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군 정보통신 발전방향 및 활용

        서정원 배재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703

        오늘날 세계 각 국가들은 다가올 미래의 전쟁양상의 변화에 대하여 첨단 정보통신 및 신기술에 의한 무기와 장비의 성능에 대비한 새로운 군사 패러다임을 발전시키고 있으며, 특히 국제사회에서의 미국은 걸프전과 이라크전에서 본 바와 같이 21세기형 최첨단 군 정보통신의 혁신적인 내용을 발견하고 첨단 과학기술을 사용한 무기 및 장비를 도입함으로서 정보통신 중심의 새로운 전쟁개념을 도입하여 세계 최선두에서 개척해 나가고 있다. 또한 현대전에서는 통신과 컴퓨터 기술의 통합으로 구현되는 정보통신체계 및 네트워크의 발전과 자동화된 전장관리의 지휘통제체계로 새로운 전쟁수행 방식과 최첨단 무기체계 및 군사기술을 선보여 미래전의 양상과 군사 패러다임의 새로운 변화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2000년대의 전쟁에 비추어 볼 때 미래전에서의 전쟁수행개념과 정보통신을 활용한 군의 발전방향은 다음과 같이 발전될 것으로 예측된다. 첫째, 첨단장비를 활용한 정밀한 전장감시, 위성 및 무인항공기에 의한 실시간 정보유통 및 신속한 지휘통제를 보장할 수 있는 디지털 전장관리와 센서체계, 다량의 정보를 유통하고 공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체계의 구축이 중심이 될 것이다. 둘째, 고도의 정밀 유도무기의 발전으로 대량살상이 가능한 미사일과 핵, 화생방 등을 장착한 장거리 정밀 유도무기가 획기적으로 발전하여 미사일에 의한 전쟁이 보편화 될 것이다. 셋째, 컴퓨터에 의한 전쟁으로 정보봉쇄 및 정보기반체계를 교란, 마비시키는 정보전 또는 사이버전의 양상을 보일 것이다. 넷째, 로봇기술의 발전과 소형·고성능의 무인항공기의 발전, 지상 기동수단의 무인화와 로봇 자동화 등으로 인해 전투용 로봇에 의한 전쟁개념이 획기적으로 발전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위성 및 무선전송체계를 활용한 정보전, 사이버전으로 우주공간으로 확장된 전장에서의 유비쿼터스 개념의 정보화·과학화 전쟁의 양상이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미래전에서의 군 정보통신 발전방향과 그 활용에 대해 알아보고, 육군의 디지털환경과 군사 패러다임의 변화 등에 대한 내용으로 미래전장에 필요한 기초지식과 다가올 미래전장에 대한 기본개념을 정립하고자 본 논문을 작성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 논문이 나오기까지 많은 분들이 도움을 주셨습니다. 바쁘신 업무 및 강의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에 대해 많은 자료의 제공과 조언을 아끼지 않으셨던 정보통신대학원 원장 장종환 교수님과 학과교수님, 조교님, 그리고 정보통신대대 간부 및 장병여러분께 본 지면을 들어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 유비쿼터스를 기초로 한 군 정보통신 구축에 관한 연구

