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실과 학습지도 제약요인

        유희섭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855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학습지도 제약요인들을 알아보고 이에 관련되는 변인들을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의 초등학교 교사들이며, 도시 지역의 대표인 수원시, 인천시지역 112명, 중소도시의 대표인 고양시, 의정부시의 115명, 농촌 지역의 대표인 파주시, 김포시의 116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의표집하여 34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306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적용한 주요 통계방법은 빈도 및 기술분석, 신뢰도 검증, 문항 변별도 검증, t-검증, 변량분석 등이었다. 통계 검증의 유의수준은 5%로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학습지도 제약요인은 학습 환경, 학습자인식, 교육과정, 교사인식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 인구학적 변인의 교사의 성별이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이며,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실과 교육과정 면에서 학습지도의 제약을 덜 받고 있었다. 셋째, 사회 인구학적 변인의 교사의 실과 교과전담 경험이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교육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이며, 실과 교과전담 경험이 있는 교사가 없는 교사보다 실과 교육에 대한 인식을 높게 가지고 있어 실과 학습지도의 제약을 덜 받고 있었다. 넷째, 사회 인구학적 변인의 교과지도 경험이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인식과 학습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이며, 실과 교과지도의 경험이 많을수록 교육과정과 학습환경의 제약을 덜 받고 있었다. 다섯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학습지도 제약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은 실과 지도 경험, 실과 교과전담 경험 및 성별과 교사 인식, 실과 학습에 임하는 학습자 인식, 실과 교육과정 인식, 실과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등이었다. 여섯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에서는 직전 교육의 활용도, 지도능력 부족, 교과 관심도 저조 등이 학습지도 제약요인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일곱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교육에 대한 학습자 인식에서는 안전사고, 소란스러운 학습 분위기, 실습 후의 뒷정리 소홀 등이 학습지도 제약요인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여덟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교육에 대한 교육과정 인식에서는 실습 시간 부족, 교과 시간배정 부족, 교육과정 재구성 등이 학습지도 제약요인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아홉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학습환경 대한 교사 인식에서는 실습시설과 교구 설비, 자원인사의 활용 여건, 실습지 구비, 관리자 인식 부족, 예산 지원 등이 학습지도 제약요인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실과 학습지도에 대한 후속 연구와 현장 개선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실과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높은 편이나 실과 학습환경에 대한 인식 수준은 매우 낮으므로 효율적인 실과 학습지도가 이루어지도록 현장 실습 중심의 실습실, 실습지, 실습을 위한 교재 교구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겠고, 보다 자신감있고 질 높은 실과 교육을 위해서는 실과 전담교사를 배정하여 학습지도를 해 나가는 제도적인 개선책이 요구된다. 둘째, 흥미있는 실습 중심의 학습 지도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실과 교육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고, 실기 연수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제도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strictive factors of teaching Elementary Practical Arts subject and to identify its related variable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yeonggi and Incheon. An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Suwon and Incheon city(112), Koyang and Uejeongbu city of midsize urban areas(120) and Paju city, Kimpo city of rural areas(116) by using Purposive Sampling. 306 questionnaires were used in analyzing after data cleaning of 343 sheets. The major statistical technique that was applied to this study was Frequency & Descriptive, Cronbach'α, Item-Discrimination, t-test, ANOVA.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at 0.05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1. The restrictive factors in teaching elementary practical arts were shown in order of learning environment, learner's recognition, curriculum, teacher's recognition. 2. Among socio-populational variables, teacher's gender was influential factor to the recognition of curriculum, one of 4 restrictive factors in teaching, and female teachers were less restricted than male teachers. 3. Among socio-populational variables, the teacher's experience of teaching practical arts only was influential factor to the recognition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teachers who had experinced teaching Elementary Practical Arts only were less restricted because they have high recognition to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4. Among socio-populational variables, the experience of teaching Elementary Practical Arts is influential factor to the teachers' recognition of curriculum and learning environment , the more they have experience of teaching Elementary Practical Arts the less they are restricted. 5.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restrictive factors wh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 practical arts are the experience of teaching practical arts , how the teachers recognize learner's who join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gender, teacher's recognition of curriculum and the recognition to the learning environment. 6. In teacher's recognition, the affecting factors are using level of knowledge that is acquired in their university days, the deficiency of teaching ability and low interest about practical arts education. 7. In the case of teacher's recognition to the learners joining in practical arts education, noisy learning atmosphere, accident, the negligence of arrangement after practicing were shown as the restrictive factors that are influential to teaching. 8. In the case of school teacher's recognition to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the deficiency of practicing time, the deficiency of class hours, the remaking of curriculum were shown as the restrictive factors that are influential to teaching 9.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to the environment of practical arts learning, manager's deficiency of recognition, principal's disapproval when they go to some places to learn and the need of practicing land were the restrictive factors that are influential to teaching.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at were acquired from this study, I want to give some suggestions to renovate our classroom and to help succeeding studies. 1. Teacher's recognition level about practical arts education is high but the recognition level about learning environment is so low. And then we need to procure classrooms for practicing and land for practicing, materials and textbooks for practicing and we need to change our practical arts education system by allotting the teachers who teach only practical arts. 2. For interesting teaching that concentrates on practicing, there must be systematic support for the teachers to increase interest about practical arts education, to join the practical skill training course, to resolve the deficiency of skill and there must be the development of visual and audio material and teacher's endeavor

      • 초등실과교육에서의 진로교육 내용 및 방법에 관한 요구도 조사

