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구지역의 음악공연에 대한 비평 분석 : 2000년 이후 지역 언론지의 비평을 중심으로

        노수경 영남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35

        Analysis on Criticism on Musical Performances in Daegu -With Special Emphasis on Local Media Issued Since 2000- Nho, SooKyoung Department of Administration of Art Graduate School of Art & Design Yeungnam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Min, JooSik) Abstract Since the 20th century, criticism of art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art management. The role of criticism to discuss the values of art has become the standard for art consumers to choose art products, and this came to produce art criticisms for the purpose of selling art products. 'The absence of criticism' has risen as an issue in the overall artistic circles. This paper aims to grasp whether the criticism on music performances in Daegu is playing its role as art criticism properly or not and to study how criticism should develop for the advancement of field of musical art in the region. The range of study is major daily newspapers and art magazines issued in Daegu since 2000 until 2010. Maeil Shinmun and the Yeongnamilbo were selected as the major daily newspapers, and Daegu Munhwa was selected as the major art magazine. This paper determined and classified the standards for criticism on music in order to analyze the criticism on music of three media. The kinds of criticism on music were classified into concerts, created music, situations of musical society and musical festivals. The forms of criticism were classified by the methods of criticism, by the methods of description and by types of critics, and were even classified in more details into analytic criticism, impressive criticism, comparative criticism, professional criticism, criticism in the form of reports, cultural criticism and criticism in the form of essays. The types of critics were classified into reporters, persons related to music including professional critics and others. This paper assorted the criticisms on music in Maeil Shinmun, the Yeongnamilbo and Daegu Munhwa on the basis of these standards, and analyzed the ratio of each category. It's already a past history that art is recognized with its existence itself. Art has become a product with an obligation to catch the public eye, and diverse efforts to create 'art consumers' have emerged. That is, art has come to have a duty to actively show its special value to the consumers with no understanding about art, and attention has been paid to criticism on art as the best means to satisfy that. The culture of criticism has not been absent but failed to keep up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The pressure on the artistic circles for a shift in generations and the artists who failed to feel the needs for groping for directions for criticism to develop are partly responsible for that. The development of culture of criticism suitable to the era would come under not only Daegu but also every city and every nation. If we acknowledge the purpose and diversity of critics and accept criticism not as attack but as attention and affection, we will be able to maintain the culture of criticism not harming the original role of criticism. 국 문 요 지 대구지역의 음악공연에 대한 비평 분석 -2000년 이후 지역 언론지의 비평을 중심으로- 노 수 경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예술행정학과 예술행정학 전공 지도교수 : 민주식 20세기 이후 예술비평은 예술경영과 밀접한 연관을 가진다. 예술의 가치를 논하는 비평의 역할이 곧 예술 소비자들에게 예술상품 선택의 기준이 되었고 이는 곧 예술상품을 판매하는 목적으로 예술비평들을 양산하게 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대구지역의 음악공연 비평이 예술비평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지역 음악예술분야 발전을 위해 비평이 어떻게 발전해야 할 것인가를 연구함에 있다. 연구범위는 대구지역에서 발행되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의 주요 일간지와 예술잡지이다. 주요 일간지로는 매일신문, 영남일보를 선택하였고 주요 예술잡지로는 대구문화를 선택했다. 세 매체의 음악비평을 분석하기 위해 음악 비평의 기준을 정하고 분류하였다. 음악비평의 종류는 연주회, 창작곡, 음악사회적상황 그리고 음악축제로 구분하였다. 비평의 형식은 비평 방식상, 서술방식상 그리고 비평가의 유형으로 분류했고 더 세부적으로 분석적 비평, 인상비평, 비교비평, 전문적 비평, 보고형식 비평, 문화 비평, 수필형식 비평으로 구분하였다. 비평가의 유형은 기자와 전문비평가를 포함한 음악관계자 그리고 그 외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기준을 토대로 매일신문, 영남일보, 대구문화의 음악비평문을 가려내고 각 분류별 비율을 분석하였다. 세 매체의 음악비평 분석을 통해 대구지역 음악공연 비평은 비평문의 목적성이 뚜렷하지 않고 대중과 비평가가 소통할 비평의 장이 부족하며 비평을 두려워하는 문화를 갖고 있다는 문제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음악 비평가는 당대의 음악현상과 쟁점을 진단하고 그 비전을 제시하는 작업을 해야 하는 음악비평의 보편적 지향점을 염두에 두어 대구지역 음악공연 비평의 현재를 진단하고 지향점을 고민하였다. 예술이 존재 자체로 인정을 받는 것은 이미 지난 시대의 이야기가 되었다. 예술은 대중의 이목을 집중시켜야 하는 의무를 가진 상품이 되었고 ‘예술 소비자’를 창출해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대두되었다. 즉, 예술이 가지는 특별한 가치를 예술에 대한 이해도가 없는 소비자들에게 적극적으로 보여야 할 의무를 가지게 되었고 예술 비평은 이를 충족해 주는 가장 좋은 수단으로 주목받았다. 비평문화는 부재한 것이 아니라 시대의 변화에 발맞추지 못했다. 그 것은 세대교체에 대한 예술계의 부담감과 비평의 발전 방향 모색에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던 예술가들에게도 책임이 있다. 시대에 맞는 비평문화의 발전은 대구지역 뿐 만 아니라 모든 도시, 나라에 해당이 될 것이다. 목적성과 비평가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비평을 비난이 아닌 관심과 애정으로 받아들인다면 비평이 갖는 고유의 역할을 해치지 않고 비평문화를 이어갈 수 있을 것이다.

