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 심리 기반 애니메이션 제작과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 연구 : <몬스터 주식회사>를 중심으로

        리우리왠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0735

        At present, in addition to the extremely underdeveloped as in China, the media environment for children is: watching cartoons is the main way for children to contact visual media. Animated film plays an important role in animation, and its proportion in children's entertainment projects can not be under estimated. It can be said that cartoons and animated films run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Child psychology growth and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Child psychological growth. How to make the creation method of animated film fit with the operation law of Child psychology, and how to make digital media design better serve animated film have become the main topics of this paper. Although the audience of animated films is broad and not limited to children, the main crowd is still children. Meeting Child psychological needs, keeping pace with the times and combining digital media design technology to make them resonate in the process of watching are the development trend of animated films in the future.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psychology and the progr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child psychology is divided into special research fields. With its in-depth research, terminals such as Child psychology related products and works show an increasingly close relationship with child psychology and science and technology.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s and audiences is interactive. On the one hand, the research results of child psychology promote the improvement of products or works. On the other hand, child psychological laws are found through Child psychology feedback to products, so as to improve their theoretical system. At the same time,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design has provided new technical support to the film industry, including animation, which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for the further qualitative change of animation films, and also change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ld psychology acceptance of animation. The animation film with children as the main audience is different from other types of films. If its creation method is carried out from the perspective of adults, its content and form are easy to favor adult interest, or it is too heavy to attract the audience. Such works can not bring better guidance to children. In recent years, Child psychology animated film shave developed rapidly, paying some attention to Child psychology and digital media design, but there is still a long way to go compared with developed countries. Analyzing excellent works is a good way to learn from. The expected research result of this paper is to select appropriate samples for targeted analysis, obtain data and analysis results, so as to promote the progress of national local animation. This paper selects monster company as a sample, takes creative methods and digital media design as the research scope,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psychology, creative methods and design technology innov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story setting, character image design, color and technical analysis. Through the design of a questionnai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eedback data of children watching monster company, accurately analyzes the content of Child psychology involved in the film, and infers the relevant creative methods. Guided by the current development of Child psychology and digital media design, and taking monster company as a sample, this paper analyzes the film content structure, material selection and artistic design, and summarizes the creative methods of animated films in line with Child psychological operation mechanism; At the same time, it points out the problems existing in the creation of animated films, and puts forward reasonable sugges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conforming to the law of psychology for works that have fuzzy classification of Child psychology audience, unclear target audience and can not attract Child audience; Combined with the latest achievements of digital media technology, this paper puts forward some suggestions on the improvement of film technology. This paper attempts to deeply analyze the laws and characteristics of Child psychological development, find the animation creation elements inspired by Child psychology ow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inally find the psychological theoretical basis for the creative ideas and methods of animation films. Looking forward to the more brilliant results that may be achieved by using digital media design, so as to provide reference for the future. 오늘날 중국 대부분 지역에서 아동은 시각 미디어를 통해 애니메이션을 접하고 있는 가운데 애니메이션 영화는 어린이용 오락프로그램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TV 애니메이션과 극장용 애니메이션 영화가 아동의 성장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의 제작 방법과 아동의 심리에 중점을 두고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을 애니메이션 영화에 접목하는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애니메이션 영화는 주요 수용자층을 아동 외에도 광범위한 집단으로 설정하고 있지만 주요 관객층은 여전히 아동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있다. 애니메이션 영화를 관람하면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아동의 심리적 수요와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여 데이터 디지털 디자인 기술을 접목하는 제작 방법은 향후 애니메이션 영화의 발전 방향으로 볼 수 있다. 최근 심리학의 발전과 과학기술의 발달로 아동 심리학이 전문 연구 분야로 대두되면서 아동 관련 제품과 영상 콘텐츠에는 아동 심리학과 과학 기술이 밀접하게 연계되고 있다. 제품과 수용자의 관계는 서로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아동 심리에 대한 연구가 제품과 콘텐츠의 개선을 촉진하며 동시에 제품에 대한 아동의 피드백을 통해 아동의 심리적 법칙을 발견하고 이론적 매커니즘을 새롭게 보완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이 발전하면서 애니메이션을 비롯한 영화 산업에도 새로운 기술적 지원을 마련하며 애니메이션의 질적 변화를 이룰 수 있었고 애니메이션을 수용하는 아동의 심리에도 변화가 일어나게 되었다. 애니메이션 영화는 아동을 주요 수용자층으로 구성하여 다른 장르의 영화와는 달리 성인의 관점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콘텐츠와 형식 측면에서 성인의 취향으로 무게가 쏠리게 된다. 결국 아동의 관심을 끌지 못하며 아동에게 올바른 가치관과 교육적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한계가 나타난다. 최근 중국의 애니메이션 영화가 급성장하며 아동 심리학과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해외 상황과 비교하였을 때에는 여전히 큰 격차가 있는 실정이다. 이에 우수 애니메이션 영화를 연구대상으로 도출하여 중국 애니메이션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몬스터 주식회사>를 연구대상으로, 제작 방법과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을 연구범위로 설정하여 스토리 설정, 캐릭터 디자인, 색상, 기술 분석 등 측면에서 아동심리학, 제작 방법, 디지털 기술 혁신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몬스터 주식회사> 속 아동 심리학과 관련된 내용을 면밀히 분석해 아동심리학과 관련된 제작 방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 심리학과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을 바탕으로 <몬스터 주식회사>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스토리 구조, 소재, 예술 디자인 등 측면에서 분석하여 아동의 심리적 메커니즘에 적합한 애니메이션 영화의 제작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아동 관객의 모호한 등급, 불명확한 포지셔닝, 흥미유발 부족 등 현재 중국 애니메이션 영화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제시하여 심리학 법칙에 적합한 애니메이션 영화의 제작 방안을 지적하였다. 디지털 미디어 기술이라는 최신 기술을 결합하여 기술적 측면에서 애니메이션 영화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의 심리발달 법칙과 특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아동의 심리적 특징을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 제작 방안을 도출하였고 궁극적으로 심리학적 차원에서 애니메이션 영화의 제작 방향과 방법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발굴하였다. 향후에는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 성과로 확장하길 기대한다.

      • 트랜스미디어 환경의 새로운 영화 산업에 대한 연구

        양려연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50719

        영화는 제 7 예술 (Ricciotto Canudo <The Birth of the Sixth Art>) 로서 자연적으로 서로 다른 예술 형태를 포용할 수 있는 종합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전통적인 관점에서 볼 때 영화는 연극, 문학, 무용, 음악, 촬영과 관련이 있다. 지금은 게임, 만화, 예능 등 신흥 예술 장르의 발생 미학과 더 깊은 관련이 있다. 영화는 다른 예술 장르 및 미디어와의 교류 과정 속에서 헨리 젠킨스(Henry Jenkins)가 제안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Trans-media Storytelling)의 차원에 머물지 않는다. 최근 몇 년 사이 영화는 당대의 미술, 인터넷, 소셜미디어와의 결합 속에서 영상 형태, 소비 등의 자리에서 영화의 표현공간을 극대화하였다. 트랜스미디어 환경이 영화 산업의 형태를 서서히 변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영화의 생산자에 이어 영화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기존의 영화라는 미디어를 대하던 관습과 방식은 점차적으로 변혁을 꾀하게 되었고, 영화 생태의 혁신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런 혁신은 이미 내부의 자아혁신 에서 트랜스미디어의 대규모 환경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영화 산업의 생존을 결정짓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영화 한 편의 탄생은 그 영화의 생산, 마케팅, 배급으로부터 소비에 이르기까지, 마치 생태계의 먹이사슬과 같이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런 미디어 생태 환경의 변화는 영화 산업계에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본고에서는 트랜스미디어 환경의 새로운 영화산업에 대한 연구라는 주제로 실제 영화 작품 안에서 트랜스미디어가 어떤 형태로 구현되는지를 살피는 것에서 출발하여, 그것이 영화의 미학, 영화의 콘텐츠 생산 및 영화의 마케팅과 소비 등 영화 생태에 어떤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는 지를 조명해 보고자 한다. As the seventh art, the film is inherently comprehensive. From the traditional point of 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film and drama, literature, dance, music, photography has a long history, and now it is more aesthetically related to emerging art styles such as "games, comics, variety". In the dialogue and communication with other art categories and media, the film does not stop at the level of "transmedia narrative" proposed by Henry Jenkins. In recent years, the film has greatly expanded the performance space of the film from the perspective of image form, consumer field, etc. in combination with contemporary art, the Internet, and social media." Integrated culture" arises in the transmedia dialogue between film and various art forms and various media. The transmedia field has quietly changed the form of the film industry. From film producers to film consumers, the habits and perspectives of the media of film are quietly changing, and profoundly affect the film ecology innovation. This innovation comes not only from internal self-innovation, but also from the trans-media environment, the survival pressure of the film industry. The birth of a film, from film production, marketing and distribution to consumption, is like an ecological chain in the biological world, interlocking, and the change of the media ecological environment will affect every individual in the ecological chain. Therefore, this article takes the topic of "Research on the New Film Industry in Transmedia Environment" as the topic, and intends to explore the new changes brought by the transmedia environment to the film aesthetics, film content production, film marketing and consumption.

