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기억에 남는 스마트모빌리티 경험이 고객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근 IT의 발달 특히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해 우리 사회의 많은 영역에서 이를 활용한 생활방식이 빠른 변화를 거듭해 가고 있다. 특히 데일리앱( 매일 사용하는 앱)이라는 분야는 치열한 경쟁 속에 한 국가의 국민들 대다수가 사용하고 있으며, 그 주 대상은 크게 4가지로 분류된다. 이동과 관련된 모빌리티앱, 인터넷 상품 구매와 관련된 쇼핑앱, 주문 배달관련 배달앱, 의사소통을 위한 SNS앱 분야이다. 특히 모빌리티앱은 다수의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관광객들도 관광목적으로 모빌리티앱을 활용하고 있다. 이중에서도 프리미엄 택시 업계를 중심으로 관광객들을 고객으로 확보하고자 스마트관광의 중요한 요소인 스마트모빌리티 서비스를 표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거주민과 관광객이 같이 사용하는 스마트모빌리티의 관점에서 스마트모빌리티의 속성이 기억에 남는 이용경험에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한 스마트모빌리티의 이미지 및 재사용의도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거주민과 관광객을 대상으로 영업영역을 확장하고 있는 국내 프리미엄 택시업체의등록고객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기억에 남는 스마트모빌리티의 속성 중 관여도(Involvement)경험이 기분전환이나 참신함보다 스마트모빌리티의 이미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모빌리티 이미지는 재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스마트모빌리티 관점에서 어떠한 경험적인 요소를 관리해야 고객에게 좋은 이미지를 주고 재사용을 이끌어낼 수있는지실무적시사점을제시하고자한다. 표제어: 스마트모빌리티, 스마트관광, 기억에 남는 이용경험, 이미지, 재이용 의도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스마트워크 테크노스트레스가 직무소진, 혁신저항 및 수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mart Work Technostress of Airline Cabin Crew on Job Burnout, Innovation Resistance and Adoption By Junkyu Min Master of Science in Tourism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Advised by Dr. Namho Chung It explores technostress and its impact on airline cabin crew members from the introduction of smart work.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has created an environment in which crew members can perform their work more efficiently through smart work systems, but these technological changes increase the likelihood of causing technostress along with new burdens on cabin crew members. Technostress in a smart work environment occurs when crew members feel the burden of adaptation or technical demand for smart devices used for work, which can affect the motivation and work efficiency necessary for job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se stress factors through a job demands-resources (JD-R) model and to reveal the effect of technostress on cabin crew's technostress and burnout. To this end, a survey of 304 airline cabin crew member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echnostress factors experienced by cabin crew in a smart work environment, and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of job demand and resources based on the JD-R model on technostress, job burnout, and smart work use intention was confi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echnology overload and techno instability in a smart work environment increase technology dependence on crew members and cause psychological stress, which is a major factor in increasing job burnou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proposes specific measures to airline managers to reduce technostress in a smart work environment. For example, by strengthening support for smart work technology and providing crew members with sufficient rest time and work support resources, strategies that can effectively alleviate technostress caused by smart work are discussed through the JD-R model. key words: Smart work, technostress, Job burnout, Innovation resistance, Job demand-resource model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스마트워크 테크노스트레스가 직무소진, 혁신저항 및 수용에 미치는 영향 민준규 경희대학교 대학원 스마트관광원 지도교수: 정남호 항공사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스마트워크 도입에 따른 테크노스트레스와 그 영향에 대해 탐구한다.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로 승무원들이 스마트워크 시 스템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었으나, 이러 한 기술적 변화는 객실승무원들에게 새로운 부담과 함께 테크노스트레스를 유발 할 가능성을 높인다. 스마트워크 환경에서의 테크노스트레스는 승무원들이 업무 에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에 대한 적응 부담이나 기술적 요구를 느끼면서 발생하 며, 이는 직무 수행에 필요한 동기 부여와 업무 효율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 요인을 직무 요구-자원(JD-R) 모델을 통해 분석하고, 테크노 스트레스가 객실승무원의 테크노스트레스, 직무소진 및 스마트워크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항공사 객실승무원 304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스마트 워크 환경에서 객실승무원들이 경험하는 테크노스트레스 요인을 분석하고, 직무 요구-자원 모델에 기반한 직무 요구와 자원의 상호작용이 테크노스트레스 및 직 무 소진과 스마트워크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 워크 환경에서의 테크노과부하와 테크노불안정성은 승무원들에게 기술 의존도를 증가시키고 심리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이는 직무 소진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 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항공사 관리자들에게 스마트워크 환경 에서의 테크노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스마 트워크 기술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승무원들에게 충분한 휴식 시간과 업무 지 원 자원을 제공함으로써, 스마트워크로 인한 테크노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완화 할 수 있는 전략을 직무요구-자원(JD-R) 모델을 통해 논의한다. 주제어: 스마트워크, 테크노스트레스, 직무소진, 혁신저항, 직무 요구-자원 모델
