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역사교육에서 중등 예비교사의 비주얼 씽킹(Visual Thinking)에 대한 인식과 전망

        이미소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807

        As the era changes, new ways of teaching are approaching. One of the new changes is 'Visual Thinking', which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 useful model of activity-based instruction. Beginning with looking at the awareness and experience of pre-service teachers who majored in history education about 'visual thinking', this study will examin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visual thinking' in history education and finally to present basic data on the use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visual thinking in middle school history education. During teaching practice, this researcher has conducted both lecture class and activity-based class using visual image. As a result, this researcher has experienced that, in the lecture class, students respond passively, but in active class teaching using visual image, they actively engaged in learning. Through this experience, the necessity of the student-centered knowledge construction class that can lead the students' activities was felt, and this researcher decided that the class model that can help this is 'visual thinking' and proceeded with the following research. First, by analyzing the concept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recent visual thinking class, and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the visual thinking class, in the history class, the educational use phase of the visual thinking class and the positive aspect in educational aspect have summarized. Secon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pre-service teachers in the history education major, we conducted research using pre-service teachers of history education major including current students and graduates. An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re described. Third, visual thinking class is a new teaching method which is not familiar yet, but as a result of survey, pre-service teachers accepted the visual thinking class as a creative and meaningful effective class and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perception about the visual thinking class as a whole. Fourth, in middle school history education, guidelines and experimental research on visual thinking classes are less than other subjects. Thu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examples of classes using visual thinking in history subjects and layout of student activities were presented. when the pre-service teacher of history education goes to the actual field in the future, it will be a great help to prepare student-centered class to develop students' historical think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limitations of visual thinking lesson and improvement items which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he learner side and the instructor side. At first, as a matter to be improved on the learner's side, first, a teacher's demonstration is needed so that students become familiar with the visual thinking technique. Early on, teachers need to demonstrate examples of visual thinking, or show the demonstration, and become familiar with visual thinking, so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become familiar with visual thinking and to master the activities of drawing. Second, the non-educational factors that can appear in the students' activities and the pre-instruction of the teachers about the misconceptions are needed. There is a need to instruct students not to draw non-educational pictures for fun out of the learning topic, and the instructor should lead students to have correct historical awareness through pre-instruction. Third, in order to smooth teaching, block time system and various learning tools should be prepared. Through block time, students have enough time for structuring and expressing their learning contents, and if using colored pencils, magic, sign pen, learning cards, tablet pc, multimedia etc., it would be effective to encourage students to engage in class activities with interest. As a matter of improvement for teachers, First, policy promotion of new teaching methods is needed. In the educational aspect of teacher college pre-service teachers, lectures or program development related to various teaching methods should be activated. Seco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materials and textbooks for visual thinking classes is needed. In addition, in order to apply visual thinking to the educational field more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evelopment of a sequential class material by historical events or themes. In the future, experimental research that suggests divers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can be a guideline for new teaching methods for teachers should be activated. Thir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urriculum of teaching subject for pre-service teachers. The current educational field is changing to focus on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However, the curriculum of the teaching subject in the College of Education, is still focused on basic academic and theoretical lessons, which are difficult to apply directly to the educational scene. Instructional design methodologies that can be applied directly to the educational field should be included in the teaching subjects of the student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This study introduces visual thinking class which is one of the activity-based classroom teaching methods which is becoming a trend of new educational method through preliminary teacher. And it can be found in that it shows the effectiveness of the visual thinking class and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education using 'visual thinking'. 시대가 변하면서 교육방식에도 새로운 변화가 다가오고 있다. 그 새로운 변화 중 하나가 최근 활동 중심 수업의 유용한 모델로 주목받고 있는 ‘비주얼 씽킹’이다. 본 연구는 ‘비주얼 씽킹’에 대한 역사교육 전공 예비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을 살펴보는 것에서 시작하여, ‘비주얼 씽킹’이 역사교육에서 가지는 실질적인 시사점을 확인해 보고, 최종적으로는 중등 역사교육에서 비주얼 씽킹의 활용과 발전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교육 실습 기간에 강의식 수업과 시각적 이미지를 활용한 활동 중심 수업을 모두 진행해 보았다. 그 결과, 강의식 수업에서는 수동적으로 교수자의 강의에 응하던 학생들이 시각적 이미지를 활용한 활동식 수업을 할 때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학습에 임한다는 것을 경험했다. 이 경험을 통해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활동을 할 수 있는 학생중심 지식구성 수업의 필요성을 느꼈고, 이를 가능하게 도와줄 수 있는 수업모형이 ‘비주얼 씽킹’이라고 판단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최근 이루어지고 있는 비주얼 씽킹 수업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개념을 파악하고 비주얼 씽킹 수업의 효용성을 확인함으로써 역사 수업에서 비주얼 씽킹 수업의 교육적 활용 단계와 교육적인 면에서의 긍정적인 측면을 정리하였다. 둘째, 역사교육 전공 예비 교사의 비주얼 씽킹 수업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살펴보고자 본교의 재학생 및 졸업생을 포함한 역사교육 전공 예비 교사에게 설문조사 방 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설문지 분석을 통해 연구 결과를 서술하였다. 셋째, 비주얼 씽킹 수업은 아직 익숙하지 않은 새로운 교수법이지만 설문을 통해 살펴본 결과, 예비 교사들은 비주얼 씽킹 수업에 대해 창의적이고 의미가 있는 효 과적인 수업으로 받아들였으며 전반적으로 비주얼 씽킹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중등 역사교육에서 비주얼 씽킹 수업에 대한 가이드라인이나 실험연구를 시행한 것이 다른 교과에 비해 미흡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역사 과목에서 비주얼 씽킹을 활용한 수업의 사례와 학생 활동 레이아웃을 제시하였다. 역사교육 전공 예비 교사가 차후 현직에 나아갔을때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의 증진과 자기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기르는 학생 활 동 중심의 수업을 구안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비주얼 씽킹 수업의 한계와 개선해야 할 사항을 학습자의 측면과 교수자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우선 학습자의 측면에서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 첫째, 학생들이 비주얼 씽킹 기법에 익숙해지도록 교사의 시범이 필요하다. 초반에는 교사가 먼저 비주얼 씽킹의 예시를 보여주거나 시범을 보이고 학생들이 비주얼 씽킹에 익숙해지도록 하여 그림 그리는 활동을 숙달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생들의 활동에서 나타날 수 있는 비교육적 요소와 오개념에 대한 교수자의 사전 지도가 필요하다. 재미를 위해 학습 주제에서 벗어나는 비교 육적 그림을 그리지 않도록 지도할 필요성이 있으며, 교수자는 사전 지도를 통해 학생들이 올바른 역사인식을 갖추도록 이끌어줘야 한다. 셋째, 원활한 수업 진행 을 위해 블록타임제와 다양한 학습 도구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블록타임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이 학습한 내용을 구조화하여 표현할 수 있는 충분한 활동 시간을 마련해주고, 여러 가지 색상의 색연필, 유성매직, 사인펜, 학습카드, 태블릿 pc, 멀티미디어 등을 활동 수업에 함께 활용한다면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자발적으로 수업 활동에 임하도록 하는 데 효과적일 것이다. 이어서 교수자를 위한 측면에서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 첫째, 새로운 교수법에 대한 정책적 홍보가 필요하다. 사범대학 예비 교사의 교육적 차원에서 다양한 교수법과 관련된 강연 또는 프로그램 개발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둘째, 비주얼 씽킹 수업을 위한 다양한 자료 및 교재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교육현장에 비주얼 씽킹을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역사적 사건이나 주제별로 계열화한 수업 자료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앞으로 교수자를 위한 새로운 교수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는 다양한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실험 연구가 활성화되 어야 한다. 셋째, 예비 교사를 위한 교직 과목의 커리큘럼에 변화가 필요하다. 현 교육현장은 창의력, 비판적 사고, 소통, 협업 능력 신장 위주로 변해가고 있으나, 사범대학 학생들이 배우는 교직 과목의 커리큘럼은 교육현장에 바로 적용하기 힘든 기초 학문과 이론 수업에 여전히 치중되어 있다. 사범대학 학생들의 교직 과목에 교육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수업 설계 방법론을 포함시켜야 한다. 본 연구는 새로운 교육 방식의 트렌드가 되어가고 있는 활동 중심 수업의 방법 중 하나인 비주얼 씽킹 수업을 예비 교사를 통해 소개하고 비주얼 씽킹 수업의 효용성과 개선해야 할 방향성을 시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가‘비주얼 씽킹’을 활용한 역사교육에 대한 발전적인 논의를 위한 도움이 되길 바란다.

