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계정식의 『한국음악(Die Koreanische Musik)』에 관한 연구 : 오선악보로 소개, 해석된 17악곡에 기하여

        김성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9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usical significance of Korean music research by Dr. Keh. Ch. S., a Korean-born classical musician in the 1930s, which have not been much illuminated by Korean music academia. In this study, I explore Keh’s life and his research works on Korean music with a primary focus on his doctoral dissertation, 『Die Koreanische Musik-Einführung und Besprechung von 17 zum ersten Mal in die europäische Notenschrift übertragenen Kompositionen』; examin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perceived by western musicians; and analyze his research methodologies to introduce at that time very little known Korean music to the western world. First, Keh was born in Pyongyang in 1904 and was highly talented in music. He studied violin in Japan and Germany and earned a doctorate degree from Universität Basel, Switzerland in 1934 with a dissertation on Korean music. After returning to Korea, Keh was actively involved in various musical activities as a violinist, composer, conductor and educator, and became a pioneer of Western music in Korea. Although major in Western music, he displayed a deep affection for 1930s Korean music. Besides his doctoral dissertation on Korean music, he played <Bang-a Taryeong> and <Chwitaepyeongjigok> arranged in classical music on his recitals. Second, Keh’s doctoral dissertation, which covers almost everything on Korean music,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Korean music as well as Korea among Europeans. He offered an outline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and presented a general overview and main features of Korean music, on which the Europeans at that time had very little knowledge. He also provided musical transcriptions and analyses of seventeen Korean musical pieces by referring to gramophone records and precedent music books, allowing the readers to have a firsthand appreciation of the music he presented. Keh explained that Korea has its own distinctive culture since Gojoseon and unlike China, displays a theological perspective on musical philosophy. Korean music employs a five-tone scale without semitones. Performers of Korean music were largely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court musicians, government-employed musicians or privately-employed musicians, troubadours or wandering musicians and gisaeng, and each group played different genres of music. In his dissertation, Keh added detailed explanations on how to play Haegeum(a Korean musical instrument similar to the violin) and Janggu(an accompanying instrument in Korean music). Korean music roughly comprises two major genres—court music and folk music, and these two are played in very different manners. While court music is played in a refined manner with little display of emotions, folk music is characterized by its rhythmical and dramatic expressions. In particular, he noted the unique aspect of Korean music where even the same piece of music can be played and delivered very differently depending on performers. Keh included seventeen musical pieces in his dissertation, two of which are court music, the other two are Buddhist music and the rest thirteen are folk music. Out of thirteen folk music pieces, he included <Bamyot(Taryeong)>—the song of taffy sellers touting on the streets and <Bumoeundeokga>—the early 20th century's newly composed song. Although Keh did not reveal the sources of recordings of the five pieces—<Bamyot(Taryeong)>, <Ipal Cheongchunga>, <Dambaguya>, <Daeyangga> and <Bumoeundeokga>, I identify the sources of those five pieces by referring to the scores from Lee Sang-jun’s Music Book and André Eckardt’s 『Koreanische Musik』(1930). I also found out that Keh took the melody of Haegeum as the main melody when transcribing ensemble pieces such as <Mannyeonjanghwanjigok>. In addition to this confirmation, based on literature review it can be inferred that Keh also transcribed the Haegeum-Piri duets such as <Bang-a Taryeong>, <Yangsando>, <Young-byun Ga> and <San-yeombul> with Haegeum as the primary melody, even though the recordings of those four pieces were lost. Moreover, he analyzed history, lyrics, scales, melodies and rhythms of each seventeen pieces, and even translated lyrics and Confucian names of folk songs into German, in order to enhance appreciation of these musical pieces. Third, I assess the importance of Keh’s work from four different aspects: the academic value of 『Die Koreanische Musik』, application of comparative musicology methodologies, transcription of Korean music and violin-interpreted Korean music. 『Die Koreanische Musik』 has a significant academic value as Keh advanced the previous research which were only presented with simple introductions and music books, by conducting musical analyses as well as musical transcriptions on seventeen pieces. Moreover, 『Die Koreanische Musik』 is not only the first foreign language publication on the Korean music published by a Korean in Europe, but the first doctorate dissertation on Korean music in Korean musicology academia. Highly influenced by comparative musicology while studying in Germany and Switzerland, Keh adopted comparative musicological methods for his dissertation, as a means to better introduce Korean music to the Europeans. Comparing with other Asian countries, Keh highlighted Korea’s identity and uniqueness, analyzed the features of Korean music from the Western angle and defined “improvisation” as the most distinctive attribute of Korean music. It is noteworthy that Keh attempted to transcribe Korean music from gramophone records onto five-line staff notation. Seventeen scores of Korean music in five-line staff notation in his dissertation are invaluable resources of indirect information on Korean music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Keh’s