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과학기술 데이터베이스 자산의 가치동인과 가치평가 모형 연구

        변정은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51711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동력인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획득하고 이를 저장, 분석하여 가치를 창출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적절한 가치평가 방법이 부재함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자산에 대한 이론적 가치평가 모델을 마련하고 이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R&D와 혁신에 필수적인 과학기술 데이터를 다루는 과학기술 데이터베이스 자산의 가치동인을 도출하여 이에 기초한 객관적인 가치평가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과학기술 데이터베이스 자산의 가치동인은 연간 데이터베이스 용량 증가율과 데이터 유형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현금흐름할인법 기반의 소득접근법 적용을 위한 핵심변수인 현금흐름 추정 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주요 핵심변수인 데이터베이스 자산의 경제적 수명은 특허권리 확보 유무에 따라 산출로직을 다르게 제시하였으며, 개별 데이터베이스 자산이 보유한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AHP 분석을 실시하여 수명 영향요인 평가표를 새롭게 도출하였다. 데이터베이스 산업과 한국표준산업분류와의 연계 방안을 토대로 데이터베이스 산업 관련 업종을 정의하고, 최근 재무정보를 기반으로 업종별 할인율을 도출하였다. 또한 할인율 산정 시 요구되는 사업화 위험 평가항목을 데이터베이스 자산에 맞게 조정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데이터베이스 자산 기여도 측정을 위해 기존 기술요소법이 가진 문제점을 보완하고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AHP 분석을 실시하여 정교화 하였다. 특히 데이터베이스 자산을 통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고려할 수 있게 산출 로직을 제시하여 보다 폭넓은 활용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데이터베이스 자산을 통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의 실현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과학기술 데이터베이스 자산의 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구조화된 모델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을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자산의 이전 및 거래가 활성화되고 다양한 산업과 융합하여 고부가가치 창출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d validate a theoretical valuation model for database assets, as there are currently no adequate valuation methods that address databases, which are vital both in efficiently obtaining the data that will be the core driver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n creating new value by storing and analyzing it. More specifically, the study seeks to derive the value drivers for science and technology database assets in order to address science and technology data, which are essential for R&D and innovation, and to suggest an objective valuation model based on them. The study analyzes the value drivers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database assets and offers ways to utilize them when estimating the cash flow, which is the core variable to apply the Discounted Cash Flow Method-based Income Approach. In addition, it presents different output logic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patent rights were secured, for the economic life cycle of the database assets, which is one of core variables, as well as the life cycle effect factor evaluation table, which was analyzed through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determined through consultation with related professional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database assets. Based on the possible ways to associate with the database industry and the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the study defines database industry related business types, derives discount rates by business type based on the recent financial information, and adjusts and presents the business risk assessment items required for assessing discount rates. Finally, in order to measure contributions to database assets, the study identifies and addresses the issues of existing technology factor methods, and elaborates on them by applying the results being analyzed through the AHP determined through consultation with related experts. In particular, for wider utilization, output logics are presented in order to consider various business models through database assets. The study is significant as its results provide the first structured models that will enable an objective evaluation of the values of science and technology database assets, which are essential for the realization of various business models through database assets. It is expected in the future that the utilization of the models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help energize the transfer and trade of database assets and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high added value through fusion with diverse industries.

