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정치변동과 정부-언론관계의 변화 : 이승만 정부에서부터 김영삼 정부까지

        박성준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thesis reviews the historical change of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ess that was influenced by the political fluctuations of Korea. That is to sa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dynamic chang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ess that was influenced by the political fluctuations of Korea and to formulate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properly explains that change. The press maintains the relationship of tension and conflict with the government playing the role of medium between the citizens and the government. But sometimes the press and the government keep a delicate relationship of symbiosis and cooperation. However, there is criticism in Korea that the press didn't play the role of representation of public opinion but it served for the vested interest. It means that the press was reluctant to fulfill the right of knowledge of the citizens and was willing to protect and publish the opinions of vested interest in the name of public opinion. There is a limitation of the past studies to explaining this relationship and to considering the chang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ess influenced by the political fluctuations. The normative and functional approaches to the government-press relationship have a limitation to expounding the dynamics of the relationship. Considering the political change that equals to the change of the government, political leaders and regime itself, respective theories can explain the government-press relationship of individual regime from Seung Man Lee to Young Sam Kim. But they are not appropriate in explaining the entire government-press relationship of from Seung Man Lee to Young Sam Kim. Therefore, this thesis applies the corporatism suitable for dynamic relationship to the Korean government-press relationship influenced by the political change. The government-press relationship can be explained by dividing the whole period of relationship by the 6.29 Declaration in 1987. First of all, Jung Hee Park regime and Doo Hwan Cheon regime attempted to restrict and control the press in many measures for the purpose of modernization, political stability and national security. Especially, Jung Hee Park regime recognized that the economic achievement directly relates to their validity or legitimacy, and established the system of mobilization for the efficient execution of economic blueprint. Herewith, the press in Korea gets involved in the system of mobilization. The government needed the press to penetrate the Korean public with a view to explaining the mobilization of the Korean public for the economic achievement and to avoiding the serious risk of legitimacy. And under this system of mobilization, the government guaranteed the special favor to the press that sponsored directly and indirectly and provided the press with the foundation of growth as the monopolistic capital. As expounded here, the government-press relationship before 6.29 Declaration can be explained by state corporatism.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press grew to be one of the social powers through the continuous accumulation of capital and increased freedom of the press after 6.29 Declaration. This occurred when the fissure in political power system took place and the press filled up the room created by the fissure. In addition to that, the Tae Woo Roh and Young Sam Kim regimes used an indirect and conciliatory method of control avoiding the direct and compulsory method, which provided the press with the foundation of growth as an institution of social power. The government can no longer forcibly mobilize the press to realize a specific interest and a goal of policy. And the press that became subordinate to the principles of the free market economy and operation of private businesses grew to be the strongest power of the civil society from the position of the lower grade partner to the government and acquired the great power and autonomy of representing the special interest of the large-scale corporations and the highest class of the society. In, this new environment, the press made a friendly relationship and an alliance with the elite of the nation. This is one of the type of corporatism and can be called as 'Liberal Corporatism' using the terminology of Jang Jip Choi.

