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수묵 인물화의 조형 심미성 연구

        리우시아오밍 국립군산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9775

        The artistic expression of "'Modelling aesthetic” is quite common in painting creation. “Modelling” is a kind of abstract re-extraction of the image elements of the object in the artistic creation, which is usually expressed in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abstract image elements with the actual image of the object, through the abstract extraction of the language of artistic expression to shape and derived from the unique aesthetic art. From the creation of ink figure as an example, the author from the concrete to abstract and then to the image of the extraction of the process of ink figure painting in the creation of the “Modelling”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research process, and the "Modelling aesthetic" not only embodies the author's consciousness of the shape of the object to extract a high degree, but also reflects the author's aesthetic tendency. The subject matter of Chinese ink figure painting is rich and varied. The different subject matter of Chinese ink figure painting can show different artistic expression language. But from the modelling essence, it can represent the abstract elements of the object and the artistic language of the creative subject, then combine the subjective shape of aesthetic consciousness of expression to extract the status of the characters in the creative behavior of a unique language of expression. Based on the history of painting in the world, the creation of ink-wash figure painting is one of the major trends in modem art, especially under the influence of Sino-sphere, so far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circles of East Asia, it has become a relatively mature art form with certain characteristics, with the emergence of a large number of ink plastic arts. With the joint creation and efforts of several generations, the forms of ink figure painting are more diversified, and it has developed into a more mature form of painting. Chinese ink painters of ancient times such as Shi Ke, Liang Kai, Wu Wei, Huang Shen and Ren Bonian, as well as modern artists such as Xu Beihong, Fang Zengxian and Cheng Shifa, have created many ink figure paintings, also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the creation of ''Modelling aesthetic” artistic expression. In order to study the "Modelling aesthetic” related content of ink figure painting, expand the depth and breadth of the study of ink figure painting, enrich the related research theory. This study will combine different regional culture and different periods of ink figure painting creative characteristics and artistic characteristics of a comprehensive study, through appreciation of related works to explore the existence of "'Modelling aesthetic”. This research collects the literature materials about the research of Chinese ink figure painting, and discusses the research results and theories put forward by domestic and foreign experts and scholars in the research of Chinese ink figure painting, after clearly outlining the background, significance, content, Method and innovation of this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Chinese ink figure painting, the characteristics and basic conditions of the development of Chinese ink figure painting in ancient, modem and contemporary times are studied respectively. Then, based on the concept of ink figure painting and modelling aesthetics, this paper discusses the modelling aesthetics of ink figure painting in different periods, and learns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ancient, modem and contemporary ink figure painting creation, to distinguish the aesthetic features of the figure painting in different periods of time, so as to enrich the content of the research paper, and respectively from a single change into pluralistic, functional change into consumption, interesting, planar regression, to analyze the appearance of the aesthetic orientation of the modelling of the contemporary Chinese ink figure painting from many aspects, such as the strengthening of the form composition and the expansion of the new visual dimension, so that the research in this paper can meet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ink figure painting, highlight the timeliness of research papers. Finally, select some contemporary works as cases and his own creation of ink figure painting works to analyze the practice of thinking and perception, and contemporary ink figure painting aesthetic thinking. ‘조형 심미성’의 예술적 표현은 회화 창작에서 흔하게 발견할 수 있다. '조형’은 예술 창작에서 물상의 이미지가 구성하는 추상적 재추출이다. 일반적 으로 예술 창작에서 추상화된 형상이 실제 물상의 구상(具象) • 의상(意象) • 추상(抽象)과 융합하는 과정에서 표현되며,추상적으로 추출된 예술 표현언어 를 통해 조형되어 독특한 예술 심미적 경향을 나타낸다. 수묵 인물 창작의 경 우,예술가는 구상부터 추상,다시 추상에서 의상에 이르는 추출 과정을 통해 수묵 인물화 창작의 '조형’ 심미 의식의 연구 과정을 보여준다. ‘조형 심미성’ 은 예술가의 물상에 대한 조형 의식의 추출은 물론 예술가의 심미적 경향도 반영한다. 수묵 인물화는 제제가 풍부하고 유형도 다양하다. 제재가 다른 수 묵 인물화는 다른 예술 표현언어를 보여줄 수 있으며,이에 따른 조형 심미성 에도 일정한 차이가 존재한다. 그러나 조형은 본질적으로 물상의 추상적 구성 요소와 창작 주체의 예술 언어를 표현하며,다시 주관적인 조형 심미성의 경 향과 결합하여 창작 행위를 거쳐 독특한 예술 언어 형식으로 표현된다. 세계 회화 발전사의 관점에서 수묵 인물화의 창작은 현대 예술의 주류 중 하나이다. 특히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수묵화는 전통적인 종이나 먹의 발 전과 함께 성장하여 현재 동아시아의 문화 예술에서 성숙하고 특색 있는 예술 표현의 형태로 자리 잡았으며,수묵 조형 예술을 집대성한 예술가도 다수 등장했다. 수 대에 걸친 창작과 노력을 통해 수묵 인물화의 형식은 더 욱 다양해졌고,매우 성숙한 회화 표현의 형식으로 발전했다. 중국 고대의 수묵화가인 석각(石格) • 양해(梁植) • 오위(吳傅) • 황신(黃愼) • 임백년(任伯 年),근현대의 화가 쉬베이흥(徐悲渴)• 광정시엔(方增先)• 정스파(程十發) 등 대가들의 수묵 인물화 작품도 ‘조형 심미성’의 예술적 표현을 매우 중시 했다. 본 연구에서는 수묵 인물화의 ‘조형 심미성’에 관련한 내용을 분석하 여 연구의 깊이와 폭을 확장하고,관련 연구 이론을 다양하게 다루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지역 문화와 시기별 수묵 인물화의 창작 특징 및 예술 특징 을 결합하여 종합적으로 연구했으며,관련 작품의 감상과 분석을 통해 ‘조 형 심미성’의 존재를 탐구했다. 본 연구는 수묵 인물화에 관한 문헌자료를 수집하고 중국 내외의 전문 가와 학자들이 수묵 인물화 연구에서 제시한 성과와 이론을 분석했다. 관련 연구와 아이디어를 참고하여 논문 연구의 방향을 수립하고,연구의 배경 의미 • 내용 • 방법 및 창의성을 개괄했으며,수묵 인물화 발전의 과정을 고 대 • 근대 • 현대의 세 시기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이어서 수묵 인물화와 조 형 심미성의 개념을 바탕으로 시기별 조형 심미성과 예술적 특징을 구분하 고,일원에서 다원화,기능에서 소비화,평면성의 회귀,형식 구성의 강화 및 새 로 운 시 각 적 차원 확대 등 여러 측면에서 현대 수묵 인물화의 조형 심미성 취향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 현시대의 수묵 인물화 발전 에 도움이 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현대 수묵 인물화 작품 중 일부와 본 연구자의 수묵 인물화 작품을 예로 들어 창작 과정의 구상과 감상을 설명 하고,현대 수묵 인물화의 ‘조형 심미성’ 발전 경향에 관해 분석했다.