      • 중국 민족 오페라와 영화의 서사구조 비교 : <백모녀>를 중심으로

        리쥔탄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50719

        본 연구의 제목은 ‘중국 민족 오페라 무대 공연예술와 영화매체의 서사구조 비교연구- <백모녀>를 중심으로 -’이다. 중국에서 보급되지 않았던 예술 장르인 오페라가 중국의 전통 예술과 결합하여 발전과 혁신을 거듭하며 중국 민족 오페라 장르로 성장하였다. 그 원인에는 오페라의 독창적인 예술성과 문화 예술에 대한 정책적 지원도 뒷받침되었다. 영화는 그 전달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며 배우의 연기나 장면이 일반 대중의 삶과 근접해 있다. 영화는 사실적인 표현을 핵심으로 하여 대중과의 거리를 쉽게 좁힐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를 통해 전달의 방식이나 관객층의 범위가 매우 다른 예술 장르인 오페라와 영화에 대한 일반 대중의 인식을 높이고 감상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백모녀>의 영상 자료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중국 민족 오페라 <백모녀>(2015)와 영화 <백모녀>(1950)의 서로 다른 예술 장르 작품을 중심으로 서사 구조를 표현하는 방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서사학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오페라와 영화의 매체 전환은 먼저 서사 구조의 변화를 일으킨다. 가장 흔히 나타나는 것은 서사 내용의 재구성이며, 이는 시간, 공간, 서사 관점의 변화를 수반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오페라 <백모녀>와 영화 <백모녀>의 서사 공간은 어떻게 구축되어 있는가? 2. 오페라 <백모녀>와 영화 <백모녀>의 서사 시간은 어떻게 설정되어 있는가? 3. 오페라 <백모녀>와 영화 <백모녀>의 서사 관점은 어떻게 선택되고 표현되는가? 본 연구는 채트먼의 서사 구조 틀을 바탕으로 그의 서사 공간 이론에 주네트의 서사 시간 및 초점 이론을 결합하여 공간과 시간, 관점의 세 가지 측면에서 오페라와 영화를 분석한다. 또한 구성 요소, 인물, 사건, 환경을 바탕으로 그 내용의 표현 방식을 오페라와 영화 각자의 `담화 형식'에 따라 분석하였다. 두 작품의 비교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각 매체가 서사 구조와 표현 방식에서 각자의 특색을 가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오페라와 영화를 표현하는 매개체는 각각 무대와 영상이며, 서사 표현에서도 무대 공연 예술인 중국 민족 오페라는 영화와 다른 양상을 나타낸다. 영화는 샷을 유연하게 활용하여 시공간을 자유롭게 전환하는 반면 오페라는 이야기 표현에 있어서 영화보다 비교적 제한적이다. 영화는 오페라가 나타낼 수 없는 부분을 보여줌으로써 이야기를 더욱 응집성 있고 완전하게 표현할 수 있다. 오페라는 전체적인 스토리텔링에 있어서 영화와 큰 차이를 보이는데, 영화보다 그 내용이 풍부하지는 않지만 일부 구체적인 줄거리는 영화보다 더욱 섬세하게 나타내기도 한다. 본 연구는 서사 구조와 예술 표현 방식 측면의 학술 연구로서 의미가 있으며 관련 분야의 후행 연구에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중요한 문화유산인 오페라와 영화는 전통문화를 고취시키고 전승하는 기능이 있다. 현대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주축인 오페라의 발전 추세와 전망은 전체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The title of this study is A Comparison of Narrative Structures in Chinese Ethnic Opera and Film: Focusing on <The White-Haired Girl>. The transformation of media began with the shift from literature or drama to film. However, with the rise of modern scientific thinking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contemporary art has been afforded various possibilities for experimentation. Works based on the same story can now be presented through different mediums, each showcasing its own distinct facets. Opera, as an art form that has not been widely popularized in China, has been able to combine with traditional Chinese arts, constantly developing and innovating to become a genre of Chinese national opera. In addition to its unique artistic qualities, it has received support from cultural policies. However, film has a much wider scope of dissemination. Whether it is the performances of actors or the depiction of scenes, the core focus is on capturing real-life experiences and connecting with the audience. Although the modes of dissemination and the target audience for these two art forms may differ, through the research presented in this paper, we hope to increase the general public's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both types of artistic works and propose ways to appreciate them. This study focuses on <The White-Haired Girl> as its case study and utilizes video materials as the research subject. It examines the narrative structures of two different art forms, Chinese national opera <The White-Haired Girl> (2015) and the film <The White-Haired Girl> (1950), from a narratological perspective, exploring their shared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narrative presentation. The medium transition from opera to film initially results in changes in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text. The most common phenomenon is the reconstruction of narrative content, accompanied by shifts in time, space, and narrative perspectives. Therefore, three research questions are proposed in this study: 1. How are the narrative spaces constructed in the opera <The White-Haired Girl> and the film <The White-Haired Girl>? 2. How are the narrative times configured in the opera <The White-Haired Girl> and the film <The White-Haired Girl>? 3. How are the narrative perspectives chosen in the opera <The White-Haired Girl> and the film <The White-Haired Girl>? Drawing upon Chatman's narrative structure framework, incorporating his theories on narrative space, as well as Genette's theories on narrative time and focaliz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opera and film from three dimensions: space, time, and perspective. Additionally, the study analyzes the expressive modes of their content based on constitutive elements, characters, events, and settings, following the respective ‘discourse forms’ of the opera and the film.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works, this study reveals that different media possess distinct narrative structures and modes of expression. The stage and the screen serve as the respective vehicles for Chinese national opera and film, and they exhibit differences in narrative performance. Film achieves free transformations of time and space through its flexible use of camera techniques, whereas opera, in comparison to film, has more limitations in its presentation of the story. Consequently, film can showcase elements that opera cannot depict, resulting in a more comprehensive and coherent narrative presentation. Despite being different artistic forms, opera and film, while differing significantly in terms of overall storytelling, excel in their respective portrayals. Opera may lack the richness of content found in film, but it excels in the nuanced expression of specific plot point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wo works, this study found that different media have unique narrative structures and ways of expression. The stage and image are the media for opera and film performances, respectively. The performance art of Chinese ethnic opera stages differs from movies in terms of narrative expression. Movies can freely switch time and space through the flexible movement of the lens, but opera performed on a fixed stage has significant limitations compared to movies in terms of storytelling. Movies can depict the story more fully and thoroughly by portraying parts that cannot be expressed in opera. Opera is not as good at portraying the overall story as movies, but it can portray specific plots in greater detail. This study holds academic significance in the research of narrative structure and artistic modes of expression, and it can serve as a reference for studies in related fields. As significant cultural heritage, opera and film have the function of inheriting and promoting traditional culture. Opera and film are pivotal in the modern entertainment industry, and their development trends and prospects offer valuable insights for the entire entertainment industry. Additionally, examining the narrative structures of opera and film can help us ga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se two forms of narrative art.

      • 세로화면 영화와 e커머스 분야 틱톡 라이브 커머스의 발전 가능성에 연구

        염리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0719

        The sudden global epidemic has changed the economic structure and living structure of people all over the world. With the rapid arrival of the new media era, the development of short video and movie multimedia, the popularization of vertical-screen movies and vertical-screen short videos that have changed with user preferences, and the development of new fields in the new media era, in the social platform Among the e-commerce software, Douyin e-commerce is a large-traffic user platform popularized by short videos, creating a new vertical screen short video and a new development trend of vertical screen film and television. This article combines vertical screen movies and Douyin live streaming with goods. Conduct a comprehensive analysis of future developments. This is also a new development route for new user perspectives explored by short videos and film and television during the epidemic. The prevalence of mobile communication. There are all kinds of information acquisition channels in life: newspapers, magazines, film and television, the Internet, etc. There are countless information available. In such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people must adjust their visual response ability and speed up the movement of eyeballs. Speed, and accelerate the accumulation of visual experience, do their best to capture pictures and grasp information, which makes people start to pay attention to the "eyeball economy" and start to pursue fast and convenient information acquisition channels. Under this cultural background, the way people view information has also changed. It is no longer traditional contemplation and chewing, but fast browsing, scanning, and even knowledge clicks. At this point, the emergence of the mobile terminal conforms to the real needs of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Mobile communication breaks the time and space limitations of traditional communication methods and strengthens the interactivity of information dissemination.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Statistical Bulletin, in 2018, the net increase of mobile phone users reached 149 million, with a total of 1.57 billion. People<s reliance on mobile terminals has far exceeded that of PCs and tablets. In addition, mobile communication has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portable, anytime, and anywhere. Mobile communication has gradually become the most important communication method in today<s society. Vertical screen video is born in response to the trend. With the popularity of smartphones and 5G networks, mobile video has become the mainstream. Different from the aesthetic standard of traditional widescreen video, a large number of vertical screen videos have emerged in recent years. The rise of vertical screen video is an inevitable result of the widespread use of mobile phones. According to the Mobile Industry Overview Report released by MOVR, users keep their mobile phones in the vertical screen state for 94% of the time they use their phones. When users use mobile phones to watch traditional wide-screen videos, the aspect ratio format of wide-screen videos does not match the mobile phone screen format, and thus cannot obtain the best viewing experience. In contrast, the vertical screen video is more in line with the format and size of the mobile phone screen, and is a more comfortable viewing method. In addition, the vertical screen format also conforms to the user<s vertical holding habits. Vertical holding is a long-standing physiological habit of human beings. Whether in the ancient Stone Age or in the era of character printing, people insisted on using tools with vertical holding. The original design of the mobile phone was based on this principle, and the vertical screen video and vertical screen movie have also been quickly accepted by the public. 전 세계에 돌발 사태가 발생해 전 세계 사람들의 경제구조, 생활구조가 바뀌었다. 뉴미디어 시대에 따른 쇼트 비디오 영화 멀티미디어의 발전 영역은 사용자의 사용 선호에 따라 세로화면 영상 및 세로화면 영화의 발전으로 변화하고 있다. 뉴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영역으로 나타난 소셜 플랫폼의 e커머스 소프트웨어 틱톡은 짧은 동영상으로 보급되는 하나의 큰 트래픽 사용자 플랫폼을 만들어내며 세로화면 영상의 새로운 발전을 가속화 하는 추세다. 중국에서는 세로화면 영화와 틱톡 라이브 e커머스 분야를 연계하여 향후 발전을 위한 종합적인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모바일 통신의 보급으로 일상생활에는 모든 종류의 정보 획득 채널이 있다. 신문, 잡지, 영화와 텔레비전, 인터넷 등. 이용할 수 있는 정보는 셀 수 없이 많다. 이렇게 많은 양의 정보에서, 사람들은 그들의 시각적 반응 능력을 조절하고 안구의 움직임을 가속화 해야 한다. 속도감, 시각적 경험의 축적을 가속화하고, 사진 캡처와 정보 파악에 최선을 다해 안구 경제에 주목하고, 빠르고 편리한 정보 습득 채널을 추구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문화적 배경 아래, 사람들이 정보를 보는 방식도 바뀌었다. 그것은 더 이상 전통적인 사색과 읽는 것이 아니라 빠른 브라우징, 스캔, 심지어 한 번의 클릭이다. 이 시점에서, 이동 단말기의 출현은 급변하는 사회의 진정한 요구에 부합한다. 이동통신은 전통적인 통신 방식의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깨고 정보 보급의 상호작용성을 강화한다. 통신업계에 따르면 2018년 한 해 동안 휴대전화 가입자는 1억4900만 가구 급증해 총 15억7000만 가구로 집계됐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의존도가 PC와 태블릿PC를 훨씬 넘어선 데다 모바일 기기 자체가 휴대,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특성을 갖추고 있어 모바일 기기가 요즘 사회의 가장 중요한 정보전달 방식이 되고 있다. 트렌드에 맞춰 수직 화면 영상이 탄생한다. 스마트폰과 5G 네트워크의 인기와 함께, 모바일 비디오가 주류가 되었다. 전통적인 와이드스크린 비디오의 미적 기준과 달리,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수의 수직 스크린 비디오가 등장했다. 세로화면 동영상의 증가는 휴대전화의 광범위한 사용에 따른 불가피한 결과이다. MOVR이 발표한 모바일 산업 개요 보고서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시간의 94% 동안 휴대전화를 세로화면 상태로 유지한다. 사용자가 전통적인 와이드스크린 영상을 보기 위해 휴대전화를 사용할 경우 와이드스크린 동영상의 가로 세로 비율 형식이 휴대전화 화면 형식과 맞지 않아 최상의 시청 경험을 얻을 수 없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세로화면 비디오는 휴대전화 화면의 형식과 크기에 더 부합하고, 보다 편안한 보기 방법이다. 또 한 세로화면 형식은 사용자의 세로 고정 습관에도 부합한다. 수직 홀딩은 인간의 장기적인 생리학적 습관이다. 고대 석기 시대든, 문자 인쇄 시대든, 사람들은 수직 손잡이가 있는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휴대전화의 원래 디자인은 이러한 원칙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세로화면 비디오와 세로화면 영화도 대중들에게 빠르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세로형 쇼트폼 영상은 뉴미디어 플랫폼과 빈틈없이 녹아든다. 세로화면 짧은 동영상 틱톡 플랫폼과의 융합이 중요하며, 양질의 영상물이 필요하고 플랫폼이 추진력으로, 동영상의 창의적 콘텐츠, 표현 형태와 플랫폼 특징을 잘 융합해야 동영상 콘텐츠가 시장에 제대로 접목될 수 있다. 수직 스크린의 등장으로 중국 소셜 쇼트폼 영상 플랫폼인 <더우인>의 e커머스 쇼트 비디오 라이브 방송 분야도 수직 스크린 사용자를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플랫폼 중 하나다. e커머스 생중계 분야와 결합해 수직화면 단편영상의 적용과 수직화면 영화의 홍보가 우리에게 전통적인 영화 및 텔레비전 산업의 새로운 변화 경로를 제공한다. 향후 디지털 경제의 다양화 시대를 맞아 관객 간 거리 단축과 시청시간 단축을 통해 수직 단편 영상 시대부터 e커머스 생중계 분야를 통합해 나가겠다. 미래의 마이크로 영화, 수직 스크린 단편 비디오, 수직 스크린 영화는 모두 영화 산업의 미래 발전을 위한 새로운 출발점이 될 것이다.

