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환경 분석 기반 해외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 개선 연구 : 파라과이 INAES 한국어교육학과를 중심으로
김장식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This study is intended to improve curriculum of the Korean education department of INAES in Paraguay based on the environmental analysis to be preceded for curriculum development. The factors for environmental analysis in the established language curriculum are not suitable as the ones to be analyzed for development of the overseas Korean education department curriculum aimed at fostering Korean language teachers. Accordingly, the factors for environmental analysis to be analyzed when cultivating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set up to be applied to the improvement in curriculum after an in-depth analysis. To be concrete,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Korean education department of INAES and its curriculum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actors for environmental analysis and problems were drawn. After then, a requirement analysis targeting the learners and teacher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o present a curriculum development plan reflecting this. The content of this study summarized by chapter is as follows. Chapter 1 identified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on Korean language curriculum as the base of discussion. Precedent studies on overseas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re examined as well.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 of studies on the existing overseas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was limited to the current status without a specific set-up of the factors for environmental analysis.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type and procedure of curriculum was considered as the basis for discussion on curriculum improvement, and the discussion on the environmental analysis with regard to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was reviewed. In addition, factors for the environmental analysis necessary for the curriculum to cultivate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established. Chapter 3 analyzed the environment of the Korean education department of INAES in Paraguay by factor with the environmental analysis factors established in Chapter 2.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currently in progress was examined in detail, and the local policies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cultivation of foreign language teachers, and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in the country were analyzed as dividing the environments internally and externally. In Chapter 4, the needs of the learners and teachers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the Korean education department of INAES were investigated,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presented. The questionnaire participants were 56 learners and 12 professors. Additionally, a total of 54 learners and professors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about the necessity of subjects required to acquire the second Korean language teacher's license. The teachers were limited to those who teach Korean in the country or have experience in teaching the language. The questions were largely divided into general items and research on the curriculum improvement. The research on perception on Korean language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Spanish-speaking learners’ perception on Korean language and their perception on other languages. In addition, it was identified that their responses regarding Korean language classes, circumstances, topics, and learning objectives demonstrated that the learners, the teachers,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Paraguay currently required a new curriculum. The results drawn from this were fed and applied into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in Chapter 5. Based on the earlier studies, a plan for improvement in the curriculum was presented in Chapter 5. Specific content was proposed focusing on education objective,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 arrangement of educational content, and outline of subjects. It was set with the purpose of nurturing professional Korean language teachers with expertise in the language and abilities to have as a language teacher, with the principle of curriculum design as a comprehensive technique, versatility, practicality, and clarity. Next, the purpose and objective of the Korean education department of IANES were concretely established, and the subjects were selected based on non-na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competences and INAES curriculum. This study precisely informe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araguay in Latin America, which had not dealt with in previous studies, analyzed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is Spanish-speaking country and figured out its problems, and established the environmental analysis factors that had not been closely considered in the existing overseas departments to cultivate Korean language teachers. This will serve as a standard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training overseas Korean language teachers. It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designed a curriculum to cultivate Korean language teachers with a focus on improving non-na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competences and applied it to the actual overseas Korean education department curriculum.
