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야기식 학습자료의 개발·적용이 실업계 고등학생의 수학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농어촌 공업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민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초학력이 저조하고 수학수업에 흥미를 거의 느끼지 못하는 농어촌 공업계 고등학생들에게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학습 동기유발을 위한 이야기식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3월부터 7월까지 교수·학습 활동에 적용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기초학력이 매우 부족하고 수학에 대한 자신감 상실로 인하여 학력 수준 뿐 아니라 흥미 태도 면에서도 부정적인 학생이었는데, 이야기식 학습자료를 재량활동시간에 이용하고 가정 학습지를 활용한 결과 수학 교과에 대한 흥미와 태도의 긍정적인 변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집단의 크기가 적고, 적용기간이 짧은 가운데 얻어진 결과이므로 다른 집단에서는 동일한 변화가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연구 기간 동안 기대되는 많은 변화를 통하여 계속 실행한다면 수학 학습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여 수학 학습 지도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 본 연구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7차 교육과정에서의 수학능력시험은 10단계(고1)까지 국민공통기본교과로서 시험범위에 들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기초학력이 부족한 농어촌 공업계 학생들에게 수능시험과 관계없이 실생활과 관련 있는 적합한 수학과 교재 개발을 위해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2. 각 단원마다 필요한 퍼즐문제를 여러 유형으로 개발하여 학습자료에 첨가하고 활용하면 학생들의 학습 능률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3. 각 이야기 자료에 간단하게 수학 교과 내용을 첨부한 학습자료를 제작하여 일선 수학교사들에게 수업교재로 보급되었으면 좋겠다. Since March 2002, we have thought that our students are poor at elementary learning skill in math. Also we felt that they seemed to give up learning math because they feel hardly interested in math and think math is very hard. They had been afraid of math and paid no attention to math until they became high school students. So we felt that it was necessary for us to make them have interests in math by developing and applying new teaching materials that can be learned to learn more easily. Also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se teaching materials and these methods, we believe that we made them learn basic concepts of math and have positive change of learning attitude to math in class. From this March to July, I developed "the story-teaching materials" for bringing motive in learning, analyzed and applied it to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in farming and fishing areas who were not interested in math. And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analyses of what I did with the materials in my class during that period. From the result of the analysis, we found out that they were changed from being negative toward math to being positive by using this method. So their attitude, attention and the abilities of solving math question improved to a satisfying extent. In this study the size of group was small and the period of application of the method in my class was short, so the same result might not occur in other groups. However, the positive changes that we could find in this research period make us believe if we keep teaching with this method, we make them have good and positve attitude toward math . Based on the problems found in the progress of promoting our research, I'd like to suggest a few points as follows. 1. As mathematics in this 7th Curriculum, not being included as a required subject in Sat(Scholastic Aptitude Test), we are required to continue our study to develop suitable math materials based on our real life for 역 students who have limited basic scholastic abilities. 2. We can increase the learning efficiency of the students through developing various puzzle games appropriate for each chapter and applying them in math class. 3. We hope this kind of story materials with basic math learning contents to be offered to the math teachers in the field as teaching materials.

      • 수학적 표현을 강조한 구체적 조작활동의 중학교 1학년 문자와 식 영역 지도 연구

        황정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7th curriculum of our country sets the aim of the math learning on 'Extension of the mathematical ability', respects learners' autonomy & creativity, and makes much of learning activities & mathematical experiences of students. Also, in the instructive learning, it emphasizes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principles & rules using concrete operative teaching tools & learning materials. So, in this study, in the section 'Character & Formula', I think an instruction is required, which makes students having poor progress in math learning understand concepts by their own concrete operative activities rather than by memorizing concepts or theories of math, and makes them have interest & confidence in math by recognizing their participation in the instruction. So this study examined the active methods for the concrete operative activities, and composed the worksheet. The research topics on these