utilization of gramophone recordings as a primary source for his study as well as transcription of Korean music into five-line staff notation and analyses on scores not only opened a new chapter and facilitated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ology, but demonstrat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recording and transcribing Korean music. When introducing Korean music to Europe, Keh as a violist played Korean music on the violin in order to enhance Europeans’ understanding on Korean music by expressing it with their familiar instrument. As the Haegeum is a Korean instrument similar to the violin, Keh added the explanation on Haegeum and only included the Korean ensemble pieces accompanied by Haegeum. For example, Keh’s notating <Bakyeon Pokpo> and <Yangsando> in two or three melody lines implies his intention to play the pieces in a violin duet or a trio arrangement. He also displayed his own style and interpretation of the musical pieces when rearranging the Korean music for violin. After returning to Korea, Keh played <Chwitaepyeongjigok> and <Bang-a Taryeong> on the violin. This study addresses that the scores from Keh’s 『Die Koreanische Musik』 were interpreted for playing the pieces on the violin as well as that playing and rearranging Korean music into Western instrument was groundbreaking both in Korea and in Europe. The scores of Korean music in Keh’s dissertation enabled the Europeans to play the music even though they had little knowledge on Korean music. Judging from the existing research and documents, Keh is the first musician in Europe, who interpreted and played Korean music on the violin. In conclusion, Keh’s 『Die Koreanische Musik』, is of great academic significance in the field of Korean musicology for the reasons stated above, and has also grea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ology. 본 연구는 그동안 한국음악학계에서 조명받지 못했던 계정식의 한국음악 연구, 즉 그의 박사학위 논문인 『Die Koreanische Musik-Einführung und Besprechung von 17 zum ersten Mal in die europäische Notenschrift übertragenen Kompositionen(한국음악-유럽식 기보로 역보(譯譜)된 17개 악곡들에 대한 최초의 소개 및 논평)』(이하 "『한국음악』")의 한국음악학적 의의를 구명(究明)한 것이다. 이에 본고는 계정식의 생애 및 그의 한국음악 연구 행적과 박사학위 논문인 『한국음악』을 총체적으로 아우르고, 서양음악가의 관점에서 본 한국음악은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당시 서구에 잘 알려지지도 않았던 한국의 음악을 서구인들에게 어떠한 방법론을 가지고 연구를 전개하였는지 등 분석을 통해 계정식 논문의 한국음악학적 의의를 밝혔다. 첫째, 계정식은 1904년 평양 출생으로 음악적 재능이 매우 뛰어난 인물이었다. 일본과 독일에서 바이올린을 전공했으며, 1934년 스위스에서는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귀국 후 그는 바이올린 연주자, 교육자, 작곡가, 지휘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왕성히 활동한 우리나라 서양음악의 선구자이다. 그는 서양음악가임에도 1930년대 한국음악에도 애정을 보였다. 단연 대표적인 것은 그의 박사학위 논문 『한국음악』이며, 이외에 그의 연주회에서 선보인 서양식 편곡 <방아타령>과 <취태평지곡>이 있다. 둘째, 계정식의 논문 『한국음악』은 서구에 편찬된 한국음악서로, 한국음악과 관련한 모든 것들을 총망라하였다. 서구인들에게는 미지의 나라인 한국의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국이라는 나라의 개괄부터 한국음악의 전반적 지식과 특징을 제시하였다. 이후 이를 독자들이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그는 한국음악의 특징을 비교적 잘 담고 있는 곡, 또는 그도 알고 있거나 당시 사람들이 많이 불렀던 곡들 중 유성기 음반과 선행 악보집을 토대로 17악곡을 선별하여 채보 및 분석하였다. 그는 한국이 기원전 고조선 건국 이래로 고유의 문화를 지니며, 음악철학에 있어서도 중국의 세계관과 달리 신학적인 관점을 취한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한국음악의 음 체계는 무반음 5음으로 구성되며, 한국음악의 연행자를 궁중악사, 관아 또는 민간음악가, 떠돌이 가수, 기생으로 구분하였고, 이들이 담당하는 음악은 각기 달랐다고 기술한다. 그는 한국악기의 연주방법에 관해서 본인의 전공인 바이올린과 유사한 해금과 반주 악기인 장구만을 소개하였는데, 이 중 장구의 맨손 연주법은 지금과는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인다. 정악은 높은 격조를 지닌 음악으로 감정을 절제하는 반면에 민속악은 경쾌하며 선율의 단락이 분명히 나누어진다는 그의 설명을 통해 그가 한국음악의 장르별 음악적 특징을 인지하고 있었음을 암시한다. 특히 계정식은 한국음악의 경우 같은 곡이라 하더라도 연주자에 따라 그 느낌이 달라진다고 덧붙였다. 『한국음악』에 수록된 17악곡은 궁중음악 2곡, 풍류음악 2곡, 민속악 13곡이다. 계정식은 민속악에 엿장수가 호객하는 소박한 거리 외침인 <밤엿(타령)> 또한 음악으로 간주하여 포함하였으며, 가슴을 파고드는 가사를 노래하는 20세기 초 새롭게 작곡된 창작곡 <부모은덕가>도 실었다. 17곡 중 출처가 불분명한 곡은 <밤엿(타령)>, <이팔청춘가>, <담바구야>, <대양가>, <부모은덕가> 총 다섯 곡이다. 연구자는 이상준의 악보집 및 안드레 에카르트(André Eckardt) 신부의 『Koreanische Musik』(1930) 등에 수록된 악보 등과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위 다섯 곡의 명확한 출처를 밝혔다. <만년장환지곡>을 통해서 계정식이 합주곡을 채보할 때, 해금 선율을 위주로 채보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해금과 피리 이중주의 <방아타령>과 <양산도>, <영변가>, <산염불가>의 음원은 현재 구할 수 없으나, 이 곡들 또한 선행연구 등을 바탕으로 그가 해금을 주선율로 채보한 곡이라 추정된다. 계정식은 17개 악곡 각각의 역사와 가사, 출현음, 선율, 리듬 등을 다루었으며, 아명과 성악곡의 가사까지도 독일어로 번역하여 악곡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셋째, 계정식의 『한국음악』의 한국음악학적 의의를 한국음악의 학술적 연구와 비교음악학 방법론의 적용, 한국음악의 악보화, 그리고 한국음악과 바이올린의 접목 네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한국음악의 학술적 연구에서는, 그의 논문은 단편적인 개론서와 악보집 등 종전의 저술과는 차원이 다른 진일보한 연구로서 17악곡의 한국음악을 오선악보로 소개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인이 서구에서 외국어로 편찬한 최초의 한국음악서이자, 기존 발굴된 연구보다 앞선 한국음악학계 학술적 연구물로, 한국음악을 주제로 한 한국음악학계 최초의 박사학위 논문임을 명시하였다. 비교음악학 방법론의 적용에서는, 독일과 스위스에서 유학하던 계정식은 당시 신생 음악학 분야인 비교음악학의 영향을 받아 『한국음악』을 집필하였으며, 이러한 비교음악학 방법론은 그가 한국음악을 서구인에게 소개하는데 가장 적합한 연구방법임을 서술하였다. 따라서 그는 한국음악에 비교음악학 방법론을 적용한 장본인으로, 한국을 다른 아시아권 나라들과 비교함으로써 한국이라는 나라의 독자성과 고유성을 부각하고, 서양음악 관점에서 한국음악을 분석하여 우리 음악 고유의 특징을 “즉흥성”이라고 정의하였다. 한국음악의 악보화에서는, 당시 유성기 음반에 취입된 한국음악을 오선악보로 채보하였던 계정식의 시도 자체는 높이 평가될 가치가 충분하다는 점을 조명하였다. 『한국음악』에 실린 오선악보로 기보된 17악곡의 한국음악은 20세기 전반 우리나라 음악을 간접적으로 알려주는 귀중한 연구자료이다. 계정식은 유성기 음반을 그의 논문의 원자료로 적극 활용하여 오선악보로의 채보와 분석을 통해 본격적인 한국음악학의 포문을 연 동시에 발달을 초래하였으며, 한국음악의 기록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한국음악과 바이올린의 접목은 바이올린을 전공하던 계정식이 서구인에게 친숙한 방식과 악기로 한국음악을 소개하고 연주하고자 하였음을 서술하였다. 그가 『한국음악』에 해금을 소개하고, 합주곡 중 해금이 편성된 곡들만을 취한 까닭은 해금과 유사한 바이올린에 접목하기 위해서이며, 두, 세 가지 선율을 제시한 <박연폭포>와 <양산도>는 이중주 또는 삼중주를 위한 곡으로 풀이된다. 그가 참고한 악보와는 다르게 논문에 기보한 부분은 계정식이 한국음악을 바이올린 음악으로 편곡하기 위하여 그만의 스타일을 더해 해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는 귀국 후, 논문에 수록한 <취태평지곡>과 <방아타령>을 바이올린 음악으로 편곡하여 직접 사람들에게 연주를 선보였다. 이를 통해 그의 『한국음악』에 실린 악보는 바이올린 연주를 위하여 해석된 것이며, 한국음악을 편곡하여 서양 악기로 연주한 것은 당시 국내뿐 아니라 서구권에서도 획기적인 것임을 밝혔다. 『한국음악』에 수록된 오선악보는 한국음악에 낯선 서양음악가들도 연주할 수 있도록 가교역할을 하였으며, 20세기 초 서구권에서 계정식이 한국음악을 바이올린에 접목한 시도는 현재까지 발굴된 자료 가운데 최초라 하겠다. 이상으로 계정식의 『한국음악』은 우리 한국음악학계에 있어서 한국음악의 학술적 연구와 비교음악학 방법론의 적용, 한국음악의 악보화와 한국음악의 바이올린 접목 등의 큰 의의를 지니며, 이후 한국음악학의 발달을 초래하였기에 음악학적으로 그 가치가 충분하다.

