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성 문화시설의 입지적 특성과 사회적 기능에 관한 연구

        김성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5359

        This study begins from the question, “Did cultural facilities that introduced in the distorted modernization process originally set the same location and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ey do tod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cational features of modern cultural facilitie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social functions according to the current of the times. The core of urban spaces and facilities as well as the origin, publicness, and administration of what we refer to as cultural facilities were crea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Moreover, research must be conducted on this period because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the roles and functions of public cultural facilities in the present times due to the current focus on urban development and regeneration. Culture is a material and spiritual product that is acquired, shared, and delivered by members of society, and cultural facilities are spaces in which various cultures are created, distributed, and consumed. Cultural facilities can be defined as places of mutual emotional, human communication, but they differ from traditional spaces and have grown remarkably at this turning point for modern society. While modern facilities in the military regime were focused on punishment in the judicial and penalty system, cultural facilities that enabled interchange for assimilation were planned as “cultural politics.” Cultural facilities were “contact zones” in which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the Gyeongseong masses routinely met, clearly showing the spectrum of assimilation.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examine the cultural facilities established by various agents to explain the formation and change of modern urban planning and identify the social implications of cultural facilities in urban spaces. The temporal scope of the study is the period from 1910 to 1937 in which Joseon shifted to a war footing. This study analyzes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modern cultural facilities as well as strategies in cultural politics starting from 1920 when changes first occurred in the ruling method. The spatial scope of the study is the boundaries of Gyeongseong-bu, and the subjects are libraries, theaters, and museums as spaces of visual culture that are exclusive properties of modern society. The analysis of cases of libraries, theaters, and museums established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showed that cultural facilities at the time blurred the boundaries of a dual city from a locational perspective. There were a few reasons for this: first, cultural facilities at the time were established in various places of Gyeongseong as a symbol of advancement. Cultural facilities introduced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were located in the heart of the city, with exteriors that differed from those of conventional buildings in terms of architecture and landscape. The buildings introduced by the Empire of Japan were equated with the West and were expressed in terms of modernity and advancement through their “distinction” from Joseon architecture. Moreover, spatial hegemony was to be seized by creating cultural facilities in nationally symbolic spaces, such as establishing Buminkwan on the land owned by the royalty of Joseon and planning Gyeongseong Prefectural Library and Joseon Government-General Library in the territory of the Korean Empire. Second, cultural facilities were used for the spatial assimilation of Namchon where Japanese people resided, as a mechanism to attracts Joseon people who admired advanced culture. Various modern theaters and Gyeongseong Gonghoedang established by the Empire of Japan were located in Namchon, and the major beneficiaries of these facilities were Japanese people. Cultural facilities that were distributed in a discriminatory manner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operated as spaces of consumer culture that attracted Joseon people to Namchon, where they experienced modernity as the masses, admiring advanced culture. Third, the boundaries of the ethnic space, which was divided into Namchon and Bukchon, were blurred by cultural facilities. Bukchon and Namchon had been defined within a relationship of colonial authority pointing to domination and resistance, but the boundaries were blurred as the economic power moved north. Gyeongseong Library in Joseon was closed due to operational difficulties, and the theaters around Tapgol Park were also run by Japanese people, showing the way in which Japanese people led spatial changes with the purpose of economic exploitation and the control of colonized people. The boundaries were broken down in the process of ethnic conflicts, competition, and assimilation in the private sector rather than through the influenc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Moreover, regarding the social function of cultural facilities, this study found that cultural facilitie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were used as spaces in which people were encouraged to learn to become modern citizens. First, the Empire of Japan used cultural facilities as disciplinary, government-led spaces. Cultural facilities were used as the academic bridgehead of the continental invasion by the Empire of Japan, with the intention to reproduce the discourse of colonial rule as an event of exhibition and effectively ensure the discipline of the colony by comparing it with Joseon. Libraries were mostly arranged with Japanese books, and theaters and museums were used to create cultural gaps between Japanese and Joseon people while also nurturing people to become war-focused. As such, the Empire of Japan used cultural facilities to emphasize modern discipline and establish cultural superiority in order to reinforce their regime.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Joseon people, cultural facilities served as places of enlightenment that led to the emergence of a new social class. Libraries and museums carried out cultural projects for children and women and continued to provide education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Unlike in Western society, due to social education that was carried out rapidly due to Korea’s colonial characteristics, cultural facilities were used as spaces of enlightenment for refinement and the development of rational reason. Third, for the general masses, cultural facilities served as spaces for leisure and entertainment. The Empire of Japan tried to assimilate Joseon by contrasting the historic sites of Joseon royalty with modern spaces, but the Joseon masses transformed these facilities into recreational facilities. At the time, cultural facilities were more like playgrounds that provided interesting attractions rather than places that propagated modernity. They were perceived and substituted as spaces of amusement and recreation by the people. The Japanese colonial era is generally characterized by the military ruling method, cultural politics, and military logistics. However, the displacement of space by the Empire of Japan continued throughout the entire colonial period through the hosting of exhibitions in Gyeongbokgung Palace and the establishment of museums in each palace. Libraries were closed after the declaration of the Joseon Education Decree and reappeared after cultural politics, being absorbed into the public libraries of Japan. Moreover, theaters were used as venues of propaganda used in government events. In other words, this study found that cultural facilities were introduced in a different manner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confirmed that their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functions varied depending on whether the establishment agent was Joseon or Japan. The transition to modernity in Western society delivered the greatness of civilization to the people through new public buildings as symbols of a civilized city. However, upon experiencing colonization, Korea lacked independence and showed a different process from that of the West. Japan’s acts of randomly destroying urban spaces and constructing cultural facilities can be identified as part of the process of assimilation. However, as can be seen in many cases, there was no unilateral form of assimilation, and the use and role of cultural facilities cannot be summarized in an orderly fashion. In other words, for the masses, cultural facilities show that “modernity introduced by the Empire of Japan” as places of leisure and amusement does not consist of such a dramatic change as we may think. From today’s perspective of publicness and universality, cultural facilities at the time are incomplete spaces that failed to fulfill modernity, but the newly introduced facilities formed boundaries with premodernity. This study analyzed cultural facilitie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with a focus on their construction as well as their uses and roles. Colonial power at the time intended to teach and discipline Joseon people with a new social order and system, but cultural facilities built by various agents were constructed in Gyeongseong representing each stance, revealing various outcomes. Even though cultural facilitie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were created as part of the colonization project, the way in which the masses as the main agent used these spaces was formed autonomously. At the time, cultural facilities formed connections with various elements such as the regional atmosphere, the modernization level, and the point of construction in addition to physical shape, through which cultural facilities were formed as a changing subject instead of a fixed object. Experiences of modernity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must trace the origin of modernity from that time, even if it was a colonial period. This is because the experience of the time cre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times. This study analyzed the space and function of cultural facilities, which are single buildings, along the current of the times as a contact zone for discipline and enlightenment. Studies on cultural facilities are fragmented into the field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erforming arts, and art history. However, this study analyzed the specificity of colonial Joseon in a diachronic approach based on cross-disciplinary analysis, combined with urban planning. Considering that cities are labs of modernization as well as the base of cosmopolitanis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found in the need for and possibility of convergence between studies on cultural facilities and urban spaces. 오늘날의 생활 방식이 구축된 시기는 불과 100여 년 전으로, 우리의 사고와 행동을 재편한 근대적 공간은 개항기와 일제 식민지기를 거치며 다양한 방식으로 생산되었다. ‘왜곡된 근대화 과정에서 도입된 문화시설이 당시에도 지금과 같이, 입지를 정하고 동일한 기능을 하는 공간일까?’ 라는 질문에서 시작된 본 연구는 일제 식민지기 근대문화시설에 대한 입지적 특성과 시대의 흐름에 따른 사회적 기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일제 식민지기는 도시 공간과 시설의 핵심, 그리고 우리가 문화시설이라 칭하는 것들의 기원, 공공성, 행정이 탄생한 시기이다. 또한 ‘지금의 시점’에서 연구를 진행해야 하는 이유는 도시 개발이 진행되고 도시재생에 주목하고 있는 현재, 공공 문화시설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과거의 공간을 재검토하는 것은 그것이 생성된 지점에서 출발해야하기에 근대에 대한 연구의 성과는 현재적 의미를 지닌다고 판단하였다. 문화란 사회 구성원에 의하여 습득, 공유, 전달된 물질적, 정신적 산물로서, 문화시설은 다양한 문화가 생성, 유통, 소비되는 공간이다. 이러한 문화시설은 인간의 정서적 활동에 따른 상호 간의 커뮤니케이션 장소로 규정할 수 있으나, 우리의 전통적 공간과는 다르게 전개되었으며 근대 사회로의 전환기에 두드러져 성장하였다. 일제 식민지기 근대 시설의 도입은 1906년 탁지부건축소의 설립과 함께 시작되었으나, 당시의 시설은 지시(instruction)와 검열(inspection), 통제(control)로 표출되었다. 이는 규율 권력을 발현하기 위한 시설로서, 조선인에 대한 생활을 통제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기존 무단통치 체제에서의 근대 시설이 사법, 형행 제도 등 처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문화정치’에서는 동화를 목적으로 교류가 가능한 문화시설이 계획되었다. 문화시설은 조선총독부와 경성의 민중이 일상적으로 만나는 ‘접촉지대’로, 동화의 스펙트럼을 여과없이 볼 수 있는 장소이다. 따라서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설립된 문화시설을 근대 도시계획의 형성과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 유용한 대상으로 설정하고, 도시 공간에서 문화시설이 차지하는 사회적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1910년부터 전시체제로 전환하는 1937년까지이며, 통치 수단의 변화가 나타나는 1920년을 기점으로 문화정치 전략과 근대문화시설의 형성 및 전개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당시 경성부의 경계이며, 대상은 근대 사회의 전유물인 시각문화의 공간으로서 도서관, 극장, 박물관을 선정하였다. 도서관은 당시 경성의 모든 도서관 중 전문학교 부설도서관을 제외한 공공과 민간에 의해 설립된 도서관이며, 극장은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력, 인지도, 규모 등을 바탕으로 사례를 선정하였다. 박물관은 박람회와 궁궐 내 입지한 전시시설, 그리고 상설 전시공간의 유무를 판단하여 대상을 선정하였다. 일제 식민지기에 설립된 도서관, 극장, 박물관을 중심으로 사례를 분석한 결과, 입지적 관점에서 당시의 문화시설은 이중도시의 경계를 완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 원인으로 첫 번째, 당시의 문화시설은 선진성의 표상으로 경성 곳곳에 설립되었다. 일제 식민지기에 도입된 문화시설은 건축적, 경관적으로 기존 건축과는 다른 모습으로 도심부에 입지하였다. 일제에 의해 도입된 건물은 서구와 동일시하였고 조선의 건축과 ‘구별 짓기’를 통해, 근대성과 선진성으로 표출되었다. 또한 조선 왕실 소유의 토지에 부민관을 건립하고 대한제국의 영역에 경성부립도서관, 조선총독부도서관을 계획하는 등 국가 상징공간에 문화시설을 조성함으로써 공간적 헤게모니를 장악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일본인 거류지였던 남촌의 공간 동화로, 선진 문화를 동경하는 조선인을 유입하는 기제로 문화시설이 활용되었다. 각종 근대식 극장과 일제에 의해 설립된 경성공회당은 남촌에 위치하였고, 이러한 시설의 주된 수혜자는 일본인이었다. 조선총독부에 의해 차별적으로 배분된 문화시설은 조선인을 남촌으로 유인하는 소비문화의 공간으로 작동하였으며, 조선인은 선진 문화를 동경하는 민중으로 이곳에서 근대성을 경험하였다. 세 번째, 남촌과 북촌으로 구분되었던 민족 공간이 문화시설을 통해 경계가 희석되었다. 북촌과 남촌은 지배와 저항이라는 식민 권력의 관계 속에 규정되었으나, 경제 권력이 북진함에 따라 영역 구분은 와해되었다. 조선의 경성도서관은 운영상의 어려움으로 폐관되었고, 탑골공원 주변의 극장도 일본인이 운영하는 등 경제적 수탈과 피식민 국민의 통제를 목적으로 일본인은 공간적 변화를 주도하였다. 민간 부문에서 조선총독부의 영향력 보다는 민족 간의 대립, 경쟁, 동화 과정을 거치면서 그 경계가 허물어졌음을 알 수 있다. 문화시설의 입지적 특성을 종합하면, 일제 식민지기의 경성은 서구의 식민지 도시와는 달리 도시 내부에서 많은 변화를 경험하였다. 경성의 상징과 중심축이 근대식 박물관과 박람회장으로 변화하였으며, 궁궐 내 유휴부지를 활용함으로써 문화시설이 조성되었다. 이는 일본 도쿄의 우에노 지역에 문화시설을 계획함으로써 에도 막부의 이미지를 지우려 했던 일본 메이지 정책과 유사하게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고, 당시의 문화시설은 시각적, 사회적으로 신문물 도입의 장소로 인식되어 조선 민중에게 자연스럽게 녹아들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문화시설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해석으로, 일제 식민지기의 문화시설은 근대 시민으로의 학습 공간으로 활용되었음을 분석하였다. 그 원인으로 첫 번째, 일제는 문화시설을 관 주도의 규율 공간으로 활용하였다. 식민지배의 담론을 전시라는 이벤트로 재현하고 조선과의 비교를 통해 식민지에 대한 규율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자 한 일제는 대륙 침략의 학술 교두보로서 문화시설을 이용하였다. 도서관에는 일서 위주의 책을 수서하였고 극장과 박물관은 일본인과 조선인의 간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전시체제 전쟁에 동참할 국민을 양성하기 위한 장소로 활용하였다. 이처럼 일제는 통치체제 강화를 위해 근대적 규율을 강조하고 문화적 우월성을 확립하고자 문화시설을 활용한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조선인의 관점에서 문화시설은 계몽의 장소로서 새로운 계층의 등장 배경이 되었다. 도서관과 박물관은 어린이와 여성을 위한 문화 사업을 진행하였고, 사회적 약자를 위한 교육을 지속하였다. 서구 사회와 달리, 우리나라의 식민지적 특성으로 급속하게 진행된 사회교육은 교양과 합리적 이성을 갖기 위한 계몽의 공간으로 문화시설이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일반 민중에게 문화시설은 여가 및 유희의 공간으로 기능하였다. 일제는 조선 왕조의 유적과 근대적 공간을 대비함으로써 조선을 동화하고자 하였지만, 조선의 민중은 이러한 시설을 오락 공간으로 전치하였다. 당시의 문화시설은 근대성의 선전장이라기보다는 흥미로운 볼거리를 제공하는 유원지에 가까웠으며, 민족으로만 치환되지 않은 유희와 오락의 공간으로서 당시의 문화시설은 인식되었다. 문화시설의 사회적 기능을 종합하면, 관에 의해 도입된 문화시설은 일제의 우월성을 강조하기 위해 규율 공간으로 규정되었고 사회화를 통해 영구적 지배를 목적으로 계획되었다. 그러나 조선의 민간에서 건립된 문화시설은 지역민들에게 사회교육의 공간으로 역할을 하였고 어린이와 여성이라는 새로운 계층을 성장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의 일반 민중에게 문화시설은 흥미로운 볼거리를 제공하는 여가의 장소, 취미생활의 일부로 치환된 것임을 분석하였다. 일제 식민지기는 일반적으로 통치방법에 따라 무단통치, 문화정치, 병참기지화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경복궁에 박람회를 유치하고 각각의 궁궐에 박물관을 조성하는 등 일제에 의한 공간 전치는 식민지 기간 내내 지속되었다. 도서관은 조선교육령 선포 이후, 폐관되었다가 문화정치 이후 다시 등장하여 일제의 공공도서관으로 흡수되었다. 또한 극장은 관제 행사에 이용되는 선전의 장으로 활용되었다. 즉 문화시설의 도입은 일제 식민지기의 시대 구분과는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었음을 분석하였고, 조선과 일제 등의 설립 주체에 의해, 입지적 특성과 사회적 기능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서구 사회에서 근대로의 이행은 새로운 공공건축을 통해 문명화 된 도시의 상징으로, 사람들에게 문명의 위대함을 전달하였다. 그러나 식민지를 경험한 우리나라는 주체적 생각이 결여된 채, 서구의 과정과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도시 공간을 임의로 훼손하고 문화시설을 건립한 일제의 행위는 동화의 과정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여러 사례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일방적인 동화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문화시설의 이용과 역할의 측면에서 하나의 정연한 흐름으로 정리하기 어렵다. 즉, 민중에게 문화시설은 여가 및 유희의 장소로서 ‘일제의 의해 도입된 근대’가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극적인 변화가 아니라고 판단한다. 현재의 공공성과 보편성의 관점에서 당시의 문화시설은 근대성을 구현하지 못한 반쪽의 공간이지만, 새롭게 도입된 시설로 전근대와의 경계를 형성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일제 식민지기 문화시설의 조성 뿐 아니라 이용과 역할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당시 식민지 권력은 새로운 사회 질서와 제도에 의해 조선인을 학습하고 훈육하고자 하였으나, 다양한 주체에 의해 설립된 문화시설은 각각의 입장을 대변하면서 경성에 건립되었고 다양한 결과를 표출하였다. 1910년대 문화시설은 일제가 진보한 문명을 선전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하였고 1920년을 전후로 문화시설은 다방면에 건립되었다. 1930년대에는 관에 의해, 보다 과감히 문화시설이 도입되었고 일본인 문화생활에 대한 욕구, 예술 산업의 성장 등으로 자본과 문화가 결탁한 모습이 나타났다. 또한 민족적 영역의 경계는 흐려지면서 문화시설을 통한 공간 동화가 나타남을 분석하였다. 일제 식민지기의 문화시설은 식민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탄생하였을지라도 민중이라는 이용 주체가 공간을 활용하는 방식은 자생적으로 구축되었다. 당시의 문화시설은 물리적 형태 뿐 아니라 지역의 분위기, 근대화 수준, 건립시기 등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관계 맺었으며, 이를 통해 문화시설이 하나의 고정된 객체가 아니라 변화하는 주체로 형성되었음을 분석하였다. 우리가 일제 식민지기에서 근대를 경험하였다면, 식민지기라 하더라도 근대의 기원은 당시부터 추적해야 한다. 당시의 근대적 경험은 현재의 성격에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규율과 계몽의 접촉지대로서, 문화시설이라는 단일 건물을 대상으로 시대적 흐름에 따라, 공간과 기능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문화시설에 대한 연구는 문헌정보학, 공연예술학, 미술사학 등으로 파편화되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도시계획 분야와의 결합으로 교차학문적 분석을 통해, 통시적 접근과 식민지 조선의 특수성을 고찰하였다. 도시가 근대화의 실험실이자 세계주의의 근거지였음을 상기해볼 때, 문화시설 연구와 도시공간 연구의 융합 필요성과 가능성도 본 연구의 의의라 할 것이다.