are like followings. First, in the section 'Character & Formula', for students in the 1st grade of the middle school having poor progress in math learning, what are difference in math achievement between the group doing the concrete operative activities & the group doing writing-styled instruction? Second, in the section 'Character & Formula', for students in the 1st grade of the middle school having poor progress in math learning, how is the mathematical attitude between the group doing the concrete operative activities & the group doing writing-styled instruction? Third, in the section 'Character & Formula', for students in the 1st grade of the middle school having poor progress in math learning, how is the mathematical expression of the group doing the concrete operative activities? Under the research topics like above, this study analyzed the theories & educational approaches of math learning of activism on the concrete operative activities through the preceding studies, definition & causes of the students having poor progress in math learning, and instructive methods. When divided the level of learning into top, middle, bottom, this study defined students having poor progress in math learning as the ones of bottom level, whose achievements are under those of other students though they have normal learning ability. As for the first research topic, in order to inspect the effect of the concrete operative activities on the achievement of the students having poor progress in math learning, the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 comparative group. To identify that both groups are homogeneous groups, independent sample t-test of SPSS was perform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id-tern exam. For the post test, evaluation sheet which I manufactured by myself was used, and it was verified by the experts in math education. To inspect difference in school achieve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 comparative group, it was analyzed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using SPSS. As for the second research topic, in order to inspect mathematical attitude between the group doing the concrete operative activities & the group doing writing-styled instruction, pre․post test were preformed on the mathematical attitude through the same The questionnaire. It was analyzed through dependent sample t-test using SPSS. After completing the experiment,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for the post opinions on the concrete operative activiti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s for the third research topic, in order to examine the mathematical expression of the group doing the concrete operative activities, operative expression, pictorial expression & symbolic expression among 5 expressions classified by Nakahara were examined through arbitrary interpreta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like followings. First, when examined difference in math achievement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doing the concrete operative activities & the comparative group doing writing-styled instruc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t shows that it's difficult to take effect in the school achievement through short-term learning. Second, when compared the change of the mathematical attitud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post results of the mathematical attitude for the comparative group,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ose above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ough students seemed to feel pressure in the operative activities at first, it shows that there's positive effect in confidence or learning attitude on math during the time which they come to have interest in math through the operative activities and participate in the instruction actively. Third, in the post opinions on the concrete operative activities done for the experimental group, most of students showed positive response. However, in the case of the question 'Did much mischief during the instruction of the operative activities using the concrete objects', they showed more negative responses compared with other questions. In fact, during class, there were cases that students had many communications and they couldn't concentrate on the activities for a long time. Or they did mischief with friends using the operative teaching aids during the operative activities. Fourth, in the case of the mathematical expressions of the group doing the concrete operative activities, students familiar with only writing-styled instruction had difficulty in expressing in many ways at first. They seemed to have difficulty in doing operative, pictorial & symbolic expressions by themselves, however, they