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배전자동화 단말장치 제어를 위한 Digital-TRS 성능분석

        강인석 忠南大學校 産業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50767

        Optical methods where the optical cable is directly routed and operated, are currently universally used of communicating methods for the electrical distribution automation project in KEPCO(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However, due to the increasing rent and space constraint at the cable routhed on the electrical distribution electric pole, the alternative communication method should be indispensable for solving the current issues. ※ Main subject We analysis on many points to find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utilizes all of wire and wireless's good point to improve confidence level from the lowing success existing wireless communication against wire communication. ※ Conclusion As a result measurement Digital-TRS(Digital Trunked Radio System) efficiency and reliability of communicate are the best in communication method. Also It can be various connection AMR(Automatic Meter Reading) making wireless digital-TRS, watching transformer, moving maintenance and repair. And from now change importance that DAS(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terminal unit way of communication application to Digital-TRS should raise because reli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are good. This paper studied various demand item that economical efficiency, reliability, maintenance and repair etc and analysis result of simulation from DAS, Distribution autiomation system communication machine's situation installed in KEPCO's electric[power] supply power line use for data which in the way that you think is best for KEPCO environment for DAS communication system to select. ※ 서론 현재 한국전력 배전자동화 사업에 사용되는 통신방식중에는 배전선로에 광케이블을 직접 구축하여 운용하는 광방식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해마다 증가되는 임대료지불 문제와 배전전주의 케이블구축의 공간 제약적 문제로 이를 해결할만한 대체 통신방식의 전환 이 불가피하다. ※ 본론 유선방식에 비해 성공률(신뢰도)이 저조한 기존 무선방식에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유, 무선의 장점을 모두 살릴 수 있는 통신방식을 찾기 위해 여러 면에서 분석해 보았다. ※ 결론 통신방식별 통신데이터 측정결과 Digital-TRS 의 효율 및 통신신뢰도가 가장 좋다. 또한 무선 Digital-TRS를 활용한 다양한 연계(원격검침, 변압기감시, 기동유지보수 등)가 가능하며, 신뢰도 및 경제성 또한 좋아 향후 배전자동화시스템 단말장치 통신운용방식을 Digital-TRS로 변화 비중을 높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력의 배전선로에 설치된 배전자동화 통신기기의 현황으로부터 경제성(구축비용, 유지보수비, 이용요금), 신뢰도(통신성공률, 응답시간, 전송속도)유지보수 등 다양한 요구 사항과 시뮬레이션을 분석한 결과를 한국전력 환경에 가장 적합한 배전자동화를 위한 통신시스템을 선정하기 위한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 유비쿼터스 시대에 맞는 u-City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행정중심복합도시를 중심으로