        황인성 배재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703

        현재의 정보과학기술은 혁신적으로 발전되고 있으며, 전쟁수행 환경도 속도를 예측하기 힘들만큼 빠르고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최근에 전개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정보기술 혁명은 21세기 변화된 형태의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군 정보통신분야 적용이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전술적인 감지·추적 능력의 확대 및 고도화된 전술 정보의 실시간 교환·공유, 전술부대의 커뮤니티 파워 증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급변하는 IT를 미래의 전장환경에 적용하여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였고, 종속변수를 군 정보통신기술에 국한 시켜서 살펴 보았으며, 군 정보통신기술에 적용가능한 핵심기술과 미래 전장환경에 부합되는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어떤 사람이라도, 언제어디서나, 각종 단말기와 사물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접속을 하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공간 또는 환경' 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컴퓨터 환경을 구현하는 기술은 많지만 IPv6, RFID/USN, ad-hoc네트워크, 텔레매틱스의 네가지만 연구하였으며, 현 단계에서 유비쿼터스 국방(u-Defense) 시대로 가기 위해 군 정보통신에서 개발하여 적용 가능한 핵심 기술은 다음과 같다. 휴대 단말기와 이동 ad-hoc네트워크는 휴대용 기기를 가지고 다니는 사용자에게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구현시켜 주며, 텔레매틱스는 차량에서, 스마트 먼지와 구동체는 적정 감시·추적 업무에 유비쿼터스를 구현해 주는 핵심 기술을 제공한다. RFID와 USN은 모든 사물에 칩으로 이식되어 그것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유비쿼터스 군수지원과 피·아 식별 및 출입자 관리시스템을 구현시켜 준다. 첫째, 정보기술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의 5-Any 실현으로 Any time(언제든지), Any where(어디서나), Any platform(어떠한 장비라도), Any information(어떤 정보든지), Any service(어떤 서비스든지)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둘째, 네트워크 기술 발전으로 멀티미디어 정보의 전송을 보장하는 광대역화, 이동간 지휘통제를 보장하는 모바일화, 네트워크가 주변 환경에 적응할 줄 아는 유연화 등이다. 핵심적 네트워크 기술은 통합 광대역 기간망 및 이동 ad-hoc 네트워크 기술, 센서 네트워크 기술과 IPv6, RFID 등이 결합되어 유비쿼터스 개념의 네트워크로 통합, 발전하는 것이다. 셋째로 정보보호 기술은 정보시스템에 대한 네트워크 공격의 위협이 증가하고 데이터에 대한 접근 자체가 가장 중요한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정보보호 주안점이 가용성, 무결성, 기밀성의 순으로 발전해야 함을 제시하였는데 이러한 정보기술을 활용함으로서 우리 군의 전투 및 작전 능력을 보다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유비쿼터스화는 아직 초기 발전 단계이지만 서비스나 기술면으로 여러가지 각론과 제약이 있고 적용분야에도 많은 제한사항이 있으나, 현재 관련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그동안 IT산업이 급속히 성장한 점을 고려해 보면 더 많은 큰 발전이 있을 것임을 예측 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잠재력은 매우 낙관적이라고 볼 수 있다. 아직 군에서 사용하여 접목시키기에는 보완할 사항이 많이 보이지만, 국가의 적극적인 개발체계 지원과, 기업체들의 관심으로 인한 전폭적인 개발지원이 있으면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여러분야에 두루 사용하여 업무에 필요한 행정소요를 대폭 줄일 수 있고, 편의와 효율성, 그리고 능력을 극대화 시킬수 있을 것이다.

      • 유비쿼터스를 기초로 한 군 C4I 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김명철 배재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87