      • 명예훼손에 대한 언론사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김상우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number of libel suits against media companies in Korea is on the increase. Plaintiffs have been awarded much more than in the past. Suits filed by public official/figure (public plaintiff) have increased. Among them are prosecutors, high-ranking officials, politicians and soldiers. Media companies must meet the burden of proof. Every newspaper or broadcast station owes it to the community to report the news, but that duty carries with it the legal obligation not to interfere with the rights of others. Some journalists are careless with the facts and cavalier with people's reputations and private lives.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an effective system for media companies and reporters to avoid libel suit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author of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deas: First, it is advisable that media companies retain in-house counsel. The lawyers should conduct prepublication review. Editors will fax or e-mail stories that they believe warrant legal review. Lawyers will then call the editor back with suggested changes to the language, or to identify information that they think needs further research, or both. Lawyers can help journalists report the news the way journalists want to, in a manner that is legally defensible. Second, it is desirable for media companies to purchase media liability insurance. Media liability insurance is an essential coverage for media companies because a libel suit can result in a verdict of tens of millions, even hundreds of millions, of won. The suits can be quite costly to defend as well. Media companies need insurance to pay the cost of defense and to cover themselves if a decision goes against them. The verdicts rendered against media companies in media liability cases can threaten the financial life of even the largest of media companies. Third, a true ombudsman is helpful in avoiding libel suits. A study by the Iowa libel project found that the biggest reason people sued for libel was how they were treated when they complained. Most libel plaintiffs are not looking for money but to protect and restore their reputation. If they feel they were not heard or were treated badly when they complained about a mistake or another problem, they were more likely to sue later. Prompt response to complaints can help avoid lawsuits. News organizations must assign a specific individual to accept calls and letters of complaint. Fourth, journalists should try to avoid libel suits as American journalists do. The Libel Defense Resource Center is a non-profit information clearinghouse organized in 1980 by leading media entities to monitor and promote First Amendment rights in libel, privacy, and related fields of law. The Reporters Committee for Freedom of the Press (RCFP) has emerged as a major national resource in free speech issues, disseminating information in a variety of forms, including a quarterly legal review, a bi-weekly newsletter, a 24-hour hotline, and various handbooks on media law issues. 언론 보도 있는 곳에 명예훼손 가능성은 항상 존재한다. 기자들은 국민의 알 권리를 더 빨리, 정확하게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반면 사회가 민주화되면서 언론의 자유와 알 권리 충족에 절대적인 가치를 부여하기보다 개인의 명예도 함께 보호하고 존중할 것을 강력하게 요구하기 때문이다. 언론 보도로 피해를 보았다며 언론중재위원회에 정정보도나 반론보도를 신청하는 건수가 1980년대 후반부터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고 법원의 손해배상청구 소송 건수도 꾸준히 늘고 있다. 더욱이 검사·고위 공무원·군인 등 공인(公人)들이 과거와 달리 피해자 대열에 속속 합류하고 있다. 법원은 국민의 알 권리나 언론자유보다 개인의 인격권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판결을 내려 언론사와 기자들을 심리적으로 위축시키고 있으며 손해배상액수도 고액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소송이 제기되면 언론사와 기자는 피해자와 합의하거나 재판에서 방어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한다. 하지만 언론사는 아직까지 소송을 기자 개인의 책임으로 돌리는 분위기가 우세하며 대응방법도 즉흥적이고 미봉적이다. 일부 언론사는 재판에서 패소할 경우 기자에게 구상권을 행사하기도 하며 인사평가에 소송 내역을 반영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만큼 기자들이 소신있게 취재하고 보도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 언론이 명예훼손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는 기사를 쓰지 않는다면 문제를 피해나갈 수는 있지만 그것은 언론의 임무와 사명을 포기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따라서 언론사와 기자들은 타인의 명예를 보호하면서 언론의 임무를 성실히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그동안 피해자들의 권리 의식이 급격히 높아진 것과 대조적으로 언론사와 기자들의 노력은 상대적으로 미진했다. 본 연구는 위험관리(risk management) 차원에서 미국과 일본의 명예훼손 현황과 해결 방안을 살펴보고 우리에게 적용가능한 대처방안을 찾고자 했다. 연구는 문헌연구와 심층 인터뷰를 병행했다. 심층 인터뷰의 대상자는 기자·변호사·판사·옴부즈맨·보험회사 직원 등이며 대면 인터뷰를 원칙으로 했으며 대면 인터뷰가 어려운 경우 이메일·전화 인터뷰를 했다. 한국의 언론사가 명예훼손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연구가 제시한 것은 다음과 같다. (1) 변호사 자문을 강화하고, 가능하면 상근 변호사제를 도입해야 한다. 변호사는 보도 이전 단계에서 기사를 검토해 법률적 분쟁이 발생할 소지를 사전에 제거함으로써 기자가 의도한 방향대로 보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기사 검토는 국민의 알 권리와 언론의 자유를 확보하는 차원에서 편집국의 요청에 의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언론사의 보험 가입이 필수적이며, 가입할 경우 보상한도액을 현실에 맞게 정해야 한다. 언론사도 다른 기업과 마찬가지로 경영 과정에서의 위험을 분산시키는 것이 필요한데 보험에 가입하면 피해자가 명예훼손 소송을 제기하겠다는 위협이나 법원의 고액 배상 판결에 위축되지 않으면서 취재·보도에 임할 수 있다. (3) 미국식 옴부즈맨 도입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 미국에서 명예훼손피해자들이 소송을 내는 가장 큰 이유는 자신들의 불만을 언론사가 조기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체면과 명예를 중시하는 한국인의 정서에 비춰볼 때 언론사 경력이 풍부한 중견 언론인을 옴부즈맨으로 임명, 피해자들의 불만에 적절하게 대응하도록 하면 소송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4) 언론인들의 자구노력이 절실하다. 명예훼손 소송이 언론 자유를 위협한다는 위기의식을 갖고 언론인들이 자발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소송관련 자료나 판례를 체계적으로 축적하고 기자들을 상대로 한 법률 상담을 활발하게 펼치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기자협회 등 언론 유관 단체가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도 필요하다.

      • 경찰언론 홍보의 발전적 방안 연구 : CRM과 개방체계론적 경찰이미지 분석 중심으로

        김종민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aims at improving the image of police which has been politically distorted and unduly recognized, although they have protected the people's lives and bodies as well as preserved the peace and order of public society, and at seeking a developmental program to strengthen the publicity activities of the police, especially at applying a corporate method to manage the customer relations(CRM), which was introduced by a general administrative machinery to the police. Above all, the role and duty of the police is clarified to explain the purpose of the publicity activities of the police in the introduction, while the CRM by the corporation and the general administrative machinery is studied to find a method and content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 target customer is selected to identify CRM of a corporation and the concept of customer in CRM by the general corporation; second, the customer is classified into bad customer, inside customer, 2nd customer, 3rd customer, and potential customer according to the value and needs of CRM; third, the CRM's function acting on each customer by means of correlation is defined; and fourth, its impact on custormization, and customs-made service is examined; and finally, in order to study a general administrative machinery's application of CRM, an introductive and applicative course of CRM concept and integration of communication are explained. In chapter 2, that is a theoretical investigation, the theory of publicity activities of the police is explained by a closed systematic approach which has been applied until now and an open systematic approach which will be applied hereafter, and based on this theroy, the difference of CRM between the police and the corporation along with the way to introduce CRM by the general administration and to apply the CRM by the police are explained. All of these efforts are intended to reform the image of the publicity activities of the police, which requires a practical effort, so an empirical questionnaire is conducted in order to know the practical task and to infer the theory and application of this study.

