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역사적 연구를 통해서 본 21세기 한국교회 예배방향 연구

        신상진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논문은 예배에 대한 역사적이고 신학적인 바른 이해를 위해 먼저 예배의 어원과 정의, 예배의 대상과 목적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예배가 유구한 기독교 역사 속에서 어떻게 발전하여 왔는가를 교회사의 흐름 속에서 살펴보겠다. 그래서 구약의 예배와 신약의 예배, 중세의 예배와 종교개혁자들의 예배, 그리고 청교도들의 예배와 미국 장로교의 예배에 이르기까지 예배의 역사 속에 나타난 예배의 흐름과 예배신학을 시대별로 살펴보고, 계속해서 우리 한국교회의 역사 속에 나타나 있는 예배의 흐름과 예배신학도 살펴볼 것이다. 이어서 현재 시도되고 있는 한국 교회의 새로운 예배흐름을 진단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21세기 한국교회가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예배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농(聾)사회, 농문화 이해를 통한 농인(聾人)예배에 관한 연구

        박금순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11

        “농(聾)사회, 농문화 이해를 통한 농인(聾人)예배에 관한 연구” 우리나라에는 약 35만 명의 농인(聾人)들이 살아가고 있다. 그들은 수어(手語)라는 농인의 언어로 의사소통을 하며 살아간다. 농인은 단순히 청각 손실에 의한 장애인이 아니며, 또한 농인은 지적 장애인이 아니다. 농인은 수화를 사용하는 언어적 · 문화적 소수 집단이다. 음성언어 중심의 주류사회에서 소수 집단의 일원으로 살아가야 하기 때문에 농인은 여러 가지 사회 부적응 문제를 만나게 된다. 이러한 사회 부적응 문제가 바로 농인이 경험하는 어려움의 본질이다. 농인이 겪게 되는 다양한 문제들은 농정체성 형성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농인(聾人)도 청인(聽人)과 동일하게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하나님의 피조물이며,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통해 구원함을 받은 하나님의 자녀로서, 하나님을 예배하며, 장애를 짊어지고 가는 삶이라는 고난의 순례 길을 복음의 능력으로 극복하며 살아갈 수 있다. 우리는 농인들을 데리고 고기만 계속해서 잡아 줄 것인가? 아니면 고기를 잡을 수 있도록 방법을 가르쳐 줄 것인가? 독립된 그들만의 예배 공간에서 그들의 언어로 하나님을 예배하도록 농인사역에도 네비우스 선교방법을 실행하여 온전한 예배자로 세워 나가는 것이 앞으로 우리가 농인들과 함께 동역하며 사역해야 할 일이라 사료된다. 예수님께서 죄인인 우리들의 중보자가 되어 하나님의 보좌 앞에 담대히 나가 예배 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주었듯이, 우리 또한 듣지 못하고 말하지 못함으로 하나님 앞에 예배자로서 홀로 서지 못하는 농인들을 중보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긍휼하심의 심장을 가지고 농 선교에 관심을 갖고 농인들이 하나님께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하는 참 예배자가 되도록 지속적으로 교육하고 훈련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A Study on the Deaf's Worship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Deaf Society and the Deaf Culture" Approximately 350,000 deaf people live in the nation of South Korea. They use sign languag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deaf people's disability is not simply due to loss of hearing, and the deaf do not have intellectual disability. The deaf's main language is sign language, and this makes them a linguistic and cultural minority. The deaf encounter many social maladjustment problems as they try to live as a member of a minority group in the mainstream society in our world. These various social maladjustment problems experienced by the deaf cause great problems and affect their identity formation. The deaf people are creatures of God who were also created by God. They are also saved by the grace of Jesus Christ. They are children of God, and they worship God. And they can overcome th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 as they struggle with their handicap in life by relying on the power of the Gospel of Jesus. Are we going to keep catching fish for them or teach them how to catch fish themselves? In order to help them worship God with their own sign language in the independent deaf worship community, our mission is to partner with the deaf people and work with them by using the Nevius missionary method in deaf ministry. Just like Jesus as our Mediator has opened the way for sinners to reconcile with God, we should also be mediate for the deaf who cannot stand alone by themselv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task, we all must possess the heart of God and have deep interest and concern for these deaf to teach and discipline them so that they may come to worship God in truth and spirit.

