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몽골의 윤잔나히(尹湛納希)의 철학을 재해석 한 도자 조형 연구

        비빙디 국립군산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9775

        중국의 긴 역사에서 몽골 문화는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특히 몽골이 세운 원나라의 청화 백자는 세계 도예 발전사에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원나라의 도자 예술은 중국 북방 몽골 문화와 중국 문화의 정체성을 함께 구현하여 15세기 유럽의 르네상스 시기 이후 부터 오늘날에 이르는 유럽 문화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주며 발전 해 온 세계적 위상의 청화 백자를 탄생시켰다. 이 시기의 도자 예술은 몽골 민족 고유의 문화적 함의를 가지고 있으며 한족 문화와 결합하여 중국의 역사 안에서 고유한 민족 특색을 지닌 청화 백자를 창조했다. 예를 들어 원나라 청화 백자의 도자 제작 기술과 유형은 몽골 민족적 정서와 신념을 포용하는 민족적 성격뿐만 아니라 몽골 민족의 독특한 문화 정신, 철학 사상, 감정적 방식이 융합되어 후대의 도예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오늘날까지 시대의 발전에 따라 중국의 예술과 문화는 현대의 미적 요구에 더욱 부합하는 예술관과 함께 발전 해왔으며, 중국의 도자 예술도 이러한 문화의 영향으로 다양한 도자 예술들이 발전하고 있다. 즉 "그나라 고유적 문화는 곧 세계의 문화이다."를 반영하여 다양하게 발전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중국의 도자 예술의 발전 과정에서 큰 전환점이 되었던 청화백자 탄생의 모태인 원나라 즉 몽골의 철학 사상을 깊이 탐구하여 중국 현대 조형 도자의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몽골의 중심 사유 세계인 초원 문화(草原文化)의 중심 세계관을 조형 도자의 새로운 창작의 원천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가장 핵심적인 연구 주제는 몽골인들이 자연과 인간 및 초원의 삶을 이해하는 독특한 사고방식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고자 한다. 몽골의 가치관은 '인간과 자연이 조화롭게 공존(人與自然和諧共處)'하는 생태 미학적 개념을 의미하며, 특히 윤잔나히는 근대 몽골의 중요한 철학자로서 몽골의 근대화에 깊이 관계되어 있어 그의 철학이 몽골의 세계관과 방법론을 해독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그의 주된 사유관념을 통 해 몽골의 사유세계를 투영하여 본 연구자의 도자 조형 주제를 찿고자 한다. 현재 '세계일체화(世界一體化)'의 맥락에서 경제가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 방식은 일관성 있는 경향에 치우치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일관성은 점점 더 많은 문화적 속성을 공통의 특성으로 생성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문화적 사조의 영향으로 연구자는 몽골민족의 고유 문화의 중요성을 재검토하고 민족 문화의 특성을 탐구하며 끊임없이 계승하고 발전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도자 예술도 현대 예술 사조에서 새로운 형태의 예술로 등장하여 점차 사람들의 삶에 가까이 있다. 즉, 현대인의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매우 강한 인문학적 특성이 있고 예술가 감정의 주입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그 범위는 사람들의 삶의 모든 측면을 포함하는 기능적, 예술적, 대중성을 갖춘 실체 예술 형태가 되었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몽골 문화와 몽골 철학 사상 특히 윤잔나히의 이론적 배경을 연구하여 조형 도자 창작에 응용하고자 했는데 이는 몽골 철학 사상, 몽골 전통 조형 예술의 관점에서 조형 언어를 해석하고 분석하여 미래 중국 예술의 기초로 삼고자 한다. 이러한 독특한 조형 언어의 예술적 표현력과 형식미를 활용하여 몽골의 고유 정서를 반영한 독특한 형식적 특징을 지닌 조형 도자 형식을 재구성하고자 한다. 또한 도예 작품에 독특한 민족 문화적 분위기와 조형적 특징을 표현하여. 몽골의 위대한 도자 예술사적 위업을 현대적으로 발전시키고자 한다. Mongolian culture is in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China's long history. Pottery art developed the fastest and is more colorful and colorful, and the Yuan dynasty established by Mongolia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Chinese ceramics. The ancient ceramic art embodied the identity of one culture with the northern Mongolian culture of China, resulting in the birth of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of world-class stature. Ceramic art of this period has its own cultural implications and, in combination with the Han culture, created doji molding and decorative techniques with unique national characteristics in Chinese history. For example, the pottery production techniques and types of the Yuan blue and white porcelain, as well as the national character that embraces the Mongolian national sentiment and belief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later development of pottery. To this da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the art and culture of China have formed an art world that more meets the aesthetic needs of the modern era, and various forms of pottery art in China are also developing under the influence of these cultural trends. In other words, there is a trend of developing in various ways by reflecting "the culture of the people is the culture of the world." This study attempted to create new Chinese contemporary ceramics by deeply exploring the philosophical ideas of the Yuan Dynasty, that is, Mongolia, the birthplace of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a major turning point in Chinese ceramic art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modern art. In other words, it was intended to study important parts of the grassland culture, the central private world of Mongolia, as a source of new creation of ceramic art. Its basis is the unique way of thinking in which Mongolians understand the lives of heaven, earth, nature, humans, and grasslands. Due to this way of thinking, Mongolia gradually formed an ecological aesthetic concept of 'harmoniously coexisting with humans and nature'. In particular, Yun Zhanahi was an important philosopher of modern Mongolia, and his philosoph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ciphering Mongolia's worldview and methodology, which is undeniably an excellent philosophical idea. In the current context of "global integration",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economy, people's lifestyles have begun to favor the trend of consistency, and this consistency has led more and more cultural attributes to produce common features.Under the influence of this cultural trend, we have to re-examine the importance of national culture, excavate the uniqueness of national culture, and constantly carry on the inheritance and innovation.Ceramic art also appears in modern art trends with a new art form, and gradually enters people's lives.It reflects to some extent the evolution of people's lifestyles and aesthetic ways, and it is an expression of modern people's feelings.It is rich in humanistic characteristics, pay attention to the injection of artist emotion, its scope includes all aspects of people's life, is a functional, artistic and public art form. At present, China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the excavation and construction of minority cultures, which has made the regional culture of Inner Mongolia unprecedented.In this regional culture, art occupies a lot of space, such as Ordos bronzeware, Yuan Qinghua porcelain, these excellent Mongolian plastic arts have had a very important impact on Mongolian ceramic art in the future.Until today, Mongolian ceramic culture has gradually begun to coexist with various artistic expressions, which is undoubtedly the crystallization of Mongolian people's artistic creation since ancient times, with unique national characteristics. This article aims to apply it to ceramic art works by studying Mongolian culture and Mongolian philosophy, especially Yun Zanahi's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and analyze the formative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Mongolian philosophical thought and traditional Mongolian formative art to serve as the basis for future Chinese art. In addition to discovering and analyzing unique art expression forms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formative language, we intend to use the artistic expressive power and formal beauty of this unique formative language to harmonize with Mongolia's spiritual power and reconstruct modern ceramics with excellent cultural elements and unique formal characteristics of Mongolia. In addition, by expressing a unique national and cultural atmosphere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pottery works. Therefore, it aims to modernize Mongolia's great Dodger art history feat.

