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장수성 우진(武進) 복합문화공간과 인천 트라이볼(Tri-bowl) 복합문화공간 운영특성 비교연구

        적려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759

        未來的工業和生活革新從不同情況預測的話,文化內容方面也會有很多變化。最近全面化的快餐文化和傳播文化,以及挑戰內容的智能化,都象征著在變化。這種現象,技術達不到,大眾的消費感性顯然有改變的反證。韓國和中國雙方間,文化觀光商品和內容交流,對於增進文化內容產業,群眾關心的增加和群眾的響應都能成為依據。特別是廣播影視、流行音樂、時裝、美容化妝、化妝品、購物觀光領域,中國群眾對韓國產業都高度關註。為了這些需求能收集並擴散,兩國為大眾的文化消費,支持並促進展開各種政策工作,其中壹個就是復合文化空間的建設和內容交流項目。 本論文選擇了中國江蘇省代表性復合文化設施和韓國代表性復合文化空間作為研究對象,並對兩國文化設施的運營特性進行研究。現場考察和史料分析、案例研究等三種研究方法並行。從經營理念、運營體系、空間構成、經營項目,預算編制,顧客使用形式、社區、治理等8個方面進行對比研究。首先對消費空間,復合消費文化空間、復合空間等概念,進行理論研究。其次從復合文化設施空間的功能和經營理念等方面,得出兩國之間復合文化空間的使用形態以及提出兩國交流內容的開發、等教育方案。本論文的研究成果,首先研究得出兩國各復合文化設施經營的特點,其次通過比較兩國設施,提出並補充未來活動交流方案以及設施經營要素互補要素。還有兩國文化設施在網絡建設內容方面的交流方案。最後,比較分析結果如下。 首先,通過比較兩國復合文化設施的經營理念和運營體系,兩國要取長補短,重視傳統的同時也要註重創新,傳統和創新管理需要有機地結合起來。同時,政府部門和民間社團組織在復合文化設施的管理方式上,要合理管理,有壹定的彈性,並完善管理。成功的復合文化空間是多種功能的融合,為了兩國之間能更深層的進行文化和管理交流,定期舉行交流論壇,進行經營理念和運營體系相互學習,並建立兩國之間的相關專家靈活交流的學習平臺,並開發網絡學習系統。 其次,兩國文化設施的藝術性、文化性、功能性復合型等等,所有部分中,借鑒與學習各自優越領域。因此,兩國的復合文化設施之間的交流是時代趨勢。復合文化中心的開發,要重視文化功能和其他功能區的相互整合。保證相互之間能最大範圍的發展並促進人文交流,功能,商業,娛樂,公共休息空間,發揮最大的文化設施的作用。 最後,政府的重要性對文化設施的發展作用顯而易見。政府的態度鼓勵或禁止,開放或是限制,都和文化設施的未來發展和運營有關。政府支持能產生巨大消收益,但是,過度依靠政府也不行,文化空間的經營必須市場化,要符合大眾的消費需求,同時也是建設和完善城市的發展的基本。 If the industry and life innovations in the future are predicted from different aspects, the cultural content would also change voluminously. Recently, the comprehensive fast-food culture, dissemination culture and challenge contents intellectualization all symbolize changes. This phenomenon could not be achieved by techniques, and the public’s consumption sensibilities obviously have the disproof against 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both cultural tour goods and content communication could be the basis of promoted culture content industry, more concerns from the public and their responses. Especially for film and television, pop music, fashion, beauty and make-up, cosmetics as well as shopping and sightseeing, Chinese pay high attention to Korea industries. In order to collect and diffuse these demands, both countries support and promote various policies for the public’s cultural consumption, and one of them is the project of 'The establishment of compound culture space and content communication'. This paper selected the representative compound culture facilities of Jiangsu in China and the representative compound culture space of Korea as the research objects, and studied about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cultural facilities of these two countries. Three methods including site inspection, historical-materials analysis and case study were implemented simultaneously. Eight aspects including operation principle, operating system, space composition, operating projects, budgeting, customers’ use forms, community and governance were compared and researched. Firstly, the theoretical research was taken to consumption space, compound-consumption culture space and compound space. Then, from several aspects such as functions and operation principles of compound cultural-facilities space, the using form of compound culture space between two countries could be obtained, with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contents between them proposed. About this paper’s research results, firstly, the features of compound cultural-facilities operation of each of these two countries were obtained and additionally, the activity-exchange schemes in the future and complementary elements of facilities operation elements were proposed and supplied, as well as the exchange schemes of cultural facilities of these two countries in terms of network construction content. Finally, the comparative analysis result was as follows. Firstly, by comparing the operation principles and operating systems of compound culture facilities in both countries it could be obtained that these two countries should adopt their advantages while overcoming deficiencies, to take innovation seriously meanwhile paying attention to tradition and moreover organically combine tradition and innovation management together. Simultaneously, the government sectors and civil clubs and organizations were required to take the rational management adjustable for improvement in terms of management style of compound culture facilities. A successful compound culture space was the integration of multiple functions, for the further culture-management communication between both countries, the exchange forums could be held regularly to learn operation principle and operating system from each other, and furthermore the learning platform for the free talk among the related specialists between both countries should be established, as well as the e-learning system. Secondly, both countries should refer and learn the superior fields of each other about the artistry, culture and functional compound type of cultural facilities. Therefore, the communication about compound culture facilities among both countries was a trend of time. The development of compound culture center should pay attention to the mutual integration of cultural function and other functional zones, to ensure the greatest development among them and the promotion of cultural and educational exchanges, functions, business, entertainment and the public rest space, for allowing the cultural facilities to be effective completely. Finally, the importance of government had an obvious effect on the cultural-facilities development. Whether the government would encourage or forbid, support or limit it was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ultural facilities in the future. The government support would produce huge benefits of consumption, however the government could not be depended on exceedingly, because the culture-space operation must be developed towards marketization to meet the public’s consumer demands, which was also the basis of establishment and improvement of city development. 미래의 산업과 생활이 혁신적으로 달라지는 상황을 예측하면서 문화콘텐츠분야에도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에 전면화 되고 있는 스낵컬처와 하이퍼컬처, 그리고 콘텐츠의 지능화 도전이 이 변화를 상징한다. 이러한 현상은 기술의 성장에 못지않게 대중들의 소비감성 역시 현저히 달라지고 있다는 반증이다. 한국과 중국의 쌍방 간 문화관광상품과 콘텐츠 교류증진 확대는 문화콘텐츠산업에 대한 대중적 관심의 증가와 대중적 호응의 예시로 들 수 있다. 특히 방송영상, 대중음악, 패션, 뷰티메이크업, 코스메틱, 쇼핑관광 분야는 중국 대중들의 한국콘텐츠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욕구를 수렴하고 확산하기 위해서 양국은 각각 대중들의 문화소비를 촉진하고 지원하기 위한 여러 정책사업을 펼치고 있으며 그중 하나가 바로 복합문화공간의 조성과 콘텐츠 교류사업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장수(강소)성의 대표적인 복합문화시설과 한국의 복합문화공간을 대상으로 운영특성을 비교하고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장연구와 사료분석, 사례연구 등 세 가지 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분석요소는 경영논리, 운영체제, 공간구성, 예산편성, 프로그램, 고객이용형태, 커뮤니티, 거버넌스 등 8가지가 있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소비공간, 복합소비공간, 복합문화공간 등 개념을 알아보았고, 복합문화시설의 공간기능과 경영논리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하였다, 또한 양국 간에 복합문화공간의 이용형태 및 콘텐츠 개발, 교육 방안에 대해서도 도출하였다. 본 연구 성과로는 양국 간 복합문화시설 경영에 대한 특성비교를 통해서 양국의 기관 간의 교류 활성화 방안과 상호 시설경영 보완요소들을 도출해서 제시한다. 그리고 실질적인 양국 복합시설의 네트워크 구축 및 콘텐츠 교류도 제시한다. 비교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국 복합문화시설의 경영이념과 운영체제의 비교를 통해서 시설운영상 장점을 취하고 단점은 보완하며, 전통을 중시함과 동시에 혁신을 추구하고 전통적이고 혁신적 관리를 유기적으로 결합한다. 동시에, 정부 부문과 사회단체 민간조직의 복합 문화 시설을 공동 관리하는 방식을 채용해 관리상 합리적이고 일정한 유연성도 갖게 할 수 있으며 관리 방식 상 더욱 완전하게 할 수 있다. 다양한 기능들의 융합이야말로 성공적인 복합문화공간이다. 양국 간의 더 깊은 문화와 관리상의 교류를 위해 정기적으로 양국 문화 설비 경영 교류 포럼을 진행하여, 서로의 경영이념과 운영체계를 배울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유연하게 양국 간의 관련 전문가의 심도 깊은 교류와 교환 학습을 수립할 수 있고, 동시에 인터넷 공유 학습 시스템을 배울 수 있다. 둘째, 서술한 대비 결과를 종합해보면 알 수 있듯이, 양국의 문화시설은 예술성, 문화성, 기능성 복합형 등등 모든 부분에서 각각 뛰어난 부분과 본보기로 삼을 부분이 있으며 배울 가치가 있다. 따라서, 양국의 복합문화시설간의 교류는 반드시 필요한 추세이다. 복합문화중심의 개발은 문화 기능과 지역 기타 기능의 상호 통합을 굉장히 중요시한다. 상호간의 가장 큰 범위의 인기를 끌어들여 발전을 촉진하고 인문기능과 상업, 교류성 오락, 공공 휴식공간을 잘 발휘하면 문화 시설에 대한 작용이 가장 크다. 셋째, 문화시설공간에 대한 정부의 중요성은 굉장히 명백하다. 정부의 태도 격려와 금지, 개방 및 제한 모두 문화 시설의 발전과 운영에 관련된다. 동시에 정부의 지지는 없어서는 안 되며, 거대한 소비를 초래할 것이다. 하지만 과도하게 정부에게만 기대서는 안 된다. 문화 공간의 경영은 반드시 시장화 되어야 하고, 대중의 소비 요구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도시의 발전 건설과 상호 보완이 되어야 한다.

