는 개인의 영혼구원을 위한 신학이고, 그리스도인들이 구원받은 사람들로서 의 사회속에서 성결한 삶과 책임 있는 행동을 요구하는 신학이다. 한국 구세군도 윌리엄 부스의 신앙과 신학사상, 실천적 행동들을 이어받아 복음전파를 통한 구원과 사회봉사를 통한 구원이라는 전인적이고 총제적 구원을 위한 선교를 지난 105년간 묵묵히 감당해왔다. 이러한 사회봉사의 내용과 그 현황을 소개하면서 한국교회가 본질적 사명인 사회봉사를 신학적 토대위에 앞으로도 어떻게 지속시켜 갈 것인지에 대한 방향들도 생각해 보는 기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실천모델로 구세군 나주교회가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사회봉사를 영혼구원을 위한 목회적 관점에서 어떻게 적용시켜 왔는지를 볼 수 있을 것이다. 한국교회는 복지의 다양성의 한 복판에 서 있다. 이제는 단순히 사회봉사라는 명목만으로 세상을 섬기기에는 역부족이다. 분명한 신학적 정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하나님 나라가 이 땅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회의 본질적 사명인 복음적 전도와 사회봉사에 대한 올바른 신학적 정립을 통해 한국교회의 선교와 사회봉사의 방향을 새롭게 찾아가야 할 것이다.

      • 생태계의 위기에 대한 신학적 이해

        염종묵 韓南大學校 學制神學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50671

        생태계의 위기상황은 오늘날 가장 심각한 하나의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런 현실적 상황은 신학적 응답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런 현실에서 생태계의 위기에 대하여 신학적으로 응답해야 할 필요가 있다. 생태신학을 전개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삼위일체 신관에 대한 바른 이해이다. 삼위일체 신관을 바탕으로 바르게 해석된 창조론과 우주적 기독론과 구원론, 그리고 성령론과 종말론은 생태계에 대한 기독교의 이해에 많은 변혁을 이룰 수 있다. 생태계의 보전은 인간중심적 세계관, 물질문명을 기초로 한 가치관, 그리고 산업자본주의적 사고를 극복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그것은 인간의 삶의 전반적인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의 가치관이 보다 쉽게, 보다 편리하게, 그리고 보다 안락한 삶을 지향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생태신학적 관점에서 볼 때, 생태계 위기의 극복은 이 모든 삶의 양태를 바꾸는 것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그것은 기독교적 가치관이라고 할 수 있는 금욕과 절제의 덕목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게 한다. 서구의 기독교는 그 동안 생태파괴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대한 많은 비판을 겸허하게 수용하고, 앞으로 생태계의 회복과 생명 중심의 종교로 전환하는 계기를 삼아야 할 것이다. 오늘의 생태계 위기의 상황에서 앞으로 신학적 과제는 매우 지대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런 생태계의 문제에 대한 신학적 응답은 기독교 문화가 생명문화로 전환되도록 요구한다. 교회는 목회적 실천을 통해 그러한 요구에 적극적으로 응답해야 한다. The critical situation of the ecological system is now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that we have to solve. This present situation needs a theological response. So now a theological answer should be given to this crises on the ecological system. To develop ecological theology, a good comprehension of the view of Trinitarianism is important. When Creationism, Universal Christianism, Salvationism, Holy Spiritualism, and Eschatalogy are interpreted based on Trinitarianism, there will be revolutionary change in Christianity's view of the ecological system. It begins with a human centered view of the world, a sense of value based on material civilization, and the elimination of the industrial capitalistic way of thinking, to preserve the ecological system. This means a general change in human life. The modern sense of value is to provided an easy, convenient, and more comfortable life. But from an ecological theological point of view, we should start changing this sense of value to overcome the crises on the ecological system. And this make u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sceticism and moderation-Christian sense of values. It is true that western Christianity has had an ecology destructive character. We should accept a lot of criticism modestly and take this as an opportunity for recovery of the ecological system and for a change of Christianity into a life centered religion. With the crises of the ecological system, we have a big theological task to do now. To solve the ecological problems, the Christianity culture must become a life centered culture. So the church should answer it positively through practical action.

