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중유럽권 대학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모형 연구 : 모듈 트랙식 설계를 중심으로
주경옥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5 국내석사
This study aims to design a modular-track ba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model specifically tailored to the Central European higher education context. The initiative responds to the growing academic and professional demands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in the region. Recognizing that traditional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European universities have predominantly centered on Korean Studies and research-oriented goals, this study addresses the urgent need for a more flexible, learner-centered, and goal-oriented curriculum structure—one that reflects the recent rise in undergraduate majors and the diversification of learner needs. To achieve this, the study employed a three-pronged methodology. First, it examined the European higher education framework, including the Bologna Process, the ECTS credit system, CEFR language proficiency standards, and Erasmus+ mobility programs, to ensure compatibility with the European Higher Education Area (EHEA). Second, curricula from seventeen major European universities offering Korean or Korean Studies programs were analyzed through document reviews and written interviews with institutional representatives. Third, a comprehensive needs analysis was conducted with learners, instructors, and stakeholders from four Central European universities, enabling the integration of practical requirements into the desig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oposed model includes four major tracks—academic (graduate study), employment,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nd Korean language teaching—each structured into foundation, core, and advanced modules. All modules are designed with clearly defined learning outcomes and CEFR-based proficiency goals, allowing for customized learning pathways aligned with learners' individual goals. A key feature of this model is the "mobility module," intended for co-development and joint delivery across universities. This component promotes institutional collaboration, enabling shared instruction in specialized or advanced courses and supporting regional academic cooperation. Overall, this modular-track curriculum model enhances learner autonomy, leverages inter-institutional instructional expertise, and establishes a framework for collaborative program delivery. As such, the study provides a strategic and scalable model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entral Europe and contributes to the sustainable, internationally networked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programs across the broader European context. Key words Korean language Curriculum Design, Modular-Track Model, Korean for Academic Purposes(KAP), Mobility Module, Collaboration-based cooperative modules, Learner-centered Approach, Central Europe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로 하여금 중국인 특징을 반영할 수 있는 한국어 발음 교재 개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외국어교육에서 가장 기초적인 분야는 발음이다. 발음은 학습의 초기 단계에 굳어지게 되므로 처음부터 단계를 정하여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발음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특히 한국어 발음은 다른 언어보다 독특한 특징을 가진 부분이 많아 체계적인 발음 교육이 매우 필요하다. 그러나 실제 중국의 한국어 교육 과정에서 발음 교육이 제대로 못하고 있다. 최근 통계에 의하면 중국 내 한국어(조선어)학과를 배치한 대학교가 120개를 넘었다. 그런데 독립적인 발음 교과목이 없는 대학교는 대부분이다.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교육 이념, 교육 원리, 교육 과정 그리고 교육 방법론 등이 잘 반영된 교재가 부족하다는 것이 주요 원인 중의 하나이다. 현재 중국 내 대학교용 한국어 교재는 주로 통합교재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합 교재는 교육 이념, 교육 과정 등으로 인해 발음 교육에 관한 내용이 비교적 자세히 다루기 어렵다. 반면에 한국에서는 발음 교과목을 설계하여 발음 교육을 이루고 있다. 교육 과정에 적용한 한국어 발음 교재는 나라 구별 없이 외국인을 통합하여 편찬하고 있는 것은 보편적이다. 언어마다 발음상에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차이점에 대해 외국인 학습자를 통합하여 대상으로 하는 발음 교재에서 모두 언급하기를 어렵다. 본 연구는 이상의 현실적 문제에 따른 한국 발음 교재 개발에 필요성을 인식하여, 중국인 학습자로 하여금 한국어 발음 교육 과정과 마땅한 한국어 발음 교재를 개발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연구에서는 우선 현행 한국어 발음 교재를 분석하기로 하였다. 