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상 태양광을 활용한 실감형 콘텐츠 개발 모델 연구

        이명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19

        A Study on Realistic Content Development Model Using Water Solar Power The beginning of sustainable development for the future can be said to be the development of eco-friendly energy. Among them, interest in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is increasing.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has advantages such as providing an unlimited energy source, ease of operation, and low maintenance costs, and is expected to play a pivotal role in the future energy supply. In addition, the tourism industry pursues continuous change and innovation to meet the needs of various tourists, and in particular, it intends to provide new experiences to tourists by utilizing new technologies such as realistic cont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bout the convergence of design-based art using holographic technology and formative structures using engineering technology. In particular, based on the Tourism Tech project, we tried to develop tourism and realistic contents using water sunlight as a means to prepare eco-friendly landmarks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In particular, as a means of preparing eco-friendly landmarks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based on the tourism technology project, it was intended to develop tourism and realism contents using water-based solar power for the first time. The main study in this paper consists of a total of 5 chapters, first dealing with the hardware design of water solar structures, secondly the design of the platform and software for controlling water solar structures, and thirdly realistic content design of the sculpture. Fourthly, indoor and outdoor tests of the prototype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linkage between the water solar structures and the control web platform, and fifthly, an evaluation of the technology and artistry of the implemented prototype was conducted through expert interviews. Through these studies, conclusions were draw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realistic content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 of water solar power in the tourism industry was examined, and the convergence of water solar technology and sculpture art was attempted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work cases, and the possibility of their utilization was suggested. The main achievem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design and manufacture of floating solar structures secured the safety and appropriateness of determining the capacity of the structure facilities. The buoyancy body was manufactured to minimize buoyancy loss, and with the solar facility system and array design, the solar module produced electricity and stored power in the battery through the controller/inverter, and the drive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supply power to the Android pad. In addition, the battery was fixed in the floating object with a hologram projection device and an Android pad, and a solar cell controller and a hologram projection device were installed. The power supply uses two batteries in parallel to set the total capacity to 12V 14AH, and the usage time is designed to operate for about 8.5 hours. The structure of the web platform for controlling this includes an intro, a notice, a video upload, and an inquiry page in the user area. In the manager area, functions such as display and hologram management, and member management were provided. The manager sets the image and time to be played on the display through the server, and the information is stored on the server and delivered to the display. The formative structure design was in the form of water droplets, tetrahedron, and screen, and as a work, it was produced as a hologram of ballet woman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n the prototype test and analysis, various tests were conducted indoors and outdoors by operating a hologram device with self-generated energy using solar power. The implementation and expression of 3D hologram content in an indoor environment were tested, and outdoor content tests were conducted to ensure that the solar system operated normally in land and water environm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system could be efficiently performed through the web platform, and the administrator was able to approve the image, set the time, play/stop, and power saving operations. As a result of driving the realistic content of the prototype developed using solar energy with a floating hologram display system, it was confirmed that it operated stably. Furthermor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group of experts in the relevant field to further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production of realistic contents of water solar power for experts in each field. For the objective evalu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interviews on artistry and technology were conducted with experts.