      • 북한 과학기술 및 화학분야 현황 및 협력특성연구

        홍익표 科學技術聯合大學院大學校 2018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연구는 북한의 화학기술협력의 현황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북한과의 과학기술협력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남북한의 기술 격차 심화와 교류의 단절은 향후 통일 이후 갈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그 동안 북한과의 과학기술협력을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북한 관련 연구는 전반적인 북한의 상황이나 과학기술전반, 남북협력사업에 관한 포괄적인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지만 특정 분야의 국제과학기술협력이나 북한 내부 논문분석 및 해외교류 현황에 대해 깊이 있게 접근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화학분야로 한정하여 화학 관련 북한의 산업, 국내 연구동향 및 해외공동연구 현황을 분석하였다. 북한 내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화학 관련 북한의 학술지에서 게재한 논문을 분석하였으며, WoS (Web of Science) DB에서 제공하는 서지정보를 이용하여 북한의 해외 과학기술협력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독일의 통일 사례와 국제과학기술협력사례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남북한 과학기술협력의 단계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최근의 국제과학기술협력 동향을 보면 단순한 과학기술의 교류를 넘어 하나의 외교적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과학기술협력을 통하여 양국 간의 인적, 물적 교류가 수반되어 궁극적으로는 통일 독일의 사례처럼 완전한 체제 통합을 구축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으며 이는 남북분단의 현실에 있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준다. 정치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 남북관계는 최근 북한의 핵무장 및 탄도미사일 발사 시험 등으로 완전히 얼어붙어 교류가 단절된 상태이다. 하지만 언젠가는 다시 교류와 협력의 기운이 싹트게 될 것이고 과학기술이 그 중심에서 남북교류의 새 시대를 다시 열어갈 수 있다는 기대를 가지며 관련된 연구가 더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foundation for the revital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by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of chemical technology cooperation in North Korea. The deepening of technological gap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 breakdown of exchange can cause conflict after unification in the future. As a result, various researches on science and technology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have been conducted. However,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North Korean situation in general, science and technology in general, and inter-Korean cooperation projects, but there is only a few research in particular field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emical industry - related, domestic research trends, and the status of overseas collaborations in the chemical industry. In order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North Korea, we analyzed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chemistry - related North Korea and analyzed the status of North Korean science and technology cooperation using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provided in WoS (Web of Science) database. Based on this, a case study of Germany 's reunification and case study of inter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operation were presented. Recent trends in inter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operation are often used as a diplomatic means beyond simple exchanges of science and technology. Through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ooperation,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re accompanied, and ultimately, It has been a great help in establishing the system integration, which gives us a lot of suggestions in the reality of the division of the South and the North. Inter-Korean relations, which are highly politically influenced, have been completely frozen due to North Korea's recent nuclear test and ballistic missile test, and the exchange has been stopped. However, I hope that someday there will be an atmosphere of exchange and cooperation, hoping that science and technology can reopen a new era of inter - Korean exchange with an important role, and hope that related research will proceed more actively. * A thesis submitted to committee of the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a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Science and Technology Management Policy conferred in February 2018. Keyword : North Korea, Science and Technology in North Korea, Chemical industry in North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Inter-Korean exchange.

      • 동태적 역량 관점에서 본 한국 인공위성 기업의 기술추격 과정 -쎄트렉아이社의 사례-

        송재필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51695

        한국은 과거 경공업 및 중화학 산업의 전략적 육성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룬 결과, 현재 세계 10위권 수준으로의 경제 성장을 일구어냈다. 하지만 최근 기존 산업의 성숙 및 주변 개발도상국들의 추격 등에 의해 현재의 경제적 지위에 위협을 받고 있다. 이에 한국은 고부가가치 첨단산업인 우주산업을 국가 미래 전략산업 중 하나로 지정해 미래의 경제성장을 이어가고자 하고 있다. 한국의 우주개발은 1989년 관련 전문기관의 설립을 시작으로 199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어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가시적인 기술 성과를 창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우주산업 비중은 세계 시장의 약 2% 수준에 머무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지구관측 소형위성 분야 벤쳐기업인 쎄트렉아이는 민간기업으로는 한국에서 최초로 인공위성 완제품 개발․조립 기술을 확보하며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대해가고 있다. 본 연구는 후발주자로서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세계적 경쟁력을 확보해가고 있는 쎄트렉아이의 발전 과정에 대해, 기술혁신 관련 선행연구를 기반으로한 기술추격 과정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첫째, 쎄트렉아이의 기술추격 과정에 있어서 초기 기술 습득 단계에서의 실행을 통한 학습(Learning by doing)을 통한 경험 및 핵심 기술력의 확보가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둘째, 쎄트렉아이의 기술추격 과정은 선진국으로부터의 기술이전에 상당부분 의존하는 기존의 기술추격 연구와는 상이한 특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이 과정에서 자체 내부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등을 통한 기술의 내재화가 효과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넷째, 기술적 능력 외에도 경영적 능력이 매우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공위성 산업의 특성을 설명하는데 있어 CoPS의 이론적 틀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인공위성산업 및 유사한 산업 특성을 띄는 첨단산업 분야로의 기술추격을 이루고가고 있는 후발주자 및 관련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엔지니어링 모델링 & 시뮬레이션 기술의 연구동향 및 기술수준 계량분석