      • 정부부처 인터넷 서비스와 국민의 알권리 신장의 상관관계 연구

        강호천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671

        1. 서론 최근 우리 사회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정보화사회의 진전은 점차 공공부문으로도 이어져 정부부처의 인터넷 서비스를 대폭 활성화하는 한편 전자정부의 출범까지 가능하게 함으로써 대부분의 정보와 민원을 온라인으로 소통하는 시대를 열었다. 정보화사회의 진전과 인터넷의 발달, 이와 관련한 국민의 알권리를 논의하게 될 이 논문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인터넷의 발전을 통해 정보공개 및 활용의 통로가 크게 넓어진 현실에서 국민들의 알권리 역시 그만큼의 내용을 확보하고 있는가? (2) 최근 들어 정부의 인터넷 활용이 전례 없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에서 그것의 변화의 의미와 한계가 무엇인가? 2. 알권리와 행정부 인터넷사이트 추상적 권리로서의 알권리는 정보수령권과 정보수집권, 그리고 정보공개청구권으로 나눌 수 있다. 정보수령권과 정보수집권은 국민 입장에서 볼 때 정부의 정보공표에 의존하는 소극적 권리라면 정보공개권은 국민이 스스로 공개를 요구하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적극적 권리의 범주에 들 수 있다. 정보수령권과 정보수집권은 정부가 공표주체가 되는 '정보공표'에 의해, 정보공개청구권은 국민이 청구주체가 되는 '정보청구'에 의해 실현되는데 그 궁극적인 목적은 알권리와 정보민주주의의 실현이다. 정보공표는 정책홍보의 성격을 갖는다는 점에서 각 부처 인터넷사이트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하면 정보공개의 경우 행정정보공개제도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 논문에서 실시한 사이버폴의 결과에 따르면 행정부 인터넷 서비스의 발전은 정보공표 측면에서 상당한 진전을 보였으나 알권리 충족을 위한 노력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 조사에서는 정부부처의 인터넷사이트 정보제공기능에 대한 평가에서는 유익하다는 의견이 83.6%에 이른 반면, 부처 사이트에서 보완되어야 할 기능으로는 쌍방향커뮤니케이션 기능 44.2%, 알권리를 위한 정보공개기능 31.1% 등으로 나타났다. 정부부처 인터넷 운영자들과 실시한 인터뷰에서 이들은 "인터넷 서비스가 정보공표에 한정되긴 하지만 알권리 충족에 많은 도움을 준 것"으로 평가하면서도 "청구공개에 해당하는 정보공개제도의 경우 인터넷이 청구의 방법으로 온라인 창구를 개설한 효과는 있지만 실제 인터넷서비스와 청구공개의 활성화는 상관이 없다"는 의견을 보였다. 3. 결론 알권리의 핵심 부분인 행정정보공개제도를 중심으로 확인한 정보유통에 있어서의 구조적인 한계는 정보공표와 마찬가지로 정부가 적극적인 정보공개의 의지를 가지고 있느냐 하는 것이다. 이것은 공무원과 국민들의 정보공개에 대한 인식차도 크게 작용을 하는 한편, 공직사회의 폐쇄성과 행정문화의 경직성이 기본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폴 및 인터뷰 결과 정책 및 정부정보의 유통이라는 측면에서 정부인터넷의 발전은 아직 정보의 원활하고 이상적인 흐름으로 이어지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인터넷의 발전은 국민들의 알권리 충족, 그리고 정보민주주의의 진전이라는 질적인 진보로 연동하여 발전하는 것은 아니다. 이 논문에서 살펴본 바에 따르면 정부 인터넷 서비스의 빠른 발전이 정책홍보라는 구체적인 한계를 안고 진행되면서 정보공표 측면에서는 일정한 진전을 이룰 수 있지만, 수요자의 청구에 의해 이뤄지는 정보공개 측면에서는 뚜렷한 한계를 드러내고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정보공표의 방편으로 인터넷이라는 전자적 방법이 하나 늘어나 그 효율성은 크게 제고되었지만 그것은 더 이상의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정부 인터넷 서비스가 정보공표와 함께 국민의 정보청구 창구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함으로써 국민의 알권리 충족이라는 임무를 다하기 위하여 사이트 운영자들의 지적대로 우선 인터넷사이트 관리자들의 기본적인 인식의 변화와 함께 정부 전체의 정보공개에 대한 뚜렷한 정책적 일관성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정보의 원활한 공개를 위한 행정 품질의 제고를 위한 노력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과 관련해서도 현재의 정보공표 위주의 사이트를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지속적으로 가능할 수 있도록, 그리고 사이트 곳곳에서 정보요청의 제도적 틀과는 별개로 정보요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일상적인 정보서비스 시스템의 완비도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부부처의 정보화와 인터넷을 활용한 국민 알권리의 실현은 인터넷 서비스의 개시로 모두 이뤄진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인터넷 이용이 극대화되고 있는 지금 오히려 새롭게 구조화되고 그 지향점과 방법 및 전략을 새롭게 재점검해야 하는 상황인 것이다. This study describes the public right of knowing anything under the influence of advanced information society and Internet The direction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s: (1) Does the public right of knowing anything acquire corresponding contents along with more revealed information and its expanded application path than ever via Internet? (2) Recently, our government has been more actively using the Internet than ever. So which meaning and limitation does the trend hav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yber poll as carried out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on-line service by Ministry of Government Affairs and Home Affairs via Internet was remarkably advanced in the level of informational announcement, but its efforts for meeting public's right of knowing anything were relatively insufficient. In a survey of this study, it was noted that 83.6% of total respondents answered 'useful' in the evaluation about the informational functions of websites of governmental departments, while the functions to complement on departmental websites included the function of two-way communication(44.2%) and the function of opening information for the right of knowing(31.1%). In an interview with system operators(sysops) of websites for governmental departments, it was found that the respondents considered 'their Internet services, even though limited to informational publication, very helpful to meet public's right of knowing'. And it was also found that they showed the following opinion: i.e. 'For the system of uncover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opening public claims, Internet has effects of opening on-line windows by means of claim, but there is not any correlation between actual Internet services and active publication of claims.' Similarly to the publication of governmental information, the structural limitation in the informational distribution as identified around the current system of uncovering administrative information, which may be a core one of public rights of knowing, refers to whether our government has a proactive will to uncover or publish its information. Here, it was shown that the difference in the publication of information between official and public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such structural limitation. However, the exclusiveness of public society and the rigidity of administrative culture in Korea had basically influences on such limitation. Summing up, as pointed out by the above website sysops, it is necessary that the system operators of governmental websites change their basic minds to more positive directions along with a formulated political consistency for opening information throughout governmental departments, so that governmental Internet services can play its roles well in publishing governmental information and in a public window for informational claims to meet public's right of knowing anything. Furthermore, it is also required that the effort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administrative services should be made in advance so as to facilitate the publication of different governmental information. Meanwhile, as a result of analysis, it is critical that daily information service system should be fully implemented to enable governmental Internet service systems to carry on two-way communication on a consistent basis, so that everyone can always claim for governmental information, separately from the systematic frames of claims for information.