Towards Smart Experience : Developing Persona-based Journey Maps for Incheon Smart Tourism City
Towards Smart Experience : Developing Persona-based Journey Maps for Incheon Smart Tourism City By Han Heui-jeong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Smart Tourism Education Platform Advised by Dr. Chung Namho This study aims to enhance visitor experiences in Incheon, Korea's leading smart tourism city, by creating personalized journey maps using big data from the Incheon Smart Travel Application, Incheon-easy. Considering that previous studies on smart tourism cities had predominantly been conceptual or policy-oriented, there is a significant need for practical research focused on enhancing tourists’ experiences, ultimately motivating more tourists to visit smart tourism cities. Employing a mixed-method approach, the research utilize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ologies. Firstly, segmentation was conducted through clustering analysis based on big data from users of Incheon-easy App. This analysis discerned key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of different user groups, allowing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ir needs. Additionally, using the secondary survey data conducted to measure the satisfaction of Incheon smart tourism services, this study analyzed the satisfaction levels for various smart tourism services based on different personas and examined their preferences. Lastly, content analysis of open-ended survey data was conducted using the LDA text modeling method for keyword analysis to examine detailed requirements and emotional factors. By synthesizing these three analyses, personalized smart tourism city journey maps tailored to each persona were developed and presented. This research emphasizes targeted marketing strategies, enriching service engagement and experiences across various tourist profiles. Through advanc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Incheon as a representative smart tourism destination, this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for other smart tourism destinations as well. Key words smart tourism city, user experience, smart travel application, persona segmentation, user journey map, Incheon smart tourism city
Lu, Shengjie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ecent years, smart systems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growing rapidly which used in various fields, especially in tourism industry. Based on frameworks and a research model,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impact on smart tourism cities context and tourists’ information needs to smartphone experience and tourist satisfaction in theme park travel experience through a case study of Shanghai Disneyland. This study was first conducted interviewing to discussing the role of smartphone applications to tourists’ information needs and travel plan designing. The vital effect of smartphone applications in solving unexpected situations during travel and meeting personal needs in a timely manner has also been discovered. Secondly, it was conducted using an online questionnaire collected total 519 effective respondents between 19th April to 8th May in 2021. This study found that attractiveness, accessibility, digitalization of smart tourism cities context and functional, hedonic needs of information needs have a positive effect on smartphone use value, but sign needs a non-significant effect on smartphone use value in Disneyland survey. In addition, smartphone use value positively affect transaction and theme park experience satisfaction. This research also enriches related theories and frameworks, emphasizes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smartphone intermediary tourism transformation, and also brings enlightenment for future research on theme parks travel experience and smart tourism cities.