came to have confidence in expressing gradually, and sometimes they boasted of it. In the case of students having poor progress in math learning, they preferred the operative expression to others and did it most confidently, but had most difficulty in the symbolic expression. Especially, in the process performing the symbolic expression from pictorial one, many students seemed to have much difficulty in the oper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bove, the conclusions are like followings. First, there was no outstanding effects in the achievement of the concrete operative activities for students having poor progress in math learning, but, it's regarded there's difficulty in obtaining good effects through the short-term instruction. However, if the concrete operative activities are done in the instruction continually, it's thought achievement of students will be improved. Second, students having poor progress in math learning had much interest in the operative teaching tools & activity sheets and there was effect in motivating their math learning. In the case of students having poor progress in math learning, they had lower confidence & interest in math than others, and difficulty in solving math problems by themselves so gave up. Learning through activities using the operative teaching tools seems to be a chance for changing the recognition that math is a difficult and tough thing with confidence. Third, algorithm, solving problems or getting answers are emphasized in the math instruction, so students come to be used to memorizing math and solving problems repeatedly. However, while their expressing in many ways, seeing their errors directly and correcting them, I could see them understand the mathematical concepts rather than memorizing them. Communications between students and the teacher were done actively, so mathematical errors of students unrecognized before could be found easily and correction was possible. Furthermore, various mathematical expressions are regarded to have the meaning of 'Extension of the mathematical ability' in the 7th curriculum. So many mathematical expressions have to be reflected on school math. Fourth, in the instruction of the concrete operative activities, the role of a teacher is very important. Because it's required to prepare operative objects and many materials before the operative activities with careful guidance in order for students not to be inattentive during the operative activities. The concrete operative activities can be a method to increase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class, so many efforts are required for vigorous activities through teachers' encouragement, guidance and communication with students. Leak(2000) stated education by competent teachers who had a special training is the important research variable in the instruction using the concrete objects. Especially, for students having poor progress in math learning, operative activities can improve concentration & attitude on math, but if used wrongly, they can create inattentive atmosphere because students are likely to use the concrete operative teaching tools for playing not for studying. So teachers must understand it fully and lead class properly. This study has limits like followings. First, this study was done for 31 first grade- students having poor progress in math learning at Y middle school in Seoul through dividing them into two groups. The number of students was very few so it has a limit to generalizing into all students. Second, this study was done for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section ' Character & Formula', so it can have different research result when applied to other section. Third, this study performed 8 times experiments in the section ' Character & Formula', so the period of the experiment was too short. With such a conclusion, I intend to propose a few things like followings. First, this study was limited on the instruction effects of the concrete operative activities in the section ' Character & Formula', but, a method has to be planned for students to explore directly with the various operative teaching aids through learning environs by expanding it into the entire units. Second, through problem-solving process of students having poor progress in math learning in the concrete operative activities, I could see students came to have much interest & confidence while grasping the mathematical concepts formed wrongly and correcting them. They have sufficient potential in the class. However, their achievements are under the minimum level owing to lack of memory & concentration or helplessness learned. It's required to research various class strategies improving their motive on math learning and cultivating attentiveness with works on many programs to raise their ability of math learning. Third, various methods of the mathematical expressions have positive effects on correcting students' concept errors and expressing the mathematical ideas. This study was limited on analyzing three things, or operative, pictorial & symbolic expressions among the mathematical expressions. However, it's regarded to be necessary for research on various expressive ways performed into two-way with detail. 