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경 분석 기반 해외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 개선 연구 : 파라과이 INAES 한국어교육학과를 중심으로

        김장식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0783

        This study is intended to improve curriculum of the Korean education department of INAES in Paraguay based on the environmental analysis to be preceded for curriculum development. The factors for environmental analysis in the established language curriculum are not suitable as the ones to be analyzed for development of the overseas Korean education department curriculum aimed at fostering Korean language teachers. Accordingly, the factors for environmental analysis to be analyzed when cultivating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set up to be applied to the improvement in curriculum after an in-depth analysis. To be concrete,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Korean education department of INAES and its curriculum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actors for environmental analysis and problems were drawn. After then, a requirement analysis targeting the learners and teacher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o present a curriculum development plan reflecting this. The content of this study summarized by chapter is as follows. Chapter 1 identified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on Korean language curriculum as the base of discussion. Precedent studies on overseas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re examined as well.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 of studies on the existing overseas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was limited to the current status without a specific set-up of the factors for environmental analysis.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type and procedure of curriculum was considered as the basis for discussion on curriculum improvement, and the discussion on the environmental analysis with regard to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was reviewed. In addition, factors for the environmental analysis necessary for the curriculum to cultivate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established. Chapter 3 analyzed the environment of the Korean education department of INAES in Paraguay by factor with the environmental analysis factors established in Chapter 2.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currently in progress was examined in detail, and the local policies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cultivation of foreign language teachers, and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in the country were analyzed as dividing the environments internally and externally. In Chapter 4, the needs of the learners and teachers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the Korean education department of INAES were investigated,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presented. The questionnaire participants were 56 learners and 12 professors. Additionally, a total of 54 learners and professors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about the necessity of subjects required to acquire the second Korean language teacher's license. The teachers were limited to those who teach Korean in the country or have experience in teaching the language. The questions were largely divided into general items and research on the curriculum improvement. The research on perception on Korean language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Spanish-speaking learners’ perception on Korean language and their perception on other languages. In addition, it was identified that their responses regarding Korean language classes, circumstances, topics, and learning objectives demonstrated that the learners, the teachers,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Paraguay currently required a new curriculum. The results drawn from this were fed and applied into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in Chapter 5. Based on the earlier studies, a plan for improvement in the curriculum was presented in Chapter 5. Specific content was proposed focusing on education objective,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 arrangement of educational content, and outline of subjects. It was set with the purpose of nurturing professional Korean language teachers with expertise in the language and abilities to have as a language teacher, with the principle of curriculum design as a comprehensive technique, versatility, practicality, and clarity. Next, the purpose and objective of the Korean education department of IANES were concretely established, and the subjects were selected based on non-na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competences and INAES curriculum. This study precisely informe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araguay in Latin America, which had not dealt with in previous studies, analyzed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is Spanish-speaking country and figured out its problems, and established the environmental analysis factors that had not been closely considered in the existing overseas departments to cultivate Korean language teachers. This will serve as a standard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training overseas Korean language teachers. It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designed a curriculum to cultivate Korean language teachers with a focus on improving non-na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competences and applied it to the actual overseas Korean education department curriculum.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이정숙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51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적으로 급속히 변화되고 있는 한국어 교육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민첩성과 실제 교육 현장에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한국어 교육 능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을 개선 방안 연구하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의 1장에서는 한국어 교사 교육과 외국어 교사 교육에 관련된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언어 교사와 한국어 교사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개념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한국어 교사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는 국어기본법 시행을 기점으로 이전과 이후의 한국어 교사 교육의 환경 변화를 살펴보고, 기존의 한국어 교육 관련 학과의 교육과정을 분석해 본 결과를 통해 현장 밀착형 한국어 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 내용이 포함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4장에서는 3장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의 목적 및 목표, 교사 교육의 내용 등을 고려 사항으로 두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을 설계해 보았다. 5장에서는 본고의 내용을 정리하고 후속되어야 할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급속히 변화되고 있는 한국어 교육 환경에 대해 파악해 보았다는 것과 실제 교실 현장에서 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한국어 교사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한국어 교사 교육에 대한 세부적인 교육과정 개선 방안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KFL) courses in order to enhance its agility to properly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nd out of the country, and to develop teaching skills able to be flexibly applied in the real education environment. Chapter I examines previous studies on teacher training courses for both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foreign language teachers. Chapter II studies the basic concepts and features of the education course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other language teachers. The study shows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o improve their expertise. Chapter III examines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education course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hat occurred before and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Basic Law of Korean Language. It also analyses the traditional curriculum used in the related departments at universities. The study shows that the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in the way that it can foster teachers who are able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students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nd flexibly respond to the different circumstances in the field. In Chapter IV,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vious chapter, the curriculum of KFL education courses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and the education contents. Lastly, Chapter V summarizes the thesis and proposes subsequent research projects. This paper is useful in that it examines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esents the curriculum able to foster teachers who are highly adaptable to the teaching fields. In the future, more studies on more detailed measures to improve the curriculum for KFL teachers are expected to be carried out in order to enhance their expertise and professionalism.

