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연자본 관련 재무정보공개 전담협의체(Taskforce on Natur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TNFD) 핵심지표에 따른 국내 기업의 자연환경 관련 활동 현황 분석 :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중심으로

        이양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19

        Beyond traditional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companies are increasingly seeking to achieve non-financial environmental performance goals. The Task Force on Natur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TNFD) emerged as a response to this trend, providing an ESG framework for companies to evaluate and disclose their dependence and impact on the natural environment, encompassing more than just climate change. However, standardization challenges with natural capital and diverse nature-related guidelines hamper disclosure efforts. The costs and performance of activities relat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are not properly recognized and quantified. In addition, the difficulty in standardizing natural capital and the differences in guidelines relat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are hindering the activation of disclosur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NFD core indicators and suggest ways to increase the level of corporate activities relat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by domestic companies.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TNFD core indicators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and creating shared value(CSV) activities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 environment-related disclosures by domestic companies and examining leading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disclosures related to TNFD core indicators to consider ways to activate natural environment-related disclosures. This study analyzed the TNFD global core disclosure indicators of five companies in each of nine industries: energy, materials, industrial goods, consumer discretionary goods, consumer staples, finance, healthcare,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services, divided into the Global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GICS), including ecosystem change (C1.0, C1.1), pollution/decontamination(C2.0, C2.1, C2.2, C2.3 C2.2), resource use/decontamination(C2.3), and environmental impact(C3.0, 3.1), resource use/replenishment(C3.0, C3.1), alien species management(C4.0), and state of nature(C5.0, C5.1). For ecosystem change(C1.0, C,1.1), 11 cases(24%) of 45 domestic companies reflected the need for supplementation and 5 cases(11%) reflected the state of nature(C5.0, C5.1). 11 companies(24%) monitored soil(C2.0) during pollution/decontamination, 4 companies(9%) disclosed whether wastewater(C2.1) was discharged into freshwater and other ecosystems, 23 companies(50%) disclosed the conversion rate of hazardous waste(C2.2), 9 companies(20%) disclosed the usage and conversion rate of plastics(C2.3), and 33 companies(77%) disclosed three or more pollutants among non-greenhouse gas pollutants(C2.4). Resource use/replenishment(C3.0, C3.1) was assessed by the World Resources Institute(WRI) Water Stress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invasive species(C4.0) was difficult to disclose.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corporate activities relat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ompany's land use area and protected area to assess the status of ecosystem change(C1.0, C,1.1) and the state of nature(C5.0, C5.1), and pollution/decontamination (C2.0, C2.1, C2.2, C2.3 C.2.4) and alien species management(C4.0) can be activated in the direction of linking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aquatic ecosystems, etc. Raw material use/supplementation(C3.0, C3.1) requires identification of the production method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overall raw materials used by the business. The TCFD notification announced in 2017 was implemented by 96% of companies in this study, and if sufficient guidance is provided on reflecting the TNFD, it is likely that companies' activities relat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can be internalized into management, and continuous discussions are needed for this. keywords : Nature capital,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Creating Shared Value(CSV), sustainability management reports, ESG management 최근 기업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을 넘어 환경 관련 비재무적인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 속에 기업은 환경 분야에 기후변화 대응을 넘어 자연환경 관련 의존성과 영향을 평가 및 공시해야 하는 사회흐름에 직면 속에 연환경 관련 기업의 ESG 대응체계인 자연자본 관련 재무정보공개 전담협의체(Task Force on Nature-related Financials Disclosures, TNFD)가 등장하였다. 그러나 자연자본의 표준화가 어렵고 이에 따른 자연환경 관련 지침마다의 상이함이 고시 활성화 걸림돌이 되고 있다. 자연환경에 관련한 활동들에 대한 비용과 성과를 제대로 인지 및 정량화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자연자본의 표준화가 어렵다는 점, 이에 따른 자연환경 관련 지침마다의 상이함이 고시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TNFD 핵심지표 반영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향후 국내 기업의 자연환경 관련 기업 활동 수준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NFD 핵심 지표별 반영 여부 현황 및 기업의 사회적책임(CSR) 및 사회공헌(CSV) 활동 현황을 분석하고 국내 기업의 자연환경 관련 고시 현황을 토대로 TNFD 핵심지표와 관련한 국내외 반영 선도 사례를 고찰하여 자연환경 관련 고시 활성할 방안은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산업분류체계(GICS)로 나눈 에너지, 소재, 산업재, 자유소비재, 필수소비재, 금융, 헬스케어, 정보기술, 커뮤니케이션서비스 9개 산업별 5개 기업을 TNFD 글로벌 핵심 공개 지표를 중 생태계 변화(C1.0, C,1.1), 오염/오염제거(C2.0, C2.1, C2.2, C2.3 C.2.3), 자원사용/보충(C3.0, C3.1) 외래생물관리(C4.0), 자연의 상태(C5.0, C5.1) 중심으로 고시 여부를 확인하였다. 셍태계 변화(C1.0, C,1.1)에 대한 고시는 국내 기업 45개 기업 중 보완 필요 11건(24%), 자연의 상태(C5.0, C5.1) 5건(11%) 반영하였다. 오염/오염제거 중 토양(C2.0) 모니터링을 진행하는 기업은 11건(24%), 폐수(C2.1)의 담수 및 기타생태계 방출 여부를 고시한 기업은 4건(9%),, 유해폐기물(C2.2)의 전환율을 고시한 기업은 23건(50%), 플라스틱(C2.3) 사용량 및 전환율을 고시한 기업은 9건(20%), 비온실가스 오염물질(C.2.4) 중 3~4개 이상의 오염물질 고시한 기업은 33건(77%) 이었다. 자원사용/보충(C3.0, C3.1)에서는 세계자원연구소(WRI) 물스트레스 평가가 이루어졌고, 외래생물관리(C4.0) 관리에서는 고시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자연환경 관련 기업 활동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셍태계 변화(C1.0, C,1.1), 자연의 상태(C5.0, C5.1) 상태 평가를 위한 기업의 토지 사용 면적과 보호 면적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며, 오염/오염제거(C2.0, C2.1, C2.2, C2.3 C.2.4), 외래생물관리(C4.0)는 수생태계 등이 제공하는 생태계서비스들을 연계하는 방향으로 활성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원사용/보충(C3.0, C3.1)에서는 사업에서 사용하는 전반적인 원자재의 생산방식 및 생산지의 공간적 특성 파악이 필요하다. 2017년에 발표한 TCFD 고시는 본 연구에서 96%의 기업이 시행하고 있었고 TNFD 반영에 대한 가이드가 충분히 이루어진다면 기업의 자연환경 관련 활동이 경영 내재화가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를 위해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주요어 : 자연자본,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공유가치 창출(Creating Shared Value, CSV), 지속가능경영보고서, ESG 경영

      • 풍수지리 인증제도를 위한 풍수지표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 양택 중심으로