우리나라 7차 교육과정에서는 수학과의 목표를 ‘수학적 힘의 신장’에 두고,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의 존중과 학생들의 학습활동과 수학적인 경험을 중시하고 있다. 또한 교수학습에서는 구체적 조작물 및 학습 기자재를 활용하여 개념, 원리, 법칙 등의 이해를 돕도록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본 연구는 문자와 식 영역에서 수학 학습 부진아에게 수학에 대한 개념이나 이론을 암기시키는 것보다는 학생 스스로 구체적인 조작활동을 함으로써 개념을 이해 할 수 있게 하고, 수업에 참여하고 있다는 인식을 심어줌으로써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수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 조작활동의 활동적인 수업방안을 연구하고, 활동지를 구성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1학년 수학 학습 부진아을 대상으로 문자와 식 영역에서 구체적 조작활동을 한 집단과 지필식 수업을 한 집단의 수학 학업 성취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중학교 1학년 수학 학습 부진아을 대상으로 문자와 식 영역에서 구체적 조작활동을 한 집단과 지필식 수업을 한 집단의 수학적 태도는 어떠한가? 셋째, 중학교 1학년 수학 학습 부진아을 대상으로 문자와 식 영역에서 구체적 조작활동을 한 집단의 수학적 표현은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 하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선행연구를 통해 구체적 조작활동에 관한 활동주의 수학학습에 대한 이론과 교육적 접근, 그리고 수학 학습 부진아에 대한 정의와 그 원인, 지도방안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 학습 부진아를 정상적인 학교 학습 능력이 있으면서도 학업 성취 수준이 다른 학생들에 미치지 못하여 학업 수준을 상․중․하로 구분하였을 때 하 수준의 학생으로 정의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구체적 조작활동이 수학 학습 부진아의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었다. 두 집단이 동질집단임을 확인하기 위해 중간고사의 성적을 토대로 SPSS의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사는 연구자가 직접 제작한 평가지를 사용하였으며, 수학교육 전문가들에게 검증을 받았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를 이용하여 독립 표본 t-점정으로 분석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구체적 조작활동을 한 집단과 지필식 수업을 한 집단의 수학적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동일한 문항지로 사전․사후 수학적 태도 검사지를 실시하였다. SPSS를 이용하여 종속 표본 t-검정으로 분석 하였다. 실험이 끝난 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구체적 조작활동에 대한 사후의견을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세 번째 연구문제인 구체적 조작활동을 한 집단의 수학적 표현을 알아보기 위해 Nakahara가 분류한 5가지 표현 중 조작적 표현, 그림 표현, 기호적 표현을 자의적 해석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체적 조작활동을 한 실험집단과 지필식 수업을 한 비교집단의 수학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두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단기간의 학습으로 학업 성취도에 효과를 보기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수학적 태도 변화를 비교하였을 때, 비교집단은 사전․사후 수학적 태도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집단의 경우 사전․사후 수학적 태도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처음 학생들이 조작활동에 대한 부담감을 느끼는 듯 했지만, 조작활동을 통해 수학에 흥미를 느끼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나 학습 태도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실험집단에게 실시한 구체적 조작활동의 사후의견에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구체물을 이용한 조작활동 수업 때 장난을 많이 하였다.’라는 문항의 경우 다른 문항에 비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실제로, 수업 중 의사소통이 많아지고, 조작활동을 하면서 학생들이 오랫동안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는 조작활동을 하면서 조작교구로 친구와 장난을 치기도 하였다. 넷째, 구체적 조작활동을 한 집단의 수학적 표현의 경우 지필식 수업에만 익숙한 학생들이 처음에는 여러 방법으로 표현하는데 있어 어색해하였다. 자신이 직접 조작적, 그림, 기호적 표현을 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느끼는 듯 했으나, 점차적으로 표현에 있어서 자신감을 갖고 나타내며, 자랑을 하기도 하였다. 수학 학습 부진아의 경우 여러 표현 방법 중 조작적 표현을 선호하며 가장 자신있게 하였고, 기호적 표현은 많이 힘들어하였다. 특히, 그림 표현에서 기호적 표현으로 나타내는 과정에서 많은 학생들이 연산을 나타내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많이 느끼는것 같았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수학 학습 부진아를 대상으로 한 구체적 조작활동의 수업에서 학업성취도면에서 눈에 띄는 효과를 거두지는 못했으나, 지속적으로 수학 학습 부진학생에게 구체적 조작활동이 수업에서 이루어진다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향상되리라고 본다. 또한, 구체적 조작활동의 수업에서 수학 학습 부진아들은 조작물과 활동지에 많은 관심을 보이면서 수학학습에 흥미와 자신감을 보였는데, 조작물을 이용하여 활동을 한 학습이 학생들에게 조금의 자신감은 물론 수학을 어렵고 딱딱하다는 인식을 바꾸는 기회가 된 것 같다. 이러한 구체적 조작활동의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조작활동전에 조작물의 준비와 조작활동을 위한 많은 자료들을 준비해야 하며, 조작활동시 학생들이 산만해 지지 않도록 세심한 지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구체적 조작활동은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참여를 높이기 위한 방법이 될 수도 있으므로, 교사의 격려와 지도 그리고 학생과의 의사소통을 통해 활동이 활발해 질 수 있게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Leak(2000)는 구체물을 활용한 수업에서 전문적으로 교육되어진 능력 있는 교사들에 의한 교육이 중요한 연구 변인이라고 하였다. 특히, 수학 학습 부진아에게 조작활동이 수학의 집중력과 태도를 향상 시킬수도 있지만, 잘못하면 구체적 조작교구로 수업 이외의 놀이를 하며 산만한 분위기가 될 수 있으므로 교사는 이것을 잘 숙지하여 학습 분위기를 잘 이끌어 갈 수 있어야 한다. 일선 교육현장의 수학 수업에서 알고리즘과 문제풀이나 답 구하기를 강조하다 보니 학생들은 당연히 수학을 암기하고 반복적으로 문제를 풀어보는 것에만 익숙해져있었는데, 여러 표현방법으로 나타내면서 학생들은 자신의 오류를 직접 눈으로 보고 수정을 하면서 수학적 개념을 암기하기보다는 이해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수학 학습 부진아들에게 수학에 대한 개념을 암기 하는 것보다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 줄 수 도 있었다. 