      • 동물형상을 모티브로 한 인물오브제 작품연구

        유정란 국립군산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43

        Since postmodernism, characterizations have embarked on free variations. Contemporary art has turned its focus away from reason to the opposite extreme of the physical body, expressing it as a hybrid body, a fusion or mating of various images, by incorporating diverse images of the body. These new forms eliminated classical ideals, representing not abstract sculptures but rather a variety of images such as humans, animals, imaginary beings, cyborgs, and more. Furthermore, as independent and individual forms break down and genre boundaries crumble, there is a tendency towards hetero-combination, fusion, and mixing with other fields. In modern ceramics, the ‘objet’, a figure based on animals, has expanded to include clay as a medium of expression. It is spreading as a new ceramic art style through deconstruction and combination while metaphorizing the joys and sorrows of life, social satire, and criticism. Animals bring close intimacy and emotional richness to human life. Ceramists have personified this phenomenon and are expressing various ideas about modern life in creative formative language through formative techniques that emphasize or transform specific parts of animals and humans. This study analyzed the phenomenon of hetero-combination in the field of sculptural arts, categorizing it into 'mythical entity representation,' 'combination and fusion of humans and animals,' and 'hetero-combination as a plural existence.' Subsequently, the study examined the world of artists by dissecting the portrayal of human "objet" in contemporary ceramics, focusing on 'media combination,' 'artist's intent,' and 'creativity and individuality,' and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thereof. Summarizing the first part of the research, the hetero-combination in the form of mythical entity representation involves combining humans and animals such as dragons, snakes, horses, and oxen to create new forms. It also includes creating hybrid entities with upper or lower halves in the form of animals or humans. This hybridization of the human body and animals is closely related to the various forms of hybrid expression in contemporary sculptural arts, indicating a profound connection. The hetero-combination of humans and animals observed in the analysis of contemporary sculptural artworks unfolds in various forms, transcending the boundaries of traditional specific forms and genres, as the expressive scope expands through the morphological transformation of the human form and the aesthetic creation of sculptural art. The development of figure objet in contemporary ceramics originates from the pioneer of postmodern ceramics, Robert Arneson's Funk Art, and has evolved into a new form of ceramics characterized by free variations, combining human and other mediums, semi-human and semi-animal forms, as well as various genres and boundaries such as metaphor and narrative. The semi-human, semi-animal figure, not biased toward either humans or animals, incorporates contrasting values into a single body, depicting a synthesized hybrid world that is both similar to and different to humans. The metaphor of figure objet encapsulates the artist's purpose to artistically express self-realization, a spirations for the ideal, and boundless freedom by making the artist themselves as a subject or the me. In the latter part, the Author’s work, 'Figure Objet Series,' has been detailed, including its artistic intent, characteristics, motif selection, materials, shaping, firing, etc. and elaborated on the entire resear ch process in detail, including clay selection, production techniques, glazing, and firing, accompanied by photographs. The intention of combining the motifs of animals such as dogs, cats, chickens, snakes, lions, sheep, rabbits, etc., with the joys and sorrows of human life is rooted in the Author's animal-loving philosop hy and personification of animals. This is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animals, while repeating the cycle of creation and extinction, lead a natural life similar to humans and have emotions similar to humans.The storytelling of ideals and reality depicted in the artwork is a metaphorical representation of the Author's life connected to everyday experiences through the language of sculpture. The transformation, deconstruction, and combination of forms are intentional results achieved through creative expressive techniques. The figurative forms created in the Series are approached through mythic humans, human and human, human and human combination, and semi-human, semi-animal types. This is intentional, aiming to convey the fresh aesthetic impact presented by the sculpturally expressed figure objet. The conclusion of the figure objet artwork production research for <Glee-Ⅰ>, <Glee-Ⅱ>, <Glee-Ⅲ>, <Madness-Ⅱ>, <Madness-Ⅲ>, <Lovesickness-Ⅰ>, <Lovesickness-Ⅱ>, <Lovesickness-Ⅲ>, <Imagine-Ⅰ>, and <Imagine-Ⅱ>, comple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figure objet that consider animals as akin to humans and metaphorically express the researcher's life philosophy through sculptural language are not only associated with the phenomenon of increased interest in pets in contemporary society but also contribute to enhancing the aesthetic value of ceramics (美) and expanding the scope of ceramic objet. Secondly, there is an anticipation of enhancing the ability and creative level to produce various unique objets (一品) by reinterpreting the symbolic features of the human body and animals through the researcher's intuition. Thirdly, the artist's internal imagery and emotions, composed as a narrative, and the production method that artistically combines the expressions and movements of the human body and animals, connect the visual effects to additional value through empathy and communication. Fourth, different attempts in figure objet artwork production, including deconstruction and combination, utilization of media, and experiments with the combine painting technique, connect the researcher's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earch results to the artwork, resulting in the completion of original sculptural art. The development of such works is expected to establish figure objets in a new form within the realm of sculptural art, as advocated by contemporary ceramics. 포스트모더니즘 이래로 인물상들은 자유로운 변주를 시작하며, 현대미술이 이성의 반대급인 육체, 몸으로 관심을 돌리게 됨에 따라 몸의 이미지를 다양하게 차용하여 하나의 조각으로서, 서로 접합되거나 교배된 잡종의 몸으로 표현한다. 이러한 새로운 형상들은, 고전적인 미인 형상을 없애고 추상 조각도 아닌 인간, 동물, 상상 속의 존재, 사이보그 등 다양한 이미지로 표현되면서 독립적, 개별적 형식이 해체 되고 장르적 경계가 무너지면서 다른 분야와의 융합, 결합, 혼합하는 이종결합 경향이 자리를 잡게 되었다. 현대도예에서 동물을 소재로 한 인물 ‘오브제’(objet)는 점토를 표현매체로 확대하고 삶의 희로애락이나 사회풍자와 비판 등을 은유하면서 해체와 결합을 통한 새로운 도예양식으로 확산되고 있다. 동물은 인간의 삶과 밀접한 친근성과 정서적 풍요로움을 안겨주고 있는데, 도예가들은 이러한 현상을 의인화(Personification)시켜 동물과 인간의 특정부위를 강조하거나 변형시키는 조형기법을 통하여 현대인의 삶에 관한 다양한 관념들을 창의적 조형언어로 표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조형예술에서 나타난 이종결합양상을 신화적 존재 구현양식, 인간과 동물의 결합과 융합, 다수존재로서의 이종결합으로 나누어 작가의 작품세계를 분석하고, 현대도예에 전개된 인물오브제를 매체의 결합과 작가의 의도, 창의성과 개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특징을 정리 한 것이다. 전반부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신화적 존재 구현양식의 이종결합은 용, 뱀, 말, 황소 등 인간과 짐승을 결합하여 새로운 형상을 창조하거나, 상·하반신이 동물 또는 인간의 형태로 된 반인반수의 생명체를 만들어 내기도 하였다. 이러한 인체와 동물의 이종결합은 현대 조형예술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는 하이브리드 형식과 깊은 연관이 있는 것이다. 현대조형예술작품 분석에서 나타나는 인간과 동물의 이종결합은 인간의 조형적 형체변형과 조형예술의 미학적 창작 등으로 표현영역이 확대되면서 기존의 특정한 형식과 장르의 경계를 초월하는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된다. 현대도예에 전개된 인물오브제는 포스트모던 도자의 선구자 로버트 아네슨(Robert Arneson)의 펑크아트(Funk Art) 도자인물상을 시작으로, 인간과 다른 매체의 결합된 표현방식의 반인반수(Semi Human, Semi Animal), 메타포(Metaphor), 내러티브(Narrative)와 같은 장르와 경계를 넘나들며 자유로운 변주로 융·혼합된 새로운 도예 양식이 특징으로 나타난다. 인간이나 동물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반인반수는 상반된 가치를 하나의 신체에 포함함으로써 인간과 닮았으면서 닮지 않은 합성된 하이브리드 세계를 그려낸다. 인물오브제의 메타포는 작가 자신을 주제(Theme)으로 하여 자아실현, 이상에 대한 열망, 무한한 자유로움에 대한 갈망을 예술적으로 표현 하는데 목적을 담고 있다. 내러티브적 인물 오브제는 현대인의 삶과 문명,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 현실에서 벗어난 환상 속의 삶의 이야기를 일상적 삶과 연결시킨 내러티브를 구사하고 있는 특징이 나타난다. 후반부는 본 연구자의 작품 ‘ 인물오브제 Series ’ 를 작품의도와 특징, 모티브선정, 재료, 성형, 소성으로 세분하고 소지선정과 제작기법, 유약과 소성 등 연구의 전 과정을 사진과 함께 상술하였다. 개, 고양이, 닭, 뱀, 사자, 양, 토끼 등의 동물형상을 모티브로 인간의 희로애락과 결합시킨 의도는 동물이 생성과 소멸의 순환을 반복하는 인간과 똑같은 자연적인 삶을 영위하고 감정 또한 인간과 유사하다는 연구자의 동물애호사상과 동물의 의인화가 작품 속에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작품에 표현된 이상과 현실의 스토리텔링은 연구자의 삶으로 연결된 일상을 조형언어로 은유한 것이며, 직관을 통한 형상의 변형, 해체, 결합은 창의적 표현기법의 효과를 의도한 것이다. Series로 제작한 인물형상은 신화적 인간, 인간과 인간, 인간과 인간의 결합, 반인반수 유형으로 구사하였는데 이것은 조형적 인물 오브제가 제시하는 신선한 미적 감동을 의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완성된 <Glee-Ⅰ>, <Glee-Ⅱ>, <Glee-Ⅲ>, <Madness-Ⅱ>, <Madness-Ⅲ>, <Lovesickness-Ⅰ>, <Lovesickness-Ⅱ>, <Lovesickness-Ⅲ>, <Imagine-Ⅰ>, <Imagine-Ⅱ>의 인물오브제 작품제작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물을 인간과 동질로 간주하고 연구자의 삶의 철학을 조형언어로 은유한 동물형상 결합 인물 오브제는 애완동물에 대한 관심이 확대된 현대사회의 현상과 연관 되어져 도예미(美)의 격상과 함께 기대효과 증진은 물론 도예 오브제 저변확대를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인체와 동물의 상징적 특징을 연구자의 직관으로 재해석함으로써 독창적인 일품(一品)오브제를 다양하게 펼칠 수 있는 역량과 창의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대감이 있다. 셋째, 작가의 내적심상과 감정을 내러티브로 구성하고, 인체와 동물의 표정과 동세를 조형적 결합으로 구사한 제작방식은 조형언어의 시각적 효과를 공감과 소통을 통한 부가가치로 연결한다. 넷째, 인물오브제 작품제작에서 해체와 결합, 매체의 활용, 컴바인 페인팅(Combine painting)기법의 다양한 시도는 연구자의 이론적, 실천적 연구결과를 작품으로 연결시켜 독창적 조형예술로 완성한 것이다. 이러한 작품전개는 현대도예가 지향하는 조형예술 속에 인물오브제가 새로운 양상으로 자리 잡길 기대한다.