      • 황순원 소설 「소나기」의 상징적 언어 해석에 기반한 도자 조형 연구

        박송미 국립군산대학교 2025 국내박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황순원(1915-2000)의 대표작 소나기를 중심으로 하여, 문학적 상징과 주제를 도자 조형으로 표현함으로써 문학과 시각 예술의 융합 가능성을 연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창작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황순원의 문학 세계는 자연과 인간, 인공물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며 동양적 철학과 현대적 조형성이 조화를 이루는 독특한 접근 방식을 보여준다. 특히, 소나기는 자연을 단순한 배경이 아닌 인간의 감정과 상호작용하는 중요한 서사적 요소로 묘사하여 순수한 감정과 내면적 갈등을 서정적으로 그려낸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문학적 특성을 도자 조형으로 전환함으로써, 문학적 상징을 시각적으로 구현하여 창작의 새로운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황순원의 소설 「소나기」에 내재된 상징적 언어와 서정적 정서의 문학적 비평을 통해, 작품의 이론적 근거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문학적 텍스트의 상징적 표현 기능을 규명하고, 상징적 언어를 시각화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문학적 해석과 상징적 언어의 역할 및 기능을 분석한 선행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연구의 방향성을 설정하고, 황순원 문학의 서사적 깊이와 상징성이 지닌 이론적 기반을 명확히 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소나기」에 나타난 상징적 표현과 도자 조형과의 융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연구는 세 가지 주요 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황순원의 문학적 철학은 인간과 자연,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인간 감정을 연구하며, 동양적 사유의 깊이와 서양적 현대성을 결합한 특징이 있다. 그는 자연을 단순한 배경으로 다루지 않고, 인간 내면의 갈등과 순수한 감정을 반영하는 중요한 서사적 요소로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문학적 철학은 서정적이고 상징적인 표현을 통해 강한 감정적 공감을 이끌어내며, 단순히 사건을 묘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인간 내면의 복잡한 심리와 삶의 본질적 의미를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황순원의 문학적 철학과 자연 및 인간의 상호작용을 도자 조형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자연과 인간의 조화와 상호작용이 도자의 형태, 질감, 색감 등 조형적 요소를 통해 어떻게 표현될 수 있는지 연구하였다. 둘째, 소나기의 주요 상징인 비, 길, 구름, 나무와 같은 자연 요소 및 소년과 소녀의 관계를 조형 언어로 분석하여 문학적 서정성과 감정의 깊이를 시각화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문학 속 자연 이미지가 도자 조형물의 형태와 패턴 속에서 어떻게 물리적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는지 연구하여 시각화하였다. 셋째, 도자 조형의 서사적 가능성을 확장하여, 문학적 모티프를 통해 다양한 관점에서 볼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특히, 유약의 질감과 색조의 선택, 도자 표면의 패턴과 선의 흐름을 통해 소나기의 서정적 감성과 비극적 서사를 효과적으로 시각화하였다. 본 연구는 문학적 상징이 시각 예술 언어로 변환되는 과정을 통해 문학과 도자 예술의 창작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완성된 작품을 대중에게 선보인다는 것은 문학적 서사와 조형적 표현이 결합된 독창적인 미적 경험을 줄 수 있다. 소설 「소나기」의 상징성과 서사적 요소를 도자 조형으로 구현한 작품들은 자연과 인간의 정서를 체험하게 하며, 「소나기」 메시지를 시각적이고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연구의 과정에서 문학적 상징을 조형적으로 구체화하는 작업은 추상적 개념을 물리적 형태로 변환하는 데 따르는 어려움과 도자 제작 과정의 기술적 제약에 직면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유약의 선택, 점토의 특성, 표면 처리 기법 등을 실험적으로 적용하였으며, 문학적 서사의 정서를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다양하게 모색하였다. 이러한 실험적 접근은 문학과 예술의 경계를 넘어서 새로운 창작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소설 「소나기」의 주요 상징과 서사적 요소를 도자 조형으로 구현하는 과정을 통해 문학적 텍스트의 추상적 감성을 시각화하였다. 문학의 상징과 서사가 가진 내러티브 구조가 도자의 질감, 색채, 패턴 등의 조형 언어로 구성되었으며, 문학적 메시지를 직관적이고 감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표현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문학적 상징을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과정을 통해 문학과 시각 예술 간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특히, 소설 「소나기」의 주요 상징인 비, 길, 구름, 나무, 소년, 소녀의 관계를 도자 조형 언어로 분석하고 이를 조형적으로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문학적 서정성과 서사적 의미를 시각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소나기의 서정적 감성과 비극적 서사를 유약의 질감, 색조, 도자 표면의 패턴 및 선의 흐름과 같은 조형적 요소를 활용하여 표현함으로써, 작품 속 비극적 아름다움과 자연에 내포된 인간 정서를 시각적으로 전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문학적 텍스트가 가진 추상적이고 정서적인 메시지가 시각 예술의 물리적 조형 언어를 통해 보완되고 확장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문학적 텍스트와 시각 예술이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며, 각 매체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창작 가능성과 표현의 확장을 이루는 잠재력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문학적 상징이 시각 예술로 시각화되는 과정을 통해 예술 간 융합이 창작의 폭을 넓히는 중요한 매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문학적 메시지가 물리적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고, 문학적 상징이 시각 예술에서 새로운 해석과 창작의 매개체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문학적 상징의 시각적 구현 과정은 문학과 예술이 어떻게 서로 보완하며 새로운 예술적 가능성을 열어갈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융합적 접근의 사례이다. 문학적 상징을 도자 조형물로 구체화하는 과정을 통해, 문학적 서사가 시각적 형태로 전환될 때 두 매체가 독립적이면서도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문학과 예술이 각자의 한계를 넘어서 더 풍부한 표현 가능성을 창출할 수 있는 융합의 토대를 마련한 것이다. 황순원의 문학적 세계관과 자연주의적 미학을 현대 예술의 맥락에서 시각화하며, 전통 문학과 현대 예술이 창조적으로 융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이는 전통적 텍스트가 현대적 감각으로 구성되어 새로운 형태의 예술적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며, 전통 문화의 현대적 계승에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 사례를 마련하였다. 융합 예술이 문학적 상징과 시각 예술의 조형 언어를 융합하여 창작 과정에서 두 매체가 어떻게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 이를 통해 문학적 내러티브와 조형적 표현이 결합하여 새로운 예술적 경험을 창출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융합 예술 분야에서 이론적·실천적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Hwang Sun-won’s (1915–2000) masterpiece The Shower to explore the integration of literary symbols and themes into ceramic art, aiming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for convergence between literature and visual arts and to propose new directions for artistic creation. Hwang Sun-won’s literary world uniquely examines the interplay between nature, humans, and man-made elements, blending Eastern philosophy and modern aesthetics. The Shower, in particular, has been praised for portraying nature not merely as a backdrop but as an essential narrative element that interacts with human emotions, delicately depicting pure feelings and internal conflicts. By transforming these literary characteristics into ceramic forms, this study explores ways to visually express literary symbols and unlock new possibilities for creative expressi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researcher’s work lies in analyzing the symbolic language and lyrical sensibility inherent in Hwang Sun-won’s novel The Shower. By systematically examining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the study clarifies the function of symbolic expression in literary texts and seeks to visualize these symbols.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literary interpretation and symbolic language provided the direction for this research and established a clear theoretical basis for understanding the narrative depth and symbolism of Hwang Sun-won’s literature. Based on this foundation, the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merging symbolic expressions in The Shower with ceramic art to establish an academic framework.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ree main stages. First, it analyzed Hwang Sun-won’s literary philosophy, which explores human emotions within the context of nature and society, characterized by a synthesis of profound Eastern thought and Western modernity. Hwang treated nature as more than a mere background; he used it as a significant narrative element reflecting human conflicts and pure emotions. His literary philosophy evokes strong emotional resonance through lyrical and symbolic expressions, encouraging contemplation of life’s essential meaning beyond mere depiction of events. This philosophy wa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ceramic art to examine how harmony and interaction between nature and humans could be expressed through the form, texture, and color of ceramics. Second, the study translated key symbols in The Shower—such as rain, paths, clouds, tre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y and girl—into a visual language, aiming to convey literary lyricism and emotional depth. This process involved investigating how natural imagery from the text could be physically materialized through the patterns and forms of ceramic works. Third, the research extended the narrative potential of ceramic art, presenting methodologies for exploring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literary motifs. Specific emphasis was placed on the choice of glaze textures and colors, as well as patterns and line flows on ceramic surfaces, to effectively visualize the lyrical sensibility and tragic narrative of The Shower. This study demonstrated the creative potential of integrating literature and ceramics by transforming literary symbols into a visual language. Such a convergent approach provided artists with new inspiration and modes of expression, enabling literary messages to be conveyed more intuitively and sensorially through innovative artistic forms. Additionally, this approach fosters interactions between literature and visual arts, expanding the possibilities for artistic expression by translating literary symbols into a visual medium. By visualizing symbolic relationships, natural imagery, emotional flows, and other narrative elements from literature, the ceramic works allowed audiences to directly experience abstract literary sentiments and engage with them sensorially. Presenting these works to the public highlights the potential of combining literary narratives with artistic expression to create unique aesthetic experiences. The ceramic interpretations of the symbols and narrative elements in The Shower enable audiences to feel the emotions of nature and humanity while understanding the text’s message in a visual and intuitive manner. The process of concretizing literary symbols into artistic forms involved overcoming challenges, such as translating abstract concepts into physical shapes and dealing with technical limitations in ceramic production. To address these challenges, experimental techniques were applied, including careful selection of glazes, exploration of clay properties, and innovative surface treatments. These experimental approaches opened new creative possibilities by crossing the boundaries between literature and art. By implementing the primary symbols and narrative elements of The Shower into ceramics, the study demonstrated how abstract literary emotions could be visualized. The narrative structure embedded in literary symbols and stories was translated into ceramic textures, colors, and patterns, showcasing the potential to communicate literary messages in a tangible and intuitive manner. This research empirically verified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visual arts by illustrating how literary symbols could be visually interpreted. Through analyzing and materializing the central symbols of The Shower—such as rain, paths, clouds, trees, the boy, and the girl—the study proposed effective methods for visualizing literary lyricism and narrative meaning. By utilizing the glaze textures, color tones, surface patterns, and line flows of ceramics to express the lyrical sentiment and tragic narrative of The Shower, the works conveyed the beauty of tragedy and human emotions embedded in nature. The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d that the abstract and emotional messages of literary texts can be complemented and expanded through the physical language of visual art. It verified how literature and visual arts can function synergistically, extending the possibilities of expression and transcending the limitations of each medium. This study highlighted that literary symbols can act as a bridge between traditional literature and modern artistic practices, fostering innovative forms of artistic expression. Visualizing the symbolic language of The Shower through ceramic art expanded the boundaries of artistic creation, enabl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literary themes in a contemporary artistic context. Such research also provided practical examples of how traditional literature can be reinterpreted with modern sensibilities, contributing to the contemporary continuation of cultural heritage. The integration of literature and visual art demonstrated in this study empirically proved how the creative process can transcend the boundaries between the two media. By combining literary narratives with artistic expression, the study proposed methods for generating new artistic experiences and established a theoretical and practical foundation for interdisciplinary art.