      • 노인의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문화예술 참여 활성화 방안 질적 연구 : 강원도 원주시 '6090청춘합창단' 사례를 중심으로

        엄소라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1743

        This research has a purpose to explore the solution in revitalizing the participation of culture and arts in regional level for the elderly via case studying the '6090 Youth Choir' in Wonju, Gangwondo, which is a selected program as a part of the ‘Culture and Arts Supporting Scheme’ by Korean Culture and Arts Centers Association (KOCACA).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positive factor of participating in culture & arts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2. How has the form of participation in culture & arts for the elderly been changed in regions over time? 3. What are the current issues in order to achieve revitalising culture & arts education and what is the solution? In order to fulfil the questions above, the researcher acquired the basic date through the questionnaires that were executed with 36 members of '6090 Youth Choir' along with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rogram on April 21, 2021. Then th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for 3 weeks between April 28, 2021 and May 19, 2021 with 6 voluntary interviewees among the 36 participants of the program.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cultural and arts education starts from the passion for arts education along with longings for arts. It tends to have a virtuous cycle that the pri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leads to the next participation in such education. The elderly gain their confidence and self-esteem through this education which creates the desire of enjoying more culture and art. This then leads them to maintain the health and energy which improves their quality of life. In addition, by curating the elderly focused culture and art education, it is shown that the elderly start to create their own work participating in regional culture and arts events with it. It means that the role of the elderly in society can grow as well as accomplishing revitalizing their arts and culture.  However, as Korea is already experiencing an aging society,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the elderly has not achieved the milestones of the positive changes. Especially in Gangwon-do region where the percentage of the elderly is relatively high yet lacking the culture and arts policy has rather serious problems.  Through the experience of participants in '6090 Youth Choir', an issue was addressed that there was a lack of a system to provide information of culture and arts, thus not enough opportunities were given to them, which can result in a preconception of how to enjoy culture and arts as an elderly. In the same manner, the need for intensive improvement was suggested since there was a lack of finding ways to participate in regional cultural events for the elderly as well as lack of thoughtful consideration in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elderly in managing the program of '6090 Youth Choir'.  The aim for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the elderly is to maintain stable programs supported by the government's policies which provide consistent support and developing new programs that are established based on understanding the role and effect of the elderly for the society participating in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Furthermore, through building the system that education can lead to regional revitalization, more elderly should be able to participate in the regional cultural and arts and their role needs to be expanded as a consumer and creator of cultural business by making their own contents.  I expect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will be used for the basic data that helps local authorities pay attention to participants' needs in order to manage the elderly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systematically, incorporating each region's character as well as finding the solution to develop governments' supports and policies. 본 연구는 노인의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문화예술 참여의 활성화를 위해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의 ‘문예회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선정 프로그램인 강원도 원주시 ‘6090청춘합창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노인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긍정적 변화의 요인은 무엇인가? 2. 노인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노인의 지역 문화예술 참여의 형태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3. 노인을 위한 문화예술 활성화를 이루기 위해 현재의 문제점은 무엇이며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연구자는 2021년 4월 21일 ‘6090청춘합창단’ 교육 참여자 36명과 사업담당자 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지를 통해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 2021년 4월 28일부터 5월 19일까지 3주간 2회에 걸쳐 36명의 교육 참여자 중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힌 6인을 대상으로 1차, 2차 개별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는 예술에 대한 동경과 예술교육에 대한 열망으로 시작되고 이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가 다음 문화예술교육으로 이어지는 선순환의 구조를 띄고 있다. 노인은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으로 자신감과 자존감이 증가하고 문화예술 향유에 대한 욕구가 생성되며 이로 인하여 건강과 활력을 유지하고 삶의 질이 상승하는 변화를 나타냈다. 노인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노인은 지역의 문화예술 행사에 이전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변화를 보였으며 그 형태는 문화 소비자에서 생산자로 역할의 다양성으로 나타났고 노인의 사회적 역할의 증대가 문화예술 활성화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고령화사회로 접어든 우리나라에서 한정된 노인문화예술교육은 모든 노인에게 균등한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고 노인 복지의 측면에서도 성장하지 못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노인 인구 비율은 높으나 문화예술 정책이 부족한 강원도 지역은 시스템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6090청춘합창단’ 참여자의 경험에서 강원도 원주시의 노인을 위한 문화예술 정보 제공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아 참여의 기회를 가지지 못하고 이에 따른 노인의 문화예술 향유 방법에 대한 선입견이 있다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마찬가지로 ‘6090청춘합창단’ 프로그램과 운영에 있어서 노인의 특성을 배려하지 못한 진행 방식과 적극적인 지역의 문화행사 참여 방법을 모색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심도있는 개선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노인에게 있어 문화예술 참여의 사회적 역할과 효과를 인지하고 노인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과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이 정책적으로 뒷받침되어 안정된 프로그램 유지를 이루는 것이 노인문화예술교육이 나아갈 지향점이다. 또한 시스템의 구축을 통해 보다 많은 노인이 지역의 문화예술에 참여하고 그들의 콘텐츠가 생성되어 문화산업의 소비자이자 생산자로서 역할이 확대되어야 한다. 노인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이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현장에서 더욱 체계적으로 확대 운영될 수 있도록 광역센터와 기초단위가 참여자의 요구에 귀를 기울이고 정책적 지원과 제도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데 이 연구 결과가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전문대의 문화예술 직업교육 위탁과정이 학생만족도 및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

        배눈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743