      • 포스트모던 하이브리드적 환경조형물의 특성 연구

        이동훈 群山大學校 2019 국내박사

        RANK : 249743

        As we move into the 21"century,admixture and blending has become the mainstream concept beyond genre deconstruction in art. Amid the advent and creation of various mediums in the sculpture genre that handles three dimensional modeling, especially in the environmental sculpture of public art that has expanded and newly emerged in the modern art, amixed hybrid form has appeared. Behind such a trend is the movement toward dissolution and decentralization that appeared in the post-structuralism, having significant effects on formation of the value and concept of environmental sculpture. Since ancient times, the space where the majority of three-dimensional artwork have been installed, is a public place contributing to formation of discussion over key issues for each community. Along with city-centered development of community space from Middle Ages through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 the new concept , Public Art,has appeared and the social significance of art has been magnified. In modern cities that have formed since the end of 19th century, convenience and efficiency rather than public communication has been held in great account for such a place as economic activity-centered urban plans have been worked out. Therefore, the human subject has been instrumented , raising the question of dehumanization. To solve such a problem,attempts to recover the communication ability by installing a wort of art in public place emerged. In this way, the environmental sculpture has been suggested as one field of art communication and thus developed as the leading art form installed in public space and place. After 1980 , the western concept,public art was introduced to South Korea. Pursuant to the law on installation of environmental sculpture in urban areas,art works had been installed in cities and large-sized residential space ,but most of the works took criticism that they were old-fashioned and only delivered repeated similarities instead of quality improvement, emerging as another disincentive to urban space. To settle this problem, not only establishment of the public need for public communication, but also methodical system improvement based on it is required. This matter has become public while a number of institutional frameworks and regulations have been repeatedly amended. Moreover, a changeover or conversion of many different views by architects,designers,authors, administrators and citizens is also required ,and in real,mutual cooperation is under way. This paper defines the role and function of environmental sculpture in connection with the emotional stability of the public ,healing function and the foundation enabling to form a human-centered urban environment through definition of theoretical concepts of environmental modeling terms relating to environmental sculpture including public art ,art-historical background ,definition of aesthetic concepts by philosophers such as Foucault , Derrida and Deleuze, and domestic and overseas case study. ln addition,this paper takes a close look into and quantitively analyzes the features of hybrid environmental sculpture by type and medium through more specific classification by work and construction usage. The first gist of hybrid environmental sculptures is: admixture,blending and combination of mixed materials of a different nature. The second one is mixture of abstract shapes and the third one is the fusion of the tradition and present day using various kinds of obiects and mediums. To sum up,hybrid environmental sculptures demand not only the importance of visual experiences, but also active participation by artists,humanists,scientists,technicians and administrators and an innovative paradigm such as community involvement based on public concern and social meaning in the entire process ranging from design to completion. In particular,the stream of the times pursuing a continuous change based on state-of-the-art technological innovation is now appearing as a new art form in the 21th century. 21세기에 접어들어 예술에서 탈장르의 개념을 넘어 혼합과 혼융이 주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고, 입체조형을 다루는 조각의 장르로서 특히 현대미술에서 확장되어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공고미술의 환경조형물에서도 다양한 매체들이 출현하고 생성하면서 융합하는 하이브리드적 유형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한 추세의 배경에는 후기구조주의 에서 나타난 해체와 탈중심의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개념들이 환경조형물의 가치와 내용의 형성에도 주요한 영향을 주고 있다. 고대로부터 공공조형물이 주로 설치되는 공간은 담론이 형성되는 공공의 장소로서 여기서는 주로 공동체의 중요한 사안들이 논의되어 왔다. 중세를 거처 근ㆍ현대로 이어지면서 공동체의 공간이 도시를 중심으로 발전하면서 공공예술이라는 개념이 등장하고 예술의 사회적 의미가 부각되었다. 19세기말부터 형성된 현대도시는 경제활동을 중심으로 도시계획이 형성되면서 공공의 소통이라는 측면보다는 편이성과 효율성이 중시되었따. 따라서 인간 주체는 도구화되면서 비인간화의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공공의 공간에 예술작품을 설치하여 소통의 기능을 회복하려는 시도가 나타났는데, 환경조형물이 예술소통의 한분야로 제시되면서 공공의 장소와 공간에 설치되는 대표적인 예술장르로 발전되었다. 1980년대 이후 한국에서도 서구의 공공미술의 개념을 도입하여 환경조형물을 도시공간에 설치하는 것을 법으로 규정되면서 도시나 대규모 주거공간에 예술작품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작품들은 전근대적인 형태에 머물렀고, 작품의 질적 향상보다는 작품의 형태나 내용에서 반복적인 유사성만을 남발한다는 비판을 받으며 도시공간의 또 다른 저해요소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공공의 소통이라는 공공성의 개념 확립은 물론 이를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제도개선이 필요하여 공론화의 과정을 거치며 많은 제도적 법률과 규정의 수정을 거듭하여 진행하여 오고있다. 더불어 건축주, 설계자, 작가, 행정가, 시민의 다양한 인식의 전환과 변화도 요구되고 있으며 상호 협력하여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공미술을 포함한 환경조형물과 관련된 환경조형 용어들에 대한 이론적 개념 정리, 미술사적 배경, 철학자인 푸코, 데리다, 들뢰즈의 미학적 개념정리와 국내외 사례 연구를 통해 환경조형물의 역할과 기능을 대중의 정서적 안정, 치유의 기능, 인간중심의 도시환경이 형성될 수 있는 토대 등과 연관해서 정의한다. 그리고 이를 더 세분화해서 작품 분류별, 건축물 용도별 구분을 통해 하이브리드적 환경 조형물의 유형별, 매체별 특징을 고찰하고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하이브리드적 환경조형물의 전체적인 맥락은, 첫째, 공간 장소별로 구분하여 잡종적ㆍ이질적인 재료들은 '결합ㆍ융합ㆍ조합'하는 것이다. 둘째, 구상적 형사오가 추상적 형상의 혼합이다. 셋째, 다양한 오브제와 매체를 통해 전통과 현재를 융합하는 것이다. 정리하자면 하이브리드적 환경조형물은 시각적 경험의 중요성뿐만 아니라 공공성과 사회적 의미를 바탕으로 주민 참여형 등 설계와 제작에서부터 완성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예술가, 인문학도, 과학도, 기술자, 행정가의 적극적 참여와 혁신적인 페러다임을 요구한다. 특히 최첨단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지속적 변화를 추구하는 시대의 흐름은 21세기 새로운 미술 양태로 등장한다.

      • 현대회화에서 목재의 물성을 활용한 표현 연구

        한 위 군산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thesis This paper analyzes Heidegger's late material theory and meaning, focusing on the philosophical ideas of Martin Heidegger (1889-1976), who represents existentialism. Heidegger's philosophy not only has the original theoretical meaning of existentialism, but also embodies objects and works, works, works, truths, and art from an objective idealistic perspective. Heidegger's philosophical theory is a theory that supports the artist's ideas. Artists' ideas can be expressed as works of art, and art theory and works of art can be supplemented with each other. Art creation includes the use of matter and its meaning along with philosophical ideas, and matter imparts emotion to the work. It is the application of this material that can help to find the essence of art. This can only be connected to the materi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work. Wood can be processed and shaped in the form of wood that combines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and ready-made goods, and in this paper, wood has two meanings: natural and ready-made. Heidegger's theory of physical properties was studied with the West as the starting point, and the representative physical properties, the Monofa, were studied with the East as the starting point. Artists use and fuse materials