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수역량 향상에 관한 연구

        임갑석 대구대학교 디자인·산업행정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831

        이 연구는 평생교육 영역의 주요 교수자인 평생교육 강사의 교수역량의 향상 과정을 강사로 일한 경력기간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이를 위하여 대구 경북지역에서 강사로서 활동하고 있는 경력 5년 이상의 강사 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 인터뷰 방법을 활용하였다. 즉,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개발하여 연구대상자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평생교육 강사는 강사 입문기, 강사 수련기, 강사 숙련기를 거치면서 강사로서의 교수역량을 스스로 계발하여 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평생교육 강사는 입문기, 수련기, 숙련기를 거치면서 현장에서의 강의 활동의 경험을 통하여 스스로 교수자로서의 역량을 계발하고 있다. 강사들이 현장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은 강사 모두에게 공통적인 점도 있었고, 비 공통적이고 개인적인 측면도 있었다. 평생교육 강사들은 본인이 교수하는데 부족한 역량을 다양한 방법으로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통하여 보완하고 계발하고 있다. 강사들이 자기계발 방법은 다양하다. 교수법에 관한 연수에 참여하는 방법, 자신들이 강의하는 강의내용과 관련된 보충학습을 실천하는 방법, 선배 강사들에게 강의 노하우를 배우는 방법, 반복적으로 강의연습을 하면서 강의에 숙달하는 방법 등 그들이 활용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강사들은 대학과 대학원에 진학하여 평생교육 전공으로 공부를 하는 이들도 있다. 강사들은 그들의 강의내용과 강의성격에 따라 각기 다른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론강의를 하는 강사는 강의하는 내용에 대한 지식의 부족에 대한 어려움을 겪는다. 체육활동을 하는 강사는 자신의 체력을 보강하고, 신체를 단련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웃음치료를 하는 강사는 본인도 긍정마인드로 웃으면서 생활하고 있다. 여러 가지 영역의 내용을 강의하는 강사는 강의내용에 대한 지식을 보충하고자 노력한다. 강사들은 숙련기 강사가 되면 강사로서의 자신감과 보람을 갖는다. 숙련기 강사는 어느 정도 자신을 갖지만 여전히 부족한 점을 스스로 발견하기도 한다. 강사들은 후배 강사들에게 인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좋은 강사가 되기 위해서는 강사 입문기의 강사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연수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강사들의 교수역량의 강화를 위하여 사회적 차원에서 강사연수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강사 연수는 국가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공공 평생교육 기관과 민간 평생교육 단체에서는 강사연수과정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운영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teaching competency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who are major instructors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ir careers as instructor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elected 7 instructors with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working as instructors in the Daegu and Gyeongbuk area as research subjects and conducted the study. As a research method, a qualitative interview method was used. In other words,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interviewed with the study subjects.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develop their own teaching competency as instructors through the instructor introductory phase, instructor training phase, and instructor proficiency phase.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were developing their own competence as instructors through the experience of teaching activities in the field while going through the introductory period, training period, and proficiency period. The difficulties that instructors face in the field were common to all instructors, and there were also non-common and personal aspects.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were supplementing and developing their skills that they lacked in teaching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in various ways. Instructors have a variety of ways to develop themselves. How to participate in training on teaching methods, how to practice supplementary learning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ir lectures, how to learn lecture know-how from senior instructors, how to master lectures while repeatedly practicing lectures, etc. is diverse. Some of the instructors go to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to study lifelong education as a major. Instructors face different difficulties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ir lectures and the nature of the lectures. Instructors who give theoretical lectures have difficulties due to lack of knowledge about the content being lectured. Instructors who engage in physical activity are concentrating on strengthening their own physical strength and training their bodies. Laughter therapy instructors live their lives with a positive mind and smile. Instructors who teach content in various fields try to supplement their knowledge of lecture content. When instructors become skilled instructors, they gain confidence and reward as instructors. Skilled instructors have some self-confidence, but still find themselves lacking. Instructor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haracter to junior instructors and argue that systematic training is necessary for instructors in the introductory stage to become good instructor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can be seen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a lecturer training course at the social level in order to strengthen the teaching competency of lecturers. Such instructor training needs to be conducted at the national level. Public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private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s should actively develop and operate instructor training courses.