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a positive evaluation was made on the solar system prototype, and it was evaluated that high commercialization of realistic contents was exp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water solar power structure was manufactured based on thorough research and analysis to ensure its energy efficiency and system stability. In addition, the control platform was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user convenience, efficient system management was possible through a web-based management platform, and hologram technology was confirmed for realistic content formative structure. It was verified through land and water prototype tests, and it received positive evaluations for the use of tourism content for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artistry through expert interviews. However, in order to operate continuously, it was said that artistic realistic content should be able to attract the interest of tourists, and it was pointed out that structures should also be periodically managed for waterproofing and flooding. Therefore, in subsequent studies, it is necessary to verify whether there are limitations in terms of the prototype and secure objective data for commercialization. Furthermore, it is believed that richer research results can be secured if a survey is conducted on the experience for the artistry and popularization of realistic conte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effectiveness and economy of tourism resources are continuously analyzed. 제 목 : 수상 태양광을 활용한 실감형 콘텐츠 개발 모델 연구 미래를 위한 지속 가능한 발전의 시작은 친환경적인 에너지의 개발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중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태양광 발전 시스 템은 무한한 에너지원 제공, 운영의 용이성 및 유지비용 등의 장점이 있어 미래의 에너지 공급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관광업계는 다양한 관 광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변화와 혁신을 추구하며, 특히 실감 콘 텐츠와 같은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여 관광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 기술을 활용한 조형 구조물과 홀로그램 기술을 활 용한 디자인 기반의 예술융합에 관한 것이다. 특히 관광테크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친환경 랜드마크를 마련하기 위한 수단으로, 최초로 시 도한 수상 태양광을 활용한 관광ㆍ실감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는 총 5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첫째 수상 태양광 구조물의 하드웨어설계, 둘째 수상 태양광 구조물의 제어를 위한 플랫폼 및 소프트웨어 설 계, 셋째 조형물에 대한 실감형 콘텐츠 설계에 대해 다루었으며, 넷째 수상 태양 광 구조물과 제어 웹 플랫폼의 연동을 확인하기 위한 프로토타입의 실내·외 테 스트, 다섯째 구현한 프로토타입의 기술 및 예술성에 대한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들 연구를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연구 방향을 제 시하였다. 또한 관광산업에서 수상 태양광의 기술 발전과 실감형 콘텐츠의 중요성 을 살펴보았고 국내외 작품사례를 통해 수상 태양광 기술과 조형물 아트의 예술 의 융합을 시도하였으며, 이들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주요 성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상 태양광 구조물 설계와 제작은 구조물 설비용량 결정 안전성과 적정성을 확보하였다. 부력체는 부력 손실을 최소화하도 록 제작되었으며, 태양광 설비시스템과 어레이 설계로 태양광 모듈은 전기를 생산 하여 컨트롤러/인버터를 통해 배터리에 전력을 저장하였으며, 구동은 안드로이드 패드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계 및 제작되었다. 또한 홀로그램 투사 장치, 안드로 이드 패드로 부유물 내에 배터리를 고정하고, 태양전지 컨트롤러와 홀로그램 투사 장치를 설치하였다. 전원은 배터리 2개를 병렬로 사용하여 총용량을 12V 14AH로 맞추고, 사용 시간은 약 8.5시간 동작할 수 있게 설계하였다. 이를 제어하기 위한 웹 플랫폼의 구조는 사용자 영역에 인트로, 공지 사항, 영상 업로드, 문의 페이지 가 포함되어 있다. 관리자 영역에서는 디스플레이 및 홀로그램 관리, 회원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하였다. 관리자는 서버를 통해 디스플레이에서 재생할 영상과 시 간을 설정하며, 정보는 서버에 저장되어 디스플레이에 전달된다. 조형물 설계에는 물방울 형태, 정사면체 형태, 스크린 형태로 제작하였으며, 작품으로는 발레하는 여인과 환경보호의 홀로그램으로 제작되었다. 프로토타입 테스트 및 분석에는 태 양열 발전을 이용한 자체 발전에너지로 홀로그램 장치를 운영하는 방식으로, 실내 외에서 다양한 테스트가 진행되었다. 실내 환경에서 3D 홀로그램 콘텐츠의 구현 및 표현을 테스트하였으며, 실외 콘텐츠 테스트로 육상 및 수상 환경에서 태양광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테스트하였다. 웹 플랫폼을 통해 시스템의 관리 와 운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관리자는 영상의 승인, 시간 설정, 재생/정지 및 절전 조작을 수행할 수 있었다. 태양광 에너지를 활용하 여 개발된 프로토타입의 실감 콘텐츠를 부유형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 구동한 결과 안정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더 나아가 각 분야의 전문 가들을 대상으로 수상 태양광 실감형 콘텐츠 제작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을 더 깊 게 파악하기 위해, 해당 분야 전문가 집단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 과물의 객관적 평가를 위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예술성 및 기술성에 대한 인터뷰 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태양광 시스템 프로토타입에 대해서는 기술적으로 긍정 적인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실감 콘텐츠의 관광자원화에 높은 상용화가 기대된다 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상 태양광 구조물은 에너지 효율성과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 보하기 위해 철저한 연구와 분석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또한 제어 플랫폼은 사 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개발되었으며, 웹 기반 관리 플랫폼을 통해 효율적인 시 스템 관리가 가능하며, 실감형 콘텐츠 조형물은 홀로그램 기술을 확인하였다. 육 상 및 수상 프로토타입 테스트를 통해 검증되었으며,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기술 성 및 예술성의 융합에 대한 관광 콘텐츠의 활용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다만,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예술적 실감 콘텐츠가 관광객의 흥미와 관 심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으며, 구조물 역시 방수 및 침수에 대한 기술적 관리가 주기적으로 이루어져야할 것을 지적했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해당 프로토타입을 대상으로 측면에서 한계가 있는지 검증하여, 제품화를 위한 객관적 인 자료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일정 기간 동안 실제 관람객들 을 대상으로 실감콘텐츠의 예술성 및 대중화를 위해 해당 경험에 대한 설문조사 를 실시하고, 관광자원으로써의 실효성과 경제성을 지속적으로 분석한다면 더 풍 부한 연구결과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조직관점에서 공공기관의 정보보안 수준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정보보안관리실태평가 대상기관을 중심으로

