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계정식의 『한국음악(Die Koreanische Musik)』에 관한 연구 : 오선악보로 소개, 해석된 17악곡에 기하여

        김성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0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usical significance of Korean music research by Dr. Keh. Ch. S., a Korean-born classical musician in the 1930s, which have not been much illuminated by Korean music academia. In this study, I explore Keh’s life and his research works on Korean music with a primary focus on his doctoral dissertation, 『Die Koreanische Musik-Einführung und Besprechung von 17 zum ersten Mal in die europäische Notenschrift übertragenen Kompositionen』; examin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perceived by western musicians; and analyze his research methodologies to introduce at that time very little known Korean music to the western world. First, Keh was born in Pyongyang in 1904 and was highly talented in music. He studied violin in Japan and Germany and earned a doctorate degree from Universität Basel, Switzerland in 1934 with a dissertation on Korean music. After returning to Korea, Keh was actively involved in various musical activities as a violinist, composer, conductor and educator, and became a pioneer of Western music in Korea. Although major in Western music, he displayed a deep affection for 1930s Korean music. Besides his doctoral dissertation on Korean music, he played <Bang-a Taryeong> and <Chwitaepyeongjigok> arranged in classical music on his recitals. Second, Keh’s doctoral dissertation, which covers almost everything on Korean music,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Korean music as well as Korea among Europeans. He offered an outline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and presented a general overview and main features of Korean music, on which the Europeans at that time had very little knowledge. He also provided musical transcriptions and analyses of seventeen Korean musical pieces by referring to gramophone records and precedent music books, allowing the readers to have a firsthand appreciation of the music he presented. Keh explained that Korea has its own distinctive culture since Gojoseon and unlike China, displays a theological perspective on musical philosophy. Korean music employs a five-tone scale without semitones. Performers of Korean music were largely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court musicians, government-employed musicians or privately-employed musicians, troubadours or wandering musicians and gisaeng, and each group played different genres of music. In his dissertation, Keh added detailed explanations on how to play Haegeum(a Korean musical instrument similar to the violin) and Janggu(an accompanying instrument in Korean music). Korean music roughly comprises two major genres—court music and folk music, and these two are played in very different manners. While court music is played in a refined manner with little display of emotions, folk music is characterized by its rhythmical and dramatic expressions. In particular, he noted the unique aspect of Korean music where even the same piece of music can be played and delivered very differently depending on performers. Keh included seventeen musical pieces in his dissertation, two of which are court music, the other two are Buddhist music and the rest thirteen are folk music. Out of thirteen folk music pieces, he included <Bamyot(Taryeong)>—the song of taffy sellers touting on the streets and <Bumoeundeokga>—the early 20th century's newly composed song. Although Keh did not reveal the sources of recordings of the five pieces—<Bamyot(Taryeong)>, <Ipal Cheongchunga>, <Dambaguya>, <Daeyangga> and <Bumoeundeokga>, I identify the sources of those five pieces by referring to the scores from Lee Sang-jun’s Music Book and André Eckardt’s 『Koreanische Musik』(1930). I also found out that Keh took the melody of Haegeum as the main melody when transcribing ensemble pieces such as <Mannyeonjanghwanjigok>. In addition to this confirmation, based on literature review it can be inferred that Keh also transcribed the Haegeum-Piri duets such as <Bang-a Taryeong>, <Yangsando>, <Young-byun Ga> and <San-yeombul> with Haegeum as the primary melody, even though the recordings of those four pieces were lost. Moreover, he analyzed history, lyrics, scales, melodies and rhythms of each seventeen pieces, and even translated lyrics and Confucian names of folk songs into German, in order to enhance appreciation of these musical pieces. Third, I assess the importance of Keh’s work from four different aspects: the academic value of 『Die Koreanische Musik』, application of comparative musicology methodologies, transcription of Korean music and violin-interpreted Korean music. 『Die Koreanische Musik』 has a significant academic value as Keh advanced the previous research which were only presented with simple introductions and music books, by conducting musical analyses as well as musical transcriptions on seventeen pieces. Moreover, 『Die Koreanische Musik』 is not only the first foreign language publication on the Korean music published by a Korean in Europe, but the first doctorate dissertation on Korean music in Korean musicology academia. Highly influenced by comparative musicology while studying in Germany and Switzerland, Keh adopted comparative musicological methods for his dissertation, as a means to better introduce Korean music to the Europeans. Comparing with other Asian countries, Keh highlighted Korea’s identity and uniqueness, analyzed the features of Korean music from the Western angle and defined “improvisation” as the most distinctive attribute of Korean music. It is noteworthy that Keh attempted to transcribe Korean music from gramophone records onto five-line staff notation. Seventeen scores of Korean music in five-line staff notation in his dissertation are invaluable resources of indirect information on Korean music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Keh’s