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페인어 스마트러닝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 AI/AR/VR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스페인어 학습법

        이재원 단국대학교 대학원(천) 2017 국내석사

        RANK : 248735

        스마트러닝은 스마트폰, 태블릿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이 학습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한국의 스페인어 교육은 현장기반의 교육으로 진행되어 전통적인 교육 방식인 면대면 강의로 이루어졌으나, 급속히 발전하는 스마트러닝 교육환경과 기술적인 도약에 발맞추어 스페인어 교육에 있어서도 새로운 변화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러닝은 성인이 되어 스페인어를 접하거나 스페인어 구사능력과 학업성적 사이에 커다란 괴리를 보이고 있는 대한민국의 학습자들에게 효율적인 학습방법이 될 것이며 미래의 스페인어 교육환경에 획기적인 변화를 불러일으킬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러닝에 대한 연구와 함께 AI, AR, VR을 이용하여 스페인어를 학습하는 차세대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러닝의 흐름과 최신 학습 동향에 대한 조사와 스페인어를 학습하는 학습자들의 스마트러닝에 대한 인식과 수요를 분석하였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차세대 학습 기법을 접목한 새로운 스페인어 학습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Smart learning has the advantages of being able to learn without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by using smart devices like smartphones, tablet PCs or wearable devices. Up till now, Spanish language education in Korea has been conducted through face to face classes – a very traditional education method. However, considering the fast-changing smart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a new change might be required in Spanish language education as well. Smart learning would be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for Korean learners who either have started learning Spanish as adults or have big gaps between their Spanish abilities and their grades. It is also expected to bring a groundbreaking change to Spanish language education environment in future. This paper intends to conduct the next generation learning method for Spanish by using AI, AR, and VR, together with a research on smart learning. For this purpose, the development, as well as the most recent trend of smart learning, were investigated, and the perception towards and the need for smart learning by Spanish language learner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a new Spanish language learning method combined with the next generation learning technique is proposed.

