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默照禪與看話禪比較硏究

        정진희 國立臺灣師範大學 2002 해외박사

        RANK : 250639

        中國禪宗의各派는 自派가 達磨系 正法繼承者라 주장함은 물론, 自派의 傳法相承系譜와 禪思想을 만들어 서로 對立한다. 中國禪宗은 唐代의 전성기를 거쳐, 宋代에 이르러서는 묵조선과 간화선 두禪法이 대립현상을 나타낸다. 묵조선은 本證自覺의 입장에서, 좌선이 곧 本來具足한 佛性을 顯現하는것이라 주장하고; 간화선은 自性淸淨佛性은 본래 구족되어 있다는 입장에서, 현재의 迷惑을 간화선수행으로 본래 구족한 불성을 證悟한다고 주장한다. 묵조선은 사람사람마다 本證自覺이기에 좌선이 바로 本具佛性을 顯現이기 때문에 다시 悟를 강조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고; 간화선은 本來 如來淸淨心은 구족하고 있으나, 目前의 우리는 중생이기에, 반드시 간화선수행으로 화두를 타파해 見性成佛해야 하며, 반드시 以悟爲則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묵조선은 좌선이 곧 本來一段事를 완성하는것이라 주장한다. 즉 定과慧는 동시에 顯現하며, 定과慧는 相卽相入의 관계라는것을 주장한다. 간화선은 先慧而後定을 주장한다. 묵조선과 간화선이 걷는 方便은 비록 다르다고 할수있으나, 그러나 두선수행법 모두 본래 구족한 佛性과 如來藏을 깨닫는것을 지향하고 있다. 이는 서로 주장하는 수행방편이 다를뿐이지, 두 선수행방법이 가지고 있는 본연의 문제는 없다고 봐야 할것이다. 〈목록〉 제1장:서론 제1절: 연구개사 제2절: 연구의 문제점,범위와 방법 제2장:송대선종의 특색 제3장:묵조선探源 제1절:묵조의 의의 제2절:묵조선의 사상연원 제3절:진헐청료와 묵조선 제4장:굉지정각과 묵조선 제1절:굉지정각의 生平과 著作 제2절:묵조선의 要旨 제3절:묵조선의 수행방법 제4절:굉지정각의 제자 제5장:간화선釋義 제1절:간화선의 어원과 정의 제2절:간화선의 성립 제3절:간화선과공안 제6장:대혜종고와 간화선 제1절:대혜종고의 生平과 著作 제2절:대혜종고의 간화선 제3절:간화선사상의 要旨 제4절:간화선의 수행방법 제5절:대혜종고의 제자 제7장:묵조선과 간화선의 비교 제1절:선학사상의 비교 제2절:수행방법의 비교 제3절:사대부관계의 비교 제4절:묵조선과 간화선의 異同 제5절:묵조선과 간화선의 開展 제8장:결론

      • 論艾約瑟(J. Edkins)的上海方音硏究

        박윤하 國立臺灣師範大學 1996 해외박사

        RANK : 250639

        죠셉 에드킨스(Joseph Edkins)(1823-1905)는 영국 기독교 선교조직인 런던 회(London Missionary Society)의 선교사로서, 아편전쟁(1840-1842)이후 상해가 개방되자, 중국선교를 위해 1848년 상해에 왔다. 그는 언어에 천부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어, 영어, 불어, 독어 등 근 스무 종의 언어를 터득하였다. 그리고, 상해에 온 후 5년만인 1853년에 최초의 상해말 전문서적 ≪상해어법≫ (A Grammar of Colloquial Chinese as exhibited in the Shanghai Dialect)을출판하였고, 1869년 ≪상해어사전≫ (A Vocabulary of Shanghai Dialect)을 출판하여 상해어 연구의 선구가 되었다. 죠셉 에드킨스는 1976년 중국인민대학교수 胡明揚교수가 <上海話一百年來的若干變化> 라는 논문에서 소개하면서 중문학계에 알려지게 되었는데, 현재에 는 상해방언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위치에 있다. 필자는 죠셉 에드킨스의 두 권의 상해어 책을 총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격동하는 19세기 상해의 음운변화 현상을 재구하고, 이를 현대 상해어와 그리고중국 중고음과 비교 연구해 보았다. 죠셉 에드킨스의 자료는 시대가 가장 빠 르다는 데에 가치가 있기도 하지만, 정확하고 섬세한 언어묘사는 상해방언연 구에 있어 뿐만 아니라, 관화(mandarin)와 기타 지역방언에 중요한 참고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죠셉 에드킨스의 자료를 통해, 19세기 상해방언의 면모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알 수 있었다. 첫째, 19세기 상해에서는 ki, ky는 tci, tcy로 구개화 되었다. 둘째, 중고의 匣母의 일부가 輔音성분을 탈락하여 零聲母로 되고, 일부는 여전히 喉擦音으로 읽혔다. 셋째, 일부분의 dz음이 z로 약화되어 가고 있다. 넷째, an의 비음화가 시작되었다. 다섯째, in, un운이 ing, ung과 합류하기 시작되었다. 여섯째, ang과 αng운의 구별이 비교적 엄격하게 지켜졌다. 일곱째, 19세기에 상해의 두 음절 이상의 단어는 악센트가 맨 뒷음절에 오 는 것이 원칙이었다. 이는 리듬감을 높이기 위함이었다. 여덟째, 19세기 상해말의 여덟 성조는 현재 다섯개로 합류되는데, 이는 陽 平, 陽上이 陽去와 합해지고, 陰上이 陰去와 합류되기 때문이다.