suitable for physical properties with works of art. Material has a new vitality through the artist's attempts and reconstruction, and becomes an important medium for exploring the language of painting form while expanding the concept of formative painting creati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matter combine with works of art to convey the artist's spirit and show how these materials are developed materially, mentally, and culturally. Since there is a limit to paying attention only to the basic properties of wood, this paper focuses on how to embody the physical properties of wood in works of art. Combination is a technical means widely used in wood creation in additional forms, and is a method of combining separated wood with some technical means to meet the morphological or functional needs. Therefore, combination technology shows the creator's aesthetic sense of artistic creation and innovation of craft, and means resp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objects, the nature of trees, and worshiping nature. Artists preserve their original characteristics, such as shape and texture, among the natural characteristics of trees. The artist realizes the meaning that is interdependent with everything in nature, understands the natural characteristics of trees in modern art, and experiences the nature of trees and the state of 'harmony'. Secret concealment refers to the combination of work and wood or the fusion by other arrangements, and the audience can directly see the role of wood in transforming a two-dimensional space into a three-dimensional space in the work. Concealing is an artist's transmission of his or her emotions through the material, and conceal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because the artist's emotional meaning should not be directly expressed to the audience. Abstract art pursues diversification and unity, and the formal beauty of wood is mainly expressed in art techniques such as design composition, formulation, organizational form, and color processing. Monopa mainly uses wood to symbolize the emotions of nature because it can express the meaning of the work more deeply through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tree, and can reflect the emotions of the artist through concealment and concealment. This paper discusses the theory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wood to analyze the works of artists using wood in modern art. John McCracken (1934-2011), Jean Arp (1887-1966), Josh Sperling (1984-), Carl Andre (1935-), Japanese monofa artist using natural objects, and Korean artist Lee Woo-hwan (1936-). Artists emphasize the auxiliary function of wood as a material for the work and the expression of emotions through wood. In the researcher's painting work, trees are transformed and reconstructed to cover the color of the processed tree itself. The combination is a reconstruction of wood and abstraction and a variation of the canvas. From planar painting in a two-dimensional space using a modified canvas to painting in a three-dimensional space using wood without being bound by the canvas, the forms of painting are diversifying. Wood is a material that can change the formative structure of the canvas, and not only shows the physical properties of wood, but also shows the three-dimensional changes in the painting work with auxiliary properties in painting. This paper deeply studies the expression combination characteristics and nature of wood in painting works according to the basic properties of wood, and then studies the concealability and non-concealability value as painting materials.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concealment and concealment in modern art is explored, focusing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wood in the research process. Therefore, using the researcher's painting as an example, the unique meaning and formative value of wood in modern painting is presented, and its characteristics are studied through wood. The rich physical properties of wood not only improve the visual expression of works of art, but also extend indefinitely to the realm of art language to realize the mindset, aesthetic standards, and technical means of modern art painting as the concept of materials continues to expand. 본 논문은 실존주의를 대표하는 마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1889-1976)의 철학 사상을 중심으로 하이데거의 후기 물질 이론과 의미를 분석한다. 하이데거의 철학은 단순히 실존주의라는 본래의 이론적 의미를 갖는 것뿐만 아니라 객관적 유심론(Objective Idealism)적 관점으로 사물과 작품, 작품과 진리, 진리와 예술을 구체화한다. 하이데거의 철학 이론은 예술가의 사상을 뒷받침하는 이론이다. 예술가의 사상은 예술 작품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예술이론과 예술 작품은 서로 보완될 수 있다. 예술 창작은 철학적 사상과 더불어 물질 사용과 그 의미도 포함되며 물질은 작품에 감정을 부여한다. 예술의 본질을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은 바로 이 물질의 적용이다. 이러한 것은 오직 작품의 물질적, 물리적 특성과 연결될 수 있다. 나무는 자연적인 것과 기성품의 특성을 결합한 목재 형태로 가공되고 형상화될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 목재는 자연적인 것과 기성품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담고 있다. 하이데거의 물리적 성질 이론은 서양을 출발점으로 하고, 대표적인 물리적 성질인 모노파(물파-物派)는 동양을 출발점으로 하여 연구되었다. 예술가들은 물리적 특성에 적합한 재료를 예술 작품과 함께 사용하고 융합한다. 물질은 예술가의 시도와 재구성을 통해 새로운 생명력을 지니고, 회화 창작의 조형 개념을 확장하면서 회화 형태의 언어를 탐구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된다. 물질이 지닌 물리적 특성은 예술 작품과 융합하여 예술가의 정신을 전달하기도 하고 물질적, 정신적, 문화적으로 이러한 재료들이 어떻게 개발되는지 보여준다. 목재의 기본적인 특성에만 관심을 기울이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예술 작품에서 목재의 물리적 특성을 구체화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조합은 부가적인 형태로 목재 창작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적 수단으로서 형태적 또는 기능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분리된 목재를 일부 기술적 수단과 결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조합 기술은 공예의 예술적 창조와 혁신에 대한 창작자의 미적 감각을 보여주며 나무의 본성인 자연물의 특성을 존중하고 자연을 숭배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술가들은 나무의 자연적 특성 중 형태와 질감 등 본래의 특성을 보존한다. 예술가는 자연 속의 모든 것과 상호의존적인 의미를 깨닫고, 현대미술에서 나무의 자연적 특성을 이해하며, 나무의 본질과 ‘조화’의 상태를 경험한다. 비 은폐는 작품과 목재의 결합 또는 다른 배열에 의한 융합을 말하며, 관객은 작품에서 2차원 공간을 3차원 공간으로 변화시키는 목재의 역할을 직접 볼 수 있다. 은폐란 예술가가 재료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는 것으로 예술가의 감정적 의미가 관객에게 직접적으로 나타나서는 안 되기 때문에 재료의 물리적 속성을 은폐하는 것이다. 추상미술은 다변화와 통일성을 추구하는데 목재가 지닌 형식미는 주로 디자인의 구성, 조형, 조직 형태, 색채 처리 등의 예술 기법으로 표현된다. 모노파는 자연의 감정을 상징하기 위해 주로 나무를 사용하는데 이는 나무의 물리적 특성을 통해 작품의 의미를 더 깊이 표현할 수 있고, 은폐와 비 은폐로 예술가의 감정을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현대미술에서 목재를 활용한 예술가들의 작품을 분석하기 위해 목재의 물성 이론을 논의한다. 기성품을 사용한 존 맥크래켄(John McCracken, 1934-2011), 장 아르프(Jean Arp, 1887-1966), 조쉬 스펄링(Josh Sperling, 1984-), 칼 안드레(Carl Andre, 1935-), 자연물을 이용한 일본의 모노파 예술가 키시오 스가(Kishio Suga 1944-), 한국의 예술가 이우환(Lee Ufan, 1936-) 등이 대표적이다. 예술가들은 작품의 재료로써 목재의 보조적 기능과 목재를 통한 감정 표현을 강조한다. 연구자의 회화 작품에서는 가공된 나무 자체의 색을 가리기 위해 나무를 변형하고 재구성한다. 그 조합은 목재와 추상화의 재구성이며 캔버스의 변형이다. 변형 캔버스(shaped canvas)를 이용한 2차원 공간의 평면 회화부터 캔버스에 얽매이지 않고 목재를 이용한 3차원 공간의 회화까지 회화의 형태가 다양해지고 있다. 목재는 캔버스의 조형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재료로서, 목재의 기본적인 성질 중 물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회화에 있어서 보조적인 특성을 가지고 회화 작품의 입체적인 변화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본 논문은 목재의 기본속성에 따라 회화 작품에서 목재의 표현 조합 특성과 자연성을 깊이 연구한 다음 회화 재료로서의 은폐성 및 비 은폐성 가치를 연구한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 목재의 물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현대 미술에서 은폐와 비 은폐의 중요성을 탐구한다. 이에 연구자의 회화를 예로 들어 현대 회화에서 목재의 독특한 의미와 조형적 가치를 제시하고, 목재를 매개로 그 특성을 연구한다. 목재의 풍부한 물리적 특성은 예술 작품의 시각적 표현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재료의 개념이 계속 확장됨에 따라 현대 미술 회화의 사고방식, 미적 기준, 기술적 수단을 실현하기 위해 예술 언어 영역으로 무한히 확장된다.

