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디지털 컨버전스 환경하의 정보통신표준화정책에 관한 연구

        유원상 성균관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development cycle of technology and products has been shortened due to convergence between digital technology. This convergence is causing a variation of product development and technologies, related industries and services. Also, the timing, decision process and concentration are important factors to cope with the uncertainty of a fast changing market. With the emergence of a converging environment, related industries of cable and wireless companies are uniting with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The convergence market could be seen as an "expanding market", but also could be viewed as a threat due to "fierce market competition" to companies looking for enlargement momentum. So the standardiz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s becoming more difficult and short in life-cycle but nevertheless, the importance of standardization is increasing. The standardiz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o far has developed through increasing research and changes. However, at the moment of fast change through digital convergence and deepening global competition, the strengthening, settling and advancement towards standardiz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s a continually necessary factor. Strategies concern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the converging digital environment was studied in this thesis. An analysis on the importance of nationaliz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tandards was done by studying domestic conditions, the theoretical stud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and digital convergence and strategy and policy on global standardization. The recognition of users' needs were analyzed using a survey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standardiz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by "Association of Kore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lso, standardization planned policy by the Ministe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was analyzed to derive the direction and concluded to seven strategies for the standardiz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irst, increase efficiency of investment by improving standards and liability assesment system connecting to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dustry to obtain global competitive power through domestic technology. Acquire global market by promoting development satisfying global standardization and improve reliance of domestic assessing institution of liability by expanding mutual recognition agreement (MRA) with other countries along with promoting strategic standardization and expanding foundation of liability assesment. Second, improve the standard of measurements. It is very important as improving related technology standard, method of measurement as new service is introduced to reform our domestic method of measurement and procedure of our IT field to the ITU and other glob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tandards is heavily necessary. Third, is to thrive to enter the leaders of official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s (ITU) and strengthen activity in setting global standards by developing information on global standardization activity system and expanding them to the industry. Acquiring an influential position in the institution of global standardization is crucial to jumping domestic standardization to global standardization. Fourth, supporting the actual glob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This constructs a supporting system of "actual global standardization" by assisting and raising IT standardization strategy forum centered on growing areas for leading global standardization and advancement of related industries. Fifth, timely developed standard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reflecting the market's needs, supporting the promotion of global standardization by strategically nurturing the private standardization capability to strengthen the global standardization. The progress by civil industry is professional and fast, making it important in core of actual standardization activity. Sixth, promoting a strategy of enacting standards of manufacturers to settle a developed standard system by activating private standardization. Lastly, activating educating professionals and practical use to improve global competitive power of domestic industry and reflect domestic stance on global standardization by spreading and publicizing the newest standard technology and standardization trend to the industry. As followed, the strategy on the