        이동명 충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67

        이번의 연구는 유비쿼터스 시대에 필요한 컴퓨팅에 관하여 이론적인 고찰과 유비쿼터스 사회를 구성하기 위한 각종 플랫폼들에 대해서 도서 등 각종 자료를 통해 조사하고, 또 신도시의 u-City 구축사례를 통해 u-City 구축을 위해 필요한 서비스와 기술들에 대해서도 조사하여 유비쿼터스 사회와 도시를 건설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조사하고, 이러한 기본지식을 바탕으로 u-행복도시를 건설하기 위해서 검토가 필요한 분야를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검토를 하였는데, 행복도시가 구현해야 할 u-City 서비스와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방안에 대해서 관련 기술들을 비교․검토하고 가장 최적의 방안이 도출되도록 하였다. 먼저 행복도시의 u-서비스는 행복도시가 첨단정보도시로 태어날 수 있도록 기존에 수립된 각종 계획들을 되 집어보고 국내․외 기술개발현황과 타 시도의 신도시 개발과정에서 u-City 구축사례들을 조사하여 행복도시의 u-City 구축계획과 행복도시가 추구하는 목표에 맞춰서 선정되었는지 각 분야별 서비스 선정과정을 검토하고, 도출된 서비스들은 구현 가능한 서비스인지 등을 검토하였고,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방안에 관해서는 기존의 기본계획을 통해서 도출된 백본망 및 간선망, 가입자망 등 자가유선망의 구축계획과 USN 등의 서비스에 필요한 무선통신망 구축방안 등에 대해서 분석하고 적절하게 유․무선망 장비들이 선정되었는지 등을 기존 정보센터의 운영현황과 기술개발현황, 신도시 구축사례 등을 사례로 하여 장․단점을 비교하여 가장 최적의 유선망을 도출하고 또한 차세대 정보통신망 구축을 위한 장비 등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행복도시는 장기간에 거쳐 개발되는 도시로서 단계별로 건설이 추진되며 건설계획에 맞춰 u-City건설도 병행하여 추진되게 된다. 현재 u-행복도시는 도시민에게 필요한 기본서비스와 특화서비스 등을 도출하고, 정보통신망 구축을 위한 기본계획을 세워놓고 일부 구간에 한하여 상세설계를 추진하고 있다. 상세설계를 통한 추가 기술검토를 통해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정보통신인프라의 구축방안과 전산망장비 선정방안 등이 적극적으로 검토 될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의 목적은 행복도시가 추구하는 기본계획과 기술개발현황과 각 통신망별 구축기술과 장비들에 대한 장․단점을 비교․분석하여 나름대로 최선의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행복도시가 단계별로 개발되면서 u-행복도시 건설을 위해 부분별 상세설계 시에는 기존의 행복도시 기본설계를 바탕으로 하고 전문가들의 참여와 실현가능한 최신의 정보통신기술을 조사․검토하여 가장 최선의 정보통신망이 구축되고 최고 성능의 장비들이 선정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sought to provide the basic direction in creating a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Happy-City) designed to reinforce national competitive power and balance the development of our territory as a world-class ubiquitous city. Toward this end, examples of u-City projects in other countries and development status of high-end technologies as well as the application plans were studied in this researc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in computing for the ubiquitous age and all kinds of platforms that will make up the ubiquitous society were first studied using books and other materials. The services and technologies required to build a u-City were then investigated by reviewing examples of constructing a u-City in a new town. To draw the most suitable scheme and compare technologies related to the u-City service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s to be realized by the u-City, two major directions were investigated. By examining the existing plans and researching on the current status of development technologies and construction examples of u-City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the service selection process in each field was reviewed to see if it is in line with the targets of the Happy-City and u-City building plans and consequently enable Happy-City to transform itself as a high-tech information city. For the building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plans to build a private network such as backbone net, backbone area, subscriber line, etc., as devised based on the existing basic plans and plans to build a wireless network for USN, etc.,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best flow net by comparing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based on the management status of the existing information center, development status of technologies, and construction examples of the new town. Tools for establishing the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were studied as well. The development of Happy-City will take a long time. The u-city shall be constructed in line with its construction plan. Currently, basic, customized services for the citizens of u-Happy City(Ubiquitous Happy-city) have been planned the detailed specification of certain sections is also being composed. By conducting an additional technology investigation when devising the detailed specification, plans to construct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to select the necessary computer network tools to realize services are expected to be studied actively. This study sought to find the best way to build u-Happy Cit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basic plan for Happy-city, current status of technology development and building technology of each communication network tool. In the detailed specification to be promoted in each division based on the existing Happy-City design to build u-Happy city, the best communication network is expected to be constructed. Equipment with the best performance shall also be selected, thanks to the participation of experts and research on the newest and feasible communication technology.