utilization of gramophone recordings as a primary source for his study as well as transcription of Korean music into five-line staff notation and analyses on scores not only opened a new chapter and facilitated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ology, but demonstrat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recording and transcribing Korean music. When introducing Korean music to Europe, Keh as a violist played Korean music on the violin in order to enhance Europeans’ understanding on Korean music by expressing it with their familiar instrument. As the Haegeum is a Korean instrument similar to the violin, Keh added the explanation on Haegeum and only included the Korean ensemble pieces accompanied by Haegeum. For example, Keh’s notating <Bakyeon Pokpo> and <Yangsando> in two or three melody lines implies his intention to play the pieces in a violin duet or a trio arrangement. He also displayed his own style and interpretation of the musical pieces when rearranging the Korean music for violin. After returning to Korea, Keh played <Chwitaepyeongjigok> and <Bang-a Taryeong> on the violin. This study addresses that the scores from Keh’s 『Die Koreanische Musik』 were interpreted for playing the pieces on the violin as well as that playing and rearranging Korean music into Western instrument was groundbreaking both in Korea and in Europe. The scores of Korean music in Keh’s dissertation enabled the Europeans to play the music even though they had little knowledge on Korean music. Judging from the existing research and documents, Keh is the first musician in Europe, who interpreted and played Korean music on the violin. In conclusion, Keh’s 『Die Koreanische Musik』, is of great academic significance in the field of Korean musicology for the reasons stated above, and has also grea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ology. 본 연구는 그동안 한국음악학계에서 조명받지 못했던 계정식의 한국음악 연구, 즉 그의 박사학위 논문인 『Die Koreanische Musik-Einführung und Besprechung von 17 zum ersten Mal in die europäische Notenschrift übertragenen Kompositionen(한국음악-유럽식 기보로 역보(譯譜)된 17개 악곡들에 대한 최초의 소개 및 논평)』(이하 "『한국음악』")의 한국음악학적 의의를 구명(究明)한 것이다. 이에 본고는 계정식의 생애 및 그의 한국음악 연구 행적과 박사학위 논문인 『한국음악』을 총체적으로 아우르고, 서양음악가의 관점에서 본 한국음악은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당시 서구에 잘 알려지지도 않았던 한국의 음악을 서구인들에게 어떠한 방법론을 가지고 연구를 전개하였는지 등 분석을 통해 계정식 논문의 한국음악학적 의의를 밝혔다. 첫째, 계정식은 1904년 평양 출생으로 음악적 재능이 매우 뛰어난 인물이었다. 일본과 독일에서 바이올린을 전공했으며, 1934년 스위스에서는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귀국 후 그는 바이올린 연주자, 교육자, 작곡가, 지휘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왕성히 활동한 우리나라 서양음악의 선구자이다. 그는 서양음악가임에도 1930년대 한국음악에도 애정을 보였다. 단연 대표적인 것은 그의 박사학위 논문 『한국음악』이며, 이외에 그의 연주회에서 선보인 서양식 편곡 <방아타령>과 <취태평지곡>이 있다. 둘째, 계정식의 논문 『한국음악』은 서구에 편찬된 한국음악서로, 한국음악과 관련한 모든 것들을 총망라하였다. 서구인들에게는 미지의 나라인 한국의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국이라는 나라의 개괄부터 한국음악의 전반적 지식과 특징을 제시하였다. 이후 이를 독자들이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그는 한국음악의 특징을 비교적 잘 담고 있는 곡, 또는 그도 알고 있거나 당시 사람들이 많이 불렀던 곡들 중 유성기 음반과 선행 악보집을 토대로 17악곡을 선별하여 채보 및 분석하였다. 그는 한국이 기원전 고조선 건국 이래로 고유의 문화를 지니며, 음악철학에 있어서도 중국의 세계관과 달리 신학적인 관점을 취한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한국음악의 음 체계는 무반음 5음으로 구성되며, 한국음악의 연행자를 궁중악사, 관아 또는 민간음악가, 떠돌이 가수, 기생으로 구분하였고, 이들이 담당하는 음악은 각기 달랐다고 기술한다. 그는 한국악기의 연주방법에 관해서 본인의 전공인 바이올린과 유사한 해금과 반주 악기인 장구만을 소개하였는데, 이 중 장구의 맨손 연주법은 지금과는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인다. 정악은 높은 격조를 지닌 음악으로 감정을 절제하는 반면에 민속악은 경쾌하며 선율의 단락이 분명히 나누어진다는 그의 설명을 통해 그가 한국음악의 장르별 음악적 특징을 인지하고 있었음을 암시한다. 특히 계정식은 한국음악의 경우 같은 곡이라 하더라도 연주자에 따라 그 느낌이 달라진다고 덧붙였다. 『한국음악』에 수록된 17악곡은 궁중음악 2곡, 풍류음악 2곡, 민속악 13곡이다. 계정식은 민속악에 엿장수가 호객하는 소박한 거리 외침인 <밤엿(타령)> 또한 음악으로 간주하여 포함하였으며, 가슴을 파고드는 가사를 노래하는 20세기 초 새롭게 작곡된 창작곡 <부모은덕가>도 실었다. 17곡 중 출처가 불분명한 곡은 <밤엿(타령)>, <이팔청춘가>, <담바구야>, <대양가>, <부모은덕가> 총 다섯 곡이다. 연구자는 이상준의 악보집 및 안드레 에카르트(André Eckardt) 신부의 『Koreanische Musik』(1930) 등에 수록된 악보 등과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위 다섯 곡의 명확한 출처를 밝혔다. <만년장환지곡>을 통해서 계정식이 합주곡을 채보할 때, 해금 선율을 위주로 채보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해금과 피리 이중주의 <방아타령>과 <양산도>, <영변가>, <산염불가>의 음원은 현재 구할 수 없으나, 이 곡들 또한 선행연구 등을 바탕으로 그가 해금을 주선율로 채보한 곡이라 추정된다. 계정식은 17개 악곡 각각의 역사와 가사, 출현음, 선율, 리듬 등을 다루었으며, 아명과 성악곡의 가사까지도 독일어로 번역하여 악곡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셋째, 계정식의 『한국음악』의 한국음악학적 의의를 한국음악의 학술적 연구와 비교음악학 방법론의 적용, 한국음악의 악보화, 그리고 한국음악과 바이올린의 접목 네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한국음악의 학술적 연구에서는, 그의 논문은 단편적인 개론서와 악보집 등 종전의 저술과는 차원이 다른 진일보한 연구로서 17악곡의 한국음악을 오선악보로 소개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인이 서구에서 외국어로 편찬한 최초의 한국음악서이자, 기존 발굴된 연구보다 앞선 한국음악학계 학술적 연구물로, 한국음악을 주제로 한 한국음악학계 최초의 박사학위 논문임을 명시하였다. 비교음악학 방법론의 적용에서는, 독일과 스위스에서 유학하던 계정식은 당시 신생 음악학 분야인 비교음악학의 영향을 받아 『한국음악』을 집필하였으며, 이러한 비교음악학 방법론은 그가 한국음악을 서구인에게 소개하는데 가장 적합한 연구방법임을 서술하였다. 따라서 그는 한국음악에 비교음악학 방법론을 적용한 장본인으로, 한국을 다른 아시아권 나라들과 비교함으로써 한국이라는 나라의 독자성과 고유성을 부각하고, 서양음악 관점에서 한국음악을 분석하여 우리 음악 고유의 특징을 “즉흥성”이라고 정의하였다. 한국음악의 악보화에서는, 당시 유성기 음반에 취입된 한국음악을 오선악보로 채보하였던 계정식의 시도 자체는 높이 평가될 가치가 충분하다는 점을 조명하였다. 『한국음악』에 실린 오선악보로 기보된 17악곡의 한국음악은 20세기 전반 우리나라 음악을 간접적으로 알려주는 귀중한 연구자료이다. 계정식은 유성기 음반을 그의 논문의 원자료로 적극 활용하여 오선악보로의 채보와 분석을 통해 본격적인 한국음악학의 포문을 연 동시에 발달을 초래하였으며, 한국음악의 기록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한국음악과 바이올린의 접목은 바이올린을 전공하던 계정식이 서구인에게 친숙한 방식과 악기로 한국음악을 소개하고 연주하고자 하였음을 서술하였다. 그가 『한국음악』에 해금을 소개하고, 합주곡 중 해금이 편성된 곡들만을 취한 까닭은 해금과 유사한 바이올린에 접목하기 위해서이며, 두, 세 가지 선율을 제시한 <박연폭포>와 <양산도>는 이중주 또는 삼중주를 위한 곡으로 풀이된다. 그가 참고한 악보와는 다르게 논문에 기보한 부분은 계정식이 한국음악을 바이올린 음악으로 편곡하기 위하여 그만의 스타일을 더해 해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는 귀국 후, 논문에 수록한 <취태평지곡>과 <방아타령>을 바이올린 음악으로 편곡하여 직접 사람들에게 연주를 선보였다. 이를 통해 그의 『한국음악』에 실린 악보는 바이올린 연주를 위하여 해석된 것이며, 한국음악을 편곡하여 서양 악기로 연주한 것은 당시 국내뿐 아니라 서구권에서도 획기적인 것임을 밝혔다. 『한국음악』에 수록된 오선악보는 한국음악에 낯선 서양음악가들도 연주할 수 있도록 가교역할을 하였으며, 20세기 초 서구권에서 계정식이 한국음악을 바이올린에 접목한 시도는 현재까지 발굴된 자료 가운데 최초라 하겠다. 이상으로 계정식의 『한국음악』은 우리 한국음악학계에 있어서 한국음악의 학술적 연구와 비교음악학 방법론의 적용, 한국음악의 악보화와 한국음악의 바이올린 접목 등의 큰 의의를 지니며, 이후 한국음악학의 발달을 초래하였기에 음악학적으로 그 가치가 충분하다.