      • 무대예술전문인의 고용환경 안정화 방안 연구 : 무대음향전문인의 경우를 중심으로

        홍산 영남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50735

        M.A. Thesis A Study on Stabilization of the Employment Environment for Theatrical Arts & Technicians - mainly focused on sound engineering professionals - HONG, San Department of Arts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Art & Design Yeungnam University (Advised by professor Min, Joosik) ABSTRACT As various popular theater performances bring about a new trend toward larger and highly-rated performances, it began to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issue to ensure the safety of performing venues as well as to verify the professionalism for theatrical arts & technicians. Hence, a professional qualifications system for theatrical arts & technicians is introduced in order to improve onstage technical staff performing work and to enhance the value of the related performance. With the introduction of such professional qualifications system, certified theatrical arts & technicians are recognized as specialized experts in their fields. However, the social recognition of theatrical arts & technician’s environment and employment policy remains unchanged. This study identifie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employment environment especially for sound engineers among all certified theatrical arts & technicians by analyzing sound engineers’ business roles. Also, this study proposes alternatives through diverse cases from abroad. The main work duty of sound engineers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own planning performances in their performance hall and external performances in a rented hall or venue. Range of service roles for sound engineers varies according to performance planning nature, but in reality, the roles of sound engineers even in own planning performances in their performance hall are very limited in that typically, their planning team casts an entire performance program with its team members including outside sound engineers. Thus, the primary business role for sound engineer is to work in external performances in a rented hall or venue. Nevertheless, sound engineers often experience in such external performances in a rented hall or venue that their work became insignificant in the performance due to many kinds of indirect support that may reduce the value of the sound engineers’ roles. Although sound engineers are obligatorily placed on the public theater by the performance law, the work duty of sound engineers in such conditions is relatively limited. Therefore, employment environment for sound engineers are mainly centered on working in larger performance settings which may change their employment market as a form of outsourcing type. The principle issues in these changed conditions of outsourcing strategies are followings: - The social tendency to avoid studying in the fields of natural sciences engineering in college - Lack of official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atrical arts & technicians - Excessively sensitive performance hall management to social trends - Sound engineers’ attitude toward their fundamental work duty To solve these issues, sound engineers needs to have basic knowledge to become a beneficial member of society. In addition, in contrast to the current governmental policy which is mainly focused on fostering entry level theatrical arts & technicians, it needs to be changed to managing the professionals to become more confident in their fields. To make the better conditions for theatrical arts & technicians, establishing a well-arranged management agency is needed. This will improve employment environment for such professionals better, and will help them better achieve state-of-the-art technologies. Also, it will help the current professionals to become more proficient in their professions. Furthermore, the social awareness for theatrical arts & technicians needs to be changed. Rather than just supporting their related artists, theatrical arts & technicians need to be recognized as the equivalent status as professional artist by receiving continuous governmental support and by enhancing various activities to aid an active social life through the performing arts professional associations. Finally, sound engineers need to increase their professional value. In order to raise the value, improving the business structure and flexible management skills are also required. In other words, the role of sound engineers needs to be extended from their fixed management and supporting work duty to managing entire performance design. The higher the value of the sound engineers become, the more stable employment environment for them will be. 국 문 요 지 무대예술전문인의 고용환경 안정화 방안 홍 산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예술행정학과 예술행정학 전공 지도교수 : 민주식 공연이 대형화·고급화 추세로 변화함에 따라 공연의 안전성 확보와 공연장에 종사하는 무대기술인력에 대한 전문성이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이에 무대기술인력에 대한 전문성과 공연작품의 예술적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무대예술전문인 자격제도가 도입된다. 무대예술전문인 자격제도 도입으로 양성된 무대예술전문인은 직업적 전문성을 자격제도를 통하여 인정받았지만, 무대예술전문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나 고용환경의 변화는 변함이 없다. 이에 본 논문은 공연장에 종사하는 무대예술전문인 중 무대음향전문인을 대상으로 무대음향전문인의 업무 역할을 분석하여 내·외부적으로 고용환경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외 사례를 통하여 대안을 제시한다. 무대음향전문인의 업무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자체기획공연일 경우와 외부대관공연일 경우로 나눠진다. 업무범위가 공연기획 성격에 따라 분류되지만 현실적으로 자체기획공연도 대부분 외부공연을 섭외하는 수준이기 때문에 무대음향전문인의 업무범위는 외부대관공연의 업무라 볼 수 있고, 외부대관공연일 경우 간접적인 지원의 역할로 공연작품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공연법에 의해 공공공연장에 무대음향전문인 의무배치가 실시되고 있지만, 무대음향전문인의 업무 범위를 보면 중요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결국 대형공연장을 중심으로 무대기술인력의 고용환경은 아웃소싱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아웃소싱 형태로 변화된 무대음향전문인의 고용환경의 문제점은 이공계 기피현상인 사회적 풍토와 무대예술전문인에 대한 관리 기구 부재, 사회적 분위기에 민감한 공연장 운영, 무대음향전문인의 근무 마인드에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선 무대음향전문인 스스로 자각적인 사회구성원으로써 기본소양이 갖춰져야 하며, 지금까지 정부정책이 무대예술전문인 양성에 초점이 있었다면 이제부터 무대예술전문인 관리로 초점의 변화가 필요하다. 무대예술전문인 관리 기구를 만들어 무대예술전문인의 고용환경 개선과, 빠르게 변화하는 무대기술에 대처하고, 전문성을 확고하기 위해 지속적인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무대예술전문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도 중요하다. 무대예술전문인이 예술가의 보조적 수단이 아닌, 전문분야로서 인정받고 예술가의 동등한 입장으로 평가받도록 정부의 지원과 무대예술전문인 협회의 적극적인 사회 활동이 필요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무대음향전문인은 스스로의 가치를 만들어 가야 한다.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업무 구조의 개선이 필요하고, 탄력적인 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즉, 관리·지원의 고정적인 업무에서 벗어나 점차 디자인, 운영 부분까지의 업무 범위가 확대되어야 한다. 무대음향전문인의 가치가 높아질수록 고용환경은 안정화 될 것이다.