        임선화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19

        Modern eco-friendly houses include the selection of eco-friendly building materials for indoor air quality, smart facilities that minimiz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green space in residential complex. These architectural plans can not be understood to comply with the order of natural landscape. The architectural plan only pursues convenience while protecting the environment. It is different from the lifestyle that maintains personality formation, healthy growth and health necessary for human being. The problem of modern eco-friendly architecture is that it can not become a space where people can stay for a long time because of lacking analysis of lot for location selection and spati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flow of energy. In order to meet the genuine order of nature, location selection and architectural planning, which were planned with Feng Shui elements, should be conducted. Feng Shui is the fundamental element that is required the most in the residential space planning, and modern Yangtaek Feng Shui indicator is indispensable for the spread of the right environmental-friendly housing. In order to establish the principle of traditional Feng Shui systematically, it might be possible to institutionalize it by establish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in search of the origin. Therefore, it has an important value to develop the Feng Shui indicator of specific evaluation criteria for Feng Shui to become a social institution. The development of the indicator for the Feng Shui certification system is intended to induce the construction of the right nature-friendly structure and the improve the modern eco-friendly residential complex, and to establish a new type of architectural plan in which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modern architecture are compatible with each other. So the research is necessary to bridge, practicalize and institutionalize the modern and the traditional. According to the first records, Feng Shui has existed as the term 'Sangtaek' since the ancient times, and has continued until the present times while being equipped with an academic system of theory as concepts and methods were established under the empirical experience. Therefore, based on the original text of Feng Shui, the Feng Shui Index and its elements are drawn as common items through the formal logics of Feng Shui, the review of classical literature on inhabitable place, and the preliminary research of the application of it to modern residence. It is divided into the environmental plan such as the analysis of the location by the theory of vitality, the theory of situation, the theory of geomantic aspect, and Bibo theory of the Feng Shui, and the architectural plan such as the analysis of the lot by waterway and geomagnetic field and the spatial composition on the virtual, arrangement, orientation, indoor environment and landscape of the building. In addition, the evaluation items are presented as a basic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Feng Shui Indicator for Feng Shui Certification System. This study differs from the existing Feng Shui indicator in that it includes the eco-friendly element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modern ecological architecture and the ecological elements of social certification system in terms of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modern housing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also significant to require the necessity of lot analysis by the theory of vitality and actively introduce the scientific method. It is a prerequisite and necessary to introduce rather than present the clear Feng Shui indicator of the Feng Shui certification system.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the limitations as the planning indicator by constant development and integration of the Feng Shui indicator, and to tune main issues so that they could be established as a social system. 현대의 친환경 주택은 실내공기질을 위한 친환경 건축 재료의 선택과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스마트한 설비, 주거단지 내의 녹지공간을 포함한다. 이러한 건축계획이 자연경관의 질서를 이해하고 부합된다고 볼 수는 없다. 환경을 보호하면서 편리성을 추구하는 건축 계획일 뿐, 본질적으로 인간에게 필요한 인격 형성과 건강한 성장 그리고 건강함을 유지해 나가는 생활과는 다르다. 현대 친환경 건축의 문제는 입지선정을 위한 대지분석과 기(氣)의 흐름에 의한 공간 구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오랫동안 머무르며 살 수 있는 공간이 되지 못한 경우이다. 진정한 자연의 질서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풍수지리적 요소들로 계획된 입지 선정과 건축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풍수지리는 주거공간 계획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기반 요소이며, 올바른 친환경 주택의 확산을 위해 현대적인 양택 풍수지표가 반드시 필요하다. 전통 풍수지리의 원리가 체계적인 형태로 갖추기 위해서는 그 근원을 찾아 주거 공간 해석을 정립한다면 제도화도 가능하다고 본다. 그러므로 풍수지리가 사회제도화 되기 위한 구체적인 평가기준의 풍수지표 개발은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풍수지리 인증제도를 위한 지표개발은 올바른 자연친화적인 건축물의 건축 유도와 현대 친환경 주거단지의 개선을 위한 것이며, 전통건축과 현대건축이 서로 부합되는 새로운 방식의 건축 계획으로서 확립되고자 한다. 그래서 현대와 전통의 가교 및 실용화와 제도화하기 위해 필요한 연구이다. 최초의 기록에 따르면 풍수지리학은 ‘상택(相宅)’이라는 용어로 고대 국가 때부터 존재하며, 실증적 경험 하에 개념과 방법이 정립되면서, 학문적 이론의 체계를 갖추고 현재까지 이어져 온 학문이다. 그러므로 풍수지리학 원전(原典)을 기본으로 풍수지리의 형식 논리와 전통 가거지에 대한 고전문헌 고찰 및 현대 주거지로의 적용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해 공통된 항목으로 풍수지표와 해당 요소를 도출한다. 풍수지리의 생기론, 형세론, 좌향론, 비보론에 의한 입지분석의 환경 계획과 수맥 및 지자기장에 의한 대지분석, 건물의 가상과 배치, 방위, 실내환경, 조경에 관한 공간 구성의 건축계획으로 구분하여 풍수지리 인증제도를 위한 풍수지표 개발의 기초 연구로서 평가항목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기존 풍수지리 지표와 비교시 현대 주거환경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대해 전통건축과 현대 생태건축의 친환경적 요소 및 사회인증제도의 생태학적 요소를 포함하는데 차이를 둔다. 또한 생기론에 의한 대지분석의 필요성과 과학적인 방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한 부분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풍수지리 인증제도의 명확한 풍수지표를 제시하는 것보다는 도입의 필요성과 선결과제에 해당하는 것이며, 앞으로 지속적인 풍수지표 개발과 통합에 의해 계획지표로서의 한계점을 개선해 나가며 사회제도로서 확립되도록 주요 쟁점들을 조율함이 필요할 것이다.

      • 택지개발지구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풍수지리 고찰 : 대구지역 택지개발지구 사례를 중심으로