      • 예배공간에 있어서 성찬상의 의미와 위치에 관한 연구

        황용훈 서울장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11

        시대마다 교단마다 하나님께 예배하는 형식은 다양하다. 오늘날 세계의 모든 교회는 각기 다른 예배의 형식으로 예배를 드린다. 그럼에도 모든 세계교회가 하나인 것은 그들 모두가 성만찬을 집례하고 있다는 것이다. 성만찬은 교회를 하나 되게 하는 중요한 소통역할을 담당한다. 우리 총회 헌법에서도 제 25조 목사의 직무에 대해 “목사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교훈하며, 성례를 거행하고, 교인을 축복하며, 장로와 협력하여 치리권을 행사한다.”고 가르치고 있다. 여기서 “성례를 거행하고” 라는 명시가 있지만 성례보다는 설교에 더 큰 관심과 비중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그 가운데 성만찬은 연중 특별한 행사로 여겨지면서 이 성만찬이 집례되는 성찬상은 점점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교단마다 일정한 규칙이 없이 제각기 목회에 필요한 대로 자리에 놓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필자는 예배의 역사적 전통을 통해 오늘날 예배공간 안에서 성찬상의 위치를 재정립하고 올바른 성만찬이 집례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 신앙공동체 안에서의 간세대예배

        장영직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11

        The primary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erve intergenerational worship in religious community which is liturgically holistic and theologically verified. It is defined that Inter-generational or cross-generational worship for members in religious community all together to experience and share on the same time and space. Through it positively and dynamically we can hand down sons and grandsons traditions of a creed and share with their personalities and merits among generations.Today We need an alternative worship in Korea church. A interruption stuck in worship because Korea church has surrendered selfish Individualism and superficial materialism. Therefore we lost communication and community.of an intrinsic worship. I insist that Intergeneration worship should practice and recreate on small-groups like class meeting or family as well as Sunday worship service. Only if it is that way we can change initiatively worship-cultures. Although it is difficult to be reformed the existing church we might see to be improve if we try again and again.Main contents are these. At chapter Ⅰ 'an introduction' I'll suggest that it should be adored Intergenerational worship as possible as frequent and prepared and on the whole describe the aim, significance, method and scope of the study. At chapter Ⅱ 'The theory of Intergenerational worship' it'll be considered terms, definition, and keynote of Intergenerational worship thorough liturgical and theological perspectives. At chapter Ⅲ 'Structure of Intergenerational worship' it'll be speculated