      • 고객관계관리(CRM)의 관점에서 본 공연예술의 관객개발 : 대구오페라하우스를 중심으로

        박민석 영남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35

        고객관계관리(CRM)의 관점에서 본 공연예술의 관객개발 - 대구오페라하우스를 중심으로- 박 민 석 영남대학교 문화예술디자인대학원 예술행정학과 예술행정학 전공 지도교수 : 민 주 식 국문초록 지난 수십년 동안 우리는 경제발전을 위한 산업화 위주의 경제정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여 왔었다. 하지만 후기 산업사회에 접어들면서 문화의 중요성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국민들의 지적 수준 향상과 더불어 인간이 인간답게 살기 위한 수단으로 문화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문화의 산업화와 더불어 국가 경쟁력을 결정짓는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으로 인식되어짐에 따라서 공연예술에 대한 경제적 부가가치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는 시대가 되었다. 또한 국가의 브랜드화를 위한 수단으로 공연예술이 그 가치를 높여가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공연예술은 산업적인 측면에서 윈도우 효과를 가장 직접적으로 가져올 수 있는 효과적인 경제 매개체로 인식되어지면서, 이로 인해 효율적인 경영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로 하게 된 것이다. 또한, 문화예술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더불어 사회적으로 사람들의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와 함께 문화예술 중에 공연예술의 체험이 보편화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급격한 사회적 변화로 공연예술분야에서 경영은 체계적이지 못한 운영으로 효율성면에서 다소 미흡한 부분들이 발견되고 있다. 그 문제점으로 공연예술분야에서의 경영방식이 여전히 공연기획자 중심의 운영을 통해서 공연을 관람하는 관람객과의 소통에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초기 제작비용이 상대적으로 큰 공연예술분야는 홍보, 마케팅기법의 비전문화로 인해 효율적인 운영이 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필자는 일반적인 기업에서의 고객관계관리(CRM)를 공연예술 분야에서도 적극 도입하고 전문화 및 세분화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대구오페라하우스를 중심으로 고객관계관리를 통한 공연예술의 관객개발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즉, 기존 고객관계유지 및 예비고객을 대구오페라하우스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해외의 선진 오페라 전용극장들의 프로그램들을 연구하고 국내 우수사례에 대해서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및 우수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이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체계적인 고객관계관리를 위해 순수예술분야인 오페라의 저변확대를 위한 전문적 경영기법을 ,도입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이에 본연구자는 관계마케팅 기법을 적극 활용하고 관계마케팅의 수단으로 웹사이트의 활성화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웹을 통해서 고객과 소통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개발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노력들이 이루어져야만 한다는 것이다. 경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으로 결국은 고객과의 소통의 장으로써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적은 웹을 활성화하고 이러한 활성화는 관객개발이라는 결과를 가져 올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구오페라하우스는 재단법인 출범과 더불어 지속적인 관객개발을 위해 고객과 소통하고,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보다 전문적인 기관으로 자리 잡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핵심어: 문화예술, 문화예술교육, 고객관계관리, 관계마케팅, 공연예술, 오페라극장, 관객개발, 서비스스케이프, 미디어마케팅, 정기회원제도 M.A. Thesis Audience Development for Performing Arts from the View point o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CRM) - Focusing on Daegu Opera House - Min-Seok Park Department of Art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Arts and Design Culture Yeungnam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Joo-sik Min) Abstract For the last several decades, Korea has invested lots of time and efforts in pursuing industralization-oriented economic policy for economic development. Since the post-industrial society, however, Korea has paid more attention to cultural activities. As the citizens have become intellectually more developed, they have turned their attention to diverse cultural activities, including performing arts. As a result, the cultural industries have advanced substantially. They have been perceived as important industries with high added values, which can influenc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t has led to the rising interest in the economic value of performing arts. In fact, performing arts have boosted their value as a tool for nation branding. As performing arts have been perceived as an 'economic medium' whose value can dramatically rise over time, effective management methods need to be studied as to the field. Meanwhile, rising interest in cultural arts has changed the lifestyle of people. In particular, performing arts have garnered tremendous attention, leading to widespread experience in the field. However, the management of performing arts have been rather inefficient and unsystematic. It is related to the rapid social changes. The problem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performing arts management still revolves around production agencies. As a result,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 the customers ― is quite limited. Second, operation of performing arts has been inefficient as the initial production cost is relatively high and marketing and advertising have been ineffectiv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which is used in corporations, should be actively adopted by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along with specialization and segmentation. This study explores audience development for performing arts through CRM with focus on Daegu Opera House. To maintain existing customers and attract new customers to Daegu Opera House, the following are suggested. First, advanced opera theaters in other countries should be studied and emulated. Second, domestic benchmarking is also necessary through regular monitoring and research into outstanding cases. The results should be actively adopted for continuous development. Third, specialized management methods should be adopted to increase the customer base of opera, a pure art, for systematic CRM. Thus, this study focuses on website stimulation as a tool for CRM, actively utilizing its marketing methods. It was done under the belief that customer-oriented programs and services should be developed and offered steadily on the web. For more efficient management, website can stimulate customer interaction as it can be done anywhere, anytime. Such stimulation will lead to audience development. Daegu Opera House has the potential to become a specialized performing arts venue after establishing its foundation. To that end, it needs to engage in customer interaction and to seek expert opinions for continuous audience development. Keywords : Culture and Arts, Arts Education,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Relationship Marketing, Performing Arts, Opera House, Audience development, Media Marketing, Regular membership system

