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ISS 인기논문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한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윤인아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19

        The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refers to the cognitive status between normal aging and dementia. Many of the senior people with MCI develop Alzheimer disease. However, thanks to the neuroplasticity, cognitive function can be maintained or enhanced by appropriate stimulation. In this study, seniors with MCI were provided with group-form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cognitive stimulation) to investigate their resulting cognition, communication, quality of life,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nges in such diverse dimensions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program implementation,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found in the study subjects’ delayed recall memory, confrontation naming and generative naming abilities. This finding implies possible positive effects of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the study subjects’ verbal memory and cognition functions. Especially it is noteworthy to find improvement in memory,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CI. Second, after the program implementation, the study subjec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functional communication ability. This indicates that the group-form program increased communication opportunities with others, influencing their subjective assessment on communication ability also positively. Third, after the program implementation, the study subjects’ quality of life improved significantly. This result shows that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has a positive role not only in enhancing the cognition ability but also in the subject’s subjective assessment on their quality of life. Especially, as it has been known that there exists a correlation between seniors’ cognition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t is more noteworthy to have this elevation in the subjective assessment on quality of life. Forth, each subject showed different results in the program sub-dimensions. Cognition is a comprehensive idea encompassing diverse areas including attention, perception, understanding, expression, memory, inference, and sequencing. In this program, not only those with Amnestic MCI, but also with the multiple-domain MCI were included. For this reason, each subject in this study may have different cognitive abilities to result such an outcome. Presently, domestic and global attention to cognitive rehabilitation is increasing. But there are not sufficient amount of studies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comprehensive intervention program. This research provided a comprehensive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to senior with MCI. And this research experiment is expected to serve as a significant basic material for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cognitively-challenged patients. Although it is possible that the MCI develops into dementia, it is also possible to recover to the normal status. If cognition function can be maintained, improved or recovered through cognitive rehabilitation, such will be helpful not only for individual MCI patients but also the society as a whole. 경도인지장애는 인지적으로 정상노화와 치매 사이의 상태를 말한다. 이들 중 상당수가 알츠하이머병으로 진행되나, 신경가소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자극을 통해 인지기능을 유지 및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그룹 형태의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그에 따른 대상자들의 인지, 의사소통, 삶의 질 등 다양한 차원에서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실시 이후 대상자들의 지연기억, 대면 및 생성이름대기 능력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이는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대상자들의 언어적 기억 및 인지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특히 경도인지장애의 특징 중 하나인 기억력 문제에서 개선이 이루어진 점은 주목할 만하다. 둘째, 프로그램 실시 이후 대상자들의 기능적 의사소통능력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이는 그룹 형태의 프로그램 진행을 통해 타인과의 의사소통 기회가 증가한 것 역시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주관적 평가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프로그램 실시 이후 대상자들의 삶의 질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이는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인지적 능력의 향상 뿐 아니라, 대상자들이 자신의 삶의 질에 대해 느끼는 주관적인 평가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노인들의 인지기능과 삶의 질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다고 알려진 만큼, 삶의 질에 대한 주관적 평가에서의 향상은 더욱 주목할 만하다. 넷째, 각 대상자 별로 프로그램 하위영역 간의 효과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인지란 주의집중, 지각, 이해, 표현, 기억, 추론, 순차화 등 다양한 개념을 포괄적으로 일컫는 개념이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단일영역 기억성 경도인지장애 뿐 아니라 다영역 경도인지장애 노인도 대상에 포함되어 대상자 별로 인지능력이 상이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현재 국내·외적으로 인지재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이들에 대한 통합적인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통합적인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하였으며, 이는 향후 다양한 인지적 결함을 가진 환자들을 위한 인지재활 치료의 계속적인 개발에 의미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경도인지장애가 치매로 이환될 가능성이 있으나 정상적인 상태로 회복될 가능성 역시 동시에 가지고 있는 만큼, 인지재활을 통해 인지기능을 유지·향상 혹은 회복할 수 있다면 이는 경도인지장애 개인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직업재활종사자의 소진에 관한 연구