      • 중국 대학의 교양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조군아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0751

        本论文的研究目的在于开发中国大学选修韩国语教材。 2015年以来,中国很多大学开始停止韩国语专业招生,同时《教育部高等教育司2019年工作要点》对此提出要全面深化大学公选外国语课程改革,在教育环境良好的大学里争取提高第二、第三公共外语教学的实效性,提出了实施针对性授课改革的要求。另外,不断完善大学外语教学体系,大学不仅要构建英语授课体系,还要实施俄语,日语,韩国语,葡萄牙语等公共外语教育。因此作为选修科目的韩国语教育未来将在中国高等教育中得到进一步扩大和发展。 虽然从2018年以来中国国内关于大学选修韩国语教育的研究越来越多,但是选修韩国语教材开发方面的研究仍然非常不足。近年来,针对韩国语专业使用的教材开发相关研究很多,研究主要关注了在韩国开发的优秀韩国语教材以及商务韩国语教材。但是目前中国大学里使用的选修韩国语教材种类少并且存在一些问题,很多教材设计不符合大学选修教育目标,并且普遍存在选修韩国语教材开发初期阶段所需要的有效性基础资料不足等问题。优秀的教材不仅能够传播语言知识也是文化知识的载体,优秀的选修韩国语教材在讲授语言的过程中同样能起到传播韩国文化知识的作用。 根据以上阐述的问题点为基础,本论文探讨了中国国内的选修教育课程和选修韩国语教育课程的目标和内容,并且分析了目前中国现有的选修韩国语教材,然后针对中国大学申请选修韩国语课的学生和讲授选修韩国语课程的教师,以及中国大学与选修韩国语教育相关的行政人员为对象进行了问卷调查,设定了教材的开发方向,并提出了相应的选修韩国语教材实际构成案例。 关键词: 选修韩国语, 通识教育, 教育课程, 课程设计, 教材开发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중국 대학의 교양과목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한국어 교재를 개발하는 데 있다. 2010년대 후반기에 들어와 중국에서 많은 대학들이 한국어 전공자의 모집을 중단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와 맞물려 중국 <교육부 고등교육사 2019년 사업 포인트(教育部高等教育司2019年工作要点)>는 공공외국어 수업 개혁을 전면 심화하고, 교육 환경을 잘 갖춘 대학에서 제2, 제3의 공공외국어의 실효성을 높이도록 맞춤형 수업 개혁을 실시할 것을 제시했다. 또한 대학 외국어 학습 체계를 보완하고 대학에서 영어 수업 체계를 구축할 뿐만 아니라 그 외에 러시아어, 일본어, 한국어, 포르투갈어 등 공공 외국어 교양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교양과목으로서의 한국어 교육은 앞으로 중국의 대학교육에서 더욱 확대되고 발전될 것이다. 2018년 이후에 중국 내 대학 교양한국어에 관한 연구가 많아졌으나 교양한국어 교재 개발은 여전히 부족한 상태이다. 중국에서는 최근 몇 년간 한국어 전공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적지 않았지만, 한국에서 개발한 우수한 전문 교재와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를 수입해 왔다. 그러나 교양한국어 교재는 아직 많이 부족하고 교양한국어 교육목표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가 있거나 교양한국어 교재 개발 초기 단계에 필요한 실효성 있는 기초 자료가 매우 부족한 경우가 많다. 우수한 교재는 언어 지식을 전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문화 지식의 수용체여야 하며, 언어를 가르치는 과정에서 한국문화, 한국사회를 보급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내 교양교육과정과 한국어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검토하고 현재 중국 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또한 중국 대학에서 교양한국어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과 교사, 그리고 대학의 행정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교재의 개발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를 적용하여 교양한국어 교재의 교수요목을 설계하고 교재 전체의 단원을 구성한 다음 교양 한국어 교재의 한 단원을 예로 제시하였다.