      • 현행 중국 사범대학 음악 교육 관한 현장 연구 :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왕원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790

        Music-Education majors in normal universities aim to cultivate music teacher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Recent days, the policy of aesthetic educa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to be criticized, and all subjects involved in education pay much attention to its cultivation effect. For a long time, Music-Education in normal universities has been "educator-centered" for talent training, ignoring the importance of "learner-centered" to a certain extent.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seek helpful knowledge and skills for their future teaching career from the education authorities. The results of normal university education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education curriculum of Music-Education major at Normal University and investigates its improvement direction to propose ideal changes to the education field. Firstly, the changes in educational curriculums are studied. On the other hand, ba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of students in normal universities and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isting educational curriculums and the educational field is observed. In particular, the following problems are discussed. First, I observed the changes 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since the foundation of New China. Second, I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educational curriculum with students currently receiving education in normal universities and primary and junior high school teachers as the objects. Based on this result, some enlightenment and suggestions at the end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Since the founding of China, the Music-Education at China Normal University has experienced four periods according to the official educational plan following the policies of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People's Republic, "the initial period (1949-1965)", "the stagnant period (1966-1976)", "the adjustment and reconstruction period (1977-1989)" and "the innovative development period (1990-present)". In the beginning, the first education plan for music majors in normal universities since the founding of New China, the "Teaching plan of the music department (draft)" (1952), was promulgated. However, the nature of "normal" was not prominent as the conservatory system operated it. In the stagnant period, due to the great disaster of the "Cultural Revolution," there was no unified curriculum guidance for normal Music-Education, and political activities replaced even professional learning. The "Teaching Plan for Four-year Undergraduate Music Majors in Normal Universities (Trial Draft)" (1980) was promulgated during the reconstruction period. However, the teaching content was not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imitation of conservatories, and the nature of "normal" was still unclear. In the period of innovation and development, with the publication of the "National Undergraduate Course Guidance Plan of Musicology (Teacher Education)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2004), the educational curriculum has been significantly innovated. It is susceptible to Music-Education requirement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From the early days of New China, Music-Education courses in normal universities have indeed developed. However, the analysis in different periods still needed to find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the ratio of teacher education courses has been low for a long time. Second, the proportion of professional practical subjects is decreasing year by year. Third, the proportion of optional professional courses is low, and the autonomy of the choice mode could be more substantial. Fourth, more than educational practice time is needed.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o understand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and limitations of the above-mentioned educational courses so as to understand how the actual educational parties and educational sites understand th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77.7% of the students majoring in music in normal universities expressed their hope to be music teachers in the future. However, only 30.18% said that the educational goals of normal universities were in line with their future career goals. In addition, at present, 40% of primary and junior high school teachers say that the primary teachers' duties are insufficient. This paper holds that this is a problem of educational curriculum and has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students and a dialogue between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45.72% of the students think that the compulsory courses in teacher education courses need to be bigger, and 35.6% of on-site teachers have answered the teacher education courses, so the teacher education courses cannot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education sites. Secondly, 38.29% of students think that the class hours of professional basic practical courses are less, and 17.8% of on-site teachers think that professional practical subjects are insufficient, which indicates that more than professional practical subjects are required. Thirdly, 35.59% of the students think there are fewer professional optional courses, and 13.3% of on-site teachers think there are insufficient professional optional courses, which shows that there are still optional short courses in the whole course. Fourthly, students answered less than three months, and 46.7% of on-site teachers answered that the educational practice time was less than three months. That is, the effect of educational practice could be better, and the problem of insufficient educational practice time still exists. In addition,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of students and the interview with teachers, this study has learned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that learners ne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70.5% of students like "scenario simulation teaching," and 60.36% like "group cooperative discussion" and other methods with solid practical experience. Secondly, 22.2% of on-site teachers said that the specific teaching-learning methods of professional courses are essential. Third, 20% of on-site teachers think t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specific training of students. Fourthly, 17.8% of on-site teachers think modern educational technology should be used. Music-Education has made many achievements in the past 70 years. However, as a "learner-centered" education concep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imitations of "educator-centered" education in the past. 사범대학 음악교육 전공은 전문적으로 초·중고 음악 교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최근 심미 교육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그 양성 효과에 대한 관심이 커졌지만 오랫동안 사범대학 음악교육은 ‘교육자 중심’ 교육이념을 바탕으로 인재를 양성해 왔기 때문에 ‘학습자 중심’ 교육이념의 중요성을 간과했다. 이로 인해 학생들은 학교에서 미래 교사 직업에 필요한 유용한 지식과 기능을 교육 당국에 요구하기 어려웠으며, 사범대학교 교육의 결과와 초·중등학교 현장에서의 요구되는 자질과의 차이가 컸다. 따라서 본 본문은 교육 현장에의 바람직한 변화를 제시하기 위해 사범대학 음악교육 전공의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그 개선의 방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교육과정의 변화상황을 검토하고, 한편으로는 현장, 즉 사범대학 재학생 및 초·중등 교육 현장의 교사들에 대한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기존의 교육과정이 교육현장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검토했다. 첫째, 신중국 성립 이후 현재까지 교육과정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둘째, 현재 사범대학에서 교육 받고 있는 학생과 초·중등 교육 현장에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에 대해 설문 조사했다. 이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의 말미에 시사점과 제안할 것들을 정리했다. 중국 건국 이후로 중국의 교육 당국은 시기 별로 교육 정책을 제시하고 이에 맞는 교육 계획을 제시한바 있는데, 이에 의하면, 중국사범대학 음악교육은 신중국 성립 이후 ‘초기 생성 시기(1949~1965)’, ‘정체 시기(1966~1976)’, ‘조정 및 재건 시기(1977~1989)’, ‘혁신 발전 시기(1990년 현재)’ 등 네 시기를 거쳤다. 초기 생성기에는 신중국 설립 이래 최초의 사범 음악 전문 교육 계획 <음악학과 교학 계획(초안)>(1952) 을 공포했지만, 음악 대학 시스템으로 운영되었고 ‘사범’의 성격은 두드러지지 않았다. 정체 시기에는 ‘문화 혁명’이라는 심각한 위기를 겪음으로 해서 사범 음악 교육은 통일된 교육 과정 지도가 없었고, 심지어 전문 학습은 정치 활동으로 대체되었다. 조정 및 재건 시기에는 <사범학교 4년제 본과 음악 전공 교학 계획(시안)>(1980)이 공포되었지만, 교과 내용은 음악 대학의 모방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않았으며, ‘사범’의 성격은 여전히 분명치 못했다. 혁신 발전 시기 기간에는 <전국 일반 고등학교 음악학(교사 교육) 학부 전공 과정의 지도방안>(2004)이 발표되면서 교육 과정이 크게 혁신되었다. 특히 초중등 학교의 음악 교육에의 요구에 민감해졌다. 이처럼 신중국 초기부터 현재까지 사범대학교 음악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발전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여전히 시기별 분석 다음과 같은 문제점도 발견되었다. 첫째, 교사 교육과정의 비율이 장기간에 걸쳐 낮았다. 둘째, 전공 실기 과목의 비중이 해마다 낮아지고 있다. 셋째, 전공 선택 과정의 비중이 낮고 선택방식의 자율성이 강하지 않다. 넷째, 교생 실습 시간이 부족하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파악한 교육 과정에 대한 제도적 발전과 한계를 실제 교육 당사자와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사범대학교 음악 전공 학생의 77.7%가 장래 음악 교사를 희망한다고 했으나 그 중 30.18%만이 사범학교 교육 목표가 미래 직업 목표에 부합한다고 답했다. 또한 현재 초·중교 교사의 40%가 초기에 교사의 본분을 다하기 부족하다고 답했다. 본고에서는 이를 교육과정의 문제로 인식하고 이에 대해 학생 설문 조사와 교사에 대한 대담을 실시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교육과정의 필수과목 수가 너무 적다고 답한 학생은 45.72%, 현장 교사의 35.6%가 교사 교육과정이 하다고 답했다. 이를 통해 교사 교육과정이 교육현장에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의 38.29%가 전공 기초 실기 과목의 수업 시간이 적다고 답했고, 현장 교사의 17.8%가 전공 실기 과목이 부족하다고 답했다. 이는 전공 실기 과목이 충분치 못함을 보여준다. 셋째, 학생의 35.59%는 전공 선택과정이 적다고 답했고, 현장 교사의 13.3%는 전공 선택과정이 부족하다고 답했다. 현재 전체 교과목에서 선택과정이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생의 3개월 미만이라고 답했고 현장 교사의 46.7%는 교생 실습 기간이 3개월 미만이라고 답했다. 즉, 교생 실습의 효과가 좋지 않다고, 교생 실습 시간 부족 문제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에게 필요한 교수-학습 방법이 무엇인지 학생 설문조사와 교사 대담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70.5%의 학생들이 ‘상황 모의 교수’, 60.36%의 학생들이 ‘그룹 협동 토론’ 등 실무 경험이 풍부한 방법을 선호한다. 둘째, 현장 교사의 22.2%는 전문과정의 구체적으로 교수-학습 방법이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셋째, 현장 교사의 20%가 학생들의 구체적으로 함양을 중시해야 한다고 답했는데, 넷째, 현장 교사의 17.8%가 현대 교육 기술을 사용해야 한다고 답했다. 사범 음악교육이 발전한 지 70년 만에 적지 않은 성과를 거뒀다. 그러나 ‘학습자 중심’ 교육관으로 과거 ‘교육자 중심’이었던 교육의 한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 중국 사범대학 음악교육전공 피아노 교과과정 발전방안 연구