        정보통신 기술(IT : Information Technology)은 현재 일상생활에 깊숙이 영향을 미치고 21세기를 열어가는 가장 강력한 힘의 원천이며, 일반 사회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위력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IT혁명은 컴퓨터와 인터넷 등 IT 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보급에 의해 경제, 사회, 과학 등 여러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파급된, 혁명적인 변화이다. IT 기술과 군사기술이 접목된 정보 통신 기술의 우열이 국방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 요인이 되고 있으며, IT 기술에 의해 획득되는 신속한 정보는 군 전투력 발휘의 지원 요소가 아니라 핵심 요소가 되고 있다. 일반 사회의 정보화 진전에 따라 군에서도 정보의 비교우위를 점하기 위해 정보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교리, 전술, 기술 및 절차와 함께 정보 체계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군사 작전은 정보 체계 및 정보통신 네트워크 등의 정보 통신 기반에 많이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정보 통신 기반에 대한 해커 침투 및 바이러스 유포 등 외부 공격에 대한 취약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사이버 공간의 정보 보호를 비롯한 정보전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지휘 통제 체계는 정확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 시간과 장소에 신속히 제공함으로써 전장 상황 판단과 지휘 결심을 위한 필수 체계이며, 정보전 위주의 통합 전투개념을 구현하는 핵심 요소이다. 지휘 통제 기술은 정보화 시대를 선도하는 핵심 기술로서 IT, 통신, 컴퓨터 기술로 구성되며 지휘관이 지휘 통제 목적을 신속하고도 능률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순차적으로 정보우위, 지식우위, 그리고 지휘결심(의사결정) 우위를 달성해야 한다. 선진국 군부대는 정보 우위 확보를 위해 의욕에 찬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정보 우위는 거부 할 수 없는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 디지털화의 목적은 지휘 통제 능력의 제고를 통해 기동의 우세, 정밀교전, 효율적인 군수 지원 및 전방위방호등의 작전 개념을 지원하는 것이다. 지휘 통제 체계는 영문 용어상 C2에서 출발하여 C3, C3I, C4I, C4ISR 체계로 진화하여 왔으며, 최근에는 C4ISTAR(C4I Surveillance, Target, Acquisition, and Reconnaissance)이라는 용어도 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C4ISR체계는 단순 자동화 체계로부터 정밀 유도무기와 더불어 표적 자료를 획득하는 즉시(또는 근실시간) 표적을 제압할 수 있는 지능화 체계로 진화되고 있다. 현재의 정보과학기술은 혁신적으로 발전되고 있으며, 전쟁수행 환경도 속도를 예측하기 힘들만큼 빠르고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최근에 전개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정보기술 혁명은 21세기 변화된 형태의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군 정보통신분야 적용이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전술적인 감지?추적 능력의 확대 및 고도화된 전술 정보의 실시간 교환?공유, 전술부대의 커뮤니티 파워 증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급변하는 IT를 미래의 전장환경에 적용하여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였고, 종속변수를 군 정보통신기술에 국한 시켜서 살펴 보았으며, 군 정보통신기술에 적용가능한 핵심기술과 미래 전장환경에 부합되는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어떤 사람이라도, 언제어디서나, 각종 단말기와 사물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접속을 하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공간 또는 환경’ 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컴퓨터 환경을 구현하는 기술은 많지만 IPv6, RFID/USN, ad-hoc네트워크, 텔레매틱스등을 연구하였다. 유비쿼터스화는 아직 초기 발전 단계이지만 서비스나 기술면으로 여러가지 각론과 제약이 있고 적용분야에도 많은 제한사항이 있으나, 현재 관련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그동안 IT산업이 급속히 성장한 점을 고려해 보면 더 많은 큰 발전이 있을 것임을 예측 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잠재력은 매우 낙관적이라고 볼 수 있다. 아직 군에서 사용하여 접목시키기에는 보완할 사항이 많이 보이지만, 국가의 적극적인 개발체계 지원과, 기업체들의 관심으로 인한 전폭적인 개발지원이 있으면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C4I 체계에 두루 사용하여 전투에 필요한 행정소요를 대폭 줄일 수 있고, 편의와 효율성, 그리고 능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유비쿼터스 컴퓨팅 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박영훈 배재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87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는 지금, 전 세계는 초고속 통신망을 기반으로 컴퓨터, 통신, 가전, 방송 등이 하나의 디지털 미디어로 통합되었다. 가까운 미래에 사람이든 사물이든 상관없이 네트워크 기능을 장착시켜 서로 연결시키는 'embedded networking' 이 무선 네트워크에서 새로운 선두 기술로 발전 할 것이 예상되고, 이에 따른 새로운 환경이 제공될 것이다. 이런 기술의 발전은 유비쿼터스 사회라는 독특하고 새로운 사회적 패러다임으로 변화를 가속화시키고 있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메인프레임, PC에 이은 제3의 정보혁명이 물결로 이어지고 있다. IT 환경 측면에서도 컴퓨터의 보급 및 인터넷의 확산으로 개인은 다양하고 깊이 있는 정보를 손쉽게 접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되었고, 기업은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고객 및 협력업체 등과 신속하고 효율적인 거래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정보기술의 발전과 이를 활용한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는 개인과 기업 모두에게 편의성과 신속성, 가용성과 효율성 등 다양한 이익을 제공한다. 그러나 정보보호의 측면에서 개인정보의 노출 및 중요 시스템의 해킹, 유행 정보 및 바이러스의 유포, 서비스 거부 공격 등 간과할 수 없는 역기능을 함께 내포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개인과 기업 모두 다양한 혜택을 누림과 동시에 정보 보안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정보 보호의 방안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더불어 국가는 디지털 시대에 부합하는 전자 정부의 구현을 위해 그 무엇보다도 국가안보와 직결되는 정보통신 기반시설의 보안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실정이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 내 정보 보호의 체계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상호관련성이 있는 관련 기술과 지식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현재의 기술들을 체계적인 틀을 세워 정리하는 작업은 현 기술에 대한 깊은 이해를 위해서 뿐만 아니라, 향후 개별 기술들의 발전 가능성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대비책을 세우기 위해서도 보완 분야 업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신뢰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활성화하기 위한 주요 기술에 관하여 자세히 파악하고 기술의 발전전망에 관하여 알아보고 정보 보호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관련기술, 정보보호, 보안, 법제정비를 대해서 언급할 것이다.

