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GPS와 PDA를 이용한 위치정보 획득에 관한 연구

        이광원 仁川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의 목적은 GPS에 의하여 지형 및 위치정보를 측정하고 PDA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사무실에 전송함으로써 지형정보를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데 있다. 현재 대부분의 경우 토털스테이션이나 평판을 이용하여 지형정보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있으며 이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은 물론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또한 오차가 많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요즘처럼 복잡한 환경에서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기란 많은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 와서는 토털스테이션과 PDA를 결합하여 각종지형정보 및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있는 실정이나 이 또한 환경 및 지형지물로 인한 장애물로 인하여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GPS와 PDA를 이용하여 대상지역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실시간으로 사무실에 전송하여 이를 도면화 하였다. 이는 현장에서의 측량성과를 실내에서 다시 전산도면화 함으로써 발생하던 인력, 시간 및 비용의 증가를 사전에 절감할 수 있었다. 또한 현장작업과 전산화작업간의 시간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오류 및 정확도 저하를 예방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을 실제 현장에서 이용할 경우, 작업 효율의 향상, 공기 및 공사비 절감, 정확도 저하 방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위치정보 획득 시스템을 보완하고 무선통신 부분을 개선하여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한다면 현장의 위치정보 획득 및 활용에 효을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acquiring accurate geographic information by using GPS, and with the PDA 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it can be sent to the office by real time. Hence the data can be utilized successfully to the construction and designing of the structures in the field. Using total station for the geographic information is not convenient at all. It takes a lot of stages, time, cost and errors in use. Combined system, Total station plus PDA, which is quite familiar these days, also requires many times and efforts.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duction of every effort, cost and time by newly developing the GPS and PDA system Consequently,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an increase of work efficiency, reduce of period in construction, prevention of error. And if the demerit of this system is complemented, this system will be more efficient in the field.

      • GPS를 이용한 물류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유창환 仁川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의 목적은 GPS를 이용하여 물류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물류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관세자유지역 내에서의 화물에 대한 관리는 매우 중요시 되어지고 있다. 현재 물류의 위치추적은 컨테이너 트럭 기사들이 사용하는 PDA를 통해서 장치장까지만 되고 있으며 선적 후에는 선박이나 항공기의 GPS를 통해서 화물추적이 가능하지만 역시 관세자유지역내에서의 물류의 흐름을 실시간으로 통제하기는 힘들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내 컨테이너 야적장에서 컨테이너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위치추적기법 및 무선테이터 통신기법을 이용한 최적의 물류관리 기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한 물류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인천항에서 시범 운용하여 물류관리시스템의 성능분석을 실시하였다. 인천항에서의 시범운용결과 GPS에 의하여 효율적인 물류의 관리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세자유지역의 크기를 볼 때 1주파 GPS의 경우 그리 정확하지는 않지만 맵매칭 과정을 통해 도로에서 거의 정확한 위치를 프로그램상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컨테이너 장치장에서는 1주파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주변의 컨테이너가 모니터링하려는 컨테이너보다 낮은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위치확인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주변의 컨테이너가 높이 쌓여있어 위성에 대한 시계를 제한하는 경우에는 위치정확도가 현저히 떨어지므로 Inverted DGPS등의 추가적인 정확도 향상기법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imed to design logistics positioning and management system and to analyze efficiency using GPS. Nowaday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logistics management is gradually grov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ITS. Especially, management of freight is regarded as an important issue in Customs Free Zone. Logistics positioning is limited to freight yard by PDA of truck driver's. After shipping, GPS of a vessel or a plane makes logistics positioning possible. But logistics flows is still hard to control in real-time in Customs Free Zone. Therefore, this study's subject is management of containers which are used frequently, for efficient logistics management in Customs Free Zone. Positioning methods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methods were analyzed and the most suitable logistics management method was suggested. Then, logistics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and its capacity was analyzed through a model te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model test, mostly precise positioning was possible on the road around container yard through map matching even the precision of used GPS instrument was row And monitoring of container position was possible at container yard and which layer a container was heaped up. Consequently, logistics management system would be more efficient when it is used more precise method like Inverted DGPS.