      • 사교육현장에서의 역사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 분당지역 중학생을 중심으로

        오지영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807

        In spite of government's policy to reduce private education, private education is growing steadily. In this regard, there have been many previous studies that analyzed the status of private education, but they are mostly related to subjects of English and mathematics, and few papers deals with history subject. Accordingly, this study was intended to find ways to improve effective history lessons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history classes taking place i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In order to deter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history lessons that take place i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a survey was conducted for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Bundang area, their parent, and private instructors with experience of teaching history classe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tudents and parents thought private education of history courses was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the grades. Students who have taken private education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effect of the private lessons. Second, most commonly students took private education in comprehensive Hakwons, but parents preferred specialized Hakwons to general Hakwons because they thought the former could offer more professional lessons. They preferred short-term history lessons provided during the exam periods or school breaks. Third, the majority of tutors teaching in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did not majored in history, and they thought insufficient class hours for the contents to teach is the greatest difficulty. Improvements found based on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history-dedicated Hakwons should be vitalized to offer customized history education by the student level, which cannot be provided by public education, through development of a variety of programs. Second, to reduce economic burdens for private education, part-time history-major college students should be employed by Hakwons to save labor costs, and tutor-made textbooks should be used rather than commercially published textbooks to save material costs. Third, instructor verification system should be introduced to qualified history tutors by certification through regular verification procedures for non-majors, and by preferential treatment with the majors. 정부의 사교육 경감 정책에도 불구하고 사교육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교육의 실태를 분석한 연구가 많이 나오고 있으나 대부분이 영어, 수학과목과 관련된 논문이 주를 이루고 있고 역사과목과 관련해서는 거의 다루어 지지 않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사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역사수업의 실태를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역사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찾기 위해 시작되었다. 사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역사수업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분당지역에 거주하는 중학교 2학년 학생과 이들을 자녀로 둔 학부모, 사교육 현장에서 역사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강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대부분의 학생과 학부모들은 역사과목도 성적향상을 위해서 사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을 하였고, 교육효과에 대해서 대체로 만족을 하고 있었다. 둘째, 시험기간이나 방학기간을 이용해서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역사수업을 선호하였다. 셋째, 강사들 가운데 비전공자가 더 많았으며, 가르쳐야 할 내용에 비해서 부족한 수업시간이 가장 큰 어려움이라 하였다.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찾아 볼 수가 있다. 첫째, 역사를 전문적으로 가르치는 역사전문 학원을 활성화시키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사교육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역사를 전공한 대학생을 아르바이트로 고용하거나 강사들이 직접 만든 교재를 활용하여 교재비를 줄여야 한다. 셋째, 비전공자인 경우에는 일정한 검증 절차를 거치고 역사전공자를 우대하여 전문성과 실력을 갖춘 역사전문 강사를 길러야 한다.