      • 中國人 學習者를 爲한 韓國語·擬聲語·擬態語 敎育 硏究

        장학련 釜山外國語大學校 2012 국내박사

        RANK : 250751

        In Korean language system, native vocabulary is the most basic, the most common words and expressions for everyday use. As an important part of this kind of native vocabulary,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can express human emotion and delicately and smoothly describe specific objects. Therefore, in order to strengthen performance effects of language, Korean people use a lot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in their daily life. For Korean native speakers,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can be understood without specific education. But for Chinese speakers,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re difficult to grasp and education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is necessary. Especially in the aspect of substantially increasing Korean language level of foreign Korean learners, systematically implementing the education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is particularly important. Especially, in Korean words and expressions for everyday use, expressive words are well-developed, a great part of these expressive words are implemented by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which can delicately and accurately things. For this reason, in order to improve foreign Korean learners' level of Korean skills, special and systematic learning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for them is necessary. In Chinese language,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is not as well-developed as Korea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ability of Chinese speakers' vocabulary, this study advocates systematic education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should be implemented for Chinese speakers. This study discusses characteristics of phonology and morphology, and then provides education plan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nd develops related graded teaching materials. In Chapter 1,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education is clarified. And then related studies in philology,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re analyzed and effective research approach and procedures are provided. In Chapter 2, the concept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in Korean linguistics is unscrambled. Furthermore, after characteristics of phonology and morphology are specifically discussed,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differences of near synonym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nd differences between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re also discussed. At the same time, constitutive principle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derivatives' vocabulary is provided. And then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implementing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education based on characteristics of phonology' and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education based on characteristics of morphology' are also provided. In Chapter 3,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in order to effectively select out education content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provide education plan and develop teaching materials for Chinese speakers, this study selects Korean teachers and learners in China as research objects,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ir knowledge, requirements and actual using learn method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tems, this study explores education content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education activity types and development of related vocabulary teaching materials. In Chapter 4, firstly actual appearing situation and appearing frequency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in Korean·Chinese Korean teaching materials, Korean Vocabularies,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and other Korean sentences which are used in daily life is analyzed. And the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and investigation result, selective principles of education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is provided. Therefore an education content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is made based on these selective principles. Moreover, for lmiddle-and-high level learners, based on the education content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derivative content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is also made. In Chapter 5, based on the education content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using the content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nd its derivative selected in Chapter 4, 'near synonym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comparative education contents based on based on characteristics of phonology' and 'derivative education contents according to suffix' which i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morphology are provided, various vocabulary education activities