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대미술의 키치적 표현 연구 : 본인작품 중심으로

        박영주 단국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583

        Johannes Brahms(1838-1897) was a 19th century neo -classical composer in the period of romanticism, who followed in the footsteps of Schubert and Schumann in composing representative Lieder. Brahms works branched across many disciplines, opera was the only from that he did not produce. His main interest lied within lieder, he spent half of his life working on lieder producing total of 200 song. Main characteristics of Brahm's lieder is concentrated on melody and main thematic's of his song are about nature, love, religion, death and what lies within the hearts of man. Also, Brahms deep interests in folk song and folk music dominated his ideology so much that he drew much of his inspiration for his work from folk melody and folk texts. Brahms Op.103「Zigeunerlieder」represents his deep interests in folk music and is based upon Hungarian folk music from the Hungarian gypsies. Through this analytic study, I hope to be better able to relay the feelings the messages of the composer to the audience during my recital. Following are the analyses of the 8 songs. This is composed of 8 songs and is mainly based on 2 part form and the 4th song is in 3 part form. First, you can see the simplicity of the songs. Measures of the songs are in simple duple meter and besides the 7th song all songs are in fast tempo. Majority of the melody is in diatonic scale and in folk style. Rythm is in repetitive from ?♪, ??,♩♩, ??, ♬♬. This simplicity is a major characteristic of the folk music. Secondly, by incorporating non sequential poems, Brahms is able to show the wondering and bohemianism. Besides some minor marking of the dynamics on the piano melody. There is no direction of any kind on the vocal part by the composer, which allows the player to break free of constraints and truly let's the player Thirdly, the player must be able to connect the non sequential poems in a such a way that the audience is able to understand the story in the manner that the composer wanted to express. The player must practice accurate pronunciation and be able to dynamically expre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peating parts so to accurately relay the true mood oThis study focused on determining the origin and concepts of "kitsch" along with its general attribute so that we can make an attempt to apply kitschy image to artistic works, which is shown in the general flow of contemporary fine art. The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kitschy concepts and contemporary fine art along with the kitsch as mostly shown in popular art and analyze the works showing kitschy factors from actual pop art works. Furthermore, this study also intends to reveal the reason of creating my works in terms of a question asking which values support some kitschy applications in my works, and look into general theories and natures of kitsch respectively in terms of my works. Finally, the study seeks for how to develop the kitsch through kitschy position and review in fine art. This study criticizes kitsch on the basis of theories on artistic and cultural kitsch phenomena, which may be a pictorial expression element and a work direction of my works. Moreover, the study identifies which visual effects using kitschy objet and materials are applied to illustrate inner mentality of my works and satirize our society through some phenomena in mechanical civilization, which bourgeoisie/proletariat, class upgrade, popularization and repetitive phenomenon. That is why I decided the study on kitschy expressions shown in contemporary fine art as the theme of this article. In the work analysis, this study describes a background around which my works formed, and confirms an internal world concealed in our contemporary society, the variety of material as emphasized for a criticism of our society that are often confused with appearance and decorations and the importance of recognition for the future society as well. Additionally, the stud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 of each media, technical effects and a developmental course of works. Conclusively,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comprehensive kitschy factors and subdivide them into several categories in terms of my works as partially accepted, then reveal what I want to express. f the Hungarian gypsies to the audience.