        강영실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775

        적격하고 우수한 음악교사 양성은 사범대학 음악교육의 목표로서 음악교사에 대한 높은 자질 요구는 결국 교육에 대한 높은 요구이다. 사범대학 음악교육전공의 필수 과목은 ‘피아노’ 이며, 피아노는 초·중교 음악수업에서 가장 기본적인 교육 수단이다. 따라서 사범대학교 음악교육 교과과정의 개혁에서 피아노 교육은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이에 본 논문에서 피아노 교과과정 발전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를 시작으로, 본 논문은 사범대학 피아노 교과과정 개혁의 필요성, 피아노 교과과정의 현황, 교과과정 발전방안에 대한 세 가지 부분을 연구하고 서술하였다. 먼저 호남사범대학(湖南师范大学), 수도사범대학(首都师范大学), 통화사범대학(通化师范学院), 동북사범대학(东北师范大学) 등 네 곳의 사범대학 교과과정과 교육방법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재 사범대학 피아노 교육의 기본실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통화사범대학(通化师范学院), 서부사범대학(西部师范大学), 상해사범대학(上海师范大学) 등 세 곳의 사범대학 음악교육전공 100명의 학생에게, 피아노 교과과정, 수업내용과 방식 등 세 분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행하여 현 상황을 진단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의 본론으로, 중국의 사범대학 음악교육전공 피아노 교과과정의 발전방안을 연구하였다. 모든 교과과정은 ‘반드시 학생을 근본으로 삼는다.’를 교육 이념으로, 피아노 교육은 학생 중심 수업으로 학생들의 개성과 발전이 존중되어야 한다. 또한 교사는 피아노의 기본 연주와 이론적 기초지식 교육뿐 아니라 학생의 심미 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춰 연주의 미적 감각을 끌어내며 피아노 연주능력도 높여야 한다. 피아노 교과과정을 최적화하는 방안으로는 첫째, 실기 지도의 다양화다. 개인 레슨, 그룹 레슨, 단체 실기수업 등 세 가지 유형을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수업형식을 제안하였다. 세 가지 실기 지도 유형에서 교사가 탄력적으로 선택하여 학생들의 다차원적, 다방면의 지식을 끌어내도록 한다. 둘째는 피아노실기 교과목의 다양화이다. 피아노는 서양음악사, 중국근대음악사, 반주수업, 사상정치 등 다른 과목과 연계하여 작품의 내재된 의미 및 연주 기법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예술실천수업, 피아노 교육 실천수업, 초·중교 음악교재 노래와 피아노 반주 등 실천과목을 개설하여 사범대학생의 무대 표현력, 수업능력, 초·중교 과정 적응능력을 높일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는 피아노 교육방법의 다양화로서 상황교육법, 상상력을 키우는 교육법 등 혁신적인 교육법과 전통 교육법을 접목해 교육 효과를 높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 새로운 교과과정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피아노 교재의 다양화와 피아노 교육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제안하였다. 중국의 사범대학 음악교육전공 피아노 교과과정의 개혁은 한 번에 이루어질 수는 없다. 하지만 지속적인 개혁을 통해 국가와 사회가 원하는 훌륭한 초·중교 교사를 잘 육성해 낼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e goal of the music education major in the college of education is training student as qualified and excellent music teacher. Piano class is the compulsory course for students of music education major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it is also one of the most basic educational means of music clas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Therefore, piano class is the most important part in the reform of music education curriculum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is thesis is intended on the study for the better plan of piano curriculum for music education. Starting with studying previous researches, this thesis provides the researches of the following three parts: the necessity of piano curriculum reform in the college of education, the present status of piano curriculum in China and its restructuring plan. The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in Honam College of Education, Sudo College of Education, Tonghua College of Education, and Northeast College of Education are analyzed. Also, the questionnaires on the piano curriculum, the contents and the methods in classes are surveyed to the students of music education major in three colleges of education; Tonghua College of Education, Western College of Education, and Shanghai College of Education. And the restructuring plan of piano curriculum in music education major of the college of education in China is presented. All courses should take “student-centered” as the educational concept with respecting students’ personality and interest. In addition, teachers should not only teach basic piano technique and music theory, but also focus on improving the student's aesthetic ability, so as to give the aesthetic sense in piano performance, which will make students improve their piano performance. The essence of this research is to optimize the piano curriculum. Firstly, diversify piano lessons. It is suggested to combine the 1 on 1 private lesson, group lesson and class lesson effectively. The teachers should choose these three types of lessons flexibly in order that the students can acquire multi-level and multi-dimensional knowledge. Secondly, diversify piano curriculum. The piano is closely related with western music history, modern Chinese music history, and piano accompaniment. The students can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intrinsic meaning and performance techniques of musical works. Meanwhile, it is suggested to set up new practical courses, such as practical course in art, practical course in piano education, singing with piano accompaniment of music teaching materials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These will help students to improve stage performance, teaching ability, middle school curriculums adaptability. Thirdly, diversify teaching methods. The teachers can combine the innovative teaching methods such as situational teaching method and imagination-led teaching method with traditional teaching method to improve teaching effect. Finally, in order to make these curriculum work on smoothly, it is suggested to enrich the piano teaching materials and to establish the database of piano education materials. The reform of piano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major in the college of education in China can’t be accomplished by one attempt. However, through continuous reformation, it is hoped that qualified and excellent music teachers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will be fostered for the country and our society.

