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테리어 디자인의 인터넷 활용 현황에 관한 연구

        여채정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75

        Internet spreading world widely in the recent years is pervading in rapid speed. We are propelling the use of internet in many directions because the communication beyond region and frontier is possible through the intermediary method of internet. In the interior design among them, the cases buying interior time-spatial and three-dimensional hypothetical reality design, and life properties increase yearly through internet. But the internet use of interior design is in the step of activation and we acquire the case study of internet use condition of interior design and the suggestion of effective site to construct effective site.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ite for internet use of interior design hereafter, after grasping the types of internet use of interior design. I investigated the condition of five interior sites operated successfully in the comparison in Korea, now. I grasped the feature of internet use condition of interior site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I integrated the investigated result and suggested the site for internet use of interior design, putting the importance on the contents structure. The result of this study: 1. We should activate the space information of interior to enforce the user service. If we activate the space information of every interior, we may lead the users requiring useful information, and if we lead the link with foreign site in relative site corner, we may secure many users increasingly as well as the enforcement of user service and use it as basis data of internet business hereafter. 2. We should enforce the time-space estimation service and hypothetical space design to lead the users participation. This program has persuasive power visually and may lead the users participation because the users who need general renovation of household space may confirm the estimation cost instantly and the interior change directly. 3. We should supplement customer consultation for two-way communication with users. If professional designers or time-space specialists require the rinovation and decoration with substantial contents, it resolves their curiosity and gets users belief. 4. It is the realization of requesting pay through giving discriminated contents. It requires special and discriminated contents except above-mentioned three suggestions to succeed in requesting pay. The article of relation reported data, editorial reference data, image information, special design tendency, etc will give efficiency value as discriminated contents to users. Now, the internet use of interior design grows rapidly, changing the deal flow on previous off-line. A blast of internet is not passing fad and we require the recognition of new business method that survival of interior depends on. The sale efficiency per the number of cases of contract is high in comparison with other item. Thereupon, we should cope vigorously for internet activation even from now because it is suitable for finding new way of interior. 최근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인터넷은 한국에서도 빠른 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인터넷이라는 매개 수단을 통하여 지역과 국경을 초월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 졌기 때문에 인터넷 활용이 다방면에서 추진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인테리어디자인은 인터넷을 통하여 인테리어 시공견적이라든지, 3차원 가상현실 디자인, 생활소품을 구입하는 경우가 해마다 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인테리어 디자인의 인터넷 활용은 활성화 단계이며 효과적인 사이트 구축을 위해서는 인테리어디자인의 인터넷 활용 현황의 사례 조사와 효과적인 사이트 제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인테리어디자인의 인터넷 활용 유형을 파악한 후, 향후 인테리어디자인의 인터넷 활용을 위한 사이트를 제시하는데 있다. 현재 한국에서 비교적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인테리어 사이트 5곳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론적 고찰로 인테리어사이트의 인터넷 활용 실태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이상에서 조사한 결과를 종합하여 인테리어디자인의 인터넷 활용을 위한 사이트를 컨텐츠 구조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사용자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하여 공간정보 중심사이트를 활성화 시켜야 한다. 각종 인테리어 공간 정보를 활성화 한다면 유익한 정보를 요구하는 사용자를 유도할 수 있고, 관련 사이트 코너에서는 국외 사이트와의 링크를 유도한다면 사용자 서비스 강화뿐만 아니라 서서히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여 추후 인터넷 비즈니스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2.사용자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온라인 견적 중심사이트를 강화해야 한다. 이 사이트는 주거 공간의 전반적인 리노베이션이 필요한 사용자를 위하여 즉석에서 견적 가를 확인할 수 있고, 인테리어 변화를 직접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설득력이 있어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3.사용자의 디자인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쇼핑몰 중심사이트를 활성화 시켜야 한다. 쇼핑몰은 공간의 유형별로 시대가 요구하는 인테리어 상품으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인테리어 상품으로 데코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공간의 완성도를 높여야 한다. 4.차별화된 컨텐츠 제공을 통한 유료와의 실현이다. 유료화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제안한 3가지 유형의 사이트 이외에도 독특하고 차별화된 컨텐츠가 요구된다. 관련 보도 자료의 기사, 사설 검색 자료 및 이미지 정보, 특정 디자인 경향, 사용자와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고객 상담 등이 차별화된 컨텐츠로 사용자에게 효용가치를 느끼게 해 줄 것이다. 이제 인테리어디자인의 인터넷 활용은 기존 오프라인상의 거래 흐름을 바꾸어 놓으면서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인터넷의 열풍은 한때의 유행이 아니라 인테리어의 생존이 달린 새로운 비즈니스 수단으로서 인식이 요구된다. 타 아이템에 비해 계약 건수 당 매출 효율이 높기 때문에 인테리어의 새로운 활로를 찾기에 적합하므로 지금이라도 인터넷 활성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때 인 것이다.

      • 경험디자인이 적용된 토탈 인테리어 브랜드의 쇼룸 만족도 : 국내 건자재 기업이 운영하는 쇼룸을 중심으로

        이상미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75

        최근 나홀로족을 대변하는 1코노미, 싱글슈머와 같은 신조어 등장은 1인가구가 더 이상 트렌드가 아닌 하나의 라이프스타일로서 한국문화와 경제에 커다란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노후주택 대비 신규아파트의 물량 감소는 리모델링에 관한 소비자의 욕구를 꾸준히 증가시키고 있다. 획일화된 자신의 집을 자신의 취향에 맞춰 꾸미고 수리해 새로운 공간으로 만드는 추세로 변화하고 있다. 즉 1인가구의 지속적인 증가와 더불어 노후 주택 개선 수요, 셀프인테리어 열풍 그리고 주거 환경의 질을 따지는 소비자의 욕구는 홈 인테리어 시장의 규모를 확대시키고 있다. 인테리어 시장의 높은 성장성은 오랫동안 단일품목으로 승부하던 건자재 기업들이 앞다투어 자사브랜드를 발판으로 토탈 인테리어 기업으로서의 변모를 꾀하며 새로운 브랜드를 런칭하고 사업의 영역을 확장시키고 있다. 토탈 인테리어 브랜드의 쇼룸은 과거의 논현동, 을지로와는 차별화시킨 쇼룸으로 접근성과 브랜드의 인지도를 높이고, 소비자 맞춤형 공간을 제공하며 다양한 요구를 적극 수렴하고 있다. 즉, 단순히 전시공간이 아닌 소비자와 상품 및 기업 브랜드간의 소통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의 쇼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기업들은 쇼룸을 수단으로 소비자들에게 기업이 의도하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효과적으로 전달해야 하며 소비자의 감성적 만족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비자의 감성과 행동을 중심으로 사용자의 니즈에 부합하는 경험 디자인의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국내 서울시에 위치한 토탈 인테리어 브랜드의 쇼룸을 중심으로 경험디자인 공간특성을 분석하고 쇼룸 이용자를 대상으로 만족도를 조사하여, 추후 국내 브랜드 쇼룸의 효과적인 공간연출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다. 문헌조사와 선행연구 등 이론적 고찰을 통해 쇼룸의 개념, 공간구성과 경험디자인의 공간특성을 고찰한 후, 토탈 인테리어 브랜드의 쇼룸에 적용된 경험디자인을 활성화하기 위한 공간특성을 분석한다. 사례 대상지 6곳의 현장조사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추출한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사례 대상지 6곳을 대상으로 ‘토탈 인테리어 브랜드 쇼룸의 이용현황 및 인식’, ‘홈퍼니싱 및 리모델링의 이용현황 및 인식, ‘토탈 인테리어 브랜드 쇼룸에 적용된 경험디자인 특성과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총 3번에 걸쳐 실시하였다. 대상지 6곳의 쇼룸마다 7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이 중 응답 문항이 누락되거나 유효하지 않는 20부를 제외한 총 400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5점 척도를 이용한 설문 문항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경험디자인 특성이 높을수록 이용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쇼룸의 공간구성 4곳의 경험디자인 특성이 균등하게 높아야 하며, 6가지의 경험디자인 요소(감각성, 연상성, 비일상성, 정보성, 역동성, 상호작용성)의 도입으로 균형적이고 복합적인 경험이 이루어지도록 공간 디자인되어야 한다. 쇼룸은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우선적으로 전달해야하며 브랜드만의 개성 있는 공간계획 및 분위기를 살려야한다. 외부공간도 내부의 브랜드의 콘셉트와 테마를 살려야 하며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공간으로 연출해야 하며 상품진열공간과 서비스공간은 하나의 공간으로 연결하되 여유로운 공간감을 연출할 필요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소비자들의 감성을 자극하는 입체적 경험디자인으로 체험존과 3D 시뮬레이션 등 인터렉션 디자인을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타 공간의 차별화를 줘야할 것이다.

