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감돌고기, Pseudopungtungia nigra의 초기발육 및 번식상태

        이성훈 麗水大學校 2004 국내박사

        RANK : 248655

        감돌고기, Pseudopungtungia nigra의 초기생활사를 파악하고 번식생태에 관한 기초적 기술 축적을 위하여 2001년 5월부터 2003년 7월까지 감돌고기의 산란지, 산란기, 산란습성 등을 관찰하였고, 채집된 어미로부터 수정란을 받아 난발생과정, 자치어형태 및 골격 발달에 관하여 관찰하였다. 번식 생태에 관한 연구로 수온이 난발생과 자치어의 성장 및 생존에 미치는 영향, 먹이 계열별 공급에 따른 영향 및 적정 사육 밀도 등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감돌고기의 산란장은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월평리에 위치한 금강지류인 두남천에서 물이 맑고 수심이 30~90㎝쯤 되는 바닥에 자갈이 깔려 있는 곳으로, 유속이 완만한 곳에 돌 밑이나 바위틈 사이 무리를 지어 산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주 산란시기는 5월에서 6월 사이였다. 산란습성은 수컷이 무리를 지어 꺽지의 산란장에 들어가 꺽지를 유인, 이때 암컷이 꺽지 산란상에 방란을 하고 이후 감돌고기 수컷이 산란상 주위에 방정하여 수정시켰다. 난을 보호하는 습성을 가진 꺽지 등의 산란상에 산란하는 탁란 현상이 관찰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감돌고기의 수정난은 구형이고, 반투명한 침성점착난으로 알의 크기는 2.00~2.31mm(평균 2.18mm, n=50) 범위였고, 위란강의 넓이는 0.45~0.50mm(n=50)였다. 인공 수정된 감돌고기의 난은 사육수온 19℃ 전후에서 수정 후 45분에 난막이 난황에서 분리되면서 배반이 형성되었고, 수정 후 5시간 10분에는 상실기에 도달하였으며, 수정 후 189시간 10분에는 가슴지느러미가 움직이기 시작하였고 머리부분과 등에 흑색 소포가 형성되면서 부화하기 시작하였다. 부화 직후의 자어는 전장 5.70~5.91mm(평균 5.82mm, n=10)로 항문과 입은 아직 열려있지 않았고, 난황은 거의 흡수한 상태였으며, 부화 후 3일째의 자어는 전장 6.61~6.80mm(평균 6.74mm, n=10)로 입과 항문이 열리고, 부화 후 6일째의 자어는 전장 8.00~8.20mm(평균 8.06mm, n=10)로, 섭이활동이 활발하게 관찰되면서, 척색 말단이 굽어 후기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44일째의 후기자어는 전장이 13.70~15.12mm(평균 14.52mm, n=10)로 모든 지느러미가 정수에 달하였고, 흑색소포는 체측면을 따라 꼬리지느러미기저까지 증가하여 출현하면서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감돌고기의 골격발달은 부화 직후의 자어는 평균전장이 5.82mm로 전혀 골격의 골화가 일어나지 않았지만, 부화 후 3일째의 자어는 평균전장이 6.74mm로 제일 먼저 두개부의 배쪽면에 가늘고 긴 막대기 모양의 부설골(parasphenoid)이, 섭이와 관련하는 악골부분의 위턱에 전상악골(premaxillry)과 아래턱에 치골(dentary)이 골화하기 시작하였다. 부화 후 78일째 치어는 평균전장이 17.58mm로 내장골의 모든 골격이 완성되었고, 안부의 안전골(preobital)과 안하골(suborbital)이 골화되었으며, 담기골의 신경간극과 혈관간극이 골화되었다. 그리고 이때 미부의 상미추골과 견대골의 후쇄골과 사출골이 완전히 골화하여 대부분의 골격이 완성되었다. 수정에서 부화에 이르기까지의 평균소요 시간은 수온 22.0℃에서는 수정 후 189~190시간, 수온 24.0℃에서 수정 후 164~168시간, 수온 26.0℃에서 수정 후 142~145시간이 소요되었고, 부화에 소요된 시간은 수온이 높을 수록 시간이 짧았으며, 수정률은 사육 수온이 22℃에서 평균 30.3%이고, 24℃에서 28.1%이며, 26℃에서는 22.4%로 나타났다. 부화율은 사육 수온 22.0℃에서 78.0%, 24.0℃에서 71.8%, 26.0℃에서 61.3%였다. 수온이 높음에 따라 부화시간은 크게 단축되지만 부화율이 낮았다. 감돌고기 수정난의 최적부화 수온은 22.0~23.0℃로 판단된다. 호르몬 이용시 수정율과 부화율은 HCG를 어체중 g당 1IU와 2IU로 복강에 주사하여 수정율은 자연산란시 30.3%이고, 1IU로 주사했을 때 26.1%이며, 2IU였을 때 수정율은 24.2%로 호르몬 처리보다는 자연산란시 수정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부화율은 자연산란시 부화율 78.0%이며, 1IU는 68.6%, 2IU는 61.3%로 자연산란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난발생에 있어서 광주기가 수정율과 부화율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정률은 16L/8D일때 33.1%였고, 12L/12D에서 30.2%였으며, 8L/16D였을때 23.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부화율은 16L/8D에서 평균 72.4%, 12L/12D에서는 69.8%였고, 8L/168D에서는 61.3%로 장일처리시 수정율이과 부화율이 높게나타났으며 부화시간은 단일처리시가 단축되었다. 수온 18, 20, 22, 24, 26℃ 실험구에서 200일간 사육 후 감돌고기 자어의 평균전장은 18.0℃에서 36.92mm, 20.0℃에서 39.51mm 22.0℃에서 41.62mm, 24.0℃에서 43.73mm, 26.0℃에서 47.65mm 와 26.0℃로 26℃에서 가장 성장이 양호하였다. 실험구별 생존율은 각각 87.71%(18℃), 80.65%(20℃), 78.17%(22℃), 68.58%(24℃), 53.84(26℃)로 나타나 성장률과는 달리 18℃에서 가장 높았고 26℃ 수온구에서 가장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자어기에 먹이종류별 A(rotifer+Artemia sp.+Daphonia sp.+배합사료), B(Artemia sp+Daphonia sp.+배합사료), C(Daphonia sp.+배합사료), D(배합사료)로 성장률과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부화 후 200일째까지 실험구 A에서는 전장 평균이 41.24mm, B구는 32.71mm, C구에서는 전장 32.43mm, D구에서 부화 후 113일 후로는 성장이 진행되지 않았다. 생존율은 자어 초기에 난황이 흡수되기까지 모든 실험구간에서 거의 비슷한 생존율이 나타났으나, 부화 200일째 실험구 A와 B구사이에서 생존율에 있어 각각 77.14%와 60.54%로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실험구 C에서는 40.80%로 많은 개체가 폐사하였다. 