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영컨설팅서비스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의 흡수역량과 혁신의지를 중심으로

        박준현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5391

        국문초록 4차산업혁명시대란 디지털 혁명에 기반을 둔 물리적, 디지털, 생물학적 모든 공간이 초연결된 기술융합의 시대이다. 이러한 4차산업혁명시대가 도래하면서 국가경제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중소기업들은 기업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전략을 반드시 수립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내생적 능력으로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하기에 외부의 전문가의 조력은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지속적으로 컨설팅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바 중소기업의 경영컨설팅을 수행함에 있어 중소기업에게 효과적인 컨설팅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컨설팅서비스 품질 중 전문성을, 컨설턴트 역량 중 지식과 태도를 경영컨설팅서비스특성이라고 정의하고 기업의 흡수역량과 혁신의지를 중심으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경영컨설팅을 수진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컨설팅 프로젝트에 참여한 임직원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수거된 142부 중 응답이 누락되어 불성실한 설문응답을 제거하여 최종 131부의 설문지를 SPSS 22.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총 8가지의 연구 가설을 세우고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컨설팅서비스특성의 전문성은 기업의 흡수역량에 긍정적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경영컨설팅서비스특성의 지식은 기업의 흡수역량에 긍정적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셋째, 경영컨설팅서비스특성의 태도는 기업의 흡수역량에 긍정적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넷째, 경영컨설팅서비스특성의 전문성은 기업의 혁신의지에 긍정적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경영컨설팅서비스특성의 지식은 기업의 혁신의지에 긍정적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여섯째, 경영컨설팅서비스특성의 태도는 기업의 혁신의지에 긍정적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일곱째, 기업의 흡수역량은 경영성과에 긍정적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여덟째, 기업의 혁신의지는 경영성과에 긍정적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의 혁신의지와 흡수역량이 경영컨설팅서비스의 특성에 영향을 받으며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였다.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경영컨설팅 서비스특성 뿐 아니라 기업의 혁신의지와 흡수역량이 매우 중요한 요인 변수라는 것을 밝혀내어 실무적으로도 의의가 있다. 이러한 이론적, 실무적 기여에도 불구하고 적은 수의 설문결과를 가지고 분석하여 결과를 전체로 확대하여 적용하기에 미흡할 수 있어 향후 데이터를 충분히 확보하여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또한 경영컨설팅서비스특성과 관련한 여러 변수를 추가적으로 확대 고려하여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 경영컨설턴트의 역량이 서비스 품질을 통해 중소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조직 창의성 및 혁신성 중심으로