      • 형상적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을 반영한 뮤럴벽지디자인 개발연구

        마열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국문초록 오늘날 21세기 현대사회의 고도 발전이 거듭해오면서 벽지디자인의 형태는 디자인 양식만을 중시하는 것이 아닌 즐거움과 감동을 주고, 소비자의 개성까지 표현할 수 있는 개념으로 확장되어가고 있다. 주관적이고 감정적인 컬러를 통해 자유와 방종, 화려한 기세, 격동적인 정신, 고양된 개성을 표현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표현은 뮤럴벽지디자인에 주로 연출되어 상업공간의 아이덴티티를 인식시켜주는 원동력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사회적 흐름 속에서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은 뮤럴벽지디자인을 개발하는데 독특한 콘텐츠로써 조명을 받고 있다.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은 자연 형태 그대로를 객관적으로 표현하는 엄격한 예술 규제를 돌파하고 자신의 정신에 근거해 자연을 주관적으로 재창조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전통성에 얽매여 자연을 복제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현대예술의 영역으로써 디자인에 새로운 시각적 감각과 창조적 영감을 불어 넣어주는 요소로 표현되고 있다. 주로 인테리어용 뮤럴벽지디자인은 상업공간에 사용되고 있으며, 디자인은 흔히 초현실주의 회화와 서로 연관되어 있다. 뮤럴벽지는 상업공간의 아이덴티티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기에 고객들의 수요가 높은 편이다. 특히 초현실주의 회화는 독특한 창작 이념과 창작 기법을 지니고 있으므로, 상업공간의 실내 공간 구성에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회화는 디자인의 창작 영감과 기법에 영향을 미치며, 디자인은 현대회화의 연장이자 발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인은 상업 가치와 예술 가치를 함께 상생한다. 예술의 개인 혹은 부분적 집단 감상용 범위와는 달리 디자인은 제품의 정보를 잘 전달할 수 있도록 상품만의 유니크한 스타일을 연출하여 고객들의 호감과 구매 욕구를 끌어내야 한다. 그러므로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은 디자인 산업의 예술적 가치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부가가치가 높은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새로운 뮤럴벽지디자인을 제시하는데 다양한 영감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의 신시장 창출과 디자인 경쟁력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방법은 선행논문 및 관련 서적, 인터넷 자료조사를 통해 초현실주의의 이해 및 형상적 표현기법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으며, 형상적 표현기법이 응용된 뮤럴벽지디자인 사례를 연구 분석하였다. 또한 용도에 적합한 뮤럴벽지디자인을 제시하기 위해 일러스트, 포토샵(Adobe Illustration CC, Adobe Photoshop CC)을 활용하여 디자인 리소스 및 모티프를 전개하였으며, 시제품 제시를 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하였다. 연구범위는 뮤럴벽지의 선정과 메세 프랑크프루트(Messe Frankfurt)에서 주최한 2022/2023 하임텍스틸 트렌드(Heimtextil Trend), 그리고 초현실주의 형상적 표현기법인 ‘편집광적 비평’, ‘이중연상 표현’, ‘트롱프뢰유’ 등을 디자인 콘셉트 범위로 선정하여 고찰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형상적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을 반영한 뮤럴벽지디자인을 제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시켰다. 첫째, 2022/2023년 하임텍스틸 디자인 트렌드 중 한 개씩의 테마를 선정하여 초현실주의적 형상적 표현기법인 ‘편집광적 비평방법’, ‘이중적 연상’, ‘트롱프뢰유’를 용도에 적합한 뮤럴벽지디자인과 결합함으로써 무의식적 내면에서 표현되는 무한한 창의성의 다양한 이미지를 엿볼 수 있었다. 둘째, 이성과 의식의 울타리를 타파하고 순수한 개인의 자발적인 심리를 표현하여 인간의 본능과 욕망을 분출함으로써 소비자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디자인을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실 관념과 본능, 잠재의식 및 꿈의 경험을 융합하고 인간 내면의 심층적인 심리의 형상세계를 표현하여 새롭고 창의적인 디자인의 가능성을 예측해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초현실주의 형상적 표현기법을 활용한 뮤럴벽지디자인은 상업공간에 새로운 이미지를 선사하고, 고객에게 편안함과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뮤럴벽지디자인 제안은 인테리어 산업 분야뿐만 아니라 디자인관련 분야의 신시장 창출 및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써의 무궁한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더불어 향후 발전 가능성이 있는 뮤럴벽지디자인 측면의 학문적 가치에도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s the high-advancement is repeated in moder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the form of wallpaper design is expanded to the concept of providing pleasure and impression and also expressing the individuality of consumers, instead of simply focusing on design style. Through subjective and emotional colors, it expresses freedom, licence, splendid spirit, turbulent spirit, and uplifted individuality. Especially, this expression is mostly represented in mural wallpaper design, which is shown as the driving force that shows the identity of commercial space. In this social flow, the surrealistic expression techniques are grabbing attention as unique contents for developing the mural wallpaper design. The surrealistic expression techniques subjectively recreate nature based on the artist’s own spirit by overcoming the strict regulations on arts that objectively express nature as it is. Thus, rather than simply copying nature by getting occupied with tradition, it is expressed as an element that inspires anew visual sense and creative inspiration into design. The mural wallpaper design for interior purpose is mostly used for commercial space, and the design is usually correlated with surrealistic paintings. As the mural wallpaper can express the identity of commercial space the best, it has high customer demand. Especially, the surrealistic paintings have the unique ideology and technique of creation, so it has great influences on the interior space composition of commercial space. Paintings influence the creative inspiration and techniques of design, and design could be the extension and development of contemporary paintings. Therefore, design coexists together with commercial value and artistic value. Contrary to the range for individual or partial group appreciation of arts, design should arouse the likability and purchasing desire in customers by representing the unique style of each product to fully deliver the product information. Thus, the surrealistic expression techniques might influence the artistic value of the design industry because it could provide various inspirations to present such unique and creative new mural wallpaper design with high added value. Moreover, it also aims to be helpful for strengthening the design competitiveness and creating new markets of the interior design industry. Through the preceding theses, relevant books, and internet data search, this study theoretically considered the understanding of surrealism and figurative expression techniques, and then researched/analyzed the cases of mural wallpaper design applying the figurative expression techniques. Also, in order to present the mural wallpaper design suitable for the use, this study developed the designresources & motif by using the Adobe Illustration CC and Adobe Photoshop CC. For the presentation of prototype, it was realized into simulation. As the range of design concept, this study considered, and analyzed the selected mural wallpapers, 2022/2023 Heimtextil Trend hosted by Messe Frankfurt, and surrealistic figurative expression techniques such as ‘paranoiac criticism’, ‘dual-association expression’, and ‘trope loeil’. In the results of presenting the mural wallpaper design reflecting the figurative surrealistic expression techniques through this process,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it showed various images of infinite creativity expressed by the unconscious inner side by selecting each theme from the 2022/2023 Heimtextil design trend, and then combining the surrealistic figurative expression techniques such as ‘paranoiac criticism’, ‘dual-association expression’, and ‘trope loeil’ with the mural wallpaper design suitable for the use. Second, the design could move consumers’ mind by breaking down the fence of rationality and consciousness, and bursting out human instinct and desire. Lastly, the possibility of new and creative design could be predicted by converging the concept of reality, instinct, subconsciousness, and experience of dream, and then expressing the figurative world of in-depth psychology of human. Therefore, the mural wallpaper design using the surrealistic figurative expression techniques would be able to present a new image to commercial space, and also to provide comfortableness and pleasure to customers. This proposal of mural wallpaper design could open the infinite possibility of creating new markets related to design including the interior design industry as a higher value-addedbusiness. In addition, it could also contribute to the academic value in the aspect of mural wallpaper design with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 the future