      • 스페인어 재음절화 인지 분석 : 변별 자질로서의 발화 길이와 양음절성 논의를 중심으로

        김태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35

        본 논문은 스페인어 재음절화음이 첫소리와 동일하다는 완전 재음절화 가설에 의문을 제기하며, 재음절화음의 성질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양음절적 분절음은 단일 음절에 소속된 분절음과와 다른 조음 동작으로 발화되며 주로 발화 길이에서 음향적으로 차이를 보인다. 가짜 겹자음은 두 분절음으로 구성되어 있어, 양음절적 분절음 및 첫소리와 다양한 청각 단서로써 구분된다. 재음절화음과 첫소리의 가장 큰 음향적 차이는 발화 길이이므로, 재음절화음이 양음절적일 것이라 가정하였다. 나아가, 가짜 겹자음은 두 음운 맥락과 발화 길이를 포함한 다른 음향적 자질로써 구분될 것이라 가정하였다. 실증적 근거를 얻기 위해 청취 실험을 설계 및 진행하였다. 실험 문장은 대상 분절음의 음운 맥락이 재음절화음, 첫소리, 가짜 겹자음으로만 달라 동음처럼 보이도록 설계하였다. 청취 실험에 앞서 스페인어 원어민 화자의 발화 데이터를 수집하였는데, 재음절화음, 첫소리, 가짜 겹자음 순으로 길게 발화되었다. 따라서 발화 길이의 차이로써 세 음운 맥락이 서로 구분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또한 재음절화음과 첫소리는 발화 길이로 구분되므로 재음절화음의 발화 길이를 조정하면 첫소리로, 첫소리의 발화 길이를 조정하면 재음절화음으로 인지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하였다. 반면 가짜 겹자음은 발화 길이 외의 청각 단서를 드러내므로 발화 길이를 조정해도 재음절화음이나 첫소리로 인지되기 어려울 것이라 예상하였다. 청취 실험에서는 스페인어 원어민 화자들이 발화 길이 차이로써 세 음운 맥락을 구분할 수 있는지와 발화 길이를 PSOLA로 조정하였을 때 다른 음운 맥락으로 인지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재음절화음은 첫소리와 가짜 겹자음의 발화 길이만큼 늘렸다. 첫소리는 재음절화음 길이만큼 줄이고, 가짜 겹자음 길이만큼 늘렸다. 가짜 겹자음은 첫소리와 재음절화음 길이만큼 단축하였다. 청취 실험에 참여한 스페인어 원어민 화자들은 원본 음성과 조정한 음성을 듣고 음성에서 들은 바와 가장 가까운 문장이 무엇인지 응답하였다. 청취 실험 결과, 스페인어 원어민 화자들은 재음절화음과 첫소리를 구분하지 못했고, 가짜 겹자음은 두 음운 맥락과 구별하여 인지하였다. 재음절화음을 연장한 경우와 첫소리를 단축한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얻지 못했다. 반면 첫소리를 연장한 경우, 가짜 겹자음으로 인지할 가능성은 추정할 수 없으나, 재음절화음에 비해 첫소리로 더 확고하게 인지하는 경향이 있었다. 가짜 겹자음을 단축한 경우 첫소리로 인지할 가능성의 변화는 알 수 없으나, 재음절화음과는 확실히 구분하여 인지하였다. 재음절화음은 양음절성에서 비롯된 첫소리와의 발화 길이 차이를 통해 첫소리와 구분될 것이라 제안했다. 음성 데이터 분석 결과뿐만 아니라, 발화 길이를 조정하지 않았을 때에는 첫소리와 재음절화음을 구분하지 못했지만 첫소리를 연장했을 때 재음절화음과 구분했다는 점을 근거로 발화 길이가 변별 자질로 기능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발화 길이 차이는 실제 발화에서 충분히 청각 단서를 제공하지 못하며, 실제 발화에서보다 그 규모가 훨씬 커야 청각 단서로 기능한다고 결론지었다. El presente estudio tiene como objetivo examinar la cualidad del sonido resilabificado, poniendo una objeción a la hipótesis de resilabificación completa que señala que el resilabificado equivaldría al ataque canónico. Acerca de los gestos articulatorios, se realizan segmentos ambisilábicos que se refieren a los que se tienden en las sílabas adyacentes a pesar de ser un fonema, diferentemente de los segmentos pertinentes en una sola sílaba, por lo cual ocurriría una diferencia duracional entre los dos contextos fonológicos. El hecho de que la geminada falsa conste de dos segmentos provoca que se caracterice por varias señales acústicas (acoustic cue) como duración, tono e intensidad entre otros, que la diferencian de la consonante simple (singleton). Como la disparidad principal entre el resilabificado y el ataque radicaría en la duración, se supone que el resilabificado sería ambisilábico. Además, se considera que la geminada falsa se distinguiría por varios rasgos acústicos además de la duración, del resilabificado y del ataque. Se ha diseñado un experimento auditivo de manera empírica con las frases experimentales que parecen homófonas, menos la diferencia de contextos fonológicos, el resilabificado, el ataque canónico y la geminada falsa. Antes de ponerlo en marcha, se recopilaron y analizaron estadísticamente los datos del habla de una nativa de español. Sus resultados muestran que se produce el ataque más largo que el resilabificado y más corto que la geminada falsa. Por consiguiente, se previó que se distinguieran los tres contextos fonológicos en medio de la duración. Debido a la existencia de la diferencia duracional entre el resilabificado y el ataque, se estimó que los hispanohablantes distinguirían los audios de resilabificado y los de ataque, y que percibirían los audios de ataque reducidos como resilabificado y los de resilabificado prolongados como ataque. En cambio, a pesar de disminuir la duración de la geminada falsa, los audios graduados seguirían considerándose como si no hubiera habido ningún cambio duracional, ya que mostraría muchas señales acústicas además de la duración. El experimento auditivo tiene como objetivo confirmar si los nativos de español son capaces de distinguir los tres contextos fonológicos con la diferencia duracional y de qué manera varía la tendencia perceptiva en función de la graduación de duración con PSOLA (Pitch-Synchronous OverLap and Add). En primer lugar, se prolonga la duración del resilabificado tanto que escucharían los audios manipulados del resilabificado como los del ataque y los de la geminada falsa respectivamente. En segundo lugar, se reduce la duración del ataque al punto que percibirían los audios graduados del ataque como los del resilabificado, mientras que se prolonga tanto que escucharían los audios manipulados como los de la geminada falsa. En tercer lugar, se reduce la duración de la geminada falsa de manera que escucharían los audios disminuidos de la geminada falsa como los del ataque y los del resilabificado, respectivamente. En el experimento con todos los audios obtenidos, se pide que los participantes hispanohablantes respondan a través de formularios de Google (Google Forms) a las preguntas dadas: “qué opción parece más cercana a lo que dice el audio”. Según los análisis estadísticos, se estima que las respuestas de los participantes muestren que no se pueden distinguir los audios originales del resilabificado y los del ataque, mientras que tienden a percibir precisamente los de la geminada falsa distinguidos del resilabificado y del ataque. Por otro lado, no se obtienen datos estadísticamente significantes acerca de la percepción de los audios prolongados del resilabificado y los reducidos del ataque. En cambio, se aproxima que las respuestas relacionadas con los audios prolongados del ataque mostrarían que la graduación duracional provocaría una tendencia más fuerte a percibirlos como el ataque en comparación con el resilabificado, pese a que los datos que comparan el ratio perceptivo entre el ataque y la geminada falsa no sean estadísticamente significantes. En los casos de reducir la duración de la geminada falsa, se tenderían a considerar los audios graduados después de escucharlos como la geminada falsa en comparación con el ataque, a pesar de los análisis estadísticos insignificantes sobre la comparación de la geminada falsa con el ataque. De acuerdo con la sugerencia de los estudios anteriores y del análisis del habla en la presente investigación, sería bastante probable que el resilabificado difiriera del ataque en la duración, lo que se podría explicar basándose en la ambisilabicidad. Por un lado, esta perspectiva parece inaceptable, puesto que los participantes no proporcionan datos significantes al escuchar los audios originales del resilabificado y los del ataque. En este sentido, se podría señalar que la diferencia duracional entre el resilabificado y el ataque sería alofónica, ya que la duración en el habla no provocaría ninguna distinción de significado. Por otro lado, hace falta tomar en cuenta el análisis significante que podría resolver la ambigüedad que se observa cuando escuchan los audios originales del resilabificado y los del ataque, con tal de prolongar los del ataque. El hecho de que la duración alargada del ataque pudiera contribuir a la tendencia a percibirlos como ataque querría decir que la duración sería un rasgo distintivo, que provocaría cambios de significado. Sin embargo, la diferencia duracional no podría ofrecer señales acústicas suficientes en el habla real, dado que los participantes no pueden percibirla. Por consiguiente, si se prolongara la duración mucho más que en el habla, podría hacer el papel de ofrecer señales acústicas, que ayudaría a los hispanohablantes a distinguir frases aparentemente homófonas debido a la resilabificación, con un grado debilitado de ambigüedad en comparación con la conversación normal.