Impact of COVID-19 Risk Perceptions on Visit Intention to Smart Tourism Destination
The COVID-19 pandemic has caused an unprecedented upheaval in societies around the world. Based on the frameworks of a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n tourists’ attitudes and changes in the intention to revisit smart tourism cities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that inhibits tourism and the smart tourism technology experience and social media exposure that facilitate tourism.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n online questionnaire and was conducted on people around the world using MTurk in mid-November 2020. This study collected a total of 184 responses, and the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smart tourism technology and exposure to social media have a positive effect on revisiting smart tourism destinations. Additionally, the perceived risk of COVID-19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reactance of freedom of choice. The reactance of freedom of choice was identified to have a non-significant effect on the desire for travel and the intention to revisit the smart tourism city, and they were found to be mutually independent. Finally, the perceived COVID-19 risk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virtual tourism. In this study, beyond simply reviewing existing literature reporting on smart technology, an unprecedented pandemic, virtual tourism, and intention to revisit smart tourism city, it offer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tourism industry, which is preparing for the post-Corona era.
사건 중심성이 외상 후 스트레스 및 성장,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 외식 조리 종사원 중심으로
정호열 경희대학교 스마트관광원 2021 국내석사
본 연구는 외식 조리 종사원의 사건 중심성이 외상 후 스트레스, 외상 후 성장과 경력 만족, 경력몰입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과거와 달리, 사회적으로 조리사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 그러나 여전히 조리사의 업무환경은 열악하다. 특히, 조리사의 경우, 다른 서비스업 종사원과 비교했을 때, 안전사고에 노출될 위험이 많다. 따라서, 외식 조리 종사원의 사건 중심성이 외상 후 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 경력 만족,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국내 외식업 조리사 내 외식업 조리 종사원 33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고, 이중 문제가 없는 295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외식 조리 종사원의 사건 중심성은 외상 후 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기존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로, 사건 중심성이 외상 후 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 모두 유의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어서, 외상 후 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 사이의 경력 만족에 관해 분석하였다. 외상 후 스트레스는 경력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외상 후 스트레스는 영향을 미쳤다. 선행연구를 보면, 전문직 종사자의 경우 외상 후 스트레스를 덜 받기 때문에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 외상 후 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 사이의 경력몰입에 관한 분석결과 외상 후 스트레스는 경력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외상 후 성장은 경력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외상사고를 경험한 외식 조리 종사원의 경력 만족은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관한 시사점으로는, 외식업 조리 종사원의 사건 중심성에 관한 선행연구가 없었기 때문에 타 연구에 적용 가능한 이론적 배경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외식업 조리 종사원의 외상사건 경험을 통해서 외상 후 스트레스가 경력 만족과 몰입과 같은 인적자원관리에 부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반대로 외상 후 성장은 인적자원관리에 긍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실증적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한계점으로는 국내 외식업에서 종사하는 외식업 조리 종사원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는 다양한 조리 종사원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Kano 3요인 이론을 적용한 해외산업박람회 여행상품 속성에 대한 고객 만족 및 불만족 평가