      • 도상학적 방법에 의한 한국 가무백희 연구

        조경자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35

        한국음악사에서 ‘가무백희’(歌舞百戱)의 전통은 고대 제천의식의 가무전통에서부터 시작하여 조선후기 전문 예인집단의 ‘가무백희’의 연행활동에 이르기까지 전 역사를 거쳐 민족의 음악예술성을 드러내는 예술분야로서 자리 매김 해왔다. 여기서 ‘가무백희’란 민요, 판소리를 비롯한 성악.기악음악과 덧뵈기를 비롯한 다양한 춤, 인형극, 재담 그리고 여러 가지 재주(솟대타기, 줄타기, 버나돌리기, 살판) 등의 다양한 연희 종목을 말한다. 역사적으로 ‘가무백희’의 전통은 문헌사료나 풍부한 도상자료를 통하여 신석기시대의 암각화의 예술인의 모습에서 비롯하여 고대 제천의식의 가무전통과 고려의 팔관회.연등회.나례와 같은 국중행사, 조선시대의 진연과 기로연과 같은 각종 궁중행사와 홍패고사, 친경제, 왕의 환궁행차 때, 외국사신을 위한 환영회 그리고 평양감사 환영회 등과 민간의 예인집단들의 연행장면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가무백희’의 전통은 민족의 음악예술성을 드러내는 고유한 민족음악 전통으로서 유구한 역사를 이어 오며, 음악 역사 연구의 대상으로 중요한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가치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부분적인 시기로 국한되거나 개별 종목 등에 대한 산발적 연구로 인하여 가무백희에 대한 종합적 고찰이 미흡하게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음악사에서 조선시대 예인집단에 의해 연행되어진 것으로 익히 알려진 ‘가무백희’에 대하여 도상자료의 고찰을 통해 가무백희에 대한 역사적 전통의 맥을 짚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용한 연구 방법으로는 도상자료의 고찰을 통한 ‘도상학적 방법론’을 주로하고 더불어 문헌사료의 내용분석을 통한 논증을 병행하였다. 도상학적 방법론에 있어서는 ‘도상해석학’을 기본으로 하여 음악학의 관점에서 분류.해석하는 역사음악학의 하나인 ‘음악도상 학’을 사용하였다. 여기서는 모방된 도상이나 상상의 세계를 그린 도상자료에 대한 ‘사료비판’에도 유의하였다. 연구 대상이 된 도상자료는 고대의 고분벽화와 조선시대의 감로탱.풍속화이다. 도상자료를 통한 가무백희의 고찰에 앞서, ‘가무백희에 관련된 용어’와 ‘외국 가무백희의 한국 전래 상황’ 그리고 한국에서 연행되어진 ‘가무백희의 종류와 형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가무백희의 연행집단이었던 ‘예인집단의 특징 및 종류’ 또한 살펴 가무백희에 대한 이해를 더하였다. 이를 토대로 가무백희와 관련된 도상자료의 구체적인 분석에서는 여러 가지 재주와 놀이에 대한 개별 종목들, 연주에 사용된 악기 그리고 각 예인집단들의 첫 등장 시기와 주된 활동시기, 그리고 주요 연행종목을 고찰을 하였다. 이 항목에서는 부분적이기는 하나 중국 도상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한국 가무백희와 중국 가무백희의 종목에 있어 관련성과 차이점을 확인해 보기도 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가무백희에 대한 통사적 접근은 고대부터 조선후기에 이르기까지 그 맥을 하나로 잇는 역사적 전통을 이루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조선 후기의 전문화.대중화로 세분화된 예인집단의 가무백희는 기층 민중들의 애환과 삶을 대변하였을 뿐만 아니라, 소외된 민중들의 삶에 예술적 풍부함을 가져오고, 기층민중의 음악문화를 전 사회적으로 대중화하는데 크게 기여하게 된다. 이 점은 한국음악사에서 비교적 가치평가가 절하되어 있던 예인집단을 비롯한 기층민중 음악문화집단의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재조명하게 한다. 이후 예인집단의 가무백희는 일제의 문화말살정책과 곡마단의 등장으로 쇠퇴의 길을 걷게 되며 현재는 탈춤을 비롯한 들놀음과 남사당패 보존회 등의 몇몇 형태만으로 겨우 유지.보존되고 있다. 이러한 예인 집단의 현재적 잔존 형태로는 그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역설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따라서 근대 기층민중의 민족음악예술을 고찰하는데 있어 한국 가무백희 연구는 주요한 보고(寶庫)적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한국 가무백희 연구의 필요성과 도상학적 방법의 유용성 이 다시 한번 강조 된다. ‘도상학적 방법에 의한 한국 가무백희의 연구’는 조선시대 예인집단의 연희 종목으로 익히 알려져 온 가무백희의 전통이 고대의 시점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통사적 고찰을 가능하게 하였고, 이로 인해 창조적 예술성과 생명력을 견지해온 기층 민중예술의 음악사적 가치를 재평가할 수 있었다. 다양한 가무백희를 통해 표출되어진 예인집단의 예술성은 기층 민중들의 예술적 미감에 자극을 주었을 것이고, 기층 민중문화의 대중화는 전 민족의 음악심성 획득에 막대한 영향을 행사하였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한 민속학과 미술사학 등의 타 분야에 산재해 있는 자료들을 정리&#8729;분류하여 가무백희에 대한 도상자료를 목록화한 것은 이후 수정과 보완이 필요하기는 하나 동일 분야의 연구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기존의 이론적 학설을 검토하는데도 여러 가지 유용하리라 여겨진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음악 도상학적 방법의 시도는 ‘음악도상학’이 하나의 학문분야로서 유용성과 가치를 더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 중국 양금과 비교를 통한 한국 양금의발전방향 연구 : 연주 기법을 중심으로

        원우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19

        There are two theories regarding how Yang Qin was introduced into Korea. Some beleive that is was brought into Korea from China in early18th century during the Chosun Dynasty and some say that it came from the Southern regions, today’s Philippines, 70 years eariler than it entered China. After it was brought into Korea, Yang Qin has been used in arrangements from late 18the century. When the 20th century opened up an era of creative music, Yang Qin started to be used in orchestral music and went through improvements in style and acoustics. Yang Qin is now expanding in expression with improved musical functionality.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t performance styles between the Chinese Yang Qin and Korean Yang Qin, and analyzes performing techniques of modernized Yang Qin. This study also offers suggestions for future improvements for the instrument to contribute to performing styles of the music for Yang Qin. As the Chinese Yang Qin, the Korean Yang Qin needs to evolve into an instrument capable of expressing the sentiments of the time. There also need to be more diverse original music composed for this instrument. For example, it is important to experiment with diverse arrangements such as solos, duets, or orchestra, etc. By outlining the new performing styles in China’s modernized Yang Qin, this study will help the Korean performers and composers to better understand the modernized Yang Qin’s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gain new insights on ways to modernize the Korean Yang Qin as well. It is important that they try diverse performing styles for the instrument. First, this study will briefly introduce Yang Qin’s history and instrument types around the world. Second, this study will examine the traditional Chinese Yang Qin schools and the introduction of this instrument into Korea. Third, this study will analyze the performing techniques of the Chinese Yang Qin and Korean Yang Qin in each of the different genres. Nowadays, with the advent of diverse creative music and the public demand for more diverse original music, classical instruments are being modernized, styles and chords are becoming more diverse, the range is expanding and more advanced techniques are being introduced. With improvements made to the Chinese Yang Qin’s creative music techniques as reference, the Korean Yang Qin can also be modernized. Also, this study will provide an interpretation of new techniques for future performers and contribute to their understanding of new styles for the modernized Chinese Yang Qin. 양금은 18세기에 조선조에 중국을 거쳐 유입되었다는 학설과 남방 즉 오늘 날의 필리핀 지역을 통하여 중국보다는 70여 년 전에 한국에 왔다. 한국에 유입된 후 양금은 18세기 말부터 편성에 사용되어왔다. 20세기에 창작음악 시대를 맞아 관현악곡에 양금이 사용되면서 연주기법과 음향적 개량 등에 변화가 이루어지고 새로운 기능성으로 표현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양금과 한국 개량양금에서 나타나는 연주기법 살펴보고, 개량 양금연주기법에 대해 연구해 봄으로써, 앞으로 작곡될 양금곡의 기법 발전에 기여하여 양금 연주의 발전적 방향을 분석하였다. 한국의 양금악기도 중국의 양금과 같이 시대가 요구하는 정사를 표현 할 수 있는 악기로 개량되어야 함은 물론 다양한 창작곡이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테면 양금 음악을 위한 독주곡, 중주곡, 관현악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시도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중국 개량 양금의 나타난 새로운 연주기법 개략적으로 살펴보는 것은 연주자와 작곡가들이 개량 양금의 구조적 특징을 이해하고 한국적 양금의 개량 가능성에 대해여 새로운 인식을 필요하다고 보고, 다양한 연주기법 걸쳐 시도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첫 째, 세계양금의 역사와 종류 정리 하고, 둘 째, 중국 전통양금의 유파 &#65378;流派&#65379;과 한국 양금의 유입 알아보고, 셋 쩨, 중국 양금과 한국 양금의 연주기법을 분석하여 사용된 기법을 살펴보다. 요즘 에는 창작곡에 있어서 악기의 개량기법이 다양화, 화성화, 넓은 음역을과 화려기법은 표현하는 다양한 악곡에 길들여진 대중들의 요구에 부합하다. 앞으로 중국 양금의 창작곡에서의 연주 기법 발전에 기여하여 한국개량양금의 발전적 방향을 모색하고, 또한 나중에 본 논문이 연주할 연주자들에게도 연주기법에 대한 해석과 중국 양금 개량 후에 나타난 새로운 기법 이해가 연주활동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바랍니다.