        정화윤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19

        풍수사상의 구조체계는 산, 수, 방위, 사람 등 네 가지 요소가 조합하여 성립된다. 이 요소들은 광역 환경에서 신비스러운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살아있는 기능체로 간주된다. 또한 좋은 입지를 찾고 불완전한 입지는 비보염승(裨補厭勝) 한다는 점에서 생태적 가치를 지니는 전통과학으로 이해할 수 있다. 우리 선조들의 삶터인 마을의 자리 잡기에는 산기슭의 경사면 양지바른 곳에 남향을 이루면서 뒤로는 병풍처럼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앞쪽으로는 물이 흘러 오래 머물러 살 수 있는 터를 정하는 복거관(卜居觀)이 작용되었다. 이러한 복거관이 작용된 정주공간에서 경제, 사회, 문화가 설득력 있게 접속된 건전한 환경을 구축하였다. 즉, 풍수적 의미로 배산임수(背山臨水)와 장풍득수(藏風得水) 형국이 갖추어진 곳을 말한다. 우리의 선인들은 마을을 경영함에 있어 지역 특유의 풍토와 자연정취를 이용함은 물론 자연을 이해하려는 관념 하에 양명한 기운을 받을 수 있는 좋은 자리를 찾고자 하는 풍수지리와 같은 사고체계를 밑그림으로 투영시켜 자연과 인공이 유기적으로 융합되고 동화되는 지속가능한 환경체계를 만들고자 하였다. 풍수지리 관점으로 본 전통마을의 환경설계 원칙은 배산임수와 장풍득수의 환경조건을 갖추고 배후지, 정주지, 경작지로 전개되는 공간구조를 설정하였다. 생물 다양성 차원에서 의미가 큰 배후지는 마을 후면의 산이 되고, 방풍림과 풍치림의 역할은 물론 조상의 묘 자리와 토속신앙영역이 되며 생활재료와 물을 공급받는 실용공간이 된다. 주거지는 안전성이 보장된 완경사지에 자리하여 사생활 보호를 고려함과 동시에 절대 향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연 지세와 시계(視界)를 고려한 좌향(坐向)으로 양호한 일조환경을 만들어 양명한 정주환경을 구축하였다. 경작지는 하천을 끼고 문전옥답(門前沃畓)과 바깥들로 이루어졌다, 문전옥답에는 부식용 작물이 재배되고 바깥들에는 풍부한 수량과 너른 들에 벼가 재배되었다. 마을길은 물길과 깊은 관계를 맺으며 살림집들의 연결망이 되는데 지형이 갖는 완만한 상승감과 위계에 따라 바깥길, 어귀길, 안길, 샛길 등으로 구성되어 커다란 나뭇가지를 연상하게 된다. 이러한 환경설계원칙에 따라 우리의 선조들은 온화하고 부드러우며 마음을 안정시켜 주는 주위환경과 산의 흐름, 안정된 물길을 갖추면서 단조롭지 않은 산수진경(山水眞景)한 길처(吉處)에 환경자원을 중시하는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정주공간을 구축하여 오래 머물러 편안하게 살 수 있는 터를 잡은 곳이 살기 좋은 마을로 꼽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통 마을의 자리 잡기와 공간 구성에 대한 환경설계 원칙이 현대 도시 주거지인 택지개발지구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적용가능한 지를 알아보기 위해 대구지역 금호강 수계를 중심으로 남북으로 조성된 4곳의 택지개발지구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곳의 입지환경에 대해 산세, 수세, 좌향, 공간구성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지의 입지에 대한 산세를 분석한 결과, 4곳 모두의 내룡맥이 백두대간에 이어진 낙동정맥에서 분맥한 비슬지맥과 팔공지맥의 훌륭한 지기를 품고 있는 진산에 의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호위하는 사신사가 잘 갖추어져 장풍국을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4곳 모두 풍수적으로 복록을 제공하는 지기(地氣)를 받고 있는 산세를 갖고 있다. 둘째, 사례지의 수세를 분석한 결과, 지산·범물지구는 범어천이 복개되어 생기를 받지 못하고 있다. 시지노변지구는 매호천과 욱수천의 생태하천과 곳곳에 저수지와 실개천이 흐르고 있어 득수국에 의한 생기를 받고 있다. 동서변지구는 북에서 남으로 흐르는 동화천이 동에서 서로 흐르는 금호강에 합류하고 있어 득수국을 형성한다. 또한 동화천과 신천이 금호강에 합류함으로 인해 금호강의 유속이 느리고 수면이 잔잔하여 많은 생기를 받고 있다. 죽곡지구는 금호강이 환포하고 있어 득수국을 형성하고 있으며, 낙동강과 합류하는 합수처에 달성습지가 조성되어 있어 느린 유속과 잔잔한 수면으로 생기가 오랫동안 보존 되고 있다. 택지개발지구를 감싸고 흐르는 수계의 규모가 클수록 암환자 발생률이 낮게 나타나 생태하천이 건강한 주거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사례지의 좌향을 분석한 결과, 전통마을 주거의 좌향은 지형조건과 안길 그리고 물길 등 산수의 방향성과 연계되는 경향이 있는데 반해 택지개발지구는 채광위주로 좌향을 정하였다. 즉, 주거용 건물 중 공동주택은 채광을 위하여 남향, 동남향, 서남향, 동향의 좌향을 갖고 있으며, 단독(다가구)주택은 도로를 중심으로 한 좌향을 갖고 있었다. 금호강 북쪽에 위치한 동서변과 죽곡지구는 배산임수와 전저후고의 지세 흐름을 따라 햇볕과 생기를 모두 취하여 풍수지리 이론에 부합하였고, 금호강 남쪽에 위치한 지산범물과 시지노변지구는 지세의 흐름과 반대방향으로 남향위주의 좌향을 정하여 .햇볕보다 생기(生氣)를 우선하는 풍수지리 이론에 부합하지 않았다. 넷째, 사례지의 공간구성을 분석한 결과 전통마을의 중심공간은 종가주택인데 반해 택지개발지구의 중심공간은 경제공간인 상업·업무시설지구이다. 전통마을은 종가주택을 중심으로 고지대에서 저지대로, 중심에서 주변으로 정주공간이 확산되는 방사상 구도 속에 마을 바깥쪽에 경제공간인 경작지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공간이동의 동정(動靜)의 관점에서 보면 음의 공간에서 양의 공간으로 이동을 의미한다. 반면에 택지개발지구는 사람들이 모이고 흩어지는 일련의 활동이 경제공간인 상업·업무시설지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공간이동의 동정(動靜)의 관점에서 보면 경제공간에서 정주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즉, 양의 공간에서 음의 공간으로 이동을 의미한다. 전통마을과 택지개발지구의 중심공간이 음의 공간에서 양의 공간으로 변화된 것은 전통마을이 지리를 우선했다면 현대도시는 생리(먹고사는 방도)를 우선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대구지역 택지개발지구 4곳의 정주공간을 풍수지리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명당조건을 갖춘 입지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남향 주택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한 지역적 특성으로 인하여 지세의 흐름과 상반되는 주택배치와 생태하천의 유무가 건강한 삶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전통마을의 정주지 환경은 비록 지형조건이 부적합하더라도 옛 선조들은 지혜를 발휘하여 자연조건을 보완하는 인위적인 노력을 통해 지속가능한 삶터가 되는 생태마을을 경영하고자 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풍수지리학이 향후 친수(親水) 공간 조성을 동반한 도시환경을 계획하거나 도시재생을 위한 방법론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정된 지역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연구결과에 대한 한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향후 타 지역의 택지개발지와 비교분석해야 할 연구 과제를 안고 있으므로 연구의 지속성이 필요하다고 본다. Abstract The structure of Feng-shui theory is established by combination of mountains, water, direction and people. These factors are considered as living functions capable of exerting mysterious power in the broad environment. Also, it can be understood as the traditional science with ecological values in a sense that it seeks for good locations and modify unstable locations. When locating the right place for a village, the home to our ancestors, the location with southern exposure, full of sunshine on the foot of the mountain, was selected where surrounded by the mountains like a folding screen and water flows in the front. In these locations of settlement space, sound environment is established by cohesive connection of economy, society, and culture. That is, from the perspective of Feng-shui theory, those are the locations of Bae-san-im-su(背山臨水) and Jang-pung-deuk-su(藏風得水). In running a village, our ancestors used not only the natural characteristics and atmosphere of the area but also reflected the concept of Feng-shui theor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nature, in order to receive healthy spirit from the nature. They aimed to create sustainable environmental system where the nature and human beings are organically combined and assimilated with one another. From the perspective of Feng-shui theory, the principles of environmental design in a traditional village include location of Bae-san-im-su(背山臨水) and Jang-pung-deuk-su(藏風得水) and space composition with hinterland, settlement space, and farmland. The hinterland, which is meaningful from the aspect of biodiversity, is the mountain in the back of the village and it performs the role of not only the windbreak, ornamental plantation, and place of graves and folk religion but it is also practical by providing living materials and