        한유리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국내 설계역량 향상을 위해, 제조혁신수단으로서의 엔지니어링 모델링 & 시뮬레이션(Engineering Modeling & Simulation, Eng. M&S) 기술의 체계적인 기술육성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해당분야의 글로벌 연구동향 및 기술적 위치를 정량적 데이터 기반으로 실증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계량분석을 수행할 때, 과학적 성과물은 논문정보를, 기술적 성과물은 특허정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과학적 성과와 관련된 연구동향분석의 경우 논문정보를 활용하였으며, 기술수준평가의 경우, 논문 및 특허 정보에 추가로 시장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논문(Science), 특허(Technology), 시장(Market)으로 구성된 기술수준평가모형(STM TLE)을 정의하였다. Eng. M&S 분야에서 시장정보는 명확히 ‘CAD’, ‘CAE’로 분류되기 때문에 해당 기술의 기술분류체계가 존재하지 않는 단점을 보완하고, 시장에서의 달성된 경쟁위치는 해당국가/기업의 기술력을 반영하는 장점이 있기에 보다 정확한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는 전제를 두었다. 데이터 수집의 경우, 특정 기술에 대한 명확한 서지정보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해당 DB 내의 기술분류체계를 활용하는 것이 최선이나, Eng. M&S와 같이 분명한 분류체계가 존재하기 않는 경우 키워드를 통해 추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에 따라 Eng. M&S 기술을 ‘Geometry Modeling’, ‘Meshing’, ‘Solving’으로 구분하고 각 세부분류에 해당하는 기술을 도출하여 이를 검색식으로 활용하여 각 정보를 추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연구동향분석으로 ‘연구추이’, ‘국제연구협력현황’, ‘연구분야 체계’, ‘시기별/국가별 핵심연구주제’ 등을 살피기 위해 해당하는 필드정보를 사용하여 단어동시출현에 기반한 행렬을 구성하고, 이를 네트워크분석 및 시각화를 실시하였다. 기술수준평가를 위해 앞서 설명한 ‘STM TLE’ 모형에 대해 AHP 분석을 실시하여 지표별/세부모형별 가중치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국가별, 기술별, 모형별 기술수준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기존 선행연구모형 및 각 세부모형과의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도출된 설명력을 통해 Eng. M&S 기술수준평가에 있어 본 평가모형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상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주요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였다. 연구 분야 및 기술수준이 모두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는 국내현황을 반영하여 국가적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홍보 및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국가 핵심 사업으로서 M&S 분야 육성사업을 설정하고, ‘M&S 활용률’ 등을 제조혁신 관련 지표로서 신설한다. 또한 높은 기술수준에 위치하며 다양한 연구주제를 아우르는 미국, 유럽국을 중심으로 공동연구체계를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절대적으로 부족한 ‘Meshing’ 기술 분야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아울러, Eng. M&S의 궁극적인 활용지인 제조기업 M&S 활용 현황 파악을 통해 기업특성을 고려한 인식제고방안 및 기술지원 체계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imed to empirically analyze global research trends and technological positions in Engineering Modeling & Simulation(Eng. M&S) by quantitative data base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for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M&S technology to improve the domestic design capacity. When conducting such a quantitative analysis, it is common to use paper information as scientific results and patent information as technical results. Therefore, in this study, in the case of the research trend analysis related to the scientific achievement, the paper information is used. In the case of technology level evaluation, not only papers and patents information, but also the market information are considered. Thus the technology level evaluation model is define as the ‘STM TLE’ and is composed of paper(Science), patent(Technology), and market(Market). In the field of Eng. M&S, the market information is clearly classified as 'CAD' and 'CAE'. Therefore, It is presupposed that the introduction of market information make it possible to make the assessment more accurate, since it complements the disadvantage that the technical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technology does not exist, and it has an advantage that it reflects the competitive position achieved in the market. In the case of data collection, it is best to utilize the technical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DB to extract clear bibliographic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technology, but if there is no clear classification such as Eng. M&S, the data is extracted using the keyword. Therefore, by meeting with M&S experts, Eng. M&S technology is divided into ‘Geometry Modeling', ‘Meshing', and ‘Solving', and the technologies corresponding to each subcategorization are derived. And each information is extracted by using the search-formula based on this technical tree. And for analysis of research trend, 'research tendency', 'international research cooperation status','related research field', 'core research subject by time/country' are examined by network centrality results and visualized results using co-word network analysis of bibliographic data of papers. To evaluate the technology level, AHP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TM TLE' model described above to set weights for each indicator / sub-model, and the technical level of each country, technology class, and sub-model is evaluated. In addition, the validity of this technological level evaluation model on the Eng. M&S is verified through the explanation power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the this model, the existing prior research model, and each detail model.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several policy suggestions were derived. It is necessary to have an active public relations and support system at the national level as reflecting the current status in Korea that the insufficient research field and low-level of technology on Eng. M&S. To this end, it is highly recommend to establish M&S field as one of core R&D businesses of the country, and set up ‘M&S utilization rate’ as an index for manufacturing innovation. And the collaborative research system should expand centering around the United States and European countries which are located at a high level of technology and cover various research topic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deeper technology development in the field of ‘Meshing' technology, which is absolutely weak in Korea. Finally, it is also important to establish a method for awareness raising and technical support syste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pany by examining the utilization status of M&S of manufacturing company which is the ultimate application place of Eng. M&S.