      • 예술경영학과의 교육과정 비교연구 : 한국과 영국·미국대학을 중심으로

        신은경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19

        The history of the art management is not that long. The art management that is supposed to be newly- born and fused study has only 50 years of global history. The improvement of private life standard begun from capitalism increased the role of cultural art and locally, nationally, internationally and world-widely, the social and economic profits from such an enlarged cultural art field may give birth to the concept of art management and paradigm. Because art management, compared with the other studies, owns comparatively short history, we can say it seems nascent research on the incalculable spectrum. Moreover, after the introduction into Korea, it has not passed over 30 years. Nevertheless, What is the reason that the various kinds of art organizations emerged rapidly and swiftly without special grounds? The question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thesis. The most important role is to try to aim at causing consumers to meet most effectively with artists and artistic works. Likewise, art organizers mediate cultural contact between consumers and artists, between local community and nation. Meanwhile, since 1960 as Art management became a faculty, after having introduced administration into art area, centering on the advanced countries. Since art management clothed with academic colours was introduced into the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About 30 universities activated and utilized the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courses. I will try to research into the items as follows; Sorts of the preparation for the educational courses and the actual offering to the students in each university, so called, the living academy of instruction. The contents of the detailed curriculums. The difference between curriculums of foreign universities and those of Korean universities. The efficacy and value of that faculty. The careful probe into positive orientation for education after capturing on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Korean univers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each course. This thesis will put especial emphasis on history and curriculum of art management within Korean universities, the comparison of art management of Korean universities with that of universities in the U.S.A and U.K and the curriculum in art management of the famous foreign universities, in particular, stressing on the internship as the sharp difference both in the past and presence. With this, in prologue, I will try, in conclusion,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rt management and the future orientation of it. 자본주의에서 시작된 개인적 삶의 질 향상이 사회에서의 문화·예술의 역할을 증대시키고, 이처럼 확대된 문화의 영역은 지역적, 국가적, 세계적, 사회적, 경제적 이익을 창출함에 예술경영의 개념과 패러다임을 양산했다. 예술경영학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예술과 경영이 합해진 세계적인 신생 융합 학문으로 여겨지는 예술경영학은 그 역사가 50년이 채 되지 않는다. 1960년대 이후 선진 국가들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이 탄생했고, 한국 대학에 도입된 지는 20여년 정도로 현재 학사·석사 과정으로 약 30개의 대학교에 설치 운영되고 있다. 이처럼 예술경영이 단 기간에 우후죽순으로 생겨난 이유가 무엇일까. 이 논문에서 비중있게 다뤄질 부분은 한국의 대학 내 예술경영학의 역사와 교육과정이며 그를 통해 결론에서 도출 할 것은 한국 예술경영학의 특징과 앞으로의 방향성 제시이다. 예술경영학이 우리나라 대학교 안에 예술경영이란 이름으로 석사과정에 공식적으로 생겨나기 시작한 때는 1990년대 후반으로 2000년대 초에 가장 많이 형성되었으며 지금까지도 매년 꾸준히 생겨나고 있다. 융합학문이라는 특징으로 다양한 장르의 단과대학 안에 편재되어 있으며 가장 많은 비율의 단과대는 28개 대학 중 11개인 문화예술대학(주로 석사과정), 8개의 예술대학(주로 학사과정)이다. 학사는 예술전공 위주의 교과편색을 드러냈으며, 석사에서는 학과 간 연계과정 대학을 따로 운영됨으로 각 학과간의 상호연계성을 강화한 다양한 분야의 예술경영 수업이 진행되었다. 이처럼 학교 간 일반 교과 항목의 차이는 크게 없으나, 학과별 장르의 특성이 존재했다. 장르의 구분을 통해 예술경영의 영역을 분명히 알 수 있게 했는데 그 내용인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미국의 예술행정교육자협회(Association of Arts Administration Educators: 이하 AAAE)의 대학원 표준 커리큘럼을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비교국은 예술경영선진국이자 출발지인 미국과 영국이다. 영국, 미국의 대학과의 비교에서 가장 큰 차이점은 인턴쉽이다. 대부분의 대학 필수 항목으로 사회 기업과 연계하여 운영실무와 현장경험을 쌓을 수 있게 구체적 내용과 기간이 명시되어 있었다. 그에 비해 우리나라의 인텁쉽 교과과정은 28개 학교 중 9개에 불과했으며, 규격화 되어있지 않고 뚜렷한 방법도 제시하고 있지 않음으로 보아 과목제도 도입은 이루어졌으나 아직 정착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대학은 인턴쉽의 체계를 재정비하고, 국가·산업관 연계 강화로 학부와 실무와의 연계성의 해결점을 찾아야 한다. 결론적으로 새로운 융합학문 형태인 예술경영학의 근본 목적은 양질의 컨텐츠 연구와 현장에서 필요한 예술경영인력을 충족시키는 것이다. 그를 위해서는 첫째, 전문적인 예술경영을 위한 인재를 양성해내기 위한 핵심 활동 중 하나로 대학의 전공 설치와 연구를 꾸준히 확대해 나가야한다. 둘째, 학문적인 예술경영의 형태인 ‘문화콘텐츠’가 양질의 컨텐츠 연구를 이룸과 동시에 산업적인 소득 창출의 예술경영이 합일점을 이루는 통합 교과과정이 필요하다. 셋째, 효과적·생산적 경영을 위한 정책·학술 연구가 각 학교와 기관에 활발하게 이루어져야한다. 넷째, 문화체육관광부나 산하 공공기관에서 지원하는 문화예술 기획경영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들을 학교 내에서 강화하며 그것을 체화하기 위해 국내 예술현장에서 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실무역량을 배양하는 인턴쉽이 필요하다.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해 예술경영을 크게 세 단계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문화컨텐츠라는 ‘예술경영 재료’로써의 준비, 두 번째는 순수예술과 대중예술의 직접적 ‘실행 단계의 예술경영’과, 세 번째는 예술경영행정이란 ‘제도의 정립’이다. 위의 내용처럼 대학 내에서 이 세 단계(예술의 재료, 경영, 제도)에 합당한 학과의 적절한 증설이 필요하며 재료와 경영의 소득창출을 위한 교과목의 다양화와 학과간, 대학간, 기관 간 학술간의 연계가 중요하며, 정부의 예술 기관을 연계하여 인턴쉽을 강화하는 교과목 프로그램 강화 운영의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라 볼 수 있다.

