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Role of Leisure Theme Park and Smartphone Experience in Smart Tourism Cities Context : A Case of Shanghai Disneyland

        Lu, Shengjie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Recent years, smart systems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growing rapidly which used in various fields, especially in tourism industry. Based on frameworks and a research model,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impact on smart tourism cities context and tourists’ information needs to smartphone experience and tourist satisfaction in theme park travel experience through a case study of Shanghai Disneyland. This study was first conducted interviewing to discussing the role of smartphone applications to tourists’ information needs and travel plan designing. The vital effect of smartphone applications in solving unexpected situations during travel and meeting personal needs in a timely manner has also been discovered. Secondly, it was conducted using an online questionnaire collected total 519 effective respondents between 19th April to 8th May in 2021. This study found that attractiveness, accessibility, digitalization of smart tourism cities context and functional, hedonic needs of information needs have a positive effect on smartphone use value, but sign needs a non-significant effect on smartphone use value in Disneyland survey. In addition, smartphone use value positively affect transaction and theme park experience satisfaction. This research also enriches related theories and frameworks, emphasizes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smartphone intermediary tourism transformation, and also brings enlightenment for future research on theme parks travel experience and smart tourism cities.

      • Impact of COVID-19 Risk Perceptions on Visit Intention to Smart Tourism Destination

        조민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COVID-19 pandemic has caused an unprecedented upheaval in societies around the world. Based on the frameworks of a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n tourists’ attitudes and changes in the intention to revisit smart tourism cities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that inhibits tourism and the smart tourism technology experience and social media exposure that facilitate tourism.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n online questionnaire and was conducted on people around the world using MTurk in mid-November 2020. This study collected a total of 184 responses, and the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smart tourism technology and exposure to social media have a positive effect on revisiting smart tourism destinations. Additionally, the perceived risk of COVID-19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reactance of freedom of choice. The reactance of freedom of choice was identified to have a non-significant effect on the desire for travel and the intention to revisit the smart tourism city, and they were found to be mutually independent. Finally, the perceived COVID-19 risk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virtual tourism. In this study, beyond simply reviewing existing literature reporting on smart technology, an unprecedented pandemic, virtual tourism, and intention to revisit smart tourism city, it offer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tourism industry, which is preparing for the post-Corona era.

      • 사건 중심성이 외상 후 스트레스 및 성장,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 외식 조리 종사원 중심으로

        정호열 경희대학교 스마트관광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외식 조리 종사원의 사건 중심성이 외상 후 스트레스, 외상 후 성장과 경력 만족, 경력몰입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과거와 달리, 사회적으로 조리사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 그러나 여전히 조리사의 업무환경은 열악하다. 특히, 조리사의 경우, 다른 서비스업 종사원과 비교했을 때, 안전사고에 노출될 위험이 많다. 따라서, 외식 조리 종사원의 사건 중심성이 외상 후 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 경력 만족,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국내 외식업 조리사 내 외식업 조리 종사원 33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고, 이중 문제가 없는 295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외식 조리 종사원의 사건 중심성은 외상 후 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기존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로, 사건 중심성이 외상 후 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 모두 유의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어서, 외상 후 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 사이의 경력 만족에 관해 분석하였다. 외상 후 스트레스는 경력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외상 후 스트레스는 영향을 미쳤다. 선행연구를 보면, 전문직 종사자의 경우 외상 후 스트레스를 덜 받기 때문에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 외상 후 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 사이의 경력몰입에 관한 분석결과 외상 후 스트레스는 경력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외상 후 성장은 경력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외상사고를 경험한 외식 조리 종사원의 경력 만족은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관한 시사점으로는, 외식업 조리 종사원의 사건 중심성에 관한 선행연구가 없었기 때문에 타 연구에 적용 가능한 이론적 배경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외식업 조리 종사원의 외상사건 경험을 통해서 외상 후 스트레스가 경력 만족과 몰입과 같은 인적자원관리에 부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반대로 외상 후 성장은 인적자원관리에 긍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실증적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한계점으로는 국내 외식업에서 종사하는 외식업 조리 종사원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는 다양한 조리 종사원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 방한 외국인 관광객의 이동 공간 네트워크분석 : 트립어드바이저 리뷰를 중심으로