water. The settlement space is located on a safe and gentle slope for privacy protection, with favorable sunshine environment considering the natural topography and visibility. The farmland is located along the river, composed of rice paddles and outdoor yard. Edible plants are cultivated in the rice paddle, and rice is cultivated in the outdoor yard where abundant water and wide space are ensured. The village road is deeply related to the waterway and acts as the connection network between the private homes. It reminds of a large branch of a tree, by being composed of outer road, approaching road, inner road, side road, etc., based on the elevation and hierarchy within the topography. By following these environmental design principles, our ancestors established sound and sustainable settlement space in the location with warm and calm surrounding environment, composed of mountain flow, stable waterway and non-monotonous yet beautiful nature, where they can stay comfortably for a long time. In this context, four housing site development districts were selected around Geumho River in Daegu area to examine whether traditional village location and space composition methods can be applied to modern-day residential areas or not.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by analyzing the location environment in terms of geographical features of mountains, water, exposure and space composition.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mountains, all four locations have guardian mountains with great spirit of Biseul-jimaek and Palgong-jimaek ramified from Nakdong-jeongmaek connected to Baekdu-daegan. Also, Jangpung-guk is formed by surrounding mountains. Therefore, all four locations have geographical features of mountains, where spirits are provided by the mountain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water, Jisan·Beommul district are not receiving vitality since Beomeocheon is covered. Sijinobyeon district is receiving vitality in according with Deuksuguk since ecological streams such as Maehocheon and Wooksucheon are flowing as well as reservoir and steramlets flowing in places. Dongseobyeon district forms Deuksuguk since Donghwacheon flowing from north to south is joining Geumho river flowing from east to west. In addition, it is receiving abundant vitality due to slow flow velocity and gentle water surface achieved by Donghwacheon and Shincheon joining Geumho river. Jukgok district forms Deuksuguk by Geumho river surrounding the district and Dalseong wetland is created where Nakdong river and Geumho river join each other, enabling long preservation of vitality with slow flow velocity and gentle water surface. Larger size of water system surrounding the housing site development districts is correlated with lower cancer incidence, which indicates that ecological streams impact healthy residential environmen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osure, the exposure of traditional villages tends to be related with the topographic conditions and directions of the landscape such as inner road and waterway, while the exposure of housing site development districts is selected based on lighting. That is, among the residential buildings, apartment houses are facing south, southeast, southwest, and east for lighting and detached(multi-household) houses have exposure by considering the road. Dongseobyeon and Jukgok district located at the north of Geumho river are in accordance with Pungsu theory by taking both sunlight and vitality based on topography of Baesanimsu and Jeonjeohugo. Jisanbeommul and Sijinobyeon district located at the south of Geumho river are facing south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topographical flow and are not in accordance with Pungsu theory, which prioritizes vitality over sunlight.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pace composition, the central space of a traditional village is the house of the head family, while the central space of a housing site development district is economic space such as commercial·business facility. In a traditional village, the house of the head family is located at the center, and residential areas are expanded from the hillside to lowland, and from the center to the surroundings, forming a radical shape while the economic space, the farmland, is located at the outer side of the village. From the perspective of space movement, it indicates the movement from space of Yin to Yang. On the contrary, the series of activities of people are focused on the commercial·business districts, which is the movement from economic space to residential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space movement. That is, it indicates the movement from space of Yang to Yin. The central space of a traditional village and housing site development district is changed from the space of Yin to Yang since traditional villages prioritized geography while modern cities put livelihood before geography. As such, the analysis of four housing site development districts in Daegu areas by applying Feng-shui theory proves that all four locations have ideal conditions. However, due to local tendencies to prefer houses facing south, houses in certain districts are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opographical flow. Also, it is proven that ecological streams impact healthy lives. Our ancestors aimed to operate sustainable and ecological villages even when the environment of settlements in traditional villages is not favorable, by artificially supplementing the natural condition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can contribute as the method that can be applied for city environment planning and urban resto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Feng-shui theory.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e research results since it only covers limited areas. The future researches should be continued to analyze and compare with housing site development districts in other areas.