standardiz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uld be largely divided as acquiring technology source and meeting global standardization of domestic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tandards. If the strategy thrives and allows cooperation and a shared view of standardiz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organization's promotion, government, technology, industry and the user, it could create momentum in acquiring superior global competitive power. International economic activity through a fusion of chang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by digital convergence and the technology has already begun. Policies and strategies on the standardiz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ed to be continuously studied along with the timely and potential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standardization need to be progressed cooperatively from R&D status based on needs of users and producers to acquire real superiority through FTA and free trade and the government's effort to expand the recognition and progress of standardization are endlessly required. If technological development, government policy, importance of cooperation between user and industry recognized and the research continued with basis on cooperation, by good recognition of factors proposed in the thesis expand through the society, it will result in a more stable strategy for the standardiz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기술간 융·통합화인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도래로 기술 및 제품의 주기의 단축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간의 융합은 전 세계 기술 및 제품의 급속한 발전과 관련한 산업 및 서비스가 다양화 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급속한 기술의 진화속도와 증가하는 시장의 불확실성에 대처하기 위해 적시성 있는 기술 및 제품의 개발 등 선택과 집중이 중요한 쟁점사항이라 할 수 있다. 정보통신산업에서도 컨버전스 환경의 도래에 따라 유·무선 간, 관련 산업간 융합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컨버전스 시장의 대두는 새로운 성장 동력을 모색하고 있던 정보통신 사업자들에게 ‘시장의 외연 확대’라는 기회요인으로 여겨질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경쟁의 범위 확대에 따른 ‘시장 경쟁의 심화’라는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수있다. 이에 따라 정보통신의 표준화는 점점 어려워지고, 짧은 라이프사이클을 지니게 되는 반면 표준화의 중요성 자체는 점차 확대되고 있다. 정보통신 표준화는 현재까지 많은 연구와 변화룰 겪으며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 컨버전스를 통한 기술의 급변과 세계 경쟁의 심화를 보이고 있는 현 시점에서 정보통신 표준화를 위한 정책과 전략의 강화 및 체계화를 위한 노력, 그리고 선진화를 위한 노력은 지속적으로 필요한 요소로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컨버전스 환경 하에 정보통신 표준화 정책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정보통신표준화와 디지털 컨버전스 환경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하였으며, 국내의 표준화 활동현황과 국제사회의 표준화 정책 및 전략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정보통신 표준화의 중요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에서 진행한 정보통신 표준화 활용 실태에 대한 설문을 통해서 정보통신표준화에 대한 인식 및 실사용자의 니즈를 분석하였으며, 정보통신부의 표준화를 위한 정책과제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이 7가지 정보통신표준화의 정책에 대한 전략을 제시 하였다. 첫째, 국내 원천 기술의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한 국가 표준 및 적합성 평가 체계 선진화로 국가연구 개발 사업에 표준화를 연계하여 투자효율성을 높이고, 개발기술의 국제표준화 추진을 통해 세계시장 선점을 확대하며 국내 적합성 평가기관의 국제적 신뢰성 제고를 위한 국가 간 상호인정협정(MRA)을 확대함으로써 전략적 표준화 추진 및 적합성평가 기반을 확충하는 것이다. 둘째, 측정표준을 선진화 하는 것이다. 이것은 새로운 서비스 도입에 따른 관련 기술기준?측정방법을 체계적인 정비를 통해 우리나라 IT분야 측정기준 및 절차를 ITU 등 정보통신 관련 국제표준 체계로 개편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항목이다. 셋째, 국제표준화 활동에 대한 표준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산업체에 확산함으로써 공적국제표준화(ITU) 주도국 진입을 통해 국제 표준화 활동을 강화 하는 것이다. 국제 표준화기구에서의 영향력을 확보하는 것은 국내 표준화의 국제 표준화 도약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넷째, 국제 사실 표준화 활동 지원이다. 이는, 국제표준화 선도 및 관련 산업체 진흥을 위해 차세대 성장 동력 분야를 중심으로 IT표준화 전략포럼 지원?육성함으로써 ‘사실상 국제표준화’ 지원체계를 구축 하는 것이다. 다섯째, 시장의 요구를 반영한 정보통신 단체표준을 적기에 개발하고, 국제표준화 추진을 지원하여 국가표준화 역량 강화를 위한 민간표준화 역량의 전략적으로 육성하는 것이다. 여섯째, 민간표준화 활성화로 선진국 형 상향식 표준시스템 정착 활동을 전개를 위한 생산자단체의 표준제정활동을 촉진하는 정책이다. 마지막으로 최신 표준 기술 및 표준화 동향을 산업체에 신속히 전파, 홍보 하여 국내 산업계의 국제경쟁력 제고 및 국제표준화에 국내 입장을 반영하기 위해 표준전문 인력 양성 및 활용시스템을 활성화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정보통신 표준화정책의 전략은 궁극적으로 원천기술의 확보를 위한 활동과 국내 정보통신 표준의 국제표준화를 이뤄 내기위한 내용으로 크게 구분 할 수 있을 것이다. 원천기술의 확보를 위한 정보통신표준화 자체의 홍보, 그리고 정부, 기술, 산업 그리고 사용간의 협력 및 관점이 일치를 위한 정책이라면 국제 경쟁 체제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컨버전스 환경의 도래로 인한 정보통신 산업의 기술의 융합을 통한 국제적 경쟁은 이미 시작 되었다. FTA등의 무역 자유화를 통해 진정한 경쟁적 우위를 위해서는 정보통신 표준화 정책 및 전략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사용자의 니즈 및 생산자의 필요성 등에서 기인한 시기적절하고 가능성이 있는 기술의 개발 및 표준화가 R&D상태에서부터 협력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또한, 정보통신 표준화 진행을 위한 정부의 노력도 끊임없이 요구 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정보통신 표준화에 대한 올바른 사회 확산과 인식, 그리고 기술개발, 정부정책, 사용자, 산업체 각각의 주체들 간의 긴밀한 협력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실천이 이루어진다면 보다 안정적이고 경쟁력 있는 정보통신 표준화 정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군 정보통신체계의 발전방향