      • 과학계량학 기반 기술 융합의 동적 현상에 관한 연구

        심위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51695

        기술 융합 현상이 미치는 사회·경제적 파급력은 여러 연구에서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적정 지표 탐색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이해, 적합한 지표를 통한 측정 관련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융합 현상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특징적인 융합의 속성을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측정 지표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 융합 현상의 기저에 있는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이를 반영할 수 있는 타당한 개념을 제안하였다. 또한 기술 융합의 개념을 반영하는 지표와 분석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국가 및 국가별 기술 영역 단위에서의 동태적 기술 융합 현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가 및 국가별 기술 영역의 상대적 차이점을 파악하고, 기술적 역량의 동태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상대적으로 선진국이라 할 수 있는 국가들의 기술 역량은 안정적인 유지의 양상을 보인다. 또한 바이오기술, 나노기술, 정보통신기술 분야의 측면에서 국가별 기술 역량을 비교하였을 때, 각 분야에 따라 다양성과 지속성의 차이가 드러나고 있다. 한국과 미국의 경우 분야별 지표 비교를 통하여 하이테크 분야에서의 기술적 역량 격차가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시사점을 통해 이전 연구들이 파악하지 못했던 융합 현상에 대해 보다 정확한 현황을 제시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하며, 결과적으로 정책적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있어 적합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자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기술거래사례를 이용한 특허가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다슬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51695