      • 공동주택 단지 내 환경조형물 설계의 경향성연구 : 대구시 달서구 s아파트 환경조형물 설계를 중심으로

        손병기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19

        <국문초록> 공동주택 단지 내 환경조형물 설계의 경향성 연구 대구시 달서구 S아파트 조형물 설계를 중심으로 손 병 기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환경설계학과 도시 및 조경설계 전공 지도교수 박 찬 용 건축은 단지 현실적 공간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심리정서적인 부분이 통합적으로 작용하여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내는 것임을 말한다. 환경조형물은 공간, 건축물, 심리적 요소 속에서 공간의 질을 높이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환경조형예술품은 분리되어 건축의 형태를 단순히 장식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아니라 건축과 통합하여 공간의 창출내지는 기능의 완성을 이루는 것이다. 환경조형물은 건축의 의미로 뿐만 아니라 심리적 측면에서도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공간의 의미와 역할을 바꾸고, 공간의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공동주택의 개인성에 대한 문제는 공동주택이 시작된 이래로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다. 외부공동공간의 설계는 공동주택의 교류단절 이라는 단점을 극복하려는 노력이다. 그 대안은 단지 그 자리에 있는 조형물이라거나 공간을 장식하기 위한 조형물이 아니라 공간의 성질을 대표하고 만들어가며 공간의 의미를 주민들에게 전달하고 그들의 일상을 변화 시키는 역할을 하는 조형물을 만듦으로서 조형의 형식적 물리적 의미뿐 아니라 예술적 인간적 심리적인 가치에 접근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주민들의 삶을 이끌어 갈 수 있는 조형물의 설계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대상지로 대구시 달서구 공동주택을 선정하여 주거단지 내 환경조형물의 일반적 현황과 조형물 유형 주변 환경과의 조화, 조형물의 형태, 재료, 색채, 규모 등을 분석한 뒤 이러한 조형물의 기본적 의미를 고려하여 커뮤니티와 사회 심리적 의미로 공간의 특징에 맞게 작품을 설계 하였다. 사례 대상지에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맞는 환경조형물을 설계함으로써 공동주택에 적합한 환경조형물의 성격, 설치방향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환경조형물의 역사, 기능, 법안 등을 연구하였고 대안 설계 대상지를 선정하기 위해 대구시 환경조형물의 경향을 사례 조사 하였다. 조사결과는 법안상의 문제, 행정상의 문제, 건설사 위주의 작품 선정, 의무 비용과 법안에 맞추기 위한 억지공사, 예술가의 자질 등의 문제가 있었다. 사례 조사는 2003년 이후 건설된 대구광역시 공동주택의 환경조형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로 달서구의 S아파트를 선정하였다. 연구조사 후 나타난 문제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선정된 대상지의 현황과 배치도, 공간 분석에 따른 조형물의 재료, 색상, 형태, 규모를 제시하고 조형물의 컨셉과 테마, 조형물의 전통적 의미와 유래를 반영한 시공방법과 도면을 여러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설계방식에 비해 심리적인 소통의 의미를 계획함으로써 보다 더 적극적인 의미의 조형물과 공간을 만들 수 있었다는 것이다. 설치에 급급한 현 조형물들의 상황을 앞서 주도할 수 있는 조형물을 설계하였으며 이로서 공동주택의 단점을 보완하고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지역사회를 윤택하게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다시 현 시대는 환경 친화적이며 공동체적인 삶으로 가고 있다. 그에 따라 정신적인 풍요로움을 요구하며 삶의 질에 관한 문제가 공동의 과제가 되었다. 주거환경에 있어서도 아름다움, 미관은 절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름다운 미관의 조성은 삶의 질을 향상 시킬 뿐 아니라 공간의 매력을 향상시켜 그 공간을 즐기게 함으로써 생활을 활성화 시키는 힘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환경조형물은 단순히 기념비적, 상징적인 소극적인 의미에서 벗어나 새로운 공간, 문화 창출이라는 적극적인 의미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에 따른 제도 개선 역시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공동의 공간을 만드는 일은 결국 삶을 디자인 하는 일일 것이다. 본 연구는 대구시의 2003년 이후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상지는 달서구의 S 아파트 이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전체 환경조형물의 영향에 적용 시키는 데에는 일반화에 따른 문제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더 많은 작품 위주의 실 사례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공공의 미술에 대한 광의의 연구가 아닌 실제 공동 주거공간의 한 사례만을 대상으로 언급하였다. 단지 주거단지 안에서 공유되는 조형물로서 만이 아니라 담장 허물기 사업과 같이 지역주민들과 단지 내 조형물을 공유할 수 있는 범위로 확대된 연구를 제안한다. MS. Thesis A Study on Tendency of Environmental Shape Object Design in Multi-Housing Complex -Centering Environmental Shape Object in S Apartment, DalSeo-gu, DaeGu- Son, Byung-Ki Majoring in Urban Landscape Desig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Health, Yo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Park, Chan-Yong) (Abstract) The architecture is not just existence of real space but is creation of new space tha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art is interactively reflected. The environmental shape object is very important factor for raising the quality of space in space, structure, and psychological part. The environmental plastic art product is not just for ornamenting shape of structure separately but is for creating new space or completing the function in integrative way. The environmental shape object affects people not only in structural meaning but also psychological aspects, and it can change meaning and role of the space and create a new meaning for it. The problem about individuality of multi-housing has been thought as controversial since the start of multi-housing. The group-space is one of the result that came out through the effort to overcome disconnection between residents. The alternative can be suggested when structure can give meaning of space to residents and take a role as changing people's life so that it can provide artistic, humane, and psychologic effect on people. Then it will actively lead residents' life. This research chose multi-housing complex in DalSeo-gu, DaeGu, and analyzed general status, shape, material, color, scale etc. of environmental shape object in the complex. Then based on these basic meaning of the structure, I design the product to be appropriate for features of community and social-psychological meaning. I intended to suggest features, installation guide, etc. that are decent for multi-housing complex by designing structure that harmonizes with goal and method of this research. For this, I researched history, function, bill of environmental shape object, and case-studied the trend of structures in DaeGu to select the alternative designing area. Through the research, I found some problems in bill, administration, construction investor oriented structure, forced construction to fit cost and bill, ability of architect. The object of study is environmental shape object that is constructed after 2003 and as a result S apartment in DalSeo-gu has been selected. To minimize the problem that can appear as result of the research, I suggested status, layout drawing of the area and material, color, shape, scale of the structure. Also, the construction method and sketch that reflects traditional meaning and origin is provided. The result we got from this research is that we could make more active meaning of structure and space through planning more psychological connection than existing designing method. I design the structure that can lead existing structures so that weak point of multi-housing complex can be overcome and quality of life can be raise. Eventually, local community will prosper. The present age is wanting environmental friendly and communal life. Therefore, it demands spiritual richness, and the quality of life has became a problem of all. Beauty takes important role in residential environment. Making beautiful sights makes better quality of life and has a force to vitalize life by have people enjoy charming space. So the environmental shape object should not stay in its monumental, symbolistic, passive meaning but reborn as active meaning of creation of new space and culture. And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has to be carried out. To make common space is to design life. This research might have problem to be generalized because it is only related to multi-housing complex that has constructed after 2003 and the case object was S apartment in DalSeo-gu. So the more case study is needed in the future. Also, this research is just about one actual multi-housing complex, not broad sense of public art. I suggest that we should not limited to structure that is shared in complex but broaden our research to structure that can be shared with local residents such as 'breaking down the fence' project.

      • 의료시설 공용공간의 사례분석을 통한 환경색채 계획원리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심재경 漢陽大學校 環境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687

        환경에 대한 색채가 큰 관심을 불러 일으키면서 건축환경 색채 또한 상당한 초점 으로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환경색채의 전반적인 응용에 대한 확실한 이 론이 없는 실정이며 환경색채의 구분이 애매하여 잘못된 색채의 남용으로 인해 많은 오류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환경색채를 실내건축과의 연관성과 종합적인 시각을 바탕으로 하여 타당하고 근거있는 이론으로 접근하였고 환경색채 원리를 개발하여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실내건축의 합리적인 환경색채 계획의 개발을 위하여 의료시설 공용공간을 사례 로 선정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내용을 전개 하였다.