      • 온라인 평생교육에서 실재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을 중심으로

        이윤경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로 인하여 온라인으로 전환된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의 실시간 및 비실시간 강의에서 학습자의 학습몰입을 예측하는 변인들을 분석해 냄으로써 추후 온라인 환경에서의 학습몰입을 증진하기 위한 교수설계 방안 및 운영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수도권 소재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의 학습자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수행된 연구절차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의 실시간 평생교육과 비실시간 평생교육을 경험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실재감을 독립변인, 학습몰입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자료 중 총 280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한 통계프로그램은 IBM SPSS Statistic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 t-검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시간 온라인 평생교육에서 학습몰입 및 학습실재감의 평균은 모두 비실시간 온라인 평생교육 평균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는 비실시간 온라인 평생교육에서도 실시간 온라인 평생교육에 준할 만큼의 학습실재감 및 학습몰입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실시간 및 비실시간 온라인 평생교육에서 학습실재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습실재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해 실시간 온라인 평생교육에서 이루어지는 교수자의 역할과 행동에 따라 학습자의 실재감을 결정하게 됨을 의미한다. 셋째, 실시간 및 비실시간 온라인 평생교육에서 학습실재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온라인 평생교육에서 학습자의 학습몰입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변인은 학습과정 중 경험하게 되는 학습실재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의 온라인 평생교육 질적 제고를 위해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과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최근의 교육환경을 적용한 온라인강의 또는 프레임워크 구현, 실시간 및 비실시간 교육 구현방식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둘째, 현재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평생교육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소수의 연구를 제외하고는 매우 드문 상황이다.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다루어졌던 학습실재감과 학습몰입 뿐 아니라 학습 성취도, 학습지속의향과 같이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s variables predicting the learning flow of students in real time and non-real time lectures at lifelong education centers attached to universities, where the lessons moved to an online format due to COVID-19; thus, having implications for instructional design plans and management strategies to promote learning flow in an online environment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the study found research participants who were students at lifelong education centers attached to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procedures and methods: A survey was distributed to students who had experiences real time and non-real time lifelong education at lifelong education centers attached to universities. Learning presence w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learning flow was a dependent one. Of the returned questionnaires, a total of 280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Data was analyzed with the IBM SPSS Statistics 22.0 program. Research questions were tested with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pondents scored higher averages in learning flow and presence in real time online lifelong education than non-real time online lifelong education, which raises a need to search for diverse measures to increase the learning presence and flow to the level of real time online lifelong education in non-real time online lifelong education. Secondly, the study analyzed differences in learning presence between real time and non-real time online lifelong education and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which means that instructors determine the presence of learners with their roles and actions in real time online lifelong education. Finally,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learning presence on learning flow in real time and non-real time online lifelong education and found that the learning presence that learners experienced in the learning process had close correlations with their learning flow in online lifelong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and implications to increase the quality of online lifelong education at lifelong education centers attached to universities: First, there should be ongoing research on the realization of online lectures or frameworks in which the recent educational environment is applied as well as on methods to realize real time and non-real time education. Second, there are active research efforts to investigate real time online lessons, but few of them target lifelong education students. Follow-up studies will need to consider different variables, including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persistence in addition to learning presence and flow addressed in this study.