      •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반어법 특징 연구 : 한국어와 스페인어 간의 반어법 비교를 중심으로

        이래검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34

        비 원어민이 스페인어 반어법을 이해하고 일상 대화에서 자연스럽게 사용하기란 쉽지 않다. 반어법 표현을 인지하고 정확히 해석하기에도 어려움이 있다. 대학에서 정규과정으로 스페인어를 공부하는 학생이라면 이상적 목표가 고급 레벨일 것이다. 실제 고급 레벨의 스페인어 학습용 교재와 비 원어민의 스페인어 구사 능력을 검증하는 각종 시험에서도 반어법과 관련된 문제가 출제되고 있다. 이는 고급 단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반어법 표현을 이해하고 학습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스페인어 반어법 교육 및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반어법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원어민과의 대화에서 반어법 해석 오류로 인한 오해의 소지가 생기는 것을 최소화함을 목표로 한다. 반어법 표현의 쓰임과 그 특징을 이해한다면 스페인어 학습자의 고급 단계 도달이 가능할 것이라 본다. 본고에서는 기존 연구자들의 자료와 예문을 분석하여, 한국어 반어법 특징과의 비교를 통해 스페인어 반어법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반어법 표현을 여러 측면에서 분석하되, 사용하기 쉽고 간결한 문장 위주의 반어법 통사 구조를 발굴하여 스페인어 학습 및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그 구조와 특징을 제시하려 한다.