      • 루터와 칼빈을 통해서 본 직업윤리의 교회교육 적용

        김성민 한남대학교 학제신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55

        직업윤리는 정치와 경제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직업에 종사하는 모든 일들에게 적용된다. 길거리를 청소하는 일부터 가르치는 일, 생산하는 일과 가꾸고 돌보는 일 뿐만 아니라 시대의 흐름에 따라 등장하는 다양한 직업에도 직업윤리가 필요하다. 신앙생활을 하며 자신의 일을 감당하는 그리스도인들도 마찬가지이다. 삶과 신앙이 전혀 다른 별개의 영역이 아니듯이 직업은 우리의 신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자신의 은사와 재능, 소망에 따라 직업을 선택한 사람은 올바른 자세와 마음가짐, 가치관을 가지고 자신의 일을 감당해야 한다. 그러므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은 기독교 직업윤리를 삶속에서 실천해야 한다. 유럽의 대표적인 종교개혁가인 루터와 칼빈도 직업을 단순한 생계유지의 수단으로 바라보지 않고 그 안에서 특별한 의미를 발견하고 가르쳤다. 비록 루터와 칼빈이 살았던 유럽의 시대적 상황과 우리의 현실이 다르지만 그들이 가르치고 실천했던 직업윤리는 오늘날 직업현장에서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에게 무한한 의미와 가치가 있다. 직업현장에서 하나님의 특별한 사명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교회교육을 통한 직업윤리에 대한 이해와 학습이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눈문에서는 창조론과 소명론, 하나님 나라와 이웃사랑의 신학적 토대를 기초로 루터와 칼빈의 직업윤리를 살펴보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및 분석해 보았다. 기독교 직업윤리의 교회교육 적용부분에서는 청지기적 관점에서 본 직업윤리,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하는 직업윤리,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위한 직업윤리, 이웃을 섬기기 위한 직업윤리의 네 가지 관점으로 나누어 아동부와 중고등부, 청년부에 각각 적용하였다. 또한 중고등부를 대상으로 창조론과 소명론, 하나님 나라와 이웃사랑에 기초한 직업윤리교안을 제시하였다. Vocational ethics refer to every work in various field as well as politics and economics. Cleaning street, teaching children, production, growing, and take care something plus, various jobs which are still being created according to passing of time need this Vocational ethics. It is the same for Christian who work with religious life. Work is affiliated with our faith like as if life and faith are not different field. we, choice our job catching up with our spiritual gift, intelligence, hope should do our job with right attitude, mind, value. Therefore, Christian in nowadays should practice christian vacational ethics in his life. A typical religious reformers, Luther and Calvin doesn't thought jobs just maintenance of livelihood, but found special meaning and taught it. Although it is not the same between period in Luther and Calvin and nowadays situation, the vocational ethics which they taught and practiced have infinite value and meaning in christian living without any influence in workplace.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and learning about vocational ethics through church educations for manage god's unique missions in the workplace. So, this thesis analysi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Luther and Calvin's vacational ethics based on Doctrine of creation, Doctrine of Vocation, The kingdom of God and neighborly love. In part of church education in christian vocational ethics application, I explained each children, teenager, youth groups in four point of view, vocational ethics in a manager of the household of high official, vocational ethics in reply about God's calling, vocational ethics in extension The kingdom of God, vocational ethics for take care of neighbor. In addition, I suggest vocational ethics teaching plan for teenager based on Doctrine of creation, Doctrine of Vocation, The kingdom of God and neighborly love.

      • 韓國敎會 禮拜更新에 관한 연구

        박한수 韓南大學校 學制神學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50655

        Worship is to give God what he is worthy of. As Romans 12:1-2 says, "I urge you therefore, brethren, by the mercies of God, to present your bodies a living and holy sacrifice, acceptable to God, which is your spiritual service of worship. And do not be conformed to this world, but be transformed by the renewing of your mind, that you may prove what the will of God is, that which is good and acceptable and perfect." Through worship, man becomes aware of himself and his conscience is being awaken. God's truth raises his intellectuality and God's beauty gives him a brighter mind and thoughts. Through worship, with the help of God's love, man can devote his will and whole being to God according to God's purpose and will. However, Korean Churches of today are not aware of the significance and true essence of worship. In reality, Korean Churches are still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the Korean traditional religion, wherein people go to church just to receive blessings from God, and the concepts of individualism and emotionalism. Another reason is the fact that the first missionaries to Korea focused on evangelization and neglected doctrinization, and this imbalance is being repeated in the present time. Because the members of the church lack theological knowledge, they become mere listeners and not active worshippers. Moreover, we cannot discount the fact that materialism is overwhelming inside the church. As a result, worship has lost its true essence and has become a mere ritual or form. Korean Churches are not engaging in the true worship and this only makes the non-Christians hate or dislike the church.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worship is not being met. Supposedly, worship should be a linkage between God and the world and a motivating factor for the world to come to God but on the contrary, we can see that the church is becoming a stumbling block. Definitely, worship in the Korean Churches has a problem and needs reformation. The first chapter of this thesis emphasizes the need for the reformation of worship in the Korean Churches. The second chapter studies about the Biblical meaning of "worship" and the theologians' definitions of worship. The third chapter discuss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worship: Old Testament Times, New Testament Times, Early Church Age, Middle Age, Reformation Age, and Post - Reformation Age. Chapter 4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worship in the Korean Churches and its roots. Chapter 5 tries to resolve the problems discussed in the previous chapter by giving suggestions on how we can reform the Korean Churches' worship based on Biblical grounds or viewpoint. It also describes the ideal or true worship that Korean Churches must have. As a conclusion, the final chapter summarizes the main points of the thesis, gives comprehensive recommendations, and emphasizes the need for more future studies about the Korean Churches' worship because it cannot cover all the problems.