      • 패션브랜드 이미지와 부틱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이명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Fashion is a fast-changing value-added product that is most sensitive to sociocultural changes. Its extensive range covers clothes, housing, food, culture and the arts. In general, it gives an impact on our entire living environment, and sometimes it works as a vital part of interior decoration over time. A boutique space should be like a good-looking vessel that has delicious food on it. A vessel is responsible to make food on it stimulate ones appetite. To fulfill this duty, it should be in harmony with food on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 which way indoor space affected or was affected by the fashion and whether domestic fashion brand boutiques conformed to their fashion design characteristics. Its ultimately meant to find out how fashion design characteristics were connected to interior decoration in a place where products were displayed. Chapter 1 is an introduction that described the purpos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Chapter 2 made a theoretical review on fashion design and boutique space. The concept and features of fashion, the components and principles of fashion design, fashion image and style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boutique space and the elements of sales environment were examined. Chapter 3 conducted a case study on Lee Young Hee, Park Yoon Su, Time, Jorgio Armani, DKNY and Polo Ralprolen, which were randomly selected based on fashion brand positioning, in order to identify which kind of forms, colors and materials were employed by them. Chapter 4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 and space of the above-mentioned fashion brands in terms of style, image, plastic component and plastic principle in a bi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ir fashion design and spaces. And Chapter 5 reached a conclusion. The brief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The unfilled space was utilized as a way to correspond to the simplicity, unfilled space and extra space, which were the major features of fashion design. The natural traffic line and natural materials were adopted in association with the natural feature of fashion design. Regarding the conventional feature, traditional materials and antique furniture were used. And the contrast between finishing materials and furniture was employed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astive nature of fashion design. As a result of categorizing the fashion brands by image style, its found that Lee Young Hee was characterized by a traditional style, having some natural style in part. Its boutique was partially traditional and minimal. Park Yoon Su had a feministic style, putting the accent on tradition. Its boutique also pursued minimalism by using transparent glasses. Time was evenly characterized by being minimal and natural, when fashion design was divided into a formal category and a casual one. In its boutique, minimalism stood out more. As a leader of minimalism, Jorgio Armani and its boutique were in possession of every minimalism element. DKNY was marked by being minimal, active and natural. The natural style also was the major component in its space. Polo Ralp Loren was an all-traditional brand. Its best merit was total coordination, and the boutique also followed a traditional style. Its found that only two brands, Jorgio Armani and Polo Ralp Loren, showed a harmony between fashion design image and boutique interior decoration. Most of the fashion brands partially appl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fashion design to their interior decoration, but they were chiefly in pursuit of simple and refined minimalism in terms of furniture selection and display, in order to bring their products into the best spotlight possible. In the future, more research efforts should be dedicated to finding out how to ensure the economy of design, pursue the essential qualities of design and thereby make fashion brands more viable. 패션은 입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주택, 음식, 문화, 예술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영역에 이르고 일반적으로 패션의 유행은 생활 환경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패션은 인테리어 색채로 적용되어 활용되어지기도 한다. 패션은 유행에 민감한 부가가치 상품으로 빠른 변화를 주기로 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 문화의 변화에 가장 민감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과 명확한 이미지, 컨셉을 바탕으로 한 전략적인 계획이 필요한 매장이 요구되어 진다. 이에 본 계획은 패션 트랜드가 인테리어 공간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받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국내외 일반적인 패션 브랜드가 추구하고 있는 특성을 공간안에 충분히 담아내고 있는지를 연구함으로써 패션의 특성이 인테리어 공간에 어떻게 활용되어지고 연계되어지는 알아보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의 순서를 살펴보면 제 1 장은 본 연구의 서론으로서 연구의 목적, 범위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제 2 장은 패션디자인과 패션 부틱공간에 관한 이론적 고찰로 패션의 개념과 특성 그리고 디자인적 요소와 원리, 패션 이미지 스타일에 대해 알아보고 부틱공간의 개념과 기본구성, 판매환경의 구성요소에 대해 연구하였다. 제 3 장은 패션 브랜드의 포지셔닝에 맞춰 서로 다른 이미지를 가진 브랜드를 선정해 이영희, 박윤수, 타임, 조르지오 아르마니, DKNY, 폴로랄프로렌의 브랜드별로 패션디자인과 부틱공간간의 사례를 형태, 색채, 소재 등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제 4 장은 3장에서 조사한 브랜드별로 패션의 특성과 공간의 특성을 stlye, image, 조형적 요소, 조형적 원리 측면에서 분석하여 패션디자인과 공간간의 상관성을 찾아낸다. 제 5 장은 본 연구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결론 부분이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패션디자인의 특성을 상당수 차지하고 있는 단순성, 여백성, 여유성 등은 간결한 실루엣, 디테일과 트리밍의 단순화, 단일한 색상등을 통해 표현되었고 공간내에서도 모던함과 여백성으로 표현된다. 자연성은 동선의 흐름과 자연적인 소재사용으로 이어졌고 전통성은 토속적인 소재사용과 오래된듯한 고가구의 사용으로 대비성은 마감재와 가구의 대비등으로 반복성은 문양등 동일 단위의 배열로 인해 표현되었다. 패션브랜드별로 각 디자인의 특성을 이미지 스타일별로 분류해 봤을때 트래디셔널 스타일과 미니멀 스타일이 갖고 있는 특성은 공간내에서도 대부분의 특성을 포함을 시키지만 대부분의 공간연출은 패션 디자인이 갖추고 있는 이미지의 특성을 일부분 도입하지만 상품의 최대한의 부각을 위해 표면적인 요소 뿐만 아니라 가구와 디스플레이등의 형태들은 장식성이 배제된 간결하고 세련된 형태인 최소성을 띄고 있다. 최소한의 디테일로 얻어지는 디자인의 경제성을 살리고 본질을 추구함으로 패션브랜드의 생명력을 갖게하는 상호관계에 대하여는 더욱 연구와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 당나라 보상화문을 활용한 벽지디자인 개발 연구