        지윤석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19

        Due to the rapidly develop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n recent years, not only the private sector but also the public sector has become very dependent on information technology. In addition, with the commercialization of 5G mobile communication which has the properties of ultra-high speed, ultra-low delay, and hyper connectivity, a new smartphone-based real-time public service has appeared and the number of public institutions that accept it is increasing. With the end of Microsoft's security technology support for Windows 7 and 2008 server products in January 2020, new forms of cyber threats are expanding beyond the private sphere to the entire state and public institutions, with attacks expected to increase that exploit vulnerabilities in these OSs. In addition, following the commercial sector, the financial sector has also introduced the cloud services from January 2019, and some public institutions are also rushing to introduce cloud services, so the extent of the threat is difficult to predict. Therefore, in this thesi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mprovement of the level of information security of public institutions were established through prior studies both domestic and foreign. Through an empirical study, public institutions recognize insufficient factors and efforts to improve the effective information security level. Based on the Technology-Organization-Environment(TOE) framework research model, which is frequently used to measure the information security performance and management performance of a specific organization, this thesis establishes a research model to analyze the influence on information security level improvement by setting a total of six independent variables: the CEO's interest, the maturity of information security, the IT capability of the dedicated organization, the member's competency of dedicated organizations, the expertise of supporting organization, and the PM(Project Manager)'s leadership of supporting organization. As the moderating variables, acceptance attitude of security technology and organizational culture of information security was set, and the moderating effects were verifi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level of information security,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and sets two factors including CISO(Chief Information Security Officer)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s control variables. The data collection for this thesis was conducted by the Google Online Survey of 129 public information security officers in the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assessment, and a total of 337 copies were collected, 313 of them were adopted as valid surveys and used as data for verification. As verification tools, SPSS ver.23 and smart PLS 3.0 were used, a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10 of the total 14 hypotheses (excluding the moderating effect) were adopted. Examining the research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in detail,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EO's interest and the maturity of information security, which are organizational factors, affect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the acceptance attitude of security technology. Second, the IT capacity of a dedicated organization, which is the technical factor, was found to affect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information security but not the acceptance attitude of security technolog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environmental factor, the expertise of supporting organization, did not affect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the acceptance attitude of security technology, while the PMs leadership of supporting organization affecte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information security but did not affect the acceptance attitude of security technology. This means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the acceptance attitude of security technology are variables that are greatly influenced by internal factors including the interest of the organization's chief executive officer, and do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external environment.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moderation effect analysis, it was verified that the presence of CISO had a greater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information security than the acceptance attitude of security technology. In this thesis,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and verified for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improvement of information security in public institutions which are subject to ISMCE(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Condition Evaluation). This study will be able to take advantage of not only high academic value but also practical achievements as it goes further than the existing fragmentary research. In particular, it will be evaluated as a timely study at a time when efforts to minimize security risks are emphasized in the remote(untact) working environments, such as telecommuting and video conferencing, under COVID(COronaVIrus Disease)-19 pandemic situation. However,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to a number of important institutions, including local governments, metropolitan education offices, and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which are relatively vulnerable to security, in addition to 129 public institutions subject to ISMCE.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the definition of information security level by organization and field, and to study each in-depth. 최근 몇 년간 급속히 발전하는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로 인해 민간영역뿐만 아니라 공공분야까지 정보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진 상황에서 초고속․초저지연․초연결성의 속성을 지닌 5G 이동통신이 상용화되면서 스마트폰 기반의 실시간 대민 서비스가 새롭게 등장하고 이를 수용하는 공공기관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2020년 1월 MS사의 윈도 7 및 2008서버 제품에 대한 보안기술 지원이 종료됨에 따라 이들 OS의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새로운 형태의 사이버 위협은 민간의 영역을 넘어 국가․공공기관 전체로 확대되고 있다. 또한, 민간은 물론 2019.1 금융분야에도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하고 일부 공공기관에서도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을 서둘러 이용하고 있어 그 위협의 정도는 예측하기 힘들 정도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공공기관의 정보보안 수준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변인을 설정하고 실증적 연구를 통해 기관이 갖추고 있는 요인과 미흡한 요인을 인지하고 효과적인 보안수준 향상을 위해 필요한 노력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정조직의 보안성과 및 경영성과 측정에 빈번히 사용하는 T-O-E 프레임워크 연구모형을 기반으로 조직요인으로 최고경영자 관심 및 정보보안 성숙도를, 기술요인으로 전담조직 IT능력 및 전담조직 구성원 역량을, 환경요인으로 지원조직 전문성과 지원조직 책임자 리더십 등 총 6개의 독립변수를 설정하고 정보보안 조직문화 및 보안기술 수용태도 등 2개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였으며, 또한 정보보호임원 존재여부 및 조직특성 등 2개를 조절변수로 설정하고 종속변수에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129개의 정보보안관리실태평가 공공기관 정보보안담당자를 대상으로 구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37부를 회수하여 그 중 313부를 유효한 설문으로 채택하고 검증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였다. 검증도구로는 SPSS ver.23와 smart PLS 3.0을 사용하였으며 설문의 타당성과 신뢰성 및 연구모델의 적합성 등을 검증한 결과, 총 14개(조절효과 제외)의 가설 중 10개가 채택되었다. 연구가설 검증결과를 자세히 살펴보면, 첫째 조직 요인인 최고경영자 관심와 정보보안 성숙도는 정보보안 조직문화와 보안기술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기술요인인 전담조직 IT능력은 정보보안 조직문화와 보안기술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담조직 구성원 역량은 정보보안 조직문화에는 영향을 미치나 보안기술 수용태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요인인 지원조직 전문성은 정보보안 조직문화와 보안기술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원조직 책임자 리더십은 정보보안 조직문화에는 영향을 미치나 보안기술 수용태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을 나타났다. 이는 정보보안 조직문화와 보안기술 수용태도는 기관 최고경영자의 관심을 포함한 내부요인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 변수로 외부 환경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조절효과 분석결과, 정보보안 임원의 존재가 보안기술 수용태도보다는 정보보안 조직문화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논문은 실태평가 대상인 공공기관의 정보보안 수준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연구모델을 설정하고 검증함으로써 기존의 단편적인 연구보다는 진일보하여 학문적인 가치가 높을 뿐만 아니라 실무적으로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COVID-19 팬더믹 상황에서 재택근무, 화상회의 등 언택트 근무환경에서 보안위해요인을 최소화위한 노력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수행된 시의적절한 연구로 평가될 것이다. 다만, 향후에는 본 연구대상인 129개 실태평가 대상기관 외에서 상대적으로 보안에 취약한 지방자치단체, 광역교육청 및 국책연구기관 등 다수의 기관으로 연구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조직별, 분야별로 정보보안 수준에 대한 정의를 세분화하고 각각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규제인식에 따른 개인정보보호 규제순응이 IT기업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변재학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19