      • 목회자 인식도가 평생교육 실천에 미치는 영향

        김순열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31

        In society are the deeds of the Christian teaching and practice requires, Church of Jesus life on earth and practical tasks to be accomplished are presented in love. Lifelong education projects in Korea since the late 19th century through the missionary activities of foreign missionaries began specifically. Lifelong Education of Korea by the early Christian business has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Christianity. However, the external growth of the church in Korea, but a big contributor to the development of hand, many issues were involved. Loved the church practice of the community as a social service rather than external criteria to evaluate the growth of churches and pastors have become. As a result, interest in lifelong education and social needs of the growing influence of the church in society has been decreasing rather than being blamed for society and there. In this study, the practice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the church of the pastor's perception of the factors most important factor reported as it is intended to measure. The proportion of the nature of the church pastors absolute decision to see the impact that the field of lifelong learning is also not an excep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number of members of the church finances and church history and practice of lifelong education of the church by using ANOVA analysis were investigated. The pastor's sermon about the frequency and interest in lifelo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practice of lifelong education was illuminated a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e Lifelong education for clergy Lifelong education and practice in perception was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he higher the number of pastors preaching, Pastors need a lot of Lifelong education courses completed feel, the more active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was realized. This pastor of the Church more open to the community was Social services department had also been organized, Members of their community service participation was higher. The church's practice of lifelong education and social services budget, or how many members of The Church of the financial relationship between size and larger have not had tha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practice in the church, aiming at improving lifelong education, if present may be represented by three kinds. First, the pastor of a number of courses for Lifelong education is required courses. Minister for lifelong education activities because they do not have to understand the practice of lifelong education activities can be no different chemicals today a vague idea of community service at the church, organized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would be banned. Therefore, due to completion of curricula for clergy Lifelong education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future against the Church organized a society can improve the practice of lifelong education. Second, the social services minister in the pulpit to preach often about the church by the church's responsibility for lifelong education should be encourag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of the Sermon on the number of ministers of social services to see that there is a close associate pastor of Christ in the practice of love of neighbor to have a clear sense of vocation to preach the higher frequency. Third, the number of members of the church many and less of financial relationship with lifelong education practices not far when you view the church as a small-scale community service for churches and pastors took a passive attitude to actively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to achieve will. Of course, the number of financial members of the church many and less of financial relationship Visible, but can you do to practice lifelong education, but all of our neighbors towards lifelong eduction practices of the church from the church, the society's condemnation of the church is the way to recovery ness. 기독교의 가르침에는 사회 속에서의 행함이 있는 실천을 요구하고 있으며 예수의 삶은 교회가 지상에서 이루어야 할 사랑의 실천적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평생교육 사업은 19세기 후반부터 외국 선교사들의 선교활동을 통해 구체적으로 시작되었다. 기독교에 의한 우리나라의 초기 평생교육 사업은 기독교의 성장에 많은 기여를 했다. 그러나 이러한 외적 성장은 한국 교회의 발전에 커다란 공헌을 했지만 한편으로는 많은 문제점은 수반하였다. 교회가 사랑의 공동체로서 사회봉사를 실천하는 것보다는 외적인 성장이 교회나 목회자를 평가하는 기준이 되었다. 그 결과 평생교육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사회적으로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교회의 사회에 대한 영향력은 줄어들고 있고 오히려 사회의 비난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교회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실천에 미치는 요인 가운데 목회자의 인식도를 가장 큰 요인으로 보고 그것을 측정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교회는 그 특성상 목회자의 비중이 의사 결정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평생교육 분야 또한 예외는 아닐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회의 재정과 교인의 수, 교회의 역사와 교회의 평생교육 실천을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목회자의 설교 횟수와 평생교육에 대한 관심도에 따른 평생교육 실천의 관계를 조명해 보았다. 연구의 결과 목회자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도는 평생교육 실천에 있어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회자의 설교 횟수가 많을수록, 목회자가 평생교육 과목 이수의 필요성을 많이 느낄수록 더 활발한 평생교육 참여가 이루어졌다. 이런 목회자가 있는 교회는 지역 사회에 더 많이 개방되어 있었으며, 사회봉사 부서도 조직되어 있었고, 교인들의 사회봉사 참여도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교회의 평생교육 예산과 사회봉사의 실천은 교인 수나 교회의 재정 크기와 큰 상관관계를 갖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회에서의 평생교육 실천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면 세 가지로 나타낼 수 있다. 첫째, 목회자의 평생교육에 대한 과정이수를 필수화하는 것이다. 목회자가 평생교육 활동에 대한 이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평생교육활동의 실천을 다양화시킬 수가 없으며 막연한 사회봉사에 대한 생각으로는 교회에서의 사회봉사활동을 체계적으로 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목회자의 교과과목의 이수로 인해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도를 높인다면 앞으로 교회가 체계적으로 사회를 향하여 평생교육실천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강단에서의 목회자가 사회봉사에 대한 설교를 자주함으로써 교인들의 평생교육에 대하여 교회가 책임을 갖도록 해야 한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목회자의 설교의 횟수가 사회봉사의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볼 때 목회자는 예수 그리스도의 이웃사랑의 실천에 대한 분명한 소명의식을 가지고 빈도 높은 설교를 해야 한다. 셋째, 교회의 재정의 다소나 교인의 수에는 평생교육 실천과의 관계가 없음을 볼 때 지금까지 작은 규모의 교회라고 사회봉사에 대해 소극적인 자세를 취했던 교회와 목회자들이 적극적으로 평생교육 실현에 참여하는 것이다. 물론 재정의 다소나 교인의 수가 가시적인 평생교육실천을 할 수 있겠으나 이웃을 향한 모든 교회의 평생교육실천은 사회의 비난으로부터 교회가 교회다움을 회복하는 길이다.