      • 학문적 패러다임의 전환과 음악학의 미디어 연구

        박혜정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75

        미디어는 사람들의 음악활동과 무관하지 않다. 매스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는 대중음악의 폭발적인 증가를 가져왔고 음원재생 기기의 발달은 사람들의 음악 청취 방식을 변화시켜왔다.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 공간에서의 음악 저작권 문제와 같은 논의들이 새롭게 등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음악학에서는 오랫동안 미디어 연구 자체에 대해 거의 관심을 갖지 않았다. 오히려 철학이나 커뮤니케이션과 같은 타 분야의 학문에서 미디어에 관한 이론들을 적극적으로 거론했고 라디오나 텔레비전 등의 미디어가 전하는 방송 내용들을 분석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음악 미디어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나 미디어가 음악 실제와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답을 주지 못했다. 그러다 80년대 초가 되자 포스트모더니즘의 물결과 함께 음악학도 소리 구조물로서의 음악 분석을 뛰어넘어 문화로서의 음악 연구를 향해 한 걸음 나아갔고, 음악학자들도 차츰 음악 활동과의 관계 속에서 미디어를 바라보기 시작했다. 이 같은 음악학의 미디어 연구는 미디어가 어떻게 사람들의 음악 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음악 문화에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관찰하였다. 그 동안 원론적으로만 논의되어졌던 문화 속 미디어에 관한 구체적 사례들을 제시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물론 인류의 역사 가운데는 실로 다양한 음악 미디어들이 존재해 왔고 면밀히 탐구되어져야 할 사례들은 아직도 많이 남아있다. 그러나 이 같은 음악학의 미디어 연구는 그 동안 타 분야가 해 오지 못했던 음악 미디어 연구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그렇다면 음악학의 미디어 연구가 서 있는 현 주소와 앞으로의 나가야 할 방향을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음악학이 어떠한 학문적 배경 속에서 미디어를 바라봐왔는지, 그러한 연구가 갖는 의미와 한계점은 무엇인지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The media is not irrelevant to human musical activities. Mass media led to an explosive growth in popular music, and the development of music players changed the way people listen to music. Furthermore, new issues have lately arisen, such as music copyright infringement in cyberspace. Despite these facts, musicology had for a long time shown little interest in media research. Other studies, such as philosophy and communication studies, had actively pursued theories on the media and had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radio, the television and other media. However, these studies failed to provide substantial discussions on musical media or give expla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 and music. Then in the wave of postmodernism in the early 1980s, musicology turned into a study of music as a culture, and not merely as a sound structure. Gradually, musicologists began to analyze the media in relation to human musical activities. The musicological research on the media involved the effects of the media on human musical activities and the changes the media brought about in musical cultures. Musicologists started to provide specific cases of the media as a part of culture, which until then had only been discussed in theory. There have indeed been diverse musical media in human history, many of which still remain to be studied in detail. However, the musicological research on the media has great significance as it provided the musical media research with a new direction, something other studies have failed to achieve. In this respec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the musicological research on the media and the direction it must take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dissertation will discuss the academic background of the musicological research on the media and explore the meaning and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 음악학적 방법론의 사례 연구 : J.로버트슨의 '다카라즈카'

        박예진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43

        사람의 행위와 사고는 그가 속한 사회와 환경의 지배를 받는다. 사회와의 끊임없는 갈등 속에서 정착해온 현재의 관습은 그 사회에 속한 개개인에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나의 사회 속에 존재하는 음악이라는 개념과 음악적 행위 역시 이러한 유동적인 사회의 움직임에 따라 그 모습과 의미가 변화되어 왔다. 사람이나 사회가 달라지면 그 음악도 달라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음악은 사회와의 밀접한 관련성 속에서 이야기되어야 한다. 음악은 소리를 매개로 하지만 그 소리를 음악으로 인정하고 수용하는 사회에 대한 이해 없이는 온전히 설명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발표되는 많은 음악적 논의들은 여전히 음악과 사회의 관련성을 배제하고 악곡 분석이나 소리의 연속체로서의 음악 연구에 더 치중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음악적 논의의 틀을 벗어나고자 하는 시도이다. 물리적인 대상으로서의 '음악'이 아니라 사회와의 다양한 관련성 속에서 존재하는 음악 논의를 위한 틀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의 탐색 작업의 일환으로 먼저 본 연구에서는 공연의 발생 순간과 참가자에 따라 수많은 의미를 생산해내는 살아있는 현장으로서 공연(Performance) 이론을 살펴보고그것이 음악학에서는 어떻게 고려되어왔는지를 조사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공연으로서의 음악극 연구의 구체적인 사례로 제니퍼 로버트슨(Jennifer Robertson)의 「Takarazuka: sexual politics and popular culture in modern japan」을 살펴보았다. Ⅱ. 로버트슨의 다카라즈카에서는 일본의 이른바 대중 음악극 다카라즈카 안에 내재되어 있는 일본 사회의 지배적 이데올로기들, 일상의 개념, 행위들을 사회적 성의 이데올로기(gender ideology), 제국주의, 민족주의, 현대성과 관련지어 설명하는 로버트슨의 접근 방식과 팬들에게 존재하는 다카라즈카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본론의 축으로 삼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로버트슨의 연구를 통해 음악과 사회를 함께 들여다보는 접근의 방법이었지만, 로버트슨의 관점을 공부하는 사이에 알게 된 한국의 다카라즈카 팬클럽에도 흥미가 갔다. 물리적인 공연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한국에서 '다카포레'라는 인터넷 동호회 안에 엄연한 실체로 존재하고 있는 다카라즈카의 의미를 덧붙여 생각해보았다. 로버트슨의 연구는 사회의 여러 맥락들(context) 속에 존재하는 사회적 존재로서 음악극에 접근하는 태도와 현장 연구(field work)에서 얻게 되는 여러 자료들을 선택하고 해석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이는 나아가 우리 사회의 음악 현장을 바라보는 시각을 재정립하고 새롭게 음악에 접근하는 다양한 방식의 마련에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Human behavior and way of thinking are strongly influenced by her social condition. The present custom which had undergone change and modification under everlasting conflict against the society affects people those who live in these days. In the same manner, the concept of music and musical activity in a society have also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mobility of the society in the meaning and the form. In other words, the music would be changed if the people or the society were changed. Therefore, the music should be treated in the aspects of relation with the society. Even though music needs sound as a medium, it cannot be explained without understanding of the society where the sound is recognized as music. However, there are still more discussions on analysis of musical pieces and more studies which regards music as a continuum of sound excluding the relation with the society rather than those of music associating with the society. In this study, a novel framework of discussion on music not as a physical object but as the various relations with the society is sought as a trial of overcoming the conventional studies. As a part of this investigation, the performance study is observed as a vivid site producing abundant significance up to the participants and the instance, and' it is inspected how this concept is considered in musicology. 「Takarazuka: sexual politics and popular culture in modem japan」 by Jennifer Robertson was examined as a case study in this sense. In the chapter 'Takarazuka by Robertson', Robertson's way of approach which considering the dominant ideology of Japanese society, concept of commonness and usual behavior implied in the musical performance, Takarazuka according to the social gender ideology, imperialism, nationalism and modernity was studied. And the significance of Takarazuka for the Japanese audience was also inspected in the chapter. In addition, there is an investigation about the meaning and existence of the musical performance for the people of internet club 'Takafore' in Korea where the physical performance of Takarazuka is not exist. The study of Robertson suggests the manner how to choose and to analyze the data from field work and how to approach musical performances as a member of social contexts. Moreover, this would give novel point of view and be the basis of various way of approach to music in our society.

      • 오르프 음악교육법을 적용한 유아교육전공 피아노 실습연구 : 중국 상구(商丘) 고등직업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차오린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742

        독일의 작곡자 카를 오르프가 제창한 오르프 음악 교수법은 현 재 가장 영향력 있는 음악 교수법 중의 하나로, 전세계적으로 음 악 교육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다. 1980 년대 초 중국에도 도입된 이후 중국 음악 교육 사업의 발전과 개혁을 촉진하였다. 하지만 선행 연구 열람을 통해 오르프 교수법이 실제 중국 직업학교 유아 교육과 피아노 교습에 적용된 연구 성과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르프 음악 교수법과 피아노 교습을 융합하여 고등직업학교에 적합한 피아노 교습의 새로운 모델을 구 축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먼저 설문조사를 통해서 중국 상구 고등직업학교의 교사와 학생의 현황에 대해 분석하고 오르프 음악 교수법과 고등 직업학교 피아노 교습의 혁신적인 융합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조사했다. 이렇게 조사하고 분석한 데이터를 분석해 중국 교육 현 장에서 오르프 음악 교수법에 어떤 장점과 단점이 있는지 연구했 다.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르프 음악 교수법은 중국 고등 직업학교 유아 교육 전공의 개혁 목표와 공통성을 가지며 창의적 인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런 사 례 분석을 통해 오르프 음악 교수법이 학생들의 종합적 예술 소양, 수업의 자발적 참여 능력, 즉흥 창작 능력, 피아노 학습에 대한 흥 미, 피아노 연습의 능동성, 초견 능력(sight-reading), 시창 능력, 수 업의 긍정적인 분위기, 피아노 연주 수준, 리듬감, 음악적 표현 능 ii 력 등의 방면을 모두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하지만 오르프 음악 교수법은 교육 사상, 방법, 내용 등 측면에서 현 단계 의 중국 유치원의 유아 교사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고등직업학교의 피아노 교습과정에서 오르프 음악 교수법이 가 지는 교육효과를 기반으로, 새로운 교육 패턴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유치원에 종사하는 유아교사의 음악적 요구에 부응하고, 동 종 고등직업학교의 유아교육 부문 피아노 수업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유치원 내 음악 교육 현장에 서 해당 주제와 관련한 교사의 문제점을 다루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선된 교육안이 중국의 기타 지역까지 확대되 기를 바라며, 오르프 교수법을 활용한 교육이 중국 피아노 교육 분야에서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지영희류 해금산조 연구