        곽문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11

        오늘날 세계 디자인 산업이 고도로 발전함에 따라 디자인 산업은 일본, 한국에서 점차 중국으로 넘어가면서 중국의 디자인 산업을 빠르게 발전시켰다. 이에 따라 디자인 철학도 중국 고유문화에 적합한 디자인 제품을 개발하는 차별화된 전략으로 나아가고 있다. 특히 벽지디자인은 실내 공간에서 가장 넓은 부분을 차지하기에 효과가 큰 디자인 요소이며 상업공간 차별화의 원동력이기도 하다. 동시에 중국 디자인 시장 트렌드는 중국 문화와 스타일을 갖춘 제품으로 옮겨가고 있다. 보상화문은 중국 전통문양 중 하나로 당나라 때 만들어져 중국 특유의 문양으로 자리 잡았으며, 가장 중국적인 전통을 가진 문양이다. 최근에는 당나라 보상화문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벽지디자인 출시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지속가능한 문화 연계를 구축하고 최신 트렌드에 발맞춰 유행을 선도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중국 전통문양인 보상화문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상업공간 벽지디자인을 제안함으로써, 벽지의 트렌드를 선도하고 더불어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의 새로운 시장 창출과 디자인 경쟁력 강화에 도움을 주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방법은 선행논문 및 관련 서적, 박물관 자료를 통해 당나라 보상화문을 이해하고, 그 특징을 이론적으로 고찰하며 보상화문을 응용한 벽지설계의 분석이다. 이를 바탕으로 프로크리에이트(Procreate), 포토샵(Adobe Photoshop CC)을 활용한 디자인 리소스 및 모티프를 전개하였다. 또한 시제품 제시를 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하였다. 연구범위는 당나라 시대 돈황 막고굴의 천장에 있는 보상화문 중 인동문, 석류문, 여의문, 모란문으로 선정하였고 메세 프랑크프루트(Messe Frankfurt) 2022/2023 하임텍스틸의 4가지 트렌드 테마(Heimtextil Trend)를 벽지디자인에 적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당나라 보상화문을 활용한 벽지디자인을 제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시켰다. 첫째, 인동문을 요소로 한 Fusion 벽지디자인은 본래 전통 문양이 갖고 있었던 느낌을 탈피하여 새로운 표현으로 재창조하였다. 둘째, 석류문을 요소로 한 Life
벽지디자인은 생명력을 나타내며, 전통 속에 현재와 미래가 함께 공존하고 있음을 상징한다. 전통문양과 현대 벽지디자인의 관계를 표현하였다. 셋째, 여의문을 요소로 한 Ball 벽지디자인은 간결하고 미래 과학기술적 감각과 상호작용을 표현하였다. 넷째, 모란문을 요소로 한 Continuance 벽지디자인은 전통과 현대가 결합하여, 문화를 다음 세대와 연결하고 지속가능성에 변화를 주도록 나타내었다. 다섯째, 인동문과 모란문을 요소로 한 Swirl 벽지디자인은 꽃문양을 조화롭게 표현하여 실내공간을 부드럽고 안락하게 표현하고자 하였다. 여섯째, 인동문과 모란문을 요소로 한 Bricks of Resistance 벽지디자인은 단단한 벽돌의 패턴으로, 젊은 세대의 고유적인 사고방식의 변화를 표현하였다. 일곱째, 석류문과 여의문을 요소로 한 Shuttle 벽지디자인은 미래를 정기적으로 오가는 느낌을 표현하였다. 여덟째, 석류문과 여의문을 요소로 한 Futuristic 벽지디자인은 전통 문양과 과학기술의 미래적인 느낌을 결합한 디자인을 패턴으로 하여 전통문양을 표현함과 동시에 현대 상업공간에 적합한 벽지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당나라의 보상화문을 활용하여 개발 제안한 벽지디자인은 상업공간에 새로운 이미지를 가져올 수 있으며, 중국 전통 문양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인 문화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이러한 벽지디자인 개발 제안은 인테리어 산업 분야뿐만 아니라 디자인 관련 분야에서도 새로운 시장 창출 및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의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더불어 전통문양을 벽지디자인 분야에 발전시키는 것은 향후 디자인 측면의 학술적 가치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지속가능한 패션제품디자인 속성과 소비가치에 관한 연구