Kano 3요인 이론을 적용한 해외산업박람회 여행상품 속성에 대한 고객 만족 및 불만족 평가 하영환 경희대학교 대학원 스마트관광원 해외산업박람회는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서 국내 기업들이 새로운 해외 시장을 탐색하고, 네트워킹을 확장하며, 최신 기술과 산업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플랫폼으로 기능한다. 이러한 박람회는 참가 기업들이 자사 제품과 서비스를 국제 무대에서 홍보하고, 다양한 국가의 기업들과 비즈니스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 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이러한 박람회에 참가하는 기업 고객들의 특수한 요구를 충 족시키기 위한 해외산업박람회 여행상품은 필수적인 서비스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 나 최근 전 세계적인 경기 불황과 기업들의 출장 경비 절감 조치로 인해 박람회 관 련 여행상품의 수요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여행사들은 고객 만족 극대 화를 위한 차별화된 서비스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Kano 3요인 이론을 적용하여, 해외산업박람회 여행상품의 품질 속성이 고객 만족 및 불만족에 미치는 비대칭적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Kano 이론은 기존 선형적 분석에서 벗어나 품질 속성과 고객 만족 간의 비대칭적 관계를 설명하며, 매력적 품질(attractive quality), 일원적 품질(one-dimensional quality), 당연적 품질(must-be quality)의 세 가지 요인을 통해 만족과 불만족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2023년 5월부터 6월까지 독일과 중국에서 개최된 인터줌(Interzum), 인터팩(Interpack), 상해 국제욕실주방 박람회에 참가한 기업 고객 450명을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44부의 유효 응답을 분석하였다. 설문은 Kano 이론 의 3요인을 기반으로 여행상품의 주요 품질 속성을 세분화하고, 고객이 중요하게 생 각하는 항목들을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분석 도구로는 SPSS와 Python을 활용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분석, 기술통계 분석, 그리고 Tobit 회귀 분석을 통해 고객 만족과 불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품질 속성들을 도출하였다. 분석은 두 가지 접근 방식을 통해 이루어졌다. 첫 번째는 만족과 기대 간의 편차 를 활용하여 "특정 품질 속성이 기대를 얼마나 충족하거나 초과했는지"를 평가한 모 델 A이며, 두 번째는 개인 만족과 전체 만족 간의 편차를 활용하여 "각 품질 속성 이 전체 만족에 얼마나 기여하거나 부족했는지"를 평가한 모델 B이다. 모델 A(만족-기대 수준 차이 활용) 분석 결과, 각 품질 속성은 만족과 불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며, 단일 요인으로 분류하기에는 복잡성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가장 근접한 요인을 도출한 결과, 여행사 특성은 고객이 이를 기본적인 요건으로 간 주하여 기대 충족 시 만족도를 크게 높이지는 않으나, 기대 충족 실패 시 강한 불만 족을 유발하는 당연적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여행상품 특성은 일원적 요인으로 분류 되었고, 박람회 특성은 기대를 초과했을 때 매력적 요인으로 작용하여 만족을 크게 증가시켰으나, 기대 충족 실패 시에는 불만족을 유발하는 당연적 요인의 속성을 보 였다. 숙박 특성은 기본적인 기대 요인으로 작용하며, 충족되지 않을 경우 불만족을 유발하지만, 충족되더라도 큰 만족을 유발하지 않는 당연적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식사 특성은 예상하지 못한 긍정적 경험이 제공될 경우 만족을 증가시키는 매력적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모델 B(개인 만족-전체 만족 차이 활용)에서는 여행사 특성과 여행상품 특성이 전반적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고객이 기본적인 기대 요인으로 간주하는 일원적 품질 속성임을 보여주었다. 박람회 특성은 정보 제공 부족 시 불만족을 유발 하는 당연적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나, 고객 기대를 초과하는 정보 제공 시 만족을 크 게 증가시키는 매력적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숙박 및 식사 특성은 전반적 만족에 미 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미미하였으나, 특정 맥락에서 부차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 이 시사되었다. 본 연구는 해외산업박람회 여행상품의 품질 속성이 고객 만족 및 불만족에 미치 는 비대칭적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이를 통해 서비스 품질 향상 및 고객 만족 극대 화를 위한 실무적 전략을 제시하였다. 특히, 기본적 기대를 충족시키는 당연적 품질 속성의 관리가 고객 불만족을 최소화하는 데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 과는 해외산업박람회 전문 여행사들이 고객 맞춤형 여행상품을 개발하고, 고객 만족 극대화를 위한 효과적인 서비스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학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핵심 용어: 해외산업박람회, 여행상품 품질, 고객 만족, Kano 3요인 이론, 비대칭 적 품질 속성
숏폼 비디오 광고가 중국 시니어 관광객의 관광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과학기술수준, 의료수준과 사회보장수준이 점차 완벽해짐에 따라 시니어층의 생활품질과 건강수준이 대폭 제고되었고 시니어층의 정신문화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관광활동에 대한 시장수요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또한, 뉴미디어의 지속적인 발전과 홍보로 광고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변화하고 있으며, 숏폼 비디오 광고는 다양한 콘텐츠 형식, 낮은 문턱, 정확한 포지셔닝(Positioning) 등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으로 인해 광고 산업의 주요 발전 추세가 되었다. 따라서 숏폼 비디오 광고 마케팅은 인터넷 마케팅의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틱톡, 콰이서우 등 숏폼 비디오 플랫폼의 신속한 발전과 트래픽 폭등, "숏폼 비디오 + 광고 + 소셜" 의 모델은 마케팅을 이끄는 새로운 추세가 되었다. 스마트 관광과 인구 고령화라는 이중적 배경에서 시니어들은 스마트 관광에서 취약한 위치에 있으며 관광업계의 중요한 임무는 바로 시니어들의 관광 수요를 더욱 잘 만족시키고 노인들이 스마트기술 사용의 난제를 극복하도록 돕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숏폼 비디오 광고를 접한 매체 중에서 가장 많이 접한 매체는 무엇인지에 대해 검증을 하고자 한다. 