      • 잠실 일대 고밀화로 인한 도시 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김도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5359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도시를 압축적, 효율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욕구는 날로 증가해왔다. 이러한 과정으로 고밀화는 토지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필연적인 것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도시의 외연적 확장과 더불어 나타나는 인구 집중과 그에 따른 도시의 과밀화로 인한 대처가 미흡할 경우 도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1970년대 서울은 고도성장을 위한 도시의 양적 확장 및 주거시설 보급이 중요한 시기였으며 이는 잠실 일대도 마찬가지였다. 잠실은 1974년 잠실지구 종합개발기본계획에 의거하여 새롭게 개발된 신시가지이다. 조선시대에는 두 갈래의 강으로 둘러싸인 섬이었으나, 1970년 한강 공유수면 매립사업에 의해 한강 이남지역이 되며 이후 종합개발의 수립으로 기존의 토지구획사업에 의한 토목 위주 도시구성이 아닌 계획 중심의 도시 공간을 조성한 중요한 사례지로 인정받으면서 도시의 확장을 이루어 냈다. 이후 잠실 일대에서 1986년 아시안 게임, 1988년 서울 올림픽 등이 개최되고, 대형 상업시설 등이 들어서면서 잠실은 고밀화되었다. 그러나 2000년 이후 잠실 일대에 미개발지가 부족해지기 시작하였고, 이로 인한 단독주택의 철거, 다세대 주택의 난개발과 아파트 대단지의 재개발로 인해 잠실은 더욱이 고밀화 되었다. 특히 최근의 잠실 일대는 123층의 초고층 빌딩이 건설되어 더욱 고밀화 된 상황이다. 이로 인해 유동인구는 더욱 증가하였고 교통 혼잡도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70년대 잠실지구 계획 당시에는 예상하지 못했던 고밀화로 인해 인프라와 생활환경이 현재와 맞지 않아 교통 및 주차 공간, 거주 환경, 상업 업무 환경 등에서 밀도와 관련된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잠실 일대를 밀도와 관련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잠실 일대에는 네 단계로 나누어 진 고밀화의 과정이 있었다. 잠실 일대는 한강 공유수면 매립사업과 잠실지구 종합개발 기본계획 수립과정에서 도시화를 위한 기반시설을 확보하는 시기가 있었다. 이후 고밀화 과정의 첫 번째로 1974년 잠실지구 종합개발 기본계획부터 1988년 서울올림픽이 잠실 일대에 만들어 낸 공간적 변화로 잠실 일대의 시가화지역이 확장되어가는 단계를 ‘평면적 확장의 시기’라 정의하였다. 두 번째는 잠실 일대의 미개발지 고갈로 인해 재개발이 많이 일어나며 용적률과 층수, 세대수 등이 증가하여 인구밀도와 호수밀도가 증가한 시기를 ‘수직 고밀화 시기’라 정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잠실 일대에서 발생한 특정 사건들이 잠실 일대를 주목받게 하여 방문객 수와 유동인구 등의 활동 밀도가 높아진 시기로 ‘활동 집약화의 시기’라 정의하였다. 고밀화에 따른 공간적 변화의 특성은 세 가지 범주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는 교통과 가로환경의 변화이다. 먼저 저밀도계획구역의 경우 계획 당시 이면가로는 일방통행으로 계획되지 않았지만, 수직 고밀화 시기를 겪으며 세대수 증가, 주차공간 부족으로 도로의 효율성이 떨어져 일방통행으로 변경되었다. 이로 인해 도로의 활동 가능 공간은 좁아졌으며 차량과 보행자의 통행이 불편해졌다. 중·고밀도 계획구역 중 아파트 단지의 경우 단지가 재개발되면서 광로 변에 존재했던 아파트 단지로의 출입구가 삭제되었고, 총 출입구 수도 줄어 차량 통행의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설계되었으며, 단지 내부로도 차량과 보행자의 동선을 분리하고자 차량을 전면 지하화 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였다. 또한 초고층 건축물 건립 시기에는 123층의 건축물의 등장으로 잠실 일대가 큰 교통 혼잡을 겪을 것이라 예상한 결과가 있어 조사해 본 결과 차량 통행량이 증가하였고 통행 평균 속도가 일정 부분 감소하였지만 예상만큼 큰 문제는 아닌 것으로 나타나 초고층 건축물 건립 당시 교통 개선에 주의를 기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특성은 교육 환경의 양면성이다. 먼저 아파트 단지 거주 계층이 변화하였다. 아파트 재건축을 위한 철거시기와 입주 시기에 잠실 일대에 총 12만 여명의 인구 순이동이 있었다. 그러나 재입주한 인구 특성을 살펴보니 10대 자녀를 둔 가정들이 강남 8학군의 교육 환경을 위해 전입해온 결과를 확인하였고 그에 따라 새로운 계층이 잠실 일대에 거주하게 되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잠실 일대에는 역설적으로 교육 환경이 열악한 지역이 존재하고 있다. 이는 고밀화 과정 중 평면적 확장 시기에 진행되었던 두 번의 국제 스포츠 행사에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들을 위해 건설한 숙박시설과 기존 학교시설의 혼재로 인한 문제이다. 따라서 교육환경보호구역내에 숙박시설 뿐만 아니라 청소년위해시설까지 공존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학생들의 통학환경과 주변 거주민의 거주환경이 열악해졌다. 마지막 특성은 대형 상권과 지역 상권의 공존이다. ‘송리단길’은 1974년 잠실지구 종합개발 기본계획 당시에 저밀도계획구역으로 지정된 송파1동이 고밀화 과정을 겪으면서 2018년 새롭게 생긴 상권이다. 그러나 저밀도계획구역에 새로운 상업거점이 생겨난다는 것은 고밀도계획구역에 중심상업지역을 두어 도시의 중심성을 강화하는 기존의 계획의 방향과는 다른 양상이며 계획 당시에는 예측하지 못한 결과였다. 또한 대형 상권인 롯데월드타워의 개장 이후에 새로운 상권인 송리단길이 형성되었다는 시점에도 주목할 만하다. 일반적으로는 대형 상권이 형성되면 주변 지역 상권을 잠식하여 쇠퇴하게 만드는 영향을 끼치지만 롯데월드타워와 송리단길은 서로 업종이 겹치지 않는 상권으로 구성되고 발전하였으며, 두 상권을 지리적·성격적으로 연계시켜 줄 수 있는 대형 오픈스페이스가 존재하여 방문객들은 두 상권을 서로 연계하여 이용하면서 두 상권이 상생할 수 있는 배경이 되었다. 이처럼 잠실 일대에 관한 연구가 더욱 진행된다면 70년대의 계획도시를 최근 시점에서 새롭게 분석한 결과로서 의의가 있을 것이며, 이를 고밀화의 측면에서 시기별로 구분하여 잠실 일대의 공간 변화를 전체적으로 살펴본다는 것, 그리고 사업과 제도, 정책 등이 도시 공간에 고밀화를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점을 밝혀낸 것 등은 본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다. As urbanization progresses, the desire to use cities in a compressed and efficient manner has been increasing. In this process, high density may be necessar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land. However, if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and the resulting overpopulation of cities along with the city's external expansion are insufficient, urban problems may arise. Especially in the 1970s, Seoul was an important time to expand the volume of cities and supply of residential facilities for high growth, and so was the Jamsil area. Jamsil is a newly developed area under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of Jamsil District in 1974. In the Joseon Dynasty, the island was surrounded by two rivers, but it became an area south of the Han River due to the reclamation of the public stream area of the Han River in 1970 and was recognized as an important site for creating a planned urban space rather than an urban area based on civil engineering projects by the existing land compartment project. Since then, Jamsil has become densely packed with Asian Games in 1986, Seoul Olympics in 1988, and other large commercial facilities. However, the lack of undeveloped land in Jamsil area began to grow since 2000, which made residential facilities more dense due to the demolition of detached houses, the reckless development of multi-family homes and the redevelopment of apartment complexes. In particular, the latest Jamsil area has become more densely packed with 123 stories of skyscrapers. This has led to an even greater number of floating population and traffic conges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areas of Jamsil where density related problems in traffic, parking space, living environment, and commercial work environment are caused by high density that was not expected at the time of the planning of Jamsil area in the 1970s. As a result, there were four levels of denseness in Jamsil area. In the process of the reclamation of public stream areas in the Han River and the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in the Jamsil area, there was a time to secure infrastructure for urbanization. The first phase of the high-density process was defined as the "Period of flat spread and expansion" when the urbanization area of Jamsil was expanded by spatial changes created by the Seoul Olympics in 1988. The second was defined as the“Period of vertical high density”when population density and dwelling density increased due to large redevelopment due to depletion of undeveloped land around Jamsil and increased volume, floor space, and number of households. Finally, specific events in Jamsil area drew attention to the area of Jamsil, defining the period of “Period of activity intensive”as a period of increased activity density such as the number of visitors and floating populati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high density are organized into three categories : The first is the change in traffic and the street environment. In the case of low-density planning zones, one-way traffic was not planned at the time of plan, but it was changed to one-way traffic due to the lack of more households and parking spaces. This has reduced the number of active spaces on the road and made it difficult for vehicles and pedestrians to get around. In case of apartment complexes in medium and high-density planning zones, the entrance to apartment complexes that existed on the side of the main road was deleted as the complex was redeveloped, the total number of entrances was reduced so as not to obstruct the flow of traffic, and the vehicles were completely underground to separate vehicles and pedestrians' movement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based on the prediction that the Jamsil area would suffer heavy traffic congestion due to the appearance of the 123-story building, which showed that traffic volume increased and the average speed of traffic decreased in some parts, but it was not a big problem as expected, so they paid attention to improving traffic when building the skyscraper.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e ambivalence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irst, the residential member of the apartment complex are changed. A total of 120,000 people moved to Jamsil during the apartment reconstruction period. Looking at the re-entry population characteristics, however, we have confirmed the results of families with teenage children being moved fo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Gangnam and found that a new class has settled in the Jamsil area. But, ironically, there are areas around Jamsil that have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This is a problem due to the mix of accommodation built for foreign visitors to two international sports events during the high-density phase during the“Period of flat spread and expansion”and existing school facilities. As a result, the problem of coexisting not only accommodation but also harmful facilities for young students within the education environment protection zone, and the student's way to school and living conditions of nearby residents became poor. The last characteristic is the coexistence of large and regional commercial districts.‘Song-Ri-Dan-Gil’is a new commercial district in 2018 as Songpa-dong, which was designated as a low-density planning zone at the time of the basic development plan of Jamsil District in 1974. But the creation of a new commercial hub in the low-density planning zones is a different aspect from the existing plan to strengthen the urban center by placing a central business area in the high-density planning zones, which was unexpected at the time of the plan. It is also important that a new commercial route, Song-ri-dan-gil, was formed after the opening of Lotte World Tower. In general, large commercial districts have an impact on the erosion and decline of nearby commercial districts, but Lotte World Tower and Song-ri-dan-gil are composed and developed as commercial districts that do not overlap with each characteristics. There is a large open-space where visitors can link the two commercial districts in geographical and character, and thus, the two commercial districts can coexist with each other and share them. If further research is carried out on Jamsil area, it will be meaningful as a result of a recent analysis of the planned city of the 1970s. In terms of high density, the whole view of the changing space of Jamsil area in terms of time, and the fact that businesses, institutions, and policies can bring high density to the city space 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 도심 첨단지식산업 육성을 위한 서울디지털단지 마스터플랜 제안 : 3단지를 중심으로