조군아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本论文的研究目的在于开发中国大学选修韩国语教材。 2015年以来,中国很多大学开始停止韩国语专业招生,同时《教育部高等教育司2019年工作要点》对此提出要全面深化大学公选外国语课程改革,在教育环境良好的大学里争取提高第二、第三公共外语教学的实效性,提出了实施针对性授课改革的要求。另外,不断完善大学外语教学体系,大学不仅要构建英语授课体系,还要实施俄语,日语,韩国语,葡萄牙语等公共外语教育。因此作为选修科目的韩国语教育未来将在中国高等教育中得到进一步扩大和发展。 虽然从2018年以来中国国内关于大学选修韩国语教育的研究越来越多,但是选修韩国语教材开发方面的研究仍然非常不足。近年来,针对韩国语专业使用的教材开发相关研究很多,研究主要关注了在韩国开发的优秀韩国语教材以及商务韩国语教材。但是目前中国大学里使用的选修韩国语教材种类少并且存在一些问题,很多教材设计不符合大学选修教育目标,并且普遍存在选修韩国语教材开发初期阶段所需要的有效性基础资料不足等问题。优秀的教材不仅能够传播语言知识也是文化知识的载体,优秀的选修韩国语教材在讲授语言的过程中同样能起到传播韩国文化知识的作用。 根据以上阐述的问题点为基础,本论文探讨了中国国内的选修教育课程和选修韩国语教育课程的目标和内容,并且分析了目前中国现有的选修韩国语教材,然后针对中国大学申请选修韩国语课的学生和讲授选修韩国语课程的教师,以及中国大学与选修韩国语教育相关的行政人员为对象进行了问卷调查,设定了教材的开发方向,并提出了相应的选修韩国语教材实际构成案例。 关键词: 选修韩国语, 通识教育, 教育课程, 课程设计, 教材开发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중국 대학의 교양과목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한국어 교재를 개발하는 데 있다. 2010년대 후반기에 들어와 중국에서 많은 대학들이 한국어 전공자의 모집을 중단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와 맞물려 중국 <교육부 고등교육사 2019년 사업 포인트(教育部高等教育司2019年工作要点)>는 공공외국어 수업 개혁을 전면 심화하고, 교육 환경을 잘 갖춘 대학에서 제2, 제3의 공공외국어의 실효성을 높이도록 맞춤형 수업 개혁을 실시할 것을 제시했다. 또한 대학 외국어 학습 체계를 보완하고 대학에서 영어 수업 체계를 구축할 뿐만 아니라 그 외에 러시아어, 일본어, 한국어, 포르투갈어 등 공공 외국어 교양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교양과목으로서의 한국어 교육은 앞으로 중국의 대학교육에서 더욱 확대되고 발전될 것이다. 2018년 이후에 중국 내 대학 교양한국어에 관한 연구가 많아졌으나 교양한국어 교재 개발은 여전히 부족한 상태이다. 중국에서는 최근 몇 년간 한국어 전공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적지 않았지만, 한국에서 개발한 우수한 전문 교재와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를 수입해 왔다. 그러나 교양한국어 교재는 아직 많이 부족하고 교양한국어 교육목표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가 있거나 교양한국어 교재 개발 초기 단계에 필요한 실효성 있는 기초 자료가 매우 부족한 경우가 많다. 우수한 교재는 언어 지식을 전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문화 지식의 수용체여야 하며, 언어를 가르치는 과정에서 한국문화, 한국사회를 보급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내 교양교육과정과 한국어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검토하고 현재 중국 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또한 중국 대학에서 교양한국어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과 교사, 그리고 대학의 행정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교재의 개발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를 적용하여 교양한국어 교재의 교수요목을 설계하고 교재 전체의 단원을 구성한 다음 교양 한국어 교재의 한 단원을 예로 제시하였다.
In Korean language system, native vocabulary is the most basic, the most common words and expressions for everyday use. As an important part of this kind of native vocabulary,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can express human emotion and delicately and smoothly describe specific objects. Therefore, in order to strengthen performance effects of language, Korean people use a lot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in their daily life. For Korean native speakers,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can be understood without specific education. But for Chinese speakers,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re difficult to grasp and education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is necessary. Especially in the aspect of substantially increasing Korean language level of foreign Korean learners, systematically implementing the education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is particularly important. Especially, in Korean words and expressions for everyday use, expressive words are well-developed, a great part of these expressive words are implemented by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which can delicately and accurately things. For this reason, in order to improve foreign Korean learners' level of Korean skills, special and systematic learning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for them is necessary. In Chinese language,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is not as well-developed as Korea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ability of Chinese speakers' vocabulary, this study advocates systematic education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should be implemented for Chinese speakers. This study discusses characteristics of phonology and morphology, and then provides education plan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nd develops related graded teaching materials. In Chapter 1,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education is clarified. And then related studies in philology,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re analyzed and effective research approach and procedures are provided. In Chapter 2, the concept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in Korean linguistics is unscrambled. Furthermore, after characteristics of phonology and morphology are specifically discussed,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differences of near synonym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nd differences between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re also discussed. At the same time, constitutive principle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derivatives' vocabulary is provided. And then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implementing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education based on characteristics of phonology' and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education based on characteristics of morphology' are also provided. In Chapter 3,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in order to effectively select out education content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provide education plan and develop teaching materials for Chinese speakers, this study selects Korean teachers and learners in China as research objects,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ir knowledge, requirements and actual using learn method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tems, this study explores education content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education activity types and development of related vocabulary teaching materials. In Chapter 4, firstly actual appearing situation and appearing