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國 地籍敎育의 發展方向에 관한 硏究

        金鍾勳 慶一大學校(慶北産業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나라 지적교육의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문제점을 도출하며, 이에 따른 지적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시간적 범위로는 대학에서 지적교육이 태동된 197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로 하고, 공간적 범위로는 우리 나라 지적교육의 실태를 대상으로 하며, 내용적 범위로는 지적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고등학교 지적과 8개교, 2년제 대학 지적관련학과 10개교, 4년제 대학교 지적관련학과 5개교, 대학원 석사과정 지적관련전공 5개교, 박사과정 지적관련전공이 개설된 2개교의 교과과정을 조사·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목적과 범위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문헌조사법과 설문조사법을 병행하였으며, 설문지의 분석방법은 통계프로그램 SPSS 10.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기법 중 교차분석을 실시하고,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다. 이상을 분석한 지적교육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지적교육을 위한 학문적인 paradigm이 정립되어 있지 못했으며, 둘째로는 교육자 중심의 교과과정이 편성되어 있어, 지적교육을 담당하는 학과 교수진의 전공에 따라 교육과정이 편성됨으로 인해 대학별로 학과목의 종류와 특성이 한정됨으로 지적교육의 본래적인 목적을 달성하는데 장애적인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로는 지적학과에 지적학을 전공한 전임교수의 확보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넷째로는 지적학문의 특수성에 비해 졸업생 진출분야가 너무나 협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로는 지적학문을 전문으로 하는 지적전문대학원이나 독립된 지적학과에 박사과정이 개설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일한 지적학문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 연구활동이 불가능하여 학술활동에 많은 제약과 어려움이 따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지적교육의 발전방향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지적학에 대한 학문적인 paradigm이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지적학에 대한 paradigm을 근거로 지적교육에 필요한 교육과정, 교과서 등이 제작되고 강의될 때 지적학에 대한 올바른 교육이 이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는 지적학의 paradigm을 근거로 지적학문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학회차원에서 학교별, 학위별로 체계적인 교육과정의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종적으로는 학위별, 횡적으로는 학교별로 특성화 된 교육과정을 통해 지적학이 교육될 때 개설목적에 충실하게 될 것이다. 셋째는 학교별로 지적학 전공자에 대한 전임교수 비율을 증가 시켜야 할 것이다. 대부분의 대학들이 3∼4명의 교수진으로 지적교육을 담당하고 있으며, 일부 2년제 대학은 2명의 교수진으로 구성되어 있어, 많은 과목들이 외래 강사들에 의해 강의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상당수의 전임교수를 확보해야 하되, 지적학 전공교수의 확보율을 증가 시켜야 할 것이다. 고등학교 지적과의 경우 교사 양성을 위해 대학에 지적학에 대한 교직과목을 개설함으로써 고등학교 지적과의 지적교육이 정상화 될 것이다. 넷째는 산업체 동향을 고려한 교육과정의 개편으로 취업분야를 확대해야 할 것이다. 기존의 취업분야에다 등기분야와 지가분야를 포함하여 취업분야를 법원 부동산등기사무직, 부동산권리분석사, 부동산권원보험, 리츠회사, 부동산컨설팅업체 등으로 확대 진출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인재들로 하여금 미래의 지적업무와 등기업무의 일원화가 추진될 수 있는 초석이 되도록 교육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는 지적대학원 또는 지적학과에 박사과정을 개설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대학원의 박사학위는 행정학박사학위를 취득케 함으로써 학부와 석사과정, 박사과정의 연계성을 확보함으로써 동시에 지적학문에 대한 정체성도 찾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이들이 대학강단에 진출함으로써 그간 악순환 되었던 인접학문과 혼합된 교육과정을 탈피하여 지적교육 본래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and analyze the conditions of the cadastral education in Korea, and thereupon, address the problems to suggest the ways for development of the cadast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time span of this study was set for the period from 1970's when the cadastral education was introduced until present, while the scope of study was set for the cadastral education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were used. The date collected from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10.0 program for cross analysis and chi-square test. The problems involving our cadastral education can be addressed as follows; First, any academic paradigm for cadastral education has yet to be established. Second, since the curriculum is organized for educators' convenience, it does not seem to contribute to achievement of the cadastral education goals. Third, the ratio of the professors who majored in cadastral science is low. Fourth, graduates from the cadastral departments have limited job opportunities. fifth, there is no school of cadastral science or independent doctorate course of cadastral scienc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ollowing solutions are suggested; First, an academic paradigm of cadastral science needs to be established. Second, based on such a paradigm, a systematic curriculum for cadastral science should be developed. third, the ratio of the professors who majored in cadastral science should be raised. Fourth, the curriculum needs to be reorganized in consideration of the industrial reality to increase the job opportunities for cadastral students. Fif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chool of cadastral science or an independent doctorate course of cadastral science.