      • 기업체 내 스페인어 학습자의 요구분석에 따른 교수요목 설계

        유수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19

        기업체 내 스페인어 학습자의 요구분석에 따른 교수요목 설계 본 연구는 기업체 내에서 실시되고 있는 스페인어 교육 현황을 분석하여, 학습자 요구를 반영한 교수요목을 설계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둔다. 지금까지 스페인어 교육 연구는 주요 학습계층인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져왔으나, 비즈니스 목적으로 스페인어를 학습하는 직장인 학습자가 증가함에 따라 직장인 대상 교육 프로그램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직장인들이 업무수행이라는 특수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를 위한 차별화된 교수방법, 교수내용, 교재의 선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이들을 위한 적절한 교육프로그램을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스페인어 교육에 대한 사내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고 향후 그 중요도가 더 커질 것으로 기대되므로, 기업체 내 학습자들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학습목적에 적합한 교수요목을 설계하여 학습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이론적, 실제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제 2장에서는 특수 목적 스페인어에 대해 정의하고, 학습자 요구조사를 위한 분석방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또 교수요목 설계의 종류 및 방법에 대해서 다루었다. 제 3장에서는 기업체 내에서 시행되는 스페인어 교육 현황과 학습자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학습자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조사의 답변의 피상성과 학습자의 주관적 성향이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보완하기 위해 출강 강사, 기업체 인사팀 교육담당자와의 후속 면접을 실시하여 기업체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스페인어 교육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파악한 내용을 통계 프로그램 SPSS21을 활용하여 학습과 관련된 요구와 업무와 관련된 요구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제 4장에서는 사내 스페인어 어학 과정의 목표를 재설정하고, 학습자의 요구와 업무의 중요도를 반영한 교수요목을 설계하였다. 제 5장에서는 사내 어학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원인이 학습 환경의 열악함과 학습자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는 교수요목에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교수요목에 반영 사항을 제시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입문 및 초급 단계에서부터 업무 상황에서 적용 가능한 어휘 및 담화문을 제시해야 한다. 두 번째, 학습자들의 주된 업무 교류 방식이 이메일임을 고려하여 독해와 작문능력 향상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육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직급을 고려하여 업무 시 필요로 하는 구문과 어휘를 포함한 단원을 설계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요구 분석을 통해 비즈니스 스페인어 교수요목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특수 목적 스페인어에 관한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바라며, 특히 비즈니스 목적 스페인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panish language curriculum design for learners at corporations and companies through need analysis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ing a curriculum by addressing the learner’s needs and analyzing the current Spanish language education status within corporations. In general, Spanish language education research is targeted towards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however, as there is an increase in learners for business related purposes, there is a strong need of business learner focused education programs. For office workers to carry out specific work tasks, there needs a differentiated set of educational textbook, teaching method, and context to better suit their needs. However, there are no appropriate educational programs for such purpo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rriculum that will address the learner’s needs and purpose, as the demand for Spanish language courses increases and its importance grows. Therefore, this study will suggest a theoretical and practical education program for such purpose. In Section 1, previous studies and research were reviewed an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research is addressed. In Section 2, Spanish language education for specific purpose is defined and the needs assessment methodology is explained. Section 3 explains the survey among learners from corporations and companies to examine their needs. To better accommodate the strong subjective and superficial answers, the status of Spanish education programs within companies and corporations were checked by conducting an interview with the education representative from the human resources team. The garnered data was separated into study-related needs and work-related needs by using the SPSS 2 1 statistic program. In Section 4, the goal of the language course and the new curriculum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learners requested needs and work related tasks. Section 5 identifies the reason behind the inefficiency of language courses; inadequate curriculum and educational platform that does not asses the needs of the learners. To improve such inadequacy, the following details are suggested for application: 1) Phrases and vocabulary that can be practiced in the work environment should be introduced starting from the beginner stage, 2) Reading comprehension and writing skills should be focused considering that the main work related tasks are delivered via email and 3) the job position of the learner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the curriculum to teach adequate vocabulary and phrases. This study has suggested a Spanish language curriculum for business purposes through the need assessment of learners.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further research and study are conducted for specific purposed Spanish language and benefit the Spanish language learners with specific purposes.