또한 중국 시니어관광객들의 종합적인 의사결정과정 및 실제 방문의향과 후에 공유하는 행동까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때에 광고 분야에서 활발히 적용되어 온 AISAS모델을 이론적 틀로 이용하였고 중국 시니어들이 관광 발전의 신 기술에 더욱 잘 적응하도록 도와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첫째, 숏폼 비디오 광고 접촉 매체를 살펴볼 때, 중국 시니어 관광객들이 가장 많이 접한 숏폼 비디오 광고 매체는 숏폼 비디오 앱(TikTok, KuaiShou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숏폼 비디오 광고에 대한 주의가 높아질수록 관광지에 대한 관심과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행동이 증가한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관심(Interest)과 검색(Search)은 주의(Attention)가 높아질수록 높아지기 때문에, 주의 집중을 유도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하는 것이 관광지에 대한 관심과 관광지에 대한 정보 검색행동을 높이는데 최선의 방법을 판단할 수 있다. 셋째, 관광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수록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행동과 관광 결정이 높아진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관광지는 숏폼 비디오 광고를 통해 중국 시니어 관광객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다양한 관광지 콘텐츠를 활성화 시킬 필요가 있다고 본다. 넷째, 정보를 검색하고 나면 관광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더 많은 중국 시니어 관광객을 관광지로 유치하기 위해서는 중국 시니어 관광객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콘텐츠 개발이 중요하며, 숏폼 비디오 광고를 통해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더욱 풍부하게 제공하는 것도 필요하다. 다섯째, 관광 결정은 관광지에 대해 공유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국 시니어 관광객을 목적으로 한 관광지의 상황 변화를 따라가면서 그에 맞는 콘텐츠 개발과 효과적인 광고 전략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구조모형의 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구조모델의 적합도는 수용 가능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숏폼 비디오 광고 관련 구조모델 또한 구조모델 적합도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구조모형 분석결과, AISAS 모델을 토대로 설정된 본 연구모형은 중국 시니어 관광객의 관광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데 적합하다는 사실을 확인해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관광의도에 있어서는 숏폼 비디오 광고에 노출된 숏폼 비디오 광고에 주의를 기울이면 자연스레 관광지에 대한 관심이 생겨나고, 검색 후 관광 결정과 후의 공유행동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는 AISAS 모델을 지지하는 것이며, 숏폼 비디오 광고와 관광의도를 측정함으로써 다양한 각도에서의 중국 시니오 관광객 행동을 예측하고 이해하는데 적용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사찰음식 소비가치가 개인적, 사회적 동일시와 만족도,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 19를 겪으며 소비자들의 건강과 지속가능한 식생활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국내 채식 인구는 250만명, 국내에 있는 비건 식당은 1,555개로 큰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데 그 중 사찰음식은 가장 한국적인 채식으로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사찰음식 소비자가 사찰음식의 어떠한 가치로 개인의 가치관이나 준거 집단의 가치관과 동일하게 여기고 만족까지 이끌 수 있는지, 적극적 행동을 이끌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사찰음식 소비가치가 개인적, 사회적 동일시와 만족도,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찰음식의 감정적 가치와 환경적 가치가 개인적 동일시와 사회적 동일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개인적 동일시는 사찰음식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사회적 동일시는 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찰음식 만족도가 고객시민행동(제안, 도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찰음식의 소비 행동과 관련한 학문적 폭을 넓히고, 외식 및 식품, 관광 기업에서 사찰음식 제품 마케팅 방안을 제시함으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rough COVID-19, consumers' interest in health and sustainable diet continues to increase. In particular, the number of vegetarian populations in Korea is 2.5 million and the number of vegan restaurants in Korea is 1,555, of which temple food is the most Korean vegetarian, attracting a lot of attention not only in Korea but also abroad.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temple food consumption value on personal and social identification, satisfaction, and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in order to find ways to lead active behavior and how temple food consumers c n think the same as individual values or reference group values. The study found that the emotional and environmental values of temple food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ersonal and social identification, while social identification had a negative (-) effect on satisfaction with temple foo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emple food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proposal, help). These results are believed to be able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by expanding the a demic scope related to the consumption behavior of temple food and by suggesting marketing measures for temple food products in restaurants, food, and tourism companies.