        이기덕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의 목적은 제 7차 실과교육과정과 관련하여 현장교사들이 요구 하는 가장 효과적인 진로교육의 내용과 학습 방법을 조사함으로써 실과 교육과 관련된 기초적인 진로지도 자료를 제공하고, 보다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진로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 교육과정에서는 진로교육과 관련된 교과목이 없으며 각 교과내용의 관련단원을 통하여 지도하고 있고 각 교과의 단원별로 진로교육의 영역이 계획적이지 못하며, 일관성 있게 반영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초등학교 진로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실과교과는 노작을 통하여 도구를 다루고 그것을 통하여 일을 완성시키는 일련의 경험과 실천력을 중시하는데, 이 과정에서 합리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능력, 창의성, 관찰력, 유연성과 정밀성올 신장하고 다양한 경험 속에서 흥미와 적성을 발견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진로에 대한 인식을 심어 줄 수 있다. 그러나 실과 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일부 단원에서만 진로교육이 이루어져서는 안되며 전 교과 단원에서 일과 직업 등에 관한 전반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초등학교에서 진로교육에서 필수적으로 다루어야하는 내용영역 7가지 '자아인식' '일과 직업의 세계이해' '일에 대한 긍정적 태도 및 가치관형성' '의사 결정 능력' '인간 관계기술'. '일과 직업의 경제적 측면 이해' '일과 직업의 교육적 측면 이해'를 제시하고 이중 실과교과의 각 단 원별로 강조해야하는 진로교육의 내용영역이 무엇이고 또한 진로교육은 어떠한 방범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 조사해볼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실과교육에서의 진로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일반적인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실과교과 5·6학년 전체에서 단원별로 강조해야 할 진로교육의 영역은 무엇인가? 셋째, 초등학교 실과교과 5·6학년 전체에서 단원별로 적절한 진로교육의 방범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위한 도구로는 인천광역시와 경기도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212명에 대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로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초등학교 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실과교육에 서의 진로교육에 대한 의견과 진로교육 내용영역, 진로교육 방법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x²-test (chi-square)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교사들은 초등학교에서 진로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진로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교사들은 '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및 가치관형성'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므로 '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및 가치관 형성'을 바탕으로 7가지 진로교육 영역이 골고루 지도 될 수 있는 진로교육이 필요하다. ·초등학교에서 진로교육을 위한 별도의 교과 신설과 특정교과에서 진로교육을 하기보다는 범 교과 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7차 교육 과정에서 실과교과에 진로교육 단원이 도입되어 실과교과를 통한 진로교육에 주도적인 교과가 될 것이다. ·진로교육은 교직경력과 연령이 높을수록 진로교육을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나 신규교사나 경력이 적은 교사에게 진로교육에 대한 연수기회의 제공이 필요하며, 현재까지 진로교육방법이 단순한 진로에 관한 훈화나 진로의 날 행사, 독서지도를 통해 진로교육이 이루어져 왔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미 계발된 프로그램을 활용하거나 재량활동 및 특별활동 등을 이용하여 진로교육 다양하게 이루어진다면 그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실과교과의 단원에 따른 진로교육 지도 영역은 '일과 직업의 세계 이해'영역이 단원별로 가르쳐야 할 진로교육 영역에서 가장 많이 응답하여 진로교육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 서 7개의 진로교육 내용 영역이 실과교과에서 단원별로 골고루 적용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7차 교육과정에서 실과 단원에 따른 진로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학습 방법은 실습 법이 가장 높지만 실과교육의 성격과 특성을 고려하여 가정과 연계한 학습방법 및 체험학습 이나 정보통신교육 등 다양한 학습방법이 적용될 때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진로교육이 이루어 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materials about career guidance which can be used in the class of practical arts and to give right directions to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who are seeking for a more effective and desirable career guidance. For this purpose, I inquired into teachers' needs who are teaching with 7th government-issued curriculum' what kind of career guidance do they think the most necessary? and which method do they think the most effective? In the present 7th curriculum, there is no subject which specializes in career guidance. Teachers have to turn to individual unit or chapter of subject like Korean, Social studies and ethics. In this situation, they can not give systematic and integrated career guidance to students. This is a serious problem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career guid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guring out the alternatives, I started to pay attention to practical arts. Practical arts requires not only thinking abilities but also practical abilities to deal with tools and make things really happen. In the practical arts class, students can enrich their creativities and experiences. Considering the fact that practical experiences are essential to career guidance, we can easily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Practical arts is the most suitable subject for career guidance. There are seven factors which consist of career guidance' 'recognizing one's identity', 'understanding the world of jobs and its work', 'positive attitude towards jobs and developing a sense of values', decision-making abilities', 'managing the human relationship', 'understanding the economic aspect of occupation', 'understanding the educational aspect of occupation'. We need to do a research about which factor should be empathized and which ones should be integrated in each chapter of practical arts. The followings are the contents of this study. Firstly, what are the general opinions about the ongoing career guidance in the practical arts class? Secondly, which one of the seven previously-mentioned factors should be empathized in each chapter of the practical arts for 5th and 6th graders? Thirdly, what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offer career guidance in each chapter of the practical arts for 5th and 6th graders? To get the meaningful results of this study, I surveyed 212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ork in the area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Kyeonggi province. I applied χ²-test(chi-square) method to show how teachers think differently about the following issues' what is the desirable career guidance, what they have to teach in the career guidance, how they teach it effectively.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this study. ·Mo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nk that career guidance is necessary in the elementary curriculum. And they think that 'positive attitude towards job and developing a sense of value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career guid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we create the integrative curriculum for career guidance based on it. ·It is a better idea that all the individual subjects share its responsibility for the career guidance than we make a new subject which specializes in career guidance or a specific subject takes charge of all career guidance. However, it is likely that practical arts will take the initiative in the career guidance since special units dealing with career guidance are added to it in the 7th curriculum. ·The study shows that the more experienced or older teachers tend to have more experiences of teaching career guidance. So new teachers or little-experienced teachers need to be offered education program of career guidance. Additionally, until now, career guidance have been very unsuccessful. It has been carried out only by means of verbal lectures or one day event or reading guide. But if we enlarge the range of it by using previously-developed programs, club activities and other extra classes, we will give more effective career guidance to students. According to the study, the factor, 'understanding the world of jobs and their works' is most frequently showed in the units of practical arts of 7th curriculum. Therefore, all the factors should be applied properly to every units of practical arts. ·Usually practical exercise has been considered the most effective method in career guidance, but it will be much more effective when we add other various learning programs like field study, educ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learning associated with home.