        Now that culture is leading and changing in the times, culture and art education must be necessary in our times. Currently,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re preparing for the introduc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moving away from the uniformed high school education of the high school created by the old age, I am trying to be born again as an artist. Based on this, we set up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by presenting research purpose based on the aspect of change development, and constructed variable and questionnaire. As a sub-variable of cultural arts curriculum, educational programs, teaching, qualifications, counseling, and facilities were plac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satisfaction and career choice.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high school boys and girls in grades 2 and 3 who were taking courses in the culture and arts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 for the 5 days from October 23 to 27, 2017.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of career counseling, it was found that about half of the students reported career counseling for career counseling in a consigned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he students who had experience in career counsel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ounselors showed that the counselors were generally consulted with the homeroom teacher. In addition, the projected plans for career and employment after completion of the entrusted education course can be regarded as hoping to advance to the same major course in general, and for students who expect to work in the same major or other major after completion of the entrusted curriculum Analysis of the reason for employment suggests that they want to get work experience because they want to gain experience in the fiel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cess of entrusting culture and arts vocational education to the general college, 'education facility' was the highest, 'qualification of instructor', 'guidance of life' and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when the counselor was invited to a school, a church, or a club, The map is high. Third, the analysis of overall student satisfaction also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tudent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verall career choice, it was analyz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career choic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when counseling was given to a school, a chu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curriculum entrusted to vocational colleges, student satisfaction and career choice, the educational program, education, instructor qualities, life guidance, and educational facilities according to the subordinate factors of the curriculum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 ),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choice. In addi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choice and student satisfaction. Sixth, analyzing the effect of the process of entrusting culture and arts vocational education to the students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qualities, education programs, living instruction, and educational facil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eacher, qualification, education program, life instruction, and educational facilities are important factors in student satisfaction. Seven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process of entrusting culture and arts vocational education to college students, it was found that educational program, school, teacher qualifications, educational facilities, and life guida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educational programs, education, teacher qualities, educational facilities, and life guidance are important factors in selecting students' career options. Eighth,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student satisfaction on career choice showed that student satisf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choice. In other words, student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career choice of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evelop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s a cultural artist in order to develop more systematically the curriculum through the same advanced level course and the continuing interest of the vocational college's arts and vocational education entrustment process at the initial stage. 문화가 시대를 선도하고 변화 발전시키는 지금, 문화예술교육은 우리 시대에 꼭 필요함에 틀림없다. 현재 중학생들은 자유학기제의 도입에 맞춰 준비해나가고 있으며, 고등학생들은 구시대가 만들어낸 획일화 된 인문 고등학교 교육을 탈피하여, 문화예술분야의 주역이 되고자 자신의 진로선택을 조기에 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문화예술인으로 거듭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변화발전의 양상을 토대로 연구목적을 제시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변수 도출과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문화예술교육과정의 하위변수로는 교육프로그램, 교, 강사자질, 상담, 시설을 두었으며, 문화예술교육과정의 학생만족도 역시 동일하게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그에 따른 학생만족도와 진로선택의 상관관계를 설정하였다. 설문조사는 2017년 10월 23일에서 27일 까지 5일간 서울시 사업 선정 대학 중 문화예술분야 직업교육 위탁과정을 수업받고 있는 고등학교 남녀 2,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상담 현황을 분석한 결과 위탁교육기관 내 진로상담여부는 학생의 반정도가 진로상담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로상담에 대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위탁교육기관 내 진로상담 및 학교생활에 대한 상담자를 분석한 결과 대체적으로 위탁과정 담임선생님과 상담을 하고 있는 것으로, 위탁교육기관 내 진로상담주기는 주로 학생이 원하는 때 언제나 진로상담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탁교육과정 수료 후 진로 및 취업에 대한 예상계획은 대체적으로 같은 전공계열로 진학을 희망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위탁교육과정 수료 후 같은 전공계열 또는 다른 전공계열로 취업을 예상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취업 예상이유를 분석한 결과 현장경험을 쌓고 싶어서 취업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인 전문대의 문화예술 직업교육 위탁과정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교육시설’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 강사자질’, ‘생활지도’, ‘교육프로그램’ 순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위탁교육과정 진학권유에 따라 학원, 교회, 동아리 등에 권유를 받은 경우 본인 스스로 결정하거나 선배 또는 친구에 권유를 받은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생활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반적인 학생만족도에 대해 분석한 결과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학생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전반적인 진로선택에 대해 분석한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진로선택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위탁교육과정 진학권유에 따라 학원, 교회, 동아리 등에 권유를 받은 경우 선배 또는 친구에 권유를 받은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로선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문대 연계 일반고 위탁교육과정과 학생만족도, 진로선택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의 하위요인별 교육프로그램, 교, 강사자질, 생활지도, 교육시설은 학생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로선택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만족도는 진로선택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전문대의 문화예술 직업교육 위탁과정이 학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의 하위요인별 교, 강사자질, 교육프로그램, 생활지도, 교육시설이 학생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만족도에 있어서는 전문대 연계 일반고 위탁교육과정의 교, 강사자질, 교육프로그램, 생활지도, 교육시설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일곱째, 전문대의 문화예술 직업교육 위탁과정이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의 하위요인별 교육프로그램, 교, 강사자질, 교육시설, 생활지도가 진로선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들의 진로선택에 있어서는 전문대의 문화예술 직업교육 위탁과정의 교육프로그램, 교, 강사자질, 교육시설, 생활지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여덟째, 학생만족도가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생만족도는 진로선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들의 진로선택에 있어서는 학생만족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초기단계인 전문대의 문화예술 직업교육 위탁과정의 지속적인 관심과 동일 상급과정을 통한 세부교육과정을 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발전시켜야 문화예술인으로서의 양적 및 질적으로 성장,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 COVID-19 이후 OTT플랫폼 서비스의 문화예술 대체만족도 분석