새로운 교재를 개발하려고 하면 먼저 기준 교재들의 내용과 구성 방식을 검토하여 각 교재의 장점을 살리고 문제점을 지적·보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한국과 중국에서 사용한 한국어 발음에 관한 교재를 분석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해 개발한 발음 교재에 필수적인 내용은 무엇인지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여러 학자의 교재 개발 원리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 특징과 마땅하는 교재 개발 원리를 제시하여, 앞선 현행 교재 분석 결과와 더불어 '교육과정의 설계 → 교재 개발의 이념 → 단원의 구성 → 내용의 배열 → 연습 유형 → 발음 평가 → 발음 교육 도구의 설정’과 같은 순서로 구체적인 개발 방안을 내리고자 한다. 이를 통해 새로운 교재 개발에서 주안점과 집필 방향을 밝혔고, 교재 개발 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해 교재 모형을 개발하고 마지막에서 제시하였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로 하여금 중국어 모어 화자의 특징을 반영할 수 있는 효율적인 유용한 발음 교재 개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목적에 두고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재는 어떻게 구성하는지를 밝혔다. 이를 통해 앞으로의 중국인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에 발음 교육과 발음 교재 집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이정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본고는 한국어 교재에서 나타난 단위명사의 빈도수와 제시 양상을 살펴보고 교육 현황을 분석하였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단위명사의 제시는 대개 초급 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은 짐작할 수 있지만, 어떠한 단위명사가 제시되는지, 또는 어떤 환경에서 제시되는 지 알아보기 위해 여섯 대학의 한국어 교재 총 45권을 분석하였다. 먼저 단위명사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크게 단위명사에 대한 연구와 단위명사 교육에 대한 연구로 나뉘는데, 단위명사에 대한 연구는 다시 개념에 관한 논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결합형태를 연구한 논문들, 두 언어 이상의 단위명사를 비교⋅대조한 분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단위명사에 대한 연구는 학자들마다 주관이 달랐기에 그 명칭이 셈단위, 셈가름말, 단위어, 분류사, 단위성 의존명사 등 통일성 있게 정립되지 않았고 분류체계 또한 형태와 의미차이, 독립성의 유무, 고유어와 한자어 구분 등 다양했다. 대체로 단위명사를 대상 명사의 수량을 셀 수 있게 해주는 것, 단위의 대상이 되는 명사의 의미적 특성을 밝혀주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단위명사의 기능을 수량을 표시해주고, 수사나 수관형사의 수식을 받고, 의존적 성향을 지니며, 대상 명사의 의미자질을 세분화해주는 것으로 정의했다. 한국어 교재의 단위명사 분석을 위해 대상이 된 교재는 건국대학교, 경희대학교,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이상 여섯 대학의 한국어 교재들인데, 이들 교재 뒷부분의 색인에 나와 있는 어휘와 새로 나온 단어를 학습하는 부분에 나와 있는 어휘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건국대학교에서는 52개의 단위명사를 제시했고, 경희대학교에서는 45개, 서울대학교에서는 66개, 성균관대학교에서는 13개, 연세대학교에서는 40개, 이화여자대학교에서는 40개의 단위명사를 제시했다. 제시된 단위명사가 교재별로 다양했고, 하나의 단위명사가 대학마다 다른 학습단계에서 제시되는 경우도 있었다. 여섯 대학의 교재에서 총 114개의 단위명사가 제시되었는데, 이 중 53개의 단위명사가 한 번만 제시되었고, 여섯 대학의 교재에서 모두 제시된 단위명사는 3개였다. 국립국어원에서 제시한 한국어 학습용 어휘 중 단위명사 목록은 초급에서 40개, 중급에서 37개, 고급에서 48개로 총 125개인데, 이는 단계 간에 중복되지 않은 개수이다. 여섯 대학의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단위명사 목록을 단계별로 분류하면 초급 69개, 중급 47개, 고급 17개인데, 각 교재의 학습단계에서 나타난 어휘를 제시한 것이기 때문에 중복되는 어휘도 포함되어 있다. 국립국어원의 어휘 목록과 한국어 교재의 목록을 비교하면 일치하는 목록보다 일치하지 않은 목록이 더 많았는데, 두 목록에 모두 제시된 단위명사는 초급단계에서 가장 많았으며, 고급단계로 갈수록 불일치 목록이 많았다. 교재에서 제시된 단위명사 교육은 연습활동이 단순하거나 비슷한 예시문을 보였다. 단위명사 교육도 한 어휘만을 단독으로 교육하기 보다는 수사나 동사 등 다른 품사와의 연결을 통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학습법이 필요하므로, 암기나 쓰기활동 등 단순한 활동을 넘어서 보다 능동적이고 체계적인 교수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결합형태, 의미기능, 과제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학습법을 제안했다. 결합형태에 따른 교육 방법으로는 덩어리 형태의 교육, 어원을 활용한 교육, 관용적 표현의 교육, 띄어쓰기 교육을 제시했다. 그리고 의미기능에 다른 교육 방법으로 의미자질에 따른 교육, 의미장에 따른 교육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과제활동에 따른 교육 방법으로 결합형태 바꾸기, 읽기 텍스트 활용, 역할극 놀이, 카드 사용을 제안했다. This Study aims at surveying the frequency and the pattern of measurement nouns which appeared in the Korean textbooks and analyzed the educational status in korea. Everybody knows that the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belong to the elementary course. But they makes a rough guess how do we learn Korean. So, I did look into 45 books of Korean textbooks which six domestic university use for teaching foreigner. And I examined instructions on appropriate measurement nouns in accordance with situation. The Study of measurement nouns was different to each scholars, So name was not established in unity, classification system was also diverse. Generally scholars defined measurement nouns to be able to count the number of nouns, and to reveal the semantic properties of the noun. Scholars have defined the function of the noun to shows the quantity, have qualify numeral, subdivide the meaning of the target. Analysis textbooks are 6 books, Konkuk University, Kyung