        황한나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727

        Ph. D, A Study on Haegeum Sanjo(奚琴散調) of Jiyeonghui-ryu Hanna Hwang Department of Musicology, Graduate School of Yeungnam University DMA (Doctor of Musical Arts) Supervised by professor : PHD. SO Hyun Park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its immanent musical understanding through analyzing musical structure and components in Haegeum Sanjo(奚琴散調) of Jiyeonghui-ryu. Thu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elicited as a result of having extracted and comparatively analyzed musical pieces with inter-connectivity focusing on a melody of music in Haegeum Sanjo of Jiyeonghui-ryu. First, having an insight into music history in Ji Yeong-hui's lifetime can lead to confirming that her music world was implemented through the learning history and the musical activity. In other words, the acquired learning history and musical activity such as totem music, several instrumental musics, and private singing based on the innate musicality became the foundation of forming Haegeum Sanjo of Jiyeonghui-ryu. Second, comparatively analyzing Haegeum Sanjo of Jiyeonghui-ryu with Ji Yong-gu Haegeum Sanjo, which is music by her teacher, and with Kim Deok-jin Haegeum Sanjo, it can be considered to have been implemented as Ji Yeong-hui's unique music world that added her musical history based on melody of having been inherited by her teacher. Third, analyzing the musical components in Haegeum Sanjo of Jiyeonghui-ryu, the vocal melodies such as <Gunbam Taryeong(군밤타령)> out of folk song, <Yukchilwol(육칠월)> out of Hwimori-japga, and <Jeokseongga(赤城歌)> & <Sipjangga(十杖歌)> out of Pansori, which correspond to the musics correlated with her musical activity career can be known to have been inserted with being instrumental music as the Haegeum melody. Fourth, as a result of having been analyzed to be high in the importance of similar melody in order of ‘Dosalpuri,’ ‘Mori’ and ‘Salpuri’ out of Haegeum Sinawi that she composed as Ji Yeong-hui's distinctive variation method among the added music pieces, it can be known to have great influence upon music composition in Haegeum Sanjo of Jiyeonghui-ryu. As the above, Ji Yeong-hui's music composition method, which applies several kinds of musical elements to music composition in Haegeum Sanjo of Jiyeonghui-ryu, could be discussed with being compressed into ① modification into a non-traditional tune through transforming a rhythmic segmentation system, ② modification of crossing again dynamics in the introduction of the same tune, ③ modification in augmentation and diminution of a melody type, ④ modification of a melody type as a unique fingering method in Haegeum. Ultimately, Haegeum Sanjo of Jiyeonghui-ryu is a musical form of life, which is organically interacted diverse and complex musical elements immanent in Haegeum Sanjo, rather than being understood merely a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an instrumental melody. The music composition in Haegeum Sanjo of Jiyeonghui-ryu is what expressed Ji Yeong-hui's unique music world through the process of being compressed and converged, not the simple combination of various musical elements. Eventually, Sanjo can be known to be a substance and a crystal that reflected a musician's musical ability. Accordingly, a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what analyzed and discussed Sanjo(散調) through going back to relevant musical elements as for what own music world was implemented on the basis of the learning history and musical activity concerning a musician's lifetime as an analytical and research method of music different from the existing research of Haegeum Sanjo(奚琴散調). Sanjo(散調) is a task that needs to be completed as a Korean traditional music player, and is like a biography of conveying with connoting own music world to future generations. Through Ji Yeong-hui's this work, Haegeum Sanjo(s) of Hanbeomsu-ryu, Seoyongseok-ryu and Kimyeongjae-ryu were newly created. But it is the situation of being stopped in Kim Yeong-jae. This study is desired to lead to being a little help to a current musical performer in forming Sanjo available for expressing each music world. Also,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likely able to become a means available for being utilized as an educational method in understanding Haegeum Sanjo of Jiyeonghui-ryu and further passing down Haegeum Sanjo(奚琴散調). keyword : Kim Deok-jin, Jiyeonghui, Haegeum Sanjo of Jiyeonghui-ryu, Ji Yong-gu, Haegeum Sanjo, Haegeum Sinawi 지영희류 해금산조 연구 황 한 나 영남대학교 대학원 음악학과 음악학실기전공 (지도교수 : 박 소 현) 국문초록 본 연구는 지영희류 해금산조의 음악적 구조 및 구성 요소를 분석하여, 그 내재된 음악적 이해를 더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따라서 지영희류 해금산조의 음악선율을 중심으로 상호 연관성이 있는 악곡을 추출하여 비교분석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지영희의 일생에서 음악내력을 통찰하면, 학습내력과 음악활동을 통해 그의 음악세계가 구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선천적 음악성을 바탕으로 무속음악과 각종 기악, 민간성악 등의 후천적인 학습내력과 음악활동은 지영희류 해금산조를 구성하는 바탕이 되었다. 둘째, 지영희류 해금산조를 그의 스승의 음악인 지용구 해금산조 및 김덕진 해금시나위와 비교분석하면, 스승에게 전수 받은 선율을 바탕으로 자신의 음악적 내력을 첨가한 지영희만의 음악세계로서 구축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지영희류 해금산조의 음악적 구성요소를 분석하면, 그의 음악활동내력과 상관된 음악으로서 민요 중 <군밤타령>, 휘모리잡가 중 <육칠월>, 판소리 중 <적성가>와 <십장가> 등의 성악곡 선율이 해금선율로서 기악화하여 삽입한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첨가된 악곡 중 지영희만의 독특한 변주 방식으로써, 자신이 구성한 해금시나위 중 ‘도살풀이’, ‘모리’, ‘살풀이’ 순으로 유사선율의 비중이 높게 분석된 결과, 지영희류 해금산조의 음악구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지영희류 해금산조의 음악 구성에서 각종 음악요소를 적용하는 지영희의 음악 구성 방식은 ①리듬분할 체계를 변형하여 기존과 다른 장단형으로 변형, ②동일 장단형의 도입부에 강약(强弱)을 교차반복하는 변형, ③선율형의 확대 및 축소의 변형, ④해금의 독특한 운지법으로서 선율형의 변형 등으로 압축하여 논의할 수 있었다. 결국 지영희류 해금산조는 단순히 기악선율의 발달과정으로 이해하기보다는 해금산조에 내재된 다양하고 복합적이 음악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음악적 생명체이며, 지영희류 해금산조의 음악구성에는 다양한 음악요소의 단순한 조합이 아닌 응축되고 융합되는 과정을 통하여 지영희만의 음악세계를 표출한 것이다. 결국 산조는 한 음악가의 음악력을 반영한 실체이자 결정체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연구의 의의는 기존 해금산조의 연구과 다른 음악분석연구방법으로서 음악가의 일생에 대한 학습내력과 음악활동을 바탕으로 스스로의 음악세계가 구축되었음을 관련 음악요소들을 소급(遡及)하여 산조를 분석 논의한 것이다. 산조는 국악연주자로서 완성해야만 하는 과업이며, 후대에 자신의 음악세계를 함축하여 전하는 하나의 전기와 같은 것이다. 지영희의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한범수, 서용석, 김영재류 해금산조가 새로 생겨났으나 김영재에서 멈춰진 상태이다. 이 논문을 통하여 현재의 연주자에게 각자의 음악세계를 표출할 수 있는 산조를 형성하는데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지영희류 해금산조를 이해하고 나아가 해금산조를 전승하는데 교육적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검색어: 김덕진, 지영희, 지영희류 해금산조, 지용구, 해금산조, 해금시나위