      • 고통의 상징적 표현에 관한 연구 : 본인의 작품을 바탕으로

        조세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83

        My thesis is a research in which where my work is utilized to unfold the symbolic aspects of pain while scrutinizing its ontology, as well as the positive process towards the very answer that I seek. Living as a societal individual, it is inevitable for one to not go through pain and suffering; these misfortunes are often of the unconscious and they go unnoticed, but the reality of such misfortunes are revealed through the symptoms of pain. In order to visualize the rather enigmatic origin of pain, I put the main focus of it on its symptoms. I am terrified of the inevitable pain that is inherent in life and my curiosity to understand the ontological aspect of this pain became a catalyst of my inquiry. I relate my research to Nietzsche's idea of the modern man being saturated in 'emptiness' and the modern civilization overcoming this 'disease' via trial and error, ultimately leaning towards a better state. Symbolically manifested psychological and abstract states like these are merged with reality, where such states cannot be categorized and then mass-produced.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rauma, the concealed nature of the rather 'empty' modern subject which Nietzsche refer to is revealed layer by layer, and the unraveling - the symbolic portrayals of trauma on canvas - repeated throughout my work. The revelation of pain and its symbolic repetition are not only from my subjective experience and memories, but are also of the cultural and the social, encompassing both the particular and the universal. Through morphed symbols and unidentifiable forms, pain is depicted through the rebirth of senses. Lines represent the residue or trace of individual action, and the bright and jubilant colors simultaneously conceal and illuminate the very essence of pain. Symbols and codes in contrast with the lines and color imply different things to each viewer, reminding of different sensational experiences. The essence of the work 'circulates' simultaneously, to and fro the subject and viewer. While mercilessly demonizing pain, I try to portray it in a rather insignificant way. My work provides the viewer with an opportunity to re-live the moments of various pain, looking at the world in a direct and realistic manner. Pain manifested through this framework is like the perspective of the perfect unadulterated child looking at the world in brutally realistic manner. By 'ventilating' pain from the mind through my work, I hope to bring clarity to the embedded problems in life and rejuvenate and revitalize the meaning of life. 본 논문은 본인의 작품을 통해 나타난 상징적 표현을 통해 고통에 대한 본질적 질문을 던지는 동시에 이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으로서의 연구이다. 한 개인으로써, 또한 사회의 일원으로써 삶을 살아가는 과정에는 여러 가지 필연적인 상처가 존재한다. 이러한 상처들은 때때로 무의식에 억압되어 주체가 인식하지 못하지만 증상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본인은 이러한 증상으로서의 고통에 주목하고 이 원인을 알 수 없는 통증의 근원을 작품을 통해 시각화하고자 한다. 본인은 존재하기 때문에 겪을 수밖에 없는 고통에 대한 공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두려움이 고통의 본질을 이해하고자 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이는 니체가 말한 허무에 빠진 현대인과 현대문명이 그 질병을 통해 오류를 극복하고 참된 사유를 시작할 수 있다는 견해와도 같다. 상징으로 나타나는 이러한 심리적 외상은 구조화할 수 없고 재현될 수 없는 실재의 영역과의 만남이다. 이러한 트라우마를 통해 비가시적이던 존재의 은폐된 본질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작업을 통해 나타나는 상징은 이러한 트라우마의 시각화 과정으로써 반복적으로 표현되어진다. 