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平均天空放射輝度分布に關する硏究

        서정호 九州大學 1996 해외박사

        RANK : 248607

        擴散日射量은 天空放射輝度에 기인한다. 그러나, 천공방사휘도나 그 분포에관한 연구는 지금까지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것에 관한 지식도 전혀 없다. 건축환경계획에서는, 천공방사휘도의 분포를 모든 天空要素로서 방사휘도의 値가 동일하다고 하는 一樣分布로써 보고 있다. 그러나, 천공방사휘도분포는 결코 일양분포라고 할 수 없다. 천공의 상태나 태양의 천구상의 위치, 천공요소의 위치에 의해서 현저하게 다르다. 실측에 의하며 동일의 천공에서도 천공의 요소가 달라지면, 방사휘도의 値가 100배 이상까지도 差를 나타낸다. 따라서, 一樣分布로서 취급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합리적인 건축의 내부환경에 대한 구성기술의 개발과 발전을 위해서는, 천공방사휘도와 그 분포에 관한 연구는 필수적이며, 그 지식의 축적의 필요성은 시급하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 연구는 천공방사휘도 분포의 실태의 해명과 표준적인 자료의 제고을 목 적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은 먼저, 평균천공방사휘도와 그 분포에 관해서 논하였다. 그리고, 九州大學의 IDMP측정소에서 취득한 데이타를 근거로 상대평 균천공방사휘도와 그 분포의 수식화를 소개하였다. 또한, 평균천공방사휘도의절대치를 알기 위하여 필요한 天頂放射輝度와 그 수식화에 관하여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절대치로 표시하는 평균천공방사휘도와 그 분포의 예를 나타냈다. 이상, 본 연구는 평균천공방사휘도와 그 분포를 컴퓨터로 취급하기 위하여 수식으로 표현하였다. 그 수식화를 근거로 한 기초자료와, 본 연구 결과로부 터 얻어진 상대평균천공방사휘도와 그 분포를 나타내는 수식, 그리고 출현빈 도에 관련해서 천정방사휘도를 나타내는 수식에 의한 계산치와의 오차는 극히작다. 또한, 그 식도 그다지 복잡하지 않다. 컴퓨터의 계산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어 매우 실용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성과는 건축환경설계의 기초자 료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유효성은 극히 높다고 생각한다. 今後, 천공상태별의 평균천공방사휘도와 그 분포를 나타내는 수식을 제안할수 있다면, 이것에 의해서 임의의 지점의 평균천공방사휘도와 그 분포를 알 수 있다. 이는 건축환경계획을 하는데 있어서, 건물의 방향과 경사를 고려한 건축요소의 확산일사량에 대한 受熱量을 확률적으로 검토하는 것 등에 유효하고, 보다 상세한 여러가지의 설계 및 계획수법의 개발에 기여한다고 본다.