      • 박물관을 활용한 여성사 교육 확대 방안 : 국립 여성사 전시관을 중심으로

        성하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91

        이 연구는 중학 역사 교육과 박물관 교육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국립 여성사 전시관을 활용한 여성사 교육 확대 방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연구 목적은 중등 역사 교육에서 여성사 교육의 부재와 필요성을 짚어보고, 국립 여성사 전시관을 통해 핵심역량을 함양하고 여성사 교육을 확대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과거의 박물관 관람은 수동적인 활동에 불과했지만, 최근에는 박물관이 보다 적극적인 경험과 학습을 제공하기 위해서 여러 프로그램을 기획 및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박물관을 역사적 지식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능력을 기르는 공간으로 변화시켜 역사 교육의 핵심역량을 강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중학 역사 교육에서는 역사적 통찰력을 길러 현재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를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역사적 설명을 구현하는 능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하지만 교과서의 한계로 인해 교과 시간 안에서 다양한 자료를 실질적으로 다루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박물관을 활용한다면 다양한 자료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역사적 설명을 구현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또한, 2022 개정 교육과정은 다양성과 포용성을 강조하고 역사적 주체로서 공동체에 참여하는 시민성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그러나 교과서는 여전히 남성 중심적인 역사를 반영하고 있어 이러한 목표를 실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여러 박물관 중에서도 여성사와 관련한 다양한 유물과 유적을 살펴볼 수 있는 국립 여성사 전시관을 통한 역사 교육이 필요하다. 국내에는 다양한 국립 박물관과 사립 박물관이 존재하며, 국립 여성사 전시관은 앞으로 확대·개편되어 국립 여성사박물관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이에 새롭게 탄생할 국립 여성사박물관은 학생들을 위한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건강한 자아정체성 형성 및 여성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 통합을 돕는 역할을 해야 한다. 과거 연구에서도 국립 여성사 전시관의 활성화 방안에 다룬 것이 있으나 이는 실제 교육에서 적용하기엔 무리가 있었고, 박물관 교육에 대하여 다루어진 기존 연구의 경우 국립 여성사 전시관 및 여성사를 다루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국립 여성사 전시관을 통해 역사 교과서에서 부족한 여성사를 보완하여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중학 역사교육과 박물관 교육에 대한 의미와 필요성을 강조하고, 국립 여성사 전시관을 통한 핵심역량 함양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교육 현장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This study addresses the topics of middle school history education and museum education,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National Women's History Exhibition Hall and strategies to cultivate key competencies through it. The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absence and necessity of women's history education in middle school history education an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and methods by utilizing the National Women's History Exhibition Hall to foster key competencies. While museum experiences in the past were merely passive, recent efforts have been made to provide more active experiences and learning opportunities in museums. This transformation helps museums become spaces that cultivate the ability to critically engage with historical knowledge, thus enhancing the key competencies of history education. The objective of middle school history education is to strengthen the ability to implement historical explanations in various ways to develop historical insight and the capacity to address current issues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textbooks, it is challenging to effectively cover a wide range of materials. By utilizing museums, students can develop the ability to compare and analyze diverse sources and implement historical explanations. Furthermore, the 2022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diversity, inclusivity, and the cultivation of civic engagement as historical agents within communities. However, textbooks still predominantly reflect a male-centered perspective, which limits the ability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refore, to compensate for this, there is a need for history education that explores diverse relics and artifacts related to women's history through the National Women's History Exhibition Hall. South Korea has various national and private museums, and the National Women's History Exhibition Hall is planned to further expand and transform into a national museum. The newly established National Women's History Museum should offer appropriate educational programs for students, contributing to a healthy self-identity formation and understanding of women's history, ultimately facilitating social integration. Previous studies have touched upon strategies to activate the National Women's History Exhibition Hall; however, their applicability in educational settings has been limited. Additionally, existing research on museum education has not specifically addressed the National Women's History Exhibition Hall and women's histor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utilize the National Women's History Exhibition Hall to supplement the insufficient coverage of women's history in history textbooks and foster its key competencies. Through this, it intends to emphasize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middle school history education and museum education and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to educational settings by proposing measures to develop key competencies through the National Women's History Museum.

