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너뷰티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한 어포던스 패키지디자인 연구

        박정아 단국대학교 일반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0719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ackage design that adopts affordance methodology as a way to construct differentiation strategies for competitiveness in health functional food package design reflecting the needs of inner beauty consumers, and further to seek direction of design. As a methodology, affordance factors affecting consumer behaviors is separated and extracted to elicit detailed items through preceding researches, literature data analysis, and FGD for experts, and the resultant evaluation items is quantified throug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In other word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AHP,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is measured and the criteria for measuring the value of the design affordance factors is presented. Based on these findings, a quantified module for qualitative value standards in the design field is proposed to present a quantified design value scale to induce consumer behaviors in the inner beauty health functional food market. The marketing environment, which has to face the unique circumstances of general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nd purchase stability, linked with ever-diversifying market environments, rapidly changing trend cycles, and unpredictable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has also brought many changes to consumer's needs throughout their lives, including an escalating need for safety, the spread of contactless lifestyles, and etc. With a view to analyzing the market condition of inner beauty foods, the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 of the market in inner beauty products have been analyzed based on reports of corporate health functional food development, domestic and foreign health functional food market condition of reliable institutions, and consumers research analysis data. Inner beauty foods are items that must meet the functions of cosmetics at the same time along with categoric characteristics as health and functional foods, requiring more multilateral and complex factor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i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research subjects, and thereby determine whether affordance factors are valid as a methodology for differentiating package design. It is also an examination into the fundamental problem-solving methods for the direction of design, which has been conventionally determined by quantitatively measuring priorities through the importance analysis over affordance elements of package design. The research subject in this study is to come up with ways how to build competitiveness through package design in the marketplace by presenting a quantitative value measurement method for usefulness and design valuation as a communication medium that can understand the new market circumstances and appeal to consumers afresh. In order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concept of affordance, the meaning of affordance, which is the underlying concept of this research, and the need to apply package design have been briefly set out based on the research contents of several preceding researchers.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necessity to bring affordance elements into package design, the functions of package design that expand and evolv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have been investigated, and affordance elements have been inquired into through practical cases in the package design field. In an aim to verify the research subjects based on forgoing respective contents, a research design has been proceeded focusing on solving the entire research subjects, and the overall research process has been conducted to effectively verify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results, such as basic surveys,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eliciting evaluation items through affinity diagrams, pairwise surveys and subsequent analysis. In particular, the AHP conducted to build reliability in this study is the one and only existing method that can clearly distinguish between multilateral relationship indicators and quantify hierarchy relationships. The AHP analysis is a kind of design and feasibility survey to schematize qualitative values and convert them into quantitative indicator, and thereby, it has been intended to derive fair value. As the analysis result of the AHP, in the importance of affordance package design