        안화숙 대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few factors which influence burnout, focusing on practitioner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rom rehabilitation centers,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qualifie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by exploring preventive measures and countermeasures of burnout phenomena.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114 out of 145 facilities of rehabilitation for the disabled in nationwide, which were implementing task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Also, a survey took place for 400 employees who were in charg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ject in the selected rehabilitation centers, and SPSS 12.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liability was verified by values of Cronbach's Alpha to look at the inner consistency of the questionnaire.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Correlation analysis took place in order to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related to exhaustion(personal characteristics, task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main factors of customers) and the burnout, and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whole burnout. The main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looking at the relationship of factors of burnout for the employe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emotional burnout composed of the burnout factors, inhumane attitudes, the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and correlations of the degree of the whole burnout, all the factors except for the emotional exhaustion and inhumane elements are related. Secon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burnou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inhumane factor in the relation between positions and exhaustion;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emotional exhaustion and the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The inhumane element was the highest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teacher, and the department manager appeared to be the lowes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 and career, and major and the whole burnout.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ask environmental factor and the burnout shows that both have the correlations but the degree is low. Fourth, the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which the employee of rehabilitation center shows the highest in intimacy with customers, followed by consultation time, appropriateness of the number of customers, the problem-solving, level and similarity, and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of customers. Fifth, in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exhaustion,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overall burnout were meaningful in the exhaustion of the whole and task environment. The followings are the suggestions of solution to burnout of employee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 as a plan to reduce the burnout of the employe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evention is the most important, continuous supplementary education program should begin in order to enhance the ability of the employees. Second, the continuous discussion of the solution to burnout and the prevention of the employees who offer direct service among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workers. Systematic analysis of task and amicable communication can be considered. Third, the opportunity to challenge and fair system of compensation should be offered to settle the burnout of employe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ourth, by arranging the appropriate numbers of customers per employee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ze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can be accomplished. Finally, a proposal for the further study is suggested. The measurement instrument for burnout used in this study used verified instrument which is already proved to be reliable and justifiable. However, because the measurement instrument used in the research in foreign countries is being used as the exactly the same, task environmental factor which provides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and task characteristic could not be considered. Therefore, the burnout measurement which has specialty of the employe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task characteristics, reliability and justification should be developed.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복지관의 직업재활종사자들을 중심으로 소진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이를 통해 소진현상의 사전예방 및 대응방안 을 모색하여 양질의 직업재활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 였다.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국 장애인복지관 145개의 기관 중 직업재활업무를 실 시하고 있는 114개의 장애인복지관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복지관에서 직업재활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직원 40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12.0(StatisticalPackageforSocialScience)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의 내적 일관성을 살펴보기 위해 Cronbach's Alpha값을 사용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을 파 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T-test,ANOVA(일원배치분석)을 실시하였다. 소 진관련요인(개인적 특성, 업무 환경적 특성,고객요인)과 소진과의 관계를 알 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전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 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재활종사자의 소진요인의 관계를 보면, 소진요인으로 구성된 정서 적 탈진,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결여, 전체소진도의 상관관계를 비교해 본 결과, 정서적 탈진과 비인간화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은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개인적 특성과 소진과의 관계는 먼저 직위와 소진과의 관계는 비인간 화 요인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정서적 탈진과 개인적 성취감 결 여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인간화 요인은 직업재활교사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부장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과 근무경 력, 전공과 전체소진과의 관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업무 환경적 요인과 소진의 상관관계는 모두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나,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넷째, 직업재활종사자가 지각하고 있는 고객의 특성은 고객의 친밀감이 가 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고객과의 상담시간, 고객수의 적절성, 문제해결, 수준과 비슷, 고객문제의 심각성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는, 전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은 전체소진과 업무환경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직업재활종사자들의 소진해소방안을 제언하면 다 음과 같다. 첫째, 직업재활종사자들이 소진을 줄이기 위한 방안은 예방이 가장 중요하 다. 이를 위해 직업재활종사자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보수교육프로 그램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직업재활종사자 중 특히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사자들의 소 진해소와 예방을 위한 지속적인 대안이 논의되어야하며, 이를 위해 체계적인 업무분석과 의사소통의 원활한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셋째, 직업재활종사자들의 소진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전의 기회를 제공하 고, 공정한 보상체계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직업재활종사자 1인당 적당한 수의 고객을 배치함으로써 전문적인 직 업재활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본 연구에서 사용 된 소진측정도구는 인간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에서 신뢰성과 타당성이 이미 검증된 도구를 사용 하였다. 그러나 외국의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를 그대로 번역하여 사용하 고 있으므로, 우리나라의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직무환경과, 직업재활종 사자들의 직무특성을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따라서 직업재활종사자들의 전문 성과 직무특성 직무환경, 고객요인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지닌 소진측정 도구가 개발되어야 한다.

      •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양지영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19