      • 공공기관의 정보통신망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조용석 광운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51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공공부문에서의 정보통신망에 대한 투자 규모가 확대되고 있으나 신규 통신망 구축사업의 타당성 검토나예산 편성 시 판단의 근거를 제공할 기초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검토나 판단을 위해서 기관내의 정보자원 현황과 활용방안에 대한 정확한 조사와 연구는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사와 연구의 방안으로 기관 내의 서버 및 네트워크 장비의 증설과 교체, 네트워크 회선의 증속, 트래픽 절감과 부하분산, 접근 통제 및 통신망 구조개선 등의 다양한 방법을 검토하여 각 기관의 환경에 맞는 방법을 적용하여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A공단의 통신망 이용환경 분석과 트래픽 분석을 통하여 적정 대역폭을 산정하였고, 통신망 구현기술과 토폴로지, 내부통신망 구성요소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적합한 모델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정보통신망 구축을 위한개선방안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With the advent of the information age, there is increasing investment on information to the public sector network. However, basic data to provide a foundation to carry out a feasibility review of a new communication network and/or to determine budget compilation are not sufficient. It is crucial to have accurate investigation and research of the current status of information resources within an institution and its applications for such reviews and decisions. As such investigation and research, it is necessary to review a variety of ways including the expansion and replacement of servers and network devices, the acceleration of network circuit speed, traffic saving and load distribution, access control and network structure improvements to optimize the network environment by applying appropriate methods for each institution. As part of such research, this thesis calculated a proper bandwidth of A public institution by user environment analysis and traffic analysis and came up with a suitable model by analyzing network realization technology, topology, and the problems of internal communication network components to propose the basis for improvement measures for future information network construction.

      • 광대역 철도통신망 구축 및 운영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신재범 우송대학교 철도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51