Hee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Ewha Women's University. Targeting vocabulary is index and new vocabulary that is the part of learning vocabula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Konkuk University presented the 52 measurement nouns, Kyung Hee University presented the 45 measurement nouns,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ented the 66 measurement nouns, Sungkyunkwan University presented the 13 measurement nouns, Yonsei University presented the 40 measurement nouns, Ewha Women's University presented the 40 measurement nouns. Presentation about measurement nouns was different materials for each textbooks. Also One measurement noun was presented different course of each textbooks. Six university textbooks were presented 114 measurement nouns. 53 measurement nouns were presented only once, measurement nouns of presented in Materials six university textbooks were 3. List of measurement nouns that presented in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is total 125, 40 for elementary course, 37 in the middle course, 48 in the high grade course. And list of measurement nouns that presented six university textbooks is 69 for elementary course, 47 in the middle course, 17 in the high grade course. Comparing the list of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six textbooks, not match from the list many more than match from the list. The measurement nouns presented in both lists are the most words in the elementary course, become advanced stage is increased not match from the list. measurement nouns education that presented in the textbooks are showed simplify activities. measurement nouns education are necessary that learning method utiliz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connection with the other parts of speech. And Beyond the simple activities such as writing activities and memorization, it is necessary that active and systematic learning method. Finally, in this study proposed a learning method with combined form, semantic function, task activity. The teaching methods by combining form, presented education form of a lump, application of the etymology, education of idiomatic expressions, education of Segmentation. And the teaching methods by semantic function, presented education according to meaning features, education of semantic field. Finally the teaching methods by task activity, presented change of bound form, the use of reading text, role play games, card games.
「한국어 교육과정」구현 방안 : 탈북 중학생을 중심으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practice of「KSL Curriculum」among the school curriculum and to find ways to realize「KSL Curriculum」, based on analysing features of middle school students from North Korea by interviewing. Though the general part of「KSL Curriculum」is examined, the achievement criteria and language cover especially the middle school level. Also, th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North Korea who do not have difficulties of communication but in trouble with their academic studies are the focus of this experiment. The aim of「KSL Curriculum」is to have the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y improve both the communication skills for daily purpose and the ability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 The cultural awareness and receptive attitudes towards Korean society are also included for the goal. Contents system and criteria are made to fulfill these aims. Five students from Y Middle school in Gwangju in which the writer works are interviewed for analysing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from North Korea. Based on the education experiences in North Korea and the third country, students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Difficulties in academic studies due to lack of vocabulary remains common in all interviewers. Social studies and history are hard subjects that are never leaned before, and the teaching process in South Korea which is focused on the group study and student-centered activities gives difficulties in adaptation. The「KSL Curriculum」implementation plan for North Korean students is suggested in the Korean for both daily purpose and academic