      • 동아시아 노스텔지어(Nostalgia)에 대한 하이브리드(Hybrid)적 표현연구

        뤄양 군산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nostalgia is to re-experience the past, an emotional experience of seeking self-identity and self-continuity in the collision between the past and reality. The creation of nostalgia in contemporary art is essentially an artistic exploration through which artists reflect on the modern state of human existence and find spiritual balance and soul's homecoming. In the context of Western modernity, the nostalgia-themed art creations of East Asian countries have undergone tremendous transformation in terms of creative concepts, content, and language, as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themes have evolved from the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 nostalgic feelings of the countryside to the expression of modern people's spiritual homelessness. At the same time, the modeling language has broken through the limit of traditional and homogeneous countryside nostalgia and developed into a hybrid modeling expression, and a number of internationally influential artists started to emerge. Therefore, this thesis takes East Asian nostalgia-themed art creation as research object, and studies the nostalgia-themed art works of representative artists from East Asian countries in terms of creation background, content, and methods, in terms of the transformation of modern culture as well as East Asian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At the same time, the modeling language has broken through the limit of traditional and homogeneous countryside nostalgia and developed into a hybrid modeling expression, and a number of internationally influential artists started to emerge. Therefore, this thesis takes East Asian nostalgia-themed art creation as research object, and studies the nostalgia-themed art works of representative artists from East Asian countries in terms of creation background, content, and methods, in terms of the transformation of modern culture as well as East Asian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This paper firstly reviews the philosophical,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theories of nostalgia as well as the theory of hybrid art creation, indicating that modern nostalgia as a common emotion and social topic has received widespread attention from the humanity studies. There also exists a trend of interdisciplinary theories blending, thus providing further theoretical support for the study of modern nostalgia-themed creation. Secondly, the article analyzes in detail the social background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East Asian nostalgia-themed art creation, and generalizes five typical hybrid modeling language mechanisms, including the mixture of expressions, spaces, media, symbols, and mixture of technology and art. Subsequently, the nostalgia-themed works of representative artists from Korea, China and Japan are discussed via an analyzing framework of three types of nostalgia-themed creations and five hybrid modalities of modeling language. These works, based on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each country and the artists' reflections on the past and reality, as well as national aesthetic spirit of East Asia, express the nostalgic theme from multiple perspectives. In this regard, nostalgia theme breathes new air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art. Finally, having considered China's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the social identity of the author as post-80s, her creations are categorized into three creative types: retrospective - traditional cultural, reflective - cultural conflict, and identity - material and spiritual. Later, the thesis explains the creative background, the principle of using hybrid modeling language and the modeling features involved in each type. To sum up, the nostalgia-themed creations of East Asian countries expose the social problems of East Asia in terms of concepts, and they are characterized by the fusion of East and West in terms of form, and hybrid characteristics in terms of modeling language. Moreover, most of these works have in them their national aesthetics, narrating a unique creative story of East Asia. On the one hand, it paves ways for constructing an academic community of East Asian art; on the other hand, the expression mechanism of hybrid art also affords more possibilities for the creation of East Asian artists and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future of Asian art creation. 노스텔지어는 지나간 시간을 회고(回顧)하고 과거와 현재의 충돌에서 자아 정체성을 되찾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감정체험을 하기 위한 의미가 있다. 현대미술에서 노스텔지어를 주제로 작품창작을 한다는 것은 예술가가 작품을 매개로 현대인의 생존상태에 대해 성찰하고 심신과 영혼의 귀속을 모색하는 예술적 탐구라고 볼 수 있다. 노스텔지어를 주제로 한 동아시아 각국의 미술 작품은 현대 서양의 영향과 동서문화의 융합에 기인하여 관념부터 내용, 더 나아가 조형 언어에 이르기까지 커다란 변화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노스텔지어 주제의 미술 작품을 대상으로 현대문화의 전향(轉向)과 동아시아 사회문화 환경을 배경으로 작품의 배경과 내용, 그리고 조형 방식 등의 방면에서 동아시아 각국의 대표적인 예술가들의 노스텔지어 주제의 미술작품을 연구하였다. 동아시아 지역의 문화, 사회의 변천, 미학관의 차이로 예술가와 관객의 공감대도 서양예술과는 차이가 있다. 그러한 이유로 동아시아의 문화에 입각하여 동아시아 노스텔지어 주제의 미술에대한 연구와 연구작품을 통해 서양과는 차별된 동아시아 미술작품의 심미적 체계를 찾아내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첫 번째로 철학, 사회학, 심리학 차원에서 노스텔지어와 관련된 이론들과 하이브리드 미술의 작품이론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현대의 노스텔지어는 일종의 보편적인 사회정서의 문제로써 인문학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여러 학문의 이론과 서로 연관성을 보이는 추세로 현대 노스텔지어 주제의 미술 작품 연구에 학문적 이론을 제공하고 있음이 인정되고 있다. 아울러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노스텔지어 주제 작품의 사회적 배경과 미학적 특징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으로 표현형식의 하이브리드, 공간의 하이브리드, 매개의 하이브리드, 부호의 하이브리드, 과학과 예술의 하이브리드 등 다섯 가지 유형의 하이브리드 미술의 조형언어 구조를 탐구하였다. 그리고 세 가지 유형의 노스텔지어 주제의 작품과 다섯 가지 하이브리드 조형 언어 방식에 기반하여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 등 대표적인 예술가의 노스텔지어 주제의 작품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들 작품은 각국의 사회문화적 환경과 예술가의 과거와 현실에 대한 사고, 동아시아 민족의 미학관에 입각하여 노스텔지어 주제를 다 각도로 표현하고 있는데, 노스텔지어를 통해 동아시아 각국의 사회역사와 현실에 대한 예술가들의 사고가 반영됨과 동시에 동아시아 각국의 미술 작품에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여 현대예술 발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끝으로 중국의 사회문화환경과 80년대생이라는 문화 정체성을 바탕으로 연구자의 작품을 회고(回顧)-전통문화형, 성찰(省察)-문화충돌형, 조화(調和)-물질과 정신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으며 각 유형의 작품에 관련된 배경과 하이브리드 조형 언어의 운용원리 및 조형적 특징에 대하여 논술하였다. 이와 같은 논문의 연구 과정을 통하여 동아시아 각국의 노스텔지어 주제의 작품이 동아시아의 사회문제를 관념적 차원에서 표현하였고, 형식적 차원에서 동서융합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하이브리드 미술의 조형적 특징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작품들은 대체로 자체의 민족적 미학관과 결합 되어 동아시아 특유의 미학적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동아시아 노스텔지어 주제의 작품 특징은 지역의 학술적 공동체를 구축하는데 커다란 가능성을 제공하였고 현대미술의 하이브리드 표현방식이 동아시아 예술가들의 작품창작 활동에 보다많은 다양성을 부여하여 아시아의 현대미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환경도자조형물 표현형식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 C.G. Jung의 집단무의식적 상징체제를 중심으로