which can help learners' learning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re also provided. In Chapter 6, based on the provided education plan and considering the investigation result in Chapter 4, constructive main points and direction of teaching materials of Korean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re grasped. And then based on the vocabulary of the content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nd its derivative selected in Chapter 4, teaching material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ccording the different learning levels(basic, middle, high) are developed. Moreover, 3 examples of basic, middle, high learning levels are selected for demonstrating the unit construction of each learning level's teaching material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Moreover, in order to verify the actual effect of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and education plan provided in this study, this study selects 1-3 grade university students of Korean Department of a university in China and takes one semester experiment teaching and also makes questionnaires and evaluation results from them. After questionnaires and evaluation results of test are analyzed, the conclusion that the education plan and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are valid is made. Finally, in Chapter 7, conclusions of each chapter are made and deficiencie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plan are provided. 한국어 어휘체계에서 가장 기본적이며 자주 쓰는 고유어의 중요한 구성 부분인 의성어·의태어는 인간 감정을 나타나거나 특정 대상을 세밀하고 유창하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언어의 표현 효과를 강화하기 위하여 일상 언어 생활 속에서 많이 쓴다. 의성어·의태어는 한국어 모어 화자들에게는 자연적으로 습득되어 별도의 교육을 받지 않더라도 의미 파악에 큰 어려움이 없는 반면에 한국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학습자들에게는 의성어·의태어 교육이 필요하다. 의성어·의태어 교육은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을 크게 향상시키는 측면에서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일상생활 어휘 중 표현 어휘가 발달하였는데, 이런 표현 어휘의 상당한 부분이 사물을 세밀하고 정확하게 표현해 낼 수 있는 의성어·의태어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의성어·의태어에 대해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학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어보다 의성어·의태어가 그다지 풍부하지 않은 중국어를 모어로 하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어휘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의성어·의태어(특히 의태어)에 대한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할 필요성이 있음을 주장하고 한국어 의성어·의태어의 음운론적, 형태론적 특징을 검토하여 학습자의 등급에 맞는 의성어·의태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 학습 등급별 관련 교재를 구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1장에서는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교육을 연구하는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언어학 측면, 국어 교육학 측면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측면에서의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연구 방법과 절차를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국어학 측면에서 한국어 의성어·의태어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의성어·의태어의 음운론적 특징과 형태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고 나서 또 이 두 가지 특징을 바탕으로 의성어와 의태어의 차이점을 구분했으며, 의성어·의태어 파생어의 어휘 구성 원리도 제시하였다. 따라서 '음운론적 특징에 따른 의성어·의태어 유의어 교육'과 '형태론적 특징에 따른 의성어·의태어 파생어 교육' 실시를 하는 이론적 의거를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위의 논의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의성어·의태어 교육 목록 선정, 교육 방안 제시와 관련 어휘 교재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하여, 중국 국내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그리고 실제 학습 중에 사용하는 학습방법을 조사하고 분석했다. 본 연구는 이 조사 항목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내용과 교수 활동 유형을 제안하고 관련 어휘교재도 구성하고자 하였다. 제4장에서는 한·중 양국의 한국어 교재, 한국어 어휘집과 한국어 능력시험을 비롯하여 한국어 교육과 기타 실생활 중에 나타난 한국어 말뭉치에서의 의성어·의태어의 실제 제시현황과 출현빈도수를 분석하여 정리하고 나서 이 정리된 분석 결과와 제3장에서 제시한 요구 조사를 바탕으로 의성어·의태어 교육 목록의 선정 기준을 제시했다. 그리고 이 어휘목록 선정 기준에 따라서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교육 목록을 선정했으며, 중급부터의 의성어·의태어 파생어 학습을 위하여 선정된 의성어·의태어 교육 목록을 바탕으로 의성어·의태어 파생어 목록도 선정하였다. 제5장에서는 4장에서 선정된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및 파생어 목록을 가지고 한국어 의성어·의태어의 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의성어·의태어의 '음운론적 특징에 따른 의성어·의태어 유의어 비교 교육 내용'과 형태론적 특징을 바탕으로 '접미사에 따른 파생어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으며, 학습자의 의성어·의태어 학습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의성어·의태어 어휘 교수 활동을 제시했다. 제6장에서는 앞서 5장에서 제안된 교육 방안을 바탕으로 제3장의 설문 조사 결과를 고려하여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교재의 구성 요목과 구성 방향을 선정하고 제4장에서 선정된 의성어·의태어 및 파생어 교육 목록 중에 제시된 어휘들을 이용하여 학습단계별로 나누어 의성어·의태어 교재를 하였다. 그리고 초급, 중급, 고급 단계별로 의성어·의태어 교재의 단원구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설명하였다. 또, 본 연구에서는 의성어·의태어의 어휘 특징과 이와 관련한 파생어의 형성 원리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 등급별로 만든 교재는 학습자의 어휘력 향상과 한국어 어휘 확장에 대해 실제적으로 교육적 효과와 본 연구에 제시한 교육 방안의 실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중국 대학 한국어과에 재학 중인 1∼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학기 동안 수업을 진행하며, 설문 조사 및 수업평가를 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설문 조사와 수업평가 결과를 정리하고 분석하여 이번 연구에 제시한 교육 방안과 구성한 교재가 유효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마지막 제7장 결론 부분에 위의 각장의 내용을 총괄하며, 이번 연구의 아쉬운 점과 향후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관용표현 교육 방안