sacraments, preaching, media and community which make up liturgical worship for communication of gospel and context. At chapter 4 'Model of Intergenerational worship' it'll be presented Taize-worship, Blended-worship and EPIC-worship as world movement and introduced Model of Intergenerational worship according to the book of service printed nowadays. At chapter 5 'Practice of Intergenerational worship' it'll be sketched and analyzed forms and remarks in korean church. At chapter 6 'Conclusion' I'll summarise Intergenerational worship in brief and appeal it to be practiced. 본 논문은 신앙공동체 안에서 간세대예배에 관한 연구이다. 간세대예배란 신앙공동체의 모든 구성원들이 같은 시간과 장소에서 함께 경험하는 간세대 예배 또는 세대 간 예배를 말한다. 이를 통해 신앙의 유산을 자연스럽게 전수할 수 있으며 세대 간의 개성과 장점을 역동적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간세대예배는 보편성이 담보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예전적 예배의 전통, 특별히 축제적 성례전을 드려야 한다. 이는 간세대예배의 요소에 관한 것으로, 간세대예배는 말씀과 성찬의 균형 잡힌 예배여야 하고 상징과 예술의 방법론을 적극 활용하는 예배여야 한다.먼저 간세대예배 연구와 실행의 필요성은 한국 교회와 예배 문화적 현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있다. 왜냐하면 오늘날 한국 교회는 대형화를 지향하고 예배는 분리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예배의 본질인 소통과 공동체성을 놓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이에 논자가 주장하는 바, 간세대예배의 실행은 예배 원형의 회복이며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대안 예배로서 자리매김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간세대예배의 의의며 목적이다.이제 간세대예배는 실행되어야 한다. 우선적으로 주일 낮에 드리는 공공예배를 간세대예배로 대체하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그래야만 예배문화의 변화를 간세대예배로 주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비록 기존 교회에서는 변화가 쉽지 않겠지만, 예배 준비자들로부터 시작하고 잘 준비한다면 예전적이고도 역동적인 간세대예배를 드릴 수 있게 될 것이다. 오히려 비교적 작은 공동체나 개척하는 교회들은 처음부터 간세대예배의 실행이 용이할 것이다.또한 공동체성의 회복과 강화를 위해 가족예배 혹은 소그룹공동체의 예배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는 간세대예배의 대안예배적 성격을 말하는데 이것의 실행은 신앙의 정체성과 공동체성 그리고 연대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리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특히 오늘날과 같이 개인주의가 팽배하고 이기주의가 지배하는 시대에 간세대예배를 통하여 서로에 대한 관심과 나눔을 실천할 수 있다.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Ⅰ장 ‘서론’에서는 예배를 간세대적으로 드려야 함을 제안하면서, 간세대 예배의 목적과 의의 그리고 연구 방법과 범위에 대해 개괄적으로 기술한다. 제Ⅱ장 ‘간세대예배의 이론’에서는 간세대예배의 용어와 정의와 특징에 대하여 예배학적 고찰을 통해 정리한다. 제Ⅲ장 ‘간세대예배의 구조’에서는 복음과 상황의 소통을 위한 예전적 예배의 구조로서 ‘성례전, 설교, 미디어, 공동체’를 고찰해본다. 제Ⅳ장 ‘간세대예배의 모형’에서는 세계적인 동향으로서 떼제예배, 조화된 예배, EPIC예배를 소개하고 현재 예배서로 출판된 간세대예배 모범을 소개할 것이다. 제Ⅴ장 ‘간세대예배의 실제’에서는 간세대예배 현장에 참여하여 예배를 스케치하고 구조를 분석할 것이다. 제Ⅵ장 ‘결론’에서는 간세대예배의 내용을 요약하고 한국교회를 향한 제언으로 마치고자 한다.