      • 중국 수묵 인물화의 조형 심미성 연구

        리우시아오밍 국립군산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9775

        The artistic expression of "'Modelling aesthetic” is quite common in painting creation. “Modelling” is a kind of abstract re-extraction of the image elements of the object in the artistic creation, which is usually expressed in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abstract image elements with the actual image of the object, through the abstract extraction of the language of artistic expression to shape and derived from the unique aesthetic art. From the creation of ink figure as an example, the author from the concrete to abstract and then to the image of the extraction of the process of ink figure painting in the creation of the “Modelling”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research process, and the "Modelling aesthetic" not only embodies the author's consciousness of the shape of the object to extract a high degree, but also reflects the author's aesthetic tendency. The subject matter of Chinese ink figure painting is rich and varied. The different subject matter of Chinese ink figure painting can show different artistic expression language. But from the modelling essence, it can represent the abstract elements of the object and the artistic language of the creative subject, then combine the subjective shape of aesthetic consciousness of expression to extract the status of the characters in the creative behavior of a unique language of expression. Based on the history of painting in the world, the creation of ink-wash figure painting is one of the major trends in modem art, especially under the influence of Sino-sphere, so far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circles of East Asia, it has become a relatively mature art form with certain characteristics, with the emergence of a large number of ink plastic arts. With the joint creation and efforts of several generations, the forms of ink figure painting are more diversified, and it has developed into a more mature form of painting. Chinese ink painters of ancient times such as Shi Ke, Liang Kai, Wu Wei, Huang Shen and Ren Bonian, as well as modern artists such as Xu Beihong, Fang Zengxian and Cheng Shifa, have created many ink figure paintings, also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the creation of ''Modelling aesthetic” artistic expression. In order to study the "Modelling aesthetic” related content of ink figure painting, expand the depth and breadth of the study of ink figure painting, enrich the related research theory. This study will combine different regional culture and different periods of ink figure painting creative characteristics and artistic characteristics of a comprehensive study, through appreciation of related works to explore the existence of "'Modelling aesthetic”. This research collects the literature materials about the research of Chinese ink figure painting, and discusses the research results and theories put forward by domestic and foreign experts and scholars in the research of Chinese ink figure painting, after clearly outlining the background, significance, content, Method and innovation of this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Chinese ink figure painting, the characteristics and basic conditions of the development of Chinese ink figure painting in ancient, modem and contemporary times are studied respectively. Then, based on the concept of ink figure painting and modelling aesthetics, this paper discusses the modelling aesthetics of ink figure painting in different periods, and learns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ancient, modem and contemporary ink figure painting creation, to distinguish the aesthetic features of the figure painting in different periods of time, so as to enrich the content of the research paper, and respectively from a single change into pluralistic, functional change into consumption, interesting, planar regression, to analyze the appearance of the aesthetic orientation of the modelling of the contemporary Chinese ink figure painting from many aspects, such as the strengthening of the form composition and the expansion of the new visual dimension, so that the research in this paper can meet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ink figure painting, highlight the timeliness of research papers. Finally, select some contemporary works as cases and his own creation of ink figure painting works to analyze the practice of thinking and perception, and contemporary ink figure painting aesthetic thinking. ‘조형 심미성’의 예술적 표현은 회화 창작에서 흔하게 발견할 수 있다. '조형’은 예술 창작에서 물상의 이미지가 구성하는 추상적 재추출이다. 일반적 으로 예술 창작에서 추상화된 형상이 실제 물상의 구상(具象) • 의상(意象) • 추상(抽象)과 융합하는 과정에서 표현되며,추상적으로 추출된 예술 표현언어 를 통해 조형되어 독특한 예술 심미적 경향을 나타낸다. 수묵 인물 창작의 경 우,예술가는 구상부터 추상,다시 추상에서 의상에 이르는 추출 과정을 통해 수묵 인물화 창작의 '조형’ 심미 의식의 연구 과정을 보여준다. ‘조형 심미성’ 은 예술가의 물상에 대한 조형 의식의 추출은 물론 예술가의 심미적 경향도 반영한다. 수묵 인물화는 제제가 풍부하고 유형도 다양하다. 제재가 다른 수 묵 인물화는 다른 예술 표현언어를 보여줄 수 있으며,이에 따른 조형 심미성 에도 일정한 차이가 존재한다. 그러나 조형은 본질적으로 물상의 추상적 구성 요소와 창작 주체의 예술 언어를 표현하며,다시 주관적인 조형 심미성의 경 향과 결합하여 창작 행위를 거쳐 독특한 예술 언어 형식으로 표현된다. 세계 회화 발전사의 관점에서 수묵 인물화의 창작은 현대 예술의 주류 중 하나이다. 특히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수묵화는 전통적인 종이나 먹의 발 전과 함께 성장하여 현재 동아시아의 문화 예술에서 성숙하고 특색 있는 예술 표현의 형태로 자리 잡았으며,수묵 조형 예술을 집대성한 예술가도 다수 등장했다. 수 대에 걸친 창작과 노력을 통해 수묵 인물화의 형식은 더 욱 다양해졌고,매우 성숙한 회화 표현의 형식으로 발전했다. 중국 고대의 수묵화가인 석각(石格) • 양해(梁植) • 오위(吳傅) • 황신(黃愼) • 임백년(任伯 年),근현대의 화가 쉬베이흥(徐悲渴)• 광정시엔(方增先)• 정스파(程十發) 등 대가들의 수묵 인물화 작품도 ‘조형 심미성’의 예술적 표현을 매우 중시 했다. 본 연구에서는 수묵 인물화의 ‘조형 심미성’에 관련한 내용을 분석하 여 연구의 깊이와 폭을 확장하고,관련 연구 이론을 다양하게 다루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지역 문화와 시기별 수묵 인물화의 창작 특징 및 예술 특징 을 결합하여 종합적으로 연구했으며,관련 작품의 감상과 분석을 통해 ‘조 형 심미성’의 존재를 탐구했다. 본 연구는 수묵 인물화에 관한 문헌자료를 수집하고 중국 내외의 전문 가와 학자들이 수묵 인물화 연구에서 제시한 성과와 이론을 분석했다. 관련 연구와 아이디어를 참고하여 논문 연구의 방향을 수립하고,연구의 배경 의미 • 내용 • 방법 및 창의성을 개괄했으며,수묵 인물화 발전의 과정을 고 대 • 근대 • 현대의 세 시기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이어서 수묵 인물화와 조 형 심미성의 개념을 바탕으로 시기별 조형 심미성과 예술적 특징을 구분하 고,일원에서 다원화,기능에서 소비화,평면성의 회귀,형식 구성의 강화 및 새 로 운 시 각 적 차원 확대 등 여러 측면에서 현대 수묵 인물화의 조형 심미성 취향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 현시대의 수묵 인물화 발전 에 도움이 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현대 수묵 인물화 작품 중 일부와 본 연구자의 수묵 인물화 작품을 예로 들어 창작 과정의 구상과 감상을 설명 하고,현대 수묵 인물화의 ‘조형 심미성’ 발전 경향에 관해 분석했다.