      • 젠더 이미지 재구성에 대한 기호학적 해석 : 중국 현대 영화 속의 남성 이미지를 중심으로

        리칭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0719

        The past 20 years have witnessed a sharp increase in the consumption and economic strength of women in China. Correspondingly, in the consumer culture of China, the “gender power” of the female gaze has been gradually enhanced. Media content is the text made up of a variety of symbols reflecting social life. From the traditional point of view in Chinese society, the male gaz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construction of our real life into advertisements, dramas, films, and other media content. It is the symbolic expression that men “have the right to watch”, which demonstrates that men have always enjoyed gender power above women.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male gender images in Chinese modern films and movies from a semiotic perspective. Along with the enhancement of female gender power in Chinese society, the male gender image is now reconstructed from the female perspective. Reconstructed male characters in films, aside from traditional stereotypes, appear to be diverse and heterogeneous. Therefore, systematic academic analyses of male characters in the feminist film help supplement, expand, and enrich the dimensions of research on the cultural connotation of Chinese films and TV and also promote research on the male image. Secondly, in-depth interpretation of male characters popular among female audiences contributes to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audience demand and female psychology, especially to the understanding of the film-female-consumption relationship in the context of the age of consumption, thus enlightening the making of feminist film. In the end, “film is both a cultural text and a social practice; it creates the cultural environment in a positive response to the social status and needs, where many gender issues lie”. Male characters in feminist film show such new features that reflect not only the redefined male beauty and male identity but also (and more so) social and cultural change. The arrival of the era of consumption of male beauty is the result of female financial independence and greater emphasis on female aesthetic orientation. Male characters on-screen reflect female status. Therefore, through the semiotic research herein on male characters in Chinese feminism film, th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jointly created by mass media today are analyzed, on which basis the modern development of two gender groups in China is pondered for the reference of social practice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female audience-facing film series Tiny Times (2013~2015) to study the superficial structure, narrative, gender cultural code, and gender ideology of the diverse male characters reconstructed therein from the semiotic perspective. The main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symbols are the superficial structure of the male image made up of in modern Chinese films?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narrative structure to shape the male image in modern Chinese films? [Research Question 3] what are the hidden gender and cultural codes behind the male characters in modern Chinese films? [Research Question 4] what is the corresponding myth/ ideology of the male symbols in modern Chinese films? To begin with, in the semiotic analysis of the superficial structure of male characters reconstructed in the films in question (appearance: hairstyle, costume, facial expression, etc./ character: behavior, eye contact, etc.), from the perspective of visual rhetoric, the “rhetorical triangle” is introduced to summarize the male visual symbols in the Tiny Times series. After stripping off the rhetoric of field-of-view and camera motion, color and light, and montage layer by layer, the extension, and intention of the character symbols are dissected based on Roland Barthes’ “double frames of signification”. In this way, we are able to look into the structure of signification by moving images and the generation of the “soft” image of male visual symbols. Secondly, in the semantic dimension, the significance of explicit images/ symbols in the narrative, their meaning through communication, and the targeted connotation are studied. Throughout the film series, based on such studies of specific behavioral patterns of the characters, we can easily find the motif meaning and ideological implication of the text: boys and girls in the film series, regardless of their gender and family background, are disciplined by traditional morals and the inherent ideology in the adult world, therefore feeling lonely, helpless and confused. The series is focused on the growth of young individuals and their youth memories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new era. There is no lack of “humble” love or friendship in the narrative to enrich the plot and describe their respective struggle out of the inherent ideology to realize the dream of their life. The in-depth narrative of the series focuses on their individualized rebellion against the inherent ideology, or mainstream culture, and the attempts to digest power and authority through the “revelry” exuded from the text. In addition, different from the binary logic in most gender relations represented in previous films and TV series, the Tiny Times series on the one hand contends with traditional gender logic with its particular male narrative symbols to reject the established gender framework and highlight the diversity and heterogeneity within gender relations; on the other hand, the series, on the whole, embodies the innovative strategy of subculture’s moderate irony to mainstream culture. Therefore, in terms of the function of male characters in films, the male image representing masculinity and rationality is declining; softened male narrative symbols that meet the demand of consumption for satisfaction are gaining greater popularity. Such narrative symbols are built on four dimensions: the emergence of diverse male qualities, the “unmarked beauty” of men, the plot of heroes being saved, and the gaze over the male body. Thirdly, number three on the research issue list is the gender and cultural codes of male images in contemporary Chinese films. As symbolic practices that leverage visualization to generate “persuasive discourse”, films produce rhetorical visual symbols to persuade and even control the audience’s values and practical behaviors, so that they can be persuaded into accepting the contents these films are trying to disseminate. As mentioned above, Tiny Times as a film series has refined the “image” of the male characters as “gloomy and gentle” through the diversified rhetoric of male visual symbols, while the primary function of this image, as the “ideal signifier”, is to forge an identity relatable to the perspectives of the audience and the creator (in terms of image utilized, lifestyle, spirituality, and consciousness), so that the audience (especially women) can obtain sensory and mental satisfaction, and that the soft male image in the film will be accepted, recognized and consumed by the audience.