        류혜진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9727

        환경도자조형물의 기원을 살펴보면 환경도자조형물을 단순히 건축물의 부속물로 보는 시각도 있다. 그러나 고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는 역사의 과정을 통해 보았을 때, 주술과 의례적인(ritual) 목적을 가지고 그림이나 조각을 동굴의 벽면에 장식하는 행위를 시작으로 집을 짓고 장식을 하는 예술의 기원과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환경도자조형물은 건축 부속물의 일부로서만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내면을 탐구하고 표현해내는 상징적인 예술작품으로서 창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징적 기능이란 인간의 의식에 주어진 경험 내용을 조직화하고, 의미화 하는 행위이고, 상징적 형식은 상징적 기능에 의해 만들어진 결과물들, 예컨대 신화, 예술, 언어, 과학 등이 그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인류의 보편적인 원형상징은 모든 인간의 선험적 경험과 밀접한 정신적, 표상적 내용을 담고 있으며, 환경도자조형물을 통해 문화적 소통이 가능한 것은 조형물에 내재된 이러한 상징 때문이다. 오늘날의 환경도자조형물은 장소성과 공공성, 예술성을 표현하는 복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도시공간을 일부 공공성의 개념에서 바라보는 환경조형물의 편중된 양상은 오히려 주변 환경과 공간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예술성이 부족한 획일화된 조형물을 만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경도자조형물의 예술성부족에 대한 문제제기와 함께 칼 융의 집단무의식 이론을 토대로 정신의 가장 깊은 곳에서 움직이고 있는 인간 본연의 마음을 고찰하여 예술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는 집단무의식이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인류의 축적된 정신을 담고 있으며, 인간 이해를 바탕으로 하기에 본 연구에 타당한 도구라 생각한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으로는 환경도자조형물의 조형원리에 관한 연구가 선행되고, 그러한 과정을 통해 보편성의 상징체계연구가 진행되어야 조형물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적합하다고 보고, 환경도자조형물을 두 개의 접근방식으로 나누어 사례분석 하였다. 첫 번째 사례분석 방법으로 환경도자조형물의 전제요소인 공공성, 장소성, 예술성에 관한 내용과 일반적인 미적 가치들로 구성된 뵐플린의 조형원리 개념을 적용한 설문조사의 결과위주로 사례분석 하였다. 두 번째 접근방법은 인류에게 보편적인 심상을 생기게 하는 생명의 기반이며 인류의 근원과 관련 있는 창조적 에너지의 영역인 집단무의식의 원형과 상징이미지에 관한 칼 융의 집단무의식 이론을 중심으로 환경도자조형물의 정신적 가치를 분석 하였다. 그 결과 환경도자조형물의 시각적 직관형식을 기본구조로 하는 무의식의 작용이 집단무의식의 원형상징에 의해 드러났다. 이 연구는 표층적 가치와 내적주제가 집단무의식적 상징과 무관하지 않으며, 그것이 예술의 주체로서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고 다른 의미로 내용이 연상, 확충된다는 논리에 대한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 놓았고, 그 자체의 상징성을 드러내는데 유용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의의로는 첫째, 환경도자조형물에 내포된 근원적 의미를 찾는 심층적인 연구와 분석이 부재함을 인식하고 조형물의 이미지와 형태의 근원을 살펴봄으로써 조형물의 실체에 가까이 갈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환경도자조형물의 시각적 표현형식을 통해 집단무의식의 원형과 상징을 분석하여 인간정신 속에 보편적으로 내재된 원형상징이 환경도자조형물에 어떻게 발현되는지 분석하였다. 셋째는, 이러한 환경도자조형물의 사례연구를 통해 창조적인 조형물, 작가, 관람자, 공간 모두가 소통 할 수 있는 환경도자조형물의 가능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이 연구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환경도자조형물이 현대인에게 새로운 자아를 경험하는 물리적이면서도 심리적인 공간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또한, 인간 정신 속에 공통적으로 내재된 원형의 상징체계는 인간이 스스로 혹은 자기가 속한 지역과 공동체 더 나아가 우주와 조화를 이루며 살고 있다고 느끼게 한다. 결국 이러한 살아있는 에너지들을 가진 환경도자조형물의 상징체계에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반응하고 집단의 행동과 의지, 문화적 배경을 만드는 것이다. Tracing back the origin of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we can see that they originated from creating drawings or engravings on cave walls for sorcery or ritual purposes and from the art of building and decorating homes. Some people think of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as subsequent elements of architecture, but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history from the prehistoric times, it shares a common origin with art. In other words,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do not only work as a part of architecture, but they are created as a symbolic work of art that explores and expresses human introversion. Symbolic functions are acts of organizing and signifying the experiences of human rituals and symbolic forms are the outcomes of symbolic functions, including myths, arts, languages, science, etc. The universal archetypal symbols of humankind convey mental and symbolic contents that are close to all men's a priori experiences. This symbolism of artistic structures enables us to make cultural communications through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today have complex characters to express place, public value, and artistic value, but the tendency to create environmental sculpture that perceive urban spaces as public spaces lead to the creation of uniform structures that lack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surroundings and spaces, and even artistic value. In this respect, this study pointed out the problem that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lack artistic value and examined the natural hearts of men that work in the deepest realm of spirit based on C. G. Jung's collective unconscious theory to rediscover the source of artistic value for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Collective unconscious convey the accumulated spirits of men since the prehistoric times and is founded on the understanding of humankind. Thus, it is suitable for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igurative principles of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were studied to decide that a study on the universal system of symbolism should be performed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figurative structures. Thus, various cases of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were analyzed based on two approaches: First, cas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that applies Wolfflin's concept of figurative principles that consist of information on the public value, place, and artistic value of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and general aesthetic values. Second, the spiritual value of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was analyzed based on C. G. Jung's collective unconscious theory, which is the basis of life that creates universal images for the humankind and related to the archetypal and symbolic images of collective unconscious, the realm of creative energies relating to the root of humankind. In result, the unconscious activities based on the intuitive visual styles of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were revealed by the archetypal symbol of collective unconscious. This study opened the possibility to interpret the logic that superficial value and internal thesis are not unrelated to collective unconscious symbols and that they can create new semantics as art to be associated with and expand into other semantics. Also, it was useful for revealing their symbolism. This study was significant because: first, it understood that they are no intensive study and analysis on finding the essential meaning of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and examined the roots of images and forms of figurative structures to approach the substantial existence of figurative structures. Second, the archetypal and symbolic collective unconscious was analyzed through visual expressions of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to analyze how the universal archetypal symbols of human spirit are realized by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Third, its case studies would increase the possibility to create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that can work as creative installations and communicate with artists, visitors, and spaces. This study would reveal that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provide modern people wi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spaces where they can experience new ego. Also, the archetypal system of symbolism that universally exists in the spirit of every man makes men feel that they are living in harmony with their regions, communities, and even the Universe. In other words, people instinctively react to the symbolic system of environmental ceramics sculpture that convey living energies and create the behaviors, determination, and cultural backgrounds of their communities.

      • 현대 페미니즘 미술에서 선의 의미 연구

        뚜 린린 군산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11

        With the constant movements of feminists in modern society, feminism has formed a complex theoretical system which shows its influence on all walks of life, and feminist art has also developed into an important part of modern art. Feminist artists express their ideas with unique perspectives and artistic forms. For example, the line is very feminine in terms of culture, materials, geometric concepts, etc, and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creation of feminist art. Women, as important as men, are an indispensable part of modern society in terms of production, economy and social life. However, under the oppressive patriarchal social system, men often deprived women of their human rights and interests, and exploited women both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The essence of feminism is the pursuit of gender equality and the legitimization of women’s rights against the inherent perception of gender inequality. Feminism, which emerged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early 1970s, has undergone four waves of feminist movements and gradually spread throughout the world. It has changed stereotypes towards men and women and reshaped our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women’s roles in society greatly. At the same time, feminism movements also promote the development of feminist art with women at its core. In the second wave of feminism, women artists began to question the hegemony of men in the art market and cultural circles. With the publication of Linda Nochlin’s “Why Are There No Great Women Artists?”, the world started to turn their eyes to the uniqueness and creativity of female artists, and a number of well-known female painters and artists came to the spotlight, such as Mary Stevenson Cassatt and Georgia Totto O’Keeffe. Feminist art theory, however, is not a unified school, rather it is an aggregation of art theories based on different positions and scopes of study. The sources of feminist art theory includes psychoanalysis, semiotic philosophy, neo-Marxism, structuralism, and deconstructionism. And liberal feminism, cultural feminism, Marxist feminism, radical feminism, psychoanalytic feminism, and postmodern feminism are among the more influential theoretical schools. Guided by the feminism concepts, feminist artists used diverse materials, media, and techniques to create art with a wide range of styles. With the liberation of lines in modern art, more and more female artists incline to use lines as the primary form of expression. Judy Chicago, Faith Wilding, Sheila Pepe, Miriam schapiro, Kimsooja, Eva Hesse, etc., are all adept at using lines as an important medium for artistic creation and expressing feminist ideas. Lines fit with women and feminism in terms of its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identity. Kenneth Walker claimed that a woman is more sensitive to emotional stimuli than a man, and she sees life through her feelings, approaching many truths based on passion alone. Women show acute intuitiveness in the ways they choose objects, materials, techniques, and expressions. As radical feminism has helped to shape their identity, feminist artists have begun to redefine the artistic value of craft. They tried to change the impression of embroidery, weaving, porcelain painting, sewing and other art forms that were once considered unimaginative and inferior. Women artists began to consciously choose crafts and decorative arts with a feminine experience and history, such as fabric, twine, fabric fibers, beads, etc. In this way, women artists redefine the possibilities of linear media with their unique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The author’s works are inspired by lines as well. Based on the similarity between and characteristics of women and lines, I use red lines of different materials as the main medium to reflect the plight of women in today's society. 현대 사회에서 페미니스트들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페미니즘은 점점 더 복잡한 이론 체계를 형성하게 되었고 다양한 분야에 깊숙이 파고들었다. 이러한 이유로 페미니즘 예술은 현대예술의 중요한 미술 사조 중 하나로 발전하였다. 페미니즘 예술가는 독창적인 시각과 예술 형식으로 자신만의 페미니즘 사상을 표현한다. 그 가운데 선은 문화, 소재, 기하학적 개념 등의 측면에서 여성성을 가진 요소로서, 페미니즘 예술의 창작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여성의 역할은 현대 사회에서 남성만큼이나 중요하며, 생산과 경제발전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여성은 가부장제(patriarchy)라는 사회적 제도 하에서 남성에 의해 마땅히 누려야 할 권리를 박탈당했다. 신체적인 측면에서부터 심리적인 측면에 이르기까지 모든 면에서 여성은 억압당하고 있다. 페미니즘의 본질은 ‘남녀 불평등’이라는 역사적 사실에 반하여 ‘남녀평등’과 ‘여성 권리의 정당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1970년대 초에 등장한 페미니즘은 네 차례의 페미니즘 운동을 거치면서 유럽과 미국을 기점으로 점차 전 세계로 퍼져 나갔다. 이는 각국의 남녀에 대한 관점을 바꾸었고, 여성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이해와 인식에 있어 많은 부분을 변화시켰으며, 페미니즘 미술의 발전을 촉진시켰다. 제2차 페미니즘 물결 속에서 여성 예술가들은 예술과 문화시장에서 남성의 패권에 대하여 의문을 품기 시작했다. 린다 노클린(Linda Nochlin, 1931~2017) 은 「왜 위대한 여성 예술가는 없을까?」라는 저서를 발표했다. 사람들은 여성 예술가들의 독창성과 창의력에 높은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고, 특히 많은 유명 여성 화가들과 여성 예술가들이 서서히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메리 스티븐슨 커셋(Mary Stevenson Cassatt, 1844-1926)과 조지아 토토 오키프(Georgia Totto O'Keeffe, 1887-1986) 같은 예술가가 대표적인 여성 예술가들이. 페미니즘 예술이론은 하나의 통일된 이론적 유파가 아니라, 각기 다른 입장과 연구 범위를 바탕으로 형성된 일종의 예술연구 이론의 집합체이다. 페미니즘 예술이론의 원천은 정신분석, 기호 철학, 네오마르크스주의, 구조주의, 해체주의 등이 있다. 수많은 이론 가운데 자유주의 페미니즘, 문화 페미니즘, 마르크스주의적 페미니즘, 급진 페미니즘, 심리 분석적 페미니즘,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은 가장 영향이 큰 이론 학파이다. 이러한 사상의 영향으로 페미니즘 예술가는 다양한 재료와 매개체 및 기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예술을 창조한다. 현대예술에서 선이 해방되면서 선을 주요 표현수단으로 삼으려는 여성 예술가들이 늘고 있다. 주디 시카고(Judy Chicago, 1939-), 페이스 와일딩(Faith Wilding, 1943-), 쉴라 페페(Sheila Pepe, 1956-), 미리암 샤피로(miriam schapiro, 1923-2015), 김수자(Kimsooja, 1957-), 에바 헤세(Eva Hesse, 1936-1970) 등은 선을 예술창작의 주요 매개체로 사용하여 자신의 페미니즘 예술을 표현하는 데 능숙하다. 선은 여성의 특성과 문화적 특성에서 여성 및 페미니즘과 잘 어울린다. 그들은 사물의 특징, 소재, 기법, 표현방식 등에 있어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에 민감하였고, 이에 예리한 직관성을 보였다. 페미니즘 예술가가 ‘급진적 여성’이라는 정체성을 인정하면서 수공예의 예술적 가치는 재정의되기 시작했다. 페미니즘 예술가들은 자수, 뜨개질, 도자기 그림, 재봉 등 자신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과거 여성의 노동적 상징을 활용하여, 하위 예술로 여겨지는 공예품과 장식예술에 대한 대중의 의식을 바꾸려고 하였다. 그래서 그들은 직물, 삼끈, 직물 섬유, 구슬 등을 소재로 한 수공예와 장식예술을 의식적으로 선택하여 창작을 시도하였다. 또한, 여성 예술가들은 선형 매체의 가능성을 자신만의 경험과 시각으로 재정의했다. 연구자 본인도 작품 창작에서 이와 마찬가지로 여성과 선의 특성을 결합하였고, 붉은 선을 주된 소재로 사용하였다. 이는 오늘날 여성의 삶에 존재하는 어려움을 반영한 것이다. 이처럼 현대 페미니즘 예술의 창작에서 선은 중요한 창작 매개체로서 시대적 의미를 지닌다. 우선 현대미술의 선은 다른 미술 시기에 비해 조형적 요소로서 크게 해방되었다. 발전사의 관점에서 보면, 선은 사회, 경제 및 도덕적 측면에서 여성에게 특별한 상징적 의미를 부여한다. 그러므로 선은 페미니즘 예술 창작의 전반에 걸쳐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현대미술에 나타난 조형적 횡단성에 관한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김철규 群山大學校 2020 국내박사

