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言いさし表現に關する韓日對照硏究

        조영남 お茶の水女子大學 大學院 2004 해외박사

        RANK : 234255

        이 연구는 회화상의 한일 중도종료형 발화를 대상으로 화용론적 기능을 밝히면서 그 유사성과 차이점에 주목하여 양언어의 중도종료형 발화의 사용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는 중도종료형 발화의 일부를 대상으로 고찰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고, 또한 한일, 일미의 대조연구도 몇가지 예문을 통하여, 양자의 유사점과 차이점의 검토로 끝난 것이 많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한일 중도종료형 발화 전반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어프로치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제1로, 18시간의 한일 영화자료10개에서 관찰된 모든 중도종료형 발화를 대상으로 그 사용실태를 파악한다. 제2로 208명의 한일 모어화자를 대상으로 중도종료형 발화에 대하여 의식조사를 행하여, 양언어의 모어화자의 의식을 파악한다. 제3으로 한일 모어화자에 의한 전화회화30건을 대상으로 중도종료형 발화의 사용이유를 파악한다.이 논문은 아래의 4개의 연구로 구성된다. 연구1에서는 자막이 있는 한일 영화로부터 음성과 자막에 의한 중도종료형 발화를 대상으로, 한일 중도종료형 발화를 [술부가 있는 경우]와 [술부가 없는 경우]로 분류해서 각각이 양언어에서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양언어의 중도종료형 발화의 특징을 파악했다. 결과, 일본어의 중도종료형 발화는 [술부가 없는 경우]처럼 언어표현을 최소한으로 줄이려는 특징과 [술부가 있는 경우]처럼 말을 딱 끊는 것을 피하고 문말을 흐리는 특징 두가지가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에 반해 한국어의 중도종료형 발화는 [술부가 없는 경우]처럼 언어표현을 최소한으로 줄이려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은 그다지 사용되지 않고, 말을 딱 끊는 것을 피해 문말을 흐리는 [술부가 있는 경우]가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연구2는 연구1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일 중도종료형 발화의 사용실태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1과 같은 자료를 사용하여 구체적인 사용상황을 기능과 스피치레벨의 관점에서 밝혔다. 결과, [술부가 있는 경우]의 [정중체][보통체] 와[술부가 없는 경우]의 [정중체]에서 사용상황이 한일 유사하다는 것을 알았다. 단 정중도가 양언어에서 차이가 보이는 기능도 존재하고 있었는데 이것들은 각각의 언어에서 관용적인 표현형식이 정착이 되어 양식화된 말투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술부가 없는 경우] [보통체]에서 일본어 사용이 높고, 한국어 사용이 낮은 것을 알았다.이것은 한국어에 확실히 말하는 것을 좋아하는 언어관과 일본어의 언어에 의지하지 않은 언어관이 반영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이 점에 있어서 양언어의 사용상황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술부의 존재 여부]와 [스피치레벨]은 한일 중도종료형 발화의 사용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연구3에서는 한일 모어화자의 중도종료형 발화에 관한 의식을, 대인관계와 기능의 관점으로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자료는 한일 모어화자 208명을 대상자로서 손님에게 응대하는 8개의 장면이 설정되어 있는 질문지 자료이다. 어떠한 말투를 하는지 2개의 말투, 즉(1)중도종료형 발화 (2) 종료형 발화 중에서 선택하는 선택식 담화 테스트를 행하여 선택한 이유를 자유기술식으로 쓰게 하였다. 결과, 한일 공통의 의식으로서는 [장황함의 회피][경어회피][친구관계]가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일본어에만 보이는 것은[부드러운]심리, 한국어에만 보인는 것은 [편안함]의 심리로 그 근저에 있는 사용의식은 다르다고 추측된다. 연구3의 의식연구를 바탕으로 연구4에서는 실제로 행해진 한일 전화회화 30건을 자료로 중도종료형 발화의 사용이유의 특징을 밝혔다. 결과, 사용이유로서는 양언어 모두 [요구완화][단정회피][장황함의 회피] 세가지가 사용상황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알았다. 스피치 레벨이 [정중체]의 경우, 일본어의 중도종료형 발화는 [단정회피]를 강하게 의식하고 있고, 한편 한국어의 중도종료형 발화는 [장황함의 회피]를 강하게 의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요구의 완화]는 한일양언어 모두 의식되어 있었다. 한편 스피치 레벨이 [보통체]의 경우는 한일 양언어에 [요구의 완화][단정의 회피][장황함의 회피] 에 차이가 없었다. 이 결과, 스피치 레벨이 한일 중도종료형 발화의 사용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의 하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 [술부의 존재 여부][스피치 레벨에의한 차이][사용요인의 차이]는 한일 중도종료형 발화의 사용법의 차이를 초래하는 요소이고, 이 같은 요소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마찰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주의를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와 같은 한일 회화의 대조연구의 결과는, 21세기 글로벌 시대에 향해 다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을 할 때, 언어문화의 차이에 의해 오해가 생기는 것을 막고 서로의 이해를 깊이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 제2언어로서의 일본어교육에도 시사하는 부분이 많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