        이병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07

        The understanding of tourist flow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for tourism development. Thus researchers’interest in tourists movement has also increased, and various analysis methodologies for tourist flows are also getting attention. Representatively, the methodology that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is network analysis widely applied to the study of spatial patterns related to the movement of tourists.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criticism is often raised that network-related theories cannot be applied in depth in research on the flows of tourists using network analysi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network analysis methodologies using online big data were applied to the study to understand the flow of inbound tourists movement. Through this, the network analysis, which focused onl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ourism destinations, was expanded to apply additional theories and analyses on the unbalanced distribution of tourism destinations, spatial interaction, and the impact of destination composition in order to discover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ourism destinations. Therefore, first, data on the movement of tourists were collected by TripAdvisor. Based on the online review data written by foreign tourists, it was intended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tourist attractions in Seoul and Gyeonggi-do they visite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conducted for about two months from 06/13 to 08/15 in 2021, and the data which were reviews written from 2016 to 2021 were only collected. This was because the inbound tourism industry in South Korea was stabilized in the year 2016 after the spread of MERS disease in South Korea. Finally, a total of 1,560 people flows were collected based on visit records of 210 tourist attractions in Seoul and Gyeonggi-do. Based on the collected data, basic information such as the average number of visits to tourism destinations in Seoul and Gyeonggi-do was presented, and various methodologies were applied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tourism destinations, classify tourist commun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explore factors that can affect tourists movement. In particular, through QAP(quadratic assignment procedure) regression analysis, the preceding factors that can or cannot affect tourist flows among tourism destinations such as the distance between tourism destinations, regional locations, types of tourism destinations, special tourism zones, famous tourist attractions, and review ratings as explanatory factors were empirically verified. Through this, this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which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ourists movement to tourism destinations. The actual network analysis confirmed that among the tourist attractions, Myeongdong Street, Gyeongbokgung Palace, Namsan Seoul Tower, Bukchon Hanok Village, Insa-dong, Namdaemun Market, Changdeokgung Palace, and Cheonggyecheon Stream in Seoul and Gyeonggi-do are key tourist attractions. Moreover, through the measurement of network structural hole, Myeongdong Street, Gyeongbokgung Palace, Namsan Seoul Tower, Insa-dong, and Bukchon Hanok Village among tourist attraction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found to be large effective size and less constraint. In the network community analysis, seven communities were derived tourist attractions in Seoul and Gyeonggi-do. However, the modularity was very low at 0.04, thus the independence of the seven communities was also low. Finally, through QAP regression analysis, it was proved that the factors which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ourists flow networks in Seoul and Gyeonggi-do are the volume of tourists visits, the range of tourism destinations, and the distance between tourism destinations. In this way, the network analysis showed various results on the movement of tourists in tourist attrac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nd based on this, more in-depth implications could be derived. First of all, looking at the research implications, it can be suggested that online reviews, which are contents generated by tourists, were applied to the study of tourists movement. In addition, it means that network science was applied to research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ourist attractions in the complex, nonlinear, and dynamic characteristics of tourism. This can also be seen as meaning that among the network analysis methodologies for research on tourists movement, this study used various methods of the network analysis for tourist flows to derive implications. Looking at the practical implications examined in this analysis, first, it is possible to derive implications for a tourism policy that disperses tourist flows concentrated in Seoul to Gyeonggi-do. Second, in order to disperse and spread the tourist flow phenomenon concentrated in some areas of Seoul, this study found that linking tourist flows between popular and unpopular tourist attractions is very necessary. Third, an integrated tourism marketing strategy between tourist attractions close to each other could be effective to revitalize unpopular tourist attrac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관광객들의 이동에 대한 이해는 관광발전을 위한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라고 제시되고 있다. 이에 관광이동에 대한 학계의 관심도 증가하여 관광객 이동에 대한 다양한 분석방법론들도 주목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대표적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방법론은 네트워크분석으로 관광객들의 이동과 관련된 공간패턴 연구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관광객들의 이동에 대한 연구에서 종종 네트워크관련 이론을 깊이 있게 적용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인바운드 관광객들의 관광이동에 대한 흐름을 파악하기 위하여 온라인 빅데이터를 활용한 네트워크분석 방법론을 연구에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관광지의 구조적 특징에만 집중되어 있는 네트워크분석을 확장하여 관광지들의 불균형한 분포, 공간적 상호교류, 관광지 구성의 영향관계 등에 대한 추가적인 이론과 분석을 적용하여 관광객들의 관광지 이동에 대한 더 깊이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먼저 관광객들의 이동에 관한 자료는 트립어드바이저(Tripadvisor)에서 수집하였다. 외국인 관광객들이 남긴 온라인 리뷰자료를 바탕으로 그들이 방문한 서울과 경기도 관광지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자 하였다. 자료의 수집기간은 2021년 06월 13일부터 2021년 08월 15일까지 약 2개월간 진행하였고, 자료수집 대상은 2016년부터 2021년 사이의 기간에 남겨진 관광지 방문 정보만을 수집하였다. 이는 국내 메르스(mers) 질병확산으로 인한 인바운드 관광산업이 타격을 입었던 2015년 이후 관광산업이 정상화된 2016년부터의 자료를 기준으로 수집하였고, 이후 2021년까지의 모든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적으로 서울과 경기도 210개의 관광지들에 대한 방문기록을 바탕으로 총 1,560명의 정보를 취합하였다. 이렇게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서울과 경기도 관광지 평균 방문횟수 등과 같은 기초적인 정보를 제시한 후 네트워크분석의 다양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관광지에 대한 중요도 파악과 서울 및 경기도 지역에서의 관광지 커뮤니티 구분, 그리고 관광객 이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탐색을 실시하였다. 특히 QAP 회귀분석을 통해서는 관광객들의 관광지 간 이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행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관광지 간의 거리, 지역위치, 관광지 형태, 관광특구여부, 유명관광지 여부, 그리고 관광지 평점 등을 설명요인으로 설정한 후 어떠한 요인이 관광객들의 관광지 이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실제 네트워크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중심성 분석을 통해 서울과 경기도의 관광지들 중 명동거리, 경복궁, 남산서울타워, 북촌한옥마을, 인사동, 남대문시장, 창덕궁, 청계천 등의 순으로 관광객들의 방문과 이동이 많은 핵심적인 관광지들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네트워크 구조적 공백 측정을 통해 서울과 경기도의 관광지들 중 명동거리, 경복궁, 남산서울타워, 인사동, 북촌한옥마을 등이 유효규모가 크면서 제약성이 낮은 관광지들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네트워크 커뮤니티분석에서는 서울과 경기도 관광지들을 대상으로 7개의 커뮤니티를 도출하였다. 그러나 모듈성이 0.04로 매우 낮게 나타나 7개로 도출된 커뮤니티들의 독립성은 매우 낮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QAP 회귀분석을 통해서는 서울과 경기도에서의 관광객들 이동 네트워크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소들이 관광객들의 방문규모, 관광지 거리범위, 관광지 간 거리라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이렇게 네트워크분석은 서울과 경기도 관광지들에서의 관광객들 이동에 대한 다양한 결과를 보여주었고, 이를 바탕으로 더 깊이 있는 시사점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우선 학술적 시사점들부터 살펴보면, 관광객들이 생성한 콘텐츠인 온라인 리뷰를 관광객들의 관광이동 연구에 적용하였다는 의미를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관광의 복잡하고 비선형적이면서 역동적인 특성 속에서 관광지들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과학을 연구에 적용하였다는 의미를 갖는다. 이는 관광객 이동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채택한 네트워크분석 방법론들 중 본 연구에서 적용 가능한 분석방법들을 모두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관점의 시사점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는 의미로도 바라볼 수 있다. 이렇게 살펴본 학술적 시사점들과 함께 실무적인 시사점들도 살펴보면 첫째, 서울에 집중된 관광이동을 경기도로 분산시키는 관광정책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둘째, 서울 일부지역에 집중된 관광이동 현상을 서울과 경기도의 다양한 관광지들로 분산 및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인기 관광지들과 비인기 관광지들 간의 관광이동 연계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비인기 관광지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서로 근접한 관광지들 간의 통합적인 관광마케팅 전략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굿즈상품(GOODS) 소비가치에 따른 PAD감정반응이 브랜드 카리스마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를 중심으로