        금세기 문명 혜택의 대표적인 것으로 전기통신 서비스를 들 수 있다. 이제 우리는 경제, ----- 중략

      • 3G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모바일 의료영상 효용성 연구

        정영태 광운대학교 정보콘텐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35

        최근 들어 모바일 스마트폰과 휴대용 태블릿 PC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더군다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제는 단순한 전화기기라는 평이한 개념보다 하나의 휴대용 컴퓨터로 통용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따라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 공간으로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를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시간 다운로드와 업로드, 그리고 고화질 영상의 재생 및 뷰어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모바일 스마트폰의 기능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의료정보센터의 PACS 서버에 접속하여 공간에 제약받지 않으면서 의료행위를 할 수 날이 머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실시간 데이터 무선통신으로 의료기관의 영상정보를 다운로드 및 뷰어했을 경우에 이 영상정보가 얼마나 의학적 가치가 있는 가에 대한 전문적 소견을 의료기관 영상정보관리자 2명과 보건대학 영상정보학 교수 2명, 판독용 모니터 정도관리 전문가 1명, 그리고 영상의학과 판독의 2명에게 설문조사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진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중적인 스마트폰을 선정하는 것이 보편성을 가질수 있으므로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글로벌 IT업체 구글(Google)사의 소프트웨어인 안드로이드 OS체제를 탑재한 삼성전자 GalaxyS(SHW-M110S)를 표본 연구 모델로 삼았다. 둘째, 의료기관의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과 연계연동 할 수 있는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정하여야 하는데 본인이 근무하고 있는 의료기관의 원격 제어 어플리케이션 통신 프로그램인 국내업체 R-SUPPORT사의 R: RemoteView(Version 1.1.9.1)를 선정하였다. 본 어플리케이션은 일반 PC환경에서도 사용가능하다. 셋째, 실시간 원격 영상정보 조회를 하려면 디지털 의료영상서버가 필요한데 기존의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던 필름(film) 형태의 아날로그 영상정보가 사라지고 현재는 대부분 종합 의료기관에서는 디지털 의료영상정보 저장전송 시스템, 즉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체계를 갖추고 있는 의료기관만 가능하다. 원격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의료기관 PACS에 접속한 다음 평가할 각각의 테스트 영상검사를 모두 로딩(loading)한다. 넷째, 스마트폰으로 환자의 의료영상을 뷰어한 다음 구글(google) 안드로이드 온라인 마켓에서 공룡소프트사가 제작한 어플리케이션인 빠른캡쳐를 이용하여 각각의 영상검사를 스크린 캡처한다. 물론 스마트폰 자체의 캡처기능도 있지만 조작하기가 쉽지 않은 면이 있고 RemoteView(Version 1.1.9.1) 프로그램도 자체 캡처기능이 있지만 아직은 상용화되지 않아 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진행하였다. 다섯째, 캡처된 영상검사들을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고 그 이미지 파일을 컬러프린트하여 설문조사 문항지와 함께 7인의 전문가 집단에게 영상의 의학적 가치 판단 평가를 의뢰하였다. 각각의 영상검사에 대한 의학적 가치 판단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델로 삼은 12가지 의료영상에서 일반촬영, 자기공명영상, 체열검사는 의학적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초음파, 전산화단층영상, 투시검사, 핵의학검사, 양전자방출단층영상, 파노라마, 구강악안면단층영상은 의학적 가치는 있지만 약간의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고 마지막으로 유방검사와 혈관조영술, 내시경 검사는 현재의 영상정보로는 의학적 진단을 기대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스마트폰의 화질과 픽셀의 구현성,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IT 인터페이스와 영상 보정 옵션 등이 가미될 경우 의료진과 환자에게 탁월한 의료영상정보 서비스가 가능해 질 것으로 사료되어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의료영상을 보고 진료할 수 있는 시공간 초월 IT/의료 융합기술이 보편화 될 것이다. Using the Mobile smartphone & tablet PC have been increasing in number recently. On top of this, via various application, now this is appeared the one PC rather than simple cellular phone. for this reason, anywhere and at any time will enter internet space so acquire diverse information furthermore download, upload and play high-difinition images became possible. with the utilization of in this mobile smartphone function, treat a patient simultaneously access to medical facility PACS server wihout limitation of room. In this research, put to use smartphone that most widely used device of Korea use real time data communication communicate with medical facility server, and then appraise download & view medical image on smartphone. assessors are medical image 2 administrators, 2 image information professor in health college, QA specialist of diagnosis monitor, 2 doctor for radiology and assess point is medical value of each image, asses method is consult paper. Research progress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I select research model that GalaxyS(Samsung electronics), it use Android operating system(Google software) because it is most common smartphone in korea so paper will has popularity. Second, need a communicating application for PACS in the medical facility, this paper use R: RemoteView, it is remote control program in my hospital office. this applicaion also activate in PC. Third, necessary digital image server for real time remote service where medical facility, at this present most general hospital use PACS instead of established film system so this paper apply only upper facility. through remote control application, connect with medical facility PACS and then loading test images that evaluated for medical evaluated worth. Fourth, viewing the patient medical image via smartphone and capture each image via 'pparun capture' application that produced by Gong-Ryong software in google online market. of course, smartphone has self capture function but it is difficult to handle so use this application. remoteview program has self capture also, it is the same. fifth, store capture images filed form and color print out that images, and then consult with question paper to 7 experts about medical value of capture images. Result that medical value of each capture image is as follow. Of all 12 medical test images, general X-ray, magnetic resonance, thermography are adjudged that have sufficient value of medical diagnosis. Ultrasonography, computed tomography, fluorography, nuclear medicin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dental panorama, dental tomography are adjudged that have medical value but require a little supplementation. Mammography, X-ray angiography, endoscopy are adjudged that have no value of medical diagnosis. Henceforth, if upper images gain additory smartphone pixel definition and IT interface & image correction option, possible to excellent medical image service to medical staff and patient so then without difficulty view the medical image anytime, anywhere that mean of generalization in time and space transcendence about IT&medicine fusion technology.

      • IGBT 기반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응용연구

        캄푸는시파사이 우송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19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의 가장 큰 장점은 주파수를 제어하여 모터의 주파수를 조절하게 모터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AC모터의 경우 모터의 구조가 간단하여, 보수 및 점검이용이하고, 부하 역률 및 효율이 높은 장점 등이 있다.

