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참군인 채명신의 리더십과 효충사상 연구

        김남권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34335

        본 논문은 한국군에서 가장 명망(名望)을 받고 있는 군인중의 한사람인 채명신(蔡命新) 장군의 리더십(leadership)과 효충사상(孝忠思想)에 관한 연구이다. 채명신 장군의 삶에 담겨진 리더십과 효충사상을 연구하게 된 목적은 현대 시대를 살아가는 젊은이들에게 리더십의 중요성을 각인시키고, 채명신의 효충사상을 통해서 대한민국의 젊은이들이 모인 군대에서 만이라 도 효충교육을 활성화하여 바른 인성을 가진 사회인으로 거듭나기를 바라는데 뜻이 있다. 오늘날 장군이면서도 사병묘역에 묻힌 것만 보아도 그의 삶은 귀감이 되며, 현장 지휘 및 일상 속에서 여러 유형의 리더십이 그의 덕망과 함께 드러나지만 그 가운데서도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과 원리, 원칙에 충실한 리더십은 우리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많은 지도자들이 자신의 지휘와 직권을 남용하여 사회에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음을 볼 때 군인으 로서 사명과 소신을 지키되 원리와 원칙에서 이탈하지 않고 한길을 가려고 애썼던 모습들은 현대 시대를 사는 모든 이들이 배워야 할 점이라고 본다. 또한 베트남전을 비롯한 국내 일상적인 삶 속에 표현된 그의 “효(孝)”와 “충(忠)”에 대한 생각과 가치는 오늘을 사는 우리들에게 매우 큰 교훈이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채명신의 효와 충은 어떤 가치를 갖고 있는가? 이다. 본 과정을 위해서 그의 삶을 가장 잘 알 수 있는 서책『채명신의 회고록』과 효와 충의 실천사례들을 분석하여 핵심가치를 도출해 보는 연구과정을 거쳤다. 둘째, 효충사상의 핵심가치는 어떠한 리더십을 길러주는데 영향을 주고 있는가? 이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바탕으로 채명신의 효충사상이라는 핵심가치와 리더십이 현대사회 속에서 어떠한 관계를 맺고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까에 대해서 논의를 하고 그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채명신의 저술 속에 드러난 효와 충의 내용이 그간 효와 충을 설명했던 기존의 고전이나 경전에서 어떻게 표현되었는가를 현상학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채명신의 저술 또는 그에 따른 전기문에 나타난 효와 충의 실천사례가 『효경』,『충경』,『논어』,『맹자』,『명심보감』은 물론 기독교와 불교의 경전 속에서 어떻게 표현되었는가를 살펴보면서 그 영향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본 과정에서 채명신이 기독교인이었기 때문에 주로 성경에서 많은 자료를 활용하였다. 동시에 채명신의 리더십이 다양한 역사적 사실관계 속에서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생존 시 경험 사례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고, 어떻게 효충사상과 연결되어져서 승화되어지고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 과정을 위해 중요한 방법적 틀을 최성규의 3통(通) 7효(孝)에 바탕을 두고 활용하였다. 통교(通敎), 통념(通念), 통시(通時)적인 효의 특징을 전제로, 경천의 실천(기독교에서는 하나님 섬김), 부모·어른·스승 공경, 어린이·청소년·제자사랑, 가족사랑, 나라사랑, 자연사랑·환경보호, 이웃사랑·인류봉사라는 7효의 관점에서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최성규가 한글 ‘효’를 그대로 영문 표기한 ‘HYO’(Harmony of Young & Old)의 의미를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이는 채명신 장군의 효가 단지 가족 내에 그치는 효가 아니라 그가 마주한 군대 및 사회공동체 전 분야로 확대해서 거시적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그것이 유기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채명신 만의 효충사상이 자연스럽게 리더십과 연결되어 지고 있음을 보게 된다. 채명신은 기독교적 입장에서의 경천애인사상(하나님 섬김), 한 가정의 아들로서 부모에게 실천한 효, 군 지휘관으로서 부하장병들에게 베푼 사랑(어린이·청소년·제자사랑), 더 나아가 자녀, 이웃과 사회공동체, 국가와 인류공동체 및 자연환경까지를 포괄하여 다양하게 표출하고 있는 사상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채명신은 우리 현대사에 있어서 가장 훌륭한 지도자이며 군 리더이다. 그는 평생을 직업 군인의 길을 가면서 지위가 높아질 때도 권력의 칼날을 함부로 휘두른 적이 없었고, 오로지 초지일관 겸손과 온유함으로, 그러면서도 군 최고통수권자 앞에서는 할 말은 당당히 했던 정의로운 군인이기도 하였다. 많은 권력자들의 경우, 약자에 강하고 강자에 약한 면모를 보였지 만 채명신은 그 반대의 삶을 살았다. 철권통치를 하던 박정희 대통령에게 자신의 소신을 분명히 한 것은 길이 남을 일화가 될 정도로 최고 지도자 앞에서도 당당한 면모를 잃지 않았다. 그러면서도 장병들에게만큼은 그 누구보다도 따뜻하고 겸손한 지도자의 모습을 보였다. 그 많은 게릴라전에서 승부수를 던지고 지금까지 대가(大家)로서 독보적인 존재로 알려질 수 있 었던 것도 세상 앞에, 병사들 앞에서 무례하지 않았고, 만용을 부리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본다. 해외에서도 그의 이름은 더욱 빛이 났는데 특히, 베트남에서의 그의 활동은 베트남 민주주의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한 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채명신의 삶에 나타난 군인으로서의 정신세계는 우리가 본받아야 할 신앙적 가치와 효충 정신을 부각시키기에 충분하다고 보며, 그 의미를 영원히 기리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발휘된 다양한 리더십은 현대인들에게 롤 모델이 되기에 충분하다고 여겨지므로 그에 대한 연구도 병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갖는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사회에 다양하게 발생되는 문제들을 근본적으로 풀어 가는데 있어서 충과 효가 삶의 현장에서 좀 더 폭넓은 이해를 도모하고 이에 대한 교육적인 실천이 선행되어져야 한다고 본다. 둘째, 가정문제로 인한 병사들의 병영생활에서의 영향요소 등을 볼 때 심리적, 정서적으로 매우 중요함을 본다. 따라서 본 논문을 접하는 군 장병들에게 채명신의 효 사상에서 “행동하는 효, 실천하는 효”가 무엇인가를 몸소 배울 수 있기를 기대하며, 이 시대에 어울리는 효의 방법과 자세를 앞으로 세심하게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를 통해 채명신의 삶에 나타난 군인으로서의 정신세계 속에서 우리가 본받아야 할 신앙적 가치와 효충 정신을 찾아볼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발휘된 그의 다양한 리더십은 군 장병들에게 롤 모델이 되기에 매우 충분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주제어 : 3통 7효, 충, 효, 신앙심, 애국심, 리더십