      • 북(鼓)의 전래와 한국적 전개에 관한 연구 : 문헌자료와 개량 모듬북을 중심으로

        성지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논문은 북(鼓)의 전래와 한국적 전개에 관한 연구이다. 북은 대부분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어 한국에서 전승되거나 개량되어 한국적 전개과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북의 전래와 한국적 전개에 대하여 문헌과 도상자료, 그리고 현재 전승되고 있는 북을 중심으로 그 역사와 실체를 두 장르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그 첫 번째는 문헌과 도상학 자료에 나타난 북의 전래와 한국적 전개에 대한 내용이다. 중국측의 문헌기록과 한국측의 문헌기록과 도상자료를 살펴, 그들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해 살폈다. 중국측의 문헌자료로는 『여씨춘추』와 진양의 『악서』(樂書)에 나타난 고(鼓)의 종류를 알아보았다. 다음으로는 한국측의 문헌기록과 도상자료에 나타난 고(鼓)에 대해 살폈다. 한국측의 고에 대한 문헌자료는 불전과 『악학궤범』, 그리고 그 외의 문헌자료를 대상으로 하였고, 감은사 사리기 등의 도상학적 자료에 나타난 고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고(鼓)가 한국에 수용되어 이름과 모양이 그대로 전승되고 있는 종류와, 이름은 같지만 한국적으로 개량되어 사용되고 있는 고, 그리고, 중국측의 자료에는 그 이름이 보이지 않지만, 한국측의 자료에 보이는 18종의 고가 존재함을 살필 수 있었다. 즉,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고가 한국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에 대해 살폈다. 두 번째는 현재의 개량북에 대해 살폈다. 근대이후 서양음악이 전래되고 우위를 점하고 있는 현실에서 국악은 새로운 대응이 필요했다. 특히 국악관현악단의 출현으로 기존의 전통악기 개량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타악기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북의 개량작업은 여러 부분에서 다양하게 시도되었는데, 본고에서는 크게 모듬북과 조율북으로 나누어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살폈다. 그 사례로 살핀 최초의 개량북은 1960년대 초반 국악에술학교 국악관현악단에서 사용한 모듬북이었다. 이 모듬북은 지영희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다섯 개의 북을 모아서 연주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1987년 중앙국악관현악단 타악 연주자인 김규형에 의해 만들어진 모듬북과 정동극장의 모듬북, 사물 모듬북, 정동극장 모듬북, 「도깨비스톰」에서 사용하고 있는 개량된 모듬북과 항아리 모듬북, 항아리북, 「야단법석」에서 사용하고 있는 모듬북이고, 조율북으로는 박범훈에 의해 수입된 중국 조율북과 국립국악관현악단의 청룡조율북, 그리고 영동난계국악단의 조율북이 있다. 이 개량북들은 대부분 음량의 확대를 위한 필요성에 의해 개량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연주법의 부재, 그리고 전통적인 맛을 내지 못하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고(鼓)가 중국에서 전래되어 한국에서 그대로, 혹은 개량되어, 또는 새롭게 만들어지는 한국적 전개과정을 가지면서도 전통음악과 그 맥을 같이 할 수 있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재 진행중인 국악기의 개량작업, 특히 모듬북과 조율북을 중심으로 펼쳐지고 있는 개량작업에서 이러한 부분이 간과되어서는 안될 것이며, 이후에 전통을 계승하면서 새로운 음악적 조류에 부응할 수 있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러한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바란다.

      • 일본 본토에서 유행한 일제강점기 한국음악 연구 : SP음반의 악곡을 중심으로

        김문성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19

        Korean music has been popular in the Japanese mainland since the early 1930s, and in the early days. In its early stages, Korean folk songs such as Arirang, Doraji, and Odongnamu, Shinminyo, or Changga like Bangnangga were popular. Since then, a variety of music has been created by Japanese singers and bands as well as Korean singers, and the trend lasted for a long time. At that time, Korean singers like Kim, Young-gil, Lee, Kyu-nam, Na, Seon-gyo and Lee, Nan-young who worked in the mainland of Japan recorded more than 300 kinds of music, of whom Kim Young-gil was most active with more than 150 songs. In addition, Japanese singers remade many Korean popular songs, with 50 songs in the series of Korean folksong, Arirang, 5 songs in the series of Bangrangga, 3 songs in the series of folk song Doraji, and 2 songs in the series of Shinminyo, Odongnamu. As a Japanese lyricist, Saeki Takao wrote the largest number by writing 25 lyrics for Korean singers, followed by Saijo Yaso with 19 lyrics. In composition and arrangement, Sato Ojosuke wrote the largest number with 45 songs. And as a Korean composer, Jeon, Soo-rin composed 6 songs. Arirang, the most widely popular song in Japan, It was first introduced by Kobayashi Chiyoko on Victor Records in 1931. In the early days, Arirangs with Korean melody 'Sol-La-Do-Re-Mi' were mainly composed, but after that Arirangs with Japanese scale 'Mi-Fa-La-Ti-Do' were created a lot. There were many creative Arirang songs, not related to Arirang melody, including Arirang Manchuria based on Japan's Hwangeumhwa policy. Also most of the Korean singers were mobilized to record military songs praising Japanese wartime system. Thus, we can think the political situ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at that time also encouraged the revitalization of Korean music in mainland Japan. 일본 본토에서는 1930년대 초부터 한국 음악이 상당히 유행하는데 초기에는「아리랑」, 「도라지」, 오동나무」같은 우리 민요나 신민요 혹은「방랑가」같은 창가가 유행하였으며, 이후 한국 출신 가수 뿐 만 아니라 일본 가수 및 악단에 의해서 다양한 음악이 만들어지며 오랜 기간에 걸쳐 유행이 지속되었다. 당시 일본 본토에서 활동한 한국 출신 가수들은 300여 종이 넘는 음반을 취입했다. 이 가운데 김영길이 150여 곡 이상으로 가장 많은 활동을 했으며, 강영철, 이규남, 나선교, 이난영 등도 활동했다. 또한 일본인 가수들은 한국의 유행곡들을 상당수 리메이크 했는데, 우리 민요인 「아리랑」 계열이 50여곡으로 가장 많으며, 창가인 「방랑가」 계열 5곡, 민요인 「도라지」 계열 3곡, 신민요인 「오동나무」 계열이 2곡 순이었다. 일본인 작사가로는 사에키타카오가 한국가수들의 노래중 25곡을 작사해 가장 많은 곡을 작사했으며, 사이조야소가 19곡가 뒤를 이었다. 작·편곡에서는 사토오죠스케가 45곡으로 가장 많았으며, 한국인 작곡가로 전수린이 6곡을 작곡하였다. 일본에서 가장 널리 소비된 유행곡 아리랑은 1931년 빅타 레코드에서 고바야시치요코에 의해 처음 선보였는데, 초기에는 ‘솔-라-도-레-미’ 한국적 선율을 가진 「아리랑」이 많았으나, 이후 ‘미-파-라-시-도’의 일본 음계를 가진 「아리랑」이 많이 창작되었다. 또한 아리랑 선율과 무관한 아리랑 창작곡이 많아졌는데, 「아리랑만주」 등 일본의 황음화(皇音化) 정책에 기반한 경우도 있었으며, 한국 출신 가수 대부분이 전시체제를 찬양하는 군국가요 녹음에 동원되었다는 점에서 일본 본토에서의 한국음악 활성화 이면에 일제의 정치적 상황도 개입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 교회의 다양한 음악수용에 관한 고찰 : 한국 교회음악의 분류를 중심으로