      • 역사교육에서 예술·과학 통합적 접근 방안

        김굉미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91

        본 연구는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예술·과학 통합적 역사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에서는 다음 3가지의 문제의식을 제기한다. 첫째, 역사교육에서 예술과 과학통합수업이 역사적 사실을 인식시키는데 유용한가? 둘째, 역사교육에서 예술과 과학통합수업이 역사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신장시키는가? 셋째, 역사교육에서 예술과 과학을 통합한 수업이 통합적 지식과 창의적 사고의 형성에 기여하는가? 이다. 과학영재교육에서 예술과 과학의 통합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그렇지만 그 과정에서 ‘역사’는 소외되어 있다. 역사교육이 단순히 과거의 사실을 암기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해석하고 사고하는 능력을 키우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할 때, 역사교육에서 예술․과학의 통합적 접근은 매우 유용하다. 역사는 교과의 특성상 ‘통합적’ 성격이 강한 학문이다. 먼저 예술과 과학의 상호작용은 ‘시간성’과 ‘맥락’ 속에서 이루어지는데, 이것을 효과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매개가 바로 역사이다. 둘째, 21세기 학문이 ‘다학문간의 융합과 통섭’을 지향할 때, 이에 가장 부합하는 학문이 역사학이다. 역사학의 본질은 지식의 통섭과 통합에 있기 때문이다. 역사적 이해, 추체험, 공감의 영역을 미적 경험을 통해 예술로 풀어내고, 과학적인 주제로 역사의 ‘과학성’을 통합한 역사수업을 진행하여, 창의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유도하는 것이 예술·과학통합 수업의 목적이다. 이런 면에서 예술·과학통합 수업은 역사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그 가능성을 확인하는 과정이 될 것이다. 이런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최종적인 결론에 도달했다. 첫째, 역사교육에서 예술과 과학통합수업이 역사적 사실을 인식시키는 데 유용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수업 이후 학생들에 대한 질적·양적 평가를 분석한 결과, 예술과 과학통합수업이 역사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신장시키는 데 크게 이바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역사교육에서 예술·과학통합 수업이 통합적 지식과 창의적 사고의 형성에 기여했음을 학생과 동료 교사들의 반응에서 검증할 수 있었다. 예술·과학통합수업은 역사에서 과학읽기, 과학에서 역사읽기의 상호작용을 통해 역사 본연의 성격을 유지하면서 예술성과 과학성을 구현하는 역사교육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과학영재학교에만 한정되지 않고, 21세기 역사교육의 새로운 진로를 모색할 때 유용한 사례가 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is about teaching methods of integrated art-science education in history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students to lead creative and integrated thin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look at possibilities of art and science integrated in history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I had three presented in this study. First, is Integrated Art and Science teaching on History Education useful? Second, does Integrated teaching of Arts and Sciences lead to an interest in history? Third, does Integrated Art and Science teaching in History Education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integrated knowledge and creative thinking?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final conclusion has been reached. First, Integrated Art and Science teaching in History Education is useful to recognize the historical fact. Secon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results, and the history of education in the art and sciences integrated teaching have contribute to increased interest in history. Third, integrated Art and Science teaching in History Education that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integrated and creative thinking that could be determined through the evaluation of students and fellow teachers. Integrated Art and Science teaching in History Education is suggested another possibility of history education. It's history and the interaction of science while identifying the inherent nature of the history of education is to strengthen. This is not limited to Korean Science Academy of KAIST. This is expected to be useful when seeking a new career in history teaching practice.