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the key to the “persuasiveness” of visual images that possess a “profound discourse of persuasive significance” in the film lies in the unspoken “appropriate premises” implied between the creator and the audience based on cultural habits. As the “yardstick frame” for creating meaning, it often regulates the internal structure and meaning of cultural texts from its deepest roots. This study found that in Tiny Times, the “persuasive premise”, which is based on the “reconstruction of norms reflecting gender temperament” of the soft male image, includes the following propositions: 1. men should be gentle, thin, inoffensive, need protection, and yearn for women’s protection; 2. men should be emotionally sensitive, empathetic, and good at expressing their emotions; 3. men should be androgynous, showing that femininity is embedded in their personalities and behaviors; 4. men should take the initiative to do the housework and bear family responsibilities to meet the needs of modern women in the workplace. Secondly, in Tiny Times, the “persuasive premise” based on the “expression of emotions and desires” of the soft male image contains the following aspects: 1. men should be willing and able to take care of and accompany their partners; 2. men should be ancillary, obedient, clingy, and dependent; 3. men should know how to appreciate women including admiring and adoring them; 4. men should tolerate and listen to women, so that women can release their pent-up emotions, express appeals, take refuge in, and take comfort from; 5. men should be passive, conservative, and loyal to love and marriage in relationships; 6. men should be sexy and charming. Finally, in the film series Tiny Times, the persuasive premises based on the principle of “constructing self-values and displaying individuality” based on the soft male image have the following points: 1. men should have the ideal appearance and physical perfection; 2. men should pay attention to cultivate their tastes in life, have dress sense, beauty treatments, go to gyms, and follow fashion; 3. men should have wealth, power and high social rank. To sum up, the emergence of more “feminine” men in movies is essentially blurring gender distinctions, with emphasis on gender equality, while opposing the so-called standardization of masculinity. It manifests women’s reflections on the traditional gender temperament standards, whereby “gender temperament is divided into binary oppositions” and “either-or gender temperament”, and the appeal to reconstruct the new gender role norms on this basis. The soft male image formed in the film satisfies women’s gender imagination of male images and meets the demands of modern women in many aspects such as emotion, family, and self-field. This explains why this kind of feminine-highlighted image is well received among women and widely popular in contemporary Chinese movies and mass media. In modern Chinese films, especially those facing the female audience, male characters are shaped to be beautiful, gentle, kind, and wealthy elites. Male characters reconstructed from the female perspective to cater to female audiences are also a type of cultural products. Starting from this idea, the author further discusses the reasons behind the aesthetic turn towards the softened male image, especially the emphasis on their beautiful “faces” in films like Tiny Time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male image. Referring to different theories, the nature of “soft” male symbols in Tiny Times is analyzed in an all-around manner. In the modern cultural context with blended visual culture and consumer culture, the mirror image of the body is of a strong flavor of commercial ideology. Aesthetic standards are checked by economic benefits. “The visual aesthetic state of our body, as a commodity, is inevitably subject to the consumption mechanism”. Therefore, as the “she-economy” era arrived, the soft male image in TV and films can better meet the emotional appeals of female visual consumption. Secondly, the significance of the male body is expanded from purely aesthetic to consumptive, which gives birth to the physical capital effect. The introduction of the “soft” implication further expands the characterization of consumption and gives higher consumption value to representations of a male body. Thirdly, male models (real-life idols) in the visual cultural context and the public admiration, imitation, and pursuit of “softer” body image have promoted and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soft” male image structure. Through the consumption of the visual symbolic value of men, women show their difference from others and find their own value pursuit, which in turn promotes the formation of diversified aesthetic standards. “Soft” male image is the rebellion against traditional culture, which reflects the guidance effect of consumption culture on the public, and its reconstruction of the gender implications of the male image in Chinese society: the rejection of the traditional autocratic gender ideology and pursuit of egalitarian ideology. These become the mythical factors of gender models that men pursue. In the end, it is also noticed during the research process that, in 2012-2015 when the Tiny Times series was planned, the media environment experienced drastic changes; media development-driven cultural symbiosis and the turn in visual aesthetics had a substantial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softness aesthetics for male characters in the film series. We could call the birth of soft male characters in Tiny Times a conspiracy of new media technology and the society of the spectacle that is highly valued in visual representation, by which we may also get a glimpse of the crux of such soft image in the current network TV and film market. In the meantime, the male image in TV and film text is more than just a cultural phenomenon, but also a window for our understanding of male qualities and gender relations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Chinese society. Though soft male characters shaped in TV and films significantly enrich traditional gender implications, excessive force in this direction would cause a certain negative impact. Therefore, it is proposed here that we should call for the return of male beauty in personality and temperament while respecting the diversified aesthetic forms of male image. Also, the visual aesthetic quality of both genders should be improved for better development of male image shaping and cognition. 지난 20 여년간 중국에서 여권과 여성의 소비와 경제력을 획기적으로 증가해 왔다. 그에 따라 중국사회의 소비문화 속에서 여성의 시선(gaze)이 갖는 젠더 권력은 점차 강화되기 시작하였다. 미디어 콘텐츠는 한 사회의 시대적 삶은 반영하는 텍스트이며, 다양한 기호들로 구성되어 있다. 중국 사회에서 전통적 관점에서 보면, 현실의 삶을 광고, 드라마, 영화 등과 같은 미디어 콘텐츠로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남성의 시선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것은 전통적으로 남성의 젠더 권력이 여성의 젠더 권력보다 더 강했음을 반증해준다. 이 연구는 현대 중국사회에서 여성의 젠더 권력이 강화되면서, 여성의 시선에서 재구성되고 있는 남성의 젠더 이미지를 기호학적 관점에서 분석해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영화에서 재구성되는 남성 이미지는 전통적인 고정 관념의 이미지에 더하여 최근 다원화된 이질적인 모습으로 등장한다. 중국의 현대 영화 속에서 나타나는 남성의 이미지 속에는 여성의 젠더 권력과 시선이 작용하면서 새로운 차원의 남성 이미지가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이 주장하는 ‘여성 영화’는 새로운 남성 이미지와 성별 의식이 구축되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고 관찰할 만한 미디어 텍스트다. ‘여성 영화’ 속의 남성 이미지에 대한 체계적인 학술적 분석은 중국 영화 문화 의미 연구의 차원을 보완하고 확장하며 풍부하게 할 뿐만 아니라 남성 이미지 연구의 학술적 의미를 심화한다. 둘째, 중국은 이미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영화 관람객을 보유하고 있어 초기에 타깃 관객층을 포지셔닝해야 하고 더 세분화되게 분류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은 소비문화 가운데 간과할 수 없는 시장으로 ‘여성 영화’와 환상의 짝꿍이라고 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여성 영화’는 여성만의 영화작품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여성 관객들이 좋아하는 남성 캐릭터 이미지를 심도 있게 해석한다면 관객들의 수요와 여성의 심리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소비 시대라는 배경은 영화와 여성, 소비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 ‘여성 영화’의 창작 및 실천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 밖에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여성 영화’의 경우 상대적으로 부족한 점들이 있다. 예를 들면 남성 캐릭터에 대한 묘사가 깊지 않고 단순히 여성 관객의 환심을 사고 맹목적으로 기쁘게 하는 것이 때문에 남성 캐릭터 이미지의 설정을 기호화하고 평면화하며 심미적으로 협소화해야 한다.여성의 욕망에 대한 관찰, 성별 주제에 대한 인지, 영화 관람 시 여성의 심리적 동화 기제 등 모두 체계적이고 이론화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여성 영화’ 속의 남성 이미지와 기호학 이론 하에서 이루어진 ‘여성 영화’에 대한 색다른 첫 해석은 엄청난 현실적인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영화는 문화적 텍스트이면서 사회적 실천이기도 하다. 