        이정애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5375

        세계경제가 생산성 위주의 산업사회에서 지식기반 경제로 이행되는 추세가 강화되고 있고, 제 4차 산업혁명은 모든 산업에 깊이 침투되어 세계경제의 근간을 변화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갈수록 중요해지는 지식기반을 두고, 현장강화를 위한 서비스산업 가운데에서도 기업의 가시화 되고 있는 경영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의 방향성을 제시해 주는 경영컨설팅 서비스 산업은 더욱 확대 될 수 밖에 없는 지식기반의 고부가가치의 산업이다. 모든 산업전반에 대한 전·후방 연결과 연쇄효과의 시너지로써, 갈수록 컨설팅시장의 확대범위는 성장하고 있고, 중요성과 필요성에 의한 수요는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군다나 제 4차 산업혁명의 시장성에서의 진입으로 인한 융복합 경영컨설팅서비스 산업에 대한 범위는 날로 더 성장해 가고 있는 상황이며, 특히 경영컨설팅 서비스는 타 산업의 적립된 지식집약화와 고부가가치의 산업조차도 지원할 수 있는 지식의 심도 있는 깊이와 경지에 의한 퀄리티로 어떠한 산업에도 지원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지식집약서비스 산업이다. 경영컨설팅은 일반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더 한 단계 나아가 기업의 성장을 위한 포괄적인 중요한 산업분야로 정착되고, 인식의 폭도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경영컨설팅서비스산업에서 컨설턴트의 역량도 중요하지만, 서비스품질요인이 더욱 더 중요하다는 판단에 측정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으며, 4차 산업혁명의 컨설팅 시장경제현황에 미치는 범위의 폭이 확장되면서, 남들과 같거나, 예전과 같아서는 생존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 창의적 사고의 차별화된 창의성 경영의 접목을 통해 융복합 경영컨설팅에 대한 특화화 된 차별화를 연구의제로 삼았다. 이는 경영컨설팅 산업의 확장에 경영컨설팅에 대한 특화화 된 차별화를 연구의제로 삼았다. 이는 경영컨설팅 산업의 확장에도 불구하고 국내 컨설팅사는 컨설팅업의 경쟁 악화, 국내 컨설팅사의 한계에 맞는 소규모 컨설팅시장의 경쟁심화, 자본력의 부족, 고객인식의 저급함 등으로 인하여 많은 애로사항을 가지고 있다. 전 세계 컨설팅시장의 산업 구조변화에 따른 국내 컨설팅업계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환경변화에 대응할 만한 능력 성장, 외국계 기반의 컨설팅회사와의 경쟁에 앞설만한 컨설팅실력 역량의 심도있는 깊이의 강화, 경제시장성 확보를 위한 고객으로부터의 신뢰도 확보,실력이 수반된 컨설팅 시장의 수주량 확보의 노력이 참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경제시장성 고객이 외국기반의 컨설팅사에 컨설팅을 발주하는 경우가 많음은 국내 컨설팅사들의 역량이나 실력에 대한 고객들의 신뢰도가 낮기 때문에 국내 컨설팅사들의 신뢰도 확보를 위한 실력 향상에 대한 꾸준한 노력이 절실할 때이다. 한때, 개발도상국이었던 한국의 산업경제가 제조 기업에 집중해 있던 2차 산업시대의 생산성 향상의 문제도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새로운 기업 가치를 창출하고, 성장하기 위한 선진 경영기법의 도입을 제안하고, 리드하는 것조차도 융복합 경영컨설팅 서비스가 투입되지 않으면 안 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렇게 경영컨설팅 서비스 산업은 다른 산업으로의 파급효과도 크고, 산업사회의 성장기로에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장산업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국내 경영컨설팅 시장은 1990년대 이후 매 해마다 신장률을 기록하고는 있으나, 통계적인 20%로 신장으로는 외국기반 컨설팅사의 역량에 비길 바가 아니며, 지속적인 규모가 확대되어야 할 필요성과 중요성이 지대하다. 그러나 국내 경영컨설팅 시장은 다양하고, 다분화 된 컨설팅경험과 국제적이며, 포괄적인 경험과 정보시장의 네트워크 형성과 대형 자본투자와 유입으로 진입하고 있는 글로벌 컨설팅사에 의해 시장경제가 주도되고 있어, 국내 컨설팅사의 성장에는 진입장벽의 한계가 있으며, 수익성 관점에서의 외국 컨설팅사와의 비교분석을 해보면 매우 열악한 상황으로 평가되고 있다. 현재, 국내의 대·중·소기업들과 일반인들은 컨설팅이란 영역에 대해 인식수준이 외국과 비례하여, 낮은 편이며, 이러한 의식구조가 컨설팅 산업 발전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이는 컨설팅산업 전반을 일임하고 있는 국내 컨설팅사와 근무자들의 자세와 태도, 전문가적인 능력과 역량, 신뢰도에서 신임을 받지 못함도 여러 이유 중에 한 가지 이유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한다. 경영컨설팅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보면, 컨설팅 서비스품질을 중심으로 한 컨설팅사의 입장에서 보면 경영과 관련 수익성을 거론하게 되어, 수익성 제고를 위해, 수단으로서 컨설팅 프로세스 관련 연구가 주를 이루어져 왔고, 컨설팅을 의뢰하는 기업입장에서의 바라는 호의적인 경영성과 결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컨설팅 경영성과 도출이 컨설턴트 개인의 역량에 의해 결과가 좋을 것이라는 핵심적 요소로 간주되어 왔으며, 그에 반한 실증적 연구는 충분하지 않다. 컨설팅 경영성과라는 것이 컨설팅사의 관점위주로 측정되는 경우가 허다하여, 의뢰기업의 궁극적이고, 실질적인 업무적 결과가 성과로 바로 보이는 기업입장에서의(고객관점) 기업성과가 디테일하게 구체적인 제시가 미흡하여 만족치 못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본 연구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과 무섭게 빠른 변화로 급속하게 바뀌는 경영컨설팅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컨설팅 회사의 컨설턴트 역량이 컨설팅 서비스 품질을 통해서 수진기업의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경영컨설팅과 관련된 기존 문헌을 참고하여 컨설팅 서비스 품질은 SERVQUAL 모형을 활용해서 분석하였다. 또한, 컨설팅사의 컨설팅 서비스 품질이 경영컨설팅을 받은 수진기업의 조직 창의성 및 조직 혁신으로 구성된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 창의성이 조직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도 추가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앞선 선행연구나 관련 학술지 등의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컨설팅의 수행 경험이 있는 수진업체 직원, 경영진의 관계자, 프로젝트 참여 인원들에 대하여 설문을 실시했고, 유효한 표본을 추출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실증분석은 SPSS와 smart PL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연구가설 중 서비스 신뢰가 조직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인 가설(H6)을 제외한 전체 가설들이 채택되었다. 결론 부문에 연구결과로부터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정리하였다.