      • 문서검색 시스템에서 DOM을 이용한 XML 편집기의 설계 및 구현

        安海順 慶一大學校(慶北産業大學校) 2001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상에서 수집한 XML 문서의 재구성 및 재사용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상호 운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XML 편집기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사례연구로서 개발한 XML 편집기는 문서구조에 대한 접근 효율을 높이기 위해 DOM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프로그래밍하였으며, XML을 이해하지 못하는 초보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집한 XML 문서를 재구성하여 저장 및 출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계 시스템으로 경일대학교 소프트웨어 목록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그 성능을 평가해 본 결과 인터넷에서 수집한 XML 문서의 재구성 및 재사용에 의한 애플리케이션의 상호 운용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을 입증할 수 있었다. study restructures XML documents coll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makes it available to be stored and printed. As a result, beginners could easily handle the editor. To estimate the validity of the suggested algorithm, the study utilizes the Kyungil-University Software List Management System as a case. In this paper, we could prove the sufficient interoperability of application by restructuring and reusing the collected XML document in the Internet,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 구(球)를 이용한 커피세트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李仙淑 慶一大學校(慶北産業大學校) 2001 국내석사

        RANK : 249631

        현대사회는 산업의 고도화와 소득 수준의 향상으로 문화전반에 걸쳐 많은 발전을 하여왔으며, 특히 식생활 문화의 다양성과 주거환경의 변화는 식기류의 발전에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 이런 식기의 발달은 토기에서 현대 산업도자에 이르기까지 문화적 요소, 사회적 배경, 종교적 영향 등에 의해 변화되어 왔으며 식기류의 일반적, 보편적 특징 또한 기능성과 실용적 목적과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변화는 역사이래 식기가 음식을 담는 용기로써의 기능뿐 만 아니라 한 민족의 정신과 사회적 정서를 가늠하는 척도로 그 시대의 예술성과 감수성들을 알 수 있게 한다. 현대사회에서도 소비자들의 생활의식과 경제적 상승으로 식기를 식생활 문화를 창조하는 패션제품으로 그 의미를 새롭게 부여하면서 그들의 기호, 감성, 생활습관에 적합한 상품을 선택하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으로 소비자의 소비경향이 다양화됨에 따라 그들이 요구하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다양하고 차별화 된 디자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일상용기 중 대중화되어있는 커피세트를 중심으로 산업혁명 이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커피세트 디자인의 변화과정을 유럽을 중심으로 하여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우리나라의 커피세트 발전과정을 1940년에서부터 현재까지 분석하여 커피세트 디자인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시각적 집중력이 강한 형태인 구를 이용하여 커피세트 디자인 개발을 하였다. 구는 단순하면서도 긴장과 역동감을 내포하며 일반대중에게 가장 안정적이고 편안함을 주는 형태이다. 이러한 구가 가진 조형적 장점을 활용한 디자인 개발로 기존 제품에 식상한 소비자들의 기호에 다가갈 수 있는 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시작품제작은 생산성을 고려하여 동일한 형태의 제품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석고형을 이용한 주입성형방법과 주입성형에 적합한 소지를 선택하여 대량생산업체와 동일한 공정으로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서 삶의 풍요를 추구하는데 기여 할 수 있는 커피세트의 다양한 표현가능성과 계속된 디자인의 연구, 개발로 기능성 및 심미성이 잘 조화를 이루는 산업도자의 무한한 개발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Modern society has experienced a great development over the whole culture owing to the advanced industry and increase of income level. Especially various diet cultures and changed residence environment has influenced much on the development of tablewares, which underwent big changes from earthenware to modern industrial ceramics influenced by the cultural factors, social backgrounds, or religious causes. General features of tableware, also, have developed in a variety of forms according to its functional and practical purpose and use. These changes in tablewares shows that tablewares are not only vessels for food but also a scale of the national spirit and social stream reflecting artistic temperament and sensibility of the times. Tablewares in modern society become to have a new function as fashion items creating a dinning table culture owing to the customer's improved sense of living and economic power. Therefore, products meeting the customer's taste, sensibilities, and lifestyle are selected. In this trend, diversified consumer's consuming tendency has required more varied and differentiated design for the products they demand. Thus, this paper reviewed changes in the design for a coffee set, a popularized home vessel until the current times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focused on Europe and analyzed the development of Korean coffee set design up to now from the 1940s to discover problems in terms of the design and consider improvements. Then, based on these data, designs for coffee sets utilizing the form of a globe, with a strong visual concentration, were developed. A globe is a figure, of simple but tension and dynamics implied as well and that gives people the most security and peace. With designs making the most use of this formative benefit of a globe, the author try to find a way to get close to the tastes of customers, who are fed up with the existing products. Considering the productivity, as trial manufacture was progressed in the same processes as those of mass production factories, adopting slip casting, possibly used for mass production of a form of products with proper materials. In this paper, the author would suggest the infinite possibilities of industrial ceramics with a good balance of functionality an esthetical beauty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various expressive potentials of a coffee set, which possibly contribute to the seeking of a rich life in our daily lives, and a constant development of its designs.