        고아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에서는 굿즈상품(GOODS) 소비자들의 소비 가치를 통해 PAD 감정반응을 확인하고 이 감정반응이 브랜드 카리스마와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굿즈상품(GOODS)을 가장 많이 구입하고 있는 MZ세대(1980년생~2004년생)를 대상으로 하여 총 371개의 표본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방법 SPS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AMO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 분석 및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 번째. 굿즈상품(GOODS) 소비자들의 소비 가치인 사회적, 감정적, 실용적, 혁신적 가치는 모두 PAD 감정반응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자아 가치는 환기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지배력과 즐거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둘째, PAD 감정반응인 지배력, 즐거움, 환기는 모두 브랜드 카리스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브랜드 카리스마는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굿즈상품(GOODS)을 주기적으로 구입하는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식품 외식기업들의 효과적인 굿즈 마케팅 전략 개발을 할 수 있는 데이터로 제공될 뿐만 아니라 굿즈상품(GOODS) 소비자들의 소비 가치와 그에 관한 변수들의 사이의 영향 관계를 이해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굿즈상품(GOODS)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MZ 세대 소비자들의 굿즈상품(GOODS) 구입에 대한 다양한 이론 및 실무적 시사점이 제공 될 것이라 생각한다. In this study, we identify PAD emotional responses through the consumption value of goods product (GOODS) consumers and analyze whether this emotional response affects brand charisma and brand loyalty. A total of 371 sampl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for the MZ generation (1980-2004), who purchased the most goods products (GOOD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analysis method SPSS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nd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AMOS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he first one from the research. While social, emotional, practical, and innovative values, which are consumer values of goods products (GOODS) consumers, a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AD emotional responses, self-values onl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ventilation, and no impact on dominance and enjoyment. Second, control, pleasure, and ventilation, which are PAD emotional responses, can all be see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charisma. Finally, brand charisma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loyalty. In other words, these findings are provided as data to develop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for food companies that can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consumers who periodically purchase GOODS, as well as to understand the impact between GOODS consumers' consumer values and their variables.

