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기반의 대용량 이동객체 분산 관리 시스템

        이준우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9742

        The location-based service is referred to as the service for provid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regarding such location-based services as the location-tracing service, the public-safety service and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by attaching chips connected with the GPS in such mobile devices as cellular phones. In other words, the location based service provides various services based on the location based information which has been obtain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ince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makes it necessary to update a large amount of data regularly due to the special feature of the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reflect such a characteristic well in order to provide the location-based service efficiently. Cloud computing is the environment which makes it possible to carry out remote operations by establishing cloud clusters with the data and software which have been individually stored in personal computers or corporate servers and using such devices as personal computeres and cellular phones whenever it is necessary. Various studies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loud environment in various fields. Throughout this paper, the system for storing a large volume of information for mobile devices and making query in the cloud computing environment for the cloud computing technology which originates from the research about Google has been studied. The thing which must be focused in terms of the cloud computing environment is the "locality of data", which distributes and stores a large amount of data in various nods and delivers the "arithmetic operations" for the data to be used to each nod before receiving the results. Compared to the previous way of delivering data for arithmetic operations, the new way has the advantage of not causing the bottleneck phenomenon since it transfers relatively smaller arithmetic operations. Cloud computing shows a stronger characteristic for the arithmetic operations related to reading rather than those related to writing. Such a characteristic is appropriate for the mobile-device management system. Based on such a characteristic, the method of efficiently distributing and storing the location based infomration for mobile devices in the cloud efficiently and separately handling the related query has been studied. Throughout this paper, the storing structure for executing efficient query regarding the high-capacity mobile devices for the location-based service has been suggested.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mobile-device data, the newest data and the old data have been separately stored. The storage of the old data has been implemented through a distribution process by using the MapReduce distribution programming model which is the distribution processing method of cloud computing. By applying the local storage and management algorithm to the previous MapReduce distribution programming model, the structure for the improvement of efficient iniquiries and systematic functions has been suggested. Also, rather than the simple storage of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a new form of storage processed for the possible efficient management of query has been suggested. Since it is not possible to keep simply storing the mobile-device information which continuously occurs in the streaming form, the method of reducing it has been suggested. Lastly, the inquiry-managing system with the application of the algorithm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distribution and management system has been suggested in order to enable not only the simple device-related query but also the k-NN query and various other types of query to occur. In order to prove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with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 suggested in this paper, the storage and qualitative functions have been experimented in various aspects. Also,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have been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s in order to prove the functions. It would be possible to effectively compose the system which needs to be established for the continuously-increasing location based services according to the method suggested in this paper. Also, such a method would be utilized in various fields. 위치기반 서비스란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속에 위성 항법장치(GPS)와 연결되는 칩을 부착해 위치추적 서비스, 공공안전 서비스,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등 위치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일컫는다. 즉 무선 통신망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위치기반 서비스이다. 위치정보는 그 정보의 특성상 대량의 데이타가 주기적으로 갱신되므로, 이러한 특성이 잘 반영되어야만 효율적인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개인용 컴퓨터 또는 기업의 서버에 개별적으로 저장해 두었던 자료와 소프트웨어들을 클라우드 클러스터로 구축하여 필요할 때 PC나 휴대폰과 같은 각종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클라우드 환경 구축을 위하여 여러 형태의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구글의 연구로부터 시작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에 주목하고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위한 대용량 이동 객체의 정보를 저장하고 질의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데이타의 지역성"으로, 대용량화된 데이타를 다수의 노드에 분산 저장하고 데이타를 사용할 "연산"을 각 노드에 전달하여 처리하고 그 결과만을 전달받는 방법이다. 데이타를 옮겨서 연산하는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인 연산을 옮김으로써 병목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쓰기 연산보다 읽기 연산에 더 강한 특성을 보여주며, 이 특성은 이동객체 관리 시스템에 적합하며,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이동 객체 위치 정보를 클라우드 상에 효율적으로 분산 저장시키고, 관련 질의를 분산처리 하는 방법을 연구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대용량 이동객체에 대하여 효율적인 질의를 수행할 수 있는 저장구조를 제안하였다. 이동객체 데이타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최신 데이타와 과거 데이타의 저장을 나누어 처리하게 하였다. 과거 데이타 저장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분산처리 방법인 MapReduce 분산 프로그래밍 모델을 사용하여 분산처리를 하였고, 기존 MapReduce의 분산 프로그래밍에 지역 기반 저장관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질의 효율 및 시스템 성능향상을 위한 구조로 제안하였다. 또한, 위치 정보의 단순 저장이 아닌 질의에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한 새롭게 가공된 형태의 저장을 제안하였다. 스트리밍 형태로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이동객체 정보는 단순하게 계속 저장할 수 만은 없기에, 이를 줄이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단순한 객체와 관련된 질의뿐만 아니라 k-NN질의, 여러 형태의 범위 질의가 가능하게끔 분산 처리시스템에 적합한 알고리즘이 적용된 질의처리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을 적용한 시스템의 효율성을 증명하기 위해 저장 및 질의 성능을 다양한 측면에서 실험하고 실험 결과를 다른 분산처리 시스템과의 비교하여 성능을 입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해 필수적으로 구축해야 하는 시스템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방법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자바 쓰레드와 내장형 질의어를 이용한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의 개선된 대용량 데이터 처리 모듈 설계 및 구현