purpose. While in the Korean for daily purpose the class model which can help increase vocabulary skills is proposed, the model which use the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the vocabulary in social studies class is suggested in the Korean for academic purpose. The real practice for the class presents the teaching plan for each class model and worksheets for the clas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North Korean students through interview and suggest the specific teaching plan for students in「KSL Curriculum」. The teaching methods of Korean class for daily purpose through novels and for academic purpose using newspapers are expected to be shown in class for not only North Korean students but also the advanced-level Korean learners.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중「한국어 교육과정」의 실제를 밝히고, 심층 면담을 통해 탈북 중학생들의 특징을 분석한 후 이들을 중심으로 한「한국어 교육과정」구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한국어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내용을 검토하되, 성취 기준과 언어 재료는 중학교에 해당하는 내용만을 다루었다. 또한 일상적인 의사소통에는 큰 어려움이 없으나 학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탈북 중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한국어 교육과정」의 목표는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이 한국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생활 한국어 능력과 교과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학습 한국어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또한 이들이 한국 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도록 문화 의식과 태도도 함께 기르고자 하였고, 이에 따라 내용 체계와 성취 기준이 구성되었다. 탈북 중학생의 특징을 밝히기 위한 심층 면접은 필자가 근무하고 있는 광주광역시 Y 중학교에 재학 중인 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을 북한과 제3국에서의 교육 경험을 바탕으로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공통으로 일상적인 의사소통에는 큰 어려움을 느끼지 않으나 어휘력 부족으로 학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입국 전에 배우지 않은 사회, 역사 과목을 어려워했고, 모둠이나 학생 활동 위주의 남한 수업 방식에 잘 적응하지 못했다. 탈북 중학생을 위한「한국어 교육과정」구현 방안은 생활 한국어와 학습 한국어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생활 한국어에서는 소설을 활용해 어휘력을 신장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제안하고 학습 한국어에서는 사회 과목에서 배운 주요 어휘와 관련된 신문 기사를 활용하는 수업 모형을 제안하였다. 수업의 실제에서는 각각의 수업 모형을 활용한 실제 수업 지도안과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지를 함께 제시하였다. 심층 면담을 통해 탈북 중학생들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한국어 교육과정」에 적용하여 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수업 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소설을 활용한 생활 한국어 수업과 신문을 활용한 학습 한국어 수업이 탈북 중학생들은 물론 고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들의 수업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활용한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방안 : 서산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송미심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ecently, in Korean society, as international marriage increases, a new type of family called as a multicultural family is rising. Therefore, various institutional support policies to help marriage immigrants are being performed―the most important point is to improve thei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so that they can appropriately communicate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seeks for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compares and analyzes the social unity program of the Ministry of Justice, the Korean education of which objects are marriage immigrants and the Korean cours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reviews the cases of foreign countries and the Korean course of Seosan City's. The chapter II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marriage immigrants as a learner's group, speciality in the immigrant's Korean usag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s which is performed for marriage immigrants. Also,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educational courses, evaluation system, and contents of materials were highlighted in regard to the recent society unity program of the MOJ,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is being performed for marriage immigrants, and Korean cours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The chapter III