      • 한국 교회의 축제적 예배를 위한 방안 연구

        이세광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10

        Worship is a celebration, a celebration that God offers for humans and that every attendee enjoys altogether. It is also a festivity where the invitees meet each other and God, celebrating the Resurrection, settling down, reviving, and sharing food. As Christianity grew in recognition and receptivity inside the Establishment, however, worship was increasingly distanced from celebration. Though worship originally sought to balance between the Word and the Table, this festal tradition of worship was no longer upheld and, as church''s monopoly on worship deepened, the congregation increasingly sidelined.This study aims at exploring ways to revive the celebratory traditions of Christian worship and to help the Korean Christians bring back to their worship their inherent celebratory mood, 'shinmyeong (신명, 神明).' With this goal in mind, Chapter One sets out to confirm that festal worship is biblically authenticated. Chapter Two identifies the Reformation and the Lima liturgy as the two most important milestones where the traditions of festal worship were historically recognized. Chapter Three observes how the Korean church worships contemporarily to shed light on those aspects antithetical to the ideals of celebratory worship. The study then makes the case for restoring the celebratory traditions of worship in general and localizing worship in such a manner that Korean cultural context is respected in particular. To restore the festive traditions of worship, it is recommended that the harmonic balance between the Word and the Table be recovered and that time elements (i.e. Sundays, festive days and Liturgical Calendar) and spatial elements (i.e. churches) be festively applied. To localize worship, a Korean inculturation of hymns and symbols is called for and the flow of worship needs to accommodate the principle of 'breathing.' This principle is divided into 4 steps: gi (기;起), gyeong (경;景) gyeol (결;結) and hae (해;解). Each step means generation, expansion, climax and releasement sequentially. This Korean principle is after all universal. It is observed in not only Korean traditional music but also our nature and our life. Against this backdrop, the study analyzes comparatively this Korean principle and the Lima liturgy--indeed a global prototype for festive worship--to substantiate that the principle of breathing is consistent with the ideals of celebratory worship and even that worship is most festive when it follows the principle. A worship that is inculturized in Korean style will be an occasion where God and the Korean worshippers meet with nothing else in between and become one with unfettered joy. 예배는 축제다. 그것은 하나님이 사람들을 위하여 베푸신 축제이며, 그 축제에 초대받은 사람들이 하나님과 함께 또한 참여한 모두가 함께 누리는 축제다. 그 축제는 만남의 축제이고, 그리스도의 부활을 축하하는 축제이며, 해결과 회복의 축제이고, 함께 음식을 나누어 먹는 축제다. 그러나 기독교가 공인되고 제도권 내에 안주하면서부터 예배는 축제로부터 멀어져갔다. 예배 가운데 설교와 성만찬이 균형을 이루는 예배의 축제적 전통은 훼손되거나 왜곡되었고, 예배가 성직자에 의해 독점되면서 예배의 주체인 회중은 예배의 중심에서 밀려나 구경꾼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교회의 축제적 예배의 모습을 찾기 위해 본래 예배가 가지고 있는 축제적 전통을 되살리고, 아울러 한국인의 심성 속에 내재된 축제적 정서인 신명이 예배를 통해 발산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본 연구는 서론과 결론을 제외하고 모두 3장으로 되어 있다. 1장에서는 성서 고찰을 통해 축제적 예배의 성서적 근거를 찾고, 2장에서는 역사적 고찰을 통해서 종교개혁과 리마 리터지가 축제적 예배를 회복하기 위한 대표적인 역사적 산물임을 제시한다.이어서 마지막 장에서는 한국 교회 예배의 현장을 고찰하여 한국 교회 예배의 반(反)축제적 단면들을 찾아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예배의 축제적 전통을 회복하고 예배의 한국화를 이루어야 함을 역설한다. 회복되어야 할 축제적 전통은 말씀과 성만찬의 조화로운 균형, 예배의 시간적 요소(주일, 절기, 교회력 등)와 공간적 요소(예배 공간)의 축제적 활용을 말한다. 예배의 한국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예배의 문화적 요소들(대표적으로 찬송, 상징물 등)의 한국화와 호흡의 원리에 따르는 예배의 흐름을 강조할 것이다.이 ‘호흡의 원리’는 기경결해(起景結解)의 4단계로 구분되는데, 각 단계는 기에서 경까지 각각 생성, 발전, 절정, 정리의 순으로 흐른다. 이는 동시에 자연의 원리이자 삶의 원리이며, 한국 전통 음악의 원리이기도 하다. 특히 이를 세계 교회의 축제적 예배의 모범적 틀이라 할 리마 리터지와 비교․고찰함으로써 호흡의 원리가 축제적 예배의 흐름과도 상응하고 있음을 밝히고, 예배의 흐름이 이 원리에 따를 때 가장 축제적일 수 있음을 말하고자 한다.축제적 전통이 살아있는 한국화된 예배는 하나님과 한국인이 감격적으로 만나 기쁨으로 하나가 되는 신명나는 축제의 마당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교회학교의 예배갱신으로서의 세대통합예배 연구 : 신앙공동체 이론을 중심으로