        박상은 서강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Today, We are operating convenient life as get many task processing and information to be organized from Website to be constructed well with small and big inside system. Database among them is essential tool to offer many useful information provided from a task processing information of an inside system and Website. Database offer to be convenient many to us as Data pool, but that bring about the inconvenience of the customer because of slow response time as time goes by in huge massive a volume Data processing about the requirement of Client. We are making much efforts in ERP or company which manages Web Application about the practical use of Embedded SQL like Pro*C that offering fast Data processing speed by the arrangement variable to improve slow response time of massive a volume Data processing. But, Pro*C is thing which the utility have been excluded actually is reality than Stored Procedure on ERP to creep with Database and Web Application, because any Method does not offer about an execution of Pro*C and Return about the processing result, because the ADO and ADO.NET and ODP.NET that Database gear objects which need for the gear of Database just support only Table, View, Index, Cluster, Sequence, Stored Procedure that schema objects inside Database. So, The writer proposed massive a volume data processing plan in this paper to offer Method to apply Pro*C as add Pro*C including Embedded SQL with Java Thread Demon between Middleware and Database among the structure of existing mode of the 3-tier. First of all the writer described about backgrounds of 3-tier structure and Java Thread and Pro*C, drew a plan and implemented massive volume Data processing module from Backgrounds. If Data throughput is over any criteria through Test processing and result course according to Data throughput of massive a volume Data processing plan to be implemented and Existing mode of a 3-tier, proved superior of thing to use massive volume Data processing plan which proposes in the paper than existing mode of the 3-tier. The result of this paper may be refered to and utilized for many ERP and the developer Web Application or system operator as Massive volume Data a processing plan research. 오늘날의 우리는 크고 작은 내부 시스템과 잘 구축된 Web Site 등에서 체계화된 업무처리와 많은 정보를 얻으며 편리한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그 중 Database는 내부 시스템의 업무처리 정보와 Web Site 등에서 제공하는 많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필수적인 도구이다. Data 저장소로서 우리에게 많은 편리함을 제공해주지만, 한편으로는 갈수록 방대해지는 대용량 Data처리에 있어서는 Client의 요구에 대한 느린 응답시간으로 인해 고객의 불편을 초래하는 것도 사실이다. ERP나 Web Application을 운영하는 많은 업체 등에서 이러한 대용량 Data처리의 느린 응답시간을 개선코자 배열변수에 의한 빠른 Data처리 속도를 제공하는 Pro*C와 같은 Embedded SQL의 활용 등에 대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Database와의 연동을 위해 필요한 ADO, ADO.NET, ODP.NET 등의 DB 연동 객체들은 Database 내의 스키마 객체들 즉 테이블, 뷰, 인덱스, 클러스터, 시퀀스, 저장 프로시져 등의 연동만을 지원할 뿐, Embedded SQL을 포함하는 Pro*C의 실행과 그 처리결과에 대한 Return에 대해서는 어떠한 Method도 제공하지 않기에, Database와 연동하는 ERP나 Web Application 등에서 Pro*C는 Stored Procedure 에 비해 사실상 그 사용이 배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Pro*C를 활용하기 위한 Method를 제공하기 위해 기존의 3-tier 방식의 구조 중 Middle Ware와 Database 사이에 Java Thread Demon과 Embedded SQL을 포함하는 Pro*C를 추가하는 형태의 대용량 Data처리 방안을 제안하였다. 우선, 3-tier 구조와 Java Thread, Pro*C의 Background에 대해 기술하였고, 그 Background를 바탕으로 대용량 Data처리 모듈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구현된 대용량 Data처리 방안과 기존의 3-tier방식과의 Data처리량에 따른 테스트 수행 및 결과분석을 통해, Data처리량이 특정 기준 이상일 경우 기존의 3-tier방식을 고집하는 것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대용량 Data처리 방안을 활용하는 것이 Data처리 수행성능 면에서 우수함을 증명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대용량 Data처리 방안 연구로서, 많은 ERP나 Web Application 개발자 또는 시스템 운영자들에게 참고되고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병무행정 시스템 구축 방안

