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선 환경에서 DPLL을 이용한 수신 데이터 검출 기법

        류연성 단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34287

        본 논문에서는 300㎒대역의 무선환경을 기준으로 하여 FSK변조를 하였을 경우 DTE (Data Terminal Equipment)의 수신율 향상을 위하여 Edge Trigger를 이용한 DPLL방식을 적용한 알고리즘을 시뮬레이션하였다. 일반 아날로그 PLL을 사용한 DTE의 수신 스레숄드 레벨은 -107dBm이다. 무선통신 환경에서 노이즈로 작용하는 감쇄, 페이딩, 열잡음등을 대신하여 -107dBm과 같은 조건의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AWGN (Addaptive White Gaussian Noise)를 첨가하여 Sb/No = 14dB로 만들었다. 입력 데이터로 약 120,000Bits를 발생하여 알고리즘상의 DPLL을 거쳐 데이터 동기 및 복조하였을 경우 정확한 동기 타이밍을 검출할수 있었고 MSB Part의 프리엠블, 랜덤 데이터신호 및 LSB Part의 프리엠블, 랜덤 데이터신호의 BER은 0이었다. 입력 데이터에 AWGN을 증가시켜 DPLL의 성능을 분석한 결과 Sb/No = 11dB일때에도 BER(Bit Error Rate)은 0이었다. 이 결과로 보아 DPLL을 이용하면 DTE의 수신 스레숄드 레벨을 -110dBm까지 높일수 있음을 알수있다. 따라서 DPLL을 이용하면 300㎒대역의 고속 무선호출 시스템, 무선 원격검침 서비스, 무선 경비 시스템, 무선 이메일 서비스등의 DTE로 실용화되어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수 있음을 알수있다. The paper presents a data detection technique using DPLL (digital PLL) in wireless communication envirinment of which the frequency bandwidth is 300㎒. To test the reception rate of DTE using DPLL. We have similated the technique with edge trigger by using FSK modulation. The reception threshold level of DTE using general analogue PLL is 107 dBm. we have set Sb/No to 14dB adding AWGN (Adaptive white Gaussian Noise) to input data for making the same condition as 107 dBm in wireless communication envirinment. The data synchronization and demodulation using the DPLL can detect accurate synchrinism timing in case of generating about 120,000 bits as input data, and for MSB and LSB parts the BER(Bit Error Rate) of the preamble and random data signal is 0 respectively. The BER is also 0 when Sb/N0=11dB. that is, in case of increasing AWGN to input data.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DPLL method can improve system performance in wireless interface.

      • OFDM 기반 NOMA-VTS 시스템의 시스템 용량 분석

        김범영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4271

        본 논문은 OFDMA 기반 NOMA-VTS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패턴을 분석하고 이때 발생하는 간섭신호를 제거하는 기법에 대하여 연구하고 분석하기 위한 논문이다. 최근 데이터 트래픽의 폭발적인 증가로 주파수 자원 부족 현상이 생기면서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서 비 직교 다중 접속 기법(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과 각 사용자의 채널 상태에 따라 Tone Spaces를 다르게 사용하는 OFDMA-VTS가 주목받고 있다. 또한, 최근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다수 기기 연결 통신(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각 연결되는 기기 마다 필요한 필요자원이 달라 Tone Spaces를 다르게 사용해야만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각 기기의 신호를 비 직교 다중 접속 기법(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Variable Tone Spaces, NOMA-VTS)으로 사용 했을 때 발생하는 신호의 패턴을 분석하였고, 이때 발생하는 간섭 신호는 다른 사용자의 모든 부반송파로부터 신호가 섞여서 수신되기 때문에 원래 신호와 간섭신호 간의 전력 차가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기존 순차적 간섭 제거기법(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IC)으로는 간섭을 제거하기가 어려워 새로운 간섭 제거기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NOMA-VTS기법과 OFDMA-VTS기법의 성능을 각 사용자별 시스템 용량의 성능과 전체 시스템 용량의 성능 관점에서 비교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