      • 韓國 行政情報公開制度의 運用現況과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

        배정호 東國大學校 言論情報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50671

        한국의 행정정보공개제도는 참여민주주의를 갈망하는 국민의 염원을 담은 시대적 요청에 의해 국민주권의 원칙과 국민의 알 권리의 보장이라는 취지로 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시행되었다. 그러나 1998년 1월 1일 시행 이후 제도의 정착과 운영에 따르는 여러가지의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급기야 참여연대, 민변, 민언련 등을 비롯한 51개의 시민운동단체는 2001년 10월 국회에 정보공개법의 개정을 위한 청원을 내었고, 제도 운영의 주무부처인 행정자치부 또한 동법의 개정안을 내놓아 2001년 11월 국무회의의 의결까지 거쳤으나, 두 법안 모두 아직 국회에 계류 중인 상태로 서로의 정당성을 다투고 있다. 한편 참여정부의 출범 이후 정보공개법 개정과 관련한 태스크 포스팀이 구성되었고, 소관부처인 행정자치부의 장관에 개혁성향의 인사가 임명됨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법개정을 기대하게 한다. 본 연구는 행정자치부의 정보공개 연차보고서를 분석하고, 외국의 정보공개법과 제도의 운용 사례를 대비하여 보고, 시민운동단체의 의견이나 관련 학술논문과 서적을 참고하여 문제점을 조사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에 따라서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문제제기와 연구방법에 대한 부분을 서술하고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서 정보공개제도의 개념과 기능, 알 권리와 알권리의 한계와 제한되는 문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한국의 정보공개제도의 도입배경과 내용을 알아보고, 제도의 시행해인 1998부터 2001년까지의 정보공개제도의 운용현황에 대하여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고, 4장에서는 스웨덴, 미국, 프랑스 등 주요국가의 정보공개제도 운용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5장에서는 한국의 정보공개제도 운용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향을 모색하였다. 끝으로 6장에서는 본 논문의 결론을 요약하고 연구의 한계점 및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행정정보공개제도는 제도시행의 취지와 같이 국민주권원리의 원칙이며, 국민의 알 권리의 보장을 위한 당위적 제도이므로, 국민과 공공기관은 정보공개제도가 제대로 정착하고 운용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 The first is to describe basic theories about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The second is to point out the problem which is based on operation actual state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on the basis of these problems, the third is to suggest improvement to the better ways of system. The table of contents is as follow : Chapter 1. Introduction section 1. purpose of the study section 2.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Chapter 2. examination on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and the right to know Chapter 3.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administrative imformation disclosure system in korea. section 1. background on induction of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section 2. contents of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disclosur system section 3. current status of the disclosure of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section 4. problems of the disclosure of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Chapter 4. Study on the disclosure of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in major countries section 1. Sweden section 2. America section 3. France section 4. comparison on current status of the disclosure of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in major countries Chapter 5. Proposal for improvement of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n Korea Chapter 6. Conclusion and suggestion section 1. condensation of the study section 2. conclusion section 3. boundary of the study and suggestion