        윤평한 배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논문에서는 현재 군 정보통신체계는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발전계획이 미흡한 상태로 21세기 고도 정보화 시대를 맞아 국방전반의 고도 정보화 실현과, 정보전 양상에 따른 효과적인 지휘통제 및 의사결정을 위하여 군 정보 통신체계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대용량의 다양한 정보처리가 가능한 군 정보통신체계 발전이 필요하다. 따라서 군 정보통신체계의 발전에 있어서, 전략 및 전술 C4I체계 등의 제요소와 다양한 작전요소들간에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전장에서 다양의 정보를 실시간에 유통시킴으로써 자원과 정보를 공유하고 통합전투력 발휘가 가능토록 체계적이고, 미래지향적으로 군 정보통신체계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와 관련하여 정보통신측면에서 변화하는 미래 전장환경을 예측하고 부대구조의 발전방향과 지휘통제체계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지휘통제체계라 함은 일반적으로 참모조직, 지휘소 내부 구성, 의사결정 체계, 지휘소자동화체계 등 모두를 포함하는 용어이나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지휘통제체계는 정보통신체계로 국한하여 기술하였다. On this dissertation, I will discuss the following. Current military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lacks comprehensive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s. The arrival of highly information-oriented 21st century, therefore, calls for a 1) development towards accomplishing high level of information integration, 2) overcoming problems of military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to achieve efficient command and control, and decision making process, as well as 3) developing military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processing high capacity information. Thus,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providing systematic and future-oriented direction of military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development where systems like strategic and tactical C4I system are integrated with many operations elements in order to achieve near real-time circulation of diverse format of data on the battlefield so that integrated combat capability can be harnessed by commanders. In relation to above, I will forecast changing future combat environment and present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unit structure and command and control system. To note, while command and control system generally includes staff organization, interior arrangement of command post, decision making system, command post automation system, etc. I shall limit its meaning as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mportant terminologies: Military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C4I Network Environment and Data-flow Analysis,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Development Direction.

      • 정보화지원사업 대상기업의 경영특성이 정보시스템 도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청 IT기반 경영혁신 강화사업 수혜기업을 중심으로