        원지영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10

        본 연구는 교회학교 예배 갱신을 위한 새로운 세대통합예배 패러다임을 제시하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한국교회의 교회학교는 미국 교회학교의 주입식 교육과 일방적인 전달형식을 띤 교사 중심의 학교형태(Schooling)에 영향을 받았다. 교육이 강조되고 예배의 기능이 약화된 교회학교 예배는 예배의 본질을 놓치게 되었고, 그에 따라 예배의 감격과 생동감을 잃게 되었다. 이를 위해 멀티미디어 도구를 적극 활용하고, 어린이들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예배 관련 프로그램을 도입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학교 예배의 참석자 수는 감소하였고 그로 인해 예배가 사라지는 위기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이와 같은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배에 대한 교육이 선행되지 않아 예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둘째, 교회학교는 어린이들에게 예배를 이성적으로 이해시키고 있다. 셋째, 세대분리로 인한 공동체성이 약해졌다. 연령별로 분리되어 드리는 교회학교의 예배는 점차 다른 세대와의 간극을 조성하여 모든 연령의 성도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 되기가 어려워졌다. 또한 세대를 분리됨으로 신앙전수가 어려워졌다. 이를 위해서 웨스터호프 Ⅲ의 신앙공동체이론을 적용시켜 해결방안을 모색해보았다. 첫째, 예배와 교육이 동시에 일어나는 ‘교육적 예배’가 되도록 해야 한다. 어린이들이 예배에 참석하고 예배의식을 체험하는 것만으로도 어린이들은 신앙에 대한 양육을 받게 된다. 어린이들이 보고 배울 수 있도록 예배공동체의 구성원, 즉 교사와 부모님과 함께 드리도록 해야 한다. 어린이들은 부모와 함께 드리는 세대통합예배를 통해 예배드리는 법을 배우고, 신앙생활을 체득하게 하는 ‘교육적 예배’를 드리게 될 것이다. 둘째,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는 ‘경험적 예배’에 참여시키도록 해야 한다. 부모가 예배드리는 모습을 보고 모방할 뿐 아니라 신앙공동체로서 예전에 참여하는 직접적․간접적 경험을 통해 신앙을 성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어린이들이 세대통합예배 안에서 예배자로 참여하여 하나님의 역사하심을 경험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교회의 공동체성을 회복시키는 ‘신앙공동체적 예배’를 드려야 한다. 어린이들은 교회가 전수해온 예배의 모본을 익히며 훈련 받는 기회를 갖고 부모의 세대로부터 신앙의 유산을 자연스럽게 물려받아야 한다. 세대통합예배를 통해 가정 및 교회의 신앙공동체를 이루고 구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을 갖게 해야 한다. 세대통합예배는 앞서 언급한 세 가지 예배, 교육적 예배, 경험적 예배, 신앙공동체적 예배의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교회학교 예배갱신 방안으로 적합하다. 그러나 기존의 세대통합예배에서도 문제점을 찾아볼 수 있었다. 이는 여러 세대가 함께 예배를 드리지만 부모와 함께 드리지 않는 연합예배(연합예배로서의 세대분리예배), 세대통합을 위한 설교본문 부재, 부모와 어린이가 예배 중간에 분리되는 반쪽짜리 통합예배, 즉 부분통합예배가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는 어린이들의 신앙 성숙과 그리스도인으로 양육하는데 1차적 책임을 가지는 부모나 가정이 교회와 협력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한 일이다. 그러므로 살아있는 신앙 공동체 안에서 예전과 의식을 배우고 공동체로 살아감으로써 신앙을 성숙시키고 올바른 예배를 드릴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세대통합예배 패러다임으로 가정예배를 제시한다. 가정은 사회화가 이루어지는 가장 기초적인 집단이다. 가정예배는 부모가 자녀들을 신앙 속에서 양육시킬 수 있는 일차적 교육의 장이 될 것이다. 이것은 세 가지 특징을 가진다. 첫째, 어린이들은 가정예배를 통해 신앙을 배우고 성장하게 된다. 둘째, 가정예배는 삶 속에서 하나님을 만나고, 삶이 예배가 되도록 한다. 셋째, 가정예배는 교회의 신앙공동체성을 회복시킨다. 부모와 자녀들은 가정에서 하나님의 은혜를 나누고 삶을 통해 반응하는 경험을 공유하는 신앙공동체가 될 것이다. 더 나아가 가정에서의 세대통합예배와 교회에서의 세대통합예배가 연결성을 갖게 될 때 하나님께서 역사하시고 교회라는 신앙공동체가 응답하는 완전한 예배가 될 것이다.

      • 역사적 관점에서 본 장로교 예배·예식서(2008년)의 주일 예배순서에 대한 연구

        남장현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10

        본 논문은 한국교회 예배의 문제점을 네가지로 들었다. 첫째, 한국 교회 예배는 사회에 대한 무관심과 이웃사랑의 표현과 실천 윤리성의 부재에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고 둘째, 개인적이며 경험적으로 감정적 격앙을 목표 삼는 예배의 문제를 지적했으며 셋째로, 네비어스 선교정책의 영향으로 우리에게 넘어온 너무 간단한 예배순서를 지적했고 마지막 네 번째로, 성찬과 말씀의 불균형으로 일년에 몇 차례의 성찬과 성례를 할뿐 설교에 모든 것을 집중하는 예배의 불균형을 지적했다. 이런 문제들을 오래전 구약의 예배순서로부터 시작해서 역사적인 많은 예배순서들과 개신교의 시작인 종교개혁자들의 예배순서 그리고 그의 후예들의 예배순서들 그리고 우리에게 복음을 전해준 미국의 예배순서 마지막으로 2008년에 출간된 대한예수교장로회 예배·예식서 연구를 통해 살펴보면서 한국교회의 예배순서가 문제가 있음을 발견하였고 마지막으로 연구한 대한예수교장로회 예배·예식서(2008년)가 위에서 언급한 한국교회의 문제들을 해소 해주는 대안임을 발견하게 되었다.