      • 세계문화유산을 활용한 중학교 역사 수업 연구 : ‘이스탄불 역사지구’를 중심으로

        나윤주 中央大學校 敎育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9791

        This paper searched for a teaching plan utilizing world cultural heritage for historic site inquiries and history classes in line with the basic inquiry course of the middle school 『History』education utilized in classes of the field since 2013 in association with the goal of the history curriculum education. This plays a role that enables not history itself as simple records or facts but history education vital and emphasizing cultural experiences and imagination. In particular, the current 'historic area of Istanbul' is showing the peaceful tolerance spirit of the Osman Turk Empire that recognized other cultural and religious diversity to us and students living in the pluralistic and multicultural era through world cultural heritage. In this connection, this paper prepared for an educational strategy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History』 curriculum focusing on cultural heritage, specially the world cultural heritage of the 'historic area of Istanbul' of Turkey. In addition, in order to design its detailed educational strategy, it analyze the 2011 revised history curriculum and based on the contents, analyzed the description related to Istanbul in the 2013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 First of all, the 2011 revised history curriculum emphasizes the field experience composed of cultural creature inquiries and storytelling focusing on political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but does not suggest a concrete method. Furthermore, the 2013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composed separate themes for the courses to experience and inquire the historic area of Istanbul but most of the textbooks does not provide the description of cultural heritage organically linking with the phases of the times but ends with suggestions of simple lists as only a creature of the specific time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ed a descriptive method of textbooks to make an organic description of the political and cultural history of the Osman Turk Empire. The concrete descriptive method is the description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Osman Turk Empire by connecting the world cultural heritage of Istanbul with a peaceful code. In particular, it selected four pieces of representative world cultural heritage of the 'historic area of Istanbul' and suggested a concrete description for tolerance, reconciliation, harmony and acceptance as the peaceful code. The first is the Ayasofya Museum as tolerance and co-existence. The, the second is Grand Bazaar that is the code of harmony. The third is Suleymaniye Mosque as the code of reconciliation. At last, as for the fourth the Dolmabahce Saray was described as the code of exchange and acceptance. In addition, based on the textbook description, it finally suggested a teaching plan of the Istanbul imaginary inquiry role play with the themes of tolerance, reconciliation, harmony and harmony as the peaceful codes of the history of the Osman Turk Empire for the world cultural heritage of the 'historic area of Istanbul'. The world history area is a subject to indirectly experience the vivid life of human beings so that the world history textbooks should be composed of various inquiry data with ease and fun and even in the learning activity, it should emphasize the intellectual spirit of inquiry `and imagination of learners. Accordingly, instead of a simple list of introduction to world cultural heritage, studies on teaching plans and tools to lead to imagination to the past people's concrete life should be made actively. Furthermore, a composition system and descriptive contents that enable students to correctly see the history related to world cultural heritage in textbooks are required. The current textbooks have less common elements to connect history with cultural heritage due to a dual structure that considers them separately. It seems like independent studies in each area from separation of history and cultural heritage. The development of a descriptive method of textbooks that can see history and cultural heritage organically from a further comprehensive viewpoint should be prepared. 본 논문은 역사과 교육의 목표에 맞추어 2013년부터 현장에서 수업에 활용되는 중학교『역사』교육의 기본 탐구 과정에 맞추어 역사유적 탐방과 체험의 역사수업을 위한 세계문화유산 활용 수업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는 역사를 단순한 기록과 사실로서의 역사자체가 아닌 문화적 체험과 상상력을 강조하는 살아 있는 역사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지금의 ‘이스탄불 역사지구’는 자신의 다른 문화와 종교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수용하는 오스만 제국의 평화적 관용의 정신을 다원화·다문화를 살아가는 우리들과 학생들에게 세계문화유산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이에 본고는 문화유산 특히 터키 ‘이스탄불의 역사지구’의 세계문화유산을 중심으로 중학교『역사』교과와 관련하여 교육의 전략을 마련해 보았다. 그리고 그 상세한 교육의 전략을 마련하고자 2011 역사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그 내용을 토대로 2013 중학교『역사』교과서의 이스탄불 관련 서술을 분석하였다. 우선, 2011년 역사 교육과정 개정은 정치사와 문화사를 중심의 통사체제로 문화 창조물 견학과 스토리텔링으로 구성한 현장 체험을 강조하면서도 구체적인 방법은 제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2013년 중학교『역사』교과서도 이스탄불의 역사유적을 체험하고 탐구하는 과정을 별도의 테마를 구성하여 편성하였지만 그러나 대부분의 교과서들의 문화유산 서술은 당대의 시대상과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제시되어 있지 않고 단지 특정 시대의 산물이라는 단편적이고 나열적인 제시로 끝나고 있다. 이에 오스만 제국의 역사를 정치사와 문화사 서술을 하나의 유기적 서술을 위한 교과서 서술 방법을 제안했다. 구체적인 서술방식은 이스탄불의 세계문화유산을 평화적 코드를 접목시켜 오스만 제국의 역사를 이해하는 서술 이다.특히 구체적으로 ‘이스탄불 역사지구’의 대표적인 세계문화유산 4가지를 선정해 관용·화해·융합·수용을 평화적 코드로 구체적인 서술을 제시하였다. 그 첫 번째가 관용과 공존으로서의 아야소피아 박물관이다. 그리고 두 번째가 융합의 코드인 그랜드 바자르이다. 세 번째는 화해 코드로 쉴레마니예 모스크를 선정하였다. 마지막 네 번째는 교류와 수용을 코드로 돌마바흐체 궁전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 교과서 서술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이스탄불 역사지구’의 세계문화유산을 오스만 제국의 역사를 평화적 코드인 관용·화해·융합의 주제를 가지고 이스탄불 가상 답사 역할극의 학습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세계사 영역은 인간의 생생한 삶을 간접적으로 체험하는 과목이므로 세계사 교재는 다양한 탐구 자료를 중심으로 쉽고 재미있게 구성하여야 하며, 학습 활동에 있어서도 학습자들의 지적인 탐구심과 상상력을 강조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세계문화유산을 단편적이고 나열적인 소개에 그칠 것이 아니라 과거 사람들의 구체적인 삶을 모습을 상상할 수 있는 학습방안과 학습도구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또한 교과서에서 세계문화유산과 관련한 역사를 제대로 바라볼 수 있는 구성체제와 서술내용이 필요하다. 현행 교과서는 역사와 문화유산을 따로 바라보는 이중구조로 이 둘을 연결하는 연결고리와 공통요소가 적다. 마치 역사와 문화유산이 분리되어 각각의 영역에서 독자적인 학문으로 보인다. 좀 더 포괄적인 시각에서 역사와 문화유산을 유기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교과서 서술 방안의 개발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 初等學校 敎科書의 韓日關係 內容 分析 : 5次, 6次, 7次 敎育課程을 中心으로