      • 네트워크 중심전을 위한 군 정보통신 방향에 관한 연구

        장재호 배재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87

        네트워크 중심전(NCW)은 미 국방부 차원에서 의욕적으로 구현하고 있는 미래지향적 전쟁수행방식으로 컴퓨터의 자료처리 능력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전장을 가시화시키고 정보의 공유를 보장함으로써 제 전장기능간 통합전투력 운용능력을 극대화하여 군사력의 효율성을 향상한다는 개념이다. 90년대 후반부터 미국에서 발전시키고 있고, 현재의 정보과학기술은 혁신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점점 전쟁수행 환경도 속도를 예측하기 힘들만큼 빠르고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기술의 발달로 최근에 전개되고 있는 유비쿼터스는 새로운 정보기술 혁명은 21세기 변화된 형태의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군 정보통신분야 적용이 필수적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전술적인 감지·추적 능력의 확대 및 고도화된 전술 정보의 실시간 교환·공유, 전술부대의 커뮤니티 파워 증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눈부신 IT기술이 이끌어낸 NCW의 개념과 기존의 무선이동구간을 대처하면서 보다 시각적이고 공간적인 보이는 전쟁을 구현하기 위한 군 정보통신기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빠르게 발전하는 상용 무선이동통신 기술들을 군에 적용가능한 핵심기술과 미래전장 환경에 발전하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어떤 사람이라도, 언제어디서나, 각종 단말기와 사물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접속을 하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공간 또는 환경’ 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컴퓨터 환경을 구현하는 기술은 많지만 IPv6, RFID/USN, ad-hoc네트워크, 텔레매틱스의 네가지만 연구하였으며, 현 단계에서 유비쿼터스 국방(u-Defense) 시대로 가기 위해 군 정보통신에서 개발하여 적용 가능한 핵심 기술은 다음과 같다. 휴대 단말기와 이동 ad-hoc네트워크는 휴대용 기기를 가지고 다니는 사용자에게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구현시켜 주며, 텔레매틱스는 차량에서, 스마트 먼지와 구동체는 적정 감시·추적 업무에 유비쿼터스를 구현해 주는 핵심 기술을 제공한다. RFID와 USN은 모든 사물에 칩으로 이식되어 그것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유비쿼터스 군수지원과 피·아 식별 및 출입자 관리시스템을 구현시켜 준다. 첫째, 정보기술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의 5-Any 실현으로 Any time(언제든지), Any where(어디서나), Any platform(어떠한 장비라도), Any information(어떤 정보든지), Any service(어떤 서비스든지)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둘째, 네트워크 기술 발전으로 멀티미디어 정보의 전송을 보장하는 광대역화, 이동간 지휘통제를 보장하는 모바일화, 네트워크가 주변 환경에 적응할 줄 아는 유연화 등이다. 핵심적 네트워크 기술은 통합 광대역 기간망 및 이동 ad-hoc 네트워크 기술, 센서 네트워크 기술과 IPv6, RFID 등이 결합되어 유비쿼터스 개념의 네트워크로 통합, 발전하는 것이다. 셋째로 정보보호 기술은 정보시스템에 대한 네트워크 공격의 위협이 증가하고 데이터에 대한 접근 자체가 가장 중요한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정보보호 주안점이 가용성, 무결성, 기밀성의 순으로 발전해야 함을 제시하였는데 이러한 정보기술을 활용함으로서 우리 군의 전투 및 작전 능력을 보다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유비쿼터스는 현재 관련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잠재력이 있는 분야이며, 군에서 적용할시 가격과 정보보호측면이 보완된다면 편의와 효율성, 그리고 능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NCW which can be seen as a watershed of war performance concept, was introduced to U.S. navy during the late 90's and now became the foremost important concept in war performance concept for Current DOD. Warfare can be tangbly by appreciating data process ability of computer and telecommunication by network. By guaranteeing data share it maximizes field combat operational ability during warfare. These are the concept to improve the military effciency, Therefore, this concept can be explained as a comparative warfare supremacy over the enemy in an observation, a decision, and a attack. This concept has been cited in Gulf and Iraq wars, and other countries are now applying it to be fitted in their circumstances. The concept of NCW is yet indefinite, and it depends too beavy 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However, it is necessary to discuss and comprehend the basic concept, process, advantage, and limit of NCW to define the concept that fits into ROKA environment. By establishing the certain direction of ROKA's own concept of NCW and reinforcing military strength that corresponds to this direction, awareness of military personnel has to change to fit to joint operation and decentralized operation environment.