      • 종교다원주의 시대를 위한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 이해 : 相生과 正體와 召命의 言語로서의 比喩 理解

        박근호 한남대학교 학제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논문은 이 시대에 유용하고 생동감 있는 종교로서의 기독교의 전망을 예시해 보고자 함에 목적을 두고 논문의 전체 구조를 성서신학과 조직신학의 학문적 연결이라는 2중 구조로 직조해 보았다. 그 출발점은 다원화 시대의 다종교 현상 속에서 기독교가 어떻게 성숙한 종교로서 타종교와 바람직한 관계를 가지며 세상을 향한 시대적 사명을 감당해 나갈 것인가라는 선교적 고민에서 시작한다. 종교다원주의 시대는 ‘종교간의 대립과 마찰’이 우려되고, ‘기독교 정체성의 혼란’이 야기되고, ‘선교의 신학적 기반의 흔들림’이 예견되는 시대이다. 이에 ‘타종교와의 상생’과 ‘자기정체성의 확인’ 그리고 ‘세상을 향한 소명’을 정립하는 것이 시급한 현실적 과제라고 생각하고 이것을 하나님 나라의 언어인 비유를 통해 세워봄이 논문의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를 텍스트로 삼아 여러 가지 역사비평학적 얼개를 이용해 본문을 연구함으로 하나님 나라의 메시지를 찾았으며, 한편으로는 그 결론을 적용해야할 오늘의 기독교의 당면현실로서의 종교다원주의에 대한 고찰을 시도함으로서 현실적 갈등의 원인을 조명해 보았다. 이런 Context와 Text 작업을 통해 얻은 결론은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의 메시지가 오늘의 종교다원주의 시대에 있어 ‘타종교와의 상생 관계’와 ‘기독교의 자기정체성 확립’과 ‘시대적 사명 구현’이라는 메시지를 골고루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오늘의 종교다원주의 시대에 ‘이웃 사랑’(정체)과 ‘함께 살기’(상생)와 ‘소유 포기(자기 비움)’(소명)의 메시지를 가짐으로서 신학적 틀을 제시해 주고 종교가 마지막 비상구가 되어가는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다원화 시대에서 의연하고 관용적이고 진실한 모습이어야 할 당위성을 제시해 주고 있는 것이다.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는 오늘의 종교다원주의 시대에서 기독교가 타종교와의 대화를 통한 공존으로 상생의 관계를 이루어가고, 하나님의 사랑의 계시인 예수 그리스도에 뿌리박은 굳건함 속에서 기독교의 정체성을 상실하지 아니하고, 시대를 향한 소명인 하나님의 선교를 쉬임없이 감당해 나아가게 하는 성서적 - 신학적 패러다임이 되기에 적합한 하나님 나라의 언어이다. This thesis aims to present the prospective of Christianity as a useful religion to render resourceful spiritual vitality for the contemporary age through understanding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as the language of our identity, saving and Calling. At the same time the main purpose of the thesis was generated from the missionary trouble that we should undertake the characteristic mission for the contemporary world. In order to fulfill this object I will develop the thesis through double structures which is interconnected with the Biblical the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Today many people are worrying about the advent of the religious pluralism; it may cause the conflict between religions, lead to the confusion of the identity of Christianity, and shake up the foundation of theology for mission. Therefore we should not only realize the urgent reality and undertake the task to co-exist with other religions but also confirm our identity, and ultimately we should be able to establish the missionary task for the world. Considering these serious realities, I will try to reveal some settlements through interpretation of the parable as the language of God. For the purpose of the process, I select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as a text to present message for the settlements. Firstly I will seek to find the message of the Kingdom of God in analyzing the parable with the frame of the historical criticism, and secondly I will try to define the cause of religious troubles in this age in surveying the religious pluralism. To solve these problems seem to be one of responsibilities of the contemporary Christianity and this will be achieved through favorable interpretation of the text. Inquiring into this context and text, I can find in the parable the relevant message for the co-existence with other religions, confirmation of the identity of the Christianity, and realization of the contemporary mission in the age of religious pluralism. In other word the language of the parable presents the favorable theological framework for the religious pluralism with the messages of 'neighbor-loving as our identity,' 'co-existence as a saving,' and 'renouncement of possession(or self-vacancy) as the Calling.' These are expected to show the nature of the contemporary Christianity which it should offer with state, generosity, and truth when we should take the responsibility of the request of the age requiring the religion the ultimate breakthrough to the solution. In conclusion, I present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as a relevant language of the Kingdom of God which has a proper Biblical and theological paradigm for the Missio Dei of the contemporary age when we should not only try to co-exist with other religions through dialogue but also we should not lose the identity of Christianity rooted in Jesus Christ as the revelation of God's love.