        This study investigates that job stress a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indicates that based on job stres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employees, which variables affect job satisfaction to provide more effective and systematic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continuously to disabilities. This study samples were collected among 456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the country, sampling targets were who provides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employees in 3 places from Seoul Metropolis and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6 places from megalopolis, and 6 places from provinces. total 126 copies were collected. consequential analysis of these results indicates that general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30s male and 20s female are mostly distributed. They graduated from the University. major in social welfare and The employees common religion is nonreligious and the highest distribution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period are between 0 month to 5 years. overall,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verage wage is about 20million won and highly rated from province.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 model of this study, the descriptive analysis of these result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sult presents that task performance influence is the highest score as 3.57 on job stress and comradeship is the highest score as 3.61on job satisfaction. Job stress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employees have stressed mostly on the environment, role ambiguity and characteristics, sub-factors of job stres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job satisfaction has environment, job characteristics and atmosphere. Also shows that negative correlation on sub-factors of job stress; role ambiguity, redundant role, influence task performance, role characteristics, environment and organization atmosphere to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job itself, maintenance, promotion opportunities, comradeship, supervision and separation. These results appear that job stress negatively affects job satisfaction and higher job stress negatively influence job satisfaction. Seco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employees, it shows that women/female job satisfaction is higher than male and 30s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employees have the highest job satisfaction. Va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employees on doctoral program as final education have 11 years to 15 years of work period, around 40 million won of annual income, and province employees have higher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t shows that no relations with gender, 40s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employees have the highest job stress.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employees on master's degree and specialize in social welfare have 16 years to 20 years of work period, around 30 million won of annual income and megalopolis employees have the highest job stress. These result appears that between general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n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employees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is research suggests as follows: First, current job stres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employees negatively influenced on job satisfaction. Effectiv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employees in job satisfaction need further studies to draw the interaction and direction more professional and efficient. Second,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organization atmosphere, role ambiguity and redundant role are major factors of decrease duties satisfaction. However, researcher need further studies on management plan research. Finally, research will be organized and continued on rel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employees. 본 연구는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를 바탕으로 어떤 변수들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직업재활서비스를 장애인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하는데 시사점을 주고자 했다. 본 연구의 표본은 전국 소재 직업재활시설 456곳 중 서울특별시 및 특별자치도 3곳, 광역시 6곳, 도 6이 표집 되었으며 총 126부를 회수 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방법은 회귀분석 및 독립표본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분석한 결과로 남성은 30대가 직업재활시설에 가장 많이 분포 되어있으며 여성은 20대로 나타났고 최종학력은 대학교를 졸업한 종사자가 가장 많았다. 또한 전공은 사회복지, 종교는 무교, 근무기간은 0개월부터 5년까지, 전체적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평균 임금은 2천만원대로 도 소재 직업재활시설에 근무하는 종사자 비율이 높았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을 살펴본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과업수행영향력이 3.57점으로 가장 높았고 직무만족은 동료관계 3.61점으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는 역할모호성과 직무특성과 환경에서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직무만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직무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은 직무 분위기와 직무특성과 환경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인 역할모호성, 역할과다, 과업수행 영향력, 역할갈등. 직무특성과 환경, 조직분위기가 직무만족 하위요인인 직무자체, 보수, 승진기회, 동료관계, 감독, 이직에 부적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에 부적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을 살펴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직무만족이 높으며 30대 직업재활시설종사자가 가장 높은 직무만족을 보이고 있다. 최종학력은 박사과정의 직업재활시설 사자이며 직무만근무기간은 11년에서 15년 사이, 연봉은 4천만원대, 지역은 도 소재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직무만족을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일반적 특성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를 살펴보면 성별과 상관없는 직무스트레스 받으며 40대 직업재활시설종사자가 가장 많은 직무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석사과정 직업재활시설 종사자, 사회복지학을 전공한 직업재활시설 종사자, 근무기간은 16년에서 20년 사이, 연봉은 3천만원대, 근무지역은 광역시 소재 직업재활시설 종사자가 가장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일반적 특성은 직무만족도과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현재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부적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재활시설종사자의 스트레스 해소와 직무만족을 제고시키기 위한 행정적지도 지침과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결과에서 직무만족을 감소시키는 주요 요인인 조직분위기, 역할모호성, 역할과다로 나타났다. 이에 관한 대처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연수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셋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 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장기간의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 발달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전문가의 리더십 모형과 측정도구 개발