      • 建築物內 垂直動線의 適正 規模에 關한 硏究 : 大邱地域 高層 事務所 建築의 E.V를 中心으로

        裵相景 慶一大學校(慶北産業大學校) 1997 국내석사

        RANK : 249615

        高層事務所 建築에서 주된 垂直動線 要素는 엘리베이터이므로 建築計劃에서의 엘리베이터 계획은 매우 중요한 要素이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계획은 건축의 규모, 목적, 성질, 입지조건 등으로 부터 건축물내의 이용자 인구, 엘리베이터 交通量 등을 推定하여 해당 건물이 필요로 하는 輸送能力 및 待期期間을 만족하고 비용이 최소한이 될 수 있도록 정확한 資料를 基礎로한 신중한 계획이 요구된다. 그리고 고층사무소 건축의 Core 내에서 엘리베이터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고층건축이 될 수 있는 것은 계획에 있어서 엘리베이터가 중요한 수직동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구시내 건물높이 31m이상의 고층사무소 건물 21棟을 Model로 선정하여 이 중 6棟 건물을 대상으로, 기존의 엘리베이터 算定 방식이 Peak Time 대 5분간 수송능력을 만족 시킬수 있도록 정확한 자료를 導出하고자 하였다. As the main vertical circulation factor of high rise office building is an elevator, the plan of elevator is very important. So the plan meets the requirements to study thoroughly by acurate data to satisfy transport capacity and wating time which the building needs, and minimize the costs by calculating the number of elevator users in the building, the traffic volume of elevator by the size, objects, nature and conditions of location. And the elevator in the core of high rise-building makes an important role. For the plan of high rise building, the elevator makes an good role on vertical circulation. Therefore the thesis took 21 model buildings among the high rise building beyond 31m height in Taegu district. and made 6 building among 21 objects of the study and tried to calculate the acurate data which the existing calculating methods for elevator satisfy the transport capacity for 5 minutes at peak time. However, since the current regulations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legal minimum standard, if these inconsistencies don't make any change, the improvement in quality for vertical circulation in the building will be never made. So for the effective plan of the vertical circulation, the existing regulations will have to be improved. The plan of improvement for calculating the number and the display of elevators as follows; 1) The subdivision of the classification of uses for control: For the effective analysis of the transport volume, the classifications of controlling uses for exclusive, semi-exclusive, and exclusive rent office building have to be subdivided into small sections each. 2) The need for study on analysis of acurate data: the improvement of selection for zoning is needed to get out of just the increase of the volume of elevators and to increase the total efficiency such as the methods of operation. 3) Calculating the numbers of elevators: under the current regulations, the calculation of the numbers of elevators is made by the size of the building, so the nature and function of the occupants of the buildings is often ignored. The acurate data which is compared and selected the proper size of the display of elevator to meet the requirements of users by calculating the various kinds of the size of elevators in high rise office building in a short time will be effective for the future plan.