        강남원 강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27

        1. 목적 병무행정 정보체계 시스템 구축 사업은 병무 정보의 공개 및 공유를 통한 병무비리의 발생을 예방하고, 대국민 병무 서비스 개선과 국내외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조직 능력의 극대화를 위하여 병무혁신 차원에서 추진하는 병무행정 정보화 사업이다. 급변하는 행정 환경변화와 업무의 정보화 의존도 심화로 정보화요구를 신속히 수용하지 못하는 현 정보화 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며, 정보관리가 아닌 정보활용의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하며, 정보처리와 행정으로 이원화된 업무와 조직이 융합되어야 하며, 중앙집중식 정보자원 운영으로 정보화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내․외부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켜야 한다. 2. 추진배경 병무행정 업무는 1984년부터 전산화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으며 현 정보화 시스템은 병역자원을 통합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병역자원 종합 관리체계로 전환하여 자원관리의 효율성을 증대하고, 인터넷/인트라넷 기술을 이용하여 법무부, 행자부 등 유관기관과의 업무처리체계를 강화하고, 24시간 민원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중단 체계이며, 데이터웨어하우스 등 새로운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통계분석 자료를 포함한 최적의 의사결정지원 자료를 제공하는 통합정보관리체계이다. 또한, 현 병무행정 정보체계는 지방청 및 본청을 연계한 징․소집 및 동원 자원관리 외 업무전반에 걸친 자동화를 지원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병무행정의 투명성 및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인터넷을 통한 민원처리 및 각종 병역관련 정보를 제공하며, 전자결재 및 EDMS를 포함한 사무자동화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종이 없는 사무실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체계이다. 하지만, 표준화된 업무절차가 부족하고 다양한 현업의 수작업으로 인해 업무처리시기가 지연되거나 미처리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자원관리에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다. 또한, 현행 시스템은 본청 및 13개 지방청에 시스템이 운영되는 분산시스템이며 분산자료로 되어있어서 업무처리의 성능이 저하되고, 장애추적 및 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며 청간 자원불일치로 인한 자원누수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현행 시스템은 징병검사와 나머지 12개 업무가 동일서버, 동일 어플리케이션 및 동일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고 있어서 특정시간 업무 집중시 징병검사 업무로 인하여 나머지 12개 업무의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프로세스 경영기반의 병무행정 시스템 구축, 지방청 분산자료의 안정적인 통합 및 재설계, 무중단 안정성을 고려한 징병검사 시스템 분리 구축이라는 방안을 제시하여 병무행정 종합정보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 발전시키는데 있다. It needs to improve the current information system that is unable to promptly answer the demand of the creation of information opportunities due to the severer dependency on the creation of information opportunities of works along with the rapidly changing administration environment. Also, it needs to constitute a system not for information management but for information utilization, incorporate tasks and organization which were dualized as information processing and administration, and enhance the satisfac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users by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he creation of information opportunities with the operation of center intensive information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etails of the implementation of a process operation-based conscription administration system, the stabilized integration and re-design of data distributed by local offices, the separated implementation of a physical examination for conscription system in consideration of incessant stability for consistently improving and developing the conscription administration comprehensive information system. When summarizing and articulating the plans for implementing a conscription administration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first, the system is aimed to secure transparency in the work by registering, disclosing, and managing work processing procedures after implementing a process operation-based conscription administration system, and to prevent the omission of the duties of a person in charge and to control and manage process deadline by preparing the time of data processing and all work procedures as information by preparing work innovation-based system through the acceleration of work procedures and the real-time confirmation and management of the processing of work. Second, this system is aimed to resolve the problems of inefficiency such as duplicated duties pursuant to distributed management, and the occurrence of errors in resource management pursuant to the transfer of personal information among local offices by pursuing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military service resources that are managed by 13 local offices through the stabilized integration and re-design of data distributed by local offices. Third, this system is aimed to secure the capability at the peak time by excluding mutual intervention by logically dividing the composition of conscription administration database into conscription administration and physical examination for conscription as details of constituting a physical examination for conscription system in consideration of incessant stability after the data separation, and to remove inefficiency in the use of resources with the concentration on works in a specific time zone. Hopefully, the advanced conscription administration can be implemented by extending the administrative service through the stabilization of a conscription administration comprehensiv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uited to the direction of the future system proposed in this thesis, implementing the tailored service by individual information user, and consistently expanding the information infrastructure for the application of new technology.