      • Curl중심의 X-internet Web응용에 관한 연구

        박성국 배재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87

        1982년 5월 15일에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의 중형 컴퓨터와 구미의 전자기술연구소(現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중형컴퓨터가 1,200bps 전용선으로 연결되어 SDN이 개통되었으며, 1983년 1월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중형 컴퓨터가 SDN에 연결됨으로써 한국 인터넷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렇게 시작된 인터넷은 2003년까지 7,500억 원의 공공재원과 20조5천억 원의 민간투자를 통해 전국의 모든 통화권 지역에 고속 대용량의 기간전송망을 구축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성과로 전국 3만여 공공기관과 전국 1만여 초·중·고교, 전국 1,118만여 가구에 초고속 정보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통신 인프라를 구축하게 되었다. 2005년 현재 인터넷 이용자 수 3,158만 명에 인터넷 호스트만도 543만개에 달하며 OECD, ITU 및 주요 해외언론 등으로부터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의 성공사례로 평가됨으로서 IT 강국으로서의 국가위상을 한층 더 높이게 되었다. 지금의 인터넷은 다양한 형태의 정보검색뿐만 아니라 각종 전자상거래와 P2P서비스까지 응용할 수 있도록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으며, 인터넷 방송은 사교육 문제까지 해결할 기세로 오프라인 학원의 역할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의 초고속정보통신망과 데이터 활용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응용에는 한계에 도달할 것이다. 다양한 멀티미디어의 실시간 전송 능력을 지원하기에는 제한이 있으며, 새로운 융합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품질보장, 보안기능, 새로운 인터넷 주소자원(IPv6)의 할당 등 고도의 정보통신망을 수용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또한, 초고속정보통신망을 이용하는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웹기반으로 개발하거나 기존 C/S기반의 응용들이 웹기반으로 전환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HTML이나 DHTML, ASP, PHP, Java 등의 웹 프로그래밍 언어들이 C/S용 언어만큼 사용자나 개발자의 요구사항을 충족시켜 줄 수 없다는 한계를 갖게 된다. 즉, 전 세계에 보급된 인터넷을 기반으로 정보전달 및 공유체계로서의 웹은 관련 기술이 빠르게 성장하였지만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정보공유를 할 수 있다는 웹의 장점은 그 기반이 되는 HTML이 인터페이스와 속도 면에서 한계에 부딪혀 퇴색하게 된 것이다. X-Internet은 C/S환경에 버금가는 풍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면서 적은 네트워크 대역폭을 사용해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한 기술로 실행 가능한(eXcutable), 확장 가능한(eXtended) 인터넷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갖는 X-Internet을 구현하는 몇 가지 방법 중에서 Curl이라는 언어를 통해 현재의 웹이 갖고 있는 한계치를 넘어설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첫째, 브라우저 또는 플레이어라고 부르는 전용 브라우저(플레이어)가 제공된다. 이것은 특화되거나 고속의 user-interface를 처리하기 위해 제공된다. 둘째, 대부분 user-interface를 XML로 기술하고, 자체 마크업 언어 또는 스크립트 언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코키네틱의 I3ML과 내장 자바스크립트 엔진, 플래시의 액션스크립트(ActionScript)같은 기술들이 있다. 셋째, 비주얼 베이직 환경과 비슷한 형태의 비주얼한 개발 도구를 제공한다. 코드를 작성하고 테스트하는 환경을 제공하며, 주로 화면을 디자인하는 기능을 많이 제공한다. 넷째, 윈도우, 리눅스, 유닉스, 무선기기에서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On May 15, 1982, Seoul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 Engineering's medium size computer and medium size computer of KETI(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in Gumi City are connected by 1,200 bps exclusive line and SDN was opened up, and Korea's Internet history began by KAIST's medium size computer is connected to SDN using TCP/IP protocol January, 1983. Like this, the begun Internet constructed Information-Communication infra that constructed Mainstay transmission net of high speed and high capacity by 2003 to all national conversation by telephone areas through 750 billion wons of private investment and 20,500 billion wons of public fund can provide super high speed info-communications service in the whole country 30 thousand public institutions and whole country 10 thousand schools and whole country 11,180,000 households by these result. Internet user number is 31,580,000 people by 2005 