      • 가정에서의 효 교육 강화 방안 연구 : -인천광역시 초등학생의 효 의식 실태분석을 중심으로-

        김양진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34335

        가정에서의 효 교육 강화 방안 연구 - 인천광역시 초등학생의 효 의식 실태분석을 중심으로 - 김양진 효학과 효학전공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을 올바르게 성장시키고자 활발하고 원숙한 가족과의 의사소통을 통하여 바람직한 가정에서의 효 교육을 강화시키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천지역에 있는 240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조사내용은 가정에서의 순종의 효, 친애의 효, 존속의 효, 대리의 효 등 4개 영역에 총 16개의 하위 영역을 두었다. 남녀 성별, 남녀 성적별, 남녀 학년별로 응답한 빈도수를 백분율로 환산 처리하였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해서 얻게 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효 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와 대화시간이 많고 동행이 잦은 저학년이 고학년보다 높은 효 의식을 보였다. 셋째, 성적이 좋은 상위권의 학생들이 하위권의 학생들보다 효 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가족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한 가정에서 성장한 학생들이 그렇지 못한 락생들보다 더 높은 효 의식을 보였다. 따라서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가정에서 실천할 수 있는 효 교육 강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효 교육은 학교, 가정, 지역사회가 연계하여 총체적이고 계획적으로 지도되어야 한다. 둘째, 학생 개개인과 학년 수준에 맞는 다양한 효 학습 프로그램을 계발하여 지도하며 직접적인 체험학습의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강제성이 배제된 자율에 의하여 계획하고 실천하려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실천 방법을 안내하는 교육적 배려가 필요하다. 셋째, 가족 간에 대화의 시간을 자주 갖게 하여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게 해야 한다. 이를 통해서 민주사회에서 필요한 조정, 타협하는 태도를 길러주게 되며 개방적인 사고를 갖고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구성원으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넷째, 전통적인 효 사상에 연연해하지 말고 현대사회의 흐름에 맞게 효 교육을 재해석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방향도 수정해야 한다. 다섯째, 오늘날 대두되고 있는 청소년 문제들이 학력과 입시위주에 치우친 결과 인간성 상실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성교육과 인간성 회복이 절실한데, 인성교육의 가장 근간이 되고 있는 바람직한 효 의식이 형성될 수 있도록 꾸준한 지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 효 윤리체계에 의한 중학생의 효 의식 조사연구

        이재춘 성산효도대학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34335

        본 연구는 급격한 사회 변화로 인하여 개인주의, 평등주의가 만연된 현대 사회에서 전통적인 효 윤리가 그대로 적용되기에는 어려운 현실이 됨에 따라 학생들의 경험 속에 내재되어 있는 효 의식에 대한 구성 개념을 파악해 봄으로써 효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탐구하고자 효학 전공 중학교 교사들과 인터뷰를 통해 여섯개의 가설을 설정하고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효 의식에 관한 조사를 통해 그 가설이 과연 맞는지에 관해 검증해 보았다. 본 연구는 새로운 효 윤리의 요구와 관련하여 순종, 친애, 존속, 대리의 4가지 변수로 구성된 보편화 가능성의 효 윤리체계를 분석의 틀로 원용하였으며, 질문지를 통한 중학생들의 효 의식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효 의식의 4개 영역에 대한 중요도의 평정 결과 효 의식의 4개 영역 중 대리가 가장 높았고 다음 영역으로는 존속, 친애, 순종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존속이나 대리가 순종이나 친애보다 평균치가 높은 것은 순종이나 친애가 지켜도 좋고 지키지 않아도 불효자로 낙인이 되거나 반사회적 문제를 일으키는 절대적인 효가 아닌 경우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여섯 개의 가설을 중심으로 분석해본 결과, 첫째,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순종, 존속, 대리의 영역에서 평균이 높게 나와 효 의식 전반에서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효 의식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학년의 효 의식 수준이 4개의 모든 영역에서 전반적으로 2, 3학년에 비해 높았으며 반면, 3학년은 모든 효 의식 영역에서 제일 낮게 나타났다 셋째, 4개의 효 의식 하위영역에서 출생순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남녀학생별로 출생순위에 따른 효 의식별 평균의 차이검증을 실시해 보았으나 남녀학생 모두에서 첫째가 특별히 효 의식이 높지는 않았다. 넷째, 4개 효 의식 하위영역 모두에서 조부모와 동거하는 학생들의 효 의식 수준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다섯째, 성적이 상위권인 학생이 효 의식 하위영역 모두에서 효 의식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친애의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종교에 따른 효 의식 수준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독교 가정의 자녀가 효 의식 전반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결론을 지을 수 있었다. 우선 가설의 일부가 지지되지 않은 것은 가설 설정을 함에 있어서 효학 전공의 중등 교사들을 참여하게 하였는데 이들은 전통사회 속에서 교육받고 자란 세대이므로 핵 가정 속에서 자라고 개인주의적 성향을 띠고 있는 중학생들과 의식의 차이가 있는데서 온 결과라고 볼 수 있겠다. 그러므로 가정이나 학교에서 세대 간의 효 의식의 차이를 인식하고 현대를 살아가는 사춘기 학생들에게 걸 맞는 새로운 체제의 효 교육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본다. 즉, 부모와 자식은 상하관계일 뿐만 아니라 상호 평등한 인격과 인격의 만남으로 인식되어져야 하며 궁극적으로 효란 일방적이고 강압적인 것이 아니라 부모의 역할을 다 함으로서 자식 앞에서 떳떳하고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사는 부모로서 자녀에게 베푸는 자애로움과 함께 행하여져야 할 덕목임을 인식해야 할 것이고 효 교육의 기본 방향도 이런 맥락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wing to difficulty of application traditional hyo(meaning of filial piety) moral to modern society diffused with individualism, equalism within radical social change, in this thesis I will attempt to examine the consciousness of hyo for modern teenagers in middle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immanent concept of composition of hyo,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new education of hyo. So six hypothesis is proposed by interview with middle school teachers whose major is hyo(filial piety), and the results from questionnaire are testified. This study uses the framework of 'Universalisable Hyo-ethics System' with the subsystem of obedience, friendship, persistence and attorneyship. Following is findings as a result of analysis of questionnaire. Results of evaluation the consequence indicate the highest level of attorneyship among the four range of hyo consciousness, and next is persistence, friendship, obedience orderly. Attorneyship and persistence exceeded by obedience and friendship in average could be explained to the consciousness that obedience and friendship are not the absolute virtue otherwise children should be taken the blame of non-filial piety of trouble maker. Results of analysis of six hypothesis is that: First, male students scored higher on the range of obedience, persistence and attorneyship than female did. The level of consciousness of hyo is higher in male than in female. Second, the level of consciousness of hyo in 1st grade scored higher on four range all than 2nd grade and 3rd grade did, while the level of consciousness of hyo in 3rd grade scored the lowest on all range. Third, the consciousness of hyo has nothing of relevant the birth order. On the testifying of the difference according to birth order,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is first born scored not high. Forth, students lived together with grandparents scored largely high on all range than others did, but this score is not meaningful statistically. Fifth, students marking high in study scored high meaningfully on all range, friendship especially. Sixth, on religious it is scored nothing of difference each other, Confucianism, Buddhism, Christianity, Moslem etc. However children of christian family scored high on all range. From the resulting above, I am convinced following. Some of hypothesis is not supported, I think the reason is the conscious gap between middle school teachers who are raised and educated in traditional values and students who have a individual disposition to be fostered in core family. Our percepting the generational conscious gap, it need to prepare the new method of hyo education to fit for teenage students. The relationship of parents and children should be understood a encounter of person to person in equal as well as vertical relation. Hyo is not the one of one-side or coercive, but the virtue to be harmonized with friendship of parents who live a life with shameless and righteousness before children. In current society the direction of hyo education is desirable to head for this context.