        주진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743

        This thesis started with the question, ‘Can the art scene be replaced by online?’, which has been changing since COVID-19.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targeting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in the ‘COVID-19’ era, research on the growth of online platforms during COVID-19, and studies related to culture and art at the same time. We are analyzing the damage caused by COVID-19 and predicting that it will change in the future. However, existing studies do not suggest a specific solution and direction. In the untact era, in order to create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using online platforms, it was necessary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satisfaction of online platforms that replaced on-the-spotness.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ducted a dmf survey of 300 people who had experience using OTT platform service. The desire for cultural art enjoyment activities and artistic creation activities has shifted to online platforms, and the number and interest in OTT platform subscribers has exploded. We derived specific numerical results about how satisfied the OTT platform is by replacing general cultural life with movies, art exhibitions, plays, and concerts. The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when preparing for the post-coronavirus and establishing policies to support cultural life and artistic creative activities during another epidemic or similar period.It is a research result that confirms that art creation and enjoyment activities can be enjoyed using an online platform or can become a medium of creation, but it cannot replace the craving for the on-the-ground nature of art. This study is limited to measuring satisfaction as an alternative means of enjoying culture and arts in a pandemic situation. Failure to suggest directions or alternatives for cultural and artistic enjoyment activities and creative activities in the untact era and post-corona era remains a topic for further study. 본 논문은 COVID-19 이후 변화하고 있는 오프라인 ‘예술현장이 온라인으로 대체될 수 있을 것인가?’라는 질문에서 시작했다. ‘COVID-19’시대의 문화예술활동, COVID-19 시기 온라인 플랫폼 성장에 관한 연구, 동시기 문화 예술관련 연구들을 대상으로 선행연구들은 분석했다. COVID-19로 인해 발생한 피해와 분석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 변화할 것이라는 예측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기존연구는 구체적 해결에 대한 방안과 방향성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언택트 시대,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한 문화예술 콘텐츠 창출을 위해선 현장성을 대체한 온라인 플랫폼 만족도에 대한 조사와 분석이 필요했다. 본 연구의 대상은 OTT 플랫폼서비스 이용경험이 있는 300명을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문화예술 향유활동, 예술창작 활동에 대한 욕구는 온라인 플랫폼으로 옮겨갔고 OTT플랫폼 가입자의 증가와 관심은 폭발적으로 늘었다. OTT플랫폼이 영화, 미술전시, 연극, 콘서트가 일반 문화생활을 대체해서 얼마만큼 만족을 주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 수치상의 결과를 도출했다. 연구결과는 포스트 코로나를 준비하고 또 다른 유행병이나 유사시기에 문화생활, 예술창작활동에 대한 지원의 정책, 대비 정책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술 창작활동과 향유활동이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해 향유되거나 창작의 매개체가 될 수 있어도, 예술이 가지는 현장성에 대한 갈망을 대체할 순 없다는 것을 확일 할 수 있는 연구 결과이다. 이번 연구는 팬데믹 상황의 문화예술 향유의 대체적 수단으로 만족도를 측정하는 것에 국한되어 있다. 언택트 시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문화예술 향유활동, 창작활동에 대한 방향성이나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것은 향후 계속 연구되어야 할 주제로 남는다.