      • 박물관 실감콘텐츠(Immersive Contents) 이용에 따른 체험가치, 공동가치창출 태도 및 행동 간 구조관계 연구

        이주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 실감콘텐츠 이용에 따른 체험가치가 공동가치창출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구조관계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두 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제 1단계로 Q 방법론을 통해 박물관 관람객의 주관성을 파악하여 공동가치창출 태도 측정항목을 도출하였고, 제 2단계는 1단계에서 도출된 공동가치창출 태도 항목을 VAB(Value-Attitude-Behavior) 모형에 적용하여, 박물관의 체험가치와 공동가치창출 태도 및 행동 간 구조관계를 분석하였다. 제 1단계의 Q 방법론을 이용한 연구 분석결과 공동가치창출 태도는 상호작용, 지식공유, 문화향유, 동반성장, 공공성 등의 다섯 가지 하위개념의 18개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제 2단계는 국립중앙박물관 실감콘텐츠를 이용한 관람객을 대상으로 484부의 유효한 설문자료를 사용하여 실증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 1단계에서 도출한 다섯 가지 개념의 항목들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한 결과 17개의 항목들로 구성된 5개 요인(상호작용, 지식공유, 문화향유, 동반성장, 공공성)이 도출되었다. 둘째, 구조모형 분석결과 박물관의 체험가치와 지각된 가치는 박물관 공동가치창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박물관 공동가치창출 태도는 박물관 공동가치창출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주요 학술적 시사점으로는 박물관 공동가치창출 태도 항목 도출 및 요인화를 시도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공동가치창출의 개념을 박물관 분야로 확장하여 도출된 박물관 공동가치창출 태도와 박물관 실감콘텐츠 이용에 따른 체험가치, 박물관 공동가치창출 행동 간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VAB 모형을 적용하여 선행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뒷받침하였고 나아가 새로운 연구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박물관의 체험가치와 관람객의 지각된 가치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정보통신기술과 메타버스를 활용한 실감콘텐츠의 다양화와 고품질화를 제시하였으며, 관람객의 편의를 위한 시설과 설비 확충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박물관 공동가치창출을 위한 상호작용, 지식공유, 문화향유, 동반성장, 공공성 등의 측면에서의 전략적 발전방안을 제시하였고, 박물관 클러스터를 확장한 복합문화공간 클러스터 조성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experience value that was based on the use of immersive contents in the museum, value co-creation attitude, and value co-creation behavior. To this en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stages. In the first stage, by applying the Q methodology, the subjectivity of museum visitors was identified, and measurement items of value co-creation attitude ​​were derived. In the second stage, the value co-creation attitude items derived from the first stage were applied to the VAB(Value-Attitude-Behavior) model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museum's experiential value, value co-creation attitude, and value co-creation behavior. As a result of the Q methodology analysis in the first stage, five dimensions of value co-creation attitude ​​were derived from 18 items, namely interaction, knowledge sharing, cultural enjoyment, mutual growth, and publicness. In the second stage,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data of 484 valid questionnaires completed by visitors who used the immersive contents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18 items derived from the first stage was examined, but 17 items were proved as valid and reliable after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econd,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revealed that both museum's experience value and perceived value had positive effects on value co-creation attitude which in turn, had a positive effect on value co-cre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s to tourism literature by deriving and validating the museum's value co-creation attitude scale. In addition, this study revealed the influence relationships among the derived value co-creation attitude, experience value, and value co-creation behavior based on the museum's immersive contents. Finally, this study developed a new research framework by applying it to the VAB model.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diversification and high quality of immersive contents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and metaverse were proposed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experience value and perceived value of museum. Also, the necessity of upgrading and expanding facilities was proposed for the convenience of visitors. In addition, strategic development plans were suggested in terms of interaction, knowledge sharing, cultural enjoyment, mutual growth, and publicness to enhance value co-creation. Finally, the creation of a cultural complex cluster that expands the museum cluster was suggested.

      • 지속 가능한 컨벤션 개최 레거시(Legacy) 평가 지표 개발 연구

        김미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07

        컨벤션 산업은 국제사회의 정보‧문화‧인적 교류를 가능하게 해주는 매개체로서 주목받고 지속해서 육성되어오고 있다. 특히, 지역경제에 대한 파급효과와 생산 및 고용 등 다양한 부가가치 창출 효과가 높은 산업으로 인식되며, 다양한 도시와 목적지에서 컨벤션 산업 경쟁력의 향상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컨벤션 산업의 가치를 밝히기 위해 다수의 연구에서 컨벤션 개최 효과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대다수의 연구에서 언급된 효과들은 ‘지역’ 중심의 방문자 경제 효과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는 점에서 그 한계가 있다. 특히 온라인, 하이브리드 컨벤션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비대면 컨벤션의 개최로 인해 그동안 강조되어왔던 지역에 대한 파급효과나 방문자 경제를 기대하기 어렵게 되었다는 점에서 기존에 연구되었던 컨벤션 파급효과 이상의 새로운 컨벤션의 가치를 파악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단기적인 개최 효과와 구분되는 개념으로 보다 장기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치인 컨벤션 레거시의 개념이 등장하였다. 지속 가능한 컨벤션으로의 발전과 컨벤션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컨벤션 레거시에 대한 관심이 유럽과 미주를 중심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주로 컨벤션뷰로를 중심으로 레거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와 관련한 학술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컨벤션 개최 레거시의 개념과 속성을 도출하고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컨벤션 산업이 가진 가치를 더욱 명확히 제시하고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조사, 사례조사, 심층 인터뷰, 델파이 조사, AHP 조사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문헌조사, 사례조사, 심층 인터뷰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컨벤션 개최 레거시의 개념과 속성, 구성 차원을 도출하였다. 컨벤션 개최 레거시는 ‘컨벤션 개최로 인해 발생하는 긍정적이고 장기적인 가치’를 의미하며, 가치성, 지속성, 계획성, 비계획성, 지역성, 확장성의 속성을 지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주제산업 레거시, 경제적 레거시, 지역적 레거시, 사회적 레거시, 환경적 레거시 5가지로 차원으로 구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부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우선순위를 통한 가중치를 부여하기 위하여 델파이 조사와 AHP 조사를 시행하였다. 다양한 분야의 의견수렴을 위하여 PCO를 중심으로 한 서비스 제공자군, 베뉴와 CVB & RTO 등을 포함하는 개최지군, 컨벤션 주최자군, 대학교수, 연구원 등으로 구성된 연구자군으로 패널을 구성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총 35명, AHP 조사는 총 26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최종적으로 5개 대분류 18개 중분류 54개 세부 항목을 도출하고 그 우선순위와 가중치를 도출할 수 있었다. 크게는 주제산업 레거시, 경제적 레거시, 지역적 레거시, 사회적 레거시, 환경적 레거시 순으로 중요도를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분류와 세부 항목 간 중요도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사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학술적으로는 컨벤션 분야에서 레거시 개념에 대한 학술적 접근을 시도한 국내 초기 논문으로 그 의의가 있으며, 컨벤션이 가진 효과의 개념을 확장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을 밝혔다. 또한, 실무적으로는 컨벤션 관련 정책 이해관계자들과 컨벤션 주최자, 컨벤션뷰로를 비롯한 개최지, 컨벤션 서비스 제공자 등 다양한 컨벤션 산업의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컨벤션 개최 레거시의 개념과 평가지표를 활용하는 방안과 연구 결과를 실제에 접목할 수 있는 방향성에 대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컨벤션 개최 레거시의 개념과 평가지표가 학계와 산업에 널리 적용된다면, 지속 가능한 컨벤션이 가능해지고, 컨벤션의 가치가 더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소비가치가 프랜차이즈 모기업 이미지와 브랜드 태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ESG 경영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보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07