      • OpenGIS 기반의 DBMS를 이용한 Web GIS 서버엔진 개발

        김경호 강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지리정보시스템(GIS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은 지리 및 지형에 관련된 공간(spatial) 데이터와 그 공간 데이터와 관련된 속성(attribute) 데이터를 컴퓨터 입력장치인 디지타이저, 스캐너, 마우스, 키보드 등을 이용하여 입력한 후 컴퓨터를 이용하여 저장, 처리, 검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출력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시스템이다. 이러한 GIS는 국토 계획, 도시 계획, 토지 문제, 자원 분석 및 경영기관, 행정관리, 수자원 관리, 교통 운송, 도로망 계획, 국방 분야, 사회 안전 분야, 환경 분야 등 매우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1980년대 이후로 지리정보시스템은 매우 중요한 정보시스템의 한 분야로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까지의 지리정보시스템은 주로 특수한 분야에만 사용되는 전문화된 시스템 이었다. 예를 들어, 시설물관리나, 환경관리, 국토계획과 같이 일반사용자가 사용하는 시스템이 아닌, 전문화된 응용분야에만 주로 사용되던 시스템이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전문화된 지리정보시스템(Professional GIS)이라고 한다.[1] 1990년대 들어오면서, 지리정보시스템은 하나의 특수한 분야에 개별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종합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발전하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시설물관리의 기능을 담당하면서, 동시에 고객관리의 기능도 함께 제공하는 등 지리정보시스템 하나로 기관전체에서 수행하는 여러 가지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바뀌게 된다. 이와 같은 종류의 시스템을 조직형, 또는 기업형 지리정보시스템 (Enterprise GIS)라고 한다.[1] 1990년대 이후로 보다 많은 종류의 일반적인 사용자를 겨냥한 지리정보시스템이 제공되기 시작한다. 이를 보통 생활지리정보시스템 이라고 한다. 생활지리정보시스템은 일반적 사용자가 단순하게 요구하는 기능, 예를 들어, 집에서 가장 가까운 정비소와 정비소까지의 약도를 요구하는 것과 같은 기존의 지리정보시스템의 기능에 비하여 비교적 단순한 기능을 제공한다. 생활지리정보시스템이 본격적으로 이용되게 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는 것은 웹(Web)기술의 발달이다.[1] 현대 정보화 사회는 정보기술(IT: Information Technology)의 발달과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터넷을 이용하여 정보를 획득하고 시간적, 공간적 제약으로부터 벗어나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며 살아가고 있다.[2] 이와 같이 정보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지리정보의 유용성이 인식되고 지금은 인간과 관련한 모든 분야에서 GIS개념을 도입하여 많은 지방자치단체 뿐 만 아니라 정부기관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 구축하여 활용하고 있는 지리정보시스템은 중요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단점은 다양한 종류의 외산 지리정보시스템에 의존적으로 구축하였으며 그에 따라 데이터 저장방식 및 서로 상이한 응용프로그램들의 사용으로 인하여 서로 다른 지리정보시스템간의 공간정보 교환이 어렵거나 시스템간의 호환성은 거의 확보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국제적으로도 지속적으로 언급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OGC(Open GIS Consortium)에서는 상호호환성, 사용의 용이성, 유연성, 확장가능성 등을 확보할 수 있는 산업 차원의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3] OGC는 220개의 업체와 정보기관 및 학교의 참여로 이루어진 국제 산업 컨소시엄으로 지리처리(GeoProcessing)명세를 개발하고 발표하고 있다. OGC의 표준화 작업의 일환으로 “ OpenGIS Simple Features Specification For SQL Revision 1.1 1999. "이 발표되었으며 이로 기반으로 DBMS상에서 표준화된 지리정보데이터 처리 및 관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최근 들어 많은 DBMS에서 OpenGIS 기반의 데이터 타입 및 처리함수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를 활용한 국내에서의 지리정보시스템 개발은 아직까지는 미흡한 실정이다. 두 번째 단점은 Web GIS의 특성상 느린 응답시간이다. 기존의 웹 시스템과 비교할 때 Web GIS는 사용자가 원하는 지리정보를 요구하여 원하는 정보를 받아보기까지 상당히 긴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 화면의 이동, 확대, 축소 뿐 아니라 지도를 검색하고, 가공하여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등 비교적 복잡한 작업으로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GIS 특성상 매우 많은 데이터를 사용하는 시스템이다. 물론 과거에 비해 통신 속도의 증가로 지리정보를 웹 상에서 획득하는 것은 용이해졌지만 아직도 Web GIS의 가장 큰 걸림돌 중에 하나는 통신속도의 제약으로 인한 성능저하이다. 최근 들어 이러한 속도문제 해결 및 보완에 대한 많은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OpenGIS 기반의 DBMS를 사용함으로써 표준화된 정보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고, 공간데이터 정보관리를 DBMS에게 위임하여 빠르고, 경량화된 Web GIS 엔진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또한 많은 전송 데이터량 및 통신속도 제약으로 인한 느린 응답속도를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전송데이터포맷을 정의하여 빠른 응답시간을 보장하도록 하였다.