      • 중소기업의 통합활동이 지속가능경영을 통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길화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5375

        본 연구는 국내 소재한 제조 중소기업의 통합활동(사회적통합, 기술통합)과 지속가능성(지속가능성 프로그램 전개, 지속가능성 마케팅 이행)이 지속가능경영(경제적책임, 사회적책임, 환경적책임)을 통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하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소재한 제조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부서장급 이상의 임원(대표 포함)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전문리서치 회사를 통해 온라인으로 설문지를 제공하여 총 획득한 400부 중 불성실 응답지 34부를 제외한 366부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SPSS25와 SmartPLS 3.0을 활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통합이 지속가능성 프로그램 전개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사회적통합이 지속가능성 프로그램 전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회적통합이 지속가능성 프로그램 이행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사회적통합이 지속가능성 프로그램 이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기술통합이 지속가능성 프로그램 전개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기술통합이 지속가능성 프로그램 전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기술통합이 지속가능성 마케팅 이행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기술통합이 지속가능성 마케팅 이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지속가능성 프로그램 전개가 경제적 책임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지속가능성 프로그램 전개가 경제적 책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여섯째, 지속가능성 프로그램 전개가 사회적 책임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지속가능성 프로그램 전개가 사회적 책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곱째, 지속가능성 프로그램 전개가 환경적 책임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여덟째, 지속가능성 마케팅 이행이 경제적 책임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지속가능성 마케팅 이행이 경제적 책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아홉째, 지속가능성 마케팅 이행이 사회적 책임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지속가능성 마케팅 이행이 사회적 책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열번째, 지속가능성 마케팅 이행이 환경적 책임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지속가능성 마케팅 이행이 환경적 책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열한번째, 지속가능경영의 경제적 책임이 기업 성과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경제적 책임이 기업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두번째, 지속가능경영의 사회적 책임이 기업 성과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12는 기각 되었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에서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노력과 함께 사회적책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열세번째, 지속가능경영의 환경적 책임이 기업 성과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환경적 책임이 기업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결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및 실무적 함의를 시사한다. 첫째, 통합활동의 구성요인은 사회적통합과 기술통합이라는 것을 실증하였다는 것이다. 국내 소재하고 있는 제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통합활동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기업 성과에 영향이 있는 다양한 변수들과의 인과관계를 실증하였다. 통합활동과 지속가능성, 지속가능경영 그리고 기업 성과에 대한 평가이다. 통합활동, 지속가능성,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주요 요인들이 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를 설정하여 구조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의 스타트업을 포함한 제조 중소기업의 부서장(팀장) 이상 임원과 대표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통합활동의 핵심 구성개념으로 사회적통합과 기술통합인지 실증하여 보았다. 둘째, 중소기업이 성장하고 발전하고자 한다면, 중소기업의 경영진은 지속가능경영의 핵심가치를 구축하고 이를 지속적인 관심과 함께 실행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결과를 보면, 통합활동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사회적통합이 필요하며, 기업의 경영진은 기술통합도 집중하고 실천해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본 연구 결과 중소기업의 경영진들은 조직 내에서 지속가능성 프로그램 전개와 지속가능성 마케팅 이행이 필요하며 이를 반드시 실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줘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는 것이다. 기업에서는 지속가능경영 체계를 기반으로 지속가능성 전담부서를 상시 가동하여 전사적 지속가능성 시스템 구축으로 지속가능성 프로그램 전개와 지속가능성 마케팅 이행과 관련한 대안들에 대한 최적의 의사결정 체계의 제도화가 필요하다.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기업의 환경, 사회적 지속가능성 프로그램, 에너지와 물 절감 프로그램, 일과 삶의 균형정책 등 체계화와 효율적 운영 관리도 조직 내 전담부서를 통해 예츨 불가한 국내외의 경제와 정채 상황에서의 기업들은 지속가능성 프로세스 확립이 치열한 비즈니스 경쟁에서 생존할 수 있는 길의 최적화가 중요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참조하면 제조 중소기업들이 지속가능성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혁신지향성, 사회적통합 및 기술통합 관련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창업기업의 혁신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창업활동, 경영혁신, 기업역량을 중심으로