      • '경주 예술의 전당'의 어린이 연극교육 활성화 방안

        전봉호 영남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19

        국문초록 연극의 발생은 인간의 모방․유희 본능 및 근원적 경험과 깊은 관련이 있다. 그리고 연극은 우리의 정서를 순화시키고 연극을 통하여 다른 삶을 체험 할 수 있게 한다. 또 연극을 통하여 인간과 인간이 만나고 소통하게 한다. 한편, 인간의 모방․유희 본능은 어린이들에게도 나타난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는 이들의 본능과 권리가 여러 가지 환경적 영향으로 억압받고 있다. 그래서 어린이들의 본능과 권리를 연극교육을 통하여 회복 시켜주어야 한다. 2010년에 개관한 경주예술의전당은 현재 뮤지컬, 연극, 음악회, 전시, 예술아카데미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경주시민들에게 문화향유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 중에서 어린이 연극놀이교실은 경주지역 어린이들이 연극놀이를 통하여 보다 성숙한 문화적 소양을 지닌 사회구성원으로 자라나게 돕는 역할을 하여 왔다. 하지만 예산이 확보되지 않고, 예술교육 담당자와 경주시립극단의 소통 부재, 공연일정 등으로 어린이 연극교육이 진행되지 않고 있다. 어린이 연극교육은 어린이들의 연극이해를 돕고, 연극의 관람자에서 참여자가 되게 한다. 이런 의미에서 어린이 연극교육은 다시 진행 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경주예술의전당의 어린이 연극교육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 졌다. 먼저 어린이 연극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연극교육의 문화적 의미를 통하여 사회적 측면, 윤리적 측면, 교육적 측면의 역할을 정리 하였다. 이로써 어린이들이 연극교육을 통해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고, 다른 어린이들과 상호교감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경주예술의전당의 어린이 연극교육 단체인 경주시립극단 자료를 바탕으로 2002∼2012년까지 운영하여 온 어린이 연극놀이교실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것을 바탕으로 최근 5년간의 교육장소, 참여인원, 프로그램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위 분석 내용과 국내 어린이․청소년 연극교육 우수사례인 (재)국립극단 어린이청소년극연구소, 극단 사다리의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경주예술의전당의 어린이 연극교육의 방향에 대해 모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경주예술의전당의 어린이 연극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어린이 연극교육은 예산확보 및 예술교육 네트워크 활성화 등을 통해 계속 진행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연극교육 방식만 고집 할 것이 아니라 어린이극 레퍼토리 개발을 통하여 공연연계, 찾아가는 어린이 연극교육이 함께 이루어 져야한다. 그리고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일환으로 진행되어, 문화소외계층 어린이들의 연극참여의 기회를 늘려야 한다. 이를 통하여 경주지역의 모든 어린이들이 연극을 이해하고 즐길 수 있게 하여야 한다. 경주예술의전당은 경주시민들의 공공재이다. 경주예술의전당은 어린이 연극교육을 통하여 경주지역 어린이들과 시민들에게 문화향유의 기회가 확대될 수 있게 끊임없이 노력하여야 한다. 비록 이 논문은 경주예술의전당의 어린이 연극교육으로 범위를 제한하고 있지만 다른 어린이 예술교육(음악, 미술, 무용교육 등)활성화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그래서 예술교육을 통하여 경주지역 어린이들과 시민들에게 문화향유의 기회가 확대되기를 바란다. Abstract Occurrence of drama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human being's imitation․game instinct and fundamental experience. And drama make our emotion purified and through drama, we can experience other lives. In addition, through drama, human beings meet and communicate. On the other hand, human being's imitation․game instinct can be also found in children. However, in modern society, these instinct and rights are suppressed by various environmental influences. Thus children's instinct and rights shall be recovered through drama education. Gyeongju Arts Center that opened in 2010 is providing an opportunity of enjoyment of culture to Gyeongju people with various program such as musical, drama, concert, exhibition, Arts academy, Especially children Creative Drama class is playing a role to make children to be community members with mature cultural literacy through Creative Drama. However, because budget is not ensured, and there is no communication between person in charge with arts education and Gyeongju civic theatre, and performance schedule, children drama education is not proceeded. Children drama education gives better understanding of children's drama, and make spectators of drama to be participants. With this reason, children drama education shall be re-proceeded. This paper is performed based on 'Children drama education activation plan of Gyeongju Arts Center'. Firstly a need of children drama education is emphasized, and through cultural meaning of drama education, roles of social, ethical and educational aspects are summarized. Thus, children will be able to express freely through drama education, and an opportunity for mutual sympathy with other children is provided. And based on material of Gyeongju civic theatre which is Gyeongju Arts Center's children drama education group, material from children Creative Drama class which has been run from 2002 to 2012 is collected, and based on this, recent 5 year's education places, participants and programs a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above analyzed contents and ‘(E)the National Theatre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which is a domestic children and youth drama educational best practice, and ‘Stage Sadari’ program, direction of children drama education of Gyeongju Arts Center is sought, and based on this, ‘Children drama education activation plan of Gyeongju Arts Center' is suggested. Children drama education shall continue through ensuring budget and arts education network activation. However, rather than concentrating on the existing drama education methods, through children's theater repertory development, performance linkage and visiting children drama education shall be performed. And it shall be performed as a part of social-cultural and arts education, and a chance of drama participation shall be given to culturally neglected children. Through this, all children in Gyeongju shall understand and enjoy drama. Gyeongju Arts Center is public goods of Gyeongju people. Gyeongju Arts Center shall continuously try in order to expand the opportunities of enjoyment of culture to Gyeongju children and people through children drama education. Even though this paper only discuss regarding children drama educaiton of Gyeongju Arts Center, hopefully it helps for other children arts education (music, art, dance education, etc) activation. Thus, through arts education, an opportunity of enjoyment of culture shall be given to Gyeongju children and people.

      • 대구지역 거리공연예술의 현황 조사 및 발전방안

        배두호 영남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19

        대중예술(Public art), 도시예술(Urban art) 그리고 도시문화, 거리예술. 이 모든 어휘는 미학과 도시의 관계에서 때로는 관련이 없어 보이고, 때로는 연관성을 가진 다양한 현실을 포함한다. 거리공연예술은 도시의 공공장소에서 펼쳐지는 예술형태이다. 근래에는 시민의 공연과 표현의 자유를 존중하여 지자체를 비롯한 정부가 관련규정을 제정하고 지원방안을 고민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여가선용 목적에 그치거나 이미지로만 보여주는 이벤트로 그치는 등 사회적 관심만 증대되었을 뿐, 거리공연예술에 대한 중요성과 역할에 대한 연구는 실로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본 논문은 거리공연예술이라는 거대한 움직임에 대한 담론적 해석의 틀을 마련하고, 한국사회에서 대중공간과 현대사회의 총체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 또한 대구지역의 거리공연예술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여 큰 틀에서의 대구지역 거리공연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지역문화에 대한 기반조성은 물론 새로운 지역문화예술정책에 대한 담론을 수반한다.