      • 기업의 문화예술교육 메세나 활동 적합성 분석

        이혜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743

        기업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점차 커지면서 기업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사회에 이윤을 환원하는 윤리적, 사회적 책임인 사회공헌 활동의 역할이 대두되고 있다. 많은 기업들은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으로 이미지를 형성하고자 교육, 복지, 문화예술 등 여러 분야로 사회공헌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그 중 문화예술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공헌을 의미하는 메세나 활동을 통해 장기적 관점으로 해당 기업에 대한 호의적인 소비자 인식과 브랜드 태도를 형성하여 소비자와의 자연스러운 관계를 구축한다. 이는 타 기업과의 차별화를 만들 수 있는 유용한 가치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해당 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으로 추후 소비자의 구매행동으로 이어지게 만드는 주된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의 문화예술교육 메세나 활동 적합성을 분석하고 소비자 반응과 브랜드 태도에 대한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메세나 활동 인식, 메세나 활동 적합성, 소비자 반응, 브랜드 태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메세나의 개념에 대해 문화예술단체에 재정적 지원을 하는 것으로 39.4%가 인식하며, 기업이 메세나 활동을 하는 이유로는 메세나를 통한 기업이미지 전환 및 자사 상표 고지(알림)으로 39.7% 나타났으며, 기업의 문화예술교육 메세나 활동 적합성은 소비자 반응과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소비자 반응 또한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위의 도출된 분석 결과로 기업의 문화예술교육 메세나 활동의 인식과 소비자 반응과의 상관관계를 증명하여 앞으로 기업이 전략적인 메세나 활동 방안의 기초자료가 되어 향후 메세나의 발전방향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는 연구 범위를 문화예술교육으로 구체화 하여 이를 대상으로 기업간의 적합성과 소비자 반응 및 브랜드 태도와 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향후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메세나 활동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가 진행되며 나아가 기업의 문화예술교육 지원이 활성화되기를 희망한다 As a company's influence on society grow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 ethical and social responsibility to return profits to society as a member of a company's society, is emerging. Many companies are carrying out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n various fields such as education, welfare, and culture and arts to form an image as a company with social responsibility. Among them, Mecenat activities, which mean social contribution to culture and arts, are useful in establishing a natural relationship with consumers by forming favorable consumer perceptions and brand attitudes toward the company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is is because it is not only useful to secure differentiation from other companies, but also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company is a major factor causing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suitability of companies'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Mecenat activities and studied the correlation between consumer reactions and brand attitud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consumers, and Mecenat activity awareness, Mecenat activity suitability, consumer response, and brand attitude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39.4% of the respondents perceived the concept of Mecenat as providing financial support to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and 39.7%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reason companies engage in Mecenat activities was because of the transition of corporate image through Mecenat and notification of their trademarks. In addition, it was derived that the suitability of companies' culture and arts education Mecenat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 responses and brand attitudes, and that consumer responses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s. It is expected that the above derived analysis will prov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of the company's culture and arts education Mecenat activities and the consumer response, and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as a basic data for the company's strategic Mecenat activities in the future.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bodied the scope of the study as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studied the suitability between companies, consumer reactions, and the effect on the formation of brand attitude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detailed research on Mecenat activitie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will be conducted, and further support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by companies will be activated.

      • 전통예술의 해외진출 현지화(Localization) 방안 연구

        연은지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1743

        디지털 시대의 등장으로 각 나라의 정보, 기술, 자본, 문화는 나라와 나라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로 세계는 문화를 공유하며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있다. 이에 각 나라들은 문화교류를 통해 국가적, 사회적, 경제적 효과를 얻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은 1970년 드라마로 시작된 한류를 통해 다양한 효과를 실감한바 지속적인 문화교류 활동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 같은 세계정세와 시장의 변화 속에서 전통예술 또한 가치를 확인하고 확대하여, 스스로의 자생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해외진출을 시도해왔다. 하지만 일부의 전통예술 그룹을 제외하고는 지원을 통한 일시적인 문화교류에 그치며, 지속적이고, 직접적인 해외시장으로의 진출에는 성과를 내지 못하였다. 본 논문의 궁극적인 목적은 전통예술의 실제 해외진출 현황을 살피고, 성공요인을 부석하여 전통예술 해외 무대 확장을 통해 전통예술의 가치를 확인하고 전승 및 발전시켜 더 나아가 국제, 경제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얻는데 있다. 전통예술 해외진출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우수한 전통예술 상품과 진출지역과의 문화 적합성 확인, 그리고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지원체계, 마지막으로 문화상품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유통구조이며, 이 모든 과정은 우열을 가릴 수 없이 중요하다. 때문에 본 논문은 전통예술의 해외 진출 전반적인 과정에 대한 전략모형을 제안한다. 전통예술 상품과 진출지역의 문화 적합성을 살피기 위해 호프스테드의 5가지 문화 차원을 이용하여 미국, 일본, 중국 문화와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으며, 미국 일본과의 문화교류 지원체계를 비교분석하여 전통예술 해외진출의 대표적 사례인 문화교류의 지원체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음악산업백서(2018), 국제문화교류 전문인력 실태조사(2016) 공공민간 예술지원 실태조사(2014)와 문예진흥기금 공모사업의 현황조사를 통해 전통예술 그리고 전통예술을 포함하는 음악산업 유통현황을 살펴본다. 비교분석과 현황분석을 통해 도출한 전통예술의 해외 현지화 여섯 가지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방법으로 해외 진출지역과 진출상품의 문화 적합성의 확인. 둘째, 네트워크 정보공유 시스템의 도입. 셋째, 유통분야 지원 규모 확대. 넷째, 문화교류에 전문성을 갖춘 인력 양성과 투입. 다섯째, 해외진출에 특화된 전문에이전시 육성. 여섯째, 온라인 문화교류 플랫폼 구축. 이제껏 전통예술 해외진출에 대한 연구는 전통예술 콘텐츠 자체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 졌으나, 본 연구는 현지와의 문화적합성과 해외진출 사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문화교류 지원체계, 그리고 유통까지 해외진출 전반의 과정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점차 늘어나는 전통예술 해외진출의 현황을 정리한 자료로 해외로 진출하고자 하는 전통예술 단체들에게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age, information, technology, capital and culture of each country move freely between countries and countries, the world shares culture and understands each other's culture. Therefore, each country is striving to achieve national, social, and economic effects through cultural exchange, and in particular, Korea has realized various social and economic effects since the export of TV dramas in 1970 and has since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for continuous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Amid the global situation and market changes, Korea has also attempted to advance into foreign markets as a way to identify and develop the value of traditional Korean art and enhance its self-sustainability. However, with the exception of some traditional art groups, it was only temporary cultural exchange through support, and it did not produce results in continuous and direct entry into overseas markets.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and the overseas stage of traditional arts by examining the status of overseas advancement of traditional arts and analyzing the success factors. Through this, traditional art will identify its value, be passed down and developed, and further create positive international and economic effects. What is important in the overseas advancement of traditional arts is the excellent traditional art products, the suitability with culture with the entry area, the support system for supporting overseas expansion, and finally the distribution structure for delivering cultural products to consumers, and all of these factors are equally important.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strategic model for the overall process of overseas expansion of traditional arts. In order to examine the cultural suitability of traditional art products and entry areas, this study looked a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American, Japanese, and Chinese cultures using five cultural dimension theories of Hopestead, and compared and analyzed cultural exchange support systems of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o examine examples of support systems for cultural exchanges for overseas advancement of traditional arts. The study also examined the distribution status of the music industry, including traditional arts and traditional arts, through a survey on the status of the music industry white paper (2018), the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expert survey (2016), the public private art support survey (2014) and the literary promotion fund contest project. The six methods of overseas localization of traditional arts deriv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and statu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heck the cultural suitability of overseas expansion areas and products in various ways. Second, the introduction of a network information sharing system. Third, expanding the scale of support in the distribution sector. Fourth, training and input of human resources with expertise in cultural exchanges. Fifth, fostering agencies specialized in overseas advancement. Sixth, building an online cultural exchange platform. So far, research on the overseas advancement of traditional arts has been conducted mainly on the contents of traditional arts, but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deals with the overall process of overseas expansion, including cultural suitability, cultural exchange support system, and distribution. In additio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to the growing number of traditional arts organizations seeking to enter overseas markets.