      • 정보통신기기에 사용되는 표면실장용 권선형 파워인덕터 개발에 대한 연구

        노현우 광운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19

        최근 휴대폰, 노트PC등 휴대용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제품등 각종 전자, 정보통신기기의 소형 경량화 추세에 따라 이에 사용되어지는 부품들도 소형화 및 저배형화가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자․정보통신기기의 DC-DC Converter단에서도 이러한 소형화 경향이 반영되어지고 있다. 특히 휴대용 정보통신기기, 디지털 카메라등에서는 소형이고 대전류⋅고효율의 파워인덕터가 요구되어지고 있으며, 몇 년전까지도 DC-DC Converter단에서는 대전류⋅고효율의 권선형 파워인덕터가 사용되어 왔었다. 하지만 PMIC의 스위칭 주파수가 증가되어가면서 낮은 용량의 파워인덕터가 요구되어지고 있고 소형화 및 양산성이 우수하며 가격이 저렴한 적층형 파워인덕터의 사용량이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표면실장형 권선형 파워인덕터의 한계로 지적되어온 소형화(2.0 mm x 1.6 mm x 1.0 mm)를 실현하였으며 전기적특성 검토 및 신뢰성시험을 통하여 제품 특성도 적층형 파워인덕터와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DC/DC Converter단의 효율 및 출력전압단의 리플파형을 비교하였으며 권선형 파워인덕터가 동일 사이즈와 동일 특성의 적층형 파워인덕터보다 출력전압의 리플제거 효과가 약 20%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cently, according to miniaturization and light-weight of the portalb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the multi-media products such as cell phones, note pc, etc., the components which is used in them are smaller and low-profile rapidly. Finally, DC-DC Conveter's parts of the electronics an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are also smaller. Specially, the portab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and the digital camera have demanded an inductor which is small, high current and high efficiency. And SMD type wire-winding power inductors which is high current and high efficiency was used for DC-DC Converter until a recent date. But, because of an increase of PMIC's switching frequency, it demand the power inductor of low capacity. and the amount used of the Multilayer power inductor which is small, excellent mass production and low price is increased. In this study, a miniaturization(2.0 mm x 1.6 mm x 1.0 mm) that is pointed as limit of wire-winding power inductor is realized and is confirmed a similarity with the multilayer SMD power inductor from check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the relibility test. Also we compared with ripple of out-voltage about high efficiency. We confirmed that the wire-winding power inductor about effect of ripple exclusion is more superior about 20% than the multilayer power inductor of identical size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 NVIS를 이용한 군 HF통신운용 활성화

        이정천 忠南大學校 2011 국내석사

        RANK : 250719

        군 HF통신은 전리층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주파수 문제 및 HF통신 운용간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도약지대내 통신불가 등의 문제로 HF통신에 대한 사용자 기피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96년 신형 AM 무전기(PRC-950K) 전력화 당시 발간한 교육회장 이후 더 이상의 교리발전도 전무(全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현재 우리 군에 전력화되어 운용중인 단파(HF) 무전기를 이용하여 전리층 수직반사(이하 NVIS)라는 방식으로 통신함으로써 단파(이하 HF)통신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도약지대에 의한 통신제한을 해소하고 활성화 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여 현존전력을 극대화하고 전․평시 통신의 신뢰성과 생존성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09년도에 육군 정보통신학교를 중심으로 HF통신운용 활성화를 위해 전투실험을 실시한 결과 도약지대내 NVIS 통신이 가능하였으며, 효율적인 주파수 사용을 위한 주파수 재사용은 HF 대역 전파특성 및 한반도 국토면적을 고려했을 때 제한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동안 적지종심부대에서 제기된 후방통합 수신소에 대한 통신이 가능한 것을 검증하였다. 앞으로 군에서 HF통신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제대별 효율적인 주파수관리 및 통제 방안이 강구되어야하며, 제한된 주파수를 고려했을 때 HF통신 운용제대 및 개념의 재검토와 육군의 차기전술통신체계(TICN)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는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has researched the HF radio communication through NVIS(Near Vertical Incident Sky-wave which can provide solutions to overcome typical skip zone problems in HF band communication in military operations within the Korean peninsula by using the tactical digital HF radio device deployed in 1996. The results of experiments conducted by the Army Signal School in 2009 have shown that NVIS transmission is practical within even skip zone areas. However, frequency reuse, which can maximize efficiency of frequency, is limited with the consideration of both characteristics of the HF transmissions and the size of the Korean peninsula lastly, the study proved that it is possible that setting up a rear-side integrated HF communication post suggested by the special force Headquarter to improve information collec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 전기철도에 의한 전자유도에서의 등가대지저항률 영향에 관한 연구