        이동규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purposed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current utilization status and results of IT system in corporate management introduced through information-oriented support project for the small and medium sized businesses in Korea, which is conducted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over the whole corporate management. The additional purpose i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IT system utilization in corporate management and the value of the Government IT support projec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nfluence of IT system utilization on managerial performance in relation to the corporate characteristics of Korean small and medium sized businesses. Accordingly, this study defines corporate manageri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orporate scale, IT investment scale and competition level in the industry and defined CEO's capacity in thrms of a clear vision toward corporate IT system, confidence in potential profits and the recognition of competitiveness since the CEO's ability is measured by his inclination for innovation and willingness to support. The IT system utilization level is defined as the adoption level in 6 business sectors such as organization management strategy, personnel management, production purchase, financial accounting, operation sale and service marketing into which corporations generally classifies their business sectors. The managerial performance is measured by the financial results and non-financial results of IT utilization over the whole corporate management. This study formulates hypothe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management, the CEO's capacity, and the utilization level and performance of IT system. It also gives an empirical analysis using all the types of data including the financial statement data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or the small and medium sized businesses which adopt the IT system through IT based management innovation enforcement project. In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questionnaires,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basic statistic analysis are performed for general conditions of a sample corporation, and the hypotheses are verified through a regression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statistics program after verifying feasibility through Chronbach's α-test for questionnaire data. The verificatio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management, the CEO's capacity have an influence on the utilization level of IT technology in corporate management. Secondly, the utilization of IT technology in corporate management, namely the utilization in management strategy, personnel, production, purchase, funds and accounting, operation, sale, service and P/R business has on influence on management results. Thirdly,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management, the CEO's capacity, and the utilization of IT technology in corporate management have an influence on managerial results. Fourthly, the financial rate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IT technology in corporate management show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adoption of IT technology.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의 정보화지원사업을 통해 도입된 정보통신시스템의 기업경영에의 활용현황과 활용성과를 기업경영 전반에 걸쳐 실증분석을 통해 측정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기업경영에의 정보통신시스템 활용의 의의와 정부 정보화지원사업의 가치를 인식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중소기업들의 기업특성과 관련하여 정보통신시스템의 활용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경영특성을 기업규모, 정보통신 투자규모, 산업에서의 경쟁정도로 정의하고, CEO의 역량은 혁신적 성향과 지원의지로 간주하여 기업 정보통신시스템에 대한 명확한 비전, 수익잠재력 확신, 경쟁력에 대한 인식으로 정의하였다. 정보통신 이용수준은 일반적으로 기업에서 나누고 있는 조직경영전략, 인사관리, 생산구매, 재무회계업무, 영업판매, 서비스마케팅의 6개 업무 부문에서 업무에 활용하는 정도로 정의한다. 경영성과 변수는 기업경영 전반에 걸쳐 정보통신 이용의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연구방법론에서 기업경영특성, CEO의 역량, 정보통신시스템 이용수준과 성과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고, IT기반 경영혁신강화사업을 통해 정보통신시스템을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자료와 재무제표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한 실증분석에서 표본기업의 일반현황에 대해서는 빈도분석과 기술적 기초통계분석을 하였고, 가설은 설문자료에 대한 Chronbach's의 α-test를 통한 신뢰성과 요인분석으로 타당성을 검증한 후,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경영특성 및 CEO의 역량은 기업경영에의 정보통신기술 활용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기업경영에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즉, 경영전략, 인사, 생산․구매, 자금․회계, 영업․판매, 서비스ㆍ홍보 업무에의 활용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기업경영특성과 CEO의 역량, 그리고 기업경영에의 정보통신기술 활용정도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경영에의 정보통신기술 도입 및 활용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정도에 대한 재무비율 분석결과는 도입 전․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정보통신공사의 실적단가 및 공사비지수에 관한 연구

        김서경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75

        예정가격은 제한된 예산의 효율적 집행과 더불어 시설물 조달과정의 투명성 및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자료이다. 즉 예정가격은 시설물공사의 계약 공기를 준수하며, 안전하게 조달하기 위해 필요한 적정공사비를 가늠하는 기준이며, 시공자 입찰금액의 상한선이다. 만약 산출된 예정가격과 실제 투입되는 공사원가사이에 지나친 괴리가 발생한다면 요구품질·공기·안전은 위협받게 될 가능성이 높으며, 설계변경시 계약금액 조정의 기준이 되기에 합리적이고 적정한 예정가격의 산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실적공사비 적산제도는 과거 수행공사로부터 축적된 재료비·노무비·경비를 포함한 단가에 적정보정을 거친 실적단가를 기초로 하여 미래의 공사비를 예측하는 것으로, 실적단가를 산정하고 보정하기 위한 기준 및 절차가 얼마나 합리적이고 체계적인지가 실적공사비의 신뢰성과 정확도를 결정하게 된다. 즉 실적공사비 적산제도는 공사비의 투명성과 적정공사비 확보를 위한 기준이며 예정가격 산정의 기초가 되는 것이다. 특히 정보통신 분야에서는 실적공사비 적산제도의 기본이 되는 실적단가 산정에 관한 연구가 전무함에 따라 정보통신공사의 신뢰성 있는 공종별 실적단가 산정 및 축적에 대한 기본적인 절차와 기준을 본 연구에서 제시 해보고자 한다. 또한 실적단가는 연간 상반기 하반기로 나누어 2번 발표됨에 따라 매달 발생되는 물가변동(재료비, 노무비)에 대한 반영이 필요하며 이를 공사비지수를 개발하여 해결해보고자 한다. 정보통신공사를 대표하는 지수로서 정보통신 시설공사의 특성이 적절하게 반영된 공사비지수 개발을 위한 기본적인 절차와 기준 역시 본 연구에서 제시 해보고자 한다.