      • 기상안내전화(131) 자동 전송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최승갑 강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지구의 온난화, 엘니뇨 같은 이상기후현상에 기인한 기후변화로 전 지구상에는 이상기상이 매년 급증하여 자연재해로 상당한 몸살을 앓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 21세기는 전 지구적 차원의 중대 관심사로 기상현상이 부각되고 있다.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태풍, 집중호우 등 이런 기상현상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의 힘은 너무나도 커 아직까지는 사람의 인위적인 힘으로 제어하고 관리할 수는 없지만, 기상이변 발생이 예상될 경우, 악기상 발생 시 실시간 현황, 기상예보 등을 제공받아 기상재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에 기상청에서는 국민이 언제 어디서나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기상정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상안내전화(131)를 운영하고 있다. 기상안내전화(131)는 일반국민들을 대상으로 기상 특·정보, 단기·주간예보, 매시 기상실황 등 기상정보 메시지를 문자가 아닌 음성으로 누구라도 오해 없이 전달 받을 수 있는 올바른 표현으로 매시 또는 국민 관심도가 큰 기상현상이 발생할 때 수시로 작성·입력하여 한국통신서버로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전달된 기상안내메시지는 한국통신 음성 변환시스템을 통하여 국민에게 제공되고 있다. 이 시스템은 근무자가 기상자료를 매시 수동으로 직접입력, 점검 확인을 하는 수동업무 체계이다 보니 유사한 업무처리를 반복 처리하는 단순 업무의 반복성으로 인한 업무량의 과중, 과도한 시간과 인력이 요구되고 심야시간의 기상정보 사용자에게는 오류의 일기예보제공 가능성이 내재되어 있다. 이로 인해 기상정보의 신뢰도 및 기상업무 능률 저하를 초래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상정보 안내메시지를 자동 작성 및 전송하는 시스템 개발을 위하여 현행 기상안내시스템에 사용되는 일기예보, 예보의 종류, 예보용어, 기상실황자료 등 기상정보 관련 자료들을 조사·분석하여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개선하기 위해 기상정보를 자동작성하고 기존 수동업무체계를 자동업무체계로 구축하여 양질의 기상정보를 신속․정확하게 국민에게 제공하여 조금이나마 기상재해를 줄이기 위하여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범위는 기상청에서 기상정보를 통보하는 인터넷, 언론기관, 모바일서비스(PDA), 유선통신망을 이용하는 기상안내전화 서비스, FAX 등 여러 통보방법 중 하나인 기상안내전화(131) 시스템을 선정하여 기상정보 수동 입력하는 것을 자동 작성하는 범위 내에서 시스템 모델을 제시하고 제시한 내용에 따라 설계 및 구현을 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내용 및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은 서론부분으로 연구의 필요성, 범위 및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제2장은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청의 기상정보안내시스템에 대하여 조사 분석 후 기상예보에 사용한 용어, 개념들을 설명하였다. 제3장은 현행 기상안내전화 시스템의 시스템구조, 사용방법, 기상안내 메시지 입력방법, 문제점 및 해결방안 등을 조사하였다. 제4장은 현행 기상안내전화시스템의 문제점 중 수동 입력 처리하는 시스템 체계를 자동처리 시스템으로 개선하기위해 기상안내 메시지 D/B 구축하여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 5장 결론에서는 지금까지 연구한 기상안내 전화시스템 개발에 대하여 요약·정리하고 향후 과제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증권시스템의 분산 데이터 모델에 대한 연구

        이정훈 서강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증권시스템은 고객의 금전을 관리하고, 수시로 변화하는 주가를 관리해야하는 특성상 그 동안 "안정성"과 "정합성"을 보장함이 최우선 과제였고, 이러한 요건을 잘 달성해주었던 중앙집중식의 단순한 형태로 시스템이 구성되어 왔다. 그러나 IT 기술의 진보와 인터넷을 이용한 CYBER 거래의 활성화로 단순히 계정계, 정보계 서버로 구성되었던 기존의 기술 구조로는 변화의 요구를 충분히 수용할 수 없게 되었고, 이 것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몇 년 동안 서버를 분산 관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이러한 증권시스템의 분산화가 진행될 수록 문제가 되는 것은, 주 처리 서버에서 발생한 트랜잭션을 여러 분산 서버에 어떻게 반영하는가 하는 문제이다. 과거 계정계, 정보계로 분리되었던 때에 야간 배치 프로그램으로 데이터를 반영하던 경우와는 달리, 지금은 주 처리 서버에서의 변경 처리 시점과 거의 유사하게 다른 분산 서버로 반영이 되어야 한다. 주 처리 서버로부터 원격지 서버로 트랜잭션을 실시간으로 반영할 경우, 지역 서버와 원격지 서버 간의 데이터 정합성의 문제, 지역 서버의 성능 오버헤드 문제 등 고려해야 할 여러 요소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격지 서버로의 효율적인 트랜잭션 처리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서, 첫째, 서버 분산이 되는 업무적 요건과 분산의 특징을 정의하고 둘째, 분산처리를 위해 현재 적용할 수 있는 기술적 모델의 종류와 처리 메카니즘을 분석한 후 셋째, 서버 분산의 요건과 특징에 맞는 기술적 모델을 매핑(mapping)시켜, 각 분산 요건에 맞는 최적의 기술 모델을 제시하였다. 분산 서버로의 트랜잭션 처리를 수행할 때에, 해당 서버의 분산 요건에 맞는 최적의 기술적 모델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도모함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The securities system has put its first priority on stability and conformity because of its characteristics of managing customers' funds and of checking frequently changing stock prices. Therefore, it has been constructed to have a simple structure of centralization. However, owing to advancement in IT technology and activation of cyber transactions, the existing technical structure, the server of which consists of the account and the information section, couldn't accept the requirement for any changes sufficiently. In order to solve this matter, for the last years, it has been turning itself to decentralize the server. Decentralization of the securities system has caused a problem how to reflect transactions happening on the main dealing server to several decentralized servers. In the past when the server was divided into two sections of account and information, the night processing program worked on data. However, the data should be reflected on other decentralized servers almost at the same time as the main dealing server works on changes. In case of processing the transactions from the main dealing server to a remote server on the real-time basis, there are some factors which should be considered like conformity of data between a regional server and the remote server, performance overhead of the regional server, etc. In order to propose an efficient model of transaction process to the remote server: firstly, this paper has tried to determine the working requirements for the server decentraliz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decentralization; secondly, it has analyzed the kinds of technical models which are currently applicable for process of decentralization, and also the processing mechanism; and third, through mapping of a technical model which satisfies the requir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decentralization, it has proposed the optimum technical model meeting with each requirement of decentralization. This paper aims at encouraging to select and apply an optimum technical model meeting with the requirements for decentralization of the relevant server at the time of processing the transactions to the decentralized server.