      • 文公家禮及其對韓國禮學之影響

        노인숙 國立臺灣師範大學 1983 해외박사

        RANK : 250639

        本 論文은 [文公家禮에 관한 자료의 연구] [文公家禮의 東傳과 그 전개][文公家禮 가 한국 禮學에 미친 영향]의 前. 中. 後 三篇으로 나뉘어 있으며 前篇에서는 文公家 禮가 朱子學에서 점하는 중요한 위치, 文公家禮의 저작에 관한 문제, 文公家禮의 연원 과 특색등을 논하고 中篇에서는 文公家禮가 韓國에 전래되는 과정, 朝鮮朝初期 儒學과 文公家禮와의 관계, 性理學의 발달과 더불어 성숙되는 禮學에의 인식을 논하고 後篇 에서는 朝鮮朝 禮學派의 형성과 禮學成立의 諸원인을 살펴보고 代表的인 禮學者로 金 長生, 李##, 李瀷을 들어 그들의 禮學의 成就를 고찰함으로써 韓國禮學의 면모와 특 색을 연구하였다.

      • 盛唐山水田園詩硏究

        김승심 國立臺灣師範大學 1990 해외박사

        RANK : 250639

        중국 시가중에서 성당시대의 시가는 중국시문학사 에서 황금시기를 이룬 당대의 꽃 이었다. 중국시가에서 자연을 표시한 시를 자연시 혹은 풍경시, 산수시, 전원시등 여 러가지 용어로 부르고 있지만, 본 논문은 성당시대의 자연을 읊은 많은 시가중에서 산 수시와 전원시의 한계를 다시 설정하고, 그 정의를 다시 내려 보았다. 그 방법으로 I. 중국 산수 전원시의 변천과정을 선진시대부터 위진남북조시대, 성당시대, 성당이후 시 대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II. 성당 산수 전원시가 번창했던 배경은 사회적인 요소, 사 상적인 요소, 산수화의 영향, 장원제도의 흥기, 은일 풍기의 성행 등으로 살펴 보았고 . III. 성당 시인들의 작품 중 산수. 전원시를 모두 뽑아서 제재, 주제, 형식, 표현방 법 등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The global nuclear nonproliferation regime (the NPT regime), based on the NPT, the IAEA, the UN, and the NSG, tends to rely on the supply-side strategic options such as export controls, diversion controls, and punitive sanctions. However, in spite of its remarkable achievements, the NPT regime reveals its limitations in halting nuclear proliferation. In this situation, the demand-side strategy, based on the strategic bargaining for reducing the aspirations of a proliferator for nuclear weapons, emerges as an alternative to nuclear nonproliferation, The North Korean case of nuclear proliferation (from mid 199 1 to December 1995) is an exemplary one which showed the potential of the demand-side strategy. As the NPT regime failed to fully dissuade North Korea from going nuclear, the U.S. and South Korea stroke several bargaining deals with North Korea in order to denuclearize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 tried to protect or promote its national interests by using its nuclear proliferation option as bargaining leverage. Meanwhile, the U.S. and South Korea adopted diverse strategic options which could affect the incentives and disincentives of North Korea for nuclear weapons. North Korea, South Korea, and the U.S. as bargaining parties faced a variety of uncertainties which they had to cope with in order to enhance the procedural or substantive rationality of their strategic choices. In the strategic bargaining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dispute, the patterns of uncertainty management (uncertainty ignoring, uncertainty reduction, uncertainty accommodation, and uncertainty overlooking) influenced the strategic choices of North Korea, South Korea, and the U. S.(conceding strategy, demanding strategy, and compromising strategy). Moreover, the patterns of uncertainty management also affected the bargaining outputs (conflict, cooperation, and capitulation) by influencing the combination of strategic choices of bargaining parties. Uncertainty as a critical variabl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ynamicity of the strategic nuclear bargaining.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ree dimensions. In theoretical term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developing the managerial approach to uncertainty which is newly emerging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the analytic approach to uncertainty. In practical terms, this research helps the understanding of the nuclear incentives, bargaining strategies, and bargaining tactics of North Korea as a nuclear proliferator. In policy terms, this research shows the weaknesses of the supply-side options of the NPT regime, especially the IAEA nuclear inspections and the UN sanctions. Meanwhile, this research reveals the limitations and potential of the demand-side strategic options which can be selected within or beyond the NPT regime. Index Words: Analytic approach, Conflict, Cooperation, Diversion controls, Export controls, IAEA, Managerial approach, NPT, NPT regime, North Korea, Nuclear Incentives, Nuclear nonproliferation, Nuclear proliferation, Punitive sanctions, Strategic choice, Supply-side strategy, UN, UN Sanctions, Uncertainty, Uncertainty management,