        방혜경 西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9791

        오늘날 역사교육은 각각의 나라가 자국의 역사의식 고취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수백 년을 교류한 이웃나라들과 보다 깊은 이해, 보다 나은 협력을 위해서 세계사적인 연계 속에서 가르쳐야 하며 이웃들과의 평화적인 공존, 미래에 있어서의 공동의 번영을 위해 깊은 상호 이해를 위한 역사교육을 권장해야 한다. 특히 초등학교에서 배운 지식은 오랫동안 기초지식으로서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때의 역사교육은 매우 중요하며 다른 나라와의 관계사는 국제이해교육과 관련하여 현시대에 들어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필자는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나라이면서도 '임진왜란'과 '일제강점기'로 인해 21세기인 지금까지도 아주 먼 나라로 인식되고 있는 일본과의 관계를 주목하게 되었고 이를 본고의 출발선으로 잡았다. 또 초등학생들이 상대국의 역사와 현실을 이해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요소가 '교과서'와 '교사'라는 점을 중시하여 초등학교 교과서 상의 한·일 관계 내용과 초등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한·일 관계의 이해도를 분석하였다. 먼저 초등학교 교과서상의 한·일 관계 내용이 5차, 6차, 7차 교육과정의 변화 속에서 어떠한 변화 경향을 나타내고 있는지를 서술분량과 내용 면에서 분석하였다. 일차적으로 5차, 6차, 7차 교과서의 서술분량을 비교해 보았더니 5차에서 6차로 갈 때에는 한·일 관계사의 서술분량이 증가하였다가, 7차로 가면서 서술분량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5차, 6차, 7차 교육과정 모두에서 한·일 관계사가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다른 어떤 나라에 비해 높으며 이는 교육과정은 바뀌었어도 한·일 관계에 대한 중요도는 변하지 않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 5차와 6차에서는 ‘일본으로의 우수한 문화 전수’와 ‘일제강점기 때의 독립을 위한 저항’ 내용을 지나치게 강조한 반면 7차에서는 전체적 시각에서 우리 민족 문화 자체를 고찰함에 더 비중을 두어 서술분량의 변화가 생겨난 것이다. 다음으로 한·일 관계 내용을 ‘삼국 문화의 일본 전달’, ‘임진왜란’, ‘조선통신사’, ‘근대화 과정에서의 일본’, ‘일제의 주권 침탈’로 구분하여 각 교육과정별로 이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비교해 보았는데 올해부터 시행되고 있는 7차 교과서에서는 5차, 6차와 다른 특징을 찾을 수 있다. 다음은 7차 교과서의 특징들이다. 첫째, ‘삼국 문화의 일본 전달’ 부분에 있어 과거 교과서 기술과 달리 일방적 문화 전수자로서의 우리나라에 대한 기술을 자제하고 있다. 둘째, ‘임진왜란’ 당시의 국제적 정세와 국내 상황을 간단하게나마 살펴봄으로써 객관적 시각을 견지하게 해 주고 있다. 셋째, ‘조선통신사’의 의미를 한·일 간의 상호존중과 교류로 보고 있다. 5차와 6차에서는 ‘조선통신사’부분을 미개한 일본에 우수한 문화를 전달해 주는 의미를 강조하는 반면 7차에서는 ‘조선통신사’를 오늘날의 외교관의 의미로 바라보는 학습문제를 제시하고 있다. 넷째, ‘근대화 과정의 일본에 대한 이해’를 ‘제국주의’라는 세계적 조류 속에서 해석하고 있다. 다섯째, ‘일제강점기의 의미’를 현대의 시각으로 보고 있다. 5차, 6차, 7차 모두 일본의 침략정책과 우리 조상들의 독립운동을 강조하고는 있으나, 7차 교과서는 일제 강점기의 한·일 관계 서술보다 해방이후 현대의 역사에 중점을 더 두고 있다. 그럼, 교과서와 함께 가장 중요한 교사들의 한·일 관계에 대한 이해는 어떠한가· 다음은 초등학교 교사들의 한·일 관계 이해도 분석 결과이다. 첫째, 초등교사들의 일본에 대한 이해는 단편적이다. 초등교사들은 일본에 대한 경험은 대부분이 간접경험이고 정보를 얻는 방법도 ‘뉴스’에 한정되어 있는 편이다. 둘째, 초등교사들의 한·일 관계에 대한 인식경향은 긍정과 부정이 상존하고 있다. 초등교사들이 일본에 대해 가르칠 때 주로 강조하는 점이 ‘역사적 침략’ 내용인 점은 부정적인 측면을 보여주고, 역사상 한·일 문화 교류에 관해서 ‘상호 문화 교류’라는 생각이 59%인 점, 또 한·일 관계의 저해 요인으로 ‘한·일 국민간의 의식차이’를 들고 있는 점등은 긍정적인 측면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초등교사들은 교과서에 제시된 한·일 관계 내용에 대하여 객관적 사고를 하고 있다. 삼국시대 때 우리조상들이 일본에 건너간 이유를 양국 간의 문화교류로 보는 점과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원인을 일본의 침략성이 아닌 우리의 국제정세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찾는 점은 그 좋은 예이다. 넷째, 초등교사들은 미래의 한·일 관계에 대해 매우 긍정적 사고를 가지고 있다. 21세기 한·일 관계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82.5%인 점은 이를 극명하게 보여주며 더불어 대외관계를 가르칠 때 ‘상호 문화적 협력관계’를 중시해야 한다는 점과 앞으로의 한·일 관계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할 점으로 ‘양국 국민간의 이해 증진’을 60%이상의 교사가 답한 점은 초등교사들이 미래의 한·일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는 근거이다. 이상과 같이 초등학교 6학년 사회과 역사영역에 기술되어진 한·일 관계 내용은 교육과정이 바뀌면서 과거의 ‘우리나라의 문화 우월성’과 ‘일본의 침략성 강조’라는 측면에서 벗어나 상호이해교육의 측면으로 다가서고 있으며 교사들도 미래의 한·일 관계를 중요하게 바라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이러한 우리나라 교육의 변화가 현실화 될 수 있도록 몇 가지의 제언을 하면서 본고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첫째, 교과서 집필자들은 학생들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교과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서술함에 있어 객관적이고도 있는 사실을 그대로 서술하는 자세로 집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사료를 해석할 때에는 당시의 국내적 관계뿐이 아니라 국제 관계까지 살펴보는 거시적 안목이 필요하다. 셋째, 교과서를 통해 학생들을 직접 지도하는 교사들이 정확한 역사적 지식을 쌓아 실제 수업을 진행하면서 학생들이 한·일 관계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가 제공되어져야 한다. 넷째는 위의 제언을 구체화시키는 실천적 방법으로서 한·일 교사와 아동간의 상호 교류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지금도 일부에서 한·일 교사들에 의한 공동 역사 연구나 교류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이 실제 교육현장의 저변으로 확대되지 못하여 현장의 교사로서 한·일 이해교육에 대한 느낌은 다소 거리감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에 양국에서 한·일 이해교육이 확실하게 자리잡기 위해서는 좀 더 적극적이고 다양한 교류의 방법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In today's history education, students should learn to look at history from not only our country's perspective but worldwide viewpoint, in order to deeply understand and collaborate with neighboring countries that have had relations to us for centuries. A mutual understanding should be given the top priority to ensure peaceful coexistence and reciprocal prosperity between different nations. In particular,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is very important since what students learn in elementary school has a lifelong influence on them. And history about relations with other nations is especially gaining in importance in modern ti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our relationship with Japan, which is geographically near yet actually viewed as a nation far away from us, due to the 1592 Japanese invasion and colonial ruling. As textbook and teacher give the greatest impact on elementary schooler's outlook on other nations, elementary textbooks and the way elementary school teachers look at Korea-Japan relation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examining how much and in which