      • 分布交通 豫測模型의 適合性에 關한 硏究

        崔海柱 慶一大學校(慶北産業大學校) 1995 국내석사

        RANK : 249615

        本 硏究는 대구시 사람통행실태조사 자료로 부터 집계된 O-D표에서 통행의 각 죤별 分布特性을 규명하고, 分布交通 예측모형의 적합성을 검정하기 위한 目的에서 수행되었다. 分布交通의 특성은 목적별, 수단별로 交通抵抗(죤간 實距難)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또한 죤별 주요 指標特性과 분포通行量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前者에서는 목적별, 수단별 通行量이 交通抵抗에 따라 감소하는 음지수 함수식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後者는 指標特性과 분포通行量과의 관계가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회귀직선식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分布交通 豫測模型의 적합성 검정은 기본형, M.Voorhees형, B.P.R형 중력모형의 3가지에 대해 遂行하였으며, 그 결과 B.P.R형이 適合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B.P.R형이 타 模型에 비해 보다 안정적인 예측값을 導出하기 위한 制約條件을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本 硏究의 意義는 죤별 通行量의 분포패턴에 대한 함수식을 규명하고, 장래 예측시 사용되는 分布模型중 적용상 가장 적합한 模型을 重力模型의 여러 유형 중에서 사례연구를 통해 제시한 것이다. This study h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defining the zonal trip distribution charactristices by the O-D table of the person trip survey which were carried out on Tae-gu city and making inspection of fittness of traffic distribution forecasting model. Traffic distribution charactristices were analyzed to the traffic impedance(real distance) by purpose and mode, moreover to the relationships of zonal main index with trip volume distribution. In the former case, negative exponential function was suitable for the trip volume by purpose and mode which was decreased according to traffic impedance. In the latter case, regression expression which was showed that trip volume distribution was increased in the proportion to index charactristices was suitable. The distribution function expression to the total purpose and total mode by real distance and function expression to the total area and total population by total purpose were showed as follows: t_ij(purp total) = 205,350·d_ij^(-0.53933) (4-6) t_ij(modetotal) = 262,520·d_ij^(-0.54238) (4-13) t_j(purp total) = 34,926 + 7.0967·Area_j (R^2 = 71.38%) (4-23) t_j(purp total) = 44,029 + 1.2357·Pop_j (R^2 = 55.19%) (4-25) Traffic distribution forecasting model was built as 3 type - standard type, M. Voorhees type and B.P.R type gravity model. The forecasting models are as follows. The analyses of fittness showed that the fittest model was B.P.R type gravity model. t_ij(total) = 0.00052924·P_i^0.85038·A_j^0.84426·C_ij^-0.44927 (5-5) t_ij(total) = (ΣA_j·C_ij)^-0.97218·P_i^0.94188·A_j^0.83700·C_ij^-0.71510 (5-7) t_ij(total) = (ΣA_j·C_ij·K_ij)^-0.99971·P_i^0.99974·A_j^1.00000·C_ij^-0.99992·K_ij (5-10) The meanings of this study are defining function expression to the patterns of zonal trip volume distribution and proposing the fittest distribution forecasting model in the many type of gravity model by the case study.