      • 2015년 개정교육과정 스페인어I 교과서 개정편찬을 위한 기존 교과서 분석 : 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이슬기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19

        2015년 개정교육과정 스페인어I 교과서 개정편찬을 위한 기존 교과서 분석 : 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2015년 개정교육과정에서 스페인어I 과목의 주요 목표는 스페인어를 처음 배우는 학습자들이 스페인어 듣고, 말하고, 쓸 수 있음은 물론이요, 스페인어권 국가들의 전반적인 문화를 중심으로 하는 기초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언어 능력 중에서도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의사소통의 장이 넓어진 현재에 이르러서는 듣고 말하는 능력 뿐 아니라 읽고 쓸 줄 아는 능력 역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부분이다. 하지만 실제 일반 고등학교 스페인어I 과목의 수업 현장에서 쓰기는 말하기, 듣기, 읽기 학습의 보조 수단으로 많이 쓰이고 있으며, 수업 안에서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으로서의 실질적인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쓰기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쓰기 교육의 중요성을 주장함과 더불어 연구 대상이 되는 2종의 기존 교과서를 가지고 쓰기 학습의 단계별 유형을 살펴보고, 미약하나마 2015년 개정교육과정에 맞추어 편찬될 새로운 스페인어I 교과서의 개정편찬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쓰기 학습의 단계를 크게 통제작문, 유도작문, 자유작문의 3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의 하위 유형을 받아 쓰기, 어휘 쓰기, 빈칸 채우기, 듣고 답 쓰기, 문장 쓰기, 문장 고치기, 표 완성하기, 대화 만들기, 문장 만들기, 설명글 쓰기, 일기 쓰기, 편지 쓰기, 안내글 쓰기로 총 13개 유형으로 나누어 제시한다. 아울러, 기존의 교과서에 제시되었던 쓰기 문항을 스페인어I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쓰기 영역의 목표에 부합하며, 학습 진행 상황에 적절한 쓰기 학습 단계의 각 유형별 활동으로 변형하여 제안한다. 뿐만 아니라 기존 교과서에서는 제시되어 있지 않았던 읽기를 통한 쓰기 학습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언급하며 단계별로 학습자들에게 제시할 수 있는 유형의 문항들을 제안하였다. 그동안 스페인어I 과목에서 쓰기는 듣기, 말하기, 읽기 영역의 학습을 위한 수단적인 영역으로 학습되어 왔다. 그러나 오늘날 쓰기는 일정한 체계를 가진 문자를 활용하여 자신의 의사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하나의 의사소통을 위한 수단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의사소통을 위한 능력으로서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습 초기부터 단계적이며 통합적인 학습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각 학습 단계별 문항들이 일반 고등하교 스페인어I 과목을 이수하는 학습자들의 실질적인 의사소통 능력으로서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쓰기 교육에 긍정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동화를 활용한 아동 스페인어 교육 방안

        김리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동화를 활용하여 아동 학습자를 위한 스페인어 교육 방안을 만들고 이를 실제 수업에서 실행하여 교육 방안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그간 중·고등학생과 성인을 대상으로 제작된 교육 방안을 넘어서 새롭게 아동 학습자를 위해 만들어진 교육 방안이라는 점과 언어 교육과 문화 교육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도록 교육 방안을 설계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의 목표는 아동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본 교육 방안을 통해 동화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고, 참여 학습자의 스페인어 능력과 상호문화적 감수성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수행되었다. 첫째, 교육 방안을 설계하기 위해 아동 학습자의 스페인어 수업에 대한 요구를 분석한다. 둘째,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언어 교육과 문화 교육을 포함한 교육 방안을 설계한다. 셋째, 이를 실제 수업에서 활용하고 효과를 검증한다. 우선, 스페인어 동화책 <El día en que descubres quién eres>를 이용하여 아동을 위한 스페인어 교육 방안을 설계한 후, 2022년 9월 21일부터 2022년 11월 11일까지 16차시(각 50분)에 걸쳐 총 8주간 초등학생 7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학습자 분석을 위해 사전 요구조사 설문지와 상호문화적 감수성 사전·사후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16차시에 걸친 교육 방안에서 수행한 언어 교육과 문화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교수자는 수업 관찰 일지를 작성하였으며 상호문화적 감수성 사전·사후 검사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를 활용한 아동 스페인어 교육 방안은 아동 학습자가 스페인어에 흥미를 느끼게 하고 학습자에게 학습 동기를 제공하였다. 둘째, 수업에 참여한 아동 학습자는 스페인어 동화책을 읽으며 스페인어 실력을 키울 수 있었다. 셋째, 동화책을 읽으며 스페인어를 학습한 아동 학습자의 상호문화적 감수성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수업에 참여한 대부분의 아동 학습자는 스페인어 실력이 향상되었으며 상호문화적 감수성에도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수업이 끝난 후에도 스페인어를 지속해서 학습할 기회가 있기를 희망하였다. 이를 통해 아동 학습자의 특성을 이해하고 동화를 활용하여 스페인어 능력뿐만 아니라 상호문화적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 방안에 대한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eate a Spanish education plan for children using Spanish fairy tales and to implement the education plan in classrooms. The proposed education plan’s point of differentiation is that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are included and taught simultaneously.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effects of fairy tales and ways to change learners’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Spanish skills through this education plan. First, children’s demands for Spanish classes were analyzed.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demand, an education plan that included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was created. Third, the plan was implemented in classes, and its effects were examined. The education plan was designed using the Spanish fairy tale “El día en que descubres quién eres.” Sev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taught for 8 weeks over 16 sessions (50 minutes each) from September 21, 2022 to November 11, 2022.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facilitated by the 16-session teaching plan, the instructor wrote self-teaching observations and analyzed students’ intercultural sensitivity pre- and post-test data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panish education plan for children using fairy tales increased young learners’ interest in Spanish and enhanced their motivation for learning. The child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were able to improve their Spanish skills by reading Spanish fairy tales. Furthermore,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child learners who learned Spanish by reading fairy tales. Most of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improved their Spanish skills and showed a change in intercultural sensitivity. They expressed a desire to continue learning Spanish after the class ended. Thus, this study identified the need for various educational method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learners and to develop not only their Spanish language skills but also intercultural sensitivity through the use of assimilation.