        인류는 4차산업혁명을 통해 이제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기술과 제도가 융합된 시대를 맞이할 것이다. 4차산업혁명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모바일 등 정보통신기술이 사회 전반에 영향을 주어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또한 공공정보와 개인정보를 이용해 빅데이터를 만들고 이를 활용하여 현실과 가상을 연결하는 초현실주의 시대가 될 것이라고 전망된다. 이런 상황에서 개인정보의 활용과 규제는 동전의 양면과 같다고 할 수 있으며 사회 일각에서는 이러한 개인정보보호의 규제를 혁신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여론이 있다. 세계경제포럼에 따르면 한국의 과학기술 순위는 2017년 기준 24위지만, 제도 경쟁력 순위는 58위에 불과하여 규제환경이 타 국가에 비해 열악한 상황이며, 국가경쟁력을 훼손시키는 주범으로서 규제를 지목하기도 한다. 그러나 과연 규제가 기업경쟁력에 부정적인 영향만을 미칠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명확하게 답변할 수 있는 실증적인 분석이 부족하고, 더욱이 개인정보보호 규제와 같은 대표적인 IT규제가 IT기업의 경쟁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규제인식에 따른 개인정보보호 규제를 준수하는 기업들의 기업경쟁력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규제인식에 따른 개인정보보호 관련 규제의 순응이 IT기업의 경쟁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국내·외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하였고, Porter(1990)의 ‘Win-Win Innovation Theory’를 기반으로 연구모델을 성립하였다. 먼저 개인정보보호 규제를 직접규제 및 자율규제로 구분하여 그에 대한 순응도를 조사하였으며, 이러한 규제순응이 IT기업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및 규제를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구분한 규범인식, 사회인식 및 경제인식에 따라 IT기업의 경쟁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매개변수를 설정하였다. 또한 기업의 특성 중 매출액, 시장점유율 및 업종을 조절변수로 사용하여, 어떠한 조절효과가 있는지 밝혀보고자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자료조사를 위하여 국내의 IT기업 관리자(차장급 이상) 및 개인정보관리 담당자 250명을 대상으로 47개의 항목을 통해 설문조사를 하여 최종 209부를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또한 SPSS 25.0과 AMOS 25.0을 활용해 데이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개인정보보호의 직접규제에 대한 순응은 IT기업의 경쟁력인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율규제에 대한 순응은 IT기업의 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비재무성과에 대한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정보보호 규제 중, 직접규제 순응과 자율규제 순응이 규제인식인 규범인식, 사회인식 및 경제인식에 수용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규제순응이 규제인식에 기반하여 이루어 진다는 기존의 다양한 연구결과를 뒷받침한다. 셋째, 규제인식이 IT기업의 경쟁력 지표인 재무성과 및 비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규범인식은 기업의 재무성과 및 비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인식은 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정반대로 뒤집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즉 사회인식은 재무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재무성과에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인식은 IT기업의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넷째, 기업의 매출액, 시장점유율 및 업종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기업의 재무성과 및 비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긍정적인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매출액은 IT기업의 경쟁력에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시장점유율은 IT기업의 경쟁력(재무성과, 비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매출액과 시장점유율을 조합하여 조절효과도 검증하였는데, IT기업의 경쟁력(재무성과, 비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업종도 IT기업의 경쟁력에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Humankind is celebrating the coming of a new era in which the kind of technologies and social systems that they never experience before are combined, throug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result in revolutionary changes across our society due to the influence of AI, IoT, Big data, Mobile, and othe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this era, it is expected that the information in the public domain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will contribute to the generation of Big data, which will be utilized to connect what is real and what is virtual, opening the door of the new era of surrealism. The utilization and regula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can be the two sides of coins. There are some in our society who see the regul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o be something that is to be overcome and get past with. According to the World Economic Forum, The world ranking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of South Korea in 2017 was the 24th, while the rank in the systematic competitiveness advantages ranked the 58th. This indicates that our regulatory environment is not as good as some other countries, and some points to these regulations as the main culprit which undermines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However, the empirical analysis on whether such regulations may influe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mpanies in a negative manner has not been done sufficiently. Additionally, it could be said that a study on how the representative IT regulations would affect the competitiveness of IT companies or how the awareness on regulations would influe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mpanies that complied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regulation is very meaningful. In such a perspective,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analyzed how the compliance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regulation based on the awareness on regulations could influence the competitiveness of an IT company based on domestic and overseas preceding studies. A study model for this purpose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Win-Win Innovation Theory” by Michael E. Porter(1990). First, the regulation 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was classified into direct regulations and self regulations and the compliance with such regulations was examined. Then, parameters were set based on how the awareness of the normative awareness, social awareness, and economic awareness, depending on how the influence and regulations were viewed, in order to show how they influenced the competitiveness of an IT company. Also, the researcher established a study model on the influence of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a company, such as the sales and the market share. To obtain the study date, the researcher interviewed 250 IT company managers and personal information managers in South Korea with a questionnaire that contained 47 survey items. As a result, a total of 209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which was conducted using SPSS 25.0 and AMOS 25.0.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pliance with the direction regulations on personal information turned out to influence the competitiveness elements of an IT company such as the financial performance and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in a positive manner. However, while the compliance with the voluntary regulation influenced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an IT company in a positive manner, the influence on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of the regulations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liance with the direction regulations and the voluntary regulations were accommodated by the awareness on regulations, such as the normative awareness, social awareness, and economic awareness. Third, with regard to the influence of the regulatory awareness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and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of a company, it was shown that the regulatory awareness failed to influence the financial performance and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of a company in a positive manner, while the social awareness showed the direct opposite of the hypothesis that it would influence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a company in a positive manner. That is, the social awareness turned out to influence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a company in a negative manner, while the influence on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 It was confirmed that the economic awareness was influencing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s in a positive manner. Fourth, the verification whether the sales(turn over), market share and business type of a company as the moderating variable had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with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s showed that the sales did not have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competitiveness of an IT company, while the market share had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competitiveness (financial and non-financial) of an IT company.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the combined moderating effect of the sales and the market share had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competitiveness of an IT company. Also business type had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IT companies competitiveness.

      • 지능형교통체계(ITS) 구축 사례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 수도권 사례 중심으로