      • 반복하중의 받는 철근콘크리트 전단 벽의 접합부 거동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희년 경일대학교(경북산업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에서는 수직하중과 정(+)·부(-) 수평 반복하중이 동시에 작용하는 철근 콘크리트 전단벽 구조물을 대상으로 실물크기의 약 1/3로 시험체를 축소 모델화하여 기둥, 보의 주근비가 일정하고, 기둥의 띠철근비를 변화시켰을 때, 완전강접전단벽과 슬리트형 전단벽, 끼움판형 전단벽으로 구분하여 실험을 실시하여 출근콘크리트 전단벽의 접합부의 균열진전 상황, 수평내력, 연성등을 유형별로 비교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단벽 경계부재인 기둥에서 띠철근비를 2∼3배 증가시킨 완전강접 바벨형 시험체는 전단응력 및 수평내력이 1.1∼1.2배, 끼움판형 시험체에서는 수평내력이 1.17∼1.27배로 증가되었고 종국파괴시 전단벽과 기둥접합부의 취성파괴가 억제되었다. (2) 슬리트형 시험체에서는 기둥의 띠철근비를 2∼3배 증가시켰을 때, 수평내력에 대해서 뚜렷한 변화는 없었으나, 종국파괴시 연성증대에 대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3) 완전강접 바벨형 시험체와 슬리트형 시험체의 수평내력은 완전강접 바벨형 시험체가 약 1,62∼1.87배로 증가되었고, 또한 끼움판형 시험체에 대해서는 약 1.15∼1.5배로 수평내력이 증대됨을 나타내었다. (4) 완전강접 바벨형 시험체의 경우는 끼움판형 시험체 보다 수평내력이 1.22∼1.41배로 크게 나타났다. (5) 끼움판형 시험체와 완전강접 바벨형 시험체의 연성비는 1.1배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슬리트형 시험체는 완전강접 바벨형 시험체보다 1.5∼2.5배로 크게 나타났다. (6) 완전강접 바벨형 시험체의 최대 수평내력은 실험치가 계산치보다 1.06∼1.24배로 크게 나타났으며, 끼움판형 시험체의 경우는 1.04∼1.34배로 크게 나타났다. (7) 끼움판형과 슬리트형 접합방식 시험체는 완전강접 바벨형 시험체보다 수평내력은 작게 나타났으나 지진하중에 대한 구조 부재들의 연성적인 거동 측면에서는 내진성능이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simple rigid connedtion frame and perfect frme and perfect figid connection. This study objecified the sheaf wall strunture of reinforced concrete which subjected to vertical and horizontal cyclic load simultaneously then all specimens were modeled 1/3 size of original that. The main reinforcement ratid of column and girder was constant, as the hoop bar ratio of cilumn was varied. This study made as experiment on that specimins, which were classiried with the sheaf wall of perfect rigid conncetion type, slit type, and infilled type. In this ezteriment, main consideration items were crack, horizontal stiffness, ductility, and etc. And, the conculusions were followed: 1) In column as border member of sheaf wall, shear stress or horizontal stress of perfect rigid babel type specimwns was increased 1.1∼1.2 times, and hoizintal stress of infilled type specimins was increased 1.17∼1.27 times, The brittle fractures between sheaf wall and column connection was restrained and increased in the ultimate loads. 2) In slit type specimen, ans the hoop bar ratio of column was increased 2∼3 times, in horizontal strength, outstanding variation was not found, but in caes of utimate destruction, effects against ductility increase were largely evaluated. 3) In horizintal strength of perfect rigid connection bable type specimen and soit type specimen, the former was increased about 1.62∼1.87 times, the latter about 1.15∼1.5 times. 4) Horizontal strength of perfect rigid connection babel type specimen was 1.22∼1.41 times as that of infilled type specimen. 5) The ductility ratio of infilled type and perfect rigid connection babel type specimen had a little difference, but in case of slit type it showed 1.5∼2.5 times as perfect rigid connection babel type. 6) In maximun horizintal strength value of perfect rigid connection babel type specimen experimental value was 1.06∼1.24 times as calculative and infilled type specimen experimental value was 1.04∼1.34 times as calculative value both of them were outstanding. 7) Horizontal strength infilled type and slit cinnection type specimen was smaller than that of perfect rigid babel type but ductile behavior of structure member against eafthquake was effective earthquake capacity.

      • 화학재 부품 제조 공정 분석

        서영수 慶一大學校(慶北産業大學校) 1995 국내석사

        RANK : 249615

        화학 원료를 가공 처리하여 기계류의 부속품을 생산할 수 있는 화학재 부품의 공장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투자재원의 산출과 건설비 규모를 가장 합리적이고 신속하게 추산할 수 있도록 그 방법을 제시하고, 화학 원료에서 제품에 이르는 공정의 분석을 통하여 투자 적정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이다. 화학재 부품 공장건설에서 건설비의 간접비 부문이 다소 높은 비율을 차지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총장치구입비의 비중이 60 %로서 건설비 구성의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인수추산법에 의한 추산 모델이 연구개발단계의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 부품공장건설에도 적용시킬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quickly to estimate the construction cost and the investment funds for a chemical parts plant at preliminary step. It was performed to correlate those factors resulting from the estimated construction cost to this model. This study shows that wquipment-delivered cost shares a major part of the construction cost --- about 60 % of the investment cost. And, the ratio of the indirect cost to the total investment cost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with other manufacturing plant. The model by the factored estimate was applicable in the range of the probable accuracy ratio for chemical parts plant at preliminary step.