      • 유비쿼터스 시대에 맞는 u-City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행정중심복합도시를 중심으로

        이동명 충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75

        This study sought to provide the basic direction in creating a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Happy-City) designed to reinforce national competitive power and balance the development of our territory as a world-class ubiquitous city. Toward this end, examples of u-City projects in other countries and development status of high-end technologies as well as the application plans were studied in this researc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in computing for the ubiquitous age and all kinds of platforms that will make up the ubiquitous society were first studied using books and other materials. The services and technologies required to build a u-City were then investigated by reviewing examples of constructing a u-City in a new town. To draw the most suitable scheme and compare technologies related to the u-City service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s to be realized by the u-City, two major directions were investigated. By examining the existing plans and researching on the current status of development technologies and construction examples of u-City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the service selection process in each field was reviewed to see if it is in line with the targets of the Happy-City and u-City building plans and consequently enable Happy-City to transform itself as a high-tech information city. For the building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plans to build a private network such as backbone net, backbone area, subscriber line, etc., as devised based on the existing basic plans and plans to build a wireless network for USN, etc.,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best flow net by comparing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based on the management status of the existing information center, development status of technologies, and construction examples of the new town. Tools for establishing the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were studied as well. The development of Happy-City will take a long time. The u-city shall be constructed in line with its construction plan. Currently, basic, customized services for the citizens of u-Happy City(Ubiquitous Happy-city) have been planned the detailed specification of certain sections is also being composed. By conducting an additional technology investigation when devising the detailed specification, plans to construct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to select the necessary computer network tools to realize services are expected to be studied actively. This study sought to find the best way to build u-Happy Cit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basic plan for Happy-city, current status of technology development and building technology of each communication network tool. In the detailed specification to be promoted in each division based on the existing Happy-City design to build u-Happy city, the best communication network is expected to be constructed. Equipment with the best performance shall also be selected, thanks to the participation of experts and research on the newest and feasible communication technology. 이번의 연구는 유비쿼터스 시대에 필요한 컴퓨팅에 관하여 이론적인 고찰과 유비쿼터스 사회를 구성하기 위한 각종 플랫폼들에 대해서 도서 등 각종 자료를 통해 조사하고, 또 신도시의 u-City 구축사례를 통해 u-City 구축을 위해 필요한 서비스와 기술들에 대해서도 조사하여 유비쿼터스 사회와 도시를 건설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조사하고, 이러한 기본지식을 바탕으로 u-행복도시를 건설하기 위해서 검토가 필요한 분야를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검토를 하였는데, 행복도시가 구현해야 할 u-City 서비스와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방안에 대해서 관련 기술들을 비교․검토하고 가장 최적의 방안이 도출되도록 하였다. 먼저 행복도시의 u-서비스는 행복도시가 첨단정보도시로 태어날 수 있도록 기존에 수립된 각종 계획들을 되 집어보고 국내․외 기술개발현황과 타 시도의 신도시 개발과정에서 u-City 구축사례들을 조사하여 행복도시의 u-City 구축계획과 행복도시가 추구하는 목표에 맞춰서 선정되었는지 각 분야별 서비스 선정과정을 검토하고, 도출된 서비스들은 구현 가능한 서비스인지 등을 검토하였고,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방안에 관해서는 기존의 기본계획을 통해서 도출된 백본망 및 간선망, 가입자망 등 자가유선망의 구축계획과 USN 등의 서비스에 필요한 무선통신망 구축방안 등에 대해서 분석하고 적절하게 유․무선망 장비들이 선정되었는지 등을 기존 정보센터의 운영현황과 기술개발현황, 신도시 구축사례 등을 사례로 하여 장․단점을 비교하여 가장 최적의 유선망을 도출하고 또한 차세대 정보통신망 구축을 위한 장비 등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행복도시는 장기간에 거쳐 개발되는 도시로서 단계별로 건설이 추진되며 건설계획에 맞춰 u-City건설도 병행하여 추진되게 된다. 현재 u-행복도시는 도시민에게 필요한 기본서비스와 특화서비스 등을 도출하고, 정보통신망 구축을 위한 기본계획을 세워놓고 일부 구간에 한하여 상세설계를 추진하고 있다. 상세설계를 통한 추가 기술검토를 통해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정보통신인프라의 구축방안과 전산망장비 선정방안 등이 적극적으로 검토 될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의 목적은 행복도시가 추구하는 기본계획과 기술개발현황과 각 통신망별 구축기술과 장비들에 대한 장․단점을 비교․분석하여 나름대로 최선의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행복도시가 단계별로 개발되면서 u-행복도시 건설을 위해 부분별 상세설계 시에는 기존의 행복도시 기본설계를 바탕으로 하고 전문가들의 참여와 실현가능한 최신의 정보통신기술을 조사․검토하여 가장 최선의 정보통신망이 구축되고 최고 성능의 장비들이 선정될 것으로 판단된다.