        김남경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735

        관용표현은 한 나라의 전통적인 관습이나 생활 문화, 역사적인 유래와 관련을 맺고 형성되었기 때문에 그 나라의 문화와 관습을 잘 알지 못하는 사람은 그 의미를 쉽게 이해하기 어렵다. 내국인은 어려서부터 관용표현을 자연스럽게 습득하지만 외국인은 그렇지 못하므로 체계적인 학습이 필요함이 분명하다. 지금까지 관용표현에 관한 연구는 주로 관용어의 개념, 유형, 특성, 생성된 원인, 통사 및 의미 등이 주로 논의 되었으며,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 유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관용표현 교육 논문들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에 비해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관용표현 논문은 희소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한 관용표현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여성 결혼이민자가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 정착하여 살아가려면 한국인이 자주 쓰는 관용표현도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는 여성 결혼이민자에게 관용표현을 체계적으로 교육해야겠다는 인식 자체가 부족하다. 또,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의 교재 자체가 전문화되고 세분화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센터나 방문교육 시에 대학 출판 한국어 교재를 사용하는 곳이 많아서 적절성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실생활 관용표현 목록을 선정하고 이들의 특수성을 고려한 관용표현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목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Ⅰ장에서는 여성 결혼이민자 관련 연구와 한국어 관용표현 관련 연구들을 살펴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문제를 제기하였다. Ⅱ장에서는 관용표현의 개념과 유형, 교육적 가치 그리고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의 한국어 관용표현 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관용표현의 목록을 선정하기에 앞서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재의 관용표현, 인기 드라마 대본의 관용표현,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관용표현, 초등학교 순위별 속담, 문금현(1999)의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관용표현을 기반으로 하여 관용표현의 목록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쉽고 재미있으면서 효과적인 관용표현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Ⅳ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 정리하는 것으로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관용표현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서 중급 이상의 학습자임에도 불구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시작하였다. 그리고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특수성을 배제하고 범용적인 대학 교재로 여성 결혼이민자들을 교육하고 있는 것에 문제를 제기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지금까지 시도되지 않았던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관용표현 목록을 선정하고 이들에게 적합한 맞춤형 교육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핵심어: 여성 결혼이민자, 관용표현, 한국어 교재, TV 드라마 대본, 고빈도 관용표현, 관용표현 교육, 관용표현 목록 Idiomatic expressions have been formed, related to traditional custom, living culture, or historical origins of a country. Thus,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them for those who are unfamiliar with the country's culture and custom. Native speakers acquire idiomatic expressions naturally from childhood. However, foreigners don't. It is obvious that they need systematic learning. So far they have largely discussed the concept, type, characteristic, origin, syntax and semantics of idioms in old studies of idiomatic expressions. And latel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papers on teaching idiomatic expressions have increased and reflected the needs of learners for overseas students. But, compared to this change, papers of idiomatic expressions for female married immigrants are scarce. It suggests more studies on idiomatic expressions for them is necessary. A female married immigrant should master colloquial expressions and idioms frequently used by Koreans in order to settle down and live as a citizen in Korean society. Though, in the educational arena they have little understanding of teaching idiomatic expressions systematically to female married immigrants. Moreover, since the textbooks for female married immigrants are not specialized or departmentalized, in most language centers or home visiting lessons, many teachers use Korean textbooks published by universities. The reality is that those textbooks are not appropriate enough for the learner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make a list of real life idiomatic expressions for female married immigrants and suggest some teaching methods of idioms consider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se learners.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I made progress in this paper according to the following table of contents. In Chapter I, I examined the studies of female married immigrants and those of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then I illuminated the necessity and objective of this study and pointed out a problem. In Chapter II, I studied the concept, type and educational value of idiomatic expressions and the reality of teaching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to female married immigrants. In Chapter III, I conducted a survey of female married immigrants to find out their needs before I made a list of idiomatic expressions. And I listed the idiomatic expressions based on the following references : Idiomatic expressions in Korean textbooks designed for these learners, those from scripts of popular soap operas, those from 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he graded list of proverbs for elementary school learners and The Idioms Most Frequently Used by Koreans written by Moon Geum-hyun(1999). And I suggested fun, easy and effective ways of teaching idioms. In Chapter IV, I organized all the discussion above and wrote a brief summary. In this study, I started with the question in that female married immigrants have difficulty in making a good communication although they are intermediate and above learners because they do not understand idiomatic expressions frequently used in everyday life clearly. I raised a question in teaching female married immigrants with universal college textbooks excluding their special characteristic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it selected and suggested the list of idiomatic expressions for female married immigrants that has not been tried before. Key Words : Female Married Immigrant, Idiomatic Expression, Korean Textbook, TV Soap Opera Script, High Frequency Idiomatic Expression, Education of Idiomatic Expression, List of Idiomatic Expression