      • 평생교육기관 및 학교교육의 학습자만족도 분석을 통한 연계학습방안에 관한 연구

        박형량 강남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briefly to improve efficiency in education for students. The investigation is basically focused on determining the first motivation which has triggered the students in elementary/middle schools to get a supplementary education besides a public education, and estimating the level of student satisfaction in schools and Institute of Life-long Education. The research shows both relativity and difference between Institute of Life-long Education and the public education, connecting two different pursuits between them. The research expects the cooperation between school and Institute of Life-long Education would improve the student satisfaction in education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and it could contribute to a decrease in private education expenses. by looking at a theoretical background according to the pur pose of the research, the topic of the research has been deter mined to investigate the student satisfaction in school and Institute of Life-long Education. To verify the topic, surveys were passed out to students, who had been getting the suppl ementary education service at Institute of Life-long Education, attending IMC-International Mathematics Competition -2010 KOREA on June 12th, 2010.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below. First, the students who have been getting the supplementary education services for individual purposes first became come to Institute of Life-long Education by their parents who wanted their children’s improvement in school GPA and admission to advanced schools later on rather than the students’ own demands. It could be said that the students, who were anxious about how to get in the advanced schools and what to choose as their carrier paths, would find and decide to get the supple mentary education services by themselves. Second, the data say that the students surveyed feel lack of intense academic education in schools and they have full of complains about a one-sided placement test not depending on individual levels. This tells that students and their parents are dissatisfied with public education and it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chool doesn’t fulfill its primary function and role now. Third, there are many benefits from courses that school and Institute of Life-long Education offer to students. As the stude nt satisfaction in Institute of Life-long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 one in the public school also increased. Some students who were dissatisfied with educational environment of public school have got satisfied with intense academic education in school. Fourth, the student satisfaction in Institute of Life-long Education is fairly higher than one in the public school especially in individual supplementary education services, academic environment, and proper placement test depending on their personal levels. Especially, the student satisfaction in the intense academic education fulfilled by the placement test, which was properly based on individual academic levels, was much higher. It tells that the program eventually made a great appeal to the students, considering a different academic level of each student. Fifth, according to the data which show the gap between the student satisfaction in school and one in Institute of Life-long Education in detail, the students are dissatisfied with school whose placement test system was improperly fulfilled without consideration of each individual academic level. Otherwise their satisfaction on the school facilities has more increased than before. It obviously tells that the academic environment and school facilities in Institute of Life-long Education need to be improved. Cooperation is basically to make a relationship between two or more than two individuals/agents. The school needs to develop a solution that would urge individuals to have voluntary attitudes toward learning and properly apply to local communiti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Therefore the importance of clarifying relativity/cooperation between school and Institute of Life-long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to compensate the low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school with fulfillment of various demands of the students who have been accustomed to the education for solely entrance exams. 본 연구는 초등학생, 중학생들이 학교교육 이외 평생교육기관에서 보충학습을 받게 된 최초 동기와 학교와 평생교육기관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이에 대한 관계와 차이를 분석하고 학생과 학부모가 참여하고 있는 평생교육기관교육과 학교교육에서 선호하는 점을 연계하여 학생들의 학습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아울러 날로 증가하는 사교육비의 감소를 위해 학교 교육과 평생교육기관에서 학습자 만족도 연구로 질적, 양적인 면에서 학습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의 효과를 기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면, 학습자의 평생교육기관 교육과 학교교육 만족도를 규명하기위하여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또한 이를 검증하기위해서는, 현재 평생교육기관 등에서 보충학습을 받고 있는 서울과 전국의 5개광역시에서 2010년 6월12일, 학교와 지역을 대표하여 국제수학경시대회(IMC-International Mathematics Compe tition-2010 KOREA) 대한민국대표선발전에 출전한 초ㆍ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 회수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평생교육기관에서 개인의 목적을 위해 보충학습을 받고 있는 초ㆍ중학생들은 자녀의 학교성적 향상을 기대하는 부모님의 선택에 의해 각종 평생교육기관에 처음 학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급학교 진학과 진로에 대한 걱정으로 학습욕구 충족을 위해 보충학습장을 스스로 찾아 선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초등학교ㆍ중학교의 교육에 대하여 심화학습에 부족함을 느끼고 있으며, 특히 학생 개개인의 실력차이를 고려하지 않는 일방적인 반편성에 많은 불만감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학부모와 학생들은 학교의 교육과 교육환경이 기대와 욕구에 불만족스러움을 나타내는 것으로 학교 본래의 기능과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셋째, 학교의 학습과 평생교육기관 학습의 많은 과목들이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유기적이고 상호 보완적이기 때문에 평생교육학습기관에서의 학습을 만족할수록 학교와 평생교육기관의 생활에 도 만족감을 나타냈으며, 학교의 학습과 생활에 불만족인 학생도 평생교육기관의 단계별 심화학습에 만족스러워 하였다. 넷째, 학교에서는 느끼지 못했던 학습자의 욕구 및 심화 학습이나 개별적인 보충학습, 환경, 학습자 개개인의 능력을 고려한 반 편성, 에 대해 학교교육보다 평생교육기관의 학습에 만족감을 나타내고 있었다. 특히 평생교육기관에서의 능력별 반편성에 따른 개개인의 심화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학교의 만족도 보다 훨씬 높게 나타남은 평생교육기관에서의 학습자 개개인의 능력차를 고려한 심화 학습으로 학생들이 크게 호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학생 각각의 학교교육 만족도와 평생교육기관 교육만족도의 차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학생들의 개개인의 능력을 고려하지 않은 능력별 반편성이 이루어지지 않은 학교교육에 대해 불 만족감을 느끼고 있으나 학교의 교실 및 주변 환경에 대해서는 예전에 비해 좋아졌음을 나타내었다. 학교 성적 향상 측면과 이를 기반으로 목표하는 상급학교 진학 및 진로 측면에서 볼 때 평생교육기관의 보충학습은 신뢰도가 높은 반면 학교교육은 학부모와 학생이 선호하지만 만족감을 느끼는 교육 환경으로 개선할 필요성을 강하게 느끼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연계란 둘 이상의 주체 간(사람 혹은 기관)을 서로 연결시켜 일정 수준의 상호 관계를 유지하여 관련성을 맺는 것으로 학교교육은 지역의 특성에 맞는 자율적인 학습자 위주의 학습방안으로 학생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학생들의 낮은 학업성취도 및 학교교육 만족도를 효과적으로 보완 할 수 있는 연계성을 찾아야 함의 중요성이 강조됨을 알 수 있다.