        오종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5343

        본 연구는 서울디지털단지가 산업구조 전환기에 도심 첨단지식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중심지로 발전 가능한 공간구조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최근 산업패러다임이 전환되는 시기에 산업단지에 관한 관심이 집중되며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서 미래를 대비하는 무대로 주목받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는 이를 대비하여 국가적 차원의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 같은 산업 트렌드에 힘입어 우리나라 역시 서울의 유일한 국가산업단지, 서울디지털단지에 미래 산업을 견인할 공간으로서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서울디지털단지는 과거 제조업시대 인프라를 그대로 사용하여 새로운 산업을 맞이하려 하고 있고 구체적인 마스터플랜 없이 부분적인 문제해결에만 치중하고 있어 과거의 명성에 반대로 일반업무단지로 전락하고 있다. 때문에 산업단지를 사용하는 근로자 및 이용자가 마주하는 외부공간과 지원시설을 활용한 입체·복합적인 계획이 서울디지털단지 환경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서울디지털단지는 도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동시에 산업용도 뿐만 아니라 도시민들에게 어메니티(amenity)를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이 강한 장소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디지털단지의 3단지를 서울의 서남부 지식산업중심공간으로 하는 공간구조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통해 서울디지털단지가 미래 첨단지식산업을 선도하는 산업단지로 발전해갈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했다. 연구의 내용은 사례분석 및 현황분석과 공간구조계획 그리고 핵심 대상지 계획으로 구성된다. 제 2장에서는 현황분석으로 역사적 변천과정과 도시조직의 변화를 함께 살펴보고 산업단지의 입체·복합화에 관해 알아보았다. 제 3장에서는 대상지와 사례지의 현황을 비교분석했다. 토지이용과 근로환경 측면에서 사례지의 공간계획전략을 분석하고 대상지를 토지이용, 건축물, 오픈스페이스, 교통 및 보행 네 가지 차원으로 분석하였다. 제 4장에서는 분석의 틀을 기반으로 공간구조계획을 제안하였다. 제 5장에서는 공간구조계획에서 제안된 주요 거점 중 단계적으로 발전 가능한 핵심 대상지를 선정하여 구체적인 설계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가지는 시사점은 첫째, 구로공단에서 서울디지털단지까지 변천과정에서 산업흐름과 단지 내·외부 도시조직의 변용을 함께 살펴봤다는 점이다. 설립 초기부터 성숙기까지 흥망성쇠를 도시 공간 변화양상과 함께 관찰함에 의의가 있다. 둘째, 산업단지의 복합이용에 관해 범위와 방법 그리고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현행법과 사업 및 전략의 한계점을 진단했다는 점이다. 기존 전략이 민간개발 위주와 개별 필지단위 개발로서 부작용을 지적하고 서울디지털단지를 네 가지 분석의 틀로 검토하였다. 셋째, 도시 첨단산업 집적지 사례 분석을 통해 첨단지식산업 육성을 위한 전략을 토지이용과 근로환경 측면에서 비교분석하였다. 국내 대표 선도 사례지의 공간 전략을 도시·건축적 관점으로 서울디지털단지와 비교분석함에 의의가 있다. 넷째, 서울디지털단지의 도시·건축적 계획의 한계점을 제시하고 실제 공간을 이용하는 근로자의 인터뷰를 기반으로 전반적인 공간구조계획과 세부설계로 구체적 구조개편안을 제시함에 큰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디지털단지 3단지가 도심 첨단지식산업을 선도하는 전진기지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하며 단지를 넘어 24시간 365일 활성화 되는 일상적 업무공간으로서 청사진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 산업단지의 새로운 정체성을 실현시킬 수 있는 후속 연구의 밑거름이 될 수 있길 기대해본다.