      • 日本漢字敎育に關する基礎硏究と應用硏究

        채경희 九州大學 大學院 2005 해외박사

        RANK : 248607

        日本語교육이란 일본어를 母語로 하지 않는 第2言語로서의 일본어교육을 대상영역으로 하는 것 이다. 현재 일본어교육를 둘러싸고 있는 상황은 국제화 정보화사회의 변화와 더불어 다양화 전문화의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오늘날 요구되고 있는 것은、目標言語인 일본어 要素의 과학적 분석과, 학습과정의 이해, 학습자의 개별 조건 파악에 근거한 효율적인 교육방법의 제안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를 母語로 하는 학습자(한국인학습자)에 대한 漢字교육의 方法개발을 목적으로, 한자에 대한 기초연구와 한자교육에의 응용을 행하는 것이다. 일본어는 한자를 이용하는 言語이며, 일본어교육에 있어서 한자교육이 큰 意義를 가지고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일본어에서 한자가 널리 사용되는 것이 한자를 이용해 온 한국인학습자에게는 유리한 조건으로 예측되나, 응용언어학의 知見에서는, 공통성이 많은 언어를 배울 때에는 격차가 두드러지는 언어를 배울 때와는 다른 陷穽이 있다고 指摘된다. 또한, 한국의 한자교육의 방침이 혼선을 빚은 결과, 오늘날에는 대학생을 포함하는 젊은이의 한자지식이 이전보다는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의 低下를 보이고 있다고 하는 사정도 한편에 있다. 유사한 문법구조를 가지고, 게다가 한자사용이라는 공통적인 전통을 지닌 한국인학습자에게 일본어를 가르치려면, 그 특성을 충분히 활용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마디로 용이하게 습득되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과를 명확하게 인식하여, 한국인에게 필요한 특화한 내용과 방법을 고안해야 하는 것이다. 이것은, 한자교육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먼저 언급한 바처럼 한국인학습자의 漢字力은 높다고는 볼 수 없고, 같은 한자권인 중국이나 대만 출신의 학습자에 비하면 상당히 뒤떨어져 있지만, 한자에 대한 개념을 가지고 있는 이상, 다른 言語의 母語를 말하는 사람에 비하면 압도적으로 유리한 것은 확실하다. 이 유리한 조건, 또한 학습자가 일본어학습시에 가지는 낙관적 적극성은 반드시 활용되어야 한다. 한편으로는 학습에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기득知識 이용에 궁핍해질 우려도 있다. 특히 한자읽기는 한국인학습자에게 있어서 학습이 용이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한자학습이 당초의 낙관적 적극성을 잃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기 위해서, 또는 동시에 過剰一般化(과승일반화)의 함정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적절한 省力化와 적절한 重点化에 의해, 효율적 효과적으로 학습자의 심리를 배려한 한자교육의 방법을 고안해야만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습대상인 일본어한자를 한국어한자와 대조하고, 과학적 분석에 근거하여 体系的인 학습내용과 방법을 考案해야만 한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인식에 근거하여, 漢字에 대한 基礎的인 연구를 第一部에서 실시하고, 그 성과를 교육방법의 考案에 살리는 연구를 第二部에서 행하는 것이다. 第一部에서는 한자에 대한 기초적 이론을 구축하기 위해, 한국어와 일본어의 한자에 관한 音韻, 字体, 意味의 모든 면에 대한 검증을 행한다. 우선 第一章에서는, 漢字音을 중국어의 음운구조인 IMVF/T의 체계에 의거해 고찰하고, 日韓양국漢字音의 通時的共時的대조를 시도한다. 二章에서는, 漢字音에 있어서 氣과 声(성)을 分析하여, 같은 한자문화권에 속하는 일본과 한국의 양국漢字音이 각각의 音韻体系를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 양상을 具体的으로 규명한다. 계속되는 三章에서는, 한국어의 漢字音에 대해서 분석, 一系統의 字音뿐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는 한국한자음에 대해 그 重層性을 검증한다. 四章에는, 한자의 字体에 초점을 맞추어, 日本의 常用漢字 1945字를 대상으로,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자의 자체와 대조분석을 한다. 마지막으로 5章에서는, 漢字語의 의미에 대하여, 현대문학의 작품을 채택해, 그 중에 나타나는 サ変動詞(사변동사)와 그 번역을 대조해서, 양국 어휘의 意味 대응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규명한다. 第2部에서는 第一部에서 얻을 수 있었던 知見에 근거하여, 한국인학습자 대상의 일본어한자교육방법의 개발을 시도한다. 第一部의 결과로부터 얻은 示唆에 더하여, 한자학습교육에 대해서의 선행연구의 검증을 행함과 동시에, 학습자의 한자에 대한 의식을 조사 실시하고, 그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현장에서 이용 가능한 한자교재를 구체적으로 고안 제작하고, 그 효과를 검증한다. 一章에서 일본어한자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개관한 후, 二章에서는, 한국의 대학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자에 대한 의식조사를 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다. 三章에서는 第一部에서 행한 한자의 기초연구에 의거하여 학습교재의 구성과 내용에 대해 試案을 제출한다. 四章에서는 일본한자능력검정시험을 활용하여 효율적 효과적인 평가를 실시할 가능성에 대하여 논하며, 第五章에서는, 필자가 출판한『JAPANらくらく段階別..... 교육한자』의 한자교육교재의 개요를 제시하고, 試用結果를 보고한다. 마지막으로 第6章에서는, 본 연구의 성과를 정리하여, 향후의 한자교육에 대하여 提言한다.