      • <禮記>의 孝 倫理 體系에 의한 分析 : 초등학교 바른 생활과의 효 교육 활용 방안을 중심으로

        조천행 성산효도대학원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34319

        본 논문은 현대 사회의 효를 재정립하기 위해 「禮記」의 효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초등학교 바른 생활 교과서를 효에 관한 「禮記」의 내용과 비교 분석하여 초등학교에서 현대 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효 교육을 하여 자라나는 세대들에게 효의 가치를 일깨워주고 실천하도록 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위와 같이 효 윤리 체계에 의해 분석한「禮記」에 나타난 효를, 보편화 가능성의 효 윤리 체계의 4가지 변수인 순종, 친애, 존속, 대리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순종의 효가 50% 정도로 강조되어 있는 반면 친애와 존속 및 대리의 효는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禮記」는 신라 시대부터 사회 교화 정책의 일환으로 예의 범절 및 효에 관한 내용을 서민에게까지 교육하였으나 순종의 효를 많이 강조하고 제니터적 부모 자녀 관계에 의해 형성되는 친애와 존속의 효가 적게 나타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순종의 효를 지나치게 강조할 경우 보편화 가능성의 효 윤리 체계인 친애와의 조화 상실 문제를 가져오며 조화 상실은 결국 존속의 위기를 가져온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이러한 존속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현대 사회에 맞는 효 윤리 체계에 의한 새로운 효 교육 방향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禮記」에서의 효 윤리 교육 체계는 보편화 가능성의 효 윤리 체계에 의한 효성을 학습자에게 내면화시키고 이를 행동으로 이끌기 위해 반복 가능성의 습관화된 효행이 이루어져야 된다고 보았다. . 행위자 중심의 효 교육은 효행의 동기로서 인격 및 성품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러한 효행을 이끌어내는 메키니즘을 파악하기 위해 효를 구성하는 요소를 분석해 보아야 한다고 보았다. 효성의 구성요소로는 知, 情, 意 그리고 靈과 상호 관련하여 지적인 면과 관련된 판독(reading), 정서적인 면과 관련된 경건(fidelity), 의지적인 면과 관련된 행위(behavior), 영적이고 종교적인 면과 관련된 신념(belief) 이 있는데 이들이 서로 상호 작용을 통해 조화롭게 실천된다면 효 윤리 체계의 하위 변수인 순종, 친애, 존속, 대리의 효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고 보았다. 효 윤리 체계 덕목에 의한 연령별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효 윤리 체계에 있어서의 순종과 친애, 존속, 대리의 덕목들이 연령이 낮을수록 덕목이 구체적이고 수직성이 강한 덕목을 교육하기에 유리하고, 연령이 높을수록 추상적이고 수평적 관계의 덕목을 교육하기에 유리하다는 것을 알았다. 효 윤리 체계 덕목에 의한 교수- 학습 방법을 살펴보면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필요하고, 또 이들의 통합적 시도가 필요하다고 보았다.「禮記」에서는 지성적 습관화 방법과 모범 학습 방법으로 분류해 볼 수 있는데 이들이 어느 특정한 하나의 방법이나 틀에 박힌 모형에 의존하는 것보다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합적으로 구상하여 행동의 변화를 내면에서 행동으로 변화시키려고 했다. 또한 초등학교 바른 생활 교과서에서도 여러 제재 영역에서 다양한 학습 모형을 동원하여 통합적인 교육 효과를 올릴 수 있도록 하였다. 도덕적으로 요구되는 행동의 구체적 절차를 예시하거나, 옳은 행동 또는 그른 행동을 강화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모범적인 인물을 전형으로 제시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바른 생활 교과 교육에서 나타난 효의 규범을 습관화, 또는 내면화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 바른 행동을 익히기 위한 체험 학습의 장을 마련하여 행동의 변화를 시키려 했다. 이것은 효 교육은 가정과 학교, 사회 모두가 관심을 가지고 서로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면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보편화 가능성의 효 윤리 체계는 체계 상호간에 원만한 조화를 이루었을 때 지속적으로 유지 발전될 수 있다. 앞으로의 효 교육은 부모 교육을 강조하고 부모와 자녀간의 관계에 있어서 친애적 요소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한다. 또한 초등학교에서 현대 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효 교육을 통하여 자라나는 세대들에게 효의 가치를 일깨워주고 실천하도록 한다면 효는 보편적 윤리 규범으로 널리 통용되고 지속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현대 효 교육의 방향을 구축함에 있어 효 윤리 체계에 의해 「禮記」를 분석한 것을 교육에 도입,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그 이유는 효 윤리 체계에 의해 분석한 「禮記」의 효 윤리가 현대의 교육 방향과 그 맥을 같이 하며 그 예화가 교육적으로 활용 가치가 크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analyze Hyo in Yegi in order to reestablish Hyo in modern society, and to do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ight Life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 with the Hyo related contents of Yegi so that Hyo education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are reflected could be implemented in the elementary schools to guide the growing generation to realize the value of Hyo and to practice it. Hyo in Yegi analyzed with Hyo ethics frame was reviewed into the 4 variables of Hyo ethics frame of universalization possibility; obedience, affection, continuance, and represent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Hyo of obedience was emphasized by 50%, while affection, continuance, and representation were relatively less emphasized. It indicates that Yegi, as a part of social cultivation policy starting from Shinla era, educated propriety and Hyo even to the commons, though it much emphasized the obedience of Hyo, relatively less on the affection and the continuance which is formed in the parent-children relationship. However, excessive emphasis on the obedience of Hyo causes the loss of harmony with affection of universalization possibility, and subsequently the loss leads to the crisis of continuance. Thus,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of continuance, it is thought to be necessary that a new direction of Hyo education by Hyo ethics frame suitable to modern society should be established. As for the education frame of Hyo ethics of Yegi, Hyo mind should be internalized to the learners by Hyo ethics frame of universalization possibility, and be changed into habitual behavior to practice them. Doer-centered Hyo education underlines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and nature. To understand the mechanism which induces these Hyo behavior requires the analysis of Hyo components. This components include knowledge, affection, righteousness, reading in relation to intelligence which interacts with soul, fidelity in relation to emotion, behavior in relation to will, and belief in relation to soul and religion. If these are interacted and practiced in harmony, the sub-variables of Hyo ethics frame, obedience, affection, continuance, and representation of Hyo could be also possible. Reviewing the curriculum to age on the virtue items of Hyo ethics frame, the virtue items of obedience, affection, and representation are more advantageous in teaching concrete and more vertical virtue items when the learner's age is younger, while abstract and horizontal virtue items when the learner's age is older.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the virtue items of Hyo ethics frame ask for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as well as integration of them. The methods in Yegi could be divided into intellectual habituation and model learning. In the study, these were attempted to be changed into behavior in doer's inside by integrating various methods, rather than by relying on stereotype model or any special method. Also, for in the Right Life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 the study attempted to use various learning model in many restraint parts to make an integrating educational effect. In the study, Hyo norm in the Right Life textbook was attempted to be habituated and internalized, by giving a specific procedure of the behaviors required ethically, or suggesting how to strengthen the judgement of right or wrong doing, or presenting exemplary characters as the model. Empirical learning to learn right behavior was suggested to intrigue behavior change. All of these are because Hyo education should be accomplished by home, school, and society having concerns and cooperating closely each other. Concludingly, Hyo ethics frame of universalization possibility could be maintained and developed continuously only when each of the frame makes harmony. Future Hyo education should go in the direction that emphasizes the parents' role and the affectionate components in the parent-children relationship. To rewaken the growing generation about the value of Hyo and to encourage them practice it, through Hyo education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is reflected, could help Hyo to be used widely as a universal ethic norm and to have continuation. Lastly, I suggest to introduce and use what was analyzed in Yegi with the ethic frame from the study in setting a direction of modern Hyo education. It is because the Hyo ethics of Yegi analyzed to Hyo ethics frame is in line with modern Hyo education direction, and the examples are thought to be good in terms of utilization value in education.