element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ner beauty foods, the top ranking 20 items have been revealed that the importance of cognitive and sensory elements is relatively more important than physical and functional elements. However, as a whole, it has been tallied at a similar ratio between the two aspects, coming to the conclusion that the two should be in balance. In an item of inducing physical and functional behavior, the information delivery section has been evaluated as the most important item. The linkage with digital devices and the use of new technologies, new functions of package design expected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public interest consumption such as environmental issues, structural packaging, sizes and shapes, have been evaluated relatively low in importance. However, noteworthy is that the new way that adopts affordance elements has a comparative advantage as a differentiator of design, over the traditional package design elements. The importance of advertising and promotion focusing on user’s experience, and the brand awareness have been reveal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erms of inducing cognitive and sensory behaviors, but as new brands have not sufficient these brand equity, brand design strategies reflecting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items are needed. Through reflecting the research results, the inner beauty foods should prioritize psychological and cognitive effects such as information, identification, and intuition over playful and cognitive factors such as amusement, reversal, and metaphoric elements. Through the findings of this study, various design processes that are to be considered as being sensible or intuitive in the design field have been verified as objective quantitative indicators that can distinguish between superiority and inferiority of importance of package design elements. It is expected that those analysis processes can be put to good use in practical arena of design. 본 연구는 이너뷰티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지 디자인의 경쟁력을 위한 차별화 전략 구축 방법으로 어포던스 방법론이 적용된 패키지 디자인 연구와 디자인 방향성 모색을 주요 연구 문제로 하고 있다. 방법론으로는 선행연구 및 문헌 자료 분석, 전문가 대상 FGD 등을 통하여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어포던스 요소를 분리, 추출하여 세부항목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행동 유도 평가항목들을 AHP 분석을 통하여 정량화한다. 그리고 AHP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요소별 중요도를 측정하여 디자인 어포던스 요소의 가치 측정의 기준을 제시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디자인 분야의 정성적 가치 기준에 대한 정량화된 모듈을 제안함으로써 이너뷰티 건강기능식품 시장 내의 소비자 행동 유도를 위한 정량화된 디자인 가치 척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다변화되는 시장 환경, 급격하게 변화되는 트렌드 주기, COVID-19 팬데믹과 같은 예측하기 힘든 외부요인 등과 맞물려 일반 소비자의 구매 의지와 구매 안정성이라는 독특한 환경에 부딪혀야 하는 마케팅 환경은 안전에 대한 욕구의 증대, 언택트 라이프 스타일의 확산 등 생활 전반에 걸친 변화에 소비자 요구에도 많은 변화가 발생했다. 이러한 이너뷰티 건강기능식품의 시장 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업의 건강기능식품 개발 리포트, 공신력 있는 기관의 국내외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과 소비자 리서치 분석 자료 등을 근거로 이너뷰티 제품의 시장 현황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너뷰티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과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카테고리의 특성과 더불어 코스메틱의 기능을 동시에 충족해야 하는 품목으로 좀 더 다각적이고 복잡한 요인 분석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문제의 특성을 반영하고 패키지 디자인의 차별화를 위한 방법론으로 어포던스 요소가 유효한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패키지 디자인의 어포던스 요소들의 중요도 분석을 통한 우선순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관습적으로 결정해온 디자인의 방향성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해결 방법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연구는 새로운 시장 환경을 이해하고 소비자에게 새롭게 어필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매개로서 어포던스 디자인이 유용성과 디자인의 가치 평가에 대한 정량적인 가치 측정 방법을 제시하여 시장에서의 패키지 디자인을 통한 경쟁력 구축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어포던스의 개념을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여러 선행 연구자의 연구 내용을 근거로 연구의 기본 개념인 어포던스의 의미와 패키지 디자인 적용의 필요성을 정리하였다. 또한, 패키지 디자인에 어포던스 요소 적용의 필요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대 흐름에 따라 확장, 진화하는 패키지 디자인의 기능을 알아보고 패키지 디자인의 사례를 통하여 어포던스 요소를 고찰하였다. 위의 내용을 기반으로 연구 문제의 검증을 위하여 전체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 설계를 하였고, 연구 프로세스에 따라 기초설문조사, 전문가 심층 면담,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통한 평가항목 도출, 쌍대 설문 조사, 분석 등 연구 결과의 실효성 있는 내용 검증을 위하여 전체적인 연구 과정을 진행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신뢰성 구축을 위하여 실시한 AHP 분석은 다자간의 관계 지표를 명확하게 구분 짓고 하이어라키(hierarchy 계층 관계)를 정량화할 수 있는 검증된 분석 방법이다. AHP 분석은 정성 가치를 도식화하여 정량 지표로 환산하기 위한 설계 및 타당성 조사로 이를 통하여 공정한 가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모바일 중고거래 앱 UI 디자인의 인지심리 요인이 사용자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영강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0703