      • 몰트만의 三位一體論的 敎會論에 根據한 牧會方向 摸索 : 扶餘敎會를 中心으로

        주명갑 漢南大學校 學制神學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50655

        This study attempts to put into practice the fellowship and services which were demonstrated on the cross of Jesus Christ, that J. Moltmann explains in his theory of circulatory trinity. I set a ministerial goal of applying Moltmann's trinity theory in my Buyeo Church. In the chapter II, three concepts of Moltmann's trinity theory are reviewed. His theory criticizes the monarchianistic trinity theory appeared in Karl Barth's "Church Dogmatics", which did not overcome monotheistic tradition. The society requires the revision of monotheistic view and adoption of trinitarian view. And, the circulatory trinity is discussed, which societal trinity aims at. Moltmann suggests societal trinity theory rooted in the fellowship of Jesus Christ, which departs from traditional metaphysical explanation of Christian theology of God. His theology of cross interprets the cross of Jesus Christ from the trinitarian view in order to correct the distortions of atheism, Christian theism, modalism, founding his theory on the Pauline and Lutheran tradition of theology. In the chapter III, Moltmann's trinitarian church theory is discussed, based on the thoughts dealt with in the chapter II. His theory of church means the church in the trinitarian history. In his book “the church in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he maintains about the trinitarian God's participation in the world. He understands the church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ion of God's trinitarian activities with the history of the world. His trinitarian church theory is a theory of the church of Jesus Christ. In his theory, the church can't exist without Christ. Because Christ is the subject of the church. His theory of church gives theological meaning to the Christ's death on the cross and His resurrection in view of the personal integrity of Jesus Christ, and from the eschatological perspectives. His church theory is Exodus church community, which is advancing to the new future with the eschatological promises. This church must be the community of the liberated, the community of the hopefuls, and the community under the cross, which serves the world, He asserts. His trinitarian church means the church in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He deals with the church in view of trinitarian pneumatology. He understands the church as something that is governed by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He demands the theory of church to be more developed from christology and pneumatology. With this theory, Moltmann's Koinonia church under the cross and his 'diakonia church' in the power of the Spirit are dealt with. To him, true church is one under the cross. And, it must be born to the cross of Christ, fellowshiping and ministering under the cross. And, this community also needs to be the one that serves the world. In the chapter IV, how to practice the theory into the ministry in the Buy대 church is sought. And, five practical points are discussed as follows. First, a cross centered ministry. Second, a humble ministry. Third, a ministry that corresponds to the trinity of God. Fouth, Christ-practice. Last, eschatological ministry in order for the church to shine the light in the world, becoming ‘koinonia’ and ‘diaknonia’ church. His theory of church is thought to be something new and fresh to the Koreans and it may suggest many things to the Korean realities. However, his church theory so much emphasized social salvation that his theory shows little help to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spirituality. And, this is also the weakest point of his theory.