      • 초판신문 발행폐지가 군 관련 보도행태에 미치는 영향 고찰

        이성신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71

        헌법에서는 국민의 참정권을 보장하고 있다. 참정권은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데 있어서, 핵심적인 권리이다. 국민의 올바른 참여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정보가 공개되고, 접근이 용이해야만 한다. 하지만, 국민의 알권리가 국가안보와 충돌하는 경우가 있다. 국가기밀 자료를 공개하는 것은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켜 주지만, 국가안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국민의 알권리와 국가안보는 서로 역의 관계이기 때문에, 그 균형을 맞추는 것은 쉽지 않다. 민주주의가 가능하기 위해 가장 먼저 전제되어야 할 것은 국가안보에 대한 위협이 없어야 한다. 국가가 존폐위기에 놓일 경우, 민주주의를 지키려는 욕구보다 생존에 대한 욕구가 크기 때문이다. 민주주의의 핵심인 알권리 또한 마찬가지이다. 어떠한 정보요구 보다 국가생존 욕구가 더 큰 것이 사실이다. 국가안보의 개념이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지더라도 정보를 공개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은 아니다. 국민의 알권리를 제한하더라도 언론에는 공개해야한다. 엠바고나 오프 더 레코드와 같은 방식으로 언론에 공개해야 한다. 왜냐하면, 정보가 공개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정부를 비판하고, 견제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 언론이기 때문이다. 국민의 알권리의 중요성과 각급 언론사 기자들의 특종의식 등으로 군 과 관련된 기사가 자주 보도되기 시작하였고 최근에는 국방부 산하 각급 제대의 사소한 사고까지 시차가 거의 없을 정도로 실시간으로 보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국방부 예하의 각급부대에서는 부대 내에서 발생되고 있는 사소한 사항이 언론을 통해 공개되는 것에 대해 늘 고민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군의 특성상 왜곡되거나 사실무근의 보도형태에 대해 즉각적으로 반론보도 및 정정 보도를 요구하지 못하는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국내신문사 중 유일하게 중앙일보가 초판신문 발행을 폐지함으로써 국방부 및 정책부서에서는 군 관련 내용들이 언론을 통해 왜곡 및 과장보도 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현 정부 출범이후 청와대에서 각 부처에 초판신문 구독금지 조치를 취하였다. 이는 언론사의 왜곡보도나 오보에 대해 정당하게 대응하겠다는 정부의 언론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엿볼 수 있다. 이렇듯 정부의 초판구독금지 조치와 언론사의 초판발행 금지조치로 인해 보안상의 이유로 폐쇄적인 문화를 가질 수밖에 없는 군에 대한 보도는 더욱 사실과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는 현실에 처해 있다. 그러나 각 언론사의 군 관련 보도내용의 과장 및 왜곡보도에 대한 책임을 언론사의 책임으로만 전가할 수는 없다고 본다. 군에서는 언론사의 초판폐지와 정부의 초판구독 금지의 긍부정적 영향을 잘 활용하여야 한다. 군의 사기 저하 및안보적 차원에서의 부정적인 요소에 대해서는 법적·제도적 방법 등 정상적인 절차를 통해 반론보도나 정정 보도를 공식적으로 요청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각급 제대별로 전문 능력을 갖춘 공보관을 양성해야 할 것이며 구독제안에 따른 군 관련 보도형태를 분석하여 군의 단결 저해요소를 미연에 방지하고 국가의 안보를 확고히 해야 할 것이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국민의 알권리는 존중되어야 한다. 그것이 민주국가의 전제조건이다. 그러나 국가안보와 알권리가 서로 충돌할 때, 국가안보가 우선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국가가 존재해야할 알권리를 보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가안보라는 개념이 사전합의를 통해 정의될 때만 가능해야 한다. The constitution guarantees the suffrage rights to the public. Guaranteeing the political rights to the public is the core concept in establishing successful democracy. In order for the public to properly participate in politics, all information should be released and easily accessed. However, the public's right to know often collides with national security. Disclosing government secrets to the public would fulfill their right to know, yet it could seriously undermine the national security. Balancing between national security and the public's right to know is extremely difficult, considering their discordant relationship. If democracy is to succeed, firstly, treats against national security must be eliminated, because when the existence of a nation is threatened, the desire to survive tends to prevail over the desire to protect democracy. This is same with the public's right to know, the core concept of democracy. It is true that the desire for national survival is stronger than any other desires for information. The concept of national security doesn't implies that it is okay to conceal information when socially compromised. Even when the public's right to know is restrained, information should be at least released to the press by imposing an embargo or using off the record means. When information is absolutely not available to the public, the press is the only way to criticize and monitor the government's policy and actions. Due to the importance of the public's right to know and the pressure on reporters that they must obtain exclusive new, military related news started to show up more frequently. Recently even insignificant accidents from all levels of units under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re reported immediately without any delay, causing every military unit to always concern about possible release of news regarding its activities.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organization, the military has been reluctant to request the press to correct any distorted news or false reports on military. Under this circumstances, the Joong Ang Daily has decided to became the first and only newspaper in Korea to stop publishing the first editions of newspapers, creating concerns from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government departments over possible distortion and exaggeration of military related news reports. Moreover, after taking office, President Roh Moo-Hyun ordered its departments not to purchase the first editions of newspapers, showing its changed media policies to use fair and proper measures to deal with distorted or wrong reports by the press. The decision of the government and the press widened the gap between the reality and the reports on military that suppose to have closed culture for its security reasons. However, the press cannot be solely responsible for the distortion and exaggeration of reports. The military should try to take advantage of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the decision by the government and the press to stop the distribution and the use of the first editions of newspapers. Considering military morale and security, the military needs to implement proper measures including legal and institutional procedures to officially request for corrections of false reports. To accomplish this goal, all units should nurture public affair officers specialized in public relations and eliminate possible factors that undermine military unity and secure the national security firmly by analyzing the trend of news reports. Once again, the public's right to know must be respected and this is the precondition of democracy. However, when national security and the public's right to know collides, first priority should always be given to national security, because without national security, existence of a nation is not guaranteed, meaning that the public's right to know would be impossible to obtain when there is no nation. Moreover, to guarantee the first priority of national security, the public needs to agree on the definition of national security in advance.