      • 초등학교 공연관람 실태조사와 개선방향연구

        윤선경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719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공연관람 실태조사와 개선방향연구이다. 미국의 공연관람프로그램과 우리나라의 현시점에서 공연관람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여 미래 공연관람의 큰 고객이 될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 보다 나은 공연관람의 필요성과 접근방법을 제시하는 것으로 방안제시 할 것이다. 미래 공연관람 관객인 어린이가 초등학교 교육부터 잠재적 관객으로서, 잠재적 사업가로서, 잠재적인 예술가로서 중요성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 어린이들에게 즐기고, 참여하고, 창조할 기회를 늘려주자는 것이다. 참여와 향유를 통하여 창의적인 잠재력을 개발하고 예술기관을 정기적으로 방문할 기회를 제공하여 우리 어린이들이 개인적으로 기회와 가능성을 갖도록 돕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는 일반적으로 한 교사가 전체과목을 가르친다. 물론 요즈음 전담교사 제도를 운영하는 학교가 많지만, 이것은 교육적 의도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초등교사 전체라는 교사 수급 문제에 기인한 것이다. 바로 이러한 점이 초등학교에서 예술과목 교육의 본질이 무시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영어를 잘 가르치기 위해서 영어를 잘하는 사람을 데려오는 것처럼 예술을 잘 가르치기 위해서 단순히 예술적 기능만이 뛰어난 사람을 데려올 수는 없다. 그러나 한 교사가 전체과목을 다 가르친다고 예술과목 교육이 잘 이루어지는 것은 결코 아니다. 또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에서처럼 음악, 미술, 체육을 한 교과서를 가지고 통합적으로 가르친다고 저절로 잘 되는 것은 아니라. 예술적 감수성과 창작능력이 가장 뛰어날 초등학교교육에서 공연관람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공연관람교육을 통한 교육은 모든 어린이들이 예술적 감성기능을 뛰어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할 수 없다. 어린이들에게 단순한 기능의 연마를 의도하지 많고 "자유"의 향유를 통한 문제 해결력과 창의력 신장이 의도되어야 한다. 인간의 본질적 가치인 자유를 발판으로 하지 않는 창의성은 교육으로 할 필요도 또 잘 할 수도 없다. 이것은 어린이들의 구체적 능력이 그들이 향유하는 자유를 통하여 창조성과 만나도록 해야 함을 뜻한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을 우리 사회가 긍정적으로 여기는 인각교육 내지 전인(全人)교육과 일맥상통한다. 그러므로 공연관람 교육은 어린이들을 기쁨 또는 슬픔 등의 감정에 민감하게 하는 느낌훈련의 차원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인간의 추상적 사고능력과 연결되는 감각적 인식능력의 고양을 위한 것이 되어야 한다. 사유능력이 막 발달하는 어린이들에게 규격화된 지식을 주입하여 일찍부터 그들의 사고를 일정한 틀 속에 가두어 두는 것은 위험천만한 일이다. 오히려 그들의 사고를 상상력의 자유로운 유희 속에 풀어놓아 미술, 음악 그리고 문학 등을 마음껏 접하게 하고 이를 통해 보편가치에 대한 관념을 가슴에 품도록 인도하는 편이 앞으로 그들이 배울 지식의 창조적 응용을 위해서도 훨씬 더 바람직한 일이다. 일례로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수학문제와 접하면서 입시의 관문을 뚫은 우리의 학생들 중에서 세계적인 수학자가 여간해서 잘 배출되지 않는 까닭도 그들이 기존의 수학법칙들에 무지하기 때문이 아니라 그 법칙들을 창조적으로 응응할 수 있는 힘이 모자라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공연관람교육을 통해 어린 시절부터 진정한 아를다움에서 즐거움을 얻을 줄 아는 능력을 배양해 주어야 할 것은 물론이거니와, 이로써 천박한 문화가 판을 치는 감각일변도의 세태를 지양하게끔 도모해야 할 것이다. 연령이 남으면 낮을수록 규격화된 교과의 교육보다는 상상력과 창조성을 길러주는 공연관람교육에 더욱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할 것이다. 미국과 우리나라의 예술교육을 보아도 커다란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우리나라는 입시위주교육으로 인한 연구의 한계가 있다. 미래관객의 주체인 어린이들이 배우는 초등학교 교육부터 예술과 예술가의 공연을 통해서 그들에게 즐기고, 참여하고, 창조할 기회를 늘려주기 위한 공연관람 실태조사와 개선방향을 연구하여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공연관람 교육 프로그램으로 7학교의 초등학교 선생님들의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태조사를 하고, 미국의 초등학교 공연관람 교육 프로그램을 비교하여 개선방향을 연구한다. 필자가 공연관람교육을 주장하는 이유는 세계적인 예술가를 길러내어 그 이름을 떨치려는 데 있는 것이 아니다. 오래 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주장하는 창의적 인간으로 교육시키는 데 필수적인 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예술적 창의성 자체를 교육시킨다기보다는 창작과 표현을 통해 인간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공연관람교육의 궁극적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인간의 잠재적 능력을 개발하고 창조적 통찰력을 표현하게 하여 통합적 인간을 형성하고 사회와 자신간의 유기적인 통일성과 조화를 이루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은 구체적으로 무엇이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 것인가. 그것은 삶을 매개로 한 소통이어야 한다. 먼저 초등학교 교육의 전체적인 교육정책이 현실에 부딪혀 시간만 낭비하는 교과서적인 학습에서 직접 보고, 듣고, 만져보는 현장학습으로 바꿔야 한다. 학교현장에서 통합프로그램으로 공연관람교육을 통해 사고하고, 학습하고, 표현하는 교육으로써 어린이들 스스로가 완숙해지는 것이다.