      • 초등학교 실과교과에 반영된 가정과교육 내용분석

        이춘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855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실과교과에 반영된 가정과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교육과정 또는 교과서 개발시 학년간, 영역간 그리고 시대상황에 맞는 가정과교육 내용을 제공하고 나아가 미래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에 도움이 되는 제언을 하는데 있었다. 실과 교과에 반영된 가정과교육 내용분석을 위하여 관련 문헌에 나타난 가정과교육 내용체계를 분석하여 초등학교 실과에서 다루어지는 내용의 의생활, 식생활, 주거환경, 생활자원의 관리와 소비생활, 가족 등 다섯 항목의 대영역과 열두 항목의 소영역을 설정하였다. 이를 가정과교수, 현직교사, 대학원생들에게 타당도 검증을 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이를 바탕으로 내용분석을 하였다. 내용분석은 교육과정기별, 영역별, 학년별로 하고 분석결과를 계량화하여 그 비중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기별 초등학교 실과교과에 반영된 가정과교육 내용분석 결과는 제1차부터 7차까지 평균 약 56%가 가정과교육 관련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의생활, 식생활, 주거환경, 생활자원의 관리와 소비생활, 가족 등의 내용이 다양하게 지도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식·주생활에서 흔히 일어날 수 있는 문제들을 합리적으로 생각하고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본적 능력과 태도를 길러주기 위한 교육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영역별 초등학교 실과교과에 반영된 가정과교육 내용분석 결과는 의생활영역의 피복선택과 옷차림, 수선과 피복위생은 지도내용이 점점 축소되다가 제7차 때는 삭제되었다. 식생활영역은 식생활 문화가 바뀌고 생활이 풍요로워짐에 따라 근대에 이를수록 영양과 건강문제에 관심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족영역은 제1차, 6차에서는 다루어지지 않다가 5차, 7차로 갈수록 중요성의 증가 추세를 보였다. 이와 같이 당시의 사회적 변화와 시대적인 요구에 따라 반영율이 높아지거나 낮아지며 삭제, 추가되는 내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년별 초등학교 실과교과에 반영된 가정과교육 내용분석 결과는 3학년에서는 열두 항목의 소영역 중 여섯 항목이 지도되었고, 4학년에서는 열두 항목 모두 지도되었으며 5학년에서는 피복선택과 옷차림은 제1차, 3차, 6차, 7차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6학년에서는 의생활영역이 제1차와 6차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았고 가족영역도 6차 때에는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와 같이 교육과정 개편 시마다 학년 선정과 교육내용이 바뀌는 것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실과교과 중 가정과교육 내용개선과 미래 교육과정에 대한 전망 및 후속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가정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의 다양하고 새로운 형태의 가정학 영역설정을 시도해볼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학교 실과교과의 가정과교육 내용은 가정생활, 사회의 변화에 따른 교육과정의 이루어지도록 지속적인 연구분석이 필요하다. 셋째, 가정붕괴, 결손가정의 증가 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가족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실과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교육과정개정이나 교과서 개발 시 영역별 특성을 고려한 학년간 연계성, 계속성 등을 고려할 수 있도록 난이도에 따른 선정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suggest the strategies for the future elementary home economics Curriculum development. The content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suitable for each grades stages and related areas according to the socio-cultural contents. The content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textbook has been analyzed.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is made up of the clothing and life, the living environments, the food and nutrition, the management of life resources, our daily life as consumers and the family relationship. To analyze the content education, the major field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has been categorized as 5 items and the minor field for 12 items,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content system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with literature review. To make sure they're valid or not through professors in the home economics, the incumbent teachers and the graduate students, I gathered their opinions, decided them and analyzed the content based on it. The content analysis proceeded with the Curriculum periods, fields, school years. Th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ly, The analyzed results of the contents of home economic education as a practical course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ere consisted of 56.0% related to home economics education from 1st to 7th period, including clothing habits, diets, housing circumstances, life resources, consuming life, family etc. which was verified to be an educational course to raise the basic ability and attitude to reasonably think and solve problems of common occurrences in our food, clothing and housing lives. Secondly, of the contents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text book, the choosing clothes, attire, clothes mending and clothing sanitation in the clothing area have gradually been reduced and were deleted in the 7th period. The food area has gained high interest of health as the food culture was changed and the life was abundant. The family area was not dealt in the 1st and 6th periods, but became important more and more as going from the 5th to the 7th period. As this it was used to be reflected more or less along with social changes and the ask of times and to be added or deleted. Thirdly.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tents in the practical arts textbook by grades, 6 items of the minor field formed of 12 items were taught in the 3rd grade, 12 items all in the 4th grade, the choosing clothes and attire were not dealt in the 1st, 3rd, 6th and 7th periods in the 5th grade, the clothes area was not dealt in the 1st and 6th periods in the 6th grade and the family area was not dealt in the 6th period. As this whenever the curriculum was amended, the contens by grades has been changed. As this, I suggest as the followings for the prospect and the succeeding study of our future education and improvement. Firstly, scholar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shall try to establish the area of new and diverse home economics education. Secondly, it requires to be continuously studied to be a curriculum available for home life and social changes. Thirdly, it demands the need of education and recognition of importance about family with social problems occurred, owing to home collapse or deficit family. Fourthly, it is desirable that the textbook author and the persons concerned in the curriculum improvement should think over consideration of the relative difficulty and the connection with the content of the school year.