      • 포스트모던 하이브리드적 환경조형물의 특성 연구

        이동훈 群山大學校 2019 국내박사

        RANK : 249743

        As we move into the 21"century,admixture and blending has become the mainstream concept beyond genre deconstruction in art. Amid the advent and creation of various mediums in the sculpture genre that handles three dimensional modeling, especially in the environmental sculpture of public art that has expanded and newly emerged in the modern art, amixed hybrid form has appeared. Behind such a trend is the movement toward dissolution and decentralization that appeared in the post-structuralism, having significant effects on formation of the value and concept of environmental sculpture. Since ancient times, the space where the majority of three-dimensional artwork have been installed, is a public place contributing to formation of discussion over key issues for each community. Along with city-centered development of community space from Middle Ages through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 the new concept , Public Art,has appeared and the social significance of art has been magnified. In modern cities that have formed since the end of 19th century, convenience and efficiency rather than public communication has been held in great account for such a place as economic activity-centered urban plans have been worked out. Therefore, the human subject has been instrumented , raising the question of dehumanization. To solve such a problem,attempts to recover the communication ability by installing a wort of art in public place emerged. In this way, the environmental sculpture has been suggested as one field of art communication and thus developed as the leading art form installed in public space and place. After 1980 , the western concept,public art was introduced to South Korea. Pursuant to the law on installation of environmental sculpture in urban areas,art works had been installed in cities and large-sized residential space ,but most of the works took criticism that they were old-fashioned and only delivered repeated similarities instead of quality improvement, emerging as another disincentive to urban space. To settle this problem, not only establishment of the public need for public communication, but also methodical system improvement based on it is required. This matter has become public while a number of institutional frameworks and regulations have been repeatedly amended. Moreover, a changeover or conversion of many different views by architects,designers,authors, administrators and citizens is also required ,and in real,mutual cooperation is under way. This paper defines the role and function of environmental sculpture in connection with the emotional stability of the public ,healing function and the foundation enabling to form a human-centered urban environment through definition of theoretical concepts of environmental modeling terms relating to environmental sculpture including public art ,art-historical background ,definition of aesthetic concepts by philosophers such as Foucault , Derrida and Deleuze, and domestic and overseas case study. ln addition,this paper takes a close look into and quantitively analyzes the features of hybrid environmental sculpture by type and medium through more specific classification by work and construction usage. The first gist of hybrid environmental sculptures is: admixture,blending and combination of mixed materials of a different nature. The second one is mixture of abstract shapes and the third one is the fusion of the tradition and present day using various kinds of obiects and mediums. To sum up,hybrid environmental sculptures demand not only the importance of visual experiences, but also active participation by artists,humanists,scientists,technicians and administrators and an innovative paradigm such as community involvement based on public concern and social meaning in the entire process ranging from design to completion. In particular,the stream of the times pursuing a continuous change based on state-of-the-art technological innovation is now appearing as a new art form in the 21th century. 21세기에 접어들어 예술에서 탈장르의 개념을 넘어 혼합과 혼융이 주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고, 입체조형을 다루는 조각의 장르로서 특히 현대미술에서 확장되어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공고미술의 환경조형물에서도 다양한 매체들이 출현하고 생성하면서 융합하는 하이브리드적 유형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한 추세의 배경에는 후기구조주의 에서 나타난 해체와 탈중심의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개념들이 환경조형물의 가치와 내용의 형성에도 주요한 영향을 주고 있다. 고대로부터 공공조형물이 주로 설치되는 공간은 담론이 형성되는 공공의 장소로서 여기서는 주로 공동체의 중요한 사안들이 논의되어 왔다. 중세를 거처 근ㆍ현대로 이어지면서 공동체의 공간이 도시를 중심으로 발전하면서 공공예술이라는 개념이 등장하고 예술의 사회적 의미가 부각되었다. 19세기말부터 형성된 현대도시는 경제활동을 중심으로 도시계획이 형성되면서 공공의 소통이라는 측면보다는 편이성과 효율성이 중시되었따. 따라서 인간 주체는 도구화되면서 비인간화의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공공의 공간에 예술작품을 설치하여 소통의 기능을 회복하려는 시도가 나타났는데, 환경조형물이 예술소통의 한분야로 제시되면서 공공의 장소와 공간에 설치되는 대표적인 예술장르로 발전되었다. 1980년대 이후 한국에서도 서구의 공공미술의 개념을 도입하여 환경조형물을 도시공간에 설치하는 것을 법으로 규정되면서 도시나 대규모 주거공간에 예술작품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작품들은 전근대적인 형태에 머물렀고, 작품의 질적 향상보다는 작품의 형태나 내용에서 반복적인 유사성만을 남발한다는 비판을 받으며 도시공간의 또 다른 저해요소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공공의 소통이라는 공공성의 개념 확립은 물론 이를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제도개선이 필요하여 공론화의 과정을 거치며 많은 제도적 법률과 규정의 수정을 거듭하여 진행하여 오고있다. 더불어 건축주, 설계자, 작가, 행정가, 시민의 다양한 인식의 전환과 변화도 요구되고 있으며 상호 협력하여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공미술을 포함한 환경조형물과 관련된 환경조형 용어들에 대한 이론적 개념 정리, 미술사적 배경, 철학자인 푸코, 데리다, 들뢰즈의 미학적 개념정리와 국내외 사례 연구를 통해 환경조형물의 역할과 기능을 대중의 정서적 안정, 치유의 기능, 인간중심의 도시환경이 형성될 수 있는 토대 등과 연관해서 정의한다. 그리고 이를 더 세분화해서 작품 분류별, 건축물 용도별 구분을 통해 하이브리드적 환경 조형물의 유형별, 매체별 특징을 고찰하고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하이브리드적 환경조형물의 전체적인 맥락은, 첫째, 공간 장소별로 구분하여 잡종적ㆍ이질적인 재료들은 '결합ㆍ융합ㆍ조합'하는 것이다. 둘째, 구상적 형사오가 추상적 형상의 혼합이다. 셋째, 다양한 오브제와 매체를 통해 전통과 현재를 융합하는 것이다. 정리하자면 하이브리드적 환경조형물은 시각적 경험의 중요성뿐만 아니라 공공성과 사회적 의미를 바탕으로 주민 참여형 등 설계와 제작에서부터 완성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예술가, 인문학도, 과학도, 기술자, 행정가의 적극적 참여와 혁신적인 페러다임을 요구한다. 특히 최첨단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지속적 변화를 추구하는 시대의 흐름은 21세기 새로운 미술 양태로 등장한다.