배합사료만 단독으로 투여한 실험구에서는 부화 113일째 전 개체가 폐사하였다. 인공수정 후 부화되어 3일이 경과한 자어를 사육밀도를 다르게하여 200일간 자치어의 성장과 생존율를 조사한 결과, 100inds./100ℓ(A)의 실험구에서 전장이 13.14±0.5mm였고, 500inds./100ℓ(B)의 실험구에서 10.22±0.5mm, 1000inds./100ℓ(C)의 실험구에서 전장이 7.58±0.5mm였다. 밀도별 생존율은 A구에서 80.6%, B구에서 65.5%, C구에서 52.4%로 사육밀도가 낮을수록 생존율이 양호하게 나타났다. For the basic study of early life history and seed production breeding of Bleack shinner (Pesudopungtungia nigra), its spawning ground, season and behavior were investigated. Also development of the eggs, larvae and juveniles were investigated from the collected parental fishes. As the study about reproductive ecology,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optimum initial feeding time and rearing density were determined. 1. Spawning ecology and early development The spawning ground of Pesudopungtungia nigra was Dunam stream located in Weolpyeongri, Buguimyeon, Jinankun, where the water was very clean and the bottom was covered with gravels. The spawning season was from April to July, and they spawned on the down side of stone or gap of rocks in 30~90cm water depth making school. The male schooled, lured Korean aucha perch(Coreoperca herzi) from his spawning ground, and then the female spawns on it around Korean aucha perch's eggs. The male ejaculate on it to fertilize. After that Korea aucha perch cares his and Pesudopungtungia nigra's eggs together. The fertilized eggs were spherial, translucent, demersal and cohesive, and were measured 2.00~2.31mm (mean 2.18mm, n=50) in diameter. Hatching period was about 189 hours 10 minutes, after fertilization at 19±0.5℃ of water temperature. The newly hatched larvae were 5.70~5.91mm. It's mouth and anus was not yet open, and the yolk sac was almost absorbed. At 6 days after hatched, the larvae had attained 8.00~8.20mm in total length (TL) and had transformed into the postlarvae stage. At 44 days after hatched, the postlarvae had attained 13.70~15.12mm in TL and had reached the juvenile stage. At 3 days after hatched, the larvae had attained 6.74mm in mean TL, and its parasphenoid, premaxillry and dentary had begun to be ossified. At 78 days after hatched, the juveniles attained 17.58mm in mean TL, and the all bones were almost completed at this stage. 2. Reproductive ecology Hetching periods after fertilizaion were 189~190 hours in 22.0℃, 164~168 hours in 24.0℃ and 142~145 hours in 26.0℃, respectively. Hatching rates were 78.0% in 22.0℃, 71.8% in 24.0℃ and 61.0% in 26.0℃, respectively. It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During the 200 days of the rearing in 5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growth of the larvae and juveniles was 36.92mm TL in 18.0℃, 39.51mm TL in 20.0℃, 41.62mm TL in 22.0℃, 43.73mm TL in 24.0℃ and 47.65mm TL in 26.0℃, respectively. Survival rate of them was 87.71% in 18.0℃, 80.65% in 20.0℃, 78.17% in 22.0℃, 68.58% in 24.0℃ and 53.84% in 26.0℃, respectively. Growth of them was the highest in 26.0℃, but survival rate was the lowest in 26.0℃. To determine the optimal feeding regime for growth and survival rate of the larvae and juveniles, they were fed with 4 different food (A: rotifer+Artemia sp.+Daphonia sp.+artifiicial food; B: Artemia sp.+Daphonia sp.+artifiicial food; C: Daphonia sp.+artifiicial food; D: artifiicial food). Larvae of 3 days after hatched were reared in different densities (100, 500 and 1000 inds./100㎖) during 200 days. The growth and survival rate of them in each group was 13.14mm (80.6%) in 100 inds./100㎖, 10.22mm (65.5%) 500 inds./100㎖ and 7.58mm (52.4%) 1000 inds./100㎖. In 100 inds./100㎖ rearing densities group, growth and survival rate was higher than other group.