영화가 만들어 낸 문화적 환경은 사회 현황 및 수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며 많은 성별 관련 어젠다가 그중에 포함되어 있다”. ‘여성 영화’ 속의 남성 이미지가 보여주는 새로운 특징들은 남성의 아름다움과 남성의 신분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반영하였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사회 문화의 변화를 반영했다. 남성 소비 시대가 도래했다. 여성이 경제적으로 독립하면서 여성의 아름다움에 대한 추구를 더욱 중요시하게 되었다. 스크린 상의 남성 이미지는 여성의 현황을 반영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중국 ‘여성 영화’ 속의 남성 이미지에 관한 기호학 연구를 통해 현재 대중 매체가 구축한 사회 문화 현상을 분석하고 당대 중국 양성(两性) 집단의 발전 상태를 깊이 생각하고 사회적 현실을 관찰한다. 이 연구는 중국의 여성 관람객으로 타겟으로 제작한 <소시대> 영화 시리즈(2013~2015)에서 재구성된 다원적 남성 이미지를 기호학적 관점에서 표층구조, 네러티브 분석, 젠더 문화적 코드, 그리고 젠더 이데올로기를 찾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글의 주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중국 현대 영화속에서 남성 젠더 이미지는 어떠한 기호들로 그 표층구조를 구성하고 있는가? [연구문제2] 중국 현대 영화속에서 남성의 젠더 이미지를 구축 하고 있는 서사구조는 무엇인가? [연구문제3] 중국 현대 영화속의 남성이미지에 내포된 젠더 문화적 코드는 무엇인가? [연구문제4] 중국 현대 영화속에서 남성 이미지 기호들이 지향하고 있는 신화/이데올로기는 무엇인가? 첫째는 표층적 차원에서는 <소시대> 영화 시리즈에서의 남성 이미지(외모: 헤어스타일, 옷차림, 표정 등 / 성격: 행동, 눈빛 등 포함)를 분석하고, 영화 제작 차원의 표현 방식, 즉 장면 구성, 카메라 움직임, 색체, 빛, 화면 편집 등을 살펴보았다. 본절은 시각 수사의 각도에서 출발하여 “수사 삼각형”을 분석 구조로 삼아 <소시대> 시리즈 영화 중의 남성 시각 기호를 정리하고 인물 기호의 장면과 카메라 무빙 수사, 색채와 빛 수사, 동태 화면 편집 수사를 층층이 벗겨내고 롤랑 바르트의 “2차 의미 체계”와 결합시킨다. 그 외연과 의미를 분석하면 우리는 동태 영상의 표의 과정에 대한 구조 분석을 하고 남성 시각 기호인 “유연성” 이미지의 생성을 통찰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의미적 차원에서는 네러티브 전개 방식 및 의미전달 과정의 외연적 이미지/기호들의 의미와 이들이 지향하는 내연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전체 영화를 보면, 이런 캐릭터의 구체적인 행위 모델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그 안의 텍스트의 주적 의미와 사상적 의미를 발견하기 어렵지 않다. 영화속의 소년과 소녀는 성별, 생김새, 가정 배경이 어떻든 성인 세계에서 온 전통적인 규범과 고유 이데올로기의 교훈에 의해 무기력 방황과 혼란을 초래한다. 영화는 신 시대의 사회 문화 맥락에서 청춘 개인의 성장과 청춘 기억에 초점을 맞추고, 전체적인 내러티브는“비련”한 사랑이나 우정으로 전체 영화를 충실하게 함으로써 그들이 고유한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인생의 꿈을 실현하는 성장 과정을 서술한다. 영화의 심층 내러티브 시각은 모두 그들의 고유한 이데올로기나 주류 문화에 대한 개인화에 대한 반항과 저항에 중점을 둔다. 또한 “영화의 텍스트에 의해 드러난 '카니발'을 통해 권력과 권위를 해소하고, 우아함과 천박함, 정신과 육체의 위치를 반전시켜 전통적인 전체성의 전복”을 시도한다.더 나아가 영화는 청년 하위문화의 어휘를 사용하여, 즉 텍스트에 나타난 특정한 “카니발”로 주류 문화에 대한 적절한 반어법은 실현한다. 이 밖에도 기존의 다른 영화와 TV작품이 재현한 젠더 관계는 대부분 이분법적 논리를 가지고 있는 것과는 달리 <소시대> 영화 시리즈는 특정한 남성 내러티브 기호를 통해 전통적인 젠더 논리와 계속해서 대립하며 이를 통해 정해진 젠더 구조를 거부함과 동시에 젠더 관계의 내재적인 다원화된 이질성을 강조한다. 다른 한편으로 전체적인 전개에 있어 새로운 의미를 가진 청년 하위문화가 주류 문화에 대한 적당한 반어적 전략을 나타냈다. 따라서 우리는 영화가 남성 캐릭터의 기능 설정에 있어서 용감하고 이성적인 남성 이미지의 기호가 점점 쇠퇴하는 대신 쾌락 소비를 제공할 수 있는 유연성 있는 남성 내러티브 기호로 대체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런 내러티브 기호의 설정은 다원화된 남성의 기질의 배출, 남성의 “이상 항목 미감”(즉 표시성 미감)표현, 남성이 구조되는 줄거리, 남성의 신체 응시의 네가지 차원에서 구축된다. 세 번째는 본 연구의 세 번째 과제는 중국 현대 영화의 남성 이미지 젠더 문화 코드를 탐구하는 것이다. 영화는 주로 이미지를 수단으로 “설득적 언어” 생산을 하는 기호 실천으로서, 영화는 수사적인 시각적 기호의 생산을 통해 설득하며, 관객들의 가치관과 실천행위를 설득하고 통제함으로써 설득과 인식의 전달을 완성한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소시대> 시리즈는 남성 시각 기호에 대한 다원화된 수사적 방식으로 캐릭터의 그늘지고 부드러운 “이미지”를 만들어 냈다. 이러한 이미지는 “가장 이상적 시니피앙(significant)”로서 가장 중요한 역할은 바로 관객과 창작자의 시각에서 인정(이미지, 생활 방식, 정신과 의식 등 여러 측면에서 호소)을 구축하는 것이다. 관객(특히 여성)으로 하여금 감각부터 내면의 요구까지 만족시키고 관객으로 하여금 영화의 유연성 있는 남성 이미지를 받아들이고 인정하며 소비하게 한다. 하지만 영화해서 “설득적 의미의 심층적 언어”를 지닌 시각적 이미지의 “설득력”의 핵심은 창작자와 관객 사이에 문화적 습관을 기초하여 창작자와 관객 사이의 암묵적인 "적절한 전제(premises)"를 내포하는 것이라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의미를 창조하는 “표준 프레임”으로, 흔히 문화 텍스트의 내재적 구조와 의미를 근본적으로 규정하는 경우가 많다. 연구를 통해, 영화 <소시대> 시리즈에서 부드러운 남성 이미지의 ‘성별 기질 구현 규범 재건’을 준칙으로 하는 ‘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는 다음을 포함한다. 첫째, ‘남성은 성격이 부드럽고, 몸매가 날씬하고, 공격적이지 않으며, 보호를 필요로 하고, 여성의 보호를 갈망해야 한다’는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둘째,‘남성은 감정이 섬세하고, 감정을 중시하며, 감정 표현에 능숙해야 한다’는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셋째, ‘남성도 양성구유(双性同体)로 여성적 특질을 성격과 행동에 내포하고 있다’는 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넷째, ‘남성은 가정 일을 주동적으로 처리하고, 가정의 책임을 부담해 현대 여성의 직장 수요에 부합해야 한다’는 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다음 으로, 영화 <소시대> 시리즈에서 유연한 남성 이미지의 “감정과 욕망 표현”을 원칙으로 하는 “젠더 문화적 코드 ”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를 내포하고 있다; 첫째, “남성은 사랑하는 사람을 세심하게 돌보고 항상 동반한다”는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둘째, “남성은 여성에게 의지, 순종, 집착의 의존성을 나타낸다.”는 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셋째, “남성은 여성을 흠모하고 숭배하는 대상으로 감상할 줄 알아야 한다.”는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넷째, “남성은 경청하고 포용하기를 원하며 여성이 정서를 발산하고 표현하고 호소할 때 감정을 위로하는 대상으로 감정적 치유 기능을 가진다.”는 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다섯째, “남성은 양성 상호 작용에서 수동적이고 보수적이며 감정과 결혼에 충실해야 한다.”는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여섯째, “남성은 섹시하고 매력적이어야 한다”는 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마지막으로, <소시대> 영화 시리즈에서 유연한 남성 이미지의 “자기 가치관 구축, 개성 과시”를 원칙으로 하는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는 아래의 내용을 포함한다. 첫째, “남성은 이상적인 외모와 신체적 아름다움을 가져야 한다”는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둘째, “남성은 생활 품위, 옷차림, 미용, 헬스, 패션을 추구해야 한다”는 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셋째, “남성은 부와 권력, 탁월한 사회적 지위를 가져야 한다”는 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종합해 보자면, 영화 속 남성이 더 “여성화”되어 있는 건 본질적으로 성별의 구분을 모호하게 만드는 것이고, 양성평등을 강조하는 것이며, 소위 남성 기질의 규범화를 반대하는 것이라는 점을 발견했다. 이는 “이분법적인 표준으로 성별의 기질을 나누는 것”과 “양성의 기질을 상대적으로 배제하는 방식으로 정의하는 것” 등의 전통적인 성별 기질 표준에 대해 돌이켜 생각해 보고, 그것을 토대로 새로운 성별 역할 규범을 구성하자는 요구 사항이기도 하다. 영화 속에서 만들어진 부드러운 남성의 이미지는 남성 이미지에 대한 여성들의 성별 상상을 충족시켜 감정, 가정, 본인의 상황 등 여러 방면에서의 여성의 요구 사항에 일치한다. 이것이 여성적 특징을 가진 부드러운 남성 이미자가 여성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당대 중국 영화 및 대중 미디어에서 광범위하게 유행하는 원인이다. 중국의 현대 영화 중에서 특히 여성 관람객을 타겟으로 제작되는 영화들 속에서 나타나는 남성의 이미지들은 아름답고, 부드러우며, 친절하고, 엘리트이자 경제적으로 부유한 이미지들을 지향하고 있다. 여성 관람객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여성의 젠더 시선에서 재구성하는 영화 속의 남성들의 이미지는 하나의 문화 상품으로서 캐릭터이자 젠더 상품이기도 하다.그리고 <소시대>에 나타나는 여성의 시선에서 재구성된 남성 젠더의 이미지들 속에 내재된 현대 남성의 젠더 이데올로기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영화 속의 젠더 이미지는 그 시대의 젠더간 권력과 권력의 시선을 반영한다. 누구의 시선에서 젠더 이미지를 재구성하는 가는 미디어 콘텐츠에 나타나는 남성성과 여성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필자는 <소시대> 시리즈 영화에서 남성 이미지가 보여주는 유연성 트랜드를 바탕으로, 특히 전통적인 남성 이미지에 비해 “얼굴”의 미를 강조하는 심미적 전환에 대해 더욱 깊이 있게 분석하고 다양한 이론과 결합하여 <소시대> 영화 시리즈에서 ”유연한” 남성 캐릭터 기호의 본질을 전면적으로 분석한다. 즉, 현재 시각 문화와 소비 문화가 융합된 문화적 맥락에서 신체 미러링이 가지고 있는 상업 이데올로기는 상당히 강하고 심미적 기준은 경제적 이익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상품으로서의 신체가 어떠한 시각적 심미 상태를 나타내는지는 필연적으로 소비 메커니즘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여성의 사회 활동이 많아짐에 따라 여성과 관련된 경제 현상이 증가하는 시대를 뜻하는 타징지(她经济)에서, 첫째, 영화와 드라마 미디어에 나타난 유연성 있는 남성 이미지는 여성 시각 소비의 감정적 요구에 더욱 잘 부합될 수 있다. 둘째, 남성 신체는 단순한 미학에서 소비로 의미의 확장을 실현하고 신체 자본 효과를 탄생시켰다. “유연성” 함축의 개입으로 소비 표상이 계속 확대되어 남성 신체 표상으로 하여금 더욱 높은 소비가치를 가지게 했다. 셋째, 시각 문화 배경에서 남성 모델(현실 아이돌)과 일반 대중들이 “유연성” 신체 이미지에 대한 추앙, 모방과 추대는 “유연한” 남성 이미지 구조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강화시켰다. 유연한 남성 이미지는 전통에 대한 반항으로, 대중은 남성 이미지 기호의 가치에 대한 심미를 통해 남들과의 차별성을 나타내고, 가치관을 추구한다. 이는 나아가 다양한 심미 기준을 만들어내며, 이 현상의 이면에는 소비 문화가 이끄는 대중 심미가 숨겨져 있다.더나가 중국사회에서 새로운 남성의 이미지를 재구성하고, 그 의미를 부여하며, 궁극적으로 전통적인 권위주의적 젠더 이데올로기를 거부하며 평등주의적 이데올로기를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이 현대 중국 영화 속에서 재구성되고 있는 중국 남성의 젠더 이미지이며, 현대 사회의 남성들이 젠더 모델로 지향하는 신화적 요인으로 정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연구 과정에서 2012~2015년 <소시대>영화 시리즈 촬영 기간 중의 급변한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발전은 다중 문화의 공생과 시각적 미학이 <소시대> 영화 시리즈의 남성 유연성 시각적 심미 기준 형성에 무시할 수 없는 영향일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소시대> 영화 시리즈의 유연성 있는 남성 이미지의 생성은 시각적 표징이 크게 중시되는 경관 사회에서 뉴 미디어 기술 특성과 공모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현재 인터넷 영화와 드라마 시장에서 남성 이미지가 지나치게 유연해지는 문제점도 엿볼 수 있다. 동시에 영화와 드라마 텍스트 중의 남성 이미지는 문화적 현상일 뿐만 아니라 사회의 남성성에 대한 인식과 젠더 관계에 대한 통찰의 창이기도 하며, 동시에 중국의 사회, 역사, 문화의 표징이기도 하다. 비록 영화와 드라마 미디어가 재현한 유연성 있는 남성 이미지가 매우 풍부해지며 전통적인 젠더의 의미를 확장시켰지만 남성 이미지가 지나치게 유연해지면서 어느 정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필자는 남성 이미지의 다양한 심미 형태를 긍정하고 존중하는 동시에 남성 남성성의 아름다움의 복귀 요구를 제안한다. 또한 쌍방의 시각적 심미 소양을 향상시켜 남성 이미지의 조성과 인지가 더욱 발전적인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한다.