and Internet host reached for 5,430,000. Herewith, OECD, ITU and by is evaluated from the main foreign countries press to success example of super-highway information network construction country status as IT power still more raise. The present Internet accomplished great development so that can apply various electronic commerces as well as information retrieval of various forms and P2P service, and internet broadcast is real condition that is encroaching role of off-line academy in force to solve private education problem. But, will reach limit to current super-highway information network and application for data practical use. There is limitation to support real time transmission ability of various multimedia, and there is lacking to accommodate necessary quality guarantee, security function, highly Information network system with assignment of new Internet address resource(IPv6) in offer of new fusion service. Also, develop new applications that use super-highway information network by web base or at this point of time that applications of existing C/S base are converted by web base, web programming languages(HTML, DHTML, ASP, PHP, Java etc) has limit that can not satisfy requirement of user of developer with C/S languages. That is, web as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public ownership system grew a connection technology fast based on the Internet that is diffused in all the world, but advantage of web that can do information sharing transcending time and space is thing which is discolored because hypertext markup language that become the base is bumped in interface and limit of the speed. X-Internet is used to meaning that web application development is eXcutable or eXtended Internet by a possible technology using less network band width and offer rich user interface that is in the second place in C/S environment. This paper wishes to show that current web can stand passing over having threshold number through language of Curl, among some methods that embody X-Internet which have following functions. First, exclusive use browser (player) that call that it is browser or player is supplied. This is preceded or is offered to handle user-interface of high speed. Second, most describe user-interface by XML, and offers itself markup language or script language. For example, have technologies such as Cokinetic's I3ML and internal organs Java Script engine, Flash's ActionScript. Third, supply development tools that do visual of form similar Visual Basic environment. Offer a lot of environment and functions that design display, make and test codes. Fourth, offer identical interface in windows, LINUX, UNIX, radio devices.

      • 사이버테러 및 대응방안연구

        김수곤 배재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71

        해킹은 사실, 지금과는 다른 의미에서 시작했으나 크래킹을 포함하는 부정적 의미로 사용 되고 있다. 그리고 이것들은 크게, 사이버 테러에 포함된다. 사이버 테러는 범국가적인 '폭력'으로 자행되고 있다. 물론 우리 실생활에 밀접함은 말 할 것도 없다. 개인의 이메일부터 스팸 메일, 인터넷 뱅킹 해킹까지 다양하다. 사이버 공간의 비대면성, 익명성은 자신이 노출 되지 않는다는 생각에 비도덕적 행동을 부추기며 잘못된 호기심과 성취감을 일으킨다. 이것은 기술의 속도에 발맞추지 못한 예절의 속도가 바탕으로 깔려 있다. 급성장의 한국사회가 이런 후유증에 빠질 리 없다. 여기에는 여러 윤리적 쟁점들이 따르는데 한마디로 얘기하자면 표현의 자유와 인권 침해의 대응이다. 이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킹의 방지, 사생활 보호 등의 법적 제재가 있으나 그보다 더 기본적인, 이 기술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윤리 의식을 함양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정보사회가 인간의 존엄성이 고양되는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그 상회의 구성원들이 필요한 덕성을 구비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 전자문서 결재시스템 내 비밀문서 정보유통 보안설계방안