      • 淸末民初宋詞學析論

        김선찬 國立臺灣師範大學 1998 해외박사

        RANK : 250639

        淸末民初 宋詞學은 宋詞學 역사발전중의 일환으로서 그 중요성은 총체성과 전인의 성과를 이어받아 현대까지 계속 발전시킨점이다. 전자로 말할 것 같으면 淸末民初는 宋詞를 총체적으로 연구한 시기로서 이 당시의 詞學家들은 宋詞의 評論·編選·校勘등의 중요한 과제에 대해 전반적인 연구를 시도하였다. 후자에 대해 말하자면 淸末民初詞學家들은 淸初·淸中期宋詞學의 성과와 폐단을 파악하여 宋詞연구에 반성과 검토를 진행하여 前人宋詞硏究의 정수를 받아들일뿐만 아니라 現代 宋詞學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본 논문은 宋詞總論·宋代詞家評價·宋詞選에 착안하여 淸末民初 詞學家의 比評과 創作에 대한 성찰을 이해해봄으로써 淸末民初 宋詞學의 연변과 발전과정을 드러내고자 한다. 본 논문의 내용은 전부 八章으로 나뉘어진다 : 제1장 "서론'에서는 첫머리에 요지를 밝히기 위해 연구동기와 기존연구현황 및 연구범위와 차례에 대해 각각 설명하였고, 제2장에서는 먼저 宋代宋詞學의 開拓과 元·明宋詞學의 특색에 대해 鳥瞰式의 논술을 하고, 이어 淸初·淸中期宋詞學의 발전을 토론하여 淸末民初 宋詞學의 개척과 발전에 대해 이해를 도왔다. 제3장에서는 淸末民初 詞學家의 詞體에 대한 인식·전통告據學의 영향·서방철학사상의 자극·白話運動의 전개등 네가지 방면에 착안하여 淸末民初 宋詞學의 배경을 고찰하였다. 제4장 "宋詞總論"은 이상의 外在的인 연구를 토대로하여 정식으로 본 논문의 중점으로 진입하여 주로 宋詞의 正變·流派·門徑·意內言外·南北宋·詞品과 人品·淸空과 質實·校勘등의 과제를 토론하여 淸末民初詞學의 宋詞硏究에 대한 중요논쟁을 탐색하였다. 제5장 "宋代詞家評價"는 淸末民初 詞學家의 宋代詞人에 대한 實際批評으로서 먼저 晏殊·歐陽修·柳永·蘇軾·秦觀·周邦彦·李淸照등의 北宋詞人을 토론하고, 이어 辛棄疾·史達祖·吳文英·周密·王沂孫·張炎등의 南宋詞人을 논술하였다. 제6장 "宋詞選"에서는 詞選을 "歷代詞選"과 "宋詞選集" 두 종류로 나눠 편선취지·體例·特色·長短등을 토론하였다. 제7장에서는 詞籍整理·詞學評論·詞選등의 방면에 착안하여 淸末民初 宋詞學의 후인에 대한 영향을 다루고 아울러 現代宋詞學 앞으로의 발전에 대해 전망하였다. 제8장에서는 이상 각장을 분석하여 淸末民初 宋詞學의 특색을 드러내고 한 걸음 더 나아가 淸末民初 宋詞學이 역대 詞學史上의 價値와 意義를 평가해 보았다. 상술한 연구를 통해 알수 있듯이 淸末民初 詞學家들은 대립되는 두 개의 개념을 하나로 융합하여 그들간의 平衡과 통일을 추구하였기 때문에 南北宋·婉約과 豪放·淸空과 질실양면을 兼重하고, 창작면에서도 여러 詞人의 장점을 고루 겸비하여 자기것으로 융합하려는 경향이 농후하다. 淸末民初 宋詞學은 宋詞總論·宋代詞家評價·宋詞選을 막론하고 모두 비판과 和諧의 정신이 서려있으며 이를 통해 前人 傳統創作과 鑒賞經驗을 총결하고 現代宋詞學의 새로운 영역을 열었으니 集大成의 意義와 함께 深遠한 影響力을 지니고 있다 할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