      • 효 윤리 체계에 의한 「동몽선습」의 효 교육 연구 : 초등학교 효 교육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김종화 성산효도대학원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34319

        도덕은 한 사회를 지탱하는 가장 중요한 기초이다. 그러므로 자라나는 세대들이 높은 도덕적 품성을 지닌 사람이 될 때 그 나라의 장래는 밝을 것이다. 따라서 유·소년기의 도덕교육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이 시기에 전인적 인격형성을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함은 두 말할 나위도 없다. 역사는 과거와 연결되고 나아가 미래를 지향한다. 따라서 보다 나은 미래의 교육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과거로부터 발전과정의 원동력이 되었던 전통교육사상을 분명히 알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생활 속에서 실천윤리를 중시하여 어린이들을 가르쳤던 『童蒙先習」을 體系論的 분석을 통해 초등학교에서의 효 교육 활용 방안에 대한 교육적 考察을 시도하였다. 『童蒙先習』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의 틀로써 '보편화 가능성의 효 윤리 체계'에 의한 네 가지 변수(順從, 親愛, 尊屬, 代理)를 구축하고 그 근거를 동·서양의 종교(기독교, 유대교, 불교, 유교, 도교)와 철학에서 효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분석의 틀을 이용하여 『童蒙先習』을 분석하였다. 『童蒙先習』의 분석은 사실상 『童蒙先習』의 여섯 편중에서 총론을 제외한 다섯 편<父子有親>, <君臣有義>,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 중에서 孝의 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 父子有親>, <君臣有義>, <長幼有序>의 세 편을 분석하였다 그 이유는 효 윤리와 다소 관련이 없는 <夫婦有別>, <朋友有信> 편을 제외한 <父子有親>, <君臣有義>, <長幼有序> 편은 비교적 효 윤리가 잘 나타나 보편화 가능성의 네 가지 변수로 분석이 가능하였기 때문이다. 분석의 결과 보편화 가능성의 하위 체계에 있어서 주로 순종의 변수와 관련이 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친애와 존속, 대리의 내용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과거의 효 교육은 순종의 효만을 중시하고 제니터적 부모 자녀 관계에 의해 형성되는 친애와 존속의 효가 제한적으로 나타나게 되어 결과적으로 보편화 가능성의 효 윤리 체계인 친애와의 조화상실에 문제를 가져오게 하였다. 이런 조화상실은 결국 존속의 위기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존속의 위기극복과 관련하여 사회구조가 변하고 생활 양식이 바뀜에 따라 과거의 전통 효 윤리를 오늘날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새로운 효 교육 방향을 정립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중 효 윤리 교육체계는 효 교육 방향을 새롭게 설정할 수 있다고 생각되며 그 중 관심을 끄는 것은 효 행위자 교육과 관련지어진 효성의 구성요소(判讀, 敬虔, 行爲, 信念)이다. 본 연구는 『童蒙先習』을 초등학교 효 교육에 적용하기 위해 효 윤리 교육체계의 효성의 구성요소와 관련지어 분석하여 보았다. 초등학교 도덕 교육에서 一翼을 담당할 수 있으라고 기대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童蒙先習』에 나타난 효 교육을 토대로 오늘의 현실에 맞는 도덕교육을 실시하고 인륜을 닦고 익히어 실천하는 일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순종만을 강요한 듯한 종래의 형식적이고 비능률적인 효 교육 방법을 지양하고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효 교육방법을 모색하여 아동 스스로 효 사상과 태도를 형성해 나가도록 이끌어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효행동의 습관화를 지속적으로 추진시킬 다양한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앞으로의 효 교육은 개인의 인간성회복 뿐만 아니 라 다양한 공동체의 회복을 위한 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Morality is the most important foundation to keep our society. Therefore the future of the country will dawn when the young generations become the people who keep a high moral width characteristic. Consequently, we can know that the moral education is very important in one's childhood. Needless to say, we should make our best endeavor to mold the well-rounded character of people. A history connects with the past and moreover heads for the future. So we should know the educational idea from the past to grasp today's educational reality and find the better educational future course. In this view, this study tried the educational efforts to use 「Dong Mong Seon Seub 」taught to the infant and child, analyzing it in the point of the system theory, for the Hyo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It was constructed four parameters (obedience, friendship, persistence, attorneyship) by 'the morality system in Hyo with th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as the frame of the analysis to analyze 「Dong Mong Seon Seub」. And it could be worked as the frame of the analysis to present the basis on the content of Hyo in the religions of East and West (Christianity, Judaism, Buddhism, Confucianism, Taoism) and the philosophy. Among the <Bujajichin>, <Kunsinjieui>, <BuBuyubyeol>, <Bunguyusin> and <Zangyujiseo> from the six sections of 「Dong Mong Seon Seub 」with the exception of "A collection of treatises" the result analyzed <Bujajichin>, <Kunsinjieui>, and <Zangyujiseo> was closely connected with the parameter of obedience in the subordinate system of th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In this traditional society, the reasons focused on Hyo of obedience are as follows. The result analyzed 「Dong Mong Seon Seub」was closely connected with the parameter of obedience in the subordinate system of th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Besides it is included the contents of love, continuance and attorneyship. However, Hyo Education of past focused on the Hyo of obedience and restricts the Hyo of love and continuation formed by Genitor relationship of parents sons and daughters. In that result brought losing the harmony of love as Hyo Ethical system problem of th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In this point of view, the crisis of continuation can be occurred by losing the balance. In connection with the crisis of continuance to overcome, there are many problem to apply in the present time like that Hyo ethics of traditional past by changes of life style and the organization of society. Therefore it needs to establish the way of proper Hyo education in modern. The morality education system in Hyo is considered establishing the way of Hyo education newly and arousing the interest among them is constituent factors (reading, fidelity, behavior, belief) of Hyo connected with the education of Hyo doer. This study analyzed 「Dong Mong Seon Seub」to apply Hyo education in elementary in connection with the constituent factors of Hyo of the morality education system in Hyo. It is expected that we can assign a part in plan of Hyo education or moral education of modern by the morality education system in Hyo. From a this point of view, that is a significance work to carry out the way of proper hyo education in modern and to practice the basic moral life and humanity by improving and training upon our's virtue. In order to do that , we should search reasonable Hyo education methods to lead a young generation to mold and advance Hyo thought and attitude themselves as well as sublate formal and inefficient Hyo education methods which exact obedience in the past. On that account it is necessary to prepare various teaching plans to propel habit of Hyo behavior continuously. Consequently it should make progress towards not only recovery of human nature by individually but also the direction which strengthens a function for Community recovery.