        엄태경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711

        As the nee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merged and consumers' consciousness changed, ethical and social responsibility was required for companies. In particular, with the emergence of Fast Fashion in the fashion industry, fast trends were reflected and low-priced products were provided. This created a cycle of mass production, mass consumption, and mass disposal. The critical view toward the fashion industry has led to reflection on the paradigm so far, and sustainable fashion has emerged as the most important marketing strategy.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consumers with a "value consumption" tendency, which refers to consumption reflecting their own values, increases, a new design strategy for sustainable fashion product design given differential values is needed.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a sustainable fashion product design according to consumer needs, a multilateral consumer analysis study applying product design attributes and consumption value was requir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sustainable fashion product design affects product design attributes and consumption values, and to determine whether it is affected by analyzing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onstituent concepts. Through this, the study aims to propose a new design marketing strategy applied with consumer design needs and values of sustainable fashion product design that has become a trend, develop a competitive, sustainable fashion product design, build a brand image, and provide data to create a new market. The research method was theoretically reviewed through literature studies, such as domestic and foreign preceding research papers and professional books, and media data, such as the Internet. Web Survey was used as an empirical study. The structured survey was targeted to the general public aged 20 or older who purchased sustainable fashion product designs or were interested. This conducted for 54 days from August 6 to September 28, 2021, and a total of 703 responses were analyzed. The survey was conducted in a 5 point Likert scale evaluation metho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0.0 program.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ashion product design purchase patterns of the survey subjects were investiga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of measurement tool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hypothesis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path analysis using LISREL 8.12a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nstituent concepts.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products, and it was apparel, accessories, and interiors using sustainable fashion product materials, and factors of sustainable fashion product design were derived. Three attributes of product design were deduced and studied, and research was reviewed focusing on Sheth's consumption value theory. Therefore, the research results on the design attributes and consumption value of sustainable fashion product design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echnical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stainable fashion product design factors consider social factors the most important, and aesthetic attributes we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as product design attributes. As for consumption value, the emotional value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In additio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ach constituent concept revealed that all constituent concepts were related.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develop a sustainable fashion product design by first considering social factors such as social contribution, ethical products, protection of workers' human rights, and safety for the user. In addition, considering the pattern, color, shape, and material of the product, it may be considered necessary to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for consumer satisfaction, diversion, the joy of shopping, and satisfaction of pursued image.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effect of sustainable fashion product design factors on product design attributes, the aesthetic attributes of sustainable fashion product design which contribute to the economy of the local community, fair trade, economic benefits considering recycling and reuse and redesign, social contributing, ethical products, improvement of labor exploitation and the environment and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ensuring user safety should be emphasized. Additionally, the symbolic attributes of sustainable fashion product design should emphasize resource protection, product cyclical use support,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for climate change, contribution to the local economy, fair trade, economic benefits considering recycling and reuse and redesign.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effect of sustainable fashion product design factors on consumption value, social values and situational values that affect selection and purchase of sustainable fashion product design should be emphasized in the terms resource protection, product cyclical use support,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for climate change, contribution to the local economy, fair trade, economic benefits considering recycling and reuse and redesign.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product design attributes on consumption value, social, situational, and cognitive values should be emphasized in terms of functionality including convenience, durability, efficiency, and eco-friendliness, as well as symbolism such as current trend, brand, the effect of increasing user value, and sharing of sustainability values. Lastly, as a result of additional verification of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sustainable fashion product design, product design attributes, and consumption values, it was analyzed that sustainable fashion product design factors affect consumption value when passing through product design attributes tailored to consumer needs. Through this, it is considered important to develop products with product design attributes and consumption value of sustainable fashion product design. Therefore, if understanding the impact of sustainable fashion product design on product design attributes and consumption value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ch constituent concept and developing fashion product design by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help establish design marketing strategies to meet various consumer need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help create corporate profits by creating new markets and a building brand image for the sustainable fashion product design industry. 지속가능한 개발의 필요성 대두와 소비자들의 의식 변화는 기업의 윤리적, 사회적 책임감을 요구하였다. 특히 패션 업계는 패스트패션(Fast Fashion)이 등장하면서 빠른 트렌드 반영과 저렴한 가격의 제품이 제공되었으며 이는 대량생산과 대량소비, 대량폐기의 순환을 만들어 내었다. 이러한 패션산업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은 지금까지의 패러다임에 대한 반성으로 이어져 지속가능한 패션은 가장 중요한 마케팅 전략으로 대두되었다. 또한 스스로의 가치를 반영한 소비를 일컫는 ‘가치소비’ 성향을 가진 소비자가 증가하면서 차별적인 가치가 부여된 지속가능한 패션제품디자인의 새로운 디자인 전략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소비자 니즈에 따른 지속가능한 패션제품디자인의 개발을 위하여 제품디자인 속성과 소비가치를 적용한 다각도의 소비자 분석 연구가 요구되어 졌다. 그러므로 본 연구목적은 지속가능한 패션제품디자인이 제품디자인 속성과 소비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 구성개념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을 실시하여 여부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트렌드로 자리잡은 지속가능한 패션제품디자인의 소비자 디자인 요구와 가치가 적용된 새로운 디자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고 경쟁력 있는 지속가능한 패션제품디자인의 개발과 브랜드 이미지 구축, 새로운 시장 창출을 위한 자료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국내외 선행연구 논문, 전문 서적 등의 문헌 연구와 인터넷 등의 미디어 자료를 통해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실증적 연구로 웹서베이(Web Survey)를 활용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조사는 지속가능한 패션제품디자인을 구매하거나 관심이 있는 20세 이상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2021년 8월 6일부터 9월 28일까지 54일간 진행되었으며, 회수된 총 703개의 응답지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5점 리커트 척도평가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하였다.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통해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패션제품디자인 구매형태를 알아보았다. 측정도구의 기술 통계량 분석(Descriptive Analysis)과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가설분석을 위해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LISREL 8.12a를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구성개념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범위는 지속가능한 패션제품소재를 활용한 어패럴·악세서리 및 인테리어 제품으로 한정하였으며, 지속가능한 패션제품디자인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제품디자인 속성의 3가지 속성을 도출하여 연구하였고 쉐스(Sheth)의 소비가치이론을 중심으로 연구 고찰하였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패션제품디자인의 디자인 속성과 소비가치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의한 기술적 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결과, 지속가능한 패션제품디자인 요인은 사회적 요인을 가장 고려하며 제품디자인 속성은 심미적 속성이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었다. 소비가치는 감정적 가치가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었다. 또한 각 구성개념 간의 상관관계 분석은 모든 구성개념이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사회공헌, 윤리적 제품, 노동자 인권보호, 사용자 이용 안전등의 사회적 요인을 가장 먼저 고려하여 지속가능한 패션제품디자인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제품의 문양/패턴, 색상, 형태, 소재 등을 고려하며 소비자의 만족감, 기분전환, 쇼핑의 즐거움, 추구하는 이미지 충족에 대한 마케팅 전략 수립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둘째, 지속가능한 패션제품디자인 요인이 제품디자인 속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결과 지속가능한 패션제품디자인의 심미적 속성은 지역사회 경제에 기여, 공정무역, 재활용·재사용·재디자인을 고려한 경제적 이익과 사회공헌, 윤리적 제품, 노동착취 및 환경의 개선, 사용자 안전성 보장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어야 한다. 더불어 지속가능한 패션제품디자인의 상징적 속성은 자원보호, 제품 순환적 사용지원,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환경적 책임과 지역사회 경제에 기여, 공정무역, 재활용·재사용·재디자인을 고려한 경제적 이익이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지속가능한 패션제품디자인 요인이 소비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결과 지속가능한 패션제품디자인 선택 및 구매 시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가치와 상황적 가치는 자원보호, 제품 순환적 사용지원,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환경적 책임과 지역사회 경제에 기여, 공정무역, 재활용·재사용·재디자인을 고려한 경제적 이익이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제품디자인 속성이 소비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결과 제품디자인 속성의 영향으로 사회적, 상황적, 인식적 가치는 편리성, 내구성, 효율성, 친환경성 등을 포함하는 기능성과 현재 유행/트렌드, 브랜드, 사용자 가치상승의 효과, 지속가능성 가치 공유 등의 상징성이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패션제품디자인과 제품디자인 속성, 소비가치의 구조적 관계분석을 추가 검증한 결과 지속가능한 패션제품디자인 요인은 소비자 니즈에 맞는 제품디자인 속성을 경유하였을 때 소비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패션제품디자인의 제품디자인 속성과 소비가치가 적용된 제품 개발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패션제품디자인이 제품디자인 속성 및 소비가치에 미치는 영향과 각 구성개념 간의 구조적 관계를 이해하고 패션제품디자인 개발을 한다면, 다양한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디자인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 향후 지속가능한 패션제품디자인 업계의 새로운 시장창출과 브랜드이미지 구축으로 기업 이윤 창출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지속가능한 리빙제품디자인 요인이 제품디자인속성과 소비자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수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11