      • 한국언론중재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언론중재위원회를 중심으로

        정동우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is mainly focused on the ways to improve the system of relief in cases of press infrigement,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Korean Press Arbitration Commission. Cardinal analysis was made as below in this study. 1. the legal basis and characteristics of Press Arbitration Commission(PAC). 2. Haw PAC is accepted to journalists and the general public. 3. what relationship with PAC and press ethic commission(PEC), the press self control system. 4. whether there are some discord with constitution in PAC or not. 5. what kind of affection PAC occur to actual activity of journalists. 6. the rational ways to improve the press arbitration system. The PAC is very unique because that is a compulsory system backed up by law of periodicals. the similar system couldn't seen in other country. the PAC was started in 1981 base on basic law of the press. As well known, the law was made to control the press by the couped military government. Despite this vulnerable point in born, the PAC has been faithfully fulfilling its duty for the last 20 years. Now the commission is being recognized for its nessecity by the public and is doing it's mission in cases of press infrigement. But doing the mission by the government office, not by the court is still vulnerable point and basic problem of this system, the mission is checking the details of press reporting and making judgements in cases of press infrigement. There are no democratic countries that have this kind of system. We can see the similar systems in socialism countries or military rolling countries. In this study, we have known the PAC is blamed as unconstitutional in such points as consideration and authoritative arbitration function. and the faction of PAC is overlapping with the press ethic commission(PEC), the press self control system. there is another blame of the government system make the self control system powerless. So the only way the PAC has strong power maintaining the structure and system is by changing the character of the commission from compulsive system to self control system.