      • 웨슬리의 신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성결교회의 성령세례 이해

        정정문 한남대학교 학제신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nd consider the theology of Wesley for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through the Holy Spirit Movement which has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growth of the church in korea in a situation of the loss of spiritual power by paying no attention to the spiritual and holy life in an advanced scientific age. Wesley emphasized the momentary experience in a gradual sanctification. The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also emphasizes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in the same view. The process of holiness is realized instantly by belief in God and the grace of God. Wesley also asserted that the process of sanctification come true by not action or contribution of a person, but only belief in God and the grace of God. In accordance with the idea of holiness of Wesley, the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campaigned the holiness movement. However, it will not talk about holiness anymore. It got into danger of secularization because it would neither preach holiness nor show the experience of holiness anymore. The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should restore the original object. For this restoration, a theological policy for teaching holiness is above all very important. Based on it, the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should preach holiness and so make believers holy. Therefore, It should advocate a holy revival movement more powerful in our secularized society, put spurs to missionary work and establish the identity of sanctification in our daily lives. And furthermore, this Holy Spirit Movement will progress to a campaign to advocate a new hope and responsibility of believers. The idea of holiness of Wesley striked at the heart of British society. The church can be a true church at last when it carries out the mission of sanctification as yeast.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첨단과학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들이 참된 영적 생활과 거룩한 삶을 소홀히 함으로써 영적 능력을 상실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교회의 성장에 많은 영향을 끼친 성령운동을 통한 성령세례에 대한 웨슬리의 신학적 이해를 소개하고 숙고해보는 데 한다. 웨슬리는 점진적인 성화에 순간적인 체험을 강조하였다. 또한 한국성결교회에서도 동일한 견해를 가지고 성령세례를 강조한다. 성결에 대한 과정은 하나님의 은혜로 인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순간적으로 이루어진다. 웨슬리도 성결의 과정에 대하여 사람의 행위나 공로에 의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로 인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한국성결교회는 웨슬리의 성결의 도리의 정신을 이어 받아 성결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런데 최근에는 한국성결교회는 성결을 이야기 하지 않는다. 성결을 설교하지도 않고, 성결의 체험도 나타나지 않고, 그 결과 성결교회는 세속화의 위험에 빠지게 되었다. 한국성결교회는 다시 초기 본래의 목적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신학정책이 성결을 가르쳐야 하고, 그로 인해 설교로 이어지고, 성결한 신자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세속화되어가는 사회 속에서 성결부흥운동을 더욱 힘 있게 주창하여 선교와 전도에 박차를 가해야 하며, 삶의 현장에서 성결의 정체성을 확립하며 전개해 나아가야 한다. 또한 이 성령운동을 통해 신자의 봉사의 책임과 새 희망을 주장하는 운동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웨슬리는 성결의 도리는 영국사회를 개혁시켰다. 교회는 성결의 누룩으로서의 사명을 다할 때 비로소 교회일 수 있는 것이다.