      •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스페인어 학습지도방안 연구

        김선미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19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스페인어 학습지도방안 연구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스페인어 학습지도방안 연구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중학생 연령의 스페인어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정하고 스페인 애니메이션 <Las aventuras de Tadeo Jones>를 학습 자료로 선정하였다. Ⅰ장에서는 연구목적 및 필요성과 구체적인 연구 범위 및 방법을 소개하였다. Ⅱ장에서는 애니메이션의 정의와 특징 및 교육적 효과를 알아본 뒤, 스페인어 교육용 애니메이션 선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에 활용할 스페인 애니메이션 <Las aventuras de Tadeo Jones>를 소개하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Ⅳ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내용을 바탕으로 애니메이션 <Las aventuras de Tadeo Jones>를 활용한 영역별 활용방안 및 학습지도안을 제안하였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밝히고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스페인어 학습지도방안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며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애니메이션의 장점 및 특성의 교육적 활용은 유용하다. 둘째,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스페인어 교육은 학습자들에게 학습 동기 및 흥미를 부여한다. 셋째,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수업은 영상세대인 청소년들의 스페인어 교육에 적합하다. 넷째, 학습자들은 스페인 애니메이션을 통해 스페인어와 스페인어권 문화를 동시에 학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실험 수업을 거치지 않아 실질적인 효과 검증이 어려우므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스페인어 지도방안 연구는 앞으로도 지속될 필요가 있다. A Study of the Spanish Teaching Plan Using Ani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anish Teaching Plan Using Animation. For this goal, Spanish animation <Las aventuras de Tadeo Jones> is selected for Spanish beginners. Chapter Ⅰ Introduc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with the specific range and research methods. Chapter Ⅱ Examines the definition and the features and effects of animation and how it works educationally, and the selection criteria for choosing educational Spanish animation. Chapter Ⅲ Introduces the Spanish animation called <Las aventuras de Tadeo Jones> and explains the reasons for this selection. Also, suggests Spanish teaching plans based on the previously discussed information of the animation. Chapter Ⅳ Reveal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 recommends that The Spanish Teaching Plan Using Animation should be used continuous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Using animation in teaching provides students with advantages and characteristics of animation. Second, Using animation to teach Spanish interests students and motivates them to study Spanish with enthusiasm. Third, Teaching Spanish though animation is suitable for youth of the image generation. Fourth, Students can study Spanish language and also Spanish culture though this animation. Although this study is not an experimental study, future studies are necessary to validate using animation to improve Spanish communication skills, thus showing its true value.