      • 인서트 팁용 엔드밀 몸체의 5-축 가공용 CAM 시스템 개발

        朴泳源 慶一大學校(慶北産業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249615

        중(重) 절삭용 엔드밀(end-mill)은 조선분야의 대형 가공물이나 금형 제품의 깊은 홈 가공 등 황삭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대형 공구일수록 제품 가공 시 마모나 파손에 의한 재(再)연삭 및 파손에 의한 공구교체에 드는 비용이 크다. 그래서, 대형인 경우 인서트 팁이 부착된 엔드 밀 공구를 사용하여 일체형 엔드밀이나 드릴 등의 단점을 보완하여 절삭공구의 수명(tool-life)연장과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치수의 인서트 타입 밀링 공구를 신속하게 설계 및 제작할 수 있도록 기하학적 알고리즘을 규명하고 가공을 위한 포스트 프로세싱(post processing)방법을 규명하여 몸체전용 가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가공 프로그램은 엔드밀의 직경, 헬릭스(helix) 각도, 축방향경사각, 반경방향경사각, 인서트 팁의 배열, 몸체의 길이, 날부의 개수 등을 원하는 대로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엔드밀 몸체(body) 제작을 위한 가공공정은 헬릭스 홈 가공, 엔드밀의 인선부에 해당하는 인서트 팁이 놓일 자리 가공, 인서트 팁의 체결을 위한 구멍가공 및 탭 가공 등으로 나누어진다. 헬릭스 홈은 동일한 두 개의 곡선에 대한 룰드 곡면(ruled surface)으로 정의하였으며 각각의 곡선은 일정한 헬릭스 각을 갖도록 설계하였으며, 인서트 팁의 자리부 가공은 2면 지지형식과 3면 지지형식으로 구분하여 설계하였으며, 실제 가공실험을 거쳐 제조한 결과 기하학적 알고리즘의 정립과 가공방법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describes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and the 5-axis machining method of end mill body with insert tip. The geometry of end mill body is consisted of the flute part and the insert tip part. Thus, this study defines the flute part as ruled surface with constant helix angle and the insert tip part as rectangular plane on a general direction. The geometric algorithm and the 5-axis NC part program were calculated by our programmed software and a sampled end mill body was machined on 5-axis machining center equipped with two index tables. The machined end mill body with insert tip was very agreeable to the designed end mill body with insert tip. Thus,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may be very useful for the machining of end mill body with insert tip.