        최근 기술이전, 기술사업화와 같은 연구개발 성과의 생산적 활용을 위한 거래가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특허가치평가의 중요성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거래사례 수집의 어려움으로 실제 사례분석을 통한 결정요인 분석연구는 활발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좀 더 정량적인 특허가치 결정요인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15개의 국내외 특허가치평가 모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공통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7개의 기술성 요인과 4개의 시장성 요인을 도출하였고, 선행연구를 통해 각각의 결정요인의 대리변수로 활용 가능한 특허정보를 매칭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시된 연구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총 250건의 특허거래사례를 수집하였고,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특허가치를 결정하는 유의미한 특허요인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산업기술분류를 기계소재, 전기전자, 섬유화학으로 나누어 유의미한 산업별 특허가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산업에서는 기술혁신정도, 상용화단계, 특허연계성, 시장영향력, 기술제공기업 유형을 나타내는 특허정보들이 기술거래금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되었다. 기계 산업의 경우, 상용화단계와 시장영향력과 같은 시장성 요인들이 특허의 가치에 더욱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전기전자 산업의 경우, 특히 기술의 수명을 나타내는 특허정보들이 유의미하게 나왔다. 본 연구는 실제 거래사례를 바탕으로 하여 유의미한 특허가치 결정요인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지속적인 거래사례 수집을 통해 산업별 연구 결과가 좀 더 명확해진다면, 특허출원 전략 수립 시 활용할 수 있는 산업별 맞춤 평가모형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 제조업 기업의 매출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혁신 요인에 관한 연구

        이헌휘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51695

        개방화 시대에서 우리나라의 기업들은 이전보다 경쟁강도가 증가하였고, 특히 중소기업들은 계속되는 경쟁압박 속에서 생존과 성공을 위해 지속적인 혁신과정을 통한 기술적 경쟁우위를 확보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환경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술혁신과 성장전략이 필요한데, 특히 제조업 기업의 경우 기술혁신을 통해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핵심기술을 적용한 신제품을 시장에 출시하여 경영성과를 이루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업종별로 어떤 기술혁신이 효과적인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더 효율적인 중소기업 지원정책을 개발하는데 활용될수 있다. 기업의 측면에서는, 한정된 자원과 상대적으로 부족한 기술역량으로 기업을 운영하는 중소기업의 경우, 더 효과적인 기술혁신 요소를 선택하고 집중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의 기술혁신이 매출성장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대상을 제조업분야로 한정하고, 기업의 혁신투입, 혁신활동, 혁신결과가 매출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회귀분석에 앞서 공통요인분석을 실시 하였고, 합리적으로 관련된 기술혁신 변수끼리 그룹핑되어 5개의 요인으로 차원축소 되었다. 요인분석에서 도출된 요인과 요인분석에 활용되지 않은 기술혁신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하고, 기업의 매출 성장률을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는데, 예상대로 혁신결과 뿐만이 아니라 혁신투입, 혁신활동도 매출성장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산업별로 기술혁신이 매출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게 나타남을 확인할수 있었다. 정책적 측면에서,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는 국가의 경쟁력과 경제 발전과 직결된다. 특히 제조업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에서는 효과적인 중소기업 지원 및 육성이 필요한데, 본 연구에서 제시한 매출성장 영향요인 분석결과를 활용 할수 있다. 특히 산업별로 효과적인 지원정책을 구성하는데 본 논문의 결과가 활용 될 수 있다. 기업의 측면에서는, 본 논문의 결과를 활용하여 산업별로 더 효과적인 기술혁신 방향을 정하고, 효율적으로 투자하여 기업성장을 이끌어낼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기술혁신이 매출성장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고, 도출한 결과를 활용하여 기업의 기술혁신을 반영할수 있는 신제품 매출추정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기존 연구들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고, 기업의 기술혁신과 시장상황을 반영한 매출 추정이 가능함을 보였다. 기업의 경영자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신제품 매출 추정 방법론을 활용하여 의사결정에 반영할수 있다. 초기 5년간의 신제품 매출을 추정하는데 기업의 기술혁신을 반영할수 있으며, 데이터 기반으로 시장상황과 동떨어진 매출 추정을 막을 수 있다. 모델에 활용된 데이터 최신화를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상황도 반영할수 있다. 주요단어(Keyword) : 기술혁신, 기업성과, 신제품, 매출액 추정