        박종상 우송대학교 철도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19

        본 논문은 전기철도 시설로 인하여 주변의 metalic 통신회선에 발생하는 전자유도현상에서 ----- 중략

      •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전자회로 교육 활성화에 관한 연구

        김동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719

        최근 보편화된 컴퓨터의 보급으로 학교의 교육 현장에서도 컴퓨터를 활용한 수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전문계고 실습도 컴퓨터를 이용하여 실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러한 교육환경의 변화에 부응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공업계 전자계열 고등학생들의 컴퓨터를 이용한 실습교육을 효과적이고 흥미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전자회로의 기본적인 회로를 시뮬레이션 학습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학습능률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공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있어 이론과 실습이란 서로 분리된 교과목이 아니라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교과목이다. 관련 이론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실습을 통해 직접 구현해 봄으로써 이론을 보다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새로운 응용력을 키울 수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논문은 각 실험과 관련한 기초적인 전자회로 이론을 공부하고, 아날로그 랩 유닛과 디지털 멀티미터를 통한 측정 및 엑셀을 이용하여 계산한 값과 비교․검토 후 시뮬레이션 실습을 통해 전자회로 이론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여 응용할 수 있도록 작성해 보았다. 전자회로 실습의 주요 내용으로는 옴의 법칙, 키르히호프의 전류 및 전압 법칙, 저항 분할회로, 다이오드의 정류작용, 다이오드의 순방향/역방향 특성, 정전압 회로, 트랜지스터의 3가지 영역, 트랜지스터의 증폭 작용 등이다. 이들 핵심적인 전자회로의 특성을 이론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시뮬레이션 실습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이다. 지금 세계는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그 핵심에 있는 정보기술분야의 발전 정도가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을 고려할 때 정보기술의 핵심 분야인 전기․전자․통신 공학에 관한 기술을 축적해야만 한다. 전기․전자․통신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전자회로를 보다 효율적으로 학습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내용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기초 이론을 실증적으로 이해하고 학습함으로써 전자회로에 대한 내용은 물론 나아가 반도체를 기반으로 하는 회로 소자들의 특성까지도 습득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실험이란 학문적 이론을 실제적으로 증명하거나, 새로운 이론을 만들어 내기 위하여 거쳐야 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이러한 실험을 통하여 전자회로의 관련 이론을 증명하고 응용력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으므로 실험에 앞서 실험 목적을 확실히 알고, 실험 방법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있어야만 실험 효과를 최대로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실습 방법에 있어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프로그램의 구현 방법과 회로의 구성일 것이다. 모든 일을 혼자서는 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실험 역시 혼자의 힘만으로 완전하게 수행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실험은 목적이 동일할지라도 사람에 따라 다르게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여러 사람이 함께 수행하면 좀 더 나은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즉 실험은 여러 사람이 함께 참여함으로써 항상 쉽고 새로운 방법이 찾아지는 것이므로 쉬운 것이라도 여러 사람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