examine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specifically,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al course performed by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Seosan. Visiting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Seosan, through survey research for instructors for the course of the Center and the interview with the manager, along with actual condition survey, this study found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The Chapter IV looks into the cases of Australia, Denmark, Germany, and Japan which performs a society unity program of which objects are marriage immigrants, and together, based on the problems in Korean cours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alyzed in the previous chapter, the effici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measures for marriage immigrants were suggested. 본 논문은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의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최근 한국 사회는 국제결혼이 증가함으로써 다문화가정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가족이 증가하고 있다. 그리하여 결혼이민자의 한국 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다양한 제도적인 지원 정책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점은 그들이 한국 사회에서 제대로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한국어 교육인 법무부의 사회통합프로그램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 과정을 비교․분석하고, 외국의 사례와 서산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 한국어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학습자 집단으로서 결혼이민자의 특징과 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사용 특징과 함께 그리고 결혼이민자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과정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현재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한국어 교육인 법무부의 사회통합프로그램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 과정에 대한 교육 기관, 교육 과정, 평가 체계, 교재의 내용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 교육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구체적으로 서산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한국어 교육 과정의 실태를 파악해 보았다. 이 조사는 서산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방문하여 실태조사와 함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 교육 과정에 대한 강사의 설문조사와 운영자와의 면담을 통해 서산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특징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실시하는 호주, 덴마크, 독일, 일본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와 함께 앞장에서 분석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 과정의 문제점을 기초로 하여 결혼이민자들을 위한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초등 한국어 교육과정과 표준 한국어 교재 어휘 분석 연구 : 생활 한국어를 중심으로
이지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이 연구는 초등 KSL 교육과정 생활 한국어 어휘를 분석하여 초등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생활 한국어 어휘 선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KSL 교육과정 생활 한국어 어휘를 분석하고자 한국어 선정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본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여 초등 어휘 선정 과정을 9단계로 제시하였다. 어휘 선정 기준으로 빈도, 분포, 활용성, 친숙성에 해당하는 어휘 목록을 선정하여 메타 계량을 통해 KSL 교육과정 생활 한국어 어휘를 분포에 따라 나누고, 표준 한국어 교재의 생활어휘를 가공하여 어휘 목록을 입력한 후 KSL 교육과정 생활어휘와 비교하였다. 또한 KSL 교육과정 생활 한국어 어휘 중 분포와 활용성의 총 빈도가 낮은 89개 어휘를 대상으로 전문가 평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KSL 교육과정 생활 한국어 어휘 선정 과정에 대해 생활 한국어와 학습 한국어의 분류 기준을 명확히 해야 하며, 분포가 낮은 어휘의 수가 많았으며, 음절수도 분포에 따라 점점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전문가 평정 결과 KSL 교육과정 생활 한국어 어휘는 초등학교의 생활을 잘 반영하고 있어 초등 생활 한국어의 특징을 보여주나, 전문가 평정 결과가 낮았던 어휘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표준 한국어 교재 1권은 KSL 교육과정의 어휘에서 분포가 높은 어휘를 잘 반영하고 있으나, 한국어 숙달도 1, 2급 교재로서 어휘 수가 많으며, 생활 한국어 어휘가 학습 한국어 어휘의 수에 비해 월등히 많아 어휘 수를 조절해야한다. 또한 KSL 교육과정과 표준 한국어 교재의 생활 한국어 어휘는 주제나 기능별 어휘 수의 차가 커 어휘 목록을 선정할 때 초등 한국어 학습자에게 적합한 어휘를 선별하여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 생활어휘를 선정의 중요성을 밝히고 KSL 교육과정 생활 어휘를 분석하여, 향후 초등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생활어휘를 선정할 때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전문가 평정 과정을 통해 초등 KSL 교육과정 생활어휘의 특징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사자성어 교육 방안 연구 : 한국어능력시험을 위하여