        윤병선 대전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35359

        우리나라 창업기업들은 국내와 글로벌 시장에서 기업 간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으며 삶의 법칙을 몸소 체험하면서 이를 바탕으로 활발한 기업 활동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2015년에 발생한 메르스 사태와 내수 부진 및 수출 감소로 2015년 기준 2.6%의 성장세를 보였고, 2016년은 한국개발연구원에서 경제성장율을 3.0%에서 2.6%로 하향 조정하였다. 2016년 우리나라 경제는 경제성장률 침체분위기가 고조되어 성장이 둔화하고 있으며 고착화 위기에 빠져 기업들은 고용 없는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경제 패러다임도 시대 변화 흐름에 따라 자원기반 경제에서 지식기반 경제로 변화하고 있으며, 지식기반 경제에서 창업기업은 혁신성과 유연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적응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 고품질의 제품을 요구하는 하이테크 산업시대에 창업기업은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서 창업기업만의 역량과 성능을 가지고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선점하여야 한다. 창업기업의 혁신성과 유연성 등 기업역량을 활용하여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것은 기업 성장에 매우 중요하다. 창업기업의 창업성공율 향상을 위해서는 기술 및 인프라 역량 축적이 필요하지만 열악한 창업생태계에서 대다수의 창업기업들은 창업성공 보다는 사업자를 유지하는 정도에서 몸부림치며 기업을 이어가고 있다. 창업기업은 창업 후 3~4년차에 맞이하는 ‘죽음의 계곡’으로 인하여 약 80% 정도에 해당하는 대다수의 기업이 생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고 있는 정부에서도 R&D 자금 지원 및 컨설팅 등을 통하여 건실한 창업기업 육성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창업기업의 창업활동은 취업난에 허덕이는 인재를 채용함으로써 신규 고용 창출이 이루어지고 더불어 지역 경제 활성화 견인차 역할을 통하여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핵심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대다수의 창업기업들은 창업 초기단계에 만족할 만한 경영성과를 이루지 못하고 좌절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창업기업은 창업 준비단계 및 초기단계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또한, 창업기업 현장과 창업관련 학계에서는 창업기업의 성공창업을 위한 밑거름으로 창업활동 및 경영혁신, 기업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크게 두 가지 연구 소주제에 대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실증 분석하였다. 제2장에서는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창업 준비 및 초기단계 활동이 창업기업 경영성과에 얼마나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 하였으며, 제3장에서는 창업기업의 혁신전략과 혁신문화가 역동적 역량과 기술적 역량을 통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인과관계를 종합적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의사결정이 가능한 창업기업 대표 및 임직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실증 분석을 위한 설문 항목은 리커트 7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설문 응답자들에게 소정의 선물을 지급하여 고품질의 설문을 받고자 노력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03개의 유효한 자료를 확보하였다. 연구모형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PL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가설이 통계적으로 유효하게 나타났다. 제2장에서는 창업기업의 비즈니스에 필요한 창업 준비단계 발견 활동과 활용 활동이 창업 초기단계 기업 자원과 외부기업 협력을 통하여 업력이 짧은 창업기업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제3장의 결과를 살펴보면 창업기업의 혁신전략과 혁신문화가 역동적 역량과 기술적 역량을 통해 창업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창업기업의 환경에 맞게 혁신전략과 혁신문화를 적용하면 창업기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 및 공헌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창업기업의 임직원과 정부 및 유관기관 이해관계자들은 창업 준비단계에서 발견 활동과 활용 활동이 기업을 이제 시작한 창업기업의 초기단계에 기업 자원과 외부기업 협력 활동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인식하고 창업 준비 활동에 필요한 정부정책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둘째, 창업기업은 업력이 풍부한 기업에 비하여 부족한 기업자원을 강화하기 위하여 비즈니스 관계에 있는 협력기업과 파트너 관계를 유지하면서 경영성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기업의 보유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전략과 이에 따른 실천행동이 중요하다. 셋째, 창업기업은 혁신전략과 혁신문화를 통하여 기업 내 기존 전략과 문화를 포용하는 양면성 전략을 펼쳐 나가면 경영성과가 향상 될 수 있다. 넷째, 급변하는 글로벌 환경에서 창업기업만의 유연성과 특수성을 활용하면서 역동적 역량과 기술적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여 글로벌 환경에 적응해 나가야 한다.