      • 敎科選擇制の導入に伴ろ普通科高等學校のブロックプランに關する硏究 : Kim,sang bon

        Kim,sang bon 九州大學 1996 해외박사

        RANK : 248591

        중학교 졸업생의 거의 전부라고 할 수 있는 95%이상의 학생이 진학하고 있는 오늘날의 고등학교에는 능력, 적성, 흥미, 관심, 진로 등에서 실로 다양한 학생들이 재적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실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고등학교 교육의 다양화·탄력화가 요구되고 있다. 현재, 교과선택제가 학습지도 요령에 반영되어 기본 학급(CLASS)이 해체되어 여러 개의 학습집단으로 재편성되는 선택강좌 시스템이 다양한 형태로 고등학교에서 확대 운용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교과 과목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진도에 맞추어 수업을 진행하는 능력별 학급의 재편성도 이루어지고 있는 실태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이제까지의 획일적인 계획 기준에 의한 고등학교와는 다른 시설과 공간 계획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교과선택제 도입에 따른 학급의 해체 상황과 교실 이용 실태, 교과 선택에 따른 학생들의 교내 이동에 착안하여 앞으로의 고등학교 건축의 블록 플랜에 관한 계획적 지침을 얻으려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음. 본 논문은 전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배경과 의의 및 연구 목적에 관하여 기술했다. 제2장에서는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 실시했던 조사의 내용과 개요에 관해서 기술했다. 조사 결과, 현행의 교과선택제 교육 프로그램은 광역 교과선택제와 교과 과목에 따른 능력별 학급의 재편성을 주요 항목으로서 타이프를 분류할 수가 있었다. 제3장에서는 교과선택제의 도입에 따른 학급의 해체와 학급의 해체에 따른 교실 이용의 실태를 파악하여 학급의 해체 패턴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교과선택제의 도입에 따른 학급의 해체율은 교육 프로그램의 타이프에 상관없이 학년의 진행과 더불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능력별 학급의 재편성을 도입하고 있는 고등학교의 학급의 해체율이 평균적으로 10~20% 높게 나타났다. 한편, 학급이 해체하여 새로운 학습 집단으로 재편성되는 과정을 패턴 화한 결과, 9종류의 유형이 나타났으며 각각의 해체 패턴 유형마다 필요로 하는 교실 수와 교실 이용상의 특성이 다른것을 알게됐다. 제4장에서는 종래의 일반 고등학교 블록 플랜의 거의가 학생들의 교내 이동을 고려하지 않은 특별교실형의 校舍이기 때문에 교과선택제의 대폭적인 도입에 따른 학생들의 교내 이동의 증가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학생들의 교내 이동의 실태를 분석하여 그 이동량에 대한 고찰을 했다. 실제로 행해지는 학생들의 교내 이동은 학습 활동에 의한 교과 이동(주로 교실간 이동)과 생활 행위에 의한 생활 이동으로 이루어지며, 실제의 이동량은 학생들의 성별 및 개인별로 차이가 나지만 조사 결과, 교과 이동량과 생활 이동량이 거의 버금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과 커리큘럼과 배치 도면에 의한 모의 교과 이동 즉, 가상 교과 이동량과 실제의 교과 이동량의 관계는 실제의 교과 이동량이 약 10% 많다는 것이 판명됐다. 이상의 결과, 가상 교과 이동량의 산정에 의해 실제의 이동량의 추정이 가능하다는 것과 실제 이동량은 가상 교과 이동량의 2.2배로 구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제5장에서는 교과 선택제를 도입하고 있는 고등학교에 관한 건축 계획적 고찰을 하였다. 교과선택제의 도입에 따른 부족한 교실수의 산출은, 학급의 해체율과 교실의 이용율의 관계에 착안하여 작성한 약산 모델을 이용하였다. 학교 규모가 30학급인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을 해본 결과, 학급의 해체율이 15%이고 강의실의 이용률이 30%인 경우에 필요한 강의실의 수는 7.5실로 계산되었다. 또한, 학급의 해체율로서, ①3개의 학급교실 단위로 1개의 다목적 교실을 배치하는 계획, ②유형별의 강의실을 학급교실에 인접 배치하는 계획, ③고기능·다목적의 강의실을 교사 중앙부에 배치하는 계획을 고려하였다. 이러한 블록 플랜의 계획 요건을 토대로 작성한 모델 블록 플랜(A);계열별 분리형, 모델 블록 플랜(B); 중앙 집중형을 이용하여 가상 이동량 분석의 시뮬레이션을 해본 결과, 모델 블록 플랜(A)에서는 일주간 약2,500m,모델 블록 플랜(B)에서는 약 3,000m의 이동량이 단축 가능하다는 것이 규명되어, 학급의 해체증가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블록 플랜 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제6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기술하고 아울러 앞으로의 고등학교의 건축계획에 관한 과제에 대하여 총괄 설명하였다.