      • 해가리비, Amusium japonicum japonicum(Gmelin)의 양식생물학적 연구

        손팔원 濟州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박사

        RANK : 248655

        제주도 남부 연안에 서식하는 해가리비의 양식생물학적 연구를 목적으로 서식장 환경, 생태, 연령과 성장, 생식주기, 자연채묘, 인공종묘생산을 위한 산란유발, 수정란의 발생과정, 채묘기 자재별 채묘방법에 따른 채묘, 부착기 이후 자패의 사육, 중간육성 및 방류와 재포 등을 조사하였다. 1. 해가리비의 분포는 주로 제주도 남부해역의 수온 12.9∼26.6℃, 염분 31.57∼33.14%鈴 범위에 있는 수심 20∼30 m의 사니질대를 중심으로 서식하고 있었다. 2. 각 체부위에 대한 상대성장은 각장(SL)과 각고(SH)의 관계는 SL = 0.9141SH+3.6124(r=0.9979)로 나타났고, 각고(SH)과 전중량(TW)과의 관계는 TW = 3.1919 × 10^(5)SH^(3.1595)(r=0.9961)로 나타났다. 3. 전중량(TW)에 대한 패주중량(AW)의 연평균치는 15.9%였고, 6월에 21.3%, 8월에 20.6%로 높았으며, 9월 부터 11월까지 낮아져 11월에 9.2%로 최저치를 보여 생식소중량지수(GSI)와는 역상관 관계였다. 육철중량(BW)에 대한 패주중량(AW)의 비을은 연평균치가 39.2%였고, 6월에 최고치로서 48.5%, 11월에 최저치인 27.1%를 보였다 4. 생식소 중량지수(GSI)는 암수 모두 7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1월에 암컷은 22.17로 수컷은 14.98로 최고치였으며, 12월부터 급격히 감소한 후, 암컷은 5월에 3.44로, 수컷은 6월에 2.45로 최저치였다. 생식주기는 분열증식기(4∼6월), 성장기(6∼8월), 초기성숙기(8∼9월), 성숙기(10월), 완숙기(10∼ll월), 방출기(11∼l월), 회복기(2∼3월), 휴지기(3∼4월)로 구분할 수 있다. 생물학적 최소형은 암수 모두 각장 90 mm전후였다 5. 연령별 각고의 성장은 1세 6.28 cm, 2세 9.07 cm, 3세 10.74 cm, 4세11.74cm, 3세 12.34 cm였고, 연령별 전중량의 성장은 1세의 경우 18.82 g, 3세에는 102.36 g으로 증가하였다 6. 수온에 대한 내성은 수온 10℃에서는 12시간 째에 전수 폐사하였으나 수온 15℃에서는 섬모가 위축되어 활동이 미약하였지만 폐사 개체는 없었다 수온 30℃에서는 20시간 이후에 전량 폐사하였다. 염분에 대한 내성은 염분 10‰에 45분에, 15‰에서는 1시간 후에 전량 폐사하였다. 7. 산란 유발률은 온도상승 자극법에서 64.8∼91.3%였으며 간출자극을 병행하여 온도상승 자극을 실시한 방법에서는 52.4%였으며, 자외선 조사해수와 온도상승 자극법을 병행한 자극에서는 32.7%였다. 산란유발 반응수온은 사육 수온 16.3∼18.3℃에서 3.1∼8.5℃ 상승된 21.4∼26.4℃였으며, 개체당 평균 산란량은 9.2×10^(5)개 였다. 8. 수정란의 크기는 72 ㎛였고, 수정 후 30분에 제1극체가 출현하였으며, 수정 후 약 2시간에 2세포기, 8시간 후에 8세포기, 수정 18시간 후에 포배기, 22시간 후에는 담륜자유생(trochophore larva)으로 부화하였다. 유생의 부착은 주연각이 형성되는 각장 232 ㎛부터 시작하여 각정부위가 완전히 돌출하고 주연각이 형성된 각장 300 ㎛에서 대부분이 부착하였다. 채묘 자재별 부착은 망목 0.3 mm 합성 섬유망이 6.8∼484 재체/채묘기와 망목 1 mm 양파망이 7.8∼463개체/채묘기로서 염화 비널판 3.O∼O.3 개체/채묘기 보다 양호하였다. 유생을 합성섬유망과 양파망내에 직접 주입하여 부착시킨 실험구는 463.O∼484.0 개체/채묘기로서 다른 시험구에 비해 현저하게 많이 부확하었다. 염화비닐판의 설치방법별 부착률은 수평식이 10.3 개체/채묘기, 수직식 3.0 개체/채묘기 였다. 부착기 이후 자패의 성장은 수정 약 50일째에 각장 약 1.0 mm, 70일째에 1.5 mm, 110일째에 5.5 mm, 135일이 경과하면서 각장 9.6 mm로 성장하였으며, 경과일수(X)에 대한 각장(SL)의 성장은 SL= 257.75e^(0.0272X) (r= 0.9100) 지수곡선식으로 나타났다. 9. 치패의 수온별 성장은 33일 후 20℃에서 각장 9.75 mm, 25℃에서 각장 9.73 mm, 15℃에서 각장 9.0 mm의 순으로 20℃에서 성장이 가장 좋았다. 생존율은 15℃에서 56.7%, 20℃에서 50%, 25℃에서 43.3%의 순으로 수온이 낮을수록 생존률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었다 10. 표지방류한 해가리비의 재포율은 약 5.03%였고, 일간 성장량은 각고가 0.02∼o.16 mn/day이었고, 중량은 0.02∼o.24 g/day이었다. 재포된 모든 개체는 방류지점에서 1 Km이내에서 재포되었다. A study was conducted for aquacultural development of the sun and moon scallop, Amusium japonicum japonicum, about artificial spawning and consequent spat production at a laboratory, development of spat collector for wild spat collection, investigation on the scallop population, and release and recapturing of the remarked individuals. 1. A. japonicum japonicum was most common along the subtidal sandy area at a depth of 20∼30 m along the southern coast of Chejudo. 2. A correltion between shell length(SL) and shell height(SH) was found to be SL=0.9141SH+3.6124(r=0.9979). Shell height and total wet weight (TW) was correlated as TW=3.1919×10 ^(5)SH^(3.1595)(r=0.9961). 3. An average value of the ratio adductor muscle weight(AW) to total wet weight measured over twelve month was 0.16 with maximum ratio recorded in June as 0.21 and minimum recorded in November as 0.09. A ratio AW to total wet tissue weight(TWTW) measured over an annual period was found to be an average of 0.39. The ratio was highest in June as 0.49 and lowest in November as 0.27. 4. A. joponicum japonicum exhibited distinct separate sexes, and hermaphroditism was very rare. Gonadosomatic Index(GSI), a ratio total wet weight of gonad to TWTW was found to be highest in November as 0.222 for female and 0.150 for male. GSI decreased rapidly after November and the lowest value observed in May, 0.034 for female and 0.025 for male in June. The minum reproductive size of this species could be around 90mm 5. Based upon analysis of annuls on the shell, one year old could be 6.28 cm, in shell length, two year old 9.07 cm, three year old 10.74 cm, four year old 11.74 cm and five year old as 12.34 cm. It is postulated that A. japonicum japonicum must be at least two years old for sexual maturation. 6. Temperature elevation and air exposure methods have been attempted to induce spawning in an aquarium. Temperature elevation method was proven to be better for induced spawning, 52.4% of the individuals spawned while only 32.7% of the spawners submerged in ultraviolet ray exposed seawater after air exposure for brief period spawned. Most spawners spawned when water temperature reached to 21∼26℃. Each female individual discharged an average number of 9.2×10^(5) eggs. 7. First polar body formed 30 min after hatching, two cell stage formed two hours, four-cell stage 5 hours, and eight-cell stage 8 hours after hatching. Blastula formed 18 hours and trochophore larvae appeared 22 hours after hatching. Mean diameter of an egg was 72 μm. Settlement of the larvae occurred when umbo was formed and shell length become 232 μm. 8. Three different types of mesh bags were used in spat collection experiments; a synthetic net mesh bags with 0.5 mm mesh size, an onion mesh bag with 1 mm mesh size, and a PVC plate. Among the three, types of substrates the onion bag with 1 mm mesh size was found to be the most efficient for spat collection, 8 to 463 spats collected per bag. 9. Growth of the spats after settlement was 1.0 mm in shell length 50 days after settlement, 1.5 mm in 70 days, and 5.5 mm 110 days after settlement. A correlation between shell length(SL)of the spat and the number of days after settlement(X) could be expressed as SL= 257.7 e^(0.0272X) (r=0.91). 10.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an optimal seawater temperature for 35 day-old spat at 20℃. An optimal seawater temperature for the growth of A. joponicum japonicum spat was found to be at 20℃. 11. Recapturing rate of the remarked and the released scallops was 5.05% and all of the scallops were recaptured within 1 km of the site originally remarked and released.