        김순재 아주대학교 ITS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19

        수도권 인구 및 차량 증가에 따라 날로 심각해지는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로를 건설하는 방법만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여 새로운 도로의 건설보다는 도로의 교통효율을 높이고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저비용 고효율의 교통관리방안인 지능형교통체계(ITS)를 추진하였다. 그러나 지자체별로 사업이 추진됨으로써 수도권지역에서 추진된 ITS 구축 현황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 및 지자체에서 수행한 수도권 ITS 계획체계 및 구축현황을 조사․분석 함으로써 수도권 ITS 구축상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ITS는 교통․전자․통신․제어 등 첨단기술을 도로․차량․화물 등 교통체계의 구성요소에 적용하여 실시간 교통정보를 수립․관리․제공함으로써, 교통시설의 이용효율을 극대화하고 교통 이용편의와 교통안전을 제고하고 에너지절감 등 환경친화적 교통체계를 구현하는 21세기형 교통체계로 서울, 인천, 경기 3개 시도는 ITS 사업 및 도시교통관리 등 소관 서비스 제공을 추진하고 있으며 ITS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수도권 ITS 구축은 도시의 광역화와 장거리 교통수요의 증가와 같은 이용자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도로의 단절없는 교통정보제공을 위한 정보 연계 및 적극적인 교통관리전략을 추진할 필요성이 있으며, 도로전광표지(VMS), 인터넷, ARS 등 기존의 정보제공수단 이외에 급진하고 있는 IT 기술의 산물로 증가하고 있는 내비게이션, DMB, 하이패스, UCC 등의 매체를 활용한 정보제공방식의 다양화를 모색해야 한다. 또한, IT 기술을 접목하여 도로 및 교통관리를 첨단화함으로써 도로 이용효율을 증대하고, 교통사고를 예방하며, 환경오염을 저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수도권 ITS의 확대를 통하여 보다 안정되고 통합된 교통관리를 도모하여야 한다. 향후, 수도권 ITS는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접속 가능한 유비쿼터스 환경 하에서 교통상황에 적합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도로 이용자들의 통행선택을 다양화하여 도로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교통정보에 대한 이용자의 신뢰도가 제고되어 도로관리의 효율 및 수도권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타 U-서비스와의 연계를 고려한 U-트랜스포트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여 서비스 및 정보 제공 방식의 표준화 체계 구축을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 클라우드컴퓨팅 환경에서의 제로클라이언트 구현방안 연구

        김대성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19

        많은 IT 관계자들은 IT예산 절감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다. IT 인프라 환경의 변화 발전으로 IT 예산을 절감해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에 슈퍼컴퓨터가 최초로 도입된 것은 1988년도 크레이-2S로 당시 구입가격은 2,400만달러(약 273억-한화)에 달했다고 한다. 당시 그것의 성능은 2기가 플립스(Gflops, 20억회 연산/1초 가능)장착된 CPU수는 4개, 메모리는 1GB, 디스크용량은 60GB로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PC의 성능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계속해서 제품의 성능이 좋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는 것이다. 서버, 저장 장치 등의 IT인프라 기술이 발달하면서 제품의 비용이 저렴해지는 것처럼 IT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특정 역할을 하는 제품이 대체가 되어 비용이 저렴해지고, 관리가 쉬워질 수 있다. IT환경은 이제 서버-클라이언트, 웹 환경에서 클라우드컴퓨팅 환경으로 바뀌고 있다. 서버-클라이언트, 웹 환경에서는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역할(프로그램 개발, 문서작성, 각종S/W 구동 등)로 빠른 성능과 많은 저장용량이 필요했다. 그로 인해서 클라이언트(PC, 노트북, 태블릿 등)의 용량은 커지고, 비용도 올라가고 또한 관리의 어려움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클라우드컴퓨팅에서는 모든 프로그램,S/W,데이터 등이 클라우드컴퓨팅에 올라가서 작동을 하게 되어 클라이언트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의 역할이 최소화 되면서 지금까지 클라이언트로 사용되어지는 PC, 노트북, 태블릿 등이 최소한의 동작으로 가능한 제로클라이언트로 대체 될 수 있다. 본 논문 에서는 제로클라이언트 컴퓨팅환경에서 최소한의 클라이언트 구현 방안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Many IT stakeholders have been worried about the IT budget cuts and are still doing so. IT infrastructure and environment are changing, and IT budget is being saved. The first supercomputer introduced in Korea was the Cray-2S system in 1988, when the purchase amounted to 24 million dollars (about 27.3 billion won). At the time, its performance was less than the performance of the PC we are currently using, with 2 CPU flips (Gflops, 2 billion operations per second), 4 CPUs, 1GB of memory and 60GB of disk capacity. The better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 the lower the price. As IT infrastructure technologies such as servers and storage devices are developed, the cost of the products is lowered. As a result, IT products are replaced with products that play a specific role. The IT environment is now changing from server-client, web environment to cloud computing environment. In server-client and web environment, fast performance and large storage capacity were required for various roles of client (program development, document creation, various software driving, etc.). As a result, the capacity of clients (PCs, Notebooks, Tablets, etc.) grew, costs increased, and management difficulties began to occur. In cloud computing, all programs, software, and data are up and running on cloud computing, minimizing clients. As the role of the client is minimized, the PC, laptop, tablet, etc. that are used as the clients so far can be replaced by the zero client capable of minimizing the oper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inimal client implementation method in zero client computing environment.