      • 평생교육기관 종사자의 셀프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일-생활 균형(WLB)의 매개효과

        박선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평생교육기관 종사자들의 셀프리더십이 일-생활 균형(WLB) 매개를 통해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측정하고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평생교육기관 종사자의 셀프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둘째, 평생교육기관 종사자의 셀프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일-생활 균형(WLB)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로 설정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지역의 종로구, 은평구, 영등포구, 서울시 평생학습관과 서울시청 평생학습부, 대학(원) 부설 평생교육원, 청소년평생교육기관, 원격교육형태 평생교육기관 등을 대상으로 2015년 11월 16일부터 11월 28일까지 13일간, 서면 설문조사 및 Goggle의 문서도구를 활용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그 중 244부를 회수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기관 종사자의 셀프리더십이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행위중심적 전략, 자연적보상 전략, 건설적사고패턴 전략 모두 조직몰입의 하위변인 중 정서적 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건설적사고패턴 전략은 지속적 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연적보상 전략은 규범적 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기관 종사자의 셀프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일-생활 균형(WLB)의 부분매개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셀프리더십의 건설적사고패턴 전략이 일-생활 균형(WLB)을 (-)매개로 조직몰입의 지속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평생교육기관 종사자들은 셀프리더십을 발휘하여 자신의 일-생활 균형(WLB) 보다는 일에 자원과 에너지를 통제 및 배분함으로써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에서 시사점을 가질 수 있다.

      • 수도권 평생교육 담당자의 성인교육철학

        고희원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 담당자의 성인교육철학 특성 및 인구통계학적인 변인에 따른 성인교육철학 차이를 분석하는 데 있다. 평생교육 담당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성인교육철학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봄으로써 각 입장에 대한 본질적 이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평생교육 담당자는 어떤 성인교육철학을 가지고 있는가? <연구문제 2> 평생교육 담당자의 성인교육철학은 인구통계학적 변인(성별, 연령, 학력, 전공, 평생교육사 자격증 유무, 기관유형, 근무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도 내 평생교육기관으로 인가·등록·신고된 시설·법인 및 지자체에서 평생교육 업무를 수행하는 평생교육 담당자를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80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설문에 응답한 대상자는 총 226명이었다. 이 중 유효설문 223개를 대상으로 Window용 SPSS 18.0 한글버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인인 성인교육철학을 측정하는 문항은 75문항,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7문항으로, 총 82문항을 사용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평생교육 담당자의 주류적인 성인교육철학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두 번째 연구문제인 평생교육 담당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성인교육철학을 분석하기 위하여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나타난 본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에 대한 결과로, 평생교육 담당자의 성인교육철학은 진보주의(5.48)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어서 인문주의(5.36), 인본주의(5.34), 행동주의(5.29), 급진주의(4.94) 순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 문제 2>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평생교육 담당자의 성인교육철학은 성별, 평생교육사 자격증 유무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령, 학력, 전공, 기관유형, 근무기간에 따라서는 성인교육철학에 유의미한 차이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정철학에 따른 교육부 조직개편과 평생교육정책의 변동과정에 관한 연구 : 국민의정부부터 박근혜정부까지