      • 찰가자미, Microstomus achne의 번식생물학적 특성 및 초기발육

        변순규 여수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55

        Slime flounder, Microstomus achne is distributed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west sea of Japan, Bohai,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They are mainly caugth by bottom trawl net during winter, from December to march.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productiv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ir parent fish,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rly developmental stage, a series of experiments on the reproductive biological and larval rearing were performed with following results. 1.Reproductiv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rent fishes Age and sexual maturation of slime flounder, Microstomus achne were investigated using samples collected from commercial catch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from January to March, 1999 and December, 1999 to February, 2000. Frequency of sex of wild slime flounder showed that the number of male below 40 cm in total length (TL) was more than that of female. Specific growth of body weight (y, g) against total length (x, cm) showed regressional relationships as follows; y = 0.0048x^3.2834 (r² = 0.9232). Thin-sectioned otoliths showed relatively well defined annuli when examined under the microscope. Age was determined by counting the otolith annuli which were clearly defined between translucent and opaque zone, and anulus was formed once in a year and that its formation was completed from January and February. Almost all the fish examined were younger than 3 years old. Sexual maturation of the slime flounder, Microstomus achne was histoligically investigated on the gonadal development, and studied by gonadosomatic index (GSI), hepatosomatic index (HIS), egg diameter composition. The values of GSI were peaked in February (15.15 in female), then decreased rapidly thereafter. Female GSI values plummeted to 2.71 in March just after spawning. Male GSI values were peaked in December (2.45) before in the spawning season, then decreased slowly thereafter. Female HSI was from 1.93 (January) to 1.31 (February) decreased, and then increase in March (1.79). HSI reached the maximum in December (2.33), then decreased gradually, thereafter. Male HSI was In a range from 1.47 (January) to 1.12 (March), and then reached the maximum values in November (1.86), then decreased gradually, thereafter. The ovary of the slime flounder, Microstomus achne was a reverse-triangle in shape and was bilateral structure develops lengthily from the posterier of the abdomen to the end of the anal fin. The reproductive cycle would be classified into four successive developmental stages: mature stage (November to January), ripe stage (December to January), spawning stage (December to February), degenerative and resting stage (February to March). Relationships between the fish sizes in total length (TL) and the number of ovarian eggs (F), the fish weights (BW) and the number of ovarian eggs were indicated by the exponential equation respectively: F = 29.027TL - 767.8 (r²=0.7686), F = 0.3998FW + 24.288 (r²=0.8919). Luteinizing hormone-releasing analog (LHRHa) injected (50 ㎍, 100 ㎍, 200 ㎍/kg) to the wild stocks to induce the ovulation. Time to reach ovulation after the injection was 4 days in the 50 ㎍/kg treated, slowing shorter as spawning season approached. Hatching rates of the fish treated with 50 ∼100 ㎍/kg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fish with 200 , ㎍/kg treatment. Fertiligation rates were in the range of 95.7∼98.0%. Bloodstocks were in indoor tanks to induce natural spawning in spawning season. They were fully matured and measured 37.3∼52.0 cm in total length and 626.9∼2,296.2 g in body weight in females(n=6). Spawning occured during January 30, 2000 to February 28, 2001. The number of eggs spawned per female 263,000 eggs. Fertilization and hatching rates ranged from 77.7∼100% (mean, 98.0±3.5%), 68.8∼96.9% (mean, 78.1±7.6%) respectively. 2. Egg development and hatching Fertilized eggs of this species were bouyant, colorless, transparant and spherical in shape, and the diameter of these eggs was varied in 1.54∼1.73 mIll (mean 1.64±0.03mm, n=50). And the eggs did not contain any oil globules. Hatching in the indoor tank with 9.8∼13.0℃ in water temperature began from 168 hours 40 minutes after fertilization. In order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during the egg development was investigated. The desirable water temperature for egg hatching was 9∼21℃. At different water temperature conditions (6DC, 9℃, 12℃, 15℃, 18℃ and 21℃), the time of egg development was shorter with higher water temperatur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water temperature (T : ℃) and the required time (t : hour) from fertilized egg to each developmental stages were given as follows: Up to 8-cell : l/t = 0.0127T - 0.0081 (r^2 = 0.984) Up to morula stage : l/t = 0.0044T + 0.0189 (r^2 = 0.928) Up to Kupffer's vesicle: l/t = 0.0018T - 0.0043 (r^2 = 0.9825) Up to pulse of heart : l/t = 0.0007T + 0.0002 (r^2 = 0.9486) Up to hatching : l/t = 0.0007T - 0.0026 (r^2 = 0.9924) Using these equations as a basic, the biological minimum temperature for embryonic development was estimated to be 0.4℃ in ave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till hatching were approximated as being 297 hours, 123 hours and 86.5 hours at 9℃, 15℃ and 21℃, respectively. Hatching rates in the range of 12∼18℃ were 95.8∼97.0℃ , 86.9% at 9℃ and 9.3% at 21℃. 3.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s Their growth and yolk absorption were the fastest within 24 hours after hatching. The absorption rates of yolk increased with the increased of temperature, The time yolk was consumed up to 90 % was 24 hours after hatching in 9∼18℃. The relationship between mouth opening time (MOT) and water temperature (WT) was represented as: MOT = 3253.3WT^∼1.4885 (r^2 = 0.9958). First feeding occured 120 hours after hatching, which was before yolk absorption completed. By the time the larvae attained 5.38∼6.39 mm (mean, 5.96mm) in TL, and mouth size was 0.471∼0.586 mm (mean, 0.569 mm). The growth and survival rate of larvae cultured at 15캜 were better than those of larvae at 11℃, 13℃, 17℃ . Feeding ability of larvae on rotifers was affected by temperature. Beginning of feeding was significantly earlier at higher reanng temperatures. At 11.9℃ (ambient water temperature) feeding began 9 days after hatching, and 5 days at 15.1℃. One-time satiation amount of rotifers fed by a larvae showed regressional relationships with total length at each temperatures as follows: ambient temperature (mean, 11.9℃) : y = 11.122x-61.823 (r^2=0.8652) 15℃ treatment (mean, 15.1℃) : y = 0.0004 X5.3700 (r^2 = 0.759) Amount of one-time consumed Artemia sp. nauplius by slime flounder larva was slowly increased with growth, and larvae to satiation level at a feeding was shown as regressional relations as follows: ambient temperature (mean, 11.9℃) : y = 1.7042e^0.2437X (r^2= 0.6437) 15℃ treatment (mean, 15.1℃) : y = 0.9306e^0.308X (r^2 = 0.7221) Hatched larvae were measured 3.85 ∼ 4.34 mm in TL ( mean, 4.05±0.18 mm), with unpigmented eyes, and their mouth and anus were not yet open. Myotome number was 13∼14 + 34∼35 = 4 7∼49 and melanophore and xanthophores were present on the margin of membrane fin and yolk sac, and melanophore were present on the notochord. Twelve days post-hatched larvae transformed to postlarval stage and they were 6.78∼8.19 mm in TL (mean 7.32 mm, n=20). As yolk were completely absorbed. On 30∼31 days after hatching, number of elongated caudal fin rays 10, notochord flection began at 8.39∼10.51 mm (mean, 9.69 mm) in TL and was completed at 10.10∼14.56 mm (mean, 12.24 mm) TL on 44∼45 days after that. The migration at the left eye over the dorsal median line from a symmetrical position occured at 8.69∼11.88 mm (mean, 10.59 mm) TL on 34∼35 days after that, and was completely translocated to one side at 17.57∼22.47 mm (mean, 19.91 mm) TL on 90∼93 days after that. Individuals of 17.57∼22.47 mm (90-93 days after hatching) in TL were regarded to have attained to the juvenile stage. All the fins were fonned with complete set of fin rays (D. 87∼93; A. 70∼ 81; P. 10; V. 6). 4. Growth of larvae and juveniles Newly hatched larvae were stocked in intank (4 m^3 in actual volume) for 120 days. Initial stocking number was 60,000 and rotifer, Artemia sp. nauplius and prepared diet were fed according to feeding regime. Rotifer and Artemia sp. nauplius were fed for 35 days 55 days, respectively. More than 60% of larvae died within 10 days after hatching probably because of failure of exogeneous feeding. Final number of fingerings produced was 1,600 showing 2.7% of survival rate. Mean total length were 30.96 mm at water temperature 12.6∼18.8℃. The early larval developments of slime flounder could be divided into two stage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body shapes and length: larval stage before settlement, juvenile stage. The growth of head length, eye diameter to total length were faster than other body parts before juvenile stage. Specific growths of body weight, head length, preanal length, eye diameter, mouth size against total length and upper jaw length against head length showed body weight against total length was unsignificant (P>0.05), but others were significant (P<0.01).