      • 孟子의 孝윤리체계 연구 : 孝교육과 관련하여

        조영기 성산효도대학원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34319

        전통적 孝사상은 孔子에서 정초되어 孟子에게서 성선설을 바탕으로 이론화되었는데, 孟子는 "어린아이도 그 부모를 사랑할 줄 모르는 이가 없으며, 커서는 그 형을 공경할 줄 모르는 이가 없다."고 하였다. 이는 사람의 善한 본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孟子는 선한 본성의 근거를 '不忍人之心(차마 할 수 없는 마음)'이라고 했다. 이러한 孟子의 논리는 어떠한 조건이나 이유도 없다. 이는 시민사회의 합리성만 가지고는 설명할 수 없는 가치와 의의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보편화가능성의 孝윤리체계'에 의한 孟子의 孝사상 분석을 통하여 첫째, 孟子의 孝사상이 과연 세간의 비판처럼 시민윤리와 충돌되는 것인지를 검토해보았다. 둘째, 孟子의 孝윤리체계가 시사하는 보편화 가능성이 있는 孝교육의 방안을 찾아보았다. 본 연구가 분석의 대상으로 한 것은 『孟子集註』 이다. 따라서 맹자집주 이후의 다양한 孟子해석은 논외로 하였다. 분석의 틀은 박철호가 구축한 '보편화가능성의 孝윤리체계'를 그대로 원용하였다. 이는 보펀화 가능성이 있는 孝윤리의 분석과 구축을 하는데 보편화가능성의 孝윤리체계가 가지는 의의를 밝히는 것이기도 하다. 보편화가능성의 孝윤리체계로 孟子의 孝사상을 분석한 결과, 孟子는 '심지어 자신을 죽이려한 완악한 부친에게 까지도 孝行을 한 舜임금'을 칭찬하면서 順從의 孝를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또한 순이 부모에게 알리지 않고 결혼한 것을 權道로 인정하고 있다. 특히 孟子는 公孫丑가 "군자가 직접 아들을 가르치지 않음은 어째서입니까?"라는 물음에, "… 부자간에 는 責善하지 않는 것이니, 책선하면 정이 떨어지게 된다. …"라고 하였다. 이는 에베소서 6장 4절의 "아비들아, 너희 자녀를 노엽게 하지 말고, 오직 주의 교양과 훈계로 양육하라."와 같이 부모에 대한 孝로서 부모공경이나 부모에 대한 順從을 강조하면서도 부모의 자녀에 대한 도덕적 의무를 또한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통하고 있다. 이는 일찍이 孟子가 부모와 자녀 관계에 있어서 상호주의적 대응 관계를 구축하고자 한 것임을 볼 수 있다. 또한 孟子는 存續이 부모 봉양뿐만 아니라 자식의 存續도 동시에 의미 하는 것으로 修身도 중요한 孝行이라고 하고 있으며, 存續의 孝를 행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경제적 수요, 즉 恒産이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래야 섬김과 存續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특히 孟子는 홀아비 과부 무자식 고아 등 호소할 곳조차 없는 가장 곤궁한 사람들을 우선 구제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 구제를 통하여 백성의 공경과 孝道가 가능하다고 말함으로써 孝를 사회적 차원, 즉 사회복지로 까지 확장하고 있다. 한편, 孟子의 孝사상에서는 절대적 神에 대한 관념은 없지만 代理 의 孝도 찾아 볼 수가 있다. 孟子는 人心을 天爵이라고 하였으며 부모를 기쁘게 해드리는 것은 誠心에 있다고 하면서 하늘의 道(誠者)를 그리워하고 그 도를 닮아가려는 노력(思誠者)이 부모를 기쁘게 하는 孝라고 하고 있다. 특히 孟子의 孝윤리체계에서는 親愛의 孝와 存續의 孝가 강조되고 있는데, 親愛와 存續의 성격이 강조된 孝는 자식으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孝行을 유도하도록 하는 메카니즘의 작동을 높인다는 점에서 설득력이 높으며 시대를 달리한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孟子의 孝윤리체계가 시사하는 孝교육은, 오늘날 孝교육이 상호 인격적이고 평등한 관계로 이루어 져야 한다고 할 때, 교육의 내용면에서는 '親愛'적 요소와 '順從'적 요소가 조화를 이루는 것이어야 한다. 그럴 때 지속적으로 存續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고 본다. 교육의 방법으로 孟子는 학습과정의 순서와 체계성을 중시하면서 勿助長하라고 말하고 있다. 그는 송나라 사람이 '싹이 자라지 않은 것을 민망하게 여겨 뽑은 것'을 예로 들면서 순서와 체계성을 무시하고 성급한 성과를 기대하는 어리석음을 비판하고 있다. 이러한 孟子의 교육방법을 고려해 볼 때, 孝교육 방법은 박철호가 제안하고 있는 '孝교육의 분포도'에 따른 교육이 적절하다고 본다. The traditional thought of Hyo was started by Confucius and theorized by Mencius on the basis of the ethical doctrine of innate goodness. Mencius said that there isn't any child who can't love his parents, and he naturally understands how he respects his elder brother when he grows up. This is based on the fundamentally good human nature, and Mencius regarded the origin of innate goodness as a heart which cannot stand to see the suffering of others(不忍人之心). Such Mencius' logic doesn't have any condition or reason. It has some value and meaning that we can't explain with only the rational character of the civic society. Through the analysis of Mencius' Hyo by the System of Hyo Ethics with the Possibility of Universalization, this study tries first to examine whether Mencius' Hyo really collides against the civic ethics as the world's criticism, and second to figure out the way of Hyo education which the system of Mencius' Hyo ethic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universaliz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Variorum Edition of Mencius(孟子集註). So the other various analyses on Mencius after the Edition are not included to discuss. Park Chul Ho's System of Hyo Ethics with the Possibility of Universalization is used for the frame of the analysis. That can also identify the System of Hyo Ethics with the Possibility of Universalization while analyzing and composing Hyo ethics which has the possibility of universalization. As we examine the result of the analysing Mencius' Hyo ethics through the System of Hyo Ethics with the Possibility of Universalization, Kung Sun Ch'ou(公孫丑) asked ‘Why doesn't the true gentleman(君子) educate his son himself?’ Mencius answered ‘Fathers never tell their children to be good, and if they scold their children, the children get disaffected with their fathers.’ We can see the same point in Ephesians 6:1~4 ‘And, ye fathers, provoke not your children to wrath : but bring them up in the nature and admonition of the Lord.’ We can understand that both of them emphasize the obedience and the respect as the Hyo for the parents while they stress the need of the parents' ethical duty to their children. It is sure that Mencius tried to consist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And besides Mencius thought that persistence means not only the support to the parents but also the children's persistence. He said Moral training is a very important kind of Hyo. Thus Mencius' Hyo ethics emphasizes the parents' friendship for their children and persistence to their parents, it is persuasive to the modem society because it naturally induces the children to do the Hyo. When we decide that today's Hyo education must be made up of human and equal relationship, the contents of Hyo education presented by the system of Mencius' Hyo ethics has the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friendship for their children and the children's obedience to their parents. This continuously provides the basis of the persistence. Mencius proposed the way of education that the sequence and the system of curriculum is important and people should not be impetuous. Considering this educational way of Mencius, the proper way of Hyo education is that following the distribution of Hyo education which is presented by Park Chul Ho.