      • 지역문화콘텐츠의 공간 요소와 스토리텔링 서사 구조 분석 : 강릉 사례를 중심으로

        김자영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1727

        지역문화자원이 지역발전의 핵심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지역경쟁력 확보를 위해 각 지역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지역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이를 지역의 성장 동력으로서 활용하고자 하는 지역적 요구가 증대하고 있는데 기인한다. 이렇듯 지역문화자원은 사회적 가치는 물론이고 경제적ㆍ문화적 가치를 수반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지역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 지향해야 할 문화콘텐츠 개발 전략 중 스토리텔링에 주목하였다. 지역의 다양한 가치를 극대화 시켜주는 스토리텔링의 핵심 역할을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스토리텔링 구조를 지역의 공간에 접목시켜 공간 스토리텔링의 특성을 짚어내고자 하였다. 분석 이론을 통해 도출된 분석틀에 입각하여 강릉의 공간 스토리텔링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강릉의 공간을 점ㆍ선ㆍ면 요소로 분류하여 각 공간 스토리텔링의 서사적 특성과 담론적 특성을 검토해 보았으며 이를 통해 공간 스토리텔링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공간은 이야기를 수반하고 있지만 공간 체험의 밀도는 스토리텔링에 의해서 깊어진다. 공간은 스토리텔링의 서사가 전개되는 현재진행성(ing)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서는 공간이라는 하드웨어 콘텐츠가 상호작용성을 수반한 소프트웨어 콘텐츠로 이어져야 한다. 둘째, 소프트웨어 콘텐츠 개발의 한 방안으로서 디지털 매체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방문객들이 공간 경험을 물리적ㆍ시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도 체험할 수 있도록 온ㆍ오프라인을 넘나드는 매체를 활용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간과 방문객 간에 소통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공간의 담론 장치는 정적인 형태의 단조로운 방법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끊임없는 소통은 공간과 방문객을 응집시키면서 공간과 사람과 콘텐츠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방문객들의 공간 참여와 몰입을 유발한다. 그리고 공간에서의 소통과 몰입은 공간의 방문객을 경험의 수용자에서 경험 생산의 주체자로 의미를 확장 시킨다. 아울러 공간과 사람, 그리고 문화콘텐츠를 연결해 주는 매개로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지역문화콘텐츠 개발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인 계획을 세우고 추진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지역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문화콘텐츠 개발 전략 장치로 공간 스토리텔링을 차용할 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공간의 차별화된 정체성을 도출하고 장소성 확보를 위한 콘텐츠를 수립하는 단계에서 유의미한 방향을 제시하고 지역의 공간 스토리텔링을 전략으로 수립하는데 있어서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한다. Currently, local cultural resources are drawing attention as a key factor in regional development. This trend is attributable to growing regional demands to make the most of the various regional resources each region has to secure regional competitiveness and utilize them as a growth engine for the region. As such, local cultural resources involve economic and cultural values as well as social values. Based on this current situation, this study focused on storytelling among cultural content development strategies that should be directed to secure regional competitiveness. This study looked at the key role of storytelling in maximizing the various values of the region through prior research, and tri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orytelling by combining the storytelling structure into the local space. Based on the analytical framework derived through analysis theory, a case study of spatial storytelling in Gangneung was conduct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Gangneung were classified into dot, line, and face elements, and the narrative and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each spatial storytelling were review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orytelling were derived through th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spaces involve stories, but the density of experience in space is deepened by storytelling. Space is noted by the present progress of storytelling narratives. To do this, hardware content called space must lead to software content that involves interactivity. Second, digital media should be actively utilized as a way of developing software content. It will be necessary to use media that cross online and offline so that visitors can experience the space experience without physical or time constraints. Third, space discourse equipments need to deviate from static forms of monotonic methods so that communication between space and visitors is organically connected. Constant communication strengthens the connection between space and people and content by cohesing space and visitors, and causes visitors to participate and immerse in space. And communication and immersion in space extend the meaning of visitors from acceptors of experience to agents of experience production.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al contents using storytelling as a medium for connecting space, people, and cultural contents should be systematically planned and promoted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is study could be used when borrowing spatial storytelling as a cultural content development strategy device to strengthen regional competitiveness. It is also expected that this work will present significant directions in the stage of deriving differentiated identities in space and establishing content to secure placeability and demonstrating new possibilities for local spatial storytelling strategies.

      • 공연예술축제의 마케팅믹스 7P 요인이 관람객 만족도와 추천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국제공연예술제를 중심으로