frequency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in Korean·Chinese Korean teaching materials, Korean Vocabularies,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and other Korean sentences which are used in daily life is analyzed. And the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and investigation result, selective principles of education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is provided. Therefore an education content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is made based on these selective principles. Moreover, for lmiddle-and-high level learners, based on the education content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derivative content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is also made. In Chapter 5, based on the education content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using the content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nd its derivative selected in Chapter 4, 'near synonym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comparative education contents based on based on characteristics of phonology' and 'derivative education contents according to suffix' which i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morphology are provided, various vocabulary education activities which can help learners' learning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re also provided. In Chapter 6, based on the provided education plan and considering the investigation result in Chapter 4, constructive main points and direction of teaching materials of Korean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re grasped. And then based on the vocabulary of the content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nd its derivative selected in Chapter 4, teaching material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ccording the different learning levels(basic, middle, high) are developed. Moreover, 3 examples of basic, middle, high learning levels are selected for demonstrating the unit construction of each learning level's teaching materials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Moreover, in order to verify the actual effect of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and education plan provided in this study, this study selects 1-3 grade university students of Korean Department of a university in China and takes one semester experiment teaching and also makes questionnaires and evaluation results from them. After questionnaires and evaluation results of test are analyzed, the conclusion that the education plan and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are valid is made. Finally, in Chapter 7, conclusions of each chapter are made and deficiencie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plan are provided. 한국어 어휘체계에서 가장 기본적이며 자주 쓰는 고유어의 중요한 구성 부분인 의성어·의태어는 인간 감정을 나타나거나 특정 대상을 세밀하고 유창하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언어의 표현 효과를 강화하기 위하여 일상 언어 생활 속에서 많이 쓴다. 의성어·의태어는 한국어 모어 화자들에게는 자연적으로 습득되어 별도의 교육을 받지 않더라도 의미 파악에 큰 어려움이 없는 반면에 한국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학습자들에게는 의성어·의태어 교육이 필요하다. 의성어·의태어 교육은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을 크게 향상시키는 측면에서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일상생활 어휘 중 표현 어휘가 발달하였는데, 이런 표현 어휘의 상당한 부분이 사물을 세밀하고 정확하게 표현해 낼 수 있는 의성어·의태어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의성어·의태어에 대해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학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어보다 의성어·의태어가 그다지 풍부하지 않은 중국어를 모어로 하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어휘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의성어·의태어(특히 의태어)에 대한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할 필요성이 있음을 주장하고 한국어 의성어·의태어의 음운론적, 형태론적 특징을 검토하여 학습자의 등급에 맞는 의성어·의태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 학습 등급별 관련 교재를 구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1장에서는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교육을 연구하는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언어학 측면, 국어 교육학 측면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측면에서의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연구 방법과 절차를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국어학 측면에서 한국어 의성어·의태어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의성어·의태어의 음운론적 특징과 형태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고 나서 또 이 두 가지 특징을 바탕으로 의성어와 의태어의 차이점을 구분했으며, 의성어·의태어 파생어의 어휘 구성 원리도 제시하였다. 따라서 '음운론적 특징에 따른 의성어·의태어 유의어 교육'과 '형태론적 특징에 따른 의성어·의태어 파생어 교육' 실시를 하는 이론적 의거를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위의 논의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의성어·의태어 교육 목록 선정, 교육 방안 제시와 관련 어휘 교재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하여, 중국 국내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그리고 실제 학습 중에 사용하는 학습방법을 조사하고 분석했다. 본 연구는 이 조사 항목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내용과 교수 활동 유형을 제안하고 관련 어휘교재도 구성하고자 하였다. 제4장에서는 한·중 양국의 한국어 교재, 한국어 어휘집과 한국어 능력시험을 비롯하여 한국어 교육과 기타 실생활 중에 나타난 한국어 말뭉치에서의 의성어·의태어의 실제 제시현황과 출현빈도수를 분석하여 정리하고 나서 이 정리된 분석 결과와 제3장에서 제시한 요구 조사를 바탕으로 의성어·의태어 교육 목록의 선정 기준을 제시했다. 그리고 이 어휘목록 선정 기준에 따라서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교육 목록을 선정했으며, 중급부터의 의성어·의태어 파생어 학습을 위하여 선정된 의성어·의태어 교육 목록을 바탕으로 의성어·의태어 파생어 목록도 선정하였다. 제5장에서는 4장에서 선정된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및 파생어 목록을 가지고 한국어 의성어·의태어의 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의성어·의태어의 '음운론적 특징에 따른 의성어·의태어 유의어 비교 교육 내용'과 형태론적 특징을 바탕으로 '접미사에 따른 파생어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으며, 학습자의 의성어·의태어 학습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의성어·의태어 어휘 교수 활동을 제시했다. 제6장에서는 앞서 5장에서 제안된 교육 방안을 바탕으로 제3장의 설문 조사 결과를 고려하여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교재의 구성 요목과 구성 방향을 선정하고 제4장에서 선정된 의성어·의태어 및 파생어 교육 목록 중에 제시된 어휘들을 이용하여 학습단계별로 나누어 의성어·의태어 교재를 하였다. 그리고 초급, 중급, 고급 단계별로 의성어·의태어 교재의 단원구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설명하였다. 