韓中兩國作為壹衣帶水的領邦,自古以來關系密切,兩國之間各個領域的交流都有著悠久的歷史。特別在文字方面,作為東亞‘漢字文化圈’國家之壹的韓國,在世宗大王創立訓民正音之前,歷史上曾長期借用漢字作為書寫工具,所以迄今為止韓語當中仍存在著相當壹部分的漢字詞。隨著漢字的大量流入韓國,大量的中國四字成語也滲透到了韓國人的日常生活文化中。言簡意賅的四字成語作為語言中的精髓,包含先人的智慧和悠久歷史淵源,不僅能豐富語言生活,將之恰當地運用於說話和文章中,能起到以壹當十的表達效果,而且還富含積極的教育意義。 到了現代社會,隨著1992年韓中兩國建交以後,兩國在經濟、文化、政治、等眾多領域的交流比以往更加活躍,對韓國文化產生興趣並開始學習韓語以及去韓國留學的中國學生每年都在不斷增加。不管是從就業還是從留學角度出發,能夠評定韓語水準的韓國語等級能力考試變得日益重要,而考試中出現的關於四字成語的題目都普遍成了易錯題。究其原因韓國的成語雖然大部分是從中國借用而來,絕大部分沒有發生任何變化壹直沿用到現在,但是有壹部分隨著中韓兩國歷史的發展和環境的變化,成語的意思或多或少發生了變化,再加上還有壹些是韓國自創的帶有韓國文化特色的成語,這在中國本土是從未見過的,所以就更使得很多學習韓語的中國學生在日常生活中以及考試中不能正確的運用,並經常出現混淆的情況。再加上現存的關於研究四字成語的論文中,大都是純粹地從形態和意義兩方面對韓中四字成語進行對比研究,而以中國學生為中心特別是針對韓國語等級能力考試的成語教育方案研究的論文卻不多,基於這些原因研究兩國四字成語的異同並提出有效的成語教育方案就變得尤為重要。 本論文主要從以下幾個方面進行了論述和研究。第壹章緒論主要介紹了本論文的寫作目的、研究範圍和方法,以及關於成語的先行研究情況。第二章先介紹了韓中成語的概念和特征,之後又從地理環境,衣食住行,傳統思想等方面對兩國四字成語中包含的多樣文化進行了研究。第三章以韓國的<俗談字典>,<國語大字典>和中國的<漢語大詞典>,<現代漢語詞典>作為參照資料對韓中成語進行形態和意義上的上的分類,將韓中成語先按形態歸類分為同形類和異形類兩大部分,接著按著意思劃分分為同形同義, 同形部分異義,同形完全異義,異形部分同義,異形完全同義以及和中國熟語對應的韓國四字成語這六個類型。之後又把歷年來的韓國語等級能力考試中出現的四字成語按照上述類型加以整理和分析,並列出詳細表格以供參考。第四章以第三章作為基礎,分別按照上述的韓中四字成語的四個類型,對歷年來韓國語等級能力考試中出現的四字成語系統地展示了教育方案,從而達到使中國學生更好地掌握和運用韓語四字成語以及深刻了解韓國文化的目的。 本論文是筆者在前人研究的基礎上重新加以比較分析而得出的結論,因此在論述的同時不可避免的帶有個人的觀點,對不足之處今後將不斷學習以求完善。還有對於成語分類的各個標題的選詞以及成語分類基準方面,每個人都會有不同的見地,歡迎提出各種寶貴意見和建議。 한·중 양국은 예전부터 지속적인 정치·경제·문화 등의 교류를 통해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한류 열풍이 널리 성행하면서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과 중국인 한국 유학생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한국어에 대한 중국인의 관심이 커지면서 한국어 사용 능력을 측정·평가할 수 있는 한국어 능력시험(TOPIK)에도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한국어능력시험에는 어휘·문법에 대한 문제가 출제되는데, 이 중에서 사자성어에 대한 문제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들에게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이는 중국인 학습자들에게도 마찬가지다. 한국에서 사용하는 사자성어는 대부분 중국에서 전해져 들어왔다. 그 중에서 일부 사자성어는 의미와 형태가 변화했다. 또는 한국어 사자성어 중에서는 중국어 사자성어와 형태는 같지만 의미가 달라진 것도 있다. 게다가 한국 선조들은 중국어 사자성어에는 없는 한국의 민족 특색을 지니는 사자성어를 많이 창조했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들이 한국어 능력시험에 출제되는 사자성어 문제를 풀기에 어려움을 느낀다. 그리고 한국어 학습의 궁극적인 목적은 한국어로 자신의 느낌이나 사고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는 것이다. 사자성어는 일상생활에서 의사소통을 위해 쓰이므로, 이러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사자성어 학습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자성어에 대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현재 사자성어에 대한 연구는 단순히 한국과 중국의 사자성어 어휘를 비교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한국어능력시험에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사자성어를 선정하고 교육하는 것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어능력시험에 대비하기 위해 한국어 사자성어를 효과적으로 교육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한·중 양국의 사자성어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양국 사자성어에 나타난 문화적 특징을 지리환경, 복식, 음식, 거주, 교통, 전통사상 등 방면에서 살펴봄으로써 중국인 한국어 학습들에게 한국 문화를 익숙하게 하는 동시에 한국어 사자성어를 쉽게 이해하고 정확히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한국어 사자성어를 의미와 형태를 기준으로 분류하기 위해서, 한국의 이기문(李基文)<속담사전>과 중국의 <現代漢語詞典>, <漢語大詞典>에 수록된 사자성어를 대상으로 699자를 가려 뽑고 이를 형태와 의미를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먼저 형태에 따라 동형류와 이형류 두 가지 큰 유형으로 나누었으며 다시 의미에 따라 동형동의(同形同義), 동형부분이의(同形部分異義), 동형완전이의(同形完全異義), 완전이형동의(完全異形同義), 부분이형동의(部分異形同義) 및 중국어 숙어(熟語)와의 대응형 등의 6종류로 나누었다. 이를 각자 표를 만들어서 제시하고 간단하게 예를 들어 설명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능력시험에서 출제된 사자성어를 선정했고 사자성어의 출제 빈도수, 사자성어와 대응하는 중국어 풀이, 사자성어의 유형 등을 분석했다. 마지막장에서는 한국어 능력시험에 대비하여 한·중 사자성어의 유형에 따라 한국어 학습자에게 사자성어를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어와 중국어가 서로 다른 어족에 속하지만 같은 한자 문화권이므로 양국 언어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므로 동형동의(同形同義) 사자성어 교육 방안을 제시했을 때 한국 사자성어와 중국 사자성어를 연결시키고 한자를 같이 제시하는 것이 중국인 학습자들이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부분이형동의(部分異形同義), 중국 숙어(熟語) 대응형과 동형부분이의(同形部分異義) 사자성어는 한자, 뜻, 예문과 비슷한 중국어 표현을 같이 제시하는 교육 방법이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동형완전이의((同形完全異義)와 완전이형동의(完全異形同義) 사자성어의 교육 방안은 도입-제시-연습-활용-정리 다섯 단계에 따라 제시했다. 학습자가 깊은 관심과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대화를 활용할 뿐만 아니라 재미있는 그림을 제시하고 문장의 문맥을 분석하여 연습, 게임 등의 효율적인 교육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국 사자성어의 교육 방안을 제시했는데 실제 수업에 활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지 못한 것이 아쉽지만 활용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두고 싶다. 앞으로 더 구체적이고 효율적인 수업자료의 개발을 통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실제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에게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여러 지도법이 개발되기를 바란다.