        최일호 배재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71

        각 정부/ 공공기관 및 기업들에서는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문서정보 및 금융정보의 유통이 활발해짐에 따라 전송문서의 정보보안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군에서도 정보지식 중심의 정예강군을 육성하기 위해 문서전송 및 종합정보 제공이 가능한 포탈 체계 구성을 목표로 국방전자결재체계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그 결과로 국방부 및 군 간의 전송 뿐만 아니라, 정부기관까지 전자문서 전송이 가능하도록 전자문서 전송범위를 확대하였고, 웹 방식의 메뉴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국방정보통신망 내 어느 곳에서든 자신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문서체계는 일반 전자문서에 국한되는 것으로 비밀문서에 대해서는 기존 수기식 체계를 그대로 준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방관련 조직에서 전송·보관 관리되는 정보의 일부가 비밀사항이라는 것을 고려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으며, 비밀문서 전송시스템 설계를 통하여 비밀문서에 대한 사무자동화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존재한다. 즉, 정보통신망에서 비밀자료의 기안, 결재, 저장, 송·수신 등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국방전자결재 시스템 내에 비밀소통에 요구되는 보안 요구사항의 정의가 필요하나 현재 국방전자결재 시스템은 일반문서 위주로 처리되고 있으므로 비밀문서의 기안, 결재, 전송 및 관리의 전자적 처리에 따른 보안 요구사항이 정립되어 있지 못하다. 따라서 국방정보통신망에서 비밀문서 처리를 위한 보안 요구사항을 제시하고, 비밀문서 전송을 위한 처리절차 및 정보 보안대책을 개선함으로서 비밀문서의 전자적 처리를 통한 문서행정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방 전자결재시스템 내에서 비밀문서를 취급할 수 있도록 비밀문서 처리를 위한 보안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제시하였으며, 비밀문서 전송을 위해 비밀자료의 기안단계에서부터 파기단계까지 모든 과정에서 비밀문서 처리 절차를 제시하고 비밀문서 처리를 위한 정보보호 기술에 대해서 서술함으로서 향후 비밀문서 전송시스템 구축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전체적인 구성은 먼저 서론에서는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연구 내용 및 범위를 기술하였고, 본론의 제 2장에서는 문서전송에 이용되는 그룹웨어, 전자결재시스템, 전자서명 인증제도 등을 조사하였으며, 이와 연계하여 기술적 정보보호방법을 조사하였다. 제 3장에서는 국방전자결재 시스템을 분석하고 전자문서 전송 흐름을 일반문서와 비밀문서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전자문서 관리시스템을 크게 전자결재, 전자문서관리, 전자우편, 사용자 운영·관리 기능으로 나누어 비밀문서를 전자화하여 전송하기 위한 각 과정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기능별로 제시하였다. 제 4장에서는 비밀문서 전송을 위한 설계방안으로써 기존의 수기식 처리과정을 개선, 전자식 처리과정에서의 안전성 확보를 목표로 비밀문서 처리절차를 제시하고 정보보호 기술을 조사하여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국방 전자결재시스템에서 비밀문서를 전자화하기 위해 제시한 개선방안에 대한 기대효과를 기술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안은 국방 비밀문서 전송시스템 구축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문서처리의 전자화에 따른 보안위협요소를 사전에 검증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기술 軍 적용 방안