      • 야곱의 아들 요셉을 통해 본 성경 속의 효에 대한 고찰

        정현숙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34319

        사회의 발전으로 증가하는 문화적 욕구는 좀 더 많은 부(富)와 시간적 자유를 요구하고 있다. 이를 충족하기 위하여 여성들의 사회 참여(社會 參與)가 높아지고 자녀 양육의 어려움을 겪으면서 저 출산이 극도에 달하고 있다. 또한 의료기술의 발달과 건강관리에 관심을 쏟으며 평균수명이 늘어나 급속히 증가한 노부모를 모시기 싫어하며, 자녀수가 적어져 자식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일상에서 자녀를 우선하게 되면서 가족체계가 자녀 중심으로 바뀌어 가정의 근본인 부모를 공경하는 효행 정신이 약해져 도덕적 균형을 잃어가는 위기가 다가오고 있다. 이렇게 사회와 가정에서 많은 문제들이 발생되어지자 사회 질서를 바로 세우기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효 실천에 대한 강조가 늘어나고 있어 이를 실현할 방안의 강구가 요구된다. 효 실천은 육신(肉身)의 부자관계에서 요구되는 인간 사이의 윤리일 뿐만 아니라 하나님이 내리신 명령이며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님께서 직접 행하신 도리(道理)이기도 하다. 더구나 효 실천은 모든 종교와 이념을 초월하고 계층과 세대차를 극복할 수 있는 사회 질서 확립의 묘책(妙策)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맥락에서 성경 속의 효는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신앙을 가진 사람들은 어떻게 효를 실천할 것인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하나님은 인간을 창조하시고 많은 축복을 내리시어 인류가 번성(蕃盛)하고 약속의 땅으로 갈 수 있도록 인도하신다. 족장사에서 출애굽으로 이어지는 역사에서 하나님은 여러 세대를 거쳐 함께하시며 이스라엘 백성을 한 가정으로부터 민족을 이루게 하신다. 이 과정에서 여호와는 자연의 재앙(災殃)인 대기근(大饑饉)으로부터 이스라엘 백성을 구하고자 하며 그 뜻을 사역(使役)할 자로 야곱의 아들 요셉을 선택하고 고난으로 굳건한 믿음을 시험하시며 요셉이 진실하고 성결한 삶을 살고 하나님의 명령인 효를 실천하게 할 수 있도록 축복을 내리신다. 요셉은 하나님을 경외(敬畏)하고 믿으며 의지한 굳센 신앙의 인물로 아버지 야곱의 말씀에 순종하고 은혜를 잊지 않으며 아버지를 잘 봉양하고 형제들과 화목 하는 효를 실천한 구약성경에서 효의 표상(表象)이라 할 수 있는 사람이다. 이러한 요셉의 생애를 통해 성경 속의 효를 알아보고 그가 실천한 효와 하나님 말씀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고 효의 근간(根幹)이 되는 부자관계는 어떤 것인지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효 실천은 하나님의 명령이며 부모와 자녀간의 관계는 수직적 절대적인 것으로, 자녀는 하나님을 경외하고 성경 말씀을 따르며 부모에게 순종하고 부모의 은혜를 잊지 않고 가까이 모시며 성심으로 봉양하여야 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모의 기능과 의무는 무엇보다도 신앙에 철두철미하여 올바로 형성된 신앙적 유산을 자녀에게 전수하고 자녀를 양육하고 보호하여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정리하여 우리가 효(孝)를 행(行)하기 위해 실천해야 할 하나님의 말씀이 무엇인지를 요셉의 효로 구체화하였다. Driven by civilization, the ever mounting desire to attain a higher level of culture requires us to devote more wealth and personal tim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must sacrifice the quality time demanded for raising children seriously. This causes us an extremely low national birth rate since women have to take part of social activities more often. Also, the traditional value of caring for the elderly is diminishing significantly due to the fast-growing number of seniors with increased average life spans helped by advanced medical technologies and increased public concern toward health care. Increasingly, people are giving more attention to their children and placing less emphasis on their senior members. Caring for parents used to be a symbol of a culture’s commitment to honoring their parents. But today, a weakened filial piety has become a moral crisis. These newly brewing problems in family and society desperately need a solution. In order to restore the culture’s filial piety, many have strongly demanded a determined focus on solving this crisis. Filial obligations are not only a matter of human morals, but they are also part of God’s commands. Jesus Christ, the Son of God, fulfilled his obligations to his God directly. Furthermore, a restoration of filial piety would cure many social problems, and this goal should help us overcome any differences of belief or ideology, and any gap in social status or generation. In the interest of pursuing this approach, let us consider the true meaning of filial piety in bible and how all Christians can fulfill our share of filial obligations to our parents. God created humans and blessed us as he let us spread through the world and as he led us to a promised land. As we can see from the history of the Patriarchs and in the Book of Exodus, God sent many generations of his chosen people to flourish, after he had led them to a promised land. So the people of Israel created nation from one family. Jehovah saved Israel from the famine and he selected Joseph the son of Jacob to carry his will. God put Joseph through hardship to test his strength of belief and eventually blessed him with a purified life with a chance of fulfilling God’s command of filial piety. Joseph was a very religious man who he believed, respected, trusted, and relied on God. Joseph is the best model in the Old Testament of one who fulfilled his filial obligations. He obeyed and cared for his father Jacob, he never forgot to repay the kindness he received from others, and he kept good harmony with his brothers and sisters. Through Joseph’s life we can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of filial piety and God’s words in the Bible. As we contemp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e can see that God has commanded children not to forget their parents’ favor. They should obey their parents since the parent -child relationship is vertical and absolute. Children must respect God and should take care of their parents with their best efforts. In turn, the number one function and duty of parents is keeping a strong faith that can be handed over to their children. A solid religious upbringing is a good protection. To sum up, Joseph’s example shows us the details of God’s commandments concerning filial piety.