      • 중소기업의 융합기술경영전략을 위한 특허네트워크 분석

        이대용 대전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35359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기술경영전략을 수립하기 위하여 국제 특허 분류 코드(IPC)를 기반으로 한 특허 기술 분류와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관련 기술의 특허 동향과 향후 전략을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신재생에너지, 그 중에서도 태양광 모듈 및 식물공장 관련 특허의 국제적인 추세 및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삼극특허출원과 한국특허출원건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IPC 코드별 출원을 조사하여 핵심 기술 분야와 특허 출원 현황을 분석하 특허 기술개발의 현황과 기술변화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IPC코드의 주분류 - 부분류 간의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주된 기술을 중심으로 한 기술융복합과 기술개발 추이를 비교분석하였다. 태양광 모듈에 있어 삼극특허출원의 경우는 원천기술이, 한국특허출원의 경우 응용제품기술 중심의 연결관계 특성을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IPC코드 기반 특허네트워크 비교분석을 통해 기업과 기술의 트렌드를 보다 심층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국내 중소기업들은 향후 각 분야별 중소기업형 기술 로드맵에 따라 글로벌 기술경쟁력의 강화를 위해 삼극특허출원에서 중점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분야에 관한 지식을 지속적으로 연구개발 하여야 함을 제시하였다.

      • 소공인의 CE0, 기업특성 및 정부지원정책이 의사결정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네트워크 활동 및 흡수역량 중심으로

        윤상만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35343

        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에 소재한 고용규모 10인 미만의 제조업을 영위하는 소공인CEO와 소공인특화지원센터의 관할구역 내 소공인CEO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변수들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항목들은 ‘매우 그렇지 않다(1점)’부터 ‘매우 그렇다(7점)’까지 7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격적인 설문조사는 2018년 9월 한 달 동안 구글설문 및 e메일을 통한 online 방식과 직접 설문대상자들 방문을 통한 offline 방식을 혼합하여 진행하였다. 총 186개의 설문지가 수거되었으며 응답이 불성실하고 내용이 완전하지 않은 설문지를 제외하였으며, 특히, 본 연구목적에 맞도록 소공인 고용규모에 맞는 10인 미만 기업을 선별하였다. 최종적으로 149개의 설문지 데이터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독립변수인 산업클러스터특성, 소공인CEO및 소공인기업특성, 정부지원으로 네트워크 활동과 흡수역량을 매개로 종속변수인 의사결정의 질(質)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모형으로 검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소공인의 산업클러스터특성을 나타내는 산업생산특성과 소공인이 정부에 바라는 정부지원활용의 관계에서 경로계수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공인기업이 느끼는 정부지원신뢰도는 정부지원활용 관계에서 경로계수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공인CEO의 도전정신과 자기효능감은 각각 소공인기업의 학습지향성의 관계에서 경로계수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부지원활용과 소공인기업의 학습지향성은 각각 네트워크 활동과 흡수역량에 대한 관계에서 각각의 경로계수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소공인기업이 정부기관중심의 네트워크 활동은 소공인기업의 흡수역량의 관계에서 경로계수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소공인기업활동인 네트워크 활동과 흡수역량은 소공인기업 의사결정의 질(質)에 대한 관계에서 각각의 경로계수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정부기관 중심의 네트워크 활동과 소공인기업의 재무적 성과측면에서 경영성과에 대한 관계에서 경로계수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소공인기업CEO의 의사결정의 질(質)은 소공인 기업의 재무적 성과측면에서 경영성과에 대한 관계에서 경로계수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연구가설이 지지됨에 따라 해당 연구모형은 논리적인 연구 설계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소공인CEO의 특성과 정부지원이 의사결정의 질(質)과 경영성과를 설명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이고, 특히 본 연구에서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한 요소로 주목하였던 소공인 기업활동인 정부기관중심의 네트워크 활동과 소공인기업의 흡수역량은 매우 유의미한 매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소규모 제조업을 영위하는 소공인 기업 경영환경에서 시장 환경의 불확실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활용한 변수들 이외 다양한 변수들을 접목하여 복합적인 연구모형이 설계되고 소공인에게 최적화된 측정도구 등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소공인기업의 경영자(CEO)로 직・간접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느끼고 알게 된 경영현장의 여러 애로사항과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갖고 있던 소공인기업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성장방안을 찾는 고민에서 시작하였다. 특히 소공인기업의 경우 그 특성상 경영자(CEO)가 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역할이 매우 크기 때문에 경영자(CEO)의 관점에서 연구의 주제를 접근하였다. 소공인기업이 지니고 있는 고질적 취약점인 인력난, 자본난과 고용규모가 10인 미만이라는 소규모기업의 특성으로 불확실한 경영환경에서 소공인CEO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소공인CEO특성이 소공인기업 경영시 의사결정의 질(質)을 높여 경영성과를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소공인 기업은 가용할 수 있는 내부자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산업클러스터(집적지)를 통해 외부자원과의 협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업인프라를 지원하는 정부기관의 지원과 네트워크 활동을 통해 의사결정의 질(質)과 경영성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 소공인의 산업클러스터(집적지)특성을 나타내는 산업생산특성과 소공인CEO가 느끼는 정부지원 신뢰도가 정부지원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 검증하였으며, 정부지원활용이 네트워크 활동에 미치는 영향과 소공인기업 활동의 네트워크 활동이 흡수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소공인기업활동을 매개로 소공인 기업성과인 의사결정의 질(質)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또한, 소공인CEO의 도전정신과 자기효능감은 각각 소공인기업의 학습 지향성에 영향관계를 검증하였으며, 소공인기업특성인 학습지향성이 소공인의 기업활동 흡수역량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소공인기업의 흡수역량을 매개로 소공인 기업성과인 의사결정의 질(質)과 경영성과에 대한 영향관계를 검증하였으며, 각 변수 대한 개념과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각각의 요인을 도출하여 영향관계를