또, 본 연구에서는 의성어·의태어의 어휘 특징과 이와 관련한 파생어의 형성 원리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 등급별로 만든 교재는 학습자의 어휘력 향상과 한국어 어휘 확장에 대해 실제적으로 교육적 효과와 본 연구에 제시한 교육 방안의 실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중국 대학 한국어과에 재학 중인 1∼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학기 동안 수업을 진행하며, 설문 조사 및 수업평가를 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설문 조사와 수업평가 결과를 정리하고 분석하여 이번 연구에 제시한 교육 방안과 구성한 교재가 유효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마지막 제7장 결론 부분에 위의 각장의 내용을 총괄하며, 이번 연구의 아쉬운 점과 향후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적으로 급속히 변화되고 있는 한국어 교육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민첩성과 실제 교육 현장에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한국어 교육 능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을 개선 방안 연구하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의 1장에서는 한국어 교사 교육과 외국어 교사 교육에 관련된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언어 교사와 한국어 교사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개념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한국어 교사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는 국어기본법 시행을 기점으로 이전과 이후의 한국어 교사 교육의 환경 변화를 살펴보고, 기존의 한국어 교육 관련 학과의 교육과정을 분석해 본 결과를 통해 현장 밀착형 한국어 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 내용이 포함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4장에서는 3장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의 목적 및 목표, 교사 교육의 내용 등을 고려 사항으로 두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을 설계해 보았다. 5장에서는 본고의 내용을 정리하고 후속되어야 할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급속히 변화되고 있는 한국어 교육 환경에 대해 파악해 보았다는 것과 실제 교실 현장에서 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한국어 교사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한국어 교사 교육에 대한 세부적인 교육과정 개선 방안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KFL) courses in order to enhance its agility to properly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nd out of the country, and to develop teaching skills able to be flexibly applied in the real education environment. Chapter I examines previous studies on teacher training courses for both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foreign language teachers. Chapter II studies the basic concepts and features of the education course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other language teachers. The study shows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o improve their expertise. Chapter III examines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education course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hat occurred before and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Basic Law of Korean Language. It also analyses the traditional curriculum used in the related departments at universities. The study shows that the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in the way that it can foster teachers who are able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students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nd flexibly respond to the different circumstances in the field. In Chapter IV,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vious chapter, the curriculum of KFL education courses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and the education contents. Lastly, Chapter V summarizes the thesis and proposes subsequent research projects. This paper is useful in that it examines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esents the curriculum able to foster teachers who are highly adaptable to the teaching fields. In the future, more studies on more detailed measures to improve the curriculum for KFL teachers are expected to be carried out in order to enhance their expertise and professionalism.
한국어 학습자의 '이/가', '은/는' 사용에 관한 연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e of 'i/ga' and 'eun/neun' post position markers/particles by learn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ho consistently encounter errors despite increased language proficiency. In this study,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of pragmatical functions in sentences were categorized within the discourse: 1) The introduction of new indicators and the presentation/report of events; 2) sentences using 'i/ga' and 'eun/neun' to correct and confirm the introduction of the new indicator; 3) the statement that includes the primary meaning of the topic; and 4) the contrast of meaning in a sentence. Based on these four categories, test results and essays for Korean foreign language learners were analyzed and additional learner perceptions and strategies on the focal material were gathered through qualitative interview analysi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findings in this study. First, when summing up the test results, the rate of accuracy for ‘i/ga' was higher than that of 'eun/neun'; and the usage ‘eun/neun’ was the most frequent in sentences that function as an explanation of a topic and was the least frequent in terms of contrasting different categories. Second, in contrast to the test results, the rate of accuracy in written essays for ‘eun/neun’ was noticeably higher that of ‘i/ga' in the study. Third, the use ‘i/ga' and ‘eun/neun’ by the degree of mastery of the language of the learners, from all levels of learners, showed a lower rate of ‘eun/neun’ accuracy in the revision and confirmation of textual meaning than in the introduction of contrast indicators. It is understood that this is because learners tend to combine ‘eun/neun’ with sentences that explain the topic resulting in ‘eun/neun’ appearing to have a lower rate of accuracy for sentences that had contrasting meanings than for general topics. Fourth, intermediate-level learners were particularly error-prone in using 'i/ga' combined with ‘eun/neun’ and ‘eun/neun’ to correct and confirm their statements. As the