        정보 기술의 발전으로 모바일 인터넷 시대가 도래하였다. 이와 동시에 스마트 폰의 급속한 발전과 사용자 규모가 점차 확대되어 있으며, 사람들의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변화시키고 사람들의 삶을 편리하게 하였다. 과거에는 정보 보급의 제한과 높은 정보 공개 비용으로 인해 대부분의 생활 속 유휴 물품이 합리적으로 활용되지 않아 직접적인 경제적 손실과 자원낭비를 초래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자원 재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환경보호 움직임이 확산하면서 중고거래도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중고거래 시장의 활성화를 가져온 원인 가운데 하나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대면기피와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인해, 세계적인 대유행병으로 인한 경기 침체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소비와 트렌드에도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 변화에 따라 한국의 중고거래 시장 또한 커다란 변화의 추세로 이어졌다. 현재 UI 디자인관점은 사용자 중심적이고 사용자 경험을 중시해야 하며 디자이너는 사용자의 실제 수요를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사용자의 실제 수요를 파악하고 설계하는 방법은 사람들의 인지심리 특성에 대한 연구에서 비롯된다. 인지심리학계에서 제기하는‘사용자 친화'는 바로‘인간중심'개념의 구체화이다. 따라서 UI 디자인의 인지심리 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더욱 심층적인 차원에서 앱의 UI 디자인을 개선함으로써 앱의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키는 데 의미가 있다. 모바일 중고거래 앱의 UI 디자인은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데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I의 구성요소와 인지심리를 바탕으로 모바일 중고거래 앱 UI 디자인의 인지심리 요인을 추출하고자 한다. 모바일 중고거래 앱 UI 디자인을 사용하면서 인지심리 요인이 사용자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려고 한다. 이와 관련된 이론적 고찰을 통해 한국 모바일 중고거래 앱의 UI 디자인 현황을 분석한다. 현재 모바일 중고거래 앱 UI 디자인의 문제점을 파악한다. 그런 다음 모델을 구축하여 가설을 제시하고 실증 분석을 통해 한국 모바일 중고거래 앱 UI 디자인의 인지심리 요인과 사용자의 지속적 사용의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모바일 중고거래 앱 UI 디자인을 위한 개선방안과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모델과 연구 가설에 대한 분석 및 검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UI 디자인의 인지심리 요인과 사용자의 인지된 체험, 감정 체험 및 지속적 사용의도 사이에는 깊은 상관관계가 있다. UI 디자인의 인지심리 요인은 사용자의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감정 체험과 지속적 사용의도, 그리고 사용자의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감정 체험은 지속적 사용의도 사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UI 디자인 인지심리 요인 중의 선택성, 전체성, 의미성, 기능성과 기억성은 인지된 용이성에 현저한 정적(+) 영향을 미친다. UI 디자인 인지심리 요인의 선택성, 전체성, 의미성, 변별성과 기능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현저한 정적(+) 영향을 미친다. UI 디자인 인지심리 요인은 모두 감정 체험에 현저한 정적(+) 영향을 미친다. UI 디자인 인지심리 요인은 모두 지속적 사용의도에 현저한 정적(+) 영향을 미친다.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과 감정 경험은 사용자 지속적 사용의도에 정적 (+) 영향을 미친다. 인지된 용이성은 대부분의 UI 디자인 인지심리 요인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 매개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내용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대부분의 UI 디자인 인지심리 요인은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감정 체험 및 사용자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에 인지심리의 관점에서 UI 디자인의 인지심리 요인을 높이는 것은 사용자 체험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지속적 사용의도를 강화해야 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인지 관점에 볼 때 현재 시장에서 대부분의 모바일 중고거래 앱은 전체 평균값보다 기억성이 낮다. 따라서 UI 인터페이스의 복잡한 정보 구조를 단순화하고 레이아웃 방법을 합리적으로 설계해야 한다. 제시할 정보를 분류하고 정리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양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정보를 얻는 시간을 줄여 사용자의 인지 부하를 줄인다. 또한 UI 디자인 요소의 변별성을 통해 동일한 유형의 앱을 구별할 수 있으며, 개인화된 특성을 보여 사용자의 감정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앱의 UI 디자인은 사용자 경험의 특성을 최대한 만족하도록 설계되었다. 앱의 유용성, 사용 용이성 및 가치를 나타내는 것 외에도 이를 기반으로 UI 디자인의 미학형식과 ‘감정화’도 디자인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감정 디자인은 사용자에게 심리적 즐거움과 감정적인 만족을 줄 수 있다. 더 깊은 측면에서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켜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지속적 사용의도를 높인다. 셋째, 대부분의 UI 인지심리 요인은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감정 체험 및 지속적 사용의도 사이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를 통해 모바일 앱이 사용자 중심적이고 심리적인 차원에서 UI디자인을 해야 하는 중요성을 종합적으로 설명했다. UI 디자인은 시각적 디자인이나 상호 작용 측면에서만 앱 디자인을 논의할 수 없으며 앱의 사용자 인지와 감정 체험을 결합하여 전체 패턴을 디자인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UI 디자인은 모바일 앱을 더욱 경쟁력 있게 하여 장기적인 발전과 가치 구현을 얻을 수 있다.