      • 옥인1구역 주택재개발사업 전개과정에 나타난 역사도심 노후주거지의 보존특성 해석

        이화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35343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cently set the internal area of ​​Hanyang City Wall a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enter, and resigned the Sa-jik 2, Ok-in1, and Chung-sin1 areas, which were being promoted in the residential redevelopment district, for the preserv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Particularly, since the resignation Sa-jik2 and the Ok-in1 areas were stopped after the project was approved, the time and economic costs have already been applied. Therefore, it was forced to follow the rebellion, conflict and economic loss of the people in charge of business associates and residents. This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 of why it was promoted as a general redevelopment project if these areas were historically environmentally important enough to stop the business until the loss and the risk. And now I would like to elucidate the reason why this place is now attracting new historical value.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caused strong conservation to stop the development project that was about to be demolished. The research was largely divided into the following two processes. First, it is to interpret the complex causes that cause strong preservation enough to stop the redevelopment project of Ok-in1 District housing through the process. For this, the process of the project, the relationship with the behaviors by the subject appearing in it, and the context in which the business is transformed were reviewed.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conservation management appearing in Ok-in1 area as the old dwelling place in the historical center were derived based on the causes and characteristics revealed earlier. This is interpreted in terms of what characteristics of Ok-in 1 Zone have made the redevelopment project and conservation management confusing. The main process characteristics that attracted the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of Ok-in1 area to be converted into conservation management project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powerful and immediate background for stopping the Ok-in1 redevelopment project and shifting to conservation management was the policy change and willingness to follow the change in political topography. The time when the value perception and attitude change of Ok-in1 area suddenly changed was confirmed to be consistent with the transition of mayor due to the election. The change of political terrain led to a new policy frame in the consciousness of the existing policy, and led to a strong will to do so. At the time, the newly elected mayor had a strong awareness of the problem, such as poor business performance due to the overhaul of Newtown district, the problem of dwelling diversity, and the sense of crisis about the extinction of the historic environment . Second, the changed policies acted as an external basis for resetting and enforcing Ok-in1 area for conservation management. The policy change for resolving the problem of redevelopment was implemented through the 'Newtown Exit Strategy', and the conservation management transition of Ok-in1 area was also accompanied by the flow of Newtown exit strategy. At the same time, the recognition of the historical value of the Seoul city core has become a policy application category in which Ok-in 1 area is reset as a conservation management through the promotion of Hanyang City Wall registration as a World Heritage Site and Seoul Plan. In particular, in order to register Hanyang City Wall as a World Heritage site, it was necessary to prepare the criteria and conditions in accordance with the official schedule set by UNESCO, and the special status of World Heritage was the driving force for policy. Ok-in1 area was linked directly or indirectly with the promotion of Hanyang City's World Heritage inscription, and as a result, it will be identified as a directly related area as a result of the urban management plan to be created later. Third, a group of residents supported the conservation of Ok-in1 district due to the difference of economic interests. The reasons for the pursuit of the economic interests of the inhabitants are largely attributed to two events. First, the construction market deteriorated and the real estate market stagnated due to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Second, as the value of the individual assets of Bukchon and Seochon, which are adjacent to Ok-in1 area, surged, the residents of large road parcels became negative about the redevelopment project. As a result of the small-scale parcel residents and the residents of the roads and large-scale parcels being separ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asset ownership, the people who are favorable to conservation management became involved with the neighboring NGOs claiming preservation. Residents supporting conservation and management actively formed opposition to development projects and played a role in strengthening civic groups and conservation movements in the city of Seoul. Fourth, there was a limit to the historical environment interpretation and management method of the redevelopment project. The reason for the conversion of Ok-in1 area to conservation management was based on various considerations such as Ok-in topography and village trail, diverse cultural and heritage sites around the area, and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the area. However, in the course of the redevelopment project, there was no device that could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Ok-in1 area. There was no standard or management basis that could be considered as a historical environment for areas that meet the hanok rate above a certain standard or that were not designated as a legal area for cultural properties. Especially, the area of ​​Ok-in 1 was actively interpreted and tried to incorporate historical characteristics into the plan unlike other regions, but there was no procedure to review and converge positively. Therefore, as the project is promoted, it can be seen that it is gradually changed into a proposal based on smooth business promotion and economic benefits. The characteristics of conservation management appearing in Ok-in1 area as the old dwelling residence of the cit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k-in 1 was a region that could be influenced by changes in political topography. Within the political topography, depending on how the decision maker accepts the value of the region, a completely different policy and business has been developed into an area that must be preserved from the urgent need of development. Second, it was a place wher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were required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interests of residents. Based on changes in the interests of economic value creation rather than recognition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conservation value of the resources of the region itself, the support forces of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were divided, resulting in a sharp confrontation between the inhabitants' internal conflicts. Third, the same management standards as other redevelopment project areas were applied regardless of the living culture resources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al context that originated from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Taking all these characteristics into account, Ok-in1 area is a vague redevelopment target not defined as a historical environment. It was also an area where there was no interpretation and management standard and system of management as an expanded historical environment.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two sides of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were able to mov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eoul mayor who is the decision maker of the inhabitants' interests. Although it is not a direct object of preservation management as cultural heritage as Okin 1 Zone, it does not understand how to relate the historical status of the area to the surrounding cultural resources, the cognitive context and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center, and the historical symbolism that is not visible It is the time when academic and policy debate on whether or not to manage it should be specifically needed. 서울시는 최근 한양도성 내부지역을 역사문화중심으로 설정하고, 그 안에서 추진되고 있던 주거환경 정비사업구역인 사직2, 옥인1, 충신1지구를 역사문화가치의 보존을 이유로 직권해제 하였다. 특히 사직2구역과 옥인1구역은 사업시행승인까지 받은 후 관리처분인가를 준비하던 과정에서 중단된 것으로, 이미 시간과 경제적 비용이 상당부분 투여되었기에 사업추진 관계자 및 주민의 반발과 갈등, 경제적 손실이 뒤따를 수밖에 없었다. 본 연구는 손실과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사업을 중단할 정도로 이들 지역이 역사환경적으로 중요한 곳이라면, 왜 정비사업을 추진하던 과정에서는 이러한 측면이 부각되지 않은 채 일반적인 재개발사업으로 추진된 것인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지금 이곳이 새롭게 역사적 가치를 주목받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즉, 무엇이 철거를 앞둔 개발사업을 중단시켜야만 할 정도로 강력한 보존을 야기한 것인가의 답을 구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연구는 크게 다음의 두 가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옥인1구역 주택재개발사업의 추진을 중단시킬 정도로 강력한 보존이 나타나게 된 복합적인 유인을 사업의 과정을 통해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업의 추진과정과 그 안에서 나타나는 주체별 행위와 상관관계, 사업이 전환되게 되는 맥락을 고찰하였다. 둘째, 옥인1구역이라는 역사도심 노후주거지에서 나타나는 보존관리 특성을 앞서 진행된 옥인1구역의 보존관리 전환을 유인한 구조적 특성에 기반하여 도출하였다. 옥인1구역의 어떠한 특성이 정비사업과 보존관리를 혼재하게 만든 것인가의 관점 해석이 된다. 옥인1구역 주택재개발사업이 보존관리 사업으로 전환되도록 유인한 주된 과정적 특성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옥인1구역 주택재개발사업을 중단시키고 보존관리로 전환하게 된 가장 강력하고 직접적인 배경은 정치적 지형변화에 따른 정책적 변화와 추진의지였다. 사업의 전개과정에서 옥인1구역에 대한 가치인식과 태도가 급변하게 되는 시기는 서울시 보궐선거로 인해 정비사업의 최종 결정권자인 시장이 변경되는 시기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치지형의 변화는 기존에 추진되던 정책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새로운 정책적 프레임을 야기하였고, 그에 대한 강한 추진의지로 이어졌다. 당시 새로 신임된 시장측이 지니던 강한 문제의식에는 정비사업 및 뉴타운 사업지구 과다지정으로 인해 표출된 사업부진 문제, 주거다양성 저하 문제, 지나친 토건 위주사업으로 인한 역사환경 소멸에 대한 위기의식 등이 포함돼 있었다. 둘째, 변화된 관련 정책들은 옥인1구역을 보존관리 대상으로 재설정하고 강제하는 외연적 근거로 작용하였다. 대표적으로 주거환경 정비사업에 대한 문제의식과 해결을 위한 정책적 전환의지는 ‘뉴타운출구전략’을 통해 실행되었고, 옥인1구역의 보존관리 전환은 뉴타운출구전략과 흐름을 함께하였다. 동시에 서울 도심부에 대한 역사적 가치인식은 한양도성의 세계유산등재 추진, 역사문화중심으로의 보존관리 계획 등을 통해 옥인1구역이 보존관리 주거로 재설정되는 정책적 적용범주가 되었다. 특히 한양도성 세계유산 등재추진은 유네스코(UNESCO)라는 국제기구에 의해 설정된 공식 일정에 맞춰 기준 및 조건들이 갖춰져야 했고, 세계유산이라는 지위가 갖는 명예로 인해 정책을 강제하는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었다. 옥인1구역은 한양도성의 세계유산 등재추진과 직간접적으로 결부되었으며, 훗날 작성되는 도심부관리 계획을 통해 결과적으로는 직접적인 관련 지역으로 확인되어 나타나게 된다. 셋째, 경제적 이해관계의 차이로 옥인1구역의 보존관리를 지지하는 주민그룹이 등장하였다. 내부 주민들의 경제적 이해관계에 따라 추구하는 바가 달라지는 계기는 크게 두 가지 사건에 기인하였다. 첫째,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으로 인한 건설경기 악화 및 부동산시장 침체이고, 둘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옥인1구역과 인접한 지역인 북촌과 서촌지역 일대의 개별자산가치가 급등하게 됨에 따라 가로변 대형필지 소유 주민들을 중심으로 재개발사업에 대한 회의적 목소리가 높아졌다. 내부 소형필지 주민들과 가로변 대형필지 주민들이 자산소유 형태에 따라 재개발사업에 대한 입장이 갈리면서, 보존관리에 우호적인 주민들은 서울시와 보존을 주장하는 인근 시민단체들에 동조하게 되었다. 내부 주민의 보존관리에 대한 동조는 적극적으로 개발사업의 반대 여론을 형성하고, 외부의 보존운동 시민단체와 서울시의 보존관리 움직임에 대해 힘을 싣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넷째, 정비사업 추진과정의 역사환경 해석 및 관리방식에 한계가 존재했다. 옥인1구역이 보존관리 대상으로 전환되는 배경에는 옥인1구역 내부 한옥 자체의 가치보다 옥인동 지형과 마을흔적, 주변의 다양한 생활문화유산, 지역의 입지적 특성 및 가치 등과 같이 다양한 고려에 입각한 것이었다. 그러나 정비사업이 추진되던 과정에서 이러한 옥인1구역의 특성이 고려될 수 있는 장치가 부재했다. 일정기준 이상의 한옥군집율을 충족시키거나 문화재 관련 법정구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지역에 대해서는 역사환경으로서 검토될 수 있는 기준이나 관리의 근거가 없었다. 특히 옥인1구역은 지역 내 역사적 특성을 정비계획 수립과정에서 고려하고자 적극적으로 해석하고 반영하는 계획적 시도가 다른 유사지역과 차별화되어 나타나곤 했으나, 이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수용할 수 있는 절차적 도구가 부재했기에, 재개발사업의 수월한 추진과 사업성에 기반한 계획안으로 점차 변화됨을 볼 수 있었다. 옥인1구역이 보존관리로 전환되는 과정적 유인을 통해 알 수 있는 역사도심 노후주거지로서 옥인1구역에 나타난 보존관리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옥인1구역은 정치적 지형변화에 따라 좌우될 수 있는 지역으로, 정책결정권자가 어떻게 지역의 가치를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개발이 시급한 지역으로부터 반드시 보존해야 하는 지역으로 정책적 기조가 전환되어 전혀 다른 정책 및 사업이 전개되었다. 둘째, 자산의 소유형태 및 주민 간 이해관계에 따라 보존과 개발을 동시에 요구받는 지역이었다. 지역 자체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자원에 대한 보존가치에 대한 인식 보다는 경제적 가치창출의 이해관계 변화에 기반하여, 보존과 개발의 지지세력이 나눠졌다. 셋째, 역사환경적 특성이 고려되지 않는 정비사업 관리대상으로, 지역이 지니는 역사성에서 비롯되는 생활문화자원이나 주변환경적 맥락과 상관없이 여타 다른 정비사업지구와 동일한 관리기준과 절차적 적용을 받았다. 이들 특성을 종합해 보면, 옥인1구역은 역사환경으로서 보존관리하기 애매한 정의되지 않은 정비사업 관리대상으로, 확대되어 나타나는 보존관리 대상으로서 가치에 대한 해석과 관리기준, 체계 등이 부재한 지역이었다. 따라서 내부 주민의 이해관계 및 정책 결정권자인 서울시장의 변화에 따라 보존과 개발의 양극단을 오가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옥인1구역과 같이 문화유산으로서 직접적인 보존관리 대상은 아닐지라도, 지역의 역사적 위상과 주변 생활문화자원과의 관계, 도심부라는 입지적 맥락과 특성, 눈으로 보여지지 않지만 존재하는 역사적 상징성 등과 같이 역사적 장소와 경관적 가치를 어떻게 해석하고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학술적 정책적 논의가 구체적으로 필요한 시점이다.