        Currently, people around the world are trying to solve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greenhouse gas emissions, water shortages, water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As general consumers are paying a lot of attention to these environmental issues, franchise companies are also interested in ESG management and conducting various activities in line with this trend. Since COVID-19, people's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 has risen further, and this perception will also affect consumers' consumption behavior. The increase in moral and conscious consumers' interest in "sustainable consumption" is the same worldwide, and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on the negative effects of today’s behaviors on the planet.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more companies and consumers are focusing on environmental issues and sustainable consumption. However, in Korea, there are not many empirical studies that have verified the influence of sustainable management, especially focusing on ESG management activities from the consumer side. Accordingly,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used consumption valu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it toward the parent company's image, brand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Also, this study tried to distinguish the groups according to existence of ESG management activities of franchise companies and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m by using multiple group analysi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sample of consumers who have used franchise brand restaurants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s, and a total of 440 samples were selected for statistical analysis. Among 440 samples for the experimental design, 221 samples of ESG management activities and 219 samples of general marketing activities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The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s of influence between the consumption values of group 1 (ESG management activity O) and the image of the parent company were 0.462 (t=4.60, p<0.001) of self-transcendence and 0.034 (t=0.438) of self-enhancement. Therefore, in this case, only self-transcendence consumption value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it. In addition, the degrees of influence between consumption values and brand attitude were 0.175 (t=2.427, p<0.05) of self-transcendence and 0.134(t=2.480, p<0.05) of self-enhancement. Therefore, in this case, these two consumption values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brand attitude. Second, the degrees of influence between the consumption values of group 2 (ESG management activity X) and the image of the parent company were 0.277 of self-transcendence (t=3.13, p<0.01) and 0.064 of self-enhancement (t=0.79). Therefore, in this case, only self-transcendence consumption value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it. Also, the degrees of influence between consumption value and brand attitude were 0.171 (t=3.25 and p<0.01) of self-transcendence and 0.064(t=1.40) of self-enhancement. Only self-transcendence consumption value had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 Third, in both cases of group 1 (0.767, t=8.72, p<0.001) and group 2 (0.876, t=11.95, p<0.001), franchise parent company image had a positive (+) effect on brand attitude. Moreover, both group 1 (0.82, t=10.56, p<0.001) and group 2 (0.843, t=13.001) had a strong positive attitude on behavioral intention. Finally,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n ESG management activities,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found in the path between self-transcendence consumption value and parent company image as χ²= 4.378, and in the path between the parent company image and attitude as χ²= 7.159 (verification criteria: χ²> 3.84, df=1, p<.05). As a contribution of this study, it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academics by expanding the theory by conducting empirical research on ESG management activities of franchise companies. Moreover, it indicates that franchise companies' practice of ESG management activities will be helpful to increase consumers’ positive perceptions towards companies’ images and attitudes. Therefore, if a company conducts marketing strategy that it is practicing ESG management activities, it will bring positive results that eventually lead increases in the desirable recommendation and intention of consumers. 현재 전 세계는 심각한 환경문제인 온실가스 배출, 물 부족, 수질오염, 기후변화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문제는 일반 소비자들도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기에 이러한 흐름에 맞춰 프랜차이즈 기업들도 ESG경영에 대해 관심을 가지며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코로나 19 이후로 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더욱 고조되었으며 이러한 인식은 소비자들의 소비행동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개념 있고 의식 있는 소비자들의 ‘지속가능한 소비’에 대한 관심 증가는 전 세계적으로 동일하며 이러한 소비자의 행동이 지구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 문제와 지속 가능한 소비에 초점을 맞추는 기업과 소비자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소비자 측면에서의 지속가능경영 즉, ESG경영활동의 영향력을 검증한 실증연구는 아직 많지 않은 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타주의 가치와 자아증진 가치를 독립변수로 사용하여 모기업 이미지와 브랜드 태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프랜차이즈 기업의 ESG경영활동 유무에 따른 다중집단분석을 활용하여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이용해 본 적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여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440부의 표본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실험설계를 통해 440부 중 ESG경영활동을 하는 기업에 대한 자극물을 읽고 응답한 221부와 일반적인 마케팅활동에 대한 자극물을 읽고 응답한 219부에 대해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T-test,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다중집단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1(ESG경영활동O)의 소비가치와 모기업의 이미지의 영향관계 정도는 이타주의 0.462(t=4.60, p<0.001), 자아증진0.034(t=0.438)로 이타주의 가치만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비가치와 브랜드 태도의 영향관계 정도는 이타주의 0.175(t=2.427, p<0.05), 자아증진 0.134(t=2.480, p<0.05)로 두가지 가치 모두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 2(ESG경영활동 X)의 소비가치와 모기업의 이미지의 영향관계 정도는 이타주의 0.277(t=3.13, p<0.01), 자아증진 0.064(t=0.79)로 이타주의 가치만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비가치와 브랜드 태도의 영향관계 정도는 이타주의 0.171(t=3.25, p<0.01), 자아증진 0.064(t=1.40)으로 이타주의 가치만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 1(0.767, t=8.72, p<0.001), 과 집단2(0.876, t=11.95, p<0.001) 모두 프랜차이즈 모기업 이미지는 브랜드 태도에 강한 정(+)의 영향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넷째, 집단 1(0.82, t=10.56, p<0.001), 과 집단2(0.843, t=13.12, p<0.001) 모두 브랜드 태도는 행동의도에 강한 정(+)의 영향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ESG경영활동 여부에 대한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통계 분석 결과, 집단간의 차이는 이타주의 가치와 모기업 이미지의 경로에서 Δχ²= 4.378와 모기업 이미지와 태도의 경로Δχ²= 7.159에서 집단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검증기준: Δχ²> Δχ²=3.84, Δdf=1, p<.05)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프랜차이즈 기업의 ESG경영 활동에 관한 실증연구를 진행하여 이론을 확장해 학문의 발전에 기여하였으며, 프랜차이즈 기업이 ESG경영 활동을 실천하는 것이 기업의 이미지와 태도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증가시켜 이용의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기업이 마케팅을 진행할 때 ESG경영활동을 실천하고 있는 것을 강조한다면, 기업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추천, 이용의도가 높아지는 긍정적인 결과를 불러올 것으로 사료되어 기업의 적극적인 ESG활동은 기업경영에 효과적일 것이라는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 플랫폼 노동자의 직무요구와 직무자원(JD-R), 일-여가갈등, 심리적웰빙에 관한 연구 : 주문형 음식 배달원을 중심으로