      • 초등학교 실과 교과를 통한 진로교육 방향 모색

        황석철 부산교육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실과의 진로관련 영역에 대한 현장 교사의 지도 실태를 파악하여 실과교과에서의 보다 효율적인 진로지도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따라서 부산지역 초등학교 교사 302명을 대상으로 초등학생들의 진로인식, 진로교육의 필요성, 진로교육 방법, 실과 교과와 진로교육과의 관계, 실과교과에서의 진로지도 정도와 방법, 제 7차 실과교육과정에서 진로단원의 도입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실과에서의 진로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초등학생들의 진로인식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63.8%의 교사가 인식하고 있다는 대답을 하여 초등학생들의 진로인식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직업 선호도에서는 맹목적이고 유형에 민감한 인기위주의 직업을 선호(51.0%)한다는 응답이 높았고, 진로정보를 얻는 방법에서도 교과 학습(7.3%)을 통하거나 부모(12.9%)를 통하여 진로정보를 얻는 것보다 신문이나 T V를 통해 얻는다(66.6%)는 의견이 많은 것은 초등학생들의 진로인식 단계에서 비교육적이고 염려스러운 부분일 것이다. 나. 전체 교사의 61.2%가 초등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진로교육이 형식적이거나 비교적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응답하여 초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이 제대로 행해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초등학교 실과교과 지도와 진로지도에 관한 조사에서 실과교과가 초등학생의 진로지도에 가장 효과적인 교과라는 대답이 전체 교사의 58.6%로 가장 높았고, 그 이유로는 실과가 생활교과이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실과교과가 진로지도에 주는 도움의 정도에 대해 남교사의 72.6%, 여교사 52.5%가 도움을 준다고 답하여 남녀 교사간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한편 실과교과가 타 교과보다 진로지도에 효과적이라는 대답이 전체 교사의 63.9%로 높게 나타났으며 남녀 교사간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실과교과 지도를 통한 진로교육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전담교사를 두어야한다는 의견이 36.4%로 높게 응답하였다. 이는 실과교과의 영역이 생활전반에 걸친 다양한 영역으로 편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기능교과로 지도하는데도 어려움이 많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고 볼 수 있다. 다. 제 7차 실과 교육과정에 진로단원이 도입된 데 대하여 전체교사의 84.8%가 바람직하다고 답하였다. 이는 초등학교 실과를 통한 진로교육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사실을 대변해 주는 것이며, 효과적인 진로지도의 학습법으로는 견학 및 현장 학습을 들었고, 일, 노작, 실습 등을 통하여 타교과와 의 차별화를 두어야한다고 응답하였다. 라. 실과 교과를 통한 효율적인 진로교육의 방안으로 제 7차 실과교육과정 체계와 관련하여 가족과 일의 이해를 통한 진로지도, 생활 기술을 통한 진로지도, 생활 자원과 환경의 관리를 통한 진로지도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다양한 학교 활동을 통한 진로지도 방안으로 현장학습을 통한 진로지도, 실과 교과 내용과 연계한 특별활동 및 봉사활동 프로그램을 통한 진로교육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진로지도의 효율화 방안으로 일선 교사들을 위한 진로교육 연수확대, 진로지도 시간 확대, 진로교육 자료 확보, 실과 전담 교사제 실시, 그리고 지역 사회와의 연계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th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teach the practical course in relating to the career education and to give them the direction to effectively do this. I studied 302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Pusan and gathered data that found: -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eption about careers, - the necessity of the career education, - the method to do the career education,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al Course and career education, - the amount of career education in Practical Course, - the introduction of the Practical Course in the 7th Educational Course. On the basis of this study, I have outlined how to teach career education in Practical Course. Following is the summary. A. Even though there is some difference, about 63.8% teachers sai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nk about the career planning. However, their job preferences are sort of ignorant and sensitive to trends (51.0%). About the question how to get the information about the jobs, more students get the information through newspaper and T V. (66.6%) than from parents (12.9%) and school education (7.3%). This fact may cause us to worry about the lack of education. B. 61.2% of the teachers surveyed said career education is just a formality and it is not effectively done. This tells us that career education is not well done in actuality When analyzed the survey about Practical course it self and career education, 58.6% answered Practical Course is the most effective subject to do career education and they said the reason is because it deals with real life. About the question, how helpful Practical Course is to the career education,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male teachers (72.6%) and female teachers (49.3%). About the question, if Practical Course is effective to career education, 63.9% of all teachers answered yes. There was also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About 36.4% said that in order to be most effective, we should have a teacher devoted only to that subject. This shows that because Practical Course deals with all aspects of life and also some engineering part, it gives some difficulties to the teachers. C. 84.8% of the teachers showed positive answers about the introduction of the Practical Course content in the 7th educational course. This shows that it is a good way to give the career education through Practical Course. And they said the effective way to do career education is to learn by inspection, on-site study and hands-on experience, so that it can be different from other subjects. D. I suggested the most effective way to do career education i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Practical Course in the 7th Educational Course, family and work, life technology, resource management, environmental protection, special club-activities and volunteer work that relate to the text book. Lastly, in order to get the most effectiveness through career education I suggested that we should: - expand the training time for the teachers in career education, - expand the class time in career education, - obtain more materials for career education, - have teachers devoted to only Practical Course, - strengthen the intera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 초등 실과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조선자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실과 교과에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진로교육의 효율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의해 설정된 연구내용은 ‘첫째, 초등학생들의 진로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둘째,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진로인식 효과를 분석 한다’ 는 것이다.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대구광역시 남구에 소재한 D초등학교 5학년 2개 반을 선정하여 4월에서 6월까지 3개월 동안 실과시간에 주 1회 연차시로 80분씩 총 24차시에 걸쳐 실험반에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실과교과에서 단원별, 차시별로 진로교육 관련 지도요소를 뽑고 지도 요소에 따라 동기유발자료 및 활동자료로 16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단원 마지막 차시에는 단원과 관련 있는 직업을 탐색하여 직업사전 만들기를 하였다. 실과교과에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반과 비교반 모두 진로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의도적 표집 방법에 순응하여 연구의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질통제집단 전후검사 설계 방법을 사용하였고, 진로인식 검사지는 신뢰도 검사를 거쳐 사용하였으며 4점 척도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12.0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내용을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 paired-t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교과에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한 실험반과 비교반의 진로인식을 검증한 결과,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과교과에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수행은 진로인식의 하위 요소인 아동의 자아인식 능력, 일의 직업의 세계 능력, 일에 대한 긍정적 태도 능력, 의사결정능력 향상에 긍정적으로 기여하였음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초등학교 실과교과에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진로인식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이 입증되었다. 위의 결론을 토대로 이 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진로교육 내용이 학년 발달단계에 따라 일관성 있게 그리고 체계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본 연구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단기에 걸쳐 적용하였으므로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도 유지될 수 있도록 가정과 지역사회와 연계한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셋째, 초등학교에서는 담임교사가 모든 교과를 가르치므로 담임교사에 대한 진로교육에 대한 전문가로서의 소양교육이 필요하겠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약 3개월간의 실험을 진행하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양적 접근을 통하여 검증하였으며, 개별 학생의 진로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실과교과에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나타나는 개별 학생의 진로인식 변화 과정을 살펴보는 질적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교육 역량 범주화 및 타당화