learning progresses, it appears that the Korean research system is experiencing U-shaped development that occurs when learning a second language or a foreign language in the course of restructuring the Korean partical system. Fifth, through individual learner interviews, learners communicated their difficulty in the rate of accuracy of ‘i/ga' and 'eun/neun' in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resulting in a number of students simply not using 'eun/eun' rather than 'i/ga' in general, depending on their own assumptions. Given that the ‘i/ga' and 'eun/neun' errors do not improve continuously despite numerous studies, it is necessary to take a more practical approach to this topic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eachers of Korean learners explicitly explain ‘i/ga' and 'eun/neun' to clarify the function of sentences that were the basis for their analysis. 본 연구는 언어 숙달도가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오류가 발견되는 한국어 학습자의 ‘이/가’와 ‘은/는’의 사용을 문장의 화용적 기능에 따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담화 내에서 문장의 화용적 기능을 4가지로 분류하였다. 먼저 ‘이/가’를 사용하는 문장은 첫째, 새로운 지시체의 도입과 사건 제시/보고문, 둘째, 수정하여 말하기와 확인하기, ‘은/는’을 사용하는 문장은 첫째, 화제에 대한 설명, 둘째, 대조의 의미를 가지는 문장이 그것이다. 이 네 가지의 항목을 기준으로,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테스트 결과와 학습자들의 작문을 분석하고 학습자 면담을 통하여 학습자들의 인식 양상과 사용 전략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바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테스트 결과를 종합해 보면 테스트에서는 ‘이/가’의 정답률이 ‘은/는’의 정답률보다 더 높았고, 문장의 화용적 기능 가운데 ‘화제에 대한 설명’의 기능을 가진 문장에서 ‘은/는’의 정답률이 가장 높았고 ‘대조의 의미를 가지는 문장’에서 ‘은/는’의 정답률이 가장 낮았다. 둘째, 테스트와 달리 학습자들의 작문에서는 ‘대조의 의미를 가지는 문장’에서 정확도가 눈에 띄게 높아졌는데, 이 영향으로 작문 자료에서 ‘은/는’의 정확도가 ‘이/가’보다 더 높았다. 학습자들은 테스트에서 담화 맥락을 통해 대조의 의미를 파악해야 하는 경우, 이것을 대조의 상황으로 인식하지 못해 정답률이 낮았으나 자신이 대조의 의도를 가지고 주도적으로 사용하는 것에서는 테스트에서보다 더 정확하게 사용하고 있었다. 셋째, 두 조사의 사용을 학습자의 언어 숙달도별로 살펴보면, 초급학습자부터 중・고급학습자들까지 모두 ‘이/가’가 사용된 문장의 화용적 기능 가운데 지시체 도입·사건 제시/보고문의 경우보다 수정문·확인문에서 정답률이 더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학습자들이 수정문·확인문을 화제에 대해 설명하는 문장으로 보고 ‘은/는’을 결합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은/는’은 일반적인 화제에 대한 설명보다 대조의 의미를 가지는 문장의 경우 정답률이 더 낮게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대조의 의미를 가지는 문장을 ‘초점’이나 ‘특별히 지정’의 의미로 받아들여 ‘은/는’의 위치에 ‘이/가’를 결합시키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것이 그 원인으로 보인다. 넷째, 중급학습자들의 경우, 수정문·확인문에서 ‘이/가’의 사용과 대조의 의미를 가지는 화제에 ‘은/는’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에서 특히 오류가 많았으며, 이 항목들에서 초급학습자들보다 더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학습이 심화되어 감에 따라 한국어 조사 체계에 대한 재구조화 과정에서 제 2언어 또는 외국어를 학습할 때 나타나는 U자형 발달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학습자 개별 인터뷰를 통하여, 학습자들은 ‘의사소통 상황에서 ’이/가’와 ‘은/는’의 선택이 어려운 경우, 많은 학생들이 조사를 생략해 버리거나 자신의 추측에 의지한 채 느낌대로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이/가’보다는 ‘은/는’을 선택하는 전략을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동안 수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이/가’와 ‘은/는’의 오류가 지속으로 발생되는 현상이 개선되지 않음을 볼 때, 이 항목에 대해 한국어 교육의 관점에서 더 실용적인 접근을 시도할 필요성을 느낀다. 그래서 나는 한국어 학습자에게 ‘이/가’와 ‘은/는’을 명시적으로 설명할 것을 제안하며 본 연구에서 분석의 기준으로 삼았던 문장의 화용적 기능의 측면에서 접근하는 것이 학습자들의 명확한 이해에 도움이 된다고 본다.
동시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 연구 : 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동시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 연구 -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박영애 영남대학교 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지도교수 이미향 ・ 서희정) 본 연구는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는 데 있어서 동시가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 교육적 가치가 있음을 밝히고, 동시를 활용하여 말하기의 어려움을 보완할 수 있는 교실활동으로 말하기 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 학습자의 상황과 목표가 다양하다 할지라도 한국어를 배우는 가장 주요한 목적은 의사소통이다. 말하기는 자신의 의사를 상대방에게 표현하여 전달하는 의사소통 활동이다. 이런 말하기는 학습자들의 요구가 높은 반면, 학습과 연습 이외에도 지속적으로 자연스러운 한국어 상황에 노출되어서 모어화자와의 소통이 필요하기 때문에 달성하기가 어렵다. 또한 실제 생활의 다양하고 변화 가능한 상황을 교실활동으로 연결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말하기 중심의 수업도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게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교실에서의 말하기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동시를 언어, 문화적 교육 자료로 활용하여 형성한 이미지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의 말하기 수업을 활성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말하기 이전의 사고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학습자들의 말하기 부담감을 줄이기 위해 충분히 생각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와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의 모색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시가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 서 교육적 가치가 있음을 다음과 같이 살펴볼 수 있었다. 첫째, 동시는 표현이 쉬워서 이해하기가 쉽다. 둘째, 동시는 짧아서 학습에 부담감이 적다. 셋째, 아름다운 한국어와 일상어의 조화를 이루는 동시는 말하기 연습에 도움이 된다. 넷째, 동시의 운율은 듣고 읽기에 도움이 된다. 다섯째, 동시는 한국의 문화와 정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여섯째, 동시는 동심을 통해 학습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아울러 동시를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 잘못 활용했을 때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과 예방책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동시가 한국어 교육에서 의미 있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살펴본 학습자들의 말하기 활성화를 위해 이미지 찍기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동시를 이해하여 이미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미지 형성의 원리를 앎의 원리, 느낌의 원리, 경험의 원리로 제시하고 동시의 이해 활동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미지 찍기가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음을 제시했다. 첫째, 이미지 찍기는 동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둘째, 학습자는 이해한 것을 이미지 찍기 할 때 떠오른 생각을 구체화하는 데 시간적 여유를 가질 수 있다. 셋째, 선명하게 그림으로 표현하는 이미지 찍기는 학습자가 말할 내용을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된다. 넷째, 이미지 찍기는 활동이 쉬워서 학습자를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한다. 