        강교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727

        In the circles of the Korean performing art industry, there have been some studies on performing arts festivals, visitor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bu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dealing with visitor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in terms of marketing strategy. Therefore, the author attempted to conduct a study on whether the marketing mix factors at the performing art festivals to revitalize the performing art industry can positively affect visitor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marketing mix traditionally consists of such 4Ps as product, price, place and promotion. However, 7Ps, namely the service marketing mix factors, are applied to service businesses, such as performing art, of which standardization and specification are difficult due to its characteristic nature. The marketing mix 7P factors, in which such three factors as people, physical evidence, and process are added to the marketing mix 4P factors, are the service marketing mix, and in this study, the marketing mix 7Ps were applied to the performing art festival as its marketing mix factors. Study method was divided into two types: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analysis. A questionnaire survey of 300 visitors who had the experience of visiting the Seoul Performing Art Festival and watching its performance was conducted for a period of about three weeks, from October 25 to November 15, 2022. The data of 264 respondents were used as valid samples, excluding those with insincere responses or missing values.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effect of the marketing mix 7P factors at the performing art festivals on visitor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emographic feature of visitors to the Seoul Performing Art Festival presented the fact that female visitors were more than male counterparts and main visitors were people in their 20s and 30s. Second, as for visitor’s characteristics at the Seoul Performing Art Festival, they generally watched the performances 1~2 times or 3~5 times, and their favorite performance genres were ‘dance’ or ‘play’ in general. The ‘Internet’ was the most common place to get related information, and the ‘Internet reservation’ was also the most common way to purchase tickets. As the reason for watching the performance, ‘major and work-related’ were the most, and ‘friends or lovers’ were the most common companions when watching the performance. Third, as for the effect of marketing mix factors at the Seoul Performing Art Festival on visitor satisfaction, people (performance staff), product (performance), physical evidence, process and pri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visitor satisfaction. In other words, among marketing mix factors at the Seoul Performing Art Festival, promo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visitor satisfaction. People (performance staff)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watching the performance of the Seoul Performing Art Festival, and it was followed by product (performance), place, physical evidence, process and price. Fourth, as for the influential factor on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the Seoul Performing Art Festival among marketing mix factors, place, product (performance), process, physical evidence and people (performance staff)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In other words, among marketing mix factors at the Seoul Performing Art Festival, price and promo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Finally, as for the effect of visitor satisfaction on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the more positive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was. Therefore, visitor satisfaction at the Seoul Performing Art Festival wa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author hopes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meaningful data in terms of marketing for the revitalization of performing art festivals in the future, and many diverse and detailed studies on the revitalization of performing art festivals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as well. 한국 공연예술 산업 중에서도 공연예술축제와 관람객 만족도 및 추천 의도에 관한 연구들이 일부 있으나 마케팅 전략 측면에서 관람객 만족도 및 추천 의도에 관하여 다루고 있는 연구는 다소 미미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연예술 산업 활성화를 위한 공연예술축제의 마케팅믹스 요인이 관람객 만족도와 추천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를 분석 척도로 삼고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마케팅믹스는 전통적으로 제품(Product), 가격(Price), 장소 및 유통(Place), 프로모션(Promotion)의 4P로 구성된다. 그러나 공연예술과 같은 서비스업의 특성상 표준화나 규격화가 어려운 특징을 갖는 분야에는 마케팅믹스 4P의 적용이 어렵기 때문에 서비스 마케팅믹스인 7P를 적용한다. 마케팅믹스 4P에 사람(People), 물리적 환경(Physical Evidence), 프로세스(Process) 3가지 요소가 추가된 마케팅믹스 7P가 서비스 마케팅믹스이며, 본 연구에서도 마케팅믹스 7P를 공연예술축제의 마케팅믹스 요인으로 적용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고찰과 실증분석 두 가지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2022년 10월 25일부터 11월 15일까지 약 3주간 실시하였고, 조사 대상은 서울국제공연예술제를 방문하여 공연을 관람해 본 경험이 있는 관람객 3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이나 결측치가 많은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 264부를 유효 표본으로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공연예술축제의 마케팅믹스 7P 요인이 관람객 만족도와 추천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국제공연예술제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 결과 관람객은 남성보다 여성이 많이 관람하고 있고, 주로 20대와 30대가 많이 방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관람 특성으로는 대체적로 ‘1-2회’나 ‘3-5회’ 정도 공연을 관람한 것으로 볼 수 있고, 좋아하는 공연 장르는 대체적으로 ‘무용’이나 ‘연극’ 장르를 좋아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관련 정보는 ‘인터넷’이 가장 많았으며, 티켓 구매 방식 또한 ‘인터넷예매’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연 관람 이유로는 ‘전공・업무 관련’이 가장 많았으며, 공연 관람 시 동반자는 ‘친구 또는 애인’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울국제공연예술제의 마케팅믹스 요인이 관람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공연관계자, 공연, 장소·유통, 물리적 환경, 진행과정, 관람요금이 관람객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서울국제공연예술제의 마케팅믹스 요인 중 프로모션은 관람객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항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공연 관람에 있어 공연관계자, 공연, 장소·유통, 물리적 환경, 진행 과정, 관람 요금 순서로 관람객 만족도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서울국제공연예술제에 대한 마케팅믹스 요인이 추천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장소·유통, 공연, 진행 과정, 물리적 환경, 공연관계자가 추천 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서울국제공연예술제의 마케팅믹스 요인 중 관람 요금 및 포로모션 요인은 추천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람객 만족도가 추천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관람객 만족도가 높을수록 추천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추천 의도에 있어서는 서울국제공연예술제에서의 관람객 만족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향후 공연예술축제의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적 측면에서 의미있는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앞으로의 공연예술축제 활성화에 대한 더욱 다양하고 세밀한 연구들이 나오길 기대한다.

      •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콘텐츠산업 분야 창업지원 사업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윤소영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727