        노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855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교육 역량을 범주화하고 타당화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가 실과교육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교육역량과 실과교육 관련 선행연구를 비교․분석․종합하여 역량을 범주화하고 역량 초안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역량에 대해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수정․보완한 후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교육 역량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역량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13명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의견일치도를 보인 영역은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라 수정․보완되어 최종적으로 역량을 확정하였다. 확정된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교육 역량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교육 역량은 최종적으로 실과교육 지식 역량군, 실과교육 수행 역량군, 실과교육 태도 역량군의 3개의 영역으로 범주화 되어 3개의 역량군과 18개의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역량군별 역량을 살펴보면 1. 실과교육 지식 역량군은 1-1. 실과 교육과정 지식, 1-2 실과교과 내용 지식, 1-3. 실과 수업 방법 및 평가 지식, 1-4. 실습활동의 절차 및 도구 이해 지식, 1-5. 학생 관련 지식으로 구성되었다. 2. 실과교육 수행 역량군은 2-1. 내용 통합 능력, 2-2. 수업 설계 능력, 2-3. 실과 수업 물리적 환경 조성 및 관리 능력, 2-4. 실과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능력, 2-5. 노작활동 지도 능력, 2-6. 실과 수업 실행 능력, 2-7. 실과교육 평가 능력으로 구성되었다. 3. 실과교육 태도 역량군은 3-1. 실과교육에 대한 확고한 신념과 의지, 3-2. 노작 경험 지향성, 3-3. 동료 교사와의 협력 의지, 3-4. 지역사회 연계 태도, 3-5. 정보 수용 및 활용 성향, 3-6. 생활 속 실천가로서의 윤리적 태도로 구성되었다. 둘째, 제2차 델파이 조사 결과 역량군 및 각 역량별 타당성 정도가 평균 4.62 이상, 긍정율이 92.3% 이상, 중위수 5, 사분범위 4~5사이, CVR값이 0.85 이상, 합의도는 0.8 이상, 수렴도 0.25 이하로 전문가 패널들의 의견 일치도가 높게 나타나 역량에 대한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셋째, 교육의 질에 있어서 교사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교사의 자질, 능력, 전문성, 역량 등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어 왔다. 초등학교에서 실과교육은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인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는 교사의 역량이 교육의 성패에 중요한 가늠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도출된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교육 역량은 실과수업이 가능한 초등학교 교사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역량을 규명함으로서 실과교육의 바람직한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대구. 경북지역 초등교사가 認識하는 실과교육 活性化 방안에 대한 硏究

        임정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855

        초등실과가 교육 내·외적 원인에 의하여 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개정되어 오는 동안 다른 교과와는 달리 이수 학년과 주당 시간 수가 점차 줄어들고 있어 실과 교육에 대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더구나 2007년 수정 교육과정에서도 여전히 5~6학년에서만 실과교과 교육이 배정됨에 따라 향후 적어도 7년간 또다시 초등학교 6년 교육기간 중 2년간만 실과교과를 가르치게 되어 문제가 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실과가 교과로서의 정당한 위치를 찾고 사회의 발전과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원활하게 교육되어지기 위해서 교육내용은 어떤 것이 선정되어야 하며, 지도 학년과 지도 시간은 어떻게 배정되어야 할지에 대하여 대구·경북 지역 일선 교사들의 견해를 조사하여 향후 국가교육과정을 운영하거나 재정립할 때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는데, 먼저 문헌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실과의 정체성은 실과교육에서 노작교육의 필요성, 실과교육의 학문적 구조와 실과 교과의 특성 측면에서 주장할 수 있으며 21세기 사회의 특성과 요구에서 실과 교육의 필요성 근거를 찾을 수 있다. 둘째, 제7차 교육과정까지의 교육시수는 계속 감소되어 온 것을 알 수 있으며,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은 의식주와 직업에 대한 이해, 기능과 지식, 사회와 협력, 건전한 생활태도, 즉 자립생활 및 실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기능과 직업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에서 일상생활에 필요한 일을 경험, 학생의 소질을 계발하고, 정보화, 세계화의 미래 실생활에 대처할 수 있는 기본적인 능력과 태도 배양으로 발달하였다. 이러한 변화 요인으로는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철학적 변화 요인에 기인되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제7차 초등실과교육과정 운영에의 문제점으로는 이수시간과 학년의 감축, 실과교육에 대한 학교 구성원의 인식 변화, 교사 연수의 부적절, 시설 설비 및 기자재의 부족, 실과 평가의 부적절성, 가정학습 과제 개발의 미흡 등을 들 수 있었다. 다음으로, 조사연구는 초등실과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초등실과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그리고 초등 교사들의 실과교육 정상화 방안에 관해 SPSS/WIN 14.0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구 경북 지역 교사들은 실과 연수나 재교육의 경험이 5%에 불과하며, 실습실 구비 학교도 조사대상교의 9.1%에 지나지 않았다. 둘째, 실과 교과의 정체성에 대한 교사들의 응답은 다음과 같았다. (가) 실과 교과의 독립교과로서의 필요성을 인정하였다. (나) 교사들은 실과 교과가 생활의 적응능력과 일에 필요한 기본적인 소양을 기르는데 도움을 주는 교과로서 그 역할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교육경력이 ‘6-10년’인 교사가 보다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다) 교사들은 실과 교육이 아동의 적성 계발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여성인 교사와 교육경력이 ‘6-10년’인 교사가 보다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라) 교사들은 실과교육이 아동들에게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육성하는데 기여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여성인 교사와 실과지도 경험이 6년에서 15년 사이의 교사들이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마) 교사들은 실과 교육이 일과 직업에 대한 건전한 태도를 갖게 하는 목표 달성에 충분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여성인 교사가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바) 교사들은 생명 존중이나 애정, 협동 활동 등 인성교육과 관련된 실과 교육내용들이나 활동이 인성교육에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교육경력이나 실과를 지도한 경력이 어느 정도 자리잡혀 있을수록 긍정적인 반응을 하였다. (사) 실과 교과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교사들의 의견으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내용을 타 교과보다 먼저 선점하여 가르쳐야 한다.’는 견해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셋째, 실과 교육의 정상화 관련 질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교사들은 대부분 3, 4학년의 실과 교육 공백기에 대해 교육과정의 ‘계속성’ 원리에 따라 학년 연계성에 따른 교육과정 편성을 현재와 같이 편성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나) 학년 연계성에 따른 시간 배당을 3학년부터 할 때 3학년부터 6학년까지 각 1시간씩 배당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견해가 가장 높았고 다음이 3, 4학년 1시간, 5, 6학년은 2시간 배당이었다. (다) 현행 실과 교육의 정상화 저해요인에 대해 교사들은 ‘실습실의 미비 및 기자재 부족’, ‘교육 내용의 부적절성’, ‘교사 실기 능력 부족(연수 부족)’을 가장 크게 보고 있었다. (라) 사회의 발전과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실과교육 내용으로 교사들은 가정 경영, 진로 지도와 식생활에 관한 내용, 컴퓨터 교육, 환경에 관한 내용, 의생활, 재배, 전기·전자, 사육, 목공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마) 교사들은 실과 교육 정상화를 위해 실습실 구비보다 더 절실히 우선되어야 할 사항으로 ‘교과내용 혹은 교육과정개선’, ‘실습 기자재 및 자료 확보’, ‘실기 지도능력 연수’, ‘실과 교과에 대한 교육행정가, 교사, 학생, 가정의 인식변화’ 등의 순으로 선택하였다. (바) 실과교육 정상화에 필요한 기반을 조성할 수 있는 학교의 여건 정도(관리자의 반응)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보다 부정적이었다. (사) 실과 실기지도능력 향상을 위한 연수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특히 교육경력이 중반 정도인 교사가 보다 연수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고 있었다. (아) 실과 교과 운영에 있어서 실습 자료와 교구의 부족이 있을 때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교사들은 필요한 교구와 자료구입을 요청하나 거절당할 때가 많지만 자체 수집으로 준비하여 수업에 임하는 적극적 교사가 가장 많았으나 전체적으로는 교육행정에 대해 부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넷째,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응답은 다음과 같다. (가) 사회의 발전과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실과 교육 내용 중 강화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내용으로 교사들은 진로 교육, 가정 경영, 컴퓨터 교육, 환경, 식생활, 전기·전자, 재배, 의생활, 사육, 목공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나) 실과교육 내용 중 내용의 적절성이나 난이도를 고려하여 수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내용으로 교사들은 사육, 전기·전자, 목공, 재배, 컴퓨터 교육, 진로 교육, 가정 경영, 의생활, 식생활, 환경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다) 사회의 발전과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새로 도입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내용으로는 상업영역(경제교육), 안전교육, 주생활, 수산·해운영역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라) 교사들이 실과 수업에서 수행하고 있는 평가의 실태를 보면 ‘다양한 수행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자기평가와 아동 상호평가는 한두 번에 그친다.’