        장훈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19

        오늘날 조직에서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수많은 리더십 유형과 그 구성요인들이 독특한 직업적 특성을 지닌 발달장애인에게도 그대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가? 그렇지 않다면 발달장애인에게 유용한 리더십 유형과 요인은 따로 있는가라는 의문에서 이 연구는 시작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긍정적인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 유형과 요인을 도출하고, 발달장애인의 직업적 특성을 고려한 직업재활전문가의 리더십 모형과 리더십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 심층 면접과 델파이 조사를 통해 발달장애인에게 유용한 리더십 유형과 요인을 도출하여 발달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전문가의 리더십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직업재활전문가의 리더십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과정을 통해 발달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전문가의 리더십 측정도구를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인의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은 7개 유형, 18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2요인 리더십은 2개 요인(배려행동과 구조주도행동), 경로-목표 리더십의 3개 요인(참여적 리더, 지원적 리더, 지시적 리더), 거래적 리더십의 2개 요인(조건적 보상, 적극적 예외관리), 변혁적 리더십의 2개 요인(이상적 영향력, 개별화된 배려), 리더-멤버 교환 리더십의 2개 요인(충성, 공헌), 진성리더십의 3개 요인(자아인식, 균형잡힌 정보처리, 관계의 투명성), 서번트리더십의 4개 요인(이타적 소명감, 감정적 치유, 지혜, 설득)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발달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전문가의 리더십 모형은 3개 영역, 12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3개 영역은 특성, 기술, 과업영역이다. 특성영역은 리더가 가지고 있는 사고, 행동 양상의 반복적인 양식으로 리더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을 말하며, 자아인식, 이상적 영향력, 윤리성 3개의 요인으로 구성된다. 기술영역은 발달장애인을 교육, 훈련, 고용하는데 필요한 직업재활전문가의 기술로서 합리적 의사결정, 정서적 지원, 배려, 진실성, 공식적 지지 5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과업영역은 발달장애인의 직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되는 리더의 행동 특성으로 정당한 편의, 지원, 적극적 개입, 참여 4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발달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전문가의 리더십 측정도구는 9개 구성요인에 3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발달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전문가의 리더십 측정도구는 특성영역은 자아인식 3문항, 이상적 영향력 3문항, 윤리성 3문항으로 총 9문항, 기술영역은 정서적 지원 3문항, 배려 4문항, 공식적 지지 3문항으로 총 10문항, 과업영역은 참여 3문항, 지원 3문항, 정당한 편의 5문항으로 총 11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측정도구의 실질적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구성타당성, 공인타당성, 예측타당성 등 검증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전문가의 리더십 모형과 측정도구와 관련하여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발달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전문가의 리더십 모형을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을 비롯한 직업재활 관련 조직에서 실제 적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발달장애인의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 유형과 요인을 대학교 교육과정 등과 같이 직업재활 전문가의 자질과 능력을 함양하는 과정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직업재활전문가의 리더십을 함양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리더십 모형을 포함한 교육 교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발달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전문가의 리더십 측정도구를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하는 정기 시설평가와 관련하여 활용하거나, 조직운영을 위한 자체 리더십 점검자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영리기업에까지 범위를 확대 반영한 연구가 진행되길 바란다. This study was motivated by the question of whether many of the leadership styles and components that are prevalent in organizations today can be applied to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ve uniqu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if not, if there are any leadership styles and factors that are useful for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eadership styles and their factors that affect positive job performanc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develop a leadership model and a leadership measurement tool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 that take into account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this end, we first developed a leadership model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identifying useful leadership styles and factor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and the Delphi survey technique. We also developed a leadership measurement tool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and then the measurement tool was finalized through a validation process. The summary of the finding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18 factors in 7 styles of leadership were found to positively influence the job performanc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Two factors of two-factor leadership(consideration behaviors and initiating structure behaviors), three factors of path-goal leadership(participative leader, supportive leader, directive leader), two factors of transactional leadership(contingent reward, active management by exception), two facto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idealized influence,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two factors of leader-member exchange leadership(loyalty, contribution), three factors of authentic leadership(self- awareness, balanced processing, relational transparency), and four factors of servant leadership(altruistic calling, emotional healing, wisdom, persuasion). Second, the leadership mode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identified in 3 domains and 12 factors. The traits domain refers to the unique traits of a leader as a repetitive pattern of thoughts and behaviors that a leader has, and the domain is composed of three factors: self-awareness, idealized influence, and ethics. The skill domain is a skill necessary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to educate, train, and employ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sisting of five factors: rational decision-making, emotional support, consideration, sincerity, and official support. The task domain is the lead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carried out to achieve the career goal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t is comprised of four factors: reasonable accommodation, support, active intervention, and participation. Third, a leadership measurement tool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sisted of 30 questions in 9 components. The traits domain consisted of a total of 9 questions: 3 questions for self-awareness, 3 questions for idealized influence, and 3 questions for ethics. The skill domain comprised a total of 10 questions: 3 questions for emotional support, 4 questions for consideration, and 3 questions for official support. The task domain was composed of a total of 11 questions: 3 questions for participation, 3 questions for support, and 5 questions for reasonable accommod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actual utilization of the measurement tool,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was finally established through verification processes such as construct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and predictive validity.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regarding the leadership model and measurement tool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actually apply the leadership mode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eveloped in this study to organizations related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including social enterpris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econd of all, it is important to apply leadership styles and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performanc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the proces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qualifications and ability to cultivate, such as university curricula. Third of all, in order to cultivate the leadership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it is imperative to develop educational materials including the leadership model identified in this study. Fourth of all, it may be necessary to use the leadership measurement tool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regular facility evaluation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r as self-inspection data for organization operation. Finally, it is recommended that the leadership style and the measurement tool for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working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e examined in commercial enterprises in follow-up research.