      • 메시지 서비스 앱 이모티콘의 감정표현에 대한 비교연구

        져우이?이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03

        메시지 서비스 앱이 보급됨에 따라 이모티콘은 전 세계 문화와 소셜 네트 워크 교류의 불가결한 구성 부분이 되었다. 그들은 개인 교류 분야에서 주도 적인 위치를 차지할 뿐만 아니라 상업, 오락과 광고 분야에서도 광범위하게 응용되었다. 이 이모티콘 시장은 끊임없이 확대되고 있으며, 그 응용 분야는 전 세계 사용자들의 광범위한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모티콘은 전 세계 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국가 와 지역의 이모티콘 수요와 디자인에는 현저한 차이가 있다. 서로 다른 문화와 사용자 습관으로 인해 이모티콘의 감 정 디자인은 다양성을 보인다. 본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이모티콘 감정 디자인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비교하며 이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 히고 감정 디자인에서의 독특한 점을 탐구하고자 한다. 2022년 유행하는 이모티콘 리스트를 바탕으로 이들 세 나라의 이모티콘에 대해 상세한 인물, 문자, 감정 분류 및 감정 디자인 등을 분석했다. 감정 이 론을 활용하여 서로 다른 국가의 이모티콘 뒤에 있는 감정 표현 방식을 깊 이 발굴하고 이런 디자인이 사용자들 사이에서 감정을 전달할 때의 효과를 고찰한다. 그리고 색채 심리학을 고려한 감정 디자인 요소를 가미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국 사용자들은 즐거운 감정 이모티콘에 대한 수요가 비교적 높으며 문자, 자세와 요소를 사용하여 즐거움을 표현하는 경향이 있 다. 슬픈 감정에 대한 수요도 현저히 높아서 디자인에서 따뜻하고 위안적인 감정 요소를 전달하는 것을 중시하는 것이 좋다. 이에 비해 한국 사용자들은 감정 표현에 있어서 화난 감장 이모티콘에 대한 수요가 높다. 사용자들은 이 런 감정을 전달하기 위해 표정, 동작, 요소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디자인에 더욱 활력과 표현력이 풍부한 요소를 넣어 사용자의 화난 감정에 대한 표현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일본의 이모티콘 시장은 신뢰 감정의 표현에 더욱 중점을 두고 있으며 주로 이모티콘의 인기 캐릭터와 성격에 집 중하고 있다. 그러므로 디자이너는 대상에게 신임을 표현하고 감정을 안정시 키는 요소를 두드러지게 하여 일본 사용자들이 이 감정에 대한 추구를 만족 시킬 것을 건의한다. 이모티콘의 미래 발전을 고려하면서 감정적 요소의 중 요성을 강조했다. 디자이너는 문화와 사용자의 감정의 공통점을 찾아 이모티 콘의 감정 표현 효과를 높이는 것을 중시할 것을 건의한다. 이모티콘 설계에 더욱 풍부하고 다채로운 감정 요소를 도입하여 부동한 대화 사용에서 사용 자의 감정표현수요를 만족시켜야한다. 이러한 해석을 활용하여 더욱 매력적 이고 감정적 공감이 있는 이모티콘을 맞춤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건 의를 통해 이모티콘 시장의 끊임없는 발전을 추진하고 전 세계 이모티콘 디 자인을 더욱 혁신하고 다양화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풍부하고 진실한 감정 표현 방식을 제공하기를 희망한다. 주제어: 이모티콘, 감정 이모티콘, 메시지 서비스 앱, 감성표현