      • 정보통신분야 공공부문 입찰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정보통신중소기업 입찰참여 활성화를 중심으로

        김낙용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75

        현 정보통신분야 공공부문 입찰 제도는 시공실적 및 전문인력 그리고 자본이 풍부한 대기업에게 유리하게 맞추어져 있고 실적 및 기술 능력과 자본이 다소 부진한 정보통신중소기업에게는 수주 기회가 제한되어 정보통신산업에서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지역균형 발전과 정보통신중소기업 육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현행 공공부문 입찰제도의 분석을 통하여 정보통신중소기업의 공공부문 입찰참여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개선방안 모색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정보통신산업의 특성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은 설계‧시공일괄입찰, 최저가낙찰제도 확대 시행과 과다 경쟁으로 인해 출혈 저가수주로 이어지면서 수익성 악화로 인한 정보통신산업 미래가 불투명한 산업으로 변모되어가고 있다. 또한, 민간투자사업 확대시행 등으로 인해 정보통신중소기업의 수주물량의 축소가 예상되어 이에 대한 보완책과 대․중소정보통신기업 양극화 축소를 위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정보통신중소기업 공공부문 입찰참여 활성화 및 입찰제도의 개선방안은 첫째, 설계․시공일괄, 대안입찰, 민간투자사업에서의 과도한 설계비 부담의 경감 및 공사의 분리 발주 확대, 기술집약적이고 지식산업인 정보통신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입찰제도가 수립 운영되어야 한다. 둘째, 최저가낙찰제도에서 저가심의제 강화와 적격심사제도에서의 정보통신기업의 특성을 고려한 변별력을 확보하여야한다. 넷째, 정보통신관련 민간투자사업에서 정보통신중소기업의 참여를 활성화 할 수 있도록 시공범위를 제도적으로 확대 시키고 구축 및 유지관리분야를 분리 시행 할 수 있도록 고시하여야 한다.