      • 개화기 외국인 편찬 한국어 교재의 교수 내용과 방법 연구

        황사윤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35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학에서 주로 거시적으로 다루어졌던 개화기 외국인 편찬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여 대상 자료의 교수 내용과 방법을 교육적인 관점에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 교육의 초기 단계로 개화기를 상정하고 당대 한국어 교재가 외국인들을 중심으로 편찬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이를 알아보기 개화기 외국인 편찬 한국어 교재의 주요 교수 어휘, 문법을 데이터베이스화하였으며 각 교재를 분석하여 어휘와 문법 교수 내용과 방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들은 한국어를 받아들이는 인식 통로 자체가 다르며 그에 따라 언어권별 맞춤식 교재가 만들어졌다고 봐야할 것이다. 둘째, 개화기 한국어 교육에서 활용된 주요 어휘, 문법교수 방법은 현대 한국어 교육에서 활용되는 방법과 차이가 있었으며 개화기 교재 안에서도 저자가 서양인인가 일본인인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개화기 한국어 교육에서 선정한 회화의 주제는 보편적인 외국어 교육의 관점에 부합하였고 더하여 한국의 언어문화를 나타내는 담화문이 상당수 발견되었다. 주로 거시적인 관점으로 개화기 한국어 교재를 다룬 기왕의 논의들에서 세부적으로 다루지 못했던 위 세 가지 결과를 도출한 것에 본고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그러나 <역대문법대계>의 자료만을 선정해 연구 대상 교재가 미흡한 점, 어휘와 문법 교수내용의 회화부와의 연관성에 관해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되지 못한 점, 독일어와 프랑스어 교재를 분석하지 못한 점, 저자의 문법 인식 체계를 좀 더 명확히 알 수 있는 방법으로 당대 영국, 미국, 일본 등의 모국어 교육 체계를 적용하여 살피지 못한 점 등 보완이 필요한 부분이 더욱 많이 보인다. 이러한 점들을 보완하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a teaching context and method of Korean text books compiled by foreigners at early modern era within educational view. Expressly focus on early modern era as the first phase of Korean education. Most of Korean text books which compiled at early modern era was written by foreigners from The Western nations and Japan. To investigate a teaching context and method of Korean text books compiled by foreigners at early modern era, inspected the major teaching vocabulary, grammars in the object of study and analyzed vocabulary and grammar teaching context and method of individual objects. The detection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The foreigners awareness course which take Korean was different, and Therefore text books are match whit editors mother tongue. Second, The vocabulary and grammar teaching context and method in the text books of early modern era are different with text books uesd in this age either early modern era text books which depend on editors mother tongue. Third, The theme of conversation in text books in early modern era is coincide with general point of view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also The theme of conversation in text books in early modern era has numberous conversational sentence what indicate Korean language-culture.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this study. A study is scarce of object for study, Can not Progress to find out connection of teaching context of vocabulary and grammar with conversation part deeply, Can not analyze textbooks Compiled by the German and french, Can not progress to comparison of Korean text books written by foreigners and their text books for mother tongue at identical era. The suppletory study without thus limitations is necessary.

      •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문장 구성의 특징 연구 : 어말어미를 중심으로

        이지윤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35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문장 구성의 특징 연구 -어말어미를 중심으로- 이 지 윤 계명대학교 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지도교수 김 선 정) (초록) 본 연구는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자료에 나타난 한국어 문장 구성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숙달도별로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문장 구성의 특징과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의 어말어미를 중심으로 사용 양상 및 오류 분석을 실시하여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먼저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문장 구성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평균 발화 길이(Mean Length of Utterance: MLU)를 분석한 결과 단계가 높아질수록 더 많은 단어와 형태소를 결합시켜 복잡한 문장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영어권 학습자와 한국인 대학생의 형태소 사용에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어권 학습자들은 작문을 할 때 한국어의 문법형태소를 제한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문법형태소 사용의 어려움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어말어미의 통사 영역 사용양상과 오류 분석은 종결어미, 연결어미, 전성어미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영어권 학습자들은 하나의 글에서 격식체와 비격식체를 혼용하여 오류를 일으켰으며 상대높임을 나타내는 종결어미를 혼용하는 오류도 보였다. 영어권 학습자들은 연결어미와 전성어미는 제한된 몇 가지 형태만을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결어미와 전성어미는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오류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형태소 사용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다는 것을 좀 더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한국어 학습자의 통사적 발달의 기초 자료가 되고, 실제 한국어교육 현장이나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쓰기 평가체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entence Construction by English speaking Korean Learners - Focusing on Word Final Endings - Lee, Ji Youn Department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Graduate School Keimyung University (Supervised by Kim, Seon Jung)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entence structures in the writing materials of English speaking learners in the Korean language. In the study, we analyze the usage patterns and errors with their causes, with focusing on the Korean word final endings and sentence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English speaking learners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Firstly, we analyzed the Mean Length of Utterance (MLU) in order examine the sentence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the English speaking learn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proficiency, the more words and morphemes were combined together, and the more complex their sentences became. However, we also found out differences between the morpheme use among the English speakers and native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English speakers in their writings used Korean grammatical morphemes only restrictively. They also displayed difficulties in the use of the grammatical morphemes. Secondly, we divided the final endings syntactic usage patterns and errors of the English speaking learners into conclusive endings, connective endings, and adnominal endings, and then examined them. The English speakers made errors by mixing formal and informal style in their writings, and also made errors by using relative honorific conclusive endings. They also tended to use restrictively only a few forms of connective and adnominal endings. In addition, the higher their proficiency was, the more errors in the use of connective and adnominal endings they made. On the basis on these results, we were able to verify more concretely the difficulties in their use of morphemes.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on the syntactic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hat it will prove helpful in real teaching practice and in concrete and systematic writing evaluation system.