        성은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07

        긱 경제의 급속한 성장과 플랫폼 기술의 발달로 플랫폼 노동의 확산이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플랫폼 노동자의 일종인 주문형 음식 배달원은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대폭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주문형 음식 배달원의 열악한 직무환경에 따른 개선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주문형 음식 배달원의 열악한 직무환경이 삶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문형 음식 배달원의 업무(JD-R 모델) 측면과 비업무(일-여가갈등, 심리적웰빙) 측면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토하였다. 분석을 위해 주문형 음식 배달원 총 220명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주문형 음식 배달원의 직무요구를 시간압박, 직업적고립으로 구성하였으며, 직무자원으로는 온라인사회적지지(감정적지지, 정보적지지), 고객가치공동창출행동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직무요구(시간압박, 직업적고립)는 일-여가갈등을 높였다. 셋째, 직무요구 중 시간압박은 심리적웰빙을 낮췄지만, 직업적고립은 심리적웰빙을 높였다. 넷째, 직무요구와 일-여가갈등 간의 관계에서 감정적지지와 고객가치공동창출행동은 일-여가갈등을 완화하였다. 마지막으로, 감정적지지와 고객가치공동창출행동은 직업적고립과 심리적웰빙 간의 관계에서도 긍정적 효과를 더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JD-R모델을 플랫폼 노동자의 직무환경에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가 있으며, 직무 및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실무적인 시사점도 제공하였다. The spread of platform labor is accelerating due to the rapid growth of the gig economy and the advancement of platform technology. In particular, on-demand food couriers, a type of platform worker, have expanded dramatically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Accordingly, initiatives to ameliorate the poor environment of on-demand food couriers are requir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impact of the poor job environment on their lives. To this e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JD-R model) aspect and the non-work(work-leisure conflict, psychological well-being) aspect was reviewed. A total of 220 samples were collected from on-demand food couriers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first, the job demands consisted of time pressure and professional isolation. And job resources consisted of online social support(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customer value co-creation behavior. Second, job demands(time pressure, professional isolation) exacerbated work-leisure conflict. Third, time pressure decreased psychological well-being, but professional isolation increased it. Fourth, emotional support and customer value co-creation behavior alleviated work-leisure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work-leisure conflict. Finally, emotional support and customer value co-creation behavior were also found to be factors that increased the positive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isol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has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the JD-R model was applied to the job environment of platform workers, and also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job and living environment of on-demand food couriers.