      • 전원주택의 입지유형과 공간구성에 관한 풍수지리 연구 : 대구 주변지역 전원주택을 중심으로

        김순진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87

        M.S. Thesis A Research on Feng-shui Theory Regarding Location Type and Space Composition of Suburban Houses -Focusing on Suburban Houses in the Vicinity of Daegu- Kim Soon-Jin Major in Feng-shui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 & Public Health Studies Yeungnam University Daeg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Park Jae-Rak and Park Chan-Yong) Abstract In the past and modern housing culture, the primary purpose is to use residential life styles. However, due to the increase in income level and the five-day-workweek, modern people began to prefer well-being and healing perspective of their lives, which brought lots of attention to housing culture of suburban houses. Going along with the trends, suburban housing complex started to be developed and sold in the locations not far from the downtown area, gaining attention of the public. However, it is problematic that development of suburban houses is driven by profitability of individual developers or construction companies without thought for the environment. In order to prevent these problems from happening, not only legal regulations but also environment-friendly location of suburban houses is very important so that the nature and human beings live in harmony by human beings adapting to the nature. Therefore, we could seek for wisdom of our ancestors by adopting Feng-shui theory to modern architecture, which will lead to coexistence of the human beings and nature, without destroying the Mother Nature. Also, considering the benefits provided by the nature, the nature should never be destroyed and when developing suburban houses, the convenience and profitability should not be given the highest priorities but one must find the ways to let the nature and human beings live in harmony. If we recognize the value of the nature, we should keep in mind that the future of nature is the future of human kind thus we must pass on the valuable nature soundly to our descendants. According to the Feng-shui theory, not only suburban houses but also general architectures are ideal to be located in areas with Sands of Four Spirits(四神砂) where the spirits of mountains are well inherited. In Feng-shui theory, these locations are deemed as ideal spots that contain the wind and obtain the water(藏風得水). The present research studies suburban houses located within one-hour distance from northern and eastern directions of Daegu city, and five complexes are selected including ① Hwasung Greenville Suburban Houses ② Palgong Jeonwon Village ③ Yuchang Jeonwon Village ④ Yangji Meogu Village ⑤ Biseul Oak Valley, in order to apply important theories of Feng-shui theory such as Yongse(龍勢), Jise(地勢), Suse(水勢), Jwahyangron(坐向論) and Bibo Feng-shui(裨補風水). Also, the present research examines 3 Principles of Yangtaeg(陽宅三大看法) including Baesanimsu(背山臨水), Jeonjeohugo(前低後高), and Jeonchakhugwan(前窄後寬). Among the theories of Yangtaeg Feng-shui(陽宅風水) that can be applied to suburban houses, Dong·Seo Sataegron is selected among the contents of Yangtaeg Samyo(陽宅三要). However, among the theories of Feng-shui, Hyeolron(穴論) is argued by many scholars from academic perspectives thus it is excluded in this research when analyzing suburban houses. If suburban houses are located in areas with favorable natural locations and space com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s recommended by Feng-shui theory, it would be like a highly valuable home where people can enjoy their healthy and happy lives. The present research intends to study the impact of suburban houses on residential lives from the standpoint of Feng-shui theory, which is a traditional discipline of natural science. Improvement in income level and standard of living has brought changes in social structures and recognition towards housing cultures such as expansion of leisure time and increased attention to health, driving many people to leave overcrowded houses in the city and go to suburban houses. Those people desire to escape from the environmental, noise, smoke and water pollution in the downtown and prefer to enjoy healthy and high-quality lives in suburban areas. In addition, the present research intends to propose methodological directions to be applied to location selection and house building while protecting the nature, which could be used for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of suburban hous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suburban houses and apply Feng-shui theory in terms of location, landscaping, site plan, street structures within the complex to study location selection and space composition, in order to propose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suburban house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city. 국문초록 전원주택의 입지류형과 공간구성에 관한 풍수지리 연구 -대구 주변지역 전원주택을 중심으로- 김 순 진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환경설계학과 풍수지리전공 지도교수 박재락·박찬용 요 약 과거의 주거문화와 현대의 주거문화에서 첫 번째 목적은 주거생활의 활용이다. 하지만 소득수준의 향상과 주 5일 근무제로 웰빙과 힐링을 선호하면서 현대인들이 전원주택 주거문화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도심에서 많이 벗어나지 않은 위치에 자리한 전원주택 단지가 활발하게 개발 분양되면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문제점은 도시외곽 지역의 전원주택 개발은 개인업자 또는 건설업체에서 수익만 앞세워 여러 형태의 종류로 개발되면서 온 산천이 무분별한 난개발로 몸살을 앓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법적인 규제도 필요하지만, 자연과 인간이 조화롭게 살기위해서는 인간이 자연에 순응하면서 조화로운 삶의 공간에 전원주택이 친환경적으로 입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개발이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선현들의 지혜를 살펴서 전통 자연과학인 풍수지리를 현대건축에 접목시켜 전원주택을 개발한다면, 아름다운 대자연을 훼손 없이 함께 조화를 이루면서 인간과 자연이 공존 공생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대자연이 인간에게 주는 이로움을 생각한다면 자연을 함부로 훼손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며, 전원주택 택지개발에 있어서도 편리성과 수익성만을 앞세워 개발 할 것이 아니라, 자연과 인간이 조화롭게 살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자연의 소중함을 인식한다면 자연의 미래가 우리의 미래이듯 소중한 국토를 잘 활용하여 온전하게 우리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할 것이다. 풍수지리에서 전원주택은 물론이고 일반 건축물도 산(山)의 좋은 정기를 받아 사신사(四神砂)가 잘 갖추어진 곳에 자연과 조화를 이루면서 건물이 배치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입지조건이라 할 수 있다. 풍수지리에서 이런 곳이 곧 장풍득수(藏風得水)가 잘 된 곳이라 하여 명당이라 칭한다. 본 연구 논문은 대구시를 중심으로 북, 동쪽에 위치한 1시간이내의 거리에 위치한 전원주택을 선정하였으며, 대상지로는 ① 화성그린빌 전원주택 ② 팔공전원마을 ③ 유창전원마을 ④ 양지머구마을 ⑤ 비슬오크밸리 이상 전원주택 5곳을 선정하여 풍수지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이론적 체계를 합리적으로 적용하여 주거지의 입지선정에 필요한 용세(龍勢), 지세(地勢), 수세(水勢), 좌향론(坐向論)인 건물의 배치와 구조, 비보풍수(裨補風水) 이론을 대입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양택3대간법(陽宅三大看法)인 배산임수(背山臨水), 전저후고(前低後高), 전착후관(前窄後寬)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양택풍수(陽宅風水)에서 전원주택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 가운데 양택삼요( 陽宅三要) 내용중 동·서사택론을 적용하여 자세하게 연구하였다. 그러나 풍수지리 이론 중 혈론(穴論)은 학술적으로 주장하는 학자들이 많으므로, 본 연구 논문 주제인 전원주택 분석에서는 혈론(穴論)은 배제 하였다. 풍수지리 요건을 갖춘 전원주택이 자연환경 입지조건과 공간구성이 잘 갖추어진 곳에 위치한다면 건강과 행복을 누리고 살 수 있는 보물 같은 보금자리가 될 것이다. 전통 자연과학 학문인 풍수지리학이 현대인들이 살아가는 주거양식 형태중 하나인 전원주택이 주거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연구해 보고자 하였으며, 현대생활에서 소득수준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여가시간 활용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사회구조와 주거문화의 인식변화를 가져옴으로써 건강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짐에 따라 도심지 내의 과밀화된 주택보다는 전원주택을 선호하는 탈도시화 층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도심지 내의 환경오염과 소음공해 차량의 매연 및 수질오염에서 벗어나 개인의 취향에 따라 건강하고 질 좋고 여유로운 생활을 영위하고자 한다. 또한 전원주택 개발과 건축공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어 자연을 보호하면서 터 잡기와 집짓기에 실용적(實用的)으로 활용 될 수 있는 방법론(方法論)을 제시하고자 연구하였으며, 전원주택 단지의 특징을 현대 부동산 풍수를 적용하여 공간구조로 주택의 배치, 주택의 가상, 주택의 조경, 대지의 평면, 단지 내 도로의 구조를 전통풍수지리를 적용하여 입지선정과 공간구성을 연구함으로써 합리적인 전원주택 단지 개발과 도시의 주거환경에 연구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기능저하 저수지의 활용성 및 생태 활력 제고를 위한 수변공원 설계 : 낙생저수지를 대상으로