      • 羅雲夢과 龍門山 運動에 對한 批判的 硏究

        진중구 韓南大學校 學際神學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50655

        이에 본 논문에서 무교와 신비주의와 민족주의와 반공 이데올로기를 한국 사람의 종교적 심성에 맞추어 재구성한 나운몽과 용문산운동을 살펴봄으로 어떻게 그만의 토착화된 기독교를 탄생 시킬 수 있었는가를 밝히는 동시에 그의 공과(功過)를 밝히려는 것이다. 그리하여 한국교회의 선교의 방향과 문제점을 밝히는 것이다. 나운몽의 계몽운동과 용문산 운동이 일어나기 전 1940년 이전은 한국의 기독교는 한국적인 기독교가 아니었다. 당시는 기독교의 보화인 그리스도의 복음은 서양의 기독교와 서양문화에 의하여 가리어져서 한국인의 종교적 심성에 호소하는 힘을 서서히 잃어 가고 있었다. 그러므로 한국인들은 한국의 심성에 맞는 종교로서 기독교와 한국적 문제에 접근할 수 있는 기독교 신앙을 요청하고 있었다. 이에 발 빠르게 나운몽은 한국 시대적 정서의 요청에 응하여 민족주의를 통한 기독교신앙을 토착화 하였고, 6.25전쟁을 치루고 나서는 나라의 반공이념에 맞추어 이데올로기적 신앙을 토착화시켰고, 한국인의 종교적 심성에 깔려 있는 타종교의 종교성을 혼합한 혼합주의 기독교를 토착화 시켰다. 이러한 나운몽의 시도는 시대적 요청처럼 무리들의 가려운 곳을 긁어주기에 충분하였다. 그러지만 나운몽이 시대적 요청에는 부흥하였으나 시대 속에서 역사하는 하나님의 성경적 요청에는 바르게 부흥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인이 본 논문에서 한국적 상황에서 이미 토착화의 길을 걸은 나운몽의 용문산 운동을 연구함으로써 신학에서 선교와 상황의 관계에 있어서 원칙적인 원리를 새롭게 확인하고 용문산 운동의 혼합주의를 통하여 그 동안 한국 교회 안에서 이루어졌던 혼합주의의 비 복음적 요소들을 추출하는 것이다. 나운몽는 한국에 있어 토착화의 선두주자라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는 1941년부터 애향숙(愛鄕塾)운동을 주도, 공동체 형성을 시도하며 설교와 용문산 기도원 운동을 통하여 현장에서 토착화에 주력하였던 사람이다. 더욱이 나운몽이 한국에서는 이미 토착화나 상황화라는 단어가 쓰여지기 이전인 1950년부터 나름대로 토착화를 시도하여 기도원 운동의 기수가 되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 논문을 통하여 한국의 토착화와 기도원 운동 전반의 영역에서 계속되어 온 영성 운동을 이해 할 수 있게 할 것이며 더욱이 이에 대한 대책을 간구하는데도 간접적인 도움과 새로운 방향을 설정하는데도 도움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나운몽과 용문산운동이 한국 기독교 발전에 기여한 것도 사실이고 또한 그로 인한 교회의 병폐들도 시대적인 산물로 지금까지 전가 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제는 이러한 모든 것을 바로 정리하여 과거의 부족함을 교훈 삼아 앞으로 새로운 단장의 길로 닦아 나아가는 일이 우리들의 과제라 할 것이다. 용문산 운동과 과거의 부흥운동이 양적 성장에 치우쳐 신비적 자기중심적인 신앙을 고취하는 것이었다면 이제는 질적 성장에 초점을 맞추어 성경의 본연으로 돌아가 하나님 중심에서의 정체성을 찾는 신앙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나운몽은 해방과 전쟁의 와중에서 나름대로 토착화를 시도하였던 인물이다. 당시 역사 상황은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가 가득하여 사회는 불안했고 이런 불안감은 종교적 욕구로 연결되었다. 이런 종교적 욕구는 부흥회로 표출되어 그들의 열정이 불타오르게 되었고 정체성의 위기에 무언가 확실한 것을 붙잡으려 하는 시도가 계속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나운몽은 민족주의적 견지에서 토착화를 시도했던 것이다. 이러한 그의 주장들은 당연히 설교의 위기를 불러 오게 되었다. 토착화의 입장에서 선 설교는 당연히 복음을 망각하고, 혼합주의에 빠져들고, 이는 복음과 비기독교적 요소의 차이를 인식하지 못한 체 이 두 요소를 결합시키기도 하였고, 복음의 내용을 자연주의적 사상으로 격하시키기도 하였고, 하나의 특별한 교리나 실천에 매달림으로 참된 구원을 제시하지 못하였으며, 기독교의 중심 메시지를 상실한 체 영적 체험을 강조 하게 되었고, 비판적 상황의 설교로 설교의 주제를 다른 것으로 왜곡하게 되었다. 또한 도덕적 생활을 강조하는 율법주의에 빠지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이 나운몽과 용문산 운동의 전부이다. 그러나 부정적인 시각에서만 말할 것이 아니라, 나운몽과 용문산 운동에 대하여 몇 가지 새로운 문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로는 나운몽과 용문산운동을 보는 시각의 문제이다. 나운몽과 용문산 운동이 소수 종파 주의적 모습으로 전략되기는 했지만 여러 종파 운동에서 보여주는 비도덕적이고 사이비적 양상과는 분명히 거리가 있었다. 둘째로는 용문산 기도원 운동을 통한 한국 교회와 한국 기도원에 영향을 미친 한국 교회사적인 정당한 평가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로는 나운몽의 신비적 체험은 소수종파주의 자들이 체험한 ‘합일적 신비주의’의 모습 이라기보다는 ‘인식적 신비주의적’ 성격이 강하게 부각되고 있다는 것이다. 넷째로는 신학적 사고의 인식 전환 요청이다. 신학적 사고 전환을 통하여 수직적 신학에 바탕을 두고 작위적 혼합주의에 빠지지 않을 정도로 수평적 신학인 인간과 인간의 관계에도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Na Un-mong and Yongmun-san Movement, which restructured atheism, mysticism, nationalism and anti-communist ideology in accordance to Korean people's religious mentality in order to determine how they could give birth to localized Christianity and what their merits and demerits are. Before 1940 when Na Un-mong's enlightening campaign and Yongmun-san Movement began, Christianity in Korea was not Koreanized Christianity. At that time, the gospel of Christ, which is the treasure of Christianity, was covered up by Western culture, so it was slowly losing its power of appealing to Korean people's religious mentality. Therefore, Koreans were demanding Christian religion that is fit for their mentality and can approach problems in Korea. Responding quickly to such a demand, Na Un-mong localized Christian religion through nationalism and settled ideological religion, complying with the national anti-communist sentiment after the Korean War. In addition, he localized syncretic Christianity by admitting the sentiment of other religions underlying Korean people's religious mentality. Such an attempt of Na Un-mong was enough to scratch people's itchy spot. Although Na Un-mong met historical demands, however, he failed to meet biblical demands of God who is working through history. It is undeniable that Na Un-mong and Yongmun-san Movement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Christianity and at the same time many bad practices of the church have been handed down to the present. Now our task is to straighten all things up and, learning lessons from our faults in the past, to pave a new way through heartbreaking efforts. While Yongmun-san Movement and other campaigns for revival were focused on inspiring mystical self-centered faith for quantitative growth, now we must return to the Bible and restore God-centered identity for qualitative growth.