      • 동물형상을 모티브로 한 인물오브제 작품연구

        유정란 국립군산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43

        Since postmodernism, characterizations have embarked on free variations. Contemporary art has turned its focus away from reason to the opposite extreme of the physical body, expressing it as a hybrid body, a fusion or mating of various images, by incorporating diverse images of the body. These new forms eliminated classical ideals, representing not abstract sculptures but rather a variety of images such as humans, animals, imaginary beings, cyborgs, and more. Furthermore, as independent and individual forms break down and genre boundaries crumble, there is a tendency towards hetero-combination, fusion, and mixing with other fields. In modern ceramics, the ‘objet’, a figure based on animals, has expanded to include clay as a medium of expression. It is spreading as a new ceramic art style through deconstruction and combination while metaphorizing the joys and sorrows of life, social satire, and criticism. Animals bring close intimacy and emotional richness to human life. Ceramists have personified this phenomenon and are expressing various ideas about modern life in creative formative language through formative techniques that emphasize or transform specific parts of animals and humans. This study analyzed the phenomenon of hetero-combination in the field of sculptural arts, categorizing it into 'mythical entity representation,' 'combination and fusion of humans and animals,' and 'hetero-combination as a plural existence.' Subsequently, the study examined the world of artists by dissecting the portrayal of human "objet" in contemporary ceramics, focusing on 'media combination,' 'artist's intent,' and 'creativity and individuality,' and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thereof. Summarizing the first part of the research, the hetero-combination in the form of mythical entity representation involves combining humans and animals such as dragons, snakes, horses, and oxen to create new forms. It also includes creating hybrid entities with upper or lower halves in the form of animals or humans. This hybridization of the human body and animals is closely related to the various forms of hybrid expression in contemporary sculptural arts, indicating a profound connection. The hetero-combination of humans and animals observed in the analysis of contemporary sculptural artworks unfolds in various forms, transcending the boundaries of traditional specific forms and genres, as the expressive scope expands through the morphological transformation of the human form and the aesthetic creation of sculptural art. The development of figure objet in contemporary ceramics originates from the pioneer of postmodern ceramics, Robert Arneson's Funk Art, and has evolved into a new form of ceramics characterized by free variations, combining human and other mediums, semi-human and semi-animal forms, as well as various genres and boundaries such as metaphor and narrative. The semi-human, semi-animal figure, not biased toward either humans or animals, incorporates contrasting values into a single body, depicting a synthesized hybrid world that is both similar to and different to humans. The metaphor of figure objet encapsulates the artist's purpose to artistically express self-realization, a spirations for the ideal, and boundless freedom by making the artist themselves as a subject or the me. In the latter part, the Author’s work, 'Figure Objet Series,' has been detailed, including its artistic intent, characteristics, motif selection, materials, shaping, firing, etc. and elaborated on the entire resear ch process in detail, including clay selection, production techniques, glazing, and firing, accompanied by photographs. The intention of combining the motifs of animals such as dogs, cats, chickens, snakes, lions, sheep, rabbits, etc., with the joys and sorrows of human life is rooted in the Author's animal-loving philosop hy and personification of animals. This is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animals, while repeating the cycle of creation and extinction, lead a natural life similar to humans and have emotions similar to humans.The storytelling of ideals and reality depicted in the artwork is a metaphorical representation of the Author's life connected to everyday experiences through the language of sculpture. The transformation, deconstruction, and combination of forms are intentional results achieved through creative expressive techniques. The figurative forms created in the Series are approached through mythic humans, human and human, human and human combination, and semi-human, semi-animal types. This is intentional, aiming to convey the fresh aesthetic impact presented by the sculpturally expressed figure objet. The conclusion of the figure objet artwork production research for <Glee-Ⅰ>, <Glee-Ⅱ>, <Glee-Ⅲ>, <Madness-Ⅱ>, <Madness-Ⅲ>, <Lovesickness-Ⅰ>, <Lovesickness-Ⅱ>, <Lovesickness-Ⅲ>, <Imagine-Ⅰ>, and <Imagine-Ⅱ>, comple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figure objet that consider animals as akin to humans and metaphorically express the researcher's life philosophy through sculptural language are not only associated with the phenomenon of increased interest in pets in contemporary society but also contribute to enhancing the aesthetic value of ceramics (美) and expanding the scope of ceramic objet. Secondly, there is an anticipation of enhancing the ability and creative level to produce various unique objets (一品) by reinterpreting the symbolic features of the human body and animals through the researcher's intuition. Thirdly, the artist's internal imagery and emotions, composed as a narrative, and the production method that artistically combines the expressions and movements of the human body and animals, connect the visual effects to additional value through empathy and communication. Fourth, different attempts in figure objet artwork production, including deconstruction and combination, utilization of media, and experiments with the combine painting technique, connect the researcher's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earch results to the artwork, resulting in the completion of original sculptural art. The development of such works is expected to establish figure objets in a new form within the realm of sculptural art, as advocated by contemporary ceramics. 포스트모더니즘 이래로 인물상들은 자유로운 변주를 시작하며, 현대미술이 이성의 반대급인 육체, 몸으로 관심을 돌리게 됨에 따라 몸의 이미지를 다양하게 차용하여 하나의 조각으로서, 서로 접합되거나 교배된 잡종의 몸으로 표현한다. 이러한 새로운 형상들은, 고전적인 미인 형상을 없애고 추상 조각도 아닌 인간, 동물, 상상 속의 존재, 사이보그 등 다양한 이미지로 표현되면서 독립적, 개별적 형식이 해체 되고 장르적 경계가 무너지면서 다른 분야와의 융합, 결합, 혼합하는 이종결합 경향이 자리를 잡게 되었다. 현대도예에서 동물을 소재로 한 인물 ‘오브제’(objet)는 점토를 표현매체로 확대하고 삶의 희로애락이나 사회풍자와 비판 등을 은유하면서 해체와 결합을 통한 새로운 도예양식으로 확산되고 있다. 동물은 인간의 삶과 밀접한 친근성과 정서적 풍요로움을 안겨주고 있는데, 도예가들은 이러한 현상을 의인화(Personification)시켜 동물과 인간의 특정부위를 강조하거나 변형시키는 조형기법을 통하여 현대인의 삶에 관한 다양한 관념들을 창의적 조형언어로 표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조형예술에서 나타난 이종결합양상을 신화적 존재 구현양식, 인간과 동물의 결합과 융합, 다수존재로서의 이종결합으로 나누어 작가의 작품세계를 분석하고, 현대도예에 전개된 인물오브제를 매체의 결합과 작가의 의도, 창의성과 개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특징을 정리 한 것이다. 전반부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신화적 존재 구현양식의 이종결합은 용, 뱀, 말, 황소 등 인간과 짐승을 결합하여 새로운 형상을 창조하거나, 상·하반신이 동물 또는 인간의 형태로 된 반인반수의 생명체를 만들어 내기도 하였다. 이러한 인체와 동물의 이종결합은 현대 조형예술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는 하이브리드 형식과 깊은 연관이 있는 것이다. 현대조형예술작품 분석에서 나타나는 인간과 동물의 이종결합은 인간의 조형적 형체변형과 조형예술의 미학적 창작 등으로 표현영역이 확대되면서 기존의 특정한 형식과 장르의 경계를 초월하는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된다. 현대도예에 전개된 인물오브제는 포스트모던 도자의 선구자 로버트 아네슨(Robert Arneson)의 펑크아트(Funk Art) 도자인물상을 시작으로, 인간과 다른 매체의 결합된 표현방식의 반인반수(Semi Human, Semi Animal), 메타포(Metaphor), 내러티브(Narrative)와 같은 장르와 경계를 넘나들며 자유로운 변주로 융·혼합된 새로운 도예 양식이 특징으로 나타난다. 인간이나 동물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반인반수는 상반된 가치를 하나의 신체에 포함함으로써 인간과 닮았으면서 닮지 않은 합성된 하이브리드 세계를 그려낸다. 인물오브제의 메타포는 작가 자신을 주제(Theme)으로 하여 자아실현, 이상에 대한 열망, 무한한 자유로움에 대한 갈망을 예술적으로 표현 하는데 목적을 담고 있다. 내러티브적 인물 오브제는 현대인의 삶과 문명,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 현실에서 벗어난 환상 속의 삶의 이야기를 일상적 삶과 연결시킨 내러티브를 구사하고 있는 특징이 나타난다. 후반부는 본 연구자의 작품 ‘ 인물오브제 Series ’ 를 작품의도와 특징, 모티브선정, 재료, 성형, 소성으로 세분하고 소지선정과 제작기법, 유약과 소성 등 연구의 전 과정을 사진과 함께 상술하였다. 개, 고양이, 닭, 뱀, 사자, 양, 토끼 등의 동물형상을 모티브로 인간의 희로애락과 결합시킨 의도는 동물이 생성과 소멸의 순환을 반복하는 인간과 똑같은 자연적인 삶을 영위하고 감정 또한 인간과 유사하다는 연구자의 동물애호사상과 동물의 의인화가 작품 속에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작품에 표현된 이상과 현실의 스토리텔링은 연구자의 삶으로 연결된 일상을 조형언어로 은유한 것이며, 직관을 통한 형상의 변형, 해체, 결합은 창의적 표현기법의 효과를 의도한 것이다. Series로 제작한 인물형상은 신화적 인간, 인간과 인간, 인간과 인간의 결합, 반인반수 유형으로 구사하였는데 이것은 조형적 인물 오브제가 제시하는 신선한 미적 감동을 의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완성된 <Glee-Ⅰ>, <Glee-Ⅱ>, <Glee-Ⅲ>, <Madness-Ⅱ>, <Madness-Ⅲ>, <Lovesickness-Ⅰ>, <Lovesickness-Ⅱ>, <Lovesickness-Ⅲ>, <Imagine-Ⅰ>, <Imagine-Ⅱ>의 인물오브제 작품제작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물을 인간과 동질로 간주하고 연구자의 삶의 철학을 조형언어로 은유한 동물형상 결합 인물 오브제는 애완동물에 대한 관심이 확대된 현대사회의 현상과 연관 되어져 도예미(美)의 격상과 함께 기대효과 증진은 물론 도예 오브제 저변확대를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인체와 동물의 상징적 특징을 연구자의 직관으로 재해석함으로써 독창적인 일품(一品)오브제를 다양하게 펼칠 수 있는 역량과 창의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대감이 있다. 셋째, 작가의 내적심상과 감정을 내러티브로 구성하고, 인체와 동물의 표정과 동세를 조형적 결합으로 구사한 제작방식은 조형언어의 시각적 효과를 공감과 소통을 통한 부가가치로 연결한다. 넷째, 인물오브제 작품제작에서 해체와 결합, 매체의 활용, 컴바인 페인팅(Combine painting)기법의 다양한 시도는 연구자의 이론적, 실천적 연구결과를 작품으로 연결시켜 독창적 조형예술로 완성한 것이다. 이러한 작품전개는 현대도예가 지향하는 조형예술 속에 인물오브제가 새로운 양상으로 자리 잡길 기대한다.