또한, 학생과 교사간의 의사소통도 활발하게 진행되어 전에는 몰랐던 학생의 수학에 대한 오류를 쉽게 찾아낼 수 있고, 교정이 가능하였다. 다양한 수학적 표현은 7차 교육과정의 수학적 힘의 향상의 의미를 지닌다고 본다. 이에 여러 수학적 표현이 학교 수학에서 반영되어야 하겠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첫째,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Y중학교 1학년 수학 학습 부진아 31명을 대상으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의 학생수가 너무 적어 이를 모든 학생으로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을 갖는다. 둘째, 본 연구는 수학과 단원인 문자와 식 영역에서 중학교 1학년으로 한정하였으므로, 다른 영역에 적용할 때 연구 결과에 차이를 보일 수도 있다. 셋째, 본 연구는 문자와 식 영역에서 8차시분의 실험을 하였기에, 실험기간이 너무 짧았다. 본 연구의 결론을 가지고 다음 몇 가지 사항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문자와 식 영역에서의 구체적 조작활동의 수업에 관한 효과를 연구하였지만, 이를 전체적인 단원으로 확대하여 교수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이 마련되어 학생들이 다양한 조작물로 직접 탐구해 볼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둘째, 구체적 조작활동의 수업을 하면서 수학 학습 부진아의 문제 해결과정을 봄으로써 잘못 형성된 수학적 개념을 파악하고 이를 수정해가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많은 흥미와 자신감이 생기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학 학습 부진아는 학교 수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충분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다만 기억력이나 집중력이 저조하거나 학습된 무력감에 의해서 최저수준의 학업성취에 미치지 못할 뿐이다. 수학 학습 부진아의 수학학습에 대한 동기를 향상시키거나, 주의력을 집중하게 할 수 있는 여러 수업전략들을 꾸준히 연구하고, 이들이 수학학습 능력을 올릴 수 있는 여러 많은 프로그램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다양한 수학적 표현방법은 학생들의 개념 오류를 수정하고, 수학적 아이디어를 표현함에 있어 긍정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의 표현방법 중 조작적 표현, 그림 표현, 기호적 표현 세 가지로만 분석하였지만, 양뱡향으로 진행되는 여러 표현 방법에 대한 연구와 표현방법에 대해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팀경쟁중심의 수준별 수행평가 및 팀상호간 평가가 성취도 향상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태성 公州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15

        현재 실제 학교현장에서는 수준별 이동수업이 중학교부터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전 학년에 걸쳐 시행되고 있으며 이렇게 수준별로 모둠을 이룬 학급에서 교사들은 더 이상 협동학습에 큰 매력을 느끼지 못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모둠수업은 수업이 산만하게 운영 될 수 있고 수학과의 특성상 교사가 인지하지 못하는 사이에 학생들 사이에 오개념이 생길 수 있으며 시간 관리가 효율적이지 못하여 유용한 학습방법이라 인정하면서도 현장에서 적용하기에 실질적으로 어려움이 적지 않다. 이에 본 연구자는 교과서 위주의 일제식 수업과 더불어 7차교육과정에서 강화된 수행평가를 십분 활용하여 소단원이 끝날 때 마다 상호 협력하는 팀경쟁 수준별 수행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정기적으로 팀을 새로 구성한 후 팀구성원간의 상호평가를 하여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과 성취도, 수학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일제식 전통적 교수법과 더불어 실시한 지속적인 팀경쟁 수준별 수행평가와 정기적인 팀구성원간의 상호평가는 성취도향상에 효과적이었으며 학습자의 수학적 성향에 있어서도 크게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지속적인 팀경쟁 수준별 수행평가와 정기적인 팀구성원간의 상호평가는 인지적 측면인 수학적 문제해결, 성취도 향상에도 크게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정의적인 측면인 수학적 성향 및 태도와 도덕적인 기본생활까지도 도움을 줄 수 있는 평가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사가 유의미하게 구성한 수업으로 학습한 후 상호 협력을 통하여 문제해결을 하는 과정에서 수학에 대한 자신감과 호기심이 향상되고 수학을 공부하려는 의지가 생기게 된다. 또한 수학에 대한 가치를 알게 되고 수학에 대한 흥미도 가질 수 있는 팀경쟁 수준별 평가를 통해 현장수업에서 드러나는 협동학습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팀구성원간 상호평가를 통해 수학성취도 향상 및 수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방해하는 내·외적인 요인을 발견하여 제거함으로써 수학뿐만 아니라 다른 과목에서도 학생의 동기유발 및 발전에 내재적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Estimation of shape parameter and P(Y〈X) from Burr-type X under Linex loss function : Linex 손실함수에서 BUrr-type X로 부터 형태모수와 P(Y<X)의 추정

        이소월 公州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박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Linex 손실함수에서 Burr-type X로부터 형태모수와 P(Y<X)의 추정 公州大學校 大學院 數學科統計學專攻 李素月 이 논문에서는 linex 손실함수 하에서 형태모수 θ와 R=P(Y<X)의 추정에 대해서 다루었다. 추정의 방법으로는 최대우도층정량과 베이즈추정량을 사용했고 모의실험을 통해서 최대우도측정량과 베이즈추정량을 비교해 보았다

      • 과학 과목에 대한 수학적 모델화에 관한 연구

        김기목 경성대학교 산업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this paper, we are study the mathematical modelization of problems in high school science. Even though we use it in various lines and parts, now we don't feel the effectiveness of mathematic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effectiveness of mathematics through the utilization of mathematical modelization when we solve a problem of a course of science. As a method of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given assignment, the students feel the effectiveness of mathematics, and then we study judge the aftermath whether it's positive or negative. In the last chapter, the real problems of the'94,95 qualifying examinations for college were exampled with the solution of mathematical modelization. We hope that the fruit of this study will result in our feeling the effectiveness of the math. in a real life and our being helped in facing with the math-questions of yearly qualifying test the colle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