      • 신한류 관광의 문화적 지속가능성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 적용

        최아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07

        1990년대 후반 탄생한 문화 현상 한류는 관광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을 연계하여 넓은 범위로 확장되었으며, 한류의 재점화를 의미하는 신한류로 불리고 있다. 오늘날 신한류의 비약적인 성장에서 파생된 신한류 관광에 있어 다각화된 문화 체험 형태와 방식이 물리적 이동 없이도 관련한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화 현상 신한류와 신한류 관광의 지속가능성에 관해 고찰하기 위하여 지속가능성의 3대 축(pillar)인 환경, 사회 및 경제적 차원에서 확대된 문화적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어 신한류 관광의 문화적 지속가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신한류, 신한류 관광의 개념 제시 및 이론통합과, 신한류 관광의 문화적 지속가능성 형성과정 규명 및 이론통합을 위해 귀납법과 연역법의 조화를 시도하여 새로운 현상을 규명한 Strauss & Corbin(1990)의 근거이론을 적용하였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문화라는 큰 개념에서부터 문화 현상 신한류를 고찰하고, 신한류 관광, 그리고 문화적 지속가능성으로 좁혀나가는 역삼각형 방식으로 문헌을 검토하여 각 용어의 개념을 재정리하고 조사와 분석에 연결하였다.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다양한 입장의 1차 자료와 방대한 시간적 범위의 2차 자료를 수집하고자 하였으며, 새로운 내용이 더 이상 도출되지 않는 시점까지 분석하여 이론적 포화를 이루고자 하였다. 1차 자료수집 과정에서는 2020년 12월부터 2021년 2월까지 주제에 대해 깊은 견해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다양한 이해관계자 14명을 목적적 표본추출법과 스노우 볼링 표본추출법을 통해 선정하여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2차 자료 활용을 위해 심층적으로 국내외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의 시작과 동시에 분석을 병행하며, 표본을 늘려가는 방식으로 개방표본추출, 변화적 표본추출, 그리고 차별적 표본추출이라는 단계를 거쳐 1차 자료와 2차 자료를 체계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자료의 분석은 귀납적 유도와 연역적 사고를 반복하는 나선형 연구를 지향하는 근거이론 전략을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질적 자료 분석 프로그램 MAXQDA 2020을 활용하여 개방 코딩, 축 코딩, 그리고 선택 코딩이라는 세 단계를 걸쳐서 수행하였다. 개방 코딩에서는 자료를 해체하고 개념화, 범주화하여 결과적으로 76개의 개념, 18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6개의 범주로 분류하였다. 축 코딩에서는 각 범주의 패러다임 도출을 통해 현상의 구조와 범주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인과적 조건은 ‘신한류 관광의 잠재력 인식’, 중심현상은 ‘신한류 관광의 다이내믹스’, 맥락적 조건은 ‘신한류 관광의 정체성 확립’, 중재적 조건은 ‘이해관계자 간의 역할’,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신한류 관광의 시장 경쟁 우위’, 그리고 결과는 ‘신한류 관광의 문화적 지속가능성 형성’으로 도출하였다. 각 조건과 전략은 중심현상을 중심으로 속성의 차원에 따라 관계를 맺으며 결과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택 코딩에서는 핵심범주를 선택하고 이론통합의 정교화를 이루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신한류 관광의 안정적 문화생태계 형성’이 핵심범주로 도출되었으며, 보조적 범주들과의 관계에 따라 유형Ⅰ ‘공공 지원 중심 발전형’, 유형Ⅱ ‘민간 주도적 발전형’, 유형Ⅲ ‘협력 관계 중심 발전형’과 유형Ⅳ ‘경쟁 관계 중심 발전형’이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Porter(1998)의 가치 사슬을 활용하여 신한류 관광의 문화생태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결론적으로 신한류, 신한류 관광, 그리고 신한류 관광의 문화적 지속가능성 형성과정에 관한 통합 이론을 제시하였다. 신한류를 “대한민국 대중문화 중심의 의미 생성을 통해 관련 산업의 자산과 대중의 삶의 방식에 변화를 유도하며 새로운 문화적 유행을 만들어 다양한 파급효과를 발생시키는 국제적 문화 현상”으로 이론 통합하였다. 신한류 관광은 “신한류에서 파급된 대한민국의 독특한 문화관광 경험의 과정이자, 사회문화적 공간에서 발생하는 문화 실체의 실용적 현상”으로 이론 통합하였다. Soini & Dessein(2016)이 제시한 문화적 지속가능성의 3가지 접근 중 신한류 관광의 문화적 지속가능성은 ‘지속가능성으로서의 문화’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기호현상으로서의 문화적 관점으로 연결하여 Barthes(1967)의 의미작용과 비교·분석하여 이론통합하였다. 결과적으로 1차적 단계 외연적 의미, 2차적 단계 내포적(함축적) 의미, 그리고 3차적 단계 산업적 의미 형성이라는 총 3단계의 과정이 존재하고, 각 범주가 단계별 의미작용 과정에서 관계를 맺으며 신한류 관광의 문화적 지속가능성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문화의 복합적 총체로 볼 수 있는 신한류 관광의 문화적 지속가능성 형성과정을 탐구함으로써 학술적 가치와 정책적·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향후 연구에서는 신한류 관광의 주체인 외국인 방문객의 시각(gaze)에서 인식하는 현상을 좀 더 심층적으로 분석되어야 하고, 이를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현장 경험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핵심 단어: 신한류, 신한류 관광, 문화적 지속가능성, 근거이론 A Study on the Cultural Sustainability of the New Korean Wave Tourism :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The Korean Wave, which began in the late 1990s, has been extended to a wide range by linking cultural aspects with various industries. Now, this cultural phenomenon is referred to as the New Hallyu, meaning the re-ignition of the Korean Wave. Meanwhile, the New Hallyu tourism has been derived from the rapid growth of the New Hallyu. Related to the New Hallyu Tourism, there is a phenomenon in which diversified forms of cultural components enable consumers to have tourism experiences without physical movement. This study examined the sustainability of the cultural phenomenon of the New Hallyu and the New Hallyu tourism, focusing on the cultural sustainability of the New Hallyu tourism. Cultural sustainability is a new pillar among three sustainable principles: environmentally sound, socially identifiable, and economically viable. This study applied the grounded theory of Strauss & Corbin (1990) to identify a new phenomenon by harmonizing the inductive and deductive approaches for integrating theories of ‘the New Hallyu’, ‘the New Hallyu tourism’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cultural sustainability of the New Hallyu tourism’. The study collected the primary data from various positions that could explain the phenomenon and the secondary data in a vast temporal range. During