        주명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국민의정부부터 박근혜정부까지 각 정부의 국정철학에 따른 교육부 조직개편과 이를 통해 평생교육정책이 개발, 결정, 집행된 과정의 특징을 분석하고 산출된 평생교육정책의 변동과정을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수립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민의정부부터 박근혜정부까지 각 정부의 국정철학에 따른 교육부 조직개편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둘째, 국민의정부부터 박근혜정부까지 각 정부의 국정철학에 따른 평생교육정책의 결정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셋째, 국민의정부부터 박근혜정부까지 평생교육정책의 경로진화는 어떠한 형태로 변화하였는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체제분석모델과 역사적 제도주의의 경로진화모형을 결합한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실시하였으며, 정부별 평생교육정책 관계자 6인과 교육부 조직 개편 관계자 3인의 인터뷰를 진행하여 문헌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육부 조직개편은 정부의 국정철학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이는 관‧국의 신설과 폐지 등을 반복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이처럼 중장기적인 교육정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조직 개편이 아닌 각 정부 당시의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대응적 성격의 조직 개편은 구성원들의 공감과 책임의식을 불러일으키기 어려울 뿐 아니라 업무의 전문성을 결여시키므로 보다 근본적인 조직의 효율성과 효과성 제고를 위한 조직 개편 방안이 논의될 필요가 있다. 둘째, 정부별 평생교육정책의 결정과정에서는 국민의정부와 참여정부는 진보정권으로서 위원회 등을 활용하여 이상적인 상향식 정책결정의 과정을 추진하고자 하였으나 위원회의 권한과 행정의 전문성 등 구조적인 문제로 뚜렷한 성과를 보이지 못하였다. 반면 이명박정부와 박근혜정부는 보수정권으로서 위원회 활동을 축소하고 단기간에 정부 주도로 정책을 결정, 집행하는 특징을 보였으나 이는 이해관계자들의 충분한 상호작용의 미흡으로 여러 갈등상황을 불러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셋째, 정부별 평생교육정책의 경로진화는 모두 이전 정부의 정책과 동일한 목표와 방향을 가지고 정책의 수단과 방법만을 추가하는 가겹의 형태를 보였다. 이와 같은 가겹의 형태는 경로운영자의 재량권이 약할 때 보이는 진화 형태이므로 이는 교육부의 정책 재량권이 타 부처보다 약하다는 문제점을 드러내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사회경제적인 정책 이슈가 정책 대안으로 채택되어 논의되는 과정에서 정부의 관심과 역할이 크다는 점을 고려할 때 뚜렷한 정책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은 우리나라 정부의 평생교육에 대한 낮은 관심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eatures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government philosophy of each administration, from the People’s Administration to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by which the lifelong education policies have been developed, decided and executed, and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lifelong education policies. The research questions designed to achieve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changes did the reorganiz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each governmental philosophy go through? Second, what changes did the decision-making process on the lifelong education policy according to each governmental philosophy go through? Third, what changes did the path evolution of lifelong education policy go through?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model that combines the system analysis model with the path evolution model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was used. The research method was primarily conducted with literature review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people who were involved in lifelong education policy of each government and 3 people related to the reorganiz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literature reviews. The result of study shows that, first, the reorganiz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coordinated with changes of each government philosophy of administration, and this appeared in the form of repeating the establishment and abolition of relevant departments and bureaus. The reorganization in pursuit of coping with the facing issues of each administration, rather than achieving the goals of the mid- to long-term education policy, not only makes it difficult to arouse empathy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the members but also makes those members to be deficient in professionalism in the wor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ways to reorganize the relevant departments to enhance the fundamental organizational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Second, in the process of decision-making in lifelong education policies executed by the People’s Administration and the Participatory Administration, which were the progressive regime, it was attempted to promote an ideal bottom-up policy-making process using the designated committee, but it did not show any distinct achievement due to structural problems in regard to such as the authority of the committee and administrative expertis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nd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as a conservative government, the activities of the committee were diminished and, instead, the government-led policies were shortly decided and executed. However, this caused various conflict situations due to insufficient interaction with the persons concerned. Third, all the changes in the path of lifelong education policies adjusted by the succeeding government was implemented by adding, or “layering”, the means and method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governmental policies on the goals and directions descending from the previous government. This type of “layering” is an advanced form which can be seen when the discretionary power of the operator is weak, so this can be recognized as a result of revealing the problem that the authorized discretion on policy, which is allowed to Ministry of Education, is weaker than that of other ministries. Above all, considering that socioeconomic policy issues are adopted as policy alternatives and the government has a large interest and role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the fact that no clear policy changes have occurred can be said to show the low interest in lifelong education of the Korean government.

      • 평생교육기관 종사자의 프로틴 경력태도가 직무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권도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평생교육기관 종사자의 프로틴 경력태도가 직무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2014년 5월 20일부터 5월 28일까지 총 3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314부를 회수하여 불성실한 답변 등을 제외한 305부를 유효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Window용 SPSS 20.0 한글버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틴 경력태도는 교수자 직무효능감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프로틴 경력태도의 하위 변인 중 가치지향성과 자기주도성 두 변인 모두가 교수자 직무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틴 경력태도는 프로그램개발·관리자 직무효능감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프로틴 경력태도의 하위 변인 중 가치지향성과 자기주도성 두 변인 모두가 프로그램개발·관리자 직무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틴 경력태도는 변화촉진자 직무효능감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프로틴 경력태도 중 자기주도성은 변화촉진자 직무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가치지향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틴 경력태도는 협력자 직무효능감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프로틴 경력태도 중 자기주도성은 협력자 직무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가치지향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평생교육의 질적 수월성 제고를 위하여 실천적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우선적으로 평생교육기관 종사자들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평생교육의 실천을 책임지고 있는 조직원들의 신분을 보장하여야 한다. 평생교육기관의 직무여건이 열악하고 불합리한 사회적 처우 속에서 평생교육기관에서는 장기적인 비전을 가지고 종사자들의 신분을 보장함으로써 열악한 처우를 개선하고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두 번째로 평생교육기관 종사자의 프로틴 경력태도 하위변인 중 자기주도성은 직무효능감의 모든 하위요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주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인차원의 노력뿐만 아니라 기관 차원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다. 이는 평생교육기관에서 종사자들이 자신의 가치에 따라 주도적으로 경력을 관리해 나가고, 직무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도적인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점차 구성원 개인들의 욕구가 다양해지고 변화하는 평생교육 환경에 맞춰 종사자들의 경력개발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보다 많은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등 체계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이와 더불어 도전적 직무 부여, 코칭, 미래 기회에 대한 정보 제공 등 조직과 개인의 가치를 연결하여 직원들의 전문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사의 역할에 보다 주목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평생교육기관 종사자의 직무와 관련하여 교육, 훈련과정을 차별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평생교육기관 종사자들의 직무효능감 수준을 살펴보면, 교수자 직무효능감, 협력자 직무효능감, 프로그램개발·관리자 직무효능감, 변화촉진자 직무효능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평생교육사의 법적 규정에 의한 업무에서 보듯 교수자, 관리자로서의 역할보다 프로그램개발에 대한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시 되고 있는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개발과 관리자 역할이 요인분석 결과 하나의 동질적 요인으로 묶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평생교육 현장에서 프로그램개발 업무가 다른 업무들에 비해 전문적이지 못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따라서 평생교육기관 종사자들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다양한 직무연수, 보수교육 및 훈련 등을 차별화 시켜 지속적인 직무능력 개발에 힘써야 함을 제언하였다.