      • 전쟁시 언론의 오보방지를 위한 군 공보체계 수립에 대한 연구

        박인옥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military and the press play an important role than any other bodies for guaranteeing the national security and the people's right to be informed. In war-time, the military receives intensive spot right from the press and the people, and the press is the first means for people to obtain information about war situation, meeting their right to be informed. In this paper, I suggested fundamental tasks for the army and the press to prevent incorrect report in war-time, through case studies on the cause of incorrect report and every kinds of war. Incorrect report happens due to the conflict between the military and the press such as the different thoughts on the range of military secrets which is a conflict factor between the two bodies, a different perception on the value of news, a difference in the acknowledgement on the things covered, an excessive prejudice of the press and the military to each other, a legal control to the access to the military information, and the likes. Other than these fundamental factors, the cause of incorrect report includes a negative outlook on the military, speculative articles resulted from the secretive methods of the military, reporter's shortage of knowledge on the military, practice of informing the news obtained outside the military without confirmation, and the complexity of confirming procedure for the covered information, etc. Behind this, there are intrinsic conflicts between the military and the press. Analyzing war cases, these conflicts are well expressed. In war-time, effective news control is a decisive factor to win the war, especially modern wars require overall security capacity to be exerted, so military power and the integration of people's will to perform the war are the key to the win the war. Examining the cases of people's will to carry out a war, we get lessens from the coverage of the press during the Gulf war and Vietnam war. These cases tell us that the press in wartime plays a bigger role than the army's strategy or advanced weapons, and that it should go with active cooperation with the press to win a war. Thus, the military should try to understand and keep a good relation with the press even in peace time, and construct a cooperating system in which the press can think good of the military. Basically, reporting attitude in wartime is a problem up to the military. The urgent tasks of the military include determination of basic contents to news blackout and the news control, establishment of news briefing guideline toward the press, and clarification of the concept of the public affairs which has been in the state of ambiguousness in peace and war-time. Present curriculum for the officers charged in public affairs in wartime should be corrected suitably to the concept of public affairs in war-time. In the present curriculum, the classes of public affairs in war-time is just 9%, and the classes of experiment and practice needed to perform effectively the tasks has been rarely adopted. The direction of public affairs in wartime should be established as well. Despite public affairs guideline is to be shared with other departments and the press, it has been limited to the military, which should be corrected. The release of the war situation to the press should be unified through a single channel, which is necessary to elevate the credibility of the coverage of war situation and to conform the outlooks. Lastly, the military should educate army-related reporters so that the reporters can recognize correctly the reality and the direction of the army, and the reporters are to be educated in detailed separate groups. The primary task of the press is to cultivate military-special reporters. Blanket re-education of the reporters could keep them from going with the specialization of the military. Reporters' lack of specialization could lead to incorrect report resulting from the wrong article on the military. In such cases, the credibility on the military and the assurance of people's right to be informed could be invaded obviously by just one reporter. Also, the press companies damaged from the Pool-System during the Gulf war need to set up a hierarchically independent system in which the companies consult with the military for the number of war-correspondents and the equipments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each company having its own war-correspondents, and to downsize the unnecessarily large press corps, and to resolve the problem of sharing the covered news. I concluded that, when the problems to be resolved between the military and the press is settled, news censorship and news control other than the coverage which could affect the operations security and negative public opinion become unnecessary as a result of the consultation between the military and the press. Also, conflicts between the two bodies and the incorrect report in wartime could also be prevented.

      • 韓國 新聞의 環境關聯 報道傾向에 關한 硏究 : 조선·동아·한겨레 신문을 중심으로

        류춘록 東國大學校 言論情報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환경문제가 국내적으로 수질오염, 대기오염, 쓰레기 배출, 해양오염, 토양오염 등에 있다면, 전 지구적으로는 오존층의 파괴, 해양오염, 산성비, 지구 온난화, 산림훼손 및 생물종 다양성 감소 등 어느 지역이나 국가의 문제로 한정된것이 아니라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소로 등장하게 되었다. 뿐만아니라 세계 경제의 불럭화현상, 국제 환경보존에 대한 관심의 증대에 따른 환경관련 무역규제 강화 등 세계기구 등에서도 이 문제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를 가지게 되었다. 이와같은 상황에서 한국의 언론은 환경문제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보도 태도는 어떠하였는가 하는 의문을 가지고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감시자로써 언론이 환경문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즉 한국 언론이 환경문제를 어떻게 보도하고 있으며, 거기서 나타난 환경문제가 국민들에게 올바르게 전달되는가? 라는 물음의 해답을 찾음으로써 과연 한국의 언론이 환경문제에 대해 올바른 정보전달자, 여론형성자, 정책과 제도의 개선에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물음에 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을 구하기 위하여 한국 언론의 환경관련기사의 내용분석을 통하여 언론의 올바른 보도태도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므로 지금과 같이 환경문제가 사회적 이슈로서 급부상하고 있는 시점에서 언론의 역할이 더욱 더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신문의 환경관련 보도가 어떻게 다루어 지고 있는지를 내용분석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자는 각 신문들의 환경관련보도에서 어떤 주제가 부각되고 있고, 어떤 문제가 부각되지 않는가를 내용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언론의 기능인 환경감시 기능, 정책결정기능, 조직화 기능 중 주로 어떤 기능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각 신문은 환경관련 보도에서 어떤 주제에 어느 정도의 관심을 가지고 있는가? 연구문제 2. 각 신문에 나타난 환경문제 보도에서 취재원, 기사유형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각 신문에 나타난 환경문제 보도경향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가지고 연구한 결과 한국 신문에 나타난 환경관련 보도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 번째, 주제의 관심도에 있어서 각 신문간의 차이는 없었다. 두 번째, 각 신문간의 취재원의 이용도에 있어서도 하나 같이 정부 및 그 유관기관에 의존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에 따라 기사의 유형은 스트레이트 기사가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다. 또 언론의 기능은 환경감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각 신문간에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환경문제에 대한 한국의 신문은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 신문은 환경문제를 보도함에 있어서 장기적인 보도의 계획을 수립하여 탐사보도, 사후보도 등에 치밀해야 할 것이며, 또한 취재원의 영역을 확대하여 한다고 본다. 또한 전문기자의 양성과 교육을 통하여 기자의 전문성을 높임으로해서 환경문제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기자의 윤리의식을 높이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그럴때만이 환경문제에 대한 공중의 여론이 올바르게 형성될 것이며, 정책결정자들의 정책결정에 올바른 합의형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사회 심리적 패닉현상이나 지역이기주의적인 악영향을 해소할 것으로 기대되어지며, 나아가 환경시대를 맞이하는 오늘날에 있어 한국 신문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The Korean environment suffers increasing stress; pollution, reckless deforestation and a decrease in species diversity, to name a f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perception that the Korean press has of the environment, and what source materials it uses. This study aims to resolve the question of how the Korean press perform its role as an information transmitter, public opinion molder, and policy and system improver. This study discusses the issues of how the press perceives environmental problems, reporting procedures and public broadcasting of the same.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s in the reporting accuracy of environment-related articles in the Korean press. The role of the press is especially significant at this point in time when problems of the environment are evolving into serious social issues. A systematic analysis was made of how environment-. related reports by the press have been treated. This study aims at inquiring into what subjects have been emphasized in environment-related reporting of newspapers, and what subjects have been underestimated. It also inquires into how the press performs: including environmental monitoring, policy making systematization, and so forth. The questions this study po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Question 1 : What Environment'-related subjects are individual newspapers interested in reporting, and to what extent? Question 2 : What sources do newspapers draw information from in environment-related reporting, and in what style of articles. Question 3 : What differences are shown between newspapers' environment-related reporting tendencies? After researching environment - related press reports in Korean newspapers, the following has been concluded : First,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interest in the subject matters was represented among different newspapers. Second, the newspapers' rate of utilization of news gathering sources were found to depend largely upon government offices and their pertinent institutions. Straight-type report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mong different types of reports. Journalism was revealed to perform a function as an environmental monitor.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various newspapers. However. newspapers in Korea reflected a negative response in general on the matters of environment. Consequently, it is recommended that newspapers in Korea should pay careful attention to probed reports, ex post facto reports, and so forth by formulating a long -term reporting plan, particularly on environmental issues. Furthermore, newspapers should be required to seize opportunities to enhance journalists' consciousness of environmental ethics via training and educating specialist reporters. When these needs have been met, correct public opinion will be molded on environmental issues, and decisions will be more in concordance with international environmental standards. Also if the press is more accurate in their environment -related reporting; sociopsychological panic phenomena and localized egocentric infection will be relieved. Furthermore it can expected that in this environmentally conscious age, the newspaper industry will improve its role as an information gatherer and disseminator.