      • 웨어러블 IT 기기에 적용 가능한 인체 운동 발전기에 관한 연구

        지인호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19

        In this paper, the human body-driven electromagnetic induction (Electro Magnetic Generator) (EMG) type power generation system was studied. Most ultra-small self-generator (Pico Generator) that is driven using the force of the human body has little output due to the low efficiency of Electro Magnetic Generator (EMG), and when generating a lot of electricity using muscles in a specific part, muscle fatigue accumulates and it is not easy to obtain as much power as desired. Also, it is not easy to actually supply power to a wearable device using a self-generator. Continuously powering wearable devices is technically limited. Therefore, the mechanical structure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to be applicable as an auxiliary power source for wearable devices. In order to have high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iciency, research was conducted to convert the energy of the arm reciprocating motion according to the gait of the human body into electrical energy. To maximize the efficiency, the Cogging Effect in the Electro Magnetic Generator (EMG) method was studied to be minimized. First, for the test product, the design specifications and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ultra-small pendulum generator applied with the RFPM (Radial Flux Permanent Magnet) technique were performed, and a prototype wa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n addition, a dedicated test device (Dynamo-Tester)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The test product was measured and analyzed by the test device (Dynamo-Tester), and was tested by setting it to a practical low-speed rotation speed (780rpm). Second, for the prototype, a ultra-small oscillation generator (Pico Pendulum Generator) applied with AFPM (Axial Flux Permanent Magnet) technique with a cogging effect close to zero was studied. In this technique, the stator of a ring structure is arranged in the center and there is no core inside the stator, and thus the cogging effect is close to zero, so it is designed to minimize resistance when power is generated by pendulum motion due to an arm reciprocating motion of the human body. The rotor has a structure in which upper and lower permanent magnets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permanent magnet uses rare earth-based neodymium (NdFeB) with high magnetic flux density, and has been studied to maximiz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using the grade N48UH. In order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wearable device, the rectifier circuit (Regulator) and a booster circuit (Buck Booster) that increases the low voltage were studied, and a super-capacitor that stores intermittently charged power was applied so that even a small amount of power can be charged according to a small amount of kinetic energy of the human body. For o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a simulation device (Simulator) similar to the speed of movement of the human body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and the results were calculated through testing, measurement and analysis using the simulation device. As a result of the test, the first prototype, the generator of the RFPM (Radial Flux Permanent Magnet) technique, generated 1.6W of output power when the rotation speed was 780rpm, and it was analyzed that it was possible to generate electric energy according to the gait by attaching it to the ankle of the human body with a weight of 154 g. The second prototype (The generator applied the AFPM (Axial Flux Permanent Magnet) technique) generated 30mW of output power when the rotation speed was 120rpm (2Hz). It is analyzed that although it has small power generation with a human wrist type, it is light with a weight of 42g, and can be practical for charging assistance such as smart watches and smart bands such as NFC recognition and bio-signal recogni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supply power to the power battery of a wearable device us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human body and also it is meaningful to study so that it can be helpful in researching a high-efficiency human body kinetic energy generator through more research in the future. 본 논문에서는 인체구동방식의 전자기유도발전(Electro Magnetic Generator)(EMG) 방식의 발전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대부분 인체의 힘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초소형 자가 발전기(Pico Genera tor)는 전자기유도발전의 효율이 높지 않아 출력이 미미하며 특정부위의 근육을 사용하여 많은 전기를 생성할 경우 근피로가 누적되어 원하는 만큼의 전력을 얻기가 쉽지 않다. 또한 실제로 자가 발전기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웨어러블 기기에 지속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제약 조건이 많다. 따라서 웨어러블 기기의 보조전원 공급원으로 적용 가능 하도록 기계적 구조와 전기적 특성을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높은 전자기유도발전 효율을 가지기 위하여 인체의 걸음걸이에 따른 팔 왕복운동의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도록 연구하였으며 효율의 극대화를 위하여 전자기유도발전 방식에서의 걸림 현상(Cogging Effect)이 최소화 되도록 연구하였다. 첫 번째 시험품은 RFPM(Radial Flux Permanent Magnet) 기법을 적용한 초소형 진자(Pendulum) 발전기의 설계사양과 유한요소해석을 하였으며 해석결과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또한 전용시험장치(Dynamo-Tester )를 설계, 제작하였다. 시험장치에 의하여 측정 및 분석을 하였으며 시험품은 실용성이 있는 저속회전수(780rpm)로 설정하여 시험하였다. 두 번째 시제품은 걸림 현상이 제로(Zero)에 가까운 AFPM(Axial Flux Permanent Magnet) 기법을 적용한 초소형 흔들림 발전기(Pico Pendulum Generator)를 연구하였다. 이 기법은 중심부에 환형(Ring) 구조의 고정자(Stator)가 배열되어 있으며 고정자 내부에는 코어(Core)가 없는 구조로 걸림 현상이 제로에 가까워 인체의 팔 왕복운동에 따른 진자운동에 의하여 발전할 때 저항이 최소화 되도록 설계하였다. 회전자(Rotor)는 상하의 영구자석(Permanent Magnet)이 서로 대면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구조로 영구자석은 자속밀도가 높은 희토류 계열의 네오디뮴(NdFeB)을 사용했으며 등급은 N48UH을 사용하여 발전효율이 최대가 되도록 연구하였다. 웨어러블 기기의 배터리 전력을 충전하기 위하여 정류회로기(Regulator)와 낮은 전압을 높이는 승압회로기(Buck Booster)를 연구하였으며 간헐적으로 충전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슈퍼캐패시터(Super-Capacitor)를 적용하여 적은 인체 운동 에너지에 따른 적은 전력이라도 충전되도록 하였다. 객관적인 성능평가를 위하여 인체구동운동 속도와 유사한 시뮬레이션 장치(Simulator)를 설계하여 제작하였으며 시뮬레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시험, 측정 및 분석을 통해 결과를 산출하였다. 시험결과, 1차 시제품인 RFPM 기법의 발전기는 회전수 780rpm 일 때 출력전력이 1.6W가 발전되었으며 무게 154g으로 인체의 발목 등에 부착하여 걸음걸이에 따른 전기에너지 발생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2차 시제품인 AFPM 기법을 적용한 발전기는 회전수 120rpm(2Hz) 일 때 출력전력이 30mW가 발전되었다. 인체 손목형으로 발전전력은 적지만 무게 42g으로 가볍고 초소형으로 NFC인식, 생체신호인식 등 스마트워치, 스마트밴드 등의 충전보조용으로 실용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공공부문 IT프로젝트 발주시스템 선진화에 관한 연구 : SW분할발주 제도를 중심으로