다섯째, 이미지 찍기는 말하기 연습을 할 수 있는 도구가 된다. 4장에서는 2장, 3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동시를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말하기를 함으로써 발표자, 질문자, 적극적인 대화자로 나아갈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 모형은 이미지 형성을 통한 이해 교수-학습 단계와 이미지 찍기를 통한 표현 교수-학습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해 단계는 수용 단계로 전체적 접근, 형식적 접근, 내용적 접근, 이미지 형성에 접근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이 수용 단계는 학습자들이 동시 텍스트와 문화 간 의사소통을 하면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표현 단계는 이미지 찍기를 하는 적용 단계와 이미지 찍기를 활용하여 말하기를 하는 생산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5장에서는 작품 선정 기준을 정하여 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동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4장에서 설계한 모형으로 중급 학습자 15명을 대상으로 10회 수업을 하고 사전・사후 설문 조사를 하여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 동시의 교육적 가치와 동시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효용성을 밝혔다. 먼저,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 동시의 교육적 가치로는 ‘표현이 쉬워서 이해가 잘 되었다(24%)’, ‘동심을 유발하여 학습에 흥미를 느낄 수 있었다(20%)’, ‘한국의 문화와 정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18%)’, ‘실제적인 언어 표현이 많아서 말하기 연습에 도움이 되었다(16%)’, ‘리듬이 있어서 듣고 읽기에 도움이 되었다(10%)’, ‘한국어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었다(8%)’, ‘짧아서 학습에 부담이 적었다(4%)’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시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은 매체 문식력의 향상 및 확대,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 문학 창작의 교량 역할의 효용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 동시의 언어・문화적인 내용을 문화 간 의사소통을 통해 수용하고, 말하기 이전의 사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의존명사 사용에 관한 연구
1장, 서론에서는 연구목적 및 필요성, 선행연구 검토, 연구방법을 제시하였으며 2장, 의존 명사에 대한 기본적 이해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의존명사의 개념, 구성, 특성 및 분류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실제 한국의 각 교재에 제시된 의존명사를 참고, 분석하고, 선행연구에 제시된 의존명사 목록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서 선정한 의존명사 목록을 작성하였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선정한 의존명사의 한·중 표현 형식에 대한 대조를 실시하였다. 중국어에는 의존명사와 같은 어휘요소는 없으나 의존명사 표현에 대응되는 중국어 표현이 있다. 한국어 의존명사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한국어의 27개 의존명사에 대응하는 중국어 명사성 어휘 요소가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결과를 바탕으로 의존명사와 관련한 한·중 표현을 몇 가지 유형으로 정리하였다. 4장에서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의존명사 사용 양상을 4가지 방법으로 고찰하여 결과를 검토하였다. 첫째, 의존명사를 몇 개씩 묶어 제시하고 괄호 안에 적절한 것을 선택하는 방식의 테스트를 실시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이 문맥에 맞는 의존명사를 선택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둘째, 중국어권 학습자들에게 자유 주제로 작문을 실시하도록 하고 수집된 작문 자료에 의존명사가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분석함으로써 표현할 때의 실제 사용 양상을 검토하였다. 셋째, 제시된 의존명사를 사용하여 문장을 완성하도록 요구하는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이는 한국어 의존명사에 선행어와 후행어의 제약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관한 지식을 활용하여 올바른 문장을 만들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테스트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존명사에 대한 인식을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5장에서는 4장에서 밝힌 조사 및 연구 결과를 요약 제시하였으며 이어서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inese KSL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and usage of Korean dependent nouns and Chinese expressions of Korean dependent nouns by using analysis tests, interviews and essay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ct answer rates in the objective test results (over 90%) are: '등'(100%), '수' (100%), '지' (98%), '것' (96%), '때문' (94%), '적' (94%), '만큼' (92%), '줄' (92%), and '리' (90%); for the object test results (below 40%), they are: '듯' (39%), ''둥' (38%), '따름' (32%), '나위' (28%), '나름' (28%), '터' (21%), and '녘'(20%). The objective test's correct answer rate agree with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ndard Model. However, in the case of '리,' which is classified as advanced, the correct answer rate is 90%. This result represents '리(理),' which is a Chinese character. The correct answer rate in this study of '나름' (28%) and '터' (21%) are lower than the International Korean Education Standard Model, which represents the middle rate. Second, the dependent nouns in the essay of subjects are 9. The total frequency of the four dependent nouns, such as '것', '수', '때문', and '뿐' showed 97.8%. This shows that the dependent nouns used by the learners are not varied. Third, the advanced learners can choose the dependent nouns correctly in the objective test; however, the correct answer rate in the compositions task ended up being lower than the objective test's. This shows that the higher level learners are able to recognize the dependent nouns, but they have difficulties using the dependent nouns in their composition. Fourth, in the objective test, the correct answer rate was not much of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hinese noun lexical elements, which correspond to the Korean dependent nouns. However, in the composition test, there was a difference. The correct answer rate was higher because the presence of corresponding Chinese noun lexical elements affect Korean dependent noun learning. The results gathered from the interview with Chinese KSL learners on their cognitive recognition of dependent nouns are as follows: First, their cognitive recognition of dependent nouns is deficient. They usually believe that it is not important to learn Korean dependent nouns. Second, for them, it is hard for them to comprehend the content's meaning and sentence structure. Third, 56% of the interviewees said that it is important to have a structured lecture on dependent nouns in Korean language classes. If the dependent nouns are explained further in a structured manner, this will result in them showing more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Dependent noun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grammar characteristics in the Korean language. If they don't understand it, then they will experience more hardship when trying to learn the