      • 몽골 야탁과 한국 가야금의 음악학적 비교연구

        Chinbat Baasankhuu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727

        Уг судалгаа нь монгол ятгын гарал үүслийн тухай асуудлыг тодотгож, эрт үеэс уламжилж ирсэн ятгын төрлийн хөгжмийг ерөнхийд нь цэгцлэхийг зорилго болголоо. Мөн 20-р зууны эхэн үе монголын социалист нийгэмд шилжихийн өмнөх үеийн хөгжмийн түүхэн байдалд баталгаа нотолгоо хийн цаашилбал монгол ятга болон солонгос гаяагумын хөглөх арга болон тоглох аргыг нарийвчлан үзэж, харьцуулан задлан шинжлэл хийж хоёр орны нэг төрлийн хөгжмийн зэмсгийн талаарх хөгжим судлалын харьцуулсан судалгааг хийсэн болно. Үүний үр дүнд: Нэгдүгээрт, түүхэн сурвалж бичиг болон эртний монгол уран зохиол ба аман зохиолд гарч байгаа ятгын тухай тэмдэглэлүүдийг цэгцлэн ятгын гарал үүслийг судалж, ятгын тухай монголчууд болон тэр үеийн жуулчдын тэмдэглэлүүдийг тодрууллаа. Мөн түүнчлэн өнөөг хүртэл сурвалж судалгаа, архелогийн олдвор, баримт материалуудыг дамжин бидэнд мэдэгдсэн янз бүрийн хэлбэр дүрс бүхий ятга хөгжмийг ерөнхийд нь цэгцэлж, эдгээрийн дүрс хэлбэр, утас чавхдас өөр өөр байгаа нь ятга хөгжим тухайн цаг үеэ даган хувирч уламжлагдаж байсан гэдгийг баталлаа. Хоёрдугаарт, ятгын хөгжмийг эртний ноотоор дамжуулсан аялгуу болон өнөөг хүртэл уламжлан үлдээсэн аялгуугаар нь хоёр хуваан задлан шинжлэл хийлээ. Ятга хөгжмөөр 16-19-р зууны буддын хөгжмийн нэг болох "гүр дуу"-г хамсран хөгжимдөж байсан ч өнөөүед уламжлан ирээгүй бөгөөд зөвхөн эртний ноот нь л хадгалагдаж байгаа юм. Ялангуяа гүр дууны эртний ноот дундаас ятгын ноот болох роль-ег -ийн талаар өнөөг хүртэл бодит байдлаар тайлан уншсан болон задлан шинжлэл хийсэн зүйл байхгүй байгаа юм. Тийм учраас ятга хөгжимчний хувьд эртний ноотыг тайлан уншиж, тухайн үеийн ятга хөгжмийн тухай дахин тодруулж болох юм хэмээн бодож энэ судалгааг хийлээ. Гүр дууны үг болон ноотыг задлан шинжилж, тэр үеийн монголын буддын хөгжим нь монгол ардын дууны аялгуутай холбоотой болохыг тодруулав. Өнөөдөрмонгол ятгаар ардын дуу болон хөгжмийн зохиолчдын зохиолыг тоглож байгаа бөгөөд чухамдаа монгол ятгын уламжлалт хөгжим нь монгол ардын дуун дээр суурилсан гэдгийг тодруулж болох байна. Гуравдугаарт, монгол ятга болон солонгосын гаяагумын хөглөх арга болон тоглох аргыг харьцуулан үзлээ. Монгол ятга солонгосын гаяагум нь хэлбэр дүрс, тоглох арга нь ч төстэйбөгөөд энэ хоёрын харьцуулсан судалгааны ажил нь эрдэм шинжилгээний ихээхэн ач холбогдолтой юм. Хөг хөглөгөө, хөглөх аргын хувьд гаяагум нь урт удаан хугацаагаар уламжлан ирсэн тогтсон дэг журамтай, тэр нь хэвшин нэг хэлбэр болсон байхад монгол ятга нь голдуу дуулаачын хөгжмийг гоцлол хөгжмөөр илэрхийлэх юмуу эсвэл хамсран хөгжимдөх зэрэг янз бүрийн хөглөх аргатай байна. Түүхэн талаас үзвэл солонгосын ятга нь эртний хэлбэрээ хадгалан хөгжиж ирсэн байхад монгол ятга нь нийгмийн түүхэн нөхцөл байдлаас шалтгаалж өөрчлөгдөн өөр өөр хэлбэр маягтай болж байсныг ажиглаж болох юм. Уг судалгааны ач холбогдол нь нэгдүгээрт, одоог хүртэл тодорхой судлагдаагүйбайгаа монгол ятгын эртний ноот болох "гүр дуу"-ны роль-ег-ийг тайлан уншиж,өнөөүед уламжлан үлдээгээгүй 17-р зууны ятга хөгжмийн дүр төрхийг дахин сэргээхийг оролдсон нь энэ судалгааны шинэлэг тал болно. Энэ нь монгол улсад ч хараахан нарийвчлан судлагдаагүй байгаа ятгын эртний ноот тэмдэглэгээг ангилан задлан шинжлэл хийх оролдлого юм. Хоёрдугаарт, өнөөг хүртэл тодорхой судлаагүй байгаа ятгын эртни 본 연구는 몽골 야탁(ятга, 蒙古箏)의 유래를 구체적으로 논의하고 고대로부터 전하는 야탁류의 악기를 총체적으로 정리하여 20세기 초 몽골의 사회주의 시대로 전환되기 이전의 음악사적 현황을 논증하고, 나아가 몽골 야탁과 한국 가야금(伽倻琴)의 조현법 및 연주법을 세밀히 비교 분석하여 양국의 동류(同類)악기에 대한 음악학적 비교 연구를 수행한 것이다. 첫째, 역사 문헌 및 고대 몽골 문학과 구비문학에 등장하는 야탁에 대한 기록들을 정리하여 야탁의 유래를 고찰하고, 야탁에 대한 몽골인과 당시 여행자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또한 현재까지 발표되거나 보고된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야탁을 총체적으로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형태와 현(絃) 수의 야탁이 시대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거쳐 전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야탁의 음악을 고악보(古樂樂譜)로서 전하는 악곡과 현재 전승되는 악곡으로 이분하여 고찰하였다. 야탁은 16-19세기의 불교음악의 하나인 ‘구르 도(гүр дуу)’의 반주악기로도 사용되었으나, 현재 전승되지 않고 고악보로서만 존재한다. 특히, ‘구르 도’의 고악보 중 야탁보인 ‘롤익(роль ег)’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본격적으로 해독 및 분석된 바가 없었는데, 본고에서는 야탁 연주자의 시각으로서 고악보를 해독하여 당시 야탁음악을 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가사와 악보의 분석을 통해 당시 몽골 불교음악이 몽골민요 선율과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현전하는 야탁음악으로서 민요와 현대 창작곡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야탁의 전통음악은 몽골 민요를 기반으로 한다는 것을 논증하였다. 셋째, 몽골의 야탁과 남북한 가야금의 조현법과 연주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야탁과 남북한의 가야금은 같은 형태의 악기이자 유사한 연주법을 가지고 있기에 상호간의 비교 분석 작업은 학술적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조현법의 경우 가야금은 오랜 기간 전승되어 오며 그 규칙이 정형화 된 반면, 야탁은 주로 성악곡을 독주로 표현하거나 반주악기로 연주하면서 여러 가지 조현법이 존재하게 되었다. 역사적으로 보면 한국의 가야금은 옛 모습을 유지하면서 발전해 왔으나 몽골의 야탁은 사회사적 상황에 따라 변화된 양상을 관찰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지금까지 연구된 바 없는 야탁의 고악보인 ‘구르 도’의 롤익을 해독함으로서 현재는 전승되지 않는 17세기 야탁음악의 옛 모습을 재현하였으며, 몽골 국내에서도 진행되지 않았던 야탁곡에 대한 분류와 분석을 시도하였다. 둘째, 현재까지 연구되지 않은 야탁의 고악보를 해독 및 분석함으로써, 16-19세기 몽골 불교음악에 대해 구체적인 연구를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셋째, 본 연구자는 야탁 연주자의 입장에서 오선보로 해독한 악보를 바탕으로 하여, 고악보인 구르 도를 현재의 야탁으로 연주할 가능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앞으로 야탁에 대한 보다 다양하고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전통 야탁 연주의 모습을 찾고, 몽골의 야탁 음악을 보다 풍성하게 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결과적으로 한국의 가야금은 6세기 혹은 그 이전의 발생시기부터 오늘날까지 모습을 그대로를 유지하면서 전통악기의 보전 및 계승에 기여했다면, 몽골의 야탁은 정치적 이념에 따라 전통의 맥이 단절되었다가 부활하는 등 시대에 따른 변화를 겪으며 현재에 이른다. 이는 양국의 사회사적 환경에 따른 차이가 음악문화에 반영된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primarily on the origin and the performance practice of yatga, an ancient plucked string instrument of Mongolia. However the research limits on the time periods from its origin to the time prior to the social transition through socialism introduced in the early twenties century. Further discussion offers in-depth comparative analysis, including tuning systems and performance practices, between Mongolian yatga and Korean gayageum due to their similar instrumental nature and the origins of the two instrumental families unique to East Asia. First, the origin of the instrument is investigated through the existing historic documents found in Mongolian literature and other oral traditions in relation to yatga, reflecting Mongolian’s point of views and the records written by foreign travelers throughout the history of the country. The study also sheds the light on the clear classification of the instrument having been existed in a variety of types and shapes, each of which has a different number and set of strings reflecting social and historic changes. Second, the musical repertoire of yatga is presented in two separate categories: one for the existing pieces still performed today; and the other for the pieces only remaining in the historic manuscripts. Interestingly in the second category the yatga is used as an instrumental accompaniment to gurduu, one of the Buddhist chants or songs and their popularities had been flourished from sixteenth to nineteenth centuries. In particular, the study offers an extensive analysis of rollic, manuscripts in mensural notation of yatga used in accompaniment section of gurduu. Both transcriptions and interpretations (using Western staff notation) of the rollic are presented for providing an opportunity to revive the music of by-gone ear. The analysis also proves the close musical relationships between Buddhist music and Mongolian folksongs. Most of the existing yatga pieces are constructed from, and based on, both melodic and rhythmic variations of Mongolian folksongs. Third, the study offers comparative analysis of yatga and Korean gayaguem, from both North and South, especially focusing on the tuning system and performance practice, since both instruments fall on the same plucked zither family which shares many similarities and features in performance techniques and other music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tuning systems the gayageum, on the one hand, is fixed and standardized because of its long history and transmission performed in both solo and ensemble settings. On the other hand, those of yatga are various, out of the fixed norm, since the main role of the instrument is used in accompanying vocal genre, and the majority of the solo works performed today is derived from well-known folksongs. Korean gayageum maintains the shape and other performance features throughout the test of times, but yatga has been constantly modified and reshaped according to the social and political changes.