      • 현대 환경 도예 연구: 人間像의 조형미를 기반으로

        펑허난 국립군산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9727

        China's view of nature is centered on "heaven, earth and man". God's Word is "God's will," that is, man is the place where the order of the universe is practiced, and man's practice itself is the way to the unity of heaven and man. There is a close connection between man and the earth, between man and nature, between man and the environment, using human modeling to express the order of heaven and earth, and realize the idea of unity of heaven and man. At the center of the cosmic order, attempts are made to express the human image related to environmental pottery art from the concept of "heaven and earth and man." This study is a "Modern Environmental Pottery Modeling Study" to explore the beauty of human modeling, the subject of the cosmic order, and to produce works. Firstly, this paper analyzes and discusses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Chinese view of nature on the thinking world and environmental pottery modeling. Since then, in order to express the image of pottery work in detail, the beauty of the shape of the human image has been studied. Further analysis and research on the specific cases of world artists with different works by the author have established an image that can be combined with modern environmental pottery. First, it examines the traditional Chinese view of nature, the beauty of the development of pottery, and the thinking of "heaven and earth and man" under the theoretical background. Based on the traditional view of nature, this paper summarizes the modeling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ceramics and studies the aesthetic significance of modeling ceramics. We try to find a way to contribute to the modeling beauty of Chinese pottery by the natural view of "heaven, earth, and man" embodied or embedded in the expression of pottery by human image. On the basis of these studies and analyses, the paper analyzes the modeling characteristics of modern environmental ceramics from the aspects of formal expression, decorative language, emotional resonance. This paper studies the reappearance of the traditional view of nature in modern environmental ceramics, discusses the contribution of modern environmental ceramics to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Chinese traditional figures. Based on thes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the study of modern development process, we try to consolidate the identity and explore new possibilities in the ready-made ceramic work. Finally, this thesis will focus on the study of the beauty of Chinese traditional figure modeling, combine the study and practice in Korea, analyze Korea's view of "the unity of heaven and man" nature, and apply it to my creation. Starting from the formation of human modeling form, combining modeling elements such as modeling, proximalism and glaze color, this paper creates its own artistic language and puts forward aesthetic modeling language related to modern human.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Chinese figure sculptural beauty are expressed in the symbolic art form in the ceramic sculpture of his character. Therefore, it re-examines and applie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connotation of Chinese traditional view of nature, and studies the influence of Chinese traditional view of nature on pottery. It also provides a new form of challenge for the development of pottery. This study not only combs out the historical origin,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connotation of Chinese traditional human sculptural beauty, but also analyzes the Chinese view of nature and Korean view of nature. 중국에서 ‘천·지·인’이라는 개념은 가장 중요한 인간과 자연과의 유기적 관계성을 말해 주는것이다. 하늘의 이치 ‘天理는 人事에서 떠나지 않는다’, 즉 인간은 우주의 질서를 실천하는 곳이며 인간의 실천 자체가 천인합일에 도달하는 경로이다. 인간과 천지, 인간과 자연, 인간과 환경은 모두 하나로 연결되는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인간은 행위로 하늘과 땅의 질서를 표현하고 천인합일의 이념을 실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우주 질서의 중심에서 그 진리를 실행하는 주체인 인간의 이미지를 ‘천․지․인’의 관점에서 환경과 유기적 관계의 형상으로 표현 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현대 환경 도예 조형성 연구’이며 자연과 유기적 관계성을 지닌 내용을 주제로 한 환경 도예를 위한 인간상의 조형미를 연구하여 작품을 제작하고자 한다. 가장 먼저 중국 전통 자연관의 사유 세계와 환경 도예의 조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탐구하고 이를 이론적 기초로 하여 도예 작업에 구체적인 형상 표현을 위해 인체의 조형미를 연구하였다. 또 한 연구자는 다른 작가들의 구체적인 사례들을 분석하고, 연구하여 현대 환경 도예에 접목할 수 있는 인간상을 연구 하였다. 첫 번째, 중국에 전통적인 자연관이자 중국 문화 예술의 중심적 사유로서 이론적 배경이 되어온 '‘천·지·인’(天地人)'에 대한 개념를 고찰하였다. 이 전통 자연관의 사유를 바탕으로 한 환경 도예 작업의 조형적 특징을 연구하였다. 인간 형상으로 도자 조형의 이미지를 연구를 위해 중국 역사 속의 인체 표현성을 중심으로 인체 표현 특성을 연구하여 인체의 조형미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들과 분석을 기초로 형식 표현, 장식 언어, 감정적 공감(情感共鸣) 등의 방면에서 현대 환경 도예의 조형 특징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현대 환경 도예에서의 전통 자연관의 이해를 바탕으로 현대적 환경 도예의 이론적 재구성과, 인체 미의 조형적 표현의 사례로 주러경, 뤼핀창 등의 중국 작가와 루스 더크워스, 조지 장클로 모세, 니키 드 상팔 등 해외 작가들의 예시를 통해 이를 연구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과 현대적인 전개 과정의 연구를 바탕으로 환경과 유기적인 관계를 통 해 드러난 인체미에 대한 조형성의 사례를 연구하여 중국의 사유관과 조화되는 현대 환경 도예애 또 다른 연구 사례를 제안하여 환경 도자 예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자연과 유기적인 관계성을 통 해 인체 조형미에 관한 연구하였는데, 중국의 인체 조형성의 사유 개념과 더불어 한국에서의 조형적 채험과 미학적 실천의 영향들이 혼용된 조형 형식을 중심으로 작품을 연구하였다. 인간의 조형적 형태의 형식에서부터 출발해서 조형, 근리, 유약 등 조형 표현 요소를 결합된 예술 언어를 창조하고, 현대의 인간 미에 관련한 미학적 조형 언어를 제시 하였다. 중국 전통 자연관의 심미적 특징과 문화적 내용을 현대적 개념으로 재조명하고 응용하여 중국 전통 자연관과 예술의 관계성을 환경 도예로 표현하는 인체미의 조형을 연구 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천·지·인’ 자연관과 한국의 자연관의 연구를 기반으로 자연과 유기적 관계성을 가진 인체의 표현에 대한 조형성을 연구하여 현대 환경 도예의 새로운 조형 개념을 제시하고자 했다.

      • 동아시아 노스텔지어(Nostalgia)에 대한 하이브리드(Hybrid)적 표현연구

        뤄양 군산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nostalgia is to re-experience the past, an emotional experience of seeking self-identity and self-continuity in the collision between the past and reality. The creation of nostalgia in contemporary art is essentially an artistic exploration through which artists reflect on the modern state of human existence and find spiritual balance and soul's homecoming. In the context of Western modernity, the nostalgia-themed art creations of East Asian countries have undergone tremendous transformation in terms of creative concepts, content, and language, as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themes have evolved from the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 nostalgic feelings of the countryside to the expression of modern people's spiritual homelessness. At the same time, the modeling language has broken through the limit of traditional and homogeneous countryside nostalgia and developed into a hybrid modeling expression, and a number of internationally influential artists started to emerge. Therefore, this thesis takes East Asian nostalgia-themed art creation as research object, and studies the nostalgia-themed art works of representative artists from East Asian countries in terms of creation background, content, and methods, in terms of the transformation of modern culture as well as East Asian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At the same time, the modeling language has broken through the limit of traditional and homogeneous countryside nostalgia and developed into a hybrid modeling expression, and a number of internationally influential artists started to emerge. Therefore, this thesis takes East Asian nostalgia-themed art creation as research object, and studies the nostalgia-themed art works of representative artists from East Asian countries in terms of creation background, content, and methods, in terms of the transformation of modern culture as well as East Asian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This paper firstly reviews the philosophical,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theories of nostalgia as well as the theory of hybrid art creation, indicating that modern nostalgia as a common emotion and social topic has received widespread attention from the humanity studies. There also exists a trend of interdisciplinary theories blending, thus providing further theoretical support for the study of modern nostalgia-themed creation. Secondly, the article analyzes in detail the social background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East Asian nostalgia-themed art creation, and generalizes five typical hybrid modeling language mechanisms, including the mixture of expressions, spaces, media, symbols, and mixture of technology and art. Subsequently, the nostalgia-themed works of representative artists from Korea, China and Japan are discussed via an analyzing framework of three types of nostalgia-themed creations and five hybrid modalities of modeling language. These works, based on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each country and the artists' reflections on the past and reality, as well as national aesthetic spirit of East Asia, express the nostalgic theme from multiple perspectives. In this regard, nostalgia theme breathes new air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art. Finally, having considered China's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the social identity of the author as post-80s, her creations are categorized into three creative types: retrospective - traditional cultural, reflective - cultural conflict, and identity - material and spiritual. Later, the thesis explains the creative background, the principle of using hybrid modeling language and the modeling features involved in each type. To sum up, the nostalgia-themed creations of East Asian countries expose the social problems of East Asia in terms of concepts, and they are characterized by the fusion of East and West in terms of form, and hybrid characteristics in terms of modeling language. Moreover, most of these works have in them their national aesthetics, narrating a unique creative story of East Asia. On the one hand, it paves ways for constructing an academic community of East Asian art; on the other hand, the expression mechanism of hybrid art also affords more possibilities for the creation of East Asian artists and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future of Asian art creation. 노스텔지어는 지나간 시간을 회고(回顧)하고 과거와 현재의 충돌에서 자아 정체성을 되찾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감정체험을 하기 위한 의미가 있다. 현대미술에서 노스텔지어를 주제로 작품창작을 한다는 것은 예술가가 작품을 매개로 현대인의 생존상태에 대해 성찰하고 심신과 영혼의 귀속을 모색하는 예술적 탐구라고 볼 수 있다. 노스텔지어를 주제로 한 동아시아 각국의 미술 작품은 현대 서양의 영향과 동서문화의 융합에 기인하여 관념부터 내용, 더 나아가 조형 언어에 이르기까지 커다란 변화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노스텔지어 주제의 미술 작품을 대상으로 현대문화의 전향(轉向)과 동아시아 사회문화 환경을 배경으로 작품의 배경과 내용, 그리고 조형 방식 등의 방면에서 동아시아 각국의 대표적인 예술가들의 노스텔지어 주제의 미술작품을 연구하였다. 동아시아 지역의 문화, 사회의 변천, 미학관의 차이로 예술가와 관객의 공감대도 서양예술과는 차이가 있다. 그러한 이유로 동아시아의 문화에 입각하여 동아시아 노스텔지어 주제의 미술에대한 연구와 연구작품을 통해 서양과는 차별된 동아시아 미술작품의 심미적 체계를 찾아내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첫 번째로 철학, 사회학, 심리학 차원에서 노스텔지어와 관련된 이론들과 하이브리드 미술의 작품이론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현대의 노스텔지어는 일종의 보편적인 사회정서의 문제로써 인문학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여러 학문의 이론과 서로 연관성을 보이는 추세로 현대 노스텔지어 주제의 미술 작품 연구에 학문적 이론을 제공하고 있음이 인정되고 있다. 아울러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노스텔지어 주제 작품의 사회적 배경과 미학적 특징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으로 표현형식의 하이브리드, 공간의 하이브리드, 매개의 하이브리드, 부호의 하이브리드, 과학과 예술의 하이브리드 등 다섯 가지 유형의 하이브리드 미술의 조형언어 구조를 탐구하였다. 그리고 세 가지 유형의 노스텔지어 주제의 작품과 다섯 가지 하이브리드 조형 언어 방식에 기반하여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 등 대표적인 예술가의 노스텔지어 주제의 작품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들 작품은 각국의 사회문화적 환경과 예술가의 과거와 현실에 대한 사고, 동아시아 민족의 미학관에 입각하여 노스텔지어 주제를 다 각도로 표현하고 있는데, 노스텔지어를 통해 동아시아 각국의 사회역사와 현실에 대한 예술가들의 사고가 반영됨과 동시에 동아시아 각국의 미술 작품에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여 현대예술 발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끝으로 중국의 사회문화환경과 80년대생이라는 문화 정체성을 바탕으로 연구자의 작품을 회고(回顧)-전통문화형, 성찰(省察)-문화충돌형, 조화(調和)-물질과 정신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으며 각 유형의 작품에 관련된 배경과 하이브리드 조형 언어의 운용원리 및 조형적 특징에 대하여 논술하였다. 이와 같은 논문의 연구 과정을 통하여 동아시아 각국의 노스텔지어 주제의 작품이 동아시아의 사회문제를 관념적 차원에서 표현하였고, 형식적 차원에서 동서융합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하이브리드 미술의 조형적 특징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작품들은 대체로 자체의 민족적 미학관과 결합 되어 동아시아 특유의 미학적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동아시아 노스텔지어 주제의 작품 특징은 지역의 학술적 공동체를 구축하는데 커다란 가능성을 제공하였고 현대미술의 하이브리드 표현방식이 동아시아 예술가들의 작품창작 활동에 보다많은 다양성을 부여하여 아시아의 현대미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환경도자조형물 표현형식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 C.G. Jung의 집단무의식적 상징체제를 중심으로