        과거 18세기 산업혁명으로 급속한 경제적 성장과 더불어 물질적 풍요로움, 교육 수준의 향상, 생활의 편의성 등이 증대되었지만, 문화·사회·환경적인 측면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됨으로써 인간과 자연의 상호의존적 균형이 깨져버리는 결과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현재에서 미래까지 지속가능한 생태학적, 경제학적 안정성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지속가능성을 접목한 산업들의 활발한 활동이 시작되었다. 또한 최근 들어 국내의 1인당 국민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가구와 생활소품을 포함한 리빙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이와 관련된 리빙 제품들이 소비자들에게 많은 관심과 인기를 끌고 있다. 이에 지속가능성이라는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에 발맞추어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측면의 공감을 형성시켜 소비자의 니즈(Needs)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지속가능한 리빙제품디자인의 개발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리빙제품디자인 요인이 제품디자인속성과 소비자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를 파악하여 앞으로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 시장을 이끌어갈 경쟁력 있는 지속가능한 리빙제품디자인 이미지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또한 지속가능한 리빙제품디자인의 유통 및 판매를 촉진시키며, 나아가 이로 인한 기업의 이윤창출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 제주 전통가옥 공간디자인 특성 및 요소의 활용사례 연구

        임민희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11

        A traditional house is a creature of ecological spatial design which reflects its regionality and connects its internal. external space organically to keep adequate sunlight, wind and humidity in it as a ecological architecture. As the design came into being in response to culture, weather and climate, there exist variation in the forms of the houses or internal. external space holding a completeness, clarity undetectable in modern design. Antonio Gaudi, Alvar Aalto, frank Lloyd Wright, Tadao Ando, Ricardo Legorreta who are the maestros of architecture are deeply aware of the value and importance of traditional design, with the consideration that vernacular design is a medium gene connecting the past and today. Their view is a new injection of the knowledge that such gene is the value to be progressed further. With the start of 2000s, the value of the traditional houses in Jeju is getting spotlight on the back of new interpretation of foreign architects Itami Jun, Tadao Ando, Ricardo Legorreta. Those structures reanalyzed by them show that it wasn't the form of traditional house that focused, but the scale and new technique of material processing &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ly, this study looked into the cases involved in re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houses in Jeju, and then analyzed their appropriateness for modernistic use &and art character with artistic value. Firstly, this study focused on "fittingness" an expressional value of jehu traditional house design, and then carried out comparative analysis on it with "art character' an artistic value.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manner of literature review to find out humanistic social background & natural environment and endemicity, and then did on-site survey to know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design elements for jeju traditional houses, to which design elements & distinctive features & design expression method of modernly used buildings for the survey of 6 cases were applied for their analysis and evaluation. Depth interviews with 5 architectural experts who have been active in that filed in Jeju longer then 10 years were carried out based on the analyzed data. Then, 30 hands on workers involved in architecture over 5 years as the expert group, and 30 students majoring architecture as ordinary people group were chosen for a survey. Below are the synthesized results from the integration of appropriateness, an expressional value of Jeju traditional house design elements and "art character" an artistic value by the appropriacy. First, the integrated and analyzed interview contents revealed that until 1970~90s, design inclined too much to a modernly use of morphological formative, and after 2000s, the use of scale rather than form or material developed fit to new processing or construction method is on the rise greatly. Accordingly, a new fact became known that such elements would be valuable contribution to Jeju traditional houses for their modernly use. Second, the statistics of "appropriateness" an expressional value & "art character" an artistic value of expert group and ordinary people group on the 6buildings to which jeju traditional house design elements added turned out almost similar. Appropriateness and art character are proportional in evaluation index for the case buildings. The building received the poorest evaluation among those case buildings was the Art Center that 60% of the subjects said its expression was inappropriate, and 50% of them said it was low in artistic value. The building received the highest evaluation was Pinx Grapes Hotel that 68.3% of the subjects said its expression was appropriate, and 75% of them evaluated its artistic value as excellent, followed by Modern Art Museum which received the evaluation more than suitable from 63.3% of the subjects and received the mention as more than ordinary from 60% of them. The rest case buildings received that they were similarly modesty in appropriateness in expression or art character from 45% of the subjects. Third, the expert group and ordinary people group were different in the evaluation of art center in its appropriateness that 43.2% of expert group said inappropriate, and 56.7% of ordinary people group agreed with that In art character, 53.3% of expert group said it was low, and 53.3% of ordinary people group agreed with that. Such results implicates that the both groups are quite alike in scoring the appropriateness of expressional value & "art character in artistic value. Fourth, the both groups were different in scoring Pinx Grapes Hotel which received excellent score. 