      • 피타고라스의 음악론에 대한 연구

        안이랑 성신여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27

        피타고라스는 음악학의 시조로서 만물의 출현과 함께 계속되어 온 음악의 세계를 학문적으로 체계화하여 음악이 인간의 실생활, 나아가서는 우주의 본질에까지 그 영향력을 행하고 있음을 증명하여 설명하고자 한 철학자이다. 이 논문은 음악학의 뿌리가 되는 피타고라스의 음악론에 대한 연구이다. 피타고라스의 음악론을 알기 위해서는 그의 모든 고민의 시작인 철학적 배경에 대해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그의 철학적 배경의 출발이 되는 교육환경과 지금까지 전해져 오는 그의 모든 사상 전달의 핵심적인 역할을 해 온 피타고라스 학파에 대한 조사를 서두로 시작한다. 또한 그의 사상에서 가장 중요한 우주 만물의 근본이 되는 ‘수(數)’에 대한 철학적 연구도 빼놓을 수 없다. 그리고 ‘수’를 바탕으로 한 그의 음악론을 고찰하여 음악을 단순히 듣고 즐기는 것이 아니라 학문적으로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을 그가 어떻게 해결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나아가 이러한 연구를 통해 음악의 미적 본질이 우주 만물에 어떻게 사용되며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해 설명하였다. 피타고라스에게 음악은 수학적 비례에 따른 ‘조화’ 그 자체였다. 이에 따라 그는 음의 높고 낮음과 진동하는 현(絃)의 길이의 비례 관계를 관찰하고, 자연 음향 현상 속에서 그것을 발견해 수적 실재를 통찰하여 음악과 세계를 관조적으로 보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수학적 비례의 원리가 음악 예술을 통해 질서로 나타나고 그것이 우주 전체에 적용됨으로써 음악의 조화는 곧 인간의 조화, 우주의 조화라는 궁극적인 본질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피타고라스의 철학적 사상은 곧 우주의 음악론으로 대표될 수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피타고라스 사상의 핵심을 보여주는 우주의 음악론을 궁극적으로 탐구하기 위한 과정으로 위와 같은 피타고라스의 철학적 사상의 배경과 수론, 음악론을 고찰한다. Pythagoras from Samos (569-475 B.C.), the founder of musicology, proved and illustrated that music has influenced on not only human life, but also essence of the Universe, as systematizing the world of music that had been continuing since the advent of all things in universe.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theory of music by Pythagoras, which is the root of western music theory. It is very significant to observe his philosophical background, so as to study music theory of Pythagoras. Accordingly, this study will be started as giving a study of both his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is a starting point of his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Pythagoreans that undertook to set up every new scientific discovery to the name of Pythagoras. Additionally, I will make a special study of the analytic number theory. Then, this thesis treats his answer on a question of how to explain music scientifically, rather than how to enjoy the music through his theory of music, credited with discovering this mathematical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number. Finally, I will explain, in this study, how the ascetic essence of music influences on the Universe. For Pythagoras, music is 'harmonia' of the mathematical proportions that is the divine principle to bring order to chaos and discord by the mathematical proportions. He wove his musical discoveries into the mathematical cosmology to produce a beautiful description of the Universe, while observing the intervals in decreasing order of consonance and the length of the string. In addition, by the principle of mathematical proportions, Pythagoras proved that mathematics can be used to unravel the mysteries of the Universe, so that the 'harmonia' of the music, for him, signifies the harmony of human and the Universe. Eventually, we may be able to say that Pythagoras’ philosophical thoughts are represented by the theory of cosmic music. Therefore, this thesis will investigate Pythagoras’ philosophical background, theory of number and theory of music that is necessary to study cosmic 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