      • 다중컴퓨팅 노드의 이동객체에 대한 최근접 질의처리

        한종형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26

        모바일, 유비쿼터스 환경등의 다변화를 추구하는 현재의 GIS 분야는 언제 어디서나 GPS를 이용한 위치 측위기술과 이동 단말기의 대중화로 무선통신의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 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단일노드 위치기반 서비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GALIS(Gracefully Aging Location Information System) 아키텍쳐는 클러스터 기반 분산 컴퓨팅 구조로 설계되어 각 지역별 데이타를 여러 노드에 저장함으로써 위치 정보의 저장과 갱신 및 질의에 대한 부하를 분산시켜 대용량의 데이타를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대부분의 위치기반 연구는 다중 노드를 대상으로 최소 백만 단위 이상의 대용량 객체를 처리한다. GALIS는 이동 객체의 현재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SLDS(Short-term Location Data Subsystem)와 과거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과거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LLDS(Long-term Location Data Subsystem)로 구성되며, SLDS 는 메모리 데이타베이스를 사용하는 ATIBASE 데이타베이스를 사용하며, LLDS 는 디스크 기반의 GMS 데이타베이스를 사용하여 이동객체를 관리한다. 각각의 데이타베이스는 공간객체 처리에 효율적이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질의처리기에서 k-NN(k-Nearest Neighbor) 질의는 제공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객체의 이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k-NN질의가 가능하도록 다중노드에 k-NN 질의처리 방식을 제안한다. 다중노드에 대한 k-NN 질의는 노드 별 객체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R트리 색인을 구성하고 k-NN 질의를 가능하게 하며, 각각의 질의대상이 되는 노드 별로 k-NN 질의를 처리한다. 이와 같은 질의처리 방식은 많은 노드에 질의를 수행할 경우 질의처리 비용 면에서 고비용이 소요되어 잠재적으로 시스템의 성능저하가 예상된다. 제안된 k-NN 질의에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해서 Hk-NN(Hybrid k-Nearest Neighbor) 질의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Hk-NN 질의는 최초 사용자의 k-NN 질의를 제외하고 질의대상이 된 인접노드에 대해서 수행하는 k-NN 질의를 범위질의로 변형하여 질의를 처리함으로써 인접노드들에 대한 k-NN 질의처리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인접노드에 대한 k-NN 질의를 범위질의로 변형하여 질의를 처리함으로 인해서 다중노드에 대한 질의의 전체적 처리비용이 감소되는 효과를 가져왔다. 본 논문에서는 Hk-NN 질의가 다중노드에 대해서 k-NN 질의를 처리하는 방식 보다 효과적임을 질의 처리비용 면에서 상호 비교하며, 또한 다중노드에 대한 질의처리 방식이 분할 전 단일노드에 대해서 질의를 한 것과 비교하여 질의처리가 정확함을 실험을 통해 보여준다. LBS (Location-Based Service) systems have become a serious subject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with rapid advan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position measurement technologies such as global positioning system. The architecture named the GALIS (Gracefully Aging Location Information System) is a cluster-based distributed computing system architecture which has been suggested to overcome performance losses and to efficiently handle a large volume of data. Unlike most of the past and current research activities in this area which are pursuing single-node systems, the GALIS is a novel distributed computing architecture devised to handle millions of moving items. GALIS consists of SLDS and LLDS. SLDS manage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moving objects, and LLDS manages past location information of moving objects. In our prototype development of GALIS architecture, the SLDS is developed using main-memory-based DBMS, called Altibase, and the LLDS is developed using disk-based spatial DBMS, called GMS. Altibase and GMS provide some spatial operations, but they do not support k-NN(k-Nearest Neighbor) queries. In this thesis, we propose distributed k-NN query processing schemes for moving objects on multiple computing nodes, each of which keeps records relevant to a different geographical zone. In our naive method, we first process the k-NN query on the target node, then decide whether the query region is overlapped with other nodes, and finally process the k-NN queries from the shifted query points for the neighboring overlapped nodes. We also proposed a hybrid k-NN (hybrid k-Nearest Neighbor), which utilizes range queries instead of k-NN queries for the neighboring overlapped nodes, thus resulting in low query processing cost, while providing the exactly same query results. Through some experiments, we show the efficiency of hybrid k-NN over naive k-NN.