가 과반수로 가장 많은 평가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마) 실과 수업이 가정에서의 생활과 연계되어 지도되고 있으며, 그와 관련한 수행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서 교사들은 ‘계속적 수행과제가 주어지지만 그에 대한 학부모의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와 ‘자기 반성적 기록 평가만 이루어지고 있다’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실과 교과의 정체성은 학문적 배경과 실과교과의 특성, 그리고 21세기 사회적 특성과 요구되는 인간상 측면에서 그 근거를 확실히 밝힐 수 있다. 둘째, 실과 교과의 교육 시수와 학년의 감축은 노작적 체험을 통한 실습을 위주로 하여야 하는 교과의 특성과 학습의 연계성 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다. 셋째, 실과 교육목표와 내용의 변화는 그 시대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변화와 국제 정세 및 교육사조의 변화에 기인하였으며, 시대의 요구와 미래 사회에 대한 대비를 위한 교육내용이 되어야 한다. 넷째, 실과 교육의 정상적 운영에 대한 교육행정가나 학부모들의 부정적인 인식 등을 포함하여 교육현장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다섯째, 교육현장에서 실과교육 정상적 운영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초등교사들은 실과 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 여섯째, 실과교육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교육내용 등에 관한 교육과정 개편, 교사 실기연수, 실습실 및 실습 기자재의 확보 필요성이 요구된다. 지금까지 논의한 실과교육의 발전방안을 토대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교육에 대한 인식 성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교사 외에도 학부모, 장학사와 연구사를 포함한 교육행정가 그리고 대구·경북 지역의 전체 초등학교 교사, 교감, 교장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근무 지역별 인식 성향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근무 지역여건에 따른 교육여건이 다르기 때문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에 관한 조사 분석 연구를 더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실과 교과의 정체성 확립과 초·중등학교에서의 실과 교육의 필요성을 확고히 하기 위한 학교와 사회의 인식 전환을 위한 현장 연구와 정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thesis was to provide necessary research material, which offering the normalizing method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con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manage and to reconstruct the national elementary Practical Arts curriculum. Methods of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thesis were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survey.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review were as follows. First, the identity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found in the need for work education, the scholastic struc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social characteristics and the needs of 21st century society. Second, the class hour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has been reduced through out the national curriculum while the purpose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has not been changed much. Third, the problems of managing the 7th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reduced class hours, absence of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3-4 grades in elementary school, shortage of facilities and equipment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inappropriatenes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evaluation, so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only 5% of teachers who had the in-service education of Practical Art education and merely 9% of elementary schools had laboratories, workshops, facilities, and equipments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Second, the answers of teachers for the identity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①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was necessary to be independent, ②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contributed to nurturing students' ability of adapting real life and basic groundings for works, ③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had helped to develop students aptitude, ④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had helped students to cope with the changes of future society, ⑤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helped students' sound attitude towards work and jobs, ⑥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had been performed as humanity education, ⑦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needed to get appropriate contents suiting to necessary of times. Third, the results of questions about the normaliz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①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should be taught in 5th and 6th grade students, ②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should be taught from 3rd to 6th grade students with 1-1-1-1 hours of time schedule or 1-1-2-2 hours of time schedule, ③ the impediment elements of normalizing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the shortage of facilities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inappropriateness of content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eachers' low abilities of practicing Practical Arts education, ④ the important content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in orders of the home management, the career education, the dietary life, the computer education, the environment education, and so on, ⑤ the foremost matter to normalize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should be in order of the changes in content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securing the facilities and the materials for practicing Practical Arts subject, offering inservice education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so on, ⑥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ived the administrators would not normalize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⑦ it was necessary to have in-service education for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to improve teachers' practice ability, ⑧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school administrators on normalizing Practical Arts education. Forth, the answer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were ① the reinforcement contents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should be the career education, the home management, the computer education, the environment education, and so on, ②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contents needed to adjust should be the raising animals, the electronics, the wood works, the cultivating plants, and so on, ③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contents needed to import were the commerce/economic education, the safety education, the residence education, and the marine and shipping education, ④ teachers managed various performance evaluation but rarely managed self- and mutual-evaluation, and ⑤ there were continuous performance assignment for students but there were no students evaluation performed by parents.