      • 대규모 주거지 개발 수단으로서 ‘아파트지구’ 특성 연구 : 영동아파트지구종합개발기본계획을 중심으로

        배선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5343

        The concept of the ‘apartment district’ was introduced to systematically restrict newly developed residential areas to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building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s faced by housing suppliers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of single-family housing at the time, while systemically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residential buildings and convenience facilities in the same place in order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land use and improve residential environments. The introduction of the notion of ‘apartment district’ required the establishment of a ‘Master Plan for the Development of Apartment Districts’. To set directions for the Master Pla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decided to produce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for the Yeongdong Apartment District. The introduction of the idea was therefore instrumental in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city’s Master Plan for residential areas. Still, most experts are critical of the introduction and outcome of the ‘apartment district’ across the country, arguing in previous research papers that, based on Clarence A. Perry`s Neighborhood Unit, the ‘apartment district’ system has helped promote the country’s current self-sufficient, exclusive apartment complex plan, leading to uniform apartment complex and neighborhood unit layout plans across the country. Previous research on the ‘apartment district’ was concentrated on analyzing strategies used for ‘building apartment complexes’ and the outcome of the strategies represented by the apartment-centered residential culture in the city, or restricted to the aspect of the apartment district that can be used as a population density management tool in relation to the land use plan of existing ‘apartment districts’. This study differs from the aforementioned research in that it has looked into the major aspects of a variety of plans implemented through the country’s ‘apartment districts’ system in its development process of huge multi-family housing complexes across the country.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apartment district’ system had to go through, how the system was applied, and what has happened since the elimination of the applicable laws. Most notably, this study has placed emphasis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impact of the ‘apartment district’ system, including the intentions of system introduction, on the country’s planning for large-scale apartment districts. To this end, this study has attempted to shed a new light on the roles and significance of the ‘apartment district’ system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ajor housing complexes at the time and the Comprehensive Yeongdong Apartment District Development Plan.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apartment district’ system has helped support the country’s large-scale housing complex plans through institutional arrangements, by mandating the establishment of master plans for apartment districts. 1979 saw the enactment of the ‘Regulations on the Establishment of Master Plans for Apartment District Development’ which remained the only rule regarding the planning of apartment districts until 1991, when the ‘Regulations on Housing Construction Criteria, etc.’ were enacted. As opposed to the previous zoning laws, the ‘apartment district’ system required the establishment of master plans, through the ‘Regulations on the Establishment of Master Plans for Apartment District Development’, which were required to include building control plans and development plans at the level of a neighborhood unit and an apartment district in the district development documents. Most notably, for the first time in the countr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troduced the ‘apartment district’ system through the Comprehensive Yeongdong Apartment District Development Plan that showcased the plan establishment procedures and content to be included in the plan, including essential elements and procedures required to improve the country’s residential environments. Secondly, the ‘apartment district’ system laid the foundations for a Korean-style planning system of multi-family housing complexes. Evolving from the strict application of the neighborhood unit theory based on the facility type and size, the Comprehensive Yeongdong Apartment District Development Plan proposed a master plan for a high-rise multi-family housing complex to secure plenty of space devoted to pedestrians within the complex accommodating a large number of people. Furthermore, referring to the previous Yeouido and Jamsil district development plans, the planners for the Yeongdong Apartment District divided their plans into those for the neighborhood unit, public facilities, traffic circulation, open space, and housing, to present key concepts and elements of their construction plans, which were reflected in the Regulations on the Establishment of Apartment District Development Master Plans (1979) serving as the framework for the country’s subsequent housing complex construction plans. In the neighborhood unit plan, the Yeongdong Apartment District was created as a high-rise high-density housing area to allow for plenty of walking-centered space. The center of the neighborhood unit was proposed as an area for commercial facilities, given the difference in motives for the formation of communities between Korea and the West, where the neighborhood unit theory was born. In the public facilities plan, the Yeongdong Apartment District presented specific means to raise the use of convenience facilities through pedestrian-centered design features as a solution to the already fixed road structure through a relevant land compartmentalization rearrangement project and to the non-expandability of infrastructure due to the public facilities to be located within apartment complexes. In the traffic circulation plan, the Yeongdong Apartment District plan generated guidelines to install pedestrian walkways and no-vehicle roads in a more systematic way than in the Yeouido District and the Jamsil Districts, so that residents would be able to access various facilities in different complexes within the district on foot. In the open space plan, the Yeongdong Apartment District presented a district-wide skyline management scheme for the purpose of creating an aesthetic appropriate for a new residential area, while reducing the monotony of identical architectural structures built over a large area. Major concepts and principles of the skyline management plan were presented in diagrams which were later adopted by the Gwacheon New Town Construction Plan. The housing plan used the landscape scheme presented by the park and green space construction plan. However, while the latter approached from the standpoint of overall urban planning, the former was focused on landscape concepts and elements required for multi-family housing complexes, including the separation of apartment buildings from one another, the selection of façade colors, and the installation of balconies, among others. Thirdly, the ‘apartment district’ system laid the foundation for a new management system at the level of urban planning. The master plan for apartment districts is being used as a means of determining the major direction of apartment complex reconstruction projects, although the grounds for the designation of ‘apartment districts’ have been eliminated. Furthermore, the ‘apartment district’ system has been found to be similar to the ‘district-level development plan’ which sets up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space plan for a designated area with the purpose of optimizing the land use in the district in terms of the goals that it pursues as well as the modus operandi involved. Before the Korean government adopted district unit plans, the Yeongdong Apartment District Plan used the same management elements and modus operandi as those for the district-level development plans widely used in Korea as a general policy implementation tool. In the face of the reconstruction needs by various apartment complexes built in the 1970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striving to manage the reconstruction pressure from the urban planners’ perspectives. First, it has decided to have apartment district-level development plans changed into district-level development plans for all ‘apartment districts’. Most notably, given that the district-level development plans disclos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for public inspection indicate that they have the same goals and modus operandi as those applied to the Comprehensive Yeongdong Apartment District Development Plan, attesting to the fact that a comprehensive apartment district development plan is functioning as efficiently in the reconstruction of ‘apartment district’ processes as before, despite the fact that the relevant institutional system has been eliminated. ‘아파트지구’는 당시 단독주택 건설 위주의 주택 공급 시장이 가지고 있었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새롭게 개발되는 주거지는 아파트에 한정하여 건축하고, 토지 이용의 증대와 주거환경의 보호를 위해 주거시설과 기타 생활기반 시설이 함께 개발되도록 유도한 제도적 성격을 갖는다. ‘아파트지구’ 도입에 따라 ‘아파트지구개발기본계획’ 수립이 의무화되었으며, 기본계획 수립의 방향 설정을 위해 서울시가 영동아파트지구 종합개발계획을 수립하게 되는 등 주거환경의 질적 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주거지계획 수립의 기초를 마련한 점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아파트지구’의 도입과 결과에 대해 현재 학계의 평가는 대부분 비판적이다. 기존 선행연구들은 ‘아파트지구’가 근린주구 이론에 기반한 자족적인 아파트단지의 구성과 근린주구별 주구중심 배치기준을 획일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현재의 자족적, 폐쇄적 아파트 단지계획을 관행화하는데 일조했다는 비판적 견해를 공통적으로 밝히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아파트지구’를 분석한 선행연구가 ‘단지 만들기’라는 전략과 아파트 중심의 주거문화라는 결과론적 현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거나 아파트 재건축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기존 ‘아파트지구’의 토지이용계획과 관련한 밀도 관리수단으로서 한정되어 다뤄지고 있는 것과 달리 우리나라 대단위 공동주택 주거지개발과정에서 ‘아파트지구’ 제도를 통해 실현된 다양한 계획과 주요 내용을 새롭게 조명한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또 본 연구는 ‘아파트지구’의 제도화 과정과 적용 그리고 근거법 삭제 이후 현재까지의 경과를 고찰한다. 특히 ‘아파트지구’ 도입 의도와 작동 아이디어가 우리나라 대규모주거지계획에 미친 영향을 밝히는 것에 중점을 두고자 하며 이를 위해 당시 주요 주거단지 개발계획과 영동아파트지구종합개발계획의 비교분석을 통해 ‘아파트지구’의 역할과 의미를 새롭게 조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파트지구’ 제도는 아파트지구기본계획의 수립을 의무화함으로써 우리나라 대규모 주거단지계획이 제도적 기반을 공고히 하는데 기여하였다. 1979년 ‘아파트지구개발기본계획수립에 관한 규정’이 제정되었고 이 규정은 1991년 ‘주택건설 기준 등에 관한 규정’이 제정 될 때까지 단지계획과 관련된 유일한 제도였다. 기존의 지역지구제가 개별 건축물의 행위를 규제하였다면 ‘아파트지구’는 ‘아파트지구 개발기본계획 수립에 관한 규정’을 통해 지구개발계획도서에 건축규제 계획과 주구 및 지구중심 계획도를 의무 계획 내용으로 명시하여 마스터플랜 수준의 계획을 수립하도록 규정하였다. 특히 ‘아파트지구’를 가장 먼저 도입한 서울시가 선제적으로 수립한 영동아파트지구종합개발계획은 계획의 수립절차, 계획되어야 할 내용의 명시부터 당시 우리나라의 주거 환경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디자인 전략 모색 차원의 계획 개념, 계획요소, 지침 등을 제안하였다. 둘째, 공동주택이 중심이 되는 한국형 대규모 주거단지 계획의 틀을 마련하였다. 영동아파트지구종합개발계획은 시설의 종류와 면적 기준을 중심으로 한 원칙적인 근린주구이론 적용 방식에서 보다 발전하여 고층 고밀의 아파트 중심의 주거환경에서 보행중심의 공간이 조성되기 위하여 공동주택 위주의 생활권 계획의 기본 틀을 제안하였다. 또한 계획가들은 기존의 여의도와 잠실지구의 개발계획을 참고로 하여 근린주구계획, 생활편익시설계획, 교통계획, 공원녹지계획, 주거동 계획을 중심으로 개념과 요소를 설명하였는데 이는 아파트지구개발기본계획 수립에 관한 규정(1979)에 반영되어 이후 수립되는 주거단지계획의 기본 틀로 작동하였다. 우선, 근린주구계획에서는 영동아파트지구가 고층 고밀의 주거지로 조성되어보행집중 공간의 조성이 가능하고 한국의 성인사회 커뮤니티 형성이 근린주구이론이 태생한 서구의 특성과 다른 점에 착안하여 주구 중심을 상업시설로 제안하였다. 생활편익시설 계획에서는 토지구획정리사업을 통해 이미 확정된 도로구조와 공공시설 면적으로 기반시설의 확장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계획적인 차원에서 해결하기 위하여 보행을 기반으로 시설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계획 기준을 제시하였다. 교통계획에서는 주민들이 각 단지의 시설들을 보행을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여의도지구와 잠실지구 계획에서 시도되었던 보행녹도 혹은 보행자전용도로를 보다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지침을 마련하였다. 공원녹지계획에서는 주거지의 상징적인 이미지 창출과 대규모 지역에 동일한 건축물이 연속되는 경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경관 관리를 위한 스카이라인 조성방안을 제안하였다. 경관계획의 주요 개념과 지침은 다이어그램을 통해 설명되었는데 이후 과천신도시에서도 유사한 지침과 표현 기법이 그대로 적용되었다. 주거동 계획에서는 공원녹지계획에서 제시한 경관계획이 다시 등장하는데 공원녹지계획에서의 경관계획이 전체 도시계획 차원에서의 접근 방식이었다면 주거동 계획에서는 연속된 주거동 배치 금지, 입면 색상과 발코니 계획 지침 등 건축적인 차원에서의 경관계획 개념과 요소가 제시되었다. 셋째, ‘아파트지구’는 도시계획 차원의 새로운 관리체계의 기반을 제안하였다는 실행차원의 의의가 있다. 아파트지구기본계획은 ‘아파트지구’ 지정의 근거가 삭제된 이후에도 재건축 사업의 주요 방향을 결정하는 수단으로 작동하고 있다. 또한 토지이용을 합리화하기 위하여 특정한 구역을 지정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공간계획을 수립하는 지구단위계획과는 추구하는 목표와 작동방식이 유사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당시 지구단위계획이 제도적으로 도입되지 않았던 상황에서 현재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인 실행도구로 활용하고 있는 지구단위계획과 매우 유사한 관리요소와 작동 방식을 이미 제안하여 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 서울시는 1970년대를 전후로 개발된 아파트단지들의 재건축 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개발압력을 도시계획 제도를 기반으로 관리하기 위한 대안 마련을 시작하였는데, ‘아파트지구’의 경우 아파트지구기본계획을 지구단위계획으로 변경하는 절차를 진행하는 것을 관리 방안으로 결정하였다. 특히 서울시가 주민공람을 위하여 공개한 지구단위계획이 영동아파트지구종합개발계획의 목표와 작동방식과 유사한 것을 통해 제도의 삭제 이후에도 ‘아파트지구’ 재건축 과정에서 아파트지구종합개발계획이 여전히 유효하게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신도시 내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와 커뮤니티 형성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세종시 첫마을 주민참여 사례를 중심으로

        김우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35343

        Is a park a daily leisure space for citizens or a social space at the community level?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daily lives of citizens and are an important place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but they are not greatly utilized in fact. As a key resource in a regional area, however, the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lead to community building and resident participation, which can promote the improvement of spaces and increase the quality of utilization.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is paper explores the growing social role of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and community building that occurs through voluntary resident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newtown settlement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creating, managing and operating a community-based park and green spaces. First Village, a residential complex of the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in Sejong, was selected as a subject city. And this study analyzed community building based on resident participation in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in terms of space, resident activities, and operation. First, from the spatial perspective, I discussed urban planning factors leading to resident participation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arks and green spaces that are changing through resident participation. Second, I dealt with the trend of voluntary resident participation which has sustained community building in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from the perspective of resident activities. Lastly, I touched on how the development of a newtown and the management of parks and green spaces by the public administration have affected resident participation and the limitation thereof, from the perspective of operation. In this study, I have observed resident activities based on participant observation for about 2 years,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I also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various subjects in a local society, such as residential communities, interested organizations, and park users. For analysis, I drew analysis factors from advance researches at home and abroad, in terms of space, resident activities, and operation. Against this background, I analyzed the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based on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which is categorized into the conditions for community building, resident activities, and conflicts. Furthermore, I examined the mechanism for building a community based on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and drew its implications in terms of space, resident activities,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residents have built a community in a daily leisure space through participation in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and have changed it into a social space for enhancing such capability. Especially, the participatory activities of residents made a difference in the subject space to enhance regional identities and helped residents settle into a newtown where the stabilization of a community is important. This was possible because, from the aspect of space, natural green areas with great resources and high usability were created according to the urban planning. Natural green areas traversing a neighborhood had good accessibility and high usability, as connected to various community facilities and local resources. Green spaces have provided abundant resources and flexible spaces, which facilitated resident participation. And an unfinished state has driven the demands of residents, having a positive impact on continuing community building through the improvement process. From the aspect of resident activities, as native-born residents resettled in a newtown, their understanding of the existing local resources were high. And young migrants increased their interest in urban spaces and resources with a will to improve poor surroundings at the initial stage. A residential community voluntarily organized based on these residential characteristics was the intermediary group facilitating community building in the newtown. Resettled native residents have re-identified local resources and built a residential community in solidarity with migrants, while young migrants were able to continue community activities by bonding together and using unused spaces at an early stage of the settlement process. In this process, civil publicness played a critical role in encouraging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creating a social network within the region. From the operational aspect, favorable administrative attitudes and social network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ntinuous resident participation in the newtown where the system for resident participation did not exist. In particular, residents established neighborhood governance to continuously improve and use parks and green spaces as a key resource in the region, enhancing the capability of communities.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became a means of community building in the newtown, while having been managed and improved through resident participation at the same time. As residents have continuously improved the landscape and maintained a pleasant environment through systematization, facilities have been improved based on the requests from residents, leading to enhanced convenience. In addition, physical improvement was linked to programs for using parks and green spaces, so as to share the value of participation with general residents. As a result, the activities of residential communities significantly activated the use of parks by local residents and helped them recognize parks and green spaces, which is public property, as an important asset for local residents. As shown in this study, however, in a new urban planning in Korea, resident participation for community building has not been systematically facilitated, contrary to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K and Japan. As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are an important public space affecting the daily lives of residents,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o drive resident participation. It is also required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 system, so that residents can participate in operation and management.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system for resident participation going from planning to operation. In this regard, I sugges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n terms of urban planning, a plan for creating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should include extending the conservation of natural green spaces as a key resource in the community to make the most of them. Second, in formulating the plan for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resident participation should be systematically linked between urban planning, creation and operation. Third, there is a need to have a consultative body between different agents in each stage of newtown development and the existing residents excluded from such stages. Now, look at the operation of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First, residents should be granted enough authority to operate and manage spaces. Second, it is required to change the awareness of administration for flexible and favorable administrative attitudes. Third, it is necessary to have governance at the neighborhood level and form an intermediate organization at the city level, which can connect each neighborhood governance and provide integrated support. 공원은 시민들의 일상적 여가공간인가, 그 이상의 커뮤니티 차원의 사회적 공간인가. 근린생활권 공원녹지는 도시민의 일상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공간이지만 실상 그 활용수준은 높지 않다. 하지만 지역의 중심자원인 근린생활권 공원녹지는 커뮤니티 형성을 유도할 뿐 아니라 주민 참여를 통해 공간의 개선이 이루어지면 이용의 질이 향상 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기반으로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의 확장된 사회적 역할에 대해 논의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신도시 정착과정에서 나타난 자발적인 주민참여 사례를 통해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와 지역 커뮤니티 형성 간의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 시범단지인 첫마을을 선정하였다.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에서 주민참여를 기반한 커뮤니티 형성은 공간적 측면, 주민활동적 측면, 운영적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먼저 공간적 측면은 주민참여를 유도한 도시계획적 요소와 주민참여를 통해 변화하는 공원녹지의 공간적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민활동 측면에서는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에서 커뮤니티 형성(Community building)을 지속시켰던 자발적 주민참여 양상을 논의 하였다. 운영 측면에서는 공공 행정 중심의 도시 계획 및 운영 관리가 주민참여에 어떤 영향을 미쳤고, 그 한계가 무엇인지 논의 하였다. 이를 통해 신도시 내 커뮤니티 기반의 공원녹지 조성과 운영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참여관찰방법을 기초로 연구자가 2여년 동안 주민 활동에 참여하여 관찰하였다. 주민공동체, 이해관계기관, 공원이용자 등 지역사회 내 다양한 주체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국내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분석요소를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근린생활권 공원녹지를 중심으로 한 커뮤니티 형성 과정을 형성 조건, 주민활동, 갈등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에 기반한 커뮤니티의 형성 기제를 공간적, 주민 활동적, 운영적 차원에서 고찰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주민들은 참여활동을 통해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에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주민들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사회적 공간으로 변화시켜나갔다. 특히 커뮤니티 안정화가 중요한 신도시에서 주민참여 활동은 대상공간을 차별화해 지역정체성을 강화시키고 주민들이 새로운 지역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하였다. 공원녹지와 주민활동 간의 기제를 살펴보면 먼저 공간적 측면에서 도시계획을 통해 자원성과 활용성이 높은 자연녹지를 조성하였기 때문이다. 생활권 내부를 가로지르는 자연녹지는 접근성이 높고 주변에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과 지역자원이 연계되어 있어 활용도가 높았다. 특히 녹지 중심 공간은 주민 참여를 촉진하는 자원과 공간을 풍부하게 제공하였으며, 덜 손질되고 비완결된 상태는 주민들이 참여하는 개선을 유도해 지속적인 커뮤니티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주민활동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신도시 내에 원주민의 재정착이 이루어지면서 기존 지역자원에 대한 높은 이해를 바탕으로 참여활동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젊은 계층의 새로운 이주민들은 초기 열악한 생활환경에 대한 개선의지를 바탕으로 도시공간과 지역자원에 대한 관심을 확장시켰다. 이러한 주민 특성을 기반으로 자발적으로 조직된 주민공동체는 신도시 내 커뮤니티 형성을 촉진하였다. 예컨대 원주민들은 참샘이라는 지역자원을 재발굴하면서 이주민들과 연대해 주민공동체를 형성시켜나갔고, 젊은 이주민들은 용도가 없던 생태통로 하부공간과 근린공원 내 방치된 공간을 활용하여 다양한 지역조직들과 연대하며 공동체 활동을 확장하였다. 이 과정에서 시민적 공공성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는데, 지역주민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고 지역 내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 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운영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주민참여 시스템이 부재한 신도시에서 호의적인 행정태도와 사회적 네트워크가 주민참여를 지속하게 하는 중요한 동력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주민들은 근린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공원녹지를 지역 중심 자원으로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활용하면서 커뮤니티의 역량을 강화시켰다. 근린생활권 공원녹지는 신도시 커뮤니티 형성의 수단이 되는 동시에 주민참여 활동을 통해 지속적으로 가꾸어지면서 향상되었다. 주민들은 조직화를 통해 지역 경관을 아름답고 쾌적하게 유지, 관리하였고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시설을 개선하고 이용 편의성을 높였다. 또 물리적 개선을 이용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일반 주민들과 참여 가치를 공유하였다. 그 결과 주민공동체의 활동은 지역주민들의 공원 이용을 활성화 시키고 지역주민들이 공공재인 공원녹지를 중요한 주민자산으로 인식하도록 유도하였다. 근린생활권 공원녹지는 주민 일상에 영향을 미치고 시민적 공공성을 확장시킬 수 있는 중요한 공공공간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국내 신도시계획은 커뮤니티 형성을 목적으로한 주민참여가 시스템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주민참여 계획과 운영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제도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계획에서 운영으로 이어지는 주민참여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되는데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시계획 측면에서 첫째, 근린생활권 공원녹지 계획 시 커뮤니티를 중심 자원으로 자연녹지 보존을 확대하여 활용성이 높게 계획해야 한다. 둘째, 공원을 커뮤니티 차원에서 점진적으로 만들어갈 수 있는 유연하고 중장기적인 새로운 주민참여형 조성 방식이 필요하다. 셋째, 근린생활권 공원녹지 계획에서 주민참여가 신도시 계획부터 조성과 운영까지 유기적으로 연계되고, 신도시개발 단계별로 다양한 주체들과 기존에 배제된 주민들 간의 협의체가 필요하다. 근린생활권 공원녹지 운영 측면에서 살펴보면 첫째, 주민들에게 공간에 대한 충분한 운영관리 권한을 부여해야한다. 둘째, 유연하고 호의적인 행정태도를 위한 행정인식의 전환이 요구된다. 셋째, 근린차원의 거버넌스 구축과 도시차원에서 각 근린 거버넌스를 연대시키고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중간조직이 필요하다.