      • 國家災難衛星通信網構築 및 運營에 關한 硏究

        김용수 韓京大學校 生物·情報通信專門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9775

        모든 분야에서 정보화 사회로의 집중과 발전이 거듭되면서 정보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 가고 있으며 이러한 중요성은 국가적 재난 및 재해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으로 자리 잡았다. 재난, 재해 현장의 정확한 정보 없이는 복잡하고 대형화 되고 있는 그것들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물론 예방 차원에서의 정보 또한 현장 정보만큼 중요성을 가진다. 정보의 입수를 위해 필요한 것은 통신 수단이며 재난, 재해라는 특수적인 상황 때문에 가장 생존력이 강한 위성통신망의 확보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위성통신을 이용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의 확보가 용이하고 설치의 편리성으로 가장 빠른 시간 내에 통신 개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현재 위성통신망의 도입은 경기도 소방재난 본부를 제외하고는 소규모 내지는 부분적인 위성정보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통신 인프라를 가지고서는 2008년 예정인 정부 위성의 효과적인 활용을 기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지역에 걸친 대형 재난, 재해가 발생할 경우 심각한 피해를 감수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매미, 루사, 충남 폭설 등과 같은 피해를 이미 경험한 바 있는 우리로서는 재난, 재해 분야에 있어서만큼은 지상유선통신망을 기본으로 위성통신을 주요 통신망으로 구성하여 운영할 충분한 필요가 있다. 소방방재청, 기상청, 각 시도 소방본부, 군, 경찰 및 많은 유관 기관들의 동시 정보 공유를 통한 입체적이고 전문적인 대응을 위해서도 위성 통신의 특장점인 동보성을 최대한 이용해야 한다. 소방이 재난, 재해에 1차적인 대응 의무가 있기 때문에 이미 구축되어 운영 중에 있는 경기도 소방 재난본부의 위성정보통신시스템을 적극 활용하여 조속한 시일 내에 각 시.도 소방본부에 위성 시스템을 우선 도입하여 전국적인 위성통신망을 구축한 후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유관 기관들에도 순차적인 위성 시스템을 도입한다. 이에 대한 방법적인 차원에 있어서는 전국 각 시.도 소방본부의 각 위성시스템을 수용할 수 있도록 기 설계되어 있는 경기도 소방재난 본부를 중심센터국으로 이용하고 각 시.도 소방본부를 단말국으로 활용할 경우, 경제적인 측면에서 많은 효과를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통합에도 많은 이점이 있다. 그리고 소방방재청에는 만약의 사태에 대비한 백업용 위성통신 중심센터국을 별도로 운영하여 수집된 정보에 대한 1차적인 인식과 동시에 데이터 편집이 이루어 져서 상위 및 유관 기관들과 신속한 정보 교류 임무를 원활하게 수행해야 한다. 이외에도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만 보다 효과적인 시스템의 운영이 가능하게 된다. 첫째로 다소 고가인 위성통신을 위한 위성 대역의 임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부 소유의 위성대역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유관 기관들에게 저렴하게 대역을 나누어 공유함으로써 관련 기관들의 부담을 덜 수 있다. 둘째로 단일한 지휘, 통제 채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최상위 정부 부서의 역할이 중요하며 이러한 지휘 체계를 유지함으로써 시간적인 낭비를 없애고 보다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셋째로 위성통신 분야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을 통해 관련 전문가를 지속적으로 육성하고 시스템의 운영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개방적인 위성통신망의 설계와 시스템의 구성이 가능할 수 있도록 관련 업체들의 지원 또한 아끼지 말아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인적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정부와 관련 업체들이 동시에 각자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시스템이 안착되는 것이다. 재난, 재해의 예방을 위하여 원격 감시 분야 및 많은 위성통신 확대 분야에 위성통신시스템을 도입하여 활용도를 높임과 동시에 지상 유선통신망, 무선통신망, 위성통신망의 종합적 융합을 통하여 다각적이고 입체적인 통합망의 구축을 실현해 나가야 한다. As much concentration and development focuses to the information society in every field,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goes higher than before and this importance has been the most important core part in the field of national disaster. It is not impossible to cope with disaster quickly and efficiently without the exact information of disaster site. of course, the information regarding prevention has same importance as well as the information of the actual site. What is needed to get the information secures communication means and it is most important thing to get the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in a specific disaster situation because it is easy to get various multimedia information using satellite communication and it is convenient to install equipments regarding satellite communication. With these merits, communication can be opened quickly. Except the fire defense headquarters in Kyung-gi province, the situation of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introduction is very fragmentary. With thes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t is difficult to use efficiently governmental satellite that is scheduled to be launched in 2008 and what is worse, when a big disaster occurs, we have to be damaged seriously in nationwide area. There are much necessities to construct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as the important communication network because we have already experienced lots of big disasters like a big typhoons and heavy snows. Using satellite systems, NEMA(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ll fire defense headquarters in every province and big city and related organizations can hold the information in common. In addition to that, special and three-dimensional plans against disaster can be set up. As the first handling duty regarding disaster is in the fire fighting field, all organizations in that need to use the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in Kyung-gi province and to be introduced to fire defense headquarters in every province and big city before everything. If we use Kyung-gi fire defense headquarters'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as a center station and the rest of fire defense headquarters in Korea as a remote station, we can save much costs and have many advantages in system integration. For the best, NEMA only has to construct another satellite center station for back-up and the government has to support in financial part. The items of governmental supports are following. First, it has to solve the problem about satellite bandwidth because the rental cost of satellite bandwidth is a little high. It is needed for government to have a certain satellite bandwidth and to give related organizations satellite bandwidth cheaply. Second, the role of a top governmental organization is very important for ensuring one command and control channel. As this command system is maintained, time delay can be removed and quick response against disaster can be done. Third, as the government supports satellite communication field continuously, many experts in this field can be bred and many related companies can get the techniques about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design and system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gainst disaster,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has to be used in remote surveillance field and much practical use ways in a lot of fields that can be adopted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have to be studied. At the same time, landed, wireless and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need to be harmoniz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se process, we can construct effective and multi-dimensional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near future.