      • A Systems Approach to Korea Space Object Response System

        김시은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51695

        Science and technology have developed at a remarkable pace throughout the history of humankind. Not long ago, space-age technologies existed only in imagination and novels. However, the space age has also presented mankind with a new challenge: disasters caused by space debris. Fortunately,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have not only expanded the scope of human activities but have also enabled humanity to respond to new types of disasters. One such challenge is the risk presented by collisions with space debris. Humans actively monitor both natural and man-made objects in space that could potentially collide with the Earth while also developing technologies to both prevent and respond to such an event. The public is familiar with the destructive power of asteroid collisions as depicted in films and other media. However, such incidents are not simply events of the distant past or mere fiction. Indeed, in 2013, an asteroid exploded over Chelyabinsk, Russia, injuring 1,500 people and causing an estimated 36 billion Korean won in property damage. More recently, however, the launching of satellites by humans has resulted in an increase in man-made space debris, in turn presenting additional threats to humans and human assets. The reentry of space debris occurs more frequently than the reentry of natural space debris. For example, in 1987, a former Soviet nuclear-powered satellite crashed into Earth. Also, Russia's Phobos–Grunt satellite crashed into the Pacific Ocean in 2012. Similarly, the Chinese space station Tiangong-1 reentered the Earth’s atmosphere in 2018, an event which attracted the attention of people worldwide. Indeed, the magnitude of danger presented by such events cannot be ignored. For this reason, the risks presented by natural space objects and man-made space debris have become a major topic of discussion all over the world. Several leading countries in the development of space technology have also accelerated the development of systems and related technologies to enhance space situational awareness (SSA), which includes the detection, monitoring, and characterizing natural and man-made space debris. Due to technological limitations, however, it is essential to form a coalition between nations, as it is impossible for a single country to achieve complete SSA activities. For this reason, the United Nations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UN COPUOS) and othe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ave given particular attention to this issue and conveyed monitoring information to individual countries. South Korea is currently conducting research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SSA system which can account for the complex nature of space hazards.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e procurement of necessary equipment, public’s understanding on SSA, and the formulation of disaster response policies to respond to the collision and reentry of space objects, from various angles. However, research on SSA systems in the Republic of Korea has been mainly conducted from a science and technology perspective, with little research being conducted from a policy perspectiv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South Korea's SSA system from a systemic, policy and public awareness perspective. As such, the following three policy studies are meant to assist in the completion of the Korean SSA system. Chapter two presents policy measures to improve research and development on SSA in South Korea. Indeed, in order to establish its own SSA system, South Korea needs an integrated system for evaluating space debris hazards, an optical monitoring system, and a radar monitoring system. However, the cost, difficulty, and time needed to develop each technology is different, and therefore, in order to efficiently utilized limited resources, authorities must judge the urgency and importance of the development of each system. The first study assessed acquisition strategies for space monitoring technologie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expert opinions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s a method for systematically evaluating mutually exclusive alternatives. Chapter three evaluates the development of a uniform protocol for responding to the potential harms caused by the reentry of space debris. South Korea started developing a manual for dealing with the reentry and collision of space objects in 2016. Furthermore, in 2019, in an effort to better understand that nature of space debris disasters and to better minimize resulting damage, Korean conducted an exercise to deal with the reentry of space objects. Although the public is often unaware, space debris falls to Earth almost every day, and the risks posed by falling space objects are not mere fiction. Thus, policy efforts are needed to cope with these threats and ensure the safety and security of the people and the nation. The second study analyzed current South Korean laws and manuals on space object falling to Earth and compared them