      • 참굴 Crassostrea gigas의 3배체 종묘생산을 위한 번식생리학적 연구

        김정우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39

        요 약 1. 생식소 성숙유도 참굴 모패의 생식소 발달은 암·수 모두 비활성기, 초기활성기, 후기활성기 및 완숙기의 4단계로 구분되었다. 생식소지수(GI)는 수온이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그러나 연체부중량지수(FWI)는 수온의 변화와 관련성이 없었다. 생식소의 성숙유도 결과, 빠른 온도상승에서 암컷은 사육 64일 후에 60%의 개체가 방란을 하였고, 수컷은 사육 58일 후에 70%의 개체가 방정을 하였다. 느린 온도상승에서는 암컷은 사육 72일 후, 수컷은 사육 66일 후에 모두 80%의 개체가 방란·방정을 하였다. 적산수온 관계식 K=H(T-t)를 이용하여 구한 암컷과 수컷의 생물학적영도와 최종성숙 적산수온은 각각 tF=10.5℃, tM=10.2℃ 및 KF=481.5℃·d, KM=410.2℃·d이었다. 2. 난모세포 성숙유도 난모세포의 최종성숙(GVBD) 유도를 위한 6종 신경전달물질의 효과에 대하여 in vitro 실험한 결과, acetylcholine, adrenaline, noradrenaline, dopamine, serotonin 및 histamine 중에서 serotonin은 GVBD 유도에 효과적이었다. 이외 신경전달물질들은 난모세포의 GVBD를 유도할 수 없었다. 10-7∼10-3 M의 serotonin이 난모세포의 GVBD 유도에 효과적이었으며, 10-5 M과 10-4 M에서 60분 처리시 난모세포의 GVBD율이 97% 이상이었다. 3. 산란유발 신경전달물질별로 모패에 대한 산란유발 효과를 조사하였다. 산란유발 자극에서 10-3 M의 dopamine과 serotonin이 효과적이었으며, 수컷이 암컷보다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반응개시 시간에 있어서 dopamine은 방란에 효과가 없었고, 방정은 17분 내에 개시되었다. Serotonin에 의한 방란은 29분 내에 방정은 13분 내에 개시되었다. 10-3 M의 dopamine에서 방란량은 253.0만개, 방정량은 100.1억개였고, 10-3 M의 serotonin에서 방란량은 197.0만개, 방정량은 143.1억개였다. 각 자극에서 얻은 알의 수정률과 부화율은 차이가 없었다. 4. 수정 및 부화 수정률과 부화율 향상을 위한 수정 조건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참굴의 수정 및 부화의 적온도는 18∼24℃, 최적은 24℃였고, 적정염분은 25∼35 psu였다. 알은 수온 24℃에서 채란 4시간 이내에, 정자는 24℃에서 채정 30분 이내에 수정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최적의 정자와 알의 비율은 1,000:1이고, 매정시간은 30분∼120분이었다. 그리고 최적의 수용밀도는 200개/mL이며, 용적에 따른 수정률과 부화율은 50∼5,000 mL에서 차이가 없었다. 5. 극체방출 억제처리에 의한 3배체 유도 참굴 2배체의 염색체수는 2n=20이었고, 3배체의 염색체수는 3n=30이었다. CB와 6-DMAP의 최적 처리농도는 각각 0.5 mg/L와 60 mg/L였다. 여러 처리조건으로 3배체 유도 실험한 결과, 처리지속시간이 길을수록 부화율이 낮았다. CB의 경우 가장 높은 3배체 유도율은 27℃에서 수정 30분 후에 10분 처리한 실험구로서 73.8%였다. 6-DMAP의 경우 가장 높은 3배체 유도율은 29℃에서 수정 10분 후에 20분 처리구와 수정 15분 후에 30분 처리구로서 66.7%였다. 6. 3배체 종묘의 대량생산 수정란 15억개를 처리하여 각장 77.1±3.0 ㎛의 D상유생을 2,110.5만마리 얻었으며, 부화율 1.4%, 3배체 유도율 34.5%였다. D상유생은 15일째 각장 363.5±28.6 ㎛의 부착기 유생으로 성장하였고, 생존율은 4.3%였다. 이후 부착기 유생 90.8만마리를 down wearing 방식으로 사육한 결과, 30일째 평균 각장 4.1±0.9 mm, 전중 15.6±10.5 mg로 성장하였고, 생존율은 12.3%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해보면, 참굴의 3배체 종묘의 대량생산을 위한 번식생물학적 기초지식을 획득한 가운데, 극체방출 억제처리에 의한 3배체 치패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데 성과를 얻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향후 4배체 생산에 의해 2배체와 수정을 통한 3배체굴의 안정적 생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여수 가막만에 분포하는 부유성 난 및 자치어