      • デフォ-メ-ションを持つ形の畵像解析に關する硏究 : Study on the image analysis of shapes with deformation

        김형섭 九州工業大學 2001 해외박사

        RANK : 248591

        최근, 화상처리에 관한 연구분야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화상 정보의 이용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때문에 화상 해석에 관한 방법 또한, 화상 처리나 컴퓨터 비젼 분야를 중심으로 많은 알고리즘이 개발되고 있으나, 새로운 해석법의 개발을 기다리는 미해결의 연구과제 또한 산재해 있다. 이와 같은 미 해결과제 중 본 논문에서는, 본래 이상적인 형체 혹은 정상적인 형체를 지닌 도형이, deformation(변형)을 받은 결과 발생한 도형의 해석방법에 관해 논술한다. 또한, 인체 내외부에 발생하는 deformation이, 질병에 의해 변형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변형된 도형을 해석함으로서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된 도형의 해석법을 확립하는 것은, 도형의 인식과 이해문제에 유용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3가지 과제를 책정하여, 그 해석방법에 관하여 논술한다. 첫째로, 근사적 대칭성(potential symmetry)을 지닌 도형의 화상 해석법을 제안한다. 근사적 대칭성을 지닌 도형이란, 본래 대칭성을 띈 도형이, 굴곡이나 첨부/결손 등에 의해 변형된 결과의 산물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지금까지 이러한 도형의 해석법의 대부분은, 완전한 대칭형, 혹은 거의 대칭형(almost symmetric shapes)에 가까운 도형만을 해석대상으로 하고 있어서, 현실적으로 실재하는 여러 가지 근사적 대칭형의 도형에 적용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2차원 축대칭형(axial symmetry)과 회전 대칭형(rotational symmetry)에 대하여, 대칭기준을 추출하는 방법에 관해 논술한다. 먼저, 근사적 축 대칭형의 대칭축을 구하는 방법으로서, 농도차 최소화, 분산 최소화, 2차 모멘트의 변동에 의한 해석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근사적 회전대칭형의 회전 중심을 구하기 위해, 본래 도형과 복제 도형을 겹쳐서 생긴 도형으로부터, 농도차 최소화나 분산 최소화의 수법을 적용하여 대칭 중심을 추출한다. 둘째로, moire 화상에 의한 척추 측만증의 화상해석법을 제안한다. 인체는 본래 중앙성에 대해 좌우 대칭을 이루고 있으나, 척추 측만증 환자는 척추가 변형된 결과 비대칭을 이루고 있다. 지금까지 동 분야의 척추 측만증 자동식별에 관한 연구에서는, moire 화상이 3차원 정보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3차원 형상 복원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지만, 처리방법이 어렵고 계산시간 등의 이유로, 실재의 moire 데이터에 의한 실험보고는 전혀 없는 상태이다. 이에 반해 본 논문은, moire 화상의 2차원 정보에서, 부분 영역내의 좌우 중심 위치를 해석하여, 비대칭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척추 측만증의 정상/비정상을 자동 분류한다. 실제 120명의 moire 데이터를 사용하여 자동식별 한 결과 87.9퍼센트의 인식율을 얻을 수 있었다. 셋째로, 간(liver)의 deformation(비대화에 의한 변형)정도를 해석하기 위하여, 복부 CT화상에 의한 간 형상의 화상 해석법을 제안한다. 간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간 경화, 간암 등)평균적인 간의 크기보다 커지는 deformation이 발생한다. 지금까지 의사들은, CT화상으로부터 매뉴얼로 간의 용적을 계측해야함으로 많은 부담을 안고 있으며, 의사 개개인에 의한 차이가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역 팽창법을 중심으로 한 화상해석법에 따라, 간의 영역과 용적을 자동 계측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11명의 CT 화상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확인한다.