      •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 내용 선정 및 조직

        이영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855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 교육과정을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교육과정 관점에서 보완하여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의 내용을 선정 및 조직하기 위해, 2015 개정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 교육과정에서 항구적인 문제와 이와 관련된 실천적 문제를 파악하여 그 내용과 조직을 구안하고, 구안된 내용을 타당성 검증을 통해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 내용 선정 및 조직을 개발하는데 있었다.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 내용 선정 및 조직의 개발을 위해 2015 개정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교육내용을 파악하였고, 개정 가정과 교과와의 연계성과 계열성도 살펴보았다. 또한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교육과정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초등 실과 교과에의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교육과정의 도입과 적용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2015 개정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 교육과정과 미국의 오하이오 주, 오리건 주의 교육과정에서 추출한 실천적 문제를 재구성하여 7개의 항구적인 문제와 이와 관련된 35개의 실천적인 문제로 초안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의 내용 선정 및 조직의 초안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15명의 실과교육 및 가정교육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의 항구적인 문제에 대한 분석 결과 모두 평균 4.00이상, 긍정율 80%이상, CVR값이 .60이상으로 타당하다고 나타났다. 항구적인 문제 중 통계적으로 타당성이 다소 낮거나 전문가가 공통적으로 지적한 사항들에 대해 세분화나 삭제 또는 변경을 통해 수정을 하였다. ‘나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등의 총 7개의 항구적인 문제로 구성하였다.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의 실천적 문제에 대한 분석 결과 1개의 실천적 문제를 제외하고는 모두 평균 4.00이상, 중위수와 최빈값은 4와 5점으로 타당도가 높았으나, 긍정율과 CVR값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실천적 문제 중 통계적으로 타당성이 다소 낮거나 전문가가 공통적으로 지적한 사항들에 대해 위치이동, 통합, 삭제 또는 변경을 통해 수정을 하여 7개의 항구적인 문제와 관련된 ‘나의 건강한 신체적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등의 총 30개의 실천적인 문제로 구성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의 내용 선정 및 조직을 교육 경력이 많은 초등학교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현장적합성 검증을 하였다. 현장적합성 검증은 일반화가능도 계수를 활용하여 응답자간의 의견일치지수를 계산한 결과 0.728로 응답일치도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실과 교과 역량 ‘실천적문제해결능력’ 등을 함양하는데 주효한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교육과정은 교육과정 구성의 중심에 실천적 문제를 두고 있기에,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 전반에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교육과정을 접목시키기 위한 실천적 문제를 개발하였다. 둘째,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 내용 선정 및 조직에 대해 15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전문가 타당성 검증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을 기본으로 한 7개의 항구적인 문제와 이와 관련된 30개의 실천적 문제를 확정하였다. 셋째, 확정된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 내용 선정 및 조직에 대한 현장적합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응답일치도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발된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 내용 선정 및 조직을 현장에 적용할 경우,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교육과정의 초등 실과교과에의 도입의 단초가 될 것이며,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 신장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향후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천적 문제는 실천적 추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중요하므로 개발된 실천적 문제의 실천적 추론의 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내용을 학습자가 흥미있게 학습할 수 있는 내용으로, 지식의 습득보다 사고력의 함양에 초점을 두어 학습자가 자신과 가정, 사회의 변화를 수용하고 대처할 수 있는 내용으로 좀 더 구체화시키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 선정 및 조직된 내용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더욱 구체화된 교육목표와 내용, 교수․학습방법과 과정안 및 자료, 평가안 등의 개발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이 우선되어야 하므로 이에 대한 교사 연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실천적 문제는 전 생애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일상생활에서 부딪히는 문제로, 학생들의 당면 문제와 관심사 및 사회적 이슈를 조사하여 반영한 연구가 필요하다.

      • 초등 실과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초등학생·학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김은지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efficient strategies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providing basic material for curriculum revision on demand in practical arts in the future by examining, comparing and analyzing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which have been underestimated in school settings despite its long history and great importance,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is study used the survey research method and the employed survey tool was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referring to and adjusting the questionnaire in Mun Mi-yeong (2003), Kim Jin-hui (2004) and Han Yeong-hye (2007).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groups of questions regarding subfactors of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such as perception or recognition of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purposes, curricula, importance, learning contents and management, comparing with other subjects and with this questionnair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9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buk-do, a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by mail and visit.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consisted of 261 sheets from elementary school teachers (87%), 290 sheets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96.6%) and 257 sheets from their parents (85.6%).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WIN 12.0, and for empir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derived. First, newly appointed teachers with 5 years of experience and less have higher degrees of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rather than teachers with more experience. Second, teachers have much lower interest in practical arts comparing to interest in other subjects, regard it (practical arts) as unimportant and think that it is not used much in actual life. Third,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is higher among elementary fifth graders rather than among sixth graders in towns and villages rather than in large and small cities. Fourth, students have relatively low interest in practical arts compared to interest in other subjects and regard it as unimportant, while they have positive perception of its frequency in use in actual life Fifth, there is no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mong parents according to variables. Parents have much low interest in practical arts compared to interest in other subjects and consider it as an unimportant subject, while have positive perception of its frequency in use in actual life. Sixth, compar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overall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have higher degrees of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Seventh, perception of characteristics, purposes and learning contents regarding practical arts is higher among teachers rather tha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Eighth, perception of the curriculum and management of the practical arts subject is higher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rather than among teachers and parents. Ninth,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practical arts subject is higher among parents rather tha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Tenth, putting these results together,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is at the moderately higher level slightly over the middle.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or further study. First, this study limited its subjects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the Daegu and Gyeongbuk area, so further study should expand the range of samples in more areas in the nation so that the results could be generalized with validity. Second, it was revealed that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s higher among teachers and parents. Therefore further study should be conducted focused on developing and applying programs which can enhance recognition of practical art educ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this study employed the questionnaire method with which one's inner world is hard to be caught, so further study should be conducted with qualitative methods for more in-depth understanding. 