      • 단백질 바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적 표현 요소가 소비자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중 브랜드를 중심으로

        쉬스으레이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03

        건강 의식이 높아지고 보급되면서, 더 많은 사람이 헬스와 스포츠 활동에 열정적으로 참여하고 건강과 영양식품에 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고단백 식품에 대한 수요를 급증시키고 있다. 현대 제3세대 단백질 제품인 단백질 바는 바쁜 생활양식을 가진 사람들이 간편하게 단백질 섭취 요구를 충족시키는 편리한 선택으로 자리 잡았다. 또한 이 제품들은 운동 후 신속한 단백질 보충을 통해 근육 회복과 성장을 촉진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많은 소비자의 열렬한 환영을 받은 것을 고려하여 시장에서 점점 더 많은 브랜드가 생겨나고 있으며, 동시에 단백질 바의 식감과 품질을 끊임없이 개 선하여 소비자의 입맛과 수요에 더욱 잘 영합한다. 패키지 디자인은 기업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다. 제품의 패키지는 제품에 대 한 첫인상을 형성하며, 이는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패키지 디자인은 제품에 대한 중요성이 계속해서 상승할 것으로 예 상되며, 소비자에게 실질적인 제품 정보를 전달하고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며, 소비자와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로 다른 브랜드의 단백질 바 패키지 시각적 정보 표현 유형은 소비자의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단백질 바 패키 지 디자인에 지도를 제공하여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구매 행위에 적 극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에서 판매되는 단백질 바 제품을 중심으로 시장 점 유율과 인기 순위를 기준으로 연구 범위를 선정했다. 닥터유, 포스트, 칼로바 이, 곰곰, 셀렉스, 켈로그, 프로게이너, 프로틴방앗간, 롯데제과, 뉴트리그램, Ffit8, keep, 하이드록시컷, 클로이 찬, FIBOO, 미스터 웜, 초길, 키플린, 박하 건강, 야수 등 20가지 단백질 바 브랜드를 연구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단백질 바 제품 브랜드 로고, 일러스트레이션, 색 상, 타이포그래피 및 레이아웃과 같은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를 분석 하고 단백질 바 제품 패키지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한다. 본 실증연구는 단백질 바 제품을 구매, 섭취, 이해한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중국과 한국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적 표현 요소를 분석했다. 설문조사는 2023년 9월 23일부터 2023년 10월 1일까지 9일간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총 100건의 설문지를 수거해 연구 분석 에 활용한다. 조사 내용은 인구통계학적 특징, 구매 제품 실태 조사, 브랜드 관심도,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 등으로 구성됐다. 이 연구는 단백질 바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적 유형이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중국 소비자들이 한국 제품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와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수용 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단백질 바의 브랜드 로고는 판독성과 시각 성이 높고 시각적 표현은 이미지 형식의 시각적 정보 전달 방식을 위주로 하며 정보 전달력이 더욱 강하고 색채가 일관성이 있다. 중국 단백질 바은 한국 단백질 바에 비해 브랜드 로고의 판독성과 시각성이 낮고 시각적 요소 가 복잡하며 정보 전달 능력이 약하여 소비자들이 브랜드에 대한 지속적인 신뢰와 구매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중국 단백질 바의 제품 판매량을 늘리고 브랜드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한국 단백질 바의 장단점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중국 소비자들이 올바른 선택과 안전한 사용을 위한 패키지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초석을 다 질 수 있기를 바란다. 아울러 중국 기업이 올바른 시각 정보 교류를 통해 브 랜드 신뢰도와 소비자 선호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했다.