      • 몰트만의 생태영성에 대한 연구

        박형철 한남대학교 학제신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55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ecological spirituality of Moltmann. Moltmann’s Ecological spirituality recognizes that all creatures are dependent on God and pursue changes in the status quo so that all life is respected while experiencing God’s love. Ecological spirituality refers to the way the church community experiences God’s Spirit through nature and tries to reverse ecological damage that is harmful to our relationship with God. Moltmann’s ecological spirituality explains the solidarity between God and all creatures through the concept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Holy Spirit. The purpose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Holy Spirit is to “Communify” (Vergemeinschaftung) humans and nature. We are not saved from this land but with this land. We do not receive salvation from the body but live with the body forever. The original hope of Christians is not the peace obtained in Heaven but the arrival of God’s country on Earth. Moltmann’s spirituality is the spirituality of relationships. The relationship with the Holy Spirit does not seek to dominate but participates in relationships with all things. Everything is interconnected. The reason why different worlds can be maintained and survived in is because there is a Holy Spirit that binds the universe together. The Holy Spirit participates in the fate of creatures through the spirit of God. Moltmann’s Spirituality of hope aims for the present. Christian faith is being challenged to make a “Response”. Hope makes the “Current Cross” a burden we are willing to carry. Christ’s resurrection is not the eternity of heaven but the future of this land where his cross stands. For all humankind the cross is the hope of this earth. Moltmann expands the horizon of Christ’s death to the world of creation. On the cross Christ solved the hardships of all creatures and human beings. Christians do not live in themselves but live in Christ through faith and love. 본 논문은 몰트만의 생태영성에 대한 연구이다. 몰트만의 생태영성은 모든 피조물이 생태적으로 창조의 주인이신 하나님께 의존되어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회복과 서로를 존중하면서 생명의 부요를 함께 누리며 하나님의 사랑의 흘러넘침에 참여하도록 현실의 변화를 추구한다. 생태영성은 자연을 통해 하나님의 영의 내주하심을 체험하고, 되돌릴 수 없을 것처럼 보이는 자연파괴를 다시 하나님 보시기에 아름답게 되돌리려고 하는 교회 공동체의 삶의 양식을 말한다. 몰트만의 생태영성은 '성령의 사귐'이라는 개념을 통해서 하나님과 모든 피조물 사이의 연대를 설명한다. 성령의 사귐 목적은 인간과 자연의 '공동체화'(Vergemeinschaftung)이다. 우리가 이 땅으로부터 구원을 받는 것이 아니라 이 땅과 함께 구원을 받는다. 우리는 몸으로부터 구원을 받지 않고, 몸과 함께 영원히 살게 된다. 그리스도인들의 원초적 희망은 하늘의 피안(彼岸)이 아니라, 이 땅에 하나님과 그의 나라가 도래하는 것이다. 몰트만의 영성은 사귐의 영성이다. 사귐은 지배하기 위함이 아니라 오히려 참여하기 위하여 그리고 다른 것들과 관계 속에 등장한다. 모든 것은 모든 것과 관계를 맺고 있다. 다양한 세상이 유지 존속될 수 있는 것은 그들 모두를 결속시켜 내는 성령이 우주 안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내재적인 영을 통하여 그의 피조물의 운명에 참여하신다. 몰트만의 희망의 영성은 현재를 지향한다. 기독교 신앙은 희망의 ‘응답’을 하도록 도전받고 있다. 희망은 ‘현재의 십자가’를 기꺼이 짊어질 수 있게 한다. 그리스도의 부활 안에서 희망이 인식하는 것은 하늘의 영원이 아니라 그의 십자가가 서 있는 이 땅의 미래이다. 그러므로 인류에게 십자가는 이 땅의 희망이다. 몰트만은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의 지평을 피조세계까지 확대한다.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인간의 신음과 고난, 그리고 모든 피조물의 신음과 고난을 해결하셨다. 그러기에 하나님의 구원 사역은 인간에게만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스도인은 자기 자신 안에 살지 않고, 신앙을 통해 그리스도 안에서 살고, 사랑을 통해 그의 이웃 안에서 산다. 그리고 그는 하나님과 그의 사랑 안에 언제나 머물러 있다.