        South Korea is currently at its worst unemployment rate and searching for solutions is an urgent task. In order to overcome such obstacles within the low-growth era, ‘Startup’ has been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solution. South Korean government as well as other organizations are developing startup systems to expand employment opportunities. This research demonstrates some ideas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seldom dealt in other studies related to the field, mainly focusing on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KOCCA). Furthermore,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KOCCA’s contents industry startup programs and its effects on startup performance, and deducting adequate implications as well as proposi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research framework and a hypothesis are constructed under thorough deliberation of a precedent study, and deducted variables as well as a questionnaire. The variables for startup programs are determined: support for startup funding, support for startup management, support for startup educational components, support for startup consulting, and support for physical facilities. Two sub-factors,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are deducted as the variables for startup performance, and a research framework is designed. Data is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conducted on participants of the KOCCA’s contents industry startup programs from April 21st, 2017 (Friday) to May 12th, 2017 (Friday). The results of this study’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in demographic attributes, 76.7% are male respondents, 46.5% in their thirties, 62.8% married, 61.6% college graduates, and 31.4% with an income less than 3,000,000 and 4,000,000 KRW. This statistics is predicted to be useful for the selection of beneficiaries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startup programs. Secondly, it shows that startup program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aspects of entrepreneurs. The effects on financial performance of each variable are: support for startup consulting(0.273)>support for startup management(0.198)>support for physical facilities(0.197)>support for startup educational components(0.148)>support for startup funding(0.139). Thirdly, startup program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of entrepreneurs. The effects on non-financial performance of each variable are: support for startup management(0.315)>support for startup funding(0.184)>support for startup consulting(0.182)>support for physical facilities(0.132)>support for startup educational components(0.122). Accordingly, some indications and suggestions deducted from a the statistic are as follows. Firstly, all of the five startup programs variables have influenced on startup performance. More specifically, support for startup consulting had the strongest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and support for startup managemen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Therefore, a raising of qualified human resources of the respective areas as well as a development of a systematic programs are crucial to the government and other related institutions. Secondly,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support for startup funding is most important, the KOCCA’s startup programs before as well as after participating programs. This indicates that the need for support for startup funding represents the realistic issues among entrepreneurs dealing with high-risk, instability, and uncertainty. Subsequently, a diverse effort for making policy to expand the budget for startup should be made by the government. Thirdly, all the startup programs should be continuously supported through the systematic relation establishment among the diverse sub-startup programs. Fourth, all the startup programs should be conducted under the emphasis on the long lasting, performance from the macroscopic view. For this purpose, appropriate index to evaluation of the criteria for selecting beneficiaries of startup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최악의 실업난에 놓여있는 현 시점에 ‘실업난 해소’는 정부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시급한 과제이다. 저성장 시대의 극복을 위한 해결책으로 ‘창업’이 대안으로 떠오르면서 정부 및 많은 관련 기관에서는 일자리 창출을 목적으로 창업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지원 사업과 관련한 기존 연구에서 많이 나타나지 않은 문화콘텐츠산업 분야 창업지원 사업에 대하여 한국콘텐츠진흥원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콘텐츠산업 분야 창업지원 사업과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시사점과 제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변수 도출과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창업지원 사업에는 창업자금 지원, 창업경영 지원, 창업교육 지원, 창업컨설팅 지원, 물리적 시설 지원을 하위변수로 설정하였고, 창업성과에는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를 하위변수로 선정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설문조사는 2017년 4월 21일 (금)부터 2017년 5월 12일 (금)까지 21일간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콘텐츠산업 분야 창업지원 사업에 참가한 실수요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는 응답자의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남성 76.7%, 30대 46.5%, 기혼 62.8%, 대학졸업 61.6%, 소득 300~400만원 미만 31.4%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창업지원 사업에 대한 대상 선정 및 지원사업에 대한 유형 세분화 관점에서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창업지원 사업은 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창업지원 사업의 유형 정도는 창업컨설팅 지원(0.273)>창업경영 지원(0.198)>물리적 시설 지원(0.197)>창업교육 지원(0.148)>창업자금 지원(0.139)의 순이었다. 셋째, 창업지원 사업은 비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창업지원 사업의 유형 정도는 창업경영 지원(0.315)>창업자금 지원(0.184)>창업컨설팅 지원(0.182)>물리적 시설 지원(0.132)>창업교육 지원(0.122)순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 및 제언을 도출하였다. 첫째, 창업지원 사업의 유형 5가지 변수는 창업성과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창업지원 사업 중 창업컨설팅 지원은 재무적 성과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업경영 지원은 비재무적 성과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부와 해당 기관에서는 창업컨설팅 지원과 창업경영 지원에 있어 해당 전문 인력 확보 및 체계적인 프로그램 구축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창업지원 사업과 관련하여 창업지원 사업 참여 전,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사업 유형과 참여 후,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사업 유형에 대한 질문에서 모두 ‘창업자금 지원’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창업자들이 고위험성, 불안정함, 불확실성이라는 창업환경의 측면에서 부딪히는 현실적인 문제로 창업자금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대변하고 있는 것으로 창업자금 지원의 확대 및 개선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콘텐츠산업 분야 창업지원 사업은 창업지원 사업 유형 간의 유기적인 관계 구축을 통해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 목적형 지원 방식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인 결합과 체계화된 시스템의 구축을 통해 창업기업이 창업활동을 함에 있어 지속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창업환경을 조성해줘야 할 것이다. 넷째,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콘텐츠산업 분야 창업지원 사업은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측면에서의 성과에 주안점을 두고 추진해야 한다. 문화콘텐츠산업의 특성상 일반 제조업과 달리 초기 투자비용 대비 상용화 이후 경제・사회적인 파급효과가 큰 고부가가치 산업이라는 측면에서 문화콘텐츠산업 분야 창업기업의 잠재성을 고려해보았을 때, 단순히 단기적인 성과인 매출액, 수익률 등의 가시적으로 수치화한 성과 지표로만 평가하고 수혜대상 선정 및 지원은 비효율적이고 지양해야할 태도라고 판단된다. 이에 창업지원사업의 수혜대상 선정 기준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평가할 수 있는 지표 등과 같은 효율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전통공연예술 수용과정이 공연소비자의 감정반응(PAD)과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장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727

        우리나라의 전통공연예술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산업의 일부가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전통공연예술을 발전시키고 계승시키며, 현 시대에 맞게 재해석하는 연구를 하는 것은 경쟁력 있는 국가를 만들어 가는 길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전통공연예술에 대한 관심은 대중적으로 그다지 높지 않으며, 우리나라 문화의 중심이 되지 못하고 있다. 특정 계층의 관객뿐만 아닌 누구나 쉽게 접근 할 수 있게 하기위해 최근 들어 점자 대중적이며 새롭고 다양한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전통공연예술이 시도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공연예술 수용과정이 공연 소비자의 감정반응(PAD)과 소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전통공연예술의 수용확산과 발전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과 실증분석을 토대로 실시하였으며,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 구성과 연구 가설을 도출하고 설문을 통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전통공연예술 수용과정이 공연소비자의 감정반응과 소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전통공연예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연소비자들의 감정반응에 따른 소비행동들을 파악하여 예술성 높은 작품 개발과 관객들이 만족 할 수 있는 서비스를 통하여 전통공연예술의 발전과 활성화를 이루어 나가야 할 것 이다. Traditional Korean performing arts became part of the cultural industry that represents Korea. Therefore, developing and inheriting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reinterpreting it according to present age is the way to making a competitive country. However, interest i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s not so high among the public and it is not the center of Korean culture. In order to make it easy for not just a certain audience but anyone to access traditional performing arts, popular, new, and various contents are being attemp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cceptance process on emotional responses(PAD) and consumption behaviors and to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proliferat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Research methods were based on literature and empirical analysis.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e research model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ere derived and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surveys.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cceptance process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reactions and consumption behavior of performers.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o grasp consumption behaviors according to the emotional responses of performing arts consumers, and the development and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the development of artistic works and services that satisfy the aud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