      • 철근콘크리트 프레임면내 조적벽체의 내진성능 향상에 대한 실험적 연구

        남왕교 경일대학교(경북산업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철근콘크리트 프레임면내 조직벽체의 내력증진과 내진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본실험체인 순수강접프레임 실험체 (FB-1), 단순장막벽 형식의 메움벽 실험체(IFB-1)과 프레임과 메움벽의 면내 구속력증대를 위하여, 와이어메쉬를 보강한 실험체(IFBM-1,2), 시멘트벽돌 반절크기로 기둥단면을 Cut off 한 후 조적벽을 축조한 실험체(IFBC-1), 프레임 기둥높이의 h/3 만큼 구분타설 한 후, 메움벽을 축조하고, 프레임을 후타설한 실험체(IFWB-1) 등 총 6개의 실험체를 실물크기의 1/3로 제작하였다. 실험을 통해, 프레임과 메움벽의 면내 구속상황에 따른 균열 진전상황, 최대수평내력, 연성비, 에너지 소산능력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1) 단순장막벽 형식의 메움벽 실험체와 프레임과 메움벽의 면내 구속력을 증대한 실험체의 균열형태를 비교한 결과, 단순장막벽 형식의 메움벽 실험체는 경계접합부 모르타르의 구속력 약화에 따른 분리현상에 의해, 프레임의 균열진전으로 취성파괴에 이르렀다. 프레임면과 메움벽의 면내 구속력을 증대한 실험체의 경우, 프레임과 조적벽체 경계접합부에서의 강한 구속력으로 인하여 일체와 거동을 나타내었고, 프레임의 손상을 최소화 하였다. 2) 기준실험체(FB-0)를 대상으로, 각 실험체의 최대수평내력을 비교한 결과, 단순장막벽 형식의 메움벽 실험체(IFB-1)은 1.26배, 와이어메쉬보강 실험체(IFBM-1,2)는, 1.38~1.42배, 기둥단면을 Cut off 한 후, 조적조를 축조한 메움벽 실험체(FBC-1)은 1.50배, 조적벽체를 먼저 조적하고, 프레임을 후타설한 실험체(IFWB-1)은 2.24배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3) 순수강접프레임 실험체(FB-0)를 대상으로 조적벽체의 순수내력을 비교한 결과, 단순장막벽 형식의 실험체(IFB-1)은 3.31(tf), 와이어메쉬 보강 실험체(IFBM-1,2)는 4.82~5.32(tf), 기둥단면을 Cut off 한 후, 조적조 메우벽 실험체(IFBC-1)은 6.37(tf), 조적벽체를 먼저 조적하고, 프레임을 후타설한 실험체(IFWB-1)은 15.69(tf)로 나타났다. 4) 단순장막벽 형식의 메움벽 실험체(IFB-1)을 대상으로, 각 실험체의 연성비를 비교한 결과. 메움벽의 수평줄눈부에 와이어메쉬를 보강한 실험체(IFBM-1~2)은, 연성비가 1.07~1.13배 증가하여고, 기둥 단면을 시멘트벽돌 반절크기로 Cut off 한 후, 조적조를 축조한 메움벽 실험체(IFBC-1)의 경우, 연성비가 1.06배 증가하였으며, 조적벽체를 먼저 조적하고, 프레임을 후타설한 실험체(IFWB-1)의 경우, 연성비가 1.41배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5) 전단응력이 초기전단균열시, τ_cr/f_ck = 0.056, 최대수평하중시 τ_max/f_ck = 0.076을 나타낸, 기준 실험체(FB-0)를 대상으로 전단응력을 비교한 결과, 단순장막벽 형식의 메움벽 실험체 (IFB-1)은 초기전단응력을 1.23배, 최대전단응력은 1.29배를 나타내었다. 프레임면내 구속력을 증대한, 실험체인, 실험체(IFBM-1,2)와 실험체(IFBC-1), 실험체(IFWB-1)의 경우, 조적벽과 프레임의 구속 정도에 따라서, 초기전단응력은 1.35~2.68배, 최대전단응력은 1.37~2.22배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6) 단순장막벽 형식의 메움벽 실험체(IFB-1)을 대상으로, 에너지 소산능력을 비교한 결과, 프레임면내 구속력을 증대한 실험체인, 실험체(IFBM-1,2)는 1.06~1.1배, 실험체(IFBC-1)은 1.2배, 실험체(IfWB-1)은 1.6배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In this study, FB-0, the rigid frame which was a basis specimen and IFB-1, the curtain wall masonry infilled wall, for increasing strength and improving seismic performance of the masonry infilled wall of reinforced concrete, IFBM-1,2, the wire mesh reinforced specimen, and IFBC-1, the infilled wall specimen with the section of the column cut off, IFWB-1, the specimen placing frame into the column whose height of placing concrete was 1/3 high after laying bricks for wall. for increasing inside of constraint of frame and infilled wall, were modeled into 1/3 size of the original size. Through the experiment, analysis and comparison on behavior of contact area according to constraint, situation between the frame and the inside of the masonry infilled wall, crack propagation, maximum horizontal capacity, ductility ration, and energy dissipation capacity was investigated. (1) Comparison with crack behavior of the curtain wall masonry infilled wall specimen and the specimen increased constraints of masonry infilled wall, In non-reinfored specimen, brittle, just before the crack of frame, was reached by 분리현상 which was followed by constraint weakening of boundary face. In the specimen increased constraints of masonry infilled wall., because of strong constraint at frame and boundary face of bricks for wall, it showed monolithic behavior, and minimized damage of frame (2) In the case of the basis psecimen, FB-0, comparison of the maximum horizontal strength showed that it increased 1.26 times in IFB-1, thecurtain wall masonry infilled wall specimen, 1.38~1.42 times in IFBM-1,2 the wire mesh reinforced specimen, 1.50 times in IFBC-1, the infilled wall specimen with the section of the column cut off and 2.24 times in IFWB-1, the specimen placing frame after laying bricks for wall. (3) In the case of the rigid grame, specimen FB-0, comparison of strength which has bricks for wall showed that it was 3.31tf in IFB-1, the specimen of the curtain wall masonry infilled wall, 4,82~5.32tf in IFBM-1,2, the specimen reinforced wire mesh, 6.37tf in IFBC-1, the infilled wall specimen with he section of the column cut off, and 15.69tf in IFWB-1, the specimen placing frame after laying bricks for wall. (4) In the case of the curtain wall masonry infilled wall, specimn IFB-1, comparisn of ductility ratio showed that it increased 1.07 to 1.13 times in IFBM-1~2, the specimen reinforced wire mesh at bed joint of masonry infilled wall, 1.06 times in IFWB-1, the infilled wall specimen with the section of the column cut off, and 1.41 times in IFWB-1, the specimen placing frame after laying bricks for wall. (5) In the case of the basis sspcimen FB-0 shown the shearing stress which was τ_cr/fck = 0.056 at initial shearing crack and τ_max/f_ck = 0.076 at maximum loading, comparison of shearing stress showed that initial shearing stress incressed 1.23 times and maximum shearing stress increased 1.29 times in IFB-1, the curtain wall masinry infilled wall. The initial shearing stress increased 1.35~2.68 times, and the maximum shearing stress increased 1.37~2.22 times according to ratio of restraint of masonry wall and frame in IFBM-1,2 and IFBC-1, IfWB-1, the specimen increased costraints of masonry infilled wall. (6) In the case of the the curtain wall masonry infilled wall, specimen IFB-1, comparison of energy dissipation capacity showed hat it increased 1.06 ~ 1.11 times in IFBM-1,2, the specimen increased constraints of masonry infilled wall, 1.2 times in IFBC-1 and 1.6 times in IFWB-1