      • 스페인어의 군사용어 학습을 위한 교과요목 및 학습내용에 관한 연구

        김주현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논문은 특정목적을 위한 특정분야의 외국어 학습(LSP: Language for Specific Purposes)에 관한 연구이다. 여기에서는 군사 분야와 관련된 스페인어를 배우기 위해 어떤 교과요목(Syllabus)과 학습내용(Contents)이 필요한지에 대해 다루었다. 먼저 군사적 분야를 규정하기 위해 어휘와 내용면에서 그 범위를 설정하였다. 이렇게 정해진 군사적인 내용은 일반적으로 특정 교육과정(Curriculum) 내 교과요목을 통해 학습될 수 있다. 교과요목 설정시 중요한 것은 학습자의 대상과 수준, 학습목적, 학습기간 등이다. 이 중 학습목적은 학습자의 수준(초급, 중급, 고급)과 연계할 수 있다. 초급수준 학습자에게는 선행학습을 위해 일반적인 스페인어 학습내용에 군 관련 사항을 일부 포함하여 가르칠 수 있다. 중급 이상 수준의 학습자에게는 일반군사교류 분야 및 군사전문실무내용 등 보다 전문적인 학습을 할 수 있다. 아울러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스페인 및 중남미의 역사와 문화와 관련된 수업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군사 분야의 스페인어 학습과 관련된 제한사항으로는 학습을 위해 군 관련 배경지식이 일정 수준 요구된다는 점, 스페인과 중남미 등 지역별 차이가 있다는 점, 국가별로 군 자체의 특성상 군사용어 사용에 있어 세부적인 의미나 용법상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 등이 있다. 교수자는 이러한 제한사항들을 고려하여 학습자의 입장에서 최적의 교과요목과 학습내용을 선정하고 효과적인 교재 및 학습자료 제작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El estudio del aprendizaje del lenguaje militar: un programa de estudios y una tabla de contenidos Este trabajo se enfoca en el aprendizaje de la lengua extranjera para fines especificos (L/FE). En particular, que programa de estudios (syllabus) y que contenido de aprendizaje (contents) se necesita para aprender el espanol relacionado con los temas militares. En primer lugar, con el fin de definir el ambito de la informacion militar, me centre en el dominio, en terminos de vocabulario y su contenido. Estos contenidos militares, en general, se pueden aprender a traves de un programa de estudios con base en un plan de estudios mas amplio. Cuando se establece un programa de estudios es importante considerar el perfil de los alumnos y su nivel, objetivos de aprendizaje, periodo de estudio, etc. En particular, los objetivos de aprendizaje pueden vincularse con los niveles de los estudiantes (inicial, intermedio y avanzado). En el caso de los principiantes se les puede ensenar el lenguaje militar ademas del espanol basico. Para los niveles intermedio y avanzado el estudio se puede profundizar hasta el intercambio militar y las practicas profesionales. Asimismo, para que el aprendizaje sea mas eficaz es importante tener clases relacionadas con la cultura e historia de Espana y America Latina. Con respecto al estudio del lenguaje militar existen algunos requisitos: ① se requiere un determinado nivel de conocimiento a fondo sobre los militares, ② existen diferencias entre diversas regiones de Espana y America Latina, ③ algunos terminos militares tienen diferentes significados dependiendo de las caracteristicas propias de cada pais o region. Por lo cual, los profesores tendran que tener en cuenta estas limitaciones y elegir el mejor programa de estudios y el contenido de aprendizaje. Ademas es imprescindible editar libros de texto y documentos de calidad sobre el lenguaje militar.

      • 선행 스페인어 능력과 수업 참여도가 수업 만족도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대학 스페인어학과를 중심으로