      • 성만찬을 통한 예배의 영성 회복

        오숙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10

        본 연구는 예배의 영성 회복으로 성만찬의 필요성에 대해 신학적으로 이해하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이 연구는 현대 개신교회의 상징성이 있는 성만찬을 통한 예배의 영성 회복을 시도할 필요성이 있음을 전제한다. 본 논문은 성만찬을 통한 예배의 영성 회복 가능성에 대해 신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성만찬을 통한 예배의 영성 회복에 성서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예배와 성만찬 이해와 성만찬과 예배의 영성의 관계에 대해 신학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통하여 오늘날 현대 개신교 예배의 특징인 다양성 안에서 성만찬이 예배의 영성 회복으로서의 역할과 비중이 앞으로 커지게 될 것이고 다양한 활용을 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제시한다. 예배의 영성에 대한 신학적 이해와 성만찬에 대한 신학적 이해를 중심으로 고찰해 본 결과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성만찬을 통한 예배의 영성적 결론들을 도출해 낸다. 첫째로, 예배와 영성은 연결 되어 있다. 둘째로, 예배에서 설교와 성만찬은 상호보완적이다. 셋째로, 예배의 영성으로 성만찬의 상징성은 행동하게 하는 매개체가 된다. 넷째로, 예배와 성만찬은 공적예배이다. 다섯째로, 예배의 영성은 예수님을 따라가는 삶이다. 여섯째로, 성만찬을 통한 예배의 영성은 섬김의 패러다임을 감당한다. 이러한 긍정적 평가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문제점들이 있음을 찾아 볼 수 있다. 첫째로, 예배에서 성만찬의 교육 부실로 영성 있는 진행을 제대로 못한다. 둘째로 상징성 있는 예전적 예배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로, 성만찬의 인식 부족으로 자주 진행하는데 시도의 모험과 용기가 따른다. 넷째로, 성만찬에 대한 지도자와 회중의 신학적 이해가 필요하다. 초대교회 공동체는 성만찬 공동체였음을 기억해 볼 때, 성만찬을 통한 예배의 영성 회복을 위한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해 본다. 첫째로, 하나님의 임재가 있는 예배가 가능하다. 둘째로, 성만찬과 같은 상징성 있는 예배는 삶으로서의 예배로 행동력을 높인다. 셋째로, 예전적 예배 회복으로 연결한다. 넷째로, 설교와 성만찬의 조화를 한다. 다섯째, 회중이 참여할 수 있는 예배를 기획한다. 여섯째, 공적예배로서 공동체성의 회복으로 관계 회복으로 연결한다. 일곱째, 성만찬을 통한 예배의 영성으로서 섬김의 패러다임으로 실천할 수 있는 영역을 계발할 수 있다. 성만찬은 교회가 개신교인들에게 하나님과 깊은 만남을 주고 회중이 함께 참여하여 표현하고 움직임으로서 공동체로서 하나님과 성도간의 관계를 회복하는 큰 힘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예배를 설교와 함께 성만찬을 통해 자주 연출하고 가시화시키고 보여줌으로써 세상에 나가 말씀으로 살겠다는 결단을 하게 한다. 따라서 성만찬은 예배의 영성 회복으로 사려 깊게 고찰되고 앞으로 더욱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the Holy Communion in terms of theology through recovering the liturgical spirituality. This study presumes that there is a need to try to restore the spirituality of worship through the Holy Communion that symbolizes contemporary protestant church. Based on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and biblical ground of the possibility of the spiritual restoration of worship through the Holy Communion, this study examines the understanding of worship and the Holy Commun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ly Communion and the spirituality of worship. Through this, it is suggested that the Holy Communion should play a greater role in restoring the spirituality of worship in diversity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modern Protestant worship, and be an important factor for various applications. Consideration of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spirituality of worship and the Holy Communion leads to following several spiritual conclusions of worship through Holy Communion. First, worship and spirituality are connected. Second, preaching and the Holy Communion are complementary in worship. Third, the symbolism of the Holy Communion as a spirituality of worship becomes a medium to act. Fourth, worship and the Holy Communion are public worship. Fifth, the spirituality of worship is a life that follows Jesus. Lastly, spirituality of worship through the Holy Communion carries the paradigm of service. Despite this positive evaluation, some problems still remain. First, it fails to make spiritual progress in the worship because of the insufficient education of the Holy Communion. Secondly, researches are needed to develop a symbolic ritual worship. Third, adventure and courage should follow to attempt the Holy Communion frequently because of the lack of awareness of it. Lastly, a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leaders and congregations is needed about the Holy Communion. Remembering that the early church community was that of the Holy Communion, some alternatives are suggested for spiritual restoration of worship through the Holy Communion. First, it is possible to worship with God's presence. Second, the symbolic worship such as the Holy Communion should enhance the acting power by worship as a life. Third, it should be connected to the restoration of ritual worship. Fourth, the sermon and the Holy Communion should be harmonized. Fifth, the worship service for the congregation to take part should be planned. Sixth, the restoration of community as public worship should lead to the restoration of relationship. Lastly, a practicable realm can be developed with the paradigm of service as a spirituality of worship through the Holy Communion. The Holy Communion should become a great power to restore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the saints as a community as the church provides Protestants with deep fellowship with God, and the congregation participates, expresses, and moves together. Therefore, frequent performance and visualization of the Holy Communion together with the sermon in worship service should lead to the resolution by congregation to go out into the world and live by the Word. In conclusion, the Holy Communion should be thoughtfully considered as the restoration of the spirituality of worship, and studied further.