      • UX 디자인 기반 쇼트 비디오 앱 사용자 고착성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한국 쇼트 비디오 앱 사용자 중심으로

        정원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0703

        네트워크와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라 내용이 점점 ‘단편화’되고, 용량의 크기가 작으며 콘텐츠가 다양한 쇼트 비디오가 출현하게 되었다. 쇼트 비디오는 인터넷을 통해 빠르게 전파되고 사용자가 쇼트를 감상하는 동안 정보를 습득할 수 있어서 현대인의 단편화된 정보에 대한 수요와 공유 욕구에 부합하는 수단으로서 단기간에 큰 인기를 얻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UX 디자인 기반 쇼트 비디오 앱 사용자 고착성 영향 요인중 쇼트 비디오 앱의 UX 디자인 요소를 내부적 요인으로 삼고, 사용자 관점에서 지속적인 사용 의도와 몰입을 외부적 요인으로 삼아 쇼트 비디오 앱의 기능이 어떻게 사용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고 지속적으로 몰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지에 관해 중점적으로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터넷 환경에서의 쇼트 비디오의 발전, UX 디자인 이론, 몰입 이론과 지속적 사용의도 등의 선행이론을 정리한 후 한국의 대표적인 3개의 쇼트 비디오 앱을 대상으로 쇼트 비디오 UX디자인 요소에 관한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쇼트 비디오 앱 UX디자인 요소와 관련하여, 쇼트 비디오 앱의 사용자 고착성을 형성하는 영향 모형과 연구 가설을 제시하고, 설문지를 설계하였다. 쇼트 비디오 앱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한국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설문지 414부를 회수했다. 그리고 통계학 분석 프로그램 SPSS 24.0를 사용하여 표본의 일반적 특성 분석,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및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한국의 쇼트 비디오앱의 사용자 고착성 영향 요인을 분석하여 연구 가설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쇼트 비디오 앱 기능의 사용성, 가치성, 매력성, 오락성은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몰입은 지속적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지속적 사용의도는 사용자 고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쇼트 비디오 앱의 UX 디자인 요소가 사용자 고착성에서 보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명확히 했다. 또한 연구 결론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UX 디자인에서 쇼트 비디오의 사용자 고착성 영향 요인을 제안하였다. 쇼트 비디오 앱 디자인의 영향 범위는 과학기술의 끊임없는 발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사용자 고착성이 다른 앱과 관련한 다양한 분야에 더 많이 탐구되고 연구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A Study on Pattern Design Using Traditional Art and Symbolism: Focusing on Korean Dancheong and Ugandan Traditional Crafts