MICE 참가동기가 참가제약과 개최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MICE 산업은 관광을 포함한 타 분야의 산업과도 연계되어 경제적인 시너지 효과와 국가 경쟁력을 이끌어내는 주요 전략산업으로써 성장해왔다. 그러나 최근 코로나19의 여파로 인해 타 산업과 마찬가지로 난항을 겪으면서 새로운 전략적 패러다임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MICE 참가동기와 참가제약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참가제약과 개최지 이미지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수요자 관점에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과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MICE 행사에 1회 이상 참여해본 국내 참가자를 대상으로 구글폼을 활용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데이터 클리닝을 통해 불성실한 응답을 제거한 총 339부의 유효한 표본을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AMOS 22.0 통계프로그램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MICE 참가동기 중 추진요인은 대인적 참가제약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내재적 참가제약과 구조적 참가제약에는 상관성을 갖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참가동기 중 유인요인은 내재적, 구조적, 대인적 참가제약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내재적 참가제약은 개최지의 인지적·감성적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대인적 참가제약과 구조적 참가제약은 개최지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MICE 분야에서 참가동기와 참가제약, 개최지 이미지 간의 상관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두고, 실무적 측면에서는 MICE 참가자의 개별적인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다양한 MICE 행사 프로그램을 설계할 필요성과 MICE 이해관계자와 정부적 차원에서의 새로운 마케팅 전략 및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MICE industry has grown into a major strategic industry that leads to economic synergy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in connection with industries in other fields. However, the need for a new strategic paradigm emerged as it was struggling like other industries due to the recent aftermath of COVID-19.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CE attendance motivation and constraints, ident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constraints and the destination's image, and present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and policy directions from a consumer perspective. In this study, an online survey using Google form was conducted for domestic attendance who participated in MICE events more than once. For the collected data, 339 valid samples, which removed insincere responses through data cleaning,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For empirical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and this study's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verifi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ith the AMOS 22.0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ush factor among MICE attendance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personal constraints but had no correlation between intrapersonal constraints and structural constraints. During attendance motivation, the pull factor was found to not affect intrapersonal, structural, and interpersonal constraints. Subsequently, it was confirmed that intrinsic constraints affect the cognitive and emotional image of the MICE destination, but interpersonal constraints and structural constraints did not affect the destination's image. The study has a theoretical value in that it confirmed the correlation between attendance motivation, constraints, and destination's image in the MICE field and, in practice, the necessity of designing various MICE programs and new marketing strategies and directions at the government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