상징의 반복을 통해 심화된 고통에 대한 사유는 개인적 경험으로써의 기억뿐만 아니라 점차 문화와 사회를 넘어 공유할 수 있는 원형의 모습으로 확대되어 갔다. 본인은 이러한 고통에 대한 사유를 변형된 상징과 비재현적 조형요소를 통해 감각의 재현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행위의 흔적으로 나타나는 선과 밝고 경쾌한 색은 그 이면에 있는 통증의 감각을 역설적으로 은폐하는 동시에 드러내준다. 상징과 기호들은 이러한 조형요소들에 의해 그것들이 지칭하는 사물을 이질적으로 환기시킴으로써 보는 이로 하여금 각자의 경험에 따른 감각을 체험하게 한다. 이러한 상징은 통증, 공포, 고통, 그리고 이러한 감각을 이겨내고자 하는 극복의 의지이다. 본인은 작품을 통해 인간의 고통을 적나라하고 처절하게 직시하되, 고통을 사소하게 표현하고자 제안한다. 이렇게 나타난 고통은 마치 어린아이의 순수한 잔인함으로 바라보는 현실인 동시에, 그 순수한 천진함과 평화로움으로 망각하는 현실이기도 한 것이다. 이렇게 환기된 고통이 각자의 내면에 잠재해 있던 문제를 직시하여 삶의 이유를 다시 획득할 수 있게 하는 원동력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 자화상을 통한 개별적 자아와 사회적 자아의 발견에 대한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현경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35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onder upon the possibility of ‘the Self’ based on its two-fold characteristics. To that end, I am to shed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through universal features hidden inside an individual, propose a possibility that individuals’ self-awareness can give rise to social change and discuss the meaning of my self-portrait work. Prior to the exploration on the Self, I define the consumption that people engage in this era of consumerism and the influence of such consumerist culture that deprives people of autonomy and degenerates them to an instrument on human development. In addition, I concentrate on maladies caused by human alienation which is derived from excessive desire for material goods and in turn a sense of deprivation, and their negative impact on individuals and society as a whole. Then I open the main text by stressing the need for awakening with the aim of recognizing and make a difference to these issues. We often say that humans are social creatures. People develop their identities through constant intervention of society - the ground of human existence - and the socialization process as they grow. They are reborn as an individual (social member) by going through an integration of socialization and personal experience. Therefore, it is fair to say that an individual’s autonomy is not independent at all and it is rather dualist. In the introduction, this dual characteristic of humans is explained with ‘the Other,’ which indicates why my work goes in two directions. A person’s existence is proved by the Other. The First Person refers to the Third Person as the Second Person, offering a meeting place. And when the Second Person calls the First Person, the First Person comes into being. ‘the Personal Character’ looks into itself through the conflict with the Other based on ‘Being-in-the-World.’ This shows that deprivation and transposition, which stem form the impossibility to identify (itself) with the desire of the Other, take place in life. If ‘the Personal Character’ is based on ‘Being-in-the-World,’ ‘the Universal Character’ takes the form of bringing light to society within an individual. This means social nature inside the Self, which is uncovered during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Personal Character.’ Like the way Michel Foucault analyzes authority, I intend to study humans estranged from society in order to examine society. I also converse on social institutions that create ordinary people by suppressing them. In terms of analyzing works of art, ‘the Personal Character’ reveals fragmented identities that are left over from the process in which images mirrored in the Symbolic and fantasies are removed. In other words, it shows the reality like the Real. ‘the Universal Character’ reveals itself by contacting the world again through the continuity of research and exploration on the Real order. In the end, I seek new ways of interpretation of self-portraits in an effort to validate that the Self, which is present by various microscopic authorities of society, is the Universal Being beyond the limited definition of the Self in a general sense. In closing, I acknowledge that the Subject belonging to the Self is constantly diverging and evolving, rather than being an integrated entity, and make it sure if the Subject exists in an active manner through my work. Moreover, part of my work is to deal with various alienation phenomena, which are caused by ill effects of ‘a sense of sovereignty’ - byproduct of authority - in a collective unconscious way, through the awareness of the Self that is created by and subjugated to authority. Lastly, I comment on what role art can play in modern times and seek to set directions by overcoming the limits in my work. 본 논문은 ‘자아’가 가지고 있는 이중적 특성을 바탕으로 그 가능성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한다. ‘자아’를 통하여 탐구할 수 있는 개별성들 속에 숨겨져 있는 보편성들을 통하여 개인과 사회가 맺고 있는 관계에 대해 밝히고, 현대인들의 개인에 대한 자각이 사회적인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며 본인의 자화상작업이 가지는 의의를 논하고자 한다. ‘자아’에 대한 탐구에 앞서, 소비사회에서 현대인들이 소비하는 것에 대한 정의를 밝히고 소비문화가 초래하는 인간의 능동성 상실과 도구로의 전락이 가지는 영향력이 인간형성의 바탕임을 언급하였다. 물질에의 과잉된 욕망과 그로 인한 결핍이 부르는 인간소외가 인간 개개인과 사회에 끼치는 심각한 병리적 현상을 분석한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인식과 변화를 위하여 자각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본문의 장을 열고자 한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고 한다. 인간의 존재에 명제된 사회는 한 인간이 자라는 동안에 지속적인 간섭을 통하여, 이른바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주체를 형성시킨다. 주체는 이러한 사회화과정과 개인적 경험의 통합을 이루며 한 명의 개인으로 거듭난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이 가지는 주체성을 결코 독립적이라 말할 수 없으며 이종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작품의 전개의 도입부에서 이러한 인간의 이중적 특성을 대타적 존재로서 설명함으로써 본인의 작업이 두 가지 방향으로 나아가는 이유를 설명한다. 인간의 존재에 대한 증명은 타자에 의한 것이다. 1인칭은 3인칭적 존재에게 2인칭을 호명함으로써 만남의 장을 열게 된다. 그리고 2인칭이 1인칭을 또한 호명해주었을 때 그 존재는 존재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개별적 자아’는 ‘세계내 존재’를 바탕으로 타자와의 관계로 인한 갈등을 통하여 자아를 들여다보는 형식을 취한다. 타자의 욕망과 동일시의 불가능성에서 오는 결핍과 치환이 생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음을 밝힌다. ‘개별적 자아’가 ‘세계내 존재’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작업이라 하면 ‘보편적 자아’는 개인 안에서 사회를 발견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이는 ‘개별적 자아’를 탐구하는 중 발견하게 된 자아 속의 사회성을 말하는 것이다. 푸코가 권력을 분석하는 방식 또한 그러한데 사회를 분석하기 위해 사회로부터 소외된 인간을 연구하는 것이다. 사회가 규정해놓은 제도가 인간을 사회적으로 억압함으로써 정상적인 인간상을 만들어간다는 것을 논한다. 작품 분석에 있어서, ‘개별적 자아’는 상상계에서 투영된 이미지들과 상징계속에서 욕망하고 결핍하는 과정을, 환상을 제거한 후 남는 분열된 주체들, 즉 실재계와도 같은 현실로 보여준다. 이러한 실재계에 대한 연구와 탐구의 연속으로 또 다시 세계와 접하는 것이 ‘보편적 자아’의 발현이다. 사회의 다양한 미시권력에 의해 존재하는 자아는 일반적인 ‘자아’가 갖는 갇혀진 의미를 넘어서는 인간 보편성을 띄는 존재임을 자화상의 새로운 해석방향을 모색하면서 본론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자아에 속해 있는 주체는 통일되어 있는 것이 아닌 지속적으로 분열되고 변화하는 것임을 인정하고, 능동적으로 존재하고 있는지에 의구심을 갖는 것이 본인이 작업을 통해서 연구하고자 하는 바이다. 더불어 권력 하에 만들어지고 종속되어지는 주체에 대한 자각을 통하여 사회 속에서 권력이 만들어내는 ‘주체의식’이 갖는 병폐적인 기능들이 집단무의식적인 방법으로 일으키고 있는 다양한 소외현상을 다루는 것이 본인 작업의 일환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현대사회에서 예술이 해낼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언급하며 본인 작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아르누보 양식을 통한 여성이미지 표현 연구