      • 도시 역사문화자원의 네트워크 구축 및 연결가로 설계 연구 : 중국 용정(龍井)시를 중심으로

        Ying, Ma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5343

        Longjing City was the initial settlement of Koreans who migrated from North Korea in 1877 and became the center of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education of Koreans. In addition, 66% of the city's total population is Korean-Chinese, with the largest concentration of Korean-Chinese in China. Longjing is the birthplace of Korean-Chinese culture and is the region where the Korean folk culture is best preserved to date. In the region, there are many Korean ethnic cultures, anti-Japanese movements and related historical monuments. For Example, there are ‘The well of Longjing Place of Origin’, ‘Ilsongjeong’, ‘Seojin Seosuk’, ‘Birthplace of Yoon Dongjoo’, ‘Dae-sung Middle school’, ‘Japanese Colonial Government-General in Jiandao’. The city, which has flourished with the early economic trade and industrial development in the midst of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times, is gradually declining due to the decline of industry and economic trade, and the urban physical environment is gradually falling behind. The urban population has been decreasing continuously since the opening of the Reformation (1978) and the Korea-China Bridge (1992). These problems caused the city to lose its own competitiveness, and now it is hidden in Yanji, the capital of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However, in 2014, according to China's State Council's "Opinion on Accelerating the Opening of the Border Area", Jilin Province and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clearly designated Longjing as the center of development and openness. Got Longjing intends to revitalize the decaying city by developing the cultural tourism industry of the city using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Under such a large policy,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scope of the study as the downtown area and to realize the vitalization of the city center do. At present,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of Longjing are scattered in the city center and outside of the city. Among them, som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 downtown are well utilized as cultural tourism resources, but some are inaccessible or neglected. In addition, the horizontal space that connect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scattered throughout the city has a poor physical environment and mostly streets are designed for automobiles. Due to this, there is a lack of connectivity between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only visits to specific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occur. Therefore, the time required for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in the city is very short, and since the car is mainly used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the added benefit of historical cultural tourism rarely occu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derives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network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hrough the previous study on the network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connect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 city, and theoretically examines the network of streets. The spatial componen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and the cases of Boston (USA), Gunsan (South Korea) and Shanghai (China) were analyzed as the framework of analysis. Based on the network construction principles and the horizontal space design principles derived from these case studies, the current status of the historic cultural resources of the site will be identified and the cross-section of the historic cultural resources network will be design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e economic benefits of active tourism in the city by establishing a network that connects resources with each other and improves the relations between resources through the use of ships in the point of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o get a wider range. In addition, based on the network, we would like to propose a design plan for the connected street, which can give concrete directions for Longjing to restore the city's identity and form a new city image to lead the revitalization of the old town. 용정시는 1877년 북한으로부터 이주한 조선인들의 초기 정착지로서 조선족의 경제·사회·문화·교육의 중심지로 부상하게 되었다. 또한 도시 전체 인구의 66%가 조선족이고 중국내 조선족 인구가 가장 밀집되어 있는 지역이다. 용정은 중국 조선족 문화의 발상지로서 조선족 민속문화가 현재까지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지역이다. 지역 내에는 조선족 민족문화와 항일운동 등 관련 역사유적들이 다수 존재한다. 예를 들면 용정지명기원지우물, 일송정, 서진서숙, 윤동주 생가, 대성중학교, 간도 일본총영사관 등이 있다. 시대의 변화와 발전속에 초기의 경제무역, 공업의 발달로 번영기를 맞았었던 도시는 점차 공업의 쇠퇴와 경제무역의 침체로 도시의 인구가 감소하고 도시의 물리적 환경이 점차 낙후해 졌다. 도시인구는 개혁개방(1978)과 중한수교(1992)를 기점으로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도시의 자체 경쟁력을 상실하게 하였고 현재는 연변조선족자치주 주부(州府)인 연길시에 가려져 용정시만의 정체성이 더욱 희미해져 있다. 하지만 2014년, 중국 국무원(國務院)의 “접경지역개발개방 가속화에 관한 의견”에 따라 길림성과 연변조선족자치주에서는 용정시를 개발개방중점현시(開發開放重點縣市)로 명확히 지정하면서 용정은 새로운 발전 기회를 얻게 되었다. 용정은 이러한 국가적 지원정책에 힘입어 지역특유의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도시의 문화관광산업을 발전시켜 쇠퇴하고 있는 도시를 활성화 시키고자 한다. 이와 같은 대정책하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범위를 도심부로 설정하고 도심활성화를 실현하는 방안으로 우선 도심내 산재해 있는 역사문화자원들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그 연결요소인 가로공간에 대해 구체적인 설계를 진행하고자 한다. 현재 용정시의 역사문화자원들은 도심부와 도시외각에 흩어져 분포되어 있다. 그중 도심부의 역사문화자원들은 일부는 문화관광자원으로 잘 활용되고 있지만 일부는 접근 불가 혹은 방치되어있는 현상이 존재한다. 또한 도시내 곳곳에 흩어져 분포되어 있는 역사문화자원들을 연결하는 가로공간은 물리적 환경이 낙후하고 대부분 가로가 자동차 위주로 계획되었기에 보행환경이 열악하고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안내성이 부족하다. 이로 인해 역사문화자원들간의 연결성이 결여되고 특정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방문행위만 일어나기에 도심내에서의 역사문화관광의 소요시간은 매우 짧고 이동수단으로 차를 주로 사용하기에 역사문화관광으로 인한 부가 혜택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역사문화자원의 네트워크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역사문화자원의 네트워크 구축방법을 도출하고 네트워크의 연결가로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연결가로의 공간구성요소를 살펴보고 그것을 분석의 틀로 하여 미국 보스턴, 한국 군산, 중국 상하이의 사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사례분석들을 통해 도출한 네트워크 구축원칙과 가로공간 설계원칙을 기반으로 대상지의 역사문화자원의 현황에 대해 파악하고 역사문화자원 네트워크의 연결가로를 설계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점적인 보존과 관리에서 선적인 활용방법으로 자원들을 서로 연결하고 자원들간의 관련성을 향상시키는 네트워크를 조성하여 도심내에서의 활발한 관광행위가 가져다 주는 경제적 혜택을 좀 더 넓은 범위에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구축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연결가로공간에 대해 설계안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이는 용정시의 낙후한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고 도시의 정체성을 되찾으며 새로운 도시이미지를 형성하여 구도심의 활성화를 이끌어가는데 구체적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

      • (A)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Urban Farming in low-rise neighborhoods in Seoul

        Perez, Isabella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5343

        The global urban population is rapidly increasing. As such, cities face the challenge of balancing resource consumption with safeguarding our environment. One such resource is food. Agricultural products travel far from the harvesting site to the final consumer. This distance is cause for several issues such as high-energy consumption, increased food prices, vulnerable distribution chains, and loss of the collective memory of farming practices. Recently, urban farming has become an important means to tackle these issues and achieve sustainability in cities. Urban farming has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benefits. It is highly supported by the Korean Government as a strategy for urban regeneration and smart city development. This research evaluated the potential for urban farming in low-rise neighborhoods in Seoul. Because land in Seoul is scarce and urban agriculture is a valuable tool for the resilience of residential communities, this research evaluated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building-based agriculture in low-rise neighborhoods. To measure urban farming potential, this study built a model to determine the available area for farming, the sunlight intensity, and the water collection potential of a low-rise neighborhood. This study chose the neighborhood of Samseong-dong in Gwanak-gu as the site to base the model on. The study measured building form variables (footprint area and building perimeter) and environment variables (rainfall and sunlight intensity) to model the urban farming capacity of the neighborhood. The research also calculated the impact of urban farming in the area in terms of the reduction of CO2 emissions from transportation and crop yield to satisfy dietary requireme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low-rise neighborhoods have great potential for the introduction of urban farming. They have sufficient available space on buildings (rooftops, walls, and railings) for farming. They also have sufficient rainwater harvesting capacity and sunlight intensity to grow a variety of crops. The results show that this kind of building-based urban agriculture can be useful to provide food for local residents, but has a limited impact on the reduction of CO2 emissions. 도시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시는 자원 소비와 환경을 보호하는 균형을 맞추는 도전에 직면해 있다. 그러한 자원 중 하나는 음식이다. 농산물은 수확지에서 최종 소비자로 멀리 이동한다. 이 거리는 고에너지 소비, 식량 가격 상승, 취약한 유통망, 농업 관행에 대한 집단 기억력 상실과 같은 몇 가지 문제에 원인이 있다. 최근, 도시 농업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도시 농업은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이익이 있다. 도시재생과 스마트시티 개발 전략으로 한국 정부의 높은 지지를 받고 있다. 이 연구는 서울의 저층지역의 도시농업 가능성을 평가했다. 서울 토지는 희소하고 도시농업은 주거공동체의 복원력을 높이는 소중한 도구인 만큼 이번 연구는 저층 주거지역에 건축기반농업을 시행할 가능성을 평가했다. 본 연구는 도시농업 가능성을 측정하기 위해 저층 지역의 농경 가능 면적, 일조 강도, 빗물 수확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번 연구는 관악구 삼성동을 대상지로 선정됐다. 이 연구는 건축 형태 변수(건축면적과 건축둘레)와 환경 변수(강수량과 일조 강도)를 측정하여 인근 지역의 도시 농업 능력을 모형화했다. 이 연구는 또한 CO2 배출량 감소와 연간 채소 필요량 측면에서 도시 농업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계산했다. 이 결과는 저층지역이 도시농업 도입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저층지역은 농사에 필요한 공간이 건물(옥상, 벽, 난간)에 충분하다. 그들은 또한 다양한 농작물을 재배하기에 충분한 빗물 수확능력과 일조 강도를 가지고 있다. 이 같은 건축 기반 도시농업은 지역 주민들에게 식량을 공급하기에 유용할 수 있지만 CO2 배출량 감소에는 한계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 세종시 도시설계지침으로 구현된 도시 공간의 개방·공유성 분석