      • 정보보호 사전진단 방법론을 활용한 u-City 보안 모델 연구

        신동훈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9711

        유비쿼터스 기술의 보급으로 우리 생활에 밀접한 연관이 있는 도시기반시설이 IT기술과 융합되어가고 있다. 이로 인해 개별 네트워크에서 운영되던 각종 IT 서비스들도 도시기반의 신규 IT서비스로 융합되고 있다. u-City(Ubiquitous City) 구축을 위한 신규 IT서비스 개발시 보안대책 미적용으로 인해, u-City 서비스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침해하는 사고발생으로 인해, 도시 전체의 기능이 마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도시민에게 커다란 혼란을 발생 시킬 수도 있다. 이에 u-City안에서 새로이 융합되는 신규 IT서비스의 설계 및 구축단계부터 보안위협 요소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사전적 대응책을 마련하여 선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u-City 구축이 추진 중임을 감안하여, u-City 구축을 기획하고 있는 지자체 및 사업자가 참조할 수 있는 보안 모델을 마련하여 공유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 신규 IT서비스의 설계 및 구현 단계에서부터 보안 위협을 분석하고, 선제적 보호대책을 제시하여 서비스의 안전성을 확보가 가능한 정보보호 사전진단 방법론을 제시한다. 또한, 정보보호 사전진단 방법론을 적용하여, 현재 구축되고 있는 u-City 보안위협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보안대응책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정보보호 사전진단 결과 도출된 보안 위협 및 보호대책을 활용하여 u-City 구축 및 운영시 참조할 수 있는 보안 모델을 제시한다. u-City 보안 모델은, u-서비스 처리기, 정보/상황 처리기 등의 통합운영센터 내부시스템 구성요소와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LBS(Location Based Services) 등의 연계 기반 인터페이스, 경찰청, 소방서 등의 외부기관 인터페이스, 웹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황판, 키오스크 등의 정보출력 인터페이스 등의 u-City 구성요소별 보호대책을 관련 법률, 보안지침 등과 함께 제시하여 보안모델의 실효성과 활용도를 제고한다. u-City 정보보호 사전진단 결과와 보안모델은, u-City 서비스 아키텍처를 이해하고, u-City 구축 및 운영시 고려해야할 보안위협, 보안대책 및 법률을 이해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또한, u-City를 구축하거나 운영하는 사업자 및 지자체에서는 u-City의 보안 목표를 설정하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With the diffusion of ubiquitous technologies, many city facilities that are closely related with our daily life are being combined with IT technologies. As a result of various IT services running on the separate network are also being integrated into a city-based service However, serious problems can occur in terms of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u-City(Ubiquitous City)service, if the security factor is not fully considered and applied while developing new IT services that will be integrated into u-City projects. It is necessary to countermeasure by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Information Security of the New IT Services on design and build stages in the u-City. And, Considered of u-City is being constructed,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develop for u-City Security Model, to share of local governments and operators who have responsibility of u-City construction project. This dissertation proposes, Information Security Pre-Evaluation Methodology which is analysis security threats 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phase of new IT services. And also, Present to u-City Security Threats and Countermeasures is applied to Information Security Pre-Evaluation Methodology. Finally, proposes a u-City Security Model based on the Results of Information Security Pre-Evaluation Methodology, u-City security threats and countermeasures. This u-City Security Model is used on u-City building and operating. The u-City Security model is composed of Security Countermeasures of Integrated Operations Center Internal System Components such as u-Service Processor, the Information/Status Handlers, Tier-Based Interface such as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LBS(Location Based Services), Outside Agency Interface such as Police Office, Fire Station, Information Output Interface such as Web Application Interface, Kiosks, The security model i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and utilization provided by u-City related Legal Measures to protect the components, along with the Security Guidelines. Results on Information Security Pre-Evaluation of u-City and u-City Security Model enhance to understand the u-City Service Architectures and Considerations of Security Threats, Security Countermeasures and Laws which are applied to build and operate of u-City.