      • 알고리즘에 의한 사친·사군·입신의 변환모델에 의한 사례분석

        박일기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34319

        본 논문은 전통적 효사상으로 여겨온 사친∙사군∙입신이라는 최고의 가치덕목을 알고리즘의 효로 변환하여 21세기 현대인에게 시대에 맞는 새로운 형태의 실천방법인 알고리즘의 효개념을 도입하는 데 목적이 있고, 달라진 시대에는 그 시대에 부합한 새롭고 현대적 실천방법을 찾아내는 데 필요성이 있다. 그 과정에서 우선 변환모델 연구를 위한 효사상을 검토하였으며 그 다음은 변환을 위한 개념도입과 변환도구를 다루었다. 전통적 효는 가정공동체에서 발원하므로 효의 출발점은 불감훼손의 신체보존이다. 이를 오늘날의 개념으로는 생명존중, 인간의 존엄성, 공동체 정신이라고 서술하였다. 효의 원리에는 무한 확장론(孝之大也)과 무한 영속론(孝亡終始)이 있다. 효는 또한 가정과 국가의 생존과 번영을 위한 윤리로서 확장자이고 변환자이며, 연산자임을 시대에 맞춰 해석하였다. 변환모델을 위한 도구로는 라플라스 변환(등가변환) 개념, 수학적 논리공식의 알고리즘, 공학적 설계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논문의 핵심인 사친∙사군∙입신의 알고리즘 변환을 통하여 5개의 알고리즘 효 모델을 전개하였다. 우선 사친의 영역에서는 부모공경을 변환하여 제1알고리즘의 효 정의 모델을 추론하였다. 두 번째, 은혜와 보은의 변환을 통해서는 효 구조 모델을 정립하고 이를 제2 알고리즘에 의한 효 구조 모델이라 하였다. 세 번째, 사군의 재정립은 가정과 국가관계, 효와 충의 관계를 알고리즘으로 해석하여 효 특성 모델을 유도하였다. 이를 제3 알고리즘의 효 특성 모델이라 칭하였다. 네 번째, 입신의 변환은 인생의 출발을 위한 준비 단계로서 처음 30년을 제1단계 자기완성, 다음 31세부터 60세까지를 제2단계 자기완성, 그리고 은퇴 후의 황혼기인 마지막 61세에서 90세까지를 제3단계 자기완성으로 보고 이를 제4알고리즘에 의한 단계별 자기완성 효 모델이라 하였다. 다섯 번째, 공동체간 위상성을 통하여 그 절대값을 알아보려는 모델로 이를 제5알고리즘에 의한 상대적 가치 산정 모델이라 하였다. 변환모델을 근거로 평가모형에 의한 사례분석을 구하고 결론을 맺었다.

      • 효와 성공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윤제중 성산효도대학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34319