to established manual for dealing with other natural disasters, such as typhoons, earthquakes, droughts, and floods. Chapter four analyzes public awareness of the danger presented by falling space objects and examines proposed policies to raise public understanding. For this purpose, we administered questionnaires to the general public the reentry of space debris and analyzed the results. People have been conducted and analyzed. One of the major goals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s to develop and point ways to solve various problems that society is concerned based on nation’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direction of the SSA policy should be examined and developed continuously by sett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goals of SSA so that human beings and nations can minimize the danger from space object and eventually overcome it. Finally, this study proposed institutional, risk communicational, and legal policy proposals in an effort to improve South Korean SSA in the space age. 인류 역사 속에서 과학과 기술은 눈부시게 발전하였고 상상 혹은 소설 속에서나 거론되던 우주시대는 현실이 되었다. 그러나 빛이 있는 곳 이면에 어둠이 존재하는 것처럼 인류는 우주 활동의 결과로 우주물체에 의한 재난이라는 새로운 과제를 얻었다. 한편, 과학기술의 발전은 인간의 활동영역을 넓히는 것에 그치지 않고 기존에 대응하지 못했던 재난 상황에의 대응 또한 가능케 하였다. 우주물체의 추락이나 충돌에 대한 대응이 바로 그러한 예이다. 인류는 추락예정인 인공우주물체와 지구에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자연 우주물체에 대한 감시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들의 추락 또는 충돌을 예방하거나 대응하기 위한 기술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먼 옛날 공룡의 멸종을 야기한 것으로 추정될 정도의 가공할 만한 파괴력을 가진 것으로 각종 미디어에서 널리 소개된 소행성 충돌은 결코 과거나 영화에만 국한된 사건은 아니다. 일례로 2013년에 러시아 첼야빈스크 상공에서 폭발한 유성체는 1천 5백여 명의 인명피해를 야기하고 한화 360억원에 이르는 재산피해를 발생시킨 바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자연우주물체 뿐 아니라 인류가 쏘아올린 인공우주물체 역시도 자연우주물체보다 더 빈번하게 인류와 인류의 자산을 위협하고 있다. 1987년 추락한 구소련의 원자력 핵전지 탑재 위성이나 2012년 태평양에 추락한 러시아의 포보스-그룬트 위성, 2018년 추락하여 전 세계의 이목을 끈 중국의 우주정거장 톈궁-1처럼 인공우주물체의 추락은 자연우주물체의 충돌과의 비교가 무색할 정도로 오히려 자주 발생하며 피해 규모 역시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공 또는 자연우주물체의 추락이나 충돌은 전 세계가 주목하는 중대한 이슈가 되었다. 우주 개발을 선도하는 몇몇 국가들은 이미 인공우주물체 및 자연우주물체에 대한 우주위험감시 대응체계 및 관련 기술을 개발해 나가고 있으나 기술의 한계로 인해 아직은 단일국가 차원에서 추락·충돌 요인을 모두 감지하거나 추적하여 대응할 수는 없다. 때문에 국가 간 연합대응이 필수적이다. 개별 국가 간에 전파되는 우주물체 감시 정보 외에도 UN COPUOS를 비롯한 국제기구가 이 이슈에 주목하는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 우리나라는 현재 독자적인 국가 우주위험 대응시스템을 마련을 목표로 관련 장비 개발과 시스템 확충 등의 연구개발사업을 진행 중이다. 또한 우주물체의 추락이나 충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재난대응정책 마련과 같이 우주위험이 띠는 복합적 성격을 고려하여 다각도에서 우주물체 추락·충돌 대응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우주위험감시 능력의 자립이 우리나라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정책적으로 고찰하고, 우리나라의 우주물체 추락충돌 대응 시스템을 분석·점검하여 한국형 우주위험감시 시스템 완성을 촉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책의 수요자가 되는 자국민이 우주물체 추락충돌에 대해 어떻게 판단하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부가 우주위험대응정책을 어떻게 실시해 나가야 하는지를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1장을 통해 우주위험이란 무엇이며 우리나라의 우주위험감시시스템은 어떠한 목표와 구성을 띠고 있는지, 그리고 세계 각국은 어떠한 정책적 목표를 가지고 시스템을 구성하여 대처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우주물체 추락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재난대응매뉴얼과 관련하여 우리나라의 법과 계획, 그리고 대응 방안을 검토하였다. 우리나라는 지난 2016년 우주물체 추락충돌 대응 매뉴얼 개발에 착수하였고, 자연우주물체 및 인공우주물체 추락 상황에 대비한 매뉴얼을 개발한 유일한 국가이다. 나아가 2019년 우주물체추락 대응훈련을 실시한 바 있는데, 이는 우주물체 추락·충돌이 가지는 재난적 성격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국가적 노력의 결과이다. 매일같이 우주물체의 추락이 발생하는 현 상황에서 우주물체의 추락이나 충돌로 인한 일상의 위험은 결코 허구가 아니며 이를 적극적으로 대비하고 또한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은 국민과 국가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2장의 연구를 통해 우주위험으로 인한 재난에 관한 현행 법 및 매뉴얼을 분석하되, 기존에 마련되어 있던 자연재난 대응 매뉴얼과 대응체계에 대한 비교분석을 수행하고 우주물체로 인한 재난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현행 매뉴얼 및 법의 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우리나라의 우주위험감시시스템 구축전략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정책안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가 독자적인 우주위험감시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우주위험 통합분석시스템, 광학감시시스템, 그리고 레이더감시시스템이 요구된다. 그러나 각 기술 별로 개발비용, 기술개발난이도 및 기술개발기간이 상이하며, 국가의 한정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각 시스템 마련의 시급성과 중요성을 판단할 필요가 있다. 이에 상호 배타적인 대안들의 체계적인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계층화분석을 실시하였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집 및 분석하여 도출한 우주감시기술 획득전략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우주물체의 추락충돌 위험에 대한 국민의 인식과 전문가의 인식을 비교 진단하고, 우리국민의 우주물체에 대한 위험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20세 이상의 국민을 대상으로 우주물체의 추락이나 충돌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국민의 인식을 바탕으로 국가가 우주위험대응정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과학기술정책의 중대한 목표 중 하나는 과학기술을 통해 사회가 우려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주위험감시 정책의 방향은 우주위험으로 인한 인류와 자국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종국에는 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이를 위한 발전방향과 목표를 세워 지속적으로 점검하며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가 제안하는 제도적, 인식적, 법적인 측면의 정책 제안이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우주위험감시시스템 운영의 발전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공공 R&D의 기술이전이 기업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 연구