        윤나리 부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19

        Christian Music is a big part of Korean popular music growth. Moreover, with the advent of CCM(Contemporary Christian Music) in church, christian music and popular music have much in common, not a separate one. Before 1892, when the unique Korean christian music was produced, chan mi gae was used which made of American hymns. The compilation standard was different at the moment until 『 Unites Hymns』in 1983 and 『21C New Hymns』in 2006 had been made. But they insist that they have to compile Hymns should include musical feature of Korea. The 『21C New Hymns』compiled in 2006 has 128 pieces composed by Koreans of all 625 pieces, which means that they have continuously tried for Christian music to be naturalized. Moreover, the various music genre have been used such as Pop, Rock, Black Gospel, with the advent of the concept CCM. Recently, Musics featuring Korean and considering popularity started to appear by Nam Gung Ryun, Shin Nal Sae, Ko Joo Hee, Mum Chae Suk, etc. I think that Korean Music that matches our emotion will lead the CCM in the future. The musical terms used so far have been variously used in Gospel Song, Gospel hymns, Hymns, CCM. However those terms were being used without rules and unity, so I arranged various musical concepts and classified the Korean christian music. First classification is【Hymns】,【Gospel Song】of the Korean Christian Music as an object of music, for example,【Hymns】's object is God and 【Gospel Song】's object is the human. I classified the music according to the time. Because the music has been reflected by the times, so second classification is done by time. 【Hymns】is divided into 'Traditional Hymns' and 'Modern Hymns'. 'Traditional Hymns' is the music which has the same form of 『Hymns』made by the Councils of Korean Hymns. The music introduced after 1963 when the Gospel Song appeared can be referred to Modern Hymns. 【Gospel Song】is divided into 'Traditional Gospel' and 'Modern Gospel'. Its standard is Choi Duck shin's Album <The Name> in 1985 and before the album is called 'Traditional Gospel' and after that 'Modern Gospel'. 'CCM' can be classified as 'Modern Gospel' section, and it can be classified to 'Modern Hymns', particularly when the object of 'CCM''s text is God.

      • 한국 5음 음계 시창 교재 연구 : 코다이적 접근법을 중심으로

        조홍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한국음악 5음 음계의 시창을 위해 교재론적·음악어법적으로 접근하여 사료를 비교·분석·적용하는 방법으로 연구한 결과이다. 이를 위해서 국내에 출판된 시창 교재를 분석하여 음악적 재료들이 어떻게 교재로 녹아들어 갔는가를 찾아보고, 아울러 국내 시창 교재를 분석하여 한국 음악의 가장 중심재료인 5음 음계가 시창의 핵심이 되는 이치를 살펴 본 후, 헝가리의 Zolta'n Koda'ly가 만든 5음 음계 시창교재를 분석하여 헝가리 민속음악에 나타난 5음 음계의 음악적 모국어 역할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국 음악을 위한 5음 음계 시창 교재로 적용·도출 되는 것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의 첫 번째 작업은 시창의 본질적 개념과 방법들을 규명하여 음악기초문법이 전공생들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에게 필요한 타당성을 찾아보았다. 음악도 글과 마찬가지로 읽고 쓰고 이해할 수 있어야만 상호소통이 가능해지고, 음악가들이 음맹을 벗어나야만 수준 높은 음악 문화 체계가 만들어질 수 있다. 그동안 구전심수로 내려온 한국음악이 튼튼한 음악어법을 잘 갖춘 교육체계를 가지기 위해서는 기초음악 훈련을 위한 교재의 연구가 절실하기 때문에 한국 음악적 모국어인 5음 음계 구조의 음계, 선법, 토리 등의 기준을 살펴보고 시창 적용 가능성을 찾았다. 두 번째는 국내에 나와 있는 기존의 시창 교재들을 분석하여 이를 통해 문제점을 찾아내고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100편 가까이 시창 교재가 발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통 음악이 제재곡으로 소개되기는 커녕 5음 음계나 리듬들이 소재로 다루어지지 않았고 5음 음계보다 적은 2-3음계로부터 시작하여 단계적으로 가르치는 방법들도 사용되지 않았다. 특히 국내에 5음 음계 시창 교재가 현재 단 1권 밖에 없는 상황에서 한국음악의 특징인 5음 음계의 적용을 통해서 시창의 길잡이가 될 수 있는 교재 개발을 이끌어 내려고 하였다. 그 다음에는 Zolt'an Koda'ly가 헝가리 민요를 바탕으로 하여 모든 사람이 음악을 읽고 쓰고 이해하는 것을 위해 만든 헝가리 민요 5음 음계 시창 교재 중에서 가장 기초적인 두 권을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우리나라 민요·전래동요를 이용한 5음 음계 시창 교재를 도출하기 위해 시창 교육 방법 중 어떤 것에 적용하였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 음악을 위한 5음 음계 시창 교재로 적용하기 위해 5음 음계 시창 교재의 나아갈 길을 제언하였다. 그리하여 누구나 가지고 있는 도구인 사람의 목소리를 통해 시창을 배우고 귀를 통해 이루어지는 음악 기초 훈련인 Solfege를 지도하기 위해서는 한국음악의 음악적 모국어를 가지고 시작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is the result of research which compared, analyzed and applied the materials of pentatonic of Korean Music to approach the sight-singing in the aspects of ‘theory of teaching material’ and ‘musical grammar’. In order to accomplish the task, the author analyzed the domestic teaching materials and found how the musical materials merged into teaching materials; furthermore, he found the principle of how the pentatonic served as the core in reading musical notes. Also, the author analyzed the pentatonic instructions made by Zolta'n Koda'ly and defined the role of the pentatonic in Hungarian Folk Songs as the musical mother tongue. The author then studied how to app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making teaching materials about pentatonic of Korean Music. The first work done in this essay was making a close examination into the essential concept and methods of reading musical notes. Thus I explained that basic music knowledge is necessary not only for music majors but for everyone. In the case of music, reading, writing, and understanding are necessary in order to communicate, just like any other language. Musicians should escape musical-illiteracy to raise the standard of the musical culture and form a firm system within the culture. Korean music was handed down orally - and this is the reason why researches on teaching materials in Korea are desperate than ever. Knowing the importance of such researches, the author foun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standards of scale, mode, and character of the pentatonic of Korean Music to the researches. Secondly, I analyzed the teaching materials for sight-singsing in Korea. He also found the problems and groped for solutions. More than 100 teaching materials have been published in Korea, but Korean Music weren’t even introduced in most books. Furthermore, the pentatonic of Korean Music - including scale and rhythm - was not weighed as it should have been. The teaching method of starting from scales lower than the pentatonic scale and increasing by degrees was not used, too. The truth is that there is only one teaching material about the pentatonic of Korean Music, and yet the author still strives to apply the pentatonic scale, which is the core of the Korean Music, and lead the research we need the most at this very moment. Then, I analyzed the teaching materials written by Zolta'n Koda'ly. The author, based on Hungarian Folk Songs, analyzed the two most basic teaching materials which were written for the purpose of helping everybody to read, write and understand music. And from this analyze, I draw an inference for the arrangement of sight-singing material based on pentatonic music and the utility for which goal of music. Lastly, the author concluded the essay by illustrating the way we should go in order to apply the research results to improve Korean pentatonic teaching materials. Then everyone would be able to learn how to read musical notes by using their voices - the most easily acquired instrument. The author deduced that in order to direct Solfege - the basic music discipline conducted with voice and hearing -Korean musical mother tongue is indispensible.