      • 정보통신기술자 제도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손삼이 순천향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논문에서는 정보통신시장에서 정보통신기술자의 운영실태를 조사하고 제도의 효율성 및 문제점을 도출하여 정보통신기술자 제도의 개선방안을 나타낸다. 정보통신기술자 현황과 경력관리의 실태분석 및 수수료제도의 적정성을 분석한다. 또한 정보통신공사업체의 실태, 환경 및 기술자 근무현황을 분석하며, 기술자 자격체계 개선과 현 제도의 개선사항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통신기술자 제도의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정보통신기술자들이 안정적인 근무실태로 시공현장 경험이 풍부한 자들의 경험을 활용하여 시공품질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대부분 중소기업체로 구성된 정보통신공사업체들의 안정된 기술자구인이 필요하다. 더불어 현장이동의 근무조건과 열악한 환경에서 근무하는 기술자에 대한 기술지식을 겸비한 현장실무 경력자 배양을 위해서는 기술자에 대한 제도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논문의 개선 방안은 정보통신 인정기술자제도의 도입과 더불어 유사정책과의 일관성 유지가 고려된 인정기술자제도로 개선함으로써 현장경험이 풍부한 기술자들의 활용으로 정보통신공사업체들의 경영난 해소는 물론 시공품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정보통신공사 감리대가 표준품셈에 관한 개선연구

        최병구 인천대학교 정보기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75

        2019년 현재 정보통신공사 감리대가 표준품셈(2009년5월)은 실비정액가산방식을 적용하여 공공기관 및 대규모 국책사업의 정보통신공사 감리대가 기준으로 산출 적용되고 있으나, 민간사업 및 공동주택 등에서는 감리대가가 발주처의 내규 및 기준 없이 산출되거나, 최저가 견적 및 타 분야에서 감리업무를 하는 등 정보통신공사 감리용역의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정보통신공사업법(2018년12월) 및 시행령(2019년10월), 감리대가 표준품셈(2020년1월 예정)이 개정 되었다. 개정된(2020년 1월에 시행)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발표한 정보통신공사 감리대가 표준품셈은 기존 표준품셈 대비 11퍼센트 상승한 대가기준을 마련하여 정보통신기술자 및 용역회사에 큰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정보통신공사 감리시장의 약60%를 차지하고 있는 건축물과 공동주택에 대한 부분이 제외되어 있어 본 논문을 연구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개정된 감리대가 표준품셈의 감리기본업무, 공사기간 및 보정계수 등 공동주택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고‘조달청’에서 최근 6개월간 발주되고 있는 공동주택의 정보통신감리 발주사례를 개정된 감리대가 표준품셈으로 산출하여 공동주택에서의 표준공사기간과 공사비대비 표준세대수를 총 공사기간동안의 감리투입인원을 도출하였으며, 전기 및 소방분야의 공동주택 감리배치기준을 비교분석하고 세대수, 공사기간, 공사비의 연관성과 세대수 대비 감리인원의 투입인원 증가폭을 도출하였으며, 제시(안)의 세대수기준을 초과하여 발생되는 증가폭은 총 공사기간의 세대수대비 감리인원소요수를 분석하여 공동주택 감리배치기준(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