      • 音響管配列を用いたソフトな T 型防音壁の遮音性能に關する硏究 : A study on an Acoustic Performance of the Tube Arrayed T-shape Noise Barrier on the Top

        김철환 [九州藝術工科大學] 1997 해외박사

        RANK : 248591

        도로나 철도 등의 교통소음(交通騷音)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수단 중에 하나가 방음벽(防音壁)일 것이다. 방음벽은 음원(音源)으로부터의 직접음(直接音)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뿐 아니라, 음원을 시야로부터 가림으로 인한 심리적인 효과도 함께 가지고 있어, 교통소음의 차음(遮音)대책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수단의 하나이다. 하지만 최근에 들어, 교통량이 증가하고, 고속전철이나 새로운 고속도로의 건설 등이 계획되고 있는 가운데, 종래의 방음벽으로써는 충분한 차음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아지고, 건물의 고층화 등으로 도심을 통과하는 고속도로나 철로주위의 방음벽은 그 높이가 점점 높아져 가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일본의 고속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방음벽의 높이는 일반적으로 3m가 가장 많고, 경우에 따라서는 5m높이의 방음벽도 많이 눈에 띄게 되었다. 최근에는, 도시부근을 통과하는 고속도로에 높이가 8m나 되는 방음벽을 설치하는 일도 드물지 않게 되었다. 더구나, 차음량을 높일 목적으로 방음벽의 상단부를 도로 안쪽으로 구부러지게 한 방음벽도 있어, 심한 경우에는 도로를 싸고 있는 듯한 형상이 되어, 마치 터널(Tunnel)과도 같은 방음벽도 건설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현재 건설중인 일본의 제2 東名神 고속도로(東京∼名古屋∼神戶)는, 제한 속도의 상한(上限)을 140km/h로 조정함에 따라 일부 구간에서는 종래의 방음벽에 비해 훨씬 큰 규모의, 높이 9∼10m, 도로 안쪽으로 구부러진 상단부의 폭이 6∼7m 나 되는 거대한 방음벽을 건설하려는 계획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방음벽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면 차음량이 커지게 되긴 하지만, 건설에 드는 비용이나 구조상의 강도, 관리 및 유지비용뿐만 아니라, 방음벽 주위에 사는 주민들의 일조량의 결여, 운전자나 승객에 주는 압박감이나 따분함, 도로내부의 환기를 악화시키는 등, 인간에게 직접적으로 미치는 피해가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방음벽의 높이를 변화시키지 않고 보다 큰 차음 성능을 가진 방음벽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방음벽의 차음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형상의 방음벽이 연구되고 있는 가운데, T형 방음벽은 수직형(垂直型) 방음벽에 비해, 비교적 양호한 차음효과를 가졌음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와는 별도로, 1/4 파장(波長)의 음향관(音響管)을 배열하여 음향학적으로 소프트한 표면을 실현하였다고 하는 연구도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T형 방음벽의 상단에 1/4 파장의 음향관을 배열하여, 상단이 음향학적으로 소프트한 표면의 T형 방음벽을 실현, 방음벽의 상단을 타고 넘는 회절음(回折音)을 저감시키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서는, 2차원 경계요소법(BEM)을 이용한 수치계산으로 방음벽의 차음성능을 예측하고, 1/10 축척의 2차원 및 3차원 모형실험으로 예측결과를 확인하였다. 결과로서, 높이 5m, 폭 2m의 T형 방음벽의 상단에, 10cm(약 850Hz의 1/4파장)에서 56cm(약 150Hz의 1/4파장)까지 깊이가 점차 변해 가는 음향관을 배열함으로 해서, 같은 높이의 수직형 방음벽에 비해서는 약 6dB(A)이상, 그리고 같은 높이, 같은 폭의 T형 방음벽에 비해서는 약 4dB(A)이상의 높은 차음 효과를 가진 방음벽을 실현하였다. 그리고, 제2 東名神 고속도로에 설치 예정인 방음벽의 높이를 9m, 폭을 6.3m로 설정하고, 이 거대한 방음벽과의 대체효과를 검토해본 결과, 500Hz이하의 저주파 영역을 제외한 거의 전2 주파수 영역에서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이 예측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