        이명희 단국대학교 정보·지식재산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19

        세계 SW시장은 급성장하고 있지만, 국내시장이 글로벌 강국에 위협을 주기에는 많이 부족하다. 인터넷 속도 1위국임에도 SW성장이 더딘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국내 SW산업 발전의 기반이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로써 정부는 SW중심사회를 선언하여 각 분야의 정책을 준비하였는데 공공부문 SW분할발주 제도를 IT프로젝트에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있어 전체 SW산업의 약 30%를 차지하는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SW분할발주 제도 시행시 예상되는 SI프로젝트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연구를 하고자 한다. 국내 IT프로젝트는 일괄발주와 분리발주 방식을 시행하고 있으며, 현재 추진중인 SW분할발주 제도는 기획~설계와 개발~구현 단계로 분리됨에 따라 SI프로젝트에 적용함에 있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SI프로젝트와 분리·분할발주, 선진사례 및 분할발주 유관산업 프로젝트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제도적, 기술적, 관리적 관점에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SI프로젝트에 SW분할발주가 적용된다면 요구분석과 기초설계를 수행한 선행사업자의 산출물과 후행사업자의 개발산출물의 일원화된 솔루션이 필요하며, SW분할발주 시행으로 발주기관의 업무증대 완화를 위해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IT프로젝트에 종사하는 이들의 SW제값받기 및 환경개선을 희망하며, SW분할발주의 제도 시행 전 공급자와 수요자가 인식해야 하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공하여 SW산업과 SI프로젝트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체계 형성의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공공부문과 IT프로젝트 및 발주에 대한 연구분야 특수성으로 인해 보고된 논문 및 자료가 부족하여 논문을 작성하는데 애로점이 있었으며 분할발주 시범사업의 자세한 데이터 및 정량적 효과가 없어서 아쉬웠다. 하지만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한다면 SW분할발주의 IT프로젝트 시행 전후 비교 등이 가능하여 SW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Despite rapid growth of the global SW market, the Korean market still has a long way to go to threaten global power nations. What is the reason that holds back of the No. 1 high-speed Internet country in terms of SW development? It is lack of the foundation for development of the Korean SW industry. In this context, the Korean government declared SW-oriented society and developed polices for each sector; Regarding movement that tries to apply the SW partitioning order institution in public sector to IT projects, this research aims to study SI project problems expected when conducting the SW partitioning order institution and improvements focusing on the public sector that accounts for about 30% of the entire SW industry. Although Korean IT projects adopt lump sum order and separate order, the current SW partitioning order institution is divided into planning-design and development-realization stages, which may cause problems when it is applied to SI projects. As such, the study analyzed SI projects and separate and partitioning order, exemplary cases and examples of industrial projects related to partitioning order, and drew improvement measures from institutional, technological and managerial viewpoints. When SW partitioning order is applied to SI projects, a solution where outcomes of preceding business operators who have conducted demand analysis and basic design and development outcomes of following business operators are unified is required. Moreover, implement of SW partitioning order requires management for relieving task expansion of ordering agencies. The research aims to help people involved in IT projects sell SW at proper prices and improve the environment, and presents directions to create a system that strengthens competitiveness of the SW industry and SI projects by providing solutions to problems that suppliers and demanders should recognize before implementing the SW partitioning order institution. The research had difficulties because of lack of reported theses and materials due to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research on public sector and IT projects and orders; also, it lacked detailed data and quantitative effects of pilot projects of partitioning orders. However, if such limitations are overcome, comparison between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SW partitioning order of IT projects would be available, and which will contribute to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the SW industry.

      •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의 성공적 도입 요인에 관한 연구 : 조직적 요인을 중심으로