        정수안 세종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2015 국내석사

        RANK : 247343

        진부하고 답습되어 왔던 당시의 예술에서 새로운 예술양식을 꿈꾸었던 아르누보 예술가들은 ‘자연’에서 그 양식의 모티브를 찾았다. 물론, 그들이 자연에서 취합한 신양식의 회화요소는 ‘추하고 무질서한 자연’이 아니라, ‘아름답게 생각되는 자연’이다. 아르누보는 ‘상징성’과 ‘장식성’이 함께 표현되어 있다. 아르누보 속의 아름다운 자연은 ‘사실’에 ‘상상력’이 가미된 이상향의 세계를 그린 시각예술이다. 이러한 내용으로 이루어진 작품들을 장식적으로 휘감아 소용돌이치는 듯 도는 자연적인 곡선들을 응용하여 화려하고 우아한 형식으로 독창적이게 표현 하였다. 이처럼 아르누보의 장식성이 예술의 형식과 관련이 있다면 상징성은 예술의 내용과 관계가 있다. 아르누보 예술가들은 이 두 요소를 자연에서 찾았다. 자연은 온갖 상징성을 표현할 수 있는 ‘영감(靈感)의 원천’이었으며, 아름다움을 구현할 수 있는 장식적 요소가 담긴 ‘천연의 모티브’였다. 19세기 산업혁명을 발판으로 공업화 되어진 유럽의 경제변화는 점차 인간미가 상실 되어가는 사회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변화 속에 그 시작을 함께 했던 아르누보는 인간의 내면세계에 대한 재 탐구와 식물의 줄기, 덩굴손, 꽃과 잎, 그리고 인간(여성) 등, 자연의 유기적 형태들. 그리고 배경의 대표적인 장식적 소재가 된 율동적인 곡선과 패턴화, 다양한 색채 등은 아르누보 예술만이 갖는 독특한 양식이 되었다. 이처럼 아르누보는 관념에만 그치기보단 상업 논리도 가미된 생활 속 예술로써 대중과의 소통을 시도하려 했던 인간적이고 획기적인 ‘신예술(新藝術)’이었다. 또한 시민혁명 이후 신여성의 출현은 남성들에게 불안함과 두려움을 주었으며, 자신들의 입지를 침범하는 위협적인 존재로 여겨지게 되었다. 그러나 그녀들은 자신들에게 향한 남성들의 이러한 경계의식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새로운 여성상을 만들어 냈으며 예술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모티브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처럼 신여성에 발현은 작용과 반작용의 성향을 함께 나타내고 있었다. 여성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은 아르누보 예술가들의 작품 속 여성적 이미지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는 다양한 상징과 장식으로 표현되었다. 여성은 굴곡진 곡선적 실루엣을 갖고 있는 가장 아름다운 자연의 미적 모티브이다. 그러하기에 많은 작가들이 여성의 이미지를 많이 다루고 있으며 아르누보 예술가들 또한 작품 속에서 여성의 이미지로 그들을 대변하고 있었다. 비록, 아르누보의 예술이 다른 예술양식에 비해 그 존속 기간은 짧았지만, 지금까지도 많은 예술분야에서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보면 인류 역사의 예술적 가치를 높여주는데 또 다른 발판이 되었음은 의심에 여지가 없다. 본인은 이러한 아르누보의 특징과 여성성을 예술로 승화시킨 작가들처럼 이를 여성이미지로서의 자신과 결부시켜 본인의 작업에 취합 하였다. 그럼으로써 유토피아 세계를 향한 또 다른 자아를 발견하고 자연을 통해 새로운 생명력을 재발견하려는 소망과 의지를 담고자 하였다.