language. I hope this study, which was for Chinese KSL learners, will contribute in developing a more effective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In this study we contrast the ‘bound noun construction’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its counterpart in the Japanese language in order to determine how similar they are to one another. We then analyze typical characteristic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bound noun constructions in the two languages. The aim of the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teaching plan on the bound noun constructions for Japanese Korean learners. Despite the fact that Korean and Japanese share a high degree of similarity, the morphological and seman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can possibly lead to errors. This is also the case when teaching the Korean bound nouns and the bound noun constructions. For this reason, in this study we contrast the ‘bound noun constructions’ that consist of ‘a preceding element + a bound noun + a following element’ with their Japanese counterparts and examine their differences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teaching plan. In the study we selected 29 bound noun constructions with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n used corpus data on the Korean and Japanese speakers natural language use in daily life in order to contrast them with their Japanese counterparts. For the contrast, we divided the constructions into ‘a preceding element + a bound noun’ and ‘a bound noun + a following element’ and focu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ir corresponding Japanese exp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Japanese native speakers may find learning the Korean bound noun constructions easy on the one hand, and also face difficulties on the other hand. Therefore,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teaching plan on the Korean bound noun constructions for Japanese Korean learners.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의 ‘의존명사 구성’을 일본어와 대조하여 일치 여부를 파악하고 한국어와 일본어의 의존명사 구성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 및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일본어권 학습자를 위한 의존명사 구성의 교육 방안을 세우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서로 유사성이 높은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두 언어의 형태 또는 의미적인 차이로 인해 오류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한국어의 의존명사 및 의존명사 구성을 교수할 때에도 예외는 아닐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선행 요소+의존명사+후행 요소’의 구조로 이루어진 ‘의존명사 구성’을 일본어와 대조하여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교육 방안을 구축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 빈도 높게 제시된 29개의 의존명사 구성을 선별하여 한국어 및 일본어 모국어 화자가 일상 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구축한 말뭉치 자료를 통해 대조하였다. 대조 방법은 ‘선행 요소+의존명사’와 ‘의존명사+후행 요소’로 분리한 후 이와 대응을 이루는 일본어 표현을 형태적 특성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일본어권 학습자가 한국어의 의존명사 구성을 학습할 때 쉽게 습득할 수 있는 것과, 반대로 습득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내용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일본어권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의 의존명사 구성의 교육 방안을 세울 시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을 기대하는 바이다.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문장 구성의 특징 연구 : 어말어미를 중심으로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문장 구성의 특징 연구 -어말어미를 중심으로- 이 지 윤 계명대학교 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지도교수 김 선 정) (초록) 본 연구는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자료에 나타난 한국어 문장 구성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숙달도별로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문장 구성의 특징과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의 어말어미를 중심으로 사용 양상 및 오류 분석을 실시하여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먼저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문장 구성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평균 발화 길이(Mean Length of Utterance: MLU)를 분석한 결과 단계가 높아질수록 더 많은 단어와 형태소를 결합시켜 복잡한 문장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영어권 학습자와 한국인 대학생의 형태소 사용에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어권 학습자들은 작문을 할 때 한국어의 문법형태소를 제한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문법형태소 사용의 어려움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어말어미의 통사 영역 사용양상과 오류 분석은 종결어미, 연결어미, 전성어미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영어권 학습자들은 하나의 글에서 격식체와 비격식체를 혼용하여 오류를 일으켰으며 상대높임을 나타내는 종결어미를 혼용하는 오류도 보였다. 영어권 학습자들은 연결어미와 전성어미는 제한된 몇 가지 형태만을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결어미와 전성어미는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오류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형태소 사용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다는 것을 좀 더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한국어 학습자의 통사적 발달의 기초 자료가 되고, 실제 한국어교육 현장이나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쓰기 평가체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entence Construction by English speaking Korean Learners - Focusing on Word Final Endings - Lee, Ji Youn Department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Graduate School Keimyung University (Supervised by Kim, Seon Jung)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entence structures in the writing materials of English speaking learners in the Korean language. In the study, we analyze the usage patterns and errors with their causes, with focusing on the Korean word final endings and sentence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English speaking learners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Firstly, we analyzed the Mean Length of Utterance (MLU) in order examine the sentence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the English speaking learn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proficiency, the more words and morphemes were combined