        류혜진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9727

        환경도자조형물의 기원을 살펴보면 환경도자조형물을 단순히 건축물의 부속물로 보는 시각도 있다. 그러나 고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는 역사의 과정을 통해 보았을 때, 주술과 의례적인(ritual) 목적을 가지고 그림이나 조각을 동굴의 벽면에 장식하는 행위를 시작으로 집을 짓고 장식을 하는 예술의 기원과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환경도자조형물은 건축 부속물의 일부로서만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내면을 탐구하고 표현해내는 상징적인 예술작품으로서 창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징적 기능이란 인간의 의식에 주어진 경험 내용을 조직화하고, 의미화 하는 행위이고, 상징적 형식은 상징적 기능에 의해 만들어진 결과물들, 예컨대 신화, 예술, 언어, 과학 등이 그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인류의 보편적인 원형상징은 모든 인간의 선험적 경험과 밀접한 정신적, 표상적 내용을 담고 있으며, 환경도자조형물을 통해 문화적 소통이 가능한 것은 조형물에 내재된 이러한 상징 때문이다. 오늘날의 환경도자조형물은 장소성과 공공성, 예술성을 표현하는 복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도시공간을 일부 공공성의 개념에서 바라보는 환경조형물의 편중된 양상은 오히려 주변 환경과 공간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예술성이 부족한 획일화된 조형물을 만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경도자조형물의 예술성부족에 대한 문제제기와 함께 칼 융의 집단무의식 이론을 토대로 정신의 가장 깊은 곳에서 움직이고 있는 인간 본연의 마음을 고찰하여 예술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는 집단무의식이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인류의 축적된 정신을 담고 있으며, 인간 이해를 바탕으로 하기에 본 연구에 타당한 도구라 생각한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으로는 환경도자조형물의 조형원리에 관한 연구가 선행되고, 그러한 과정을 통해 보편성의 상징체계연구가 진행되어야 조형물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적합하다고 보고, 환경도자조형물을 두 개의 접근방식으로 나누어 사례분석 하였다. 첫 번째 사례분석 방법으로 환경도자조형물의 전제요소인 공공성, 장소성, 예술성에 관한 내용과 일반적인 미적 가치들로 구성된 뵐플린의 조형원리 개념을 적용한 설문조사의 결과위주로 사례분석 하였다. 두 번째 접근방법은 인류에게 보편적인 심상을 생기게 하는 생명의 기반이며 인류의 근원과 관련 있는 창조적 에너지의 영역인 집단무의식의 원형과 상징이미지에 관한 칼 융의 집단무의식 이론을 중심으로 환경도자조형물의 정신적 가치를 분석 하였다. 그 결과 환경도자조형물의 시각적 직관형식을 기본구조로 하는 무의식의 작용이 집단무의식의 원형상징에 의해 드러났다. 이 연구는 표층적 가치와 내적주제가 집단무의식적 상징과 무관하지 않으며, 그것이 예술의 주체로서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고 다른 의미로 내용이 연상, 확충된다는 논리에 대한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 놓았고, 그 자체의 상징성을 드러내는데 유용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의의로는 첫째, 환경도자조형물에 내포된 근원적 의미를 찾는 심층적인 연구와 분석이 부재함을 인식하고 조형물의 이미지와 형태의 근원을 살펴봄으로써 조형물의 실체에 가까이 갈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환경도자조형물의 시각적 표현형식을 통해 집단무의식의 원형과 상징을 분석하여 인간정신 속에 보편적으로 내재된 원형상징이 환경도자조형물에 어떻게 발현되는지 분석하였다. 셋째는, 이러한 환경도자조형물의 사례연구를 통해 창조적인 조형물, 작가, 관람자, 공간 모두가 소통 할 수 있는 환경도자조형물의 가능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이 연구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환경도자조형물이 현대인에게 새로운 자아를 경험하는 물리적이면서도 심리적인 공간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또한, 인간 정신 속에 공통적으로 내재된 원형의 상징체계는 인간이 스스로 혹은 자기가 속한 지역과 공동체 더 나아가 우주와 조화를 이루며 살고 있다고 느끼게 한다. 결국 이러한 살아있는 에너지들을 가진 환경도자조형물의 상징체계에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반응하고 집단의 행동과 의지, 문화적 배경을 만드는 것이다. Tracing back the origin of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we can see that they originated from creating drawings or engravings on cave walls for sorcery or ritual purposes and from the art of building and decorating homes. Some people think of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as subsequent elements of architecture, but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history from the prehistoric times, it shares a common origin with art. In other words,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do not only work as a part of architecture, but they are created as a symbolic work of art that explores and expresses human introversion. Symbolic functions are acts of organizing and signifying the experiences of human rituals and symbolic forms are the outcomes of symbolic functions, including myths, arts, languages, science, etc. The universal archetypal symbols of humankind convey mental and symbolic contents that are close to all men's a priori experiences. This symbolism of artistic structures enables us to make cultural communications through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today have complex characters to express place, public value, and artistic value, but the tendency to create environmental sculpture that perceive urban spaces as public spaces lead to the creation of uniform structures that lack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surroundings and spaces, and even artistic value. In this respect, this study pointed out the problem that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lack artistic value and examined the natural hearts of men that work in the deepest realm of spirit based on C. G. Jung's collective unconscious theory to rediscover the source of artistic value for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Collective unconscious convey the accumulated spirits of men since the prehistoric times and is founded on the understanding of humankind. Thus, it is suitable for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igurative principles of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were studied to decide that a study on the universal system of symbolism should be performed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figurative structures. Thus, various cases of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were analyzed based on two approaches: First, cas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that applies Wolfflin's concept of figurative principles that consist of information on the public value, place, and artistic value of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and general aesthetic values. Second, the spiritual value of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was analyzed based on C. G. Jung's collective unconscious theory, which is the basis of life that creates universal images for the humankind and related to the archetypal and symbolic images of collective unconscious, the realm of creative energies relating to the root of humankind. In result, the unconscious activities based on the intuitive visual styles of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were revealed by the archetypal symbol of collective unconscious. This study opened the possibility to interpret the logic that superficial value and internal thesis are not unrelated to collective unconscious symbols and that they can create new semantics as art to be associated with and expand into other semantics. Also, it was useful for revealing their symbolism. This study was significant because: first, it understood that they are no intensive study and analysis on finding the essential meaning of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and examined the roots of images and forms of figurative structures to approach the substantial existence of figurative structures. Second, the archetypal and symbolic collective unconscious was analyzed through visual expressions of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to analyze how the universal archetypal symbols of human spirit are realized by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Third, its case studies would increase the possibility to create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that can work as creative installations and communicate with artists, visitors, and spaces. This study would reveal that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provide modern people wi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spaces where they can experience new ego. Also, the archetypal system of symbolism that universally exists in the spirit of every man makes men feel that they are living in harmony with their regions, communities, and even the Universe. In other words, people instinctively react to the symbolic system of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that convey living energies and create the behaviors, determination, and cultural backgrounds of their communities.