        『효경』은 ‘입신양명(立身揚名)’을 ‘효도의 끝’이라고 하였다. 즉 부모님과 가문의 이름을 아름답게 드높이고 부모님의 삶을 보람 있게 만드는 ‘자녀의 성공’은 최상의 효도라는 것이다. 기독교의 『성경』에서도 “네 부모를 공경하라, 그리하면 너의 하나님 나 여호와가 네게 준 땅에서 네 생명이 길리라.” 고 하면서 ‘부모 공경’과 ‘장수 축복’을 하나로 연결하고 있는데 이는 ‘효와 성공’은 옛날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믿어왔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효도’란 부모를 공경하고 의식주등 물질적 필요를 충족시켜 드리는 것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바쁜 일상에 쫒기며 살아가고 자신의 자녀 키우기에도 빠듯한 생활을 하고 있어 부모를 위한 시간적 경제적 여유를 못 만들고 있으며 이러한 우리들의 자화상은 최근에 발표되는 각종 통계자료에 그대로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다. 최근에 출판계에서 베스트셀러로 선정되는 책 중 많은 것이 성공자의 자서전이나 그들이 깨달은 성공의 방법에 관한 책이라는 사실은 사람들의 주요 관심사는 ‘자신의 성공’이라는 것을 말하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사람들은 자신의 성공을 추구하느냐고 너무 바빠서 부모를 돌보지 못하는 불효자가 되고 있는” 현실 인식을 통하여 효와 성공의 연관성을 찾아보려는 첫 시도인 것 같다. 만약 효도하는 사람이 불효자 보다 자신의 삶을 성공으로 이끌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논리적으로 증명되고 그것을 실증하는 사례가 많이 있다면 사람들이 부모를 보는 시각에 변화가 일어나 각자의 생활에서 부모에게 관심을 두는 일에 우선순위를 더 높이고 부모봉양을 위하여 쓰는 돈에 덜 인색할 수 있을 것이며 세상은 좀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성공을 ‘정직하고 성실한 과정을 거쳐서 목적한 바를 이루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그에 부합하는 성공을 이룬 사람들의 ‘성공론’을 비교 분석하여 성공의 기본요소를 3가지로 요약하였다. 그리고 동서의 고전을 종합분석 하여 효자, 효녀가 그들의 ‘효도’를 실천하며 사는 삶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터득되는 성품이 무엇인지 찾아내어 그것을 성공의 기본요소와 비교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효행’으로 얻는 성품과 주위 사람들에게 감동과 도전을 주는 진정한 성공자들로부터 발견되는 ‘성공의 기본요소’가 일치한다는 것을 본 연구는 발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하는 데이터는 동서고금의 ‘진정한 성공자’들의 삶 속에서 충분히 발견된다. 그들의 부모는 그들을 어떻게 양육하였으며, 그들은 부모에게 무엇을 배웠고, 부모를 어떻게 대하고 있으며 자신의 자녀를 어떻게 키우고 있는지를 보면 ‘효와 성공’이 얼마나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놀랍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발견을 나 자신의 삶에 적용하여 실행에 옮기면서 많은 사람에게 전하고 싶다. It has been said that to be a success is the best way of filial piety for long time in the East. We can easily find same idea in the Bible. These facts implies that there are close relationship between filial piety and success. 'Filial piety' is to respect one's parent and timely supply them the necessities of life. Most people are too busy to do that. Regarding to recent statistical research, the youth shows less and less respect to the old. But they find the way to be a success with ardor. This paper may be the first attempt to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filial piety and success. If it is proved that the filial child has higher possibility in being a success than a humdrum and one can easily find those cases around him, the paradigm for one's parent will be changed dramatically. And this planet will become more wonderful place to live. That's the reason why I have devoted myself to this job so long. Thank you.

      • 효(孝)목회가 기독교인의 효의식에 미치는 영향과 필요성에 관한 연구

        강선호 성산효도대학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34319

        효는 한국인의 독특한 정신문화를 대변하는 것으로 사람들의 의식속에 깊이 내재되어 자손대대로 한민족에게 이어져 내려왔다. 효의식은 급격한 사회적 변화를 겪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절실히 요구되어지는 소중한 정신적 가치이다. 이러한 효의식은 가족, 단체, 사회속에서 상호간에 요구되어지는 사랑, 공경, 신뢰, 그리고 통합을 이루고 지탱해 나가는 원동력이 된다. 우리나라의 전통적 효의식은 기독교인들의 정신세계에도 깊이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기독교인들이 먼저 성경에서 말하고 있는 효의 참된 의미를 알고 실천해야 한다. 기독교의 효는 포괄적이고 긍정적인 사상을 내포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성경을 통하여 효의 실천을 강조하고 가르치고 있다. 즉, 신과 인간과의 근원적인 관계를 명확히 말하고 있으며 인간에 대한 계명으로써 부모공경 더 나아가 가족사랑, 나라사랑, 자연보호, 인류봉사의 포괄적이고 발전적인 요소들을 두루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교회내에서 효교육 및 실천 등과 관련된 효목회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교회내에서 효교육이 왜 필요하며, 이를 통한 유익성은 무엇인지 그리고 실제적인 효목회의 사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목회자가 ‘성경의 효’를 성도들에게 가르치고 효의 실천을 강조하면서 효목회를 하고 있는 교회와 상대적으로 효목회를 소극적으로 수용하는 교회의 성도간에 드러나는 효의식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교회내에서 효목회의 필요성을 찾고자 한다. 이에 성인성도와 청소년을 합쳐 총 5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여 표집된 결과를 분석·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효목회를 적극적으로 하고 있는 교회의 성도들이 그렇지 않은 교회의 성도들보다 효의식이 높았으며, 효목회의 유무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성도들이 교회에서의 효목회를 좋게 받아들이고, 효가 복음전도에 도움이 되며, 효를 강조하는 설교가 부모공경을 하는데 긍정적인 자극제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성경적인 효목회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교회에서 목회자가 성경의 효를 가르치고 효의 실천을 강조하는 효목회에 대하여 성도들은 중요한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효목회를 긍정적?적극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교회내에서 성경적 효를 구체적으로 연구하고 성도들에게 가르칠 필요가 있다. Hyo (filial piety), a unique metal culture of Korean, is rooted deep in Korean consciousness and hands down throughout generations. Hyo consciousness is a cherish mental value that is especially demanded for modern people who have been placed in critical social changes. This consciousness is a driving force which enables us to have love, respect, trust and integrity needed for everyone in family, community and society. The Korean traditional hyo consciousness is closely connected with Christianity. Thus, it is necessary for Christian to know the teachings and the meanings of hyo in the Bible. Hyo in the Bible has comprehensive and positive thoughts also Christianity reinforces and teaches the practice of hyo concretely. In the Bible, therefore, it is explained clearly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and the origin of human beings of origin, and the first commandment toward other human beings from God to human, namely respecting parents. And the Bible has also comprehended the love of family, the love of state, and the service for humankind, which might result in as the mind of hyo diffuses into the various realm. In this reason we can see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of hyo and the practice of hyo in Church, and it leads us to pay attention to the hyo pastorate. In this re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hyo education and to present the possibility and the practical case of hyo pastorate. Futhermore, I contrast two groups: one is hyo pastoring group in which pastors teach biblical hyo and emphasize the practice of hyo in the church, the other is comparatively weak in hyo pastoring.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 present the basis of hyo pastorate. I have analyzed and compared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of 500 persons, including both adult and youth in the churche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 The Object group that has positive hyo pastoring is higher in hyo consciousness than the contrasting group that has negative hyo pastoring. Most members in both of two groups accept positively the hyo pastorate in church regardless of the intensity of hyo pastoring. They think of hyo to be useful for evangelism, and consider hyo-emphasizing sermons as a good stimulus to respect parents. On this results it could be said of the possibility of biblical hyo pastorate. It is important for pastors to recognize that laypersons appreciate hyo as a significant value in church. So, it is necessary to study hyo in the view of Christianity and to teach hyo consciousness and acting of hyo in chu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