together, and the more complex their sentences became. However, we also found out differences between the morpheme use among the English speakers and native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English speakers in their writings used Korean grammatical morphemes only restrictively. They also displayed difficulties in the use of the grammatical morphemes. Secondly, we divided the final endings syntactic usage patterns and errors of the English speaking learners into conclusive endings, connective endings, and adnominal endings, and then examined them. The English speakers made errors by mixing formal and informal style in their writings, and also made errors by using relative honorific conclusive endings. They also tended to use restrictively only a few forms of connective and adnominal endings. In addition, the higher their proficiency was, the more errors in the use of connective and adnominal endings they made. On the basis on these results, we were able to verify more concretely the difficulties in their use of morphemes.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on the syntactic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hat it will prove helpful in real teaching practice and in concrete and systematic writing evaluation system.
노래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학습자의 경험 말하기를 통해
본 연구는 노래의 교육적 가치를 지향하는 관점에서 노래를 활용하여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말하기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목표에 따라 한국어 말하기 교육 중에서 활용할 수 있는 노래를 제공하였다. 또한, 노래를 활용한 말하기 수업의 모형을 개발하여 한국어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여, 노래를 활용한 말하기 교육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본고의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노래를 활용한 말하기 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노래를 활용한 말하기 교육 모형을 설계하였다. 제4장에서는 말하기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실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노래 목록을 제시하였다. 또한 설계한 교육 내용은 현장 적용의 가능성 및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실험 수업을 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고 연구의 의의, 한계점, 앞으로의 연구 과제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중급 학습자 대상으로 노래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에 알맞은 노래 선정 기준을 다섯 가지로 정하고 그 선정 기준에 맞는 노래의 목록을 제시하였다. 또한, 노래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경험 말하기를 통해 한국어 말하기 교수-학습 모형 및 활동을 제작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 노래의 교육적 가치를 알아보았다. 이는, 첫째, 노래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말하기 수업에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둘째, 노래를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다양한 언어적 지식을 학습할 수 있다. 셋째, 노래를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실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노래를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한국 문화의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노래를 활용한 말하기 교육이 말하기 능력 신장에 기여하는 바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노래의 교육적 가치를 밝히고 이를 통해 노래를 활용한 효과적인 말하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여 중국인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신장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Korean speaking ability utilizing the songs in the perspective of aiming at the educational value of song. In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speaking education in the Korean education was emphasized and the songs that can be used during the Korean speak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objectives of Korean speaking education to enhance the learner's communication ability were provided. In addition, the measure to enhance the Korean speaking ability was suggested by developing the model of speaking class utilizing songs. In Chapter 1, the preceding researches related to speaking education utilizing songs were examined by presenting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nd the research method was presented. In Chapter 2, the theory on the speaking education utilizing songs were examined. In Chapter 3, the model of speaking education utilizing songs was designed. In Chapter 4, to achieve the objective of speaking education, the list of songs that can be utilized in actual class were presented.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class was fulfilled to find out the applicability and effect of designed education contents. In Chapter 5, the contents of this study were organized, and the meaning,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task of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The mean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5 selection criteria of the songs fit to Korea speaking class were established and the list of songs conformed to the selection criteria was presented. In addition, through speaking of the learner's experience utilizing songs, the teaching-learning model and activity of Korean speaking class were made. Finally,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song was investigated in the Korean speaking education. First, the educational value of songs causes the interest in learner's speaking class utilizing the songs. Second, the learners can obtain diverse linguistic knowledge utilizing songs. Third, actual communication ability of the learner can be improved utilizing songs. Fourth, learner's understanding on Korean culture can be improved utilizing songs. In this paper, it was examined from the Chinese learner if the speaking education utilizing songs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speaking ability. This study will identify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song, through which it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hinese learner's speaking ability by suggesting effective measure for speaking education utilizing so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