        이혜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87

        우리나라는 과거 벼농사를 기반으로 발전해옴에 따라 농업용수의 공급이 필수적이었다. 하지만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기존 저수지는 본래의 기능과 역할을 잃어 방치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저하 저수지는 환경적·경제적 문제가 발생시킴에 따라 활용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기능저하 저수지의 활용성을 제고하며 저수지가 가지고 있는 생태적 가치를 확대하는 것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주변 도시 및 자연과의 맥락을 이해하고 사람과 자연을 재연결하고 활성화하고자 한다. 본연구는 경기도 용인시 고기동에 위치한 낙생저수지를 대상으로 한다. 낙생저수지 주변은 산지형 농지로 이루어져 있었지만, 주변 도시 및 주거지 개발로 인해 논과 밭이 사라지게 되었다. 이로써 주변 지역에 농업용수를 공급 하던 낙생저수지의 용도가 사라진 현황이다. 대상지는 산림과 하천, 저수지로 우수한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지만, 점차 도시가 발전하면서 생태계가 훼손되었다. 또한 저수지와 맞닿아 주거공간이 위치하고 있지만, 차도의 건설로 인해 서로 간의 연계성이 부족하여 낙생저수지는 폐쇄적인 모습을 보인다. 이뿐만 아니라 수익시설의 건설 및 도시공원일몰제로 인해 대상지의 중요한 생태적 거점 또한 훼손되었다. 대상지는 두꺼비의 산란지이며 멸종위기 Ⅱ급 대모잠자리가 출현하는 자연적으로 우수한 환경이었다. 하지만 개발로 인해 대상지의 습지가 모두 매립되었으며, 산란지를 찾기 위해 저수지로 내려오는 두꺼비의 로드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상지의 생태·환경적 가치를 보존하고 회복하는 공원을 목표로 한다. 생태와 사람이 서로 상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진입로 등을 조성한다. 이로써 도시의 개발로 인해 방치되어 기능을 상실한 낙생저수지에 새로운 용도를 찾아 자연과 사람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하고 자 한다. 이에 따라 단절되었던 생태축을 재연결하고 주민들이 저수지의 환경적·경관적 가치를 누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훼손되었던 습지를 복원하고 대체습지를 조성하여 다양한 동식물들의 산란 및 서식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생태적 공간을 교육 및 관찰 프로그램을 통해 주민들에게 생태환경이 친화적으로 다가갈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낙생저수지의 생태 시스 템을 주민이 직접 관리하고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활동 프로그램 또한 확대 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주민을 위한 산책 공간, 휴식공간, 운동공간을 조성하여 더욱 쾌적한 주거환경이 될 수 있도록 하며 주민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해 지역 공동체를 강화하고자 했다. 이처럼 본 연구는 저수지의 방치된 현황을 극복하기 위해 생태적 활용방안 및 공원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낙생저수지의 공원 조성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요어 : 기능저하 저수지, 활용성 제고, 생태 회복, 수변공원, 공원설계 학 번 : 2022-29825 South Korea has historically relied on paddy farming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making the supply of agricultural water essential. However, with the progress of urbanization, existing reservoirs have been neglected, losing their original functions and roles. The decline in functionality of these reservoirs poses environmental and economic problems, highlighting the need to explore ways to enhance their utility. This study focuses on improving the functionality of underutilized reservoirs and expanding their ecological value. The aim is to understand the context with surrounding cities and nature, reconnecting and revital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nature. The research specifically targets the Naksaeng Reservoir in Gogi-dong, Yongin City, Gyeonggi Province. The surrounding area, once composed of mountainous farmland, has lost its agricultural purpose due to urban and residential development, leading to the disappearance of fields and paddies that used to supply agricultural water to the neighboring areas. While the target site boasts excellent natural features with forests, rivers, and a reservoir, urban development has gradually led to ecological degradation. Moreover, the proximity of residential areas to the reservoir has resulted in a lack of connectivity due to road construction, portraying the Naksaeng Reservoir in a closed-off manner. Additionally, the construction of profit facilities and the decline of urban parks have further damaged the critical ecological hub of the target area. The site, which served as a breeding ground for frogs and supported endangered level II damselflies, faced environmental deterioration. The once-natural habitat has been compromised due to development, resulting in the issue of roadkill as frogs descend into the reservoir in search of breeding grounds. In response, this study aims to create a park that preserves and restores the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value of the target area. Programs and entrance roads are designed to facilitate the harmonious coexistence of ecology and people. By repurposing the neglected Naksaeng Reservoir, which lost its function due to urban development, the goal is to plan a space where nature and people can coexist. Reconnecting the severed ecological axis, the research enables residents to appreciate the environmental and scenic values of the reservoir. Restoration of damaged wetlands and the creation of alternative habitats are intended to provide breeding and dwelling places for various flora and fauna. Educational and observational programs are implemented to familiarize residents with the eco-friendly environment. Furthermore, activities are expanded to empower residents to directly manage and enhance the ecosystem of the Naksaeng Reservoir. In addition, the creation of walking spaces, rest areas, and exercise spaces aims to establish a more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for residents. The establishment of a community space for residents aims to strengthen the local community. In this way, the study proposes ecological utilization and park programs as practical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neglected status of the reservoir. The significance lies in presenting tangible alternatives for the creation of a park at the Naksaeng Reservoir.

      • 아파트 거실의 照明環境에 관한 硏究

        김화영 朝鮮大學校 環境保健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8687

        Housing lighting must satisfy the lighting function appropriate to the life in each room and comfortable lighting environment should be made. As the life style and level of residents have been diversified, individualized and high class, the desire for harmonizing lighting with the various aspects of life not for the brightness for simple work or activity is increased.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actual conditions of lighting environment and the consciousness and responses of residents with the living room of apartment house, grasping the problems of existing lighting methods, offering the lighting environment design standard in harmony with the various demands of residents, functions of living room space, life in living room and interior decoration and then pursuing the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As the scope and methods of research for these, existing research methods are examined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preceding researches and the basic outline of this research is constructed. Questionnaire survey is conducted with six apartment complexes including Kumho district, Munhung district, Sangmu district, Unnam district, Ilkok district and Chumdan district,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lighting environment conditions are examined, conception and selection of lighting equipment design image are made, lighting equipment design of living room is suggested and the expected effects of lighting equipment ordering method are arranged as follows. 1)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households, elements of lighting equipment design and interior decoration image, in lighting equipment color, bright, vivid, warm and calm colors are preferred and in materials of lighting equipment, glass, wood and synthetic resin are preferred, in structure of the equipment, easy handling and strong, durable and easy cleaning structure are preferred and in the image of lighting equipments, modern and natural image is preferred. Also in the interior decoration image, modern and natural mood is preferred most like the image of lighting equipments.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image of interior decoration to that of lighting equipment, when simple and modern interior decoration is preferred, the image of lighting equipments with sophisticated, modern and elegant design is also preferred. And in the case of natural and warm interior decoration image using natural materials, the natural image of lighting equipments using simple, modern and natural materials is preferred and they have a correlation. 2) The range of appropriate illumination by the whole and local lighting is suggested by considering the standard illumination and the behavior of each room. In case of living room, it is suggested that the whole illumination should be over 100(lx), for the hospitality of family harmony and guests, local illumination should be over 150(lx) and for reading, needling and studying, illumination over 6000(lx). The whole lighting for kitchen and table should be over 100(lx), the lighting for cooking, family meals and conversation with local lighting over 200(lx), the whole lighting in entrance over l00(lx) and lighting for footwear cabinet and mirror with local lighting over 150(lx). 3) It is important that lighting source with preference of residents and good efficiency should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its characteristics. In case of living room, it is desirable that the lighting source of the whole lighting uses fluorescent lamp and incandescent electric lamp and for local lighting, halogen lamp and power-saving fluorescent lamp should be used. 4) The installation of existing lighting equipments is made of the whole lighting in living room and directing lighting is installed on the heating table with whole and local lighting in kitchen. In case of table, lamp hanging on ceiling is installed as local lighting, but it may not be used or installed. Living room has the whole lighting system and the kinds of lighting equipments include chandelier, lamp hanging on ceiling as whole lighting equipment and wall lamp, spotlight and floor lamp as local lighting equipments. 5) In the adoption of lighting equipment ordering, 87.1% of research households responded "they agree to it" and major reason of agreement is "because they can select the interior mood and lighting equipment they like". As a result of examining and analyzing the lighting environment of living room in existing apartment houses, it is known that the conditions of existing lighting environment considered uniform lighting plan for functional sides of each room which didn't consider the various living behaviors and preference of residents and while the degree of interior decoration design is actually positive. Accordingly it seems that the lighting equipment ordering which considers the various preferences of residents is applied as the means for comfortable lighting environment, the interior environmental mood will be greatly. improved.