      • Alexander Schmemann의 성찬 신학을 통한 한국 교회의 성찬 갱신에 관한 연구

        신혜철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78

        한국 교회는 위기 상황에 놓여 있다. 본 논고는 한국 교회의 위기의 원인을 찾기 위해 한국 교회 부흥의 동력이었던 예배에 주목한다. 예배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나아가 예배의 위기를 타개하고자 초대교회의 예전 전통을 잘 보존하며 지켜온 동방 정교회의 예전, 그 중에서도 예배의 핵심인 성찬 성례전을, 대표적 신학자 알렉산더 슈메만의 성찬 신학을 통해 알아본다. 또한 슈메만의 신학을 한국 교회의 예배, 성찬에 적용하여 예배의 갱신, 성찬의 갱신을 시도하고자 한다.

      • 설교의 공적차원에 대한 새로운 이해:찰스 캠벨의 설교신학에 대한 비판적 연구

        정진화 게명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9662

        This dissertation is a theological attempt to provide a new understanding of the public dimension of preaching, by attacking the ills of preaching due to today’s privatization of religion, and by renewing the sermons and homiletics that are held captive by the private dimension of preaching. This study proposes the construction of a “public preaching theology”, a new paradigm of homiletics that combines public theology and homiletics. It relies on Charles L. Campbell’s preaching theology as an academic standard for studying the public dimension of preaching. First, this study summarizes and evaluates Campbell’s theology of preaching from the perspective of homiletic science and public theology. It aim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ampbell’s theology of preaching by challenging critical studies from the viewpoint of public theology of preaching and thus expand the concept and theory of theology of preaching through the balanced interaction and the elements of a more complete public dimension of preaching - the revelatory dimension, the ecclesiological dimension, the social dimension, the ethical dimension and the eschatological dimension of preaching - that can be supplemented academically and understood newly as a whole. In order to explore the public dimension of preaching in this methodology, this study points out the defects and problems of the three dimensions – the revelatory, socio-ethical, and eschatological dimensions in Campbell's theology of preaching. Second, we will explore the ministry and the world of the divine dimension of preaching through critical reflection upon the lack of attention to the work of the Holy Spirit in Campbell’s preaching theology. This section studies the evidences of the early church’s preaching history in the Acts of the Apostles in terms of biblical theology and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Here the revelation of preaching is a special revelation and presupposes the theological conviction that all revelations can be communicated only through the Holy Spirit (1 Cor. 2: 10-11). The pneumatological insight in preaching reaffirms and confirms what the purpose of preaching is, and also declares the authority and power of preaching. Pneumatological insight of the revelatory dimension of preaching liberates the phenomenon of preaching today from being held captive by the dimension of earth to the dimension of heaven and through this, declares the need to recover totally the preaching of the divine dimension as the Words of God, not the words of humans. Third, we will study the eschatological dimension of preaching by modeling “the Kingdom of God” that Jesus preached. And we can know what life and future Jesus wanted to give us ultimately through