      • GIS를 이용한 상수관망시스템의 최적설계 프로그램 개발

        김동우 仁川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50703

        우리는 물의 원활한 공급이 없이는 하루도 편안한 생활을 영위할 수가 없다. 새로이 단지가 조성되는 경우에도 각 지구의 조성 목적에 따라 생활용수나 공업 용수가 상수관망시스템을 통하여 공급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상수관망시스템을 처음으로 설계하는 경우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다. 그 이유는 상수관망시스템에 사용되는 크고 작은 관로의 수가 수백 또는 수천개에 이르고 있어 관로 크기 결정이나 적절한 장소에 매설하도록 결정하는 일은 쉽지 않으며 정수장에서 처리된 물이 배수지를 통하여 수요자와 연결되는 경우 배수지의 설치 횟수와 설치 위치는 이와 같이 복잡한 상수관망시스템을 더욱 복잡하게 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의 상수관망시스템 설계는 설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반복되는 수작업에 의한 설계가 이루어지는 것이 통례였다. 이와 같은 경우 선정된 해수본관이나 급수 관로의 연결이 최적의 선택이었는지에 대한 평가와 배수지의 선정 결과가 경제적인 상수관망시스템설계를 하는데 어느 정도 도출이 되었는지에 대한 판단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GIS를 이용한 사용자 환경을 구축하여 많은 자료들을 그림으로 확인함으로써 입력자료의 오류를 발견하기 쉽고 결과 분석 또한 쉬운 상수관망시스템의 최적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관망해석시 수요량 및 배수지의 시간적 변화를 고려한 수요량변화모의 해석이 가능하다. 관망도가 입력되는 평면도는 GIS 기술을 이용하여 GIS파일, CAD파일 등의 수치지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평면도에 관망을 구성하는 경우 각 관과절점에 대한 입력자료 속성은 GIS를 활용한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으로써 입력시 오류, 입력시간 등을 줄였다. 또한, 프로젝트 개념과 대안파일을 통해 여러 대안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여 최적의 관망설계를 위한 의사결정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상수관망시스템의 최적화를 위하여 상수도시설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범위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한 범위를 벗어나는 수압이 발생된 관에 대해서는 영향권 내의 최적의 관경을 제안하도록 하여 상수관망시스템을 구성하고 설계하는데 효율을 최대로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상수관망시스템 해석 프로그램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었던 기존의 상수관망시스템 설계방법에 비하여 적은 노력과 시간으로 실제에 보다 가까운 해석결과를 도출 할 수 있어 새로운 택지 조성 시 단지내 상수관망시스템을 구성하는데 효율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We can not live without continuous supplied water. When the new town is constructed, water for living or industry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distribution system. However, first design of water distribution system is very difficult. The reason why is difficult is that water distribution system is used hundreds or thousands pipes, and it is decided what size to use and where to lay under the ground. Furthermore, it makes more difficult how many and where to construct distribution reservoir when purification plant is supplied to demand through distribution reservoir. Until now, the process of design is generally developed by expert's experiment or reiterate. In this case, it is not considered examination of whether selected pipe is optimized or not, how much water distribution system is economical by selection of distribution reservoir. In this Paper, the developed program was studied that by using GIS in user interface it can be confirmed datum graphically, so that it is easy to notice error and analysis. And when analysed network system, it can be analysis expended period analysis system. Numerical map such as GIS files or CAD files can be used to consist network. It can be reduced time and error of input data, by means of project or alternative files and it can be done decision making for optimal design of water distribution. If pipe pressure is over the range which is suggested by supply facility manual or defined by user, the program is suggested other pipe diameter in the range. So, it is a program that is designed for maximum efficient. Instead of existing program which takes long time and effort when is developed water distribution system suggested program in this paper is efficient of design water distribution system at the new town.