        유현정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19

        선행 스페인어 능력과 수업 참여도가 수업 만족도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대학 스페인어학과를 중심으로 스페인어 사용 인구수가 증가하는 전 세계의 추이처럼 우리나라 역시 스페인어를 배우고자 하는 학습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설문과 통계를 통한 실질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습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수업을 제공하기 위한 토대를 만들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중에서도 학습자의 선행 스페인어 능력과 수업 참여도 중 어느 것이 학업 성취도와 수업 만족도에 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와 학업 성취도 간의 상관관계도 확인해 보고자 했다. 연구 결과 첫째, 선행 스페인어 능력과 수업 참여도가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선행 스페인어 능력과 수업 참여도가 수업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행 스페인어 능력과 수업 참여도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선행 스페인어 능력, 수업 참여도 모두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 만족도와 학업 성취도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수업 만족도와 학업 성취도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모든 가설에 있어서 선행 스페인어 능력보다 수업 참여도가 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갖는다. 만일 수업 외적인 영역인 선행 스페인어 능력이 수업 내적 영역인 수업 참여도보다 더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면, 제도적이고 정책적인 개선이 필요했을 것이다. 하지만 수업 내적 영역인 수업 참여도가 수업 만족도와 학업 성취도에 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교수법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스페인어의 선행 학습보다 더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목적 외에 부수적으로 얻어진 유의미한 결과가 있다면, 타 선행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여성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가 높다는 결과를 제시하지만, 스페인어과에서는 흥미롭게도 남성 고학년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가 높다는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는 연구 목적 및 범위를 벗어난 것이기에, 본 논문에서는 현상의 이유를 해석할 근거가 부족하므로 향후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플립트 러닝(Flipped Learning)을 통한 고등학교 스페인어 학습지도 방안 : 대학수학능력 시험과의 연계를 중심으로

        박상덕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8719

        학생이 잘 배우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교육을 위해 학생의 적극적인 학습활동 참여 유도와 학생 스스로 자유 학습의지를 갖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학생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생 간의 ‘교육적 소통’이 중요하다. 이를 가능케 하는 교수방식 중 하나가 플립트 러닝(Flipped Learning)이다. 플립트 러닝의 긍정적인 효과는 여러 사전 연구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우선, 플립트 러닝은 학생의 긍정적 학습태도를 돕고 학생 스스로 높은 자존감을 형성하는 것에 영향을 준다. 또한, 플립트 러닝을 통해 학생은 개인 수준별 학습과 반복 수강학습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학생과 교사의 활발한 의사소통을 통해 교사는 학생 개인의 학습 상황에 대해 파악하여 대처하기 쉽다. 한편, 한국교육개발원은 한국 고등학교 학생이 길러야 할 역량으로 ‘자기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공동체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의사소통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이라고 설명한다. 플립트 러닝은 고등학교 학생이 이러한 역량을 함양하는 것을 돕는다. 이와 더불어 플립트 러닝은 수능 제2외국어, 스페인어 Ⅰ과목에 대한 변별력 향상 및 효과적인 학습을 돕는다. 현재까지 국내 고등학교 스페인어 교육일반에서 플립트 러닝과 관련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플립트 러닝에 관한 선행연구와 문헌자료를 고찰하고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플립트 러닝을 적용한 고등학교 수능 스페인어 학습지도 방안을 제시했다. 더 나아가 고등학교에서 스페인어 교육을 위한 학술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고등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스페인어 교육을 제언했다.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플립트 러닝을 적용한 수업 모형과 고등학교 스페인어 플립트 러닝 학습 지도안을 개발했다. 본 연구가 제시한 플립트 러닝 3단계 수업 모형은 첫째, 학생 중심의 학습과 반복적인 수능기출문제 풀이로 학습효과를 증진시켰다. 둘째, 효율적인 시간활용으로 인해 바로 고등학교 수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셋째, 디지털 학습 환경으로 고등학생의 스페인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높였다. 넷째, 조언자로서 교사의 역할이 중요. 다섯째, 적극적인 학생 참여를 이끌어 냈다. 여섯째, 즉각적인 피드백 제공과 공정한 학습 평가를 통해 학생의 스페인어 학습능력 향상을 도왔다. 이 수업 모형을 바탕으로 고등학교 스페인어 플립트 러닝의 학습 교안을 의사소통과 문화 이해 부분, 문법, 어휘 부분에 대한 학습 교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플립트 러닝 학습 교안을 수능기출문제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과 스페인어 교과목을 활용하는 단원별 수업 모델로 나눠 제시했다. 요약하자면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고등학교 스페인어 플립트 러닝 수업 모형과 학습 교안은 현실적 모형으로 고등학생의 수능 스페인어 대한 부담을 덜어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고등학교 스페인어 플립트 러닝 수업 모형과 학습 교안은 교육현장에 실제 적용시켜 그 효과를 실증적으로 증명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고등학교 스페인어 플립트 러닝 수업 모형과 학습 교안을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실제 적용시켜 보완·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