      • 대구지역 민간아마추어합창단의 활성화 방안 : 「얘노을 뮤직센터」를 중심으로

        양영승 영남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87

        M.A. Thesis Daegu area private amateur choir`s revitalization - Focusing on「Yaenoeul music center」- Yang, Youngseung Department of Administration of Art Graduate School of Art & Design Yeungnam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Min, Joosik) Abstract Music has provided human beings with joy and richness of life for a long time since it had the moment of origin of human beings together. Music is an art that not only simply gives pleasure to people but also has a grea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so on by inspiring the formation of smooth personality and emotional cultivation through musical activities. Among a variety of genre of music, chorus, in particular, is a form of music in which not an individual but many people should sing in harmony, and thus more emphasizes sociality and patience. The studies on the private amateur choirs are in keeping with studying the recovery of humanities providing the formation of harmonious character and management of affluent life meeting the historical situations through chorus, which is a community musical activity. The merits of activities in private amateur choirs can be summarized to four. The first is obtaining emotional stability, satisfaction and joy, and the second is growing the sense of responsibility and spirit of team work and forming a smooth character. The third is the members obtaining an opportunity of playing music through the activities of choirs and the possibility of expectation for enhancement of productivity following that. Finally, the members come to increase their quality of life and enjoy a rich life through the aforementioned details. The positive impact of choir activities is a reason why modern men who pursue artistic and musical beauty voluntarily perform chorus activities and at the same time a reason why numerous amateur choirs lead lively activitie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88 choir members of Yaenoeul Music Center. In the survey, 43.2%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very satisfied' to the question 'how much are you satisfied with your chorus life?', and 50% answered that 'satisfied'. In addition, 4.5% answered that 'so-so', and 2.3% answered 'I don't know'. Therefore, 93.2% of members are showing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horus life. Meanwhile, 98.9% answered yes to the question 'do you think the choir is helpful for your life?', which is another question in the survey. It can be said that this comes under the effects of private amateur chorus activities. This paper aims for the plans for revitalization of private amateur choirs, and thus presents the plans for improvement by substituting the universal issues of general amateur choirs for the situation of operation of Yaenoeul Music Center. The common issues of private amateur choirs were the difficulties in financing, frequent changes of members, difficulties in selling tickets and so on. The plans for improvement of difficulties in financing include collection of donation, issuance of receipts for that, deliberation of methods for income tax deduction of each membership fee, formation of a supporters association through CMS, a stable operation using an accounting program and so on. For the improvement of frequent changes of members, as amateur choirs have the personality of clubs, they should make a number of rallies to strengthen the unity or track meets and the forum for promotion of friendship and help the members establish their values so that they can feel the pride for choir activities themselves. It is also needed to diversify the plans for collecting new members by using the Internet or smart phones. In order to increase the rate of ticket sales, the limitations of regions should be overcome by using the online ticket selling agency system, and it can be also an alternative to construct regular members through the database of old members. Moreover,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o increase the degree of completion of chorus music for the members themselves to raise their pride. Although this paper limits its range to private amateur choirs, it is hoped that all chorus groups will have a better quality of performances and contribute to the satisfaction and personal development of their members no matter whether the groups have a religious purpose or are at the level of welfare of an enterprise.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irrespective of the personality of choirs, the choirs should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operation for their purposes and grow to be sound and robust groups with a new direction of management. It is hoped that therefore a desirable culture in which the society gets more stabilized and the members care about each other will take root through choirs, which are community groups. 대구지역 민간아마추어합창단의 활성화 방안 -「얘노을 뮤직센터」를 중심으로- 양 영 승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예술행정학과 예술행정전공 지도교수 : 민 주 식 요 약 음악은 인류의 기원과 함께한 이래 오랜 세월을 인간에게 즐거움과 삶의 풍요로움을 선사해 왔다. 음악은 단순히 인간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음악활동을 통하여 원만한 인격형성과 정서적 함량을 고취, 창조성 개발 등에 많은 영향을 주는 예술이다. 음악의 여러 장르 중에서도 특히 합창은 개인이 아닌 다수의 사람들이 함께 화음을 맞추어야 하는 음악의 형태이므로 사회성과 인내력이 더욱 강조되는 예술이다. 민간아마추어합창단에 관한 연구는 공동체 음악활동인 합창을 통하여 시대적 상황에 부응하는 조화로운 인격도야와 풍요로운 삶을 영위해 주는 인간성 회복을 연구하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민간아마추어합창단 활동의 장점은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정서적 안정 및 만족감과 즐거움을 얻게 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책임감과 협동심을 길러주고 원만한 인격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세 번째는 단원들이 합창단 활동을 통해 음악 연주의 기회를 얻고 이에 따른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앞서 열거한 내용들을 통해 각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풍요로운 삶을 향유 할 수 있게 된다. 합창활동의 긍정적 영향은 예술적, 음악적 아름다움을 추구하고자 하는 현대인이 자발적으로 합창활동을 하게 하는 이유인 동시에 수많은 아마추어 합창단들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본 연구를 위해 얘노을 뮤직센터 합창단원 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중 ‘귀하의 합창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하십니까?’ 라는 질문에 응답자 중 43.2%는 ‘매우 만족한다’에 응답하였고, 다음으로 50%는 ‘만족한다’에 응답하였다. 그리고 4.5%가 ‘보통이다’에 응답하였고, 2.3%는 ‘모르겠다’에 응답하였다. 따라서 93.2%의 단원들이 합창생활에 만족도를 표하고 있다. 한편 또 다른 설문 문항인 ‘합창단이 귀하의 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응답자 중 98.9%가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이것은 민간아마추어합창활동의 효과에 해당되는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민간아마추어합창단의 활성화 방안에 목적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아마추어합창단이 갖는 보편적인 문제를 얘노을 뮤직센터의 운영상황에 대입해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민간아마추어합창단의 공통적인 문제점으로 재정 확보의 어려움, 단원의 잦은 변동, 티켓 판매의 어려움 등이 있었다. 재정확보의 어려움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후원금 모집과 그에 따른 영수증 발행, 각 회비의 소득공제 방법 강구, CMS를 통한 후원회 조성, 회계 프로그램을 이용한 안정된 운영 등이 있다. 단원의 잦은 변동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아마추어합창단이 동호회의 성격을 갖고 있으므로 단합회나 체육대회 및 친목 도모의 장을 많이 만들고 단원들이 스스로 합창단 활동에 대한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가치 확립을 도와야 하며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이용해 신입 단원 모집의 방안을 다각화 할 필요성도 있다. 티켓판매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터넷티켓판매대행 시스템을 이용해 지역의 한계를 벗어야 하고 OB단원들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정기회원의 구축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 또한 단원 스스로의 자부심을 격상할 수 있도록 합창음악의 완성도를 높이는 것 또한 간과해서는 안 된다. 비록 이 논문은 민간아마추어합창단으로 범위를 제한하고 있지만 종교적 목적 합창단이든 기업의 복지후생 차원이든 상관없이 모든 합창단체들이 보다 나은 공연의 질과 합창단원들의 만족감과 개인적 발전에 보탬이 되기를 희망한다. 또한 합창단체의 성격과 상관없이 단체의 목적에 맞추어 운영상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새로운 경영의 방향이 생겨 건전하고 건실한 단체로 성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합창단이라는 공동체적 단체를 통해 사회가 좀 더 안정되고 서로 배려하는 바람직한 문화가 자리 잡았으면 한다.