        RANK : 249711

        본 논문은 연구자의 인체주름 표현 작품 중심으로 조형적 횡단성(transversality) 을 밝히고, 작품을 통해 조형적 횡단성과 가로지르기성(Criss-crossing)을 함께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원적 언어소통 개념으로 사용되었던 횡단성은 여러 철학자들에 의해 언급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특히 횡단성을 방법론적으로 분류한 볼프강 벨슈의 방법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횡단성(transversality)은 얽힘과 ‘이행’(Übergang)의 혼종적 상태에 시간성의 과정 자체를 함께 파악한 것이다. 따라서 이행은 얽힘의 상태에서 새로운 혼종적 양식을 도출해내는 과정으로서 변형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이행은 얽힘의 상태가 만들어내는 그물망 관계 구조 속에서 새로운 혼종적 양식이 수직배열과 수평배열을 가로지르면서 입체적 사선의 형태로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가로지르기란 철학자 비트겐슈타인(Ludwig Wittgenstein)에 의하면 어떤 것의 가장자리로 돌아가지 않고 곧바로 중심부를 관통하는 것을 뜻하는데 그것은 중심부에서 사유하고 직접 마주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횡단성은 연구자와 작품에 등장하는 대상과의 정신적 관계와 작품과 작품을 관람하는 관람자와의 시간성을 가로질러 관통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연구자는 작품 안에 드러나는 주름이라는 조형체가 가지고 있는 정의와 특성, 그리고 조형의 의미를 해석하여 조형적 횡단성의 미학적 정의를 내려 보고 조형적 횡단성에 대한 의미를 분석하였다. 또한 조형적 횡단성을 형태화하는 과정을 통해 기존의 양식과 형태를 혼종적으로 결합하고 가로질러 새로운 인지 작용을 제시하여 나타내고 있다. 다양한 파편적 경향을 관통하는 핵심적 개념은 횡단성을 통한 가로지르기성으로 이어가 이를 조형적으로 얽힘과 이행방식으로 해석하였다. 연구자의 작품세계는 표현 방법적 차원에서 신체의 감각을 작품의 표면과 결부시켜 관람자에게 다양한 감정을 느낄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경험적 횡 단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인체주름 작품과 주름인지 조형체 설치작품의 논리적인 해석을 통해 기존의 조형방식을 넘어서 다양한 확장을 하고자 한다. 또한 조형적 횡단성의 표본 작가를 선정하여 작가들의 작품 속에 등장하는 횡단성 감정 요소와 시간성을 설명하고 분석하여 현대미술에 나타난 조형적 횡단성의 검증을 통해 연구자의 작품 기반을 만들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작품의 조형적 개념, 특징과 상호작용에 대한 해석의 전개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여 논의하였다. 첫째, 인체주름 표현의 조형적 해석에서는 인간의 피부의 노화로 인해 나타나는 주름의 함축적인 의미를 작품의 표현으로 설명한다. ‘인체풍경-주름’이라는 주제로 작업해온 연구자는 노화로 인해 피부 위로 드러나는 주름을 작품 속에 함축적인 의미로 표현함으로써 실제와 정신세계를 가로지르는 확장방식으로 작업을 설명하였다. 인체주름 작업은 인물을 통한 대상의 주름표현과 확대된 신체의 주름, 주름인지를 통한 조형체 등으로 분류하여 해석하였다. 이러한 주름 표현 방식은 그 대상이 가지고 있는 외형적인 재현에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주름을 통해 삶의 전반을 담아내었다. 둘째, 작업과정의 조형적 해석에서는 작품표현의 대상 즉 주름과의 관계를 통해 작품 속 대상과의 삶 전반적인 내면세계를 간접 경험하며 작품을 주관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자기만의 가치로 재해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표현의 대상과 서로의 정신세계를 가로질러 횡단하여 하나의 정신세계가 만들어짐을 시각적으로 구체화했다. 또한, 시간성을 내포하고 있는 작업과정은 물감을 수없이 쌓아 올린 캔버스 위를 사포로 갈아내는 조형적 작업으로 지움과 덜어냄을 통한 주름 표현은 마치 실제로 주름이 생성됨을 나타내는 시간성을 보여준다. 셋째, 인체주름 표현의 조형적 횡단성 해석에서 주름 표현의 횡단성은 주름의 의미를 형상화하는 과정을 통해 드러난다. 이 주름의 형상화 과정은 주름을 어떻게 의미화하느냐에 의해 다르게 나타나며 주름을 의미화하는 세 단계, 즉 ‘주름은 휴머니즘이다’, ‘주름은 존재 자체이다’, ‘주름은 생성이다’를 통해 주름이 어떻게 의미들을 횡단하면서 새로운지평을 창출하는지를 밝히고자 하며, 이 주름 의미의 단계마다 드러나는 주름의 형상화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클로즈업된 주름을 통해 다시 한 번 주름의 의미를 형상화하여 미적 인지와 의미의 정신적 횡단성이 구현됨을 보여준다. 주름은 휴머니즘이다. 누군가의 얼굴에서 주름을 본다는 것은 그 누군가의 삶의 고유성과 만나는 작업이다. 결국 주름이라는 매체를 표현하는 것은 근본적이고 근원적인 인간의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주름은 단순히 과거의 삶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현존하는 지금의 삶이 체화되어 나타남이다. 따라서 주름은 누군가의 삶의 진실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주름은 존재 자체이다. 주름은 인간의 신체 중에서도 가장 겉의 살갗에서 형성되어 인간과 세계의 관계를 이어주는 통찰 요소이다. 이는 주름은 인간과 세계의 통로이자 매체이다. 주름의 매체이자 통로로서의 특징은 횡단성으로 나타난다. 주름은 미(美)와 추(醜), 이분법적인 삶의 모순, 개체와 보편의 삶, 겉과 속 등을 횡단한다. 주름은 인간의 삶이 죽음으로 향하는 과정 속에 있음을 드러내고 이 순간도 늙어가고 있음을 알려준다. 인간의 삶이 그러하다면 살아있다는 것은, 주름을 생성하는 과정 중에 있는 것이다. 하지만 주름의 표현은 삶의 어두운 측면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삶의 의미와 가치, 삶의 이야기와 삶의 생성을 보여준다. 이런 의미에서 주름은 삶의 모순을 횡단하여 넘어선다. 주름은 생성이다. 주름이라는 통로이자 매체는 삶의 가치와 존재의 소통 과정을 잘 보여줄 뿐만 아니라 삶, 가치, 존재의 과정 속에서 생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주름은 단순히 횡단성을 위한 통로나 매체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횡단하는 과정 중에서 스스로 형성되는 생성 자체이다. 말 그대로 서로 양립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 얽혀있으면서 이행하고 있음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주름이라는 매체이자 통로가 삶의 모순 속에서 만들어지고 창조되는 생성 자체임을 보여준다. 넷째, 인체주름 표현에 대한 미적 인지의 횡단성 해석으로 주름 표현은 미적 경험 안에서의 미적 인지의 방식을 통해 현실화된다. 여기에서는 현실화 차원에서 주름 표현이 어떻게 횡단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하여 주름인지 조형체의 작품 속에서 주름표현이 어떻게 미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지를 드러내고자 한다. 따라서 주름인지 조형체의 작품이 주름에 대한 미적 인지의 방식이 횡단적으로 드러나는 방식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방식은 연구자의 작품 중 주름진 반사체 거울작품에서 나타난다. 이 작품은 주름 표현의 비은폐성을 관람자의 일상적인 주름 인지의 방식의 얽힘과 이행을 가로지르며 횡단적으로 도달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관람자는 주름진 반사체의 주름을 통해 자신의‘실존’을 파악한다고 볼 수 있는데, ‘실존’(existence)이란 ex+istence, 즉 ex(바깥)과 istence(존재함)이 합쳐진 말로서 ‘바깥에 대해 열려 있는 상태로 존재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마르틴 하이데거( Martin Heidegger)의 존재론적 이론을 들 수 있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차이란 사이-나눔(Unter-schied)으로서 나와 동일하지 않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가 존재함에서 전제하는 것이다. 이렇게 차이로서 나와 동일하지 않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가 존재하는 곳이 바로 하이데거의 공동세계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연구자의 작품에 등장하는 주름을 통해 삶의 시간성과 자기 자신의 실존함을 느끼고 타인의 감정을 이행하여 소통할 수 있는 감정의 횡단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연구자의 작품, ‘인체풍경-주름 표현’이 조형 예술에서 횡단성이라는 개념의 가로지르기를 통해 연구자의 스펙트럼을 넓히고 더 나아가 다양한 미학적 접근과 고찰, 그리고 작품을 통한 이해가 가능하다는 것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개입을 통해 재인식하고 주름의 고정적인 표현보다는 더 많은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다양한 진리와 은유적 연관성을 통해 미학적 재해석과 확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ormative transversality, focusing on the researcher’s work of Human Body-Wrinkle and analyze formative transversality and crisscrossing through them. Transversality hat has been used as a concept of pluralistic linguistic communication was mentioned by several philosophers, and this study would especially analyze transversality through Wolfgang Welsch’s method that methodologically classified it. Transversality understands the process itself as temporality in the hybrid state of entanglement and ‘Übergang.’ Thus, Übergang refers to transformation as a process that draws a new hybrid style in the state of entanglement. In other words, Übergang means that a new hybrid style creates a new meaning in the shape of a solid diagonal line, crossing vertical arrangement and horizontal arrangement in the net relationship structure created by the state of entanglement. Also, crisscrossing meant according to Philosopher, Ludwig Wittgenstein that something penetrates the center, not going around the edge, and that is the direct thinking and encounter at the center. This transversality can cross and penetrate the ment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er and objects appearing in the work and the temporality between the work and the audience that see them. The researcher gave an aesthetic definition of formative transversality and analyzed its meaning, interpreting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ve object called wrinkle revealed in the work and the meaning of the sculpture. Also, through the process of formalizing formative transversality, this study presents a new cognitive action through hybrid combination and crisscrossing of the existing style and shape. This study connected the key concept penetrating various fragmentary tendencies to crisscrossing through transversality to interpret this with the methods of entanglement and Übergang in a formative way. The world of the researcher’s works shows experiential transversality as well in that it allows the audience to feel various emotions by connecting the bodily senses to the surface of the works in the dimension of expression method and would make various expansions beyond the existing formative methods through the 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works of Human Body-Wrinkle and the installation works of the formative body of wrinkle recognition. Also, selecting model artists of formative transversality and describing and analyzing the transversal emotions and temporality in their works, this study would lay the foundation for the researcher’s works through the verification of formative transversality in contemporary art.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formativ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work and the development of the interpretation of interaction and discussed them as follows. First, in the formative interpretation of the human Body-Wrinkle expression, this study explains the connotative meaning of the wrinkles appearing due to the aging of the human skin with the expression of the work. The researcher who has worked on the theme of Human Landscape – Wrinkle explained the work with the method of expansion crossing the reality and mental world by expressing the wrinkles revealed on the skin due to aging as a connotative meaning. The works of Human Body-Wrinkle were interpreted, classifying them into the wrinkle expression of the object through a person, the wrinkles of the enlarged body, and the formative body through wrinkle recognition. This method of expressing wrinkles was not limited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outside of the object but contained the entire life through the wrinkles. Second, in the formative interpretation of the working process,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of work expression, that is, the wrinkle, the audience indirectly experiences the inner world throughout the entire life with the object in the work, subjectively recognizes the work and reinterprets that with one’s value.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visually concretized that the object of expression and the researcher also cross each other’s mental world transversally, which creates a spiritual world. Also, in the working process implying temporality, the wrinkle expression through erasing shows the temporality that represents the actual creation of wrinkles through the formative work that rubs the canvas on which paints are accumulated countless times with sandpaper. Third,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formative transversality of the human Body-Wrinkle expression, the transversality of wrinkle expression is revealed through the process of embodying the meaning of the wrinkle. This process in which the wrinkle is embodied differs depending on how the wrinkle is signified, and through three stages of signifying wrinkles, that is, “Wrinkle is humanism,” “Wrinkle is the being itself”, and “Wrinkle is creation,’ this study would reveal how wrinkle creates a new horizon, transversing meanings and present the process of formalizing the wrinkle revealed in each stage of the meaning of the wrinkle. Besides, through close-up wrinkles, this study would formalize their meanings once again to show that mental transversality in aesthetic recognition and meaning is realized. The wrinkle is humanism. Seeing wrinkles on someone’s face is the work of meeting the uniqueness of the person’s life. Consequently, expressing the medium of the wrinkle is telling fundamental and original human stories. Wrinkle does not simply tell the life in the past, but it is the appearance and embodiment of the present life. Thus, wrinkle shows the truth of someone’s life. Also, wrinkle is a being itself. The wrinkle is formed on the outermost skin of the human body, which is like the mean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 human being and the world. Thus, wrinkle is the path and medium between a human being and the world. The characteristic of the wrinkle as a medium and path appears as transversality. Wrinkle transverses beauty and ugliness, the contradiction of life, common life, and the outside and the inside. Wrinkle reveals that human life is in the process of heading towards death and lets them know that they are getting old at this moment. If human life is like that, living is in the process of producing wrinkles. However, the expression of wrinkles does not emphasize the dark side of life but rather shows the meaning and value of life, and life stories, and the creation of life. In this sense, wrinkle crosses and goes over the contradiction of life. The wrinkle is creation. The path and medium of the wrinkle show the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the value of life and the being well and are created in the life, value, and the process of existence. In other words, wrinkle is not simply a path or medium for transversality but also the creation itself formed by itself in the process of transversing. It literally shows that they are not incompatible but are entangled and transformed (Übergang) and shows that the medium and path of wrinkle is the creation itself made and created in the contradiction of life. Fourth, the interpretation of the transversality of theaesthetic recognition of the human Body-Wrinkle expression is realized through a method of aesthetic recognition in aesthetic experience. This study would reveal how wrinkle expression can aesthetically be recognized in the work of the formative body of wrinkle recognition to show how wrinkle expression can act transversally in the dimension of realization. Thus, this study would describe the method in which the aesthetic recognition of wrinkles is revealed transversally in the work of the formative body of wrinkle recognition. This method appears in the wrinkled reflector mirror work of the researcher’s works. This work would reach the unconcealment of wrinkle expression, crossing entanglement, and Übergang transversally in the method of the audience’s common recognition of wrinkles. Here, the audience understands his or her ‘existence’ through the wrinkles on the wrinkled reflector, and ‘existence’ is ex+istence, that is, the word in which ex (outside) is combined with istence (being), meaning ‘existing open to the outside.’ Here, Martin Heidegger’s existential theory can be an example. According to Heidegger, a difference is between-division (Unter-schied), which presupposes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with others who are different from me, for the place where there are relationships with others who are not the same as me because of the difference is Heidegger’s common world. In conclusion, through the wrinkles appearing in the researcher’s work, it is possible to feel the temporality of life and one’s existence and transverse feelings through which one can communicate with others’ emotions by Übergang. This study would verify that the researchers’ work, human body landscape-wrinkle expression can broaden the researcher’s spectrum through crisscrossing the concept of transversality in the formative arts and further allow various aesthetic approaches, discussions, and understanding through the work. This researcher would newly understand wrinkles through theoretical interventions, showed more possibilities rather than fixed expressions and would draw aesthetic reinterpretation and extension through various truths and metaphorical correlation.