      • 한국 신문의 독자불만 처리제도에 관한 연구

        김영근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71

        독자들의 언론피해구제 움직임에 대해 언론사 나름대로 언론피해구제의 대책을 세우고 있다. 언론사별로 도입한 사내 옴부즈맨제도가 그 것이다. 그러나 사내 옴부즈맨제도는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겠다는 몸부림에 그칠 뿐 명실상부한 인권침해 방지기구라고 하기는 어렵다. 이 때문에 한국신문윤리위원회의 독자불만처리위원 제도에 관심이 쓸리는 것이다. 중립적인 입장에서 조사 심의할 수 있는 독자불만처리위원의 활동이 본격화되면 보도피해의 신속한 구제와 함께 언론불만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독자불만처리 기구가 구성됐다고 해서 언론에 의한 인권침해 문제가 모두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이 기구가 제 역할을 다하기 위해선 재정과 인적구성의 독립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런 시점에서 여야 정치권과 언론단체 중심으로 언론중재 및 피해구제에 대한 입법활동이 본격화되고 있다. 여야 정치권에서 일고 있는 입법활동의 주요 쟁점은 징벌적 손해보상제와 언론옴부즈맨 제도 도입인데, 정치권이 어떤 방향으로 결론을 내릴지는 미지수이다. 여야의 입장이 다를 뿐만 아니라 각 언론사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기 때문이다. 독자불만처리 기구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열린우리당은 법에 의해서 언론사내에 강제적으로 고충처리인을 두도록 하는 내용의 법안을 국회에 제출해 놓고 있다. 이는 언론옴부즈맨 제도를 지나치게 변형했다는 지적을 받을 수 있다. 언론의 자율적 규제를 타율적 강제로 바꾼다는 비판을 면할 수 없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문윤리위원회가 자율적으로 언론불만처리 위원제도를 도입해 시행중이므로, 언론불만처리 위원제도에 힘을 실어주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독자불만처리기구가 설립 취지에 맞게 제대로 역할을 수행하고 실질적인 인권보호 기구가 되기 위해서는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산하의 독자불만처리기구를 '언론피해구제센터'(가칭) 로 확대 개편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선 '무늬만' 독자불만처리기구여서는 안되며 좀더 적극적으로 독자불만을 해소할 조직으로 발전해야 한다. 나아가 독자불만처리 기구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적시해 현업에 증사하는 기자들이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일반인들이 독자불만처리기구의 활동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대국민 홍보활동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독자불만처리 기구가 언론피해구제센터로 발전되더라도 독자와 언론 사이에서 발생한 불만을 적극 중재해 사회갈등을 해소하는데 주력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