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한민국 해군 해난구조작전을 위한 이동식 포화잠수체계 도입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유호휘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8399

        This study examined how to improve the Korean Navy diving system, particularly focused on using the mobile saturation diving system. The study determined the range of navy operations and analyzed the suggested requirements as standard configurations from missions, which were previously operated by the portable saturation diving system. Also, the use of military strategy was examined in terms of its technical and applicable possibility for the enhancement of current system. As the result, the study confirmed that although the single diving system has high expectations, its improvements are possibly limited. In addition, suggestions were made from both advantages/disadvantages of importing portable saturation diving system products and domestic development. To review measures in installing and operating such system, the study included an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individual platform. Also, the utilization method of the system both during wartime and peacetime were suggested. From the study, it is concluded that with the adequate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the mobile diving system the Korean Navy salvage ability can be improved.

      • 잠수 직종의 국가기술자격과 국방분야 국가자격 비교연구 : SWOT-AHP 분석을 통한 발전전략 도출을 중점으로

        김병화 한국해양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38399

        본 연구에서는 산업잠수와 군사잠수, 두 분야의 자격제도와 인증체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산업잠수의 경우 국가기술자격으로 잠수기능사와 잠수산업기사, 잠수기능장이 있으며,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자격기본법」의 시행령으로 고시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인 일반잠수 NCS, 산업잠수 NCS에 기반을 두어 학습모듈과 출제기준, 평가문제 등이 개발되고 있다. 군사잠수의 경우 국방분야 국가자격으로 국방부에서 주관하고 해군 해난구조전대에서 시행하는 심해잠수 1급, 2급, 3급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양 자격체제의 도입배경, 법적근거, 취득현황 등을 비교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기초연구로 문헌 및 자료를 분석하였고, 자격발급 관련 전문가들을 인터뷰하였다. 국방분야 국가자격에 발전전략에 대해서는 SWOT-AHP 분석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국방분야 국가자격의 실효성이 미미하다. 국방분야 국가자격 심해잠수사 종목은 민간 산업현장에서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해난구조전대 교육훈련대대가 잠수 직종의 NCS기반 표준교육과정 인증 및 운영기관으로 인정되어야 될 것이며, NCS 체계상 누락된 심해잠수 분야도 복구시켜야 한다. 또한, 현행 법령상 국방분야 국가자격 심해잠수사 종목이 수중공사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개정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the qualification system of commercial diving and military diving are compared and analyzed. In the case of commercial diving, there are Craftsman diver, Industrial Engineer Diver, and Diving Supervisor as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The qualification system of commercial diving is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NCS) and training standards, job descriptions, and evaluation items were developed as well. In the case of military diving, there ar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 deep sea divers trained by the SSU(Sea Salvage ans rescue Unit) and issued b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s national defense qual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up problems and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and defense qualification of underwater diving by comparing its background, legal basis, and acquisition status. In this study, the literature survey and data analysis were carried out, also advices were obtained from the qualification issuance related experts. The SWOT-AHP analysis method was used to develop a strategy for national defense qualif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iveness of national defense qualifications is minimal. Deep sea divers as national defense qualifications are not accepted in industrial sites. 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s, the SSU Training Battalion should be certified as the NCS-based standard education courses of the diving part. Also the deep sea diving category that are missing in the current NCS system should be registered. Lastly, a legal amendment is needed to enable certified deep sea divers retired from navy to engage in underwater construction work.

      • 알코올 섭취가 인체에 미치는 생리학적 고찰을 통한 수중활동 시 리스크 분석

        서상우 한국해양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38383

        본 연구는 수중활동에서 나타나는 인체의 생리적 변화와 알코올 섭취로 인한 생리적 변화를 살펴보고 알코올 섭취가 스쿠버다이버에게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수중환경의 물리적 특성 차이는 수중활동을 하는 스쿠버다이버에게 다양한 생리적 변화를 야기하며 불활성기체마취, 산소중독, 감압병 등의 각종 위험에 노출시킨다. 이와 더불어 알코올 섭취는 분해 과정에서 독성을 지닌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를 생성하고 코르티졸 분비 증가, 항이뇨호르몬 생성 억제 등 호르몬 작용에 영향을 미쳐 수분손실, 심장질환 및 뇌졸중 위험도 증가시키고 기타 심리적 질환을 야기한다. 미국 내부통제연구소위원회의 내부통제 프레임워크를 기초로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새롭게 정립한 ‘리스크 평가 및 분석(RAA, Risk assessment and analysis)’ 기법을 활용하여 알코올 섭취 전과 후의 리스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RAA기법은 리스크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1단계, 리스크를 정량화하고 리스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2단계, 그리고 이를 도식화하여 리스크맵을 분석하는 3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RAA기법을 통해 알코올 섭취로 인한 수중활동의 리스크수준이 고위험군은 3개(11.5%)에서 5개(19.2%)로 증가하고 중위험군은 10개(38.5%)에서 11개(42.3%)로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먼저 수중활동에 대한 리스크수준을 정량화하여 고위험군을 분류하고 리스크관리 측면에서 우선통제대상을 지정할 수 있었다. 그리고 알코올 섭취는 수중활동의 전반적인 리스크수준을 증가시켜 고위험군의 비율이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알코올 섭취 후 행해지는 스쿠버다이빙의 위험성을 명확하게 알리고 이에 대한 스쿠버다이버들의 의신 개선을 도모하여 보다 안전한 스쿠버다이버 환경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response of human to alcohol and risk analysis during the underwater activity. After comparing the human response to alcohol and the underwater activity, we analyzed the physiological changes and risk level by using risk analysis method. There are various physiological changes in the human body in underwater because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sea water. These changes cause lots of dangerous situations such as an inert gas narcosis, oxygen poisoning and decompression sickness. Alcohol produces a toxic material and influences several hormones that can cause dehydration, psychological changes, heart attack, stroke and so on. This study suggests a new risk analysis method, ‘Risk Assessment and Analysis(RAA)’. RAA is a modified method based on internal control frame work of the Committee of Sponsoring Organizations of the Treadway Commission(COSO). It has 3 steps, the first step is to analyze risk correlation. The second step is to quantify risk and build up a risk database. The last step is analyzing the diagramed risk map. Using RAA, risk levels of alcohol use and underwater were calculated and diagramed. Diagramed risk map was used for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risk levels in underwater before and after alcohol use. As a result, the risk level in underwater increased after alcohol use; the high risk group increased 3(11.5%) to 5(19.2%) and the moderate risk group increased 10(38.5%) to 11(42.3%). This study shows alcohol use increases the ratio of high risk group during the underwater activity. Also this study present that risk levels can be quantified by the likelihood and impairment scale and has potential of identifying high risk group for intensive management in underwater. This study shows the risk of alcohol consumption during underwater activity. This will improve scuba divers’ consciousness of scuba diving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