      • 중국竹笛과 한국대금 비교 연구 : 역사, 형태, 연주방식과 미학전통을 중심으로

        유염민 부산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87

        이 글은 중국의 죽적(竹笛)과 한국의 대금(大笒)을 비교하여, 각각의 역사에서 두 악 기가 가지고 있는 미학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두 악기의 현대적 발전을 위한 방향을 찾아보고자 한다. 먼저, 전통은 역사적 과정을 의미한다. 민족 악기의 미학 전통은 해당 악기의 역사적 실천 과정을 통해 알 수 있다. 이 과정을 탐구해야만 소위 말하는 악기의 ‘현대성(现代 性)’을 얻을 수 있고, 악기에 대한 현실적 판단이 현대적 가치론적 입장을 가질 수 있 다. 민족 악기의 중요한 부분인 중국 죽적과 한국 대금은 오늘날 우리 사회의 다문화 발전에 점점 무력감을 느끼고 있다. 근본적인 이유는 장기적인 서구 문화의 영향으로 전통 음악 문화의 뿌리에서 점점 더 멀어지고 문화적 의미와 미학이 무엇인지 잊어버 리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죽적과 대금의 미학 전통에 대한 연 구 성과가 축적되어야 할 테지만, 음악 미학을 연구한 많은 논문 중에서 죽적과 대금 의 미학 전통을 다룬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살아있는 죽적과 대금을 음 악 미학의 시야에 통합하고 실제 발전에서 직면하는 ‘전통 및 현대’의 어려움을 해결하 는 그들만의 미학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전통 음악 미학의 시급한 과제이다. 이에 이 글은 중국 죽적과 한국의 대금의 역사, 형태, 연주 방법, 발전 과정에서 형 성된 미의식, 미의 범주 등에 대해 탐구했다. 본문 제Ⅱ장에서는 두 악기의 역사적 발 전 과정을, 제Ⅲ장에서는 형태와 연주 방법을 살펴보았다. 제Ⅳ장에서는 죽적과 대금 의 미학 전통을 비교하였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두 악기 각각에 속하는 미학 체 계를 구축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죽적과 대금은 미학 전통 형성 과정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고 양자 각각의 미 학적 전통을 구성하였다. 중국 죽적 연주 기법의 미학 체계는 죽적 연주 기법에 적용 되는 ‘정리(情理)’ 내포, ‘언의(言意)’ 내포, ‘형신(形神)’ 내포이다. 한국 대금의 악식 미 학 체계 구조는 대금 악식에 적용되는 ‘정리(情理)’ 내포, ‘화(和)’ 내포, ‘법도(法度)와 자연(自然)’ 내포다. 필자는 오늘날 죽적과 대금의 발전에 대해 우리가 아는 것이 매우 적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그러므로 전통 음악의 미학적 관점에서 그 나름의 미학 체계를 그려내고 구축하여 전통과의 ‘혈연’ 관계를 되찾는 것이, 이른바 ‘현대성’의 문제에 대한 무지한 논의보다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에 이 연주가 죽적과 대금의 현대적 발전에 참 고가 되기를 바란다.