      • 현대인의 정체성이 투영된 상징적 표현 연구: 본인작품 중심으로

        박준상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343

        본 논문은 사회집단의 사상, 행동, 생활 방법 등을 근본으로 제약하는 관념이나 신조의 체계, 역사적, 사회적 입장을 반영 한 사상과 의식이라 할 수 있는 이데올로기를 통해 주체가 어떻게 ‘주체화’되는지 주목하고 있다. 또한 슬라보예 지젝(Slavoj Zizek, 1949. 3. 21 -)의 철학을 통해 이데올로기를 벗어날 수 있는 지점을 대타자의‘결여와 동일시’개념으로 설명하여, 외부적 요인들의 실체들을 대면하여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연구자는 2015년부터 2021년까지의 본인의 작업을 중심으로 이데올로기적 환상에 의해 주체가 처한 상황을 낯선 풍경으로 제시하며, 전개한 작업들의 소재와 표현방법의 장치들이 가지는 의미와 조형성을 통해 외부적 요인들의 실체들을 대면하여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작품형성의 이론적 배경과 내용을 분석하며, 본인작품의 조형적 특성분석으로 이어진다. 작품형성의 이론적 배경을 다룬 첫 번째 장에서는 근대적 주체가 탈구조주의적 사유 속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고, 그 비판을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 5. 6. - 1939. 9. 23)를 시작으로 라캉(Jacques Lacan, 1901. 4. 13. - 1981. 9. 9)의 개념을 통해 이야기한다. 또한 알튀세르(Louis Pierre Althusser, 1918. 10. 16 – 1990. 10. 23)의 이데올로기적 주체의 개념을 설명하며, 지젝이 말하는 대타자의 결여(욕망)와 동일시를 통해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는 주체와 이데올로기의 환상에 대해 서술하였다. 작품 전개와 내용을 분석하는 두 번째 장에서는 인간의 정체성은 특정 문화와 정치적 환경 속에서 습득된다는 점에서 이데올로기에 의한 정체성으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정체성과 유동성을 작가들을 통해 서술하였다. 또한 현실에서 드러나는 낯설고 이질적인 것들과의 충돌로 생기는 기이함을 낯선 감정으로 규정하여 이데올로기적 환상에 의해 주체가 처한 상황을 낯선 풍경으로 제시한다. 이 때 낯선 풍경의 구성에 토대로써 무심코 지나가며, 인지되지 못하고 관념적으로 자리하는 것들을 본인의 일상 속 포착하는 행위를 수집하는 이미지들을 통해 보여주었다. 본인작품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는 Ⅲ장에서는 낯선 풍경의 제시를 위한 시각적 장치를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먼저 혼성적인 구성을, 특히 데페이즈망의 표현을 통하여 구성되고, 유동적인 주체 혹은 정체성의 표현으로써 설명하였다. 두 번째, 흐리기를 통해 개인의 내면을 드러내고, 게르하르트 리히터(Gerhard Richter, 1932. 2. 9 -)의 흐리기를 통해 본인의 작업에서 흐리기 표현에 담긴 의미와 근거를 나타내고 있다. 세 번째, 반복을 통해 개인이라는 특수성이 사회화를 통해 보편적으로 변화되고, 반복을 통해 내면을 드러내어 다시 치유되고 회복될 수 있는 지점을 앤디워홀(Andrew Warhola Jr., 1928. 8. 6. - 1987. 2. 22)과 쿠사마 야요이(Kusama Yayoi, 1929. 3. 22. -)의 반복의 표현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데올로기의 환상에 의해 구성된 낯설고 이질적인 것들이 야기 시키는 기이함을 작품 속 낯선 풍경의 구성과 표현을 통해 일상 속의 관념적인 것들을 포착하여 재인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주지시키고자 한다. This thesis focuses on how the main agent becomes objectified through ideas and the senses, in other words, an ideology that reflects the notion of fundamentally limiting thoughts, behaviors, and lifestyles of a social group or systems and the historical and social positions of a creed. Referring to Slavoj Zizek (1949. 3. 21 -), the point at which one can be free is explained by the absence and identification of a substitute, and the truth of outside factors is faced while seeking the possibility of escape. The researcher has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the main character has moved from ideological fantasy through the strange scenes in his works from 2015 to 2021. The medium and expression of the series aim to seek for the possibility of escaping by facing the truth of outside factors. This thesis analyzes the works’ theoretical background and context, and continues to analyze their formative character. The first chapter introducing the works’ theoretical background discusses how the modern agent has become a target of criticism in deconstructivist thought; this criticism is based on the thoughts of Sigmund Freud (1856. 5. 6. - 1939. 9. 23) and Jacques Lacan (1901. 4. 13. - 1981. 9. 9). Also, an ideological agent is explained through the work of Louis Pierre Althusser (1918. 10. 16 – 1990. 10. 23) while describing an agent that escapes from ideology by lacking an identity with a substitute and an ideological fantasy in the form of Slavoj Zizek. The second chapter analyzes the works’ progress and context and describes their identity and liquidity through a number of artists by looking at human identity as an ideological identity acquired in a specific culture and political environment. Moreover, eccentricities caused by facing strange and different matters in reality are defined as strange feelings, and the main agent stands facing strange scenes from ideological fantasies. The base of those strange scenes are images collected in everyday life that unconsciously pass by and ideologically stay within ideas. The third chapter analyzes the works’ formative character, and explains the visual equipment for strange scenes by dividing them into three categories. Firstly, hybrid composition is particularly defined by the expression of debasement and explained by a fluid agent or identity. Secondly, the cloudy effect represents the agent’s inner world and refers to the works of Gerhard Richter (1932. 2. 9 -) in order to verify the meaning and basis of this effect. Thirdly, how repetition turns one’s distinct character into becoming generic in society and reveals the inner world needing healing and recovery through the works of Andrew Warhola, Jr. (1928. 8. 6. - 1987. 2. 22) and Kusama Yayoi (1929. 3. 22. - ).