      • 수세의 변화가 도시발전에 미친 영향 : - 하남시를 중심으로

        박보빈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87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water force, the influence on waters, on environment out of the formal logics of Feng Shui. The urban environment of Hanam city, Gyeonggi-do, the objective of the study, and Feng Shui were analyzed. Especially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Pungsan housing development zone, how much effect the process of changing Hajungdo at the down the river of Paldang in Hanam had on the urban environment of Hanam city was analyzed from the water force's view point in Feng Shui. Hanam is a city well equipped with BogukJise, and its Jusan is Mt. Namhan after the range began at Mt. Baekdu of BaekduDaegan and came down to the GeomdanJimaek, and the Jusan is well arranged by Mt Geomdan that protects the current topography well and Baekho, Oicheongyong and Naecheongyong. Hanam city is well equipped with the formal logics of Feng Shui including Naeryong, Jusan, Cheongyong and Baekho and well harmonized with Baesanimsu so called in Feng Shui, as river flows in front and beautiful Ansan is at back. In spite of the good shape of Feng Shui, why it has been just a small city in the vicinity of Seoul was observed in terms of Feng Shui. Hanam city is equipped with the shape of Feng Shui, the typical hills-rivers-together shape, as mountains come in the form of Sonsajwa and waters flow to Geonhaehyang. The entry of waters should be united not to let them escape but to collect. Hanam is interpreted as a city equipped with not united two parts of entry, Sangokcheon Pagu and Deokpungcheon pagu. Hanam had not shown a development to a big city until 1985, when the population became 86,000, 28,000 increased from the population in 1980, and then it increased about three times of 152,000 in 2010. In this process, change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ity were the aggregate collection project as part of Han River general development project and the rowing arena construction project at Misari by Han river since 1984. The two projects expanded the area of water in large scale and reinforced the force of water, and the Han River general development and the rowing arena were artificial national projects playing the role of reinforcement in terms of Feng Shui. The reason it is regarded as the reinforcement of Han River general development project is as follows. At first, the naturally formed Naseong(Hajungdo) at the center of Han River made the water not to flow smoothly, but to flow slowly. The aggregate collection, the dismantling project of Naseong(Hajungdo) as part of Han River general development project, made the width wider and the depth deeper to make the flow smooth that resulted in wind change, turning the low pressure into high pressure in Han River. As for rowing arena, the arena is in a big lake which is filled with clean water 365 days and the dismantlement of Naseong(Hajungdo) made the flow of water faster and the flow of Energy too. There were good and bad wavelengths together and the rowing arena played the role of filter so that the bad wavelength could not come straight to Hanam. As a result, waters in the Han River and the rowing arena are united playing the role of sending a good energy and making the chance to Hana's growth on large scale. 본 연구는 풍수지리학의 형식 논리 중에서 환경에 대한 수세(水勢) 즉 물에 대한 영향력을 고찰하고자 했다. 경기도 하남시를 연구대상지로 하여 하남시의 도시환경과 풍수지리를 분석해보고 특히 풍산택지개발지구의 개발과정에서 하남시 팔당 하류의 하중도의 변화과정이 하남시의 도시발전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를 풍수지리의 수세(水勢)적 관점에서 분석하는데 있다. 하남시는 백두대간인 백두산에서 시작하여서 검단지맥으로 내려오면서 주산은 남한산이고, 주산에서 현 지형을 잘 보호해주는 검단산과 백호와 외청룡 내청룡으로 국세가 잘 짜여 있는 지형으로 보국지세를 잘 가춘 도시로 볼 수 있다. 풍수지리의 형식논리인 내룡 및 주산, 청룡, 백호가 잘 가춘 도시에다가 앞으로는 강이 흐르고 안산 또한 수려하게 있으니 풍수지리에서 말하는 배산임수(背山臨水)가 잘 조화로운 도시로 구성되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풍수적 형상이 양호함에도 불구하고 서울에 인접하고 있는 작은 소도시로 지내 온 이유를 풍수지리학적으로 관찰한 결과, 하남시는 산은 손사좌(巽巳坐)로 오고 물은 건해향(乾亥向)으로 흐르는 전형적인 산수동거(山水同去)형의 풍수형국을 갖추고 있고, 또한 수구(水口)는 합수(合水)가 되어야만 물이 빠져 나가지 않고 모여서 하남시는 산곡천 파구(波口)와 덕풍천 파구(波口)가 서로 합쳐지지 않는 양파(兩波)로 된 수구를 가춘 도시로 해석되었다. 그러던 하남시는 1985년 이전까지 큰 도시로의 발전이 없다가, 1985년부터 하남시의 인구가 86천명으로 1980년의 인구보다 28천명이 증가하고, 2010년의 인구는 152천명으로 3배정도의 인구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도시의 물리적 환경의 변화는 1982년대부터 진행된 한강종합개발사업으로 인한 골재채취 사업과 1984년부터 한강에 위치한 미사리에 조정경기장을 조성한 것이 사업이 전부이다. 두 사업은 하남시에 수 면적을 대규모로 확장시켜 수세를 강화하였고, 한강종합개발과 조정경기장은 국가의 사업으로 인위적으로 조성되면서 풍수지리상의 비보로서의 역할로 변모된 것이다. 한강종합개발사업의 비보로 볼 수 있는 이유는 한강 중앙에 나성(하중도)이 자연적으로 조성되어 물의 흐름이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고 흐름이 늦어지게 된 것을 한강종합개발로 인해서 나성(하중도)의 해체작업인 골재채취로 인하여 한강의 폭이 넓어지고 깊이도 깊어져서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서 바람 또한 변화가 오면서 저기압이 흐르던 한강에 고기압이 흐르면서 비보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또한 조정경기장을 들 수 있는데 조정경기장은 큰 호수로 365일 맑은 물이 가득 하고 나성(하중도)의 해체로 인해서 물의 흐름이 빨라지면서 기의 흐름 또한 빨라지는데 좋은 에너지 파장과 안 좋은 에너지 파장이 같이 공존하니 안좋은 파장을 하남시로 직접적으로 올 수 있는 통로를 호수인 조정경기장이 한번 필터링해주는 역할을 하니 한강의 물과 조정경기장이 서로 융합하여서 좋은 에너지를 보내주는 역할을 하여 하남시가 크게 발전하는 계기를 이룬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