way the 5th, 6th and 7th national elementary curricula described Korea-Japan relationship, it's found that the 6th curriculum included more about that relationship than the 5th one, but 7th curriculum gave less explanation than the 6th. But Japan was given more weight in all the curricula than any other countries, and this fact suggests that the importance of Korea-Japan relations remained the same, in spite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curricula. The 5th and 6th curricula put excessive emphasis on the transmission of our superb culture to Japan and our resistance against Japanese occupation, whereas the 7th makes more efforts to see our cultural heritage from a comprehensive standpoint. This was why the 7th one handles Korea-Japan relations less than the former ones. When the way each of the curricula deals with the transmission of Three Kingdoms' culture to Japan, the 1592 Japanese invasion, Jeseon messengers, Japan's modernization and its occupation of our country was compared, the ongoing 7th textbooks are different from the 5th and 6th ones as follows: First, unlike the former textbooks, the 7th ones restrain themselves from depicting our country as one that handed over our excellent culture to Japan who was in a inferior situation. Second, they provides an explanation about the contemporary international and domestic situations when the 1592 Japanese invasion took place, though not so fully, to help students see it from an objective viewpoint. Third, Joseon messengers are looked upon as a sign of mutual respect and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The 5th and 6th textbooks stressed them as one who delivered our superior culture to Japan that was uncivilized, but the 7th ones see them like today's diplomats. Fourth, Japan's modernization is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mporary global trend called Imperialism. Fifth, the Japanese occupation of our country is viewed from a modernistic standpoint. All the 5th, 6th and 7th curricula emphasize Japan's invasion and our precedents' independence movement, but the 7th textbooks give more weight to modern history after the 8?15 Liberation than to the Japanese occupati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re most important for history education along with textbooks, see Korea-Japan relations as below: Firs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vestigated just have a fragmen- tary understanding of Japan. They have had little firsthand experience to contact Japan, and mass media news is mostly the sole source of information. Second, they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outlook on Korea-Japan relations. They are negative about Japan because they stress Japan's past invasion, and they are positive about it because 59 percent believe both countries have exchanged their cultures and a different way of thinking between Korean and Japanese people is regarded as a factor that interrupts the relations. Third, they take an objective view about the explanation about Korea- Japan relations in textbooks. They think that our ancestors went to Japan for cultural exchange in the Three Kingdom Era, and that Joseon Dynasty's poor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situations was the cause of Japanese occupation. Fourth, they think of future Korea-Japan relations very positively. 82.5 percent consider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important in the 21st century, and more than 60 percent argue that reciprocal cultural collaboration be mainly dealt with in class when international relations are educated, and that better 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nations is most crucial for future Korea-Japan relations. This is evidence th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future Korea- Japan relations. As stated above, the current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grade 6 leans toward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Korea and Japan, instead of stressing our country's cultural superiority and Japan's invasio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give weight to future Korea-Japan relations. There are some suggestions about how to offer better history education: First, people who prepare textbooks should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textbook, as students are under the greatest influence of textbook, and they have to take an objective attitude. Second, historical materials should be interpreted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he contemporary domestic and international circumstances should be both considered. Third, teachers should have a precise historical knowledge and provide various types of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have a correct under- standing of Korea-Japan relations. Fourth, exchange between teachers and between children in both nations should be promoted. Some Korean and Japanese teachers make joint efforts for historical research or cultural exchange, but it's just a partial phenomenon and most teachers don't have any chance to understand the other nation better. To make Korean and Japanese people understand each other, more active and diverse ways to facilitate mutual exchange should be prepared.