      • 현대회화에서 목재의 물성을 활용한 표현 연구

        한 위 군산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thesis This paper analyzes Heidegger's late material theory and meaning, focusing on the philosophical ideas of Martin Heidegger (1889-1976), who represents existentialism. Heidegger's philosophy not only has the original theoretical meaning of existentialism, but also embodies objects and works, works, works, truths, and art from an objective idealistic perspective. Heidegger's philosophical theory is a theory that supports the artist's ideas. Artists' ideas can be expressed as works of art, and art theory and works of art can be supplemented with each other. Art creation includes the use of matter and its meaning along with philosophical ideas, and matter imparts emotion to the work. It is the application of this material that can help to find the essence of art. This can only be connected to the materi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work. Wood can be processed and shaped in the form of wood that combines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and ready-made goods, and in this paper, wood has two meanings: natural and ready-made. Heidegger's theory of physical properties was studied with the West as the starting point, and the representative physical properties, the Monofa, were studied with the East as the starting point. Artists use and fuse materials suitable for physical properties with works of art. Material has a new vitality through the artist's attempts and reconstruction, and becomes an important medium for exploring the language of painting form while expanding the concept of formative painting creati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matter combine with works of art to convey the artist's spirit and show how these materials are developed materially, mentally, and culturally. Since there is a limit to paying attention only to the basic properties of wood, this paper focuses on how to embody the physical properties of wood in works of art. Combination is a technical means widely used in wood creation in additional forms, and is a method of combining separated wood with some technical means to meet the morphological or functional needs. Therefore, combination technology shows the creator's aesthetic sense of artistic creation and innovation of craft, and means resp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objects, the nature of trees, and worshiping nature. Artists preserve their original characteristics, such as shape and texture, among the natural characteristics of trees. The artist realizes the meaning that is interdependent with everything in nature, understands the natural characteristics of trees in modern art, and experiences the nature of trees and the state of 'harmony'. Secret concealment refers to the combination of work and wood or the fusion by other arrangements, and the audience can directly see the role of wood in transforming a two-dimensional space into a three-dimensional space in the work. Concealing is an artist's transmission of his or her emotions through the material, and conceal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because the artist's emotional meaning should not be directly expressed to the audience. Abstract art pursues diversification and unity, and the formal beauty of wood is mainly expressed in art techniques such as design composition, formulation, organizational form, and color processing. Monopa mainly uses wood to symbolize the emotions of nature because it can express the meaning of the work more deeply through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tree, and can reflect the emotions of the artist through concealment and concealment. This paper discusses the theory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wood to analyze the works of artists using wood in modern art. John McCracken (1934-2011), Jean Arp (1887-1966), Josh Sperling (1984-), Carl Andre (1935-), Japanese monofa artist using natural objects, and Korean artist Lee Woo-hwan (1936-). Artists emphasize the auxiliary function of wood as a material for the work and the expression of emotions through wood. In the researcher's painting work, trees are transformed and reconstructed to cover the color of the processed tree itself. The combination is a reconstruction of wood and abstraction and a variation of the canvas. From planar painting in a two-dimensional space using a modified canvas to painting in a three-dimensional space using wood without being bound by the canvas, the forms of painting are diversifying. Wood is a material that can change the formative structure of the canvas, and not only shows the physical properties of wood, but also shows the three-dimensional changes in the painting work with auxiliary properties in painting. This paper deeply studies the expression combination characteristics and nature of wood in painting works according to the basic properties of wood, and then studies the concealability and non-concealability value as painting materials.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concealment and concealment in modern art is explored, focusing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wood in the research process. Therefore, using the researcher's painting as an example, the unique meaning and formative value of wood in modern painting is presented, and its characteristics are studied through wood. The rich physical properties of wood not only improve the visual expression of works of art, but also extend indefinitely to the realm of art language to realize the mindset, aesthetic standards, and technical means of modern art painting as the concept of materials continues to expand. 본 논문은 실존주의를 대표하는 마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1889-1976)의 철학 사상을 중심으로 하이데거의 후기 물질 이론과 의미를 분석한다. 하이데거의 철학은 단순히 실존주의라는 본래의 이론적 의미를 갖는 것뿐만 아니라 객관적 유심론(Objective Idealism)적 관점으로 사물과 작품, 작품과 진리, 진리와 예술을 구체화한다. 하이데거의 철학 이론은 예술가의 사상을 뒷받침하는 이론이다. 예술가의 사상은 예술 작품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예술이론과 예술 작품은 서로 보완될 수 있다. 예술 창작은 철학적 사상과 더불어 물질 사용과 그 의미도 포함되며 물질은 작품에 감정을 부여한다. 예술의 본질을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은 바로 이 물질의 적용이다. 이러한 것은 오직 작품의 물질적, 물리적 특성과 연결될 수 있다. 나무는 자연적인 것과 기성품의 특성을 결합한 목재 형태로 가공되고 형상화될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 목재는 자연적인 것과 기성품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담고 있다. 하이데거의 물리적 성질 이론은 서양을 출발점으로 하고, 대표적인 물리적 성질인 모노파(물파-物派)는 동양을 출발점으로 하여 연구되었다. 예술가들은 물리적 특성에 적합한 재료를 예술 작품과 함께 사용하고 융합한다. 물질은 예술가의 시도와 재구성을 통해 새로운 생명력을 지니고, 회화 창작의 조형 개념을 확장하면서 회화 형태의 언어를 탐구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된다. 물질이 지닌 물리적 특성은 예술 작품과 융합하여 예술가의 정신을 전달하기도 하고 물질적, 정신적, 문화적으로 이러한 재료들이 어떻게 개발되는지 보여준다. 목재의 기본적인 특성에만 관심을 기울이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예술 작품에서 목재의 물리적 특성을 구체화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조합은 부가적인 형태로 목재 창작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적 수단으로서 형태적 또는 기능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분리된 목재를 일부 기술적 수단과 결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조합 기술은 공예의 예술적 창조와 혁신에 대한 창작자의 미적 감각을 보여주며 나무의 본성인 자연물의 특성을 존중하고 자연을 숭배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술가들은 나무의 자연적 특성 중 형태와 질감 등 본래의 특성을 보존한다. 예술가는 자연 속의 모든 것과 상호의존적인 의미를 깨닫고, 현대미술에서 나무의 자연적 특성을 이해하며, 나무의 본질과 ‘조화’의 상태를 경험한다. 비 은폐는 작품과 목재의 결합 또는 다른 배열에 의한 융합을 말하며, 관객은 작품에서 2차원 공간을 3차원 공간으로 변화시키는 목재의 역할을 직접 볼 수 있다. 은폐란 예술가가 재료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는 것으로 예술가의 감정적 의미가 관객에게 직접적으로 나타나서는 안 되기 때문에 재료의 물리적 속성을 은폐하는 것이다. 추상미술은 다변화와 통일성을 추구하는데 목재가 지닌 형식미는 주로 디자인의 구성, 조형, 조직 형태, 색채 처리 등의 예술 기법으로 표현된다. 모노파는 자연의 감정을 상징하기 위해 주로 나무를 사용하는데 이는 나무의 물리적 특성을 통해 작품의 의미를 더 깊이 표현할 수 있고, 은폐와 비 은폐로 예술가의 감정을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현대미술에서 목재를 활용한 예술가들의 작품을 분석하기 위해 목재의 물성 이론을 논의한다. 기성품을 사용한 존 맥크래켄(John McCracken, 1934-2011), 장 아르프(Jean Arp, 1887-1966), 조쉬 스펄링(Josh Sperling, 1984-), 칼 안드레(Carl Andre, 1935-), 자연물을 이용한 일본의 모노파 예술가 키시오 스가(Kishio Suga 1944-), 한국의 예술가 이우환(Lee Ufan, 1936-) 등이 대표적이다. 예술가들은 작품의 재료로써 목재의 보조적 기능과 목재를 통한 감정 표현을 강조한다. 연구자의 회화 작품에서는 가공된 나무 자체의 색을 가리기 위해 나무를 변형하고 재구성한다. 그 조합은 목재와 추상화의 재구성이며 캔버스의 변형이다. 변형 캔버스(shaped canvas)를 이용한 2차원 공간의 평면 회화부터 캔버스에 얽매이지 않고 목재를 이용한 3차원 공간의 회화까지 회화의 형태가 다양해지고 있다. 목재는 캔버스의 조형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재료로서, 목재의 기본적인 성질 중 물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회화에 있어서 보조적인 특성을 가지고 회화 작품의 입체적인 변화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본 논문은 목재의 기본속성에 따라 회화 작품에서 목재의 표현 조합 특성과 자연성을 깊이 연구한 다음 회화 재료로서의 은폐성 및 비 은폐성 가치를 연구한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 목재의 물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현대 미술에서 은폐와 비 은폐의 중요성을 탐구한다. 이에 연구자의 회화를 예로 들어 현대 회화에서 목재의 독특한 의미와 조형적 가치를 제시하고, 목재를 매개로 그 특성을 연구한다. 목재의 풍부한 물리적 특성은 예술 작품의 시각적 표현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재료의 개념이 계속 확장됨에 따라 현대 미술 회화의 사고방식, 미적 기준, 기술적 수단을 실현하기 위해 예술 언어 영역으로 무한히 확장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