      • 신장장애인의 직업재활욕구와 인식에 관한 연구

        이지연 대구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19

        1999년 장애인 복지법 개정으로 장애인 범주에 내부 장애인으로 포함된 신장장애의 경우 치료가 거의 불가능하여 그 심각성이 크며 심리적·의료적·사회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 아니라 고혈압, 당뇨의 합병증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는 한 신장장애인의 발생수도 증가할 것을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신장장애인을 직업재활서비스의 대상자로서의 인식과 더불어 직업재활의 활성화 정책 및 제도의 개선은 미흡한 상황이며 직업재활에 대한 욕구 및 인식에 대한 연구 또한 매우 부족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신장장애인의 직업재활욕구와 인식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신장장애인의 직업적 특성을 알아보고 욕구와 인식정도를 구명하며 취업신장장애인과 비 취업신장장애인의 직업재활 욕구와 인식정도의 차이를 알아보아 직업재활의 활성화를 위한 방향과 구체적 전략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경기지역 131명의 경제 활동 가능한 신장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 교차분석, 요인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고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을 통해 취업자와 비취업자의 차이를 보았는데 여성(비취업 49.2%, 취업 18.6%)이 남성에 비해 비취업자의 비율이 높았고 취업자의 경우 시간이 자유로운 야간투석 이용자의 비율이 높았으며 투석기간, 투석횟수, 신장이식희망여부에서는 취업자와 비취업자의 빈도가 고루 분포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직업인식에 대한 취업자와 비취업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분석을 통해 신장장애인의 직업유지에 대한 어려움, 고용의 불리한 조건, 취업에 대한 적극적 지원미비, 치료환경과 근무환경의 적절한 배려의 부족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직업재활에 대한 욕구 및 인식을 알아 보기위한 분석을 통해 취업자가 의료평가, 상담, 전문기관이용, 구체적인 경제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욕구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제언을 하면 신장장애인의 욕구를 충분히 반영한 다양한 업종의 개발과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직업재활서비스의 활성화, 고용환경의 개선, 안정적 고용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 실질적인 의료적 지원, 질적 연구 방법의 사용 등 신장장애인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접근을 통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Kidney disease has been classified as the inner-organ disability under the revised welfare law ou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1999, with is one of the incurable chronic diseases. Kidney failure or disease can cause many difficulties in psychological, medical, and social areas and is expected having a high occurrence rate unless they provide basic medical treatments for high blood pressure and diabetes. There has been, lacking attention and enough recognitions to provid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kidney patients and to improve proactive policies and systems to enhancing quality of lif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kidney patients have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their desire and recognition between two groups: One is employable, the other unemployabl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pecific strategies & ways for better vocational rehabilitation activities are suggested. For this survey, questionaries were distributed to the 131 kidney patients, who are under the economic activities and are receiving the blood treatment in Kyonggi province. The analyses were conducted by frequency analyses, t-tests, Anova, cross tables, and factor analyses. The outcome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frequency analyses, women are higher than men in the ratio of jobless(49.2%). In case of the employed, they prefer night time work (31.4%) to the day time work. It showed that the even distribution ratio in injection period, times, the desire of transplanting kidney among the employed and the unemployed are observed. Second, in the analysis of deferences for recognition between the employed and unemployed, it showed the difficulties of keeping job with kidney disease, inequality of employment condition, a lack of the positive support to get a job a and lack of working and treatment conditions. Third, in the analysis of the desire and recognition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it showed that the survey respondents rated the self-medical evaluation for a vocational, consultants, the utility of professional organization, and specific economical supports as being very important. In addition to the above analyses, it is suggested to develope the various vocational programs and educational programs which are reflected on the kidney patients' desires, and also the revitalize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the improved employment condition, the systematic supports for the stable employment, and the practical medical support are also needed. The systematic study for the kidney patient should be accomplished through the professional approaches.

      • 가상현실 프로그램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우울, 재활동기, 작업 참여에 미치는 영향