      • 역사교육에서의 향토사 활용방안 연구 : 강릉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박부원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91

        향토사는 민족사의 한 부분으로서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할지라도 향토사 그 자체가 갖는 독자적인 특징과 가치가 있다. 향토사가 갖는 양면성을 살펴볼 때, 역사 교육에 있어서의 향토사 학습은 그 어느 일면만을 추구해서는 안 되며 양자의 상호 보완적 관계에서 파악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최근의 역사교육 연구는 교사의 역할에 주목하고 있고, 학교현장의 역사수업 자체가 역사교육연구 대상으로 중요시 되고 있는 만큼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교과서 속의 지역문화 요소를 어떻게 교육과 연관시킬 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한국사 교과서 내용과 관련하여 향토사 지도 계획을 수립하고 한국사 수업에서 ‘지역 문화재를 활용한 현장학습’을 학습목표로 설정하고 고대국가에서 조선시대까지 교과서 속의 강릉지역의 향토사 자료요소를 부각하여 현실교육과 연결할 수 있는 요소를 추출하여 지역학생들에게 역사교육에서의 향토사 학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학습지도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역문화요소를 결합한 향토사 학습이 역사 교육에서 요구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학생들이 역사학자로서 체험을 직접 해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는 역사사실의 습득에 치중하는 지식 교육보다, 역사적 사고력의 신장에 치중하는 기능 교육과 바람직한 역사적 가치관의 정립에 치중하는 태도 교육을 강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향토사를 학습함으로써 가장 크게 얻어지는 것은 무엇보다 지역에 대한 향토애를 함양하는 것이다. 이것은 향토사에 대한 이해가 지역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지역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갖도록 하기 때문이다. Local history has independent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its own, while meaningful as part of national history. When its dual aspects are examined, local history should be identified in mutually complementary relation of both sides rather than being sought for in one aspect in history education. Recently the role of teacher is increasingly noted, and the class itself of history is deemed important in the study of history education, so the need for the study on how to relate the elements of local culture in the textbook by change in education course to education is being suggested. Hence this study has set up field study utilizing 'local cultural assets' as study goal in Korean history class by establishing plan for instruction on local history regarding the contents of Korean history textbook, extracted elements that can connect with practical education by enhancing the elements of local history data for Gangneung area in the textbook on ancient dynasties to Joseon dynasty, and proposed teaching plan so the study-teaching on local history in history education may be conducted efficiently for local students. The reason the study of local history combining elements of local culture is the most important for history education is because this way of study provides space where students can have experience as historian personally, and can emphasize education to focus on growing historical thinking power and establishing desirable history perspective rather than biasing on acquisition of historical facts only. And, the most important object in learning local history is to enhance affection to the local area. It is because understanding of local history develops interests in local and makes people to have pride of local culture.

      • 중학교 『역사2』교과서의 현장 체험학습 자료 분석을 통한 교과 교육과 체험학습의 연계성 강화 방안 검토

        강영재 中央大學校 敎育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9791

        This thesis examined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one of field studies of 2009 revised curriculum. In creative field study, history field study can increase creativity and cultivate personality through the activities such as exploration of historic materials, in creativity · personality field study focused in 2009 revised curriculum. This thesis studies on 9 kinds of『History2』textbooks, <Cheonjae textbook>, <Cheonjae eduction>, <Kumsung Publishing Co.>, <Bisang educaiton>, <Doosan Donga>, <Marae N>,<Jihaksa>, <Good book and new thinking>,<Gyohaksa>. Field study materials of 9 kinds of middle school『History2』textbooks were classified by periodical distribu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and studied. As a result of research, field study materials suggested in 9 kinds of『History2』 textbooks showed differences of frequency suggested in each textbook. There were some textbooks suggested evenly by period and some textbooks organized by period with insufficient materials of field study. In applications of field study materials of middle school『History2』textbooks, insufficiencies and improvements of field study materials suggested in textbooks were studied. Alternatives for it are as follows. First is overseas field study. For one of improvements, it's necessary to organize for field study of the region by internet through the ICT class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Second is the organization of field study materials by focusing on capital area. In non-capital area except for Seoul, education office and regional historic associations should jointly organize field study materials of regional history for the field study of regional history. Third, field study materials suggested in 9 kinds of 『History2』textbook suggest studying model for proper field study when conducting field study actually. Field study with developmental creativity and personality can be conducted when historic field study is smoothly conducted in field studying space suggested in textbooks. 본고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체험활동의 하나인 창의 · 인성 교육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역사 체험학습이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시하는 창의 · 인성 체험활동에서 역사적인 사료의 탐구 등의 활동을 통해서 창의성이 신장되고 인성을 함양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역사2』교과서 <천재교과서>, <천재교육>, <금성출판사>, <비상교육>, <두산동아>, <미래엔>, <지학사>, <좋은책 신사고>, <교학사>의 9종교과서를 연구 하였다. 9종의 중학교『역사2』교과서의 체험학습 자료를 시기별 분포도와 공간적 분포도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9종의『역사2』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현장 체험학습 자료 부분이 교과서마다 제시되는 빈도의 차이가 있었다. 시기별로 골고루 제시된 교과서도 있고, 시기별이나 체험학습 자료 부분이 미흡하게 구성된 교과서도 있었다. 이에 대한 중학교『역사2』교과서 체험학습 자료의 활용방안에서 교과서에서 제시된 체험학습 자료의 부족한 점과 개선해야 할 점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그에 대한 대안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는 해외지역 체험학습 부분이다. 개선방향으로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ICT 수업을 통해서 인터넷으로 해당 지역의 체험학습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두 번째로는 수도권 지역 위주로 체험학습 자료가 구성된 점이다. 서울 이외의 지역인 비수도권 지역에서 교육청과 지역의 역사 단체와 공동으로 지역사 체험학습 자료를 구성해서 지역사에 대한 체험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해야 한다. 세 번째로는 9종의 『역사2』교과서에서 제시되어 있는 체험학습 자료들은 실제적으로 체험학습을 실행하였을 때 현장 체험학습이 적절하게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학습 모형을 제시해 준다. 교과서에 제시된 현장 체험 공간에서 역사 체험학습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때 창의성과 인성이 발달하는 체험학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