      • 내면 탐구를 통한 열린 표현의 확장 : 본인 작품(2004-2010)을 중심으로

        이희명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343

        This study shows the process of a visualization of my creative will to convey emotion and an expansion of open thinking. It aims to analyze and examine my thematic consciousness and my expressive methods to build my own distinctive world through inner exploration and creative immersion. It also analyzes traces of my anxieties in expressing the self undergoing emotional confusion and an expansion of open thinking while focusing on my work. It describes a sense of purpose in conveying the spirituality of art through inner exploration of the self and communion with surrounding things, and the process of experimenting with expressive form, leading to open thinking. A process from 2004 to 2010 is examined, classified by thematic characteristics. In󰡐The Modified Plants󰡑series(2004-2006) I displayed the aggressive gaze of the weak other by expressing a sense of inferiority in objects combining animal and plant. These objects represented the plant's subjectivity by using the meaning of the eye and language and depicted others beyond plants, and also women's emancipation from traditional authority.'The Beautiful Revolution'series(2006-2008) in installation and painting, presents an individual voice resisting society's enormous power systems. Through this series I intended to question society's duplicity, and represent a revolution in vertical thinking, by reinterpreting and fusing animal with human images. In 'The It Will Be Fine Tomorrow'series(2008-2010) I expressed agony and diverse thinking, simulating association through painting and objects merging severed body with things. Based on this theme, I expound the process of formal development within original expression. In'Sculptural Installation'I examined the background of objects combining animal and plant, and the mode of expressing a plant in a flower pot and artificial garden. In'Surrealistic Object'I described the process of objects merging with things, and researched expressive methods seeking creative thought through a combination of a severed body, animal and plant, and a combination of modified body and thing. In'Evolution in the Expression of Human Form', I addressed the process of exploring pictorial expressive elements to represent human nature. I analyzed the process of development blurring the boundaries of form, evolving from figure-centered compositions to complex compositions of atypical images and unconscious feeling. Through this paper I explore a breakthrough in a limited area, questioning standardized expressive methods. I intend to describe enlightenment and aspiration to the arts I came to have in the process of innumerable experiments, accounting for artistic spirituality and unique expressive methods I have pursued. Due to the reality I face a liberal dreamer open in all aspects has degenerated as a man of inability with no exit. As art reflects and purifies life, executing artworks has led me to a vast plane of feasts. It enables me to convert my view to a broader world, liberating me from authoritative discourse. In a harsh reality trapped by the past and trodden by the future, I hope this dissertation could be a mirror to transcend such reality and clarify my candid voice. 본 논문은 내적 감정의 전달과 열린 사고의 확장을 담아내고자 했던 본인의 창작 의지를 본인의 작품으로 시각화한 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내면 탐구가 이끌어낸 창조적 몰입의 힘을 통해, 본인만의 독자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하려 했던 주제 의식과 표현 방법의 분석과 규명에 그 목적을 두었다. 본 논문에서는 감정적 혼란을 겪는 자아의 모습과 열린 사고의 확산을 표현하려 했던 고민의 화살표를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자아의 내면 탐구와 주변 사물과의 교감으로, 예술의 정신성을 전달하고자 하는 목적의식과 동시에, 사고의 개화를 이끌어내는 표현 형식의 실험 과정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2004년에서 2010년까지의 이러한 과정을 각 주제별 특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먼저,󰡐변형식물󰡑시리즈(2004-2006)에서는 사회에 대한 열등감을 동식물이 결합된 오브제로 표현함으로써, 나약한 타자의 공격적 시선을 표출하려 했다. 눈이나 언어의 의미를 활용하며, 식물의 주체성을 담아낸 이 오브제들은 식물을 넘어선 타자, 여성의 전통적 권위 해방을 그려낸 것이다.󰡐아름다운 혁명󰡑시리즈(2006-2008)는 거대한 권력 지향적 구조에 저항하는 개인의 목소리를 담아낸 설치와 회화 작품으로 이루어졌다. 동물과 인간의 이미지를 융합 혹은 재해석함으로써, 현실 사회의 양면을 질문하며, 수직적 사고에 대한 혁명을 나타내려 했다.󰡐그래도 내일은 맑을 것이다󰡑시리즈(2008-2010)에서는 사회에 대한 자괴감, 현실의 무게에 의해 고립된 자아의 외침을 회화와 설치 작업으로 표현하였다. 절단된 신체와 사물이 결합된 이 작품들을 통해, 서로 다른 이미지의 충돌과 오류로 인한 연상 작용을 이끌어내며, 현실의 고뇌에 대한 사고의 다변화를 전달하고자 했다. 또한, 이러한 주제 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표현 형식적 전개 과정도 분석하였다.󰡐환경적 설치 조형󰡑에서는 동식물이 결합된 오브제가 등장하게 된 배경과 화분 안의 식물 혹은 인조 정원으로 표현하게 된 양식에 대해 살펴보았다.󰡐초현실적 오브제󰡑에서는 사물과 다양하게 결합된 오브제가 나타나게 된 과정을 서술하며, 절단된 신체와 동식물의 결합, 혹은 변형된 신체와 사물과의 결합으로, 창조적 사고를 지향하려 했던 표현 방법을 연구해 보았다. 마지막으로󰡐인물 형상화의 진화󰡑에서는 인간 본성에 대한 적절한 회화의 표현 요소를 모색했던 과정을 담아보았다. 인물 중심의 화면 구성에서 비정형적 이미지와 무의식적 터치로 이루어진 복합적인 화면 구성으로 발전해가며, 형상의 경계 해방을 이뤄내는 전개 과정을 설명하였다. 본 논문으로 획일적인 그늘에 가려진 표현 방식에 의문을 가지고, 한정된 영역에서 보다 확대된 돌파구를 찾아보려 하였다. 무수한 실험 과정 속에서 발견했던 예술에 대한 깨달음과 열정을 서술하며, 본인이 추구하려 했던 예술의 정신성과 독자적인 표현 방법에 대해서도 풀어보았다. 갈등으로 부유하는 현실은 사방의 문을 가진 자유로운 몽상가에서 탈출구조차 없는 무능력자로 전락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예술이 삶을 반영하며 정화하듯, 작품을 하는 것은 드넓은 축제의 벌판으로 인도하는 날개가 되어 주었다. 이 날개는 더욱 거대한 의미로 본인에게 다가와, 넓은 시선으로 사고를 전환시키며, 중심이 되었던 권력자적 담론의 봉인을 해방시켰다. 과거에 억눌리고 미래에 짓밟히는 가혹한 현실 앞에서, 예술의 진정한 의미를 통해 현실을 초월하길 희망하며, 본 논문이 본인의 정직한 외침을 드려다 볼 수 있는 거울이 되길 바란다.