his preaching. Furthermore, we are also able to see the flaws of Charles L. Campbell’s theology of preaching on the publicness of the Kingdom of God, the eschatological history consciousness of preaching, and the dimension of grace and the gift of the Kingdom of God. Through this, we explore more complete and thorough theological concepts and derive new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God and the eschatological dimension of a sermon. In summary, the public dimension of preaching carries God’s will towards the world and can communicate the content of revelation with power and authority. This is the most essential dimension of preaching, but it is one that many preachers have lost. Through the study of the public dimension of the sermon it is necessary to break the individual and ecclesiastical focus that has dominated preaching and homiletics. We should construct a more broad understanding of the public context of preaching that is changing quickly, through more wide research on the theology of preaching, because it is certain that the world is constantly demanding new and different forms of ministry and responsibility for our preaching. 본 논문은 오늘날 종교의 사사화로 인한 병폐를 일소하고 설교의 사적 차원에 사로잡혀 있는 설교와 설교학을 갱신함으로써 설교의 공적차원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하려는 신학적 시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설교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공적신학과 설교학을 접목한 “공적설교신학”의 구축을 제안한다. 또한 본 연구는 설교의 공적차원을 위한 연구에 있어 찰스 캠벨의 설교신학을 하나의 학문적인 표준으로 삼는다. 첫째로, 본 연구는 캠벨의 설교신학을 설교학과 공적신학의 관점에서 평가하고 요약 정리한다. 그것은 설교의 공적차원에 대한 캠벨의 설교신학의 한계를 극복하고 설교신학의 이론과 개념을 확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공적설교신학의 관점에서 그의 설교신학에 대하여 비판적 성찰로 도전한다. 그것을 통하여 본 연구는 균형 잡힌 상호작용과 보다 완전한 설교의 공적차원의 요소들 - 계시적 차원, 교회론적 차원, 사회적 차원, 윤리적 차원, 종말론적 차원 – 을 새롭게 이해하고 학문적으로 보완되어질 수 있도록 이에 대한 설교신학의 개념과 이론을 확장한다. 이러한 방법론으로 설교의 공적차원을 탐구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찰스캠벨의 설교신학에 세 가지 차원- 계시적 차원, 사회·윤리적 차원, 종말론적 차원에 대한 문제들과 결점을 지적한다. 둘째로, 이에 본 논문은 캠벨의 설교신학에서 성령의 사역에 관한 주의의 결핍에 대해 비판적 성찰을 통하여 설교의 신적 차원의 사역과 세계를 탐구할 것이다. 이 부분에서는 사도행전에 나타난 초대교회의 설교 역사의 증거를 성서 신학적인 방법과 현상학적 방법론으로 연구한다. 여기서 계시는 특별 계시이며 모든 계시는 오직 성령을 통해서만 소통되어질 수 있다는 신학적 확신을 전제한다(고전 2;10-11). 설교에서의 성령론적 통찰은 설교의 목적이 무엇인지를 재확인하고 확정하며 또한 설교의 권위와 권능을 선언한다. 설교의 계시적 차원에 대한 성령론적 통찰은 오직 땅의 차원에만 사로잡혀 있는 설교의 현상을 하늘의 차원으로 해방시키며 그것을 통하여 사람의 말이 아닌,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온전한 설교의 신적 차원의 회복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말한다. 셋째, 우리는 예수께서 선포하신 “하나님의 나라”를 모델로 하여 설교의 종말론적 차원을 연구한다. 그러면, 우리는 예수께서 우리에게 그의 설교를 통해서 궁극적으로 어떤 삶과 미래를 주시기를 원하셨는지 알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우리는 또한 캠벨의 설교신학이 하나님 나라의 공공성, 설교의 종말론적 역사의식, 그리고 하나님의 나라의 은혜와 선물의 차원에 대하여 지니는 결점들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현재와 미래, 그리고 설교의 종말론적 차원에 대해 보다 더 완전하고 철저한 신학적 개념을 탐구하고 새로운 이해를 이끌어 낸다. 요약하자면, 설교의 공적차원은 세상을 향하신 하나님의 뜻을 전달하며 그 계시의 내용을 권위와 능력으로 소통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설교의 가장 본질적인 차원이다. 그러면서도 이것은 많은 설교자들이 상실해버린 것의 하나이다. 설교의 공적차원에 대한 연구를 통해 설교와 설교학을 지배해온 개별적이고 교회적으로만 집중되었던 고집스런 초점을 깨뜨리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는 더욱 광범위한 설교 신학에의 성찰을 통해 신속하게 변화하고 있는 설교의 공적 콘텍스트를 위한 보다 폭 넓은 이해를 구축해야 한다. 왜냐하면 세상은 지속적으로 보다 새롭고 다양한 형태의 사역과 책임을 우리들의 설교에 요구하고 있는 것이 확실하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