the process, the study tried to achieve the theoretical saturation by analyzing the data until new content was no longer derived. The primary data collection process started from December 2020 to February 2021. Fourteen stakeholders with deep views on the topic were chosen to conduct in-depth interviews through the objective sampling method and the snowballing sampling method. As for the secondary data, domestic and foreign data were collected and used. As soon as these data were collect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The primary and secondary data were systematically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e steps of open sampling, variable sampling, and differential sampling in a way that increases the sample size. The research data analysis applied the grounded theory strategy to pursue a spiral study that repeats inductive induction and deductive thinking. Specifically, using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program MAXQDA 2020, three stages of open coding, axis coding, and selective coding were performed. In the open coding stage, the data were deconstructed, conceptualized, and categorized. As a result, the study classified data into 76 concepts, 18 subcategories, and 6 categories. In the axis coding stage, this research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e of the phenomenon and each category at the coding paradigm. The paradigm categories are derived as follows: the causal condition ‘Recognition of the Potential of the New Hallyu Tourism’, the central phenomenon ‘Dynamics of the New Hallyu Tourism’, the contextual condition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of the New Hallyu Tourism’, the intervening condition 'Role between Stakeholder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Market Competitive Advantage of the New Hallyu Tourism’, the consequences ‘Formation of Cultural Sustainability of the New Hallyu Tourism’. This study revealed that each condition and strategy could change the result by forming a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attribute's dimension centered on the central phenomenon. In the selective coding stage, this study selected a core category and achieved the elaboration of theory integr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Formation of a Stable Cultural Ecosystem of the New Hallyu Tourism’ was derived as a core category, and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subsidiary categories, Type I 'Public support-oriented development type’, Type II 'Private-led development type’, Type III 'Cooperation relation-centered development type’ and Type IV 'competition-oriented development type’ were confirmed. Finally, the cultural ecosystem of the New Hallyu tourism was derived by using Porter(1998)'s value chain. In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an integrated theory on the New Hallyu, the New Hallyu tourism, and forming the cultural sustainability of the New Hallyu tourism. The New Hallyu was theoretically integrated as follows: “an international cultural phenomenon that induces a new cultural trend and generates various ripple effects by inducing changes in the assets of relevant industries and the way of life of the public through the creation of significations centered on the popular culture of Korea.” The New Hallyu tourism is theoretically integrated as “a process of Korea’s unique cultural tourism experience spread from the New Hallyu, and a practical phenomenon of cultural reality occurring in socio-cultural space.” Among the three approaches to cultural sustainability suggested by Soini & Dessein (2016), the cultural sustainability of the New Hallyu tourism was identified as ‘culture as sustainability’. This semiotic point of view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Barthes(1964)’ signification stage. Consequently,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cultural sustainability of the New Hallyu tourism was classified as the following three steps: primary-stage denotation, secondary-stage connotation, and tertiary-stage industrial meaning. It appeared that within the signification stage, each category formed the cultural sustainability of the New Hallyu tourism in relation to each other. This study derives theoretical values,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exploring the process of forming cultural sustainability of the New Hallyu tourism viewed as a complex totality of culture. Future studies to overcome the research limitations should be conducted to analyze the phenomenon in the perspective of foreign visitors(gaze), the main subject of the New Hallyu tourism, and raise the need for field experience research to verify it objectively. Key words New Korean Wave(New Hallyu), New Korean Wave Tourism(New Hallyu Tourism), Cultural Sustainability, Grounded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