      • 영화 <고질라>의 창의적 역사와 테크놀로지에 대한 연구

        왕신위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19

        고질라 시리즈는 1954년 창안 이래 수십 년 동안 문화 분야와 기술 분야에서 큰 업적을 이뤘다.2014년부터 할리우드에서 고질라라는 이미지를 재창작하면서 이 괴수 이미지를 되살렸고, 일본 본토에서도 2016년 <신 고질라> 촬영이 진행돼 여러 가지 영예를 안았다.수십 년의 발전을 통해 고질라라는 고전영화는 문화콘텐츠와 특수효과기술 등에 적지 않은 변화를 가져왔다.이 영화들은 일본 특수 촬영 기술의 발전 흐름과 당대 할리우드 상업영화의 특수효과 기술의 발전 흐름을 어느 정도 대변하고 있다.고질라 시리즈는 일본의 수많은 특수 촬영 영화 중 가장 대표적인 작품으로 60여 년이 지나도 여전히 활기를 띤다.따라서 그 이면의 문화콘텐츠와 기술변화를 탐구함으로써 새로운 시대의 SF영화에 대한 힌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치있는 과제가 되고 있다. 이 글은 고질라 시리즈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통해 분석되며, 이러한 일련의 영화들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창의적 전환과 기술적 변화에 대한 탐색을 통해,이를 통해 고질라 시리즈의 전개 과정과 영상 표현, 기술 진보를 살펴본다.각 단계에서 나타나는 줄거리 변화와 기술 변화 등에 따라 시리즈가 얼마나 오래됐는지 다양한 각도에서 풀어낸다. 고질라 시리즈도 일본 전통 특수 촬영 영화의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로 괴수라는 이미지가 바뀔 때마다, 그리고 영화의 줄거리가 바뀔 때마다 시대적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질라 시리즈의 성장과 쇠락도 일본 사회의 변화 과정을 어느 정도 보여준다.이런 일련의 영화에 대한 연구와 분석을 통해 고질라라는 이미지에 대한 기술 총화는 공상과학영화의 발전 규율과 피할 수 없는 문제를 더 잘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its creation in 1954, the Godzilla film series has evolved and changed over the decades, with great achievements in both the cultural and technical fields.Since 2014, Hollywood has begun to recreate the image of Godzilla, revitalizing the classic monster image.Japan itself also conducted the filming of <Shin Godzilla> in 2016 and received several accolades. After decades of development, Godzilla, a classic movie, has undergone considerable changes in terms of cultural connotation and special effects technology, and to a certain extent represents the development trend of Japanese special effects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trend of contemporary Hollywood commercial film special effects technology. Among the many Tokusatsu in Japan, the "Godzilla" series is the most representative, and the series has survived more than 50 years and is still alive. Thus, it becomes a valuable topic to explore the cultural connotations and technological changes behind them, so as to provide some inspiration for the new era of science fiction films. This thesis analyzes some of the most representative works in the Godzilla film series and explores the creative shifts and technological changes that occurred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series, with the aim of exploring the development, visual expression and technological progress of the Godzilla film series. The series' enduring development process is dissected from multiple perspectives based on the plot changes and technical changes that occur in each stage of its films. Godzilla series of multifaceted film development is also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works in the Japanese traditional feature film, Godzilla the monster image of each transformation, as well as each change in the plot of the film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The growth and decline of the Godzilla film series also shows to some extent the process of change in Japanese society. Through the study and analysis of this series of films, the technical summary of the image of Godzilla can better access the development of science fiction films and the unavoidable problems.

      • 미국 슈퍼히어로 영화와 문화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왕즈쥔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0719

        1978년 첫 번째 정식 슈퍼히어로 영화 <슈퍼맨>이 미국에서 개봉해 큰 반향을 일으켰고, 지금까지 배트맨, 스파이더맨, 캡틴 아메리카, 원더우먼 등 만화에서 온 슈퍼히어로들이 잇따라 영화화됐다. 특히 2000년대 들어 슈퍼히어로 영화의 제작이 늘고 대중이 상승하면서 슈퍼히어로가 리그를 이뤄 싸우는 영화들이 등장하면서 슈퍼히어로 영화는 주목할 만한 장르가 됐고, 슈퍼히어로 영화의 세계화와 주목도 현재 문화현상으로 자리 잡았다. 슈퍼히어로 영화는 현대의 미국 신화로, 현재 미국의 문화와 시대적 특징을 표현하기에 가장 적합한 구성체다. 슈퍼히어로 영화는 흥행 성적과 흥행의 생명력뿐만 아니라 고정된 드라마 패턴과 주제의 내실을 인정받고 있다. 슈퍼히어로 영화는 반복적으로 제작되면서 자신만의 스타일과 미학적 특징을 갖게 된다. 슈퍼히어로 영화의 인기와 고정된 패러다임 사이에는 사회심리학적 요소가 짙게 깔려 있다. 오늘날 할리우드 슈퍼히어로 영화는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고 있지만, 할리우드 전의 비밀은 앞선 특수효과에 힘입은 바가 크지만 무엇보다 관객의 마음속 꿈과 불안을 서사로 바꾸는 능력이다. 구조적으로 본 논문은 4장으로 나뉘며, 서론과 결론을 포함해 모두 6개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되어 있다. 서론의 주요 내용은 본 논문의 연구 목적, 연구의 의미, 채용된 연구 방법, 국내외 학자들의 연구 현황, 연구의 필요성 등이다. 제2장에서는 슈퍼히어로 이미지의 기원과 슈퍼히어로 영화의 발전 과정을 거슬러 올라가 만화에서 영화로의 발전 원인을 분석한다. 슈퍼히어로 영화의 발전 단계를 초창기, 성숙기, 전환의 세 가지 다른 시기로 구분한다. 이 세 시기 중 미국 슈퍼히어로 영화의 시대적 배경과 영화적 특징을 분석해 슈퍼히어로 영화의 장르화 과정과 장르영화로서의 특징을 정리한다. 제3장에서는 미국 슈퍼히어로 영화의 문화적 원형을 주로 분석했다. 미국의 역사 단계별 슈퍼히어로 영화를 분석해 보면 슈퍼히어로의 문화적 원형은 대개 이데올로기에서 태어난 캐릭터, 신화에서 태어난 캐릭터, 과학기술을 통해 태어난 캐릭터가 있다. 미국은 다인종 다문화 이민 국가이기 때문에 최근 몇 년간 다문화에서 탄생한 슈퍼히어로들이 많이 등장하는데, 이러한 슈퍼히어로 캐릭터들은 최근 미국의 사회문화적 성향을 반영하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 슈퍼히어로 영화도 초기 슈퍼히어로의 완벽하고 정의로운 이미지를 바꿔가며 안티히어로 적이고 서민적인 영웅들이 등장하고 있는 것도 최근 몇 년간의 미국의 문화적 특징에 부합한다. 제3장에서는 미국 슈퍼히어로 영화의 콘텐츠 제작, 슈퍼히어로 이미지의 심볼화 구조, 그리고 이 심볼화 시스템이 시대별 영화 슈퍼히어로의 변화를 분석. 슈퍼히어로 영화 속 슈퍼히어로와 슈퍼빌런의 이원적 대립 서사 패턴을 연구하고 슈퍼히어로 영화의 구조를 히어로 투어 이론으로 분석. 슈퍼히어로 영화의 장르, 예술 스타일, 영화적 요소를 비교한 체계적 슈퍼히어로 영화의 차이점 분석. 제5장에서는 미국 슈퍼히어로 영화의 문화적 특징을 분석해 보면, 슈퍼히어로의 문화적 특징은 미국의 핵심문화와 미국 문화의 정체성을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슈퍼히어로 영화의 발전은 바로 미국 근대 사회 문화의 발전이다. 슈퍼히어로 영화의 문화 정신은 종교 정신, 오리엔탈리즘, 애국주의, 개인주의 등을 포괄하는 미국의 민족문화 정신이다. 슈퍼히어로 영화가 지속해서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슈퍼히어로 영화 특유의 팬덤 문화와도 관련이 깊다. 마지막 부분은 전문에 대한 결론적 총화로 미국 영화 속 슈퍼히어로 이미지의 발전, 변화 및 법칙, 의미에 대해 총결산한다. 미국 슈퍼히어로 영화의 장르화 발전에 대한 연구가 중국 영화 창작에 귀감과 경험을 제공하기를 바란다. The first official superhero movie "Superman" was released in the U. S. in 1978, and so far, superheroes from cartoons such as Batman, Spider-Man, Captain America, and Wonder Woman have been made into movies. In particular, as superhero movies increased in the 2000s and the public rose, superhero movies became a noteworthy genre, and the globalization and attention of superhero movies have become a cultural phenomenon. Superhero movies are contemporary American myths, and are now the best construct to express American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Superhero movies are recognized for their fixed drama patterns and themes, as well as box office success and vitality. Superhero movies are produced repeatedly and have their own style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Between the popularity of superhero movies and the fixed paradigm, social psychological elements are heavily laid. Today, Hollywood superhero movies are very successful around the world, but the secret of Hollywood games is the ability to turn dreams and anxieties in the audience into narratives, although they are largely attributed to the previous special effects. Structurally, this paper is divided into four chapters, and consists of six important components, including the introduction and conclusion. The main contents of the introduction are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paper, the meaning of the study, the research method employed, the research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scholars, and the need for research. Chapter 2 analyzes the origin of superhero images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superhero films and the causes of their development from cartoons to movies. The development stage of superhero movies is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periods: early stage, maturity stage, and transition. During these three periods, the genreization process of superhero movies and their characteristics as genre films are summarized by analyzing the background and cinematic characteristics of American superhero movies. Chapter 3 mainly analyzed the cultural archetypes of American superhero films. Analyzing superhero movies by history in the United States, the cultural archetypes of superheroes usually include characters born in ideology, characters born in myths, and characters born through science and technology. Since the United States is a multicultural immigrant country, many superheroes born from multiculturalism have appeared in recent years, and these superhero characters reflect the recent socio-cultural tendencies of the United States. In recent years, superhero movies have also changed the perfect and just image of early superheroes, and the emergence of anti-hero and common-class heroes is also in line with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United States in recent years. Chapter 3 analyzes the content production of American superhero movies, the symbolization structure of superhero images, and the changes in movie superheroes by era. Research the dual confrontation narrative pattern between superheroes and super villains in superhero movies and analyze the structure of superhero movies with the theory of hero tour. Analysis of differences in systematic superhero films comparing genre, art style, and cinematic elements of superhero films. Chapter 5 analyze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merican superhero movie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uperheroes reflect the core culture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identity of American culture. The development of superhero movies is the development of modern American social culture. The cultural spirit of superhero movies is an American national cultural spirit that encompasses religious spirit, orientalism, patriotism, and individualism.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superhero movies i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fandom culture unique to superhero movies. The last part summarizes the development, change, law, and meaning of superhero images in American films with a concluding summary of the full text. It is hoped that research on the developmt of genreizaton of American superhero films will provide a model and experience for Chinese film creation.