        김준혁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51695

        공공기관의 기술을 기업에게 기술료를 받고 이전하는 기술사업화는 공공 R&D의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긴요한 정책적 과제지만 그 동안 국내에서 기술사업화에 대한 정량적 분석은 활발하지 않았다. 특히 기술수요기업의 입장에서 정량적 기술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한 논문은 많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개방형 혁신의 개념을 활용하여 공공기술이전을 기업의 외부 R&D의 일환으로 간주한 뒤 기술수요기업의 관점에서 공공기술이전의 산업별 특성과 내부 R&D와의 상호작용에 대해 탐구하였다. 우선, NTIS 기술료 성과 데이터와 한국기업정보 데이터를 매칭하여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일어난 1,980개 기업의 7,645개 기술이전 자료를 추출하여 회귀분석과 분위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기술이전이 매출성장에 가하는 효과는 중고위기술과 고위기술 분야의 일부 기업들에게 편중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기간별(1·2·3년) 매출 성장률을 살펴보면 기술이전은 기술이전 다음해의 매출에 주로 영향을 주지만 내부 R&D의 효과는 주로 기술이전 2년 후의 매출 증가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업의 크기별 기술이전 특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부 R&D 집약도×기술료 집약도의 적절한 크기를 유지하는 것이 매출 증대에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잘 다뤄지지 않던 기술사업화의 최종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했다는 장점이 있으며 추후 산업별 맞춤형 기술이전 전략 수립 등에 활용 가능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