      • 실존성 불안(實存性不安)을 은유한 하이브리드(Hybrid)적 표현연구

        우 추쥔 군산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9711

        This study seeks to study the existential anxiety and the formative language shown in the researcher's hybrid painting work. Existential anxiety is one of the fundamental human emotions. Through the review of anxiety theory, art works, and the creation of hybrid works, existential anxiety attaches spiritual value to art works as a creation that expresses relief and self-presence.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consider the concept of existential anxiety, which is addressed in the fields of psychology and philosophy through reference. The study will be based on the theory of existential anxiety covered by psychoanalysis, humanist psychology and existentialist psychology. Each of the three psychological influences discussed the main perspectives of existential anxiety at different times, and summarized them into four types: 1. Existential anxiety about fate and death, 2. Existential anxiety about emptiness and loss of meaning, and 3. Existential anxiety about guilt and punishment 4. Existential anxiety about loneliness.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existential anxiety are summarized as no-objectivity, helplessness, and subjectivity. After examining the theory of existential anxiety, we studied the connection between existential anxiety and art creation, and visualization reproduction of existential anxiety.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orks of artists from various periods, artists fuse existential anxiety into works and sublimate it into artistic expressions to alleviate their existential anxiety, while conveying it to the audience as an individual experience. Based on this, we study the representation of existential anxiety in modern hybrid art. This article demonstrates that various existential anxieties of each era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arts of that era by examining works expressionism, surrealism, abstract expressionism, postmodernism, and hybrid art since modern art. Existential anxiety is one of the emotions that artists often express in their creation, and hybrid art is characterized by the convergence of various media, materials, concepts, and forms, making it a representative art genre of the present era. Art creation is a realistic reflection of the artist's social experience, and existential anxiety is a universal emotional experience in today's society. Hybrid art therefore reflects existential anxiety in reality more broadly. In this article, we focused on seven representative hybrid artists and analyzed their creation based on the experience of existential anxiety. 실존성 불안은 인간의 근본적인 정서중의 하나이며 특히 현대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물질문명의 확장으로 인해 인류의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실존성 불안에 대한 완화와 해결을 하려는 창작활동은 예술분야에서도 활발히 이루어져 왔고 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조형언어의 새로운 제시의 필요성이 있다. 인본주의 심리학과 실존주의 철학의 시각에서 바라본 실존성 불안이론을 기본으로 현대미술의 불안과 관계된 조형원리에 대해 조사 분석 하였다. 근본적인 정신분석학, 인본주의 심리학과 실존주의 심리학에서 다루는 실존성 불안에 관한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를 전개할 것이다. 각자 다른 시기에 세 가지 심리학 유파에서 실존성 불안에 관한 주요 관점을 논의하고 실존성 불안을 1.‘운명과 죽음에 대한 실존성 불안’, 2.‘공허감과 의미 상실에 대한 실존성 불안’, 3.‘죄책감과 징벌에 대한 실존성 불안’과 4.‘외로움과 소외감에 대한 실존성 불안’의 네 가지 유형으로 정리하였다. 실존성 불안의 특징을 무대상성(No objectivity), 무력감, 주관성으로 정리하였다. 다양한 시기의 예술가들의 작품을 분석한 결과, 예술가들이 실존성 불안을 작품으로 융합시켜 이를 예술적 표현으로 승화함으로써 자신의 실존성 불안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자신이 처해 있는 시대의 실존성 불안과 개인의 경험으로써 실존성 불안을 관객들에게 전달해 준다. 이를 기반으로 현대 하이브리드 미술에서 나타난 실존성 불안에 대한 표현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현대예술이래 표현주의, 초현실주의, 추상표현주의, 포스트모더니즘, 하이브리드 미술에서 각기 다른 형태의 불안함을 표현한 작품을 고찰함으로써 각 시대마다 다양한 실존성 불안은 그 시대의 예술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증명하였다. 실존성 불안은 예술가의 창작에 자주 표현하는 감정 중 하나이다, 또한 하이브리드 미술은 다양한 매체, 재료, 개념, 형식의 융합을 특징으로, 현시대를 대표하는 예술 장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예술창작은 예술가의 사회체험에 대한 사실적인 반영이며, 실존성 불안감은 현 사회의 보편적인 감정체험이다. 그러므로 하이브리드 미술은 현실 속 실존성불안을 보다 전면적으로 반영한다. 위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형식적으로는 오페라예술과 설치예술, 행위예술, 그리고 영상예술을 융합한 안느 임호프, 과학기술과 예술의 문제를 다룬 패트리샤 피치니니, 콜라주, 문자, 각종문화기호, 선을 융합하여 작품을 창작한 바스키아, 동서양 문화의 융합을 표현한 서도호, 그리고 작품을 통해 살상무기로 인한 폭력, 그리고 환경오염에 대한 조롱과 반발을 표출한 차이궈창 등의 작가 분석을 통하여 실존성 불안과 하이브리드적 조형요소를 어떻게 작품 안에 운용하여 새로운 작품의 방향성을 가시화 시키는가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 현대미술에서 나타나는 나르시시즘의 표현 연구

        장윤채 군산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11

        Humanity is living in a limited and unstable era due to the never before experienced COVID-19 pandemic. The human race is changing due to COVID-19, and amid the global crisis, the tendency of individuals to live as the protagonists of their own lives is increasing. Art is a product that represents the times and has established itself as a means of reflecting the background, society, culture, and economy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In art, an individual's formative language is centered, and the expression of inner emotions becomes visually centered, and changes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Through such trends, the period of time becomes reflected in artists' works. The works of artists are replacing the cultural identity of the times with various media and methods of expression. Such works pursue visual beauty in terms of self-centered self-love, desires, and emotions within humans, and are changing in various ways through the addition of formative elements. These artistic expressions provide visual and cultural beauty to suit modern people and lead to further communication in life. It can be observed that the social personality that appears in modern people is becoming more self-focused than interested in ideas and ideology. From this point of view, narcissism is no longer a pathological phenomenon that only applies to a few, as was the case in the past. Rather, today narcissism can be applied to anyone and can appear as a social personality phenomenon that includes many.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narcissism, and a narcissistic personality, based on the theories of researchers, and studies and analyzes how narcissistic expressions of contemporary artists are visually sublimated. Contemporary art focus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art, and artists express narcissism in their works as a means of expressing themselves. The libido, according to Sigmund Frued (1856-1939), who introduced the term narcissism to the public, is a manifestation of narcissism and could be divided into primary narcissism and secondary narcissism. Later, narcissism was described by Jacques Lacan (1901-1981) as imaginary and symbolic worlds, and Heinz Kohut (1923-1981) defined mature narcissism 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neself and self-objects. Craig Malkin's healthy narcissism is expressed as a stable narcissism in the relationship of loving and being loved.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the narcissism of contemporary art and the methods of expressing narcissism by artist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Narcissism can be linked to postmodernism in its symbolism that emphasizes the inner-human and pursues irrationality, its expressionism that directly reveals human emotions, and its surrealism that emphasizes the world of the unconscious. Based on the theories discussed above, artists who expressed idealized narcissism through self-portraits include Egon Schiele (1890-1819), Na Hye Seok, (1896-1948), Chuck Close (1940-2021), Minjun (Yue Minjun, 1962-). Narcissism was also expressed through the life and works of Andy Warhol (1928-1987). Other artists including Cindy Sherman, 1954-, Kim Chang-yeol (1929-2021), and Yayoi Kusama (1929-) used formative elements to narcissism toward objects. This paper also includes an inquiry about projections of narcissism in the life and work of Jeff Koons (1955- ). Contemporary art is maximizing the expression of narcissism by emphasizing all artistry and breaking down the boundary between art and human beings. The human body also has important subjectiv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included as a diversified aspect of art. And as a tool for self-projection, narcissism can be found closely related to the artist's own world. So, the expression of narcissism can become the starting point of true self-establishment in human life, and contemporary artists are making various changes in their self-expression. Amid such changes, modern people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by empathizing with and communicating with the expressions of artists. 인류는 이전에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제한되고 불안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코로나로 인류는 변화하고 있고 세계적으로 겪고 있는 위기 속에서 개개인이 각자 삶의 주인공으로 살아가고자 하는 경향의 변화가 증가하고 있다. 예술은 시대를 대신하는 산물로 그 변화에 따라 시대적 배경, 사회, 문화, 경제 등을 반영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자리 잡아왔다. 미술은 개인의 조형적 언어가 중심이 되어 내면의 감정 표출이 시각적으로 중심이 되어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어 가고 있다. 이런 흐름을 통해 예술가들의 작품에도 그 시대상이 반영되어 나타난다. 예술가들의 작품은 다양한 매체와 표현 방법으로 그 시대의 문화 정체성을 대신하고 있다. 인간 내면의 자기애, 욕구, 감정 등을 자기중심적인 면에서 시각적인 미(美)를 추구하며, 조형요소를 더해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다. 이런 표출은 현대인들에 맞게 시각적 미와 문화적 미의 볼거리를 주고 나아가 삶의 소통으로 이어지고 있다. 현대인들에게 나타나는 사회적 성격은 사상과 이데올로기에 대한 관심보다는 자아의식이 강하게 자리 잡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자기애, 즉 나르시시즘(narcissism)은 더 이상 과거 병리적 현상으로서 소수에게만 적용되던 현상이 아니다. 이것은 누구에게나 적용될 수 있고, 다수가 포함될 수 있는 사회적 인격 현상으로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연구 학자들의 이론을 토대로 자기애적 인격인 나르시시즘을 고찰하고, 현대미술 작가들의 자기애적 표현이 시각적으로 어떻게 승화하여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와 분석이다. 현대미술은 인간과 예술의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예술가들은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작품 안에서 자기애를 표현하고 있다. 나르시시즘의 용어를 대중들에게 알린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ued, 1856-1939)의 리비도(libido)적 발현은 일차적 나르시시즘과 이차적 나르시시즘으로 구분하였다. 이후, 자크 라캉(Jacques Lacan, 1901-1981)의 거울 단계 이론의 상상계와 상징계에 나타난 나르시시즘으로 정의하였고, 하인즈 코헛(Heinz Kohut, 1923-1981)의 나르시시즘은 자기와 자기 대상의 관계에서 찾아오는 성숙한 나르시시즘으로 정의하였다. 크레이그 멜킨(Craig Malkin)의 건강한 나르시시즘은 대상을 사랑하고 사랑 받는 관계에서 안정된 나르시시즘으로 발현된다. 이론적인 연구가 바탕이 된 현대미술에서 나타난 나르시시즘과 예술가들의 나르시시즘 표현 방법을 찾아 분석하였다. 인간의 내면을 강조하고 비합리성을 추구한 상징주의(象徵住義, Symbolism), 인간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한 표현주의(表現主義, Expressionism)와 무의식의 세계를 강조한 초현실주의(超現實主義, Surrealism)에 이어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으로 연결하는 방법으로 고취시킨다. 앞에 논의한 이론을 토대로 자화상의 이상화된 자기애를 표현한 예술가로 에곤 실레(Egon Schiele, 1890-1819), 나혜석(羅蕙錫, 1896-1948), 척 크로스(Chuck Close, 1940-2021)의 위에 민준(Yue Minjun, 1962- ), 앤디 워홀(Andy Warhol, 1928-1987)의 생애와 작품에서 나타난 그들의 자기애를 표현하는 조형적 요소와 대상에 투영된 자기애를 표현한 신디 셔먼(Cindy Sherman, 1954- ), 김창열(金昌烈, Tschang-Yeul Kim, 1929-2021), 쿠사마 야요이(彌生草問, Ayoi Kusama, 1929- ), 제프 쿤스(Jeff Koons, 1955- )의 생애와 작품에 나타난 투영에 관한 탐구행위이다. 현대미술은 예술가들로 인해 예술과 인간의 경계를 허물고 모든 예술성을 강조하여 자기애의 표현을 극대화하고 있다. 인간의 몸은 미술의 다원화된 양상으로 중요한 주체적 특성을 가지며, 자신을 투영시키는 도구로서 예술가들의 자기 세계와 밀접한 관련을 찾을 수 있다. 나르시시즘의 표현은 인간의 삶에서 진정한 자아 성립의 시작점이 될 수 있으며, 현대미술의 예술가들은 자아 표출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런 변화 속에서 현대인들은 예술가들의 표현에 공감하고 소통함으로써 삶의 질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