욱건화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최근 몇 년 간에 외국인 유학생 수가 높은 수치를 유지할뿐더러 그 중에 절반 이상이 전문대 과정부터 박사 과정에 이르기까지의 학문 과정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학문 수행을 위한 한국어 능력의 향상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문 맥락에서의 발표, 토론, 설명, 문의, 조사 등의 학술적인 말하기 활동의 중요성과 어려움을 인식하여 과업 기반 교수법의 원리에 입각하여 학문목적 말하기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교수 방안을 설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장에서는 과업 기반 언어 교수법의 원리, 특징, 교수모형을 살펴보고, 또한 학문목적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개념과 범위도 알아보았다. 그러고 나서 문헌 조사의 방법을 활용하여 기존의 학문목적 과업에 대한 요구분석 논문을 검토, 학문목적 말하기 과업을 추출하였다. 즉, 대학생활 영역에 속한 말하기 과업으로는 자기소개, 문의·상담하기, 면접하기, 그리고 학문수행 영역에 속한 설명하기, 조사하기, 인터뷰하기, 토의하기, 토론하기, 발표하기 등 총 9가지이다. 2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3장에서는 6개 출판사에서 만든 학문목적 말하기 교재 9권을 대상으로 거시적과 미시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거시적인 분석의 결과는 이 모든 교재에서 본고에서 추출한 9가지 과업을 골고루 다룬 교재가 없었고, <이화1, 2>와 <하우>, 그리고 <박이정> 등 교재는 비교적 높은 커버율로 나타냈는데 그 수치는 6가지 과업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시적인 분석 결과로는 대부분의 교재에서 과업을 활용하였는데, 그 중에서 특히 <연세>와 <이화> 교재가 과업 기반적인 성격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 내용 분석과 구성 특징 평가 두 방법을 통해서 본고에서 과업 기반 학문 말하기 교육에서 포함할 단원 구성 내용과 조직의 원리를 마련하였다. 3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4장에서는 과업 기반 교수법에 입각하여 말하기 교육 설계를 시도하였다. 거시적인 측면에서는 대학생활 영역과 학문수행 영역의 과업들을 골고루 포함하며 후자에 중점을 둔다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리고 미시적인 구성의 원칙은 단원의 내용 구성이 지식, 어휘, 담화표지, 실제 사례, 교육적 과업, 실제적 과업 등 6항목을 포함하되, '듣기 단계 -> 언어 형식에 초점을 맞추기 -> 교육적 과업 단계 -> 실제적 과업 단계'의 교수모형을 통해서 이 내용들이 구현되었다. 이 모든 세부 내용을 조직할 때에는 과업중심적, 과정중심적의 원리를 살려, 입력 자료를 풍부하게 제공되면, 그리고 상호작용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모둠 활동을 많이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위에서 제시한 교육설계의 방향으로 본문에서 10주차의 차시별 수업 구성과 1회 수업의 구체적인 교수안도 마련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학문목적 말하기 교육의 교수안을 통해서 외국인 유학생의 학술적인 말하기 능력을 높이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