        김광수 麗水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전라남도 여수시 가막만 연안 해역에서 2003년 4월부터 2003년 11월까지 총 4회에 걸쳐 채집된 부유성 난 · 자치어의 종조성, 양적변동 및 체장조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부유성 난은 총 5개 분류군이 출현하여, 멸치, 정어리, 주둥치, 전어 및 기타 난 등으로 분류되었고, 출현량을 보면, 주둥치의 난이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부유성 난의 98.9%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는 종으로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자치어는 총 3목 8과 11개의 분류군이 출현하였는데, 그 숭 9개 분류군은 종 수준까지, 1개 분류군은 속 수준까지, 1개 분류군은 과 수준까지 동정되었다. 청베도라치과에 속하는 청베도라치가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자치어의 41.3%를 차지하여 최우점종이었으며, 다음으로 베도라치가 자치어의 17.2%를 차지하여 우점하였다. 이들 2종이 차지한 비율은 58.5%로 나머지 9종들에 비해 월등하게 우점하게 나타났다. To determine seasonal fluctu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 larva and juveniles, samples were collected by plankton net in coastal waters of Kamak Bay, Yeosu, from April to November, 2003. During the study, the collected planktonic eggs were identified as Leiognathus nuchalis, were accounted for 98.9% of the total planktonic eggs. The collected fish larvae and juveniles were identified 11 taxa, 8 family, 3 orders. The most of dominant species Parablennius yatabei accounted for 41.3% of the number of the total fish larvae and juveniles, Pholis nebulosa (17.2%). These 2 taxa constituted 59.5% of the total collected fish larvae and juveniles.