      • 소상공인의 경영자역량이 재무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경영교육의 매개효과 중심

        박소연 대전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5343

        소상공인 창업은 준비가 부족한 상황에서의 창업과 경영노하우와 정보의 부족 그리고 영세성으로 인해 폐업의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으며 전 세계적인 코로나19로 인한 급격한 경기침체로 소상공인들의 사업운영과 경영환경에 큰 변화를 주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소상공인 재난지원정책을 전개중이나 수많은 소상공인들은 일시적인 지원으로는 성공은 고사하고 생존조차 불투명한 상황이다. 성공적인 창업을 위해 자생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지원이 사업운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여 사업의 성공에 한발 다가설 수 있는 방향성을 제공하고자 연구를 이행하게 되었다. 정부와 소상공인지원기관에서는 경영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고 많은 교육생을 배출하고 있으나 이러한 교육프로그램 실시 후 그 성과를 계량적으로 산출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어 성과결과물로 보고된 것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소상공인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는 대부분 창업교육과 역량강화컨설팅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으나 이미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소상공인의 경영교육에 관련한 실증연구는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영교육 수료자를 대상으로 경영자역량, 경영교육, 재무성과, 지속가능성 변수 간의 인과관계 검증으로 그 관계성과 경영교육의 운영성과도 확인해 보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 번째, 소상공인의 경영자역량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리더십역량과 자원역량은 재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무역량은 재무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자원은 재무와 연결성이 있음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고 리더십도 경영에 있어서 리더의 의사결정에 관한 능력으로 의사결정이 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직무역량은 사업적 지식과 경험에 관한 것으로 재무적인 부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경영자역량이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리더십역량은 경제적지속성과 사회적지속성, 환경적지속성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역량은 경제적지속성과 사회적지속성, 환경적지속성에 모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원역량은 사회적지속성에만 정(+)의 영향을 미치며, 경제적지속성과 환경적지속성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 또한 위에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비슷한 결과가 나온 것으로 소상공인의 리더십역량은 경영에 있어서 리더(경영자)의 의사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직무역량의 사업적 지식과 경험은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것이며, 자원역량에서는 사회적지속성에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고용부분에 있어서의 고용증가나 사회적환원이기에 자원과 연관성이 있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경영교육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서 경영교육이 매출, 순이익, 시장점유율, 고객확보 등의 부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경영교육이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영교육은 지속가능성의 경제적지속성과 사회적지속성, 환경적지속성에서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경영교육은 제품 또는 서비스 개선에 도움이 되며, 고용증가와 자원의 효율적 사용 등에 있어 다양한 지속가능성의 분야에 모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상공인 경영자가 받은 경영교육은 재무성과에 지속가능성에 모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이므로 경영자는 교육에 참여하여 경영활동을 개선하고자 노력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경영교육을 지속적으로 받을 필요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렇기에 경영주로서 교육을 적극적이며 지속적으로 받는 자세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결과는 소상공인의 재무성과와 지속가능성을 위해 경영교육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본 실증연구를 요약하면, 경영교육은 사업의 재무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있으므로 사업의 생존과 지속적인 성과를 위해 교육습득의 노력은 꾸준해야 할 것이며 이러한 노력은 경영활동에 도움이 되어 결과적으로는 경영교육을 통해 경영성과를 전략적으로 최대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중소기업의 IT지원이 지식경영활동을 통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한혁 대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5343