      • 지역 평생교육기관 담당자의 평생교육 인식 및 평생교육네트워크 실태 분석

        박연숙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8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ocus on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for the operat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s in Daegu area concerning recognition of educational function of the instructors, realities of Life-long Education Center, attention for learning network, liaison and cooperation with administration, necessity of learning network and content of the liaison, and examination of the development ways to raise the efficiency of each institutions. The method of research is established for basic structure by literature and surveyed as well, and the objectives of the study is 85 Life-long Education Center and 19 regional learning center in Deagu area, and the answer sheets of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by SPSS 10.0 program.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recognition of regional Life-long Education Center authorities for the Life-long educational function showed some problems with obstacle factor for active regional Life-long Education because most of the center utilize the representative regional libraries as Life-long Learning Center, which may result additional Life-long Education concerned office work over the existing office work of the libraries raising the lack of identity for the librarians. In other word, the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have managed by the librarians who might keep the license or not, which shows a confused system of the operation structure and naturally raise the problem of non specialized workers of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continuously. The organization of the entire Life-long Education team is necessary to employ and placement of the Life-long Education Licensee to guarantee the continuing specialty and opinion of office working. Second, the financial support for the regional Life-long Education Center operation system showed a lower ratio of the present budget among office of education, which might limit the over-all activity of Life-long Education. As a result only small amount of financial support is recorded in spite of higher desire and attentions of the regional peoples for the Life-long Education. The lack of financial support revealed some problems such as inferior facilities, invitation of specialized instructors as a basic program operation of the institution. Third, maintaining organic corporation for joint ownership of information on the resources of personal and materials among related regional institutions for active operat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is necessary. Most of present Life-long Learning Center recognizes the necessity of the network. However, the Life-long Learning Center authorities as a base of operation intend to recede the initiative of operation to regional government or office of education rather than lead and support the regional Life-long Education Centers for the activity of the centers. This is reason of different interest among institutions as well as lack of recognition on the network among chief of the organizations or chair members in charge of it. Forth, it is urgent for the vitalisat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through network. Though many responsible authoriti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network of the regional Life-long Learning Center, they insist that the corporation with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in other region is very difficult because of different interests in reality. They rather ask a information joint ownership by regular meeting among Life-long Education officers. The revealed problems might be solved by those efforts for the corporation among institutions on issues such as development of program or invitation of instructors to overcome the limitation for mutual development. Every country in the world try to extend their national image through cultural activity in modern society and education for correct understanding of foreign culture is essential.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reflected this need of the period to establish identity of Korean art culture by emphasizing the traditional culture and learning of the appreciation.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of the education for traditional art such as method of instruction or lack of materials in real education clas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concept of education for traditional art and its educational value were examined by literature in chapter II. Chapter III analyzed the content related to the traditional art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examined the problems and the complement on the basis of analysis for the art works, analysis of the reflection ratio of the content in the textbook. In chapter IV, the learning and teaching procedure of the art appreciation were reviewed for the suggestion of instruction guide by applying the class model. Also, it is recognized that more efficient textbook is necessary for learning motivation and teaching-learning, which would suggest a model textbook focusing the interpretation of art drawing that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styles in periodical perspectiveas a complement. By the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our youth might pride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s well as raise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and joy of value in art by accepting foreign art positively with more attention and study on the traditional art. (초록) 본 연구는 대구지역에 소재하는 지역평생교육기관 담당자의 교육기능적인 인식, 평생교육기관의 실태, 학습네트워크에 대한 관심, 행정 측면에서의 연계・협력, 학습네트워크의 필요성과 연계 내용 등 운영상 문제점과 각 기관의 효율성을 제고시키고 그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의 기본 골격을 세운 다음 조사연구를 병행하였으며, 연구대상은 대구지역에 소재하는 평생교육기관 85개를 기초로 지역평생학습관 19개를 본 조사대상으로 하였고, 조사된 설문지는 SPSS 10.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평생교육기관 담당자의 평생교육에 관한 교육기능적인 인 식은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 저해요인으로 각 지역에 위치한 대표적인 도서관을 지역 평생학습관으로 지정하여 그 지역의 거점 기관으로 활용․운영하고 있는데 기존의 도서관업무에 평생교육관련 업무가 추가되면서 담당자들의 평생교육에 관한 직무에 대한 정체성 부족으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도서관 사서 가운데 평생교육사 자격 소지자가 그 업무를 담당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비체계화 된 구조를 가지고 있음으로써 평생학습관 업무의 전문성확보와 관련되는 제반 문제는 계속 제기될 수밖에 없다고 본다. 이를 위해서 평생교육 부분의 팀이 조직되어야 하며 여기에는 평생교육사 자격 소지자가 고용․배치됨으로써 업무의 소신과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담보해 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 평생교육기관의 평생교육 운영체제 지원현황은 현재 교육청의 전체 예산 중 평생교육에 지원하는 예산의 비중이 낮아 평생교육 전반에 걸친 운영을 하는데 한계가 있다. 지역 주민들의 평생교육에 대한 관심과 욕구가 급속하게 증대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아주 적은 예산이 지원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프로그램 개발․운영의 기초라 할 수 있는 재정에 관한 뒷받침이 부족함으로써 여러 가지 문제점(시설부족, 전문성 있는 강사의 섭외 등)들이 발생하고 있다. 셋째, 지역 평생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지역 내의 여러 관련 기관들이 서로 정보, 인적․물적 공유를 통해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대부분의 지역 평생학습관들은 네트워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 거점기관으로서 평생학습관이 지역평생교육기관 단체들을 지도․지원하여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노력한다는 생각보다는 지자체나 교육청, 또는 다른 기관이 네트워크를 주도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기관장 및 평생교육 담당자의 인식부족으로 네트워크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기관 간 소속이 달라 이해관계가 다른 것 또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넷째, 네트워크를 통한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가 시급하다. 많은 지역 평생학습관의 기관장과 평생교육업무 담당자들은 네트워크의 중요성에 관해 인식은 하고 있지만, 타 지역 평생교육관련 기관․단체들과의 다른 이해관계로 인해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관해 평생교육 업무 담당자들은 평생교육 업무 담당자 간 정례화 된 협의회를 개최하여 정보를 공유하여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이나 강사 중복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역 내 이해관계가 다른 기관들 간의 막힌 벽을 허물고, 상호 발전할 수 있는 방법을 도모 하여야 할 것이다.