      • 여백의 표현연구 : 본인작품을 중심으로

        이자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343

        This essay is about my current paintings, which I drew between 2001 to 2002. This essay describes my material subject and way of expressing toward my works. The essay also describes my expressing aspect of developing blank space technique in paintings. While I was plotting the works, I wanted to suggest my subjectivity and self-consciousness into my works. And also while I was producing the paintings, I wanted to put my originality into my paintings. I, myself drew tulips and city sceneries based on main idea of oriental painting concept. Throughout the paintings, I try to model the works, which blends oriental paintings and modern paintings both at same time. Especially, the essay emphasizes oriental paintings blank space technique and how well it blends with my mental state. At the first paragraph, I want to describe and explain the true idea of blank space technique and its mental elements. Therefore I will write about Taoisms idea of nothing, Confucianisms idea of taking middle path and Buddhisms idea of emptiness. I will divide ChoSun Dynasty into three groups such as first term, middle term, and later term and how the blank space technique developed and progressed throughout the history. I will write about the effect of blank space technique on second paragraph. There are four different blank space stages appear in truth and falsehood space, which are developing into endless space, fake subject turns into true subject, replacing true into fake, and upgrading unity and density. At third paragraph, I will write about how the blank space technique operates in the paintings. In this paragraph, I will divide into two groups, which are how the blank space technique works in city scenery painting and how it blends in tulip paintings intentional creating space based on oriental painting. And also I will divide and compare my paintings into two groups, which are ordinary city lifes scenery space and intentional space creating tulip painting. I will compare and contras mainly focused on my paintings, and I will analyze these main two subjects. 본 논문은 2001년부터 2002년 최근까지 제작된 본인의 작업의 소재와 표현 방법에 따라 전개되는 여백(餘白)의 표현양상에 대한 작품연구 논문이다. 작품구상 과정에서 나타난 본인의 자아의식 성장과 그 결과로 나타난 주관적인 작품 표현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고, 작품제작에서 본인의 여백에 대한 창의적 인식의 전환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형성되어 가는가를 서술하였다. 본인은 동양화의 전통적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소현실 숙명여대 발전에 기여한 소현 이인실 교수님의 아호를 따서 명명한 미술대학 회화과 한국화전공 대학원 실기실의 이름이다. 에서 바라본 도시풍경과 튤립을 주제로 하여 이를 주관적 조형의지에 따라 현대화를 모색해 가는 작업을 해왔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동양화의 전통적 공간 원리에서 중요시하는 여백이라는 공간개념에서 출발하여 그림에서 나타나는 본인의 심리를 반영하는 조형적 변화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론적 부분은 첫 번째 여백(餘白)의 정의와 여백이 갖는 정신적 배경 즉 도교(道敎)의 무(無)에 대한 사상, 유교(儒敎)의 소(素)와 중용(中庸), 불교(佛敎)의 공(空)등을 알아보겠고 여백의 전개과정을 조선시대 전기,중기,후기로 역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되었는지 알아보자 한다. 두 번째 여백의 효과에서는 허실(虛實)공간에 나타난 여백을 네 가지로 나누어 무한공간으로의 확대를 암시하는 경우, 허(虛)가 어느 상황에서는 실(實)로 인식되는 경우, 허(虛)로써 실(實)을 대신하는 경우, 통일성과 밀도는 높이는 경우 등을 찾아보겠다. 세 번째 작품에 나타난 여백의 표현에서는 여백이 화면 안에서 어떠한 기능으로 작용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 도시풍경-[작품1]부터 [작품5]까지-에 나타난 일상적 공간의 심상적 여백과 튤립-[작품6]부터 [작품10]까지-에 나타난 주제에 의한 의도적 여백을 조형적, 내용적, 기법적인 관점에서 연구해 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