      • 20세기 전반기의 민속악계 형성에 관한 음악사회사적 연구

        권도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8687

        한국음악사에서 근대적 변화가 급격하게 진행된 시기는 20세기 초이며 오늘날의 한국음악의 기본틀은 대부분 이 시기에 마련된 것이다. 20세기 초에 형성된 음악계의 구도는 19세기 음악계의 몰락과 근대적 음악활동 및 유통의 발달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전통음악계가 근대적 변동과 무관하지 않았음을 민속악계의 형성과정을 통해 밝혀보았다. 20세기 초 음악사회의 근대적 성격을 서술하기 위해 악곡보다는 음악사회의 변동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음악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가지 요소들 가운데 근대적 변화를 뚜렷이 나타낼 수 있는 요소들은 음악가, 음악집단, 음악유통 방식 등이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이상의 음악사회적 조건들을 중심으로 20세기 첫 40여년간의 서울 음악계에 한정하여 한국근대음악사의 변동을 살펴보았다. 제1장에서는 19세기 민간음악계의 구도를 음악가와 음악수용 상황을 통해 살펴보았다. 19세기에는 여러 계층의 사람들이 다양한 음악을 향수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음악가의 레퍼토리 분배나 향수자의 음악수용 방식 등 에서 차별이 있었다. 이것은 신분제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봉건적 질서가 유지되었던 점에서 19세기 음악사회가 20세기와 그 근본적 궤를 달리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19세기의 민간음악계가 붕괴되면서 새로운 음악계가 성립되는 과정을 서술하였다. 비록 20세기에 연주된 레퍼토리는 19세기에 만들어졌던 것이 대부분이지만, 이를 담당했던 19세기 음악집단은 해체되었거나 성격을 달리하게 되었고, 한편으로 새로운 음악집단이 조직되었다. 20세기에는 모든 음악가들이 평등하게 경쟁에 참여하였기 때문에, 음악가들의 활동상은 신분보다는 음악계의 경쟁상황이나 음악가의 출신 지역에 따라 달라졌다. 그리고 20세기에 발달한 극장과 음반은 음악에 대한 사회적 수요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기여했고, 음악가와 레퍼토리가의 분배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으며, 특정 계층의 향수자가 특정 음악을 독점하는 것으로부터 벗어나 모든 사람들이 같은 음악을 공유할 수 있게 하였다. 특히 다수의 도시민들이 동질적인 성격의 음악을 향수할 수 있었다. 이상의 20세기 음악사회의 특징들은 한국음악사회가 완전히 근대적 사회로 전환된 것을 의미한다. 20세기 벽두부터 서울에 근대적 음악계가 발달하면서, 전국의 음악가와 각 지역의 레퍼토리가 집중하였다. 서울의 음악계는 서울 출신 음악가나 서울에서 만들어졌던 레퍼토리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지방 출신 음악가와 지방 음악을 수용할 수 있을 만큼 확장되었다. 따라서 서울의 음악계는 지역음악계가 아닌 전국의 음악을 포괄할 수 있는 중앙무대로 기능하였다. 각 지방 음악을 골고루 수용하고 있었던 점은 민속악계의 형성에 결정적인 기반이 되었다. 제3장에서는 서울 음악계의 지속적인 확장과 이에 따른 전통음악계의 변동을 설명하고 있다. 1930년대를 전후하여 문화산업의 하나로 대중음악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음악계의 중심에 자리잡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음악계는 더욱 팽창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과거 음악계의 전부분을 차지하던 전통음악은 영향력 있는 음악계의 하위부분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다만 민속악계에서는 대중음악의 양적 성장에 대응할만한 새로운 레퍼토리를 다량 생산하여 양적, 외적 팽창을 꾀하기보다는 세부적인 변화를 통해 그 활로를 모색하였다. 민속악계의 구체적 변화는 1930년대 전후에 음악가와 음악집단의 변모를 통해 실현되었다. 20세기초반부터 활동했던 음악가들은 30년대에 들어 대거 세대교체되었고, 음악전문집단 또한 다수 결성 또는 해체되는 과정을 통하여 음악지도가 새롭게 드러나게 되었다. 여러 음악전문집단가운데 성공적으로 운영된 집단으로 1930년대 초반에 만들어진 조선성악연구회와 가무연구회가 중심이 되었다. 1930년대 이전에 만들어진 집단 가운데에서는 기생조합만이 그 기능과 성격을 유지해 왔을 뿐이다. 1930년대 이후부터는 이 세 집단을 중심으로 민속악계가 일종의 제도권을 형성함에 따라, 이에 포함되지 않은 음악가 및 집단들은 점차 도태되기 시작하였고, 이들의 음악 역시 오늘날 이른바 민속악의 경계로부터 점차 멀어가 갔다. 민속악계가 이와 같이 제도권을 중심으로 운영된 점은 현재 민속악계 구도의 형성에 밀접하게 영향을 미쳤다. 1930년대 이후의 민속악계의 변화는 20세기 초에 산발적으로 확대되었던 음악적 역량이 축소화·체계화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현행 민속악의 세부구도인 남도음악과 경·서도 음악이라는 양분구도가 제도적으로 확립되었다. 따라서 현행과 같은 민속악계의 구도가 확립되기 시작한 것은 음악계의 양분구도가 음악집단으로 반영되는 1930년대였다. 민속악계는 19세기 음악계의 붕괴와 음악가와 유통에서의 근대적 변화를 토대로 형성되었다. 한국음악사에서 민속악이라는 개념과 그것의 담당층, 향유층, 그리고 음악유통방식이 마련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벽두부터이며, 그것이 현행의 제도로서 확립된 것은 1930년대 전후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민속악계의 형성이 20세기에 이루어진 일이었으므로, 민속악의 개념 역시 단순히 음악 분류의 개념으로만 보는 시각은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음악사의 지속과 변동의 한 축으로 자리잡고 있는 민속악은 민속악계라는 음악집단의 형성을 바탕으로 그 역사성과 사회성을 고려하여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민속악계는 한국음악사의 근대적 변화과정 속에 형성된 필연적 산물로서, 그 형성과 구도는 근대적인 사회에 적합한 음악체계로의 전환이라 평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민속악계 형성의 역사적 의미를 재고한다면, 서양음악에서 규정짓는 민속악의 개념과 정악과 민속악의 이분법적 도식에서 낳고 있는 민속악에 대한 오해도 풀릴 뿐 아니라 한국근대음악사를 서양식 음악의 발전사로만 보는 편향된 시각 또한 교정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근대사 회로의 진입에서 비롯된 민속악계의 형성을 통하여 양악은 근대적이고 전통음악은 전근대적이라는 암묵적인 도식 역시 사라질 수 있을 것이다. The current musical world was established in modern era. In Korean music history, it is the early 20th century that the modernization progressed. This thesis aims at clarifying the modernization process in traditional music world through the formation of folk music circle in that period. This thesis deals with the first forty years of the twentieth century, which has been generally ignored in the research of modern Korean music history. During the early twentieth century, even though the traditional music repertories were kept unchanged, the activities of other musicians, the music circulation system, and the system of the folk music circle varied. The changes were most prominent during the first forty years, and after that period the current form of folk music circles was established. Thus, it could be said that research of the first forty years of the twentieth century is related with the study of the modern Korean music history. In particular, since the changes mainly occurred in the folk music part, this thesis aims at investigating the formation of the folk music circl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is thesis explains the changes in the music circle of Seoul, which accepted much of the changes during the early twentieth century. Chapter one deals with the musical system of the nineteenth century, and chapter two describes the fall of the musical system of the nineteenth century and the formational process of th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urrent folk music circle. In the third chapter, the formational process of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folk music circle is investigated. Although most of the musical pieces of the nineteenth century were also performed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music groups of the nineteenth century dissolved and even if groups were mainta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ians or the music circulation system changed.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social status of the musicians was equal and the activities and repertories of the musicians were decided by competitive situation. During the first thirty years, the activities of the male and female musicians were differentiated. The male musicians retained the musical system of the nineteenth century whereas the female musicians performed within a music system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one. Moreover, although male and female musicians legally had an equal status, the male musicians were older than the female musicians and assumed the role of leaders by teaching and taking administrative positions in music groups.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the theaters and musical recordings in the twentieth century, changes occurred in music circulation. In this period, the masses regardless of social status enjoyed the same music. The theaters and recordings played a great influence on the distribution of musicians and the music repertories. Thus, in the 1900s, Seoul music of Samp'ae 三牌and the music of the Kwangdae 廣大of the three southern provinces were the main repertories; after the 1910s when the female musicians of the regional area moved to Seoul, the chapkas 雜歌 of every regions were added to the repertories of Seoul. Seoul was the central stage in the first thirty years of the twentieth century since various musicians and repertories existed and the musical circulation system was well developed compared to other cities. The musicians and repertories of Seoul were categorized into Seoul, so˘do 西道, and south of Han river. The existence of these various musical styles and musicians in Seoul formed th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urrent folk music circle. In the 1920s, however, the situations of the musicians and the music circulation changed. Musicians of young and new generation emerged, and the music recording industry and the theaters became less interest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is period, the status of a few female musicians rose to be equal to that of the male musicians. Moreover,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popular music and the development of Western music in Korea after the 1930s reduced the activity of the traditional music that was popular for the first thirty years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folk music circle formed professional groups in the 1920s in order to deal with the historical changes, but the only two successful groups were the Choso˘n so˘ngak yo˘n'guhoe 朝鮮聲樂硏究會and the Kamu yo˘n'guhoe 歌舞硏究會established in the early 1930s. The main members of the Choso˘n So˘ngak Yo˘n'guhoe were male musicians of the south Cho˘lla province and successful female musicians; the repertories included vocal and instrumental pieces of the southern area. The main members of the Kamu yo˘n'guhoe were male musicians in Seoul and their repertories included kyo˘ngso˘do chapka 京西道雜歌. These two organizations included most of the repertories popular in Seoul and many first-class musicians. Also, since the organizations were deeply engaged with interaction with professional musicians, teaching music, and performances, they were the mainstream of the folk music circle. However, they did not embrace the male musicians of so˘do region and a lot of female musicians. Therefore, the folk music circle became systemized in the 1930s and the distinction between namdo 南道regional music and kyo˘ngso˘do 京西道music became clear.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of the folk music circle similar to that of today, thus, took place in the 1930s when the two music organizations were systemized. In summary, the first forty years of the twentieth century was a transformational period which changed the folk music performance practice of the nineteenth century to that of the twentieth century. During the twentieth century, musicians competed against one another on an equal social status, and the fact that a majority of the urbanites appreciated similar music through the theaters and music recordings is modern. Thu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aspect of folk music is to learn the modernity of Korean music.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formation of the folk music circle, it is certain that the traditional music circle greatly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modern music society. This thesis may make a contribution to modifying the trend of examining modern Korean music history only in terms of the growth Western music in Korea. The author expects that the dichotomy that Western music is modern and traditional music is premodern will f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