      • 평생교육기관 학습자의 참여동기와 참여지속의도 관계에서 관계마케팅의 조절효과

        김지연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831

        평생교육시장의 양적 팽창, 평생교육기회의 확대로 평생교육시장의 수요와 공급이 활발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평생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한 성과지표로 학습자들의 참여지속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평생교육기관은 학습자들의 참여지속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여 경쟁력을 확보하고 기관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자구적 노력을 끊임없이 해야 하는 환경에 놓여 있다. 학습자들의 참여지속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으로 수요자인 학습자의 참여동기와 공급자인 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인 방법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기관에 등록한 학습자들의 학습 참여동기와 참여지속의도 관계에서 관계마케팅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동기의 유형 중 학습지향형 동기는 참여지속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계마케팅은 참여지속의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하위변인 중 고객지향성이 참여지속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동기 중 학습지향형 동기와 참여지속의도 관계에서 관계마케팅의 관계지향성은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참여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개인수준의 참여동기를 독립변수로, 기관수준의 관계마케팅을 조절변수로 선정하여 두 변수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동시에 고려해 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참여지속의도에 참여동기와 관계마케팅 두 변수가 상호작용을 할 여지가 있음을 밝혀냈고 활발한 상호작용을 위해 기관특성, 학습자특성, 프로그램의 성격 등 선행요인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의 참여동기와 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이 상호작용이 미비하다고 단정 짓기보다는 선행요인에 대한 규명작업과 동시에 향후 좀 더 다양한 기관과 교육프로그램,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변수간의 상호작용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참여동기 이외의 개인요인을 변수로 선정하여 관계마케팅과의 상호작용을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관계마케팅이 참여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참여동기를 강화하는 조절효과가 활발하지 못한 것은 평생교육기관에 의한 관계마케팅 실행수준에 대해 학습자들의 인식 및 긍정적 평가가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평생교육기관에 의한 관계마케팅 실행현황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며 관계마케팅의 재무적, 비재무적 효과분석 및 다양한 관계마케팅의 실행요인을 발굴하여 그 타당성을 이론적, 실천적으로 규명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평생교육에서의 교육 참여는 학습자의 자발적 선택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참여동기와 참여지속의도는 참여현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 고려해야할 중요한 변수이다. 학습자는 교육 참여를 통해 자신의 성장에 필요한 학습경험을 제공받으며 교육운영자는 학습참여가 원활할 때 프로그램 및 기관운영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교육 참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학습자와 교육운영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가치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참여를 주제로 다양한 관점을 반영한 연구를 통해 참여를 촉진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