      •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전략 및 학습양식 분석 연구

        정은실 韓國外國語大學校 KFL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5073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lan effective class management in Korean language learning by analyzing major learning strategies and preferred learning styles for effective Korean language learning for academic purpos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97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at universities in Seoul and Inche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learning strategy usage pattern, social strategy, Metacognitive strategy, and cognitive strategy were generally used in order. In addition,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orean language level and cognitive strategies, the Metacognitive strategy and the social strategy in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and the cognitive strategy in global regional areas. Second, as a result of preference for learning style, it was found that they prefer visual, extrovert, intuitive, closed, and comprehensive types. Also,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 and the closed type and the comprehensive type, the visual type and the analytic type according to the age, the auditory type, concrete continuous type, analytical type according to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period, concrete continuous type according to the Korean language level, visual type and the closed type according to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Third,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styles, memory strategies, Metacognitive strategies, and social strategi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lmost all types. However, Compensation strategy, Cognitive strategy and Affective strateg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ome learning sty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for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and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and a language learning strategy training program that can be used in classroom situations. 본 연구는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주요한 학습전략과 선호하는 학습양식을 분석하여 한국어 학습에서의 효과적인 수업운영을 계획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한국어 학습에서의 학습전략 사용양상과 개인변인에 따른 학습전략 사용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둘째 학습양식의 선호도 및 개인변인에 따른 학습양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셋째, 학습전략과 학습양식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인천지역의 대학에서 수학하고 있는 유학생 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전략 측정도구는 Oxford의 SILL을 한국어 학습자에게 맞도록 수정한 손성희(2010)의 총 51개 문항을 사용하였다. 또한 학습양식 측정도구는 Oxford의 SAS 110개 문항 중 53개 항목을 구성한 이경애(2015)의 범주별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SPSS 20.0을 사용하여 신뢰도 계수, 기술통계량, 대응표본 t-검정,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ANOVA), Pearson의 상관계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전략 사용양상 결과 사회적 전략, 상위인지전략, 인지전략 순으로 대체적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한국어능력수준은 인지전략과 외국어학습경험은 상위인지전략과 사회적 전략, 지역권별은 인지전략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므로, 수준별 차별화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효과적인 과제수행을 위해 학습전략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학습양식 선호도결과 시각형, 외향형, 직관형, 폐쇄형, 종합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따라서는 폐쇄형과 종합형, 연령에 따라서는 시각형과 분석형, 한국어학습기간에 따라서는 청각형, 구상형, 분석형, 한국어능력수준에 따라서는 구상형, 외국어학습경험에 따라서는 시각형과 폐쇄형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므로,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학습자의 개인차를 고려해야하며 교실상황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져야한다. 셋째, 학습전략과 학습양식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기억전략, 상위인지전략, 사회적 전략은 거의 모든 유형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지만, 보상전략은 시각형, 외향형, 내향형, 폐쇄형, 개방형, 분석형 유형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인지전략은 내향형, 구상형, 폐쇄형, 정의적 전략은 청각형, 구상형, 종합형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학습내용과 방법에 대한 주관식 설문 결과, 한국어 능력 중 쓰기가 가장 어려우며, 학문적, 전공에 대한 어휘가 부족하여 쓰기가 가장 어렵다고 하였다. 전공수업보고서 및 논문작성 등 쓰기활동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는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교실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모형 개발 및 언어 학습전략 훈련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의존명사 사용에 관한 연구