      • 게임(Game)적 요소가 영화 서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레디 플레이어 원>, <쥬만지:새로운 세계>를 중심으로

        비원원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0719

        With the development of CG technology, motion capture technology, facial motion capture technology, and other film production techniques, the production techniques of games and films have become more and more similar. The cultural industry is a commercial behavior centered on the production of entertainment content. The demand for capital appreciation has led film production companies and game development companies to expand their business scopes into each other's domains. Many large cultural production companies are already engaged in both film and game production activities.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industry has led to the convergence of content between films and games. Adaptations between games and films have become a new normal. In this context, films can no longer be defined as imitations and reproductions of the real world. The presentation of imaginary virtual worlds has become an important content of films. Focusing on the impact of game elements on film narratives, the purpose is to analyze how game elements enter films, which game elements can bring positive effects to film narratives, expand the expressive power, and enhance the attractiveness of films. Which game elements are not suitable for excessive use in films to avoid negative effects on the expressive power and attractiveness of films. This thesis analyzes the impact of game elements on film narratives from the perspectives of game studies and narrative studies. Firstly, it expands the scope of film research and promotes the integration of game research and film narrative research. Secondly, it adds depth to th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ames and films in the context of relatively few related studies in Korea. Thirdly, starting from specific cases, it summarizes relevant experiences in order to discover the rules of game elements entering film narratives, and thereby guide films to better absorb game elements and promote their own development. The first chapter of the thesis mainly reviews the current research status, and it is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mphasis on th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ames and films in the United States, Korea, and China. Korea has conducted more research on how films influence games, but there is less research on how games influence films. China pays attention to the two-way interaction between the two, and the United States has more research on how games influence films. Based on the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the starting point and objective of the research are established. The second chapter of the thesis analyzes game elements based on the game theory of Johan Huizinga and the current creation of video games. In particular, it analyzes the game rules, game space, and game visuals, and based on this, it provides preliminary explanations of the game rules in films, game space in films, and game visuals in films. In the third chapter of the thesis, the perspective is expanded to the entire film and game industry, and representative cases of game adaptations, films with game elements, and films with games as the main narrative content are selected for analysis. The overall process of the role of game elements in films is analyzed. The fourth and fifth chapters of the thesis analyze the role of game elements in the films "Ready Player One" and "Jumanji: Welcome to the Jungle". In the analysis process, it not only focuses on the role of game elements in each film but also answers specific external or internal performance requirements, revealing the differences in the use of game elements in these two films. In the sixth chapter of the thesis, the impact of game elements on film narratives is analyzed from both positive and negative perspectives. The thesis believes that the positive impact of game elements on film narratives is reflected in enriching narrative content, adapting narrative discourse, and transfo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ed films and audiences. The negative impact of game elements on film narratives includes making films excessively entertaining, weakening critical spirit, and losing humanity. Targeted suggestions are proposed, which emphasize the core of narrative, human care, and the expansion of the inter-narrative capability of films in order to better absorb beneficial elements of games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films. Finally, the thesis summarizes the shortcomings of the research, explains the direction of the next step of expansion, and clarifie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CG기술, 모션캡처기술, 표정 캡처 기술 등 영상 제작기술의 발달로 게임과 영화는 제작기술 분야에서 점점 더 결합하고 있으며, 문화산업은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생산을 핵심으로 하는 상업행위로서 자본증식의 수요로 영화제작 업체와 게임개발업체는 모두 상대방의 영역으로 경영범위를 넓히기 시작했고, 많은 대형 문화 생산업체들은 이미 영화와 게임 생산활동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기술과 산업의 융합은 영화와 게임이 콘텐츠 부분에서 서로 가까워지기 시작하도록 촉진했으며 게임과 영화의 상호 개편은 새 일상이 되었다. 이런 배경에서 영화는 단순히 현실 세계의 모방과 재현으로 한정되지 않고 상상 속의 가상 세계를 구현하는 것이 영화의 중요한 내용이 되었다. 게임 요소가 영화 서사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고, 게임 요소가 영화 서사에 어떻게 진입했는지, 게임 요소가 영화 서사에 진입한 후 어떤 것이 영화 서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영화의 표현력을 확장하고 영화의 매력을 높일 수 있는지 분석하는 것은 본 연구의 목적이다. 어떤 게임 요소가 영화의 표현력과 매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영화에서 과도하게 남용되는 것을 피해야 하는 것에 대한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게임학과 서사학의 관점에서 게임적 요소가 영화 서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하나는 영화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고 게임 연구와 영화 서사 연구의 결합을 촉진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한국 관련 연구가 비교적 적은 배경에서 게임과 영화의 상호 관계 연구의 깊이를 증가시키고, 세 번째는 구체적인 사례에서 시작하여 관련 경험을 총결산하여 게임적 요소가 영화 서사의 관련 법칙에 진입하여 영화가 게임 관련 요소를 더 잘 흡수하도록 지도하여 영화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것이다. 논문의 제1장은 주로 관련 연구 현황을 정리한 것으로 구성되었다. 미국, 한국, 중국이 게임과 영화의 상호관계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는 점이 매우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한국은 영화가 게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가 비교적 많고, 게임이 영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 성과는 적으며, 중국은 주로 영화와 게임의 쌍방향 상호작용에 주목하고 있으며, 미국은 게임이 영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성과가 비교적 많다는 것을 발견하고, 관련 문헌을 정리하는 기초 위에서 논문 연구의 출발점과 목표를 확립하였다. 제2장은 존 허이진하의 게임 이론과 현재 비디오 게임의 창작을 바탕으로 게임 요소를 분석하였다. 특히 게임 펀치 규칙, 게임 시공간, 게임 화면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영화 속 게임 규칙, 영화 속 게임 시공간, 영화 속 게임 화면 등 영화 속 게임의 요소를 초보적으로 해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영화와 게임 전반으로 시야를 넓히고 대표적인 게임 각색 영화, 게임 요소가 있는 영화, 게임을 주요 서사로 하는 영화를 선정해 영화 속에서 게임적 요소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전반적으로 분석하였다. 제4장과 제5장은 <레디 플레이어 원>, <쥬만지:새로운 세계> 두 가지 사례를 바탕으로 두 영화에서 게임적 요소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각 영화에서 게임적 요소가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주목하면서 구체적으로 어떤 외적 또는 내적 표현 요구 사항인지 답해 두 영화가 게임적 요소를 적용했을 때 차이를 보였다. 제6장은 영화에서 게임적 요소의 비판적 수용을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는 영화의 게임적 요소 수용 효과는 서사 내용을 풍부하게 하고, 서사 담화를 각색하며, 영화와 관객의 관계를 각색하는 세 가지 부분에서 나타났다. 영화의 게임적 요소에 대한 비판은 과도한 오락화, 비판 정신 약화, 인문학적 소멸의 세 가지 부분이 포함되며, 영화가 게임의 유익한 성분을 더 잘 흡수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서사를 핵심으로 하고 인문학적 배려를 중시하며, 영화의 상호작용 서사 능력을 확장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마지막으로 연구의 단점을 요약하고 연구의 다음 확장 방향을 설명하고 연구의 시사점을 명확히 제시하였다.

      • 실화 소재 영화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연구 : 영화 <나는 약신이 아니다(我不是药神)>를 중심으로

        리주오란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0719

        So far, the theory of film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ed. After the 1940s, the formalism that emphasizes the difference between film and reality has been challenged. The film theory of realism that emphasizes the unity of film and reality has gradually stepped onto the stage of history. The connection between film and real society is further strengthened. Movies adapted from real events not only reflect social phenomena through artistic means, but also influence peoples cognition of society and even social psychology through artistic means. The tenacity of facing the society stems from suffering. This type of film has been quite eye-catching in film creation in recent years, and has even become a "magic weapon" for film awards at major film festivals. Films adapted from real events pay more attention to the current society, and the creative content of the film truly reproduces the conditions of modern society and shows the true feelings of the people living in this historical period. But this type of film is not a historical documentary, it is not completely true, it contains the authors attitude and feelings about real life, and provides a window for the people to vent their emotions. The events of the film adapted from real events are real, which enhances the credibility and appeal of the film. The topical nature of the event also prompted the film to have a high degree of attention before it was released and its spread afterwards, which narrowed the distance between the film and reality. The concepts and behaviors in the movie will have an impact on the audiences activities in real life and have the effect of soci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more than 90% of viewers will remember that they have watched similar movies when they face similar social events. At the same time, nearly 60% of the audience said that "this type of movie will affect their views on similar social events." It can be seen that the transmission and influence of the concept and content of the movie are still very strong for the aud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aracteristics of movies adapted from real events, the function of this type of film to reflect reality and expose real problem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healthy development of society. From the audience group of movies adapted from real events, this type of film has a strong Influence and enlightenment. Most of the young people in the movie-watching crowd have been fully developed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at a stage of rapid maturity and development, and they are extremely susceptible to external influences. As movies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entertainment life of this group of people, the content of the film, the values ​​it conveys, and the social phenomena it displays will inevitably have an important impact on this group of people. "Im not afraid of being moved by the story, Im afraid of adapting it based on real ev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movie itself make it play a huge role in social education. Movies adapted from real events will have a certain topicality due to their own subject matter, and once they are broadcast, they can easily trigger social discussions on such topics.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blowout development trend. In 2003, the film "Silmido", directed by Kang Yousuk based on the "Silmi Island Riot", was screened with more than 10 million viewers in 58 days. It was the first film in Korean film history to have more than 10 million viewers. Since then, various types of movies adapted from real events and have greater social influence have emerged in an endless stream. Their types cover almost all aspects of society. Many sensational social focus news have been put on the big screen and won good box office. . For example, "The Melting Pot" in 2011. Basically, the hot social events that have occurred in South Korea in recent years can be echoed in Korean movies, and the attendance rate is very good every time it is released. Among them, "The Melting Pot" even promoted the introduction and amendment of a series of laws on the protection of minors by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which effectively promoted the advancement of the Korean legal system and the protection of minors; the movie "Dear", which talks about human trafficking, allows children to be trafficked and human traffickers. The topic of winning women has entered peoples field of vision, which has caused more people to pay attention to the social problem of child trafficking, and aroused peoples thinking about this problem. This also makes the adaptation of movies based on real events receive more attention. 실제 사건을 원작으로 한 영화는 자체적인 소재로 화제성을 띠기 때문에 방영 직후 사회적 물의를 빚기 쉽고, 최근 중국에서 폭발적 발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2018년 7월 5일 영화 <나는 약신이 아니다>가 개봉해 빠른 속도로 입소문과 흥행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 2015년 ‘루용 사건’을 원작으로 한 이 영화는 중국 내 항암제 고가의 민생현황을 직접 짚어봤다. 신문 매체와 셀프 미디어 사이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영화의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한편으로, 그 상호작용은 영화의 좋은 평판 확산을 가속화시켰고 영화의 박스 오피스를 열흘 만에 20억을 넘어설 수 있게 했다. 한편, 영화에 반영된 실제 주제와 가치 딜레마는 매체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전달된다. 암 치료제의 높은 가격, 루용의 경우, 그리고 의학 개혁과 같은 민감한 주제들이 빠르게 논의의 인기 있는 주제가 되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언론 의제의 상호작용에 의해 촉진된 여론은 국가의 높은 수준의 관심을 끌었다. 리커창 총리는 영화 나는 의신이 아니다에 대한 지시를 내리고 항암제 가격 인하와 공급 보장 등 관련 대책의 조속한 시행을 관계부처에 요청했다. 본 논문은 영화 <나는 약신이 아니다>를 중심으로 한 진실사건에 기초한 영화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실화 소재 사건을 영화화한 <나는 약신이 아니다>의 각색책략, 서사논리, 여론 확산과 사회 여론도달 능력, 실화 소재 사건을 영화화한 예술적 성향 등을 분석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은 연구의 목적과 범위를 밝히고, 실제 사건을 영화화한 원기와 사회적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의 내용을 개괄하여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제2장은 실화사건의 영화화를 체계적으로 요약하여 실화사건의 발생 및 전개과정을 정리하고, 중한의 실화사건을 영화화한 동인과 조건을 분석하여 실화사건의 영화와 사회의 양방향 역할을 찾아냄으로써 후편의 장을 마련하였다.  제3장은 실제 사건을 영화화한 <나는 약신이 아니다>의 각색 전략을 자세히 분석해 실화 사례의 선택, 기존 사건 장르의 틀을 벗어나는 고유의 패턴, 실제 사건 영화의 각색 위험 및 문제 회피 각도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제4장은 실화 소재 사건을 영화화한 <나는 약신이 아니다>의 서사 논리를 다차원 현실 공간의 선택, 다중 서사의 구현, 다양한 인물의 응집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제5장은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나는 약신이 아니다>의 여론 확산과 사회 여론 향배력을 분석했다. 영화는 실화 소재 사건을 영화화한 여론 확산 과정을 통해 언론의 재전파 및 여론 유도 메커니즘, 여론 유도 효력 및 결과의 세 가지 측면을 면밀하게 분석했다. 제6장은 실제 사건을 영화화한 예술적 성향을 요약하고 휴머니즘적 감정의 테마 표현, 캐릭터 이미지의 양면 형성, 다양한 표현 스타일을 분석한다. 제7장은 총화 부분에서 본 논문의 연구에 대해 개괄적인 총화를 가하는 토대에서도 본 연구의 한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한·중 청춘 영화 비교 연구 : 청소년기(13세-19세)의 교육적 영향을 중심으로