        류성현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19

        (요 약) 본 연구는 가상현실 프로그램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우울, 재활동기, 작업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4년 12월부터 2015년 4월까지였고, 연구 대상자는 선정 기준에 따라 뇌졸중 진단을 받은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기존의 작업치료 중재 및 가상현실 프로그램 훈련을 받는 실험군 16명, 기존의 작업치료 중재 및 추가적으로 작업치료 중재를 받는 대조군 16명으로 나누어 5주간 실시하였다. 치료 중재 전․후 우울, 재활동기, 작업 참여를 비교하기 위하여 우울검사 척도(BDI), 재활동기 척도, 인간작업모델 선별 평가도구(MOHOST)를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가상현실 프로그램 훈련 집단이 작업치료 중재 집단에 비해 우울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05). 둘째, 가상현실 프로그램 훈련 집단이 작업치료 중재 집단에 비해 재활동기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05). 셋째, 가상현실 프로그램 훈련 집단이 작업치료 중재 집단에 비해 작업 참여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05). 단, 하위 영역인 운동 기술은 치료 중재 후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05). 넷째, 우울과 재활동기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 .05). 그러나 우울과 작업 참여, 재활동기와 작업 참여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 .05).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작업치료와 더불어 가상현실 프로그램 훈련을 적용할 경우 뇌졸중 환자의 우울 감소와 재활동기, 작업 참여의 향상에 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울은 피로와 무능력함을 증가시키고, 동기를 저하시키며 기능적 능력을 감소시켜 직업 및 사회로의 복귀를 어렵게 한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가상현실 프로그램의 중재 방법은 임상에서 적용하는데 접근이 용이하고 설치가 간편하며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는 게임으로 재활에 적극 참여 할 수 있도록 뇌졸중 환자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rtual-reality(VR) program on depression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for stroke pati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at December 2014 to April 2015, patients diagnosed with stroke were selected according to criteria to select the research targets. Sixteen patients with experimental group received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and VR program training intervention, sixteen patients with control group received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and additionally occupational therapy for total five weeks. BDI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scale and MOHO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epression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before and after therapy interven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VR program training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 depression compared to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group(p< .05). Second, VR program training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group(p< .05). Third, VR program training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 occupational participa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group(p< .05). However, motor skill of sub-are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therapy intervention(p> .05). Fourth, depression,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showed a statistically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ion(p> .05). However, depression, occupational participation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p< .05). If you apply with the VR programs and occupational therapy with these results reduce depression and improve of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in stroke patients with showed that the more effective. The depression increases the fatigue and inability and decreased motivation and reduced functional ability, making it difficult return to the occupation and society. Intervention method of VR program used in this study is easily accessible to clinical application and installation is simple and the game to induce interest and motivation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rehabilitation will be able to give greater assistance to stroke patients.

      • 조직관리요인이 재활전문가의 직무만족 및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천지은 대구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의 조직관리요인이 재활전문가의 직무만족 및 서비 스지향성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검증하는데 있으며, 이를 통하여 직무 만족 및 서비스지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직적 차원의 지원체계를 모색하 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관리요인은 재활전문가의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관보상요인과 팀 연계요인에 대한 재활전문가의 만족 정도나 그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 역시 높아짐을 의미한다. 조직관리요 인의 하위요인에 따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관보상요인을 구성하는 교육 및 훈련제도와 보상제도는 직무동기요인과 직무권한요인에서 모두 유의미한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팀 연계요인은 직무동기요인에서는 업무지원이, 직무권한요인에서는 업무지원과 팀 협력 및 정보교류가 모두 유의미한 변수로 확인 되었다. 둘째, 조직관리요인은 재활전문가의 서비스지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관보상요인과 팀 연계요인에 대한 재활전문가의 만족 정도나 그 수준이 높을수록 서비스지향성 역시 높아짐을 의미한다. 기관보상요인은 이용자지향성요인에서 보상제도가 유의미한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서비스만족도요인에서는 두 하위요인 모두 유의미한 변수가 아닌 것으 로 나타났다. 팀 연계요인은 이용자지향성요인에서는 업무지원과 팀 협력 및 정보교류가 모두 유의미한 변수로 확인되었고, 서비스만족도요인에서는 팀 협 력 및 정보교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관리요인에 대한 재활전문가의 상대적인 중요도 및 선호도를 검증한 결과, 조직관리요인 가운데 보상제도를 구성하고 있는 각 하위요인에 따 라서 재활전문가들의 상대적인 중요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상대적인 중요도는 급여수준, 직원포상제도,교육 및 훈련제도, 승진제도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조 직관리요인의 구성형태에 따른 재활전문가들의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급여수준은 ‘상향조정’, 교육 및 훈련제도는 ‘정기적인 국내교육’, 승진제도는 ‘능력제 승진’, 직원포상제도는 ‘금전적 보상’으로 결합된 경우 가장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재활전문가들의 직무만족 및 서비스지향성은 조직관리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업무수행과 관련한 기관의 지원체계, 그리고 팀 간 협력체계를 보완한다면 직무성취감, 책임감 및 권리의식, 그리고 서비스성과와 직결하는 서비스지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대부분의 장애인복지관들은 다양한 영역의 전문인력들로 구성되어 있으나, 대부분 직무수행으로 인하여 이용자들의 욕구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재활서비스 제공에 대한 통합된 시스템 개발이나 팀 연계를 통해 서비스이용자의 욕구와 전 문인력들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한 서비스전달체계를 수립해야 할 것이다. 