        노근배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19

        Recent computing environments show such a trend toward cloud computing in order to reduce IT investment expenditures, quickly create IT environment, and efficiently manage the IT system. Cloud computing environment provides user-centric and usage-based computing environment. The cloud computing environment needs to be able to meet the user’s dynamic resource allocation demands, so the virtualization technology is the core technique used in cloud computing. Server virtualization, storage virtualization, and network virtualization are the three components of the virtualization technology. When a firm converts its application system into a cloud computing system, a firm may create a cost-effective computing system by utilizing these three components. In other words, the user’s cloud computing can quickly respond and process the user’s demand in real time, prevent the firm’s internal information leak to the outside, and perform a quick and flexible application of field services. Server virtualization and storage virtualization are currently in use in cloud computing; however, network virtualization has just passed the research stage and is entering the commercial stage. The present network architecture has persisted for 30 years, and it has caused IP address depletion, insufficient scalability, and network function’s inflexibility, which has made network more complex. Complex network structure has required automation of configuration changes, simplification of management, and reduction of capital expenditure and operating expenditure. Unfortunately, today’s network devices differ from one vendor to another, so a user may not be able to find an implementation of an innovative network service that fits his or her environment. Therefore, an innovative software-based architecture is required for cloud computing environment. Software Defined Network has first started as a research project at Standard University in 2006. ONF, ITU-T, ETSI, and IETF have been researching architecture and standards. Software Defined Network architecture enables central control by separating control plain from forwarding plain and has the function to make network application and network service abstract. Moreover, the user may directly program his or her network application to produce a network that is right for his or her environment. The difference between existing network and Software Defined Network is that the existing network focuses on hardware. Software Defined Network is software based while the existing network is based on closed architecture protocol by the vendors. Software Defined Network is also a user-centric architecture and uses the OpenFlow that is based on open source. Stanford University, Google, and NTT have used Software Defined System as the network backbone. Major vendors like Cisco and Alcatel-Lucent have organized OpenDaylight to research Software Defined Network with the committee of standardization and also to provide commercial product. This paper intends to study the factors involved in the gradual spread of Software Defined Network and user’s intention in using Software Defined Network. This paper has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Software Defined Network’s characteristics, has conducted research on existing literature on adoption of innovative IT technology and Diffusion of Innovation theory, and has studied previous research on Technology,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framework. The study has proceeded after setting up a hypothesis and has done sample survey online. After the study conducted preliminary 50 surveys and interviewed 20 IT experts on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factors, it proceeded with the main survey. The main survey removed 34 missing values out of 323 total and ran a statistical analysis on the remaining 289 values. The study used SPSS and AMOS as analytical tools to evaluate the hypothesis and research model. The research identified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adoption of Software Defined Network through its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Diffusion of Innovation theory, TOE,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study has identified the common organizational factors from both the TOE and Diffusion theory. By combining these findings, technology research model and TAM, this research created a new integrated model. Research on cloud computing environment appropriate for Software Defined Network adoption has studied innovative network introduction, technical merits, complexity, compatibility, and feasibility and effects analysis. In addition, it has researched organizational support, technical core competency, processes between the organizations, and social impact. Finally, the study looks into the competitiveness of the environment and scope of the business. This study has hypothesized that organizational factors affect adoption and use of Software Defined Network and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hypothesis through surveys on IT users.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nnovation, and competitive environment have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intention to use the Software Defined Network. Technical experience has negative impa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this result is different from the hypothesis. Management support shows contrary results to what perceived usefulness hypothesis expected. In this case, the perceived ease of use has tighter relationship to management support than the perceived usefulness does. Moderator variable effect had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in Microsoft environment and also on the perceived ease of use in organizations with members over or equal to 300. In competitive environment, moderator variable effect affects perceived ease of use in organizations with less than 300 members. Moreover, the adoption of Software Defined Network had effect on technical competence and intake of new innovative technologies of a firm, 최근의 컴퓨팅 환경은 IT투자에 대한 비용절감과 기업에서 요구하는 신속한 IT환경의 구현 및 효율적인 IT시스템 운영을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으로의 전환이 확산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은 사용자 중심의 컴퓨팅 환경과, 사용량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은 사용자의 IT자원에 대한 동적인 자원 할당 요구에 즉각적인 대응을 해야 하므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는 가상화 기술이 핵심기술이며, 클라우드 컴퓨팅의 기반이 되어야 한다. 가상화 기술은 서버 가상화, 스토리지 가상화, 네트워크 가상화로 구분할 수 있으며, 기업의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으로 구현할 때, 이 세 가지 요소를 활용한 컴퓨팅 시스템을 만들어야 비용 효율적인 컴퓨터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의 컴퓨팅 자원 요구에 대한 실시간 처리와 신속한 응답, 내부 자원의 외부 유출 방지, 응용서비스의 현장적용 및 제거에 따른 신속하고 유연한 동적인 할당이 요구된다. 현재 서버 가상화와 스토리지 가상화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이미 활용되고 있지만, 네트워크 가상화는 이제 연구단계를 거쳐 상용화 단계에 진입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현재의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30년 이상 지속된 방식으로 IP주소가 고갈되어 가고 있고, 네트워크의 확장성과 유연성이 부족하며, 기능의 경직성으로 인해 네트워크 복잡성이 증가되고 있다. 복잡한 네트워크 구조로 인해 구성변경의 자동화, 관리의 단순화, 투자비용과 운용비용 절감이 요구되고 있지만, 기존 네트워크 장비는 벤더별로 서로 다른 폐쇄적인 운영체제를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자신의 환경에 맞는 혁신적 네트워크 서비스의 구현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네트워크 관점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 적합한 혁신적인 기술의 소프트웨어 기반 네트워크 아키텍처 필요가 되었다.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oftware Defined Network)는 2006년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최초로 연구가 시작되었고, 현재 ONF, ITU-T, ETSI, IETF에서 아키텍처와 표준을 연구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네트워크 콘트롤 플레인(control plain)과 포워딩 플레인(forwarding plain)을 분리하여 중앙에서 네트워크 콘트롤이 가능하며,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과 네트워크 서비스를 추상화(abstraction)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이 가능하여 자신의 환경에 맞는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기존 네트워크와의 차이점은 기존 네트워크는 하드웨어중심, 벤더주도인 폐쇄적 프로토콜인 반면에,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는 소프트웨어 중심, 사용자 중심이며, 오픈 소스 기반의 개방형 프로토콜인 OpenFlow를 사용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는 스탠퍼드대학교, 구글, NTT에서 네트워크 백본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네트워크 벤더도 시스코, 알카텔-루슨트 등 주요 벤더를 중심으로 OpenDaylight 단체를 구성하여 표준화 단체와 연계하여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를 연구하고 있고, 상용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점차 확산되고 있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의 도입 요인과 사용 의도에 관해 연구하고자 진행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는 연구모델 설정을 위하여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특성 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 고찰, 혁신적인 IT기술 도입에 대한 기존 문헌 조사를 진행하였고, 혁신확산이론(Diffusion of Innovation, DOI), 기술-조직-환경(Technology,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context, TOE) 프레임워크 기반의 선행 연구를 하였다. 연구 방법은 가설 설정과 온라인 설문을 통한 표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설문조사 50부를 먼저 실시하여 설문조사를 보완하였고, IT전문가 그룹 2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조직적 요인의 중요성을 도출한 후, 본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설문은 전체 323부중에서 결측치 34부를 제외하고, 289부를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통계분석 툴은 SPSS와 AMOS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한 후, 가설과 연구 모델에 대한 적합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관련연구에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기술적 특징, 혁신확산이론, 기술-조직-환경 및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혁신적인 IT기술인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도입을 결정하는 핵심요소를 각각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정보모델을 기반으로 기술-조직-환경과 혁신확산이론 이론에서 조직과 관련된 요소만을 추출하고, 조사된 기술연구 내용과 합쳐서 기술수용모델과 통합한 연구모델 제시를 통해 혁신기술인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도입과 이의 사용 의도를 연구하였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 적합한 혁신적인 소프트웨어 기반 네트워크 도입에 대한 연구는 기술적 측면에서 혁신적 네트워크 도입에 따른 기술적 장점, 기술적 복잡성, 적합성 등 기술적 관점에서 도입 타당성 분석 및 효과 분석과 조직에서의 지원, 역량, 프로세스, 사회적 영향 등 조직적 요인이 혁신적 기술 도입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과 경쟁 환경,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