        사천선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35

        1장, 서론에서는 연구목적 및 필요성, 선행연구 검토, 연구방법을 제시하였으며 2장, 의존 명사에 대한 기본적 이해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의존명사의 개념, 구성, 특성 및 분류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실제 한국의 각 교재에 제시된 의존명사를 참고, 분석하고, 선행연구에 제시된 의존명사 목록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서 선정한 의존명사 목록을 작성하였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선정한 의존명사의 한·중 표현 형식에 대한 대조를 실시하였다. 중국어에는 의존명사와 같은 어휘요소는 없으나 의존명사 표현에 대응되는 중국어 표현이 있다. 한국어 의존명사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한국어의 27개 의존명사에 대응하는 중국어 명사성 어휘 요소가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결과를 바탕으로 의존명사와 관련한 한·중 표현을 몇 가지 유형으로 정리하였다. 4장에서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의존명사 사용 양상을 4가지 방법으로 고찰하여 결과를 검토하였다. 첫째, 의존명사를 몇 개씩 묶어 제시하고 괄호 안에 적절한 것을 선택하는 방식의 테스트를 실시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이 문맥에 맞는 의존명사를 선택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둘째, 중국어권 학습자들에게 자유 주제로 작문을 실시하도록 하고 수집된 작문 자료에 의존명사가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분석함으로써 표현할 때의 실제 사용 양상을 검토하였다. 셋째, 제시된 의존명사를 사용하여 문장을 완성하도록 요구하는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이는 한국어 의존명사에 선행어와 후행어의 제약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관한 지식을 활용하여 올바른 문장을 만들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테스트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존명사에 대한 인식을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5장에서는 4장에서 밝힌 조사 및 연구 결과를 요약 제시하였으며 이어서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inese KSL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and usage of Korean dependent nouns and Chinese expressions of Korean dependent nouns by using analysis tests, interviews and essay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ct answer rates in the objective test results (over 90%) are: '등'(100%), '수' (100%), '지' (98%), '것' (96%), '때문' (94%), '적' (94%), '만큼' (92%), '줄' (92%), and '리' (90%); for the object test results (below 40%), they are: '듯' (39%), ''둥' (38%), '따름' (32%), '나위' (28%), '나름' (28%), '터' (21%), and '녘'(20%). The objective test's correct answer rate agree with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ndard Model. However, in the case of '리,' which is classified as advanced, the correct answer rate is 90%. This result represents '리(理),' which is a Chinese character. The correct answer rate in this study of '나름' (28%) and '터' (21%) are lower than the International Korean Education Standard Model, which represents the middle rate. Second, the dependent nouns in the essay of subjects are 9. The total frequency of the four dependent nouns, such as '것', '수', '때문', and '뿐' showed 97.8%. This shows that the dependent nouns used by the learners are not varied. Third, the advanced learners can choose the dependent nouns correctly in the objective test; however, the correct answer rate in the compositions task ended up being lower than the objective test's. This shows that the higher level learners are able to recognize the dependent nouns, but they have difficulties using the dependent nouns in their composition. Fourth, in the objective test, the correct answer rate was not much of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hinese noun lexical elements, which correspond to the Korean dependent nouns. However, in the composition test, there was a difference. The correct answer rate was higher because the presence of corresponding Chinese noun lexical elements affect Korean dependent noun learning. The results gathered from the interview with Chinese KSL learners on their cognitive recognition of dependent nouns are as follows: First, their cognitive recognition of dependent nouns is deficient. They usually believe that it is not important to learn Korean dependent nouns. Second, for them, it is hard for them to comprehend the content's meaning and sentence structure. Third, 56% of the interviewees said that it is important to have a structured lecture on dependent nouns in Korean language classes. If the dependent nouns are explained further in a structured manner, this will result in them showing more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Dependent noun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grammar characteristics in the Korean language. If they don't understand it, then they will experience more hardship when trying to learn the language. I hope this study, which was for Chinese KSL learners, will contribute in developing a more effective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 베트남인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연결어미 교수법 연구

        천자우투이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35

        지금까지 일본어권과 중국어권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문법 오류 연구는 많았지만 베트남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문법 오류 연구는 많지 않았다. 특히 그 중에서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문법적 오류 양상 전체를 살펴봤지만 연결어미 오류 양상에 대해서 깊게 논의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베트남인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삼아 학습자가 실제로 어떤 연결어미를 많이 사용하고, 어떤 방법으로 연결어미를 이해하고 어떤 경우에서 사용하는지를 파악하여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베트남어권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연결어미에 대해서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교수법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한국과 베트남 두 언어의 유사한 연결어미와 접속사를 대상으로 정밀한 대조 분석을 하고 이를 활용하여 초급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연결어미의 교수 방안을 마련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한국어 연결어미와 베트남어 접속사의 공통점 및 차이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베트남어 접속사에 대한 형태 및 그 기본 의미기능을 알아보고 이에 대응시킬 수 있는 한국어 연결어미를 서로 대조 분석해 보았다. 이런 대조 분석을 통해서 양국의 문장 접속 특성, 접속 수단의 차이를 파악하는 것은 양국 언어의 대조 연구에서 아주 중요한 과제이며 외국어로 베트남인이 한국어를 학습하고 한국어 번역 등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3장에서는 초급단계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을 자료로 삼아 연결어미 사용 양상을 파악하였다.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연결어미와 자주 범하는 오류를 조사하였고, 그 이유에 대한 학습자의 의견을 질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베트남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연결어미와 베트남어 접속사의 대조 분석과 오류 분석의 방법을 바탕으로 베트남인 학습자들의 오류를 파악해 오류의 발생 원인이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차이점에서 유래한다는 것을 밝히도록 했다. 2장과 3장에서 얻어진 결과를 종합하여 학습자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교육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대조 분석의 결과와 학습자 오류 분석을 활용하여 베트남인 한국어 초급 연결어미의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외국어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베트남인 학습자나 외국어로 베트남어를 공부하는 한국인 학습자에게 통번역 과정에서나 학습-교사 과정에도 유용할 것이라 여겨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