본 연구는 역사와 중요성에 비해 학교 현장에서 낮게 인식되고 있는 실과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초등학생·학부모의 인식을 조사 및 비교·분석하여 실과 교육의 효율적인 방안 모색 및 향후 실과 교육과정 수시 개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연구방법을 사용하였고, 사용된 조사도구는 문미영(2003), 김진희(2004), 한영혜(2007)의 설문지를 수정하여 개발한 설문지였다. 설문지에는 실과 교육에 대한 인식 하위 요인을 실과 교육의 성격, 목표, 편제, 중요성, 학습 내용, 운영, 타 교과와의 비교로 구분하였으며, 이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 및 경상북도 소재 9개 학교의 초등교사·초등학생·학부모이고, 방문 및 우편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초등교사 261부(87%), 초등학생 290부(96.6%), 학부모 257부(85.6%)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12.0을 사용하였고, 연구 수행의 구체적인 실증분석방법으로 빈도분석, t 검증,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 교육에 대한 인식은 교직 경력 5년 이하의 초임교사들의 인식이 교직 경력이 높은 교사들의 인식보다 높다. 둘째, 교사들은 타 교과에 비해 실과에 대한 관심이 아주 낮고, 중요하지 않은 과목이라 생각하며 실생활에 별로 쓰이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셋째, 초등학생의 실과 교육에 대한 인식은 5학년이 6학년보다 높았고 대도시의 학생들이 읍·면지역 및 중·소 도시 학생보다 높았다. 넷째, 학생들은 타 교과에 비해 실과에 대한 관심이 낮은 편이고,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으나 실생활 사용 빈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인식을 지니고 있다. 다섯째, 학부모의 실과 교육에 대한 인식은 변인별 차이가 없다. 학부모들은 타 교과에 비해 실과에 대한 관심이 아주 낮고, 중요하지 않은 과목이라 생각하였으나, 실생활 사용 빈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인식을 지니고 있다. 여섯째, 초등교사·초등학생·학부모의 실과 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를 하면, 실과에 대한 전체적인 인식은 교사와 학부모가 학생보다 높다. 일곱째, 실과의 성격과 목표, 학습 내용에 대한 인식은 교사가 초등학생과 학부모에 비해 높다. 여덟째, 실과의 편제와 운영에 대한 인식은 학생이 교사와 학부모에 비해 높다. 아홉째, 실과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학부모가 교사와 학생에 비해 높다. 열째,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볼 때, 초등교사·초등학생·학부모의 실과 교육에 대한 인식 정도는 중간을 조금 넘는 보통 수준이다. 위의 결론을 토대로 이 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을 대구·경북에 있는 초등교사·초등학생·학부모로 제한하였으나,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전국 각 지역을 표집 대상으로 함으로써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시도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실과 교육에 대한 인식이 교사와 학부모가 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실과 교육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셋째,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내면적인 인식을 설문지로 모두 조사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므로 차후 연구에서 좀 더 심층적인 이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이 사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 實科敎科擔當 初等敎師의 效率的인 養成 方案 硏究

        김시준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855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pose the eficient plan for educating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subject teachers. The maior research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experts committee. By the literature review, the tasks and the competencies of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subject teachers, and the present pre-service systems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were analyzed The experts committee was held to confirm and valid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he chapter II, the tasks and the competencies of teachers were investigateted. The tasks and the competencies of teachers, verified in Georgia state, Florida state, Kentucky state, and other states in the U.S., were investigated by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internet se:u·ch. The Competency Based Teacher Education (CBTE) was utilized in the above investigated states. Furthermore, contents of the Practical Arts subject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he Practical Arts subject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nt tasks and competencies of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subject teachers were suggested. The current pre-service education system and official appoineent (selection) system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examined in the chapter III. Also, the problems in educating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subject teachers in the pre-service education system and the curriculums of several deparoent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n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were analyzea Based on the examination and analysis, the problems in the pre-service education system and official appoinoent (selection) system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found and suggested. In the chapter IV, the pre-service education systems, the curriculum in each the pre-seuice education systems, the in-service education systems, and the distinguished features of educational system in the Great Britain, U.S,, France, German, Japan, and New Zealand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1. To keep the specialty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pre-service education system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be maintained and developed in current educational system (the system of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 Kindergarten teacher education should be taken into the curriculum of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ystem as an elective course or a second major system so that students would be able to get the certificate for kindergarten teacher besides the certificat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3. There are more special classes for disabled and handicapp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Therefore, the special education should be taken inta the curriculum of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ystem as an elective course or a second major system so that students would be able to get the certificate for special teacher besides the certiflcat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4. If the curriculum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 and the special education would be set up in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systent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 and the special education should contain enormous amount of Practical Arts education. Because the kindergarten children and the special needed children should learn in real life base. 5. There should be 100 hours of the Supervised Field Experience SFE) in the elementary school during the pre-service education. The 100 hours of SFE is recommended as the least amount of time for students to get proper knowledge and competencie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o administer classes an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6. In above case of number 4, universities of education system may regard to change their curriculum from 4-year-graduation to polytechnics system (5 or 6-year-graduation) so that universities of education system would be able to handle 100 hours of the Supervised Field Experience in the elementary school during the pe-service education. 7. To get the higher quality students, a certain portion of students should be selected by the special appoinoent with interview instead of entrance exam. Furthermore, Music, Art Physical, or Practical Arts Education should have the first choice right in the special appoinaent so that they can select more proper students. 8. City offices of educatio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which having a problem with securing teachers, should be able to entrust a certain number of human resource with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system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The number of trainees, who are going to be in the entrusted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should be decided based on a certain portion of the supply and demand plan of each year for city offices of educatio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9. Students, who are going to major in Music, Art, Physical, or Practical Arts Education should be selected separately so that they would be able 0 focus on their major than other subjects. 10. All the university of education should perceive the responsibility for the teacher education so that they do not give teacher certificates to students who do not qualifie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at is, graduates without the competencies mandated for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should not receiv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certificate. However, the university should give bachelors' degree to all the student who pass the standard for the university graduation requir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