      • 국내 초·중·고 관악합주경연대회의 현황 및 개선방안

        이주현 영남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87

        M.A. Thesis A Survey and Alternative Improvement of Wind Band Contest in Domestic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e, Joo-hyun Department of Art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Arts & Design Yeungnam University (Advised by Professor Min, Joo-sik) Abstract The wind ensemble, unlike an instrumental performance which is usually performed alone, displays a spirit of cooperation and an opportunity of self-expression through the cooperation between one and another, and it also helps cultivate a man of character having potential to be a future-oriented human-being. Based on dynamic sound, furthermore, it has an artistic effect in terms of instrument and performance, and it satisfies the populace at the same time. It has many merits in efficiency. Not only does it enhance achievement for the students who are psychologically in defect but also it reduces stress most students could get from their school work as the wind music demonstrates the music itself and produces an ensemble. As a result, it leads to both psychologically and physically stable juvenile. With the activity, the experience in which students take part helps to form a positive self-ego and enlightenment and challenging sprits which are formed through that experience are expected to affect other area of study and life. On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in the wind music and school band and the expansion of the wind music performers, the wind ensemble competitive contest was held in 1976. It contributed not only development of the wind music but activity of the western music. Due to that efforts, the standard of Korean wind music has been elevated, and it may have caused the fact that the pure goal of competition has been disappeared and turned into "show-off and ranking-oriented" competition. In order to figure out the alternative which can lead to an improvement in the wind music competitive contest, I selected three of pre, middle and high school wind music contests which are held inside of Korea and found out how those of contests are appeared, and I also researched some of instructors who actually have been participated in the contest. First of all, it is displayed that the managing of contest and other services are weak. As its main problem is due to the deficit of financial support, the wind music system actively has to find the way of securing extra budget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in the financial system. Second of all, the wind ensemble competition has been held for 36 years but there are not enough data to evaluate and analyze the details. If there is organized wind music songs performed for many years, it will be easier for us to select the songs; as a result it has a favorable influence upon that more schools take part in the contest. Thirdof all, the competition should be held at the ratio of similarity because the basic principle of competition belongs to the classification of age. Therefore, I believe, a division into four categories which are elementary, middle, general high and mixed high school group is more effective. Fourth of all, judge is closely related to the trust of competition. Many judges who are in a variety of fields should be appointed, and it is required that except the highest and the lowest, the rest of score should be opened to the public anonymously. Lastly, the contest should take not only management of contest itselfbut that of a prize winner into account, so its constant care and support will cultivate right musician. What a competitive performance truly means is to get the proper valuation to which performers tries as hard as they can, but it has to remember the pure goal that demonstrated the development in the wind music and school band and the expansion of the wind music performers. Also it has to bear in mind that the wind music competition should not be a biased feast for a small number if gifted musician but an enjoyable feast for every students and instructors. These efforts mentioned above will be able to apply to all kinds of musical performance such as independent concert or art exhibition. With all the efforts and alternatives into the wind music contest, it will be the one and only festival in which either people majoring in music or not are able to participate and enjoy. 국내 초․중․고 관악합주경연대회의 현황 및 개선방안 이 주 현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예술행정학과 예술행정전공 지도교수 민 주 식 요 약 관악합주 활동은 혼자 하는 기악 활동과 달리 자기표현의 기회와 동시에 다른 사람들과의 호흡을 통해 협동심을 발휘하며 조화로운 인격 형성과 남을 배려할 줄 아는 미래지향적 인재로 양성시키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또한 표현이 다채롭고 역동적인 사운드를 바탕으로 악기편성과 연주특성상 예술성을 가짐과 동시에 대중성을 같이 만족시킬 수 있으며 효율성에서도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심리적으로 불완전한 학생들에게 관악합주 활동을 통한 취미활동으로 악기 연주의 기능을 향상시켜 성취감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악을 표현하고 화음을 만들어 감으로써 감수성이 예민한 학생들에게 학교생활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해소하여 정서를 순화시키고 몸과 마음이 안정된 청소년기를 보낼 수 있다. 이러한 활동과 함께 경연대회를 참여하여 얻는 성취 경험은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며 깨달음과 즐거운 도전을 통한 경험이 다른 학습이나 생활면에서도 영향을 끼친다고 볼 수 있다. 1976년 학교악대와 관악대의 발전과 실력향상 그리고 관악인구 저변확대라는 목적으로 관악합주경연대회가 개최되어 우리나라에 관악 뿐 아니라 양악의 발전과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하였다. 그러한 노력으로 우리나라 관악의 전체적 수준은 높아졌고 관악인구가 늘어나가 되면서 경연대회의 본 목적은 점차 사라져가고 보여주기와 순위 위주의 대회로 변질되고 있다. 이에 국내에서 개최되고 있는 전국 규모의 초․중․고 관악합주경연대회 세 곳을 선정하여 현황을 조사하여 현재 우리나라의 초․중․고 관악합주경연대회는 어떻게 치러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설문지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경연대회에 참가한 지도교사들이 느끼는 점을 조사하여 그것을 바탕으로 좀 더 나은 대회를 위한 개선방안을 살펴보았다. 첫 번째, 경연대회 운영과 경연대회 이외의 서비스에 취약점을 보였다. 부족한 예산으로 인한 문제점인 만큼 보완하기 위해 지원받는 이외의 예산 확보 방법을 다양한 시선으로 보다 능동적으로 찾아나서야 한다. 두 번째, 관악합주경연대회는 36년이라는 짧지 않은 시간동안 개최되어 왔으나 경연대회의 평가나 분석, 세부적인 자료들이 부족하다. 경연대회의 역대 참가 곡들을 정리해 놓는다면 곡 선택에 있어 조금 쉽게 다가설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학교들이 경연대회에 참가하는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세 번째, 관악합주경연대회는 부문별로 경쟁을 하는 것이기에 비슷한 비율로 경연이 치러져야 한다. 경연대회 참가 비율을 살펴보면 초등부, 중등부, 일반고등부, 혼성고등부 이렇게 4부문으로 나누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 네 번째, 심사는 경연대회의 신뢰와 맞닿는다. 관악합주경연대회인 만큼 다양한 분야의 심사위원을 위촉해야하며 경연 후 최고, 최저점을 제외한 나머지 점수는 무기명식으로 공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 번째, 경연대회가 대회 운영 뿐 아니라 경연대회 수상팀 관리에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통해 올바른 음악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경연대회는 물론 노력한 만큼의 평가를 공정하게 받는 의미가 크지만 국내에 관악합주경연대회가 처음 개최되었을 때 학교악대와 관악대의 발전 그리고 전반적인 관악인구의 저변확대라는 순수 목적을 잊지 않고 대회에 참가한 학생들과 지도교사가 열심히 노력한 결과를 관악합주경연대회가 처음 시작한 목적과 같이 소수의 상위권 수상 학교만을 위한 경연의 장 보다 여라 많은 학교의 학생들과 지도교사가 같이 참여하는데 의미를 두고 즐겁게 참여하고 배울 수 있는 곳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으로 경연대회 뿐 아니라 연주회 및 악기전시와 같은 부대 행사와 동호인 부문으로도 확장시켜 음악 전공인 뿐 아니라 동호인, 일반 시민들까지 같이 참여하는 축제의 장으로 변화되어 유일무이한 국내의 관악합주경연대회 및 축제로 발전될 것이라 기대한다.