또한 조직관리요인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에 대한 재활전문가들의 선호도에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재활전문가들의 욕구와 가치를 반영한 조직관리요인을 개 발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업무성과를 이뤄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장애인복지 관이 가지고 있는 한계성으로 인하여 집단을 세분화 한 보상체계는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속성요인별 중요도를 근거로 한 보상체계를 도입할 수 있도록 직무분야나 경력 측면 등을 고려한 집단별 보상체계 확립이 필요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조직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활전문가들을 위한 정기적인 교육 기회의 보장을 통해 업무능력,직무태도, 서비스 성과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재활전문가의 서비스지향성은 기관의 보상제도보다 팀별 협력이나 직무와 관련한 정보제공 등을 통해 향상되므로, 창의적인 서비스 전달이나 이용 자 욕구에 대한 사정 능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관기관 간의 협력 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용자들과의 의사소통방안을 확대하여 현실을 반영한 서비스 운영이 가능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재활전문가들을 위한 고유의 보상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재활서비스 영역 내에 포함된 여러 분야의 재활전문가들의 다각적인 견해 를 토대로 한 보상체계 개발은 재활전문가들의 직무만족 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과 관련한 효과적인 전달체계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factors on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orientation of rehabilitation specialist. Also, ultimate purpose is to suggest organizational support system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orientation of rehabilitation specialist. To add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 had three folds and a survey was used. The frist question was which factors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affects on job satisfaction of rehabilitation specialist? Second, which factors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affects on service orientation of rehabilitation specialist? At least, third question was to confirm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eference between organizational management factors of the rehabilitation specialist. The dependent variable used for the analysis was their "job satisfaction(job motivation and job competency)" and "service orientation(user-orientation and service satisfaction)" that the rehabilitation specialist personally appraise. The independent variable are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factors, which indicates the organizational compensation factors and team approach factors. A survey research method was adopted to accomplish this study. Data was gathered from rehabilitation specialist in Welfare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 total of 289 answers from respondents were retrieved. Excluding replies which could be defined as being insincere, 229 surveys were used as the subjects for the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complied information, multiple regressions by SPSS for Windows 12.0 were applied. In deal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question,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ddress the third question, a conjoint analysis was applied.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 and discussion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organizational management factors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 which had an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of rehabilitation specialist. The factors of organizational compensation impacting the job motivation and job competency were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compensation system. The factors of team approach impacting the job motivation were work support and the factors impacting the job competency were work support, team cooper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Second, the result showed that organizational management factors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 which had an influence on the service orientation of rehabilitation specialist. The factors of organizational compensation impacting the user orientation were compensation system. And the factors of organizational compensation does not affect service satisfaction. The factors of team approach impacting the user orientation were work support, team cooper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And the factors impacting the service satisfaction were team cooper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Third,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eference of rehabilitation specialist on organizational management factors appeared difference according to compensation system. Conclusively, because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factors have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orientation of the rehabilitation specialists, it is necessary to complement the organizational support system and team cooperation. Also, through development of integrated rehabilitation service system and team connection, service delivery system which reflects the opinion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desire of users must establish. At least, If organizational management reflects the desire and value of rehabilitation specialists, it will be able to obtain the work success which is efficient.