        이주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5343

        이 연구는 세종시 개방·공유 관련 도시설계지침이 어떤 의도로 만들어졌는지, 현실에서는 잘 구현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현대 신도시에서 개방·공유 가치는 점차 강조되고 있다. 공공은 사유 공간을 개방시킴으로서 공동체를 활성화시키고 관리주체가 서로 다른 공간을 공유하게 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자 한다. 계획가들은 공공영역을 확장하면 시민들의 선한 의지를 이끌어낼 수 있다고 기대하기도 하며, 정부는 개방·공유를 통해 부족한 공공공간을 경제적으로 확보하고자 한다. 그런데 세종시내 일부 공간에서 개방·공유를 계획했지만 의도대로 실현하지 못한 경우가 발생하였다. 세종시는 타 신도시에 비해 개방·공유 관련 도시설계지침을 활발히 수립했다. 전체 신도시 계획개념에서부터 생활권설계, 용도 및 필지단위지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공간에 개방·공유 개념이 들어갔다. 지침에 따라 물리적인 공간까지는 완성하였지만 관리·운영단계에서 문제가 생겼다. 사유 공간에 공공성 개념을 넣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공간의 소유와 관리 주체가 시민이기 때문이다. 사유 공간을 개방하고 서로 다른 이해 관계자들 간 공간을 공유하는 정책을 실현시키려면 해당 공간의 관리자인 일반 시민들이 정책 과정에 참여하고 스스로 움직여야 가능하다. 시민들이 공적인 책임과 역할을 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지만 현실에서는 이상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각 공간의 이익 주체 들 간 충돌이 일어나게 된다. 계획가의 이상과 이용자의 현실사이에는 괴리가 있다. 특히 신도시에서는 기성시가지에 비해 실험적인 도시설계개념들이 도입되지만, 이러한 개념들은 대게 원론적인 것들로 본래 의도했던 효과를 달성하는지는 개발 이후에나 알 수 있다. 실제 현장을 가보아도 설계 의도대로 잘 작동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도시설계에 의해 규율되는 도시환경의 모습은 많은 시민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으로도 큰 비용과 편익을 발생시킨다. 때문에 모든 도시설계적인 처치에 대해서 꾸준한 연구와 검증이 필요한데 아직까지 일반 시민의 관점에서 본 도시설계 개념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편이다. 시민들의 지지나 호응이 적은 부분이 무엇이며, 왜 그렇게 되었는지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온라인 민원 게시물을 분석하여 세종시민들이 불만을 갖는 개방·공유 사례가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이를 토대로 공공보행통로, 통합커뮤니티시설, 복합커뮤니티 사례를 선정하여 다음 분석틀을 이용하여 조사·분석하였다. 1) 각 설계지침의 개념과 목표를 통해 계획의도를 파악하였다. 2) 각 사례별 목표(토지의 집약적 이용, 시설효율성 향상, 보행연결성 강화)가 달성되었는지 조사한다. 3) 시설의 개방, 공유를 통해 공동체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는지 조사하고, 4) 각 이해 관계자들이 계획을 얼마나 이해하고, 어떻게 인식하는지 탐색하였다. 5) 계획과정이 공정한지, 절차는 타당한지 검토하였다. 6) 환경에 잘 적응해서 설치되었는지, 개방·공유하는데 적합한 계획이었는지 실태를 조사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세종시 전체 생활권 중심에 공원, 교육, 청사, 교통, 상업 등 다양한 시설을 배치하여 복합커뮤니티센터의 목표중 하나인 토지의 집약적 이용은 달성했다고 볼 수 있다. 실제 복합커뮤니티센터를 중심으로 유동인구가 높게 분포했으며, 다양한 주민자치프로그램이 제공되어 공동체 활성화에도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학교도 실내체육관을 중심으로 개방이 잘 되고 있는 편이다. 다만 복합커뮤니티 센터의 개념이 초기보다 약화된 측면이 있었다. 한솔동 복합커뮤니티센터는 학교를 중심으로 여러 시설을 개방·공유하도록 계획하였다. 그런데 한솔중학교 수영장 개장이 지연되고 주민들의 출입과 관련해 갈등이 일어나는 등 문제가 생김에 따라 점차 복합커뮤니티센터에서 교육시설은 제외되고 결국 계획개념은 축소되었다. 시민들은 복합커뮤니티센터를 동사무소 내지 복지관 등이 혼합된 건물로 인식하고 있었다. 시설의 개방시간이나 대관절차에 대한 불만도 나왔다. 시설을 보다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상시 개방을 원하는 민원이 있었지만 관리 인력이 부족하여 잘 이루이지지 않는 실정이다. 학교시설의 경우에도 보안, 안전, 관리 등 문제로 개방을 꺼리는 사례도 있었다. 복합커뮤니티센터 내 공동체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해 자원봉사자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이나 사회적약자인 학생들의 안전에 대한 관점이 결여되어 있는 것도 문제였다. 주민들에게 시설을 개방하는 것은 대다수 사람들에게 이익이 돌아가는 일이지만, 일부에게는 공정하지 못한 상황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개방·공유에 적합하지 않는 시설설계도 발견되었다. 학교 체육관에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도서관시설이 타 시설과 인접해 있어 소음이 발생한 경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솔동 시민들이 주도적으로 복합커뮤니티센터를 이용한 체험 프로그램을 만들어 운영한 것과 6-4생활권 근린공원 내에 운동장을 설치하여 세종시청의 운영·관리 하에 학생과 주민이 함께 사용하도록 한 것들은 계획 개념에 타당한 시도로써 지켜볼 만하다. 둘째, 통합커뮤니티시설은 이웃 단지 주민들끼리 서로 다른 커뮤니티시설을 개방·공유하여 효용성을 높이고 공동체를 강화하고자 한 것이다. 도시 전체적으로는 12개 구역이 공동으로 분양되었는데 이중 7구역이 공동관리 또는 시설을 개방·공유하고 있었다. 7구역 중 3구역은 임대주택이었으며, 3구역은 개발 단지의 세대수가 144세대에서 472세대 정도의 소규모단지로서 경제적인 이유로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공동관리 또는 시설 개방·공유를 하는 경우다. 나머지 1구역인 2-2생활권 새뜸마을 10,11,14단지에서만 계획 의도대로 각 단지의 다양한 시설을 서로 개방·공유하고 있었으나 주민 간 합의에 이르는 과정에서 세대수 및 각 커뮤니티시설의 관리비용 차이로 인해 의견 대립과정을 겪었다. 단지별로 서로 다른 시설이 들어갔기 때문에 시설 효율성은 확보되었지만, 같은 이유로 시설에 들어가는 비용과 수익이 달라지어 공정성에 문제가 생긴 것이다. 갈등이 일어난 또 다른 원인 중 하나는 계획에 대한 이해부족이다. 아파트 입주 초기 일부 주민들은 공동관리와 통합커뮤니티시설의 개념을 혼동하였다. 법적으로도 이 두 가지 모두 주민들의 과반수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이를 동시에 진행하려하였다. 그런데 새뜸마을 10,11,14단지는 세 단지 세대수의 합이 1,500세대가 넘어 공동관리가 불가능하였다. 관리·운영 면에서 미흡한 점도 있었다. 일단 관리사무소나 입주민협의회가 개별 단지에 들어서게 되면 이들을 합치거나 시설을 공유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개인이나 단체는 서로의 상황을 비교하며 본인들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제도상으로는 입주자대표회의가 구성되어야만 공동관리 및 시설의 개방·공유를 결정할 수 있었다. 또한 커뮤니티시설을 대부분 가로변에 설치하였고 자연감시 및 개방감을 높이기 위해 외벽을 투명한 재질로 하라고 규정하였으나, 현실에서는 대다수 시설 창문에 불투명한 필름을 붙이고 있었다. 개방·공유라는 것이 위치나 재료 등 물리적인 요소에 대한 지침만으로 실현되기 어렵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공공보행통로는 사람들의 보행 연결성을 강화하고 이웃 주민에게 단지를 개방하여 공동체를 강화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세종시에는 약 68개의 공공보행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통로가 지정된 공동주택 필지는 모두 43곳으로 타 신도시에 비해 상당히 많아 도시 전체적으로 보행자유도가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대부분 수변공원, 근린공원, 학교나 청사, 상업시설 등 주요한 목적지와 주거지를 연결하고 있었다. 목적지나 사용자가 불분명해 보이는 필지에 통로를 설치한 경우는 필지 규모가 크고 인접 대지 공공보행통로 계획 선형을 연결하기 위한 경우였다. 그런데 일부 계획을 보면 통로 설치 기준이 불분명하며 생활권별로도 다르게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새뜸마을3단지 내 보행도로는 인접단지 초등학생의 통학로로 빈번히 사용되는데 공공보행통로로는 지정되어 있지 않았다. 다만 공공보행통로가 전혀 설치되지 않은 2-2생활권이라도 물리적인 보행연결성이 떨어지지는 않았다. 담장 설치를 금지하고 마스터플랜을 통해 보행자동선을 세심하게 계획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지구단위계획을 통한 공공보행통로 지정은 마스터플랜을 세울 수 없는 경우에는 유용하며, 통로 방해를 막을 근거 및 미래 개발시에도 통로를 설치할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다. 한편 대다수 공공보행통로에서는 주민 간 갈등이 발생하지 않았는데, 가재마을3단지에서는 문제가 일어났다. 여러 복합적인 요인이 있었는데 정보부족, 불편한 보행환경, 이익의 분할 및 비용갈등 등이다. 가재마을3단지 주민들 중에는 단지 내에 공공보행통로가 있는지 모르는 경우도 있었다. 게다가 통로가 경사지에 위치하며 중간에 계단이 설치되어 있어 이용이 불편했다. 학생들은 차량이 지나다니는 다른 통행로를 자주 이용하여 사고가 우려되는 상황이었다. 또한 사생활보호, 안전, 관리비용증가 등을 우려한 주민들이 민원을 제기하고 계단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를 막는 행위도 일어났다. 이와 반대로 꼭 필요한 곳에서 갈등 없이 이용되는 경우도 있었다. 가재마을2단지의 경우인데, 필지 경계부에 설치되었고 인접한 초등학교에서 CCTV를 설치하고 실질적인 관리를 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가재마을3단지의 경우에도 최근에 갈등이 줄어든 데에는 학교 측에서 학생들을 데리고 공공보행통로 청소봉사를 실시하는 등 수혜자라고 볼 수 있는 이들이 관리·운영의 책임을 일부 나누어 가진 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세 사례에서 얻은 시사점을 정리하면 첫째, 각 계획의 물리적인 목표(토지의 집약적 이용, 시설효용성 증대, 보행연결성 강화)는 대부분 달성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관리·운영단계에서 이해관계자간 갈등으로 인해 계획의도가 충분히 활용되지 못한 경우는 있었다. 어떤 곳에서 실현이 잘되고 어떤 곳이 안 되는지 비교해서 살펴보아야 한다. 둘째, 공간의 개방과 공유를 위해 관리주체는 눈에 보이는 비용 뿐 아니라 숨겨진 거래비용까지 신경 쓸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개방·공유를 반대하는 사람들은 사생활침해, 보안, 안전, 관리비 증대 등 잠재된 위험을 회피하고자 하였다. 위험은 과거에 경험했던 문제들과 연관도 있었지만 일어나지 않은 미래에 대한 걱정도 있었다. 현재 도시설계지침에서는 개방·공유로 인해 얻을 수 있는 가치, 위험요인과 대처방안, 관리운영방안 등에 대한 설명이 부족한 편이다. 셋째, 공공의 이익을 위해 일부는 불공평하다고 느끼거나, 사회적약자의 안전 문제가 우려되기도 하였다. 공리주의의 관점에서 소수의 희생이 정당한가에 대해 논의가 필요하다. 개방·공유를 실현시키려면 관리주체가 참여가 가능하도록 공공의 개입을 강화하고 비용이나 인력지원 등 경제적 유인책을 보완해야 한다. 개방·공유를 통해 얻는 이익 및 편익 주체는 외부인이 되며 소유자 및 관리자가 비용을 부담 하게 된다. 효율적인 자원 배분을 위해서는 비용 부담하는 사람과 편익을 가져가는 사람이 일치해야 한다. 비용을 부담하는 측에 대한 보상이 미흡하다. 따라서 개방·공유 정책을 꼭 실현해야 하는 곳이라면 이익주체에 대한 보상과 규제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지침을 공간에 적용시키고 난 후 현장을 살펴보니 계획 당시 예상하지 못한 오류가 생기기도 하였다. 공간계획 자체가 개방·공유를 수용하지 못하는 경우다. 이는 도시설계지침의 어쩔 수 없는 한계이기도 하다. 몇 년에 앞서 시민들의 행동을 예측하고 지침을 수립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 현장에 적용해봐야 문제를 알게 되는 것들도 있다. 이러한 설계오류문제는 잘 정리하여 후속 신도시설계에서 좀 더 개선된 지침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신도시설계의 어쩔 수 없는 정보 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 신도시 문제를 잘 정리하고 시민들의 의견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신도시의 민원을 공유하고 공통적인 문제에 대해서 대응할 수 있어야겠다. 결과적으로 향후 도시설계는 계획가가 일방적으로 수립하는 것이 아닌 사용 후 평가를 통해 좀 더 이용자 친화적인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tent of the urban design guidelines related to open and shared spaces in Sejong-City and its implementation. Today, the value of openness and sharing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e public seeks to revitalize the community by opening up privately-owned spaces and create new values through encouraging the use of shared spaces which are managed by different entities. It is also a means to economically secure the currently insufficient public spaces. Furthermore, planners also expect that expanding the public realm could bring forth the goodwill of citizens. However, there have been cases in which planned open and shared spaces were not realized. Compared to other newly-built cities, Sejong had actively established urban design guidelines related to open and shared - 185 - spaces. This concept penetrated into a variety of guides, ranging from the comprehensive urban planning to neighborhood unit, zoning and parcel guidelines. The built environment was form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but problems occurred in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phase. To impose public values in private spaces is a difficult matter since ownership and management belong to the private sector. To implement a policy that asks to open up private spaces and allow sharing among various stakeholders, citizens who are managers of the spaces must participate in the policy-making process and act voluntarily. While citizens face public responsibilities and roles, in reality, accepting the ideals of opening and sharing is not easy, and inevitably, conflicts between stakeholders arise. There is a gap between the ideal of the planner and the reality of the user. New urban areas become a testing bed for new urban design concepts which are normative principles that could only be evaluated after an area is developed as to whether it achieves its original purpose or not. And it becomes clear that there are cases where the design principles do not seem to accomplish its intentions. The urban environment governed by urban design affects the lives of many citizens, generating great social costs and benefits. Therefore, all urban design measures need to be continuously studied and verified. However, the discussion of urban design concep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eneral public is still lacking, and henc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which areas are lacking support from the public and the reasons behind it. This study analyzes online complaints to understand dissatisfactions regarding open and shared spaces in Sejong. Based on this, public pedestrian passage, integrated community facilities, and multi-community center cas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under the following framework: 1) identify the planning intention by examining the design guideline concept and objectives; 2) investigate whether these objectives have been met (intensive land-use, increased efficiency of facility use, reinforced pedestrian connectivity); 3) investigate if the open and shared spaces hav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community; 4) examine how well the stakeholders understood and perceived the plans; 5) review whether the planning process was fair and valid; and 6) investigate the status of the design intervention as to how well it was adapted to its surroundings and examine if the initial planning was appropriate for open and shared spac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tensive land-use was achieved which was one of the key objectives of the multi-community center by arranging various facilities including parks, education facilities, government buildings, transportation, and commerce in the central areas of the entire neighborhood units in Sejong. The floating population was highly concentrated around these centers, and various autonomous residents’ programs were provided to contribute to revitalizing the community. Schools have opened up their indoor gymnasiums and have become good examples of open and shared spaces. However, the concept of the multi-community center has become weaker now than in the early days. The Hansol-dong multi-community center was designed to open and share various facilities centering around the school. However, due to the delays in the opening of the swimming pool at Hansol Middle School and the conflict related to residents accessing the facility, educational facilities were gradually removed from the multi-community center notion, eventually cutting back on the planning concept. It was also problematic that the general public perceived the multi-community center to be where local administrative offices and welfare facilities were situated. There were also complaints about the opening hours and rental procedures. While some contended that the facilities should be open at all times, this was difficult due to the lack of management personnel. Some schools were reluctant to participate because of issues of security, safety, and management. There were also problems with the heavy dependence on volunteers in operating community programs, and the lack of safety considerations regarding students who are a socially vulnerable group. Opening up facilities to residents may benefit the majority, but maybe unfair to some. There were also incidents where building design was not appropriate for open or shared spaces. This included a school gymnasium with no toilets and a library with high noise levels being adjacent to incompatible facilities. Nevertheless, the resident-led experience program that was run in the multi-community center, and the building of a playground in the 6-4 neighborhood unit park, which is actively used by residents and students under the management of Sejong-City, are commendable examples of the planning concept. Second, the integrated community facility was built to increase its utility and strengthen the sense of community by opening up and sharing the facility among residents of neighboring housing estates. In seven districts, out of a total of 12 districts that were sold in lots, facilities were co-managed or open and shared among residents. Three of the seven districts were public rental housing, and the other three were small-scale estates, ranging from 144 to 472 households, for whom co-managing and sharing spaces were more economical. The remaining case, The Sharp Hillstate apartment located in the 2-2 neighborhood unit, opened and shared various facilities of the estate as planned, however, experienced conflict in the consensus reaching process among residents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households and management costs. The use-efficiency of the facility was warranted by the fact that each estate had a different facility, but by the same token, problems of fairness emerged since cost and profits differed. Another cause of the conflict was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plan. The early residents were in knowledge of the original concept of co-management and integrated community facilities. Legally, the consent of the majority was required for both endeavors, so residents tried to implement it at the same time. However, in The Sharp Hillstate where the total number of households exceeded 1,500 households, co-managing the facilities was an impossible task. There were also problems of management and operation. As the management office and the residents’ council operated in each of the housing estates, it was not easy to combine them or share facilities on this basis since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inevitably put their interest first. Also, institutionally, the decision on co-management and opening facilities could only be made after a resident representative meeting was formed. In addition, while the guidelines mentioned that community facilities should be established on roadsides and its exterior walls to be of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natural surveillance and openness are ensured, in reality, the windows of most facilities were covered with translucent film. It was evident that guidelines which control the physical aspects of location and material were not sufficient in realizing the concepts of openness and sharing. Third, the purpose of the public pedestrian passage was to strengthen connectivity and open up housing estates to neighboring residents so that a sense of community is reinforced. There are 68 public pedestrian passages in Sejong (78 parcels), and there are 43 multi-family residential parcels where a public passageway is designated. This is considerably higher than other New Towns, and in this sense, Sejong is considered to be a well-connected city for pedestrians. Most passages connected residential areas with major destinations such as waterfront parks, neighborhood parks, schools or government buildings, and commercial buildings. The cases where passages were set up in a parcel where the destination or the user group was unclear were either when the block was too big or connections were to be made to public passages in adjacent blocks. However, in some cases, the criteria were unclear and were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neighborhood unit area. The pedestrian passage in Sae-ddeum Village 3 Complex was frequent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neighboring housing estates but was not designated as a public pedestrian passage. Nonetheless, even in the 2-2 neighborhood unit where no public pedestrian passage was established, connectivity didn’t necessarily seem to lack due to the careful planning of pedestrian routes based on a master plan and prohibiting the installation of fences. In cases where a master plan cannot be established, it is useful to designate public pedestrian passages through the district-unit plan, and this is significant as it provides a basis for preventing road blocking and establishing further routes for future development. While there were no conflicts in most public pedestrian passages, there was a problem reported in Gajae Village 3 Complex. There were a number of factors to the problem, including the lack of information, inconvenient pedestrian environment, problems of dividing profits and conflicts arising from costs. Some residents in Gajae Village 3 Complex did not even know there was a public pedestrian passage in their area. Furthermore, the passage was located on a slope with stairs installed in the middle, which made it an inconvenient route. As a result, students used another passage that had heavy traffic, making them vulnerable to accidents. Worse still, residents who were concerned about their privacy, safety, and management costs made an official complaint and blocked the elevators installed next to the stair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lso a case where the passage was aptly used without any conflict. In the case of Gajae Village 2 Complex, the passage was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parcel and the adjacent elementary school had installed surveillance cameras to properly manage the route. The recent amelioration of conflicts in Gajae Village 3 Complex was attributed to the school, who was considered the main beneficiary, sharing some of the responsibilities of management and operation by organizing students to clean up streets as community service. In conclusion, the implications of the three cases are as follows. First, the planning objectives regarding the physical aspects (intensive land-use, increased efficiency of facility use, reinforced pedestrian connectivity) have been achieved. However, there were cases where the objectives were not fully realized due to stakeholder conflicts in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phase. Places of success and failure should be compared and examined. Second, the managing entity of open and shared spaces should be aware of not only the visible costs but also the hidden transaction costs. People in favor of the concept aimed to achieve its objectives, while people who were against it tried to avoid potential risks of invasion of privacy, problems of security, safety, and increased management costs. These concerns were associated with problems experienced in the past but were also unfounded anxieties of events that had not happened. As of now,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 on the value that could be obtained by open and shared spaces, alongside its risk factors and countermeasures, and management methods. Third, there were concerns of those who felt their circumstances to be unfair for the purposes of public benefit and concerns regarding the safety of a socially vulnerable group. From a utilitarian standpoint, there needs to be discussion whether the sacrifice of a few could be justified. To successfully operate open and shared spaces, public intervention must strengthen so that the public sector becomes more involved as a managing entity, and economic incentives of cost and personnel support must be supplemented. The profits and benefits of open and shared spaces are often reaped by outsiders while the owners and managers bear costs. For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the one who bears costs must also be the beneficiary. Insofar, there is a lack of compensation for those who are burdened with the costs, hence, if a clear need is recognized for open and shared spaces, the compensation and regulation of the beneficiary need to be clarified. Fourth, unexpected failures did occur after the guidelines were applied to sites. These were cases where the spatial planning did not accommodate for openness and sharing, which, in some sense, is an inevitable limitation of the urban design guideline. Since the planning is based on predictions of future resident behavior, there are issues that only emerg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lan. These errors should be well documented to improve guidance in subsequent New Town designs. In order to solve the inescapable problem of information shortage in New Town design,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record the problems identified in existing New Towns and investigate the opinions of residents. Complaints from New Town residents should be shared and responses to common problems should be drawn. In the future, urban design should move toward a more user-friendly approach through post-evaluation rather than be considered a unilateral establishment of the planners.