79.9% of expert group evaluated its expression was appropriate, and 56.7% of ordinary people group agreed. In art character, 73.2% of expert group and 76.7% of ordinary people group mentioned appropriate. As for Modern Museum, 53.3% of expert group said more than appropriate, and 73.4% of ordinary people group agreed. In art character, 59.9% of expert group evaluated it as somewhat excellent, and 60% of ordinary people group followed it. According to the results, expert group scored similarly in appropriateness and art character, while ordinary people group awarded high score only art character. Consequently, expert group awarded higher score to Pinx Grapes Hotel as 26.6% more in art character, and 13.3% in appropriateness than the Modern Museum, while ordinary people group gave higher mark to Pinx Grapes Hotel than the Modern Museum only in appropriateness. In art character, Pinx Grapes Hotel obtained 16.7% higher than the Modern Museum in art character. The synthesized results of the cases in this study are the buildings constructed with scale and new material that received higher evaluation in appropriateness and art character as the design elements would be contributive to future design as important factors. Such design with the elements of scale and various materials would be great contribution for the development into future architectures. A data for Jeju traditional design need to be systemized for such design elements to develop and progress, together with local government's administrative aid and residents' concern and efforts also necessary. Regional design is a living design in the regional climate, residents' custom and lives which should be kept on developing toward future. 전통가옥은 그 지역성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생태학적 공간 디자인으로 실내 · 외부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자연 요소인 햇빛, 바람, 습도를 적절히 유지해주는 생태건축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문화, 기후 풍토에 반응하여 태동한 디자인이기 때문에 가옥의 형태나 내 · 외부 공간에서 나타나는 공간상의 차이가 있으며 현대 디자인에서 발견할 수 없는 완벽성과 명료성이 내재되어 있다. 건축거장인 안토니오 가우디, 알바 알토,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안도다다오, 리카르도 레고레타 등도 전통디자인에 대한 가치와 중요성을 깊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들은 토속 디자인은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매개체인 유전인자로 여기고 있다. 그러한 유전인자는 더 진화된 모습으로 발전해 나아가야 할 가치임을 재인식시키고 있다. 2000년대 들어서면서 제주 전통가옥은 외국인 건축가 이타미준, 안도 다다오, 리카르도 레고레타 등에 의해 재해석 되면서 그 가치성을 새롭게 조명 받았다. 그들에 의해 재해석된 건축물을 보면 전통가옥의 형태보다는 공간감과 재료의 새로운 가공기술 및 시공법에 초점을 두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 전통가옥이 재해석된 사례들을 살펴보고 현대적 활용의 적절성 및 예술가치의 작품성을 평가 분석해 보았다. 우선 제주 전통가옥 디자인 요소의 표현가치 “적절성”에 초점을 두고 이를 통해 느껴지는 예술가치인 “작품성”을 비교 분석 평가하였다. 연구 방법은 문헌고찰을 통해 인문 사회적 배경 및 자연환경 그리고 풍토성을 알아보고 현지답사를 통해 제주 전통가옥 디자인 요소의 특징을 조사하였으며 현대적으로 활용된 6개 사례 건축물의 디자인 요소 특징 및 디자인 표현기법을 적용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분석 자료를 통해 현지에서 10년 이상 활동 중인 건축 관련 전문가 5인과 심층적인 인터뷰를 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그룹인 건축 관련 5년 이상 실무자 30인과 일반인 그룹인 건축전공 학생 30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본 연구의 제주 전통가옥 디자인 요소의 표현가치 “적절성”과 이를 통해 느껴지는 예술가치인 “작품성”을 종합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뷰 내용을 종합 분석해 보면 1970~90년대까지는 형태적인 조형성에만 현대적 활용에 치우쳤다면 2000년대 이후부터는 형태보다는 공간감이나 새로운 가공법 및 시공방법을 개발한 재료의 활용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요소들이 앞으로 제주 전통가옥의 현대적 활용에서 가치 있는 요소임을 재인식하게 되었다. 둘째, 제주 전통가옥 디자인 요소가 활용된 6개 건축물에 대한 표현가치의 “적절성” 및 예술가치인 “작품성”에 대해 전문가 그룹과 일반인 그룹의 통계는 거의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사례 건축물 평가 지표에서 적절성과 작품성은 비례하게 나타나고 있다. 활용 사례 건축물 중 가장 낮은 평가는 문예회관으로 표현의 적절성에서 부적절하다라는 평가가 50% 나왔고 예술가치의 작품성에서도 낮다는 평가가 46.6%가 나왔다. 가장 우수한 건축물로 평가받은 핀크스 포도호텔은 68.3%가 표현이 적절하다 이상의 평가가 나왔고 예술가치의 작품성도 75%로 우수하다 이상의 평가가 나왔다. 그 뒤를 이어 현대 미술관이 63.3%로 적절하다 이상의 평가가 나왔고 작품성도 60%로 높다 이상의 높은 평가가 나왔다. 나머지 사례 건축물들은 표현의 적절성이나 작품성에서 서로 비슷한 보통이다가 45%대로 나왔다. 셋째, 전문가 그룹과 일반인 그룹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우선 적절성에서 낮은 평가 건축물인 문예회관은 전문가 그룹이 부적절하다라는 평가를 43.2%했고 일반인 그룹은 56.7%를 보였다. 작품성은 전문가 그룹이 작품성이 낮다라는 평가를 40%했고 일반인 그룹은 53.3%를 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보면 표현가치의 적절성과 예술가치의 작품성은 그룹별로 비슷한 평가점수가 나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종합에서 우수한 평가가 나온 핀크스 포도호텔은 그룹별로 나누었을 때 전문가 그룹과 일반인 그룹 사이에 다른 결과가 나왔다. 우선 핀크스 포도호텔 평가점수는 전문가 그룹이 표현가치의 적절성에서 적절하다 이상의 평가를 79.9%냈고 일반인 그룹은 56.7%를 냈다. 작품성에서는 전문가 그룹이 73.2%이고 일반인 그룹은 76.7%였다. 현대 미술관은 전문가 그룹이 적절성에서 적절하다 이상의 평가를 53.3%냈고 일반인 그룹은 73.4%를 냈다. 작품성에서도 전문가 그룹이 59.9%가 우수한 편이다 이상의 평가를 내렸고 일반인 그룹은 60%의 평가를 내렸다. 이 결과를 보면 전문가 그룹은 적절성이나 작품성은 비슷한 평가점수를 주었지만 일반인 그룹은 작품성에서만 높은 점수를 주었다. 따라서 적절성 면에서 전문가 그룹은 핀크스 포도호텔이 현대미술관에 비해 26.6%, 작품성면에서 13.3%로 모두 높게 평가를 내린 반면 일반인 그룹은 적절성 면에서만 포도호텔이 현대미술관보다 20%나 높게 평가했다. 작품성에서는 포도호텔이 현대미술관 보다 16.7% 높게 나왔다. 본 연구의 사례들을 종합해 보면 공간감과 새로운 재료를 활용한 건축물이 적절성이나 작품성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며 이러한 공간감과 다양한 재료의 디자인요소는 미래의 건축물로 진화 발전 하는 새로운 매개체로 매우 중요함을 인식 할 수 있었다. 제주 전통가옥 디자인의 진화 발전은 계속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디자인요소에 대한 체계적인 데이터 정리가 필요하고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적인 지원과 지역민들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제주의 토속디자인은 그 지역의 기후나 지역민들의 풍습, 삶에 그대로 녹아있는 살아있는 디자인으로 현재를 걸쳐 미래로 계속 진화 발전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 실내디자인에 있어서 경계의 형태에 도입된 키네티시즘에 관한 연구