      • 傳統祭禮儀式의 受容과 追悼禮式 禮典에 관한 硏究

        김종백 韓南大學校 學際神學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50655

        이 논문은 기독교가 한국에 완전한 뿌리지 내리지 못하고 있는 원인 가운데 하나인 조상제사 문제를 다루었다. 유교의 제사가 기독교와 상충되는 부분들을 찾아보고, 유교의 제사 문화를 수용하며, 더 나은 기독교 추모예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복음이 들어 올 때부터 현재까지 그리스도인과 비그리스도인 사이에서 더 가까이는 가족과 친척간의 심각한 갈등을 일으켰던 유교의 제사가 어떤 부분으로 인하여 갈등이 생기는지, 제사 제도의 근원과 배경, 유교와 기독교의 죽음관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전반적인 유교의 제사 제도를 전래배경에서부터 유교제사 이전과 이후의 조상을 숭배하는 차이점을 찾아보았고, 유교제사의 특징과 기능을 알아보았다. 더 나아가 한국기독교와 조상제사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 선교초기의 교회와 조상숭배 상황을 조사하고, 기독교적 효의 의미를 서술해 봄으로 기독교적 예식서를 추출해 보려고 노력해 보았다. 특별히 한국교회에서의 추도식의 기원과 추도식의 성서적 근거를 찾아 제시했고, 현재 천주교와 개신교의 진보, 보수 교단에서 사용하고 있는 추도예식서와 경동교회. 박근원교수의 예식서를 소개. 비교하고 조상제사를 수용하기 위한 대안 예식서를 제시하였다. 앞으로의 과제는 우리의 전통관혼 상제에 기독교의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그리고 개별적으로 흩어져 연구되어지고 있는 유교 제사의 기독교적 예식화 문제를 집중적으로 연구하여 교리적, 문화적 배타성이 극복되어 목회현장과 각 가정에서 사용되어 질 수 있는 기독교 추모예식서로 재창조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부족한 논문으로 바라고 싶은 것이 있다면, 개 교인의 신앙적 측면이나, 목회 현장에서 더 이상‘유교적 제사’의 문제로 혼란이 없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This treatise concerned ancestor fourth problem that is one being won doing not drop sprinkle that Christian religion is perfect in South Korea. Confucian memorial service wishes to find Christian religion and conflicted parts, and accommodate Confucian fourth culture, and present better Christian religion cherishing the memory of a deceased person established form. That is Greece Taoist and Greece province until present since good news comes in between Confucian memorial service which caused serious discord between family and relative more near whether discord by some part occurs origin and background, Confucianism of memorial service system and Christian death pipe examine. And general Confucian fourth pottery manufacturing difference that worship Confucianism and after this carving a statue from transmission background find, and searched characteristic and function of Confucianism. Investigate church of South Korea missionary work early and ancestor worship situation to recognize South Korea Christian religion and ancestor memorial service furthermore, and tried to draw Christian ceremony three that describe meaning of Christianfilial piety. Mourning ceremony office and hard copper church which presented, and use in progress of present Catholicism and Protestant, repair brotherhood finding origin of memorial service and biblical basis of memorial service in South Korea church specially. Ceremony Park gun Won professor introduction. Compare and presented alternative ceremony three to accommodate ancestor memorial service. Forward subject gives Christian new meaning in our all entry soul mourning practice. And at Christian religion cherishing the memory of a deceased person ceremony that scatter individually and doctrine red, cultural cliquishness is overcome and can be used field and each home because studying problem concentrically Christian ceremony Tuesday of been studying Confucianism fourth re-creation do must. Also, if there is thing which want to desire by this lacking treatise, it is personal believer's or mind that desire that there is no confusion to problem of 'Confucianism sacrifice' in pastoral sp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