        다이애나 암푸리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03

        A Study on Pattern Design Using Traditional Art and Symbolism: Focusing on Korean Dancheong and Ugandan Traditional Crafts AMPURIRA DIANAH*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Graduate School Dankook University Advisor: HAN SEOK WON The progressive influence of Korean culture in Uganda, driven by the widespread appeal of Taekwondo, Korean music, and dramas, has spurred cultural awareness between the two nations. Despite a longstanding 60-year diplomatic relationship,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mong Ugandans remains limited, largely confined to its representation in entertainment media. Similarly, the visibility of Ugandan culture in South Korea is low, limiting opportunities for cross-cultural exchange. This study aims to narrow the cultural gap by employing design as a medium to foster a deeper appreciation of both countries' rich traditions and heritage, specifically through the creation of patterns that seamlessly blend elements of Korean and Ugandan cultural motifs.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d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that highlighed the differences and shared aspects between the two cultures. While both exhibit similarities in using general motifs such as animals, plants, nature, and geometric patterns, notable differences emerged in the * The author of this thesis is a Global Korea Scholarship scholar sponsored by the Korean Government symbolism, meaning and application of these motifs. Given the study's central focus on pattern design, special attention was devoted to traditional elements which demonstrate a notable prevalence of patterns, ultimately narrowing down to Dancheong in Korea and Crafts in Uganda. In comparision, Dancheong's uniform colors in Korean architecture contrast with the varied color applications in Ugandan crafts, while the textural diversity of Ugandan crafts stands distinct from Dancheong's application primarily on wooden surfaces. These differences have been well utilized using design as a tool that cuts across borders. The study documented the design process to achieve a fusion of patterns. This process involved the selection and transformation of specific motifs into vectors, employing scientific pattern creation methods in the rearrangement and recoloring process guided also by design principles and motif symbolism. The aim was to ensure a balanced and harmonious integration of the two cultural aesthetics. Ten unique patterns were created and applied to a diverse range of items, highlighting their adaptability across various scales and forms. This integration of Korean-Ugandan traditional patterns into everyday items aimed to promote cultural understanding and dialogue between the two nations. This study champions the role of design as a powerful tool for nurturing cross-cultural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By celebrating the distinct cultural identities and historical legacies of both Korea and Uganda, this research paves the way for sustained collaborative efforts aimed at fostering mutual learning and cultural exchange on a global scale. Keywords: Cultural Exchange, Pattern design, Dancheong, Uganda Traditional culture, Korean traditional culture, Ugandan 태권도, 한국 음악 그리고 드라마의 광범위한 매력에 의해 이끌어지는 우간다 내 한국 문화의 진보적인 영향력은 두 나라 사이의 문화적 교류를 촉진시켰다. 60년의 긴 외교 관계에도 불구하고, 우간다인들 사이의 한국 문화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는 제한적으로 남아있는데, 주로 연예 매체에서의 표현에 국한된다. 마찬가지로, 한국에서 우간다 문화의 가시성은 제한되어 있고, 문화 간 교류의 기회를 제한한다. 본 연구는 디자인을 매체로 사용하여 양국의 풍부한 전통과 유산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촉진함으로써, 특히 한국과 우간다 문화적 모티브의 요소들을 매끄럽게 혼합하는 패턴의 생성을 통해, 문화적 격차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 방법론은 두 문화 사이의 차이와 공유된 측면을 강조하는 광범위한 문헌 검토를 포함한다. 둘 다 동물, 식물, 자연 그리고 기하학적 패턴과 같은 모티프를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 유사성을 보이지만, 이러한 모티프의 상징과 적용에 있어서 주목할 만한 차이들이 나타났다. 한국의 디자인은 문화적으로 중요한 꽃무늬와 신화적인 생물들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반면, 우간다의 공예* 본 논문 작성자는 한국정부초청장학금 (Global Korea Scholarship)을 지원받은 장학생임 - 149 - 는 두드러지게 지역 야생 동물과 더 일반적인 꽃 모양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건축에서 단청의 통일된 색상은 우간다 공예에서의 다양한 색상 적용과 대조되는 반면, 우간다 공예의 텍스트의 다양성은 주로 나무 표면에 단청의 적용과 구별된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들은 국경을 가로지르는 도구로서 디자인을 통해 잘 활용되어 왔다. 이러한 융합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는 디자인 과정을 꼼꼼하게 문서화하였는데, 이 과정은 특정 모티브를 신중하게 선택하고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를 사용하여 벡터로 변환하는 것을 포함했다. 이 모티브들은 두 문화 미학 사이의 조화로운 균형을 보장하기 위해 디자인 원칙에 따라 세심한 재배열과 회상 과정을 거쳤다. 10개의 독특한 패턴이 만들어졌고 다양한 스케일과 형태에 걸친 적응성을 강조하며 다양한 범위의 아이템에 능숙하게 적용되었다. 한국-우간다 전통 패턴의 일상용품으로의 통합은 양국 간의 문화적 이해와 대화를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디자인이 이문화 이해와 감상을 위한 강력한 도구로서의 역할을 지지한다. 본 연구는 한국과 우간다의 독특한 문화적 정체성과 역사적 유산을 기념함으로써 세계적 규모의 상호 학습과 문화 교류 증진을 위한 지속적인 협력 노력의 길을 열어준다. 주제어: 문화교류, 패턴디자인, 단청, 우간다 전통문화, 한국전통문화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