      • 經營情報시스템의 效率性 提高를 위한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 活用 方案 : Y社를 中心으로

        김세종 檀國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49711

        일반적으로 기업에서 주컴퓨터 (Host Computer) 와 개인용컴퓨터(Pe-rsonal Computer)를 도입하여 에뮬레이터 (Emulator) 를 이용하여 주컴퓨터에 단순단말기 (Dumb Terminal) 형태로 접속하여 단말기에서 주컴퓨터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 (Data) 를 주컴퓨터 응용프로그램 (App-lication Program) 을 이용하여 원적지 (Remote) 또는 근거리(Local) 에서 활용하고 있지만 주컴퓨터에 있는 데이터를 즉시 개인용컴퓨터에서 처리할 수 없다. 따라서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를 사용하여 개인용컴퓨터를 주컴퓨터에 접속시키면 기존의 단순단말기형태의 기능수행은 물론 개인용컴퓨터에서 주컴퓨터의 데이티를 즉시 송, 수신이 가능하여 개인용컴퓨터에서 주컴퓨터에 있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고 개인용컴퓨터에 있는 데이터를 주컴퓨터에 저장시킬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경영정보시스뎀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조직에서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활용함에 있어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에 대한 개념, 구성, 활용방안, 효과 및 문제점을 제시하였고 Y 사를 모델로 주컴퓨터에 있는 판매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재품매출 데이터를 읽어 즉시 개인용컴퓨터에서 그래픽 (Graphic) 처리를 실제 실행함으로써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 활용에 대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In general, the company in a long distant or a short area the d-ata stored in host computer the most of application program in hostcomputer with emulator, which makes dumb terminal connect with hostcomputer between host computer and personal computer. In case the personal computer is connect with host computer API,the personal computer does the function of dumb terminal and the pers-onal computer take care of the datas in host computer, as it is poss-ible to send/receive immediately the datas in host computer, furthemo-re.the datas in personal computer can be stored in host computer as w-ell.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concept, organization, practical use, effect and problems on API to make the most of API in MIS and to offerguidance on practical use of API executing immediate graphic process inpersonal computer read sales information data base in host computerthrough a case study of Y company.

      • 웹기반 POS시스템 설계 및 구현 : 강원도 소규모 음식점 중심으로

        윤광규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11

        오늘날 기업의 경영환경은 교통의 발달로 지역 경제권이 하나의 거대 시장으로 통합되어 무한 경쟁 체재로 전개되고 있기 때문에 빠른 변화 속에 직면하고 있으면서도 이윤의 극대화 등 끊임없이 효율적인 경영 패턴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중소기업들은 경영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는 정보화에 대한 인식이 낮고, 또한 자금 부족과 운영정보 부족으로 기업의 정보화 수준은 외국이나 대기업에 비하여 매우 열악하다. 특히, “2008년 정보화 관련 통계조사”와 “2008 전국 중소유통업총람”에 의하면 강원도 소재 기업체의 정보화 수준이 전국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업원 5인 미만의 소규모 기업은 더욱 심각 하였다. 소기업들은 정보화에 대한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정보화에 대한 예산 부족, 영업과 경영정보의 유출 우려로 정보화를 꺼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우려로 각종 통계조사 결과에 의하면 식품접객업의 정보화 수준이 타 분야보다 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정과 영업장에 컴퓨터를 1대 이상 보유하고 있지만 이를 경영에 활용하지는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기반 환경을 최대한 이용하고 구축비용의 절약을 위하여 보유 기기를 최대로 활용한 웹기반 POS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였다. 아무리 좋은 시스템을 구축하더라도 사용자의 사용 열의가 없으면 한낮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은 사용자의 추가적인 요구사항이 있을 시 신속한 대응이 수반되고, 시스템의 변경 시 축적된 자료의 활용이 가능토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요구 충족이 이루어지면 가정과 사업장에서 보유하고 있는 컴퓨터의 활용도를 높이고 사용자의 불편 해소를 크게 개선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된 웹기반 POS시스템은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소규모 사업장에서 단순 업무처리 뿐 아니라 사업장의 모든 업무를 연계처리 할 수 있으므로 적은 투자비용으로 효율의 극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사료된다. Nowadays, the companies' business environment are facing fast changes, and are also constantly demanding effective management pattern as the maximizing of profits. Moreover, with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regional economic zones are integrated into one huge market and the competition system is being deployed. However, the recognition of informatization which gives help to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s low, and due to the lack of operating information and funds, the enterprise's level of information is very poor compared to foreign countries or large enterprises. Especially, according to the '2008 statistical research relevant to informatization' and the '2008 nationwide survey of small distribution enterprises', the informatization level of the Gangwon province's material enterprises were lower compared to the national level. Enterprises with less than 5 employees were more severe. Based on the survey, small enterprises knew the needs of informatization, but lacked the budget for information, and were reluctant because of the concern about th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the food service enterprise's level of information is lower than other fields. To save building costs and to protect the data, they used personal computers and internet web hosting. Considering these points, the POS (point-of-sale) system which is easy and convenient to use is designed for small restaurant enterprises. While performing this research, I've learned that no matter how well the system is built, if the customers have no enthusiasm, the system can become useless. Hence after, the system's great device is that if the customers have additional requirements. They should be met, and if the system is changed, the accumulated data must be available to use. If these requirements meet, the efficiency of computers in homes and companies will be much higher. In conclusion, as this research presents, if we investigate on how to make the computers own by small enterprises not just cease in simple business conduction but handle all the tasks of the enterprise, then I believe it will maximize the efficiency with low investment co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