      • 난류중의 교량기본단면의 내풍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재민 경일대학교(경북산업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15

        최근에 들어 토목구조물의 장대화 경향에 따라 국내에서도 유연성이 풍부한 다수의 장대교량이 계획 또는 건설되고 있다. 이러한 장대 구조물의 설계에 있어서 바람에 의한 동적 안정성 확보는 설계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다. 일반적인 내풍설계는 풍동실험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나, 실제 자연풍과는 그 특성이 다른 등류 중에서 행해지는 경우가 많아 추정된 결과가 실제 거동과는 많은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변동기류(난류)를 풍동 내에 발생시키기 위하여 격자를 사용하였으며, 격자의 크기와 배치 및 설치위치의 변화를 꾀한 난류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주류방향 난류강도(Iu)가 각각 2.5%, 5%, 7.5%, 10%, 15%, 20%인 6종류의 기류를 풍동 내에 생성하였다. 생성된 기류 중에서 공기역학적으로 기류의 흐름양상이 양상이 다른, 변장비 1:2 와 1:4의 2차원 직사각형 단면을 대상으로 난류응답을 측정하여 등류중의 응답과 비교를 통하여 기류의 변동이 동적 응답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또, 정삼각형 및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2종류의 fairing을 기본 단면에 부착하여 응답을 측정하여 fairing부착단면에 대한 난류효과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로서, 난류의 영향에 의해 직사각형 기본단면의 연직·비틀림 진동 모두 난류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와류진동의 진폭이 감소 또는 억제되었으며, 플러터의 발생풍속이 증가하거나 발생하지 않았고, 이러한 경향은 변장비 1:4단면이 1:2단면에 비해 더 두드려졌다. 본 연구에서 채택한 2종류의 faring은 모두 기본단면의 발산진동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었고, 직각삼각형fairing은 등류 및 난류중의 전 풍속영역에서 문제시 될 만한 진동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정삼각형 fairing의 경우는 와류진동의 최대 진폭 및 발생 풍속영역이 기본단면에 비하여 더 커지는 결과를 보였고, 난류중의 와류진동진폭이 등류중의 응답보다 더 증가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기류의 변동은 기본적으로 바람에 의한 동적응답을 억제하는 안정화 효과를 가져다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단면의 형상에 따라 오히려 더 증가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내풍설계에서는 가설지의 풍환경을 충분히 고려한 풍동실험을 통하여 적절한 내풍대책을 강구함이 바람직하다. The suppression of wind-induced vibrations is frequently a key issue in design of flexible structures such as long-span bridges, tall towers and buildings. In common wind registrant design, wind induced response is usually estimated through wind tunnel tests using uniform flow. However, estimated response is different than the actual behavior in natural wind. In this study, a turbulence simulation is carried out in a suction type wind tunnel using grids. Turbulent flows with various turbulence intensity are successfully produced where grid size, arrangement of grids and installing location are respectively changed. Rectangular sections with aspect ratio of 2(section A0) and 4(section B0) are selected as basic sections in response tests. Additionally, two types of fairing are considered such as right triangle (section AR, BR) and regular triangle(section AF, BF). The effects of wind velocity fluctuations and fairing are investigated on various wind-induced vibrations through the response tests in uniform flow and generated turbulent flows. As the results of wind tunnel tests, the vortex induced amplitude of basic section A0 and B0 are decreased with increment of turbulence intensity and the divergent vibration is disappeared or suppressed by the existence of turbulence that is occurred in uniform flow, in which section B0 is more strongly affected than section A0. Two types of fairings treated in the study suppress the flutter phenomenon of basic sections in various flows. However, the regular triangular fairing(AF, BF) tests to increase the maximum amplitude o vortex-induced oscillation while right triangular fairing(AR, BR) suppresses vortex induced response. As the turbulence effects for the section with regular triangular fairing(AF, BF), the vortex induced amplitude is increased by existence of wind velocity fluctuations in the cases for vertical mode of section AF and torsional mode of B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