      • 어분 대체원, 발효대두박을 이용한 넙치용 저어분 상업사료 개발

        구자완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넙치 사료 내 어분대체원으로서 발효대두박의 적정 첨가수준을 평가함으로써 넙치용 저어분 상업사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 1에 있어서, 일반 대두박과 발효대두박의 영양성분과 항영양인자 함량의 분석 결과, 발효대두박은 일반 대두박에 비해 높은 단백질과 저분자 펩타이드 함량을 보였으며, 트립신저해인자와 올리고당류는 낮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넙치를 대상으로 한 사육실험 결과 성장요인에 있어서 발효균주 Lactobacillus acidophilus(LA)를 사용한 발효대두박에서 다른 균주를 사용했을 때보다 유의하게 높은 생물학적 이용성을 보였다. 실험 2에 있어서, 증체율, 일간성장률, 사료효율 및 단백질전환효율의 결과 치어기 넙치에 있어서 발효대두박의 적정 첨가 수준은 20∼30%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 3에 있어서, 증체율, 일간성장률, 사료효율 및 단백질전환효율의 결과 성어기 넙치에 있어서 발효대두박의 적정 첨가 수준은 30∼40%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 1. 넙치 사료내 4가지 다른 발효대두박의 평가 본 실험은 넙치에 있어서 4가지 다른 발효대두박 제품의 이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중에 유통중인 4가지 발효대두박 제품은 발효균주 Lactobacillus salivarius(LS), Lactobacillus acidophilus(LA), Bacillus subtilis(BS) 및 Bacillus subtilis & Aspergillus oryzae(B+A)가 각각 발효에 이용되었다. 일반 대두박과 발효대두박의 일반성분, 아미노산, 트립신 저해인자, 라피노즈, 스타키오스, KOH 용해도, 외견상 소화율, pH, SDS-PAGE 및 펩타이드 함량 분석 결과, 발효대두박은 일반 대두박에 비해 높은 단백질과 저분자 펩타이드 함량을 보였으며, 트립신저해인자와 올리고당류는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총 11주간의 사육실험은 치어기 넙치에 있어서 4가지 다른 발효대두박의 생물학적 이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사료는 단백질함량과 에너지함량을 동일하게 하여 4가지 발효대두박 제품(FSMLS, FSMLA, FSMBS, FSMB+A)과 대조구로 대두박(SBM), 어분(CON)을 사용하여 실험사료를 제작하였다. 실험어는 평균무게143±0.4g (mean±SD)인 넙치를 사용하였으며 유수식으로 300L 사육수조에 20마리씩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총 11주간의 사육실험 결과, 증체율, 일간성장률, 외견상 소화율에 있어서 FSMLA 실험구는 어분대조구(CON)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넙치에 있어서 가장 높은 생물학적 이용가능성을 나타내는 실험구는 FSMLA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 2. 치어기 넙치에 있어서 어분대체원으로서 발효대두박의 효과연구 본 실험은 치어기 넙치에 있어서 어분대체원으로서 발효대두박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 되었다. 단백질과 에너지 함량이 동일하게 제작된 7개의 실험사료는 이전 연구에서 가장 높은 생물학적 이용가능성을 나타내었던 발효대두박(FSMLA)을 이용하여 어분단백질을 각각 0, 10, 20, 30 및 40%를 대체한 사료(FSM0, FSM10, FSM20, FSM20 및 FSM40)와 30, 40% 대체한 실험사료에 합성아미노산을 첨가한 사료(FSM30+AA 및 FSM40+AA)를 각각 제작하였다. 평균무게가 20.9±1.8g(mean±SD)인 치어기 넙치는 유수식으로 400L 사육수조에 25마리씩 3반복으로 수용하였다. 8주간의 사육실험 종료 후, 증체율, 일간성장율, 외견상 소화율에서 실험구 FSM0, FSM10, FSM20, FSM30 및 FSM30+AA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사료효율과 단백질전환효율에 있어서는 실험구 FSM0, FSM10 및 FSM20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치어기 넙치에 있어서 발효대두박은 어분단백질을 20∼30%까지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 3. 성어기 넙치에 있어서 어분대체원으로서 발효대두박의 효과연구 본 실험은 성어기 넙치에 있어서 어분대체원으로서 발효대두박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단백질과 에너지 함량이 동일하게 제작된 5개의 실험사료는 각각 어분단백질을 발효대두박을 이용하여 0, 10, 20, 30, 및 40% (FSM0, FSM10, FSM20, FSM30 및 FSM40)를 대체하도록 설계하였다. 평균무게 449±0.9g(mean±SD)인 성어기 넙치를 유수식으로 10톤 사육수조에 115마리씩 2반복으로 배치하였다. 26주간의 사육실험 종료 후, 증체율, 일간성장률, 사료효율, 사료섭취율에 있어서 모든 실험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백질전환효율의 경우 FSM40 실험구에서 다른 실험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지만, FSM0, FSM10, FSM20 및 FSM30 실험구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사육실험의 결과 성어기 넙치에 있어서 발효대두박은 어분단백질을 치어기 넙치에 비하여 높은 수치인 30∼40%까지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성어기 넙치는 치어기에 비해 높은 장내 소화효소 활성과 낮은 항영양인자 민감성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넙치 성어를 대상으로 한 발효대두박의 연구는 처음으로 시도되는 연구로써 향후 상품사이즈까지 넙치를 생산함에 있어 어분을 대체할 수 있는 단백질 원료로써 발효대두박의 연구에 초석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목재탄화물 첨가 사료가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성장, 체성분 및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주용석 麗水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성장촉진과 면역력 강화가 기대되는 목탄과 목초액을 넙치사료 첨가물로 공급하여 목탄과 목초액의 이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목탄과 목초액의 첨가 농도를 조절하여 적정 첨가량을 구명한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목탄과 목초액을 혼합하여 혼합물의 첨가농도를 조절하여 혼합물에 대한 적정 첨가량을 구명한다. 이러한 전반적인 실험을 통하여 넙치사료의 첨가물로서의 목탄, 목초액, 목탄과 목초액 혼합물의 이용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1. 목재탄화물의 이용성 검토 넙치사료에 목탄 (2%), 목초액 (2%), 목탄과 목초액 혼합물 (목탄 1% + 목초액1%) 첨가한 실험 결과, 생존율과 성장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사료효율은 대조구가 80.38%이었으나 목탄, 목초액 첨가구가 각각 96.74%, 86.76%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며 (P<0.05), 목탄과 목초액 혼합물은 83.56%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P>0.05), 전어체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함량은 단독 첨가구에서 대조구의 73.95%보다 낮은 값을 보였으며 (P>0.05) 혼합 첨가구가 74.66%로 가장 높았으며 목탄 (72.35%), 목초액 (72.56%)순으로 나타났다. 조단백질함량은 모든 실험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P>0.05). 조지질함량은 혼합 첨가구가 1.41%로 대조구 및 나머지 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대조구 (2.33%), 목탄 (2.38%), 목초액 (2.46%), 순으로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P>0.05). 조회분함량은 모든 실험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P>0.05), 간중량지수는 간중량지수는 대조구를 비롯한 모든 첨가구가 1.14~1.21%로 나타났으며 모든 실험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P>0.05). 내장중량지수도 대조구를 비롯한 모든 첨가구가 3.77~4.03%로 나타났으며 모든 실험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비만도에서는 대조구를 비롯한 모든 실험구가 0.83~0.96%로 나타났으며 모든 실험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P>0.05). 혈액내의 Hematocrit (Ht)와 Hemoglobin (Hb)의 측정 결과, Ht는 22.33~29.00 % 범위로 대조구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Hb는 3.49~4.87 (g/㎗) 범위로 대조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P>0.05). 2. 목탄 및 목초액의 첨가효과 목탄, 목초액의 첨가 농도를 조절하여 실험한 결과, 생존율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성장률은 목탄 적정 첨가량 실험에서는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1.0% 첨가구가 180.05%로 가장 높았으나 0.8% 첨가구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료효율 역시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1.0% 첨가구가 83.46%로 가장 높았으나 0.8% 첨가구와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목초액 적정 첨가량 실험에서는 1.0% 첨가구를 제외한 모든 첨가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성장률이 낮아져 0.2% 첨가구가 165.1%으로 가장 높았다. 사료효율 역시 1.0% 첨가구를 제외한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져 0.2% 첨가구가 79.17%으로 가장 높았다. 전어체 일반성분의 분석결과, 목탄 적정 첨가량 실험에서 지질함량은 목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1.0%, 1.2%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0.8% 첨가구는 1.0% 첨가구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간과 등근육의 일반성분 분석결과도 전어체 일반성분 분석결과와 일치하여 목탄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냈으며 첨가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목초액 적정 첨가량 실험에서는 지질함량이 1.0% 첨가구를 제외한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조구가 2.35%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혈액성상 분석 결과, 목탄 적정 첨가량 실험에서 Ht(%)는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1.0% 첨가구가 21.75%로 가장 높았으나 첨가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목초탄 적정 첨가량 실험에서도 Ht(%)는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0.4%, 1.0% 첨가구가 21.75%, 22.50%로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0.2% 첨가구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P>0.05). 혈청성분의 분석 결과, GPT를 제외한 다른 성분은 대조구와 첨가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목탄 적정 첨가량 실험에서 GPT는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0.8% 첨가구가 가장 낮은값을 보였으나 다른 첨가구와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목초액 적정 첨가량 실험에서는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으며 1.0% 첨가구가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나 첨가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P>0.05). 