      • 서울, 자카르타, 방콕, 마닐라 대도시권의 인구분포와 도시확산 비교

        김다현 서울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35343

        2015년 전 세계 도시거주 인구가 전 인구의 54%에 도달했고, 2050년에는 65%로 증가될 전망이다.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의 개발도상국에서는 도시화가 저조하게 진행되었으며, 특히 동남아시아의 경우 전 세계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47%에 해당된다. 그러나 동남아시아 지역의 주요 도시를 거점으로 활발한 경제성장과 도시 확장이 진행되고 있어 미래의 도시인구 증가에 가장 크게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따라 외곽 지역 개발과 도시확산에 대한 문제인식이 대두되고 있다. 동남아시아 중 자카르타, 방콕, 마닐라는 비교적 높은 비율의 도시화가 진행된 지역이며, 경제적 상황과 인구규모도 한국의 도시들과 유사하다. 그러나 네 대도시권 지역은 다른 구조의 인구분포와 도시확산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 때, 도시확산과 인구분포는 인구밀도에 의해 측정될 수 있으며, 도시지속가능성과 효율성에 있어 도시계획에 중요하게 여겨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네 국가의 대도시권에 해당하는 수도권의 도시확산과 인구분포 정도를 인구밀도 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있다. 또한, 기존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진 동남아시아 지역에 서울을 추가하여 국제 비교론적 관점에서 인구분포와 도시확산을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의 방법은 인구밀도를 정량적으로 비교분석하는 방식으로 도시확산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인구밀도 분석에는 도시 공간구조 연구에서 많이 활용되는 클락 모델(Clack model)을 활용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로 각 국의 인구자료와 GIS를 활용하여, 인구밀도, 면적 및 거리를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면 네 수도권의 도시확산 정도를 비교할 수 있다. 2010년의 자카르타, 방콕, 마닐라와 유사하게 도시화가 진행된 시기인 1980년의 서울에는 더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었다. 도시화 정도를 비교해보면, 1980~2010년 동안 전반적으로 서울의 수도권이 다른 세 수도권보다 비교적 적게 진행되었다. 2010년의 수도권 전체 영역의 인구밀도경사함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서울, 방콕, 자카르타, 마닐라 수도권 순서로 도시확산이 더 진행되었다. 결론적으로 서울의 도시 형태는 상대적으로 도시확산이 덜 진행된 형태의 개발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동남아시아 지역은 도시확산이 더 이뤄진 형태의 개발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