      • 직업재활전문가와 고용주가 인식하는 성공적인 고용요인에 대한 연구

        정지훈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19

        직업재활전문가와 고용주가 인식하는 성공적인 고용요인에 대한 연구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고용주가 인지하고 있는 고용성공요인과 실제 재활 현장에서 직업재활 과정을 담당하는 직업재활 전문가가 생각하는 고용성공요인을 알아보고 그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장애인의 고용활성화 및 고용유지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장애인종합복지관의 직업재활전문가와 일반사업체의 고용주들 이다. 직업재활전문가의 경우 공단지사를 거점으로 한 전국 광역시 이상의 7개 도시에서 장애인종합복지관 69개소(서울 37, 인천 8, 대구 6, 광주 3, 부산 7, 울산 3, 대전 5)의 직업재활전문가를 대상으로 하였다. 장애인을 고용하고 있는 고용주는 공단지사를 통해 전국 광역시 이상의 7개 도시(서울, 인천, 대구, 광주, 부산, 울산, 대전)의 고용주를 대상으로 하였고, 장애인을 고용하고 있지 않는 고용주의 경우 전국 광역시 이상 7개 지역 고용지원 센터에서 구인 등록을 관리하는 일반사업체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지는 Graffam 등(2002)이 구성한 “Factors influencing employers decisions to hire and retain a person with disability"를 기초로 재구성하였다. 장애인의 고용성공에 관한 요인으로는 개인 및 직무관련 요인, 법률 및 제도관련 요인, 사회 및 환경관련 요인의 세 가지 범주로 구성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직업재활전문가와 고용주가 생각하는 고용성공요인을 비교하기 위하여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을 활용하고 각 요인별 두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재활전문가와 고용주의 장애인고용성공요인은 직업재활전문가의 경우 사회 및 환경관련 요인, 개인 및 직무관련 요인, 법률 및 제도관련 요인의 순으로, 고용주의 경우 개인 및 직무관련 요인, 법률 및 제도관련 요인, 사회 및 환경관련 요인의 순으로 직업재활전문가는 사회 및 환경관련 요인을 고용주는 개인 및 직무관련 요인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둘째, 각 집단의 차이는 개인 및 직무관련 요인과 법률 및 제도관련 요인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사회 및 환경관련 요인에서 차이를 나타내 직업재활전문가가 고용주 보다 사회 및 환경관련 요인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이 고용을 획득하고 직업을 유지해 나가는데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직업재활전문가와 고용주의 고용성공요인에 대한 배치 전 활발한 논의 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직업재활과정 외에 사업주 면담과정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인고요성공요인으로 개인 및 직무관련 요인이 중요한 요인인 만큼 개인 및 직무관련 요인에 대한 지속적인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과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 셋째, 장애인의 고용성공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개인 및 직무관련요인에 대한 투자와 함께 사회 및 환경관련 요인에 대한 다양한 지원방안이 필요하다.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nd Employers' Perception of Factors Contributing to Employment Success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Jung, Ji-Hoon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Science Graduate School, Deagu University Gyeongbuk, Korea Supervised by Prof. Na, Woon Hwan (Abstract) This investigation attempts to identify and compare perceived factors contributing to success in employment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between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nd employers in order to help this population who are seeking an employment.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01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who are working at 69 Rehabilitation Center in 7 metropolitan areas and 100 employers with or without having disabled employees. Based on Factors influencing employers decisions to hire and retain a person with disability developed by Graffam et also (2002). In order to compare differences in perceived factors regarding a success in employment between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nd employers, a series of independent sample t-tests were conducted. Findings indicated th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xists in terms perceived factors leading to an employment sucess between the two group across all of the three subscales. It was also found that areas perceived to be more important for obtaining and maintaining an employment were different between the two. Results suggested that a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placement specialists and potential employers is essential during job development process. results also suggested that policies aimed to promote employ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directed at incentives for those who hire an individual with a disability and capacity building activities for those who are disabled and seeking an employment.

      •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Rehacom)적용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김동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외상 성 뇌 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Rehacom)이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기간은 2009년 11월부터 2010년 3월까지였고,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 중재를 받는 실험 군 15명과 전통적인 인지치료 중재를 받는 대조군 15명을 나누어 주 2회 30분씩 10주에 걸친 치료 중재를 실시하였다. 치료 전•후 인지기능을 비교하기 위해 CNT를 시행하였고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FIM을 시행하였다. 치료 중재 전․후와 집단 내 평균차이는 대응 표본 t 검정을 이용하였고, 치료 중재 전․후와 집단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의 상관관계를 알아 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 중재 집단과 전통적인 인지치료 중재 집단의 각 치료 중재 전•후 인지기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 .05), 인지기능에 대한 치료 전•후와 집단의 상호작용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5). 둘째,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 중재 집단과 전통적인 인지치료 중재 집단의 각 치료 중재 전•후 일상생활활동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 .05),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치료 전•후와 집단의 상호작용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5). 셋째, 인지기능 중 선택적인 주의력, 언어 성 기억, 시공간 기억, 실행 기능은 인지기능과 관련된 일상생활활동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 .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전통적인 인지치료보다 외상 성 뇌 손상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을 향상 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인지기능 중 선택적인 주의력, 언어 성 기억, 시공간 기억, 실행 기능이 인지 기능과 관련된 일상생활활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외상 성 뇌 손상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의 향상을 위한 치료방법으로 작업치료 임상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 인지기능의 향상을 위한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다양한 환자들에게 적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hacom on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Thirty subjects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Rehacom an experimental group(n=15) and transitional cognitive therapy a control group(n=15). Both groups received for 30-min sessions 2 times every week during 10 weeks. The cognitive function of both groups was assessed using a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CNT). Assessment of both group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 was applied for evaluati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performance ability. In order to assur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result, the two-way ANOVA and paired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applied at the .05 level of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cognitive function of Rehacom group and the transitional cognitive therapy group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each intervention(p< .05), while interaction effec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nd groups for cognitive function(p< .05). Second, ADL performance ability of the Rehacom group and the transitional cognitive therapy group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each intervention(p< .05), while interaction effec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nd groups for ADL performance ability(p< .05). Third, the selective attention, verbal learning memory, visual memory, executive func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DL performance ability related with cognitive function(p< .05). Through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it was found that Rehacom has better effect on cognitive function and ADL performance ability of pat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than transitional cognitive therapy. It was also found that selective attention, verbal learning memory, visual memory, executive function influences ADL performance ability related with cognitive function. Accordingly, it is deemed that Rehacom can be usefully applied to occupational therapy as a therapeutic method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and ADL performance ability of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and the research about various patients and application of Rehac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