라이소자임 활성은 목탄 첨가농도별 실험에서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0.8%, 1.0%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0.8% 첨가구와 1.0% 첨가구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목초액 첨가 농도별 실험에서는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0.4% 첨가구만이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첨가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2-Phenoxyethanol 침적실험 결과, 목탄 첨가 농도별 실험에서는 초기 회복율에서는 0.8% 첨가구가 가장 빨랐으며 80%까지 회복율을 보인 시간을 보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빠른 회복시간을 보여 대조구 비해 첨가구가 빠른 회복율을 보여주었다. 목초액 첨가 농도별 실험에서는 초기 회복율에서는 0.4% 첨가구가 가장 빨랐으며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대조구에 비해 회복율도 높았으나 0.8%부터는 낮아져 1.0% 첨가구는 대조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3. 목초탄의 첨가효과 생존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성장율은 대조구가 235.9%였으나 첨가량에 따라 성장율도 증가하였으며 1.5% 첨가구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P<0.05). 사료효율은 대조구가 87.3%이었으나 0.5% 첨가구만 95.8%로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사료효율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어체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함량은 75.0~76.5% 범위를 나타내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P>0.05).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구가 17.7%, 0.5%구가 17.7%, 1.0%구가 18.2%, 1.5%구가 17.9%, 2.0%구가 17.6%로 1.0% 첨가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조지방 함량은 각 실험구에 대해 대조구가 4.0%, 0.5%구가 3.9%, 1.0%구가 3.4 %, 1.5%구가 3.5%, 2.0%구가 4.1%이었으며, 조회분은 각 실험구에 대해 3.4%, 3.5%, 3.0%, 2.8%, 2.9%으로 조지방 및 조회분에서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전어체에 대한 지방산 분석결과, 포화 지방산은 대조구가 29.9%로 가장 높았으며 전체 첨가구에서는 26%의 함량으로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P<0.05). 고도불포화지방산 (HUFA)는 0.5% 첨가구가 가장 낮았으며 대조구와 1.0%구와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P>0.05), 2.0%구가 46.3으로 가장 높아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고 1.5%구와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n-3 고도불포화지방산은 0.5%구가 28.6%로 가장 낮았으며 대조구 및 1.0%구와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2.0% 첨가구가 가장 높아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1.0% 및 1.5%구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간중량지수는 대조구를 비롯한 모든 첨가구가 2.95~3.20%로 나타났으며 모든 실험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P>0.05). 내장중량지수도 대조구를 비롯한 모든 첨가구가 10.77~11.55%로 나타났으며 모든 실험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P>0.05). 비만도는 대조구를 비롯한 모든 실험구가 1.80~1.93%로 나타났으며 모든 실험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P>0.05). 혈액내의 Hematocrit (Ht)와 Hemoglobin (Hb)의 측정 결과, Ht는 24.1~26.2 % 범위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P>0.05). Hb는 4.01~4.45 (g/㎗) 범위로 대조구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혈청성분의 GOT 와 GPT 분석한 결과, GOT의 활성도는 대조구가 69.7로 가장 높았으며 0.5%구와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1.0%구 및 1.5%구가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고, 2.0%구가 29.7로써 가장 낮은 유의차를 보였다 (P<0.05). GPT는 0.5%구가 가장 높은 19.7을 나타내었으며 대조구, 1.0% 및 1.5%구와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으며, 2.0%구가 14.3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여 유의차를 나타내었으며 1.0%구 및 1.5%구와는 차이가 없었다 (P>0.05). 2-phenoxyethanol 실험에서는 각 실험구에 대해 80%까지 회복율을 보인 시간을 보면 대조구가 5분, 0.5%구가 4분 30초, 1.0%구가 4분 30초, 1.5%구가 4분 소요되어 1.5% 첨가구에서 가장 빠른 회복율을 보였다. 특히 3분까지의 초기 회복율을 보면 대조구가 회복을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전체 첨가구에서 10~20%까지의 회복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utilizability of supplements in flounder diet as Charcoal (Ch) and Wood vinegar (Wv) expecting growth promotion and immunity strengthening, and consequently to carry out the appropriate quantity (proportion) of the supplemen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on on effect of mixture supplement and proper quantity to enhance the use of Ch and Wv. In first experiment as pilot study, to assess the possibility of carbides adding in fish diet as supplement Ch 2.0 %, Wv 2.0 %, and mixture of Ch 1.0 % and Wv 1.0 % were manufactured and fed to flounder. In second experiment, to investigate of the appropriate quantity of supplements (Ch and Wv), Ch 0.4, 0.8, 1.0, and 1.2% and Wv 0.2, 0.4, 0.8, and 1.0% instead of the wheat flour in control were added in the diet. In third experiment, on the result of proper quantity of supplement (Ch and Wv) in the second experiment to investigate the usabilityand the proper quantity of Mogchotan (CW; mixture of Ch and Wv; 8:2 = Ch:Wv) as supplement, CW 0.5, 1.0, 1.5, and 2.0% were applied in the diet. Rearing period of flounder was 10, 6, 8 weeks in first, second, and final experiment, respectively. After termination of each experiment, effectiveness of growth and vitality estimation were conducted. For effectiveness of growth, weight, Hepatosomatic index, Visceralsomatic index, and Condition factor were measured in the before and after experiment and analysed in comparison. For vitality estimation, the activity of lysozyme and the 2-phenoxyethanol test were performed. In the assessment test of usability of wood carbides as supplement in flounder diet, there was significance in the only food efficiency, not in the effectiveness of growth (p<0.05). The best results in growth and food efficiency were shown in the 0.8 and 0.2% supplemented Ch and Wv in Second experiment. Especially, GPT in serum composition was suggested as high-quality, and in the test of lysozyme activity and vitality estimation a higher lysozyme activity and a faster recovery rate were observed. In the experiment of CW supplementation, in growth and food efficiency was efficient, and a superiority of fatty acids and an enhancement of immunity and vitality were observed. Proper quantity of CW as supplement in flounder diet was ranged as 0.5~1.0%. Especially, not only the food efficiency but the immunity,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wood carbides, is one of the advantagesin food supplements. Therefore, use of proper quantity of wood carbides in the diet may result in food-cost reduction, growth promotion and immunity enhancement. In the results, it was concluded as wood carbides, Charcoal, Wood vinegar and Mogchotan, are effective in improvement of growth and vitality of flounder. However, there is no investigation on the immunity connecting fish pathology and quality improvement of fish meat which are thought as necessary studies to be carried out further. Biochemical mechanism of wood carbidesin fish after fed is also essential to b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of fish feeds supplemented wood carbides may cause the prevention of disease and reduction of mortality that is potential on economical advantage, and reduction of use of antibiotics may be able to contribute in implantation of the image as "clean aquacultured animal" to the consumer, and this may consequently cause the promotion of consum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