      • 경남지역 미술관의 아동교육프로그램 활성화방안

        허지현 영남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A Study on the Measures to Activate the Children Education Program of Art Museum in Gyeongnamdo Today, the concern about culture is high as the educational standard is being increased and the leisure activities are diversified. Therefore, Art Museum’s functions are also increased as an institute of social education to provide a cultural environment open to the public and perform its educational roles. Recently, as more women participate in work, the traditional family function is weakened, making the home-centered bringing conditions worse while the reduced number of children increases the social value of each child. Owing to it, private education increased and cramming education expanded the side effect. Due to the phenomenon, the importance of Art Museum education to personally watch and touch artistic works, to improve expression and to increase the creativity increased. However, Gyeongsangnam-do region has only three Art Museums that provide children education program(‘Gyeongnam Art Museum’, ‘Clay Arc Gimhae Art Museum’ and ‘Daesan Art Museum’) among 12 regional Art Museums although the region accounts for 10.5% of the territory and contains 3.3 millions of population. Therefore, first of all, the author looked into the operation status of children education in the foresaid 3 Art Museums(‘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that first opened children’s museum of art among national museums of art and has operated it for 13 years, ‘Seoul Museum of Art’ that is referred to a representative museum of art executing various programs by levels, and Cyan Museum that provides children education program with many other institutes as well as creative programs while overcoming the regional limits of Yeongcheon, Gyeongbuk). Then, three testimonials were selected in order to find out and emphasize the directions of the regional galleries in consideration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o suggest the measures to activate them by groping the improvements. Firstly, many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hemes and contents should be able to embody the requirements and ideas reflected to the educational goals and have various approaches and possibilities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est, concern and capability of children. Secondly, a customized program for the neglected families should be developed. Best of all, the number of multi culture families in Gyeongnamdo is over 2 thousands. In addition, postnatal handicapped children due to kinds of disasters are increasing. From the start of Gyeongnamdo Art Museum representing the region, the educational program for multi culture family and handicapped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Thirdly, the linked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First of all, educational program linked to the region may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culture in Gyeongnamdo and make the people in Gyeongnamdo feel the pride. Then, by linking to the schools, the merits of schools can be reinforced while the education of museum of art can have more voluntary participation, improving the effect of education. As presented, the study suggests the measures to activate the children education program in the museums of arts in Gyeongnam. Although the suggested measures may not be probable immediately, they are worthwhile to execute gradually. In addition, I hopefully wish that the suggestions could be helpful for the region and the museum of arts in the region to develop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