        최주연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11

        인간의 ‘체험의 장’을 제공하는 환경으로써의 실내디자인은 공간을 디자인한다는 의미로 인간을 에워싼 모든 요소들과 유일한 독립변수인 인간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꾀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부여해나가는 활동이다. 인간과 관계되어지는 공간은 어떻게 인지되는 것인지 먼저 알아보면 공간에서는 공간이란 자체가 인식될 수 없듯이 ‘경계’라는 유형의 요소에 의해 그것은 비로소 인지된다. 그리고 경계는 영역을 한정지음과 동시에 연결한다는 연속성의 특성을 가지 있고, 이러한 양의적인 특성은 경계의 애매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러면, 공간을 규정짓는 ‘경계’라는 요소는 그것의 애매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공간 속에서 어떻게 유형화되고, 정의 되는지, 또한 경계의 형태 요소에 의한 공간의 대응적 측면에서 인간에게 어떠한 장을 마련하고 있는지를 21세기 디자인에 방향 하는 현시점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실내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공간을 구성하는 인자로써의 경계형태에 실내디자인의 활용적 수법으로써 키네티시즘의 도입된 사례를 분석하여 경계 형태별 ‘움직임’이 도입된 표현 양상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공간을 지각함에 있어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인간이 체험하게 되는 동적인 장을 제공해 줌으로서 실내디자인에 있어 ‘체험의 장’을 마련해주는 근본적 목적에 부합되는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 것은 앞으로의 실내디자인 방향의 다양성(Diversity), 유연성(Flexibility)을 추구하고자 하는 사고적 방향의 제시를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1세기 디자인을 이슈로 하는 인간중심 디자인(Human-centered Design), 디지털 주도의 디자인(Digital-driven Design), 친환경 디자인(Ecology-based Design), 문화지향 디자인(Culture-oriented Design)을 실내디자인의 구현으로 그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근본적 가치를 두고, 이에 접근하는 방법으로서 경계형태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실내공간에서 나타나는 경계구조를 이해한다. 동시에 우리의 생활공간 내에 깊숙하게 자리 잡고 있는 동적 요소들이 공간과 조형 예술에 표현된 특성을 조사하여 실내디자인에서는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사례를 통하여 살펴보고 이것이 경계의 형태에 도입됨으로써 나타나는 공간에서의 키네틱 표현 특성을 도출한다. 이를 위한 연구의 진행과정으로써, 2장에서는 공간의 경계형태 구조와 키네틱아트의 전개 및 표현 특성을 문헌을 통하여 고찰하고, 제3장에서는 현대공간에서의 동적표현 양상을 실제적 움직임, 상대적 움직임, 연상적 움직임으로 나누어 조사 분석한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언급한 세 가지 타입의 움직임특성이 표현된 현대의 공간사례를 조사하여 어떠한 경계구조에 도입되는지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위와 같은 문헌 및 실질적 조사,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로써 경계형태에 도입된 키네티시즘의 양상을 살펴보고 21세기 디자인의 방향성에 부합한 실내디자인의 구현 수법으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Interior Design, which is a design for a space supplying the field of experience to human beings, is an activity which matches every element around human beings with them and which provides a virtue to them. Among them, human being is only a independent variable. Lets find out how human beings and the places relevant to them can perceive each other. Even though a space cant be recognized in itself, it can be recognized by a material form called boundary. The boundary has properties of defining a domain and simultaneously of connecting it. Its property having two kinds of meaning shows the ambiguity of boundary. Even though boundary which defines a space has ambiguous properties, we need to examine concretely how it is materialized in a space, how it is defined or what kind of field it provides with human beings in an aspect corresponding to a space, which is its formative factor in the period for us to go forward to the direction of the 21th desig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future direction of interior design and to examine the expressive aspects to which movement was introduced according to the boundary form by analyzing th cases in which kineticism, a practical use of interior design, was applied to the form of boundary, which is a factor organizing a space. This satisfies the basic purpose supplying the field of experience to human beings through interior design by providing a dynamic field with human beings, who are necessary for perceiving a space. It suggests that the future interior design will pursue diversity and flexibility. Therefore, this study is based on Human-centered Design, Digital-driven Design, Ecology-based Design and Culture-oriented Design, which are the issues of design in the 21th century, to seek for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interior design. The approaches to this are to understand the boundary forms shown in the indoor space via their theoretical consideration. Besides, the properties of dynamic elements, which are being used in our life, will be surveyed among cases expressed in our living space and in the field of formative art, and we can induce the property of kinetic expression shown by introducing these properties to boundary form. In Chapter 2 of this study, the structures of boundary form in a space, the development and expressive properties of kinetic art are examined via literatures. In Chapter 3, the aspects of dynamic expression in the modern space are classified into realistic, relative and associative movement, which are analyzed. Chapter 4 covers the cases expressed in the modern spaces, including the properties of 3 kinds of movements mentioned in Chapter 3 and their economic structures are analysed. Finally, the aspects of Kineticism, which is introduced to boundary form as a result induced via literatures and realistic survey,analysis, are examined and its possibility for realizing interior design matching with the direction of design in 21th century is predicted in Chapter 5.

      • 여성의류 상점의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 23∼27세 Adult group을 중심으로

        김정연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9711

        오늘날의 의류상점디자인에 있어서 고객에게 기업의 이미지와 상품의 가치를 보다 효과적으로 부각시켜줄 수 있는 공간 연출과 소비자를 위한 안락한 상점환경의 조성은 그 중요성이 더욱 깊이 인식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류상점 실내공간 디자인에 있어서 체계적인 디자인 접근방법을 수립,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실내공간계획을 제시하는데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진행은 문헌조사와 의류상점의 현황조사,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현대 의류상점의 디자인 경향 및 현황을 분석한 뒤 효율적인 공간계획의 중심이 되는 상점공간의 각 구성요소들을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연구의 결과및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류상점계획시 초기단계에서 부터 건축물과 실내디자인, 디스플레이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상점의 외관에서 부터 내부에 이르기 까지 상품을 부각시켜 줄 수 있는 연출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상점공간은 소비자와 상품, 그리고 기업이 만나는 공간으로 그 연출 계획에 있어서는 타상점과의 차별화를 위하여 대상고객층과 상품의 특성, 그리고 기업의 요구를 명확히 파악하여 이를 이미지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셋째, 내부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각 상점의 영업특성에 따라 판매기능부분과 관리기능부분의 효율적인 계획과 고객, 판매원의 원활한 동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계획되어져야 한다. 다섯째, 타업종보다 개조 변경의 기회가 잦은 실정이므로 빠른 변화에 쉽게 대처할 수 있는 연출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실내공간계획을 설정한 후 본 연구의 작품으로서 여성의류상점을 디자인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의류상점 실내공간디자인에 있어서 총체적인 접근방법을 취하였으며, 종래의 막역한 느낌에 좌우되었던 디자인에서 벗어나 체계적인 디자인 프로세스에 입각하여 의류상점 실내공간을 계획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고급 전문 의류상점이 점차로 늘어나고 있는 현대에 있어서 의류상점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Nowadays, the importance of interior space organization for corporation image and quality of commodities and comfortable shop environment for consumers is very deeply perceived in planning fashion shop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presentation of effective interior design method based on systematic design approach in fashion shop interior design.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modern fashion shops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y and the results from survey study and to investigate the organization factors for the effective design. The results and the improvable poin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planning fashion shops, the consideration of interrelation between Architecture and Interior and Display is needed at the preliminary design stage, and presentation planning from shop facade to detail may be designed based on it. 2) For fashion shop is a space for consumers, commodities and corporation to meet, image making process is needed on understanding of properties of targets and commodities for differentiation with other shops. 3) For the effective use of interior space, a compartment of selling zone and management zone and a smooth regulation of walking line for consumers and service workers are needed. 4) In illumination, color and materials planning, a selection of appropriate luminous source and illumination system and appropriate color and materials suitable to shop image is needed. 5) Because a fashion shop has more opportunities for change, flexible presentation planning for rapid change is needed in design.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above, I established a effective interior design method and planned and presented the interior design of fashion shop for the performance of this study. This study applied a design approach as a whole, and has a significance that design interior space based on systematic approach get out of ambiguous feeling, and more studies about fashion shops will be needed in present day that high fashion shops go on increasing in numb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