        손어휘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0719

        영화는 현재 가장 많은 관객을 보유하고 있는 예술 형식으로 창작자의 삶에 대한 인식 및 평가가 배어 있으며 영화는 하나의 문화 산업으로 매우 큰 문화적 영향력을 지니고 있다. 청춘 영화는 영화 장르의 하나로 문화적 특징과 풍부한 교육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장르의 영화는 청소년을 주인공으로 하며 영화에는 강렬한 교육적 의의와 진보적이며 사상적인 특징을 갖는다. 중점적으로 청소년 성장기의 사회적 문제, 가정 문제, 정서의 문제 등등을 다루고 있다. 이것은 한중 양국의 청춘 영화를 통해 그 중 독특한 지역성과 시대성 및 정치성을 가지며 청소년의 성장에 꼭 필요한 부분이다. 극 중 인물의 언어, 행위 및 사상은 전체 사회, 특히 주인공의 의지와 생활 태도, 행위 방식, 인격 조형 등 방면에서 관객들에게 매우 큰 영향을 준다. 청춘 영화는 하나의 전형적인 장르 영화로 주류 문화와 사회의식을 홍보하는 임무를 맡고 있으며 교육과 떼어낼 수 없는 매개체이다. 이것은 청소년의 감정을 자극하고 청소년의 인격, 나아가 가정, 학교, 사회사상 정치 교육에 관하여 일종의 보완을 해주기도 한다. 본문은 한중 양국의 우수한 청춘 주제 영화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주제, 공간 서사, 창작 환경 등을 비교하여 한중 청춘 영화가 청소년에 주는 교육적 의의와 영향을 연구하고 각각의 특이성을 분석하여 후속 연구의 참고가 되고자 한다. 근래 중국 영화는 매우 빠른 발전기에 진입했다. 청춘 영화는 이미 현재 중국 영화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상업 영화의 장르 중 하나가 되었으며 광범위한 관객 기반과 객관적 흥행 수익을 가지고 있다. 청춘 영화의 영향력은 매우 크고 이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높으며 기대치는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경제 체제 개혁의 지속적인 심화로 인해 영화 산업이 나날이 발전하면서 청춘 영화 역시 코미디, 멜로, 범죄 등 다양한 요소의 영화 장르가 섞이게 되었다. 그러나 전통문화와 사회 발전의 중심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청춘 영화의 발전은 충분한 상태가 아니고 뚜렷한 맥락이나 완성된 체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한국 영화는 아시아 영화의 선두주자로, 청춘 영화는 90년대 빠르게 발전하였을 뿐 아니라 아시아 영화시장을 신속히 점령하였다. 한국 청춘 영화는 독특한 스타일로 인해 국내외 관객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으며 아시아 영화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한중 양국의 영화는 매우 밀접하고 복잡한 관계에 놓여있다. 물론 최근의 한국 범죄, 사회 소재 및 가정 윤리 소재 영화에 대한 관심도는 해가 갈수록 높아지는 추세이지만, 중국 청춘 영화에 대한 한국 영화의 영향력은 지대하고 참조가 될 뿐 아니라 매우 높은 연구 가치를 지닌다. 이와 동시에 현재 한국 영화 시장에서는 범죄, 폭력 등을 주제로 한 영화의 영향으로 청춘 영화에 대한 관심이 지속해서 하락하고 있다. 이러한 양국 영화시장의 현황을 양국 청춘 영화는 어떻게 시대의 요구에 부합하면서, 청소년에 대해 청춘 영화가 지닌 의의와 영향력을 신장하면서, 한중 양국 청춘 영화의 관심도 등의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 본문은 한중 양국의 청춘 영화가 지니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한중 청춘 영화의 교육적 의의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면 본문은 크게 7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1장은 서론으로, 연구 목적과 필요성, 연구 현황 및 연구 방향과 방법을 논술한다. 제2장은 이전 세대가 청춘 영화에 대해 확립한 개념을 총정리하고, 이것을 기반으로 청춘 영화에 대한 이해를 더하는 동시에 영화 역사의 각도에서 한중 청춘 영화의 발전 과정을 대략적으로 정리한다. 제3장은 성장 주제, 감정 주제, 시대 주제, 격려 주제 등 양국의 청춘 영화가 갖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서술하고 중국 청춘 영화의 부족한 점을 찾는다. 중국 청춘영화의 주제가 낡고 다각적 시각적 전환이 부족하며 소비 청춘의 출현, 중국의 성교육 부재 등을 총결산한다. 제4장은 양국 공간 서술의 표현에서 한중 양국 청춘 영화의 공간 서사적 특징을 분석한다. 한국과 중국의 청춘영화에 대한 공간서사 연구로 서로 다른 공간의 표현 의미를 분석한다, 그리고 청소년들의 문제점과 갈등이 있다. 제5장은 한중 양국의 영화 정책, 영화 콘텐츠와 제작 수준, 상업적 운용 방식과 관람 시장의 비교 분석으로 한중 양국 영화의 창작 환경에 존재하는 차이점을 알아보고 청춘 영화의 관람 연령대를 정리하면서 청소년에 주는 영향과 교육적 의의를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제6장은 중점적으로 도덕 교육, 애국주의 교육, 인격 교육 등 청춘 영화가 청소년에 지니는 교육적 의의를 알아본다. 제7장은 한중 양국 청소년 성교육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청춘 영화가 양국 청소년의 성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 또한, 청춘 영화가 청소년의 심리적 건강 상태 및 도덕 관념, 윤리 관념, 직업 관념 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As the art form with the greatest audience at present, the film permeates the artists knowledge and evaluation of life, and the film has great cultural influence as a cultural industry.As one of the subtypes in the film, the film has significant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rich educational connotation.This kind of film is dominated by teenagers, and it has strong educational meaning, positive attitude, and ideological progress.The focus is on social problems, family problems, and emotional problems of adolescents during their growing years.Both Chinese and Korean youth films have their own unique regional, contemporary and political character, and are indispensable to the growth of young people.The words, actions and thoughts of characters in the play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audience, especially the will, attitude, behavior and personality of the protagonist. As a typical genre film, it is responsible for promoting the mainstream culture and social consciousness and is an indivisible carrier of education. It not only inspires the feelings of young people and creates the personality of young people, it is also a complement to the education of family, school and social thought and politics. This paper studie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influence of Korean youth films on young people by analyzing thematic themes, spatial narratives and creative environment. Chinese films have entered a period of rapid development in recent years. Young films have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mercial films in the Chinese film market, with a broad audience base and considerable box office revenue. The influence and focus of youth films have increased, and expectations have increased. With the deepening of the reform of Chinas economic structure and the evolution of the film industry, young films have also been mixed with comedy, love and crime.a genre of movies with many elements. However, due to the problems of traditional culture and social development, the development of youth films is not enough, and there is no very clear vein and complete system. South Korean films, the best of Asian films, developed rapidly in the 1990s and occupied the Asian film market.Korean youth films have their own unique style that is loved by audiences both at home and abroad, and are unique in Asian films.Chinese and Korean films have many connections. Despite the increasing diversity of Korean films about crime, social and family ethics in recent years, Korean films have become more and more popular in China. The impact of the film is still far-reaching, and has a high value for reference and research. Meanwhile, in the current Korean film market, youth films, which are influenced by themes such as crime violence, face a downward trend in attention. With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film market in both countries, how can the two countries be allowed to compete? Young films in China are better suited to the needs of the times; how to enhanc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influence of youth films to young people; how to improve the focus of youth films in both China and South Korea; and these problems remain to be solved. This paper analyz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hina and Korea in youth films, and analyse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hinese and Korean youth films. In this paper, the author summarizes the definition of youth film in the past and gives the understanding of youth film in this paper, and gives a general summary of the development course of Chinese and Korean youth film from the angle of film history.This paper analyzes the spatial narratives of youth films in China and South Korea from the space narration of the two countries, and expounds the expression meaning of different spaces through the spatial narratives of youth films in China and South Korea. and problems and conflicts in different spatial narratives. This chapter focuses on moral education, patriotism education, personality education, etc.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ack of sex education between Chinese and Korean teenagers, this paper expounds the influence of youth movies on the sexual education of young people in both countries, and the influence of youth films on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and their moral, ethical and professional vie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