        본 연구는 국내 중소기업의 IT 지원과 혁신 행동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 IT 지원과 혁신 행동의 영향 관계에서 지식경영활동의 매개 효과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으며, Smart PLS 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IT 지원은 지식경영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지원의 구성 변수인 마케팅역량 IT 지원, 기술 역량 IT 지원이 지식획득과 축적, 공유, 활용에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IT 지원과 혁신 행동의 영향 관계에서 지식 경영활동이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IT지원과 아이디어 개발 간의 영향 관계에서는 지식획득, 지식축적, 지식 활용이 모두 긍정적인 매개 효과를 가졌다. 또한, IT 지원과 아이디어 실행 간의 영향 관계에서는 지식획득, 지식축적, 지식공유가 긍정적인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면, 첫째, 중소기업의 IT 지원이 지식경영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하여 중소기업의 경영활동 다각화를 위해 IT 지원이라는 선행절차가 필요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중소기업은 IT 기술과 관련한 지원 및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지식경영활동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조직구성원의 혁신 행동 도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이 대기업에 비해 다소 부진하고 미흡하다고 판단되는 IT 지원 및 지식경영활동, 혁신 행동을 조사하고 변수 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으며, 중소기업의 지식경영활동이 혁신 행동을 위한 의미 있고 중요한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IT support from domestic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on innovative behavior and to understand the mediating effects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in these two factor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participants working in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in Korea to achieve their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data collected using SPSS 25.0 and SmartPLS 3.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upport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The configuration variables of IT support such as marketing capability IT support, technical capability IT support, have a positive impact on knowledge acquisition, accumulation, sharing and utilization, respectively. Second, in the relation between IT support and innovation behavior,this study evaluated the meditating effects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such as acquisition of knowledge, accumulation of knowledge,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utiliz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knowledge acquisition, knowledge accumulation, and knowledge utiliz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tating effects, and knowledge sharing variable was excluded. This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rom these results: First, IT support from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has a positive impact on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prerequisite for IT support to diversify management activities of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Seco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have been shown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T support and innovation behavior.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T support and idea development, knowledge acquisition, knowledge accumulation, and knowledge utilization all had positive intermediary effects. Furthermore,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IT support and idea execution has shown that knowledge acquisition, knowledge accumulation, and knowledge sharing have positive intermediary effects. This study is very meaningful in that es.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investigated IT support,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nd innovation behaviors that are considered to be somewhat sluggish and insufficient compared to large companies and identified their impact among variabl

      • 컨설턴트의 커뮤니케이션과 역량이 컨설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서비스품질과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박동수 대전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5343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디지털 전환 및 포스트 코로나 전략과 산업기술 간 융복합 등 기업 스스로 당면한 이슈 해결이 어려워 문제해결을 위한 컨설팅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기업은 현재까지의 경험과는 다른 형태의 완전히 새로운 세상을 직면하고 있다. 전통 산업구조의 종언과 함께 비대면을 기반으로 한 뉴노멀 시대를 열어가는 기회와 위기가 동시에 찾아오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컨설턴트의 역할과 책임이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컨설팅사의 경우 규모가 영세하고 글로벌 컨설팅사와의 경쟁에서 점유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서비스산업에서 소비자와 서비스제공자 사이에서 소통은 점차 변화하고 있다. 세대간의 소통과 이해관계자간의 의사소통은 물론 교사와 학생간, 가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연구가 발표되었으며 지속적으로 연구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이다. 또한, 대부분의 서비스산업에서 커뮤니케이션 관련 연구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의 연구이기 때문에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의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에 대해 실증분석하고자 하였다. 컨설턴트는 컨설팅 프로젝트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기업의 경영상 문제점을 파악,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요기업과 소통하며 해결책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의 교환은 필수적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화상회의 등 온라인미팅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위 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컨설턴트의 커뮤니케이션과 컨설턴트 역량이 서비스품질, 신뢰, 특히 컨설팅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외 선행문헌 고찰을 통하여 개념적 연구모형을 구성하였으며 이를 컨설팅 수행경험이 있는 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결과 크론바흐알파 값은 0.829로 높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D-H rho 값은 최저값이 0.835, CR 값의 최저값이 0.875로 높은 신뢰도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크론바흐알파값, D-H rho 값, CR 값 모두 0.8이상의 높은 수치로 내적 일관성 신뢰도 모두 충족하였다. 집중타당도의 경우 동일 잠재변수를 측정한 결과 값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어야 한다. 집중타당도는 외부적재값(Loadings)와 측정변수 신뢰도(Indicator Reliability) 및 평균분산추출(AVE) 세 가지 수치를 평가한다. 본 연구의 외부적재값(Loadings)의 최소값은 0.711으로 기준값 0.7 이상을 만족하였고, 측정변수 신뢰도(Indicator Relability)의 최소값은 0.504로 기준값 0.5 이상을 만족하였으며 평균분산추출(AVE) 최소값은 0.520으로 기준값 0.5 이상을 만족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잠재변수의 측정치는 기준값보다 모두 높은 수치로 측정모델의 집중타당도의 기준을 충족하였다. 컨설팅 과정의 수진기업 측면에서 보면, 컨설턴트의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보다는 컨설팅 범위와 목표의 구체성, 프로젝트 수행능력, 프로젝트 관리능력, 추진방법론의 적절성과 같은 컨설턴트 역량 측면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즉, 컨설턴트를 선택할 시에도 유창한 말솜씨와 컨설턴트의 외모, 옷차림 등보다 컨설턴트의 기업문제와 추진방법론에 대한 전문지식, 다양한 상황과 자원요소를 활용, 정보를 취합하고 분석하며 대안을 제시하는 능력 등을 먼저 고려해야 한다.