      • 도시시설물의 현장관리를 위한 모바일시스템 활용방안

        라영우 인천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50703

        이 연구의 목적은 도시시설물의 효율적인 현장관리를 위한 모바일시스템의 활용방안에 대하여 연구하는데 있다. 지금까지 도시시설물관리시스템은 대량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시스템으로 구축, 활용되어 왔으나 현장에서 정확한 시설물의 위치정보 획득 및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도시시설물의 효율적인 현장관리를 위한 GIS 데이터베이스 표준화 및 모바일시스템의 활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관련규정 및 기존 시스템을 분석하여 현장에서 직접 정보의 획득 및 관리가 가능한 GIS 데이터베이스를 표준화하고 시스템을 설계 구축하였다. 구축된 시스템의 정보 인식실험을 통하여 현장 시스템에 적합한 리더 형식 및 사용주파수를 분석하였으며, 위치정보 획득 실험을 통하여 저가형 멀티 GPS를 활용한 모바일시스템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모바일시스템에 적합한 도시시설물의 표준목록, 표준항목, 표준사양 정립을 통해 도시시설물의 현장관리에 공통적으로 활용 가능한 GIS 데이터베이스를 표준화할 수 있었으며, 이는 현장에서 직접 실시간으로 도시시설물을 관리하는데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RFID를 이용한 정보 인식 실험 결과 리더 형식의 경우 일체형 보다는 확장이 용이한 분리형을 사용하는 것이, 사용 주파수의 경우 고주파 보다는 인식거리가 멀고 인식률이 우수한 초고주파 영역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저가형 멀티 GPS를 이용한 위치정보 획득 실험 결과 4개의 수신기를 수직으로 배열하였을 때 효율적이며 기존 측량방법에 비해 작업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use method of mobile system for effective field management for urban facilities. Until now, the urban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is established and used as various systems for the purpose of effectively managing mass information, but systems which can obtain and manage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of facilities on fields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e use of GIS database standardization and mobile system is necessary for effective field management of the city facilities. This study standardized GIS database, and designed and established a system which can obtain and manage information from fields by analyzing related regulations and existing systems. RFID reader type and frequency appropriate for the field system was analyzed through information recognition test of the constructed system, and the effectiveness of mobile system using low-priced multi-GPS was analyzed thorough acquisition test of location information. GIS database could be standardized commonly useful for the site management of city facilities through standard list, standard items and standard specification appropriate for the mobile system, and this is effective to manage the city facilities on the site in real time. As a result of information recognition test using RFID, in case of reader type, detachable type is more effective than integrated type. Moreover, ultrahigh frequency, which has longer recognition distance and excellent recognition rate than high frequency, is more effective. As a result of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test using low-priced multi-GPS, when four receivers are effective of vertical allocated and the working time and costs are saved more than existing measurement method.

      • 무인 측량선의 원격자동제어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이철준 인천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50703

        이 연구의 목적은 LOS 가이던스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무인 측량선의 자동유도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수심정보를 획득하는데 있다. 유인 측량선의 경우 오염지대 등 사람의 접근이 곤란한 지역에 대하여 수심정보를 획득하기가 어렵고 많은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에 대한 효율적인 수심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무인 측량선이 필요하며, 이를 정확하게 운항하기 위한 자동제어시스템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자동유도 알고리즘, 위치정보 및 제어정보 교환을 위한 무선통신, 프로그램이 가능한 인터럽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모터제어시스템 등이 적용된 무인 측량선을 개발하였다. LOS 가이던스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무인 측량선을 자동으로 유도하는데 필요한 제어시스템을 개선하고, 현장 실험을 통하여 기존 시스템과의 자동유도 및 원격수심측정의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 LOS 가이던스 알고리즘을 적용한 무인 측량선의 자동제어시스템의 정확도가 크게 향상되고, 원격 자동 제어된 무인측량선에 의하여 정확한 수심 측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즉 실제 운항궤적과 계획선과의 최대 및 평균 변위량은 위치오차 허용범위를 충분이 만족하고, 수심측정 정확도가 측심오차허용범위를 충분히 만족함으로써 LOS 가이던스 알고리즘에 의하여 개발된 무인 측량선이 충분한 정확성을 가지면서 자동으로 제어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무인 측량선은 저수지, 댐, 하천 등의 수심정보를 경제적이고 정확하게 획득함으로써, 하상지형도 작성, 담수량 산정 등을 통한 수자원 관리는 물론, 교각 쇄굴조사 및 수중 토목구조물 시공 분야 등에서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accuracy of automatic guidance of remote surveying ship by applying LOS guidance algorithm, and to acquire water depth information. In case of manned survey ship, it is difficult to acquire water depth information in the area where human cannot access due to pollution. Therefore, in order to acquire water depth information effectively in this area, remote surveying ship is needed and automatic control system is needed to run this ship accurately. In this study, a remote surveying ship was developed which is applied by automatic guidance algorithm,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changing location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and motor control system using programmable interrupt controller. A control system necessary to guide the remote surveying ship automatically by applying LOS guidance algorithm was improved, and the automatic guidance and accuracy of remote water depth measurement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field tes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ccuracy of automatic control system of the remote surveying ship applied by LOS guidance algorithm w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e accurate water depth was effectively measured by the remotely controlled remote surveying ship. That means as the maximum and average displacement between actual operation path and the planned line sufficiently satisfies location tolerance, and the accuracy of water depth measurement sufficiently satisfies the tolerance, the remote surveying ship developed by LOS guidance algorithm has sufficient accuracy and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he remote surveying ship developed in this study can obtain water depth information of reservoir, dam and river accurately, it will be used for water resources management such as river bed topographic map and water reserve amount as well as erosion of bridge and construction of underwater struc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