        김판수 배재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71

        센서 네트워크 근간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세계는 우리 곁에 상당부분 다가와 있다. 모바일, 임베디드, 무선 이동통신, RFID 등을 통한 서비스와 센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인프라 시스템들이 속속 선보이고 있는 것이 그 사실을 증명해 주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아직 상용화 서비스는 우리의 기대만큼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국방부와 정보통신부는 최첨단 IT 신기술을 모든 군사 분야에 접목해 디지털 군대를 만드는 전략을 담은 U-Defense 체계를 갖춘 유비쿼터스 부대로 만들고 국방개혁 2020계획이 완료되는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한 지능형 휴대 인터넷(Wibro)을 적용한 차세대 전술이동통신망, 지능형 견마형 로봇, 무인경계시스템, 홈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한 원격의료시스템 구축 등 6개 분야 24개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U-Defense 계획의 기본이 되는 유비쿼터스는 모든 사물을 지능화, 네트워크화해 사람과 사람, 사물과 사람 간에 언제 어디서나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IT 신기술을 말한다. 군에서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하면 전장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적의 침입을 조기에 식별, 실시간 타격체계를 구비하여(C4I체계) 군 전투력을 획기적으로 제고할 수 있다. USN/RFID 기반의 전장관리, 훈련, 경계, 인원 및 장비 실시간 관리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지휘관의 지휘 능력을 극대화하고, 불필요한 인력개입을 최소화 하여 전쟁을 한층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 기술을 기반으로 U-Defense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USN을 구성하는 기반 체계와 USN 미들웨어 및 응용기술이 필요하다. USN 기반 체계는 USN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하드웨어(센서, 센서노드, 싱크노드, 게이트웨이, RFID 태그, RFID 리더), 소프트웨어(운영체제,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술, 보안 및 정보보호 기술)로 이루어진다. 이들을 적절히 구성하여 특정 응용분야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센서 네트워크는 기존의 군 전술통신망 및 C4I체계 구축에서 배제할 수 없는 기술이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현재 활발한 연구와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USN 미들웨어는 서로 다른 목표에 따라 무수한 이기종의 장치가 공존하는 환경에서 데이터의 수집, 가공, 처리, 통신을 지원하고, 응용서비스에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요청받아 환경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U-Defense 구축을 위한 유력한 응용서비스에 군수 물자관리, 원격진료, 화생방 감시, 경계선 감시, 종심지역정찰, 전술부대 네트워크 구성 등이 있다. 이들 분야는 현재에도 시스템의 지원을 받거나 혹은 수작업에 의한 서비스 체계가 있으나 USN 환경에서 더욱 혁신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무선 센서 네트워크(WSN) 시스템, RFID, 무선 LAN 등 실제 서비스 되고 있는 선진 상용화 사례들을 살펴보고, 또한 최근 개발되고 있는 기술에 대한 정보보호 필요성 및 문제점, 이를 확산하는데 저해하는 요인을 분석한다. 또한 정부의 추진정책에 대하여 살펴보고, USN/RFID기술을 군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 등을 연구한다.

      • 네트워크 중심전(NCW) 환경의 한국군 수용전략

        서영찬 배재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71

        전쟁수행개념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라 할 수 있는 ‘네트워크 중심전(NCW)’은 90년대 후반부터 미해군에서 도입되어 현재 미국방부 차원에서 의욕적으로 구현하고 있는 미래지향적 전쟁수행방식으로서, 컴퓨터의 자료 처리 능력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전장을 가시화시키고 정보의 공유를 보장함으로써 제 전장기능간 통합전투력 운용능력을 극대화하여 군사력의 효율성을 향상한다는 개념이다. 결국, 적보다 먼저 보고, 먼저 결심하고, 먼저 타격하기 위한 상대적 전투력 우위를 네트워크 기반하에서 달성한다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걸프전쟁과 이라크전쟁에서 일부 적용된 바 있고, 세계 대부분의 국가들은 각자의 여건에 부합되는 형태로 추진해 나가고 있다. 아직 ‘네트워크 중심전‘ 그 개념이 불명확한 점이 있고, 정보와 기술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등의 제한사항이 있다. 그러나 한국군의 입장에서는 정보화시대의 전쟁양상에 적극적으로 적응한다는 차원에서, 네트워크 중심전의 기본개념과 추진실태, 장점과 제한사항을 광범하게 이해하고 토의를 활성화함으로써 한국군 실상에 맞는 개념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한국군 독자적인 구현방향을 정립하고, 네트워크 중심전에 부합되는 방향으로 전력을 증강해 나감으로써 합동작전과 분권화 작전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의식을 전환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