      • 아웃소싱에서 공정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파트너십과 PM역량을 매개로

        박상문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5343

        급변하는 내부 혁신과 외부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아웃소싱을 통한 비용절감 및 외부자원 활용을 통한 조직의 유연성 향상 및 기업성과 향상을 위하여 아웃소싱 전략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한편, 아웃소싱을 이용하는 이유는 아웃소싱의 성과, 즉 경영성과의 향상에 기여하기 위함인데, 경영 성과 향상에 기여하는 아웃소싱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원청과 계약자 간의 공정한 거래 관계와 쌍방의 상호 신뢰와 상호 협력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파트너십을 맺으면 경영성과에 기여할 수 있고 동시에 PM(Project Manager)의 역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아웃소싱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고객이나 파트너의 한 측면에서 조직몰입이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 왔으며, 아웃소싱에서 공정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어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 첫째, 공정성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공정성의 하위 차원인 분배와 상호작용공정성은 경영성과에 유의미하지 않은 반면, 절차적 정정성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사의 경영성과에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파트너십의 하위차원인 상호결속, 상호신뢰, 동반자관계의 상호의존성은 모두 고객의 경영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정성은 파트너십과 PM역량을 통하여 고객의 경영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컨설턴트 역량은 PM 역량이 고객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아웃소싱에서 파트너십과 Project Manager 역량을 통해 고객의 경영성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첫 시도이며, 절차적공정성은 아웃소싱에 있어 고객사의 경영성과에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그리고 유능한 Project Manager를 배치하려는 협력사의 노력이 중요함과 동시에 유능한 컨설턴트를 활용하려는 고객의 노력이 아웃소싱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사업을 의뢰한 고객사와 위탁받은 기관 간에 효과적인 사업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order to flexibly respond to internal innovation and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outsourcing to reduce costs by using outsourcing and to improve organizational flexibility and corporate performance by using external resources. On the other hand, the reason for using outsourcing is to contribute to the performance of outsourcing, that is, to improve management performance. In order to utilize outsourcing tha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justice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government office and the contractor and mutual trust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sides. If you have a partnership, you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management performance,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said that the competence of the project manager, or PM, is of paramount importance. Until now, most studies on outsourcing have been studying th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 job satisfaction in one aspect of a customer or partner, and there is almost no research on justice in outsourcing. I thought it was necessar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justi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partnership, while distribution and mutual justice, which are the lower dimensions of justice, were not significant, whereas procedural justice was positive(+) that was significant i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clients. Second, it was found that mutual solidarity, mutual trust, and interdependence in partnership all improved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customers. Third, it was found that justice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clients through partnership and PM competency.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sultant competency controls the influence of the PM competency on the customer's management performance.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empirically analyze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clients through partnership and Project Manager competency in outsourcing, and procedural justice is an important factor in outsourcing. This suggests that the efforts of suppliers to put in a competent Project Manager are important, and at the same time, the efforts of customers to utilize competent consultants are important factors that can improve outsourcing performance.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direction to derive effective project results between the institution requesting the project and the commissioned institution will b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